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장경』
K0529
T0653
상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장경』
♣0529-001♧
상권
♥아래 부분은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4_175500_nik_CT28
○ 2019_1104_110939_nik_ct8
○ 2018_1023_165521_can_ar24
○ 2018_1024_140534_can_ar24
○ 2020_1017_160138_nik_AR35_s12
○ 2020_0930_142839_can_ar11
○ 2020_0910_160214_can_ab41
○ 2020_0910_122022_can_BW27
○ 2020_0909_125159_can_ori_rs
○ 2020_0907_161251_can_BW28
○ 2020_0907_165336_nik_ab41
○ 2020_0905_151731_nik_ar32
○ 2020_0904_135723_can_ct14
○ 2020_0904_130749_can_CT28
○ 2019_1105_165513_can_ar38
○ 2019_1106_121456_can_ct14
○ 2019_1106_120052_can_fix
○ 2019_1105_113226_nik_bw0_s12
○ 2019_1106_120733_nik_ab41_s12
● [pt op tr] fr
_M#]
○ 2020_0909_142057_can_Ab31
❋❋본문 ♥ ◎[개별논의]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
○ [pt op tr]
[#M_▶더보기|◀접기|
불장경(佛藏經) 상권
구마라집(鳩摩羅什) 한역
1. 제법실상품(諸法實相品)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왕사성(王舍城)의 기사굴산(耆闍崛山)에 큰 비구의 무리와 함께 머무셨는데,
이들은 모두가 지식을 갖춘 이들이었으며,
또 가없는 대보살마하살의 무리는 한량없고 셀 수 없었다.
이 때 사리불이 삼매로부터 깨어나
부처님 계신 곳으로 찾아와서
오른쪽 어깨를 한쪽으로 드러내고
머리를 숙여 예의를 갖춰 부처님께 아뢰었다.
“희유(希有)하십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설하신 일체의 법은
생이 없고[無生],
멸이 없고[無滅],
상이 없고[無相],
함이 없는 것[無爲]으로 사람으로 하여금 믿고 깨닫게 합니다.”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그대가 어떠한 이익을 보았기에 찬탄하여
‘희유합니다.
여래가 설하신 일체의 모든 법은 생이 없고 멸(滅)이 없고 상이 없으며 함이 없는 것으로
사람으로 하여금 믿고 깨닫게 한다’고 하는가?”
사리불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저는 선정(禪定)에 있으면서 항상 이러한 생각을 하였습니다.
‘세존께서는 명상(名相)이 없는 법에 있어 곧잘 명상으로써 설하며 언어가 없는 법을 언어로써 설하신다.’
이 일을 사유하여 희유하다는 마음이 생겼습니다.”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참으로 그렇다.
이 일은 가장 희유하다.
이것을 모든 부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라고 말한다.
사리불아,
비유컨대 훌륭한 화공(畵工)이 허공에 여러 가지 색상(色相)을 그려서 나타내는 것과 같다.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 화공을 희유하다고 하겠느냐,
아니하겠느냐?”
“희유합니다,
세존이시여.”
“사리불아,
여래가 얻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모든 법은 무생(無生)ㆍ무멸(無滅)ㆍ무상(無相)ㆍ무위(無爲)라고 설하여,
사람으로 하여금 믿고 깨닫게 함이 배(倍)나 희유하다.
무슨 까닭인가 하면,
명상(名相)이 없는 법은 생각이 없고 얻음이 없는 것으로서 역시 닦을 것도 없다.
불가사의하여 마음의 의지하는 바가 아니며 희론(戱論)함도 없다.
이는 희론이 의지할 곳이 아니고,
깨달을 것도 관(觀)할 것도 없고 거두는 바도 없다.
마음에 있지 않고,
얻고 얻는 것이 아니며,
이것도 없고 저것도 없어 분별함이 없다.
움직임도 없고 성품[性]도 없어 본래가 스스로 공(空)한 것이다.
생각할 수가 없고 나갈[出] 수가 없는 것으로서 일체의 세간이 믿을 수 없는 곳이다.
이와 같이 명상이 없는 법을 명상으로서 설하는 것이 그와 같다.
사리불아,
일체의 모든 법은 생이 없고 멸이 없고 상이 없고 함이 없는 것으로서 사람으로 하여금 믿고 깨닫게 하기가 배나 희유하다고 한다.
사리불아,
비유하면,
사람이 있어 수미산(須彌山)을 씹어 삼켜서 능히 없애고 허공을 날아도 병이 되지 않음과 같다.
어떻게 생각하느냐?
희유하냐,
하지 않으냐?”
“희유합니다,
세존이시여.”
“사리불아,
모든 부처가 설하는 바의 모든 법은 무생(無生)ㆍ무멸(無滅)ㆍ무상(無相)ㆍ무위(無爲)로서 사람으로 하여금 믿고 깨닫게 하기가 배나 희유하다고 한다.
사리불아,
비유하면 화성(火城)의 높이와 너비와 깊이가 각각 1유순(由旬)으로 네 개의 문으로부터 불꽃을 뿜어낸다.
사람이 마른 풀을 지고 그 속을 지나가니 사나운 바람에 불길이 불어 그 몸을 태우려 하지만,
이 사람은 풀을 태우지 않고 몸도 태우지 않고서 안에서 나올 수가 있어 본래와 같아 다름이 없다.
어떻게 생각하느냐?
희유하다 하겠느냐,
아니하겠느냐?”
“희유합니다.
세존이시여.”
“사리불아,
여래께서 설하시는 바 일체의 모든 법은 무생(無生)ㆍ무멸(無滅)ㆍ무상(無相)ㆍ무위(無爲)로서 사람으로 하여금 믿고 깨닫게 하기가 배나 희유하다고 한다.
사리불아,
비유컨대 사람이 돌을 가지고 뗏목을 만들어 바다의 이쪽 기슭에서 저쪽 기슭에 이르고자 하는 것과 같다.
어떻게 생각하느냐?
희유하다 하겠느냐,
아니하겠느냐?”
“희유합니다,
세존이시여.”
“사리불아,
여래께서 설하시는 일체의 모든 법은 무생(無生)ㆍ무멸(無滅)ㆍ무상(無相)ㆍ무위(無爲)로서 사람으로 하여금 믿고 깨닫게 하기가 배나 희유하다.
사리불아,
비유하면 사람이 있어서 4천하(天下)와 그리고 모든 수미산의 강과 풀과 나무를 지고서
모기[蚊]의 다리로 사다리를 삼아 올라가 범천(梵天)에 이르고자 함과 같다.
어떻게 생각하느냐?
희유하다 하겠느냐,
아니하겠느냐?”
“희유합니다,
세존이시여.”
“사리불아,
여래께서 설하시는 일체의 모든 법은 무생(無生)ㆍ무멸(無滅)ㆍ무상(無相)ㆍ무위(無爲)로서 사람으로 하여금 믿고 깨닫게 하기가 배나 희유하다고 한다.
사리불아,
비유컨대 연(蓮) 줄기의 실을 수미산에 걸어 허공에 있게 함과 같다.
어떻게 생각하느냐?
희유하다 하겠느냐,
아니하겠느냐?”
“희유합니다,
세존이시여.”
“사리불아,
여래께서 설하신 일체의 모든 법은 생이 없고 멸이 없고 상이 없고 함이 없는 것으로서 사람으로 하여금 믿고 깨닫게 하기가 배나 희유하다고 한다.
사리불아,
비유하면 겁(劫)이 다하도록 큰불이 타오를 때,
사람이 침을 한 번 뱉어서 능히 이 불을 끄고,
또 한 번 불어서 세계와 모든 천궁(天宮)을 다시 이루는 것과 같다.
어떻게 생각하느냐?
희유하다 하겠느냐,
아니하겠느냐?”
“희유합니다,
세존이시여.”
“사리불아,
여래께서 설하시는 일체의 모든 법은 무생(無生)ㆍ무멸(無滅)ㆍ무상(無相)ㆍ무위(無爲)로서 사람으로 하여금 믿고 알게 하는 것은 배나 희유하다고 한다.
사리불아,
항하(恒河)의 광대(廣大)함을 무량하다 하겠느냐,
아니하겠느냐?.”
“무량합니다,
세존이시여.”
“사리불아,
4천하(天下) 가운데 널리 큰비를 내려 항하에 넘치도록 함과 같은데,
사람이 있어 손으로 이 비를 받아 버릴 곳이 없다면 어떻게 생각하느냐?
희유하다 하겠느냐,
아니하겠느냐?”
“희유합니다,
세존이시여.”
“사리불아,
여래께서 설하시는 일체의 모든 법은 무생(無生)ㆍ무멸(無滅)ㆍ무상(無相)ㆍ무위(無爲)로서 사람으로 하여금 믿고 알게 하기가 배나 희유하다고 한다.
사리불아,
수미산을 넓고 크다 하겠느냐,
아니하겠느냐?”
“높고 큽니다.
4천하 가운데 큰돌을 남김 없이 비오듯 뿌려 모두가 수미산과 같이 하는데,
사람이 있어 손으로 이 돌을 받아 개자(芥子)와 같이 버릴 곳이 없다면 어떻게 생각하느냐?
희유하다 하겠느냐,
아니하겠느냐?”
“희유합니다,
세존이시여.”
“사리불아,
여래의 설하시는 일체의 모든 법은 무생(無生)ㆍ무멸(無滅)ㆍ무상(無相)ㆍ무위(無爲)로서 사람으로 하여금 믿고 알게 하는 것은 배나 희유하다고 한다.
사리불아,
비유컨대 사람이 있어 일체 중생을 왼손에 놓고 오른손에 삼천대천세계의 산과 갖가지 풀과 나무를 들어 올려 능히 일체 중생 모두로 하여금 한가지로 마음이 기쁘고 즐겁게 하고 그 뜻이 다르지 않게 함과 같다.
어떻게 생각하느냐?
희유하다 하겠느냐,
아니하겠느냐?”
“희유합니다,
세존이시여.”
“사리불아,
여래께서 설하시는 일체의 모든 법은 생이 없고 멸이 없고 상이 없고 함이 없어 사람으로 하여금 믿고 알게 하기란 배나 희유하다고 한다.
사리불아,
여래께서 설하시는 모든 법은 성품이 없고 공(空)하여 있는 바가 없어
일체의 세간(世間)이 믿고 알기에 어려운 것이다.
무슨 까닭인가?
사리불아,
이 법은 생각[想]이 없고 모든 생각[想]을 떠났으며,
생각[念]이 없고 모든 생각[想]을 떠났으며,
취(取)도 없고 버리는 것[捨]도 없고 희론(戱論)함도 없고 뜨거운 고뇌도 없다.
차안(此岸)도 아니며 저 피안(彼岸)도 아니며 육지도 아니다.
어리석음이 아니며 현명함도 아니며,
무량한 지혜로써 알 수가 있게 되는 것이지,
사량(思量)으로써 능히 알 수 있는 곳이 아니다.
행(行)도 없고 상(相)도 없으며 뜨거운 고뇌도 없다.
생각[念]이 없고 모든 생각을 지난 것이다.
마음도 없고 모든 마음을 지난 것이다.
앞[向]도 없고 뒤[背]도 없으며 묶임도 없고 풀리는 일도 없다.
망령됨도 없고 망령된 법도 없다.
어리석음도 없고 어리석은 법도 없다.
어리석음의 그물이 없으며 이름도 없고 말도 없다.
설함이 없고 설하지 않음도 없고,
다함이 없고 다하지 않음도 없다.
행(行)이 없고 행의 상(相)도 없으며
길이 없고 길의 결과[道果:보리와 열반]도 없다.
떠남도 없고 떠나는 모든 것도 지났다.
사유(思惟)함도 없고 뒤범벅이 된 것도 없다.
취(取)하지 않고 버리지 않으며 얻음도 얻을 수 없는 것도 없다.
모든 집착을 없애고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을 없앤다.
진실이 아니고 허망함도 아니다.
항상함이 아니고 무상(無常)한 것도 아니다.
밝음이 아니고 밝음이 아닌 것도 아니다.
어둠이 아니고 비춤[照]도 아니다.
마음에 있지 않고 성품이 있는 것이 아니며 성품은 본래가 공(空)이다.
