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마
[한문]羯磨
[범어]karman
[영어]action ; ritual】
카르만의 음역.
[동]검모(劍暮).
⇒
[원][k]업[c]業
[1]업을 짓는 것.
⇒
[원][k]업[c]業
[2]출가 수행자가 수계(受戒)하거나,
참회(懺悔)하는 의식을 행할 때의 작법(作法).
⇒
[원][k]업[c]業
[3]갈마금강(羯磨金剛)의 줄임말.
⇒
[원][k]업[c]業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한문]羯磨
【범】karmra 【팔】kamma 또는 검모(劍暮).
번역하여 업(業).
단지 갈마라고만 음역하는 경우에는 업을 의미하는 일이 거의 없음.
갈마
갈마
[한문]羯磨
보통으로 수계(受戒) 또는 참회할 때의 작법.
소작(所作)ㆍ판사(辦事)ㆍ작사(作事)라 번역.
갈마
[한문]羯磨
밀교에서 갈마금강을 가리킴.
세 가닥 금강저[三鈷杵]를 십자(十字) 모양으로 조합한 것.
여래의 작업(作業)을 표시한 윤보(輪寶).
갈마
[한문]羯磨
1권.
K-915,
T-1433.
조위(曹魏)시대에 담제(曇諦, Dharmasatya)가 254년에 낙양(洛陽)의 백마사(白馬寺)에서 번역하였다.
별칭으로 『담무덕갈마』ㆍ『사분갈마』라고도 한다.
이역본으로는 『담무덕율부잡갈마』가 있다.
사분율,
즉 담무덕부율에서 설한 비구 및 비구니의 갈마문을 뽑아 9항목으로 분류해서 싣고 있다.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추가참조
◎[개별논의]
○ [pt op tr]
○ 2019_1104_135314_can_exc 구례 화엄사 연기암
○ 2019_1104_131755_can_fix 구례 화엄사 연기암
○ 2019_0106_155740_can_ori 의정부 도봉산 망월사
○ 2018_1023_170741_can_ori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18_1023_164509_can_ori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18_1022_180113_can_ori 공주 태화산 마곡사
○ 2020_1017_150714_can_ori_rs 삼각산 화계사
○ 2020_1017_155110_nik_exc 삼각산 화계사
○ 2020_0930_142704_can_ori_rs 화성 용주사
○ 2020_0910_133635_nik_ori_rs 속리산 법주사
○ 2020_0909_150809_nik_ori_rs 무주 백련사
○ 2020_0908_171333_nik_ori_rs 합천 해인사 백련암
○ 2020_0906_114504_nik_ori_rs 천축산 불영사
○ 2020_0906_113935_can_ori_rs 천축산 불영사
○ 2020_0906_111249_can_ori_rs 천축산 불영사
○ 2020_0905_150130_can_ori_rs 오대산 적멸보궁
○ 2020_0904_093928_nik_ori_rs 여주 신륵사
○ 2019_1105_175711_can_exc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19_1105_173023_can_exc_s12 순천 조계산 송광사
● [pt op tr] fr
○ 2019_1106_091213_can_exc 화순 영구산 운주사
❋❋추가참조 ♥ ◎[개별논의]
○ [pt op tr]
● from 영문위키 https://en.wikipedia.org/wiki/Karma_in_Buddhism
< 원문 구글 번역> 불기2565-04-21 스크랩
불교의 카르마
무료 백과 사전, 위키피디아에서
탐색으로 이동검색으로 이동
다른 인도 종교에서이 용어를 사용하려면 Karma를 참조하십시오 .
karma의 번역 | |
---|---|
영어 | 업 |
산스크리트 | कर्मन् ( IAST : karman ) |
벵골 사람 | কর্ম ( kôrmô ) |
버마 사람 | ကံ ( IPA : [kàɰ̃] ) |
중국말 | 業 또는 业 ( 병음 : yè ) |
일본어 | 業 또는 ご う ( rōmaji : gou ) |
크메르어 | កម្ម ( UNGEGN : Kam ) |
한국어 | 업 또는 業 ( RR : uhb ) |
신 할라 어 | කර්ම ( 카르마 ) |
티베트어 | ལས ། ( Wylie : poplas; THL : lé; ) |
태국어 | กรรม ( RTGS : gam ) |
불교 용어 |
의 일부 일련의 에 |
불교 |
---|
보여 주다역사 |
보여 주다달마 개념 |
보여 주다불교 텍스트 |
보여 주다관행 |
보여 주다니르바나 |
보여 주다전통 |
보여 주다국가 별 불교 |
개요 종교 포털 |
V티이자형 |
불교 의 전통, 카르마는 의도 (에 의해 구동 행동을 의미 cetanā 리드 미래의 결과로).
이러한 의도는 윤회의 주기인 삼사라의 윤회를 결정 짓는 요인으로 여겨진다 .
내용
1어원
2카르마에 대한 불교의 이해2.1갱생
2.2업
2.3카르마 팔라
2.4복잡한 과정
2.5삼사라 로부터의 해방
삼Pali suttas 내
4불교 전통 내에서4.1초기 인도 불교4.1.1태생
4.1.2종파 이전 불교
4.1.3Vaibhāṣika-Sarvāstivādin 전통
4.1.4Dārṣṭāntika-Sautrāntika
4.2Theravādin 전통4.2.1표준 텍스트
4.2.2공로 이전
4.3마하 야나 전통4.3.1인도 요가 카라 전통
4.3.2Mādhyamaka 철학
4.3.3티베트 불교
4.3.4동아시아 전통4.3.4.1선
4.3.4.2천태
4.3.4.3니치렌 불교
5현대 해석과 논란5.1사회적 조건
5.2카르마 이론과 사회 정의
6또한보십시오
7메모
8인용 부호
9참고 문헌
10출처10.1인쇄 된 소스10.1.1수타 피 타카
10.1.2불교 교사
10.1.3학술 자료
10.2웹 소스
11추가 읽기
12외부 링크
어원 [ 편집 ]
Karma (산스크리트어, karman , Pāli : kamma , Tib. las [1] )는
문자 그대로 "행동"또는 "행함"을 의미하는 산스크리트어 용어입니다.
카르마라는 단어 는 "행하고, 만들고, 수행하고, 성취한다"는 뜻의 어근 kṛ 에서 유래합니다 .
[2]
카르마 팔라 (Tib. rgyu 'bras [3] [1] [note 1] )는
카르마 의 "과일" , [4] [5] [6] "효과" [7] 또는 "결과" [8] 입니다 .
유사한 용어 karmavipaka 은 "성숙" [9] 또는 "요리" [10] 의 카르마 :
카르마 선택의 원격 효과는 카르마 행위의 '성숙'(vipāka) 또는 '과일'(팔라)이라고합니다. " [5]
은유는 농업에서 파생되었습니다. [6] [11]
한 사람은 씨앗을 심고 신비한 보이지 않는 과정이 일어나는 시간 지연이 있으며
식물이 튀어 나와 수확할 수 있습니다. [6]
카르마의 불교 이해 [ 편집 ]
세라 , 라사에 있는 티베트어 Bhavacakra 또는 "삶의 바퀴" .
카르마 와 카르마 팔라는 불교의 기본 개념입니다. [12] [13]
개념 카르마 와 karmaphala
우리의 의도적인 행동의 부활에 묶여 우리 유지하는 방법을 설명
윤회를 에 예시된 바와 같이, 불교 경로 반면, 팔정도 ,
우리의 탈출구 윤회를 . [14]
환생 [ 편집 ]
Rebirth , [note 2] 는 모든 불교 전통에서 공통적인 믿음입니다.
무지 ( avidyā ), 욕망 ( trsnā ), 증오 ( dvesa ) 에 의해 구동되는 연속적인 주기로 6 개의 영역 에서 탄생과 죽음이 발생 한다고 말합니다 .
재생의주기를 '삼사라' 라고 합니다 .
그것은 시작이없고 계속되는 과정입니다. [15]
'삼사라'로부터의 해방 은 불교의 길을 따라 얻을 수 있습니다 .
이 길은 vidyā , 그리고 trsnā 와 dvesa 의 고요함으로 이어집니다 .
이로써 계속되는 재생 과정이 중단됩니다.
카르마 [ 편집 ]
재생의주기는 카르마 , [15] 문자 그대로 "행동"에 의해 결정됩니다 .
[주 3] 에서 불교 의 전통, 카르마 에 의해 구동 행동을 말한다
의도 ( cetanā ), [21] [22] [6] [인용 1] 리드 미래의 결과로 신체, 언어 또는 마음을 통해 의도적으로 이루어 증서. [25] The Nibbedhika Sutta , Anguttara Nikaya 6.63 :
의도 ( cetana ) 내가 말하는 것은 업입니다.
의도적으로 육체, 말, 지성을 통해 업을 행합니다. [웹 1] [참고 4]
Peter Harvey에 따르면
카르마 (karma)라는 행동 뒤에있는 심리적 충동은
카르마 열매에서 절정에 이르는 일련의 원인을 설정합니다.
그러므로 업장의 열매를 맺으려면 행동이 의도적이어야합니다. [26]
그리고 Gombrich에 따르면
부처는 카르마를 의도로 정의했습니다. 의도가 육체적, 음성적 또는 정신적 형태로 나타 났든간에 도덕적 성격을 가졌던 의도는 혼자였습니다 : 좋든 나쁘 든 중립적 [...] 관심의 초점은 실제 사람과 사물을 포함하여 육체적 행동에서 옮겨졌습니다. 세계, 심리적 과정. [27]
Gombrich에 따르면 이것은 브라만적이고 카스트에 얽매인 윤리를 뒤집는 위대한 혁신이었습니다. 이것은 카스트에 얽매이지 않는 차이를 거부하는 것이며, 브라 만민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에게 해방에 이르는 동일한 가능성을 부여합니다. [28]
태어나서 브라만이나 추방자가 아니라 행위 ( 업 )에 의해서가 아닙니다 . [29] [참고 5]
이러한 의도에 대한 강조가 어떻게 해석되어야 하는가는 다양한 불교 학교들 사이에서 논쟁의 문제가되었습니다. [30] [참고 6]
Karmaphala [ 편집 ]
카르마는 미래의 결과, 카르마-팔라 , "행동의 열매"로 이어집니다. [33]
어떤 주어진 행동이 결과의 모든 종류를 일으킬 수 있지만,
카르마의 결과는 행동의 도덕적 품질 모두의 결과들만 결과,
그리고 행동 뒤에 의도. [34] [참고 7] Reichenbach에 따르면,
카르마의 법칙에 의해 구상된 결과는 행동 수행에 따른 관찰된 자연적 또는 물리적 결과보다 더 많은 (또는 더 적은)을 포함합니다. [36]
"업의 법칙"이 적용됩니다
... 특히 도덕적 영역 [.] [그것은] 행동과 그 결과 사이 의 일반적인 관계가 아니라,
오히려 고통과 쾌락, 좋은 또는 나쁜 경험과 같은 행동과 그 결과의 도덕적 질과 관련이 있습니다.
행위의 수행자를 위해. [36] 좋은 도덕적 행동은 건전한 중생으로 이어지고,
나쁜 도덕적 행동은 불건전한 중생으로 이어집니다. [15] [인용문 3] [인용문 4]
주요 요인은 그들이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의미로 다른 사람의 안녕에 어떻게 기여하는지입니다. [41]은 특히 다나 불교 순서로 제공 포지티브 점차 중요한 소스되었다 카르마 . [42]
이러한 의도적인 행동이 어떻게 재생으로 이어지는 지,
그리고 재생의 개념이 무상 과 무자기 의 교리와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가 , [43] [인용문 5] 는
불교 전통에서 철학적 탐구의 문제입니다.
제안되었습니다. [15]
초기 불교에서는 재생과 카르마에 대한 명시적인 이론이 연구되지 않았습니다. [18]
그리고 "카르마 교리는 초기 불교 구원론 에 부수적이었을 것 입니다." [19] [20]
초기 불교에서, 부활 갈망 또는 무지에 기인한다. [16] [17]
이후 불교에서, 기본적인 생각은 즉 의도적 인 행동, [44] 에 의해 구동 kleshas ( "감정을 방해"), [웹 3] cetanā ( "의지"), [21] 또는 taṇhā ( "갈증", "갈망") [45] 생성 인상을 , [웹 4] [주 8] 경향 [웹 4] 또는 "씨" 마음입니다.
이러한 인상 또는 "씨앗"은 미래의 결과 또는 결실 로 익을 것 입니다. [46] [인용문 6] [주 9]
우리의 '클래샤[번뇌]'를 극복 할 수 있다면,
6 개의 영역에서 재 탄생으로 이끄는 인과 관계의 사슬 . [웹 3] 연기법 열두 링크 : 방법을 설명하는 프레임 워크를 제공 이론적 방해 감정 으로 부활 이어질 삼사라 . [47] [참고 10]
복잡한 과정 [ 편집 ]
부처님의 업장에 대한 가르침은 엄격하게 결정적인 것이 아니라 자이나교의 것과는 달리 상황 적 요인을 통합했습니다 . [49] [50] [51] [7 인용]
그것은 엄격한 기계적 처리는 아니지만,가요 성 유체 동적 프로세스, [52] 및 모든 현상은 업에 기인 할 수있다. [50] [참고 11] [인용 8]
특정 작업 및 그 결과의 선형 관계 정해진 없다. [51] 증서의 카르마 효과뿐만 아니라, 행동을 범하고, 커밋 된 환경에 의해 사용자의 특성에 의해 행위 자체에 의해서만 결정되지 않는다. [53] [51]
카르마는 "운명"이나 "예정"과도 다릅니다. [웹 6]
Karmic 결과는 신이나 다른 전능 한 존재가 내린 "판단"이 아니라 자연적인 과정의 결과입니다. [54] [26] [6] [견적 9] 인생에서 어떤 경험 이전의 행동의 결과이다,
그러나 미래에 자신의 열매를 맺을 수 있지만, 그 경험에 대한 우리의 응답이, 미리 정해진되지 않습니다. [59] [10 인용] 부당 동작은 쉽게 더 부정한 행위를 저지 할 수 있도록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유 부당 행위 남아 저지하지 불리한 상황을 초래할 수있다. [60]
samsāra 로부터의 해방 [ 편집 ]
또한보십시오 : 독 화살의 오른쪽보기 및 비유
카르마 교리와 그 열매의 진정한 중요성은 전체 과정을 중단해야하는 긴급함을 인식하는 데 있습니다. [61] [62]
Acintita Sutta는 "업에 결과가"중 하나라고 경고 네 이해할 과목 , [63] [웹 7] 모든 개념화 벗어난 피사체 [63] 과 논리 사상 또는 이유 이해 될 수 없다 . [주 12]
Gombrich에 따르면,이 경전은 "아마 부처님의 날부터 지금까지" 업장 의 교리를 "거꾸로" 이해하고 다른 설명이없는 현생의 불리한 조건을 설명 하려는 경향에 대한 경고 였을 수 있습니다. [67]
더 나은 재생을 얻는 것은 아마도, [68] [69] 많은 사람들의 중심 목표입니다. [70] [71]
채택, 평신도에 의해 불교의 믿음과 실천은 좋은를 제공합니다 것으로 보인다
장점 과 좋은 중생, [72] 그러나 발생하지 않습니다
너바나 , [72] 삼사라에서 해방은 , 부처님의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73] [67]
팔리 경내 [ 편집 ]
참조 : 아 나타와 도덕적 책임
불교 전통에 따르면, 부처님은 깨달음 당시 업장의 작용에 대해 완전하고 완전한 통찰력을 얻었습니다. [74] [참고 13
브롱코스트에 따르면, 이러한 지식은 나중에 추가 층이다 [75]
저절로 '통계 해방 "의 개념 등이있다. [75] [참고 14]
AN 5.292에서 붓다는 업장의 결과를 한 번 수행하면
경험하는 것을 피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79]
앙굿 따라 니까야에서 , 카르마 결과이 생 (P.에 중 경험이 있다고 적혀있다 diṭṭadhammika )
또는 미래의 삶 (P.에서 samparāyika ). [80] 전자는 조치 등 도둑 당국에 의해 캡쳐 고문 때와 카르마 결과 사이에 용이하게 관찰 연결을 포함 할 수있다 [80]
그러나, 접속 요구가 반드시 명백한 사실이 일반적으로 관찰 아니라고하지.
Sammyutta 니까야 과거 카르마 (P. 사이의 기본적인 차이하게 purānakamma 이미 발생 된), 및 업 본 (P.에 생성 될 navakamma ). [81]
따라서, 본 하나로 모두 새로운 업 (P. 생성 navakamma을 (P.) 및 업 과거의 결과가 발생 kammavipāka ). 초기 정경에서 카르마는 또한 정신적 행동 (S. manaḥkarman ), 신체적 행동 (S. kāyakarman ) 및 성악 행동 (S. vākkarman )의 세 가지입니다. [82]
불교 전통 내 [ 편집 ]
참조 : 불교의 카르마 개발
다양한 불교 철학 학교가 불교 내에서 발전하여 더 세련된 업장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제공합니다.
주된 문제는 무아의 교리와 자신의 행동 흔적의 "저장"사이의 관계이며, [43] 다양한 해결책이 제시되었습니다.
초기 인도 불교 [ 편집 ]
기원 [ 편집 ]
카르마 의 개념은 베다 종교 에서 비롯되었는데,
그것은 의식 수행 [83] 또는 사후 천국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위한 선행 투자 [84] , [83] [84] 다른 사람들이가는 동안 지하 세계로. [84]
종파 이전 불교 [ 편집 ]
주요 기사 : 종파 이전 불교
업의 개념은 초기 불교에서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18] [85] 카르마 이미 초기의 중생의 이론에 역할을 여부를 Schmithausen이 의문을 제기했다 불교, [85] [20] "카르마의 교리는 초기 불교의 구원론에 부수되어있을 수 있습니다."고 지적 [19] 원래 카르마 중생과 연결 여러 개념의 하나일지도 모른다 랭거 노트. [86] [참고 15] 초기 불교에서 부활 갈망 또는 무지에 기인 것을 틸먼 Vetter가 노트. [16] Buswell 역시 "초기 불교는 육체적 정신적 움직임이 아니라 욕망 (또는 갈증, trsna), 카르마 결과의 원인. " [17] Matthews는 카르마 주제에 대한"단일 주요 체계적인 설명이 없다 "고 언급하며"업장이 언급 된 수십 곳에서 설명을 모아야합니다. 텍스트 " [18] 교리 초기 불교 구원론의 주된 관점에 부수 것을 의미 할 수있다. [18]
베터 (Vetter)에 따르면, "부처님은 처음에 " 죽지 않는 자 " ( amata / amrta [주 16] )를 찾고 깨달았습니다. 이것은 지금 여기와 관련된 것입니다. [주 17] 이 사실을 알게 된 후에야 그는 알게되었습니다. 중생의 교리. " [94] 브롱코스트 동의하지 및 부처 "는 그의 일반적으로 시간의 유지 인원 상당히 달랐다 업의 개념을 도입 하였다."고 결론 [95] 브롱코스트에 따르면,하지 신체적, 정신적 활동과 같은 부활에 대한 책임,하지만 의도와 욕망으로 간주되었다. [96]
업장의 교리는 고통, 불의, 죽음과 같은 삶의 즉각적인 요구에 대처하는 것이 더 중요한 일반 사람들에게 특히 중요했을 수 있습니다. 카르마 교리는 이러한 긴급 상황을 만났고 시간이지나면서 그 자체로 중요한 구원 론적 목표가되었습니다. [71]
Vaibhāṣika-Sarvāstivādin 전통 [ 편집 ]
참조 : Vaibhāṣika 및 Sarvastivada
Vaibhāśika-Sarvāstivāda는 인도와 그 밖의 지역에서 널리 영향을 미쳤습니다. Sarvāstivāda에서 카르마에 대한 그들의 이해는 인도와 다른 나라의 불교에서 규범이되었습니다. [97] 데니스 히로타에 따라,
Sarvastivadins는 모든 업장의 행위와 함께 작용하는 "소유"( prapti ) 의 법이 존재 하므로 각 행위 또는 생각은 즉시 사라지더라도 우리가 경험하는 순간의 연속체에서 그 행위의 "소유"를 창출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사람. 이 소유물 자체는 일시적이지만 원래 행위가 과거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유사한 소유물을 계속해서 재현합니다. 이러한 지속적인 재생을 통해 그 행위는 결과가 실현 될 때까지 "소유"됩니다. [98]
Dharmaśrī 의 Abhidharmahṛdaya 는 Vaibhāśika-Sarvāstivāda 교리의 첫 번째 체계적인 설명이었고, 세 번째 장인 Karma-varga 는 카르마의 개념을 체계적으로 다룹니다. [99]
또 다른 중요한 설명 인 Mahāvibhāṣa 는 카르마의 세 가지 정의를 제공합니다.
