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0년 10월 6일 화요일

실담오십자문modified-sanskrit-characters



【실담오십자문】
[한문]悉曇五十字門
실담 50자에 각각 특별한 뜻이 있다고 말함.

실담
[한문]悉曇
[범어]siddhaṃ
[영어]modified sanskrit characters
싯담의 음역.
범자(梵字)를 가리킴.
[동]실담(悉談) , 칠담(七曇) , 성취(成就) , 길상(吉祥).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실담



실담
[한문]悉曇
【범】siddhaṃ 성취(成就)ㆍ길상(吉祥)이라 번역.


인도의 문자인 범어(산스크리트).
넓은 뜻으로는 마다(摩多, 點劃이라 번역. 母音)ㆍ체문(體文, 父音)을 총칭.
좁은 뜻으로는 마다의 12운(韻)만 말함.
이 마다 12운은 모두 완전한 제소리가 있고,
또 점획으로서 체문의 여러 자모에 붙여,
여러 가지 소리를 구성하므로 성취의 뜻을 가진 실담이란 명칭으로 부름.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추가참조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4_104824_nik_exc




○ 2020_1114_160848_can_Ab35




○ 2020_1017_163440_can_ct19_s12




○ 2020_0930_135153_can_AB21




○ 2020_0910_133441_can_CT27




○ 2020_0909_143931_can_ar47




○ 2020_0908_150423_nik_ab41




○ 2020_0907_173207_can_BW27




○ 2020_0907_154852_nik_ab41




○ 2020_0907_134353_nik_ar45




○ 2020_0905_120019_nik_ar14




○ 2020_0904_161851_nik_ar47




○ 2020_0904_084834_nik_BW27




○ 2019_1105_160038_can_CT27




○ 2019_1105_155501_can_Ab35




○ 2019_1105_085326_can_bw24




○ 2019_1106_155935_can_BW21_s12




○ 2019_1106_112319_can_AR35_s12




○ 2019_1105_163747_nik_AR35_s12




○ 2019_1106_103331_nik_exc


● [pt op tr] fr
_M#]






❋❋추가참조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From 대만불광사전
실담오십자문
【悉曇五十字門】 p4573-上≫
就梵字字母五十字而各別論其義門.
五十字包括母音十六字,
子音三十四字,
係印度童蒙最初所學習之字音.
爲使童蒙學習․
諳誦之故,
印度乃設立種種方法,
其一卽選出一語之頭字有字母或語中含有字母之語,
依此語說明其字母之意義,
以便學習.
例如 : 欲說明 a(阿)字時,
則選阿字頭之語 anutpāda(不生之義) ; 說明 ba(婆),
則選 bala(力) ; 說明 ṅa(仰),
則選 aṅga(支分)等.
主要用意係藉聯想方法,
令其便於記憶.
又有依字之形者,
如北本大般涅槃經卷八之五十字門中以□(ṭa)爲半月,
□(ṭha)爲滿月.
 佛敎經典中,
頗偏重於字義,
特以密敎加以深祕之解釋,
直顯絶待究竟之理,
乃至說明五十字門悉爲法爾之法曼荼羅,
三世十方常恆不變.
諸經論敘說五十字門者甚多,
但多少有差異.
[方廣大莊嚴經卷四示書品․
大日經疏卷七,
南海寄歸內法傳卷四西方學法條](參閱「悉曇」4564)



