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3년 12월 18일 월요일

불기2567-12-18_우바새계경-k0526-003


『우바새계경』
K0526
T1488

우바새계경 제3권/전체7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우바새계경』 ♣0526-003♧




우바새계경 제3권/전체7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6_152210_nik_fix


○ 2019_1106_161812_nik_exc_s12


○ 2019_1106_113940_can_fix


○ 2019_1106_130557_can_fix


○ 2019_1106_131725_can_fix


○ 2019_1105_114749_can_fix


○ 2019_1105_154219_can_fix


○ 2020_0905_111607_can_ori_rs


○ 2020_0908_163508_nik_ori_rs


○ 2020_0909_142244_can_ori_rs


○ 2020_0910_152234_nik_ori_rs


○ 2020_0930_134155_nik_ori_rs


○ 2020_0930_140751_nik_ori_rs

_ori_rs
○ 2016_0505_130659_nik


○ 2020_1017_152945_can_exc_s12


○ 2020_1017_165752_can_ori_rs


○ 2018_1022_142418_nik_ori


○ 2018_1024_175723_nik_exc


○ 2019_1104_174839_nik_fix

● [pt op tr] fr
_M#]



○ 2020_0908_160357_nik_ori_rs



❋❋본문 ◎[개별논의]

★%★
『우바새계경』 ♣0526-003♧






◎◎[개별논의] ❋본문









★1★





◆vtcx1816

◈Lab value 불기2567/12/18


○ 2020_1114_132617_nik_AR25.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pablo-picasso-woman-with-straw-hat-on-flowery-background-1938
[#M_▶더보기|◀접기|
Artist: pablo-picasso
from https://en.wikipedia.org/wiki/Pablo_Picasso
Title : woman-with-straw-hat-on-flowery-background-1938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18_0419_135859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Ningbo_Ayuwang_Si_2013.07.28_13-59-36
[#M_▶더보기|◀접기|
https://zh.wikipedia.org/wiki/File:Ningbo_Ayuwang_Si_2013.07.28_13-59-36.jpg
宁波阿育王寺 —— “东震旦土—东南佛国”牌坊
作者 Zhangzhugang
● [pt op tr] fr
_M#]


♡Sankasia , Sankissa 및 Sankasya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 Wikipedia


○상세정보=> http://buddhism007.tistory.com/3858

Stéphan Eicher - Manteau De Gloire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3/12/2567-12-18-k0526-003.html#1816
sfed--우바새계경_K0526_T1488.txt ☞우바새계경 제3권/전체7권
sfd8--불교단상_2567_12.txt ☞◆vtcx1816
불기2567-12-18
θθ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승려의 관직 이름. 

진(陳)나라 문제(文帝) 때에 보경(寶瓊)이 왕명으로 경읍(京邑)의 대승통에 임명된 것이 처음이다.

답 후보
● 대승통(大僧統)
대자재천(大自在天)
대지법(大地法)
대초열지옥(大焦熱地獄)