동작; 여기서 카르마는 "활동"을 의미 하는 동의어 kriya 또는 karitra로 텍스트에서 대체됩니다 .
공식적인 비 나야 행위;
다양한 효과의 대리인으로서의 인간 행동; 특정 행동과 특정 효과를 연결하는 업은 박람회의 주요 관심사입니다. [100]
4 세기 철학자 Vasubandhu 는 초기 경전에서 제기 된 다양한 문제에 대한 Vaibhāṣika - Sarvāstivādin 학교 의 입장을 설명하는 광범위한 개요서 인 Abhidharma-kośa를 편집했습니다 . Kośa의 4 장은 업장 연구에 전념하고 있으며 2 장과 5 장은 결실과 보복의 메커니즘에 대한 공식을 포함합니다. [82] 이 나중에에 대한 초기 불교의 관점의 이해의 주요 원천이되었다 대승의 철학자. [101]
Dārṣṭāntika-Sautrāntika [ 편집 ]
Dārṣṭāntika- 경량 부에 학교 카르마 씨의 아이디어 (S. 개척 Bīja )와 "심리 물리적 시리즈의 특별한 수정"(S.의 saṃtatipaṇāmaviśeṣa을 카르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102] 데니스 히로타에 따라,
[T] 그 Sautrantikas [...]는 각 행위가 현재 순간에만 존재하고 즉시 소멸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인과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그들은 각각의 업장 행위와 함께 "향수"가 발생한다고 가르쳤는데, 이는 법이나 실존 적 요인 자체는 아니지만, 연속되는 일련의 정신적 순간에 잔여 인상을 남기고 결국 미묘한 진화 과정을 거치게합니다. 행위의 결과에. 따라서 행해진 선행과 악행은 결실을 맺을 "씨앗"또는 성향의 흔적을 남긴다고합니다. [98]
Theravādin 전통 [ 편집 ]
표준 텍스트 [ 편집 ]
에서 소승 Abhidhamma 및 commentarial 전통, 카르마는 길이에서 채택된다. Anuruddhācariya 의 Abhidhamma Sangaha 는 5 권 (5.3.7)에서 철저한 처리와 함께 주제에 대한 처리를 제공합니다. [103]
Kathāvatthu 의 업의 개념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관련된 논박 점들을 논의. " [104] 와이 관련 논의 Pudgalavādin의 사람의 잠정 존재를 가정 학교 (S.의 pudgala , P.의 puggala ) 시간에 걸쳐 카르마 효과의 숙성을위한 계정. [104] Kathāvatthu도 (되었을 수 Andhakas와 Theravādins으로 토론을 기록 대중 부 불교를 노년과 죽음은 결과 (인지 여부에 대한) vipāka 카르마의). [ 105]Theravāda는 두 사람 사이에 인과 관계가 없기 때문이 아니라 정신적 결과를 위해 vipāka 라는 용어를 엄격히 예약하기를 원했기 때문에 "업의 영향을 통해 발생하는 주관적 현상"이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105]
업에 대한 표준 Theravāda의 관점에서, "죽음의 순간에 행해진 행위 나 관념이 포착되었다는 믿음은 특히 중요합니다." [106]
장점 양도 [ 편집 ]
주요 기사 : 공로의 양도
밀린다 왕 문경 하는 paracanonical 소승 텍스트는 , 정통 위치에 저촉 카르마 이론의 몇 가지 해석을 제공합니다. [107] 특히 나가세나는 인간에게 전송과 유공의 네 종류의 하나의 가능성을 허용 petas 포크 믿음 아마도 존중. [108] 나가세나는 그 단점이 전송 될 수없는 클리어한다. [109] 한 학자는 공덕의 공유가 "베다 시라 다 와 연결될 수있다. 왜냐하면 잘 확립 된 관습이 불교의 가르침에 반하지 않았을 때 기존 전통을 뒤엎 지 않는 것이 불교 관습 이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 [110]
Petavatthu 완전히 표준이며, 모든 petas와 장점을 공유하는 가능성을 포함하여, 더욱 널리 장점의 이전을 승인한다. [108]
대승 전통 [ 편집 ]
인도 요가 카라 전통 [ 편집 ]
Yogācāra 에서 철학적 전통, 두 개의 주요 대승 학교 중 하나인 카르마의 원리는 크게 확대되었다.
Yogācāra 공식에서 예외없이 모든 경험은 카르마의 숙성에서 비롯된다고합니다. [111] [웹 9]
카르마 씨앗 (S.의 bija가 )은 "창고 의식"(S.를 저장할 수 있다고 되어 ālayavijñāna 들은 경험으로 성숙으로 될 때까지). vāsāna ( "향수") 라는 용어 도 사용되며, Yogācārins는 vāsāna와 bija가 본질적으로 동일한 지, 씨앗이 향수의 효과인지, 아니면 향수가 단순히 씨앗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토론했습니다. [112]
겉보기 외부 세계 (단순히 "부산물"인adhipati-phala )의 카르마. 업장으로 인한 마음의 조절을 사스 카라 라고 합니다. [113] [웹 10]
Vasubandhu가 쓴 The Treatise on Action ( Karmasiddhiprakaraṇa )은 요가 카라 관점에서 카르마의 주제를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114]
학자 Dan Lusthaus에 따르면,
Vasubandhu의 Viṃśatikā ( Twenty Verses )는 카르마가 상호 주관적이며 의식의 각 흐름 ( vijñāna-santāna , 즉 변화하는 개인)의 과정이 다른 의식 흐름과의 관계에 의해 심오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다양한 방식으로 반복해서 강조 합니다. [113]
Bronkhorst에 따르면, 초기 시스템에서는 일련의 완전한 정신적 사건 (행동 및 그 흔적)이 어떻게 비 정신적 물질적 효과를 유발할 수 있는지 명확하지 않은 반면, Yogācāra 시스템의 이상주의와 함께 문제가 아닙니다. [115]
Mahāyāna 전통에서 카르마는 재생의 유일한 기초가 아닙니다. 중생 의 보살 일곱 번째 단계 (S. 후 bhūmi는 ) 의식적으로 여전히에 갇혀 다른 사람의 이익을 위해 지시 할 수 있다고합니다 삼사라 . [116] 따라서, 그들의 제어되지 않은 환생 아니다. [116]
Mādhyamaka 철학 [ 편집 ]
Nāgārjuna 는 그의 가장 저명한 작품 인 Mūlamadhyamakakārikā (중도에 대한 기본 구절)에서 카르마 이론을 형성하는 데 어려움을 분명히했습니다 .
(행동)이 익을 때까지 지속된다면 (행동)은 영원 할 것입니다.
(행위)가 종결되면 종결 된 사람이 어떻게 열매를 맺을 수 있습니까? [하위 주 3]
Mūlamadhyamakavṛtty-Akutobhayā 또한 일반적으로 Nāgārjuna에 기인, [117] 이 즉시 멸망 여전히 나중에 효능을 가지고하는 행위는 어떻게든 지속 모두 불가능하다고 결론 지었다. [주 18]
티베트 불교 [ 편집 ]
주요 기사 : 티베트 불교의 카르마
티베트 불교에서 카르마에 대한 가르침은 불교의 법으로 마음을 돌리는 예비 가르침에 속합니다. [118]
Vajrayana 전통에서 부정적인 과거 카르마는 Vajrasattva 에 대한 명상과 같은 관행을 통해 "정화"될 수 있습니다.
둘 다 마음의 심리적 현상이기 때문입니다. [119] [120]
카르마를 정제 한 후 작업의 활약은, 부정적인 결과 그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또는 그녀는 다른 것이다. [121]
이기심과 망상에서 열 부정적인 행동에 참여하는 모든 관련 아파요. 그렇지 않으면 다른 사람을 사랑하면 사랑을 받습니다. 이므로;
닫힌 마음을 가진 사람들은 행복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120]
카르마에 대한 하나의 좋은 일이 생각이 긍정적이 될 경우는, 고백을 통해 정제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122]
Guru Yoga의 7 가지 지점 제공 연습에서 고백은 혐오에 대한 해독제입니다.
동아시아 전통 [ 편집 ]
젠 [ 편집 ]
이 섹션은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2 차 출처 를 언급하지 않고 종교 또는 신앙 체계 내에서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사용 합니다. 여러 관점 에서 신뢰할 수있는 보조 출처에 대한 참조를 추가 하여이 도움말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주세요 . ( 2017 년 10 월 ) ( 이 템플릿 메시지를 제거하는 방법과시기 알아보기 ) |
Dōgen Kigen 은 그의 Shobogenzo 에서 카르마의 공허함에 대한 믿음은 "비 불교"로 특성화되어야한다고 주장하기까지 카르마 지연 시간은 공허하지 않다고 주장했습니다. 존재." [123]
업에 대한 선의 가장 유명한 코 안은 Baizhang의 야생 여우 라고 불립니다.(百丈 野狐).
코 안의 이야기는 위대한 수행을 기르는 데 기초를 둔 사람이 "인과에 빠지지 않는다"고 말함으로써 질문에 대한 대답이 업에 대한 잘못된 견해를 제시하는 고대 선 교사에 관한 것입니다.
그의 미숙 한 대답 때문에 교사는 야생 여우로 500 명의 삶을 산 결과를 거둔다.
그런 다음 그는 인간으로 나타나 "그는 원인과 결과에 대해 어둠 속에 있지 않다"고 대답하는 선 교사 Baizhang에게 동일한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이 대답을 듣고 늙은 교사는 야생 여우의 삶에서 해방되었습니다.
선의 관점은 깨달은 사람이 업의 법칙에 종속되거나 자유롭고 그 열쇠가 업에 대해 무지하지 않다고 주장하는 이중성을 피합니다.
천태 [ 편집 ]
일본 천태 / 정토 교사 인 겐신 은 죽어가는 사람에 대한 일련의 10 가지 성찰을 가르쳤는데 , 이는 엄청난 양의 카르마를 정화하는 수단으로 아미 다 부처님 에 대한 성찰을 강조했습니다 . [124] [ 관련? ]
Nichiren 불교 [ 편집 ]
니치렌 불교는 신앙과 실천을 통한 변화와 변화가 과거의 부정적 원인 (현재와 미래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부정적 원인)을 미래에 유익한 긍정적 인 원인으로 변화 시킨다고 가르칩니다. [125]
현대 해석과 논쟁 [ 편집 ]
사회적 조건 [ 편집 ]
불교 모더니스트들은 종종 한 학자의 말과는 달리 카르마를 사회적 조건화와 동일시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초기 텍스트는 '조건화'를 외부 사회 규범의 정신에 주입하거나 깨달음으로 해석 할 이유가 거의 없습니다. 단순히 모든 심리적 조건과 사회적 역할을 초월하는 것입니다. 카르마 조건화는 개인을 사회적, 문화적, 제도적 위에 올려 놓는 서구 담론의 영향으로 의미 론적으로 '문화적 조건화'로 이동합니다. 그러나 카르마 조건화 과정의 전통적인 수입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로 윤리적이며 구원 론적입니다. 행동은 현재와 미래의 삶에서 상황을 조절합니다. " [126]
본질적으로 이러한 이해는 업장 효과에 대한 전통적인 이해의 범위를 제한하여 외부 효과가 아닌 사스 카라 ( 습관, 성향 및 경향) 만 포함 하는 동시에 특별히 관여하지 않는 사회적 조건을 포함하도록 범위를 확장합니다. 의지 적 행동. [126]
카르마 이론과 사회 정의 [ 편집 ]
일부 서구 주석가들과 불교도들은 카르마 이론의 측면에서 예외를 받아들이고 다양한 종류의 수정을 제안했습니다. 이러한 제안은 불교 모더니즘 의 루 브릭에 속합니다 . [127]
불교의 카르마 교리에 대한 "일차적 비평"은 일부 사람들이 "카르마가 문화적 효과에서 사회적, 정치적으로 무력화 될 수 있으며,이를 의도하지 않으면 카르마는 실제로 사회적 수동성 또는 억압에 직면하여 묵인을 지원할 수있다"고 느낀다는 것입니다. 다양한 종류." [128] 그 업보는 조건 개인적 자질과 성향보다는 부활을 주장되도록 데일 S. 라이트, 선 불교 전문 학자는 "초자연적 인 사고의 요소에서 분리"교리는 현대인을 위해 공식화 할 것을 제안했다 및 외부 사건. [129]
Loy는 공덕을 쌓는다는 생각이 다른 불교 모더니스트들의 반향 인 "영적 물질주의"가되고 [주 19] 더 나아가 카르마가 인종주의, 카스트, 경제 억압, 출생 장애 및 기타 모든 것을 합리화하는 데 사용되었다고 주장합니다. [130]
Loy는 계속해서 홀로 코스트 희생자들이 겪는 고통과 같은 고통이 희생자들의 업장의 숙성에 부분적으로 기인 할 수 있다는 견해 는 "피해자들을 비난하고 그들의 끔찍한 운명을 합리화하는 근본주의"이며 이것이 "무언가"라고 주장합니다. 업장에 대한 가르침을 수정하거나 폐기함으로써 현대 불교와 현대 불교가 그것을 능가 할 때입니다. [131]
다른 학자들은 주장, 피해자가 행위를 같은 사람이되지 않았 음을하지만, 카르마의 가르침 판단과 비난을 장려하지 않는 것이 주어진 것이 아니라 동일한의 한 부분이었다 한 mindstream의 과거 배우 -continuum, [ 132]
그리고 카르마에 대한 가르침은 신자들이 위로를받는 "고통과 상실에 대한 완전히 만족스러운 설명"을 대신 제공합니다. [132]
참조 [ 편집 ]
불교아 난타 리카 카르마
의식 (불교)
불교에서 카르마의 발달
불교 관련 기사 색인
업
공로 (불교)
Pratitya-samutpada (종속 기원)
삼사라 (불교)
세속 불교
열두니다 나
인도 종교힌두교의 카르마
자이나교의 카르마
다른Er의 신화 (플라토)
태국 TV 드라마Kot Haeng Kam (TV 시리즈 1971) On Air Channel 4
Kot Haeng Kam (TV 시리즈 1976) On Air Channel 7
메모 [ 편집 ]
^ 일반적인 티베트 공통 연설에서 라스 라는 용어"카르마"는 종종 카르마와 과일의 전체 과정을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1]
^ Sanskrit, punaraāvŗtti, punarutpatti, punarjanman 또는 punarjīlvātu
^ 초기 불교에서 중생은 갈망이나 무지에 기인합니다. [16] [17] 카르마 이론은초기 불교 사회학에서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18] [19] [20]
^ 위 인용문을 영어로 번역하는 방법은 다양합니다. 예를 들어, Peter Harvey는 인용문을 다음과 같이 번역합니다. "내가 카르마라고 부르는것은 의지 (cetana ), 오 승려들입니다. 의지가있는 사람은 몸과 말과 마음을 통해 행동합니다." (A.III.415). [26]
이동 ↑ Sutta-nipata verse 1366
^ 예를 들어, 경량 부 상기의 subsect 설일체유부 의 가장 중요한 초기 불교 학교 , [31] 에 대한 자극 될 의도 간주 업 하는 결과에 이르게, 액션. [30]Vaibhāṣika 상기 설일체유부의 다른 서브 분파 적절한 업 등의 의도에 대해 행위로부터 의도를 분리 하였다. [32] [인용문 2]
^ Abhidharma 에서는명확성을 위해 특정 이름으로 언급되며, karmic 원인은 "결과의 원인"(S. vipāka-hetu )이고 karmic 결과는 "결과 과일"(S. vipāka-phala )입니다. . [35]
^ 또한 보십시오 Saṅkhāra
^ 들어 bīja 도 참조 Yogacara # 카르마, 씨앗, 창고 의식은
^ 우리가 알고있는 12 중 사슬은 점진적인 발전의 결과입니다. 더 짧은 버전도 알려져 있습니다. 슈만에 따르면, 12 중 사슬은 세 개의 연속적인 삶의 조합 일 수 있으며, 각각은 일부 삼 카라가 보여줍니다. [48]
^ 또한 Sivaka Sutta (Samyutta Nikaya 36.21)참조 . 부처는 감정이 발생할 수있는 8 가지 가능한 원인을 언급합니다. 여덟 번째 원인 만이 업에 기인 할 수 있습니다. [50]
^ Dasgupta는 인도 철학에서 acintya는 "사실을 설명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받아 들여 져야하지만 논리의 면밀한 조사를 견딜 수없는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64] 도 참조 인 아기-Vacchagotta Sutta를 , Majjhima 따라 니까야 (72) "불에서 [의 직유법]에 Vatsagotra에 대한 담론", [65] [웹 8] 부처님은 "10 불확정 질문에 Vatsagotra 심문하는, " [65] 그리고 Buddha는 Tathagata 는 꺼진 불과 같으며"바다처럼 깊고, 무한하며, 헤아릴 수 없다 "고 설명합니다. [66]
^ 재 탄생에 대한 이해와 자신의 행위에 따른 재현은 Majjhima Nikaya 36에 설명 된 바와 같이 부처님이 깨달음에서 습득했다고하는 처음 두 가지 지식입니다. [75]
^ Bronkhorst는 Schmithausen을 따르고 있습니다. 그는 자주 인용되는 그의 기사 On some Aspects of Descriptions or Theories of 'Liberating Insight'and 'Enlightenment'in Early Buddhism 에서 4 개의 고귀한 진리가 "통찰 해방"을 구성한다고 언급합니다. Rupa Jhanas를 습득 한 후 얻은 것은 나중에 Majjhima Nikaya 36과 같은 텍스트에 추가 된 것입니다. [76] 이 설명의 신뢰성과 연구의 핵심 문제인 dhyana 와 통찰력의 관계에 의문을 제기합니다.초기 불교의. [77] Tilmann Vetter에 따르면, 원래 dhyana의 수행과 그에 따른 마음의 진정이 부처님의 해방적인 수행을 구성했을 수 있습니다. [78]
^ Langer : "내가 산스크리트어 텍스트에서 자료를 검색 할 때 두 가지 사실이 분명해졌습니다. 첫째, 인도 철학의 중심 인 중생은 초기 텍스트에서 발견되지 않았고, 둘째, 재생과 카르만은 연결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사실 원래 카르만은 재생과 관련된 몇 가지 개념 중 하나에 불과한 것 같지만 시간이지나면서 다른 개념보다 더 인기가 있음이 입증되었습니다. 이러한 '다른 개념'중 하나는 재생과 관련된 것입니다. '자신의 소원에 따른 재생'에 대한 호기심 많은 개념, 때때로 본문에서 kAmacAra라고도합니다. 소원 (텍스트에서 kAma 또는 kratu로 다양하게 언급 됨)은 특정 형태 또는 재생의 장소에 대한 것이며 자발적 일 수 있습니다. 죽음의 시간) 또는 오랫동안 재배되었습니다.이러한 이해는 정신적 노력, 긍정적 인 마음 상태가 좋은 재생을 가져올 수 있다는 불교의 관념과 어느 정도 친화력이있는 것 같습니다. "[86]