● From 丁福保 - 佛學大辭典 : Ding Fubao's Dictionary of Buddhist Studies
悉曇五十字門

【術語】 見悉曇章條。

【參見:悉曇章】







● From 대만불광사전
실담
【悉曇】 p4564-中≫
梵語 siddhaṃ 或 siddhāṃ.
又作
悉旦․悉談․肆曇․悉檀․七旦․七曇.
意譯作成就․成就吉祥.
卽指一種梵字字母,
乃記錄梵語所用書體之一.
在梵字字母表或綴字法十八章之始所揭出之歸敬句中,
意表「令成就」之梵語,
記爲悉曇或悉地羅窣睹(梵 siddhirastu).
於是「悉曇」成爲字母之總稱,
「悉地羅窣睹」爲「悉曇章」之意義.
又悉曇轉爲總稱有關印度之聲字 ; 亦與「聲明」․「毘伽羅論」同義.
 西元第七世紀以前,
悉曇文字業已盛行於印度,
我國於南北朝時,
悉曇文字經由譯經者傳入,
竝受國人接納學習 ; 唐代有義淨之梵語千字文․智廣之悉曇字記․一行之字母表各一卷等著作.
約於奈良朝以前傳至日本.
在我國,
梵字之書體及字母稱作悉曇,
而稱梵語文法․語句解釋等爲梵音或梵語,
以此加以區別.
但日人除了稱梵字之書體爲悉曇外,
更廣泛地包含梵語書法․讀法․文法等.
 (一)按智廣「悉曇字記」所記,
就廣義而言,
悉曇爲摩多與體文之總稱,
狹義則是指摩多十二韻.
摩多,
爲梵語 mātṛka 之音譯,
卽「母」之義,
又作
韻,
指母音字,
計有十六字(參照第一表) ; 其中較爲罕用之紇里(ṛ)․紇梨(□),
里(ḷ)․梨(ḹ)等四字,
稱作別摩多 ; 餘者稱作通摩多或悉曇十二韻․悉曇十二章.
同時隨韻之暗(aṃ)與止音(止聲)之疴(aḥ)係爲阿(a)之轉化,
竝非爲本來之韻,
從十六字中除去,
則成爲十四音.
此二字因介於摩多與體文之間,
故稱界畔.
體文,
爲梵語 vyañjana之音譯,
卽子音字附加摩多之點畫以作諸種字之本體,
稱爲體文.
所謂「點畫」,
乃子音附加摩多時,
使用摩多之簡略形,
其形像似於漢字點畫,
故稱之.
體文有三十五字(參照第一表),
首先之二十五字中,
各五字依發音部位,
順次稱爲牙聲(喉音)․齒聲(齶音)․舌聲(齗音),
喉聲(齒音),
脣聲(脣音),
稱爲五類聲(五五聲․相隨聲).
以後之十字合稱遍口聲(滿口聲),
遍口聲意卽「使口中全部發音之聲」.
其中,
濫□(llaṃ)卽由二個□(la)所合成,
爲二個同一字重複合成的當體重字(合成字․複合字)之例子 ; 又乞灑□(kṣa)卽囕(ka)與□(ṣa)所合成,
爲二個異字相疊合而成的異體重字之例子,
故已非原本之字母第一表 悉曇五十字門(字母表)(此表「義」欄內括弧中所示者皆爲梵語)摩形音義梵字羅馬倂音金剛頂經悉曇字記其 他瑜伽金剛頂經釋字母品其 他十二韻⁀通摩多︶□a阿阿短婀․의․口惡․惡․遏本不生(ādyanutpāda)→阿字觀→阿字五轉→阿字本不生□ā阿引阿長寂靜(āraṇya)虛空(qkqwa)聖者(ācārya)自利利他(qt.apara-hita)□i伊伊短億․縊․益․壹根(indriya)此․這(idaṃ)□ī伊引伊長縊․翳災禍(īti)自在(īśvara)嫉妬(īṣyā)□u塢甌短烏․郁․優․屋․憂․侑․于․宇譬喩(upamā)惱亂(upadrava)最上(uttama)□ū汙引甌長烏․汚․憂․優․鄔․于․宇損減(ūna)⁀別摩多︶□r哩紇里釐․魯․口呂神通(ṛddhi)□ṝ哩引紇梨釐․口呂․流類例(?)□ḷ口呂里力․樓․梨․盧染(?)□ḹ嚧梨梨․樓․盧沈沒(?)□ə曀藹短翳․예․瑿․예․해․口垔․衣․咽求(eṅaṇā)□ai愛引藹長翳․嘢․野․哀․咽自在(aiwvarya)威儀(āiryā-patha)自在(aindra)□o汙奧短烏․嗚․汚瀑流(ogha)□au奧引奧長懊․燠․炮化生(aupaāduka)究竟(母音中之最終字之故)⁀界畔︶□aṃ暗暗去闇․菴․唵․口菴․安邊際(anta)無我我所(amogha)□aḥ惡疴去口惡․阿․痾遠離(astaṃ-gamana).多體聲五類牙聲⁀喉音︶□ka迦上迦脚․葛․ 嘎作業(kārya)作者(kāraka)業(karma)□kha佉上去呿․渴虛空(等空)(kha)□ga言我上伽哦․我․俄․竭․犍行(gamana)去者(gata)甚深(gambhīra)如來秘藏(garbha,
