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4년 10월 6일 일요일

불기2568-10-06_잡아함경-k0650-022


『잡아함경』
K0650
T0099

잡아함경 제22권/전체5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잡아함경』 ♣0650-022♧




잡아함경 제22권/전체50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6_104610_nik_fix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6_152351_nik_exc 화순 계당산 쌍봉사


○ 2019_1105_161455_nik_fix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19_1105_164812_nik_fix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19_1106_105343_can_exc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6_114709_can_exc_s12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5_112743_can_exc_s12 순천 조계산 선암사


○ 2019_1105_134524_can_exc_s12 순천 조계산 선암사


○ 2019_1105_163200_can_exc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19_1201_143723_can_exc 원주 구룡사


○ 2020_0906_110210_can_ori_rs 천축산 불영사


○ 2020_0907_130705_nik_ori_rs 양산 통도사


○ 2020_0909_142431_can_ori_rs 무주 백련사


○ 2020_0911_115639_nik_ori_rs 제천 의림지 대도사


○ 2020_1017_145801_can_exc_s12 삼각산 화계사


○ 2020_1017_150930_can_exc_s12 삼각산 화계사


○ 2020_1017_155758_can_ori_rs 삼각산 화계사


○ 2019_1104_161541_can_exc 구례 쌍계부근

● [pt op tr] fr
_M#]



○ 2018_1022_174804_nik_exc 공주 태화산 마곡사



❋❋본문 ◎[개별논의]

★%★
『잡아함경』 ♣0650-022♧






◎◎[개별논의] ❋본문









★1★





◆vcsm7601

◈Lab value 불기2568/10/06


○ 2020_1017_152123_nik_Ab27.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Ernst-Ludwig-Kirchner-donna-nella-notte.jpg!HD
[#M_▶더보기|◀접기|
Artist: Ernst-Ludwig-Kirchner
from https://en.wikipedia.org/wiki/Ernst_Ludwig_Kirchner
Title : donna-nella-notte.jpg!HD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14-08-06-barcelona-RalfR-286
[#M_▶더보기|◀접기|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14-08-06-barcelona-RalfR-286.jpg
Wikimedia Österreich
Author © Ralf Roletschek
● [pt op tr] fr
_M#]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094_Cave_12,_Vihara_Cells_(34123037202)
[#M_▶더보기|◀접기|
The Mahabodhi temple in Bodhgaya, India.
Author Bpilgrim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보현사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https://www.templestay.com/upload/꾸미기_20180305_081033.jpg


Cyril Mokaiesh - Le Sens Du Manege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4/10/2568-10-06-k0650-022.html#7601
sfed--잡아함경_K0650_T0099.txt ☞잡아함경 제22권/전체50권
sfd8--불교단상_2568_10.txt ☞◆vcsm7601
불기2568-10-06
θθ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진언종에서 3대(大)를 6대(大)ㆍ4만(曼)ㆍ3밀(密)에 배대하되, 

6대체대(大體大)ㆍ3밀용대(密用大)에 대하여 4만상대를 세움. 

(1) 대만다라(大曼茶羅). 불ㆍ보살의 상호(相好) 구족한 몸을 말함이니, 대(大)에 의하여 나타난 만다라, 곧 조각ㆍ회화ㆍ날주(捏鑄)의 불상. 이를 넓은 뜻으로 해석하면 일체 만상은 6대(大)법신의 당체(當體)이므로 진진법법(塵塵法法)이 다 대만다라라 할 수 있다. 

(2) 삼마야만다라(三摩耶曼茶羅). 삼마야는 본서(本誓) 즉 이상(理想)을 말함이니, 보살 내심(內心)의 서원을 상징한 존상(尊像)이 가지고 있는 도검(刀劍)ㆍ윤보(輪寶)ㆍ연학ㆍ보주(寶珠)와 손으로 결(結)한 인계(印契). 이를 넓은 뜻으로 해석하면 산천ㆍ초목ㆍ국토 따위가 모두 삼마야만다라라고 할 수 있다. 

