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0년 9월 16일 수요일

불기2564-09-16_중경목록-K1054-001


『중경목록』
K1054
T2146

제1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중경목록』 ♣1054-001♧





제1권





♥아래 부분은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 2019_1105_131452_can_exc_s12.jpg


○ 2019_1106_132422_nik_CT33.jpg


○ 2019_1106_131026_can_ct13.jpg


○ 2019_1106_091933_can_BW21_s12.jpg


○ 2019_1201_163120_can_BW17.jpg


○ 2020_0430_133712_can_ct38.jpg


○ 2019_1104_121848_nik_ar38.jpg


○ 2019_1104_171732_nik_ab33.jpg


○ 2019_1105_165102_can_CT38_s12.jpg


○ 2019_1106_115050_can_ct18.jpg


○ 2019_1104_172903_nik_ct8.jpg


○ 2020_0211_141817_can_Ab31_s12.jpg


○ 2019_1106_105751_nik_Ab35.jpg


○ 2019_1106_152229_nik_CT38_s12.jpg


○ 2019_1106_130952_can_ar31.jpg


○ 2019_1106_105946_nik_fix.jpg


○ 2019_1105_155445_nik_ct18.jpg


○ 2019_1106_135548_can_ar11_s12.jpg


○ 2019_1106_135520_can_ar38.jpg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메뉴검색이전으로
전체메뉴
불교학술원

경명순 ㅣ 경번호순 ㅣ 분류체계별 ㅣ 주제별
한국불교전서

서명순 ㅣ 저자순 ㅣ 권번호순
신집성문헌

서명순 ㅣ 특성별 ㅣ 판종별 ㅣ 주제별 ㅣ 발행년 ㅣ 발행자 ㅣ 소장자
변상도

서명순 ㅣ 내용분류 ㅣ 발행년 ㅣ 발행자
근대불교잡지

서명순 ㅣ 발행년
근대불교문헌

백용성대종사총서
통합대장경
경명순
경번호순
분류체계별
주제별
衆經目錄卷第一
K1054
본문
이미지
서지
해제
확대축소
원문 번역문
중경목록(衆經目錄) 제1권

법경(法經) 등 지음
황정주 번역

1. 
대승수다라장록(大乘修多羅藏錄) ① [여섯 부분으로 나눔] 합 645부(部) 1,478권.

