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3년 11월 11일 토요일

불기2567-11-10_불설광박엄정불퇴전륜경-k0136-001


『불설광박엄정불퇴전륜경』
K0136
T0268

불설광박엄정불퇴전륜경 제1권/전체6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설광박엄정불퇴전륜경』 ♣0136-001♧




불설광박엄정불퇴전륜경 제1권/전체6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6_113534_nik_ar38


○ 2019_1106_122630_nik_ar45_s12


○ 2019_1106_113443_can_CT33


○ 2019_1106_170448_can_bw24_s12


○ 2019_1105_134504_can_ct8


○ 2020_0904_093952_can_BW17


○ 2020_0905_143819_can_bw5


○ 2020_0909_143051_nik_CT28


○ 2020_0909_155457_can_Ab27


○ 2020_0909_175743_nik_CT28


○ 2020_0910_112520_can_bw5


○ 2020_0910_122234_nik_bw5


○ 2020_0930_143537_nik_AB12


○ 2020_1017_153241_can_CT33


○ 2018_1023_130242_can_ct18_s12


○ 2020_1114_124930_can_AB4_s12


○ 2019_1104_101925_can_CT27


○ 2019_1104_121746_can_ar11


○ 2019_1104_103129_nik_CT27

● [pt op tr] fr
_M#]



○ 2020_0910_122540_can_BW25



❋❋본문 ◎[개별논의]

★%★
『불설광박엄정불퇴전륜경』 ♣0136-001♧






◎◎[개별논의] ❋본문









★1★





◆vzcv1604

◈Lab value 불기2567/11/10


○ 2018_1022_141432_nik_Ab15.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Giovanni-Battista-Piranesi-iconography-of-the-present-state-of-the-pantheon.jpg!HD
[#M_▶더보기|◀접기|
Artist: Giovanni-Battista-Piranesi
from https://en.wikipedia.org/wiki/Giovanni_Battista_Piranesi
Title : iconography-of-the-present-state-of-the-pantheon.jpg!HD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20_0525_174358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Ningbo_Ayuwang_Si_2013.07.28_14-06-40
[#M_▶더보기|◀접기|
https://zh.wikipedia.org/wiki/File:Ningbo_Ayuwang_Si_2013.07.28_14-06-40.jpg
宁波阿育王寺 —— 大雄宝殿
作者 Zhangzhugang
● [pt op tr] fr
_M#]


♡鶴岡二十五坊, JAPAN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Georges Brassens - La Traitresse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3/11/2567-11-10-k0136-001.html#1604
sfed--불설광박엄정불퇴전륜경_K0136_T0268.txt ☞불설광박엄정불퇴전륜경 제1권/전체6권
sfd8--불교단상_2567_11.txt ☞◆vzcv1604
불기2567-11-10
θθ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범】homa 호마(護魔ㆍ呼摩)라고도 음역. 

화제사법(火祭祀法)이라 번역. 분소(焚燒)ㆍ화제(火祭)ㆍ화법(火法)의 뜻. 불을 피워 불속에 물건을 던져 넣어 공양하고 기원하는 일. 밀교의 수행법으로서 가장 보통으로 행하는 법. 이 호마는 인도에서 옛적부터 행하던 작법. 천상의 신장에게 공양할 물건을 올릴 때에, 이것을 불에 던져 태우면 연기가 되어 하늘에 올라가서 신에게 이른다고 하는 원시적인 신앙에서 생긴 것. 사화외도(事火外道)라 하여 후세에까지 행하여짐. 이 신앙을 불교에서 받아들여 다시 깊은 뜻을 붙여서 행하게 된 것이 밀교의 호마법. 이에 내호마와 외호마의 구별이 있어서 형식은 외도와 비슷하나, 이것을 행하는 정신은 크게 다름. 단을 만들고 화로를 마련하여 호마목을 태우는 것을 외호마 또 사(事)호마라 하고, 의식이나 작법에 의하지 않고, 다만 관념상으로 수행하는 것을 내호마 또는 이(理)호마라 함.

