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1년 3월 4일 목요일

불기2565-03-04_아비달마대비바사론-K0952-170


『아비달마대비바사론』
K0952
T1545

제17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아비달마대비바사론』 ♣0952-170♧





제170권







♥아래 부분은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4_104616_can_bw24_s12


○ 2019_1104_094852_can_ct19_s12


○ 2018_1023_150556_can_ct8_s12


○ 2018_1024_154212_nik_ct19


○ 2018_1022_174905_nik_CT28


○ 2018_1022_174853_can_ct19


○ 2018_1022_170216_can_BW25_s12


○ 2020_1017_163003_can_Ab15_s12


○ 2020_0910_150427_nik_BW25


○ 2020_0910_115917_nik_ar47


○ 2020_0909_155306_can_bw24


○ 2020_0905_144825_can_BW17


○ 2020_0905_113230_can_bw24


○ 2019_1201_163543_can_bw0_s12


○ 2019_1106_170127_can_ar45_s12


○ 2019_1106_155027_can_AR35_s12


○ 2019_1105_164844_nik_ct36_s12


○ 2019_1105_161824_nik_ab41_s12


○ 2019_1105_150150_nik_Ab35

● [pt op tr] fr
_M#]



○ 2019_1104_172046_nik_BW17



❋❋본문 ◎[개별논의]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
阿毘達磨大毘婆沙論卷第一百七十 性
K0952



○ [pt op tr]
[#M_▶더보기|◀접기|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170권


오백 아라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7. 정온(定蘊)

3) 섭납식 ⑤
【문】 만일 등지(等至)이면서 어느 정(淨)의 정려(靜慮)를 인연으로 삼는 것이면
곧 그것을 소연연(所緣緣)으로 삼는가?591)

가령 등지이면서 어느 정의 정려를 소연연으로 삼는 것이면
곧 그것을 인연으로 삼는가?


【답】 낱낱의 정의 정려에 의거하여 모두 4구를 만들어야 한다.
정의 초정려에 의거하여 4구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어떤 등지는 
정의 초정려를 인연으로 삼으면서도 
소연연으로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다섯 가지가 있으니,
네 가지 무량(無量)과
두 가지 해탈과
네 가지 승처(勝處)와
ᖰ 두 가지 무애해(無礙解)와 ᖱ 
세 가지 신통의 소의(所依)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초정려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인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아홉 가지가 있으니,
ᖰ 미상응(味相應)의 초정려와 ᖱ 
정의 위의 세 가지 정려와 
무루의 네 가지의 정려와 
원지(願智)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초정려를 인연으로 삼으면서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여섯 가지가 있으니,
ᖰ 정의 초정려와 ᖱ 
두 가지 무애해와 
세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592)



어떤 등지는 정의 초정려를 인연으로 삼지도 않고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서른다섯 가지가 있으니,
일곱 가지 미상응과 
정의 네 가지 무색과 
무루의 세 가지 무색과 
뒤의 네 가지 승처와 
여섯 가지 해탈과 
열 가지 변처(遍處)와 
무쟁(無諍)의 소의이다.






정의 제2 정려에 의거하여 4구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어떤 등지는 정의 제2 정려를 인연으로 삼으면서도 
소연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네 가지가 있으니,
네 가지 무량과 
두 가지의 해탈과 
네 가지의 승처와 
ᖰ 법무애해(法無礙解)와 ᖱ 
세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제2 정려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인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아홉 가지가 있으니,
ᖰ 미상응의 제2 정려와 ᖱ 
정의 초와 제3과 제4의 정려와 
무루의 네 가지 정려와 
원지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제2 정려를 인연으로 삼으면서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여섯 가지가 있으니, 
ᖰ 정의 제2 정려와 ᖱ 
두 가지 무애해와 
세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제2 정려를 인연으로 삼지도 않고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서른여섯 가지가 있으니,
일곱 가지 미상응의 것과 
정의 네 가지 무색과 
무루의 세 가지 무색과 
뒤의 네 가지 승처와 
여섯 가지 해탈과 
열 가지 변처와 
무쟁과 
ᖰ 사무애해(詞無礙解)의 소의이다.ᖱ 









정의 제3 정려에 의거하여 4구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어떤 등지는 정의 제3 정려를 인연으로 삼으면서도 소연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일곱 가지가 있으니,
세 가지의 무량593)과 법무애해와 세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제3 정려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인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아홉 가지가 있으니,
자기 지(地)의 미상응의 것과 정의 초와 제2와 제4의 정려와 무루의 네 가지 정려와 원지(願智)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제3 정려를 인연으로 삼으면서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여섯 가지가 있으니,
정의 제3 정려와 두 가지의 무애해와 세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제3 정려를 인연으로 삼지도 않고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마흔세 가지가 있으니,
일곱 가지 미상응과 정의 네 가지 무색과 무루의 세 가지 무색과 희무량(喜無量)과 여덟 가지 승처와 여덟 가지 해탈과 열 가지 변처(遍處)와 무쟁과 사무애해의 소의이다.




정의 제4 정려에 의거하여 4구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어떤 등지는 정의 제4 정려를 인연으로 삼으면서도 소연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스물두 가지가 있으니,
세 가지 무량과 정해탈(淨解脫)과 뒤의 네 가지의 승처와 앞의 여덟 가지 변처와 법무애해와 무쟁과 세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제4 정려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인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여덟 가지가 있으니,
미상응의 제4 정려와 정의 아래의 세 가지 정려와 무루의 네 가지의 정려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제4 정려를 인연으로 삼으면서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일곱 가지가 있으니,
정의 제4 정려와 두 가지의 무애해와 세 가지 신통과 원지(願智)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제4 정려를 인연으로 삼지도 않고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스물아홉 가지가 있으니,
일곱 가지 미상응의 것과 정의 네 가지의 무색과 무루의 세 가지 무색과 희무량과 일곱 가지 해탈과 앞의 네 가지의 승처와 뒤의 두 가지의 변처와 사무애해의 소의이다.




【문】 만일 등지이면서 어느 정의 무색을 인연으로 삼는 것이면 곧 그것을 소연연으로 삼는가?594)
가령 등지이면서 어느 정의 무색을 소연연으로 삼는 것이면 곧 그것을 인연으로 삼는가?