藏)□gha伽去引伽重恆․口恒․鍵․搋一合(ghana)厚重․稠密□ṅa仰鼻哦言我․俄․我支分(aṅga)諸行破壞(?)預知行(?)齒音⁀齶音︶□ca左者遮變遷(cyuti)行(caryā)□cha磋車蟲․綽影像(chāyā)貪慾(chanda)欲染(icchā)去(gacchati)□ja惹社闍․若․搓․嵯․諾生(jāti)老(jarā)燒(jvala?)入世間(jagat)海淸淨□jha贊⻏社重闍․禪․膳․醝․縒․諾․杓戰敵(jhaṇala?)魚․稠林(jhaṣa)□ña孃上若日若․壤․社․如․穰智(jñāna)覺悟(jñāpana)說安居(?)制伏他魔(?)舌聲⁀齗音︶□ṭa吒上吒侘․咤․多․絝慢(ṭaṅka)斷․斷結(?)半月(依字形)□ṭha咤上吒詫․咤․姹․他․口他․搋長養(viṭhapana)處(ṭhāna)滿月(依字形)置答(ṭhapanüya,
置)□ḍa拏上茶茶․口茶․袒․衤定怨對(ḍamara)怨敵․惱亂․燒盡․燋燒(ḍahati)□ḍha茶去茶重茶․口茶․陀․擇․姹․袒․檀執持(ḍhaṃka?)究竟․邊竟(四十二字門之最後字之故)□ṇa拏鼻拏挐․那․儜諍(raṇa)微細․微塵(reṇu)除諸煩惱喉聲⁀齒音︶□ta多上多多頁․口多․․他․木哀如如(tathatā)苦行(tapas)□tha他上他佗․癉․陀主處(sthāna)如去(tathāgata)勢力․勇猛力(thāmabala)□da娜陀柁․茶․捺․拏․那․扌袁․柂施(dāna)善(dama)調伏寂靜(?)斷絶(?)十力(daśa-bala)門□dha駄陀重馱․駄․拕․柂․口他․達․大․檀․彈․哪法界(dharma dhātu)法性(dharmatā)七聖財(dhana,
財)□na囊那娜․哪名(nāma)名色․不(na)脣聲⁀脣音︶□pa跛波簸第一義諦(paramārtha)顚倒(?)普照法界□pha頗頗破․娑頗聚沫(phena)果(phala)世間災(?)□ba麽婆摩․波縛(bandhana)十力(dawa-bala)□bha婆重婆重口婆․梵․滼․縛․繁有(bhava)破․破壞(bhāga)宮殿(bhavana)觀․慣習(bhāvanā)重擔(bhāra)□ma莽麽摩․磨吾我(mama)我所(mamakāra)憍(mada)慢(māna)文徧口音□ya耶也野․夜․邪․計乘(yāna)實․如實(yathāvat)差別積聚□ra囉囉羅․洛塵染(rajas)□la邏上羅扌羅․砢․呵相(lakṣaṇa)愛枝(latā)輕(lghu)□va口縛口縛娑․縛․和․화語言(vac,vāka,vāda)最勝(vara)乘雨(vaṣaṇa)□śa捨奢賖․口奢․赦․設․爍․舍本生寂(śānti)寂滅(śānta)信(śraddhā)奢摩他(śamatha)□ṣa灑沙屣․刹․殺․察性鈍(ṣaṇḍhā?
visạda?)六(ṣaṣ)具足(?)罣礙(?)海藏□sa娑上娑薩․縒․颯․拶․三․散․參諦(satya)一切(sarva)□ha賀訶呵․歌․可欠因(hetu)永害(hata)心(hṛdaya)□llaṃ濫□kṣa乞灑二合叉乞叉․羼․乞察․乞産葛․差盡(kxaya)忍(kṣānti)刹那(kṣaṇika)無盡(akṣaya)備註 :(1)五十字門缺少濫(llaṃ)字,
悉曇字記加之而成五十一字.(2)涅槃經缺少乞灑(kṣa)字,
另加羅(ḷa),
此羅字有魔(ṃāra 或 māḷa?)之義(3)摩多梵字之括弧內所示자,
係附於體文,
例如由□(ka)而作成□(kā)等,
稱此添加爲點畫.
(4)表示隨韻(ṃ)之「․」.
稱爲空點(菩提點),
表示止音(ḥ)之「:」 稱爲涅槃點 ; 隨韻又有一種仰月點「」.
空點之名稱,
係取隨韻有大空(aṃbara)之意 ; 仰月點則係依符號形狀而命名 ; 涅槃點,
乃因相當於阿字五轉中之入涅槃而得名 ; 菩提點亦因相當於證菩提而得名. 古來論及悉曇,
關於每一字母皆立形(書體)․音(發音)․義(意義)三門.