도(度)
도법지(道法智)
도종지(道種智)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Maxime Leforestier - Sale Petit Bonhomme
Indochine - Wuppertal
Salvatore Adamo - Que Voulez-Vous Que Je Chante (Live)
Anouk Aiata - Quoiqu'il M'en Coute
Marie Lafort - Marie Douceur, Marie Colere (
Mylène Farmer - Maman A Tort
Yves Montand - Hollywood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卯 ■ ( 토끼 묘 /넷째 지지 묘 )
040▲ 卯卬戊民半 ■ 묘앙무민반 40 ( 토끼 묘 /넷째 지지 묘 )( 나, 자신( 自身) 앙 / 위풍당당( 威風堂堂)한 모양 앙) ( 다섯째)천간( 天干) 무 / 무성하다( 茂盛--) 무 )( 백성 민 / 잠잘 면 )( 반 반 )
027▲ 㣺氏牙歹歺 ■ 심씨아알알 27 마음 심 )(각시 씨 / 성씨 씨, 나라 이름 지, 고을 이름 정 )(어금니 아/ 관아 아 )( 살 바른 뼈 알 / 몹쓸 대 )( 살 바른 뼈 알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Nāgārjuna
[san-chn] nirdeśaḥ 體聲
[san-eng] dakṣaḥ $ 범어 expert
[pali-chn] sattisata-upama 三百鉾刺喩
[pal-eng] disa $ 팔리어 m.enemy.
[Eng-Ch-Eng] attachment to sentient being-hood 眾生執
[Muller-jpn-Eng] 錫杖 シャクジョウ monk's staff
[Glossary_of_Buddhism-Eng] OTHERPOWER☞
Syn: Tariki.
See also: Dedication of Merit; Other-Worldly; Self-Power.
“The power of the other, i.e., the Buddhas, particularly Amitabha.
This term suggests the idea of seeking rebirth in the Pure Land by
relying [principally] on the power of Amitabha. Other-power is used
in contrast to self-power.”
“Sometimes it is suggested that the emphasis on devotion as providing a special kind of salvation is unnatural in Buddhism and alien to
the earlier tradition. Yet even the earliest form of Buddhism known
to us taught that faith in the Buddha was able both to bring about
a heavenly rebirth and to set one firmly on the path to liberation.
The difference is in the Mahayana emphasis on the ‘power of resolve’
[other power] of a Buddha, which is capable of creating enormously
favourable conditions.”

(I) Other Power /Self Power
‘Jiriki (self-power) is the Wisdom aspect of enlightenment and tariki
(other-power) is the … Great Compassion aspect of the same. By
wisdom we transcend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and by Great
Compassion we descend into a world of particulars. The one goes
upwards while the other comes downwards, but this is our intellectual way of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enlightenment, in whose
movement however there is no such twofold direction discernible.”
(II) Amitabha Buddha
“Other-power is a technical term indicating a religious attainment
achieved through such activities as placing one’s faith in the saving
grace of a Buddha or other religious figures. Other-power is almost
always played off against ‘Self-power’, a term readily utilized in the
Zen tradition to indicate a religious attainment achieved [mainly]
through one’s own striving. ‘Other Power’ is most often associated
with the Pure Land tradition, in which rebirth in the Pure Land is
obtained by chanting the Buddha’s name.”
“As far as the question of ‘self-power’ vs. ‘other-power’ is concerned, it
is wrong to understand the Pure Land method as exclusive reliance on
Buddha Amitabha’s power. The Pure Land practitioner should use all
his own power to rid himself of afflictions, while reciting to the point
where his mind and the Mind of Amitabha Buddha are in unison. At
that moment, in this very life, [he will experience an awakening] and
at his death, he will be welcomed and guided back to the Pure Land.
The ‘welcoming and escorting’ feature is really the principal manifestation of ‘other-power.’ As an analogy, for a student to exert his own
efforts to the utmost is, of course, a laudable thing. If, in addition, he
has the benefit of an excellent teacher who follows his progress and
assists him, his level of achievement will be higher, resulting in assured
success in his final examinations. Adding other-power to self-power is
similar. Therefore, how can it be considered mistaken to exert all of
our own efforts to cultivate and then seek additional help to achieve
rapid success?” (From Buddhism of Wisdom & Faith.)

(III) Medicine Buddha
“Invisible assistance – provided by the Buddhas and Bodhisattvas of
Healing – can be a potent aid in this process [of elimination of the
three poisons of lust, anger and delusion]. This assistance often is described as stemming from the force of their fundamental vows, which
they made when they dedicated their lives to spiritual work. The
vows to heal all beings and alleviate various sufferings serve as special
motivating factors in their spiritual development. Upon fruition of
their spiritual work … they then truly become able to fulfill these
vows.” (Raoul Birnbaum, The Healing Buddha.)