【답】 아래의 세 가지 정의 무색을 만일 등지가 그것을 인연으로 삼으면 또한 곧 그것을 소연연으로도 삼는다.
어떤 등지는 그것을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그것을 인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정(淨)의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에 대하여는 4구를 만들어야 한다.
그 중에서 만일 등지이면서 정의 공무변처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그것을 인연으로 삼지 않는 것에는 열한 가지가 있다.
정과 무루의 네 가지의 정려와 자기 지의 미상응과 무루의 것과 원지(願智)의 소의이다.
만일 등지이면서 정의 식무변처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그것을 인연으로 삼지 않는 것에는 열네 가지가 있다.
정과 무루의 네 가지 정려와 무루의 초의 두 가지 무색과 정의 공무변처와 곧 그것의 해탈과 자기 지의 미상응의 것과 원지의 소의이다.
만일 등지이면서 정의 무소유처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그것을 인연으로 삼지 않는 것에는 열일곱 가지가 있다.
정과 무루의 네 가지의 정려와 무루의 세 가지 무색과 정의 처음 두 가지 무색해탈과 자기 지의 미상응의 것과 원지의 소의이다.
정의 비상비비상처에 의거하여 4구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어떤 등지는 정의 비상비비상처를 인연으로 삼으면서도 소연연으로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한 가지가 있으니,
멸상수해탈(滅想受解脫)595)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비상비비상처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인연으로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아홉 가지가 있으니,
정과 무루의 네 가지의 정려와 세 가지 무색과 세 가지 무색해탈과 자기 지의 미상응의 것과 원지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비상비비상처를 인연으로 삼으면서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다섯 가지가 있으니,
정의 비상비비상처와 곧 그것의 해탈과 두 가지 무애해와 누진통(漏盡通)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비상비비상처를 인연으로 삼지도 않고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마흔 가지가 있으니,
일곱 가지 미상응의 것과 네 가지 무량과 처음의 세 가지 해탈과 여덟 가지 승처와 열 가지 변처와 두 가지의 무애해와 무쟁(無諍)과 다섯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문】 만일 등지이면서 어느 무루의 정려를 인연으로 삼는 것이면 곧 그것을 소연연으로 삼는가?
가령 등지이면서 어느 무루의 정려를 소연연으로 삼는 것이면 곧 그것을 인연으로 삼는가?
【답】 모든 등지는 어느 무루의 정려를 인연으로 삼는 것이면 역시 곧 그것을 소연연으로 삼는다.
어떤 등지는 그것의 무루의 정려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그것을 인연으로 삼지 않는 것이 있다.596)
그 중에서 만일 등지이면서 무루의 초정려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그것을 인연으로 삼지 않는 것에는 열 가지가 있다.
정의 네 가지 정려와 네 가지 무색과 비상비비상처해탈과 원지의 소의597)이다.
무루의 초정려처럼 무루의 제2ㆍ제3ㆍ제4 정려에 있어서도 그러하다.
【문】 만일 등지이면서 어느 무루의 무색을 인연으로 삼는 것이면 곧 그것을 소연연으로 삼는가?598)

가령 등지이면서 어느 무루의 무색을 소연연으로 삼는 것이면 곧 그것을 인연으로 삼는가?
【답】 낱낱의 무색에 의거하여 모두 4구를 만들어야 한다.
무루의 공무변처(空無邊處)에 의거하여 4구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어떤 등지는 무루의 공무변처를 인연으로 삼으면서도 소연으로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한 가지가 있으니,
타심통(他心通)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무루의 공무변처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인연으로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 가지가 있으니,
정의 네 가지 정려와 네 가지 무색과 비상비비상처해탈과 원지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무루의 공무변처를 인연으로 삼으면서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세 가지가 있으니,
무루의 네 가지 정려와 세 가지 무색과 아래의 세 가지 무색해탈과 두 가지의 무애해와 누진통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무루의 공무변처를 인연으로 삼지도 않고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마흔한 가지가 있으니,
여덟 가지 미상응의 것과 네 가지 무량과 네 가지 해탈과 여덟 가지 승처와 열 가지의 변처와 두 가지 무애해와 무쟁과 네 가지의 신통의 소의이다.
무루의 공무변처처럼 무루의 식무변처(識無邊處)와 무소유처(無所有處)에 있어서도 그러하다.
【문】 만일 등지이면서 어느 미상응의 정려를 등무간연(等無間緣)으로 삼는 것이면 곧 그것을 소연연(所緣緣)으로 삼는가?599)
가령 등지이면서 어느 미상응의 정려를 소연연으로 삼는 것이면 곧 그것을 등무간연으로 삼는가?

