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3년 10월 7일 토요일

불기2567-10-07_불설대방광선교방편경-k1424-003


『불설대방광선교방편경』
K1424
T0346

불설대방광선교방편경 제3권 /전체4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설대방광선교방편경』 ♣1424-003♧




불설대방광선교방편경 제3권 /전체4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6_124102_can_ar29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6_160256_can_ar4 화순 계당산 쌍봉사


○ 2019_1106_171945_can_ar21 화순 계당산 쌍봉사


○ 2019_1105_160219_can_ct9_s12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20_0904_135723_can_Ab27 원주 구룡사


○ 2020_0905_140345_nik_CT33 오대산 상원사


○ 2020_0906_120408_can_ar45 천축산 불영사


○ 2020_0908_151029_nik_bw24 합천 해인사


○ 2020_0908_153624_nik_ar33 합천 해인사


○ 2020_0909_142514_can_ar38 무주 백련사


○ 2020_0909_172852_can_bw24 무주 백련사


○ 2020_0910_161438_nik_CT27 속리산 법주사


○ 2020_1017_154115_can_Ab35 삼각산 화계사


○ 2020_1017_154520_nik_CT38_s12 삼각산 화계사


○ 2018_1022_174846_can_Ab31 공주 태화산 마곡사


○ 2018_1024_175723_nik_AR25 부여 고란사


○ 2019_1104_105326_can_ct18 구례 화엄사


○ 2019_1104_105838_nik_ar30_s12 구례 화엄사


○ 2019_1104_131641_nik_BW25 구례 화엄사 연기암

● [pt op tr] fr
_M#]



○ 2019_1106_103514_nik_BW25 화순 영구산 운주사



❋❋본문 ◎[개별논의]

★%★
『불설대방광선교방편경』 ♣1424-003♧






◎◎[개별논의] ❋본문









★1★





◆veuh1122

◈Lab value 불기2567/10/07


○ 2019_1105_175901_can_bw0_s12.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Salvador-Dali-study-for-self-portrait
[#M_▶더보기|◀접기|
Artist: Salvador-Dali
from https://en.wikipedia.org/wiki/Salvador_Dalí
Title : study-for-self-portrait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20_0525_172152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The_Lee_Shau_Kee_Humanities_Buildings_1
[#M_▶더보기|◀접기|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Armenia - Yerevan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Edith Piaf - Je T'ai Dans La Peau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3/10/2567-10-07-k1424-003.html#1122
sfed--불설대방광선교방편경_K1424_T0346.txt ☞불설대방광선교방편경 제3권 /전체4권
sfd8--불교단상_2567_10.txt ☞◆veuh1122
불기2567-10-07
θθ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6추(麤)의 하나. 

우리들이 여러 가지 업을 짓고 그 업에 속박되어 받는 고뇌의 과보(果報).

답 후보
● 업계고상(業繫苦相)
여(如)

