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3년 6월 19일 월요일

불기2567-06-19_성실론-k0966-011


『성실론』
K0966
T1646

제1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성실론』 ♣0966-001♧




제1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6_104610_nik_CT38_s12


○ 2019_1106_114709_can_ct19_s12


○ 2019_1105_125549_can_Ab27


○ 2019_1201_160539_can_CT38_s12


○ 2020_0905_135648_nik_ar7


○ 2020_0905_165334_nik_ori_rs


○ 2020_0907_144427_can_bw5


○ 2020_0910_184613_nik_CT27


○ 2020_0930_142032_can_ct25


○ 2020_1002_114829_nik_CT38_s12


○ 2020_1002_121955_can_BW25


○ 2020_1017_150246_nik_CT38_s12


○ 2018_1022_170109_can_bw4_s12


○ 2019_0106_152512_nik_CT33_s12


○ 2019_0106_180024_can_ct18_s12


○ 2020_1114_143511_can_Ab31


○ 2019_1104_121746_can_ar38


○ 2019_1104_170750_can_BW25


○ 2019_1104_173204_nik_ar17_s12

● [pt op tr] fr
_M#]



○ 2020_0911_122234_nik_BW28



❋❋본문 ◎[개별논의]

★%★
『성실론』 ♣0966-001♧






◎◎[개별논의] ❋본문









★1★





◆vboq2351

◈Lab value 불기2567/06/17


○ 2019_1004_131756_nik_ar7.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John Singer Sargent-reflections-rocks-and-water
[#M_▶더보기|◀접기|
Artist: John Singer Sargent
from https://en.wikipedia.org/wiki/John_Singer_Sargent
Title : reflections-rocks-and-water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16_1008_131854_nik.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Cliffs_CtyMayo_IRE
[#M_▶더보기|◀접기|
Cliffs along the Atlantic coastline of County Mayo, near Ballycastle, Ireland
Author Phil Armitage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Benalmádena Stupa, Spain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htttp://buddhism007.tistory.com/5689




Serge Reggiani - Gladys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3/06/2567-06-17-k0966-001.html#2351
sfed--성실론_K0966_T1646.txt ☞제1권
sfd8--불교단상_2567_06.txt ☞◆vboq2351
불기2567-06-17
θθ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k0966-011
 진언종(眞言宗)을 말함.

답 후보
● 유가밀종(瑜伽密宗)
유대촉(有對觸)

유루선(有漏禪)
유리왕(瑠璃王)
유무사견(有無邪見)
유부무기(有覆無記)
유순인(柔順忍)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Sacha Distel - Scandale Dans La Famille
Michel Sardou - Concorde
Pierre Bachelet - J'les Oublierai Pas
France Gall - Ella Elle L'a
France Gall - Amor Tambien
Charles Aznavour - J'ai Vecu
Lucienne Boyer - Mon Coeur Est Un Violon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凡 ■ ( 무릇 범 )
012▲ 宀凡士巳三 ■ 면범사사삼 12ㅡ 집에서 평범한 선비가 머물면 뱀과 같은 지혜가 3개나 생겨난다. ( 집 면 [사방이 지붕으로 덮어 씌워져 있는 집] 갓머리( 부수( 部首)의 하나) )( 무릇 범 )( 선비 사 )( 뱀 사 )( 석 삼 )
038▲ 句丘冬令立 ■ 구구동령립 38 ( 글귀 구/ 올가미 구, 글귀 귀 ) ( 언덕 구 )( 겨울 동 / 북소리 동) ( 하여금 령 / 영) (설 립 / 입, 자리 위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Buddhism in South Asia
[san-chn] kritya 所作
[san-eng] prajānāti $ 범어 knows
[pali-chn] santa-vimokkha 寂寂解脫
[pal-eng] thaavara $ 팔리어 adj.immovable; long-lasting.
[Eng-Ch-Eng] three categories 三科
[Muller-jpn-Eng] 守常 シュジョウ to maintain eternal principles
[Glossary_of_Buddhism-Eng] HONEN☞
Syn: Genku.
See also: Jodo school; Pure Land Buddhism (Summary); Pure Land
School.