^ 스타니 Schayer의 Nikayas 가까이 Brahmanical의 신념이다 불교의 오래된 형태의 요소를 보존하는 1930 년대에 주장 폴란드 학자, [87] 와 대승 불교의 전통에 살아있다. [88] [89] Schayer에 따라, 이들 요소들 중 하나는 열반 불멸의 달성으로 생각하고, 더 위로 떨어지는 없을 것이다로부터 불사 구의 확보되었다는 것이다. [90] 포크에 따르면, precanonical 전통, 현실의 삼중 분할가 있고, 열반의 영역은 "amrta 구"인 세 번째 영역은 반야 특징. 이 열반은 깨달은 거룩한 사람이 얻는 "위"또는 "장소"입니다. [91]Falk에 따르면,이 계획은 해방의 길에 대한 전조 적 개념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92] nirvanic 소자,에 "본질적으로"순수 의식으로 삼사라 내에 내재. 세 몸은 동심의 현실이며, 벗겨 지거나 버려져 해방 된 사람의 니로 다카야 만 남는다. [92] 또한 Rita Langer (2007), " 죽음과 재생의 불교 의식 : 현대 스리랑카 관습과 그 기원 ", p.26-28, "redeath"( punarmrtyu )를 참조하십시오. [93]
^ Tilmann Vetter, Das Erwachen des Buddha , Bronkhorst에 의해 참조되는. [94]
↑ Mūlamadhyamakavṛtty-Akutobhayā , sDe dge Tibetan Tripitaka (Tokyo, 1977) pp. 32, 4.5, Dargyay에서 인용, 1986, p.170. [43]
^ Ken Jones, 불교의 사회적 얼굴 : 정치와 사회 활동에 대한 접근 , 지혜 간행물, 1989 년, "업장 중생없는 불교 윤리?" by Winston L. King Journal of Buddha Ethics 1 권 1994
인용구 [ 편집 ]
^ Rupert Gethin : "[Karma는] 신체, 말, 정신의 의도적 인 '행동'입니다. 무엇을하든, 말 했든, 심지어는 분명한 의도 나 의지로 생각하는 것입니다."; [23]"근본 카르마 또는 '행동'은 정신적 행위 또는 의도로 간주됩니다. 그것은 우리의 정신 생활의 한 측면입니다. '내가 카르마라고 부르는 것은'의도 '입니다. 의도를 형성 한 사람은 행위를 수행합니다. (카르마) 몸, 말, 정신으로. ' " [24]
^ Gombrich : "신체적, 언어 적 행동은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의도를 나타 냈으므로 vijñapti, '정보'라고 불렀습니다." [32]
^ 카르마와 삼사라 :Peter Harvey : "중생 사이에 존재의 이동은 우연한 과정이 아니라 과거 행동의 본질과 질에 따라 존재가 다시 태어난다는 원칙 인 카르마의 법칙에 의해 명령되고 관리됩니다. 그들은 그들의 '상속자'입니다. 액션 (M.III.123). " [37]
Damien Keown : "[존재 영역의] 우주론에서 카르마는 건물의 한 층에서 다른 층으로 사람을 데려가는 엘리베이터 역할을합니다. 선행은 위로 이동하고 나쁜 행동은 아래로 이동합니다. 카르마는 그렇지 않습니다. 신이 제시 한 보상과 형벌의 시스템이지만 중력의 법칙과 유사한 일종의 자연법입니다. 따라서 개인은 그들의 선과 악의 유일한 저자입니다. " [38]
Alexander Berzin : "간단히 말해, 외부 및 내부 시간주기는 삼사라를 묘사합니다. 문제와 어려움이 가득한 통제 할 수없이 반복되는 재생입니다. 이러한주기는 Kalachakra 시스템에서"업의 바람 "으로 알려진 에너지 충동에 의해 구동됩니다. 카르마는 마음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현실에 대한 혼란으로 인해 발생하는 힘입니다. " [웹 2]
폴 윌리엄스 : "모든 중생은 카르만에 기인하며 영원하지 않습니다. 깨달음을 얻지 못할 때마다 한 사람이 태어나고 죽고, 자신의 카르만의 완전히 비인격적인 인과 적 본질에 따라 다른 곳에서 다시 태어납니다. , 재 탄생, 그리고 redeath는 samsara입니다. " [39]
^ 건전하고 불건전 한 행동 :Ringu Tulku : "우리는 긍정적, 부정적 또는 중립적 인 행동을 통해 세 가지 다른 방식으로 [karmic 결과]를 만듭니다. 친절과 사랑을 느끼고 이러한 태도로 좋은 일을하여 자신과 타인 모두에게 이로운 일을합니다. 똑같이 해로운 의도로 해로운 행위를 저지르는 것은 부정적인 행동입니다. 마지막으로 우리의 동기가 무관심하고 우리의 행위가 해롭거나 유익하지 않을 때 이것은 중립적 인 행동입니다. 우리가 경험하는 결과는 품질과 일치합니다. 우리 행동의. " [40]
Gethin : [R] 하부 영역에서의 출산은 상대적으로 불건전 한 (akuśala / akusala) 또는 나쁜 (파파) 카르마의 결과로 간주되는 반면, 상위 영역에서의 재생은 상대적으로 건전한 (kuśala / kusala)의 결과로 간주됩니다. 좋은 (puṇya / puña) 카르마. [23]
^ Dargray : "업에 대한 [불자들]의 이해가 보편적 무상성 및 무 자기의 불교 교리와 관련이있을 때,이 흔적이 저장되는 위치와 흔적이 무엇인지에 관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합니다. 문제는 다음과 같은 경우 더욱 악화됩니다. 모든 불교 철학 학파에 제시된 중요한 문제는 흔적이 저장되는 위치와 개인을 구성하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현상의 흐름에 어떻게 남아있을 수 있는가하는 것입니다. 이 흔적의 본질이 무엇인지. " [43]
^ 씨앗과 과일 :Peter Harvey : "Karma는 종종 씨앗에 비유되며, karmic 결과의 두 단어 인 vipaka 및 phala 는 각각 '숙성'과 '과일'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행동은 조만간 씨앗과 같습니다. 그것의 자연적인 성숙 과정은 행동을하는 사람에게 특정한 열매를 맺게합니다. " [26]
Ken McLeod : "Karma는 우리의 행동이 내외 부적으로 어떻게 경험으로 진화하는지 설명합니다. 각 행동은 세상에 대한 우리의 경험으로 성장하거나 진화하는 씨앗입니다. 모든 행동은 새로운 성장 과정을 시작하거나 오래된 것을 강화합니다. 네 가지 결과로 설명됩니다 . [subnote 1] [web 5]
^ Bhikkhu Thanissaro : " Vedists 와 Jains 가 행위와 그 결과 사이의 관계를 예측 가능하고 타당하다고 생각 하게 만든 선형 인과 관계 이론과는 달리, 이 / 그 조건 의 원리는 그 관계를 본질적으로 복잡하게 만듭니다. 업의 결과[subnote 2]어느 한 시점에서 경험 한 것은 과거 업뿐만 아니라 현재 업에서도옵니다. 이는 습관적 행위와 상응하는 결과 [MN 135]와 관련된 일반적인 패턴이 있지만, 특정 행위와 그 결과 사이에 설정된 일대일 관계가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 대신, 그 결과는 행동의 맥락에 따라 결정되는데, 그 전후의 행동 [MN 136]과 행동하거나 그 결과를 경험할 때의 마음 상태 [AN 3:99] 모두에서 결정됩니다. [...] 이 / 그 조건에 내재 된 피드백 루프 는 특정 인과 관계에서 작업하는 것이 실제로 매우 복잡 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부처님의 업의 결과가 있다는 4:77 말한다 이유를 설명 평가할 수없는. 부처님의 정신적 범위를 발전시킨 사람 (그 자체로는 믿을 수없는 또 하나)만이 업의 네트워크의 복잡함을 추적 할 수있을 것입니다. 업의 기본 전제는 간단합니다. 숙련 된 의도는 유리한 결과로 이어지고, 미숙 한 의도는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로 이어진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러한 결과가 스스로 해결되는 과정은 너무 복잡해서 완전히 매핑 할 수 없습니다. 우리는 이것을 간단한 방정식에 의해 생성 된 수학적 집합 인 Mandelbrot 집합과 비교할 수 있지만 그래프가 너무 복잡해서 완전히 탐색 할 수 없을 것입니다. " [51]
^ Sivaka Sutta (Samyutta Nikaya 36.21) : "그러므로 교리에 속한 모든 브라만과 관상가 는 개인이 느끼는 쾌락, 고통, 쾌락도 고통도 전적으로 이전에 한 일에 기인한다고 생각합니다. 자신이 알고있는 것을 넘어서, 세상이 합의한 것을 넘어서 라. 그러므로 나는 그 브라만과 관상가가 틀렸다고 말한다. "
^ 보상과 처벌 시스템이 아닙니다.Damien Keown : "Karma는 신이 제시 한 보상과 처벌의 시스템이 아니라 중력의 법칙과 유사한 일종의 자연법입니다. 따라서 개인은 그들의 선과 악의 유일한 저자입니다."
Peter Harvey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26] - "업의 법칙은 물리학의 법칙과 같이 사물의 본질에 내재 된 자연 법칙으로 간주됩니다. 그것은 신에 의해 운영되지 않으며 실제로 신들은 그 지배 아래 있습니다. 그러므로 선하고 악한 재생은 "보상"과 "처벌"이 아니라 단순히 특정 종류의 행동의 자연스러운 결과로 간주됩니다. " [55]
Dzongsar Khyentse : "[Karma]는 일반적으로 일종의 도덕적 보복 체계로 이해됩니다."나쁜 "카르마와"선한 "카르마. 그러나 카르마는 단순히 원인과 결과의 법칙이며 도덕성 또는 윤리와 혼동해서는 안됩니다. 아니요 부처를 포함하여 하나는 부정적인 것과 긍정적 인 것에 대한 근본적인 기준을 설정합니다. "모든 복합적인 것은 무상하다"와 같은 진리에서 우리를 멀어지게하는 동기와 행동은 부정적인 결과 나 업장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모든 감정은 고통이다"와 같은 진리를 이해하는 데 더 가까워지면 긍정적 인 결과 나 좋은 업장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결국 부처님이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행동 뒤에 숨은 동기를 진정으로 알 수 있습니다. . " [56]
Khandro Rinpoche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불교는 비신 론적 인 철학입니다. 우리는 창조자를 믿지 않고 특정 상황을 만들어 결실을 맺는 원인과 조건을 믿습니다. 이것은 업장이라고합니다. 이것은 판단과 관련이 없습니다. 하나는 우리의 업을 추적하고 우리를 위나 아래로 보내는 것입니다. 카르마는 단순히 원인 의 전체 성 또는 첫 번째 행동이며 그 결과 또 다른 원인이되는 결과 또는 결실입니다. 사실 하나의 카르마 원인은 많은 원인을 가질 수 있습니다. 열매는 모두 수천 개 이상의 창조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소수의 씨앗이 전체 곡물 밭으로 익을 수있는 것처럼, 소량의 업은 무한한 효과를 생성 할 수 있습니다. " [57]
Walpola Rahula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업의 이론은 이른바 '도덕적 정의'또는 '보상과 처벌'과 혼동되어서는 안됩니다. 도덕적 정의 또는 보상과 처벌의 개념은 최고의 존재 인 옳고 그름을 결정하는 심판의 자리에 앉으시는 하나님. '정의'라는 용어는 모호하고 위험하며 그 이름으로 인류에게 선보다 해를 끼친다. 카르마의 이론은 다음과 같다. 원인과 결과, 행동과 반응의 이론; 그것은 정의 나 보상과 처벌의 개념과는 무관 한 자연 법칙입니다. 모든 의지적인 행동은 그 결과 나 결과를 낳습니다. 좋은 행동이 좋은 결과를 낳고 나쁜 행동 나쁜 결과, 그것은 정의, 보상, 또는 당신의 행동에 대한 판단에 앉아있는 누군가 또는 권력에 의해 제공된 처벌이 아닙니다.그러나 이것은 그 자체의 본성, 그 자체의 법칙에 따른 것입니다. "[58]
^ Rupert Gethin : "불교의 관점에서 인생의 특정 경험은 실제로 이전 행동의 결과입니다. 그러나 그러한 경험에 대한 우리의 반응은 원하든 원하지 않든 미리 결정된 것이 아니라 시간이 지나면 자신의 결실을 맺는 새로운 행동을 나타냅니다. 개인의 책임에 대한 불교의 이해는 우리가 삶의 문제에 더 잘 대처하기 위해 다른 사람의 도움을 구하거나 기 대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한 단계에 다리가 부러 졌다는 믿음은 불건전 한 결과로 설명 될 수 있습니다. 전생에서 행한 행동이 다리가 부러진 상태로 병원에 가면 안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 [59]
서브 노트
^ 티베트 전통에서 karmic action은 완전히 숙성의 결과, 일어난 일의 결과, 행동 한 결과, 환경적인 결과의 네 가지 결과로 성장합니다.
^ Bhikkhu Thanissaro는 카르마를 위해 Pali 철자를 사용합니다.
↑ MMK (XVII.6), Dargyay에서 인용, 1986, p.170 [43]
참고 문헌 [ 편집 ]
^ 다음으로 이동 :a b c Padmakara 번역 그룹 1994, p. 101.
↑ Chapple 1986 , p. 2.
↑ Lichter & Epstein 1983 , p. 232.
↑ Kalupahanna 1992 , p. 166.
^ 다음으로 이동 :a b Keown 2000, p. 36-37.
^ 다음으로 이동 :a b c d e Gombrich 2009, p. 19.
↑ Kopf 2001 , p. 141.
↑ Kragh 2001 , p. 11.
↑ Keown 2000 , p. 810-813.
↑ Klostermaier 1986 , p. 93.
↑ Keown 2000 , p. 37.
↑ Kragh 2006 , p. 11.
↑ Lamotte 1987 , p. 15.
↑ Bucknell 1984 .
^ 다음으로 이동 :a b c d Buswell 2004, p. 712.
^ 다음으로 이동 :a b c Vetter 1988, p. xxi.
^ 다음으로 이동 :a b c Buswell 2004, p. 416.
^ 다음으로 이동 :a b c d e Matthews 1986, p. 124.
^ 다음으로 이동 :a b c Schmithausen 1986, p. 206-207.
^ 다음으로 이동 :a b c Bronkhorst 1998, p. 13.
^ 다음으로 이동 :a b Bronkhorst 1998.
↑ Gethin 1998 , p. 119-120.
^ 다음으로 이동 :a b Gethin 1998, p. 119.
↑ Gethin 1998 , p. 120.
↑ Gombrich 1997 , p. 55.
^ 다음으로 이동 :a b c d e Harvey 1990, 39-40 쪽.
↑ Gombrich 1997 , p. 51.
↑ Gombrich 1996 , p. 65-66.
↑ Gombrich 1996 , p. 68.
^ 다음으로 이동 :a b Gombrich 1007, p. 54-55.
↑ Gombrich 1007 , p. 54.
^ 다음으로 이동 :a b Gombrich 1007, p. 55.
↑ Kalupahana 1992 , p. 166.
↑ Reichenbach 1988 , p. 399.
↑ Waldron 2003 , p. 61.
^ 다음으로 이동 :a b Reichenbach 1990, p. 1.
↑ Harvey 1990 , p. 39.
↑ Keown 2000 , Kindle 위치 794-797.
↑ Williams 2002 , p. 74.
↑ Ringu Tulku 2005 , p. 31.
↑ Vetter 1988 , p. 84.
↑ Vetter 1988 , p. 85.
^ 다음으로 이동 :a b c d e Dargyay 1986, p. 170.
↑ Vetter 1988 , p. 52, 참고 8.
↑ Bronkhorst 1998 , p. 12.
↑ Harvey 1990 , p. 40.
↑ Schumann 1997 , 88–92 쪽.
↑ Schumann, 1997 & 88-92 .
↑ Kalupahana 1975 , p. 127.
^ 다음으로 이동 :a b c Gombrich 2009, p. 20.
^ 다음으로 이동 :a b c d Bhikkhu Thanissaro 2010, pp. 47-48.
↑ Harvey 2012 , 페이지. 42.
↑ Kalupahana 1975 , p. 131.
↑ Keown 2000 , p. 794-796.
↑ Keown 2000 , Kindle loc. 794-796.
↑ Dzongsar Jamyang Khyentse 2011 , p. 76.
↑ Khandro Rinpoche 2003 , p. 95.
↑ Walpola Rahula 2007 , Kindle 위치 860-866.
^ 다음으로 이동 :a b Gethin 1998, p. 27.
↑ Gethin 1998 , p. 153-154.
↑ Gombrich 2009 , p. 21-22.
↑ Vetter 1988 , p. 79-80.
^ 다음으로 이동 :a b Buswell & Lopez Jr. 2013, p. 14.
↑ Dasgupta 1991 , p. 16.
^ 다음으로 이동 :a b Buswell & Lopez Jr. 2013, p. 852.
^ accesstoinsight, Aggi-Vacchagotta Sutta : To Vacchagotta on Fire , 번역 : Thanissaro Bhikkhu
^ 다음으로 이동 :a b Gombrich 2009, p. 20-22.
↑ Vetter 1987 , p. 50-52.
↑ Vetter 1988 , p. 80-82.
↑ Gombrich 1991 .
^ 다음으로 이동 :a b 매튜스 1986, p. 125.
^ 다음으로 이동 :a b Collins 1999, p. 120.
↑ Vetter 1988 , p. 79.
↑ Goldstein 2011 , p. 74.
^ 다음으로 이동 :a b c Bronkhorst 1993.
↑ Schmithausen 1981 ; Bronkhorst 1993 ; 베터 1988 .
↑ Vetter 1988 ; Bronkhorst 1993; Gombrich 1997 .
↑ Vetter 1988 .
↑ McDermott 1980 , p. 175.
^ 다음으로 이동 :a b McDermott 1984, p. 21.
↑ SN.4.132
^ 다음으로 이동 :a b Lamotte 2001, p. 18.
^ 다음으로 이동 :a b Samuel 2010.
^ 다음으로 이동 :a b c vetter 1988, p. 78.