1) 중경일역(衆經一譯) 합 133부 421권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60권[진(晉)나라 의희(義熙) 연간(405~418)에 사문(沙門) 불타발타라(佛陁跋陁羅)와 법업(法業) 등이 양주(揚州)에서 함께 번역하였다.]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40권[북량(北涼) 저거몽손(沮渠蒙遜) 때의 사문 담무참(曇無讖)과 혜숭(慧嵩) 등이 고장(姑藏)에서 함께 번역하였다.]
대방등대집경(大方等大集經) 27권[북량 때 담무참이 고장에서 번역하였다.]
보살영락경(菩薩瓔珞經) 14권[전진(前秦) 건원(建元) 연간(365~385)에 사문 축불념(竺佛念)이 장안(長安)에서 번역하였다.]
보살견실삼매경(菩薩見實三昧經) 14권[제(齊)나라 천통(天統) 연간(565~569)에 사문 야사(耶舍)가 상주(相州)에서 번역하였다.]
불명경(佛名經) 12권[후위(後魏) 때 유지(留支)가 낙양(洛陽)에서 번역하였다.]
월등삼매경(月燈三昧經) 11권[제나라 천통 연간에 야사와 법지(法智)가 상주에서 함께 번역하였다.]
화수경(華手經) 10권[후진(後秦) 홍시(弘始) 연간(399~416)에 사문 나집(羅什)이 장안에서 번역하였다.]
십주단결경(十住斷結經) 10권[전진 건원 연간에 축불념과 도안(道安)이 함께 번역하였다.]
한거경(閑居經) 10권[진(晉)나라 때 사문 축법호(竺法護)가 번역하였다.]
관불삼매경(觀佛三昧經) 8권[송(宋) 영초(永初) 연간(420~422)에 불타발타라가 양주에서 번역하였다.]
금광명경(金光明經) 7권[앞 4권은 북량의 담무참이 번역하였고, 
뒤의 3권은 진(陳)나라 때 진제(眞諦)가 번역하였다.]
해의경(海意經) 7권[송나라 명제(明帝) 때 사문 법권(法眷)이 광주(廣州)에서 번역하였다.]
법집경(法集經) 6권[후위(後魏) 때 사문 보리류지(菩提留支)가 낙양에서 번역하였다.]
보살처태경(菩薩處胎經) 5권[전진 때 축불념이 장안에서 번역하였다.]
대비경(大悲經) 5권[제(齊)나라 천통(天統) 연간(565~569)에 야사와 법지가 상주에서 함께 번역하였다.]
심밀해탈경(深密解脫經) 5권[후위 때 유지가 낙양에서 번역하였다.]
염불삼매경(念佛三昧經) 5권[혹은 6권으로 되어 있기도 하며, 
송나라 대명(大明) 연간(457~464)에 사문 공덕직(功德直)이 양주(楊州)에서 번역하였다.]
보정경(寶頂經) 5권[송나라 명제 때 사문 법권이 광주에서 번역하였다.]
대방등무상경(大方等無相經) 5권[일명 대운경(大雲經)이라고도 하며, 
전진 때 축불념이 장안에서 번역하였다.]
여래은지부사의경(如來恩智不思議經) 5권[송나라 명제 때 사문 법권이 광주에서 번역하였다.]
밀적역사금강경(密迹力士金剛經) 5권[진(晉)나라 태강(太康) 연간(280~289)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대방등다라니경(大方等陁羅尼經) 4권[법중(法衆)이 고창군(高昌郡)에서 번역하였다.]
앙굴마라경(央掘魔羅經) 4권[송나라 원가(元嘉) 연간(424~453)에 사문 구나발타라(求那跋陁羅)가 양주에서 번역하였다.]
승가타경(僧伽吒經) 4권[후위 때 월파수나(月婆首那)가 번역하였다.]
칭양제불공덕경(稱揚諸佛功德經) 3권[후진(後秦) 홍시(弘始) 연간(399~416)에 나집이 번역하였다.]
등목보살소문삼매경(等目菩薩所問三昧經) 3권[또는 2권으로 되어 있기도 하며, 
진(晉)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보살장경(菩薩藏經) 3권[후진 홍시 연간에 나집이 번역하였다.]
잡주경(雜呪經) 3권[진(晉)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명도오십교계경(明度五十校計經) 3권[후한 때 안식국(安息國)의 사문 안세고(安世高)가 번역하였다.]
정도삼매경(淨度三昧經) 3권[진(晉)나라 때 사문 보운(寶雲)이 양주에서 번역하였다.]
영락본업경(瓔珞本業經) 2권[전진 때 축불념이 번역하였다.]
여래장엄지혜광명입일체제불경계경(如來莊嚴智慧光明入一切諸佛境界經) 2권[후위 때 보리류지가 번역하였다.]
중음경(中陰經) 2권[전진 때 축불념이 장안에서 번역하였다.]
대법고경(大法鼓經) 2권[송나라 때 사문 구나발마(求那跋摩)가 양주에서 번역하였다.]
제불요집경(諸佛要集經) 2권[진(晉)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문수사리불토엄정경(文殊師利佛土嚴淨經) 2권[진(晉)나라 영희(永熙) 연간(290)에 축법호가 낙양에서 번역하였다.]
유수보살무상청정분위경(濡首菩薩無上淸淨分衛經) 2권[일명 『결료제법여환화삼매경(決了諸法如幻化三昧經)』이라고도 하며, 
상공(翔公)이 남해(南海)에서 번역하였다.]
패본경(孛本經) 2권[후한 때 사문 지겸(支謙)이 번역하였다.]
대승동성경(大乘同性經) 2권[후주(後周) 천화(天和) 연간(566~572)에 사문 사나굴다(闍那崛多)와 승안(僧安)이 함께 번역하였다.]
제법무행경(諸法無行經) 2권[후진(後秦) 홍시 연간 나집(羅什)이 번역하였다.]
아촉불국경(阿閦佛國經) 2권[일명 『불찰보살학성경(佛刹菩薩學成經)』이라고도 하며, 
혹은 1권으로 되어 있기도 하다. 
후한 건화(建和) 연간(147~149)에 지겸이 낙양에서 번역하였다.]
반주삼매경(般舟三昧經) 2권[진(晉)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가섭경(迦葉經) 2권[후위 때 월파수나가 번역하였다.]
무상의경(無上依經) 2권[진(陳)나라 때 사문 진제(眞諦)가 광주에서 번역하였다.]
미증유인연경(未曾有因緣經) 2권[사문 담경(曇京)이 번역하였다.]
맹시경(猛施經) 1권[일명 『맹시도지경(猛施道地經)』이라고도 하며, 
진(晉)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태자수대나경(太子須大拏經) 1권[진(晉)나라 때 사문 법견(法堅)이 번역하였다.]
태자모백경(太子慕魄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금색왕경(金色王經) 1권[후위 때 유지(留支)가 번역하였다.]
무우왕경(無憂王經) 1권[송나라 원가 연간에 구나발타라가 번역하였다.]
마하마야경(摩訶摩耶經) 1권[사문 담경(曇景)이 번역하였다.]
아사세녀경(阿闍貰女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대정법문경(大淨法門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승만사자후일승대방편경(勝鬘師子吼一乘大方便經) 1권[송나라 원가 연간에 구나발타라가 양주에서 번역하였다.]
수마제보살경(須摩提菩薩經) 1권[일명 『수마제경(須摩提經)』이라고도 하며, 
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금익장자자경(金益長者子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범녀수의경(梵女首意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차마바제수기경(差摩婆帝授記經) 1권[후위 때 유지가 번역하였다.]
독증자서삼매경(獨證自誓三昧經) 1권[일명 『여래자서삼매경(如來自誓三昧經)』이라고도 하며, 
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월명보살경(月明菩薩經) 1권[일명 『월명동자경(月明童子經)』이라고도 하며, 
오(吳)나라 황무 연간에 지겸이 번역하였다.]
멸시방명경(滅十方冥經) 1권[진나라 원희 연간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이구개경(離垢蓋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보살십주경(菩薩十住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심명경(心明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혜명경(慧明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광명삼매경(光明三昧經) 1권[후한 때 지참(支讖)이 번역하였다.]
