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3년 6월 19일 월요일

불기2567-06-18_중사분아비담심론-k0950-011


『중사분아비담심론』
K0950
T1541

제11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중사분아비담심론』 ♣0950-011♧




제11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6_093351_nik_fix


○ 2019_1106_152210_nik_exc_s12


○ 2019_1106_160444_nik_exc_s12


○ 2019_1106_160513_nik_fix


○ 2019_1105_171836_nik_exc_s12


○ 2019_1106_114927_can_exc_s12


○ 2019_1106_153644_can_fix


○ 2019_1105_165252_can_exc


○ 2019_1201_152234_can_exc


○ 2019_1201_164121_nik_fix


○ 2020_0211_134502_can_exc


○ 2020_0907_135040_can_ori_rs


○ 2020_0909_161831_can_ori_rs


○ 2020_0910_132605_nik_ori_rs


○ 2020_1017_153043_can_exc


○ 2020_1017_160314_can_exc_s12


○ 2020_1017_151836_can_ori_rs


○ 2018_1022_170014_can_exc


○ 2018_1022_171021_can_ori

● [pt op tr] fr
_M#]



○ 2018_1024_163837_nik_exc



❋❋본문 ◎[개별논의]

★%★
『중사분아비담심론』 ♣0950-011♧






◎◎[개별논의] ❋본문









★1★





◆vadj1299

◈Lab value 불기2567/06/18


○ 2020_0908_172849_can_bw5.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John Singer Sargent-elizabeth-sprague-coolidge-1923
[#M_▶더보기|◀접기|

Artist: John Singer Sargent
from https://en.wikipedia.org/wiki/John_Singer_Sargent
Title : elizabeth-sprague-coolidge-1923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20_0606_181052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Acme_band
[#M_▶더보기|◀접기|
English: A scene from the Galway Arts Festival 2007
Source Transferred from en.wikipedia to Commons by Peter Clarke using Author Peter Clarke at English Wikipedia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Tonga ,Neiafu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Aldebert - Jaloux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3/06/2567-06-18-k0950-011.html#1299
sfed--중사분아비담심론_K0950_T1541.txt ☞제11권
sfd8--불교단상_2567_06.txt ☞◆vadj1299
불기2567-06-18
θθ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인명(因明)의 사유(似喩) 10과(過) 중에서 동유(同喩) 5과의 하나. 3지(支) 중의 유(喩)에서 동유는 인(因)을 조성(助成)하여 종(宗)의 뜻을 명료하게 단정하여야 하는 것인데, 이제 종과는 관계가 있으나 인[能立]과는 관계가 없는 경우를 말함. 이를테면, “A는 한국 사람이다”[宗] “서울 사람이므로”[因] “시골 사람과 같다”[同喩]고 하는 것과 같이, 동유로서의 시골 사람이 종에는 관계가 있으나, 인에는 관계가 없으므로 능립법 불성의 허물이 있다.

답 후보
● 능립법불성과(能立法不成過)
능작인(能作因)
니승(尼僧)
다문부(多聞部)

다생(多生)
단공삼매(但空三昧)
단상이견(斷常二見)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Serge Reggiani - L'arriere Saison
Marie Myriam - Au Royaume Du Bonhomme Hiver (Winter Wonderland)
Serge Gainsbourg - Intoxicated Man
Jeanne Moreau - L'homme D'amour
Georges Brassens - Hecatombe
Mireille Mathieu - Wann Kommst Du Wieder
Mireille Mathieu - L'autr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夕 ■ ( 저녁 석 / 사람 이름 역, 한 움큼 샤 )
013▲ 彡上夕小尸 ■ 삼상석소시 13ㅡ 털 위의 세계에도 밤이 작게 있고 주검도 있다. ( 터럭 삼 / 성씨 섬 )( 윗 상 )( 저녁 석 / 사람 이름 역, 한 움큼 샤 )( 작을 소 )( 주검 시 )
039▲ 末皿矛母目 ■ 말명모모목 39 ( 끝 말 )(그릇 명 )( 창 모 )(어머니 모 / 없을 무 )(눈 목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Store consciousness
[san-chn] abhyūhanā 推度
[san-eng] dūradarśakam.h $ 범어 (n) telescope
[pali-chn] bhava-agga 有頂
[pal-eng] adutiya $ 팔리어 adj.without a companion.
[Eng-Ch-Eng] 二十唯識論 The Vim/satika^-/sa^stra. Written by Vasubandhu 世親, translated by Hsuan-tsang 玄奘 and Parama^rtha 真諦. Twenty verses defending Yoga^ca^ra doctrine against its critics. Also written Weishiershilun 唯識二十論.
[Muller-jpn-Eng] 串習 ゲンシュウ (term) habituate
[Glossary_of_Buddhism-Eng] LIBERATION IN ONE LIFETIME☞
See also: Rebirth in the Pure Land.
“In this Dharma-Ending Age, if we practice other methods without following Pure Land at the same time, it is difficult to attain
emancipation in this very lifetime. If emancipation is not achieved in
this lifetime, deluded as we are on the path of Birth and Death, all
of our crucial vows will become empty thoughts. This is a cardinal
point which the cultivator should keep in mind. Those practitioners
who follow other schools, stressing only self-help and a firm, neverchanging mind, believe that we should just pursue our cultivation
life after life. Even if we do not achieve emancipation in this life, we