^ 다음으로 이동 :a b 슈미트 하우젠 1986.
^ 다음으로 이동 :a b Langer 2007, p. 26.
↑ Lindtner 1997 ; Lindtner 1999; Akizuki 1990 , pp. 25-27; 레이 1999 .
↑ Reat 1998 , p. xi.
↑ Conze 1967 , p. 10.
↑ Ray 1999 , p. 374-377.
↑ Ray 1999 , p. 375.
^ 다음으로 이동 :a b 레이, p. 375.
↑ Langer 2007 , p. 26-28.
^ 다음으로 이동 :a b Bronkhorst 1998, p. 삼.
↑ Bronkhorst 1998 , p. 16.
↑ Bronkhorst 1998 , p. 14.
↑ Ryose 1987 , p. 삼.
^ 다음으로 이동 :a b Hirota 2004, p. 5100.
↑ Ryose 1987 , 3-4 쪽.
↑ Ryose 1987 , 39-40 쪽.
↑ Lamotte 2001 .
↑ Park 2007 , 234-236 쪽.
↑ Matthews 1986 , p. 132.
^ 다음으로 이동 :a b McDermott 1975, p. 424.
^ 다음으로 이동 :a b McDermott 1975, pp. 426-427.
↑ McDermott 1980 , p. 168.
↑ McDermott 1984 , p. 110.
^ 다음으로 이동 :a b McDermott 1984, 109-111 쪽.
↑ McDermott 1977 , p. 463.
↑ McDermott 1977 , p. 462.
↑ Harvey 2000 , p. 297.
↑ Lusthaus 2002 , p. 194.
^ 다음으로 이동 :a b Lusthaus 2002, p. 48.
↑ Lamotte 2001 , 13,35 쪽.
↑ Bronkhorst 2000 .
^ 다음으로 이동 :a b Harvey 2000, p. 130.
↑ Huntington 1986 , p. 4.
↑ Norgay 2014 , p. V.
↑ Kalu Rinpoche 1993 , p. 204.
^ 다음으로 이동 :a b Zopa Rinpoche 2004, p. ix.
↑ Thrangu Rinpoche 2012 , 20-21 쪽.
↑ Patrul Rinpoche 2011 , 264-265 쪽.
↑ Dōgen 1975 , p. 142, 149.
↑ Lopez 2001 , p. 239.
↑ Fowler, Jeaneane and Merv (2009). 언덕에서 노래 . 오리건 주 포틀랜드 : Sussex Academic Press. 피. 78.
^ 다음으로 이동 :a b McMahan 2008, p. 198.
↑ McMahan 2008 , p. 174.
↑ Wright 2004 , p. 81.
↑ Wright 2004 , p. 89-90.
↑ Loy 2008 , p. 57.
↑ Loy 2008 , p. 55.
^ 다음으로 이동 :a b Burke 2003, p. 32-33.
출처 [ 편집 ]
인쇄물 [ 편집 ]
Sutta Pitaka [ 편집 ]
Bhikkhu Bodhi (번역가) (2000), The Connected Discourses of the Buddha : A New Translation of the Samyutta Nikaya , Boston : Wisdom Publications, ISBN 0-86171-331-1
Bhikkhu Nanamoli (번역가) (1995), The Middle Length Discourses of the Buddha : A New Translation of the Majjhima Nikaya , Boston : Wisdom Publications, ISBN 0-86171-072-X
불교 교사 [ 편집 ]
Bhikkhu Thanissaro (2010), Wings to Awakening : Part I (PDF) , Metta Forest Monastery, Valley Center, CA
달라이 라마 (1998), 네 고귀한 진실 , 토르 슨
Dōgen, Kigen (1975), Shobogenzo : 참법의 눈과 재무부, Vol. 1 , Kosen Nishiyama 및 John Stevens (번역가), 센다이, 일본 : Daihokkaikaku Publishing Co.
Dzong Jamyan Khyentse (2012), Not for Happiness, A Guide to the So-Called Preliminary Practices , Shambala Publications, ISBN 978-1-61180-030-2
Geshe Tashi Tsering (2005), 네 고귀한 진실 : 불교 사상의 기초, 제 1 권 , 지혜, 킨들 에디션
Goldstein, Joseph (2011), One Dharma : The Emerging Western Buddhism , HarperCollins, Kindle Edition
Goldstein, Joseph (2013), Mindfulness : A Practical Guide to Awakening , Sounds True, Kindle Edition
Kamenetz, Rodger (1995), Jew in the Lotus : A Poet 's Re-Discovery of Jewish Identity in Buddhist India , HarperOne
칸 드로 린포체 (2003), 이 소중한 삶 , 샴발라
Khenchen Konchog Gyaltshen (2009), 불교의 길에 대한 완전한 가이드 , Snow Lion
Lama Surya Das (1997), Awakening the Buddha Within , Broadway Books, Kindle Edition
Leif, Judith (2009), Chogyam Trungpa의 'The Truth of Suffering and the Path of Liberation'(Judy Leif 편집) , Shambhala 소개
Mingyur Rinpoche (2007), 삶의 기쁨 : 행복의 비밀과 과학을 풀다 , Harmony Kindle Edition
Moffitt, Philip (2008), Dancing with Life : 불교의 통찰을 통해 고통에 직면 한 의미와 기쁨을 찾는 방법 , Rodale, Kindle Edition
PA Payutto (1993), "Kamma의 법칙의 오해" , Good, Evil and Beyond : Kamma in the Buddha 's Teaching , www.buddhanet.net , 2013 년 10 월 4 일에 원본 에서 보관 됨
링구 툴쿠 (2005), 대담함을 향한 대담한 발걸음 : 티베트 불교의 세 가지 수단 , 눈 사자
Ringu Tulku (2012), Confusion Arises as Wisdom : Gampopa 's Heart Advice on the Path of Mahamudra , Shambhala, Kindle Edition.
Sonam Rinchen (2006), 카르마의 작동 원리 : 의존적 발생의 열두 링크 , Snow Lion
Thubten Jinpa (2014), Mind Training : The Great Collection (Kindle Edition) , 지혜
Thrangu Rinpoche (2001), 상호 의존적 기원의 열두 링크 , Snow Lion
Thrangu Rinpoche (2012), Dharmakaya 지적 : 아홉 번째 Karmapa의 텍스트에 대한 가르침 , Nama Buddha
Traleg Kyabgon (2001), 불교의 본질 , Shambhala
Tsongkhapa (2000), Cutler, Joshua WC (ed.), The Great Treatise On The Stages Of The Path To Enlightenment Vol 1 , Snow Lion
Walpola Rahula (2007), 부처님이 가르친 것 (Kindle ed.), Grove Press
학술 자료 [ 편집 ]
아키즈키, 료민 (1990), 뉴 마하 야나 : 포스트 모던 세계를위한 불교 ,자인 출판사
Bronkhorst, Johannes (1993), 고대 인도 명상의 두 전통 , Motilal Banarsidass Publ.
Bronkhorst, Johannes (1998), "부처님은 업과 중생을 믿었습니까?" , 국제 불교 학회지 , 21 (1) : 1–20
Bronkhorst, Johannes (2000), "Karma and Teleology : A Problem and its Solutions in Indian Philosophy" (PDF) , 국제 불교학 대학 국제 불교 연구소 , 도쿄
Burke, Erin (2003), "Karmic Calculations : The Social Implications of Karmic Causality in Tibet", Chrestomathy : Annual Review of Charleston College at the College of Charleston, Volume 2, 2003
Buswell, Robert E. (ed.) (2004), Encyclopedia of Buddhism , Macmillan Reference USA
Buswell, Robert E .; Lopez Jr., Donald S., 편집. (2013), 프린스턴 불교 사전 , 프린스턴 대학 출판부
Chapple, Christopher (1986), Karma and Creativity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0-88706-250-4
콜린스, 스티븐 (1999), 이타적인 사람 : 소승 불교의 이미지와 생각 , Cambridge University Press
Conze, Edward (1967), 30 년의 Buddhis Studies. Edward Conze (PDF) , Bruno Cassirer의 엄선 된 에세이
Dargyay, Lobsang (1986), "Tsong-Kha-Pa의 Karma 개념", Neufeldt (ed.), Karma and Rebirth : Post Classical Developments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0-87395-990-6
Dasgupta, Surendranath (1991), A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Volume 4 , Motilal Banarsidass Publ.
Dowling, Thomas L. (2006), "Karma Doctrine and Sectarian Development", in Narain, AK (ed.), Studies in Pali and Buddhism : A Memorial Volume in Honor of Bhikku Jagdish Kashyap , BR Publishing Corporation
Garfield, Jay L. (1995), The Fundamental Wisdom of the Middle Way. Nagarjuna의 Mulamadhyamakakarika , Oxford University Press
Garfield, Jay (2013), "잃을 것이없는 것에 대한 또 다른 단어 : Madhyamikas를위한 자유, 선택 의지 및 윤리", Dasti, Matthew R .; Bryant, Edwin F. (eds.), 인도 철학의 자유 의지, 대행사 및 자아 , Oxford University Press
Gethin, Rupert (1998), Foundations of Buddhism , Oxford University Press
Gombrich, Richard F. (1991), 불교 계율 및 실천. 실론 , Motilall Banarsidass 의 시골 고원의 전통 불교
Gombrich, Richard (1996), Theravada Buddhism. 고대 베나 레스에서 현대 콜롬보까지의 사회 사 , Routledge
Gombrich, Richard F. (1997), 어떻게 불교가 시작되었는지. 초기 가르침의 조건화 된 창세기 , 뉴 델리 :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Pvt. Ltd.
Gombrich, Richard (2009), What the Buddha Thought , Equinox
Goodman, Steven D. (1992), "상황 패턴 화 : Pratītyasamutpāda", Tarthang Tulku (ed.), Karma 및 Rebirth : Post Classical Developments , Crystal Mirror Series I-III, Dharma Publishing
Harvey, Peter (1990), Introduction to Buddhism , Cambridge University Press
Harvey, Brian Peter (1995), 이타적인 마음 : 초기 불교의 성격, 의식 및 Nirvāṇa , Routledge, ISBN 0-7007-0338-1
Harvey, Brian Peter (2000), 불교 윤리 입문 : 기초, 가치 및 문제 , Routledge, ISBN 0-521-55640-6
Hirota, Dennis (2004), "Karman : Buddhist concepts", in Jones, Lindsay (ed.), Encyclopedia of Religion (2nd ed.), Macmillan Reference USA
Huntington, Clair W., Jr. (1986), The "Akutobhaya"및 초기 인도 Madhyamika (Volumes I 및 II) (불교, 인도, 중국, 티베트). 박사 논문 , University of Michigan
Huntington, John C .; Bangdel, Dina (2003), The Circle of Bliss : 불교 명상 예술 , 세린 디아
Kalupahana, David (1975), Causality : The Central Philosophy of Buddhism , University of Hawaii Press
Kalupahana, David J. (1992), 불교 심리학의 원리 , 델리 : ri Satguru 간행물
Kalupahana, David (1995), Ethics in Early Buddhism , University of Hawaii Press
Keown, Damien (2000), Buddhism : A Very Short Introduction , Oxford University Press, Kindle Edition
Klostermaier, Klaus K. (1986), "북인도 Vaisnavas 중 카르마와 중생의 현대 개념", Neufeldt, Ronald W. (ed.), Karma and Rebirth : Post-classical Developments , Sri Satguru 간행물
Kopf, Gereon (2001), Beyond Personal Identity : Dōgen, Nishida, and a Phenomenology of No-self , Psychology Press
Kragh, Ulrich Timme (2006), 초기 불교 행동 이론 및 결과 : Karmaphalasambandha 연구, Candrakirti의 Prasannapada, 17.1-20 절 , Arbeitskreis für tibetische und buddhistische Studien, Universität Wien, ISBN 3-902501-03-0
Lamotte, Etienne (1987), Karmasiddhi Prakarana : Vasubandhu의 행동에 관한 논문 , Asian Humanities Press
Lamotte, Etienne (1988), 인도 불교의 역사 , Publications de l' Institut Orientaliste de Louvain
Lamotte, Etienne (2001), Karmasiddhi Prakarana : Vasubandhu의 행동에 관한 논문 , Leo M. Pruden의 영어 번역, Asian Humanities Press
Langer, Rita (2007), 죽음과 재생의 불교 의식 : 현대 스리랑카 관습과 그 기원 , Routledge
Lichter, David; Epstein, Lawrence (1983), "Irony in Tibetan Notions of the Good Life", in Keyes, Charles F .; Daniel, E. Valentien (eds.), Karma : Anthropological Inquiry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Lindtner, Christian (1997), "전경 불교의 문제" , 불교 연구 검토 , 14 : 2
Lindtner, Christian (1999), "브라만교에서 불교로", 아시아 철학 , 9 (1) : 5–37, doi : 10.1080 / 09552369908575487
Lopez, Donald S. (2001), 불교 이야기 , HarperCollins
Loy, David R. (2008), Money, Sex, War, Karma : Notes for a Buddhist Revolution , 지혜, ISBN 978-0861715589
Lusthaus, Dan (2002), 불교 현상학 : 요가 카라 불교와 청 웨이시 룬의 철학적 조사 , RoutledgeCurzon, ISBN 0-415-40610-2
Macy, Joanna (1991), 불교 및 일반 시스템 이론의 상호 인과 관계 : 자연 시스템 의 법칙, SUNY
Matthews, Bruce (1986), "제 7 장 : 테라 바다 불교의 카르마 개념과 중생의 고전적 발전", Neufeldt, Ronald W. (ed.), Karma and Rebirth : Post Classical Developments ,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0-87395-990-6
McDermott, James Paul (1975), "The Kathāvatthu Kamma Debates",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Vol. 95, No. 3, 1975 년 7 월 – 9 월)
McDermott, James Paul (1977), "Kamma in the Milindapañha",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Vol. 97, No. 4, Oct. – Dec., 1977)
McDermott, James P. (1980), "Karma and Rebirth in Early Buddhism", in O'Flaherty, Wendy Doniger (ed.), Karma and Rebirth in Classical Indian Traditions ,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0-520-03923-8
McDermott, James Paul (1984), Kamma / Karma의 초기 불교 개념 개발 , Munshiram Manoharlal 출판사, ISBN 81-215-0208-X
McMahan, David L. (2008), The Making of Buddhist Modernism ,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18327-6
Monier-Williams (1964) [1899], A Sanskrit-English Dictionary (PDF) , London : Oxford University Press , 2008 년 12 월 27 일 검색
Padma, Sree; Barber, AW, eds. (2009), 안드라 크리슈나 강 계곡의 불교 , 뉴욕 주립대 학교 출판부
박창환 (2007), The Sautrantika Theory of Seeds ( bija ) Revisited (PhD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Ray, Reginald (1999), 인도의 불교 성도 : 불교의 가치와 방향에 대한 연구 , Oxford University Press
Reat, N. Ross (1998), Salistamba Sutra , Motilal Banarsidass
Reichenbach, Bruce (1988), "카르마의 법칙과 인과 관계의 원리", Philosophy East and West , 38 (4) : 399–410, doi : 10.2307 / 1399118 , JSTOR 1399118
Reichenbach, Bruce (1990), 카르마의 법칙 : 철학적 연구 , 하와이 대학 출판부, ISBN 0-8248-1352-9
Ronkin, Noa (2005), 초기 불교 형이상학 : 철학적 전통 만들기 , Routledge, ISBN 0-203-53706-8
Ryose, Wataru (1987), A Study of the Abhidharmahrdaya :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Karma In The Sarvastivada Thought (PDF) (박사 학위 논문),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원본 (PDF) 에서 11 월 16 일에 보관 됨 , 2014 년
Rhys Davids, Caroline Augusta (2007), 불교 , Davids Press
Samuel, Geoffrey (2010), The Origins of Yoga and Tantra. 13 세기 인도 종교 , Cambridge University Press
슈만, 한스 볼프강 (1997), 보살. Stichter, scholen en systemen , Asoka
Schmithausen, Lambert (1986), Critical Response. 에서 : Ronald W. Neufeldt (ed.), "Karma and rebirth : Post-classical developments" , SUNY
Simmer-Brown, Judith (1987), "고난의 의존적 기원을 해방의 열쇠로 본다", Journal of Contemplative Psychotherapy , The Naropa Institute (4)
Smith, Huston; Novak, Philip (2009), Buddhism : A Concise Introduction , HarperOne, Kindle Edition
Vetter, Tillman (1987), "Suttanipiita의 오래된 부분에 대한 일부 발언", Seyfort Ruegg, Seyfort; Schmithausen, Lambert (eds.), 초기 불교 및 Madhyamaka , BRILL
Vetter, Tilmann (1988), 초기 불교의 아이디어와 명상 관행 , BRILL
Waldron, William S. (2003), The Buddha Unconscious : The Alaya-vijñana in the context of Indian Buddhist Thought , Routledge
Walser, Joseph (2005), Nāgārjuna in Context : Mahāyāna Buddhism and Early Indian Culture , Columbia University Press
Wardner, AK (1970), 인도 불교 , 델리
Watson, Burton (1993), The Lotus Sutra , Columbia University Press
Williams, Paul (2002), 불교 사상 , Taylor & Francis, Kindle Edition
Williams, Paul, 편집. (2005), 불교 — 종교 연구의 비판 개념 II , Shi Huifeng
Wright, Dale S. (2004), "불교에서 카르마의 귀화 개념에 대한 비판적 질문" , Journal of Buddha Ethics , 11
웹 소스 [ 편집 ]
↑ Thanissaro Bhikkhu, 트랜스. (1997). Nibbedhika Sutta : Penetrative , AN 6.63, PTS : A iii 410
^ Alexander Berzin, Kalachakra의 개관
^ 다음으로 이동 :a b Thubten Chodron (1993). 12 개의 링크 – 2/5 (PDF)
^ 다음으로 이동 :a b John Bowker (1997),Karma, 세계 종교의 간결한 옥스포드 사전
^ Karma는 무엇입니까? 2 쪽 , Ken McLeod
^ Karma는 무엇입니까? , 린든
^ accesstoinsight, Acintita Sutta : Unconjecturable , Anguttara Nikaya 4.77
^ accesstoinsight, Aggi-Vacchagotta Sutta : To Vacchagotta on Fire , 번역 : Thanissaro Bhikkhu
^ 불교 윤리 , Harvey에 소개
^ 불교 현상학 : Dan Lusthaus 의 Yogācāra 불교와 Ch'eng Wei-shih lun의 철학적 조사 .
추가 읽기 [ 편집 ]
학술 자료Neufeldt, Ronald W., 편집. (1986), Karma and rebirth : Post-classical developments , SUNY
Gananath Obeyesekere (2002). 상상하는 업장 : 아메리카 원주민, 불교 및 그리스 중생의 윤리적 변화 . 캘리포니아 대학 출판부. ISBN 978-0-520-23243-3.
Gethin, Rupert (1998). 불교의 기초 . 옥스포드 :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289223-1 .
일지부처님의 나쁜 카르마 : 소승 불교 역사의 문제 Jonathan S. Walters, Numen, Vol. 37, No. 1 (1990 년 6 월), pp. 70–95
주요 자료달라이 라마 (1992). 삶의 의미 , Jeffrey Hopkins가 번역하고 편집했습니다. 지혜.