능히 악마를 항복하고 번뇌를 항복하고,
5음(陰)을 항복하고 12입(入)을 항복하고,
18계(界)를 항복하고 5음이 있다고 설하는 자를 항복하고,
12입이 있다고 설하는 자를 항복하고 18계가 있다고 설하는 자를 항복하며,
중생이 있다고 설하는 자와 사람이 있다고 설하는 자와
목숨[壽]이 있다고 설하는 자와 명(命)이 있다고 설하는 자와
유(有)가 있다고 설하는 자와 무(無)가 있다고 설하는 자를 항복하며,
일체의 모든 삿된 행이 있는 자를 항복한다.
사리불아,
나의 이 거룩한 법은 능히 일체의 탐착하고 내지
법이 있다고 설하는 자와
모든 법의 여실(如實)한 상을 바라지 않는 자와
불법(佛法)을 거스르는 자,
모두를 항복한다.
무슨 까닭인가?
사리불아,
만약 중생의 아(我)를 설하는 자와
인(人)을 설하는 자와
끊어짐과 멸함을 설하는 자,
상(常)을 설하는 자와
유(有)를 설하는 자와
무(無)를 설하는 자,
여러 법을 설하는 자와
거짓 이름을 설하는 자와
가[邊]를 설하는 자가 있으면,
그 모두는 부처에게 어기고 배반하며 부처와 함께 다투는 자이다.
사리불아,
내지 법에 있어서 조금의 기약이라도 얻는 자는 모두가 부처와 함께 다툰다.
부처와 다투는 자는 모두가 삿된 길에 들며 나의 제자가 아니다.
만약 나의 제자가 아니면 곧 열반과 함께 다투며
부처와 함께 다투고 법과 함께 다투고 승(僧)과 함께 다툰다.
사리불아,
이와 같은 소견을 가진 사람이 출가하여 계를 받은 것을 나는 허가하지 않는다.
사리불아,
이와 같은 견해를 가진 사람에게는 내가 한 번 마시는 물을 받아도,
스스로 공양(供養)하는 것이라고 허락하지 않는다.
사리불아,
만약 사람이 이와 같은 선하지 못한 탐착한 일을 없애고
나의 법 가운데서 출가하여 도(道)를 구하면
열반을 염하고 열반으로써 염(念)을 삼고 열반을 탐하지 않는다.
필경공(畢竟空)의 법에 있어서 놀라지 않고 두려워하지 않는 이 사람은 더욱 모든 법을 끊기 위한 까닭에 부지런히 정진을 행한다.
하물며 이와 같이 선하지 못한 탐착(貪着)이겠느냐?
말하자면 나에게 집착하고 중생에게 집착하고 사람에게 집착하고 법에 집착함이겠느냐?
이 사람은 모든 탐착을 끊기 위한 까닭에 오직 부지런히 힘써 무상삼매(無相三昧)1)를 닦아 무상삼매에 있어서도 역시 상(相)을 취하지 않는다.
이 사람이 일체의 모든 법의 상에 통달하면 이 모두는 하나의 상으로서 이른 바 무상(無相)인 것이다.
사리불아,
이는 곧 거룩한 법 가운데서 유순한 법인(法忍)2)을 이룬다고 이름한다.
이 유순한 법인을 얻으면 이는 곧 나의 제자라고 이름한다.
능히 공양을 없애어 몸을 받음에 헛되지 않는다.
무슨 까닭인가 하면 사리불아,
나의 이 진실한 상의 법은 들어갈 수 없고 취할 수 없고 버릴 수 없고 탐착할 수 없으며 설할 수 없어 언어의 길이 끊어진 것이다.
기쁨이 없고 기쁨을 탐하는 마음까지도 끊어진 것이다.
뭇 인연과 뭇 인연의 합하고 떠남이 아니다.
길이 없고 길을 끊어 길 없음에 이른다.
모든 언어와 논의(論議)와 음성을 끊는다.
모양도 없고 빛깔도 없고 취함도 없고 착함[着]도 없고 쓰임[用]도 없다.
진실함도 없고 거짓됨도 없고 어둠도 없고 밝음도 없다.
무너짐도 없고 다툼도 없고 합함도 없고 흩어짐도 없다.
움직임도 없고 생각함도 없고 분별함도 없으며 얻을 수도 없다.
때[垢]가 아니고 깨끗함이 아니며 이름이 아니며 상이 아니며 심수(心數: 心所.
마음의 작용)의 법이 아니며 마음이 이해하는 것도 아니다.
나의 이 법 가운데는 남자도 없고 여자도 없으며 하늘도 없고 용(龍)도 없으며 야차도 없고 건달바도 없다.
구반다(鳩槃茶)3)도 없고 비사사(毘舍闍)4)도 없다.
단견(斷見)5)도 없고 상견(常見)6)도 없고 아(我)도 없고 중생도 없고 사람도 없다.
오고 감이 없고 들고남도 없다.
계율도 없고 계율을 범함도 없으며 깨끗함도 없고 더러움도 없으며 삼매도 없고 선정도 없고 선정(禪定)의 뿌리7)도 없다.
선(禪)도 없고 선의 뿌리도 없다.
앎[知]이 없고 견해도 없으며 탐욕도 없고 다툼도 없다.
도(道)도 없고 도의 열매도 없다.
지혜도 없고 지혜의 뿌리도 없다.
밝음[明]도 없고 밝지 않음도 없다.
해탈도 없고 해탈 아님도 없다.
과보도 없고 과보의 얻음도 없다.
힘도 없고 힘 아님도 없다.
두려운 것도 없고 두려움이 없음도 없다.
생각도 없고 생각의 뿌리도 없다.
앉는 것[坐禪]도 없고 행(行:수행)함도 없으며 위의(威儀)도 없다.
이것이라고 하는 주장도 없고 저것이라고 하는 주장도 없고 기억하고 생각하고 분별함도 없다.
보리(菩提)도 없고 보리의 분(菩提分)8)도 없고 지혜도 없고 지혜 아님도 없다.
땅[地]이 없고 물이 없고 불도 없고 바람도 없다.
죄도 없고 복도 없으며 법(法)도 업고 법 아닌 것도 없다.
괴로움도 없고 즐거움도 없다.
일체의 모든 희론의 뿌리를 뽑아 버린다.
보든 것은 영원히 떠나고 차가워 불타지 않는다.
사리불아,
긴요한 것만을 들어서 이를 말하면 나의 변은 일체의 모든 생각[念]과 일체의 모든 견해와 일체의 모든 번뇌와 모든 증상만(增上慢)9)을 남김없이 깨트린다.
일체의 잊지 않는 모든 것을 염[念]하지 않고 일체의 여러 가지 언어를 끊는다.
나의 이 법 가운데에는 항상 함도 없고 무상함도 없다.
괴로움도 없고 즐거움도 없으며 더러움도 없고 깨끗함도 없다.
단견(斷見)도 없고 상견(常見)도 없으며 아상(我相)도 없고 중생상(衆生相)도 없다.
인상(人相)도 없고 수자상(壽者相)도 없으며 명상(命相)도 없고 생도 없고 멸(滅)도 없다.
무슨 까닭인가?
사리불아,
여래는 법에 있어서 모든 소득이 없으며 멸하는 바는 있다.
까닭에 이름하여 열반이라 이름한다.
또 열반을 얻는다고 보지 않는다.
사리불아,
부처도 또한 열반을 염(念)하지 않는다.
열반으로서 소원을 삼지 않고 또 열반에 탐착하지 않는다.
이 까닭에 마땅히 알아야 한다.
이를 제일로 기특하고 희유하다 한다.
이른바 여래의 일체의 법은 생이 없고 멸이 없고 상이 없고 함이 없다고 설하여 사람으로 하여금 믿고 알게 하는 것이 배나 희유하다고 한다.”
2. 염불품(念佛品)
이 때 사리불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이 법 가운데서 무엇을 악지식(惡知識)이라 하고 무엇을 선지식(善知識)이라 합니까?”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만약 비구가 있어서 다른 비구를 가르치는데 ‘비구여,
그대는 마땅히 부처를 염(念)하고 법을 염하고 승(僧)을 염하고 계를 염하고 보시를 염하고 하늘을 염해야 한다.
비구여,
그대는 마땅히 몸을 관하여야 하고 취(取)는 이 몸의 상으로서 이른바 부정(不淨)한 것이며 마땅히 일체의 모든 유위법(有爲法)은 모두가 무상하다고 관하고,
일체의 법은 공하여 아(我)가 없다고 관해야 한다.
비구여,
그대는 마땅히 반연하는 바의 상을 취하여 마음이 반연하는 것 가운데 묶어 오로지 공의 상을 염하여야 한다.
마땅히 선근(善根)을 원해야 한다.
마땅히 취는 선하지 않은 법의 상이다.
취는 선하지 않은 법의 상일 뿐이라,
끊기 위한 까닭에 관(觀)하고 염(念)하는 것을 닦아라.
말하자면 탐욕을 끊기 위해서는 부정(不淨)한 상을 관하고,
성냄을 끊기 위해서는 자비로운 마음을 관하고,
어리석음을 끊기 위해서는 인연의 법을 관하여라.
항상 깨끗한 계를 염하여 깊이 공의 상을 취하고 부지런히 정진하는 것을 4선(禪)을 얻는다 한다.
마음을 다하여 도를 구하고 선하지 않은 법은 이 모두가 손해를 가져오는 고뇌라고 관하여라.
선한 법을 관하는 것은 곧 가장 안온한 것이다.
일심으로 수도하여 분별해서 밝게 관찰하라.
선하고 선하지 않는 법은 취의 상일 뿐이라고 밝혀라.
오직 열반을 관하면 안온하고 적멸하다.
오직 열반을 사랑하면 필경은 청정하다고 이와 같이 가르치면 이름하여 삿된 가르침이라 한다.
이를테면 이는 바른 가르침이면서도 곧 삿된 가르침인 것이다.
사리불아,
이와 같이 가르치는 자를 악지식(惡知識)이라 한다.
이 사람을 이름하여 나를 비방하고 외도(外道)를 돕는 자라 한다.
또 남을 위하여 삿된 길을 설하는 자라 한다.
사리불아,
이와 같이 나쁜 사람에게서 내가 한 그릇의 마시는 물을 받았어도 그것으로 스스로 공양함을 허락하지 않는다.
나의 가르침을 받은 자는 받은 것을 설하지 않기 때문이다.
사리불아,
나의 법 가운데에는 이와 같이 많은 증상만(增上慢)의 가르침이 있다.
사리불아,
만약 가르침을 받는 자로서 계를 받고,
다섯 해 동안 이와 같이 가르치는 것을 남김 없이 버리지 못하고,
이 가르침 중에 마음을 부지런히 정진하여 스스로 소득 없음[無所得]을 얻는 일이 있어도,
비구가 와서 스스로 묻지 않으면,
나는 이 사람에게 다섯 해가 있었지만 아직도 삿된 견해를 가졌다고 하고 외도의 법에 섞여 악마의 가르침을 순행(順行)하는 자라고 설한다.
사리불아,
만약,
비구가 있어서 이 가르침을 받기를 마치고 공하고 소득이 없는 법을 듣고서 곧 스스로나 먼저 받는 자는 이 모두가 삿된 견해라고 깨달아 알고 공하고 소득이 없는 법에 있어서 의심이 없고 뉘우침이 없고 깊이 통달하여 일체의 아견(我見)과 인견(人見)에 의지하지 않으면 사리불아,
나는 이 사람을 설하여 청정한 범행(梵行)을 얻었다고 이름한다.
사리불아,
만약 비구가 있어 이와 같은 소득이 없는 인가를 성취하면 지금은 아직 남음이 없는 열반[無餘涅槃]10)10)생사의 괴로움을 여읜 진여(眞如).
번뇌의 장애를 끊고 이숙(異熱)의 보과(菩果) 현재(現在)의 몸까지도 멸하여 없어진 곳에 나타나는 것이므로 이와 같이 이름함.
을 얻지 못하였다 하여도 나는 이 사람에게,
미륵부처님 때 마땅히 첫 모임에 있게 되고 그 때 미륵부처님께서 환희하기를 세 번하고 이 사람이 석가모니부처의 가운데서 소득이 없는 인가를 성취했다고 말하도록 수기할 것이다.
사리불아,
만약 사람이 있어서 이와 같은 가르침을 받기를 마치고서 공하고 소득이 없는 법[無所得]11)을 듣고,
곧 그 때 놀라고 두려워하면 이 사람을 가엾게 여겨야 한다.
구해 주는 자도 없고 의지할 것도 없어서 곧 지옥에 떨어진다.
무슨 까닭인가?
사리불아,
부처의 가르침 중에서 놀라고 의심하고 두려워하는 자,
이 사람은 곧 나쁜 길을 구족한 자라고 한다.