(3) 법만다라(法曼茶羅). 불ㆍ보살의 종자(各尊의 本誓ㆍ명칭에서 그 첫 자를 梵字로 표시한 것) 만다라이니, 요컨대 문자에 의하여 조직한 것. 이를 넓은 뜻으로 해석하면 경전의 온갖 문자와 그 밖에 다른 여러 가지의 언어ㆍ문자ㆍ명칭도 법만다라라 할 수 있다. 

(4) 갈마만다라(羯磨曼茶羅). 불ㆍ보살이 중생을 제도하기 위한 여러 가지 위의(威儀)ㆍ활동을 말하며, 또, 쇠붙이로 붓고, 흙으로 빚고, 나무나 돌로 조각하고, 종이나 천에 그려서 나타난 위의까지를 말함. 넓은 뜻으로 해석하면 우리의 행(行)ㆍ주(住)ㆍ좌(坐)ㆍ와(臥)ㆍ일체 사물의 활동 그대로가 갈마만다라라 할 수 있음. ⇒<유사어>사만<참조어>사만(四曼)ㆍ<유사어>사종만다라<참조어>사종만다라(四種曼茶羅)

답 후보
● 사만상대(四曼相大)
사미니(沙彌尼)
사법계관(四法界觀)
사사공양(四事供養)
사선팔정(四禪八定)

사식(思食)
사업(邪業)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Team BS - Pas De Chance
Edith Piaf - Celui Qui Ne Savait Pas Pleurer
Edith Piaf - Mon Dieu (En Anglais)
Les Enfoirés - L'amitié
French Anthology Transatlantic New-York - Paris - Cris, Tambours Et Masques De Guerre
Patachou - La Bague A Jules
Patrick Bruel - Que Reste-T-Il De Nos Amours (Avec Laurent Voulzy)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46▲ 申失央业永 ■ 신실앙업영 46 ( 거듭 신/ 아홉째 지지 신 )( 잃을 실 / 놓을 일 )( 가운데 앙 / 선명한 모양 영 )( 업 업 / 일, 직업 업 )(길 영/ 읊을 영 )
020▲ 斤今旡气內 ■ 근금기기내 20 ( 근 근/ 도끼 근 )( 이제 금 )( 목멜 기 / . 목메다( 기쁨이나 설움 따위의 감정이 북받쳐 솟아올라 그 기운이 목에 엉기어 막히다) )( 기운 기 / 빌 걸 ) )( 안 내, / 들일 납, 장부 예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Prajna
[san-chn] bodhisattva-vṛtta 菩薩淨戒
[san-eng] tadā $ 범어 then
[pali-chn] ākiñcaññāyatana 三十八行處, 無所有處
[pal-eng] visuddha $ 팔리어 pp. of visujjhaticlean; pure; bright; stainless; sanctified.
[Eng-Ch-Eng] SUTRA Sutra 經 It is a "path" necessarily passed through in the cultivation of the Way.
[Muller-jpn-Eng] 忍法位 ニンボウイ stage of patience in regard to phenomena
[Glossary_of_Buddhism-Eng] GREAT AWAKENING☞
See: Awakening vs. Enlightenment.

[fra-eng] l'écart $ 불어 the space
[chn_eng_soothil] 徒衆 The company of disciples.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第15 持經功德分
▼[羅什] 「須菩提, 若有善男子善女人, 初日分, 以恒河沙等身布施, 中日分,
復以恒河沙等身布施, 後日分, 亦以恒河沙等身布施, 如是無量百千萬億劫,
以身布施;
“수보리야, 어떤 선남자나 선녀인이 아침나절에 항하사 수효 같은 몸으로
보시하고, 점심나절에도 항하사 수효 같은 몸으로 보시하고, 저녁나절에도
항하사 수효 같은 몸으로 보시하여 이렇게 한량없는 백천만 겁(劫) 동안
보시하더라도…
[玄奘] 復次, 善現, 假使善男子或善女人, 日初時分以殑伽河沙等自體布施,
日中時分復以殑伽河沙等自體布施, 日後時分亦以殑伽河沙等自體布施,
由此異門, 經於俱胝那庾多百千劫以自體布施;
[義淨] 妙生, 若有善男子、善女人, 初日分以弶伽河沙等身布施,
中日分復以弶伽河沙等身布施, 後日分亦以弶伽河沙等身布施,
如是無量百千萬億劫以身布施
15-01 यश्च खलु पुनः सुभूते स्त्री वा पुरुषो वा पुर्वाह्णकालसमये गङ्गानदीवालुकासमानात्मभावान् परित्यजेत्,
एवं मध्याह्नकालसमये गङ्गानदीवालुकासमानात्मभावान् परित्यजेत्,
सायाह्नकालसमये गङ्गानदीवालुकासमानात्मभावान् परित्यजेत्,
अनेन पर्यायेण बहूनि कल्पकोटिनियुतशतसहस्राण्यात्मभावान् परित्यजेत्,