字音有中天竺․南天竺二傳,
同時亦包含連聲法(如二語相連結之音韻變化).
字義,
係爲便於記憶,
賦豫字母或合成字一定之意義,
稱爲字門.
悉曇原爲表音文字,
而非表意文字,
故每一字竝無意義,
然印度人自幼背誦字母有一種方法,
例如「阿(a)字本不生(梵語 anutpāda 之意譯)」,
卽選擇在一語開頭或一語之中,
含有阿字母之語,
或選擇由字形等可聯想之語詞,
以便於記憶,
如此字母卽含有一定之意義.
 佛敎有五十字門․四十二字門等說 ; 密敎最重視此說,
眞言之字句立字相與字義二門,
而在各字加有淺略與深祕兩種解釋,
主張聲字實相之說.
關於悉曇五十字門之字義,
據金剛頂經․文殊問經․北本大般涅槃經卷八等所說,
有所差異.
密敎主張五十字門悉爲法爾之法曼荼羅,
乃是遍滿三世十方,
絶對不變者,
其配列如第一表所示,
又日本之五十音假名之排列卽是倣傚此梵字字母之順序而作.
悉曇四十二字門之說見於大品般若經卷五等,
又稱四十二字陀羅尼門.
所謂文字陀羅尼竝非如五十字門之說字母等爲目的,
是故在文字配列竝不若五十字門之整然,
且缺少母音字十五與子音字四,
而加另外之十一重字(合成字․複合字),
其配列如第二表所示.
第 二 表 悉 曇 四 十 二 字 門 ①阿a□②羅ra□③波pa□④遮ca□⑤那na□⑥邏la□⑦陀da□⑧婆ba□⑨茶ḍa□⑩沙ṣa□⑪和va□⑫多ta□⑬夜ya□⑭咤ṣṭa□⑮迦ka□娑sa□磨ma□伽ga□他tha□闍ja□其皮sva□馱dha□賖śa□呿kha□叉kṣa□口多sta□若jña□拕rtha□婆bha□車cha□摩sma□火hva□嗟tsa□伽gha□他ṭha□拏ṇa□頗pha□歌ska□醝ysa□遮śca□咤ṭa□茶ḍha□ 備註 : 此表不包含在五十字門中之十一重字.
然與五十字門共通者,
請參照五十字門.
又上記中,
(14)咤(ṣṭa),
又作
咤․瑟咤․史咤.
障礙(stambha?或 ṣṭambha?)․折伏之意.
(21)其皮(sva),
又作
波․鎖․濕波․濕口縛․娑口縛.
善․安隱(savasti)之意.
(26)哆(sta),
又作
侈․薩多頁․娑多․娑哆․尸癉․沙多也阿.
有(asti?)․昏沈(styāna)․邊等意.
(27)若(jña),
又作
壤․孃․忄若․枳穰.
智․智慧(jñāna)之意.
(28)拕(rtha),
又作
他․伊陀․辣他․囉他․咤呵․曷囉多.
義(artha)之意.
(31)摩(sam),
又作
魔․娑摩․娑莽․颯磨․濕麽.
念․憶念(smṛti)․石(aśma)等意.
(32)火(hva),
又作
蹉․火婆․訶婆․訶口縛․嗑口縛․沙波.
喚來(hva,hvaya)․而得至信․不可分別等意.
(33)嗟(tas),
又作
蹉․縒․哆娑.
慳(mātsarya)․盡滅․死亡․勇猛․勇健性等意.
(38)歌(ska),
又作
塞迦․娑迦․尸迦.
蘊․聚(skandha)․法性等意.
(39)醝(ysa),
又作
逸娑․也娑․拽娑․夷娑․闍․嵯.
衰老之意.
(40)遮(śca),
又作
嗟․酌․伊陀․是侈․室者․室左.
不動(niścala)․未曾有(āścarya)之意.
(二)悉曇字母之綴字․合字․連聲等法則,
從迦迦章(體文除「濫」外,
三十四字之每一字皆加十二摩多,
卽作四○八字)乃至孤合章等十八章,
此稱爲悉曇十八章․悉曇十八章建立或悉曇切繼等.
一般稱集合字母及重字之例者爲悉曇章(如前述之悉地羅窣睹),
字母表又稱摩多體文.
 (三)有關悉曇相承之系譜,
臺密派據安然悉曇藏卷一,
主張各別之四種悉曇相承,
卽 : 梵王相承(南天相承)․龍宮相承(中天相承)․釋迦相承(顯敎所傳)與大日相承(密敎所傳).
東密派飮光(慈雲尊者)在悉曇章相承口說卷上,
批判上述說法,
竝謂梵王卽大日 ; 且日僧空海在悉曇考試表白中指出,
悉檀兼傳中天相承(卽龍猛․龍智․金剛智․不空․惠果等之次第相承)與南天相承(卽般若瞿沙․般若菩提․智廣等之次第相承).
[大智度論卷四十八․南海寄歸內法傳卷四西方學法條․悉曇藏卷四․大般涅槃經義記卷四(慧遠)]