월등삼매경(月燈三昧經) 1권[일명 『문수사리보살십사행(文殊師利菩薩十事行)』, 
또는 『체혜삼매경(逮慧三昧經)』이라고도 하며, 
선공(先公)이 번역하였다.]
엄정정경(嚴淨定經) 1권[일명 『서세경(序世經)』이라고도 하며, 
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부사의광보살소설경(不思議光菩薩所說經) 1권[일명 『무사의광해동보살경(無思議光孩童菩薩經)』이라고도 하며, 
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존승보살입무량문다라니경(尊勝菩薩入無量門陁羅尼經) 1권[제(齊)나라 때 만천의(萬天懿)가 상주(相州)에서 번역하였다.]
문수사리문보살서경(文殊師利問菩薩署經) 1권[일명 『서경(署經)』이라고도 하며, 
후한 영제(靈帝) 때 지참이 번역하였다.]
불설덕광태자경(佛說德光太子經) 1권[일명 『뇌타문광덕태자경(賴吒問光德太子經)』이라고도 하며, 
진(晉)나라 태시(太始) 연간(265~274)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환사인현경(幻士仁賢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보시녀경(寶施女經) 1권[일명 『수마제법률삼매경(須摩提法律三昧經)』이라고도 하며, 
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삼밀저야경(三密底耶經) 1권[송나라 명제 때 사문 법권이 광주(廣州)에서 번역하였다.]
시등공덕경(施燈功德經) 1권[일명 『연등경(然燈經)』이라고도 하며, 
제나라 때 야사가 번역하였다.]
보살가색욕경(菩薩訶色欲經) 1권[후진(後秦) 홍시 연간에 나집이 번역하였다.]
인본욕생경(人本欲生經) 1권[후한 환제(桓帝) 때 안세고가 번역하였다.]
인소종래경(人所從來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부증불감경(不增不減經) 1권[후위 때 유지(留支)가 번역하였다.]
중우경(衆祐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불어경(佛語經) 1권[후위 때 유지가 번역하였다.]
무자보협경(無字寶篋經) 1권[후위 때 유지(留支)가 번역하였다.]
여래사자후경(如來師子吼經) 1권[후위 때 보리류지와 불타선다가 함께 번역하였다.]
삼전월명경(三轉月明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십법경(十法經) 1권[양(梁)나라 보통(普通) 연간(520~527)에 사문 승가바라(僧伽婆羅)가 양주(陽州)에서 번역하였다.]
십등장경(十等藏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불필정입인경(不必定入印經) 1권[후위 때 유지가 번역하였다.]
마역경(魔逆經) 1권[진(晉)나라 태강(太康) 연간(280~289)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제제방등학경(濟諸方等學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보살행오십연신경(菩薩行五十緣身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내장백보경(內藏百寶經) 1권[후한 영제(靈帝) 때 지참이 번역하였다.]
유체보살경(惟逮菩薩經) 1권[진(晉)나라 혜제(惠帝)때 사문 백법조(帛法祖)가 번역하였다.]
미륵보살소문본원경(彌勒菩薩所問本願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문수사리순행경(文殊師利巡行經) 1권[후위 때 유지가 번역하였다.]
보수동경(普首童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문수사리설반야바라밀경(文殊師利說般若波羅蜜經) 1권[양(梁)나라 천감(天監) 연간(502~519)에 사문 만다라(曼陀羅)가 번역하였다.]
정육바라밀경(淨六波羅蜜經) 1권[진(晉)나라 때 불타발타라가 번역하였다.]
유일설반야경(遺日說般若經) 1권[후한 때 지참이 번역하였다.]
연도속업경(演道俗業經) 1권[진나라 때 사문 법견(法堅)이 번역하였다.]
결도속경(決道俗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보살생지경(菩薩生地經) 1권[일명 『차마갈경(差摩竭經)』이라고도 하며, 
오(吳)나라 황무(黃武) 연간(222~229)에 지겸이 번역하였다.]
보살도수경(菩薩道樹經) 1권[일명 『사가매경(私呵昧經)』, 
또는 『사가말경(私呵末經)』, 
또는 『도수삼매경(道樹三昧經)』이라고도 하며, 
오나라 때 지겸이 번역하였다.]
도일체제불경계지엄경(度一切諸佛境界智嚴經) 1권[양나라 천감 연간에 만다라선(曼陁羅仙)과 승가바라(僧伽婆羅)가 양주(陽州)에서 함께 번역하였다.]
조명삼매경(照明三昧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보망경(寶網經) 1권[일명 『보망동자경(寶網童子經)』이라고도 하며, 
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무량의경(無量義經) 1권[남제(南齊) 건원(建元) 연간(479~482)에 사문 담무가타야사(曇無伽陁耶舍)가 양주(陽州)에서 번역하였다.]
광의법문경(廣義法門經) 1권[진(陳)나라 때 진제가 진안(晉安) 불력사(佛力寺)에서 번역하였다.]
식중덕본경(殖衆德本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관미륵상생도솔천경(觀彌勒上生兜率天經) 1권[북량(北涼) 때 저거안양후(沮渠安陽侯)가 번역하였다.]
무량수관경(無量壽觀經) 1권[송나라 원가 연간에 사문 강량야사(畺良耶舍)가 양주에서 번역하였다.]
관보현보살행법경(觀普賢菩薩行法經) 1권[송나라 원가 연간에 사문 담무밀다(曇無蜜多)가 양주에서 번역하였다.]
관약왕약상이보살경(觀藥王藥上二菩薩經) 1권[송나라 원가 연간에 강량야사가 번역하였다.]
관세음관경(觀世音觀經) 1권[저거안양후가 고창(高昌)에서 번역하였다.]
청관세음소복독해다라니경(請觀世音消伏毒害陁羅尼經) 1권[송나라 때 외국(外國) 상선(商船)의 선주(船主)인 축난제(竺難提)가 번역하였다.]
관세음참회제죄주경(觀世音懺悔除罪呪經) 1권[남제(南齊) 영명(永明) 연간(483~493)에 사문 법의(法意)가 번역하였다.]
금강상미다라니경(金剛上味陁羅尼經) 1권[후위 때 불타선다가 낙양에서 번역하였다.]
무애제지법문경(無崖際持法門經) 1권[진(晉)나라 때 법견(法堅)이 번역하였다.]
제일의법승경(第一義法勝經) 1권[후위 흥화(興和) 연간(539~542)에 유지가 번역하였다.]
정공경경(正恭敬經) 1권[일명 『불설위덕다라니중설(佛說威德陁羅尼中說)』이라고도 하며, 
후위 때 불타선다가 번역하였다.]
녹모경(鹿母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녹자경(鹿子經) 1권[오나라 건흥 연간에 지겸이 번역하였다.]
제공재환경(除恐灾患經) 1권[위나라 때 사문 백연(白延)이 번역하였다.]
법몰진경(法沒盡經) 1권[일명 『공적보살소문경(空寂菩薩所問經)』이라고도 하며, 
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팔길상경(八吉祥經) 1권[송나라 원가 연간에 구나발타라가 형주(荊州)에서 번역하였다.]
소법몰진경(小法沒盡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십이문대방등경(十二門大方等經) 1권[오나라 황무 연간에 지겸이 번역하였다.]
온실세욕중승경(溫室洗浴衆僧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사불가득경(四不可得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제덕복전경(諸德福田經) 1권[일명 『복전경(福田經)』이라고도 하며, 
진(晉)나라 때 사문 법거(法炬)가 법립(法立)과 함께 번역하였다.]
과거불분위경(過去佛分衛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출가공덕경(出家功德經) 1권[오나라 때 지겸이 번역하였다.]