shall certainly do so in a future lifetime. However, there is one thing
we should consider: Do we have any firm assurances that in the
next lifetime, we will continue cultivating? For, if we have not yet
attained Enlightenment, we are bound to be deluded upon rebirth,
easily forgetting the vow to cultivate which we made in our previous
lifetimes. Moreover, in this world, conditions favoring progress in the
Way are few, while the opportunities for retrogression are many. How
many monks and nuns have failed to pursue their cultivation upon
rebirth…? The sutras state: ‘Even Bodhisattvas are deluded in the
bardo stage, even Sravakas are deluded at birth.’ … In the interval
between the end of this current life and the beginning of the next life,
even Bodhisattvas are subject to delusion, if they have not yet attained
[a high degree of] Enlightenment. Another passage in the sutras
states: ‘Common mortals are confused and deluded when they enter
the womb, reside in the womb, and exit from the womb. Celestial
kings, thanks to their merits, are awake upon entering the womb, but
are confused and deluded when residing in or exiting from the womb.
Sravakas are awake when they enter and reside in the womb; however, they are confused and deluded when they exit from the womb.
Only those Bodhisattvas who have attained the Tolerance of NonBirth are always awake – entering, residing in, and exiting from the
womb.’ In a few instances, ordinary people, because of special karmic
conditions, are able to remember their previous lives, but these are
very rare occurrences. Or else, they could be Bodhisattvas who took
human form in order to demonstrate the existence of transmigration
to sentient beings. Otherwise, all sentient beings are deluded when
they pass from one life to another. When they are in such a state, all
their knowledge of the Dharma and their great vows from previous
lives are hidden by delusion and often forgotten. This author recalls
the story of a Dharma colleague. In his youth, each time he happened
to be dreaming, he would see himself floating freely, high up in the
air, travelling everywhere. As he grew older, he could only float lower

and lower, until he could no longer float at all. In the commentary
Guide to Buddhism, there is the story of a layman who, at the age of
four or five, could see everything by night as clearly as in the daytime.
As the years went by, this faculty diminished. From the age of ten
onward, he could no longer see in the dark, except that from time to
time, if he happened to wake up in the middle of the night, he might
see clearly for a few seconds. After his seventeenth birthday, he could
experience this special faculty only once every two or three years;
however, his special sight would be merely a flash before dying out.
Such persons had cultivated in their previous lives. However, when
they were reborn on this earth they became deluded, and then, as
their attachments grew deeper, their special faculties diminished.
There are similar cases of persons who can see everything clearly for
a few dozen miles around them. Others can see things underground,
through walls, or in people’s pockets.
However, if they do not pursue cultivation, their special faculties diminish with time and, in the end, they become just like everyone else.
Some persons, having read a book once, can close it and recite every
line without a single mistake. Others have a special gift for poetry, so
that whatever they say or write turns poetic. However, if they do not
pursue cultivation, they sometimes end by rejecting the Dharma. An
eminent Master once commented that such persons had practiced
meditation in their previous lives to a rather high level and reached a
certain degree of attainment. However, following the Zen tradition,
they sought only immediate awakening to the True Nature, severing
attachment to the concepts of Buddha and Dharma (i.e., letting the
mind be empty, recognizing no Buddha and no Dharma). Therefore,
those who failed to attain Enlightenment were bound to undergo
rebirth in the Triple Realm, whereupon, relying on their mundane
intelligence, they sometimes became critical of Buddhism. Even true
cultivators in the past were thus; how would today’s practitioners
fare compared to them? As Buddha Sakyamuni predicted, ‘In the

Dharma-Ending Age, cultivators are numerous, but those who can
achieve Supreme Enlightenment are few.’ And, not having achieved
it, even with bad karma as light as a fine silk thread, they are subject
to Birth and Death. Although there may be a few cultivators who
have awakened to the Way, being awakened is different from attaining Supreme Enlightenment. During rebirth, they are bound to be
deluded and unfree. In subsequent lifetimes, there may be few conditions for progress and many opportunities for retrogression, making it
difficult to preserve the vow of liberation intact.”
Tam: 49-52

[fra-eng] invalidons $ 불어 invalidate


■ 암산퀴즈


345* 998
59200 / 185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39 번째는?
자비주 13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61 번째는?