● From 홍법원불교사전(구판)
실담
hbfl--07_Sa_0931.TIF
★★윗줄 블록설정후 핫키실행시 홍법원구판-사전 열람가능
실담
⑤-4564■불광사전
hbfl--07_Sa_0931.TIF
★★윗줄 블록설정후 핫키실행시 홍법원구판-사전 열람가능
■ '실담' 관련 기타 참고 사전 통합 검색
다음백과 https://100.daum.net/search/entry?q=실담
네이버백과 https://terms.naver.com/search.nhn?query=실담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실담
네이버한자 https://hanja.naver.com/search?query=실담
네이버지식 https://kin.naver.com/search/list.nhn?query=실담
네이버사전 https://endic.naver.com/search.nhn?sLn=kr&isOnlyViewEE=N&query=실담

위키영문 https://en.wikipedia.org/wiki/siddha
구글 https://www.google.co.kr/?gws_rd=ssl#newwindow=1&q=실담
네이버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실담
다음 https://search.daum.net/search?w=tot&q=실담


--- 이하 단어 직접 입력 검색 ---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https://abc.dongguk.edu/ebti/c3/sub1.jsp
불광대사전(佛光大辭典) https://www.fgs.org.tw/fgs_book/fgs_drser.aspx
산스크리트어사전 https://www.sanskrit-lexicon.uni-koeln.de/monier/
티벳어사전 https://nitartha.pythonanywhere.com/index

★★★● 실담 50자문































>>>














































● [예] 오자진어 a ra pa ca na na ca pa ra a















































■ <참고>










⑤-4573■불광사전
hbfl--07_Sa_0935.TIF

● 위키벡과
https://ko.wikipedia.org/wiki/데바나가리_문자



데바나가리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로 쓴 리그베다 문서. (19세기 초)
데바나가리 문자로 쓴 리그베다 문서. (19세기 초)
원래 이름 देवनागरी
유형 아부기다
표기 언어 산스크리트어, 힌디어, 카슈미르어, 마라티어, 네팔어
사용 시기 ~ 현재
계통 원시 시나이 문자
페니키아 문자
아람 문자
브라미 문자
굽타 문자
범자(나가리 문자)
데바나가리 문자

접기데바나가리 문자
क़ ख़ ग़ ज़ ड़ ढ़ फ़ य़
vdeh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데바나가리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데바나가리




데바나가리 문자(देवनागरी, /d̪e:vən̪ɑɡəɾi/)는
고대 인도에서 생겨나 발달한 문자이다. 아부기다로서,
음절문자알파벳의 특징을 두루 갖췄다.

산스크리트어를 비롯하여, 팔리어, 프라크리트어(en:Prakrit) 등을 옮겨적는데 쓰였다.
현대 인도 언어 가운데 힌디어, 카슈미르어, 마라티어, 네팔어 등 인도의 여러 대언어의 기록, 인쇄 등에 쓰이고 있다.
목차


1기원
2특징
3문자3.1홀소리3.1.1다른 기호

3.2닿소리
3.3숫자

4유니코드
5컴퓨터 입력법5.1펠드하위스 표기법


기원[■편집]


데바나가리는 아람 문자에서 갈라져 나온 브라흐미 문자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기원전 3세기 무렵부터 사용되었던 브라흐미 문자는 6세기 무렵에 여러 문자로 분화되기 시작하였다. 그 가운데 하나가 7세기 무렵에 생겨난 나가리 문자로 이는 지금의 데바나가리 문자의 원형이다.
'나가리'(naagarii; नागरी)는 '나가라'(nagara; नगर) 즉 '도시의 문자'라는 뜻이다. 여기에 '신'이란 뜻인 '데바' (deva; देव = 신)가 접두어로 붙어 신성시된 것이 데바나가리란 이름의 유래이다.
특징[■편집]
데바나가리 문자의 주된 특징으로 각 문자가 문자 윗부분의 일직선에 이어진채로 쓰인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현대어에서는 이 수평선이 낱말 단위로 그어져 있으나, 산스크리트어 전통 서법에서는 모든 문장에 이 수평선을 그었다.
데바나가리는 닿소리를 나타내는 글자가 특정 홀소리(일반적으로는 음가 /a/)를 수반하는 음절로 읽혀지는 아부기다 문자이다. 이것을 딸림 모음이라고 하는데, 인도의 언어에는 -a라는 홀소리가 매우 많이 쓰이기 때문에 기본형이 되었다. a소리 이외의 모음을 나타내려 할 때는 닿소리 문자에 별도의 홀소리기호를 붙인다.
데바나가리는 33개의 닿소리 문자와 10 종류의 홀소리 문자로 이루어지며, 여기에 아홉 종류의 모음 부호와 비음, 무성기음 기호에 생략을 나타내는 몇가지 기호, 숫자 10개로 구성되어 있다. 쓰는 순서는 왼쪽에서 오른쪽이다.



