Translate

2020년 9월 14일 월요일

불기2564-09-14_마하반야초경-K0005-003


『마하반야초경』
K0005
T0226

제3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마하반야초경』 ♣0005-003♧





제3권





♥아래 부분은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 2019_1104_171551_nik_CT28.jpg


○ 2019_1105_145502_can_CT28.jpg


○ 2019_1201_151600_can_ab41_s12.jpg


○ 2019_1106_091937_can_CT33.jpg


○ 2020_0211_134156_nik_ar11.jpg


○ 2019_1106_130933_nik_bw24_s12.jpg


○ 2019_1105_130759_can_CT27.jpg


○ 2019_1201_154713_can_bw24.jpg


○ 2019_1106_164347_can_Ab27.jpg


○ 2019_1105_125254_can_ct34_s12.jpg


○ 2019_1106_120259_nik_CT38_s12.jpg


○ 2019_1201_164202_nik_ab41_s12.jpg


○ 2019_1105_124130_nik_ab41_s12.jpg


○ 2019_1105_165920_can_ab41_s12.jpg


○ 2019_1201_152343_can_BW21_s12.jpg


○ 2019_1106_121057_can_ar43_s12.jpg


○ 2019_1106_112337_nik_ar47.jpg


○ 2019_1106_152058_nik_AB7.jpg


○ 2019_1106_131241_can_Ar28.jpg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
摩訶般若鈔經卷第三
K0005


마하반야초경 제3권

담마비ㆍ축불념 공역
이창섭 번역

4. 선권품(善權品)

그때 미륵보살이 수보리에게 말하였다.
“만약 어떤 보살마하살이 중생들을 돕고 권유하여 복되게 하고 
세간에 출입하면서 보시와 지계로 스스로를 지킨다면, 
상등(上等)의 그 복덕이 더욱 존극(尊極)하여질 것이니 
보살마하살의 권조(勸助 :권유하여 돕는 것)하는 복덕보다 
더 높이 이를 초과할 복덕은 없을 것입니다.”



수보리가 미륵보살에게 말하였다.
“그밖에 또 다른 어떤 보살마하살이 
아승기 국토의 모든 부처님 계신 곳에서 공덕을 짓고, 
그 국토마다 열반에 드시는 헤아릴 수 없는 부처님을 따라 발심한 후에 
스스로 아뇩다라삼야삼보(阿耨多羅三耶三菩)의 경지에 이르러 아유삼불의 경지에 이르고, 
마침내 무여니원계(無餘泥洹界)1)의 세계에 이르러 열반에 드는 사람이 있어서 그렇게 된 후에야 
법이 다하는 경지에 이르게 되며, 
이 가운데서 공덕을 짓게 되면 
그 공덕으로 제도하는 중생은 극한이 없게 됩니다. 

이것이 곧 모든 성문승들이 짓는 보시와 지계로 스스로를 지켜 복되게 하고 
번뇌가 남아 있는 세계에서의 공덕으로 스스로 
번뇌의 남음이 없는 세계에서 열반으로 옮겨지는 경지를 이루게 되는 과정입니다. 


부처님께서는 그 가운데서 짓는 공덕으로 
정계신(淨戒身)과 삼매신(三昧身 : 定身)과 지혜신(智慧身 : 慧身)이 있게 되며 
이탈신(已脫身 : 解脫身)과 탈혜소견신(脫慧所見身 : 解脫知見身)으로 이룩하시는 불법은 지극히 광대하나 
슬프게도 그러한 부처님을 다 헤아릴 수가 없습니다.

천중천께서 설법하시는 법은 그 법 가운데서 다시 가지고 있는 모든 공덕을 배워서 
곧 모든 열반에 든 세계에서 불법으로 짓는 공덕을 모두 헤아리고, 
모두 합쳐서 중생들을 도우시고 권유하시어 존귀하게 하시니, 
온갖 공덕 가운데서 최고의 공덕이며 
부처님의 권조(勸助)라 하는 것은 여기에 해당됩니다. 


이것을 간직함으로써 아뇩다라삼야삼보의 경지를 짓게 되며 
이로써 아뇩다라삼야삼보를 이루게 됩니다. 
이러한 보살의 경지에 이른 사람은 그렇다 치고, 
마음만 간직하면 능히 이 아뇩다라삼야삼보를 구하는 마음을 지을 수 있으며, 
곧 이 마음이 생겨 작용하며 얻는 것이 있기를 바라게 됩니다.”





미륵보살이 수보리에게 말하였다.
“혹 이 구하는 마음을 짓지 아니하고도 능히 얻는 사람이 있으니 
이러한 생각을 짓는 사람은 생각하기를, 
지혜가 없어도 이런 뜻이 생길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되어 
생각과 상상(想像)의 후회가 작용하여 제 자리로 되돌아가게 되고, 
이 작용으로 믿음에 후회가 생겨 제 자리로 되돌아가게 됩니다. 
오직 작용에 지혜가 없는 까닭에 제 자리로 되돌아가서 4전도(顚倒)2)에 떨어지게 됩니다. 

그리하여 무상(無常)을 유상(有常)이라 생각하고 
고통을 즐거움이 존재한다[樂]라고 생각하고 
빈[空] 것을 알맹이가 있다[實]라고 생각하고 
몸이 없는[無身] 것을 몸이 존재한다[有身]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이 때문에 생각과 상상(想像)의 후회로 제 자리에 되돌아가게 되고, 
마음의 후회로 제 자리에 되돌아가게 되고 
믿음의 후회로 제자리에 되돌아가게 됩니다. 

보살은 이런 마음을 짓지 아니하고도 구하는 바가 있으며 
그 구하는 바에는 일정한 처소가 없는데 
어떻게 아뇩다라삼야삼보를 구하겠습니까?”


미륵보살은 다시 수보리에게 말하였다.
“새로 배우는 보살마하살들 앞에서는 
앞에서 말한 이런 말을 해서는 안 됩니다. 

왜냐 하면 사람에 따라서는 
혹 믿는 바를 잃게 되고 
즐기는 것이 없어지고 
기뻐하는 것이 없어지고 
수행할 바를 잃게 되니, 
이는 곧 4전도에 떨어지는 길을 따르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입니다. 

마땅히 이러한 보살마하살들을 위하여 설법하여 듣게 하여야 할 것은 
거룩한 스승 옆에 있는 사람일 경우에는 
곧 보살마하살들에게는 설법하여 듣게 할 수 있으니, 
그렇게 하면 무서워하지 아니하고 겁내지 아니하고 두려워하지 아니하게 될 것입니다. 


이러한 보살마하살은 능히 중생들을 돕고 권유하여 복되게 할 수 있고 
살운야(薩芸若 : 일체지)를 짓게 할 수 있습니다.


만약 마음에 간직하여 이 권조(勸助)를 하게 된다면 
마음도 모두 멸(滅)하여 아무 것도 존재하지 아니하고[無所有] 
아무 것도 보는 것이 없는데[無所見] 
어떤 마음으로 당장 아뇩다라삼야삼보를 짓겠습니까? 
당장 어떤 마음으로 마음을 짓겠습니까? 

두 개의 상대적인 마음이 없는 것이 마음의 자연이며 
이 자연의 마음이라야 능히 아뇩다라삼야삼보를 지을 수 있는 것입니다.”


그때 석제환인이 수보리에게 말하였다.
“새로 배우는 보살마하살들은 
이 말을 듣게 되면 혹 무서워하고 두려워할 것이니, 
보살마하살이 공덕을 짓고자 하는 사람에게는 마땅히 어떻게 그들에게 권조(勸助)해야 
그 복덕으로 아뇩다라삼야삼보를 지을 수 있겠습니까?”




수보리가 미륵보살에게 말하였다.
“마땅히 모든 부처님 계신 곳을 보호하여 모든 악을 허물고 타파하여서 근심과 욕망 등의 행동을 끊어, 
가령 한 가지 악마가 하는 일을 항복시키게 되면 
무거운 짐을 버린 것과 같이 될 것이니 

곧 스스로 그가 갖고 있는 마음에 따라 알뜰하고 고되게 노력하게 될 것이며 
그렇게 하면 모든 악마의 일이 다함으로써 
이 악마의 일에서 벗어나게 될 것입니다. 


그리하여 마음이 곧 헤아림을 따르게 되고 
아승기의 국토에서 모든 열반에 들게 되는 사람들이 그 가운데서 짓는 공덕으로 
모든 성문들을 복되게 할 것이고, 
그 가운데서 다시 공덕을 지어 이를 모두 헤아려 
이를 합쳐 권조(勸助)로 삼는 것이 존귀한 권조가 될 것이며, 
온갖 공덕 가운데서 이 권조의 공덕을 넘어설 공덕은 없을 것입니다.


그 권조라 하는 것은 주관적으로 권조를 하는 것이며 
권조로써 아뇩다라삼야삼보를 지키고 짓게 되는 것이니 
어디에서 보살들이 제 자리로 되돌아가지 아니하는 일을 생각하고, 
어디에서 믿는 바를 후회하며 제 자리로 되돌아가지 아니하는 일을 생각하게 될 것인가? 

바야흐로 이는 보살마하살들로 하여금 마음을 간직하여 아뇩다라삼야삼보를 짓게 하는 것이며 
그 마음에는 상상(想像)하는 것이 없게 됩니다. 
이것이 보살마하살의 마음에서 얻는 아뇩다라삼야삼보입니다.