39 훌륭한 힘을 증장시켰으며,
타우로, 託齲盧<三十九>
thakkura
(~!~) 현세의 왕이시여! 지옥과 불에 떨어진 이들을 보호하고 보호 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13
제가 그때 처음에는
초지(初地: 보살 수행단계의 십지 중 첫 단계)에 머물러 있다가
한 번 이 주문을 듣고는 제 8 지(八地)에 뛰어 올랐습니다.
● 혀리마발다사미(혜리마발다사미) 醯唎摩皤哆沙咩<十三 >he ri ma va dha ṣa me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61
바리 마뉴- 날- 사 냐-
必哩<二合>麽抳喩捺哩舍<二合>你野<六十一>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69일째]
청정실상불가설 $ 040■ ■清 於於不念於 一以此於虛
040▲ 伺察伺察為 一 ● 周廣, ○□□□□,說,於,演,於

□□□□□□□, 說修多羅不可說,
於彼一一修多羅, 演說法門不可說;
□□□□□□□, 설수다라불가설,
어피일일수다라, 연설법문불가설;

清淨實相不可說,
청정하온 실상을 말할 수 없고
말씀하신 수다라 말할 수 없고
저러한 하나하나 수다라에
연설하신 법문도 말할 수 없어



[171째]
어피일일결정중 $ 042▲高出高出為 一 ● 最妙, ○□□□□,調,不,不,不

□□□□□□□, 調伏眾生不可說。
不可言說同類法, 不可言說同類心,
□□□□□□□, 조복중생불가설。
불가언설동류법, 불가언설동류심,

於彼一一決定中,
하나하나 결정한 저 뜻 가운데
중생을 조복함도 말할 수 없고
같은 종류 법들을 말할 수 없고
같은 종류 마음을 말할 수 없어





●K0663_T0196.txt★ ∴≪A중본기경≫_≪K0663≫_≪T0196≫
●K0950_T1541.txt★ ∴≪A중사분아비담심론≫_≪K0950≫_≪T1541≫
●K0648_T0026.txt★ ∴≪A중아함경≫_≪K0648≫_≪T0026≫

■요가자세 익히기
서서 상체 비틀기

344310
320
법수_암기방안


42 발 옆면 foot side
39 아킬래스건 Achilles tendon
13 노뼈 [radius]

61 액와(腋窩) ~ 겨드랑이
40 중앙 발가락 [신조어 ] center part (middle) toe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7_0620_011023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7) 후진전역불경록(後秦傳譯佛經錄)



