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1년 3월 13일 토요일

진나_dignaga



【진나 dignaga】
[한문]陳那
[범어]dignāga ; diṅnāga
[티벳]phyogs (kyi) glang (po)
[영어]dignaga】


디그나가 또는 딘나가의 음역.
불교의 논리학자,
유가행유식파의 논사.
480~540년경 생존.
남인도의 안달라국(案達羅國) 출신.
세친 보살의 노선을 계승하며,
인명입정리론(因明入正理論)을 저술하여 신인명(新因明)의 불교 논리학을 확립했다.

구구인(九句因)에 의해 인(因)의 3상(相)을 확립하고,
5지 작법을 3지 작법으로 개량함으로써 인명의 논리적 의의를 혁신했다.
또 유식학에서는 견(見), 상(相), 자증(自證)의 삼분설(三分說)을 세웠다.
호법(護法) 논사가 그의 노선을 계승한다.
[저서]
관소연연론(觀所緣緣論),
관총상론송(觀惣相論頌),
무상사진론(無相思塵論),
불모반야바라밀다원집요의론(佛母般若波羅蜜多圓集要義論),
인명정리문론(因明正理門論),
인명정리문론본(因明正理門論本),
장중론(掌中論),
취인가설론(取因假設論),
해권론(解捲論).
[동]대역룡(大域龍) , 역룡(域龍).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진나

[한문]陳那
【범】Dinnāga 남 인도 사람.
대역룡(大域龍)이라 번역.
『인명론(因明論)』을 대성하다.
남인도 안달라국에 살면서 왕의 공양을 받고,
소승교를 배워 아라한의 성자가 되려 하다가,
문수의 가르침을 따라 생각을 돌이켜
『유가론』ㆍ『인명론』을 강하여 제자들을 교육.
또 세친(世親)의 문인으로,
뇌야연기(賴耶緣起)에서는 상분(相分)ㆍ견분(見分)ㆍ자증분(自證分)의 3분을 주장.
또 신인명(新因明)을 처음으로 주창한 이로 유명.
저서로는 『정리문론(正理門論)』ㆍ『무상사진론(無想思塵論)』ㆍ『관총상론송(觀總相論頌)』ㆍ『장중론(掌中論)』ㆍ『관소연연론(觀所緣緣論)』 등 8부가 지금까지 전함.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추가참조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4_172046_nik_exc


○ 2018_1022_180700_nik_ori


○ 2018_1022_174032_can_exc


○ 2018_1022_164519_can_ori


○ 2020_1017_144734_nik_exc_s12


○ 2020_1017_154629_can_exc

_ori_rs
○ 2016_0505_124722_nik


○ 2020_0908_175712_nik_ori_rs


○ 2020_0909_154615_can_ori_rs


○ 2020_0909_151901_nik_ori_rs


○ 2020_0904_092320_nik_ori_rs


○ 2020_0211_134242_can_exc


○ 2019_1201_154434_nik_exc_s12


○ 2019_1201_143714_can_exc_s12


○ 2019_1105_165741_nik_fix


○ 2019_1105_123045_nik_exc


○ 2019_1106_152247_nik_exc_s12


○ 2019_1106_105435_nik_exc_s12


● [pt op tr] fr
_M#]



○ 2020_0930_142839_can_ori_rs



○ 2019_1201_160303_can_fix


★2★




❋❋추가참조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디그나가
디그나가(산스크리트어: दिग्नाग) 또는 마하디그나가,

진나(陳那, 480년경 ~ 540년경)는 유식(唯識)의 입장에서
인명학(因明学)이라는 새로운 불교논리학을 확립한 유상유식파(有相唯識派)의 불교사상가이다.
팔리어로는 딘나(Dinna)로 발음된다.
한역 이름은 진나 외에도
역룡(域龍)[1] 또는 대역룡(大域龍)[2], 동수(童授)[3]라고도 불린다.

남인도브라만 출신으로
처음에는 부파 불교(상좌부 불교)의 독자부(犢子部)로 출가하였다가
후에 대승불교로 전향,
세친(世親) 아래서 유식학과 논리학을 배웠다고 전한다.

이 전통은 인도 논리학 최고봉이었다고 평가받는
법칭(法称, 다르마키르티)에게로 이어졌다.

또한 그의 사상과 논리학은 중관파(中観派)의 청변(清弁)에게도 영향을 주어,
중관파 안에서 「자립논증파」(自立論証派),
훗날 「유가행중관파」(瑜伽行中観派)라 불리게 되는 유파가 형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디그나가의 이량설(二量説)은
집량론(集量論), 인명정리문론(因明正理門論)의 두 가지가 있으며,
두 개의 량(量, 판단 규범)에 있어서 바름을 확인한다는 것이다.