이것이야말로 마음의 염원을 스스로 환하게 알게 하며 
그것이 생각해서 후회하고 되돌아가거나 
마음으로 후회하여 되돌아가거나 
믿는 바를 후회하여 되돌아가는 사람을 위하여 
바야흐로 마음속으로 불도를 염원하게 하는 일이며, 


또한 이 마음을 알게 되면 이 마음의 작용으로 이것이 생각해서 후회하며 제 자리로 되돌아가는 사람이나[想悔還] 믿음을 후회하여 제 자리로 되돌아가는 사람들을[信悔還] 위하여 
바로 보살마하살들로 하여금 마음을 간직하여 진리를 환하게 알게 하는 길입니다.


곧 이 깨달음을 짓게 되면 알음알이가 다하여 
어떤 것도 존재하지 않는 무소유(無所有)의 경지를 이룹니다. 



알아야 하나니, 
알음알이가 다한 사람에게 무슨 마음의 작용이 있겠습니까? 


곧 환하게 마음의 본체를 알게 되는데 
어디 무슨 마음의 법이 법에서 작용하는 것이 있겠습니까? 

여여(如如)한 법이란 
법을 따라 이미 작용해서 진여(眞如)를 이룬 것이며, 
이 작용을 하는 것은 잘못된 작용[邪作]이 아닙니다. 
이것은 보살마하살이 짓는 작용입니다.