“Honen Shonin (1133-1212), also called Genku established in 1175
the Jodo or ‘Pure Land’ school in Japan. He was born in Mimasaka
Province and at the age of nine became a disciple of Kankaku at
Zendai-ji temple. At fifteen, he entered Mt. Hiei and studied the
teachings of the Tendai school. At the age of eighteen, he moved to
Kurodani on Mt. Hiei where he studied Pure Land teachings. He left
Kurodani on one occasion to study the doctrines of the other schools,
and on his return he read through the Tripitaka. He is said to have
reached an awakening in 1175 on reading Shan-tao’s Meditation Sutra,
and thereafter dedicated himself solely to the chanting of Amida
Buddha’s name. The founding of the Jodo school is dated from this
event.”
Sokk: 164-165
“At age forty-three he became concerned that practitioners were not
able to achieve enlightenment through the Tendai path, and turned
to the Pure Land teachings of Shan-tao and Genshin, convinced
that reliance on Amitabha Buddha was the certain path to salvation. Honen’s writings on the Pure Land were seized and burned,
but he continued to preach his Pure Land message of the repetition
of Amida’s name in the formula of the Nembutsu to all listeners. In
1206 Honen was exiled by his rivals, returning to Kyoto in 1211, only
a year prior to his death.”
Preb: 140
“His fundamental tenet was belief in the power and grace of Amitabha,
lord of Sukhavati (the Western paradise). He advocated repeated invocation of Amitabha’s name, by which anyone, ignorant or wise, high
or low, could be saved. His teachings were based on that of master
Hui Yuan, the Chinese founder of the Pure Land school.”
Ling: 137-138
(I) Honen’s Death
See the following passage on the last moments of Honen:
“At the hour of the serpent (10 a.m.), on the day of his death, his dis-
ciples brought him an image of Amida, three feet high, and as they
put it on the right side of his bed, asked him if he could see it. With
his finger pointing to the sky he said, “There is another Buddha here
besides this one. Do you not see him?” Then he went on to say, “As
a result of the merit of repeating the sacred name, I have, for over ten
years past, continually been gazing on the glory of the Pure Land,
and the very forms of the Buddhas and Bodhisattvas, but I have kept
it secret and said nothing about it. Now, however, as I draw near the
end, I disclose it to you.” The disciples then took a piece of cord made
of five-colored strands, fastened it to the hand of the Buddha’s image,
and asked Honen to take hold of it.” (Rev. Harper Havelock Coates
and Rev. Ryugaku Ishizuka, tr., Honen, the Buddhist Saint: His Life
and Teaching, p.636.)
(II) Honen’s Thoughts
“A. Question 1: Is it possible for a man to enter the Pure Land simply
by concentration of mind and the repetition of the nembutsu, and doing nothing else, even though his heart undergoes no change? Answer:
It is the rule with common men for their hearts to be in a state of
confusion and it cannot be helped. The only thing is that if men do
concentrate their minds upon Amida, and call upon his name, their
sin will be destroyed, and they will attain rebirth in the Pure Land.
Even sins more grievous than that of mental confusion disappear, if
men practice the nembutsu.
B. Question 2: Even if we do not fix the number of times for repeating the nembutsu as our daily task, is it not all right to do it as often
as one can? Answer: It is better to fix the number, lest you yield to
laziness.
C. Question 3: Ought we to practice the nembutsu after eating leeks,
onions or meat, while the scent of them still remains in the mouth?
Answer: There is nothing whatever in the world that should interfere
with the practice of the nembutsu. [For need to avoid leeks and onions
as much as possible, however, see “Herbs (Pungent).”]

D. Question 4: How many repetitions of the sacred name should one
regard as a day’s work? Answer: Well, the number of nembutsu repetitions may begin with ten thousand, and then go on to twenty, thirty,
fifty, sixty or even a hundred thousand. Everyone should in his own
heart and according to his own will, determine the number within
these limits.
E. Question 5: Even if one does not see a Buddha, or fasten a cord
from one’s hand to the Buddha’s, or even call upon the sacred name
oneself, is it possible to be born into the Pure Land at death merely by
listening to others repeating the nembutsu? Answer: It is not always
necessary to fasten the cord to one’s hands, nor to meet the Buddha
face to face, but by means of the nembutsu alone, one can attain
rebirth in the Pure Land. And so long as one has a very utterly deep
faith, it is enough to listen to other men’s repetitions of the nembutsu.
F. Question 6: Though one may wish to be eternally free from the
experience of birth and death, and never to be born again into this
Three-fold World, is it true as some say, that, even after one has been
reborn in the Land of Perfect Bliss, the karma which has brought one
there [ultimately] loses its efficacy, so that one may be reborn again
here into the Three-fold World? Now I have no wish to be so reborn,
even though I might be born a king, or born into the so-called heavenly world above. My one wish is to get entirely free from this world,
and never return here, and so to this end what should I do? Answer:
Such ideas are entirely wrong. If one is once born into the Land of
Bliss, one will never return to this world, but every such one will attain
Buddhahood. Only in case one wishes to come back to save others, he
may indeed do so, but by so doing, he [is not in fact within the cycle]
of birth and death. There is nothing better than the practice of the
nembutsu to get safely out of this Three-fold World and be born into
the Land of Perfect Bliss. So you ought to practice it most diligently.
G. Question 7: When one is about to die, is it enough, in order to
attain rebirth in the Pure Land, to repeat the nembutsu as one ordi-