여래신(如來身)
여시(如是)
여실불공(如實不空)
여의통(如意通)
연(緣)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Nicole Croisille - Je Suis Comme Vous
Jacques Dutronc - Sainte Suzanne
La Fouine - Hamdoulah Ça Va
Barcella - Claire Fontaine
Gerard Blanchard - Rocamadour
Indochine - Paradize
La Fouine feat Omarion - Cry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央 ■ ( 가운데 앙 / 선명한 모양 영 )
046▲ 申失央业永 ■ 신실앙업영 46 ( 거듭 신/ 아홉째 지지 신 )( 잃을 실 / 놓을 일 )( 가운데 앙 / 선명한 모양 영 )( 업 업 / 일, 직업 업 )(길 영/ 읊을 영 )
020▲ 斤今旡气內 ■ 근금기기내 20 ( 근 근/ 도끼 근 )( 이제 금 )( 목멜 기 / . 목메다( 기쁨이나 설움 따위의 감정이 북받쳐 솟아올라 그 기운이 목에 엉기어 막히다) )( 기운 기 / 빌 걸 ) )( 안 내, / 들일 납, 장부 예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Dharma talk
[san-chn] pāda-talayor 於雙足下
[san-eng] vinā $ 범어 without
[pali-chn] khaya-ñāṇa 盡智
[pal-eng] kammappatta $ 팔리어 adj.those who have assembled to take part in an ecclesiastic act.
[Eng-Ch-Eng] 中觀派 Ma^dhyamika, one of the major streams of Indian Maha^ya^na Buddhism which was to have a profound impact on all subsequent forms of Buddhism which arose in East Asia and Tibet. Based chiefly in the "middle way" 中論 philosophy of Na^ga^rjuna 龍樹, the Ma^dhyamika thinkers sought to investigate a middle ground between the two extremes of existence 有 or non-existence 無 of things. Seen through the logic of dependent co-arising 緣起, all things were seen to be lacking of inherent nature 自性--to be empty 空. The most important successor to Na^ga^rjuna in the development of this school was a^ryadeva 聖提婆 (170-270, also commonly written 提婆) who helped to complete the framework of the Ma^dhyamika system in his Catuh-/sataka 四百論, etc. He was followed a few centuries later by such figures as Buddhapa^lita (佛護, c.470-540), Bha^vaviveka (清辯, c. 490-570) and Candraki^rti (月稱, c. 650), who worked out, each in their own ways various types of proofs for the explanation of and apprehension of the nature of emptiness. Some of the most important basic antagonistic positions within the broad Ma^dhyamika tradition can be seen in the disagreement between Bha^vaviveka and Candraki^rti: while Bha^vaviveka used one form of logical argumentation to establish the truth of emptiness in a positive manner, Candraki^rti denied the validity of the use of logical propositions which ended up affirming any sort of positive position. This basic disagreement would become embedded within the Ma^dhyamika school to the extent that two distinct philosophical factions developed: the Sva^trantika (Dulilunzhengpai 獨立論證派), which basically followed the position of Bha^vaviveka and the Pra^san!gika (Guimiulunzhengpai 歸謬論證派), which supported the opinion of Buddhapa^lita and Candraki^rti. Some later (eighth century) Ma^dhyamika thinkers such as S/a^ntaraks!ita 寂護 and Kamala/si^la 蓮華戒 blended the Ma^dhyamika theories together with that of the Yoga^ca^ra movement, which had risen in popularity during the fifth century. The Three-treatise school 三論宗 which arose in East Asia was based primarily in the basic positions of the school's earliest thinkers, Na^ga^rjuna and a^ryadeva.
[Muller-jpn-Eng] 占 ウラナイ divination
[Glossary_of_Buddhism-Eng] FORGIVENESS☞
See also: Sin.
“Sin is, first of all, an inheritance: ‘The sins of the fathers shall be
visited upon the children unto the third and fourth generation,’ says
the commandment. And that’s optimistic. The chain of blindness, of
compulsion, continues a lot longer than that, is handed down endlessly, l’dor vador,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We inherit our sins,
pass them on to our children, and they to theirs; and all of this we do
in the most profound ignorance. Our childhoods are contaminated
as were those of our parents, and their parents before them, back and
back and back. We are involved and participate in this ignorant sin,
and the world around us, with its wars, addiction, pollution, exploitation, testifies to this truth. But it is not our intention, there are
no personal villains; but all are victims, receivers and dispensers of the
inheritance, unless, at some point, the chain is broken.
Forgiveness is the weapon that permits us to open our eyes and see
through our veil of protective lies. Your sins are forgotten… Take up
your pallet, and walk.”


[fra-eng] avilis $ 불어 degrade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280일째]
어불가설제일중 $ 022▲彌伽婆彌伽婆為 一 ● 毘攞伽, ○□□□□,一,於,又,於

□□□□□□□, 一一現色不可說,
於彼一一諸色內, 又現光明不可說。
□□□□□□□, 일일현색불가설,
어피일일제색내, 우현광명불가설。

於不可說諸日中,
말로 할 수 없는 낱낱 해에서
나타내는 낱낱 빛깔 말할 수 없고
저러한 하나하나 빛깔 속마다
광명을 또 나투어 말할 수 없고



[281째]
어피일일광명내 $ 023▲毘攞伽毘攞伽為 一 ● 毘伽(上)婆, ○□□□□,現,一,一,光

□□□□□□□, 現不可說師子座,
一一嚴具不可說, 一一光明不可說。
□□□□□□□, 현불가설사자좌,
일일엄구불가설, 일일광명불가설。

於彼一一光明內,
저 하나하나 광명 속에서
말로 할 수 없는 사자좌를 나타내나니
하나하나 장엄거리 말할 수 없고
하나하나 광명도 말할 수 없어





●K0096_T0308.txt★ ∴≪A불설대방광보살십지경≫_≪K0096≫_≪T0308≫
●K1424_T0346.txt★ ∴≪A불설대방광선교방편경≫_≪K1424≫_≪T0346≫
●K0264_T0575.txt★ ∴≪A불설대방등수다라왕경≫_≪K0264≫_≪T0575≫


■ 암산퀴즈


972* 70
182580 / 895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20 번째는?
자비주 46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64 번째는?