현량(現量) - 인식(認識)의 바름을 판단하는 규범
비량(比量) - 논리의 바름을 판단하는 규범


디그나가에 이르기까지 불교에서는 성교량(聖教量)이라는 판단규범을 세우고 있었다.
예를 들어 경전 등과 같이 절대자의 말은 그것만으로 판단규범이었지만,
진나는 이것을 완전히 부정하고 경전에 있다고 해서 바른 것이 아니라,
바른 것을 설하고 있으니까 규범이 되어야 한다며
이제까지의 삼량설(三量説)을 버리고 이량설을 세웠던 것이다.

나아가 현량과 비량에 있어서 이제까지 비량을 상위에 두었으나
말을 기초로 하는 논리를 사용하는 비량 너머,
부처의 깨달음이란 언어를 초월한 곳에 있으며
그것이 가장 올바른 경지이므로 현량을 상위에 두고
말로써 그것을 전하는 경전은 2차적인 것임을 논증하고 있다.

기타[■편집]
한국의 신라 시대의 승려 원효는 디그나가의 환생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하였다.

각주[■편집]
《인명후기》(因明后记) “域龙者,梵语,此云陈那是也.”
《大部补注》“陈那,具云摩诃陈那迦,此翻大域龙.”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 권10“陈那, 唐言童授.”;
《대당대자은사삼장법사전》(大唐大慈恩寺三藏法師傳)권4 “此言授童.”





● From 대만불광사전
진나
【陳那】 p4820-中≫
梵名 Dignāg,
Dinnāg,
西藏名 Phyogs-kyi glaṅ-po.
又稱域龍․大域龍․方象.
西元五․六世紀時人.
印度佛敎因明論集大成者.
一說陳那爲南印度香至國人,
屬婆羅門種姓.
初習外道敎旨,
又入小乘犢子部 ; 後師事世親,
硏究大小乘佛敎 ; 曾自一阿闍梨受明咒,
深得祕法 ; 至烏荼國(梵 Odiviśa)修習禪定.
能言善道,
折服諸多外道,
因與尼夜耶學派辯論而著稱於世,
於那爛陀寺講說俱舍論․唯識․因明學說.
後受文殊菩薩之勸誡撰述「集量論」.
未久,
歷遊南印度降伏外道諸論師,
復興已荒廢之道場,
常行十二頭陀行,
示寂於烏荼國森林中之洞窟.
有關陳那生平,
另一說以其爲南印度案達羅國人,
受國王供養,
證阿羅漢果,
依文殊菩薩之啓示遂起兼濟之志.
師講說因明論,
宣暢瑜伽師地論.
 陳那有關俱舍․唯識之著作頗多.
在認識論方面,
就心․心所而立見分․相分․自證分,
稱爲三分家 ; 昔來與安慧之一分․難陀之二分․護法之四分說竝稱.
師更於因明學方面留有不朽之功績,
集因明說之大成,
始創「新因明」,
由九句因,
始確立因之三相,
改五支作法爲三支作法,
變古因明之歸納爲演繹,
造成印度論理學(因明學)劃時代之新里程,
被稱爲中世紀正理學之父,
或新因明之祖.
關於師之因明學著作甚多,
南海寄歸內法傳卷四列有八論,
漢譯藏經中現存有九部九卷 : 眞諦譯解捲論(與義淨譯掌中論同本)及無相思塵論(與玄奘譯觀所緣緣論同本)․義淨譯取因假設論及觀總相論頌․施護等譯佛母般若波羅蜜多圓集要義論․玄奘譯因明正理門論本(與義淨譯因明正理門論同本).
西藏譯藏經中則收十一部.
另外師亦善於文學,
曾作雜讚․戱曲.
承繼陳那之因明學說者,
有商羯羅主及法系繼承者護法.
[大唐西域記卷十․卷十一․因明入正理論疏卷一(文軌)․成唯識論述記卷一本]



⑤-4820■불광사전
hbfl--09_Ja_1499.TIF




● From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
■ '진나' 관련 기타 참고 사전 통합 검색
다음백과 https://100.daum.net/search/entry?q=진나
네이버백과 https://terms.naver.com/search.nhn?query=진나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진나
네이버한자 https://hanja.naver.com/search?query=진나
네이버지식 https://kin.naver.com/search/list.nhn?query=진나
네이버사전 https://endic.naver.com/search.nhn?sLn=kr&isOnlyViewEE=N&query=진나