문자[■편집]


홀소리[■편집]
홀소리는 닿소리 위나 아래, 또는 옆에 기호로서 붙는다. 기호가 없으면 기본값의 홀소리가 난다.





글자 /p/에 홀소리 기호가 붙은 모습 유니코드 이름 IPA
प (붙지 않음) a /ə/
पा aa /ɑ/
पि i /ɪ/
पी ii /i/
पु u /ʊ/
पू uu /u/
पृ vocalic r /rɪ/ (산스크리트어에서는 /r ̩/)
पॄ vocalic rr /rɪ/ (산스크리트어에서는 /rː̩/)
पॢ vocalic l (산스크리트어에서는 /l ̩/)
पॣ vocalic ll (산스크리트어에서는 /lː̩/)
पॅ candra e
पॆ short e /e/
पे e e(/ː/)
पै ai /ɛ/ (산스크리트어에서는 /ai/)
पॉ candra o
पॊ short o /o/
पो o /o(ː)/
पौ au /ɔ/ (산스크리트어에서는 /au/)








다른 기호[■편집]






/p/에 붙은 모습 유니코드 이름 기능 IPA
प् virama 모음을 없앰. [p]
पँ candrabindu 모음을 비음화함. [pə̃]
पं anusvara 모음을 비음화함. [pə̃]
पः visarga 모음 뒤에 소리없는 숨을 내쉼. [pəh] / [pəə̥]
प़ nukta 페르시아어에서 차용한 소리를 나타냄. (예: ph + nukta = f)
पऽ avagraha 장모음을 나타냄. [pə:]






닿소리[■편집]





글자 유니코드 이름 로마 문자 전사 IPA
ka k k
kha kh
ga g ɡ
gha gh ɡʱ
nga ŋ
ca c tʃ / c
cha ch tʃʰ / cʰ
ja j dʒ / ɟ
jha jh dʒʱ / ɟʱ
nya ñ ɲ
tta ʈ / ɽ̊
ttha ṭh ʈʰ / ɽ̊ʰ
dda ɖ / ɽ
ddha ḍh ɖʱ / ɽʱ
nna ɳ
ta t
tha th t̪ʰ
da d
dha dh d̪ʱ
na n n̪ / n
pa p p
pha ph
ba b b
bha bh
ma m m
ya y j
ra r ɾ / r
la l l
lla ɭ
va v v / ʋ
sha ś ɕ
ssa ʂ
sa s s
ha h h / ɦ






숫자[■편집]






0 1 2 3 4 5 6 7 8 9


유니코드[■편집]


데바나가리 문자는 유니코드 U+0900 ~ U+097F에 할당되어 있다.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U+090x
U+091x
U+092x
U+093x ि
U+094x
U+095x क़ ख़ ग़ ज़ ड़ ढ़ फ़ य़
U+096x
U+097x
데바나가리 문자









컴퓨터 입력법[■편집]
펠드하위스 표기법[■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펠드하위스 표기법입니다.


펠드하위스(네덜란드어: Fran Velthuis)가 1991년 {\displaystyle {\mathrm {T\!_{\displaystyle E}\!X} }}에 입력하기 위해 만든 입력법.









● From naver-어학사전


■ '실담오십자문' 관련 기타 참고 사전 통합 검색
다음백과 https://100.daum.net/search/entry?q=실담오십자문
네이버백과 https://terms.naver.com/search.nhn?query=실담오십자문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실담오십자문
네이버한자 https://hanja.naver.com/search?query=실담오십자문
네이버지식 https://kin.naver.com/search/list.nhn?query=실담오십자문
네이버사전 https://endic.naver.com/search.nhn?sLn=kr&isOnlyViewEE=N&query=실담오십자문

위키영문 https://en.wikipedia.org/wiki/
구글 https://www.google.co.kr/?gws_rd=ssl#newwindow=1&q=실담오십자문
네이버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실담오십자문
다음 https://search.daum.net/search?w=tot&q=실담오십자문