【답】 낱낱의 미상응의 정려에 의거하여 모두 4구를 만들어야 한다.
미상응의 초정려에 의거하여 4구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어떤 등지는 미상응의 초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도 소연연으로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세 가지가 있으니,
네 가지 무량과 처음의 두 가지 해탈과 앞의 네 가지 승처와 세 가지 신통600)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미상응의 초정려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등무간연으로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 가지가 있으니,
정의 위의 세 가지의 정려와 무루의 네 가지 정려와 의무애해(義無礙解)와 누진통과 원지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미상응의 초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도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네 가지가 있으니,
자기 지의 미상응의 것과 정의 것과 두 가지의 신통601)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미상응의 초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지도 않고 또한 소연으로도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서른여덟 가지가 있으니,
일곱 가지 미상응의 것과 정의 네 가지의 무색과 무루의 세 가지의 무색과 여섯 가지 해탈과 뒤의 네 가지 승처와 열 가지 변처와 무쟁과 세 가지 무애해의 소의이다.
미상응의 제2 정려에 의거하여 4구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어떤 등지는 미상응의 제2 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도 소연연으로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세 가지가 있으니,
네 가지 무량과 처음의 두 가지 해탈과 앞의 네 가지 승처와 세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미상응의 제2 정려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등무간연으로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아홉 가지가 있으니,
정의 위의 두 가지 정려와 무루의 네 가지 정려와 의무애해(義無礙解)와 누진통과 원지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미상응의 제2 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다섯 가지가 있느니,
자기 지(地)의 미상응의 것과 정의 초ㆍ2정려와 두 가지의 신통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미상응의 제2 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지도 않고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서른여덟 가지가 있으니,
일곱 가지 미상응과 정의 네 가지 무색과 무루의 세 가지 무색과 여섯 가지 해탈과 뒤의 네 가지 승처와 열 가지 변처와 무쟁과 세 가지 무애해의 소의이다.
미상응의 제3 정려에 의거하여 4구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어떤 등지는 미상응의 제3 정려를 등무간연(等無間緣)으로 삼으면서도 소연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여섯 가지가 있으니,
세 가지 무량과 세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미상응의 제3 정려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등무간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아홉 가지가 있으니,
정의 두 가지 정려와 무루의 네 가지 정려와 의무애해와 누진통과 원지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미상응의 제3 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다섯 가지가 있으니,
자기 지의 미상응의 것과 정의 제2ㆍ제3 정려와 두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미상응의 제3 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지도 않고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마흔다섯 가지가 있으니,
일곱 가지 미상응의 것과 정의 네 가지의 무색과 무루의 세 가지의 무색과 희무량과 여덟 가지 해탈과 여덟 가지의 승처와 열 가지 변처와 무쟁과 세 가지 무애해의 소의이다.
미상응의 제4 정려에 의거하여 4구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어떤 등지는 미상응의 제4 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도 소연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아홉 가지가 있으니,
세 가지 무량과 정해탈과 뒤의 네 가지 승처와 앞의 여덟 가지 변처와 세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미상응의 제4 정려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등무간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아홉 가지가 있으니,
정의 두 가지 정려와 무루의 네 가지 정려와 의무애해(義無礙解)와 누진통과 원지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미상응의 제4 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다섯 가지가 있으니,
자기 지의 미상응의 것과 정의 제3ㆍ제4 정려와 두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미상응의 제4 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지도 않고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서른두 가지가 있으니,
일곱 가지의 미상응의 것과 정의 네 가지의 무색과 무루의 세 가지의 무색과 희무량과 일곱 가지 해탈과 앞의 네 가지 승처와 뒤의 두 가지의 변처와 무쟁과 세 가지 무애해의 소의이다.
【문】 만일 등지(等至)이면서 어느 미상응의 무색을 등무간연으로 삼는 것이면 곧 그것을 소연연으로 삼는가?602)
가령 등지이면서 어느 미상응의 무색을 소연연으로 삼는 것이면 곧 그것을 등무간연으로 삼는가?
【답】 모든 등지는 어느 미상응의 무색을 등무간연으로 삼는 것이면 역시 곧 그것을 소연연으로 삼는다.
어떤 등지는 그 미상응의 무색을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그것을 등무간연으로 삼지 않는 것이 있다.
그 중에서 만일 등지이면서 미상응의 공무변처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그것을 등무간연으로 삼지 않는 것에는 열한 가지가 있다.
정의 세 가지의 정려와 무루의 네 가지의 정려와 자기 지의 무루의 것과 의무애해(義無礙解)와 누진통과 원지의 소의이다.
만일 등지이면서 미상응의 식무변처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그것을 등무간연으로 삼지 않는 것에는 열세 가지가 있다.
정과 무루의 네 가지의 정려와 무루의 처음의 두 가지 무색과 의무애해와 누진통과 원지의 소의이다.
만일 등지이면서 미상응의 무소유처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그것을 등무간연으로 삼지 않는 것에는 열여섯 가지가 있다.
정과 무루의 네 가지 정려와 정의 공무변처와 곧 그것의 해탈과 무루의 세 가지 무색과 의무애해와 누진통과 원지의 소의이다.