narily does, without calling a religious adviser? Answer: Even though
no religious adviser comes in, and one is not able to die as painlessly
as he desires, he will attain rebirth in the Pure Land if only he repeats
the nembutsu [with One-pointedness of Mind].
H. Question 8: When evil thoughts will keep arising within the mind,
what ought one do? Answer: The only thing to do is to repeat the
nembutsu.
I. Question 9: Is it all right to make up on one day for religious duties
that were neglected on another day? And may one store up merit now,
so as to be forehanded for the future? Answer: It is all right to make
up for past losses. But to be laying up for the future (forgetting the
present) would tend to laziness.”
Lu: 129 #0094
See also “Special Teaching” and Pure Land Buddhism (Summary).”

[fra-eng] propitiation $ 불어 conciliation, reconciliation


■ 암산퀴즈


634* 395
525780 / 762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38 번째는?
자비주 12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60 번째는?




38 기쁨․즐거움․재물․보배 등을 증장시키고,
타계, 託契<三十八>
takki
(이하~) 현세의 왕이시여! 지옥과 불에 떨어진 이들을 보호하고 보호 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12
관세음보살께서 거듭 부처님께 사루어
말씀하시되,
"세존이시여,
제가 기억하기를,
과거 무량 억겁 전에
한 부처님께서 세상에 나오셨으니
명호는 천광왕정주(天光王靜住)
여래(如來) 응정등각(應正等覺) 명행원만(明行圓滿)이시라.
이 부처님께서
저를 어여삐 생각하시고
또한 일체 중생을 위하는 까닭에
이 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廣大圓滿無碍大悲心陀羅尼)를 설하시고
금색 손으로써 저의 이마를 만지시며 이렇게 말씀하시되
"선남자야,
너는 마땅히 이 대비심주문을 가지고
널리 미래 나쁜 세상에
악한 죄업이 무거운
일체중생을 위하여
큰 이익을 지어주라 하셨습니다.
● 나모나라근타(나모나라근지) 南無那羅謹墀<十二> na mo na ra ki dhi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60
마라 하마 암비라사바 라하리 나암아마
沒囉<二合>憾摩<二合>儼鼻囉濕嚩<二合>囉賀哩<二合>那焰誐摩<六十>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68일째]
소유신통불가설 $ 039▲奚婆羅奚婆羅為 一 ● 伺察, ○□□□□,所,所,所,清

□□□□□□□, 所有境界不可說,
所有加持不可說, 所住世間不可說。
□□□□□□□, 소유경계불가설,
소유가지불가설, 소주세간불가설。

所有神通不可說,
갖고 있는 신통을 말할 수 없고
갖고 있는 경계도 말할 수 없고
갖고 있는 가지함도 말할 수 없고
세간에 머무름도 말할 수 없어


[171째]
어피일일결정중 $ 042▲高出高出為 一 ● 最妙, ○□□□□,調,不,不,不

□□□□□□□, 調伏眾生不可說。
不可言說同類法, 不可言說同類心,
□□□□□□□, 조복중생불가설。
불가언설동류법, 불가언설동류심,

於彼一一決定中,
하나하나 결정한 저 뜻 가운데
중생을 조복함도 말할 수 없고
같은 종류 법들을 말할 수 없고
같은 종류 마음을 말할 수 없어





●K0045_T0341.txt★ ∴≪A성선주의천자소문경≫_≪K0045≫_≪T0341≫
●K0966_T1646.txt★ ∴≪A성실론≫_≪K0966≫_≪T1646≫
●K1351_T1214.txt★ ∴≪A성염만덕가위노왕입성대신험염송법≫_≪K1351≫_≪T1214≫