답 후보
● 호마(護摩)
화두(話頭)
화수길(和修吉)

화엄시(華嚴時)
화장세계(華藏世界)
환멸문(還滅門)
환화(幻化)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Pierre Groscolas - L' Amour Est Roi
Michel Sardou - Je Ne Sais Plus Rien
Alain Souchon - Ultra Moderne Solitude
Piaf Edith - Je T'ai Dans La Peau
Jean-Jacques Goldman - Les Choses
Edith Piaf - Hymne L'amour
Jean - Jacques Goldman - Encore Un Matin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一 ■ ( 하나 일 )
002▲ 一丶凵犭冂 ■ 일주감견경 2 ( 하나 일 )( 점 주 )( 입 벌릴 감 )( 개사슴록변 견 / 개견( -犬) 부수( 部首)의 이체자( 異體字). )( 멀 경 )
054▲ 年老耂耒吏 ■ 년로로뢰리 54 ( 해 년( 연), / 아첨할 녕( 영) )( 늙을 로 / 노 )( 늙을로엄 로 / 노)(가래 뢰 /뇌 )( 벼슬아치 리 / 이, 관리 리. 이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Sangharakshita
[san-chn] śāśvatôccheda-dṛṣṭi 斷常
[san-eng] śāśvataṃ $ 범어 original
[pali-chn] svabhāva 性
[pal-eng] raagakkhaya $ 팔리어 m.destruction of lust.
[Eng-Ch-Eng] FOREMOST PARAMITA Foremost Paramita 第一波羅蜜 It refers to the perfect principle of Middle Way. It is neither birth nor death, without dwelling in Nirvana. It is the substance of everything beyond words and conceptual thinking.
[Muller-jpn-Eng] 超度 チョウド transcend, overcome
[Glossary_of_Buddhism-Eng] TEN EPITHETS OF A BUDDHA☞
“Common descriptions of the Buddhas to be found in many
sutras: perfect (Tathagata), holy one or saint (Arhat), fully enlightened
(Samyak Sambuddha), gifted in knowledge and conduct, well-gone
one, knower of the worlds, unsurpassable teacher of men, teacher of
gods and men, awakened one (Buddha), sublime one.”
Sham: 221 #0358

[fra-eng] dépendit $ 불어 depended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314일째]
신업청정불가설 $ 056▲調伏調伏為 一 ● 離憍慢, ○□□□□,語,意,信,妙

□□□□□□□, 語業清淨不可說,
意業清淨不可說, 信解清淨不可說,
□□□□□□□, 어업청정불가설,
의업청정불가설, 신해청정불가설,

身業清淨不可說,
몸의 업[身業]이 청정함을 말할 수 없고
말하는 법 청정함을 말할 수 없고
마음의 법 청정함을 말할 수 없고
믿는 이해 청정함을 말할 수 없고



[315째]
묘지청정불가설 $ 057▲離憍慢離憍慢為 一 ● 不動, ○□□□□,妙,了,斷,出

□□□□□□□, 妙慧清淨不可說,
了諸實相不可說, 斷諸疑惑不可說,
□□□□□□□, 묘혜청정불가설,
료제실상불가설, 단제의혹불가설,

妙智清淨不可說,
묘한 슬기 청정함도 말할 수 없고
묘한 지혜 청정함도 말할 수 없고
실상을 이해함도 말할 수 없고
의혹을 끊는 일도 말할 수 없고





●K1437_T0549.txt★ ∴≪A불설광명동자인연경≫_≪K1437≫_≪T0549≫
●K0136_T0268.txt★ ∴≪A불설광박엄정불퇴전륜경≫_≪K0136≫_≪T0268≫
●K1105_T0759.txt★ ∴≪A불설교량수명경≫_≪K1105≫_≪T0759≫


■ 암산퀴즈


318* 19
479591 / 523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54 번째는?
자비주 2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98 번째는?