왜냐 하면,
나는 항상 스스로 설하기를 소득이 있음[有所得]12)은 곧 나쁜 길의 분[惡道分]이라고 하기 때문이다.
무슨 까닭인가?
사리불아,
부처가 얻는 법에는 차별이 없다.
이것이라든가 소견이 아니라든가 혹 차별하지 않으면 이는 소득이 있는 것이 아니다.
사리불아,
사람은 5역죄(逆罪)의 무거운 악을 범하기보다는 모름지기 아견(我見)ㆍ인견(人見)ㆍ중생견(衆生見)ㆍ수견(壽見)ㆍ명견(命見)ㆍ5음견(陰見)ㆍ12입견(入見)ㆍ18계견(界見)ㆍ지계에 탐착하고,
지계에 탐착한 견해와 삼매에 탐착함과 삼매에 탐착한 견해와 부처의 생각에 의지하고 법의 생각에 있어서 얻음과 승(僧)에 있어서 끊어야할 일을 성취한 몸에 대한 견해를 성취하지 말아야 한다.
무슨 까닭인가?
불법 가운데에 신견(身見)을 성취함은 승(僧)의 일[事]13)에 있지 않기 때문이다.
사리불아,
부처의 제자 무리는 마음에 분열이 없어야 한다.
사리불아,
부처의 제자 무리는 착하지 않는 자가 없고 계를 깨트리는 자가 없으며 견해를 깨트리는 자가 없으며 위의를 깨트리는 자가 없다.
사리불아,
무엇을 악(惡)이며 착하지 않은 것이라 하는가?
불법 가운데에 승(僧)의 상응한 행에 있지 않는 것을 악이며 착하지 않음이라고 한다.
이를테면,
마음과 마음에 상응한 행의 법의 온갖 인연과 합하고 진실이 없는 일에 다만 분별할 뿐이다.
분별을 까닭으로 해서 얻음이 있는 것을 헤아린다.
이 사람은 모든 언설(言說)까지도 마음과 마음으로 서로 이어진다.
그리고 선(善)과 선이 아닌 법도 거룩한 법 중에서는 악하고 선하지 않다고 이름한다.
무슨 까닭인가?
사리불아,
모든 즐거운 곳 안에는 반드시 괴로움이 있다.
여래의 법은 이 괴로움을 없애는 것이다.
사리불아,
여래의 얻는 것,
이 중에는 욕심도 없고 욕심이 아닌 것도 없다.
즐거움도 없고 괴로움도 없으며 생각[思]도 없고 생각[想]도 없고 닦음도 없다.
내지 또한 공(空)이라는 생각도 없다.
무슨 까닭인가?
사리불아,
만약 공의 생각을 헤아리면 곧 이는 아상(我想)이며 중생상(衆生想)이다.
이는 상상(常想)이고 이는 단상(斷想)인 것이다.
무슨 까닭인가?
사리불아,
온갖 생각에 따르게 되면 곧 온갖 생각을 낳는다.
이는 모두가 삿된 것에로 떨어지는 것이다.
사리불아,
공은 생각이 없음에 이름한 것이며 이를 이름하여 공이라 한다.
공이라는 생각까지도 역시 공한 것이며,
이를 이름하여 공이라고 한다.
사리불아,
공중에는 선도 없고 악도 없다.
내지는 역시 공이라는 생각도 없다.
이런 까닭에 공의 생각이라고 이름한다.
사리불아,
모든 유위의 법은 알고 이해할 수 있다.
공은 알 수 없고 또 이해할 수가 없다.
사량(思量)하는 것이 아니다.
이 까닭에 공이라고 이름한다.
사리불아,
공은 생각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
무슨 까닭인가?
공은 생각이 없는 까닭이며 이 까닭에 공이라고 이름한다.
사리불아,
무슨 까닭에 공의 행을 공하다고 설하는가?
일체의 모든 생각을 생각하지 않고,
또 공이라는 생각까지도 역시 생각하지 않는 이것을 공의 행이라고 이름한다.
사리불아,
생각이라고 하는 이름은 내지 마음에 생각하는 바가 있으면 곧 이름하여 생각이라 한다.
생각하는 바가 없는 것을 곧 생각이 없다고 이름한다.
모든 생각을 떠났기 때문에 이름하여 생각이 없다고 하는 것이다.
취(取)하는 바의 생각에 따르면 이 모두는 삿된 소견이다.
무슨 까닭인가?
사리불아,
거룩한 법 가운데서 적멸(寂滅)을 얻는 것을 헤아리는 것은 모두가 삿된 소견에 떨어지는 것이다.
하물며 말과 설(說)함이며,
하물며 설하는 자이겠느냐.
이와 같은 공의 법을 무엇으로써 설하겠느냐?
사리불아,
모든 부처님은 무슨 까닭에 온갖 언어를 설하여 삿되다고 이름하는가?
일체의 법에 통달할 수가 없는 것은 이는 곧 모두가 언설(言說)을 덮는 것이다.
이 까닭에 여래는 모든 언어(言語)는 이 모두가 삿되다는 것을 안다.
그러므로 조금이라도 언어가 있으면 그 실(實)을 얻지 못한다.
사리불아,
모든 부처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이 모두가 무념무상(無念無想)이다.
무슨 까닭인가?
여래는 법에 있어서 체성(體性)을 얻지 않고 또 생각을 얻지 않는다.
사리불아,
여래는 무슨 까닭에 염처(念處)14)가 있다고 설하는가?
사리불아,
경(經)에 설하기를 ‘만약 사람이 4념처(念處)15)를 얻으면 이 사람은 능히 모든 법의 체성(體性)을 얻고 능히 스스로의 몸을 얻고 자아[我]를 얻고 사람으로 나는 것을 얻는다.
이에 속한 것은 없다’고 하였다.
법의 다른 상(相)은 공임을 나타내지 않는 까닭에 4념처를 설하는 것이다.
4념처의 성품은 무성(無性)16) 무처(無處)이다.
생각이 없고 설함이 없어 탐착함도 없다.
생각의 성품은 더욱 없다.
하물며 염처(念處)이겠느냐?
이 까닭에 여래는 설하여 염처라고 이름한다.
사리불아,
모든 법에 만약 결정적인 체성(體性)이 머리털을 끊어 그 100분(分)의 일이라도 있다면,
이에 곧 모든 부처님은 세상에 나지 않는다.
또 끝내 모든 법의 성품은 공하다고 설하지도 않는다.
사리불아,
모든 법은 실로 공하여 성품이 없는 그 하나의 상(相)뿐이다.
이른바 상이 없는 상으로서 여래는 남김없이 본다.
여래는 이로써 염처가 있다고 설한다.
사리불아,
염처를 이름하여 무처(無處)ㆍ무비처(無非處:속한 대상이 아닌 것도 없음)ㆍ생각이 없음[無念]ㆍ생각의 업도 없음[無念業]ㆍ생각이 없음[無想]ㆍ분별이 없음ㆍ뜻이 없음ㆍ뜻의 업이 없음ㆍ생각[思]이 없음ㆍ생각[思]의 업이 없음ㆍ법이 없음ㆍ법의 상이 없음이라고 한다.
이 모두는 합하고 흩어짐이 없다.
이 까닭에 현성(賢聖)을 이름하여 분별이 없는 자라고 한다.
이것을 염처라고 이름하는 것은 여래가 이것으로써 염처가 있음을 설하고 소유가 없음에 수순하기 때문이다.
이름하여 염처라고 함은 염불(念佛)에 수순하는 것을 염처라고 이름하기 때문이다.
사리불아,
무엇을 이름하여 염불이라 하는가?
소유 없음을 보는 것을 염불이라고 이름한다.
사리불아,
모든 부처님은 무량(無量)하여 불가사의하고 칭량(稱量)할 수가 없다.
이 뜻 때문에 소유가 없음을 보는 것을 이름하여 염불(念佛)이라고 한다.
실로 분별이 없다고 하는 것은 모든 부처님의 분별이 없음이다.
이 까닭에 말하기를 분별이 없음을 염하는 것,
이가 곧 염불이라고 한다.
또 다음으로 모든 법의 실상(實相)을 보는 것을 이름하여 부처를 본다고 한다.
무엇을 이름하여 모든 법의 실상이라 하는가?
이른바 모든 법은 필경은 공하여 소유가 없다.
이 필경은 공하여 소유가 없는 법으로써 염불하는 것이다.
또 다음으로,
이와 같은 법 가운데는 내지 작은 생각까지도 더욱 불가득이다.
이를 염불이라고 이름한다.
사리불아,
이 염불의 법은 언어의 길이 끊기고 모든 생각을 지나쳐 나온 것이다.
불가득인 생각,
이를 염불이라 한다.
사리불아,
사리불아,
일체의 모든 생각[念]은 모두가 적멸의 상이다.
이 법에 수순하면 이를 곧 이름하여 염불을 닦고 익힌다고 한다.
색(色)으로써 염불하지 말아라.
무슨 까닭인가?
색을 생각하면 상(相)을 취하고 맛을 탐하여 알음알이[識]가 되기 때문이다.
모양도 없고 색도 없고 반연도 없고 성품도 없다.
이를 염불이라고 이름한다.
이 까닭에 마땅히 알아야 한다.
분별함이 없고 취함도 없고 버림도 없는 것,
이것이 참다운 염불인 것이다.”
3. 염법품(念法品)
이 때 사리불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어떤 것이 사람을 위하여 또 이 법을 설하는 것을 악지식(惡知識)이라 합니까?
세존이시여,
어떤 것이 사람을 위하여 또 이 법을 설함을 선지식(善知識)이라 합니까?”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만약 비구가 있어 다른 비구에게 가르치면서 ‘비구여,
그대는 지금 마땅히 알아야 한다.
불사(佛事)인 공(空)을 염하고 인연하는 것을 염하는 것,
이것은 마땅히 염이라고 할 수 없다.
그대가 염하는 것이 공한 것이라는 생각까지도 또한 비워야[空] 한다.
이는 성품이 없는 공으로서 능히 색(色)에 대한 생각을 끊고 능히 취한다는 생각도 끊는다고 한다.
이 사람은 이 때,
생각[想]17)이 없음도 얻지 아니하였는데,
하물며 염(念)이겠느냐?
이 때 이 사람은 전혀 소유함이 없어 적멸(寂滅)하여 성품이 없다.
온갖 생각을 모으지 않아 일체의 법을 멸한다.
이것을 이름하여 곧 염불을 닦아 익힌다고 한다.
염불이란 선(善)하고 선하지 않은 일체의 크고 작은 생각을 깨트리는 것을 이름한다.
크고 작은 생각도 없고 적연(寂然)하여 생각이 없음을 이름하여 염불이라 한다.
무슨 까닭에 마땅히 크고 작은 생각으로 모든 부처를 기억하고 생각하지 말라 하는가?
크고 작은 생각이 없음을 이름하여 청정한 염불이라 하기 때문이다.
이 생각[念] 중에는 곧 미세한 마음과 마음이 생각하는 업도 없다.
하물며 몸과 입의 업이겠느냐?
또 염불하는 자는 모든 생각을 떠난다.
온갖 생각이 마음에 있지 않으면 분별함이 없고 이름이 없고 장애가 없고 욕망이 없고 얻음이 없어 크고 작은 생각이 일지 않는다.
무슨 까닭인가?
사리불아,
생각하는 바를 따라서 일어나는 일체의 모든 생각은 이 모두가 삿된 견해이다.
사리불아,
소유 없음에 따르면 크고 작은 생각이 없고 생함도 없고 멸함도 없다.
이에 통달한 자를 염불하는 자라고 한다.
이와 같은 생각 중에는 탐욕이 없고 집착함도 없다.
거슬림도 없고 순종함도 없고 이름도 없고 생각[想]도 없다.
사리불아,
생각도 없고 말도 없는 것을 곧 염불이라고 이름한다.
이 가운데는 곧 미세한 작은 생각도 없다.
하물며 거친 몸과 입과 뜻의 업이겠느냐?
몸과 입과 뜻의 업이 없는 곳에는 취함도 없고 버림도 없다.
싸움이 없고 다툼이 없으며 생각도 없고 분별함이 없다.
공적(空寂)18)하여 성품이 없어 모든 크고 작은 생각을 없앤다.
이것을 염불이라고 이름한다.
사리불아,
만약 사람이 이와 같은 생각을 성취한 자로서 4천하(天下)의 땅을 굴리고자 바라면 뜻에 따라서 능히 굴린다.