Geshe Sonam Rinchen (2006). 카르마의 작동 원리 : 의존적 발생의 열두 링크 . 스노우 라이온
칸 드로 린포체 (2003). 이 소중한 생명 . Shambala
링구 툴쿠 (2005). 대담함을 향한 대담한 발걸음 : 티베트 불교의 세 가지 수단 . 눈 사자.
외부 링크 [ 편집 ]
Wikiquote 관련 인용문 : Karma |
Wikiquote에는 다음과 관련된 인용문이 있습니다. 불교의 카르마 |
카르마는 무엇입니까? , Ken McLeod 저
Karma에 대한 필수 포인트 , Jeffrey Kotyk
환생이란 무엇입니까? , Alexander Berzin 작성
이해 카르마 에 의해, 레지날드 레이
SarvastivadaAlexis Sanderson , Sarvastivada 및 비평가 : Anatmavada와 Karma 이론
소승Karma by Thanissaro Bhikkhu
업에의 법의 오해 로 Prayudh Payutto
Dhammapada Verse 128 Suppabuddhasakya Vatthu 부처님과 부처님의 전 부인 Yashodhara 의 아버지 인 Suppabuddha에 관한 이야기
요가 카라Richard King (1998), Vijnaptimatrata 및 초기 Yogacara의 Abhidharma 문맥 , 아시아 철학, Vol. 8 No. 1 1998 년 3 월.
NyingmaLongchenpa (1308–1364), Karma, Cause and Effect , The Great Chariot의 4 장
< 원문> 불기2565-04-21 스크랩
Karma in Buddhism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For the use of this term in other Indian religions, see Karma.
Translations of karma | |
---|---|
English | karma |
Sanskrit | कर्मन् (IAST: karman) |
Bengali | কর্ম (kôrmô) |
Burmese | ကံ (IPA: [kàɰ̃]) |
Chinese | 業 or 业 (Pinyin: yè) |
Japanese | 業 or ごう (rōmaji: gou) |
Khmer | កម្ម (UNGEGN: Kam) |
Korean | 업 or 業 (RR: uhb) |
Sinhala | කර්ම (karma) |
Tibetan | ལས། (Wylie: poplas; THL: lé;) |
Thai | กรรม (RTGS: gam) |
Glossary of Buddhism |
Part of a series on |
Buddhism |
---|
showHistory |
showDharma Concepts |
showBuddhist texts |
showPractices |
showNirvāṇa |
showTraditions |
showBuddhism by country |
Outline Religion portal |
v t e |
Contents
1Etymology
2Buddhist understanding of karma2.1Rebirth
2.2Karma
2.3Karmaphala
2.4Complex process
2.5Liberation from samsāra
3Within the Pali suttas
4Within Buddhist traditions4.1Early Indian Buddhism4.1.1Origins
4.1.2Pre-sectarian Buddhism
4.1.3Vaibhāṣika-Sarvāstivādin tradition
4.1.4Dārṣṭāntika-Sautrāntika
4.2Theravādin tradition4.2.1Canonical texts
4.2.2Transfer of merit
4.3Mahayana tradition4.3.1Indian Yogācāra tradition
4.3.2Mādhyamaka philosophy
4.3.3Tibetan Buddhism
4.3.4East Asian traditions4.3.4.1Zen
4.3.4.2Tendai
4.3.4.3Nichiren Buddhism
5Modern interpretations and controversies5.1Social conditioning
5.2Karma theory and social justice
6See also
7Notes
8Quotes
9References
10Sources10.1Printed sources10.1.1Sutta Pitaka
10.1.2Buddhist teachers
10.1.3Scholarly sources
10.2Web-sources
11Further reading
12External links
Etymology[■Edit]
Karma (Sanskrit, also karman, Pāli: kamma, Tib. las[1]) is a Sanskrit term that literally means "action" or "doing". The word karma derives from the verbal root kṛ, which means "do, make, perform, accomplish."[2]
Karmaphala (Tib. rgyu 'bras[3][1][note 1]) is the "fruit",[4][5][6] "effect"[7] or "result"[8] of karma. A similar term is karmavipaka, the "maturation"[9] or "cooking"[10] of karma:
The remote effects of karmic choices are referred to as the 'maturation' (vipāka) or 'fruit' (phala) of the karmic act."[5]
The metaphor is derived from agriculture:[6][11]
One sows a seed, there is a time lag during which some mysterious invisible process takes place, and then the plant pops up and can be harvested.[6]
Buddhist understanding of karma[■Edit]
Tibetan Bhavacakra or "Wheel of Life" in Sera, Lhasa.
Karma and karmaphala are fundamental concepts in Buddhism.[12][13] The concepts of karma and karmaphala explain how our intentional actions keep us tied to rebirth in samsara, whereas the Buddhist path, as exemplified in the Noble Eightfold Path, shows us the way out of samsara.[14]
Rebirth[■Edit]
Rebirth,[note 2], is a common belief in all Buddhist traditions. It says that birth and death in the six realms occur in successive cycles driven by ignorance (avidyā), desire (trsnā), and hatred (dvesa). The cycle of rebirth is called samsāra. It is a beginningless and ever-ongoing process.[15] Liberation from samsāra can be attained by following the Buddhist Path. This path leads to vidyā, and the stilling of trsnā and dvesa. Hereby the ongoing process of rebirth is stopped.
Karma[■Edit]
The cycle of rebirth is determined by karma,[15] literally "action".[note 3] In the Buddhist tradition, karma refers to actions driven by intention (cetanā),[21][22][6][quote 1] a deed done deliberately through body, speech or mind, which leads to future consequences.[25] The Nibbedhika Sutta, Anguttara Nikaya 6.63:
Intention (cetana) I tell you, is kamma. Intending, one does kamma by way of body, speech, & intellect.[web 1][note 4]
According to Peter Harvey,
It is the psychological impulse behind an action that is 'karma', that which sets going a chain of causes culminating in karmic fruit. Actions, then, must be intentional if they are to generate karmic fruits.[26]
And according to Gombrich,
The Buddha defined karma as intention; whether the intention manifested itself in physical, vocal or mental form, it was the intention alone which had a moral character: good, bad or neutral [...] The focus of interest shifted from physical action, involving people and objects in the real world, to psychological process.[27]
According to Gombrich, this was a great innovation, which overturns brahmanical, caste-bound ethics. It is a rejection of caste-bound differences, giving the same possibility to reach liberation to all people, not just Brahmanins:[28]
Not by birth is one a brahmin or an outcaste, but by deeds (kamma).[29][note 5]
How this emphasis on intention was to be interpreted became a matter of debate in and between the various Buddhist schools.[30][note 6]
Karmaphala[■Edit]
Karma leads to future consequences, karma-phala, "fruit of action".[33] Any given action may cause all sorts of results, but the karmic results are only those results which are a consequence of both the moral quality of the action, and of the intention behind the action.[34][note 7] According to Reichenbach,
[T]he consequences envisioned by the law of karma encompass more (as well as less) than the observed natural or physical results which follow upon the performance of an action.[36]
The "law of karma" applies
...specifically to the moral sphere[.] [It is] not concerned with the general relation between actions and their consequences, but rather with the moral quality of actions and their consequences, such as the pain and pleasure and good or bad experiences for the doer of the act.[36]
Good moral actions lead to wholesome rebirths, and bad moral actions lead to unwholesome rebirths.[15][quote 3][quote 4] The main factor is how they contribute to the well-being of others in a positive or negative sense.[41] Especially dāna, giving to the Buddhist order, became an increasingly important source of positive karma.[42]
How these intentional actions lead to rebirth, and how the idea of rebirth is to be reconciled with the doctrines of impermanence and no-self,[43][quote 5] is a matter of philosophical inquiry in the Buddhist traditions, for which several solutions have been proposed.[15] In early Buddhism no explicit theory of rebirth and karma is worked out,[18] and "the karma doctrine may have been incidental to early Buddhist soteriology."[19][20] In early Buddhism, rebirth is ascribed to craving or ignorance.[16][17]
In later Buddhism, the basic idea is that intentional actions,[44] driven by kleshas ("disturbing emotions"),[web 3] cetanā ("volition"),[21] or taṇhā ("thirst", "craving")[45] create impressions,[web 4][note 8] tendencies[web 4] or "seeds" in the mind. These impressions, or "seeds", will ripen into a future result or fruition.[46][quote 6][note 9] If we can overcome our kleshas, then we break the chain of causal effects that leads to rebirth in the six realms.[web 3]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origination provides a theoretical framework, explaining how the disturbing emotions lead to rebirth in samsara.[47][note 10]
Complex process[■Edit]
The Buddha's teaching of karma is not strictly deterministic, but incorporated circumstantial factors, unlike that of the Jains.[49][50][51][quote 7] It is not a rigid and mechanical process, but a flexible, fluid and dynamic process,[52] and not all present conditions can be ascribed to karma.[50][note 11][quote 8] There is no set linear relationship between a particular action and its results.[51] The karmic effect of a deed is not determined solely by the deed itself, but also by the nature of the person who commits the deed, and by the circumstances in which it is committed.[53][51]
Karma is also not the same as "fate" or "predestination".[web 6] Karmic results are not a "judgement" imposed by a God or other all-powerful being, but rather the results of a natural process.[54][26][6][quote 9] Certain experiences in life are the results of previous actions, but our responses to those experiences are not predetermined, although they bear their own fruit in the future.[59][quote 10] Unjust behaviour may lead to unfavorable circumstances which make it easier to commit more unjust behavior, but nevertheless the freedom not to commit unjust behavior remains.[60]
Liberation from samsāra[■Edit]
See also: Right view and Parable of the Poisoned Arrow
The real importance of the doctrine of karma and its fruits lies in the recognition of the urgency to put a stop to the whole process.[61][62] The Acintita Sutta warns that "the results of kamma" is one of the four incomprehensible subjects,[63][web 7] subjects that are beyond all conceptualization[63] and cannot be understood with logical thought or reason.[note 12]
According to Gombrich, this sutra may have been a warning against the tendency, "probably from the Buddha's day until now", to understand the doctrine of karma "backwards", to explain unfavorable conditions in this life when no other explanations are available.[67] Gaining a better rebirth may have been,[68][69] and still is, the central goal for many people.[70][71] The adoption, by laity, of Buddhist beliefs and practices is seen as a good thing, which brings merit and good rebirth,[72] but does not result in Nirvana,[72] and liberation from samsāra, the ultimate goal of the Buddha.[73][67]
Within the Pali suttas[■Edit]
See also: Anatta and moral responsibility
According to the Buddhist tradition, the Buddha gained full and complete insight into the workings of karma at the time of his enlightenment.[74][note 13] According to Bronkhorst, these knowledges are later additions to the story,[75] just like the notion of "liberating insight" itself.[75][note 14]
In AN 5.292, the Buddha asserted that it is not possible to avoid experiencing the result of a karmic deed once it has been committed.[79]
In the Anguttara Nikaya, it is stated that karmic results are experienced either in this life (P. diṭṭadhammika) or in future lives (P. samparāyika).[80] The former may involve a readily observable connection between action and karmic consequence, such as when a thief is captured and tortured by the authorities,[80] but the connection need not necessarily be that obvious and in fact usually is not observable.
The Sammyutta Nikaya makes a basic distinction between past karma (P. purānakamma) which has already been incurred, and karma being created in the present (P. navakamma).[81] Therefore, in the present one both creates new karma (P. navakamma) and encounters the result of past karma (P. kammavipāka). Karma in the early canon is also threefold: Mental action (S. manaḥkarman), bodily action (S. kāyakarman) and vocal action (S. vākkarman).[82]
Within Buddhist traditions[■Edit]
See also: Development of Karma in Buddhism
Various Buddhist philosophical schools developed within Buddhism, giving various interpretations regarding more refined points of karma. A major problem is the relation between the doctrine of no-self, and the "storage" of the traces of one's deeds,[43] for which various solutions have been offered.
Early Indian Buddhism[■Edit]
Origins[■Edit]
The concept of karma originated in the Vedic religion, where it was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rituals[83] or the investment in good deeds[84] to ensure the entrance to heaven after death,[83][84] while other persons go to the underworld.[84]
Pre-sectarian Buddhism[■Edit]
Main article: Pre-sectarian Buddhism
The concept of karma may have been of minor importance in early Buddhism.[18][85] Schmithausen has questioned whether karma already played a role in the theory of rebirth of earliest Buddhism,[85][20] noting that "the karma doctrine may have been incidental to early Buddhist soteriology."[19] Langer notes that originally karma may have been only one of several concepts connected with rebirth.[86][note 15] Tillman Vetter notes that in early Buddhism rebirth is ascribed to craving or ignorance.[16] Buswell too notes that "Early Buddhism does not identify bodily and mental motion, but desire (or thirst, trsna), as the cause of karmic consequences."[17] Matthews notes that "there is no single major systematic exposition" on the subject of karma and "an account has to be put together from the dozens of places where karma is mentioned in the texts,"[18] which may mean that the doctrine was incidental to the main perspective of early Buddhist soteriology.[18]
According to Vetter, "the Buddha at first sought, and realized, "the deathless" (amata/amrta[note 16]), which is concerned with the here and now.[note 17] Only after this realization did he become acquainted with the doctrine of rebirth."[94] Bronkhorst disagrees, and concludes that the Buddha "introduced a concept of karma that differed considerably from the commonly held views of his time."[95] According to Bronkhorst, not physical and mental activities as such were seen as responsible for rebirth, but intentions and desire.[96]
The doctrine of karma may have been especially important for common people, for whom it was more important to cope with life's immediate demands, such as the problems of pain, injustice, and death. The doctrine of karma met these exigencies, and in time it became an important soteriological aim in its own right.[71]
Vaibhāṣika-Sarvāstivādin tradition[■Edit]
See also: Vaibhāṣika and Sarvastivada
The Vaibhāśika-Sarvāstivāda was widely influential in India and beyond. Their understanding of karma in the Sarvāstivāda became normative for Buddhism in India and other countries.[97] According to Dennis Hirota,
Sarvastivadins argued that there exists a dharma of "possession" (prapti), which functions with all karmic acts, so that each act or thought, though immediately passing away, creates the "possession" of that act in the continuum of instants we experience as a person. This possession itself is momentary, but continually reproduces a similar possession in the succeeding instant, even though the original act lies in the past. Through such continual regeneration, the act is "possessed" until the actualization of the result.[98]
The Abhidharmahṛdaya by Dharmaśrī was the first systematic exposition of Vaibhāśika-Sarvāstivāda doctrine, and the third chapter, the Karma-varga, deals with the concept of karma systematically.[99]
Another important exposition, the Mahāvibhāṣa, gives three definitions of karma:
action; karma is here supplanted in the text by the synonyms kriya or karitra, both of which mean "activity";
formal vinaya conduct;
human action as the agent of various effects; karma as that which links certain actions with certain effects, is the primary concern of the exposition.[100]
The 4th century philosopher Vasubandhu compiled the Abhidharma-kośa, an extensive compendium which elaborated the positions of the Vaibhāṣika-Sarvāstivādin school on a wide range of issues raised by the early sutras. Chapter four of the Kośa is devoted to a study of karma, and chapters two and five contain formulations as to the mechanism of fruition and retribution.[82] This became the main source of understanding of the perspective of early Buddhism for later Mahāyāna philosophers.[101]
Dārṣṭāntika-Sautrāntika[■Edit]
The Dārṣṭāntika-Sautrāntika school pioneered the idea of karmic seeds (S. Bīja) and "the special modification of the psycho-physical series" (S. saṃtatipaṇāmaviśeṣa) to explain the workings of karma.[102] According to Dennis Hirota,
[T]he Sautrantikas [...] insisted that each act exists only in the present instant and perishes immediately. To explain causation, they taught that with each karmic act a "perfuming" occurs which, though not a dharma or existent factor itself, leaves a residual impression in the succeeding series of mental instants, causing it to undergo a process of subtle evolution eventually leading to the act’s result. Good and bad deeds performed are thus said to leave "seeds" or traces of disposition that will come to fruition.[98]
Theravādin tradition[■Edit]
Canonical texts[■Edit]
In the Theravāda Abhidhamma and commentarial traditions, karma is taken up at length. The Abhidhamma Sangaha of Anuruddhācariya offers a treatment of the topic, with an exhaustive treatment in book five (5.3.7).[103]
The Kathāvatthu, which discusses a number of controverted points related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notion of kamma."[104] This involved debate with the Pudgalavādin school, which postulated the provisional existence of the person (S. pudgala, P. puggala) to account for the ripening of karmic effects over time.[104] The Kathāvatthu also records debate by the Theravādins with the Andhakas (who may have been Mahāsāṃghikas) regarding whether or not old age and death are the result (vipāka) of karma.[105] The Theravāda maintained that they are not—not, apparently because there is no causal relation between the two, but because they wished to reserve the term vipāka strictly for mental results--"subjective phenomena arising through the effects of kamma."[105]
In the canonical Theravāda view of kamma, "the belief that deeds done or ideas seized at the moment of death are particularly significant."[106]
Transfer of merit[■Edit]
Main article: Transfer of merit
The Milindapañha, a paracanonical Theravāda text, offers some interpretations of karma theory at variance with the orthodox position.[107] In particular, Nāgasena allows for the possibility of the transfer of merit to humans and one of the four classes of petas, perhaps in deference to folk belief.[108] Nāgasena makes it clear that demerit cannot be transferred.[109] One scholar asserts that the sharing of merit "can be linked to the Vedic śrāddha, for it was Buddhist practice not to upset existing traditions when well-established custom was not antithetic to Buddhist teaching."[110]
The Petavatthu, which is fully canonical, endorses the transfer of merit even more widely, including the possibility of sharing merit with all petas.[108]
Mahayana tradition[■Edit]
Indian Yogācāra tradition[■Edit]
In the Yogācāra philosophical tradition, one of the two principal Mahāyāna schools, the principle of karma was extended considerably. In the Yogācāra formulation, all experience without exception is said to result from the ripening of karma.[111][web 9] Karmic seeds (S. bija) are said to be stored in the "storehouse consciousness" (S. ālayavijñāna) until such time as they ripen into experience. The term vāsāna ("perfuming") is also used, and Yogācārins debated whether vāsāna and bija were essentially the same, the seeds were the effect of the perfuming, or whether the perfuming simply affected the seeds.[112] The seemingly external world is merely a "by-product" (adhipati-phala) of karma. The conditioning of the mind resulting from karma is called saṃskāra.[113][web 10]
The Treatise on Action (Karmasiddhiprakaraṇa), also by Vasubandhu, treats the subject of karma in detail from the Yogācāra perspective.[114] According to scholar Dan Lusthaus,
Vasubandhu's Viṃśatikā (Twenty Verses) repeatedly emphasizes in a variety of ways that karma is intersubjective and that the course of each and every stream of consciousness (vijñāna-santāna, i.e., the changing individual) is profoundly influenced by its relations with other consciousness streams.[113]
According to Bronkhorst, whereas in earlier systems it "was not clear how a series of completely mental events (the deed and its traces) could give rise to non-mental, material effects," with the (purported) idealism of the Yogācāra system this is not an issue.[115]
In Mahāyāna traditions, karma is not the sole basis of rebirth. The rebirths of bodhisattvas after the seventh stage (S. bhūmi) are said to be consciously directed for the benefit of others still trapped in saṃsāra.[116] Thus, theirs are not uncontrolled rebirths.[116]
Mādhyamaka philosophy[■Edit]
Nāgārjuna articulated the difficulty in forming a karma theory in his most prominent work, the Mūlamadhyamakakārikā (Fundamental Verses on the Middle Way):
If (the act) lasted till the time of ripening, (the act) would be eternal. If (the act) were terminated, how could the terminated produce a fruit? [subnote 3]
The Mūlamadhyamakavṛtty-Akutobhayā, also generally attributed to Nāgārjuna,[117] concludes that it is impossible both for the act to persist somehow and also for it to perish immediately and still have efficacy at a later time.[note 18]
Tibetan Buddhism[■Edit]
Main article: Karma in Tibetan Buddhism
In Tibetan Buddhism, the teachings on karma belong to the preliminary teachings, that turn the mind towards the Buddhist dharma.[118]
In the Vajrayana tradition, negative past karma may be "purified" through such practices as meditation on Vajrasattva because they both are the mind's psychological phenomenon.[119][120] The performer of the action, after having purified the karma, does not experience the negative results he or she otherwise would have.[121] Engaging in the ten negative actions out of selfishness and delusions hurts all involved. Otherwise, loving others, receives love; whereas; people with closed hearts may be prevented from happiness.[120] One good thing about karma is that it can be purified through confession, if the thoughts become positive.[122] Within Guru Yoga seven branch offerings practice, confession is the antidote to aversion.