20 법의 밝음[법명法明][주-63]을 증장시키며,
비아 도수 타, 毘阿<去聲>荼素<上聲>咤<二十知戒反>
Vyada su jya
(이하~)악한이의 마음을 조복하여 평온케 하고,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46
만약 성문 구하는 사람이
이 다라니를 듣고
한 번 귀에
스쳐가거나,
이 다라니를 쓰고
순수하고 곧은 마음으로 여법하게 수행하면,
네가지 성문과를 구하지 아니하여도
자연히 얻게 되느니라.
● 못자야못쟈야(모지야모지야) 菩提夜菩提夜<四十六> bo dhi ya bo dhi ya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64
가마로 나바 바
迦摩路<引>訥婆<二合>嚩<六十四>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68040
204
법수_암기방안


23 엄지 (THUMB)
20 가운데(손가락) (MIDDLE)
46 발 곡면 [신조어] 곡면( Arch)

64 척골(尺骨)[자뼈]
22 엄지 첫마디 [ 썸 넉클 THUMB knuckle]
80 거골[=발목뼈중 가장 윗뼈]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7_1007_051158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이때 병사왕(甁沙王)18) 의 첫째 부인의 이름은 발타사리(拔陀斯利)이니,
아사세(阿闍世)의 어머니이고 긍나랍자구린(亘那臘者拘隣)의 따님이다.


병사왕의 첫째 부인 발타사리가 문득 자리에서 일어나 앞으로 나아가 부처님께 예를 올리고 갖가지 비단과 구슬로 장식한 옷[雜綵珠衣] 및 5백 일곱 가지 보화(寶華)로 꾸민 일산(日傘:
蓋)을 부처님께 공양하고 문득 스스로 말했다.
“제가 후세에 마땅히 이 삼매를 해득하고 이 삼매를 가질 것입니다.
이 법을 가진 비구와 비구니,
우바새,
우바이들을 제가 마땅히 옹호할 것입니다.
옷과 음식,
침구와 질병에 필요한 의약은 모든 사람들에게 보살의를 발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공법(空法)을 비방하지 않고 입으로 공을 말하지 않을 뿐 아니라,
몸을 때려도 수명을 아끼지 않으니 하물며 세간에 있는 것이야 어떠하겠습니까.”

이때 병사왕의 궁중에 있던 8천 채녀 및 마갈제국(摩竭諸國) 가운데 6만 우바이가 이 삼매를 듣고,
모두 보살의를 발하고 이 삼매를 즐기기를 원했다.


그러나 후세에도 모두 마땅히 이 법을 가져야 했다.
부처님께서 이때 문득 웃으니 색색이 각각 다른 약간의 광명이 입으로부터 나와 청(靑)ㆍ황(黃)ㆍ적(赤)ㆍ백(白)이 두루 무앙수 불찰을 비추었다.
모두 해와 달의 광명을 덮고 다시 몸을 세 겹으로 둘러싸더니,
문득 이마 위로부터 홀연히 나타나지 않았다.

이때 발타사리가 문득 부처 앞에 나아가 부처님을 찬탄하고 게송을 말하였다.


사람 가운데 그 위가 있지 않고
행실 가운데 같음이 없네.
지금 삼계에 비길 데가 없으니
부처님의 위신은 성화(盛華)와 같네.

마치 날으는 새가 허공에서
세간의 모든 것을 비웃는 듯하네.
말할 수 있는 것은 모두 유연하여
다 시방에 가득하네.

입으로 말하는 바는 연꽃과 같아
사람 가운데 떠올라 다 눈과 같네.
지금 말하는 바에 불가함이 없어
부드럽고 좋은 소리가 범천과 같네.
지금 부처님께서 웃으시니 어찌 감격하지 않으리.


부처님께서 이때 병사왕 부인인 발타사리와 선나랍을 위하여 게송을 설하셨다.


내가 생각하니 무앙수
항하의 모래 수같이 많은 겁부터
이때까지 세간에 있는
부처의 이름은 복명(福明)이라네.

세간에 머물도록 가르쳐주니
수명이 67겁이라네.
이때 법왕(法王)의
여러 승려들도 다시 무앙수였네.

때에 차가월(遮迦越)이 있었으니
왕의 이름을 혜강(慧剛)이라 했다네.
왕에게 부인이 둘 있었는데
한 부인의 이름은 월명(月明)이라네.

어떠한 욕망도 찾아볼 수 없고
제법(諸法)에 집착함이 없었다네.
집을 버리고 도를 실천하고 배워
1억 세(歲) 동안 법을 수호했다네.

이와 같이 무수한 제불들을
헤아릴 수 없다네.
법이 다할 때에 나서
저들이 뒷날 법을 수호했다네.

그 뒤 말세(末世) 삼십에


항하의 모래 수같이 많은 부처 등이
마땅히 저곳에 다시 나와
후법을 수호했다네.

차가월과 혜강이
아촉불(阿佛)19) 세상에 왕이 되어
여러 부인들과
함께 저 나라에서 태어났다네.