또 능히 백천억(百千億)의 악마를 항복하게 한다.
하물며 무명(無明)에 가리워 거짓된 인연으로 일어난 결정함이 없는 상(相)이겠느냐?
이 법은 이와 같이 생각도 없고 무익한 의론(議論)도 없다.
생(生)도 없고 멸(滅)도 없어 설할 수가 없고 분별할 수가 없다.
어두움도 없고 밝음도 없다.
마왕(魔王)이나 혹은 마왕의 백성이 능히 헤아릴 수 없는 것이다.
다만 세속의 언설(言說)로써 교화함이 있을 뿐이어서 이러한 말을 한다.
‘그대가 부처님을 염(念)할 때,
조그마한 생각이라도 취하지 말라.
무익한 의론을 하지 말아라.
분별을 하지 말아라.
무슨 까닭인가?
이 법은 모두가 공하여 체성(體性)이 없다.
하나의 상도 염하지 말아야 한다.
이른바 상이 없는 상인 것이다.
이것을 진실한 염불이라고 이름한다.
이른바 생(生)이 없고 멸(滅)이 없고 상(相)이 없고 함[爲]이 없음이다.
무슨 까닭에 여래는 이름하여 색이라 하지 않고,
이름하여 생각[想]이라 하지 않으며,
이름하여 생각[念]이라 하지 않으며,
분별이라 이름하지 않으며,
거슬림이라 하지 않고,
순종함이라 하지 않고,
취(取)라 하지 않고,
버림이라 하지 않고,
선정이 아니며 지혜가 아니며 밝음[明:慧明]도 아니며 무명(無明)도 아니며 여래는 설할 수 없고 불가사의하고 상이 없다 하는가?
그대는 지금 취(取)의 상을 즐기지 말라.
무익한 의론을 즐기지 말라.
부처님은 모든 법에 있어서 집착함이 없고 헤아림[比量]이 없다.
법에 집착함이 있음을 보지 않는다.
이 사람은 부처를 아직 얻지 못하였는데 하물며 생각[念]에 있겠는가?’
사리불아,
이와 같이 가르치는 자를 이름하여 선지식이라 한다.
제일의(第一義) 중에는 결코 이는 선지식이다,
이는 악지식이다고 하는 일이 없다.
또 다음으로 사리불아,
만약 비구가 있어 다른 비구를 가르치는데 ‘비구여,
그대는 마땅히 모든 법을 분별하고 관찰해야 한다.
또 다시는 법의 상을 염하지 말라’고 한다.
이 비구는 이와 같이 닦아서 마음에 묶이고 집착함이 없어 곧 능히 모든 법이 일상(一相)임을 통달하면 이른바 무상(無相)이다.
이 사람은 더욱 법의 생각을 내지 않는다.
하물며 아(我)ㆍ아상(我想)과 인상(人想)이겠느냐?
사리불아,
어떻게 생각하느냐?
법상(法想)을 염하는 자,
이 사람이 능히 일체의 법을 멸하겠느냐,
아니겠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사리불아,
만약 나무에 뿌리가 없는데 능히 가지와 잎이 있고 꽃과 열매가 맺겠느냐,
맺지 않겠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이와 같이 사리불아,
만약 사람이 모든 법의 근본을 얻지 못하였는데 이 사람이 능히 모든 법상(法想)을 생하겠느냐,
생하지 않겠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사리불아,
만약 사람이 법상(法想)을 염함을 얻지 못하면,
이 사람이 능히 일체의 법을 멸하겠느냐,
아니겠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이 사람은 법에 있어서 법상을 얻지 못함을 얻는다.
멸에 있어서도 또 생이 없음과 멸이 없음을 분별하지 못함을 얻는다.
이 사람은 이 때,
낳지 아니 하고 멸하지 아니하여도 열반을 얻은 자라고 이름하지 않는다.
사리불아,
이와 같이 가르치는 자를 선지식이라고 이름한다.
제일의(第一義) 중에는 선지식(善知識)도 없고 악지식도 없다.
사리불아,
만약 사람이 이와 같은 상(相)을 성취하면 세간에서 희유한 일로서 이치에 어긋나지 않음을 얻는다.
진실한 소견 때문이다.
이것을 바른 견해라고 한다.
또 다음으로 사리불아,
바른 견해라고 하는 것은 바르게 짓는 것과 바른 행(行)과 바른 길과 바른 이해를 이름한다.
이치에 어긋남이 없고 여실하게 본다.
이 까닭에 여래는 설하여 바른 견해라고 이름한다.
사리불아,
만약 중생이 있어서 이치에 어긋남이 없고 여실하게 보는 자는 곧 바른 견해가 있다 한다.
만약 아상(我想)ㆍ인상(人想)ㆍ중생상(衆生想)을 낳는 자는 마땅히 알아야 한다.
이 사람의 이 모두는 삿된 행이다.
사리불아,
부처와 제자는 나[我]가 있다고 설하지 않으며,
사람이 있다고 설하지 않으며 중생도 설하지 않고 수명(壽命)도 설하지 않으며,
변한다든가 변하지 않음을 설하지 않으며 이 까닭에 부처와 제자는 이름하여 바른 견해라고 한다.
무슨 까닭인가?
바르게 관(觀)하여 이치에 어긋나지 아니하는 까닭이다.
사리불아,
일체의 범부는 이 일 중에서 능히 드는 자가 없다.
무슨 까닭인가?
일체의 범부는 모두가 바른 견해가 없기 때문이다.
다만 바른 견해에 수순하여 유순(柔順)하다는 인가를 얻은 자가 있어도 여실할 수는 없다.
사리불아,
이 까닭에 바른 견해와 삿된 견해라는 구별을 이름한 것이다.
여실하게 보는 까닭에 이름하여 바른 견해라고 한다.
세간의 즐거움의 원인을 보고서 재물을 증장하는 것,
이는 세간의 바른 견해이지만 이는 모두가 허망하고 거짓된 것으로서 생사(生死)를 면치 못한다.
사리불아,
부처는 세간의 바른 견해를 설하여 이는 게으르고 열등(劣等)한 법이라고 설한다.
현성(賢聖)은 ‘이것은 곧 바른 견해이다.
이것은 곧 삿된 견해이다’라고 하는 이러한 생각을 짓지 않는다.
무슨 까닭인가 하면 일체의 모든 견해는 모두가 허망함을 인연해서 일어나기 때문이다.
사리불아,
만약 ‘이것은 곧 바른 견해이다’라고 하는 이러한 생각을 짓고 말하면 이 사람은 곧 삿된 견해인 것이다.
사리불아,
거룩한 법 가운데서는 일체의 모든 견해의 근본을 뽑아 끊고 일체의 모든 언어의 길을 남김없이 끊는다.
허망한 것들 가운데 손에 잡히고 쥐는 것이 없음과 같다.
모든 사문(沙門)의 법도 마땅히 모두가 이와 같아야 한다.”
4. 염승품(念僧品)
사리불이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무엇을 거룩한 무리라 합니까?”
“사리불아,
만약 사람이 있어 능히 믿고 이해하여 일체 모든 법의 생이 없음과 멸(滅)이 없음과 일어남이 없음과 상(相)이 없음에 통달하고 이와 같은 인가를 성취한다 하여도 아직 나[我]를 얻지 못한다.
하물며 수다원(須陀洹)19)과 아나함(阿那含)을 얻겠느냐,
하물며 아라한을 얻겠느냐?
어찌 또 법을 얻고 어찌 남자와 여자를 얻고,
어찌 도를 얻고,
어찌 이와 같은 일들을 얻겠는가?
이 거룩한 무리라고 이름하는 이것도 역시 얻지 않는다.
또 다음으로 사리불아,
중생으로서 조금이라도 능히 생이 없고 멸이 없고 상이 없는 법을 믿고 이해한 자,
혹은 능히 생이 없고 멸이 없고 상이 없는 법을 믿고 이해한 자는 마음에 전도(顚倒)됨이 없고 서로가 함께 알고 이해한다.
법으로 해서 화합하여 다음의 존재를 받지 않는다.
모든 세간은 다만 허망함에 인연해서 일어남을 안다.
이 사람은 곧 다시는 이 몸에 머물지 않는다.
이 인연으로 해서 설하여 거룩한 무리라고 이름한다.
이 사람은 이 언어에 있어서 다시는 이름과 상을 말하지 않는다.
다만 상도 없고 무익한 의론도 없는 일을 모은다.
이것을 승보(僧寶)공양을 받음에 합당하다고 이름한다.
이에 어긋남이 없는 진실한 뜻을 얻기 까닭이다.
이 사람이 이 방편(方便)으로 승(僧)을 염하여도 이 일도 또한 공인 것이다.
사리불아,
이와 같이 가르치는 자는 선지식이라고 이름한다.
사리불아,
일체의 언어의 길을 끊는 것을 이름하여 거룩한 무리라고 한다.
무슨 까닭인가?
거룩한 법 중에 있으면서 언어에 의지하여 진실한 뜻을 설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언어도 역시 불가득(不可得)이다.
이 까닭에 마땅히 알아야 한다.
모든 언어를 끊는 것을 이름하여 거룩한 무리라고 한다.
사리불아,
혹 사람이 있어서 ‘만약 이 가운데 언설도 없고 정해진 것도 없다면 무엇을 이름하여 승(僧)이라 할 것인가?’고 말한다면,
사리불아,
나는 이 가운데서 이와 같은 답을 한다.
승(僧)의 무리를 이름하여 여실한 일을 나타내고자 한다.
이 일은 결정적이며 또 불가득이다.
한가지로 모두가 하나의 배움이며 하나의 참음이며 하나의 맛이다.
이 일도 또한 세속의 말이기 때문에 설하는 것이다.
제일의(第一義)는 아니다.
제일의 중에는 실로 이름하여 승법(僧法)은 항상하고 무너지지 않는다고 이름하여 정해진 일이 없다.
만약 성인(聖人)이 설하여 이 법이 있다고 말하면 이것을 곧 잘못이라고 한다.
무슨 까닭인가 하면 만약 사람이 이와 같은 불별을 짓고 이것은 남자다,
이것은 여자다,
이것은 하늘이다,
이것은 용(龍)이다,
이것은 야차(夜叉)이다.
이것은 건달바(乾闥婆)이다,
이는 구반다(鳩槃茶)이다,
이는 법이다,
이는 법이 아니다 라고 이러한 분별을 짓기를 마치고서 여러 가지 일을 얻고 여러 가지 일을 얻는 까닭에 이러한 말을 한다.
이는 앉음이고 이는 눕는 것이며,
이는 가는 것이고 이는 머무는 것이라고 성인은 모든 법의 실상(實相)을 얻는 까닭에 또 이것은 남자다,
이것은 여자다,
이는 하늘이다,
이는 용이며,
이는 법이다,
이는 법이 아니라고 분별하지 않는다.
분별하지 않는 까닭에 여러 가지 법을 얻지 않는 자는 능히 이 설(說)을 지어 이는 앉음이며 이는 눕는 것이며,
이는 가는 것이며,
이는 머무는 것이라고 말하는가,
하지 않는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사리불아,
만약 사람으로서 이는 남자이다,
이는 여자이다,
이는 하늘이다,
이는 용이다,
내지 이는 법이다,
이는 법이 아니다라고 말하면,
이 사람이 한 짓은 허망하지 않는가?”
“허망합니다.
세존이시여.”
“사리불아,
만약 이 허망함에 들지 않으면 이름하여 거룩한 무리라고 한다.
전도되지 아니한 까닭에 이름하여 거룩한 무리라고 하는 것이다.
사리불아,
선하지 않은 모든 것,
알아야 한다는 모든 것,
얻어야 한다는 모든 것,
이 같은 일체의 모든 선하지 않은 법은 모두가 명상(名相)으로써 근본을 삼는다.
이 현성(賢聖)의 법 중에서는 모든 명상을 끊는다.
또 명상을 염하지 않는다.
명상을 얻지 않는다.
어찌 이것은 거룩하고 이것은 거룩한 무리라고 마땅히 말할 수 있겠는가?
모든 명상을 끊는 것을 이름하여 거룩한 무리라고 하기 때문이다.
만약 법에 계속한 대상으로서의 경계[處]가 있다면 깨트려야 하고 끊어야 한다.
현성의 법 중에는 이름도 없고 상도 없으며 언어도 없다.
모든 언어가 끊겼으며 합하고 흩어짐도 없다.