위키영문 https://en.wikipedia.org/wiki/dignāga_;_diṅnāga
구글 https://www.google.co.kr/?gws_rd=ssl#newwindow=1&q=진나
네이버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진나
다음 https://search.daum.net/search?w=tot&q=진나


--- 이하 단어 직접 입력 검색 ---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https://abc.dongguk.edu/ebti/c3/sub1.jsp
불광대사전(佛光大辭典) https://www.fgs.org.tw/fgs_book/fgs_drser.aspx
산스크리트어사전 https://www.sanskrit-lexicon.uni-koeln.de/monier/
 티벳어사전 https://nitartha.pythonanywhere.com/index


● [pt op tr] fr
_M#]
■ 불교사전 링크 및 불교 사전 출처 종합 안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4/blog-post_21.html


●● 관련정보 사용페이지



----[‡사용한 다른 페이지]---









★%★



○ 음악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us0fl--Mireille Mathieu - Une Passerelle.lrc
Mireille Mathieu - Une Passerelle





◎◎[개별논의] ❋추가참조









★1★






◆vywd1148


◈Lab value 불기2565/03/13/토/21:52


○ 2019_1004_144149_can_BW17.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Ernst-Ludwig-Kirchner-nudes-in-a-meadow
[#M_▶더보기|◀접기|
Artist: Ernst-Ludwig-Kirchner
https://en.wikipedia.org/wiki/Ernst_Ludwig_Kirchner
Title : nudes-in-a-meadow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18_0418_123601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ârzănești ,Romania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https://buddhism007.tistory.com/5458




○ 음악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us0fl--Jane Birkin - My Secret.lrc


Jane Birkin - My Secret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3/dignaga.html#1148
sfx--dict/진나.txt
sfd8--불교용어dic_2565_03.txt ☞◆vywd1148
불기2565-03-13
θθ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용어퀴즈 다음 설명에 맞는 답을 찾으시오.

■ 용어 퀴즈
온갖 마음에 두루 통하여 일어나지 않고, 각각 다른 경계에 대하여 일어나는 심소. 예를 들면 즐거운 경계를 만나면 욕(欲)의 심소가 일어나고, 결정을 필요로 하는 대경을 만나면 승해(勝解)의 심소가 일어나는 것과 같은 것. 이 별경심소에는 욕(欲)ㆍ승해(勝解)ㆍ염(念)ㆍ정(定)ㆍ혜(慧)의 5종이 있음 . ⇒<유사어>오별경<참조어>오별경(五別境)
↔ 변행심소.

답 후보
● 별경심소(別境心所)
보광천자(寶光天子)
보리수(菩提樹)

보살도(菩薩道)
보시(布施)
보장(寶藏)
보현삼매(普賢三昧)

■ 음악
Serge Reggiani - L'armee Du Brouillard
Mireille Mathieu - Une Passerelle
Aldebert - A Petit Feu
Zizi Jeanmaire - A Paris Dans Chaque Faubourg
Les Charlots - Le Pauvre Mec
Robert Charlebois - Insomnie
Michel Delpech - Etre Un Saint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Vajra
[san-chn] dharma-paryeṣaka 求正法
[san-eng] nirodha $ 범어 control or restraint
[pali-chn] vassikī 拔師
[pal-eng] sambhaara $ 팔리어 m.materials; requisite ingredients; accumulation; a heap.
[Eng-Ch-Eng] 一行三昧 One-practice sama^dhi. A sama^dhi of perfect unity of body and mind in all activities (ekavyu^ha-sama^dhi). 〔文殊師利說摩訶般若波羅蜜經、 起信論 T 1666.32.5〕
[Muller-jpn-Eng] 八十種好 ハチジッシュゴウ (term) eighty minor marks
[Glossary_of_Buddhism-Eng] UNCREATED☞
See: Unconditioned Dharmas.

[fra-eng] reflètant $ 불어 reflecting


■ 암산퀴즈


179* 590
200880 / 558


■ 다라니퀴즈

자비주 72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72 번째는?