■요가자세 익히기
서서 앞으로 구부리기 [Uttanasana]

250430
690
법수_암기방안


42 발 옆면 foot side
38 정강이[Shin]
12 팔꿉 [elbow]

60 완수[腕首] - 손목
39 아킬래스건 Achilles tendon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7_0620_013155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용수는 뒤에 널리 중생을 위하여 뛰어난 눈[勝眼]을 유포하니 미묘한 공덕으로써 스스로를 장엄하였으며,
천성적으로 총명했고 기묘하게 깨달아 어떤 일을 다시 묻지 않았으며 법의 깃발을 세워 이교도를 항복 받았다.


이와 같은 공덕이 말로 일컬을 수 없지만 지금 사실에 따라 그 인연을 드러내겠다.

처음 태어난 곳은 남천축국 범지(梵志)의 종족으로 큰 부자이며 귀한 집이었다.
처음 태어날 때 나무 아래 있으면서 용을 말미암아 도를 증득했기 때문에 용수라고 불렸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재주와 학문이 세상을 뛰어넘었다.
본래 동자 시절 강보에 싸였을 때 모든 범지들이 외우는 네 가지 위타[四偉陀]12)를 들었는데 그 책은 크고 방대하여 게송이 사만 개였다.
게송 하나에 글자가 서른두 자로 채워져 있었지만 모두 다 밝게 깨치고 그 구절의 의미도 통달하였다.
약관에 이름이 사방으로 퍼졌고 모든 나라를 마음대로 다녔다.
천문(天文)과 지리(地理)와 성위(星緯)와 도참과 그 밖의 주술도 통틀어 익히지 아니한 것이 없었다.
세 명의 벗이 있었는데 타고난 기이한 수재들로서 서로 상의하였다.
“천하의 바른 도리는 신명(神明)을 깨달아 유지(幽旨)를 개발하고 지혜를 더 늘리는 것이다.
이러한 일을 우리들이 다 통달하였는데 다시 무슨 방법으로써 스스로 즐길 것인가?”
다시 이러한 말을 하였다.
“세간에서 오직 호색을 추구하는 것이 있을 뿐이니 감정을 좇아 색욕이 지극하면 이것이 일생에 최상의 쾌락이다.
그러나 범지의 도는 세력이 자재하지 아니하니 기이하고 영화롭지 못하다.
이 즐거움은 갖추기가 어려우니 함께 몸을 숨기는 약을 구하는 것이 좋겠다.
일이 만약 좋은 결과를 얻는다면 이 소원은 반드시 성취될 것이다.”
함께 말했다.
“좋구나.
이 말은 유쾌하구나.”
곧 술법하는 사람을 찾아가 몸을 숨기는 방법을 묻자 술법하는 사람이 생각하였다.
‘이 네 범지는 재주와 지혜가 높고 큰 교만심을 내어 모든 사람들을 지푸라기[草芥]와 같이 생각하는데 지금 술법 때문에 나를 찾아와 고개 숙이는 것이다.
이들은 연구하여 널리 통달하였고 모르는 것은 오직 이 천박한 술법뿐이다.
이 약방문을 주면 곧 영원히 나를 찾아오지 않을 것이다.
우선 약을 주면 약을 만드는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약이 다하면 오랫동안 반드시 와서 술사인 나에게 물을 것이다.’
곧 네 사람에게 파란 약 한 알씩을 주면서 말했다.
“그대들에게 준 이 약을 물로써 그것을 갈아 눈꺼풀에 바르면 모습이 반드시 스스로 숨겨질 것이다.”
곧 술사의 가르침을 받아 각각 그 약을 갈았다.
용수는 약의 향기를 맡고 곧 그것의 성분을 알았다.
즉,
재료의 많고 적은 무게까지 확실히 알았다.
돌아와 술사에게 그 약의 제원을 자세히 말하였다.
이 약에는 일흔 가지 재료가 필요하다는 것과 재료의 이름과 양과 수가 약방문과 같았다.
술사가 듣고 깜짝 놀라며 알게 된 연유를 물으니 용수가 대답하였다.
“대사야,
반드시 아시오.
일체 모든 약은 기분(氣分)이 있으니 이것을 인하여 그것을 아는 것이 무슨 괴이한 일입니까?”
술사가 그 말을 듣고 일찍이 없었던 일이라고 감탄하면서 이러한 생각을 하였다.
‘이러한 사람은 듣기도 어려운데 하물며 내가 직접 만났으니 이 술법을 아끼겠는가?’
곧 그 비법을 네 사람에게 빠짐없이 전수했고,
네 사람은 약방문에 의지해 화합하여 이 약을 만들어 그들의 몸을 숨기게 되자 나다니는 것이 자유롭게 되었다.