만약 어떤 보살마하살이 과거와 미래와 현재의 부처님 계신 곳에서 짓는 공덕이나, 
또는 모든 성문에서 아래로 범인에 이르기까지 
그들이 짓는 공덕이나 
또는 축생으로서 법문을 들은 축생 및 
모든 천신과 열차(閱叉)와 건다라(乾多羅)ㆍ아수륜(阿須倫)ㆍ가류라(迦留羅)ㆍ진타라(眞陀羅)ㆍ마후륵(摩睺勒)이나 
모든 사람이나 사람 아닌 것[人若非人]들로서 법문을 들은 것들이 발심하여 짓는 공덕 및 
처음 보살도를 배우는 사람들이 짓는 공덕을 모두 헤아려 합쳐서 쌓아올려, 
그 위에서 하는 그 권조(勸助)야말로 능히 진실한 권조가 될 수 있으며, 
이 지극히 존귀한 권조로서 온갖 공덕 가운데 이 권조의 공덕을 넘어설 공덕은 없을 것입니다.
그런 까닭에 이 권조에 해당하는 권조는 능히 권조의 복덕이 되며, 
이것이 작용하여 아뇩다라삼야삼보를 짓게 되는 것입니다. 
바야흐로 다시 이와 같이 하게 하면 이것이 법이 다하는 경지이며, 
이 법에서는 태어나는 법도 없고 소멸되는 법도 없고 법이 존재하는 곳도 없어집니다. 
법이 태어나는 것이 없어지면 그 법으로 아뇩다라삼야삼보를 얻게 됩니다. 
이 법을 깨닫지 못하여도 법에 반작용이 있어 아뇩다라삼야삼보를 짓게 됩니다. 
그런 까닭에 이것이 생각으로 후회하여 되돌아가는 일이 없게 되고 또한 마음도 후회하여 되돌아가지 아니하게 되고 믿는 것도 후회하여 되돌아가지 아니하게 됩니다. 
이는 구하는 것이 없는 경지여서 대중들은 이 경지에 미치지 못하고 이는 아뇩다라삼야삼보의 마음이 짓는 경지입니다.
만약 어떤 보살마하살이 밝고 환하게 진리를 알지 못하더라도 복덕을 짓는 사람이 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보살마하살은 자기 몸에서 황홀한 경지가 이룩되면 권조하는 복덕에 있어서도 역시 황홀한 마음이 이룩됩니다. 
이 보살은 황홀한 경지에서는 존재하는 것이 아무 것도 없다는 것을 환하게 알게 되고, 
그런 까닭에 보살마하살의 반야바라밀이 만약 모든 열반에 드신 모든 부처님 계신 곳에서 공덕을 짓고 이 공덕을 간직하여 그가 구하는 바를 짓고자 한다면 그는 자연히 아뇩다라삼야삼보가 될 수 있음을 알게 됩니다. 
모든 불천중천(佛天中天)께서는 집착하는 것은 과거는 소멸하였기에 과거에 집착하지 아니하고, 
또한 상상(想像)이 없고 상상하지도 아니하며 혹 상상을 하게 된다면 그것은 공덕이 아닙니다.
보살마하살은 마땅히 구화구사라(漚和拘舍羅 :
 선교방편)를 배워야 하나니, 
아직 반야바라밀을 얻지 못한 사람은 부처님의 경지에 들어갈 수가 없으며, 
이미 반야바라밀을 얻은 사람이라야 곧 부처님의 경지에 들어갈 수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몸으로 인식 작용을 지어서는 안 됩니다. 
이를 작용하면 생멸이 있게 되므로 몸이란 존재하지 않는 것입니다. 
몸에 공덕이 있는 사람은 상상이 있게 되고 이것이 곧 장애물이 되어 반대로 고통 속에 머물게 됩니다.
그러나 달살아갈아라하삼야삼불은 이 공덕으로 권조(勸助)를 지니는 일을 배우지 아니합니다. 
왜냐 하면 그 작용이 바르지 않기 때문이니, 
열반에 드신 부처님을 바라보면서 도리어 상상하는 일이 있게 된다면, 
이 일 때문에 이것이 장애물이 되어 그가 짓는 공덕은 진실한 공덕에 미치지 못하고 반대로 고통 속에 머물게 됩니다. 
그 생각을 하지 않는 것이 달살아갈아라하삼야삼불의 공덕이며 거기에서 상상을 하는 것은 비유하면 독이 섞인 음식과 같습니다. 
왜냐 하면 설사 맛있는 밥이라도 그 가운데 독이 붙어 있다면, 
빛깔은 매우 좋고 향기를 좋아하지 아니하는 사람이 없다고 하더라도, 
밥 속에 독이 있다는 것을 모르면 어리석고 눈이 어두운 사람이 이것을 먹고 포만하게 배가 부르다가 음식이 소화되려 할 때가 되면 오래도록 몸이 편안하지 못하게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공덕의 행(行)을 알지 못하는 사람이 이를 매우 어렵다고 생각하여 이를 간직하고 수호하는 방편을 깨닫지 못하고, 
공덕에 해당하는 일을 깨닫지 못하여 이를 해득하고 알 수가 없으면서 이것을 공덕에 해당하는 일이라 생각하는 것이 마치 독이 섞인 음식을 먹는 것과 같다고 말하게 되는 것입니다.
선남자여, 
과거와 미래와 현재의 부처님들께서 지계신ㆍ삼매신ㆍ지혜신ㆍ이탈신ㆍ탈혜소견신을 이루고서 성문 가운데서 짓는 공덕도 불천중천께서 설하신 것입니다.
만약 다시 벽지불이 있는 곳에서 공덕을 짓게 될 경우 그것도 모두 이를 권조하게 되며, 
이 권조로써 이 복덕을 짓게 하고 이로써 아뇩다라삼야삼보를 지어 이를 지니고 이것으로 짓는 것이 부처님의 생각의 작용에 해당합니다. 
그런 까닭에 비유하면 독이 섞인 음식과 같은 보살마하살들이 당장에 배움을 짓는다면 어디에서 과거와 미래와 현재의 부처님의 공덕을 이루겠으며 어떻게 권조하여 복덕을 지어 아뇩다라삼야삼보를 이루겠습니까?
이 보살은 달살아갈의 가르침을 따르는 것이 곧 지혜를 이루는 것이며 부처님의 공덕으로 생기는 자연의 법칙 및 그 생각하는 법이 갖고 있는 것을 간직하는 것이 곧 복덕을 지어 권조하는 일이 됩니다. 
그 권조로 인연하여 스스로 아뇩다라삼야삼보를 이루게 되는 것이니, 
보살마하살이 이러한 베풂을 짓는 사람은 허물이 없으며 끝내 달살아갈아라하삼야삼불의 곁을 떠나지 아니하게 됩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것은 모두 지성으로 하신 말씀입니다.
또 보살마하살이 곧 이러한 시행을 하게 되면, 
여여한 정계신(淨戒身)을 지니게 되고, 
여여한 삼매신를 얻게 되고, 
여여한 지혜신을 지니게 되고, 
여여한 이해탈을 하게 되고, 
여여한 탈해소견신을 얻게 됩니다. 
그리하여 세상에 나타나는 몸에는 욕계도 없고 색계도 없고 무색계도 없으며, 
또 과거와 미래와 지금 현재의 세계도 없고, 
아무 것도 존재하지 아니한 번뇌의 테두리를 벗어난 세계이며 이 번뇌의 테두리를 벗어난 세계에서의 베풂 또한 무소유의 베풂인 것입니다. 
혹 이 무소유의 베풂을 짓는다면 그 세계의 여여한 법 때문에 법도 역시 무소유(無所有)가 됩니다. 
이러한 베풂을 짓는 사람은 그 베푸는 것을 이루게 되고 거기에는 독소가 없고 혹 이와 다른 베풂을 짓는다면 베풂과 반대되는 결과를 이루게 됩니다.
이러한 보살마하살이 베푸는 일은 그것이 여여한 법인 까닭에 불천중천께서 아시는 일이고, 
이것이 곧 베풂으로 얻는 아뇩다라삼야삼보를 짓는 일에 해당되는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훌륭하고도 훌륭하도다. 
수보리여, 
그 작위(作爲)하는 바는 부처의 작위와 같다. 
이것이 보살마하살이 베푸는 일이며 삼천대천세계의 국토 안에 사는 사람이 모두 염원하는 자비와 애처로운 마음이며, 
평등하게 불법을 수호하는 마음이다. 
이 마음에 허물은 없다. 
이는 보살마하살이 첫 번째로 베푸는 일이며 이것이 곧 지극히 존귀한 베풂인 것이다.
또 수보리야, 
삼천대천세계의 국토 안에 사는 사람이 모두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지어, 
항하의 모래알처럼 많은 부처의 국토 안에 사는 사람으로 하여금 모두가 공양드리게 하는 일이다. 
이 보살이 행하는 보시는 의복과 음식ㆍ침상ㆍ와구(臥具)와 병들고 여윈 사람에게 주는 의약품의 범위를 넘어서서 항하(恒河)의 모래알처럼 많은 영겁의 세월 동안 공양을 받게 되고, 
자기 뜻이 원하는 바에 따라 이 보시를 하게 될 것이다. 
수보리여, 
그대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그 복덕이 많다고 생각하는가? 
그렇지 아니하다고 생각하는가?”
수보리가 대답했다.
“매우 많을 것입니다, 
매우 많을 것입니다, 
천중천이시여.”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권조(勸助)하는 공덕으로 얻는 복덕은 그 범위를 넘어서 헤아릴 수가 없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을 대신하여 권조한 공덕으로 얻는 복덕은 항하의 모래알처럼 수많은 부처님 국토의 사람들도 그 모두를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훌륭하고도 훌륭하도다. 
수보리야, 
만약 어떤 보살이 반야바라밀을 간직하고 있다면, 
그가 짓는 보살의 행위는 그의 본래 베푼 것 위를 넘어서게 되지만 이것으로도 권조로 보시하는 공덕을 넘어설 수는 없으며, 
권조로 보시하는 공덕은 그위 백 배ㆍ천 배ㆍ만 배ㆍ억 배ㆍ거억 배(巨億倍)나 되는 공덕이다.”
그때 사천왕과 하늘 위의 2만 명의 하늘 나라 사람들이 모조리 이마가 땅에 닿게 절하고 부처님의 발에 엎드려 모두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지극히 큰 보시입니다. 
천중천이시여, 