East Asian traditions[■Edit]
Zen[■Edit]
This section uncritically uses texts from within a religion or faith system without referring to secondary sources that critically analyze them. Please help improve this article by adding references to reliable secondary sources, with multiple points of view. (October 2017) (Learn how and when to remove this template message) |
Zen's most famous koan about karma is called Baizhang's Wild Fox (百丈野狐). The story of the koan is about an ancient Zen teacher whose answer to a question presents a wrong view about karma by saying that the person who has a foundation in cultivating the great practice "does not fall into cause and effect." Because of his unskillful answer the teacher reaps the result of living 500 lives as a wild fox. He is then able to appear as a human and ask the same question to Zen teacher Baizhang, who answers, "He is not in the dark about cause and effect." Hearing this answer the old teacher is freed from the life of a wild fox. The Zen perspective avoids the duality of asserting that an enlightened person is either subject to or free from the law of karma and that the key is not being ignorant about karma.
Tendai[■Edit]
The Japanese Tendai/Pure Land teacher Genshin taught a series of ten reflections for a dying person that emphasized reflecting on the Amida Buddha as a means to purify vast amounts of karma.[124][relevant?]
Nichiren Buddhism[■Edit]
Nichiren Buddhism teaches that transformation and change through faith and practice changes adverse karma—negative causes made in the past that result in negative results in the present and future—to positive causes for benefits in the future.[125]
Modern interpretations and controversies[■Edit]
Social conditioning[■Edit]
Buddhist modernists often prefer to equate karma with social conditioning, in contradistinction with, as one scholar puts it, "early texts [which] give us little reason to interpret 'conditioning' as the infusion into the psyche of external social norms, or of awakening as simply transcending all psychological conditioning and social roles. Karmic conditioning drifts semantically toward 'cultural conditioning' under the influence of western discourses that elevate the individual over the social, cultural, and institutional. The traditional import of the karmic conditioning process, however, is primarily ethical and soteriological—actions condition circumstances in this and future lives."[126]
Essentially, this understanding limits the scope of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karmic effects so that it encompasses only saṃskāras—habits, dispositions and tendencies—and not external effects, while at the same time expanding the scope to include social conditioning that does not particularly involve volitional action.[126]
Karma theory and social justice[■Edit]
Some western commentators and Buddhists have taken exception to aspects of karma theory, and have proposed revisions of various kinds. These proposals fall under the rubric of Buddhist modernism.[127]
The "primary critique" of the Buddhist doctrine of karma is that some feel "karma may be socially and politically disempowering in its cultural effect, that without intending to do this, karma may in fact support social passivity or acquiescence in the face of oppression of various kinds."[128] Dale S. Wright, a scholar specializing in Zen Buddhism, has proposed that the doctrine be reformulated for modern people, "separated from elements of supernatural thinking," so that karma is asserted to condition only personal qualities and dispositions rather than rebirth and external occurrences.[129]
Loy argues that the idea of accumulating merit too easily becomes "spiritual materialism," a view echoed by other Buddhist modernists,[note 19] and further that karma has been used to rationalize racism, caste, economic oppression, birth handicaps and everything else.[130]
Loy goes on to argue that the view that suffering such as that undergone by Holocaust victims could be attributed in part to the karmic ripenings of those victims is "fundamentalism, which blames the victims and rationalizes their horrific fate," and that this is "something no longer to be tolerated quietly. It is time for modern Buddhists and modern Buddhism to outgrow it" by revising or discarding the teachings on karma.[131]
Other scholars have argued, however, that the teachings on karma do not encourage judgment and blame, given that the victims were not the same people who committed the acts, but rather were just part of the same mindstream-continuum with the past actors,[132] and that the teachings on karma instead provide "a thoroughly satisfying explanation for suffering and loss" in which believers take comfort.[132]
See also[■Edit]
BuddhismAnantarika-karma
Consciousness (Buddhism)
Development of Karma in Buddhism
Index of Buddhism-related articles
Karma
Merit (Buddhism)
Pratitya-samutpada (Dependent Origination)
Samsara (Buddhism)
Secular Buddhism
Twelve Nidanas
Indian religionsKarma in Hinduism
Karma in Jainism
OtherMyth of Er (Plato)
Thai TV DramaKot Haeng Kam (TV series 1971) On Air Channel 4
Kot Haeng Kam (TV series 1976) On Air Channel 7
Notes[■Edit]
^ In common Tibetan common speech, the term las, "karma", is often used to denote the entire process of karma-and-fruit.[1]
^ Sanskrit, punaraāvŗtti, punarutpatti, punarjanman, or punarjīlvātu
^ In early Buddhism rebirth is ascribed to craving or ignorance,[16][17] and the theory of karma may have been of minor importance in early Buddhist soteriology.[18][19][20]
^ There are many different translation of the above quote into English. For example, Peter Harvey translates the quote as follows: "It is will (cetana), O monks, that I call karma; having willed, one acts through body, speech, and mind." (A.III.415).[26]
^ Sutta-nipata verse 1366
^ For example, the Sautrāntika, a subsect of the Sarvastivada, the most important of the early Buddhist schools,[31] regarded the intention to be the stimulus for karma, action which leads to consequences.[30] The Vaibhāṣika, the other sub-sect of the Sarvastivada, separated the intention from the act, regarding intention as karma proper.[32][quote 2]
^ In the Abhidharma they are referred to by specific names for the sake of clarity, karmic causes being the "cause of results" (S. vipāka-hetu) and the karmic results being the "resultant fruit" (S. vipāka-phala).[35]
^ See also Saṅkhāra
^ For bīja, see also Yogacara#Karma, seeds and storehouse-consciousness
^ The twelvefold chain as we know it is the result of a gradual development. Shorter versions are also known. According to Schumann, the twelvefold chain may be a combination of three succeeding lives, each one of them shown by some of the samkaras.[48]
^ See also Sivaka Sutta (Samyutta Nikaya 36.21), in which the Buddha mentions eight different possible causes from which feelings can arise. Only the eighth cause can be ascribed to karma.[50]
^ Dasgupta explains that in Indian philosophy, acintya is "that which is to be unavoidably accepted for explaining facts, but which cannot stand the scrutiny of logic."[64] See also the Aggi-Vacchagotta Sutta, "Discourse to Vatsagotra on the [Simile of] Fire," Majjhima Nikaya 72,[65][web 8] in which the Buddha is questioned by Vatsagotra on the "ten indeterminate question,"[65] and the Buddha explains that a Tathagata is like a fire that has been extinguished, and is "deep, boundless, hard to fathom, like the sea".[66]
^ The understanding of rebirth, and the reappearance in accordance with one's deeds, are the first two knowledges that the Buddha is said to have acquired at his enlightenment, as described in Majjhima Nikaya 36.[75]
^ Bronkhorst is following Schmithausen, who, in his often-cited article On some Aspects of Descriptions or Theories of 'Liberating Insight' and 'Enlightenment' in Early Buddhism, notes that the mention of the four noble truths as constituting "liberating insight", which is attained after mastering the Rupa Jhanas, is a later addition to texts such as Majjhima Nikaya 36.[76] It calls in question the reliability of these accounts, and the relation between dhyana and insight, which is a core problem in the study of early Buddhism.[77] According to Tilmann Vetter, originally only the practice of dhyana, and the resulting calming of the mind may have constituted the liberating practice of the Buddha.[78]
^ Langer: "When I was searching the Sanskrit texts for material, two things become apparent: first, rebirth, central as it is to Indian philosophy, is not found in the earliest texts; and second, rebirth and karman do not appear to be linked together from the beginning. In fact, originally karman seems to have been only one of several concepts connected with rebirth, but in the course of time it proved to be more popular than others. One of these ‘other concepts’ linked with rebirth is a curious notion of ‘rebirth according to one’s wish’, sometimes referred to in the texts as kAmacAra. The wish — variously referred to in the texts as kAma or kratu — is directed to a particular form or place of rebirth and can be spontaneous (at the time of death) or cultivated for a long time. This understanding seems to have some affinity with the Buddhist notion that a mental effort, a positive state of mind, can bring about a good rebirth."[86]
^ Stanislaw Schayer, a Polish scholar, argued in the 1930s that the Nikayas preserve elements of an archaic form of Buddhism which is close to Brahmanical beliefs,[87] and survived in the Mahayana tradition.[88][89]According to Schayer, one of these elements is that Nirvana was conceived as the attainment of immortality, and the gaining of a deathless sphere from which there would be no falling back.[90] According to Falk, in the precanonical tradition, there is a threefold division of reality, the third realm being the realm of nirvana, the "amrta sphere," characterized by prajna. This nirvana is an "abode" or "place" which is gained by the enlightened holy man.[91] According to Falk, this scheme is reflected in the precanonical conception of the path to liberation.[92] The nirvanic element, as an "essence" or pure consciousness, is immanent within samsara. The three bodies are concentric realities, which are stripped away or abandoned, leaving only the nirodhakaya of the liberated person.[92] See also Rita Langer (2007), Buddhist Rituals of Death and Rebirth: Contemporary Sri Lankan Practice and Its Origins, p.26-28, on "redeath" (punarmrtyu).[93]
^ Tilmann Vetter, Das Erwachen des Buddha, referenced by Bronkhorst.[94]
^ Mūlamadhyamakavṛtty-Akutobhayā, sDe dge Tibetan Tripitaka (Tokyo, 1977) pp. 32, 4.5, cited in Dargyay, 1986, p.170.[43]
^ Ken Jones, The Social Face of Buddhism: An Approach to Political and Social Activism, Wisdom Publications, 1989, quoted in "A Buddhist Ethic Without Karmic Rebirth?" by Winston L. King Journal of Buddhist EthicsVolume 1 1994
Quotes[■Edit]
^ Rupert Gethin: "[Karma is] a being’s intentional 'actions' of body, speech, and mind—whatever is done, said, or even just thought with definite intention or volition";[23] "[a]t root karma or 'action' is considered a mental act or intention; it is an aspect of our mental life: 'It is "intention" that I call karma; having formed the intention, one performs acts (karma) by body, speech and mind.'"[24]
^ Gombrich: "Bodily and verbal action manifested one’s intention to others and therefore were called vijñapti, ‘information’."[32]
^ Karma and samsara:Peter Harvey: "The movement of beings between rebirths is not a haphazard process but is ordered and governed by the law of karma, the principle that beings are reborn according to the nature and quality of their past actions; they are 'heir' to their actions (M.III.123)."[37]
Damien Keown: "In the cosmology [of the realms of existence], karma functions as the elevator that takes people from one floor of the building to another. Good deeds result in an upward movement and bad deeds in a downward one. Karma is not a system of rewards and punishments meted out by God but a kind of natural law akin to the law of gravity. Individuals are thus the sole authors of their good and bad fortune."[38]
Alexander Berzin: "In short, the external and internal cycles of time delineate samsara – uncontrollably recurring rebirth, fraught with problems and difficulties. These cycles are driven by impulses of energy, known in the Kalachakra system as "winds of karma." Karma is a force intimately connected with mind and arises due to confusion about reality."[web 2]
Paul Williams: "All rebirth is due to karman and is impermanent. Short of attaining enlightenment, in each rebirth one is born and dies, to be reborn elsewhere in accordance with the completely impersonal causal nature of one's own karman. The endless cycle of birth, rebirth, and redeath, is samsara." [39]
^ Wholesome and unwholesome actions:Ringu Tulku: "We create [karmic results] in three different ways, through actions that are positive, negative, or neutral. When we feel kindness and love and with this attitude do good things, which are beneficial to both ourselves and others, this is positive action. When we commit harmful deeds out of equally harmful intentions, this is negative action. Finally, when our motivation is indifferent and our deeds are neither harmful or beneficial, this is neutral action. The results we experience will accord with the quality of our actions."[40]
Gethin: [R]ebirth in the lower realms is considered to be the result of relatively unwholesome (akuśala/akusala), or bad (pāpa) karma, while rebirth in the higher realms the result of relatively wholesome (kuśala/kusala), or good (puṇya/puñña) karma.[23]
^ Dargray: "When [the Buddhist] understanding of karma is correlated to the Buddhist doctrine of universal impermanence and No-Self, a serious problem arises as to where this trace is stored and what the trace left is. The problem is aggravated when the trace remains latent over a long period, perhaps over a period of many existences. The crucial problem presented to all schools of Buddhist philosophy was where the trace is stored and how it can remain in the ever-changing stream of phenomena which build up the individual and what the nature of this trace is."[43]
^ Seed and fruit:Peter Harvey: "Karma is often likened to a seed, and the two words for karmic result, vipaka and phala, respectively mean 'ripening' and 'fruit'. An action is thus like a seed which will sooner or later, as part of its natural maturation process, result in certain fruits accruing to the doer of the action."[26]
Ken McLeod: "Karma, then, describes how our actions evolve into experience, internally and externally. Each action is a seed which grows or evolves into our experience of the world. Every action either starts a new growth process or reinforces an old one as described by the four results.[subnote 1][web 5]
^ Bhikkhu Thanissaro: "Unlike the theory of linear causality — which led the Vedists and Jains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an act and its result as predictable and tit-for-tat — the principle of this/that conditionalitymakes that relationship inherently complex. The results of kamma[subnote 2]experienced at any one point in time come not only from past kamma, but also from present kamma. This means that, although there are general patterns relating habitual acts to corresponding results [MN 135], there is no set one-for-one, tit-for-tat, relationship between a particular action and its results. Instead, the results are determined by the context of the act, both in terms of actions that preceded or followed it [MN 136] and in terms one’s state of mind at the time of acting or experiencing the result [AN 3:99]. [...] The feedback loops inherent in this/that conditionality mean that the working out of any particular cause-effect relationship can be very complex indeed. This explains why the Buddha says in AN 4:77 that the results of kamma are imponderable. Only a person who has developed the mental range of a Buddha—another imponderable itself—would be able to trace the intricacies of the kammic network. The basic premise of kamma is simple—that skillful intentions lead to favorable results, and unskillful ones to unfavorable results—but the process by which those results work themselves out is so intricate that it cannot be fully mapped. We can compare this with the Mandelbrot set, a mathematical set generated by a simple equation, but whose graph is so complex that it will probably never be completely explored."[51]
^ Sivaka Sutta (Samyutta Nikaya 36.21): "So any brahmans & contemplatives who are of the doctrine & view that whatever an individual feels — pleasure, pain, neither-pleasure-nor-pain — is entirely caused by what was done before — slip past what they themselves know, slip past what is agreed on by the world. Therefore I say that those brahmans & contemplatives are wrong."
^ Not a system of reward and punishment:Damien Keown: "Karma is not a system of rewards and punishments meted out by God but a kind of natural law akin to the law of gravity. Individuals are thus the sole authors of their good and bad fortune."
Peter Harvey states:[26] - "The law of karma is seen as a natural law inherent in the nature of things, like the law of physics. It is not operated by a God, and indeed the gods are themselves under its sway. Good and bad rebirths are not, therefore, seen as "rewards" and "punishments", but as simply the natural results of certain kinds of action."[55]
Dzongsar Khyentse: "[Karma] is usually understood as a sort of moralistic system of retribution—"bad" karma and "good" karma. But karma is simply a law of cause and effect, not to be confused with morality or ethics. No one, including Buddha, set the fundamental bar for what is negative and what is positive. Any motivation and action that steer us away from such truths as "all compounded things are impermanent" can result in negative consequences, or bad karma. And any action that brings us closer to understanding such truths as "all emotions are pain" can result in positive consequences, or good karma. At the end of the day, it was not for Buddha to judge; only you can truly know the motivation behind your actions."[56]
Khandro Rinpoche states: "Buddhism is a nontheistic philosophy. We do not believe in a creator but in the causes and conditions that create certain circumstances that then come to fruition. This is called karma. It has nothing to do with judgement; there is no one keeping track of our karma and sending us up above or down below. Karma is simply the wholeness of a cause, or first action, and its effect, or fruition, which then becomes another cause. In fact, one karmic cause can have many fruitions, all of which can cause thousands more creations. Just as a handful of seed can ripen into a full field of grain, a small amount of karma can generate limitless effects."[57]
Walpola Rahula states: "The theory of karma should not be confused with so-called 'moral justice’ or 'reward and punishment’. The idea of moral justice, or reward and punishment, arises out of the conception of a supreme being, a God, who sits in judgment, who is a law-giver and who decides what is right and wrong. The term 'justice’ is ambiguous and dangerous, and in its name more harm than good is done to humanity. The theory of karma is the theory of cause and effect, of action and reaction; it is a natural law, which has nothing to do with the idea of justice or reward and punishment. Every volitional action produces its effects or results. If a good action produces good effects and a bad action bad effects, it is not justice, or reward, or punishment meted out by anybody or any power sitting in judgment on your action, but this is in virtue of its own nature, its own law."[58]
^ Rupert Gethin: "From the Buddhist perspective certain experiences in life are indeed the results of previous actions; but our responses to those experiences, whether wished for or unwished for, are not predetermined but represent new actions which in time bear their own fruit in the future. The Buddhist understanding of individual responsibility does not mean that we should never seek or expect another’s assistance in order to better cope with the troubles of life. The belief that one’s broken leg is at one level to be explained as the result of unwholesome actions performed in a previous life does not mean that one should not go to a doctor to have the broken leg set."[59]
Subnotes
^ In the Tibetan tradition, a karmic action grows into four results: the result of full ripening, the result from what happened, the result from what acted, and the environmental result.
^ Bhikkhu Thanissaro uses the Pali spelling for karma.
^ MMK (XVII.6), cited in Dargyay, 1986, p.170[43]
References[■Edit]
^ Jump up to:a b c Padmakara Translation Group 1994, p. 101.
^ Chapple 1986, p. 2.
^ Lichter & Epstein 1983, p. 232.
^ Kalupahanna 1992, p. 166.
^ Jump up to:a b Keown 2000, p. 36-37.
^ Jump up to:a b c d e Gombrich 2009, p. 19.
^ Kopf 2001, p. 141.
^ Kragh 2001, p. 11.
^ Keown 2000, p. 810-813.
^ Klostermaier 1986, p. 93.
^ Keown 2000, p. 37.
^ Kragh 2006, p. 11.