yaśca khalu punaḥ subhūte strī vā puruṣo vā pūrvāhṇakālasamaye
gaṅgānadīvālukāsamānātmabhāvān parityajet | evaṁ madhyāhnakālasamaye
gaṅgānadīvālukāsamānātmabhāvān parityajet | sāyāhnakālasamaye
gaṅgānadīvālukāsamānātmabhāvān parityajet | anena paryāyeṇa bahūni
kalpakoṭiniyutaśatasahasrāṇyātmabhāvān parityajet |
“그리고 참으로 다시, 수보리여! 여자나 남자가 오전 시간에 강가강의 모래알 숫자와
같은 신체들을 바치고, 그와 같이 낮 시간에 강가강의 모래알 숫자와 같은 신체들을
바치고, 저녁 시간에 강가강의 모래알 숫자와 같은 신체들을 바치며,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백천 백만 구지겁 같은 많은 자기 몸들을 바친다 하더라도,
▼▷[yaśca] ① yaḥ(pn.ƾ.nom.) + ca(ƺ.) → [그리고、 (어떠한) 그것은]
▼[khalu] ① khalu(ƺ.) → [참으로]
▼[punaḥ] ① punaḥ(ƺ.) → [다시]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strī] ① strī(Ʒ.nom.) → [여자거나]
② strī(Ʒ. a woman; a female of any animal; a wife)
▼[vā] ① vā(ƺ.)
▼[puruṣo] ① puruṣaḥ(ƾ.nom.) → [남자거나]
② puruṣa(ƾ. a male being, man; mankind; the soul; the supreme being: [­ā]Ʒ. a woman)
▼[vā] ① vā(ƺ.)
▼[pūrvāhṇakālasamaye] ① pūrvāhṇa+kāla+samaye(ƾ.loc.) → [오전 시간 때에(食時)]
② pūrvāhṇa(ƾ. the earlier part of the day, forenoon) < pūrva(nj. previous to, earlier than)
+ ahṇa([­comp.]) < ahan(ƿ. a day [including day and night]; day time; the sky)
② kāla(nj. black; injuring: ƾ. the black; time in general; Yama, time of death)
② samaya(ƾ. time in general; occasion, opportunity; fit time, right moment; an agreement)
▼[gaṅgānadīvālukāsamānātmabhāvān] ① gaṅgā+nadī+vālukā+samān(nj.→ƾ.acc.pl.) +
ātmabhāvān(ƾ.acc.pl.) → [강가강의 모래알과 동일한(→ 모래알 숫자와 동일한)、
신체들을]
② gaṅgā(Ʒ. the river Ganges; the Ganges personified as a goddess)
② nadī(Ʒ. a river, any flowing stream)
② vālukā(Ʒ. sand, gravel; powder; camphor in general)
② sama(nj. same, identical; equal, as in: ƾ. : ƿ. a level plain, flat country)
② ātmabhāva(ƾ. existence of the soul; the self proper; the body) < ātman(ƾ. the soul;
self) + bhāva(ƾ. being, existing; state, condition)
▼[parityajet] ① parityajet(pot.Ⅲ.sg.) → [버린다면, → 바친다면,]
② parityaj(1.ǁ. to leave, quit, abandon; to resign, give up, discard)
▼▷[evaṁ] ① evaṁ(ƺ.) → [그와 같이]
▼[madhyāhnakālasamaye] ① madhyāhna+kāla+samaye(ƾ.loc.) → [낮 시간 때에]
② madhyāhṇa(ƾ. midday, noon) < madhya(nj. middle, central: ƾƿ. the middle; the waist)
+ ahna([­comp.]) < ahan(ƿ. a day [including day and night]; day time; the sky)
▼[gaṅgānadīvālukāsamānātmabhāvān] ① gaṅgā+nadī+vālukā+samān(nj.→ƾ.acc.pl.) +
ātmabhāvān(ƾ.acc.pl.) → [강가강의 모래알과 동일한(→ 모래알 숫자와 동일한)、
신체들을]
▼[parityajet] ① parityajet(pot.Ⅲ.sg.) → [버린다면, → 바친다면,]
▼▷[sāyāhnakālasamaye] ① sāyāhna+kāla+samaye(ƾ.loc.) → [저녁 시간 때에]
② sāyāhna(ƾ. evening, evening time) < sāya(ƾ. end, termination; close of day, evening)
▼[gaṅgānadīvālukāsamānātmabhāvān] ① gaṅgā+nadī+vālukā+samān(nj.→ƾ.acc.pl.) +
ātmabhāvān(ƾ.acc.pl.) → [강가강의 모래알과 동일한(→ 모래알 숫자와 동일한)、
신체들을]
▼[parityajet] ① parityajet(pot.Ⅲ.sg.) → [버린다면, → 바친다면,]
▼▷[anena] ① anena(pn.ƾ.ins.) → [이]
▼[paryāyeṇa] ① paryāyeṇa(ƾ.ins.) → [방법으로]
② paryāya(ƾ. going or winding round, revolution; lapse, course, expiration; regular
recurrence or repetition; property, quality)
▼[bahūni] ① bahūni(nj.→ƿ.acc.pl.) → [많은]
② bahu(nj. much, many, frequent, numerous)
▼[kalpakoṭiniyutaśatasahasrāṇyātmabhāvān] ①
kalpa+koṭi+niyuta+śatasahasrāṇi(nj.→ƿ.acc.pl.) + ātmabhāvān(ƾ.acc.pl.) → [백천
백만 구지겁들을、 자기 몸들을]
② kalpa(ƾ. a day of Brahmā or 1,000­Yuga, being a period of 432 million years of
mortals)
② koṭi(ƾ. the curved end of a bow; the end or extremity, edge or point in general; the
highest point, excess; ten millions, a crore) → 俱胝
② niyuta(ƿ. a million; a hundred thousand; ten thousand crores or 100 Ayutas)
② śatasahasra(ƿ.) < śata(ƿ. a hundred) + sahasra(ƿ. a thousand; a large number)
② ātmabhāva(ƾ. existence of the soul; the self proper; the body) < ātman(ƾ. the soul;
self) + bhāva(ƾ. being, existing; state, condition)
▼[parityajet] ① parityajet(pot.Ⅲ.sg.) → [버린다면, → 바친다면, → 바친다 하더라도,]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280일째]
어불가설제일중 $ 022▲彌伽婆彌伽婆為 一 ● 毘攞伽, ○□□□□,一,於,又,於