보살마하살의 구화구사라는 곧 이 보시를 지어 그 공덕이 매우 크고 존귀합니다. 
왜냐 하면 이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배워서 그 가운데서 권조하기 때문입니다.”
또 도리천 위의 모든 천인들은 천화(天華)ㆍ명향(名香)ㆍ도향(擣香)ㆍ잡향(雜香)ㆍ택향(澤香)ㆍ소향(燒香)ㆍ천증(天繒)ㆍ화개(華蓋)ㆍ당번(幢幡)ㆍ기악(伎樂)을 가지고 공양에 쓰며 오락으로 부처님께 공양드리고 이를 마친 다음 모두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지극히 큰 보시입니다. 
천중천이시여, 
보살마하살의 구화구사라라야 마침내 이 보시를 할 수 있으며, 
지극히 큰 보시의 공덕을 얻게 됩니다. 
왜냐 하면 이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배워서 그 가운데서 권조하기 때문입니다.”
염천(鹽天) 위의 천인들도 모두 천화ㆍ명향ㆍ도향ㆍ잡향ㆍ택향ㆍ소향ㆍ천증ㆍ화개ㆍ당번ㆍ기악을 가지고 공양을 올려 부처님을 즐겁게 한 다음 모두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지극히 큰 보시입니다. 
천중천이시여, 
보살마하살의 구화구사라라야 마침내 이 보시의 지극히 큰 공덕을 짓게 됩니다. 
왜냐 하면 이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배워서 그 가운데서 권조하기 때문입니다.”
도솔천 위의 모든 천인들도 천화(天華)ㆍ명향(名香)ㆍ도향(擣香)ㆍ잡향(雜香)ㆍ택향(澤香)ㆍ소향(燒香)ㆍ천증(天繒)ㆍ화개(華蓋)ㆍ당번(幢幡)ㆍ기악(伎樂)을 가지고 공양을 올려 부처님을 즐겁게 한 다음 모두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지극히 큰 보시입니다. 
천중천이시여, 
보살마하살의 구화구사라라야 이 보시의 지극히 큰 공덕을 지을 수 있습니다. 
왜냐 하면 이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배워서 그 가운데서 권조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니마라제천(尼摩羅提天 :
化樂天) 위의 모든 천인들도 천화ㆍ명향ㆍ도향ㆍ잡향ㆍ택향ㆍ소향ㆍ천증ㆍ화개ㆍ당번ㆍ기악을 가지고 공양을 올려서 부처님을 즐겁게 한 다음 모두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지극히 큰 보시입니다. 
천중천이시여, 
보살마하살의 구화구사라는 이 보시의 지극히 큰 공덕을 지을 수 있습니다. 
왜냐 하면 이 보살마하살들은 반야바라밀을 배워서 그 가운데서 권조하기 때문입니다.”
바라니밀화야발치천(波羅尼蜜和耶拔致天 :
 他化自在天) 위의 모든 천인들도 천화ㆍ명향ㆍ도향ㆍ잡향ㆍ택향ㆍ소향ㆍ천증ㆍ화개ㆍ당번ㆍ기악을 가지고 공양을 올려 부처님을 즐겁게 한 다음 모두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지극히 큰 보시입니다. 
천중천이시여, 
보살마하살의 구화구사라라야 이 보시의 지극히 큰 공덕을 지을 수 있습니다. 
왜냐 하면 이 보살마하살들은 반야바라밀을 배워서 그 가운데서 권조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범천(梵天)인 범가이천(梵迦夷天)과 범복루천(梵福樓天)과 범파리산천(梵波利産天)ㆍ합천(廅天)과 파리타천(波利陀天)ㆍ합파마나천(廅波摩那天)ㆍ아피회천(阿陂言會天)과 수하천(首訶天)의 파리수하천(波利首訶天)ㆍ아파마수천(阿波摩首天)ㆍ수하가천(首訶迦天)과 비이반천(比伊潘天)ㆍ아비야천(阿比耶天)ㆍ수타시천(首陀施天)ㆍ니천(尼天) 내지 아가니타천(阿迦膩吒天) 등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천신들도 모두 이마를 부처님의 발에 닿게 절하며 말하였다.
“매우 거룩하십니다. 
천중천이시여,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배워 지극히 큰 보시의 공덕을 베푸십니다. 
왜냐 하면 이 보살마하살은 반야바라밀을 배워서 그 가운데서 권조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부처님께서 수타위(首陀衛)의 모든 천인들에게 말씀하셨다.
“삼천대천세계 국토의 보살마하살과 항하의 모래알처럼 수많은 불국토의 사람들이 모조리 아뇩다라삼야삼보를 짓는 일은 그만두더라도, 
다시 이 밖에 항하의 모래알처럼 수많은 불국토의 사람들이 모두 함께 이들 보살들에게 공양드려서 그 떨침이 의복과 음식의 거래나 와구(臥具), 
병들고 여윈 사람에게 의약품으로 공양하는 범위를 뛰어넘어 항하수의 모래알처럼 수많은 영겁의 세월에 걸쳐서 이들이 즐기고 기뻐하는 곳에 따라 이 보시를 지어 공양하거나 또 이 보다 더한 공양을 드린다 하더라도 그것이 보살마하살이 권조(勸助)하고 보시하는 일에 미치지 못한다. 
과거와 미래와 지금 현존하는 부처님들께서 정계신ㆍ삼매신ㆍ지혜신ㆍ이탈신ㆍ탈혜소견신과 모든 성문신 가운데서 짓는 공덕을 모두 함께 헤아려 이를 합친다 하더라도 권조하는 공덕에 미치지 못한다. 
권조라는 것은 이렇기 때문에 지극히 존귀하며 이를 넘어설 수 있는 공덕은 없다. 
이 권조를 지어서 이를 간직함으로써 아뇩다라삼야삼보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때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천중천께서 설법하신 일에 속하는 모든 것을 함께 헤아려 이를 합쳐도 지극히 존귀하여 더 넘어설 것이 없으니 모두가 바꾸어가며 권조하고, 
권조를 마친 보살마하살은 이 가운데서 어떠한 법을 얻게 됩니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도덕(道德)을 지닌 사람은 알지어다. 
과거와 미래와 지금 현존하는 법은 취하는 것도 없고 버리는 것도 없으며 아는 것도 없고 얻는 것도 없다. 
그 법이란 생겨나는 것이 없는 법이며 소멸하는 것도 없는 법이고, 
어디서 생겨나는 것도 없는 법이며 무엇을 따라 멸하는 것도 없는 법이다. 
이 법 가운데는 아무 것도 생겨나는 것이 없고, 
존재하는 것을 따라 멸하는 일도 없다. 
이것이 법이 법으로 삼는 근본이며 내가 대신 이를 권조(勸助)한다. 
이것이 권조가 되는 것이며 이 보시를 짓는 사람은 빠른 시간 안에 아뇩다라삼야삼보를 이룰 수 있다. 
그런 까닭에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에게는 권조의 공덕을 존귀하게 여기는 것이다.
또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과거와 미래와 지금 현존하는 부처님 계신 곳에서 부처님을 대신하여 보시를 하는 사람이며, 
권조하여 부처님을 대신하여 계율을 지키고 욕된 일을 참고 정진하여 한마음의 지혜를 지니고 이것으로 중생들에게 권조한다. 
또한 부처님을 대신하여 이탈신으로 이를 권조하고, 
부처님을 대신하여 탈혜소견신으로 이를 권조한다.
이 부처님을 대신하여 권조하는 사람에게는 그의 해탈이란 그것이 곧 보시가 되고, 
그 해탈이 곧 인욕이 되고 그 해탈이 곧 정진에 해당하며 그 해탈이 곧 선정이 되며 그 해탈이 곧 지혜에 해당된다.
그 해탈은 곧 해탈의 지혜가 되며 그 해탈은 곧 탈혜소견신이 되고 그 해탈은 곧 그런 까닭에 해탈이며, 
그 해탈은 부처님을 대신하며 권조하며 그 해탈이 곧 법이다. 
그런 까닭에 미래의 세계에서도 그와 같은 해탈은 없을 것이며 아승기의 국토에 있는 모든 부처님으로 하여금 현재 현존하게 하는 것이다. 
그 해탈은 곧 모든 부처님의 제자들이며 그 해탈은 과거의 모든 부처님의 제자로서 그 해탈은 지금 현존하는 모든 부처님의 제자이기도 하다. 
이 법 가운데는 속박도 없고 집착도 없고 해탈도 없다. 
이와 같은 법을 지님으로써 아뇩다라삼야삼보를 이루고 이로써 보시하는 가운데는 이를 넘어설 수 있는 공덕은 없으며 이를 허물 수 있는 사람도 없다.
수보리야, 
이것이 보살마하살의 권조가 존귀하다는 이유이다. 
항하의 모래알처럼 수많은 부처님의 국토 안에 사는 보살들은 모조리 그 수명이 항하의 모래알처럼 헤아릴 수 없는 영겁의 세월 동안 유지될 것이며, 
항하의 모래알처럼 수많은 부처님의 국토에 사는 사람들이 모조리 여러 보살마하살에게 공양드릴 것이며, 
그 떨침은 의복과 음식과 침상과 와구(臥具)와 병들고 여윈 사람들에게 주는 의약품의 범위를 뛰어넘을 것이다. 
수보리야, 
그리하여 마침내는 항하의 모래알처럼 헤아릴 수 없는 영겁의 세월 동안 모두가 계율을 지키고, 
욕된 일을 참고 정진에서 게으르지 아니하고, 
선정에서 모두 삼매를 얻어 그 정도가 백 배ㆍ천 배ㆍ만 배ㆍ억만 배 혹은 거억만 배(巨億萬倍)에 달하더라도 권조의 공덕만 못할 것이며, 
권조의 공덕은 그 복덕이 가장 존귀하며 그 위에 우뚝 벗어나게 될 것이다.”