--- 이하 단어 직접 입력 검색 ---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https://abc.dongguk.edu/ebti/c3/sub1.jsp
불광대사전(佛光大辭典) https://www.fgs.org.tw/fgs_book/fgs_drser.aspx
산스크리트어사전 https://www.sanskrit-lexicon.uni-koeln.de/monier/
티벳어사전 https://nitartha.pythonanywhere.com/index


● [pt op tr] fr

_M#]





【추가 참조용 숨김글 표시부분】 ★%★
■ 불교사전 링크 및 불교 사전 출처 종합 안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4/blog-post_21.html


●● 관련정보 사용페이지



----[‡사용한 다른 페이지]---



★%★


◎◎[개별논의] ❋추가참조


【개인 견해 및 조각글 표시부분】


----[다른 페이지]---

‡실담사십이자문









◆vryk4836
◈Lab value 불기2564/02/12/수/21:43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Theophile Steinlen-le-dernier-salut-tu-t-en-iras-les-pieds-devant.jpg!HD

[#M_▶더보기|◀접기|
Artist: Theophile Steinlen
https://en.wikipedia.org/wiki/Théophile_Steinlen
Title : le-dernier-salut-tu-t-en-iras-les-pieds-devant.jpg!HD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Begonia_"Dragon_Wing"_2

[#M_▶더보기|◀접기|
Français : Begonia "Dragon Wing"
Author Dinkum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Stanford_University_Arches_with_Memorial_Church_in_the_background

[#M_▶더보기|◀접기|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Stanford_University_Arches_with_Memorial_Church_in_the_background.jpg
영어 : 백그라운드에서 기념 교회와 스탠포드 대학 아치
저자 조우
● [pt op tr] fr
_M#]


♡Pavurallakonda ,India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상세정보=> https://buddhism007.tistory.com/5713




♥단상♥

अ(a)
र(ra)
प(pa)
च(ca)
न(na)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10/modified-sanskrit-characters.html#2201
sfx--dict/실담오십자문.txt
sfd8--불교용어dic_2564_02.txt ☞◆vryk4836
불기2564-02-12
θθ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Marie Laforet - Je Ne Peux Rien Promettre
Frank Michael (Collector Edition) - Celle Que J'aime
Tete - Serendipity 44
Aldebert - La Plage
Fernandel - On M'appelle Simplet
Yves Montand - Fabl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Nenang Pawo
[san-chn] kim aṅga punaḥ 何況, 況
[san-eng] deheṣu $ 범어 bodies
[pali-chn] dhamma-cakka-pavattana 初轉法輪, 轉法輪
[pal-eng] arindama $ 팔리어 3tamer of enemies; a conqueror.
[Eng-Ch-Eng] 二障義 The Ijang'ui; "The Doctrine of the Two Hindrances." An in-depth treatise concerning the various theories developed on the doctrine of the two hindrances 二障 of the Yoga^ca^ra school 瑜伽行派, by Wonhyo 元曉. HPC 1.789-814. This treatise examines and compares the various explications regarding the two hindrances as found in the major Yoga^ca^ra texts, most prominent of which are the Yoga^ca^rabhu^mi-/sa^stra 瑜伽論, Sam!dhinirmocana-su^tra 解深密經, Maha^ya^na^bhidharma-samuccaya-vya^khya^ 對法論, S/ri^ma^la^devi^-simhana^da-su^tra 勝鬘經 and Prakarana^ryava^ca-/sa^stra 顯揚論. Wonhyo first defines characteristics the hindrances in great depth, in terms of both esoteric an exoteric interpretations. He then explains how they are to be removed in terms of the various Yoga^ca^ra path scenarios, how their removal is handled by different classes of practitioners, and so forth. It is one of the most instructive works available for understanding the Buddhist notions of defilment/affliction and the obstructions to enlightenment created by the discriminating human mind.
[Muller-jpn-Eng] 五甁灌頂 ゴビョウカンジョウ consecration with the water of the five vases
[Glossary_of_Buddhism-Eng] ICONS☞
See also: Buddha Images.


[fra-eng] chiendent $ 불어 couch-grass


■ 다라니퀴즈

자비주 45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63 번째는?




45
또 삼천대천 세계에
암흑처의 삼악도 중생이
나의 이 주문을 들으면
다 괴로움을 여의게 되고,
모든 보살 가운데 초지에
오르지 못한 자는
속히 오르게 되고
내지 십주지(十住地)도 이르게 되고,
또 불지(佛地)에도 이르러
자연히 삼십이상(三十二相)과
팔십(八十)가지 좋은 형상을 성취하게 되며,
● 소로소로 蘇嚧蘇嚧<四十五> su ru su ru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63
가마라 바
迦摩羅<引>婆<六十三>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279일째]
어불가설제월중 $ 021▲阿婆鈐阿婆鈐為 一 ● 彌伽(上)婆, ○□□□□,一,於,復,於

□□□□□□□, 一一現光不可說,
於彼一一光明內, 復現於日不可說。
□□□□□□□, 일일현광불가설,
어피일일광명내, 부현어일불가설。

말할 수 없이 많은 모든 달마다
나타내는 낱낱 광명 말할 수 없고
저러한 하나하나 광명 속에서
해[日]를 다시 나타냄도 말할 수 없네.