패주(霸主)가 왕통을 계승할 때는 사방으로 이익을 보여야 하며,
사방 각각에 벼슬아치[司存]를 둔다.
정삭(正朔)48)이 바뀌는 시점에서 나라가 오래 갈 것인가를 안다.
그래서 시대를 따라서 왕노릇하며 오랑캐나 중국을 모두 통괄한다.
옛날의 역사를 참고하여 쫓아 계승해야 한다.
후진(後秦)의 요장(姚萇)은 서쪽 오랑캐인 강족(羌族)이다.
부견에게 정벌을 당해 이를 갈며 원한을 키워 오다가 드디어 옹관(雍關)에 도읍을 하고 장안(長安)을 상안(常安)으로 개명했다.49)즉위한 지 8년에 부견이 귀병(鬼兵)을 이끌고 대낮에 궁궐로 들어와 그의 음부를 잘랐는데,
피가 한 섬이나 났다고 한다.
맺힌 원한은 없애기가 어렵고 그것을 푸는 실마리 또한 찾기 힘들구나.
요장이 죽자(393) 그의 아들 요흥(姚興)이 즉위하였다.
홍시(弘始) 3년(401) 봄에 이르러 묘당[廟庭]에 있는 나무가 서로 연이어서 가지가 나란히 났고,
소요원(逍遙園)에서는 푸성귀[葱]가 변해서 염교[薤]50)가 되었다.
모든 사람들이 상서로운 일이니 마땅히 지혜 있는 분이 입국할 조짐이라고 했다.
겨울에 구마라집이 옹주(雍州:後秦)에 도착했다.
요흥이 예를 갖추어서 국사(國師)로서 대우하였는데 숭상함이 매우 융숭했다.
그는 불교 경론을 크게 선양하였고 중국의 역경은 이 왕조에서 성대해졌다.
그러자 사방의 사문이 구름처럼 몰려들었다.
앞서 장안은 전한(前漢)이 망한 이후로 부진(苻秦)이 흥기할 때까지 331년 동안 도시는 황량해지고 백성들의 풍속은 황폐했다.
비록 몇몇 가람이 있었지만 귀의하는 신도는 드물었다.
3천의 덕 있는 승려들이 한 곳에 함께 모여서 요진(姚秦)의 임금이 공양하는 것을 받았다.
일반적으로는 대사(大寺)라고 하지만 본래 명칭은 아니었다.
그 대사 중앙에 당 하나를 조성했는데,
임시로 풀로써 지붕을 올렸다.
그곳과 소요원,
두 곳에서 번역이 이루어졌다.
법보가 멀리까지 유포될 상서로운 단서가 이와 같았다.
그리고 승관(僧官)을 설치하여 시중(侍中)에 해당하는 녹봉을 지불했다.
양도(兩都)51)를 설치하고 오부(五部)의 승려를 관리하니 승소현(僧昭玄)52)의 발생이 여기서부터 시작됐다.
북위(北魏) 말에서 북주(北周) 초에 도로가 더욱 정비되었는데,
대사(大寺)는 이것 때문에 네 개의 가람이 조성되었다.
초당(草堂)의 본래 이름은 일사(一寺)이고,
초당(草堂)의 동쪽에 상주사(常住寺)가 있고,
상주사 남쪽에 경조왕사(京兆王寺)가 있었다.
경조왕사는 그뒤 안정국사(安定國寺)로 고쳤고,
안정국사 서쪽이 대승사(大乘寺)였다.
안정국사 주변 좌우에는 천가동반(天街東畔)이 있었으며,
여덟 귀퉁이에 큰 우물이 있었다.
옛날 대사의 동쪽 주방이었으며,
3천 명의 승려를 공양했던 감로의 샘이었다.
자신과 아들 손자 세 임금 32년 만에 동진(東晉)에게 멸망당했다.
요장(姚萇)이 개원한 건초(建草) 원년 병술년(389),
즉 진(晉) 태원(太元) 11년에 시작해서 요홍(姚泓) 영화(永和) 2년 병신년(416),
즉 진(晉) 안제(安帝) 의희(義熙) 12년에 마감했다.
몸은 건강(建康)에서 죽고 나라는 원위(元魏)에 복속됐다.
전역(傳譯)한 사문은 모두 8명이었고,
번역한 경(經)ㆍ율(律)ㆍ계(戒)ㆍ논(論)은 124부 도합 665권으로 후진 요씨 시대의 전역 목록으로 삼는다.



출전:
한글대장경 K1057_T2149
대당내전록(大唐內典錄) 당 도선찬
大唐內典錄 【唐 道宣撰】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 2017_0128_150910_can_ar26


○ 2019_1106_114359_can_ct19_s12


○ 2019_1106_130651_can_BW25


○ 2019_1106_170127_can_bw24_s12


○ 2019_1004_151028_can_ct1


○ 2019_1004_152135_can_Ar26


○ 2019_1004_171334_can_CT38


○ 2019_1004_160027_can_bw1


○ 2019_1004_144725_can_ar47


○ 2019_1201_152237_can_ar31_s12


○ 2020_0430_131944_can_ab12


○ 2020_0904_132449_can_AB7


○ 2020_1114_155016_can_BW25_s12


○ 2019_0801_111552_nik_BW22


○ 2020_1125_131351_nik_AB7_s12


○ 2021_1007_141421_can_Ab27_pc부안_능가산_내소사


○ 2021_1006_105903_nik_bw24해남_봉화산_대흥사


○ 2021_1006_103313_nik_exc_s12해남_봉화산_대흥사


○ 2022_1108_150403_can_exc인천_차이나타운

● [pt op tr] fr
_M#]



○ 2020_1114_140927_can_ct18_s12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중사분아비담심론_K0950_T1541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중사분아비담심론』 ♣0950-011♧
[관련키워드]
제11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7-06-18_중사분아비담심론-K0950-011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3/06/2567-06-18-k0950-011.html
sfed--중사분아비담심론_K0950_T1541.txt ☞제11권
sfd8--불교단상_2567_06.txt ☞◆vadj1299
불기2567-06-18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133437072
https://buddhism007.tistory.com/18259
htmback--불기2567-06-18_중사분아비담심론_K0950_T1541-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