이상 133경은 원본(原本)에 대해 유일한 번역본이다. 
그 사이에 권(卷)이나 품별(品別)로 나누어 단행본으로 유행되지 않은 것은 아니나, 
원본에 있어서는 대체적으로 같고 차이가 없기 때문에 마땅히 이것만을 정록(定錄)에 넣었다.

2) 중경이역(衆經異譯) 합 195부 530권
[여기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대체적으로 원본은 같으나 번역이 다른 것(大本異譯)이며, 
또 하나는 별품으로서 번역이 다른 것(別品異譯)이다.]

비화경(悲華經) 10권[북량 저거몽손 때 담무참이 고장에서 번역하였다.]
대비분타리경(大悲分陁利經) 8권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同本異譯].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7권[후진 홍시 연간에 나집이 번역하였다.]
정법화경(正法華經) 7권[진나라 태강 연간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능가아발다라경(楞伽阿跋多羅經) 4권[송나라 원가 연간에 구나발라(求那跋羅)가 번역하였다.]
입능가경(入楞伽經) 10권[후위 때 보리류지가 번역하였다.]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현겁경(賢劫經) 10권[일명 『현겁삼매경(賢劫三昧經)』이라고도 하며, 
혹은 7권으로 되어 있기도 하다. 
진나라 원강 연간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신현겁경(新賢劫經) 7권[후진 홍시 연간에 나집이 번역하였다.]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보살행방편경계신통변화경(菩薩行方便境界神通變化經) 3권
대살차니건자경(大薩遮尼乾子經) 8권[후위 때 보리류지가 번역하였다.]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해룡왕경(海龍王經) 4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신해룡왕경(新海龍王經) 4권[북량 때 담무참이 번역하였다.]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대수긴나라왕소문경(大樹緊那羅王所問經) 4권[후진 홍시 연간에 나집이 번역하였다.]
둔진다라소문경(屯眞陁羅所問經) 3권[또는 2권으로 되어 있기도 하다. 
후한 건녕(建寧) 연간(168~172)에 지참이 번역하였다.]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지인보살소문경(持人菩薩所問經) 3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지세경(持世經) 4권[일명 『법인경(法印經)』이라고도 하며, 
후진 홍시 연간에 나집이 번역하였다.]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홍도광현삼매경(弘道廣顯三昧經) 4권[진나라 영가 연간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아뇩달용왕경(阿耨達龍王經) 2권[일명 『아뇩청불(阿耨請佛)』이라고도 하며, 
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보초삼매경(普超三昧經) 4권[진나라 태강 연간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아사세왕경(阿闍世王經) 2권[후한 때 지참이 번역하였다.]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등집중덕삼매경(等集衆德三昧經) 2권[또는 3권으로 되어 있기도 하다. 
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집일체복덕삼매경(集一切福德三昧經) 3권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성선주의천자소문경(聖善住意天子所問經) 3권[후위 때 유지가 번역하였다.]
여환삼매경(如幻三昧經) 3권[혹은 2권으로 되어 있기도 하다. 
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수진천자경(須眞天子經) 2권[진나라 태시(太始) 연간(265~274)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수진천자경(須眞天子經) 2권[일명 『수진천자문사사경(須眞天子問四事經)』이라고도 하며, 
진나라 태시 2년(266)에 사문 담마라찰(曇摩羅刹)과 문혜(文慧) 등이 함께 번역하였다.]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무극보삼매경(無極寶三昧經) 1권[진나라 영가 연간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보여래삼매경(寶如來三昧經) 2권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혜상보살문대선권경(慧上菩薩問大善權經) 2권[진나라 태강 연간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대승방편경(大乘方便經) 2권[진나라 때 축난제(竺難提)가 번역하였다.]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문수사리현보장경(文殊師利現寶藏經) 2권[진나라 태시 연간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대방광보협경(大方廣寶篋經) 2권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분신왕문경(奮迅王問經) 2권[후위 때 유지가 번역하였다.]
자재왕경(自在王經) 2권[후진 홍시 연간에 나집이 번역하였다.]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불승도리천위모설법경(佛昇忉利天爲母說法經) 상권[하권의 일부분은 진나라 태강 연간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도신족무극변화경(道神足無極變化經) 2권[진나라 태강 연간에 안법흠(安法欽)이 번역하였다.]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초일명삼매경(超日明三昧經) 1권[진나라 태시 연간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초일명경(超日明經) 2권[진나라 때 섭승원(聶承遠)이 두 번째로 번역하였다.]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성구광명정의경(成具光明定意經) 1권[후한 영제(靈帝) 때 지요(支曜)가 번역하였다.]
성구광명정의경(成具光明定意經) 1권[후한 때 지참이 번역하였다.]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1권[후진 홍시 연간에 나집이 번역하였다.]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蜜經) 1권[후위 때 보리류지가 번역하였다.]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수뢰경(須賴經) 1권[혹은 『수뢰보살경(須賴菩薩經)』이라고도 하며, 
오나라 황무 연간에 지겸이 번역하였다.]
수뢰경(須賴經) 1권[위나라 때 백연이 번역하였다.]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대방등여래장경(大方等如來藏經) 1권[일명 『불장방등경(佛藏方等經)』이라고도 하며, 
진나라 혜제(惠帝) 때 법거와 법립이 함께 번역하였다.]
대방등여래장경(大方等如來藏經) 1권[진나라 의희 연간에 불타발타라가 번역하였다.]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무량수불경(無量壽佛經) 1권[일명 『아미타경(阿彌陁經)』이라고도 하며, 
후진 홍시 연간에 나집이 번역하였다.]
무량수경(無量壽經) 1권[송나라 원가 연간에 구나발타라 번역하였다.]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광세음대세지수결경(光世音大勢至受決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관세음보살수기경(觀世音菩薩受記經) 1권[송나라 때 사문 담무갈(曇無竭)이 양주(楊州)에서 번역하였다.]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보문품경(普門品經) 1권[진나라 태강 연간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보문품경(普門品經) 1권[진(晉)나라 때 기밀다(祇密多)가 번역하였다.]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노여인경(老女人經) 1권[오나라 때 지겸이 번역하였으며, 
일명 『노모경(老母經)』이라고도 한다.]
노모육영경(老母六英經) 1권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대방등정왕경(大方等頂王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일명 『유마힐자문경(維摩詰子問經)』이라고도 한다.]
대승정왕경(大乘頂王經) 1권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무소희망경(無所悕望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으며, 
일명 『상보경(象步經)』이라고도 한다.]
상액경(象腋經) 1권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대방등수다라경(大方等修多羅經) 1권[후위 때 유지가 번역하였다.]
전유경(轉有經) 1권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대승요혜경(大乘要慧經) 1권
미륵보살소문경(彌勒菩薩所問經) 1권[후위 때 유지가 번역하였다.]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문수사리문보리경(文殊師利問菩提經) 1권[후진 홍시 연간에 나집이 번역하였으며, 
일명 『보살무행경(菩薩無行經)』이라고도 한다.]
가야산정경(伽耶山頂經) 1권[후위 때 보리류지가 번역하였다.]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일체법고왕경(一切法高王經) 1권[후위 흥화 연간에 유지가 번역하였다.]
제법용왕경(諸法勇王經) 1권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혜인삼매경(惠印三昧經) 1권[일명 『혜삼매경(惠三昧經)』이라고도 하며, 
오나라 때 지참이 번역하였다.]
여래지인경(如來智印經) 1권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결정총경(決定摠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방불경(謗佛經) 1권[후위 때 유지가 번역하였다.]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섬자경(睒子經) 1권[또한 『효자섬경(孝子睒經)』, 
또는 『보살섬경(菩薩睒經)』, 
또는 『위불설섬경(爲佛說睒經)』이라고도 하며, 
진나라 때 법견(法堅)이 번역하였다.]
섬본경(睒本經) 1권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유광불경(乳光佛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독자경(犢子經) 1권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마하반야바라밀경(摩訶般若波羅蜜經) 30권[일명 『대품경(大品經)』이라고도 하며, 
후진 홍시 연간에 나집이 번역하였다.]
방광반야바라밀경(放光般若波羅蜜經) 20권[진(晉)나라 원강 연간에 무라차(無羅叉)와 축숙란(竺叔蘭)이 진류(陳留:
郡이름)의 창원(倉垣)에서 함께 번역하였다.]
광찬반야바라밀경(光讚般若波羅蜜經) 10권[진나라 태강(太康) 연간(280~289)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이상 3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同本異譯].

광박엄정불퇴전경(廣博嚴淨不退轉經) 6권[혹은 4권으로 되어 있기도 하며, 
송나라 원가 연간에 사문 지엄(智嚴)과 보운(寶雲)이 함께 번역하였다.]
불퇴전법륜경(不退轉法輪經) 4권
아유월치경(阿惟越致經) 3권[혹은 4권으로 되어 있기도 하며, 
진나라 태강 연간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이상 3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사익범천문경(思益梵天問經) 4권[후진 홍시 연간에 나집이 번역하였다.]
지심범천소문경(持心梵天所問經) 4권[일명 『등어제법(等御諸法)』, 
또는 『장엄불법(莊嚴佛法)』, 
혹은 10권으로 되어 있으며, 
진나라 태강 연간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승사유범천소문경(勝思惟梵天所問經) 6권

이상 3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불유일마니보경(佛遺日摩尼寶經) 1권[후한 광화(光和) 연간(178~184)에 지참이 번역하였다.]
대보적경(大寶積經) 1권
마하연보엄경(摩訶衍寶嚴經) 1권

이상 3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무외덕녀경(無畏德女經) 1권[후위 원상(元象) 연간(538~539)에 불타선다(佛陁扇多)가 번역하였다.]
불설아사세왕녀아술달보살경(佛說阿闍世王女阿術達菩薩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아사세녀무우시경(阿闍世女無憂施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이상 3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순권방편경(順權方便經) 2권[일명 『전녀신보살경(轉女身菩薩經)』이라고도 하며, 
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수권녀경(隨權女經) 2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낙영락장엄방편경(樂瓔珞莊嚴方便經) 1권[사문 법해(法海)가 번역하였다.]

이상 3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패다수하사유십이인연경(貝多樹下思惟十二因緣經) 1권[일명 『십이인연경(十二因緣經)』이라고도 하며, 
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십이인연경(十二因緣經) 1권[일명 『문성십이인연경(聞城十二因緣經)』이라고도 하며, 
후한 때 안세고가 번역하였다.]
십이인연경(十二因緣經) 1권[남제(南齊) 영명(永明) 연간(483~493)에 구나비지(求那毗地)가 번역하였다.]

이상 3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용시녀경(龍施女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용시녀경(龍施女經) 1권[오나라 황무 연간에 지겸이 번역하였다.]
용시보살본기경(龍施菩薩本起經) 1권

이상 3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공작왕신주경(孔雀王神呪經) 1권[진(晉)나라 함강(咸康) 연간(335~342)에 사문 백시리밀다(帛尸利蜜多)가 번역하였다.]
공작왕잡신주경(孔雀王雜神呪經) 1권[진나라 함강 연간에 사문 백시리밀다가 번역하였다.]
공작왕다라니경(孔雀王陁羅尼經) 2권[양(梁)나라 때 승가바라(僧伽婆羅)가 번역하였다.]