72
아난이 다시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이 보살 마하살은
다시 어떤 이름이 있으며
이와 같은 큰 다라니를
잘 수행하시고 잘 설하신 이래
또 얼마나 오랜 겁을 지나셨나이까.
오직 원하옵건대 세존이시여
이 보살의 명호와
겁의 수효와 장단과
또 무슨 선근을 성취하셨기에
이와 같은 큰 다라니(陀羅尼)를 잘 설하실 수 있는지
설하여주십시오. "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 보살의 명호는
관세자재(觀世自在)이며
일명 견색(羂索)이며
또한 천광안(千光眼)이니라.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이 관세자재보살은 불가사의한 위신력이 있으니
이미 과거무량무수한 아승기겁 전에
성불하였으니
명호는 정법명여래(正法明如來)니라.
대비원력으로
일체 중생을 성숙시키고
안락을 얻게 하고자 하는 까닭에
보살의 형상을 나타내셨느니라.
이 보살의 명호도
듣기 어려운데
어찌 뵐 수 있겠느냐.
● 마바리승갈라야 摩婆唎勝羯囉夜<七十二> ma va ri śaṅ ka ya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72
보다바미다라
布哆鉢尾怛囉<七十二二合>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72일째]
기대정진불가설 $ 072▲窣步羅窣步羅為 一 ● 泥羅, ○□□□□,其,不,不,一

□□□□□□□, 其心過去不可說,
不退轉心不可說, 不傾動心不可說,
□□□□□□□, 기심과거불가설,
불퇴전심불가설, 불경동심불가설,

큰 정진 일으킴을 말할 수 없고
그 마음 지나간 일 말할 수 없고
물러나지 않는 마음 말할 수 없고
흔들리지 않는 마음 말할 수 없고



[73째]
일체정장불가설 $ 073▲泥羅泥羅為 一 ● 計羅, ○□□□□,觀,寂,了,智

□□□□□□□, 觀察諸法不可說,
寂然在定不可說, 了達諸禪不可說,
□□□□□□□, 관찰제법불가설,
적연재정불가설, 료달제선불가설,

갖가지 선정의 광 말할 수 없고
모든 법 관찰함도 말할 수 없고
고요히 정에 있음 말할 수 없고
모든 선정 통달함을 말할 수 없고





●K1464_T0010.txt★ ∴≪A불설백의금당이바라문연기경≫_≪K1464≫_≪T0010≫
●K0932_T1467.txt★ ∴≪A불설범계죄보경중경≫_≪K0932≫_≪T1467≫
●K0879_T0521.txt★ ∴≪A불설범마난국왕경≫_≪K0879≫_≪T0521≫

법수_암기방안


72 소지첫마디 = 손 허리뼈 / (=-매타카펄 metacarpal )
73 소지 (~새끼)
72 소지첫마디 = 손 허리뼈 / (=-매타카펄 metacarpal )
72 소지첫마디 = 손 허리뼈 / (=-매타카펄 metacarpal )

105610
360

○ 2020_0606_181443_can_ct27


○ 2020_0606_181235_can_ct27


○ 2020_0606_174300_can_ar20


○ 2020_0606_174237_can_bw17


○ 2020_0525_171455_can_ar8


○ 2020_0525_162802_nik_ct27


○ 2018_0419_143333_can_ct27


○ 2018_0419_141030_can_exc


○ 2018_0419_140710_can_ar45


○ 2018_0419_140551_can_ar45


○ 2018_0419_134802_can_ct27


○ 2018_0419_134726_can_ar45


○ 2018_0419_124833_can_ct27


○ 2018_0419_123716_can_ar45


○ 2018_0418_122410_can_ab22


○ 2016_1008_142030_nik_ar45


○ 2016_1008_141808_nik_ab3

● [pt op tr] fr
_M#]


○ 2016_1008_141817_nik_ct27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tistory.com/5857








○ [pt op tr]
● 진나 [문서정보]- 불교용어풀이 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진나dignaga,陳那,동수(童授),대역룡(大域龍),역룡(域龍),디그나가,마하디그나가,dignāga, diṅnāga,phyogs (kyi) glang (po),dignaga,인명정리문론(因明正理門論),장중론(掌中論),관소연연론(觀所緣緣論),관총상론송(觀惣相論頌),무상사진론(無相思塵論),신인명(新因明),삼분설(三分說),3지작법,이량설(二量説),,유상유식파(有相唯識派),


[링크용타이틀]
진나,대역룡,역룡,동수,디그나가,마하디그나가

■ 본 페이지 ID 정보
DICT--진나

https://buddhism007.tistory.com/14816
sfx--dict/진나.txt
sfd8--불교용어dic_2565_03.txt ☞◆vywd1148
불기2565-03-13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2274348209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3/dignaga.html
htmback--진나_불기2565-03-13-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