만약 승(僧)이 없으면 곧 거룩한 무리를 깨트린다고 말하나 이도 또한 얻지 못한다.
이른바 이름과 상의 허망한 생각 때문이다.
여러 가지 삿된 견해에 집착하고 이 삿된 견해에 의지하여 다시 후세에 몸을 받는다.
모든 견해에 탐착하면 곧 다섯 가지 쌓임[五陰]이 생한다.
사리불아,
다섯 가지 쌓임은 이 모두가 허망한 탐착(貪著)이다.
이를 악도(惡道)라고 이름한다.
현성의 무리에게는 이 일이 없다.
다만 허망한 인연 때문에 3계(界)가 일어나는 것을 안다.
이 일을 아는 까닭에 이름하여 거룩한 무리라고 한다.
사리불아,
무릇 소유한 견해는 거룩한 무리 중에서는 불가득이다.
이른바 아견(我見)20)ㆍ중생견(衆生見)ㆍ수명견(壽命見)ㆍ인견(人見)ㆍ남견(男見)ㆍ여견(女見)ㆍ천견(天見)ㆍ지옥견(地獄見)ㆍ축생견(畜生見)ㆍ아귀견(餓鬼見)ㆍ5음(陰)과 12입(入)과 18계(界)에 대한 견해와 온갖 소리를 갖추었다고 하는 주장과 북소리에 대한 견해와 땅의 소리에 대한 견해와 물과 불과 바람 소리에 대한 견해와 지계(持戒)의 소리에 대한 견해와 계를 깨트리는 소리에 대한 견해와,
바른 길의 소리에 대한 견해와 삿된 길의 소리에 대한 견해와 때묻은 소리와 깨끗한 소리와 선정(禪定)과 삼매(三昧)와 여덟 가지 거룩한 길의 소리와,
수다원(須陀洹)의 과위(果位)와 사다함(斯陀含)의 과위와 아나함(阿那含)의 과위와 아라한의 과위의 소리에 대한 견해와 해탈의 소리에 대한 견해와 과위를 얻은 소리에 대한 견해와 부처의 소리에 대한 견해와 법의 소리에 대한 견해와 승(僧)의 소리에 대한 견해와 멸(滅)의 소리에 대한 견해이다.
사리불아,
이를 허망한 음성들의 견해라고 이름한다.
현성의 무리는 제일의에 있어서 이러한 견해를 얻지 않는다.
여러 가지 음성이 일상(一相)임을 통달한다.
이른바 상이 없는 상으로서 어김이 없고 다툼이 없으며 전도되지 아니한 법인(法忍)을 성취하는 까닭에 이름하여 거룩한 무리라고 한다.
사리불아,
이 전도되지 아니한 법인(法忍)21)이라고 함은 이는 곧 무상(無相)이다.
상이 없는 까닭에 취(取)함도 없고 버림도 없다.
거슬림도 없고 순종함도 없고 생도 없고 멸도 없다.
이 중에 자연히 없어져 닿음도 없고 무너짐도 없으며 일어남도 없고 얻음도 없다.
이것이다 저것이다를 분별하지 않으므로 마음은 항상 평등하고 떠나 있다.
무슨 까닭인가 하면 이 인(忍) 중에는 이 언덕도 없고 저 언덕도 업고 분별도 없고 분별이 아닌 것도 없으며 상이 없음에 통달하여 이 인을 성취하는 것,
이를 이름하여 거룩한 무리라고 한다.
화합(和合)을 깨트리는 까닭에 이름하여 거룩한 무리라고 한다.
사리불아,
나는 다른 경에서 ‘만약 사람이 법을 보면 이는 나를 보는 것이다’라고 설하였다.
여래는 법이 아니고 또 법 아님도 아니다.
무슨 까닭인가?
어리석은 사람과 여러 외도(外道)를 조달(調達)하기 위하여 모두가 색신(色身)으로써 부처를 보게 한다.
사리불아,
여래를 마땅히 색신으로써 보지 말아야 한다.
또한 음성으로써 보지 않아야 한다.
사리불아,
만약 사람이 색신으로써 부처를 보면 이는 부처를 떠나감이 멀다.
무슨 까닭인가 하면 부처란 색을 보아서 이름하지 않기에 이름하여 부처를 본다고 한다.
사리불아,
만약 사람이 능히 모든 법의 무상(無相)을 보면 이름도 없고 감촉도 없고 기억도 없고 생각도 없고 생도 없고 멸도 없고 무익한 의론도 없어 일체의 법을 생각[念]하지 않으며 열반을 생각하지 않으며 열반으로써 생각[念]을 삼지 않고 열반을 탐하지 않는다.
모든 법을 믿고 이해하면 이 모두는 하나의 상이다.
이른바 상이 없는 상이다.
사리불아,
이것을 참다운 견해라고 이름한다.
부처란 일체의 법에 구함이 없고 무익한 의론이 없고 생이 없음을 말한다.
이 일 중에서 생각하지 않고 분별하지 않는다.
이를 부처를 본다고 이름한다.
만약 사람이 있어 이 법 중에서 기억하고,
생각하고 분별함이 없으며 취함도 없고 버림도 없고,
탐함도 없고,
어김도 없고 생각도 없고,
생각의 업도 없고,
언설을 탐하지 않고,
법의 거짓 이름을 알아 모두가 소유함이 없고 언설의 길을 끊고,
차별함이 없고,
또 무익(無益)한 의론이 없으면 이를 생이 없고 생각이 없는 수행자(修行者)라고 이름한다.
세간에서 이름하여 거룩한 무리라고 한다.
사리불아,
무슨 법을 보는 까닭에 부처를 본다고 이름하는가?
이른바 생각이 없고,
분별이 없고,
희론(戱論)함이 없는 것으로서 일체의 법을 느끼지[受] 않는 것이다.
혹은 공의 문(門),
혹은 적멸의 문,
혹은 떠남의 문으로써도 견해를 생각하지 않고 견해를 얻지 아니하고 이 일도 또한 얻지 않으며 이른바 이름이라고 하는 이 처소 또한 얻지 않는 이른바 열반이다.
무슨 까닭인가?
사리불아,
나는 오히려 열반을 염하지 않으면서 어찌하여 너희들에게는 마땅히 열반을 염하고,
열반을 얻으라고 설하겠는가?
사리불아,
만약 사람이 열반을 얻으면 이 사람은 여래를 따르지 않는 출가자(出家者)로서 6사(師)22)를 따르는 출가자이다.
사리불아,
마땅히 알아야 한다.
이 사람은 곧 법의 도적으로서 나의 법 안에 들려고 한다.
이 사람은 나의 법을 더럽힘을 마땅히 알아야 한다.
이 사람은 큰 도적임을 마땅히 알아야 하니,
마치 큰 성읍(城邑)에 큰 도적이 있는 것과 같다.
무슨 까닭인가.
이와 같이 어리석은 사람은 열반을 얻지 못하는데,
하물며 나와 사람[我人]이겠느냐?
사리불아,
이같이 어리석은 사람은 나의 손으로써 막을 것이다.
나의 제자가 아니며 무리의 수에 들지 못하게 할 것이며 나는 그의 스승이 아니다.
사리불아,
만약 모든 법의 무생(無生)ㆍ무멸(無滅)ㆍ무념(無念)ㆍ무상(無想)함을 알면 이는,
법인(法忍)을 얻은 것이지만 아직 열반은 얻지 못한 것이다.
하물며 나와 사람이겠느냐?
사리불아,
부처도 이같이 설하여 법을 본다고 이름한다.
능히 이 일을 보는 것을 이름하여 부처를 본다고 한다.
사리불아,
무엇을 이름하여 부처라고 하는가.
일체의 법은 같아서[如]23) 다르지 아니하고 무너지지 않는다.
이를 여래(如來)라고 이름한다.
만약 사람이 이 법 중에서 의심하고 뉘우침이 없으면 이를 거룩한 무리라고 이름한다.
사리불아,
과거세(過去世)에 한 어리석은 사람이 있었다.
그는 원숭이를 알지 못하였는데,
어떤 큰 숲에 들어가 원숭이의 무리가 떼를 지어 한 곳에 모여 있는 것을 보았다.
이 사람은 일찍이 도리천(忉利天)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기 때문에 곧 말하길 이것이 도리천의 여러 하늘이라고 하였다.
곧 숲을 나와 자기의 마을에 돌아와 많은 사람들 가운데서 이렇게 말하였다.
‘당신들은 일찍이 도리천을 보았습니까,
못 보았습니까?’
뭇 사람이 다하여 말하였다.
‘아직껏 보지 못하였소.’
그 때 그가 말하였다.
‘나는 이미 보았소.
당신들은 보기를 원합니까,
원하지 않습니까?’
모두가 보기를 원한다고 말하였다.
곧 대중(大衆)을 이 끌고 그 숲을 찾아가 원숭이의 무리를 가리켜 말하였다.
‘당신들은 보시오.
이는 도리천의 여러 하늘이오.’
여러 사람 모두가 도리천이 아니라 이는 곧 원숭이가 숲 속에서 즐겁게 사는 것이며 당신은 어리석고 전도되었기 때문에 원숭이를 알지 못하며 또 도리천도 알지 못한다고 말하였다.
사리불아,
이 사람은 헛되이 대중을 이끌고 그 숲 속을 찾아 온 것이다.
이같이 사리불아,
미래세(未來世)에 있어서도 마땅히 비구가 있어 속인(俗人)의 집에 이르러 이 말을 해야 한다.
‘당신은 부처님의 제자인 거룩한 무리를 보고 부처님의 법을 듣고 받기를 바라는가,
바라지 않는가?’
그 중에 속인으로서 불법을 믿는 자가 있어서 모두가 보고 부처님 법을 듣고 받아 지니기를 바란다고 말한다.
사리불아,
그 가운데 속인이 있어 언어에 탐착하고 즐겨 절에 들어온다.
여러 비구가 있어 언설을 좋아하고 능히 여러 가지 경에 통달해 있다.
언어에 의지하여 글을 꾸미기를 즐긴다.
이 여러 사문은 수순하여 설하고 이를 참다운 길이라고 말한다.
다만 무리의 수를 채움이 놓아먹이는 소와 같은 사람일 뿐이다.
다만 경을 읽는 것을 즐길 뿐 진리의 경계에는 들지 못한다.
다만 사람의 뜻을 기뻐하고 명리(名利)를 귀하게 여긴다.
세속 일에는 훌륭하나 깨끗한 설법은 못한다.
다만 능히 말하여 세간의 도를 행한다.
위덕(威德)이 없어 열반의 인(因)은 깨어졌다.
거룩한 침묵을 버리고 선정을 즐기지 않으며,
밤낮으로 항상 담론(談論)하고 다투기를 좋아한다.
두터운 잠자리에 눕고 더욱 한 생각도 선정(禪定)에 수순함이 없다.
하물며 능히 사문(沙門)의 과위를 이룰 수가 있겠는가.
이 사람은 자면서도 항상 속된 마음과 상응한다.
초저녁과 새벽에 순인(順忍)을 닦지 않고서 하열한 법을 즐긴다.
이 사람은 또 많은 의복과 음식의 공양을 얻는다.
무슨 까닭인가?
이 사람은 항상 악마에게 포섭되어 천박한 말을 즐긴다.
제일의(第一義)에 있어서는 부지런히 배울 수가 없다.
제일의 깊은 경을 독송하고 지닐 수가 없다.
들으면 곧 놀라고 두려워 맛좋은 국물을 버리고 술찌꺼기를 취한다.
여러 범부가 있어 이익을 얻는 것을 보고는 탐착하는 마음을 내고 이러한 생각을 하고 말한다.
‘우리들도 또 마땅히 이 말을 익혀야 한다.’
사리불아,
이 사람은 위없는 법보(法寶)를 버리고서 삿된 견해에 떨어져 있다.
이는 사문(沙門)의 전타라(旃陀羅)24)이다.
여러 속인이 와서 그곳을 찾아오면 이 같은 악인(惡人)은 그럼에도 설법을 한다.
이익 때문에 부처와 법과 승(僧)을 칭찬한다.
다만 목숨이 살기를 구하여 재물의 종이 되고 의식을 탐하고 귀중히 여겨 자기가 즐기는 것을 칭찬한다.
‘만약 보시를 행하면 천상(天上)에 남을 얻는다.
불법 중에서는 보시를 낮은 법이라고 한다.
칭찬하는 것이 가장 으뜸이다’라고 하면서 이러한 말을 한다.