(IV) Note
The issue of other-power (Buddha’s power) is often misunderstood
and glossed over by many Buddhists. However, it must be pointed
out that, in Buddhism, other-power is absolutely necessary if a
Bodhisattva is to attain Ultimate Enlightenment. The Avatamsaka
Sutra (described by D. T. Suzuki as the epitome of Buddhist
thought) and the Lankavatara Sutra (the only sutra recommended by
Bodhidharma) are emphatically clear on this point:
“As long as [conversion] is an experience and not mere understanding, it is evident that self-disciplin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Buddhist life… but… we must not forget the fact that the Lanka
[Lankavatara Sutra] also emphasizes the necessity of the Buddha’s
power being added to the Bodhisattvas’ in their upward course of
spiritual development and in the accomplishment of their great task
of world salvation. If they were not thus so constantly sustained by
the miraculous power of the Buddha, they would speedily fall into
the group of philosophers and Sravakas, and they would never be able
to attain Supreme Enlightenment and preach the doctrine of universal emancipation.” (D. T. Suzuki, tr., the Lankavatara Sutra, p.xviii.)
See also the following quote from the Avatamsaka Sutra:
“Having purified wisdom and means in the seventh Stage …/ The
great sages attain acceptance of non-origination …/ On the basis
of their previous resolution,/ The Buddhas further exhort them …/
‘Though you have extinguished the burning of the fire of affliction,/
Having seen the world still afflicted, remember your past vows;/
Having thought of the welfare of the world, work in quest / Of the
cause of knowledge, for the liberation of the world.’ ” (T. Cleary, tr.,
The Flower Ornament Sutra, Vol. II)


[fra-eng] recouvrez $ 불어 recover
[chn_eng_soothil] 一分家 A school founded by 安慧 Anhui, teaching 心識之一分說 that cognition is subjective.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352일째]
세간도사불가설 $ 094▲娑婆羅娑婆羅為 一 ● 迷攞普, ○□□□□,演,彼,清,彼

□□□□□□□, 演說讚歎不可說,
彼諸菩薩不可說, 清淨功德不可說,
□□□□□□□, 연설찬탄불가설,
피제보살불가설, 청정공덕불가설,

世間導師不可說,
세상의 길잡이됨 말할 수 없고
연설하고 찬탄함을 말할 수 없고
저 모든 보살들을 말할 수 없고
청정한 그 공덕을 말할 수 없고

095□

[353째]
피제변제불가설 $ 095▲迷攞普迷攞普為 一 ● 者麼羅, ○□□□□,能,住,盡,欣

□□□□□□□, 能住其中不可說,
住中智慧不可說, 盡諸劫住無能說,
□□□□□□□, 능주기중불가설,
주중지혜불가설, 진제겁주무능설,

彼諸邊際不可說,
저 여러 끝단 데를 말할 수 없고
그 가운데 머무는 일 말할 수 없고
머무르는 지혜들도 말할 수 없고
그지없이 머무는 일 말할 수 없고





●K0921_T1466.txt★ ∴≪A우바리문불경≫_≪K0921≫_≪T1466≫
●K0526_T1488.txt★ ∴≪A우바새계경≫_≪K0526≫_≪T1488≫
●K0536_T1503.txt★ ∴≪A우바새오계위의경≫_≪K0536≫_≪T1503≫


■ 암산퀴즈


994* 200
15192 / 18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27 번째는?
자비주 40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28 번째는?




27 일체 중생의 정기가 사업을 잘 이루도록 증장시키며,
시 례, 諀<匹里反>隸<二十七>
bhire,
(~!~) 윤회에 얽매이지 않고 법륜을 펼쳐,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40
용과 귀신이
모든 독한 종기병을 퍼뜨려
종기와 부스름, 고름이 나서
아픔을 참기 어려울 때
지성으로 대비주를 소리내 외우고
독한 종기에
세 번 침을 뱉으면
종기는 입을 따라
사라지게 되며
● 불라사야 佛囉舍那<四十> p ra śa ya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28
타다릉 션마하 보로사락가사 나타라
馱怛陵<二合>扇摩賀<引>布嚕沙洛訖叉<二合>拏馱囉<二十八>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198800
844
법수_암기방안


95 足背 【족배】 ~발등.
27 새끼마디 [little finger-넉클knuckle]
40 중앙 발가락 [신조어 ] center part (middle) toe

28 새끼 ( LITTELE finger)
94 검지(~두째) 발가락 [신조어 ]
152 eye 眼 【안】 눈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7_1218_230225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지나간 옛적에 바라니사(婆羅痆斯: 바라나시) 큰 성 가운데 왕이 있었는데 이름이 묘색(妙色)이었다.