5. 지옥품(地獄品)

사리불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반야바라밀이 이루는 것은 많습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에 인연하면 얻지 못하는 문자가 없습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지극히 세상을 밝게 비추어줍니다. 
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어둠을 제거하게 됩니다. 
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집착하는 곳이 없습니다. 
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지극히 존귀한 것에 해당됩니다. 
중천이시여, 
눈이 없는 사람에게 반야바라밀은 눈이 되어줍니다. 
천중천이시여, 
혹 헷갈리고 길 잃은 사람들에게 반야바라밀은 모두에게 걸어갈 길을 내려줍니다. 
천중천이시여, 
부처님의 지혜란 반야바라밀이 그것입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이란 보살마하살의 어머니에 해당됩니다. 
천중천이시여, 
태어나는 곳도 없고 소멸하는 곳도 없는 것이 반야바라밀입니다. 
천중천이시여, 
3합(合)ㆍ12법륜(法輪)을 갖추고 회전하는 것이 반야바라밀입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혹 고단하고 고통받는 사람을 모두 안온하게 하여주는 것입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생사의 번뇌에 보호자가 되어주는 것입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모든 법에서 모두 자연스럽습니다.
천중천이시여 그러면 보살마하살은 마땅히 어떻게 하여야 반야바라밀 가운데 머물게 됩니까?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세간의 경전(經典)이라 하는 것은 반야바라밀에 인연하여 머물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혹 부처님를 공경하는 사람이라면 마땅히 반야바라밀에 귀의하여야 하느니라.”
그때 석제환인은 마음속으로 생각하였다.
‘사리불 존자는 무엇 때문에 이런 질문을 하였을까?’
곧 석제환인은 사리불에게 말하였다.
“존자께서는 무슨 인연으로 이 질문을 하셨습니까?”
사리불이 석제환인에게 말하였다.
“구익이여, 
반야바라밀은 보살이 수호하는 수행이며 그로 인연하여 권조(勸助)하는 공덕으로 복덕을 간직하고 살운야를 짓게 되는 것이다. 
이는 보살이 작위하는 어떠한 수행, 
예를 들면 보시ㆍ지계ㆍ인욕ㆍ정진ㆍ선정 등 5바라밀보다 그 위를 넘어서는 수행이다. 
비유하면 가령 어떤 사람이 태어났을 때부터 눈먼 소경이라고 치면, 
이런 사람이 백 사람ㆍ천 사람ㆍ만 사람ㆍ천만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앞에서 이들을 인도하는 사람이 없다면, 
그들이 이르고자 하는 곳이 있어서 만약 성(城) 안으로 들어가고자 할 경우 당장 어떻게 어느 길로 가야 할 지를 모르게 된다. 
이와 같이 구익이여, 
5바라밀이란 것도 눈먼 소경과 같아서 반야바라밀을 떠나서는 아무 것도 보이는 것이 없다. 
이와 같은 상태로 살운야의 가운데에 들어가고자 하더라도 당장 어떻게 수행하여 어느 길로 가야 할 지를 알지 못하게 된다. 
반야바라밀은 곧 5바라밀의 수호자로서 모든 수행자에게 안목(眼目)을 주는 역할을 한다. 
반야바라밀이란 수호자로서 5바라밀로 하여금 각기 그 이름을 얻게 하는 것이니라.”
이어 사리불은 부처님께 아뢰었다.
“어떻게 지켜야 반야바라밀 가운데 들어가게 됩니까?”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색(色)도 들어가는 곳이 보이지 아니하며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도 그 들어가는 곳이 보이지 아니하며 5음도 들어가는 곳이 보이지 아니하는 것, 
이것이 반야바라밀을 지키는 일이니라.”
사리불이 말하였다.
“천중천이시여, 
만약 이와 같이 하는 것이 반야바라밀을 지키는 일이라면 이 지키는 일을 한 사람은 어떠한 법에 미치게 됩니까?”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지키는 것에 없는 것, 
이것이 법에 미치는 일이며, 
이것이 반야바라밀을 지키는 일에 해당한다.”
그때 석제환인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반야바라밀에 미치지 못하면 살운야에도 미칠 수 없게 되고, 
또한 반야바라밀을 지키는 일에도 미치지 못하게 되고, 
또한 생사의 윤회에서도 미칠 곳이 없게 되겠습니다. 
천중천이시여, 
그렇다면 곧 어떻게 하여야 미칠 수 있게 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미치는 곳이 없는 까닭에 능히 미칠 수 있는 것이다.”
석제환인이 말하였다.
“미칠 수 있는 사람은 적겠습니다. 
천중천이시여, 
가령 반야바라밀이 모든 법과 같다고 한다면 모든 법이란 생겨나는 것도 없고 소멸하는 곳도 없으니 당장 어디에 머물겠습니까? 
머무는 곳이 없습니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보살들이 간혹 이러한 생각을 하게 되면 문득 반야바라밀을 떠나게 될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혹 객관적인 인연이 있어서 문득 반야바라밀을 생각하다가 반야바라밀이 공(空)이며 무소유(無所有)이며 가까운 것도 없고 먼 것도 없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것이 보살마하살을 위한 반야바라밀인 것이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반야바라밀을 닦는 이는 무슨 법을 믿어야 합니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반야바라밀을 믿는 사람은 색(色)을 믿지 아니하며,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도 믿지 아니한다. 
또 수다원의 도(道)도 믿지 아니하고 사다함과ㆍ아나함과ㆍ아라한과ㆍ벽지불의 도(道)도 믿지 아니하는 경우도 있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마하살의 바라밀이란 곧 반야바라밀이 그것이겠습니다. 
천중천이시여.”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어떻게 마하살의 바라밀이 반야바라밀에 인연한 것임을 알았느냐? 
수보리야, 
반야바라밀은 색에 있어서 큰 것도 없고 작은 것도 없으며, 
색으로 증험을 삼지 아니하고 또한 색 때문에 증험을 짓는 것도 아니다.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도 역시 큰 것도 없고 작은 것도 없으며, 
인식에서 이것으로 증험(證驗)을 삼지 아니하며 또한 인식 작용 때문에 증험을 이루는 것도 아니다. 
문득 달살아갈아라하삼야삼불의 경지에서 10종력(種力)이 이룩되면 곧 다시는 약해지지 않는다.
살운야는 넓은 것도 없고 좁은 것도 없다. 
왜냐 하면 넓은 것도 없고 좁은 것도 없는 살운야를 반야바라밀의 무소행(無所行)에서 알게 되기 때문이며, 
그 반야바라밀은 무소유(無所有)이기 때문이다. 
만약 어떤 사람이 이 가운데서 구하는 것이 있어서 이것으로 소유(所有)가 있다고 생각한다면, 
그것은 곧 큰 잘못이다. 
왜냐 하면 사람이란 태어난 곳이 없다. 
반야바라밀이란 사람과 더불어 함께 모두가 자연이며 사람이란 황홀한 존재인 까닭에 반야바라밀도 함께 헤아릴 수가 없는 것이며 사람의 존재도 허물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반야바라밀도 이와 같다.
사람이 반야바라밀과 같아지면 문득 아유삼불의 경지에 이를 수 있게 되고, 
그렇게 되면 그 사람에게도 힘이 있게 되기 때문에 달살아갈로 나타나면서 힘이 있게 되는 것이다.”
그때 사리불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반야바라밀의 경지는 매우 깊고도 깊습니다. 
천중천이시여, 
만약 어떤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믿는다면 그 가운데 단점(短點)을 말하지 아니할 것이며, 
이리저리 의심하지도 아니할 것입니다. 
그 사람이란 어디서 와서 이곳에 태어났으며, 
보살의 도를 수행하게 된 이래로 몇 번이나 반야바라밀에 관한 일을 듣고, 
해득하여 가르침에 따라 반야바라밀 가운데 들어오게 되었습니까?”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그 사람은 다른 지방의 부처님의 국토로부터 와서 이곳에 태어난 사람이다. 
이 보살마하살은 다른 지방에서 부처님을 공양하는 일을 마치고, 
부처님으로부터 수기(授記)를 받고 반야바라밀의 설법을 들은 사람이다. 
그런 까닭에 이것으로 다시 반야바라밀의 설법을 듣게 되자 스스로 생각하며 혼자 마음속으로 말하기를 ‘나는 부처님을 만난 것과 같고 다른 것이 없다’라고 하게 되는 것이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반야바라밀은 보고들을 수 있는 것입니까, 
아닙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보고 들을 수 없는 것이다.”
수보리가 다시 부처님께 아뢰었다.
“이 보살은 깊은 뜻을 지닌 반야바라밀을 따라 그것을 수행한 이래로 몇 번이나 반야바라밀의 설법을 들었습니까?”
부처님께서는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이는 한 무리의 부처로부터 배운 것이 아니다. 
각각 수백 명의 부처님 수천 명의 부처님께 공양드린 일이 있음으로써 그 모든 부처님을 만나고 난 다음, 
그 부처님 계신 곳에서 모두 청정한 계율의 수행을 마친 사람이다.
만약 대중 가운데 반야바라밀의 설법을 듣고도 이를 버리고 떠나서 보살마하살의 법을 공경하지 않는다면, 
부처님께서 설법하시는 깊은 뜻이 담긴 반야바라밀을 듣고도 그 사람은 이를 버리고 떠나 이를 듣고자 하지 아니할 것이다. 
왜냐 하면 이 사람은 전생에서도 때로 반야바라밀의 설법을 들었으나 이를 버리고 떠난 사람이기 때문이다. 
또한 몸과 마음으로 반야바라밀을 믿지 아니하는 사람이니 이는 모두 무지(無知)한 사람의 행동으로 작용하여 이 죄를 이루게 된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깊은 뜻이 담긴 반야바라밀의 설법을 듣고도 다시 멈추게 하며 사람들에게 이를 말하지 못하게 한다면, 
이는 반야바라밀을 멈추게 하는 사람이며 살운야(薩芸若 :
 일체지)를 멈추게 하는 사람이다. 
만약 그렇게 살운야를 멈추게 한다면 이는 과거ㆍ미래ㆍ현재에 현존하는 부처님의 작용을 멈추게 하는 일이며, 
이는 법을 단절하게 하는 죄에 해당되기 때문에 죽어서는 큰 지옥 속에 들어가서 수백 수천 년 수억만 년 동안 아마도 수많은 니리(泥犁 :
 지옥)의 혹독한 고통을 받게 될 것이며, 
그 고통의 심한 모습은 말로 표현할 수가 없다. 
그 가운데서 수명이 다하면 자리를 바꾸어 다른 지방의 대지옥 속에 태어나 거기에서 다시 목숨이 다하면 다시 굴러서 또 다른 지방의 마하니리(摩訶泥犁 :
 큰 지옥) 속에 태어나게 될 것이다.”
그때 사리불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그 죄는 5역(逆)의 악죄(惡罪)3) 속에 떨어지는 것이 됩니까?”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그 죄는 비록 비유한다고 하더라도 비유를 인용할 수가 없다. 
만약 깊은 뜻이 담긴 반야바라밀을 읊조리고 외울 때, 
그의 마음이 법에 대하여 의심을 품거나 또 배우려 하지 않고, 
이 말씀은 부처님께서 설법하신 말씀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다른 사람이 외우는 것도 멈추게 하고 이를 배워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면, 
이 행위는 그것으로 자기 스스로를 허물고 또 다른 사람까지도 허무는 행위이며, 
자기가 독(毒)을 마시고 나서 다시 다른 사람에게도 독약을 마시게 하는 행위이다. 
이러한 사람들의 행위는 스스로를 망치고 잃을 뿐 아니라 또한 다른 사람까지도 망치고, 
본래의 마음을 잃게 하는 행위이며 스스로 깊은 뜻이 담긴 반야바라밀을 깨우쳐 알지 못할 뿐 아니라 도리어 다시 다른 사람의 마음까지도 허물게 하는 행위이니, 
이러한 무리들의 사람과는 만나서는 안 된다.
사리불이여, 
그들과 함께 앉거나 일어서거나 말을 주고받거나 음식을 함께 먹어서는 안 된다. 
왜냐 하면 이러한 무리의 사람들은 자신이 어둠 속에 있으면서 다시 다른 사람을 가지고 어둠 속에 달라붙게 하는 무리들이며, 
자신이 독을 마시고 몸을 죽이는 사람들이니 법을 단절케 하는 사람과 다를 것이 없기 때문이다. 
그들이 하는 말을 믿는 사람이 있거나 그 말을 채택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이 받는 죄도 모두 같고 다를 것이 없느니라. 
그 까닭은 그 사람은 부처님을 비방하는 말을 채택하였기 때문이다. 
반야바라밀을 비방하는 사람은 모든 법을 모조리 비방하는 사람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사리불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불법을 비방하는 사람이 받는 형상은 어떤 모습을 닮았는지 그 몸의 크기는 얼마나 되는지 모르니 들려주시기 원하옵니다.”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이 불법을 비방하는 사람이 혹 이 일을 듣게 되면 그의 피가 끓어올라 얼굴 구멍으로 나올 것이며 혹 무서워 곧 죽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하여 큰 고통을 입게 될 것이다. 
그 사람이 이 말을 듣게 되면 문득 시름의 독이 생겨 몸이 소진(消盡)하게 될 것이다. 
비유하면 꽃을 잘라 햇볕에 놓아두면 곧 시들고 말라죽는 것과 같으니라.”
사리불이 말하였다.
“원하옵건대 사람들을 위하여 짐짓 그 일을 말씀하셔서 그들로 하여금 알게 하여 주소서. 
그들이 받을 형상은 어떤 모습을 하게 됩니까? 
마땅히 후세의 사람들을 위해서 이를 크게 밝히셔야 합니다. 
혹 이 말을 듣는 사람이 있다면 두렵고 무서워 곧 스스로 생각하기를 ‘나는 불법을 비방하여 법이 단절되게 하여서 저 사람처럼 되어서는 안 된다’라고 생각하게 될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이 사람들의 크기를 보여주어서 그들이 인연한 죄를 밝힌다면, 
그들의 몸은 몹시 크고 추악하고 냄새나는 곳에서 지극히 지속적으로 고통받을 것이니 참으로 말로 설명할 수가 없다. 
그 고통은 몹시 크고 오래 지속되며 지독하다. 
여기에 있는 선남자ㆍ선여인이 이 말을 듣게 되면 나름대로 다시는 감히 불법을 비방하지 못하기에 충분하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선남자ㆍ선여인이 이에 관한 일을 들었을 경우 이 사람은 다만 앉아서 입으로 말하는 것만으로도 곧 이러한 죄가 이룩됩니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이는 어리석고 바보 같은 사람이며 나의 법 가운데서 승단의 스님이 되어서 반대로 반야바라밀을 비방하고 있으며, 
반야바라밀은 도가 아니니 멈추라고 말하고 있다. 
반야바라밀의 수행을 멈추게 하는 행위를 하는 사람은 부처와 보살이 되는 수행을 멈추게 하는 행위이다. 
부처와 보살이 되는 수행을 멈추게 함으로써 이 사람은 과거ㆍ미래ㆍ현존하는 살운야를 멈추게 한다. 
살운야가 멈추게 되면 불법(佛法)이 단절되니 불법을 단절케 하는 사람은 비구승을 단절케 하고 비구승이 단절됨으로써 이 사람은 헤아릴 수 없는 아승기겁에 걸쳐 그 죄를 받게 될 것이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만약 반야바라밀을 단절케 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몇 가지 일을 하게 됩니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그는 악마에게 중독되기 때문에 여기 있는 선남자ㆍ선여인을 믿지도 아니하고 좋아하지도 아니한다. 
이 두 가지 일이 작용하는 까닭에 주관적으로 깊은 뜻이 담긴 반야바라밀을 단절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수보리야, 
반야바라밀을 단절케 하는 사람에게는 이 밖에도 네 가지 일이 있다. 
무엇이 네 가지 일인가? 
나쁜 스승의 말을 따르고, 
배운 것을 따라 순종하지 아니하며, 
지상(至上)의 법을 이어받지 아니하고 주로 비방만을 행하며, 
다른 사람의 단점만을 찾아 자신을 높이 떠받든다. 
이것이 네 가지 일에 해당하는 것이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반야바라밀을 믿는 사람이 적은 것은 이 법을 환하게 깨우치지 못하였기 때문입니다, 
천중천이시여.”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그렇다. 
그와 같으니라. 
반야바라밀을 믿는 사람이 적은 것은 법을 환하게 깨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수보리가 말하였다.
“어찌하여 깊고 깊은 반야바라밀을 믿는 사람이 적습니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색에는 집착도 없고 속박도 없고 해탈도 없느니라. 
왜냐 하면 색의 자연이 색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또한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에도 집착도 없고 속박도 없고 해탈도 없느니라. 
왜냐 하면 인식의 자연이 인식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지나간 과거의 색에도 집착도 없고 속박도 없고 해탈도 없느니라. 
왜냐 하면 과거의 색도 자연이기 때문이다. 
미래의 색에도 집착도 없고 속박도 없고 해탈도 없느니라. 
왜냐 하면 미래의 색도 자연의 색이기 때문이다. 
지금 현존하는 색에도 집착도 없고 속박도 없고 해탈도 없느니라. 
왜냐 하면 현재의 색도 자연의 색이기 때문이다. 
지나간 과거의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에도 집착이 없고 속박도 없고 해탈도 없느니라. 
왜냐 하면 과거의 인식 작용도 자연의 인식 작용이기 때문이다. 
또 미래의 인식 작용에도 집착도 없고 속박도 없고 해탈도 없느니라. 
왜냐 하면 미래의 인식도 자연의 인식 작용이 되기 때문이다. 
지금 현존하는 인식 작용에도 집착도 없고 속박도 없고 해탈도 없느니라. 
왜냐 하면 현재의 인식도 자연의 인식 작용이 되기 때문이다.
수보리야, 
이러한 이치가 작용하기 때문에 반야바라밀에 담긴 뜻은 매우 깊으며 믿는 사람이 적은 것이다.”