만일 등지이면서 미상응의 비상비비상처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그것을 등무간연으로 삼지 않는 것에는 열여덟 가지가 있다.
정과 무루의 네 가지 정려와 처음의 두 가지의 정(淨)의 무색과 곧 그것의 해탈과 무루의 세 가지 무색과 의무애해와 누진통과 원지의 소의이다.
【문】 만일 등지이면서 어느 정(淨)의 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는 것이면 곧 그것을 소연연으로 삼는가?
가령 등지이면서 어느 정의 정려를 소연연으로 삼는 것이면 곧 그것을 등무간연으로 삼는가?
【답】 낱낱의 정의 정려에 의거하여 모두가 4구를 만들어야 한다.
정의 초정려에 의거하여 4구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어떤 등지는 정의 초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도 소연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다섯 가지가 있으니,
네 가지 무량과 처음의 두 가지 해탈과 앞의 네 가지 승처와 두 가지 무애해603)와 세 가지의 신통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초정려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등무간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세 가지가 있으니,
정과 무루의 제4 정려와 원지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초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세 가지가 있으니,
자기 지의 미상응의 것과 정과 무루의 처음의 세 가지 정려와 두 가지 무애해와 세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초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지도 않고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서른다섯 가지가 있으니,
일곱 가지의 미상응의 것과 정의 네 가지 무색과 무루의 세 가지 무색과 여섯 가지 해탈과 네 가지 승처와 열 가지 변처(遍處)와 무쟁(無諍)의 소의이다.
정의 제2 정려에 의거하여 4구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어떤 등지는 정의 제2 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도 소연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네 가지가 있으니,
네 가지 무량과 처음의 두 가지 해탈과 앞의 네 가지 승처와 법무애해(法無礙解)와 세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제2 정려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등무간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한 가지가 있으니,
원지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제2 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네 가지가 있으니,
자기 지의 미상응의 것과 정과 무루의 네 가지 정려와 두 가지 무애해와 세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제2 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지도 않고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서른다섯 가지가 있으니,
일곱 가지의 미상응과 정의 네 가지 무색과 무루의 세 가지 무색과 여섯 가지 해탈과 네 가지 승처와 열 가지 변처와 무쟁과 사무애해(詞無礙解)의 소의이다.
정의 제3 정려에 의거하여 4구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어떤 등지는 정의 제3 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도 소연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 가지가 있으니,
세 가지 무량과 정과 무루의 공무변처와 곧 그것의 해탈과 법무애해(法無礙解)와 세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제3 정려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등무간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한 가지가 있으니,
원지(願智)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제3 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네 가지가 있으니,
자기 지의 미상응의 것과 정과 무루의 네 가지의 정려와 두 가지 무애해와 세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제3 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지도 않고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마흔 가지가 있으니,
일곱 가지 미상응의 것과 정의 위의 세 가지의 무색과 무루의 위의 두 가지 무색과 희무량과 일곱 가지 해탈과 여덟 가지 승처(勝處)와 열 가지 변처와 무쟁과 사무애해의 소의이다.
정의 제4 정려에 의거하여 4구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어떤 등지는 정의 제4 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도 소연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스물일곱 가지가 있으니,
세 가지 무량과 정해탈과 뒤의 네 가지의 승처와 앞의 여덟 가지의 변처와 무쟁과 법무애해와 세 가지 신통의 소의와 정과 무루의 처음의 두 가지 무색과 곧 그것의 해탈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제4 정려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등무간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두 가지가 있으니,
정과 무루의 초정려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제4 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세 가지가 있으니,
자기 지의 미상응의 것과 정과 무루의 위의 세 가지 정려와 두 가지 무애해와 원지와 세 가지의 신통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제4 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지도 않고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스물세 가지가 있으니,
일곱 가지 미상응의 것과 정의 위의 두 가지의 무색과 무루의 위의 한 가지 무색과 희무량과 다섯 가지 해탈과 앞의 네 가지 승처와 뒤의 두 가지 변처와 사무애해의 소의이다.
【문】 만일 등지이면서 어느 정의 무색을 등무간연으로 삼는 것이면 곧 그것을 소연연으로 삼는가?
가령 등지이면서 어느 정의 무색을 소연연으로 삼는 것이면 곧 그것을 등무간연으로 삼는가?
【답】 낱낱의 정의 무색에 의거하여 모두 4구를 만들어야 한다.
정의 공무변처에 의거하여 4구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어떤 등지는 정의 공무변처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도 소연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여섯 가지가 있으니,
정과 무루의 식무변처와 무소유처와 곧 그것의 해탈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공무변처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등무간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다섯 가지가 있으니,
정과 무루의 초(初)와 제2의 정려와 원지(願智)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공무변처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두 가지가 있으니,
자기 지의 미상응의 것과 정과 무루의 위의 두 가지의 정려와 공무변처와 곧 그것의 해탈과 변처와 두 가지 무애해와 누진통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공무변처를 등무간연으로 삼지도 않고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마흔두 가지가 있으니,
일곱 가지 미상응의 것과 정의 비상비비상처와 네 가지 무량과 다섯 가지의 해탈604)과 여덟 가지의 승처와 아홉 가지 변처와 두 가지 무애해와 무쟁과 다섯 가지의 신통의 소의이다.
정의 식무변처(識無邊處)에 의거하여 4구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어떤 등지는 정의 식무변처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도 소연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다섯 가지가 있으니,
정과 무루의 무소유처와 정의 비상비비상처와 그것의 두 가지의 해탈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식무변처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등무간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일곱 가지가 있으니,
정과 무루의 처음의 세 가지 정려와 원지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식무변처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세 가지가 있으니,
자기 지의 미상응의 것과 정과 무루의 제4 정려와 처음의 두 가지 무색과 처음의 두 가지 무색해탈과 식무변처변처(識無邊處遍處)와 두 가지 무애해와 누진통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식무변처를 등무간연으로 삼지도 않고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마흔 가지가 있으니,
일곱 가지의 미상응의 것과 네 가지 무량과 네 가지 해탈과 여덟 가지의 승처와 아홉 가지 변처와 두 가지 무애해와 무쟁과 다섯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정의 무소유처에 의거하여 4구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어떤 등지는 정의 무소유처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도 소연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두 가지가 있으니,
정의 비상비비상처와 곧 그것의 해탈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무소유처를 소연으로 삼으면서도 등무간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아홉 가지가 있으니,
정과 무루의 네 가지의 정려와 원지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무소유처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세 가지가 있으니,
자기 지의 미상응의 것과 정과 무루의 처음의 세 가지 무색과 곧 그것의 세 가지 해탈과 두 가지 무애해와 누진통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무소유처를 등무간연으로 삼지도 않고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마흔한 가지가 있으니,
일곱 가지의 미상응의 것과 네 가지 무량과 네 가지 해탈과 여덟 가지의 승처와 열 가지 변처와 두 가지 무애해와 무쟁과 다섯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정의 비상비비상처에 의거하여 4구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어떤 등지는 정의 비상비비상처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도 소연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한 가지가 있으니,
멸상수해탈(滅想受解脫)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비상비비상처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등무간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두 가지가 있으니,
정과 무루의 네 가지의 정려와 공무변처와 공무변처해탈과 원지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비상비비상처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두 가지가 있으니,
자기 지의 미상응의 것과 정의 위의 세 가지의 무색과 곧 그것의 세 가지 해탈과 무루의 위의 두 가지의 무색과 두 가지 무애해와 누진통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정의 비상비비상처를 등무간연으로 삼지도 않고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마흔 가지가 있으니,
일곱 가지 미상응의 것과 네 가지 무량과 세 가지 해탈과 여덟 가지 승처와 열 가지 변처와 두 가지 무애해와 무쟁과 다섯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문】 만일 등지이면서 어느 무루의 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는 것이면 곧 그것을 소연연으로 삼는가?
가령 등지이면서 어느 무루의 정려를 소연연으로 삼는 것이면 곧 그것으을 등무간연으로 삼는가?




【답】 낱낱의 무루의 정려에 의거하여 모두 4구를 만들어야 한다.
무루의 초정려에 의거하여 4구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어떤 등지는 무루의 초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도 소연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여섯 가지가 있으니,
네 가지 무량과 처음의 두 가지 해탈과 앞의 네 가지 승처와 두 가지의 무애해와 네 가지의 신통605)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무루의 초정려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등무간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네 가지가 있으니,
정과 무루의 제4 정려와 정의 네 가지 무색과 무루의 세 가지 무색과 네 가지 무색해탈과 원지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무루의 초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 가지가 있으니,
정과 무루의 처음의 세 가지 정려와 두 가지 무애해와 두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무루의 초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지도 않고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스물다섯 가지가 있으니,
여덟 가지 미상응의 것과 두 가지 해탈과 뒤의 네 가지 승처와 열 가지 변처와 무쟁의 소의이다.
무루의 제2 정려에 의거하여 4구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어떤 등지는 무루의 제2 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도 소연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다섯 가지가 있으니,
네 가지 무량과 처음의 두 가지 해탈과 앞의 네 가지 승처와 법무애해와 네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무루의 제2 정려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등무간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두 가지가 있으니,
정의 네 가지 무색과 무루의 세 가지 무색과 네 가지 무색해탈과 원지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무루의 제2 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두 가지가 있으니,
정과 무루와의 네 가지의 정려와 두 가지 무애해와 두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무루의 제2 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지도 않고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스물여섯 가지가 있으니,
여덟 가지 미상응의 것과 두 가지 해탈과 뒤의 네 가지 승처와 열 가지 변처와 무쟁과 사무애해(詞無礙解)의 소의이다.
무루(無漏)의 제3 정려에 의거하여 4구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어떤 등지는 무루의 제3 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도 소연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여덟 가지가 있으니,
세 가지 무량과 법무애해와 네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무루의 제3 정려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등무간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아홉 가지가 있으니,
정의 위의 세 가지 무색과 곧 그것의 세 가지 해탈과 무루의 위의 두 가지의 무색과 원지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무루의 제3 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다섯 가지가 있으니,
정과 무루의 네 가지의 정려와 공무변처와 공무변처해탈(空無邊處解脫)과 두 가지의 무애해와 두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무루의 제3 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지도 않고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서른세 가지가 있으니,
여덟 가지 미상응의 것과 희무량(喜無量)과 네 가지 해탈과 여덟 가지 승처와 열 가지 변처와 무쟁과 사무애해의 소의이다.
무루의 제4 정려에 의거하여 4구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어떤 등지는 무루의 제4 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도 소연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스물두 가지가 있으니,
세 가지 무량과 정해탈과 뒤의 네 가지의 승처와 앞의 여덟 가지의 변처와 법무애해와 무쟁과 네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무루의 제4 정려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등무간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일곱 가지가 있으니,
정과 무루의 초정려와 정의 위의 두 가지 무색과 그것의 두 가지 해탈과 무루의 위의 한 가지의 무색606)이다.