법으로 세상을 교화하여 국토가 풍부하고 인민은 극히 성하였으며 모든 전투(戰鬪)·속임·거짓·원수와 도적이 없었으며,
또한 병·괴로움·재횡(災橫) 같은 일이 없었으며,
벼·사탕수수·소와 염소가 곳곳에 가득 찼었고,
또한 기와 깨진 것과 거친 가시덤불도 없었으며,
백성[兆人]을 은혜로 기르기를 외아들 보듯 하였다.
그 왕은 어질고 착한 이를 공경하고 믿고 뜻으로 즐기며 자기도 이롭고 남도 이롭게 하여,
견고한 원을 발하였다.
자비한 마음을 가지고 큰 법[大法]을 희망하였으며,
중생을 어여삐 여기고 여러 관리들을 사랑하였으며 인색함과 탐욕을 여의어 항상 큰 희사를 하였다.
왕의 부인은 이름이 묘용(妙容)인데,
얼굴이 단정하고 위의(威儀)가 점잖으며 여러 가지 덕이 원만하여 사람들이 사랑하고 즐겨하였다.


그 왕에게 오직 아들 하나가 있었는데 이름이 단정(端定)이었다.
아들은 나이가 비록 어렸지만 충성스럽고 효성스러우며 인자(仁慈)하므로 왕이 사랑하여 좌우에서 떠나지 못하게 하였다.
그 뒤 다른 때에 묘색왕이 마음으로 수승한 법을 희망하여 모든 신하를 불러 말하였다.
‘내가 묘한 법을 몹시 바라노니 경등은 나를 위하여 찾아오는 것이 마땅하리라.’
그 때에 여러 대신들이 앞으로 나아가 왕께 말하였다.
‘대왕께서는 마땅히 아시옵소서.
크게 깨달으신 세존[大覺世尊]께서 세상에 나오셔 세상을 흥하게 하여야 바야흐로 묘한 법이 있는 것이옵니다.’
왕이 신하에게 대답하였다.
‘지금 비록 부처님은 계시지 않지만 나를 위하여 시험 삼아 구해보시오.’
그 때에 왕은 곧 상자에다 묘한 금과 보배를 가득 채워서 기[幢] 위에 달고 북을 울리며 선전하여 널리 사방에 고하였다.
‘만일 나를 위하여 수승한 법을 베푸는 이가 있으면 내가 금상자로 그 은덕을 갚고 널리 음악을 베풀어 그를 드높여 찬탄[慶讚]하겠노라.’
이와 같이 조서하여 불렀지만 오랜 시간이 지나도록 결국 한 사람도 법을 말할 수 있는 이가 없었다.
그 때에 왕은 애타게 기다리다 근심을 품고 살아갔다.
이 때 제석께서 하계(下界)에서 누가 착하고 누가 악하며 누가 수승한 인연으로 게으름이 없는지 두루 관찰하다가,
드디어 이 왕이 법을 위하여 근심하고 고뇌함을 보고 곧바로 이렇게 생각하였다.
‘이 묘색왕이 오랫동안 수승한 법을 구하였는데,
내가 그 일이 헛된지 진실한지 시험해보는 것이 마땅하리라.’
드디어 곧 몸을 변화시켜 큰 야차[藥叉]가 되니 몸과 손·발이 이상(異常)하고 얼굴과 눈은 무서워할 만하였다.
대중 가운데로 와서 왕에게 말하였다.
‘그대가 수승한 법을 구한다 하는데,
내가 말할 수 있습니다.’
왕은 법이란 소리를 듣고 환희하고 용약하여 약차에게 말하였다.
‘밀적주(密跡主)는 묘한 법이 있는 것이니,
설해 주시기를 원하옵니다.
제가 마땅히 정성껏 듣겠습니다.’
약차가 말하였다.
‘왕이 이제 법을 가볍게 여기는 마음으로 쉽게 얻을 수 있다고 하며 곧 바로 말하라고 하지만,
일이 그렇지 않습니다.
내가 굶주려서 속이 텅 비었는데 어떻게 말할 수 있겠습니까?’
왕이 말을 듣고서 곧 음식 맡은 이에게 명하여 갖고 있는 중에서 으뜸가는 음식을 속히 받들어 올리라고 하였다.