54 제가 과거에 항하의 모래알 수만큼 많은 부처님으로부터 직접 받아 지닌 것입니다.
돈구례, 敦具隸<五十四>
tud kule,
(~!~) 성스러운 가문에 출생 토록 전진 전진케 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2
일체 모든 병을 없애기 위함이며,
● 나모아리야 南無阿唎耶<二> na mo ā ry ā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98
바아야 만다
婆誐野<二合>滿哆<九十八>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6042
917
법수_암기방안


57 眼球 【안구】 동공 eye ball
54 입 mouth 口脣 【구순】
2 염통 【심장】

98 계지(季指) (막내 【계】~새끼) 발가락 [ 신조어 ]
56 눈거풀 瞼 【검】 eye lid
114 pulse 맥박~점(맥박뛰는곳)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7_1111_151059 :

장경각 자료 내 이야기

제목 : 어느 불량배의 참회



1995년 어느 날 오대산 모 절의 접견실에서 대략 20여 명이 묘법 스님의 가르침을 받고자 기다리고 있었다.
모두들 돌아가면서 전국 각 지방의 사투리로 물었다.
스님께서는 충만한 지혜로 복잡한 문제를 간단히 처리하듯 각자에게 해결의 방안을 주셨다.
스님의 법문 한 말씀 한 말씀이 사람들을 무섭게 각성시켰으며 듣는 이들로 하여금 제호로 관정하듯 법의 기쁨으로 충만하게 하였다.
“사부님,
저는 대만에서 대륙으로 병을 진찰하러 왔습니다.
3년 전에 병을 얻었는데,
처음에는 두통이 생기더니 그 다음에는 온몸이 아프기 시작하여 지금은 어느 부위가 아픈지 분간이 안 갈 정도로 아픕니다.
밥을 먹어도 맛이 없고 잠을 자도 잠이 잘 안 오며,
사지가 힘이 없어 매우 고통스럽습니다.
하지만 대만의 큰 병원에서 진찰을 해도 병명이 무엇인지 알지를 못하며 단지 식물성 신경기능의 교란이라고 합니다.
주사를 맞고 약을 먹어도 전혀 효과가 없고,
약을 많이 먹어 부작용만 더 생기니 치료할수록 더욱 악화되기만 합니다.
이번에 북경에 와서 진찰해 봐도 결과가 나오지 않으니 실망이 이만저만 아닙니다.
돌아가기 전에 오대산 문수보살(文殊菩薩)을 참배하러 왔는데,
공교롭게도 제가 탄 버스에 같이 타신 나이 드신 선생 한 분이 사부님을 찬탄하시길래 뵈러 왔습니다.
사부님이 저를 치료해 주신다면 돈은 얼마든지 드리겠습니다.”
말을 마친 이 사람은 서른 살을 갓 넘긴 듯했다.
몸집이 매우 수척하며 안색이 어두운 회색빛으로 온몸에서 말할 수 없는 사기(邪氣)가 퍼져 나왔다.
방에 있는 사람들마다 그를 보고 눈살을 찌푸렸다.
스님은 음성은 높지 않았으나 매우 엄숙하게 말문을 열었다.
“당신은 나의 제자도 아니니 나를 사부라고 부르지 마세요.
나는 의사가 아니니 병을 진찰할 줄 모르며,
더욱이 당신의 돈을 원하지 않으니 당신은 다른 고명한 분을 찾아가십시오.”
스님께서 이처럼 손님을 쫓아내니 같이 앉아있던 사람들 모두 매우 놀랐다.
스님은 지금까지 이렇게 손님을 대한 적이 한번도 없었기 때문이다.
이 대만 사람은 난처해하였다.
얼굴이 붉어진 채 그는 약간 화가 난 듯이 말하였다.
“당신들 불가(佛家)에서는 자비를 중시하지 않습니까?
다른 사람들의 병은 봐주시면서 왜 저는 안 봐주십니까?
저보고 가라고 하시는데 저는 당신의 기분을 상하게 한 적이 없습니다.”
그러자 스님은 갑자기 표정을 엄하게 하면서 말하였다.
“당신은 길러주신 부모님도 때리고 욕하는데,
어찌 내 기분 상하는 것을 겁내겠습니까?”
이 말에 그 사람은 갑자기 바람 빠진 공처럼 힘없이 의자에 앉았다.
그는 놀라 두려워하면서 얼굴색이 창백해지고 벙어리 모양 말을 하지 못하였다.
접견실의 모든 사람들은 시선을 그 사람에게로 집중하였으며 방안은 쥐 죽은 듯이 고요하였다.
일 분 정도 흐른 후 그는 겸손하게 묻기를 “당신은 어떻게 저의 일을 아십니까?
이곳에서 저를 아는 사람은 한 분도 없습니다.”
“다른 사람이 나에게 알려줄 필요 없이 당신의 가슴에 명료하게 ‘불효자식’이라는 네 자가 쓰여 있군요.”