^ Lamotte 1987, p. 15.
^ Bucknell 1984.
^ Jump up to:a b c d Buswell 2004, p. 712.
^ Jump up to:a b c Vetter 1988, p. xxi.
^ Jump up to:a b c Buswell 2004, p. 416.
^ Jump up to:a b c d e Matthews 1986, p. 124.
^ Jump up to:a b c Schmithausen 1986, p. 206-207.
^ Jump up to:a b c Bronkhorst 1998, p. 13.
^ Jump up to:a b Bronkhorst 1998.
^ Gethin 1998, p. 119-120.
^ Jump up to:a b Gethin 1998, p. 119.
^ Gethin 1998, p. 120.
^ Gombrich 1997, p. 55.
^ Jump up to:a b c d e Harvey 1990, pp. 39-40.
^ Gombrich 1997, p. 51.
^ Gombrich 1996, p. 65-66.
^ Gombrich 1996, p. 68.
^ Jump up to:a b Gombrich 1007, p. 54-55.
^ Gombrich 1007, p. 54.
^ Jump up to:a b Gombrich 1007, p. 55.
^ Kalupahana 1992, p. 166.
^ Reichenbach 1988, p. 399.
^ Waldron 2003, p. 61.
^ Jump up to:a b Reichenbach 1990, p. 1.
^ Harvey 1990, p. 39.
^ Keown 2000, Kindle Location 794-797.
^ Williams 2002, p. 74.
^ Ringu Tulku 2005, p. 31.
^ Vetter 1988, p. 84.
^ Vetter 1988, p. 85.
^ Jump up to:a b c d e Dargyay 1986, p. 170.
^ Vetter 1988, p. 52, note 8.
^ Bronkhorst 1998, p. 12.
^ Harvey 1990, p. 40.
^ Schumann 1997, pp. 88–92.
^ Schumann, 1997 & 88-92.
^ Kalupahana 1975, p. 127.
^ Jump up to:a b c Gombrich 2009, p. 20.
^ Jump up to:a b c d Bhikkhu Thanissaro 2010, pp. 47-48.
^ Harvey 2012, p. 42.
^ Kalupahana 1975, p. 131.
^ Keown 2000, p. 794-796.
^ Keown 2000, Kindle loc. 794-796.
^ Dzongsar Jamyang Khyentse 2011, p. 76.
^ Khandro Rinpoche 2003, p. 95.
^ Walpola Rahula 2007, Kindle Locations 860-866.
^ Jump up to:a b Gethin 1998, p. 27.
^ Gethin 1998, p. 153-154.
^ Gombrich 2009, p. 21-22.
^ Vetter 1988, p. 79-80.
^ Jump up to:a b Buswell & Lopez Jr. 2013, p. 14.
^ Dasgupta 1991, p. 16.
^ Jump up to:a b Buswell & Lopez Jr. 2013, p. 852.
^ accesstoinsight, Aggi-Vacchagotta Sutta: To Vacchagotta on Fire, transalated by Thanissaro Bhikkhu
^ Jump up to:a b Gombrich 2009, p. 20-22.
^ Vetter 1987, p. 50-52.
^ Vetter 1988, p. 80-82.
^ Gombrich 1991.
^ Jump up to:a b Matthews 1986, p. 125.
^ Jump up to:a b Collins 1999, p. 120.
^ Vetter 1988, p. 79.
^ Goldstein 2011, p. 74.
^ Jump up to:a b c Bronkhorst 1993.
^ Schmithausen 1981; Bronkhorst 1993; Vetter 1988.
^ Vetter 1988; Bronkhorst 1993; Gombrich 1997.
^ Vetter 1988.
^ McDermott 1980, p. 175.
^ Jump up to:a b McDermott 1984, p. 21.
^ SN.4.132
^ Jump up to:a b Lamotte 2001, p. 18.
^ Jump up to:a b Samuel 2010.
^ Jump up to:a b c vetter 1988, p. 78.
^ Jump up to:a b Schmithausen 1986.
^ Jump up to:a b Langer 2007, p. 26.
^ Lindtner 1997; Lindtner 1999; Akizuki 1990, pp. 25-27; Ray 1999.
^ Reat 1998, p. xi.
^ Conze 1967, p. 10.
^ Ray 1999, p. 374-377.
^ Ray 1999, p. 375.
^ Jump up to:a b Ray, p. 375.
^ Langer 2007, p. 26-28.
^ Jump up to:a b Bronkhorst 1998, p. 3.
^ Bronkhorst 1998, p. 16.
^ Bronkhorst 1998, p. 14.
^ Ryose 1987, p. 3.
^ Jump up to:a b Hirota 2004, p. 5100.
^ Ryose 1987, pp. 3-4.
^ Ryose 1987, pp. 39-40.
^ Lamotte 2001.
^ Park 2007, pp. 234-236.
^ Matthews 1986, p. 132.
^ Jump up to:a b McDermott 1975, p. 424.
^ Jump up to:a b McDermott 1975, pp. 426-427.
^ McDermott 1980, p. 168.
^ McDermott 1984, p. 110.
^ Jump up to:a b McDermott 1984, pp. 109-111.
^ McDermott 1977, p. 463.
^ McDermott 1977, p. 462.
^ Harvey 2000, p. 297.
^ Lusthaus 2002, p. 194.
^ Jump up to:a b Lusthaus 2002, p. 48.
^ Lamotte 2001, pp. 13,35.
^ Bronkhorst 2000.
^ Jump up to:a b Harvey 2000, p. 130.
^ Huntington 1986, p. 4.
^ Norgay 2014, p. v.
^ Kalu Rinpoche 1993, p. 204.
^ Jump up to:a b Zopa Rinpoche 2004, p. ix.
^ Thrangu Rinpoche 2012, pp. 20-21.
^ Patrul Rinpoche 2011, pp. 264-265.
^ Dōgen 1975, p. 142, 149.
^ Lopez 2001, p. 239.
^ Fowler, Jeaneane and Merv (2009). Chanting in the Hillsides. Portland, Oregon: Sussex Academic Press. p. 78.
^ Jump up to:a b McMahan 2008, p. 198.
^ McMahan 2008, p. 174.
^ Wright 2004, p. 81.
^ Wright 2004, p. 89-90.
^ Loy 2008, p. 57.
^ Loy 2008, p. 55.
^ Jump up to:a b Burke 2003, p. 32-33.
Sources[■Edit]
Printed sources[■Edit]
Sutta Pitaka[■Edit]
Bhikkhu Bodhi (translator) (2000), The Connected Discourses of the Buddha: A New Translation of the Samyutta Nikaya, Boston: Wisdom Publications, ISBN 0-86171-331-1
Bhikkhu Nanamoli (translator) (1995), The Middle Length Discourses of the Buddha: A New Translation of the Majjhima Nikaya, Boston: Wisdom Publications, ISBN 0-86171-072-X
Buddhist teachers[■Edit]
Bhikkhu Thanissaro (2010), Wings to Awakening: Part I (PDF), Metta Forest Monastery, Valley Center, CA
Dalai Lama (1998), The Four Noble Truths, Thorsons
Dōgen, Kigen (1975), Shobogenzo: The Eye and Treasury of the True Law, Vol. 1, Kosen Nishiyama and John Stevens (translators), Sendai, Japan: Daihokkaikaku Publishing Co.
Dzong Jamyan Khyentse (2012), Not for Happiness, A Guide to the So-Called Preliminary Practices, Shambala Publications, ISBN 978-1-61180-030-2
Geshe Tashi Tsering (2005), The Four Noble Truths: The Foundation of Buddhist Thought, Volume I, Wisdom, Kindle Edition
Goldstein, Joseph (2011), One Dharma: The Emerging Western Buddhism, HarperCollins, Kindle Edition
Goldstein, Joseph (2013), Mindfulness: A Practical Guide to Awakening, Sounds True, Kindle Edition
Kamenetz, Rodger (1995), Jew in the Lotus: A Poet's Re-Discovery of Jewish Identity in Buddhist India, HarperOne
Khandro Rinpoche (2003), This Precious Life, Shambhala
Khenchen Konchog Gyaltshen (2009), A Complete Guide to the Buddhist Path, Snow Lion
Lama Surya Das (1997), Awakening the Buddha Within, Broadway Books, Kindle Edition
Leif, Judith (2009), Introduction to 'The Truth of Suffering and the Path of Liberation' by Chogyam Trungpa (edited by Judy Leif), Shambhala
Mingyur Rinpoche (2007), The Joy of Living: Unlocking the Secret and Science of Happiness, Harmony Kindle Edition
Moffitt, Philip (2008), Dancing with Life: Buddhist Insights for Finding Meaning and Joy in the Face of Suffering, Rodale, Kindle Edition
P. A. Payutto (1993), "Misunderstandings of The Law of Kamma", Good, Evil and Beyond: Kamma in the Buddha's Teaching, www.buddhanet.n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4, 2013
Ringu Tulku (2005), Daring Steps Toward Fearlessness: The Three Vehicles of Tibetan Buddhism, Snow Lion
Ringu Tulku (2012), Confusion Arises as Wisdom: Gampopa's Heart Advice on the Path of Mahamudra, Shambhala, Kindle Edition.
Sonam Rinchen (2006), How Karma Works: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Arising, Snow Lion
Thubten Jinpa (2014), Mind Training: The Great Collection (Kindle Edition), Wisdom
Thrangu Rinpoche (2001), The Twelve Links of Interdependent Origination, Snow Lion
Thrangu Rinpoche (2012), Pointing Out The Dharmakaya: Teachings On The Ninth Karmapa's Text, Nama Buddha
Traleg Kyabgon (2001), The Essence of Buddhism, Shambhala
Tsongkhapa (2000), Cutler, Joshua W. C. (ed.), The Great Treatise On The Stages Of The Path To Enlightenment Vol 1, Snow Lion
Walpola Rahula (2007), What the Buddha Taught (Kindle ed.), Grove Press
Scholarly sources[■Edit]
Akizuki, Ryōmin (1990), New Mahāyāna: Buddhism for a Post-modern World, Jain Publishing Company
Bronkhorst, Johannes (1993), The Two Traditions Of Meditation In Ancient India, Motilal Banarsidass Publ.
Bronkhorst, Johannes (1998), "Did the Buddha Believe in Karma and Rebirth?",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21 (1): 1–20
Bronkhorst, Johannes (2000), "Karma and Teleology: A Problem and its Solutions in Indian Philosophy" (PDF), The International Institute for Buddhist Studies of the International College for Advanced Buddhist Studies, Tokyo
Burke, Erin (2003), "Karmic Calculations: The Social Implications of Karmic Causality in Tibet", Chrestomathy: Annual Review of Undergraduate Research at the College of Charleston, Volume 2, 2003
Buswell, Robert E. (ed.) (2004), Encyclopedia of Buddhism, Macmillan Reference USA
Buswell, Robert E.; Lopez Jr., Donald S., eds. (2013),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Chapple, Christopher (1986), Karma and Creativit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0-88706-250-4
Collins, Steven (1999), Selfless Persons: Imagery and Thought in Theravada Buddh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Conze, Edward (1967), Thirty years of Buddhis Studies. Selected essays by Edward Conze (PDF), Bruno Cassirer
Dargyay, Lobsang (1986), "Tsong-Kha-Pa's Concept of Karma", in Neufeldt (ed.), Karma and Rebirth: Post Classical Development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0-87395-990-6
Dasgupta, Surendranath (1991), A History of Indian Philosophy, Volume 4, Motilal Banarsidass Publ.
Dowling, Thomas L. (2006), "Karma Doctrine and Sectarian Development", in Narain, A.K. (ed.), Studies in Pali and Buddhism: A Memorial Volume in Honour of Bhikku Jagdish Kashyap, B.R. Publishing Corporation
Garfield, Jay L. (1995), The Fundamental Wisdom of the Middle Way. Nagarjuna's Mulamadhyamakakarika, Oxford University Press
Garfield, Jay (2013), "Just Another Word for Nothing Left to Lose: Freedom, Agency and Ethics for Madhyamikas", in Dasti, Matthew R.; Bryant, Edwin F. (eds.), Free Will, Agency, and Selfhood in Indian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Gethin, Rupert (1998), Foundations of Buddhism, Oxford University Press
Gombrich, Richard F. (1991), Buddhist Precept and Practice. Traditional Buddhism in the Rural Highlands of Ceylon, Motilall Banarsidass
Gombrich, Richard (1996), Theravada Buddhism. A Social History from Ancient Benares to Modern Colombo, Routledge
Gombrich, Richard F. (1997), How Buddhism Began. The Conditioned Genesis of the Early Teachings, New Delhi: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Pvt. Ltd.
Gombrich, Richard (2009), What the Buddha Thought, Equinox
Goodman, Steven D. (1992), "Situational Patterning: Pratītyasamutpāda", in Tarthang Tulku (ed.), Karma and Rebirth: Post Classical Developments, Crystal Mirror Series I-III, Dharma Publishing
Harvey, Peter (1990), Introduction to Buddh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Harvey, Brian Peter (1995), The Selfless Mind: Personality, Consciousness and Nirvāṇa in Early Buddhism, Routledge, ISBN 0-7007-0338-1
Harvey, Brian Peter (2000), An Introduction to Buddhist ethics: Foundations, Values, and Issues, Routledge, ISBN 0-521-55640-6
Hirota, Dennis (2004), "Karman: Buddhist concepts", in Jones, Lindsay (ed.), Encyclopedia of Religion (2nd ed.), Macmillan Reference USA
Huntington, Clair W., Jr. (1986), The "Akutobhaya" and early Indian Madhyamika (Volumes I and II) (Buddhism, India, China, Tibet). Ph.D. thesis, University of Michigan
Huntington, John C.; Bangdel, Dina (2003), The Circle of Bliss: Buddhist Meditational Art, Serindia
Kalupahana, David (1975), Causality: The Central Philosophy of Buddhism, University of Hawaii Press
Kalupahana, David J. (1992), The Principles of Buddhist Psychology, Delhi: ri Satguru Publications
Kalupahana, David (1995), Ethics in Early Buddhism, University of Hawaii Press
Keown, Damien (2000), Buddhism: A Very Short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Kindle Edition
Klostermaier, Klaus K. (1986), "Contemporary Conceptions of Karma and Rebirth Among North Indian Vaisnavas", in Neufeldt, Ronald W. (ed.), Karma and Rebirth: Post-classical Developments, Sri Satguru Publications
Kopf, Gereon (2001), Beyond Personal Identity: Dōgen, Nishida, and a Phenomenology of No-self, Psychology Press
Kragh, Ulrich Timme (2006), Early Buddhist Theories of Action and Result: A Study of Karmaphalasambandha, Candrakirti's Prasannapada, verses 17.1-20, Arbeitskreis für tibetische und buddhistische Studien, Universität Wien, ISBN 3-902501-03-0
Lamotte, Etienne (1987), Karmasiddhi Prakarana: The Treatise on Action by Vasubandhu, Asian Humanities Press
Lamotte, Etienne (1988), History of Indian Buddhism, Publications de l'Institut Orientaliste de Louvain
Lamotte, Etienne (2001), Karmasiddhi Prakarana: The Treatise on Action by Vasubandhu, English translation by Leo M. Pruden, Asian Humanities Press
Langer, Rita (2007), Buddhist Rituals of Death and Rebirth: Contemporary Sri Lankan Practice and Its Origins, Routledge
Lichter, David; Epstein, Lawrence (1983), "Irony in Tibetan Notions of the Good Life", in Keyes, Charles F.; Daniel, E. Valentien (eds.), Karma: An Anthropological Inqui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Lindtner, Christian (1997), "The Problem of Precanonical Buddhism", Buddhist Studies Review, 14: 2
Lindtner, Christian (1999), "From Brahmanism to Buddhism", Asian Philosophy, 9 (1): 5–37, doi:10.1080/09552369908575487
Lopez, Donald S. (2001), The Story of Buddhism, HarperCollins
Loy, David R. (2008), Money, Sex, War, Karma: Notes for a Buddhist Revolution, Wisdom, ISBN 978-0861715589
Lusthaus, Dan (2002), Buddhist Phenomenology: A philosophical Investigation of Yogācāra Buddhism and the Ch'eng Wei-shih lun, RoutledgeCurzon, ISBN 0-415-40610-2
Macy, Joanna (1991), Mutual Causality in Buddhism and General Systems Theory: The Dharma of Natural Systems, SUNY
Matthews, Bruce (1986), "Chapter Seven: Post-Classical Developments in the Concepts of Karma and Rebirth in Theravada Buddhism", in Neufeldt, Ronald W. (ed.), Karma and Rebirth: Post Classical Development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0-87395-990-6
McDermott, James Paul (1975), "The Kathāvatthu Kamma Debates",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Vol. 95, No. 3, Jul. – Sep., 1975)
McDermott, James Paul (1977), "Kamma in the Milindapañha",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y (Vol. 97, No. 4, Oct. – Dec., 1977)
McDermott, James P. (1980), "Karma and Rebirth in Early Buddhism", in O'Flaherty, Wendy Doniger (ed.), Karma and Rebirth in Classical Indian Tradition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0-520-03923-8
McDermott, James Paul (1984), Development in the Early Buddhist Concept of Kamma/Karma,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ISBN 81-215-0208-X
McMahan, David L. (2008), The Making of Buddhist Modernism,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518327-6
Monier-Williams (1964) [1899], A Sanskrit-English Dictionary (PDF),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retrieved 27 December 2008
Padma, Sree; Barber, A.W., eds. (2009), Buddhism in the Krishna River Valley of Andhr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Park, Changhwan (2007), The Sautrantika Theory of Seeds (bija) Revisited (PhD thesis),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Ray, Reginald (1999), Buddhist Saints in India: A Study in Buddhist Values and Orient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Reat, N. Ross (1998), The Salistamba Sutra, Motilal Banarsidass
Reichenbach, Bruce (1988), "The Law of Karma and the Principle of Causation", Philosophy East and West, 38 (4): 399–410, doi:10.2307/1399118, JSTOR 1399118
Reichenbach, Bruce (1990), The Law of Karma: A Philosophical Study, University of Hawaii Press, ISBN 0-8248-1352-9
Ronkin, Noa (2005), Early Buddhist Metaphysics: the Making of a Philosophical Tradition, Routledge, ISBN 0-203-53706-8
Ryose, Wataru (1987), A Study of the Abhidharmahrdaya: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Concept of Karma In The Sarvastivada Thought (PDF) (PhD thesis),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November 16, 2014
Rhys Davids, Caroline Augusta (2007), Buddhism, Davids Press
Samuel, Geoffrey (2010), The Origins of Yoga and Tantra. Indic Religions to the Thirteenth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Schumann, Hans Wolfgang (1997), Boeddhisme. Stichter, scholen en systemen, Asoka
Schmithausen, Lambert (1986), Critical Response. In: Ronald W. Neufeldt (ed.), "Karma and rebirth: Post-classical developments", SUNY
Simmer-Brown, Judith (1987), "Seeing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Suffering as the Key to Liberation", Journal of Contemplative Psychotherapy, The Naropa Institute (4)
Smith, Huston; Novak, Philip (2009), Buddhism: A Concise Introduction, HarperOne, Kindle Edition
Vetter, Tillman (1987), "Some remarks on older parts of the Suttanipiita", in Seyfort Ruegg, Seyfort; Schmithausen, Lambert (eds.), Earliest Buddhism and Madhyamaka, BRILL
Vetter, Tilmann (1988), The Ideas and Meditative Practices of Early Buddhism, BRILL
Waldron, William S. (2003), The Buddhist Unconscious: The Alaya-vijñana in the context of Indian Buddhist Thought, Routledge
Walser, Joseph (2005), Nāgārjuna in Context: Mahāyāna Buddhism and Early Indian Culture, Columbia University Press
Wardner, A.K. (1970), Indian Buddhism, Delhi
Watson, Burton (1993), The Lotus Sutra, Columbia University Press
Williams, Paul (2002), Buddhist Thought, Taylor & Francis, Kindle Edition
Williams, Paul, ed. (2005), Buddhism—Critical Concepts in Religious Studies II, Shi Huifeng
Wright, Dale S. (2004), "Critical Questions Towards a Naturalized Concept of Karma in Buddhism", Journal of Buddhist Ethics, 11
Web-sources[■Edit]
^ Thanissaro Bhikkhu, trans. (1997). Nibbedhika Sutta: Penetrative, AN 6.63, PTS: A iii 410
^ Alexander Berzin, Overview of Kalachakra
^ Jump up to:a b Thubten Chodron (1993). The Twelve Links – Part 2 of 5 (PDF)
^ Jump up to:a b John Bowker (1997), Karma, The Concise Oxford Dictionary of World Religions
^ What is Karma? p.2, Ken McLeod
^ What Is Karma?, Linden
^ accesstoinsight, Acintita Sutta: Unconjecturable, Anguttara Nikaya 4.77
^ accesstoinsight, Aggi-Vacchagotta Sutta: To Vacchagotta on Fire, translated by Thanissaro Bhikkhu
^ An Introduction to Buddhist ethics, Harvey
^ Buddhist Phenomenology: A philosophical Investigation of Yogācāra Buddhism and the Ch'eng Wei-shih lun by Dan Lusthaus.