약차가 말하였다.
‘왕의 부엌에 있는 음식은 내가 먹는 것이 아니요.
오직 사람의 뜨거운 피와 고기,
나는 항상 이것을 먹지요.’
왕이 말하였다.
‘사람의 피와 고기를 어떻게 갑자기 구하겠습니까?’
약차가 말하였다.
‘왕이 사랑하는 아들을 주시는 것이 마땅합니다.’
왕이 이 말을 듣고 곧 이렇게 생각하였다.
‘내가 오랫동안 힘을 들여 수승한 법을 구하였지만,
이제 법음을 들으니 곧 가치 없는 것이다.’
이 때 단정이 아버지 곁에서 있다가 이 말을 듣고서 꿇어 앉아 왕께 아뢰었다.
‘오직 원하옵건대,
부왕께서는 근심하지 마시옵소서.
아버지께서 바라시는 바를 마땅히 만족하게 하겠사오니,
제 몸을 가져다 밀적주에게 바쳐서 먹게 하시면 됩니다..’
왕이 말하였다.
‘법을 구하는 것을 네가 보고 사랑하는 몸을 희사하는구나.
착하구나,
장부여! 네가 좋아하는 대로 따르리라.’
단정은 곧 몸을 야차에게 바쳐 올렸고,
야차가 받고 나서 왕과 대중 앞에서 그 몸을 찢어 살을 먹고 피를 마셨다.
왕이 비록 이를 보았으나 법을 사모하는 정이 깊어서 끝내 놀라고 두려워하는 일이 없었다.
이 때 밀적주가 다시 왕에게 말하였다.
‘내가 아직 배가 부르지 않으니,
그대의 아내를 주시오.’
그 때에 묘용 부인이 옆에 있다가 이 말을 듣고 또한 그 아들과 똑같이 몸을 야차에게 바쳤다.
야차가 받고 나서 피와 고기를 먹고 다시 왕에게 말하였다.
‘그래도 내가 주리고 배가 텅 비어서 아직 충족치 못하오.’
왕이 곧 말하였다.
‘밀적주여,
외아들을 이미 보시 하였고 또한 아내를 거듭 먹고도 오히려 주리고 비었다고 하니,
뜻대로 취하는 것이 마땅하리다.
원하옵건대 나를 바칠지라도 물러설 마음이 없소.’
야차가 말하였다.
‘왕 자신을 내게 주어서 먹게 하는 것이 마땅하리다.’
왕이 말하였다.
‘좋소.
진실로 아끼지 않겠소.
그러나 내 몸이 죽으면 어떻게 법을 듣겠소이까?
이제 내가 먼저 그 묘한 법을 들어서 이미 받아 지니고서 곧바로 몸을 희사하겠소이다.’
이 때 야차가 왕과 약속하고서 한량없는 백천만억(百千萬億) 대중 가운데서 수승하고 묘한 가타([伽他: 게송)를 말하였다.



사랑으로 말미암아 근심이 생겨나고
사랑으로 말미암아 두려움이 생겨나나니
만일 사랑을 여의면
근심도 없고 두려움도 없다네.