다 법을 수호하고
마침내 남자가 되어
수마하제(須摩訶提)에 태어나
아미타불을 보았다네.

8천 채녀(婇女)와
마갈(摩竭)우바이가
법이 다 하려는 때에
항상 마땅히 불법을 수호했네.

수명을 마친 뒤에 모두
부처와 같이 32상을 얻어
연화(蓮華)에 앉아
아미타부처님 앞에 도달했네.

이 여러 채녀들에게도
마땅히 혜왕(慧王)처럼 공양해야 한다네.
그러나 후래겁(後來劫)에
모든 애욕(愛欲)이 없어야 하네.

문득 후래겁에도
한 겁에 마땅히 부처가 되어
여러 천인(天人)을 가르쳐 주며
그들을 위하여 정법(正法)을 말하리라.

이때 불찰(佛刹) 가운데
또한 마귀의 일은 없었고
애욕도 없었으며
또한 3악도(惡道)도 없었다네.

항상 무앙수
여러 보살들을 승려로 삼았으나
‘아라한’이라는 이름을
듣지 못했다네.

만약 어떤 사람이
모든 불법을 수호하려면
명성과 수명을
구하지 않아야 한다네.

이와 같이 행동하는 사람은
보살과 빨리 가까워진다네.
그 의지와 소원을 자유자재로 하니
어느 찰토에든 일어나려 한다네.

만약 모든 보살들이
공경하는 뜻을 일으키면
나도 공경하는 뜻을 가지고
기대는 바 없이 법을 수호하리라.

이런 행실을 짓는 사람은
생사에서 벗어나
세간에서의
탐욕과 집착에서 벗어나리라.

내가 그러므로
무수한 겁에서 처자(妻子) 때문에
나라와 두목(頭目)을 버리고
불법을 찾았다네.

행자(行者)들이 공양하지 않아
짐짓 불법을 무너뜨리고
문득 돌고 도는 논쟁만을 일으켜
공양을 얻으려 했다네.

당시에 앉아 있던 80억
사람들이 눈물을 흘리며 말했다네.
만약 법이 다하는 때에
우리들이 마땅히 뒷날 법을 수호하리라.

경을 말하여 3천 불찰을 감동시키니
제천(諸天)에서 꽃을 흩날렸다네.
통쾌하고 착하도다.
세간의 사람들이 이 경을 들었다네.

모든 항하의 모래 수같이 많은
무수한 여러 불찰이


가득한 가운데 여러 진귀한 보화를
다 부처에게 공양하는 것이

한때 이 혜인삼매경을
믿고 풀이하는 것만 못하다네.
비유컨대 그 공덕은
지혜에 비길 수 없다네.

힘쓰지 않거나 억지로
보살행을 얻으려 하다가
불존(佛尊)의 정법(正法)을 듣고
문득 보살의를 일으켰다네.

이 높은 경(經)과 법(法)에
공경을 일으킴이 있으리라.
이와 같이 짓고 실천하는 사람은
문득 빨리 부처가 될 수 있으리라.




출전:
한글대장경 K0172_T0632
불설혜인삼매경(佛說慧印三昧經) 오 지겸역
佛說慧印三昧經 【吳 支謙譯】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발목 돌리기


○ 2016_1008_130529_nik_ar45


○ 2016_1008_133358_nik_ct27


○ 2016_1008_133711_nik_bw20


○ 2016_1008_141121_can_ar5


○ 2018_0418_122708_can_ar45


○ 2018_0418_150349_can_ar43


○ 2018_0419_085418_nik_exc


○ 2018_0419_103444_nik_ar45


○ 2018_0419_125553_can_exc


○ 2018_0419_130612_can_ar45


○ 2020_0525_165356_nik_exc


○ 2020_0525_185850_can_ct27


○ 2020_0606_124238_can_bw17


○ 2020_0606_132006_can_bw17


○ 2020_0606_134440_can_ct27


○ 2020_0606_141221_can_ct27


○ 2020_0606_180325_can_bw17


○ 2020_0606_181435_can_ct22

● [pt op tr] fr
_M#]



○ 2016_1008_134132_nik_ct32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불설대방광선교방편경_K1424_T0346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불설대방광선교방편경』 ♣1424-003♧
[관련키워드]
불설대방광선교방편경 제3권 /전체4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7-10-07_불설대방광선교방편경-K1424-003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3/10/2567-10-07-k1424-003.html
sfed--불설대방광선교방편경_K1424_T0346.txt ☞불설대방광선교방편경 제3권 /전체4권
sfd8--불교단상_2567_10.txt ☞◆veuh1122
불기2567-10-07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230310077
https://buddhism007.tistory.com/18372
htmback--불기2567-10-07_불설대방광선교방편경_K1424_T0346-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