6. 청정품(淸淨品)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반야바라밀을 깨친 사람이 적은 것은 또한 친숙하게 익히지 아니하기 때문입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렇다. 
그와 같으니라. 
반야바라밀을 깨우친 사람이 적은 것은 이를 채택하고도 친숙하게 익히지 아니한 때문이다. 
왜냐 하면 수보리여, 
색은 청정하며 도(道)도 청정하니, 
색이 청정해지면 도(道)도 청정해지기 때문이다.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도 청정한 까닭에 도(道)도 청정하다고 말하니, 
그런 까닭에 인식 작용도 청정해지는 것이다.
또 수보리여, 
색이 청정하면 살운야도 청정하고 색도 청정하다. 
그러므로 색이 청정하니 살운야도 청정하여 평등하고 다름이 없다. 
지금은 앞서 있었던 일이 끊어진 것이 아니고, 
앞에 있었던 일은 뒤에 올 일이 끊어진 것이 아니다. 
그런 까닭에 허물어지는 것이 없다. 
이런 이유 때문에 앞에 있었던 일이 끊어지지 아니하게 되는 것이다.”
사리불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청정하다는 뜻은 매우 깊은 뜻을 담고 있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매우 청정한 것이다.”
사리불이 여쭈었다.
“천중천이시여, 
청정하다는 것은 지극히 밝다는 뜻이 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매우 청정한 것이다.”
사리불이 말하였다.
“천중천이시여, 
청정하다는 것은 때묻은 것이 없는 것입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매우 청정한 것이다.”
사리불이 여쭈었다.
“천중천이시여, 
청정하다는 것은 더러운 흠집이 없는 것입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매우 청정한 것이다.”
사리불이 여쭈었다.
“천중천이시여, 
청정하다는 것은 아무 것도 가진 것이 없는 것입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매우 청정한 것이다.”
사리불이 여쭈었다.
“천중천이시여, 
욕계에서 바라는 것이 없는 것이 청정한 것입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매우 청정한 것이다.”
사리불이 여쭈었다.
“천중천이시여, 
색계에서 색이 없는 것이 청정한 것입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매우 청정한 것이다.”
사리불이 여쭈었다.
“천중천이시여, 
생겨난 곳이 없이 색이 되면 매우 청정한 것입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매우 청정한 것이다.”
사리불이 여쭈었다.
“천중천이시여, 
유(有)의 세계에서 지혜가 있고 또한 무(無)의 세계에서도 지혜가 있다면 매우 청정한 것입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매우 청정한 것이다.”
사리불이 여쭈었다.
“천중천이시여, 
지혜 있는 사람에게 지혜가 없다면 매우 청정한 것입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매우 청정한 것이다.”
사리불이 여쭈었다.
“천중천이시여, 
색의 세계에서 유(有)의 지혜가 없는 사람은 매우 청정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매우 청정하다.”
사리불이 여쭈었다.
“천중천이시여,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에서 지혜가 없다면 이 지혜 없는 사람은 매우 청정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매우 청정하다.”
사리불이 여쭈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도 매우 청정하고 살운야는 늘지도 아니하고 줄지도 아니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매우 청정하다.”
사리불이 말하였다.
“천중천(天中天 :
 부처님)이시여, 
반야바라밀은 매우 청정하여 모든 법에서 취하는 것이 없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매우 청정하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나[我]의 세계도 청정하고 색의 세계도 청정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본래 청정하니라.”
수보리가 여쭈었다.
“천중천이시여, 
그런 까닭에 내가 청정하면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도 청정하다고 말하는 것입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본래 청정하니라.”
수보리가 말하였다.
“천중천이시여, 
나의 세계가 청정하면 도(道)도 역시 청정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본래 청정하니라.”
수보리가 말하였다.
“천중천이시여, 
나의 세계가 청정하면 살운야도 청정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본래 청정하니라.”
수보리가 말하였다.
“천중천이시여, 
나의 세계가 청정하다는 것은 그 실마리가 없는 것입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본래 청정하니라.”
수보리가 말하였다.
“천중천이시여, 
나의 세계가 청정하다는 것은 가장자리가 없으며 색의 세계도 청정함에 그 가장자리가 없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본래 청정하니라.”
수보리가 말하였다.
“천중천이시여, 
나의 세계에 가장자리가 없으면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에도 가장자리가 없습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본래 청정하니라.”
수보리가 말하였다.
“청정하다는 것을 깨닫고 아는 것이 곧 보살마하살의 반야바라밀이 여기에 해당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본래 청정하니라.”
수보리가 말하였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이란 것은 저편에 있는 것도 아니고 이쪽에 있는 것도 아니며, 
또한 이곳을 떠난 것도 아니며 이곳과 저곳의 중간에 있는 것도 아닙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본래 청정하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보살마하살이 이것을 아는 사람은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것이 되며, 
여기에 생각[想]이 있다면 곧 반야바라밀을 멀리 떠나게 되고 말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훌륭하고도 훌륭하구나. 
수보리여, 
이름이 있는 사람은 곧 생각이 있는 사람이다. 
생각이 있음으로써 그 생각 때문에 집착하게 되느니라.”
수보리가 다시 부처님께 아뢰었다.
“바라밀에 미치기는 어려운 일입니다. 
천중천이시여, 
마음이 안온하여야 집착을 끊을 수 있을 것입니다.”
사리불이 수보리에게 물었다.
“어떤 것을 집착이라 합니까?”
수보리가 답하였다.
“색이 공(空)임을 아는 것을 집착이라 말하고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이 공이라는 사실을 아는 것을 집착이라 말합니다. 
과거의 법에서 그것이 과거의 법임을 아는 것을 집착이라 하고, 
미래의 법에서 그것이 미래의 법임을 아는 것을 집착이라 하며, 
현재의 법에서 그것이 현재의 법임을 아는 것을 집착이라 합니다. 
법을 안다는 것은 큰 공덕을 얻기 위하여 발심한 보살이 여기에 해당되며 이것이 곧 집착이 되는 것입니다.”
석제환인이 수보리에게 물었다.
“어찌하여 그것을 집착이라 합니까?”
이에 수보리는 구익이 이 알음알이를 지니고 있음을 마음 속으로 알고, 
마음으로 보시하여 아뇩다라삼야삼보를 지어주겠다고 생각하고 말하였다.
“마음이란 본래 청정한 것이지만 능히 짓는 것이 있을 수도 있다. 
선남자ㆍ선여인들이여, 
그 보살이라 하는 사람들은 사람들에게 권유하고 사람들을 가르쳐서 아뇩다라삼야삼보를 위하여 바른 법의 설법을 하는 사람들이다. 
그리하여 자신도 자기 몸에서 잃어버리는 것이 없고 부처가 될 종자(種子)에 있어서는 만들어지는 것이 있게 되는 것이다. 
이 선남자ㆍ선여인은 모든 집착을 떠남으로써 그 이전의 마음의 근원을 버리게 되는 것이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훌륭하고도 훌륭하구나. 
수보리여, 
보살마하살들에게 진리의 근원을 알게 하여 집착하는 일을 깨닫게 하는구나. 
또 수보리야, 
집착에도 매우 깊고 미묘한 것이 있다. 
내가 지금부터 그것을 말하겠다. 
밝게 잘 듣게 되면 상ㆍ중ㆍ하의 말이 모두 훌륭한 말이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원컨대 즐겁게 듣고자 하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약 선남자ㆍ선여인이 달살아갈아라하삼야삼불에 대하여 잊지 못하고 생각을 짓고자 한다면 그 생각하는 바에 따라가게 된다. 
그런 까닭에 이것이 집착이 되는 것이다. 
과거와 미래와 지금 현존하시는 부처님께서는 천중천이시며 남아 있는 번뇌가 없는 법의 세계에서 대신 이들 보살들을 권조(勸助)하신다. 
이것이 진실한 권조가 되는 것이다. 
아뇩다라삼야삼보는 법의 세계에서 법이 없는 경계이기 때문에 여기에는 과거ㆍ미래ㆍ현재의 구별이 없다. 
그런 까닭에 작용하는 것이 있을 수 없고 상상(想像)하는 것이 있을 수 없으며, 
인연을 지을 수도 없으며, 
보고들을 수도 없고 알 수도 없는 존재인 것이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그 근본은 매우 깊고 청정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본래 청정하니라.”
수보리가 말하였다.
“지금 스스로 반야바라밀에 귀의하게 되었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법이란 짓는 것이 없는 것인[無作] 까닭에 아유삼불을 이룩할 수 있는 것이니라.”
수보리가 말하였다.
“모든 법의 진실은 아유삼불도 짓는 일이 없습니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두 가지 법이란 없느니라. 
작용하는 것이 본래 청정하기 때문에 법은 오직 하나라고 말하는 것이다. 
그 청정이라 하는 것은 모든 경우에 있어서도 어떠한 작용도 없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다.
“그런 까닭에 모든 집착을 떠난다는 것은 진리의 근원도 버리는 것이 된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을 환하게 깨닫기는 어렵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렇다. 
아유삼불의 경지를 얻은 사람도 없느니라.”
수보리가 말하였다.
“천중천이시여, 
반야바라밀은 헤아릴 수 없는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렇다. 
수보리야, 
반야바라밀이란 마음으로 아는 것이 아니니라.”
수보리가 말하였다.
“천중천이시여, 
짓는 것이 없다는 것이 반야바라밀입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짓는 것이 없다. 
그런 까닭에 집착하는 것도 없느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보살은 마땅히 어떻게 하여야만 반야바라밀을 행하게 됩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을 생각하지 아니하는 행위가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일이며, 
색(色)에서 색에 만족하지 아니하는 것이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일이며 색에 만족하지 아니하고 색을 색이 아니라고 하는 것이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일이며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에 만족하지 않는 것이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일이 된다.”
수보리가 다시 부처님께 아뢰었다.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천중천이시여, 
집착하는 세계에서 집착하는 곳이 없는 것, 
이것이야말로 진실로 집착하지 아니하는 일입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색에 집착하지 아니하는 것이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일이며,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에 집착하지 아니하는 것이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일이며, 
이것이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하는 일이 된다. 
색에 집착하지 아니하고 통상과 사상과 생사와 식에 집착하지 아니하면, 
수다원ㆍ사다함ㆍ아나함ㆍ아라한ㆍ벽지불의 도에도 역시 집착하지 아니하게 된다. 
그 까닭은 이미 모든 집착의 세계를 넘어섰기 때문이며 다시 살운야의 테두리에서도 벗어났기 때문이다. 
이것이 반야바라밀에 해당하는 것이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설법하신 법은 그 담고 있는 뜻이 매우 깊어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천중천(天中天 :
 부처님)이시여, 
만약 설하신 내용이 불어나지 않는다면 설하시지 아니한 법도 줄어들지 아니할 것입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렇다. 
그와 같으니라. 
수보리여, 
비유하면 달살아갈이 목숨이 다하도록 공(空)을 칭송한다 하더라도 그 공은 불어나지 아니하며, 
공을 칭송하지 아니한다 하더라도 그 공은 줄어들지 아니하는 것과 같다. 
비유하면 허깨비와 같은 사람의 존재를 칭송한다 하더라도 불어나지 아니하며, 
칭송하지 아니한다 하더라도 줄어들지 아니하는 것과도 같다. 
착한 일을 들어도 기뻐하지 아니하고 악한 일을 들어도 근심하지 아니한다. 
수보리야, 
이와 같이 법에 있어서도 사람마다 각기 읊조리고 외우고 배우는 법이 있지만 그것도 역시 불어나지도 아니하고 줄어들지도 아니한다.”
수보리가 부처님께 아뢰었다.
“보살마하살은 고행으로 반야바라밀을 수행하는 것을 몹시 싫어합니다. 
만약 반야바라밀을 지키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은 게으르지도 아니하고, 
무서워하지도 아니하고 흔들리지도 아니하며 되돌아가지도 아니할 것입니다. 
무엇으로써 반야바라밀을 지키게 됩니까? 
공(空)으로써 지키게 됩니다. 
그런 까닭에 아마도 모든 사람들이 보살마하살을 위하여 절을 하며 갑옷을 입혀주고 허공과 함께 싸우게 됩니다. 
즉 모든 사람들을 위하는 까닭에 갑옷을 입는 것이며 모든 사람들을 위하는 까닭에 허공을 거론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보살마하살의 지극히 큰 용맹심입니다. 
천중천이시여, 
허공의 법을 작용시키는 까닭에 스스로 아뇩다라삼야삼보를 이룩하고 아유삼불을 이룰 수 있는 것입니다. 
이와 다른 비구가 있더라도 마음 속으로 이를 생각한다면 당장 스스로 반야바라밀에 귀의하게 될 것이며, 
생기는 곳도 없고 멸하는 곳도 없는 법을 위하게 될 것입니다.”
그때 석제환인이 수보리에게 말하였다.
“보살이 반야바라밀을 따른다면, 
가르침[敎]이란 어떤 가르침을 따르는 것입니까?”
수보리가 말하였다.
“공(空)의 가르침을 따르게 된다.”
석제환인이 말하였다.
“어떤 것이 공을 따르는 가르침입니까?”
수보리가 말하였다.
“혹 적멸하게 고요하기를 바란다면 이것이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아는 일에 해당한다.”
석제환인은 부처님께 아뢰었다.
“부처님이시여, 
혹 반야바라밀을 받아들이는 사람이라면 우리들은 그를 얼마간의 간격을 두고 수호하여야 합니까?”
수보리가 석제환인에게 말하였다.
“구익이여, 
그대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능히 법을 밝힐 수 있다면 마땅히 보호해야 할 사람인가, 
아닌가? 
그런데도 이를 보호하겠다고 말하는가?”
석제환인이 말하였다.
“아닙니다.”
수보리가 말하였다.
“반야바라밀의 가르침을 따라 작위(作爲)하는 사람이 이 행위로써 보호를 얻게 되면, 
사람이건 사람 아닌 귀신이건 끝내 그들 마음대로 되지 아니할 것이다.”
수보리가 말하였다.
“만약 보살마하살이 공(空)을 수호한다면 이미 반야바라밀을 따르는 사람에 해당한다. 
구익이여, 
그대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이 사람을 소리에 메아리가 따르듯 보호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
석제환인이 말하였다.
“할 수 없습니다.”
수보리가 말하였다.
“그렇다. 
구익이여, 
보살마하살이 반야바라밀을 행한다면 그 법도 메아리와 같다. 
이것을 앎으로써 또한 다시 다른 상념(想念)이 없어진다. 
다른 상념이 없어짐으로써 반야바라밀을 행하게 된다. 
그리하여 부처님의 위신력과 신통력을 작용시켜 삼천대천세계의 국토 안에 사는 사람과, 
사천왕과 모든 석제환인과 범천과, 
모든 높은 하늘이 부처님 계신 곳을 찾아와 부처님 앞에서 부처님께 절하고 부처님 주위를 세 바퀴 돈 뒤 각기 한편에 머물고, 
모든 하늘 세계의 천왕ㆍ석제환인ㆍ범천왕도 모두 부처님의 위신력과 신통력을 이어받아 모든 일천 부처님의 이름을 염송하며 모두 석가문이라 이름하고, 
그곳에 있는 비구들은 모두 수보리라 이름하고 반야바라밀을 묻는 사람은 모두 석제환인처럼 할 것이다.”