Further reading[■Edit]
Scholarly sourcesNeufeldt, Ronald W., ed. (1986), Karma and rebirth: Post-classical developments, SUNY
Gananath Obeyesekere (2002). Imagining karma: ethical transformation in Amerindian, Buddhist, and Greek rebirth.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ISBN 978-0-520-23243-3.
Gethin, Rupert (1998). Foundations of Buddhis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0-19-289223-1.
JournalThe Buddha's Bad Karma: A Problem in the History of Theravada Buddhism Jonathan S. Walters, Numen, Vol. 37, No. 1 (June 1990), pp. 70–95
Primary sourcesDalai Lama (1992). The Meaning of Life, translated and edited by Jeffrey Hopkins. Wisdom.
Geshe Sonam Rinchen (2006). How Karma Works: The Twelve Links of Dependent Arising. Snow Lion
Khandro Rinpoche (2003). This Precious Life. Shambala
Ringu Tulku (2005). Daring Steps Toward Fearlessness: The Three Vehicles of Tibetan Buddhism. Snow Lion.
External links[■Edit]
Wikiquote has quotations related to: Karma |
Wikiquote has quotations related to: Karma in Buddhism |
What is Karma?, by Ken McLeod
Essential Points on Karma, by Jeffrey Kotyk
What Is Reincarnation?, by Alexander Berzin
Understanding Karma, by Reginald Ray
SarvastivadaAlexis sanderson, The Sarvastivada and its critics: Anatmavada and the Theory of Karma
TheravadaKarma by Thanissaro Bhikkhu
Misunderstandings of the Law of Kamma by Prayudh Payutto
Dhammapada Verse 128 Suppabuddhasakya Vatthu Story about the Buddha and Suppabuddha, father of the Buddha's former wife Yashodhara
YogacaraRichard King (1998), Vijnaptimatrata and the Abhidharma context of early Yogacara, Asian Philosophy, Vol. 8 No. 1 Mar.1998.
NyingmaLongchenpa (1308–1364), Karma, Cause, and Effect, Chapter IV of The Great Chariot
showv t e Topics in Buddhism |
---|
● From 대만불광사전
갈마
【羯磨】 p6137-下≫
梵語 karman,
巴利語 kamma.
<一>意譯作「業」.
意指所作․事․辨事․辨事作法․行爲等.
含有善惡․苦樂果報之意味,
亦卽與因果關係相結合之一種持續不斷之作用力.
業,
原係流行於印度社會之一般性觀念,
對印度思想影響頗大,
後爲佛敎基本敎義之一,
卽是一切萬有基於因果之法而生.
依據大毘婆沙論卷一一三,
業之定義有二說:
其一,
以作用․任持七衆法式․能分別愛與非愛之果等三義爲業;其二,
以作用(卽語業),
行動(卽身業)․造作(卽意業)等三義爲業.
業之種類雖多,
不外乎身業․語業․意業三者,
中阿含經卷三以意業最重,
藉此標示佛敎之動機論.
此外,
引一生果報(或生人界,
或生畜生界等)之業,
稱爲引業;若生於人界,
個體之間復以不同方式(如男女․貴賤․賢愚․美醜等)完成,
是爲滿業.
是故,
引業能引總報,
滿業則圓滿別報.
其他,
如山河․大地之器世間,
爲諸生物共通之果報,
稱爲共業;各生物之間復有不同之果報,
卽稱不共業.
又以受報時限之不同,
業亦可分爲順現法受業(於現身受報)․順次生受業(於次生受報)․順後次受業(於次生以後受報)․不定業等.
由業之觀念所産生之輪迴思想,
主要在强調人類對未來應有之努力,
然因此反緣生一宿業之說(卽前世之業招後世之報),
此一宿命論已與業之原始意義相悖.
(參閱「業」5494)
<二>於受戒․懺悔․結界等有關戒律行事之場合,
意指生善滅惡之作法.
受戒之際,
受戒者因羯磨而得戒體.
羯磨之內容包含法(羯磨之作法)․事(有關羯磨之所有事實)․人(與羯磨有關之人)․界(行羯磨之場所)等四者,
一般稱爲羯磨四法,
分別言之:
(一)法,
分爲心念法․對首法․衆僧法三種.
(1)心念法,
乃自己獨自心想口念之法,
適用於懺悔微小罪障之情況.
又分三種:
1.
但心念法,
卽本來之心念法,
不須對人,
唯得自說,
如懺輕微之突吉羅罪.
共有三種.
2.
對首心念,
本爲對首之法,
但因界內無人,
而以心念秉法.
共有七種,
如說淨․受藥等事.
3.
衆法心念,
本爲衆僧法,
但因界內無人,
故以心念秉法.
共有四種,
如說戒․自恣等事.
(2)對首法,
係面對同法者二三人申白之法,
適用於受三衣或一鉢爲自己所有物之情況.
又分兩種:
1.
但對首法,
爲當分之對首法,
界中雖有多僧,
僅須對首於一人乃至三人卽可.
共有二十九種,
如受三衣․捨受鉢等事.
2.
衆法對首,
本爲衆僧法,
以界中無人而開對首.
有四種,
與衆法心念相同.
(3)衆僧法,
卽指向四人以上(卽僧伽)申白之法,
適用於布薩․自恣或受戒等重要行事之情況,
爲滅罪生善其力最强者.
又分三種:
1.
單白法,
又稱白羯磨,
卽一度告知僧衆,
經常施於慣例․事關輕微或已有嚴格規定不得提出異議等情況.
共有三十九種,
如說戒․行鉢․剃髮等事.
2.
白二法,
又稱白二羯磨,
卽一度告知(一白)僧衆․一度問其可否(一羯磨),
經常用於結界等場合.
共有五十七種,
如離衣․受日等事.
3.
白四法,
又作
一白三羯磨,
卽一度告知僧衆(一白),
三度問可否(三羯磨),
經常用於受具足戒或懺悔重罪(如僧殘罪等)之情況.
此外,
授具足戒之際,
授白四羯磨作法者,
稱爲羯磨師(羯磨阿闍梨).
依事而計,
以上所擧加以比丘之二法,
羯磨合計一百八十三法(一說一百八十四法),
但一般以百一羯磨稱之,
蓋以「百」表示滿․衆之數,
意指各一法皆包含一羯磨.
但依十誦律所傳者,
實際僅有百一羯磨.
(二)事,
分爲有情事․非情事․二合事等三種.
有情事指有關有情(卽衆生)之事,
如突吉羅罪之責心悔乃至波逸提․四提舍尼․偸蘭遮等之懺悔;非情事指有關三衣一鉢等無生物之事,
如三衣之分別法․鐵鉢之守持法等;若合以上兩方之事,
是爲二合事,
如藥守持法,
藥本身爲非情事,
病患則爲有情事,
卽是二合事.
所謂一百八十三法之事,
皆不出於此三者.
(三)人,
分爲一人․二三人․僧人(四人以上).
大凡「法」係隨人而分別其體.
卽上述所說之「心念法」爲一人之法.
於「界」無人時,
方成此法.
若有一人,
卽名「非法別衆」.
對首法係二人面對,
共同秉法.
又有邊人則要問之,
如三十捨懺必須問於邊人,
九十單墮雖「但對」亦無妨;此卽二三人之法.
「衆法」係四人以上方秉法,
此卽「僧人」之法.
界中有比丘則以全數聚集爲法.
若有一人未參加,
則形成「非法別衆」.
(四)界,
卽指進行羯磨之場所.
有自然界․作法攝僧界之別.
自然界卽指自然成爲僧衆住處之境界,
如寺院等;以非特意劃定․布置而成,
故又稱不作法界.
對首․心念之二法及一人․二三人衆中之雜法․四人之自恣法等,
皆可在自然界進行.
作法界係指局限於一定之境域而施行結界法之三小界․三大界及戒場.
小界係同一界內有不同意之人,
或對法有呵難者時,
另外結界而擧行受戒․自恣․說戒者.
若爲一時之方便而結界者,
則於法事完了卽解除.
如四分律卷三十五所說「結已卽解,
非久住之法」卽爲其意.
大界係僧衆常行之所,
指人法二同之界,
普通以一二○里爲定量(下品).
戒場原係爲恐因常常集合僧衆而引生困惱,
故允許結之,
用以行受戒․懺悔等法;但在說戒及自恣之時,
則不得行之.
[毘尼母論卷八․四分律卷三十三․卷三十九․摩訶僧祇律卷二十三․菩薩戒羯磨文․僧羯磨卷上․關中近出尼二種壇文夏坐雜十二事幷雜事共卷前中後三記(出三藏記集卷十一所收)․受菩薩戒儀․菩薩戒義疏卷上․四分律刪繁補闕行事鈔卷上一․卷上二․卷上三․四分律行事鈔資持記卷上一之五․卷上二之一․四分律刪補隨機羯磨疏卷一․玄應音義卷十四]
<三>在密敎中,
指如來之作業或諸尊之威儀事業,
故有羯磨曼荼羅․羯磨部等語.
此外,
亦可作爲「羯磨金剛」之略稱.
(參閱「羯磨金剛」6140)
● From 陳義孝佛學常見辭彙
갈마
【羯磨】華譯作業,
卽作授戒懺悔等事業的一種宣告儀式,
由此宣告儀式的宣告文,
而成就所作之業.
→5188
● From Korean Dic
갈마
갈마(□磨←karma 범)[명사]
[불교에서]
1.☞업(業).
2.수계(受戒)나 참회(懺悔) 때의 의식.
● From Kor-Eng Dictionary
갈마
갈마 [¿]
<梵> 『불교』 karma.
● From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
hbfl--01_Ga_0020.TIF
⑦-6137■불광사전
■ '갈마' 관련 기타 참고 사전 통합 검색
다음백과 https://100.daum.net/search/entry?q=갈마
네이버백과 https://terms.naver.com/search.nhn?query=갈마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갈마
네이버한자 https://hanja.naver.com/search?query=갈마
네이버지식 https://kin.naver.com/search/list.nhn?query=갈마
네이버사전 https://endic.naver.com/search.nhn?sLn=kr&isOnlyViewEE=N&query=갈마
위키영문 https://en.wikipedia.org/wiki/karman
구글 https://www.google.co.kr/?gws_rd=ssl#newwindow=1&q=갈마
네이버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갈마
다음 https://search.daum.net/search?w=tot&q=갈마
--- 이하 단어 직접 입력 검색 ---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https://abc.dongguk.edu/ebti/c3/sub1.jsp
실용한-영 불교용어사전 https://dic.tvbuddha.org/
불광대사전(佛光大辭典) https://www.fgs.org.tw/fgs_book/fgs_drser.aspx
산스크리트어사전 https://www.sanskrit-lexicon.uni-koeln.de/monier/
티벳어사전 https://nitartha.pythonanywhere.com/index
● [pt op tr] fr
■ 불교사전 링크 및 불교 사전 출처 종합 안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4/blog-post_21.html
●● 관련정보 사용페이지
----[‡사용한 다른 페이지]---
★%★
◎◎[개별논의] ♥ ❋추가참조
★1★
◆vlyv1214
◈Lab value 불기2565/04/21/수/18:10 |
○ 2019_1004_163613_can_ar47.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Ernst-Ludwig-Kirchner-bathing-women-between-white-rocks Artist: Ernst-Ludwig-Kirchner https://en.wikipedia.org/wiki/Ernst_Ludwig_Kirchner Title : bathing-women-between-white-rocks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 2016_1008_141236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51, 8 November 2005 (UTC) Giovanni Battista (also Giambattista) Piranesi ( 4 October 1720 – 9 November 1778) https://en.wikipedia.org/wiki/Giovanni_Battista_Piranesi 출처관련링크 ● [pt op tr] fr ♥Technological Educational Institute of Eastern Macedonia and Thrace, Didymoteicho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Mireille Mathieu - Une Rose Au Coeur De L'hiver ♥단상♥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4/karman.html#1214 sfx--dict/갈마.txt sfd8--불교용어dic_2565_04.txt ☞◆vlyv1214 불기2565-04-21 θθ |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 용어퀴즈 다음 설명에 맞는 답을 찾으시오.
■ 용어 퀴즈
실제로 수행하는데 있어
몸과 입이 일치하고
생각과 말이 위반되지 않고
뜻과 말과 행동이 서로 일치하여 거짓이 없음.
답 후보
● 진실(眞實)
진여수연(眞如隨緣)
진현량(眞現量)
차건도(遮犍度)
차죄(遮罪)
참회(懺悔)
천룡팔부(天龍八部)
■ 음악
Jacques Brel - L'eclusier
Monique Leyrac - A Une Femme Detestee
Robert Charlebois - Les Talons Hauts
Edith Piaf - Paris-Mediterranee (Clerc-Asso)
Louise Attaque - J't'emmene Au Vent
Mireille Mathieu - Ave Maria Norma
Gilbert Montagne' - Le Sunlight Des Tropiques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Pratītyasamutpāda
[san-chn] śikṣā-sāmānya-gata 同學
[san-eng] kuntibhojaḥ $ 범어 Kuntibhoja
[pali-chn] bhagavant 世尊, 薄伽梵, 衆祐
[pal-eng] suraagha.ta $ 팔리어 m.a pitcher of liquor.
[Eng-Ch-Eng] ASURA Asura 阿修羅 It is a peculiar path in the Six Paths. In terms of material enjoyment and psychic power, it is similar to Deva. However, in some aspects, it is even worse than Human Path. The male Asura is extremely ugly and furious, and always fight with each other. The female Asura is as beautiful as an angel. They are proud of themselves, thus reluctant to learn and practice Buddhism.
[Muller-jpn-Eng] 豐儉 ホウケン plenty and poverty
[Glossary_of_Buddhism-Eng] HORIZONTAL TRANSCENDENCE☞
See: Horizontal Escape.
[fra-eng] construit $ 불어 constructed
■ 암산퀴즈
743* 938
350207 / 403
■ 다라니퀴즈
자비주 33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3 번째는?
33
대비심을 갖춘 이(관세음보살)는
범왕을 위해 다시
재앙을 멀리 여의는
청량(淸凉)한 게송을 말씀하셨다.
"넓은 들을 가거나, 산과
못을 가는 중에
호랑이나
늑대와 모든 나쁜 짐승과
뱀과 도깨비 귀신을 만나도
이 주문을 듣거나 외우면
해치지 못하며
● 자라자라 遮囉遮囉<三十三> ca la ca la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3
하리 다바 라
賀哩<二合>哆婆<引>囉<三>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11일째]
내지법계실주편 $ 111▲阿僧祇阿僧祇為 一 ● 阿僧祇轉, ○□□□□,其,世,其,一
□□□□□□□, 其中所有諸微塵,
世界若成若住壞, 其數無量不可說。
□□□□□□□, 기중소유제미진,
세계약성약주괴, 기수무량불가설。
그렇게 온 법계에 가득하거든
그 가운데 들어 있는 티끌 속마다
이뤄지고 머물고 헐리는 세계
그 수효 한량없어 말할 수 없고
[112째]
일미진처무변제 $ 112▲阿僧祇轉阿僧祇轉為 一 ● 無量, ○□□□□,無,十,剎,一
□□□□□□□, 無量諸剎普來入,
十方差別不可說, 剎海分布不可說。
□□□□□□□, 무량제찰보래입,
십방차별불가설, 찰해분포불가설。
한 티끌 있는 곳이 끝단 데 없어
한량없는 세계가 다 들어오니
시방의 차별함을 말할 수 없고
세계해의 분포(分布)도 말할 수 없어
●K0119_T0475.txt★ ∴≪A유마힐소설경≫_≪K0119≫_≪T0475≫
●K0613_T1588.txt★ ∴≪A유식론≫_≪K0613≫_≪T1588≫
●K0609_T1586.txt★ ∴≪A유식삼십론송≫_≪K0609≫_≪T1586≫
법수_암기방안
111 upper arm 위팔
112 [elbow] 팔꿉
33 종아리 [캪]calf
3 밥통 【위】
696934
869
○ 2019_1104_114940_nik_exc_s12 구례화엄사 구층암
○ 2019_1104_102642_can_fix 구례 화엄사
○ 2020_1114_142754_nik_ori 삼각산 도선사
○ 2018_1023_153025_nik_exc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18_1023_144523_can_ori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18_1023_143315_can_ori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20_1017_155316_can_ori_rs 삼각산 화계사
○ 2020_0906_113226_can_ori_rs 천축산 불영사
○ 2020_0906_105427_nik_ori_rs 천축산 불영사
○ 2020_0904_130729_can_ori_rs 원주 구룡사
○ 2020_0904_085543_nik_ori_rs 여주 신륵사
○ 2019_1201_151333_can_exc 원주 구룡사
○ 2019_1105_140214_can_exc_s12 순천 조계산 선암사
○ 2019_1106_125054_can_fix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6_124102_can_exc_s12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6_114709_can_fix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5_154717_nik_exc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19_1106_152359_nik_exc_s12 화순 계당산 쌍봉사
○ 2019_1106_103705_nik_exc 화순 영구산 운주사
● [pt op tr] fr
○ 2019_1105_124349_nik_fix 순천 조계산 선암사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갈마 [문서정보]- 불교용어풀이 키워드
[관련키워드]
[링크용타이틀]
■ 본 페이지 ID 정보
DICT--갈마
https://blog.daum.net/thebest007/625
sfx--dict/갈마.txt
sfd8--불교용어dic_2565_04.txt ☞◆vlyv1214
불기2565-04-21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2318152295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4/karman.html
htmback--갈마_불기2565-04-21-Tis.htm
● [pt op tr] fr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