□□□□□□□, 一一現色不可說,
於彼一一諸色內, 又現光明不可說。
□□□□□□□, 일일현색불가설,
어피일일제색내, 우현광명불가설。

於不可說諸日中,
말로 할 수 없는 낱낱 해에서
나타내는 낱낱 빛깔 말할 수 없고
저러한 하나하나 빛깔 속마다
광명을 또 나투어 말할 수 없고



[281째]
어피일일광명내 $ 023▲毘攞伽毘攞伽為 一 ● 毘伽(上)婆, ○□□□□,現,一,一,光

□□□□□□□, 現不可說師子座,
一一嚴具不可說, 一一光明不可說。
□□□□□□□, 현불가설사자좌,
일일엄구불가설, 일일광명불가설。

於彼一一光明內,
저 하나하나 광명 속에서
말로 할 수 없는 사자좌를 나타내나니
하나하나 장엄거리 말할 수 없고
하나하나 광명도 말할 수 없어





●K0960_T1552.txt★ ∴≪A잡아비담심론≫_≪K0960≫_≪T1552≫
●K0650_T0099.txt★ ∴≪A잡아함경≫_≪K0650≫_≪T0099≫
●K0745_T0101.txt★ ∴≪A잡아함경≫_≪K0745≫_≪T0101≫


■ 암산퀴즈


199* 99
35868 / 294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20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15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64 번째는?