이상 3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요본생사경(了本生死經) 1권[오나라 황무 연간에 지겸이 번역하였다.]
이료본생사경(異了本生死經) 1권
도간경(稻竿經) 1권

이상 3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대방광보살십지경(大方廣菩薩十地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보살십지경(菩薩十地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장엄보리심경(莊嚴菩提心經) 1권[후진 홍시 연간에 나집이 번역하였다.]

이상 3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관허공장보살경(觀虛空藏菩薩經) 1권[송나라 원가 연간에 사문 담마밀다(曇摩蜜多)가 양주에서 번역하였다.]
허공장보살경(虛空藏菩薩經) 1권
허공장경(虛空藏經) 1권[후진 때 사문 불타야사(佛陁耶舍)가 번역하였다.]

이상 3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장자자제경(長者子制經) 1권[일명 『제경(制經)』이라고도 한다.]
서동자경(逝童子經) 1권[진(晉)나라 때 사문 지법도(支法度)가 번역하였다.]
불설보살서경(佛說菩薩逝經) 1권[일명 『서경(逝經)』이라고도 한다.]

이상 3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이구시녀경(離垢施女經) 1권[진나라 태강 연간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무구시보살분별응변경(無垢施菩薩分別應辯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득무구녀경(得無垢女經) 1권[후위 흥화(興和) 3년(541) 구담류지(瞿曇留支)가 상주(相州)에서 번역하였다.]

이상 3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유마힐경(維摩詰經) 3권[오나라 황무 연간에 지겸이 번역하였다.]
유마힐경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유마힐소설경(維摩詰所說經) 3권[후진 홍시 연간에 나집이 번역하였다.]
이유마힐경(異維摩詰經) 3권[진(晉)나라 혜제(惠帝) 때 축숙란이 번역하였다.]

이상 4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同本異譯].

미륵성불경(彌勒成佛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미륵성불경(彌勒成佛經) 1권[후진 홍시 연간에 나집이 번역하였다.]
미륵수결경(彌勒受決經) 1권[일명 『미륵하생경(彌勒下生經)』이라고도 하며, 
후진 홍시 연간에 나집이 번역하였다.]
미륵당래생경(彌勒當來生經) 1권

이상 4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월광동자경(月光童子經) 1권[일명 『월명동자경(月明童子經)』이라고도 하며, 
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신일경(申日經) 1권
신일도본경(申日兜本經) 1권
실리월경(失利越經) 1권

이상 4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욱가장자소문경(郁伽長者所問經) 1권[위(魏)나라 때 강승개(康僧鎧)가 번역하였다.]
욱가라월문보살행경(郁伽羅越問菩薩行經) 1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법경경(法鏡經) 1권[후한 때 안현(安玄)과 불조(佛調)가 함께 번역하였다.]
법경경(法鏡經) 2권[오나라 황무 연간에 지겸이 번역하였다.]

이상 4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도행반야바라밀경(道行般若波羅蜜經) 10권[후한 광화(光和) 연간(178~184)에 지참이 번역하였다.]
신도행경(新道行經) 10권[일명 『신소품경(新小品經)』이라고도 하며, 
혹은 7권으로 되어 있기도 하다. 
진나라 태시 연간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소품경(小品經) 7권[후진 홍시 연간에 나집이 번역하였다.]
명도경(明度經) 6권[일명 『대명도무극경(大明度無極經)』이라고도 하며, 
혹은 4권으로 되어 있기도 하다. 
오나라 황무 연간에 지겸이 번역하였다.]
수보리품경(須菩提品經) 7권

이상 5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전녀신경(轉女身經) 1권
무구현녀경(無垢賢女經) 1권
복중녀청경(腹中女聽經) 1권
태장경(胎藏經) 1권
불장교녀경(不莊校女經) 1권

이상 5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무량문미밀지경(無量門微密持經) 1권[오나라 황무 연간에 지겸이 번역하였다.]
출생무량문지경(出生無量門持經) 1권[진(晉)나라 원희(元熙) 연간(419~420)에 불타발타라가 번역하였다.]
아난목거니가리다라니경(阿難目佉尼訶離陁羅尼經) 1권[후위 때 불타선다가 번역하였다.]
무량문파마다라니경(無量門破魔陁羅尼經) 1권[송나라 대명(大明) 연간(457~464)에 공덕직(功德直)이 형주(荊州)에서 번역하였다.]
사리불다라니경(舍利佛陁羅尼經) 1권

이상 5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무량청정평등경(無量淸淨平等經) 2권[위나라 때 백연(白延)이 번역하였다.]
아미타경(阿彌陁經) 2권[오나라 황무 연간에 지겸이 번역하였다.]
무량수경(無量壽經) 2권[진(晉)나라 영가(永嘉)1) 연간(307~313)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신무량수경(新無量壽經) 2권[송 영초(永初) 연간(420~422)에 불타발타라가 번역하였다.]
신무량수경(新无量壽經) 2권[송나라 때 담마밀다가 기환사(祇桓寺)에서 번역하였다.]
신무량수경(新無量壽經) 2권[송나라 때 보운(寶雲)이 육합산(六合山)에서 번역하였다.]

이상 6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右六經同本異譯].

수능엄경(首楞嚴經) 2권[후한 중평(中平) 연간(184~189)에 지참이 번역하였다.]
수능엄경 2권[오나라 때 지겸이 번역하였다.]
수능엄경 2권[위나라 때 백연이 번역하였다.]
수능엄경 2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용복정경(勇伏定經) 2권[진나라 원강(元康) 연간(291~299)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수능엄경 2권[진나라 혜제 때 축숙란이 번역하였다.]
신수능엄경(新首楞嚴經) 2권[후진 홍시 연간에 나집이 번역하였다.]
촉수능엄경(蜀首楞嚴經) 2권
후출수능엄경(後出首楞嚴經) 2권

이상 9경은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앞의 162경의 여러 경은 대체적으로 원본은 같으나, 
역자가 다른 것이다.