그는 놀라 멍해져서 무의식중에 고개를 숙여 자기 가슴을 살펴보았다.
방안의 다른 사람들도 그의 가슴을 쳐다보았으나 아무런 글자도 보이지 않았다.
돌연 그는 일어서더니 앞으로 나아가 스님의 발아래 꿇어 엎드려 절하면서 떨리는 목소리로 스님께 자기를 구해줄 것을 간청하였다.
그는 말하였다.
“저는 어릴 때부터 불량소년으로 닭을 훔치고 개를 잡고 싸움질하고 욕하는 등 나쁜 짓이란 나쁜 짓은 다 하고 다녔습니다.
부모가 아무리 말려도 듣지 않았습니다.
그 후 학교에서 퇴학당하고 사회에 유랑하면서 깡패 조직에 들어가 장사하는 사람들을 괴롭혀 돈을 뜯어내고,
외지인에게 강도 짓을 하고 계집애들을 괴롭히는 등 나쁜 짓만 하고 다녔습니다.
장성한 뒤로는 부친의 훈계를 두려워하지 않고 부친이 저를 때리려고 하면 주먹과 발길질로 늙은 아버지를 넘어뜨리고 말리는 모친을 욕하며 밀쳐 넘어뜨리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다시 한번 더 나를 막는다면 집에 불을 지르겠다고 협박하기도 했습니다.
부친은 화병으로 드러누웠으며,
모친은 저를 보면 무서워서 대하기를 겁내었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두 분 노부모님은 잇달아 세상을 떠났으며,
다시는 저를 꾸짖고 이끌어 줄 사람이 없게 되었습니다.…”
그는 꿇어앉아 자기의 지나온 이력을 이야기하면서 부모님이 돌아가신 대목에 이르자 대성통곡을 하였다.
그렇게 조복하기 어려운 완고한 녀석이 의외로 스님의 위덕에 감화되어 항복한 것이다.
나는 마음속으로 감탄하면서 보아하니 좋은 사람,
나쁜 사람은 정말로 자기 몸에 나타나는구나,
스님은 정말로 모든 것을 통찰할 수 있는 혜안을 가지셨구나 하고 생각하였다.
“좋아요,
일어나세요.” 하고 스님이 그에게 말하였다.
“기왕 당신이 나를 사부라고 부르니 내 말을 듣고 행할 수 있겠습니까?”
그는 기쁜 듯이 말하였다.
“할 수 있습니다.
할 수 있습니다.
능히 행할 수 있습니다.
저는 반드시 과거의 잘못을 고쳐 다시 새로운 사람이 되겠습니다.”
“좋습니다.
나는 당신을 제자로 받아들이겠습니다.”
그는 기뻐서 다시 머리를 조아리며 절하였다.
그 자리에 있던 사람들도 모두 일어나 합장하며 이렇게 감동적인 모습을 만나게 된 것을 기뻐하였다.
묘법 스님은 젊은 비구스님에게 말하기를 “그를 대웅전으로 데리고 가서 예배하고 참회하는 방법을 가르쳐주고,
그에게 절 일천 배를 하게 할 것이며,
다 마치면 다시 이곳으로 모시고 오게.”라고 하셨다.
두 시간 후 접견은 끝났다.
그 대만사람이 다시 스님께 왔을 때는 마음이 한결 상쾌해진 듯 이미 표정이 밝은 것이 전혀 다른 사람 같았다.
그는 불전에서 이미 불교에 귀의하여 개과천선하겠다고 발원하였다.
아울러 발원 후 지금까지 느껴보지 못했던 상쾌함을 느꼈으며,
마치 병이 이미 좋아진 것 같다고 말하였다.
눈앞에서 발생한 이 모든 것을 보고 그 자리에 있던 사람들은 찬탄하여 마지않았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였다.
“모든 중생은 모두 불성(佛性)을 가지고 있으며 다 부처가 될 수 있다.
단지 망상 집착으로 인하여 증득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고해가 끝이 없으나 마음을 돌리면 바로 피안이다.”
“도살하는 칼을 놓으면 바로 선 자리에서 성불한다.”
눈앞에서 이전의 불량청년이 패역 불효한 천벌을 받고 악한 과보가 현전하여 치료하기 힘든 병이 몸을 덮쳤으나,
다행히 눈 밝은 스승을 만나 교화를 받고 철저히 회개할 줄 아니,
실제로 불경에서 말한 바를 검증한 셈이다.
부처님은 진정한 대의왕(大醫王)이며,
불법은 팔만사천 가지의 병을 고칠 수 있는 것이다.
실천은 진리를 검증하는 유일한 표준으로 나는 다시 불법의 무궁한 매력을 체험하게 되었다.
“불법은 세간에 있으며,
세간의 깨달음을 떠나지 않는다.”라는 말씀처럼 우리들이 일상생활 중에서 조금도 소홀히 하지 않고 불법을 실천궁행하면 기적 같은 일이 수시로 일어날 것이다.
계속...