‘큰 보시의 인연은 천상에 남을 얻는다.’ 말을 모르고 뜻을 이해하지 못한다.
다만 처음으로 들어온 천박한 낮은 법을 알 뿐 나[我]와 사람을 탐착하여 제일의를 버린 것이다.
사리불아,
이와 같은 설법은 혹 그 때,
사람이 있어 믿음이 생겨서 출가한다 하여도 여러 나쁜 사람과 화합하여 제일의의 깊은 뜻을 부지런히 닦을 수가 없게 한다.
소득이 있는 자는 나[我]와 사람과 수명이 있다고 설하고 소유가 없는 법을 기억하고 생각하고 분별하여 아비담(阿毘曇)25)과 수투로(修妬路)26) 중에서 스스로 의론을 하고 혹은 단상(斷常)27)을 설하고 혹은 지음이 있음을 설하고 혹은 지음이 없음을 설한다.
사리불아,
나의 법은 그 때,
외도의 법이 많아 모든 중생으로 하여금 바른 견해의 마음이 무너지지 않게 하지 못한다.
이와 같이 사리불아,
나의 청정한 법은 이 인연으로 해서 점점 멸하여 없어진다.
사리불아,
내가 오래도록 생사(生死)의 세계에 있으면서 온갖 괴로움을 받으면서 이룬 보리(菩提)도 이 여러 악인(惡人)들이 그 때 깨트릴 것이다.
사리불아,
만약 비구가 있어 이 얻음이 있는 견해인 아견(我見)과 인견(人見)을 버리지 못하면 여래가 기쁘게 설한 것을 이해하지 못한다.
더욱 결정적으로 나[我].0와 사람의 법이 있다고 말한다면 이 사람에게서는 내가 곧 하나의 마시는 물도 받기를 허락하지 않는다.
혹은 이 때 이 사람이 공의 법을 들을 수가 있어 마음이 청정하여 놀라지 않고 의심하지 않으면 곧 도리어 뭇 사람을 마땅히 인도하여 실상(實相)의 뜻에 들게 한다.
곧 마땅히 출가하여 구족계(具足戒:比丘戒)를 받아야 한다.
무슨 까닭인가?
사리불아,
만약 사람이 이 같은 견해를 버리지 않으면 이를 외도라고 이름한다.
사리불아,
내가 세속의 인연을 빌어 나[我]가 있다고 설하지만 제일의가 아니다.
만약 사람이 있어서 말한다.
‘나도 또한 세속(世俗)의 인연을 가져 나[我]가 있다고 설한다.’
이 사람이 만약 능히 무생(無生)과 무멸(無滅)과 무상(無相)에 통달하면 나의 설하는 바와 서로 어긋나지 않는 자로서 이가 나의 제자인 것이다.
사리불아,
만약 사람이 있어 말하기를 ‘여래는 무슨 까닭에 세속의 인연에 따라서 무아(無我)의 법이 있어 사람이 있다고 설하시는가?
여래는 마땅히 세간을 위하는 까닭에 부실(不實)한 말을 하지 말아야 한다.
또 여러 경 가운데에서 많은 사람이 있다고 설하였다.
부처의 설한 바는 마땅히 거짓이어서는 아니된다’고 하였다.
사리불아,
마땅히 이 사람에게 ‘부처가 모든 법은 공하여 주인이 없고 성품이 없다고 못하는 것은 다만 이는 허망한 것으로서 제일의가 아니며,
여래는 제일의로써 하지 않으므로 나와 사람이 있다고 설하는 것이다.
성인의 말에는 탐착하는 곳이 없다.
지혜가 없는 사람은 부처와 같을 수 없고 또 지나치는 자도 없다’고 답해야 한다.
사리불아,
여래의 지혜는 불가사의한 것으로써 이 지혜로써 중생의 마음을 안다.
사람이 있어 마땅히 부처와 같다면 부처는 큰 용인 대법왕(大法王)을 위하여 마땅히 어지러운 말을 하지 않는다.
부처는 어느 사람에게는 일체의 세간은 항상 나와 함께 싸운다 하고,
나는 항상 세간과 싸우지 않는다고 설한다.
사리불아,
자아(自我)가 있다고 설하는 자는 매우 가엾고 불쌍히 여겨야 한다.
이 중에는 법도 없고 자아도 없다.
많은 중생이 있어도 여래가 기꺼이 설하는 바를 이해하지 못한다.
법보(法寶)에 거역함이 많아 악의 한계에 떨어진다.
사리불아,
나는 삿된 견해를 알지만,
그러나 삿된 견해라고 하지 않는다.
능히 삿된 견해를 아는 것,
이는 곧 바른 견해이기 때문이다.
사리불아,
삿된 견해는 끝내 바른 견해가 되지 않고 견해는 견해를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사리불아,
모든 부처와 여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일체의 세간이 믿기 어려운 곳이다.
나는 모든 하늘과 일체의 세간에서 보다 가장 믿어야 하며 믿을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사리불아,
나의 설하는 법은 저 언덕에 이르기 위한 것이기는 하지만 이 가운데 역시 저 언덕에 이르는 것도 없다.
나의 설하는 법은 모든 행(行)을 다하기 위한 것이지만 이 중에 또한 모든 행을 다함도 없다.
나의 설하는 법은 적멸을 위한 까닭이지만 이 중에 또한 적멸이란 없다.
나의 설하는 법은 해탈을 위한 까닭이지만 이 중에 또한 해탈이란 없다.
나의 설하는 법은 모든 지혜를 위한 까닭이지만 이중에 또한 모든 지혜란 없다.
나의 설하는 법은 더러운 것을 깨끗하게 하기 위한 까닭이지만 이 중에 또한 더러움을 깨끗하게 하는 것은 없다.
사리불아,
여래는 하늘을 위하여 설법하나 또한 하늘이 없고,
사람을 위하여 설법하나 또한 사람이 없으며,
중생을 위하여 설법하나 또한 중생은 없다.
사리불아,
여래는 밝음[明]과 해탈을 설하지만 이 중에 밝음과 해탈은 없다.
내가 염불(念佛)을 설하나 부처를 염(念)하지 말라.
내가 공의 행을 설하지만 공의 행을 행하지 말고 또 염하지도 말아라.
사리불아,
이를 여래의 설하는 바인 경과 법의 구절이라고 이름한다.
이 중에 설하는 자는 없다.
여러 악인(惡人)들이 구절을 얻어 남을 위하여 설하고 또한 나를 부처라 하여도 여래와 거룩한 부처의 공덕은 없다.
더욱 스스로 승(僧)에 속한다 함은 사리불아,
비유컨대 원숭이의 무리가 도리천과 비슷한 것과 같다.
이 같은 뭇 악인은 나의 거룩한 무리와 비슷하지 않다.
사리불아,
이 여러 악인은 다만 음성과 말로써 스스로 사문(沙門)이라고 말하는데,
어리석은 사람이 원숭이의 무리를 보고서 도리천(忉利天)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이 닮았다.
사리불아,
그 중에 출가한 사람이 있어 어려운 물음을 기뻐하고 즐긴다.
좋은 스승의 명색(名色)을 설함에 적멸하여 언어의 길을 끊고 그에 합당함을 얻어 일어남이 없고 잃음도 없고 무상(無相)에 통달하여 이같이 무생(無生)과 무멸(無滅)ㆍ무상(無相)의 법을 들음을 얻어 놀라지 않고 두려워하지 않는 자는 마땅히 알아야 한다.
이 사람은 이미 일찍이 무량(無量)한 모든 부처를 공양하였고 능히 나의 법을 알아서 거룩한 무리라고 이름한다.”
5. 정계품(淨戒品) ①
부처님께서 사리불에게 말씀하셨다.
“파계(破戒)한 비구에게는 몇 가지 근심과 고뇌의 화살이 있어 참고 견디기가 어렵다.
비구가 몇 가지 근심과 고뇌의 화살을 성취하면
곧 불법에서 재미를 얻지 못하고
설법(說法)을 미워하는 자는 불법에 친근함을 원하지 않는다.
무엇이 몇 가지인가?
사리불아,
파계한 비구는 승(僧)이 화합하는 것을 보고서 기뻐하는 마음을 내지 않는다.
무슨 까닭인가?
화합의 포살(布薩)28)은 반드시 자기를 내쫓기 때문이다.
이 나쁜 비구는 스스로 잘못이 있음을 알고서 항상 근심과 고뇌를 품고 계를 지닌 자에 대해서는 한탄하고 성내어 기뻐하지 않는다.
사리불아,
이를 파계한 비구의 근심과 고뇌의 첫째 화살이라고 이름한다.
반드시 나쁜 길에 떨어진다.
또 다음으로 사리불아,
파계한 비구는 무리를 미워하고 친근(親近)함을 원하지 않는다.
사나운 소의 날카로운 뿔을 사람이 멀리하고 버리는 것과 같다.
잘못을 저지른 나쁜 비구는 스스로 잘못이 있음을 알고서 항상 조심과 고뇌를 품는다.
사리불아,
이를 파계한 비구의 근심과 고뇌의 두 번째 화살이라고 이름한다.
반드시 나쁜 길에 떨어진다.
또 다음으로 사리불아,
파계한 비구는 비구의 무리를 만나 보고서 스스로의 나쁜 마음과 같지 않음을 알고서 떠나고 참괴심과 부끄러움을 품는 까닭에 무리에 들 수가 없다.
사리불아,
이를 파계한 비구의 근심과 고뇌의 세 번째 화살이라고 이름한다.
반드시 나쁜 길에 떨어진다.
또 다음으로 사리불아,
파계한 비구는 악하고 독한 마음이 왕성하여 교화할 수가 없다.
마치 외도에게 계법(戒法)이 없음과 같다.
하물며 깨끗한 계에 있어서이겠느냐.
그 파계한 인연으로 해서 사람이 친근하지 않는다.
사리불아,
이를 파계한 비구의 근심과 고뇌의 네 번째 화살이라고 이름한다.
반드시 나쁜 길에 떨어진다.
또 다음으로,
사리불아,
파계한 비구는 남의 재물로써 스스로 그 몸을 먹인다.
나는 이 사람을 설하여 무거운 짐을 진 자라고 한다.
무슨 까닭이냐 하면 수행자(修行者)와 얻은 자[得者]29)는 마땅히 공양을 받아야 한다.
파계한 비구는 곧 수행자도 아니며,
이는 얻은 자도 아니다.
이 까닭에 사리불아,
파계한 비구는 마땅히 백천억만(百千億萬)의 겁 동안 몸의 살을 찢고 빼어내서 시주(施主)에게 갚아야 한다.
만약 축생으로 태어나면 몸은 항상 무거운 짐을 진다.
무슨 까닭인가 하면,
한 머리털을 꺾어 천억(千億)으로 나눈다 해도 파계한 비구는 더욱 그 하나의 공양도 갚을 길이 없음과 같다.
하물며 남의 의복과 음식과 침구와 의약을 능히 갚겠는가?
사리불아,
파계한 비구가 거룩한 법복(法服)을 입었다 해도 더욱 마땅히 한 걸음도 절에 들어갈 수가 없다.
하물며 한 그릇의 마시는 물과 내지는 침상(寢床)을 받을 수 있겠느냐.
무슨 까닭인가.
사리불아,
이 같이 나쁜 사람을 하늘과 사람 중에서는 이를 큰 도적이라고 한다.
일체의 세간은 모두가 마땅히 멀리 하고 떠난다.
사리불아,
이 썩고 무너진 사람,
이는 곧 원수의 집인 것이다.
여래는 일체세간의 모두가 남김없이 나의 곳에 이르는 것을 허락하지만 파계한 사람은 여래가 손으로 막는다.
나의 제자가 아니다.
하물며 하루라도 나의 법 가운데 머물게 하겠느냐?
사리불아,
비유컨대 죽은 뱀과 죽은 게와 같이 가장 더러운 냄새가 난다.
청정한 모든 하늘이 교화하고자 할 때에도 마땅히 발견함을 얻지 못한다.
만약 본다 해도 곧 멀리한다.
이와 같이 사리불아,
파계한 비구는 그 세 주검과 같이 더러운 냄새를 풍기고 부정(不淨)하다.
지혜로운 자는 멀리 떠나고 동사(同事)30)와 포살(布薩)과 자자(自恣)31)를 함께 하지 않는다.
사리불아,
파계한 비구는 나의 법 중에서는 곧 불길(不吉)하다고 한다.
계를 지닌 비구가 이 파계한 비구를 보면 즉시 멀리 떠난다.
무슨 까닭인가?