어떤 등지는 무루의 제4 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일곱 가지가 있으니,
정과 무루의 위의 세 가지 정려와 처음의 두 가지 무색과 처음의 두 가지 무색해탈과 두 가지 무애해와 두 가지의 신통과 원지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무루의 제4 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지도 않고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아홉 가지가 있으니,
여덟 가지 미상응과 희무량과 세 가지의 해탈과 앞의 네 가지의 승처와 뒤의 두 가지의 변처와 사무애해의 소의이다.
【문】 만일 등지(等至)이면서 어느 무루의 무색을 등무간연으로 삼는 것이면 곧 그것을 소연연으로 삼는가?
가령 등지이면서 어느 무루의 무색을 소연연으로 삼는 것이면 곧 그것을 등무간연으로 삼는가?
【답】 무루의 처음의 두 가지 무색에 의해서는 각각 4구를 만들어야 하며,
무루의 뒤의 한 가지 무색에 의해서는 앞의 구절에 따르는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
무루의 공무변처에 의거하여 4구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어떤 등지는 무루의 공무변처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도 소연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한 가지가 있으니,
공무변처변처(空無邊處遍處)이다.
어떤 등지는 무루의 공무변처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등무간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일곱 가지가 있으니,
정과 무루의 초ㆍ2정려와 정의 비상비비상처와 그것의 해탈과 원지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무루의 공무변처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여섯 가지가 있으니,
정과 무루의 뒤의 두 가지 정려와 처음의 세 가지 무색과 곧 그것의 해탈과 두 가지 무애해와 누진통(漏盡通)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무루의 공무변처를 등무간연으로 삼지도 않고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마흔한 가지가 있으니,
여덟 가지 미상응의 것과 네 가지 무량과 네 가지 해탈과 여덟 가지 승처와 아홉 가지의 변처와 두 가지 무애해와 무쟁과 다섯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무루의 식무변처(識無邊處)에 의거하여 4구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어떤 등지는 무루의 식무변처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도 소연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한 가지가 있으니,
식무변처변처이다.
어떤 등지는 무루의 식무변처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등무간연으로는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일곱 가지가 있으니,
정과 무루의 처음의 세 가지 정려와 원지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무루의 식무변처를 등무간연으로 삼으면서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열여섯 가지가 있으니,
정과 무루의 제4 정려와 아래의 세 가지 무색과 정의 비상비비상처와 네 가지의 무색해탈(無色解脫)과 두 가지 무애해와 누진통의 소의이다.
어떤 등지는 무루의 식무변처를 등무간연으로 삼지도 않고 또한 소연연으로도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마흔한 가지가 있으니,
여덟 가지 미상응과 네 가지 무량과 네 가지 해탈과 여덟 가지 승처와 아홉 가지의 변처와 두 가지 무애해와 무쟁과 다섯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무루의 무소유처에 의하여 순전구(順前句)를 만들면 다음과 같다.
만일 등지이면서 무루의 무소유처를 등무간연으로 삼는 것이면 또한 곧 그것을 소연연으로 삼는다.
어떤 등지는 무루의 무소유처를 소연연으로 삼으면서도 그것을 등무간연으로 삼지 않는 것이 있다.
여기에는 아홉 가지가 있으니,
정과 무루의 네 가지 정려와 원지의 소의이다.
【문】 혹시 어떤 한 가지 등지가 앞에 나타나 있을 때에 서른세 가지 등지는 버리면서 얻지 않으며,
여덟 가지의 등지는 얻으면서 버리지 않으며,
두 가지의 등지는 버리기도 하고 얻기도 하며,
두 가지의 등지는 일부분은 버리면서 일부분을 얻고 일부분은 버리지도 않으면서 얻지도 않으며,
열세 가지 등지는 일부분은 버리면서 얻지 않고 일부분은 버리지도 않으면서 얻지도 않으며,
일곱 가지 등지는 버리는 것도 아니고 얻는 것도 아닌 것이 있는가?607)

【답】 있다.
혜해탈(慧解脫) 아라한이 미상응의 초정려를 일으켜서 물러나는 그때에 예순다섯 가지 등지 중에서 서른세 가지는 버리면서 얻지 않는 것이니,
정과 무루의 위의 세 가지의 정려와 정과 무루의 무색과 다섯 가지의 해탈608)과 뒤의 네 가지 승처와 열 가지 변처와 누진통의 소의이다.
여덟 가지는 얻으면서 버리지 않는 것이니,
미상응의 정려와 무색이다.
두 가지는 버리기도 하고 얻기도 하는 것이니,
무루와 정의 초정려이다.
무학의 것과 위에서 닦을 바를 버리고 학의 것과 퇴분(退分)609)을 얻기 때문이다.
두 가지는 일부분은 버리면서 일부분은 얻고 일부분은 버리지도 않으면서 얻지도 않는 것이니,
어떤 이로서 무루의 숙주수념지통(宿住隨念智通)도 있게 하려 하는 이면 그것에 의거하여 이런 문답을 만들 수 있다.
숙주수념지통과 타심지통은 그때에 일부분을 버리는 것이니,
곧 온갖 무학(無學)의 상지(上地)의 유루(有漏)와 무학위(無學位) 등에서 닦은 것이요,
초정려의 유루의 것은 일부분 얻는 것이니 곧 초정려의 학(學)의 것이며,
일부분은 버리지도 않고 얻지도 않는 것이니 곧 초정려의 그 밖의 나머지의 유루의 것610)이라고 할 수 있다.
만일 어떤 이로서 숙주수념지통으로 하여금 오직 유루에만 있게 하려는 이면 그것에 의거하여 이런 문답을 만들지 않아야 한다.
숙주수념지통은 그때에 다만 일부분만이 버리는 것이 있을 뿐이며,
그리고 일부분은 버리지도 않고 얻지도 않기 때문이다.