[280째]
어불가설제일중 $ 022▲彌伽婆彌伽婆為 一 ● 毘攞伽, ○□□□□,一,於,又,於

□□□□□□□, 一一現色不可說,
於彼一一諸色內, 又現光明不可說。
□□□□□□□, 일일현색불가설,
어피일일제색내, 우현광명불가설。

말로 할 수 없는 낱낱 해에서
나타내는 낱낱 빛깔 말할 수 없고
저러한 하나하나 빛깔 속마다
광명을 또 나투어 말할 수 없고





●K0767_T0745.txt★ ∴≪A불설잡장경≫_≪K0767≫_≪T0745≫
●K0647_T0001.txt★ ∴≪A불설장아함경≫_≪K0647≫_≪T0001≫
●K0095_T0307.txt★ ∴≪A불설장엄보리심경≫_≪K0095≫_≪T0307≫

법수_암기방안


21 큰 마름 [엄지쪽 큰마름(뼈) ~ 트러피지엄trapezium]
22 엄지 첫마디 [ 썸 넉클 THUMB knuckle]
45 발등 instep / top (side) of the foot
63 전박 (前膊) ~ 아래팔뚝
■ 용어퀴즈 다음 설명에 맞는 답을 찾으시오.

■ 용어 퀴즈
계법을 일러 줌.

답 후보
● 수계(授戒)
수량품(壽量品)

수마(須摩)
수면욕(睡眠欲)
수보리(須菩提)
수습위(修習位)
수연진여(隨緣眞如)






○ 2019_1106_100848_can_exc_s12 화순_운주사_쌍봉사_풍광




○ 2020_0905_145356_can_ori_rs 오대산_적멸보궁




○ 2019_1105_115308_can_exc 순천_선암사_송광사_풍광




○ 2019_1106_120116_nik_exc 화순_운주사_쌍봉사_풍광




○ 2019_1106_152329_can_fix 화순 쌍봉사




○ 2019_1105_172425_can_fix 순천_선암사_송광사_풍광




○ 2020_0906_110612_nik_ori_rs 천축산_불영사




○ 2019_1201_162455_nik_exc 원주_구룡사_풍광




○ 2019_1106_153148_nik_exc 화순_운주사_쌍봉사_풍광




○ 2019_1201_163524_nik_exc 원주_구룡사_풍광




○ 2020_0906_124556_can_ori_rs 천축산_불영사




○ 2019_1201_151600_can_fix 원주_구룡사_풍광




○ 2019_1106_130635_can_fix 화순_운주사_쌍봉사_풍광




○ 2020_0930_143733_nik_ori_rs 용주사




○ 2020_0905_154338_nik_ori_rs 오대산_적멸보궁




○ 2019_1106_130120_can_exc 화순_운주사_쌍봉사_풍광




○ 2020_0909_135150_can_ori_rs 무주_백련사




○ 2020_0905_164750_can_ori_rs 오대산_적멸보궁




○ 2019_1105_121718_can_fix 순천_선암사_송광사_풍광




○ 2019_1105_165513_can_fix 순천_선암사_송광사_풍광





● [pt op tr] fr
_M#]






○ 2020_0906_114250_nik_ori_rs 천축산_불영사











[오래된 조각글재정리 안내]
☎잡담☎ = 순전한 잡담부분
● = 논의부분
재검토시작 Lab value /02/21/일/19:51
♥본 페이지는 현재 작성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문단, 표현 재정리 작업중
경전정리 (▽정리중) (▼마침)
논의 (○정리중) (●마침)
조각글 (☆정리중) (★마침)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tistory.com/5857
○ [pt op tr]


● 실담 [문서정보]- 불교용어풀이 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링크용타이틀]

■ 본 페이지 ID 정보
DICT--실담오십자문

https://buddhism007.tistory.com/13548
sfx--dict/실담오십자문.txt
sfd8--불교용어dic_2564_02.txt ☞◆vuah2201
불기2564-02-12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2251404662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10/modified-sanskrit-characters.html
htmback--실담오십자문_불기2564-10-06-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