왕이 이 수승하고 묘한 법을 이미 듣고 나자,
마음으로 경사스럽고 다행하게 여기고 기쁨이 한량없어서 밀적주에게 말하였다.
‘제가 이미 법을 들어 말씀대로 받들어 갖겠사오니,
이제 제 몸을 뜻대로 드시는 것이 마땅합니다.’
그 때에 천제석(天帝釋)은 왕이 법을 위하여 몸과 마음이 움직이지 아니함이 묘고(妙高)산과 같음을 보고 그가 반드시 위없는 깨달음을 증득할 줄 알고 야차의 모양을 버리고 천제(天帝)의 모양으로 돌아갔다.
믿음과 기쁨이 안에 충만하여 기쁜 얼굴로 앞으로 나오며,
한 손으로는 아들을 이끌고 한 손으로는 아내를 데리고 왕에게 말하였다.
‘착하고 착하도다.
이 착한 장부는 견고한 갑옷을 입어 번뇌의 군대를 깨뜨리고 어리석고 흐림[愚迷]을 제도하여 생사의 바다를 벗어났도다.
이 용맹을 보건대,
오래지 않아 위없는 정등보리[無上正等菩提]를 이룰 수 있으리다.
그대의 아내와 아들을 내가 이제 보내노라.’

그 때에 왕이 곧 천제께 아뢰었다.
‘착하고 착하십니다,
하늘의 주인인 교시가(憍尸迦)1) 시여! 큰 자비를 내리고 선지식이 되어 제가 법을 즐기는 마음을 이미 가득 차게 하실 수 있었나이다.’
이 때 천제가 대중 가운데서 갑자기 보이지 않았다.”

이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그대들의 뜻이 어떠한가?
다른 생각을 내지 말라.
저 때 묘색왕의 몸이 곧 내 몸이고 단정이라는 아들은 라훌라(羅怙羅)이며 아내 묘용은 곧 야소다라(耶輸陀羅)이니라.

그대들은 알아야 마땅하느니라.
내가 지난 옛적에 법을 구하기 위하여 
사랑하는 아내·아들과 자기 몸을 희사하고서도 
오히려 인색한 것이 없었는데,
하물며 다른 물건이겠는가.

이 인연으로 말미암아 이제 있는 바의 일체 대중이 
나를 따라 법을 듣고,
마음을 오로지 하여 듣고 받아도 
피곤하고 싫어하는 일이 없는 것이니라.


또 내가 옛적에 법을 구하여 수고로움을 잊었으므로 
이제 긴 밤을 대중을 위하여 법을 말하여도 
또한 피곤하고 게으름이 없으니,
그대 비구들은 나한테 배워서 공경하고 존중하며 부지런히 수승한 법을 구하며,

이미 법을 들은 뒤에는 말과 같이 수행하여 방일(放逸)하지 않아야 마땅할 것이니라.”

이 때 여러 비구들 및 사람과 하늘의 무리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서 환희하여 받들어 행하였다.



출전:
한글대장경 K0496_T0163
불설묘색왕인연경(佛說妙色王因緣經) 당 의정역
佛說妙色王因緣經 【唐 義淨譯】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팔 옆으로 벌렸다 모으기


○ 2016_1008_130119_can_exc


○ 2016_1008_132231_can_exc


○ 2016_1008_140941_nik_ct27


○ 2016_1008_152201_can_ar45


○ 2018_0418_121530_can_ct27


○ 2018_0418_122113_can_exc


○ 2018_0418_122708_can_ct27


○ 2018_0419_124212_can_bw20


○ 2018_0419_132843_can_bw8


○ 2018_0419_135326_can_ab35


○ 2018_0419_140956_can_ar12


○ 2020_0525_165402_can_ct27


○ 2020_0525_190631_can_ct2


○ 2020_0606_134411_can_bw16


○ 2020_0606_172412_can_ct27


○ 2020_0606_172932_can_bw17


○ 2020_0606_174043_can_ar32


○ 2020_0606_184159_can_ct27


○ 2022_0411_154428_can_Ab27_장안벚꽃길 중심

● [pt op tr] fr
_M#]



○ 2020_0525_190440_can_exc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우바새계경_K0526_T1488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우바새계경』 ♣0526-003♧
[관련키워드]
우바새계경 제3권/전체7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7-12-18_우바새계경-K0526-003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3/12/2567-12-18-k0526-003.html
sfed--우바새계경_K0526_T1488.txt ☞우바새계경 제3권/전체7권
sfd8--불교단상_2567_12.txt ☞◆vtcx1816
불기2567-12-18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296747377
https://buddhism007.tistory.com/18448
htmback--불기2567-12-18_우바새계경_K0526_T1488-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