열세 가지는 일부분은 버리면서 얻지 않고 일부분은 버리지도 않으면서 얻지도 않는 것이니,
네 가지의 무량과 처음의 두 가지의 해탈과 앞의 네 가지의 승처와 세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곧 상지의 온갖 것과 자기 지의 무학위(無學位)에서 닦은 것은 버리면서 얻지 않으며,
그 밖의 나머지 자기 지의 것은 버리지도 않고 얻지도 않는다.
일곱 가지는 버리는 것도 아니고 얻는 것도 아니니,
네 가지의 무애해와 무쟁과 원지의 소의와 멸진해탈(滅盡解脫)이다.
본래부터 아직 얻지 못했기 때문이다.
【문】 한 가지의 등지를 얻고서 버리는 것이 없는 것이 있는가?
【답】 있다.
멸진해탈을 얻은 때이다.
【문】 혹시 단번에 여섯 가지 등지를 얻고서 버리는 것이 없는 것도 있는가?
【답】 있다.
아라한이 처음에 원지를 일으켰을 때에 단번에 여섯 가지의 등지를 얻는 것이니,
네 가지 무애해와 무쟁과 원지의 소의이다.
【문】 혹시 한 가지 등지를 버리면서 얻는 것이 없는 것도 있는가?
【답】 있다.
변정천(遍淨天)에서 죽어 광과천(廣果天)에 태어날 때에 정의 제3 정려를 버리면서 얻는 것이 없는 것을 말한다.
【문】 4향(向) 4과(果)의 보특가라(補特伽羅)가 예순다섯 가지의 등지에서 몇 가지를 성취하고 몇 가지를 성취하지 않는가?611)
【답】 예류향(預流向)은 여덟 가지를 성취하는 것이니,
여덟 가지의 미상응의 것이며,
그 밖의 다른 것은 성취하지 않는다.
예류향처럼 예류과(預流果)와 일래향(一來向)과 일래과(一來果)에 있어서도 그러하다.
불환향(不還向)은 아주 적게는 여덟 가지를 성취하는 것이니,
앞의 설명에서와 같이 곧 점차로 성취하는 이이다.

아주 많으면 마흔일곱 가지를 성취하는 것이니,
곧 이미 무소유처의 염(染)을 여의고 제4 정려에 의하여 정성이생(正性離生)에 들어간 이이다.
정과 무루의 네 가지 정려와 정의 네 가지 무색과 미상응의 비상비비상처와 네 가지 무량과 일곱 가지 해탈과 여덟 가지 승처와 열 가지 변처와 다섯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불환과로서 아주 많은 것으로는 불환향에서의 설명과 같으며,
아주 적게는 스물다섯 가지를 성취하는 것이니,
여덟 가지 미상응의 것과 정과 무루의 초정려와 네 가지 무량과 처음의 두 가지 해탈과 앞의 네 가지 승처와 다섯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혹은 한두 가지 미(味)가 줄어지고 한두 가지 정(淨)을 더하기도 하지만 모두 역시 스물다섯 가지이다.
아라한향으로서 아주 적게는 열세 가지를 성취하는 것이니,
곧 비상비비상처에 태어나서 멸진해탈을 얻지 못한 이면 무루의 네 가지 정려와 세 가지 무색과 미상응과 정(淨)의 비상비비상처와 네 가지 해탈이며,
만일 무소유처에 태어나서 아직 자기 지의 염을 여의지 못한 이면 역시 열세 가지를 성취하는 것이니,
한 가지의 미를 더하고 한 가지 해탈을 감(減)한다.
아주 많은 것으로는 쉰한 가지를 성취하는 것이니,
곧 욕계나 범천세계[梵世]에 태어나 있는 신증(身證)이어서 한 가지 미의 것과 여덟 가지 정의 것과 일곱 가지 무루의 것과 네 가지 무량과 여덟 가지 해탈과 열 가지 변처와 다섯 가지 신통의 소의이다.
아라한과(阿羅漢果)로서 아주 적게는 열세 가지를 성취하는 것이니,
곧 비상비비상처에 태어나는 혜해탈(慧解脫)의 아라한이어서 일곱 가지 무루의 것과 한 가지 정의 것과 네 가지 해탈과 누진통의 소의이다.
아주 많은 것으로는 쉰일곱 가지를 성취하는 것이니,
무애해와 무쟁(無諍)과 원지(願智)를 얻는 이는 오직 여덟 가지 미상응(味相應)을 제외한 그 밖의 다른 것은 모두 갖추어 소유한다.
부처님께서는 반드시 쉰일곱 가지를 성취하시며,
독각(獨覺) 중에서도 부행(部行)의 분은 욕계의 성문(聲聞)과 같고,
인각유(麟覺喩)의 분은 부처님과 같다.



--------------

591)
본절은 앞 절의 계속으로서 정과 무루의 정려와 무색이 인연으로 삼는 등지와 소연연으로 삼는 등지의 상호관계를 논구하는 문단이다.
여기는 먼저 등지이면서 정의 정려를 인연으로 삼는 것과 소연연으로 삼는 것과의 관계를 논한다.
이 관계는 낱낱 모두를 4구의 분별로써 밝힌다.
592)
두 가지 무애해는 의(義)와 변(辯)이며,
세 가지의 신통은 타심지통(他心智通)과 숙주수념지통(宿住隨念智通)과 누진통(漏盡通)의 세 가지이다.
이들 가운데서 
타심지통은 욕계ㆍ색계의 심ㆍ심소법 또는 불계(不繫)의 심ㆍ심소법을 반연하고,
숙주수념지통은 욕계ㆍ색계의 5온의 어느 것도 다 반연하며,
누진지통은 온갖 법을 반연하기 때문이다.
이하는 이것에 준한다.
593)
희무량(喜無量)이 제외된다.