점비일체지덕경(漸備一切智德經) 5권[이것은 『화엄경(華嚴經)』 「십지품(十地品)」이며, 
혹은 10권으로 되어 있기도 하다. 
진나라 원강 연간에 축법호가 이 부분만 따로 번역하였다.]
십주경(十住經) 4권[또한 이것도 『화엄경』 「십지품」이며, 
후진 홍시 연간에 나집이 번역하였다.]
나마가경(羅摩伽經) 3권[「입법계품(入法界品)」이며, 
서진(西秦) 걸복인(乞伏仁) 때 성견(聖堅)이 따로 번역하였다.]
신력입인법문경(信力入印法門經) 5권[이것은 『화엄경』의 별품이며, 
후위 때 보리류지가 따로 번역하였다.]
여래흥현경(如來興顯經) 4권[일명 『흥현여환경(興顯如幻經)』이라고도 하며, 
이것은 「여래성기품(如來性起品)」이다. 
진나라 원강 연간에 축법호가가 따로 번역하였다.]
도세경(度世經) 6권[이것은 「이세간품(離世間品)」이며, 
진나라 원강에 연간에 축법호가가 따로 번역하였다.]
불설도사경(佛說兜沙經) 1권[이것은 「여래명호품(如來名號品)」이며, 
후한 때 지참이 따로 번역하였다.]
보살본업경(菩薩本業經) 1권[이것은 「정행품(淨行品)」과 「십주품(十住品)」인데, 
게송은 생략하여 없앴다. 
오나라 황무 연간에 지겸이 따로 번역하였다.]
보살십주행도품경(菩薩十住行道品經) 1권[이것은 「십주품(十住品)」이며, 
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보살십법주경(菩薩十法住經) 1권[이것은 「십주품」이며, 
진(晉)나라 때 불타발타라가 따로 번역하였다.]
제보살본업경(諸菩薩本業經) 1권[이것은 「정행품(淨行品)」이며, 
진나라 때 불타발타라가 따로 번역하였다.]
제보살구불본업경(諸菩薩求佛本業經) 1권[이것은 「정행품」이다.]
불장대방등경(佛藏大方等經) 1권[일명 『문명현경(問明顯經)』이라고도 하며, 
이것은 「명난품(明難品)」이다.]

이상 13경은 모두 『화엄경』의 별품(別品)인데, 
다르게 번역한 것이다.

대반니원경(大般泥洹經) 6권[이것은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앞부분 10권인데, 
「대중문품(大衆問品)」까지 마친 것이며, 
진나라 의희 연간에 사문 법현이 번역하였다.]
반열반경(般涅槃經) 20권[송나라 원가 연간에 사문 지맹(智猛)이 양주(涼州)에서 번역하였다.]

이상 2경은 『대반열반경』의 별품을 따로 번역한 것이다.

월장경(月藏經) 10권[이것은 『대집경(大集經)』 「월장분(月藏分)」이다. 
제나라 때 야사(耶舍)와 법지(法智)가 함께 번역하였다.]
대애경(大哀經) 8권[이것은 대집경 처음의 「다라니자재왕보살품(陁羅尼自在王菩薩品)」이며, 
혹은 7권으로 되어 있기도 하다. 
진나라 원강 연간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수미장경(須彌藏經) 2권[이것은 『대집경』의 별품이며, 
제나라 때 야사와 법지가 함께 번역하였다.]
허공장소문경(虛空藏所問經) 6권[이것은 「허공장보살품(虛空藏菩薩品)」이며, 
혹은 8권으로 되어 있기도 하다. 
서진(西秦) 걸복인(乞伏仁) 때 성견(聖堅)이 번역하였다.]
보계보살경(寶髻菩薩經) 2권[이것은 「보계보살품」이며, 
일명 『보살정행경(菩薩淨行經)』이라고도 한다. 
진나라 영희(永熙) 연간(290)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아차말경(阿差末經) 7권[이것은 「무진의품(無盡意品)」이며, 
혹은 4권으로 된 것도 있다. 
진나라 영가 연간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소아차말경(小阿差末經) 2권[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무진의경(無盡意經) 10권[송나라 명제(明帝) 때 사문 법권(法眷)이 광주(廣州)에서 번역하였다.]
무진의경 4권[또한 이것도 『아차말경(阿差末經)』이며, 
진나라 태시 연간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보녀경(寶女經) 3권[이것은 「보녀품(寶女品)」이며, 
또는 4권으로 되어 있기도 하다. 
진나라 태강 연간에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무언동자경(無言童子經) 2권[이것은 「무언품(無言品)」이며, 
혹은 『무언보살경(無言菩薩經)』이라고도 한다. 
진나라 때 축법호가 번역하였다.]

이상 11경은 『대집경(大集經)』의 별품을 따로 번역한 것이다.

상속해탈경(相續解脫經) 1권[이것은 『심밀해탈경(深密解脫經)』의 한 부분이며, 
송나라 원가 연간에 구나발타라가 번역하였다.]
해절경(解節經) 1권[이것도 『심밀경(深密經)』의 한 부분이며, 
진(陳)나라 때 진제(眞諦)가 번역하였다.]

이상 2경은 『심밀경』의 별품을 따로 번역한 것이다.

방발경(放鉢經) 1권

위의 한 경은 『보초경(普超經)』 「봉발품(奉鉢品)』을 따로 번역한 것이다.

살담분타리경(薩曇分陁利經) 1권[이것은 『법화경(法華經)』 「보탑품(寶塔品)」의 일부분과 「제바달다품(提婆達多品)」이다.]

위의 한 경은 『법화경』의 별품을 따로 번역한 것이다.

반주삼매경(般舟三昧經) 1권[이것은 후반 10품이며, 
후한 때 지참이 따로 번역하였다.]
발타보살경(拔陀菩薩經) 1권[이것은 초반 4품이다.]
불설반주삼매염불장경(佛說般舟三昧念佛章經) 1권[이것은 「행품(行品)」이다.]

위의 3경은 『반주삼매경』의 별품을 따로 번역한 것이다.

이상 33경은 모두 여러 경의 별품 이역본이다.
이상 195경은 여러 번 번역된 것으로 혹은 전본(全本)을 따로 번역한 것이거나, 
혹은 품으로 나뉘어 있는 것을 다르게 번역한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세상이 변하고 풍속이 바뀌면서 본문을 잃어버렸고, 
대부분 범본(梵本)이 없어서 교정을 자의로 하였다. 
그리하여 모두 정록(定錄)에 넣었다.

3) 중경실역(衆經失譯) 합 134부 275권
[여기에도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단본(單本)으로 번역자를 알 수 없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여러 번 번역되었는데도 번역자를 알 수 없는 것이다.]