만약 파계한 비구의 손이 닿는 곳의 물건과 받은 물건은 계를 지닌 자에게 있어서는 곧 나쁜 독이 된다.
사리불아,
참으로 세 가지 주검의 더러운 냄새가 땅에 가득하게 하고 내가 그 안에서 능히 네 가지 위의[四威儀]32)를 행한다 해도 이 파계한 비구는 잠시도 함께 머물지 못한다.
무슨 까닭인가?
사리불아,
이는 사문(沙門) 중에서 가장 비루(卑陋)하고 하천(下賤)하다.
사문 중에서 썩어서 메말라버린 흙이며 폐악(弊惡)한 것이다.
사문 중의 쭉정이와 겨[粃糠:하찮고 쓸모없는 것]인 것이다.
사문 중의 때[垢]이다.
사문 중의 혼탁(混濁)함이다.
사문중의 오물(汚物)이다.
사문 중의 왜곡(歪曲)됨이다.
사문 중에 추한[麤=추(醜)] 것이다.
사문 중에서 거룩한 길을 잃은 자이다.
이와 같은 사람들은 나의 법 중에서 출가하고 도를 구해서 무거운 죄를 얻는다.
사리불아,
이와 같은 사람을 나의 법 중에서는 곧 역적이라 한다.
이는 법의 도적이라 한다.
이는 거짓된 사기꾼[詐欺]이라고 한다.
사리불아,
비유컨대 황문(黃門)33)의 사나이가 아니며 여자도 아님과 같다.
파계한 비구도 또한 이와 같다.
집에 있다고도 이름할 수 없고 출가하였다고도 이름할 수 없다.
목숨이 끝난 뒤에는 곧 지옥에 들어간다.
사리불아,
비유컨대 박쥐가 새를 잡고자 할 때는 곧 쥐가 되어 구멍으로 들어가 쥐가 되고,
쥐를 잡고자 할 때는 곧 하늘을 날아 새가 되는 것과 같다.
이미 포살과 자자(自恣)에 들지 않는다.
또한 임금의 사역(使役)에도 들지 않는다.
속인(俗人)이라고 이름하지 않으며 출가자(出家者)라고도 이름하지 않는다.
주검을 태우다 남은 나무를 다시는 쓰지 않음과 같다.
이와 같은 비구에게는 계품(戒品:계율의 품류와 종류)과 선정의 품[定品]과 지혜의 품[慧品]과 해탈품(解脫品)과 해탈지견품(解脫知見品)이 없으며 오직 깨끗한 계를 깨트린 일을 구족할 뿐이다.
크고 미묘한 음성과 계의 소리와 선정의 소리와 지혜의 소리와 해탈의 소리와 해탈지견의 소리를 내지 못한다.
오직 계를 깨트리는 폐악한 소리를 낼 뿐이다.
여러 같은 악인과 함께 나쁜 소리를 내고 오직 의복과 음식과 잠자리를 논하고 나무와 꽃과 열매의 보시를 받으며,
귀한 사람의 심부름꾼이 되고 또 국토(國土)의 길흉(吉凶)과 안위(安危)를 논하고,
뭇 일에 대한 여러 가지 좋지 못한 말을 웃으며 한다.
밤과 낮으로 항상 세속의 일에 물든 것을 바라고 구한다.
이와 같이 비구는 몸의 업도 부정(不淨)하고 입의 업도 부정하고 뜻의 업도 부정하여 마땅히 지옥에 떨어진다.
사리불아,
이 비구는 어두움을 즐기기를 박쥐와 같이 한다.
바른 경(經)을 설하는 것을 듣고서는 근심을 한다.
무슨 까닭인가 하면 여실한 설이기 때문이다.
세간의 사람은 진실한 설은 기뻐하지 않고 다만 뜻에 따르는 것을 즐긴다.
이와 같은 비구는 설법에 있어서 마음이 청정해지지 않는다.
더욱 겹쳐서 죄를 짓고 지옥을 더한다.
사리불아,
이를 다섯 번째의 비구의 근심과 고뇌의 화살이라고 이름한다.
반드시 지옥에 떨어진다.
또 다음으로,
사리불아,
파계한 비구에게는 부끄러움이 없다.
모든 뿌리가 산란하여 부정을 성취한다.
몸과 입과 뜻이 없이 깨끗하지 않은 위의(威儀:行動)는 입은 옷까지도 모두가 법답지 아니함과 같다.
거짓말을 좋아하고 기뻐해서 입을 지키지 못한다.
마음은 항상 분주하게 뛰어다니며 더러운 때에 물든다.
사리불아,
새로운 질그릇에 오줌과 똥과 썩은 냄새를 풍기는 피고름을 가득 담는 것과 같다.
뒤에 더러운 것을 버리고 전단향(栴檀香)을 발라도 또 전단향이 사라지면 이 같은 질그릇에 무슨 기운이 있겠느냐?”
“세존이시여,
이 새 질그릇은 먼저 담은 오줌과 똥의 냄새가 굳게 묻어 오직 그 냄새가 있을 뿐 전단의 향내는 없습니다.”
“사리불아,
사람이 청정한 믿음으로 모든 뿌리를 고르게 하여 출가해서 도(道)를 배우고 악지식(惡知識)을 만나서는 그 가르침에 따르지 않아야 한다.
사리불아,
무엇들을 악지식이라 하는가?
악지식이란 항상 나쁜 희롱을 좋아하고 경박하여 부끄러움이 없다.
말은 산란하여 모든 뿌리를 거두지 못한다.
마음은 전일(專一)하지 못하여 어리석기가 흰 염소와 같다.
이 같은 악지식에게 친근하면 수다원과(須陀洹果)와 사다함과(斯陀含果)와 아나함과(阿那含果)와 아라한과(阿羅漢果)를 잃고 법을 깨트리는 자와 함께 일을 따른다.
이 사람은 부정(不淨)한 몸의 업과 부정한 입의 업과 부정한 뜻의 업과 부정한 지계(持戒)를 성취하여 몸이 죽은 뒤에는 나쁜 세계에 든다.
무엇을 나쁜 세계[惡趣]라고 하는가.
나쁜 세계란 지옥과 축생과 마귀와 아수라의 길을 이름한다.
또 나쁜 길이 있는데 아유륵충(阿由勒蟲)34)과 바가라목거충(婆伽羅目呿蟲)과 부미수차가충(浮彌修遮迦蟲)과 수지목가충(修脂目迦蟲)과 같다.
이 사람은 이 많은 벌레 속에 난다.
사리불아,
이 사람이 악지식에게 따르면 혹 사람 가운데 태어나도 태어나면서 부모를 이별하거나 죽어서 잃으며 친족과 고향은 쇠뇌(衰惱)하고 국토는 파괴된다.
팔난(八難 :부처님을 만나서 교법을 들을 수 없는 경계에 여덟 가지가 있다.
즉 지옥과 출생과 아귀와 장수천(長壽天)과 변두리[邊地]와 눈멀고 귀먹고 벙어리인 자와 세간의 지혜만이 총명한 자와 부처님이 나기 전과 부처님이 가신 뒤의 여덟 가지) 가운데 나서 여덟 가지 즐거운 곳을 버린다.
성냄이 많고 어리석음이 많으며 나쁜 희롱을 좋아하고 경박하여 부끄러움이 없다.
말이 산란하고 마음을 거두지를 못하여 어리석기가 흰 염소와 같고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으로 해서 무너지며 귀먹고 벙어리이며 눈멀고 언청이이며 손과 발은 굽고 곱사가 되어 악지식과 함께 부처가 없는 곳에 태어난다.
만약 부처를 만난다 해도 눈은 보는 것을 기뻐하지 않으며 법을 듣는 것을 기뻐하지 않고 부처와 그를 따르는 무리와 함께 화합하지 않는다.
이 악업(惡業)을 일으키어 악인(惡人)과 삶을 함께하여 하열(下劣)한 법을 즐긴다.
바른 견해 중에 있어서는 삿된 견해의 생각을 내고 삿된 견해 가운데 있어서는 바른 견해의 생각을 내지 않는다.
이를 하열(下劣)한 욕망이며 하열한 법인(法忍)이며 하열한 지혜라고 이름한다.
사리불아,
하열한 지혜의 사람은 세속을 싫어하여 출가하고 적멸의 길과 열반의 세계에 낳는 마음을 끝내 내지 못한다.
사리불아,
악지식을 만나서는 이 같은 여러 가지 쇠뇌(衰惱)한 환난은 얻으나 이러한 모습은 없다.
이 사람은 이 깊은 여러 가지 경을 들으면 놀라고 의심하고 두려워해서 깊은 함정에 떨어짐과 같다.
즉 큰 죄의 깊은 함정 속으로 떨어진다.
무슨 까닭인가.
사리불아,
경 중에서 설함과 같다.
파계한 비구에게는 크고 무거운 죄가 있다.
무슨 인연 때문에 이름하여 파계라 하는가?
받은 바 계를 깨트려 가르침의 말씀과 같이 하기 어렵고 행에 항상 따름이 없고 어기고 거슬림은 많다.
항상 탐착함을 행하여 나쁜 것이 얽히고 섞인 행이 많다.
탐욕과 어리석음과 성냄을 행하여 여러 가지 잡(雜)된 말을 즐기는 것,
이를 파계라고 이름한다.
또 맑은 사무(事務)를 즐기고 많은 잠을 즐긴다.
말하는 바는 순하지 않고 차례가 없다.
청정하지 않음을 설하고 아상(我想)과 인상(人想)과 수자상(壽者想)과 명자상(命者想)에 탐착한다.
이 때문에 이름하여 폐악한 비구라고 한다.
절조(節操)를 헤아릴 줄 모르고 사문의 법을 알지 못하며 바라문의 법까지도 모른다.
의술(醫術)을 파는 행을 하여 이익을 구하는 것을 즐기며 나라의 사신이 되어 여러 가지의 더러움[汚染]를 즐기며 속인과 더불어 일을 시키고 일을 해서 여러 가지 나뭇잎과 꽃과 열매를 받들어 올리기를 즐기며,
속인을 위하여 외도의 법을 설하는 것을 즐기며,
마음은 항상 출세간(出世間)의 법을 버리고 떠난다.
아직 스무 살이 차지 않았음에도 구족계(具足戒:비구계와 비구니계)를 받고 계를 받은 일 중에 여러 가지로 갖추지 못함이 있다.
형체(形體)는 왜소하여 법에 마땅하지 않음에도 쌀과 곡식과 돈과 포목(布木)과 금은(金銀)을 받아서 살고 뉘우치지 않으면 반대로 스승의 명을 거역한다.
스스로의 몸을 알지 못하고 다른 사람까지도 알지 못하며 귀천의 차별까지도 분별하지 못한다.
즐겨 거짓말을 하고서 기뻐하고 계취(戒取)35)를 탐착한다.
하는 일은 산란하여 마음은 전일하지가 않다.
얼굴에 성내는 상이 있고 간탐하고 믿지 아니한다.
은혜와 의리를 알지 못하여 많은 탐욕을 품고 잠들며,
나쁜 희롱을 하고 의심하고 성내고 죄악을 덮어 감추고,
자기 혼자서만 갖기를 좋아하여 질투하고 아첨하여 참괴함이 없다.
스스로 크게 방일(放逸)하여 교만하고 아만(我慢)하고 크게 오만하고 삿되고 게으르다.
즐겨 방편을 지어서 이익의 문을 연다.
속인을 짓밟아 업신여겨 거짓으로 친숙함을 나타낸다.
시세(時勢)를 인(因)하여 재물을 얻고서 뭇 사람에게 자랑을 한다.
계품(戒)과 선정품(禪定品)과 지혜품(智慧品)과 해탈품(解脫品)과 해탈지견품(解脫知見品)을 무너트리고 불법 중에서 마음에 정해진 믿음이 없다.
업보(業報)를 믿지 아니하고 눈앞의 이익을 존중한다.
후손(後孫)이 없다고 말하면서 의심하고 뉘우침이 많다.
뜻[志]과 성품이 얕고 약해서 항상 놀라고 두려워하기를 잘 한다.
사리불아,
이를 폐악(幣惡)한 비구라고 이름한다.
이 사람은 몸과 입과 뜻의 입을 성취하여 목숨이 청정하지 않은 까닭에 목숨이 끝난 뒤에는 나쁜 길에 떨어져 큰 지옥에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은 비구는 모든 여래와 부처와 그 제자의 무리가 항상 멀리 떠나는 바이다.