594)
등지이면서 정의 무색을 인(因)으로 삼는 것과 소연(所緣)으로 삼는 것과의 관계를 논한다.
이하의 글은 정의 무색은 자기 지의 정에만 인연이 되며,
정의 공무변처는 자기 지의 미상응과 정과 무루,
그리고 정과 무루의 4정려에 소연이 되고,
정의 식무변처는 자기 지의 미상응과 정과 무루,
그리고 정과 무루의 4정려와 공무변처에 소연이 되며,
정의 무소유처는 자기 지의 미상응과 정과 무루,
그리고 정과 무루의 4정려와 아래의 두 가지 무색에 소연이 되고,
정의 비상비비상처는 자기 지의 미상응과 정,
그리고 정과 무루의 4정려와 아래의 세 가지 무색에 소연이 되기 때문이다.
595)
멸상수해탈은 비상비비상처에 있고 이 해탈에는 소연이 없기 때문에 유정(有頂)을 인으로 삼으면서도 소연으로는 삼지 않는다.
596)
이하의 글은 무루의 정려는 온갖 무루의 정려와 무색에 인연이 된다는 것과 무루의 정려는 정과 무루의 온갖 정려와 무색에 소연이 된다는 것을 알면 이해하기가 쉽다.
597)
원지의 소의인 등지(等至)가 무루의 등지를 인연으로 하지 않는 것은 원지는 세속지(世俗智)이므로 그 소의의 정(定)도 무루정(無漏定)은 아니기 때문이다.
598)
등지이면서 무루의 무색을 인연으로 삼는 것과 소연연으로 삼는 것과의 관계를 논한다.
이하의 글은 무루의 무색은 온갖 무루의 정려와 무색에만 인연이 된다는 것과 무루의 무색은 자기 지의 미상응ㆍ정ㆍ무루의 4정려와 무색에 모두 소연연이 된다는 것을 이해하면 알기가 쉽다.
그리고 그 하나하나의 무색에 대해서는 4구로 분별한다.
599)
본절은 65등지 중에서 미상응ㆍ정ㆍ무루의 4정려와 4무색 중의 어느 것을 등무간연(等無間緣)으로 삼으며 소연연으로 삼는 지의 상호 관계를 논구하는 문단이다.
여기서는 먼저 등지이면서 미상응의 정려를 등무간연으로 삼는 것과 소연연으로 삼는 것과의 관계를 말하는데,
미상응의 정려가 등지에 등무간연이 되는 것과 소연연이 되는 데에는 관협(寬狹)의 차이가 있으므로 이하에서 낱낱이 4구로써 분별한다.
600)
세 가지 신통은 신경통(神境通)ㆍ천안통(天眼通)ㆍ천이통(天耳通)이다.
이하는 이것에 준한다.
601)
두 가지 신통은 숙주통(宿住通)과 타심통이다.
이하는 이것에 준한다.
602)
등지이면서 미상응의 무색을 등무간연(等無間緣)으로 삼는 것과 소연연으로 삼는 것과의 관계를 논한다.
이하의 글은 앞에서 설명한 등지로서 미상응의 무색을 인연으로 삼는 것과 등무간연으로 삼는 것과의 관계와 인연으로 삼는 것과 소연연으로 삼는 것과의 관계론을 참조할 것.
603)
두 가지 무애해는 법(法)과 사(詞)이다.
604)
다섯 가지의 해탈은 처음의 두 가지 해탈과 무소유처해탈(無所有處解脫)과 비상비비상처해탈(非想非非想處解脫)과 멸상수해탈(滅想受解脫)이다.
605)
네 가지 신통은 신경통과 천안통과 천이통과 숙주수념통이다.
이들은 모두 유루법을 소연으로 삼기 때문이다.
606)
무루의 무소유처를 말한다.
607)
본절은 앞에서 나온 정려와 무색의 득사(得捨)에 대한 논의의 계속으로서,
우선 혜해탈(慧解脫)이 미상응(味相應)의 초정려를 일으켜서 물러나는 경우의 예순 가지 등지 중의 득과 사에 대하여 논하고,
멸진해탈(滅盡解脫)을 얻는 때와 아라한이 원지를 얻는 때와 변정천(遍淨天)에서 죽어서 광과천(廣果天)에 태어나는 때의 등지의 득과 사에 대하여 밝히는 문단이다.
608)
다섯 가지 해탈이란 제3의 정해탈과 나아가 비상비비상처해탈의 다섯 가지이다.
멸상수해탈은 혜해탈 아라한을 아직 얻지 못했기 때문에 버리지 않는다.
609)
순퇴분(順退分)의 초정려를 말한다.
610)
구해탈(俱解脫) 아라한이 얻는 유루의 초정려의 두 가지 신통이다.
이것은 혜해탈은 아직 얻지 못하기 때문이다.
611)
본절은 성문,
즉 4향 4과의 보특가라의 하나하나는 65등지 중의 몇 가지를 성취하는가와 독각(獨覺)과 불타(佛陀)는 몇 가지를 성취하는가 등을 논구하는 문단이다.

● [pt op tr] fr
_M#]




★%★


○ 음악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us0fl--Mireille Mathieu - Conte De Fees.lrc







◎◎[개별논의] ❋본문

● 논서내용과 실증


『아비달마대비바사론』에서 다음의 문제를 살핀다. 

ᖰ 【문】 만일 등지(等至)이면서 어느 정(淨)의 정려(靜慮)를 인연으로 삼는 것이면 
곧 그것을 소연연(所緣緣)으로 삼는가?591)ᖱ 

『아비달마대비바사론』 ♣0952-170♧ 


그런데 일반적으로 제기하는 의문 내용 자체를 이해하기 쉽지 않다. 
여러 낯선 표현이 문장에 들어 있다. 

예를 들어 등지, 정(淨)의 정려(靜慮), 인연, 소연연, 이런 표현 자체가 낯설다. 
그래서 어떤 것을 문제로 삼아 논의하는 것인가 자체가 파악하기 힘들다. 
한편, 그 내용을 이해한다해도 이런 문제를 제기하고 살피게 되는 사정을 이해하기 쉽지 않다. 

일반적인 입장에서는 정려 수행 자체가 낯설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정려 수행과정에서 왜 이런 것이 문제되는가를 이해하기 힘들다. 