출요경(出要經) 20권
아유월치전경(阿惟越致轉經) 18권
마하연경(摩訶衍經) 14권
대인욕경(大忍辱經) 10권
대관정경(大灌頂經) 9권
행도경(行道經) 7권
보운경(寶雲經) 7권
방광십륜경(方廣十輪經) 7권
대방편보은경(大方便報恩經) 7권
정법화경(正法華經) 6권
범왕청문경(梵王請問經) 5권
삼매왕경(三昧王經) 5권
불본행경(佛本行經) 5권
불종도솔강중음경(佛從兜率降中陰經) 4권
마왕청문경(魔王請問經) 4권
칠불경(七佛經) 4권
대범천왕청전법륜경(大梵天王請轉法輪經) 3권
석제환인소문경(釋提桓因所問經) 3권
대방광여래성기경(大方廣如來性起經) 3권
보살본행경(菩薩本行經) 3권
법화광서보살현수경(法華光瑞菩薩現壽經) 3권
보현보살답난이천경(普賢菩薩答難二千經) 3권
우바이정행경(優婆夷淨行經) 2권[일명 『정행경(淨行經)』이라고도 한다.]
부사의공덕경(不思議功德經) 2권[일명 『공덕경(功德經)』이라고도 한다.]
대길의주경(大吉義呪經) 2권
보살몽경(菩薩夢經) 2권
유수보살경(濡首菩薩經) 2권
문수문경(文殊問經) 2권
애읍경(哀泣經) 2권
법계체성무분별경(法界體性無分別經) 2권
타진다라소문보여래경(伅眞陁羅所問寶如來經) 2권
심단련경(深斷連經) 2권
홍도경(弘道經) 2권
범천왕청불천수경(梵天王請佛千首經) 2권
밀적력사경(密迹力士經) 2권
허공장보살문지경기복경(虛空藏菩薩問持經幾福經) 1권
대방광여래비밀장경(大方廣如來秘密藏經) 1권
도제불경계광엄경(度諸佛境界光嚴經) 1권
선비보살소문경(善臂菩薩所問經) 1권
보살수행경(菩薩修行經) 1권[일명 『위세장자문관신행경(威勢長者問觀身行經)』이라고도 한다.]
대본장경(大本藏經) 1권
무단저총지경(無端底摠持經) 1권
보살투신아호기탑인연경(菩薩投身餓虎起塔因緣經) 1권
일체시주소행단바라밀경(一切施主所行檀波羅蜜經) 1권
보살본행경(菩薩本行經) 1권
현수보살이백문경(賢首菩薩二百問經) 1권
문수관경(文殊觀經) 1권
빈바사라왕예불공양경(頻婆娑羅王詣佛供養經) 1권
대의경(大意經) 1권
내장대방등경(內藏大方等經) 1권
천왕태자비라경(天王太子辟羅經) 1권
태자법혜경(太子法慧經) 1권
시광태자경(是光太子經) 1권
장자법지처경(長者法志妻經) 1권
법지녀경(法志女經) 1권
일체지광명선인자심인연불식육경(一切智光明仙人慈心因緣不食肉經) 1권
문수사리반열반경(文殊師利般涅槃經) 1권
관세음소설행법경(觀世音所說行法經) 1권
사자월불본생경(師子月佛本生經) 1권
공덕장엄왕팔만사천세청불경(功德莊嚴王八萬四千歲請佛經) 1권
지신보살경(持身菩薩經) 1권[일명 『지신경(持身經)』이라고도 한다.]
금강녀보살경(金剛女菩薩經) 1권
선의보살경(善意菩薩經) 1권
법화삼매경(法華三昧經) 1권
불보삼매경(佛寶三昧經) 1권
금강삼매경(金剛三昧境) 1권
금강삼매본성청정불괴불멸경(金剛三昧本性淸淨不壞不滅經) 1권[일명 『금강청정경(金剛淸淨經)』이라고도 한다.]
보적삼매문수사리문법신경(寶積三昧文殊師利問法身經) 1권
문수사리권변삼매경(文殊師利權變三昧經) 1권[일명 『권변경(權變經)』이라고도 한다.]
미륵경(彌勒經) 1권
천불인연경(千佛因緣經) 1권
팔부불명경(八部佛名經) 1권
팔길상신주경(八吉祥神呪經) 1권
팔양경(八陽經) 1권
십길상경(十吉祥經) 1권
현수경(賢首經) 1권[일명 『현수대인경(賢首大人經)』이라고도 한다.]
소안반주삼매경(小安般舟三昧經) 1권
소아사세경(小阿闍世經) 1권
소수뢰경(小須賴經) 1권
심심대회향경(甚深大迴向經) 1권
사무외경(四無畏經) 1권
보살십구화경(菩薩十漚惒經) 1권
십구화경(十漚惒經) 1권
현자오복덕경(賢者五福德經) 1권
육법행경(六法行經) 1권
보살상행경(菩薩常行經) 1권
보살등행경(菩薩等行經) 1권
선덕경(善德經) 1권
아타삼매경(阿陁三昧經) 1권
아다삼매경(阿多三昧經) 1권
불인삼매경(佛印三昧經) 1권
백보삼매경(百寶三昧經) 1권
약사유리광경(藥師琉璃光經) 1권
장자음열경(長者音悅經) 1권[일명 『음열경(音悅經)』, 
또는 『장열음불란가섭경(長悅音不蘭迦葉經)』이라고도 한다.]
제위경(提謂經) 1권
십사유경(十思惟經) 1권
분별육정경(分別六情經) 1권
아질국왕경(阿質國王經) 1권
삼매왕삼매경(三昧王三昧經) 1권
팔보살사홍서경(八菩薩四弘誓經) 1권
대광명보살백사십팔원경(大光明菩薩百四十八願經) 1권
타가라문보살경(墮迦羅問菩薩經) 1권
대비관세음경(大悲觀世音經) 1권
보살제고행경(菩薩諸苦行經) 1권
서응관세음경(瑞應觀世音經) 1권
공덕보광보살문호지경(功德寶光菩薩問護持經) 1권
자재왕보살문여래경계경(自在王菩薩問如來境界經) 1권
목거경(目佉經) 1권
살라국경(薩羅國經) 1권
보살도지경(菩薩道地經) 1권
불설등입법엄경(佛說等入法嚴經) 1권[일명 『법엄경(法嚴經)』이라고도 한다.]
방등결경(方等決經) 1권
불설본행육바라밀경(佛說本行六波羅蜜經) 1권
찬칠불게경(讚七佛偈經) 1권
자인문팔십종호경(慈仁問八十種好經) 1권
아미타불게(阿彌陁佛偈) 1권
후출아미타불게(後出阿彌陁佛偈) 1권
아미타고음성다라니경(阿彌陁鼓音聲陁羅尼經) 1권
불설아난견수광서경(佛說阿難見水光瑞經) 1권
가전연게경(迦旃延偈經) 1권[일명 『가전연설법멸진게백이십장(迦旃延說法滅盡偈百二十章)』이라고도 한다.]
잡화경(雜華經) 1권
오백게경(五百偈經) 1권
삼승경(三乘經) 1권

이상 123경은 모두 단본(單本)으로서 번역자의 이름을 알 수 없다.

전세삼전경(前世三轉經) 1권
은색녀경(銀色女經) 1권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번역자가 다른 것이다[同本異譯].

화휴경(和休經) 1권
태자쇄호경(太子刷護經) 1권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거듭 번역된 것이다[同本重出].

선법방편다라니경(善法方便陁羅尼經) 1권
금강비밀선문다라니경(金剛秘密善門陁羅尼經) 1권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거듭 번역된 것이다.

아사세왕수결경(阿闍世王受決經) 1권
채화위왕상불수결경(採華違王上佛受決經) 1권

이상 2경은 원본은 같으나, 
거듭 번역된 것이다.

사자분신보살소문경(師子奮迅菩薩所問經) 1권
화적다라니경(華積陁羅尼經) 1권
화취다라니경(華聚陁羅尼經) 1권

이상 3경은 원본은 같으나, 
거듭 번역된 것이다.
이상 11경은 거듭 번역된 것으로서 번역자의 이름을 알 수 없다.
앞의 134경은 모두 번역자의 이름을 알 수 없다. 
또한 비록 번역한 사람과 당시의 일들은 잃어버렸으나, 
고록(古錄)에 갖추어져 있고, 
또한 의리(義理)가 어긋난 것이 없으므로 정록(定錄)으로 삼았다.