곧 같이 왕의 후궁에 들어가 궁중의 미인들을 다 침략(侵掠)하여 백여 일 뒤에 임신한 이들이 많았는데,
곧 왕에게 가서 말하니 허물을 면해 주었다.
그러나 왕은 이 사실을 듣고 몹시 마음이 상하였다.
이것은 어떻게 일어났는가?
상서롭지 못하고 괴이하도다.
이에 모든 지혜로운 신하들을 불러 그 일을 함께 의논하였다.
그때 한 신하가 임금에게 말했다.
“이 일은 두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첫째는 도깨비의 짓이며,
둘째는 방술(方術)하는 이의 짓입니다.
가는 흙을 모든 문 안에 뿌려 두고 사람들로 하여금 지키게 하고 왕래하지 못하게 하십시오.
만약 이들이 방술하는 자들이라면 발자국이 저절로 나타날 것이며,
가령 도깨비라면 들어와도 반드시 발자국이 없을 것입니다.
사람이라면 병사로써 제거하고 도깨비라면 주술로 쫓아 버리면 됩니다.”
왕이 그 계책대로 모든 준비를 했다.
과연 네 사람의 발자국이 문에서부터 흙에 나타나자 지키는 이들이 급히 왕에게 보고하였다.
왕이 용사 수백 사람을 데리고 와서 칼을 공중에 휘둘러 세 사람의 머리를 잘랐다.
왕의 주위 일곱 자 이내에는 칼질이 미치지 않았고,
용수는 몸을 거두어 왕을 의지해 서 있었다.
이때서야 비로소 애욕은 고통의 근본이며 패덕은 몸을 위태롭게 하고 범행을 더럽힌다는 것을 깨달았다.
곧 스스로 맹세하였다.
‘내가 만약 이 위기를 벗어난다면 반드시 사문들에게 나아가 출가하여 법을 받겠다.’
그곳을 벗어나서 산에 들어가 한 부처님의 탑 앞에 이르러 애욕을 여의고 출가하여 도를 배우기 시작한 지 구십 일 만에 염부제에 있는 경론(經論)을 모두 통달하고,
다시 다른 전적들을 찾았으나 도무지 얻을 데가 없었다.
드디어 설산(雪山)을 향하여 가다가 한 비구를 만나니 마하연(摩訶衍:大乘)을 용수에게 주니 읽고 외우며 좋아하며 공경히 공양 올렸다.
비록 진실한 뜻을 알기는 했으나 아직 도를 얻어 증득하지 못했다.
변재가 다함이 없고 언론에 능숙하여 외도와 다른 학문을 하는 사문이나 의사(義士)들을 모두 꺾어 항복 받으니 곧 청하여 사범(師範)을 삼았다.



출전:
한글대장경 K0990_T2058
부법장인연전(付法藏因緣傳) 원위 길가야공담요역
付法藏因緣傳 【元魏 吉迦夜共曇曜譯】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 2016_1008_141328_can


○ 2016_1008_150307_can


○ 2016_1008_150348_can


○ 2018_0418_181727_can


○ 2018_0419_125114_can


○ 2018_0419_132407_can


○ 2018_0419_134726_can


○ 2018_0419_135957_can


○ 2020_0525_165212_can


○ 2020_0525_165342_nik


○ 2020_0525_171943_can


○ 2020_0525_183919_nik


○ 2020_0525_190459_can


○ 2020_0606_132603_can


○ 2020_0606_134537_can


○ 2020_0606_174237_can


○ 2020_0606_193446_can

● [pt op tr] fr
_M#]



○ 2020_0606_181731_can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성실론_K0966_T1646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성실론』 ♣0966-001♧
[관련키워드]
제1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7-06-17_성실론-K0966-001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3/06/2567-06-17-k0966-001.html
sfed--성실론_K0966_T1646.txt ☞제1권
sfd8--불교단상_2567_06.txt ☞◆vboq2351
불기2567-06-17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133443996
https://buddhism007.tistory.com/18260
htmback--불기2567-06-17_성실론_K0966_T1646-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