-----------------------
1)
1) 무여열반(無餘涅槃)을 말한다. 
범어 nirupadhiśeṣa-nirvāṇa. 
4종열반(種涅槃)의 하나이다. 
신역(新譯)에서 무여의열반(無餘依涅槃)이라 한다. 
생사(生死)의 괴로움을 여읜 진여(眞如)로서 번뇌장(煩惱障)을 끊고 얻는 것이다. 
이숙(異熟)의 고과(苦果)인 현재의 신체(身體)까지 멸해 더 이상 의지할 곳이 없어진 곳에 나타나는 것이므로, 
이같이 이른다. 
생존의 근원을 남기지 않은 열반. 
신체에 관해서도 남김이 없는 열반. 
유여열반(有餘涅槃)에 상대되는 명칭(名稱)이다.
2)
2) 4도(倒)이다. 
네 가지 전도(顚倒)된 견해(見解). 
① 범부의 4도(倒). 
생사계(生死界)에 대하여 그것이 무상(無常)ㆍ무락(無樂)ㆍ무아(無我)ㆍ무정(無淨)인 것을 상(常)ㆍ락(樂)ㆍ아(我)ㆍ정(淨)이라고 망령되이 집착하는 것. 
② 2승(乘)의 4도(倒). 
열반계(涅槃界)가 상(常)ㆍ락(樂)ㆍ아(我)ㆍ정(淨)인 것을 무상(無常)ㆍ무락(無樂)ㆍ무아(無我)ㆍ무정(無淨)이라고 망령되이 집착하는 것. 
범부의 4도(倒)를 유위(有爲)의 4도(倒)라 하며, 
이 망견(妄見)에서 벗어난 것을 2승(乘)이라 하고, 
2승(乘)의 4도(倒)는 무위(無爲)의 4도(倒)라 하여 두 가지 잘못된 견해(見解)를 여읜 것을 보살이라 한다.
3)
3) 5역죄(逆罪)를 말한다. 
즉 무간지옥(無間地獄)에 떨어지는 가장 무거운 죄이다. 
즉 어머니를 살해하는 것, 
아버지를 살해하는 것, 
아라한(阿羅漢)을 살해하는 것, 
부처님의 신체에 상처를 입혀 피가 나오게 하는 것[出血佛身], 
교단의 화합을 파괴하고 분열시키는 것[破和合僧團]이다.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pt op tr] fr