다른 길을 좋아하는 자도,
멸도(滅度:열반)를 구하는 자도,
또한 모두가 가까이 하지 않는다.
사리불아,
비유컨대 전단(栴檀)을 더러운 그릇에 놓아 더러운 것과 같이 하면 다시는 쓰는 데 합당하지 않음과 같다.
이같이 사리불아,
만약 재가자(在家者)와 출가자(出家者)로서 이 사람에게 친근하여 행하는 바를 익히면 역시 계품(戒品)을 깨트리게 되어 오래지 않아서 악과 같아진다.
얼굴빛은 깨어져 초췌하고 위의(威儀)를 깨트려 잃는다.
목숨이 끝난 뒤에는 지옥에 난다.
사리불아,
이 같은 악인은 모든 부처와 여래와 또 제자의 무리와 그리고 다른 길을 구하고 멸도(滅度)를 좋아하는 자,
모두가 멀리 떠나는 곳이다.
사리불아,
비유컨대 전단을 더러운 그릇에 두면 다시는 쓰는 것에 합당하지 않음과 같다.
이같이 사리불아,
만약 재가자와 출가자로써 몸에 전단향을 바른다 해도 더욱 부정한 것을 섞은 것과 같다.
사리불아,
이 나쁜 비구도 이와 같다.
무리 가운데 앉아 거룩한 법복(法服)을 입고 있다 하여도 그대로 이 비구의 나쁜 상은 더욱 나타난다.
범행(梵行)의 비구는 이 부정을 보고서 멀리하고 가까이 하지 않는다.
남이 멀리하고 떠나는 것을 보고서 마음이 곧 성내고 한탄하면 이 인연으로써 죽어서 지옥에 든다.
사리불아,
이를 파계한 비구의 여섯 번째 근심과 고뇌의 화살이라고 이름한다.
반드시 지옥에 떨어진다.”
----------------------
1)
열반이 상(相)이 없음을 관하는 행에 상응하여 일어나는 정심(定心),
즉 삼매(三昧).
2)
믿기 어렵던 이치를 잘 받아들이고 의혹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
3)
귀신(鬼神)의 하나.
4)
나찰(羅刹)의 한 종류인 귀신.
5)
모든 것은 무상하여 실재(實在)하지 않음과 같이 사람도 죽으면 몸과 마음이 모두 없어져 버린다는 주장.
6)
모든 것이 영원히 변치 않음과 같이 이 몸도 죽으면 다시 태어나 끝없이 지금의 상태를 지속한다는 주장.
7)
선정이 온갖 선근(善根)이라 함.
8)
분(分)은 지분(支分)의 뜻.
37과(科)의 도행(道行)을 지분하므로 보리분이라 하고,
또는 분은 인(因)의 뜻으로 7각지(覺支),
37과(科)의 도행(道行)이 보리에 순종하므로 보리분이라 함.
9)
훌륭한 교법과 깨달음을 얻지 못하고서 얻었다고 생각하여 자만하는 것.
11)
무상(無相)의 진리를 깨달아 마음속에 집착함이 없고 분별함이 없는 것.
12)
집착하는 마음인 나의 마음으로써 모든 법(法)중에서 상(相)을 취하므로 유소득이라 함.
13)
상응하는 행(行)의 뜻이다.
편의상 일이라 하였음.
14)
염은 관조(觀照)하는 지혜와 함께 일어나는 마음의 작용,
처(處)는 관조하는 대상의 경계.
15)
①육신이 부정하다고 관하는 신념처(身念處) ②음행(婬行)ㆍ자녀(子女)ㆍ재물( 財物),
즐거움이라고 하는 것은 실제로는 고(苦)라고 관하는 수념처(受念處) ③마음은 늘 변화한다고 관하는 심념처(心念處) ④위의 셋을 제외한 만유(萬有:法)에는 아(我)가 없고 아에 속한 것도 없다고 관하는 범념처(法念處).
16)
성(性)은 체(體)이고 일체의 모든 법에는 실체(實體)가 없으므로 무성(無性)이라 함.
17)
이것이다,
저것이다 가리는 생각.
18)
공(空)은 제상(諸相)이 없음이며 적(寂)은 기멸(起滅)이 없는 것.
19)
성문(聲聞)이 닦는 4과(果) 중의 하나로 그 첫 단계인 예류과(預流果)와 사다함(斯陀含).
20)
영원히 불멸하는 아(我)가 있다고 하는 견해.
이하 동일하게 이해함.
21)
인(忍)은 인허(忍許)의 뜻.
믿기 어렵던 이치를 잘 받아들여 의혹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이치는 4제(諦)의 이치를 관하여 인가함을 법인이라 함.
22)
부처님 당시 인도에 있던 대표적 외도의 스승 여섯 사람.
23)
시공(時空)을 초월하여 변하지 않는 법(法)으로써 이는 평등하고 차별이 없으므로 여(如)이다.
진여(眞如).
24)
고대 인도에 있어서 가장 낮은 계급에 속한 천민으로 백정을 업으로 삼는다.
25)
3장(藏)의 하나인 논(論)을 말함.
26)
부처님이 설한 교법,
즉 경(經).
27)
단(斷)은 만유(萬有)는 변하는 것이라고 하는 주장.
상(常)은 만유는 불변한다는 주장.
28)
출가자에게는 계를 설하고 참회하는 의식이며 재가자에게 있어서는 정기적인 재일(齊日)의 의식임.
29)
공양을 받음에 합당한 과위(果位)를 얻은 자.
30)
보살이 중생의 근기와 인연에 따라 나타내는 사업을 함께 하여 훌륭하게 중생을 거두는 것.
31)
안거 맨 끝날 대중이 서로 보고 듣고 의심하는 일에 대하여 죄를 지적해서 참회하고 복을 닦는 일.
32)
일상적인 기거동작,
즉 행(行)ㆍ주(住)ㆍ(坐)ㆍ와(臥).
33)
장가들었으나 평생토록 자식이 없는 남자.
34)
벌레의 이름이나 알 수 없음.
이하 모두 같다.
35)
계금취(戒禁取),
취는 집지(執持),
집취(執取)의 뜻.
허망한 생에 집착하여 여러 가지 존재를 취하기 때문에 취라 하며,
계금취는 계율이 금하는 인연을 취하는 것.
욕취(欲取)ㆍ견취(見取)ㆍ아어취(我語取)와 함께 4취의 하나.
● [pt op tr] fr
_M#]
◈Lab value 불기2565/03/05 |
♥단상♥세계의 달걀들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3/2565-03-05-k0529-001.html#3795 sfed--불장경_K0529_T0653.txt ☞상권 sfd8--불교단상_2565_03.txt ☞◆vlbl3795 불기2565-03-05 θθ |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등지,等至,samāpatti,snyomspar’jugpa,영어equanimity,삼마발저三摩鉢底,삼마발제三摩鉢帝,samāpatti,三摩拔提,,三摩足我,等至,,正受,,正定現前,定,등지等持,삼매c三昧samādhi삼마지三摩地,삼마제三摩提,삼매三昧,concentration,concentration,
4종 왕생의 하나. 임종시에 소리를 내어 염불하지 못하고, 마음으로만 부처님을 염송하여 왕생함.
답 후보
● 의념왕생(意念往生)
이각(二覺)
이공(二空)
이교(二敎)
이근(二根)
이력(二力)
이법신(理法身)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Sylvie Vartan - Quand Tu Es L0
Jean-Louis Murat - Se Mettre Aux Anges
Dalida - Le Jour Le Plus Long
Julien Clerc - Bateau Presse Capitaine Pas Bon
Daniel Balavoine - Viens Danser
Michel Jonasz - Les Amoureux Des Bancs Publics
Charles Aznavour - For Me Formidabl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Seon
[san-chn] sattva-hitârtham 利樂有情
[san-eng] muktasaṅgaḥ $ 범어 liberated from association
[pali-chn] alaṃ-kāla 瓔珞
[pal-eng] a.d.dharatta $ 팔리어 nt.midnight.
[Eng-Ch-Eng] two views 二見
[Muller-jpn-Eng] 劫比拏 コウヒナ (person) Kapphiṇa
[Glossary_of_Buddhism-Eng] PARINIBBANA SUTTA☞
See also: Parinirvana Sutra.
“This [Theravada] sutra deals with the last years of life of the historical Buddha…, his death as well as with the cremation of his body
and the distribution of the relics … It should not be confused with
the Mahayana Mahaparinirvana Sutra [sometimes called Nirvana
Sutra.]”
Sham: 134
[fra-eng] propagé $ 불어 propagated
■ 암산퀴즈
665* 604
42926 / 127
■ 다라니퀴즈
자비주 64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64 번째는?
64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은 신통을 지닌 곳간이니,
모든 부처님 국토에서 노닐되
자재함을 얻는 까닭이니라.
이 사람의 공덕은 아무리 찬탄하여도
다할 수 없나니라.
● 파마아싯다야 波摩阿悉陁夜<六十四> pa ma hā sid dhā ya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64
가마로 나바 바
迦摩路<引>訥婆<二合>嚩<六十四>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64일째]
견제보살불가설 $ 064▲奚麼怛羅奚麼怛羅為 一 ● 鞞麼怛羅, ○□□□□,發,請,敷,現
□□□□□□□, 發生智慧不可說,
請問正法不可說, 敷揚佛教不可說,
□□□□□□□, 발생지혜불가설,
청문정법불가설, 부양불교불가설,
여러 보살 보는 일을 말할 수 없고
지혜를 내는 것도 말할 수 없고
바른 법 묻는 것도 말할 수 없고
불교를 널리 폄도 말할 수 없어
065□
[65째]
현종종신불가설 $ 065▲鞞麼怛羅鞞麼怛羅為 一 ● 鉢羅麼怛羅, ○□□□□,詣,示,普,處
□□□□□□□, 詣諸國土不可說,
示現神通不可說, 普遍十方不可說,
□□□□□□□, 예제국토불가설,
시현신통불가설, 보편십방불가설,
여러 몸 나타냄을 말할 수 없고
여러 국토 나아감도 말할 수 없고
신통을 보이는 일 말할 수 없고
시방에 두루함을 말할 수 없고
●K0997_T0394.txt★ ∴≪A불입열반밀적금강역사애련경≫_≪K0997≫_≪T0394≫
●K0529_T0653.txt★ ∴≪A불장경≫_≪K0529≫_≪T0653≫
●K1107_T1025.txt★ ∴≪A불정방무구광명입보문관찰일체여래심다라니경≫_≪K1107≫_≪T1025≫
법수_암기방안
64 척골(尺骨)[자뼈]
65 견상(肩 =
64 척골(尺骨)[자뼈]
64 척골(尺骨)[자뼈]
401660
338
○ 2019_1104_122645_can_CT27 구례 화엄사
○ 2019_1104_112340_can_BW25 구례 화엄사 구층암
○ 2020_1114_162900_can_BW22 삼각산 도선사
○ 2020_1114_141320_can_CT27 삼각산 도선사
○ 2020_1114_141157_can_BW22 삼각산 도선사
○ 2020_1114_132648_nik_BW25_s12 삼각산 도선사
○ 2018_1024_173454_nik_Ar12 부여 고란사
○ 2020_1002_123407_nik_Ar31 파주 고령산 보광사
○ 2020_0930_141201_nik_ori_rs 화성 용주사
○ 2020_0908_162003_can_BW27 합천 해인사
○ 2020_0905_150434_can_AB7 오대산 적멸보궁
○ 2019_1201_152405_can_Ar28 원주 구룡사
○ 2019_1201_151600_can_ct18 원주 구룡사
○ 2019_1106_165611_can_ab1_s12 화순 계당산 쌍봉사
○ 2019_1106_154439_can_BW25 화순 계당산 쌍봉사
○ 2019_1106_130737_can_ar27_s12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5_172721_nik_Ar26_s12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19_1105_155416_nik_CT27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19_1106_155517_nik_bw0_s12 화순 계당산 쌍봉사
● [pt op tr] fr
_M#]
○ 2019_1106_104610_nik_BW17 화순 영구산 운주사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tistory.com/5857
○ [pt op tr]
● 불장경_K0529_T0653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상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5-03-05_불장경-K0529-001
https://buddhism007.tistory.com/18143
sfed--불장경_K0529_T0653.txt ☞상권
sfd8--불교단상_2565_03.txt ☞◆vlbl3795
불기2565-03-05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2265807048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3/2565-03-05-k0529-001.html
htmback--불기2565-03-05_불장경_K0529_T0653-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