■요가자세 익히기
엎드린 악어 수정 자세 [Modified Jathara Parivarttanasana]


○ 2019_1106_121206_nik_exc


○ 2019_1106_124801_can_exc_s12


○ 2019_1105_121437_can_fix


○ 2019_1201_154759_nik_fix


○ 2020_0904_134406_can_ori_rs


○ 2020_0905_145013_can_ori_rs


○ 2020_0906_110529_can_ori_rs


○ 2020_0906_122455_nik_ori_rs


○ 2020_0907_134341_can_ori_rs


○ 2020_0907_161251_can_ori_rs


○ 2020_0908_152341_nik_ori_rs

_ori_rs
○ 2016_0505_123056_nik


○ 2020_1017_153834_can_exc


○ 2020_1017_165235_nik_exc_s12


○ 2020_1017_171800_nik_exc_s12


○ 2018_1023_161425_nik_ori


○ 2019_1104_102348_nik_exc

● [pt op tr] fr
_M#]



○ 2019_1104_104908_nik_exc_s12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불설광박엄정불퇴전륜경_K0136_T0268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불설광박엄정불퇴전륜경』 ♣0136-001♧
[관련키워드]
불설광박엄정불퇴전륜경 제1권/전체6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7-11-10_불설광박엄정불퇴전륜경-K0136-001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3/11/2567-11-10-k0136-001.html
sfed--불설광박엄정불퇴전륜경_K0136_T0268.txt ☞불설광박엄정불퇴전륜경 제1권/전체6권
sfd8--불교단상_2567_11.txt ☞◆vzcv1604
불기2567-11-10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261919511
https://buddhism007.tistory.com/18407
htmback--불기2567-11-10_불설광박엄정불퇴전륜경_K0136_T0268-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