----------

1)
1) 고려대장경 원문에는 ‘원가(元嘉)’ 연간으로 표기되어 있으나 원래 ‘원가’는 남송(南宋) 문제(文帝, 
424~453) 때의 연호이므로 진(晉)나라 때와는 시대가 맞지 않는다. 
여기에서 역자는 송(宋)ㆍ원(元)ㆍ명(明) 세 본에 의하여 진(晉)나라 회제(懷帝) 때의 연호인 ‘영가’로 하였다.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pt op tr] fr
_M#]


 

○ 음악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us0fl--Edith Piaf - Hymne L'amour.lrc 









◆vmwi5896
◈Lab value 불기2564/09/16


○ 2019_1004_164251_nik_ct9.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ivan-aivazovsky-mhitarists-on-island-of-st-lazarus-1843
[#M_▶더보기|◀접기|
Artist: ivan-aivazovsky
Title : mhitarists-on-island-of-st-lazarus-1843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Rosa_sp.295
[#M_▶더보기|◀접기|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Rosa_sp.295.jpg
Species: Rosa sp.
Author Kurt Stüber [1]
● [pt op tr] fr
_M#]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Garden_of_Harmonious_Pleasures_in_the_Summer_Palace
[#M_▶더보기|◀접기|
https://en.wikipedia.org/wiki/File:Garden_of_Harmonious_Pleasures_in_the_Summer_Palace.JPG
中文: 颐和园的谐趣园
Author Tojan76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Tanzania Dar es Salaam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 음악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us0fl--CHRISTINE AND THE QUEENS - Christine.lrc








♥단상♥망상과 생사고통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9/2564-09-16-k1054-001.html#5896
sfed--중경목록_K1054_T2146.txt ☞제1권
sfd8--불교단상_2564_09.txt ☞◆vmwi5896
불기2564-09-16
θθ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범】candana 전단(旃檀)ㆍ전단나(旃檀娜)ㆍ전탄나(旃彈那)라고도 음역. 여약(與藥)이라 번역. 향나무 이름. 상록수로, 보통 20~30피트(呎)의 크기, 향기를 머금고 있어서 조각도 하고, 뿌리와 함께 가루를 만들어 향으로 쓰거나, 향유를 만들기도 한다. 1~2촌 되는 칼끝모양의 잎이 마주 나고, 꽃은 주머니 모양이며, 씨가 굳고 둥근 열매가 연다. 인도의 남쪽 데칸 고원 지방에서 많이 난다.

답 후보
● 전단(栴檀)
전식(轉識)
절대(絶待)
점교(漸敎)
정각(正覺)

정명(正命)
정성이생(定性離生)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Edith Piaf - Hymne L'amour
Superbus - Lova Lova
Gerard Lenorman - Les Cris Du Coeur
Andrée Oriet - Qui Quoi Où
PIERRE VASSILIU - Qui C'Est Celui-l
Michel Sardou - Quelques Mots D'amour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Sacca
[san-chn] catuḥ-prakāra 四
[san-eng] aṣṭāvakra $ 범어 name of a deformed(at eight places) sage
[pali-chn] dhanu 弓
[pal-eng] avajja $ 팔리어 adj.unblameable; faultless.
[Eng-Ch-Eng] 功能 (1) Effectiveness, efficacy, functionality. 〔五教章〕(2) Potential energy, latent power. 〔四教儀注〕(3) Possessing ability. (samartha)〔俱舍論 fasc. 14〕 (4) A result. 〔俱舍論 fasc. 5〕
[Muller-jpn-Eng] 六種震動 ロクシュシンドウ six earthquakes
[Glossary_of_Buddhism-Eng] INTERVIEW☞
[fra-eng] désacclimater $ 불어 disroot, uproot


■ 다라니퀴즈

자비주 26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44 번째는?




26
관세음보살께서
말씀하시되,
"만약 선남자나
선여인이 이 신주를 지니는 자는
넓고 큰 깨달음의 마음[菩提心]을 내고
일체 중생을 제도하기를 맹세하며
몸으로 청정히 재계(齋戒)를 지니고
모든 중생에게 평등한 마음을 내며
항상 이 주문을 외우되
끊어지지 않게 하고
깨끗한 방에
거처하면서
청정하게 목욕을 하며
깨끗한 의복을 입고
깃발[幡]을 달고
등(燈)을 켜고
가지가지 향과 꽃과 여러가지 음식으로 공양을 올리며
마음을 이 다라니 외우는 곳으로 거두어
달리 의존[緣]할 바를 두지 말고,
법답게 외워 지녀라.
이 때 마땅히
일광보살(日光菩薩)과
월광보살(月光菩薩)과
무량한 별과 야차(夜叉)와
신선이 와서
증명하여
그 효험을 더할 것이며,
나는 이 때 천개의 눈으로 비추어 보고
천개의 손으로 보호해 줄 것이니,
이로부터 세간의 경서(經書)들을
모두 능히 받아 지닐 수 있고,
모든 외도의 법술이나
베다[圍陁] 전적 등도
또한 통달할 것이며
이 신주 외우는 자는
세상의 팔만사천가지의 귀신 병을
다 치료하여 낫게 할 수 있으며
일체 귀신을 부리며,
모든 천마와 모든 외도를 항복 받을 수 있나니라.
만약 산이나 들에서
경전을 외우고 좌선하고 있을 때
산에 있는 잡스러운 도깨비나
귀신들이 어지럽게 와서
마음을 번뇌롭게 하고
어지럽혀 안정하지 못할 때
이 주문을
한 편 내지 칠 편을 외우면,
모든 귀신들은 다 묶임을 당하리라.
● 마마혜리다염 摩摩醯唎馱孕<二十六> ma ma h ṛe da yaṃ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44
아캄니다시라
阿欠抳哆尸羅<四十四>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260일째]
세존 $ 002▲● 백 ○□□,云,何,阿,佛

□□, !
云何 阿僧祇 乃至 不可說不可說耶?」
□□,!
운하,아승기 내지 불가설불가설야?」

세존이시여,
어떤 것을 아승기라 하오며,
내지
말할 수 없이 말할 수 없다 하시나이까?”



[261째]
불고심왕보살언 $ 003▲● 천 욕령제세간입 불소지수량지의 ○□□□□,善,汝,佛,善

□□□□□□□,:「善哉善哉!善男子!
汝今 為 欲令 諸世間 入 佛所知數量之義,而問 如來、應、正等覺。
□□□□□□□,:「선재선재!선남자!
여금 위 욕령 제세간 입 불소지수량지의,이문 여래、응、정등각。

부처님께서 심왕보살에게 말씀하시었다.
“훌륭하고 훌륭하다. 선남자여,
그대가 지금 여러 세간 사람들로 하여금
부처님이 아는 수량의 뜻을 알게 하기 위하여 여래·응공·정변지에게 묻는구나.





●K0312_T1034.txt★ ∴≪A주오수≫_≪K0312≫_≪T1034≫
●K1054_T2146.txt★ ∴≪A중경목록≫_≪K1054≫_≪T2146≫
●K1056_T2148.txt★ ∴≪A중경목록≫_≪K1056≫_≪T2148≫

법수_암기방안


2 염통 【심장】
3 밥통 【위】
26 손금 the line of the palm
44 네째발가락 the fourth toe
● [pt op tr] fr
_M#]




○ [pt op tr]
● 중경목록_K1054_T2146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중경목록』 ♣1054-001♧
[관련키워드]
제1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4-09-16_중경목록-K1054-001
https://buddhism007.tistory.com/17610
sfed--중경목록_K1054_T2146.txt ☞제1권
sfd8--불교단상_2564_09.txt ☞◆vmwi5896
불기2564-09-16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9/2564-09-16-k1054-001.html
htmback--불기2564-09-16_중경목록_K1054_T2146-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