_M#]




○ 음악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us0fl--Richard Antony - La Mamma.lrc












◆vbtn1868
◈Lab value 불기2564/09/14


○ 2019_1004_140920_can_ct18.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Gustav-Klimt-portrait-of-helene-klimt.jpg!HD

[#M_▶더보기|◀접기|


Artist: Gustav-Klimt

Gustav Klimt ( 1862 년 7 월 14 일 - 1918 년 2 월 6 일)는
오스트리아의 상징 주의자이자 비엔나 탈퇴 운동의 가장 저명한 회원 중 한 사람입니다.
클림트의 주요 주제는 여성의 몸이었고 그의 작품은 솔직한 에로티시즘으로 특징 지워진다.
금박을 포함하는 "황금기"의 그림으로 새로운 성공을 이루었습니다. [...이하 줄임...]
from https://en.wikipedia.org/wiki/Gustav_Klimt
Title : portrait-of-helene-klimt.jpg!HD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Rose,_Abraham_Darby,_バラ,_アブラハム_ダービー,_(15405158604)

[#M_▶더보기|◀접기|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Rose,_Abraham_Darby,_バラ,_アブラハム_ダービー,_(15405158604).jpg
Rose, Abraham Darby, 
Author T.Kiya from Japan
● [pt op tr] fr
_M#]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cgnew

[#M_▶더보기|◀접기|
English: McGreer Hall, Bishop's University
Author BUwiki2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Maldives ,Addu City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 음악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us0fl--Barbara - Le Verger De Lorraine.lrc

Barbara - Le Verger De Lorraine 



♥단상♥참회의 중요성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9/2564-09-14-k0005-003.html#1868
sfed--마하반야초경_K0005_T0226.txt ☞제3권
sfd8--불교단상_2564_09.txt ☞◆vbtn1868
불기2564-09-14
θθ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불기2564-09-14_마하반야초경_003
 불교 밖의 교. 인도에서는 95종의 외도, 중국에서는 구류백가(九流百家). 지금에는 예수교ㆍ천주교ㆍ회회교 등.

답 후보
● 외교(外敎)
요익유정계(饒益有情戒)
욕계삼욕(欲界三欲)
욕여의족(欲如意足)

용수(龍樹)
우두마두(牛頭馬頭)
우바새계(優婆塞戒)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Richard Antony - La Mamma
Charles Aznavour - Me Voil0 Seul
Salvatore Adamo - Le Taureau Et L'enfant
Sylvie Vartan - 2'35 De Bonheur
Veronique Sanson - Est Different
Barbara - Le Verger De Lorrain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Luang Pu Sodh Candasaro
[san-chn] paryavasthānīya 相應, 障礙, 隨, 順
[san-eng] nārasiṁhī $ 범어 pertaining to ṇarasimha
[pali-chn] dosa 恚, 瞋
[pal-eng]
[Eng-Ch-Eng] 太子 (kumararaja) (1) "Crown prince"--an epithet of buddhas and Man~ju/sri^. (2) The founder of a school.
[Muller-jpn-Eng] 教相門 キョウソウモン aspect of the theoretical study of the Buddha's teaching
[Glossary_of_Buddhism-Eng] JAMBUDVIPA☞
See also: Saha World.

[fra-eng] texas $ 불어 Texas


■ 다라니퀴즈

자비주 24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42 번째는?




24
이 때에
관세음보살께서
이 주문을 설하시고 나니
대지(大地)는
여섯가지로 진동하고
하늘에서 보배의 꽃이 흩뿌려져 내려,
10방(十方)의 모든 부처님께서는
다 환희하시고
하늘의 마군이와 외도들은
놀라고 두려워 하여
털이 곤두섰으며
이 법회에
모인 일체 대중은 도과(道果)를 각기 증득하였으니
혹 수다원과(湏陁洹果)를 얻었으며,
혹 사다함과(斯陁含果)를 얻었으며,
혹 아나함과(阿那含果)를 얻었으며,
혹 아라한과(阿羅漢果)를 얻었으며,
혹은 환희지(歡喜地)를 얻었으며,
혹은 이지(二地)· 삼지(三地)
내지 제 십지(第十地)인 법운지(法雲地)를 얻었으며,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귀신과
여러 종류 중생이
다 보리심을 일으켰다.
● 살바살바 薩婆薩婆<二十四> sar va sar va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42
보미바라 미자야
部弭鉢囉<二合>尾左野<四十二>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258일째]
불자여시차제 $ 129▲此又不可說不可說為 一 ● 不可說不可說轉。」 ○□□□□,勝,普,諸,諸

□□□□□□,乃至過百萬阿僧祇世界,最後世界一劫,於勝蓮華世界賢勝佛剎為一日一夜,
普賢菩薩及 諸同行大菩薩等充滿其中。」  => 諸菩薩住處品第三十二
□□□□□□,내지과백만아승기세계,최후세계일겁,어승련화세계현승불찰위일일일야,
보현보살급제동행대보살등충만기중。」  제보살주처품제삼십이

불자들이여, 이렇게 차례차례로
백만 아승기 세계를 지나가서 나중 세계의 한 겁은
현승불(賢勝佛)이 계시는 승련화(勝蓮華) 세계의 하루 낮 하룻밤인데,
보현보살과 함께 수행하는 큰 보살들이 그 가운데 가득하였느니라.” => 32. 제보살주처품(諸菩薩住處品)

[259째]
이시 $ 001▲● 십 ○□□,白,諸,阿,世

□□,心王菩薩 白佛言:「世尊!
諸佛如來 演說 阿僧祇 無量、無邊、無等、不可數、不可稱、不可思、不可量、不可說、不可說不可說。
□□, 심왕보살 백불언:「세존!
제불여래 연설 아승기, 무량、무변、무등、불가수、불가칭、불가사、 불가량、불가설、불가설불가설。

그 때 심왕(心王)보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여러 부처님 여래께서는 아승기고, 한량이 없고, 그지없고, 같을 이 없고, 셀 수 없고, 일컬을 수 없고,
생각할 수 없고, 헤아릴 수 없고, 말할 수 없고, 말할 수 없이 말할 수 없음을
연설하시나이다.





●K0021_T0250.txt★ ∴≪A마하반야바라밀대명주경≫_≪K0021≫_≪T0250≫
●K0005_T0226.txt★ ∴≪A마하반야초경≫_≪K0005≫_≪T0226≫
●K0900_T1427.txt★ ∴≪A마하승기비구니계본≫_≪K0900≫_≪T1427≫

법수_암기방안


129 (RING finger ) 약지
1 빗장뼈[=쇄골]
24 집게(INDEX finger~검지 식지)
42 발 옆면 foot side
● [pt op tr] fr
_M#]




○ [pt op tr]
● 마하반야초경_K0005_T0226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마하반야초경』 ♣0005-003♧
[관련키워드]
제3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4-09-14_마하반야초경-K0005-003
https://buddhism007.tistory.com/17604
sfed--마하반야초경_K0005_T0226.txt ☞제3권
sfd8--불교단상_2564_09.txt ☞◆vbtn1868
불기2564-09-14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9/2564-09-14-k0005-003.html
htmback--불기2564-09-14_마하반야초경_K0005_T0226-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