20 법의 밝음[법명法明][주-63]을 증장시키며,
비아 도수 타, 毘阿<去聲>荼素<上聲>咤<二十知戒反>
Vyada su jya
(이하~)악한이의 마음을 조복하여 평온케 하고,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150 가라하사라남 ◐揭囉訶娑囉喃<八萬四千神王衆百五十>◑grahaㆍsahasrānāṃ
151 비타방사나가라 ◐毘陁防娑那羯囉<百五十一>◑vidvaṃsanaㆍkara//
152 호훔 도로훔 ◐呼吽<二合>咄嚕吽<三合百五十二>◑Hūṃ trūṃ
153 아스타미 마사뎨남 ◐阿瑟咤微<二合>摩舍帝喃<上百五十三>◑ashtaㆍviṃsatināṃ
154 나카 사다라남 ◐那佉<上>沙怛囉喃<上百五十四>◑nakshatrānāṃ
155 바라마타나가라 ◐婆囉摩馱那伽囉<百五十五>◑pramardamaㆍkara//
156 호훔 도로훔 ◐呼吽<二合>咄嚕吽<三合百五十六>◑Hūṃ trūṃ
157 라샤라샤 ◐囉剎囉剎<護一><切諸佛菩薩金剛天仙皆護百五十七>◑raksha raksha//
158 바가범 ◐薄伽梵<佛百五十八>◑bhagavāṃs
159 사다타가도오스니사 ◐薩怛他揭都烏瑟尼沙<佛頂百五十九>◑tathāgatoshṇisha

●너희들 유학이 아직 윤회를 다 벗어나지 못하고 발심해서
지성으로 아라한이 되려고 하면서,
이 주문을 외우지 않고
도량에 앉아서 몸과 마음이 온갖 마군의 장애에서 벗어나려는 것은 옳지 않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64
육근(六根)이 청정한 눈을 가지신 이께 귀의합니다.
南無六根淸淨眼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19701
122
법수_암기방안


23 엄지 (THUMB)
15 어깨 (shoulder)
20 가운데(손가락) (MIDDLE)

21 큰 마름 [엄지쪽 큰마름(뼈) ~ 트러피지엄trapezium]
64 척골(尺骨)[자뼈]
22 엄지 첫마디 [ 썸 넉클 THUMB knuckle]
80 거골[=발목뼈중 가장 윗뼈]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8_1006_213546 :

대장경 내 게송



고요한 곳에 자리 잡으려고 깊은 산을 찾는다.
● 就靜覓流山


출전:
한글대장경 K1259_Txxxx
어제비장전(御製秘藏詮) 북송 태종찬
御製秘藏詮 【北宋 太宗撰】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발목 돌리기



○ 2019_0113_125946_can_ab28


○ 2019_0113_133141_nik_ct18_s12


○ 2019_0113_140531_nik_Ab15


○ 2019_0113_140543_nik_CT33_s12


○ 2019_0113_141711_nik_ct7


○ 2019_0113_155758_can_Ar28_s12


○ 2019_0731_175131_can_CT27


○ 2019_0801_080859_can_ori


○ 2019_0801_112537_nik_AB4_s12


○ 2019_0801_114817_nik_bw4_s12


○ 2019_0801_115607_nik_BW22


○ 2019_0801_135205_nik_AB4_s12



○ 2020_1125_141235_can_ar24


○ 2020_1125_141857_can_Ab15


○ 2020_1125_141857_can_ct19


○ 2020_1125_142156_nik_Ar37_s12


○ 2020_1125_143608_nik_Ab35


○ 2020_1125_152132_can_BW25_s12

● [pt op tr] fr
_M#]



○ 2020_1125_155328_can_Ar28_s12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잡아함경_K0650_T0099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잡아함경』 ♣0650-022♧
[관련키워드]
잡아함경 제22권/전체5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8-10-06_잡아함경-K0650-022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4/10/2568-10-06-k0650-022.html
sfed--잡아함경_K0650_T0099.txt ☞잡아함경 제22권/전체50권
sfd8--불교단상_2568_10.txt ☞◆vcsm7601
불기2568-10-06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609341427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137
htmback--불기2568-10-06_잡아함경_K0650_T0099-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