우선 문제를 파악하려면 낯선 표현 하나하나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1★





◆vllv7450

◈Lab value 불기2565/03/04


○ 2020_0525_185850_can.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Theophile Steinlen-vierge-a-vendre
[#M_▶더보기|◀접기|
Artist: Theophile Steinlen
https://en.wikipedia.org/wiki/Théophile_Steinlen
Title : vierge-a-vendre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18_0419_140713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Taras_Shevchenko_bw
[#M_▶더보기|◀접기|
영어 : Taras Shevchenko , 1814-1861
Українська : Фесченка зроблено у фотоательє І. 1858 년. На ньоау Шевченко белій головного убору, білій сорочці і темному піджаку. Після смерті І. Досса зого негатива злоблено кілька відбитків у фотоательє Д. Здобнова. Художники О. Бобров, С. Красицький, В. Касіян Костворенні портретів поета. За цією ж фотографією І. Рєпін 1888 написав портрет для світлиці в хаті, збудованій написав Чарнечій горі для сторожа могили Шевченка.
날짜 1858 년
출처 국립 타 라스 셰브첸코 박물관
저자 미 콜라 (이오안) 도사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nuuk-greenland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상세정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2/nuuk-greenland.html
https://buddhism007.tistory.com/18095




○ 음악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us0fl--Charles Aznavour - Trousse Chemise.lrc


Charles Aznavour - Trousse Chemise



♥단상♥결핍과 폄훼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3/2565-03-04-k0952-170.html#7450
sfed--아비달마대비바사론_K0952_T1545.txt ☞제170권
sfd8--불교단상_2565_03.txt ☞◆vllv7450
불기2565-03-04
θθ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범】samādhi 삼마지(三摩地)ㆍ삼마제(三摩提)ㆍ삼매(三昧)라 음역. 정(定)의 다른 이름. 정을 닦으면 마음을 한 경계에 머물러 산란치 않게 함을 말함. 평등하게 유지하므로 등지라 한다.

답 후보
● 등지(等持)
람비니(藍毘尼)
뢰야연기(賴耶緣起)
마누사(摩㝹沙)

마등기(摩登祇)
마하가섭(摩訶迦葉)
마하승기부(摩訶僧祇部)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Thomas Dutronc - Canzone Per Maria (Interprete Par Antoine Tatich)
Johnny Hallyday - Quand Revient La Nuit
Monique Leyrac - Mes Longs Voyages, Presence
ALAIN CHAMFORT - Manura
Mireille Mathieu - Conte De Fees
Jean - Pierre Mader - DISPARUE
Serge Gainsbourg - Le Sonnet D'arvers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Buddhism- three branches: Theravada, Mahayana, Vajrayana
[san-chn] pradakṣiṇīkṛtvā 畢已
[san-eng] pādau $ 범어 feet
[pali-chn] kilesa 煩惱
[pal-eng] aakaasacaarii $ 팔리어 adj.going through the air.
[Eng-Ch-Eng] TEN DHARMA REALMS Ten Dharma Realms 十法界 also known as ten states of existence, which are 1.Hell 2.Ghost 3.Animal 4.Asura 5.Man 6.Deva 7.Sravaka (Sound-Hearer Arhat) 8.Praetyka-Buddha 9.Bodhisattva 10.Buddha Each Dharma realm has its own characteristics, and its existence is attributed to the retribution of the beings. The lowest six realms (1-6) are known as the Six Paths or Six Realms. These six states of existence are subjected to birth and death, and then rebirth for many lives. The upper four realms are known as the Four Holy Realms. These four states of existence are beyond birth and death and liberated from the Samsara
[Muller-jpn-Eng] 口業供養 クゴウクヨウ offering through verbal action
[Glossary_of_Buddhism-Eng] COSMOLOGY☞
See also: Adamantine Mountains; Borobudur; Cosmic Age;
[fra-eng] affranchies $ 불어 liberated


■ 암산퀴즈


81* 638
5191 / 29


■ 다라니퀴즈

자비주 63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63 번째는?




63
마땅히 알라.
이 사람은 약왕(藥王)을 지닌 곳간이니,
항상 이 다라니로
중생의 병을 치료하는 까닭이니라.
● 사바하 娑婆訶<六十三> s vā hā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63
가마라 바
迦摩羅<引>婆<六十三>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63일째]
보살여시대자비 $ 063▲那麼怛羅那麼怛羅為 一 ● 奚麼怛羅, ○□□□□,利,普,入,見

□□□□□□□, 利益一切諸世間,
普現其身不可說, 入諸佛剎不可說,
□□□□□□□, 이익일체제세간,
보현기신불가설, 입제불찰불가설,

보살이 이와 같은 큰 자비로써
저 모든 세간들을 이익케 하며
그 몸 두루 나타냄을 말할 수 없고
모든 세계 들어감을 말할 수 없고



[64째]
견제보살불가설 $ 064▲奚麼怛羅奚麼怛羅為 一 ● 鞞麼怛羅, ○□□□□,發,請,敷,現

□□□□□□□, 發生智慧不可說,
請問正法不可說, 敷揚佛教不可說,
□□□□□□□, 발생지혜불가설,
청문정법불가설, 부양불교불가설,

여러 보살 보는 일을 말할 수 없고
지혜를 내는 것도 말할 수 없고
바른 법 묻는 것도 말할 수 없고
불교를 널리 폄도 말할 수 없어

065□



●K0953_T1559.txt★ ∴≪A아비달마구사석론≫_≪K0953≫_≪T1559≫
●K0952_T1545.txt★ ∴≪A아비달마대비바사론≫_≪K0952≫_≪T1545≫
●K0944_T1544.txt★ ∴≪A아비달마발지론≫_≪K0944≫_≪T1544≫

법수_암기방안


63 전박 (前膊) ~ 아래팔뚝
64 척골(尺骨)[자뼈]
63 전박 (前膊) ~ 아래팔뚝
63 전박 (前膊) ~ 아래팔뚝

51678
179

○ 2020_1114_134341_nik_ct9_s12 삼각산 도선사


○ 2018_1023_172723_nik_Ab35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18_1023_133711_nik_BW17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18_1022_175405_can_Ar37_s12 공주 태화산 마곡사


○ 2020_1017_164238_can_Ab35 삼각산 화계사


○ 2020_1017_163622_nik_bw0_s12 삼각산 화계사


○ 2020_1017_145724_can_ct4 삼각산 화계사


○ 2020_1017_144108_nik_Ar37 삼각산 화계사


○ 2020_1002_122327_can_ct9_s12 파주 고령산 보광사


○ 2020_0911_122234_nik_ct1 제천 의림지 대도사


○ 2020_0910_182812_can_ct8 월악산 신륵사


○ 2020_0910_182349_can_ab41 월악산 신륵사


○ 2020_0907_122021_nik_ar45 양산 보광사


○ 2020_0906_105221_nik_Ab31 천축산 불영사


○ 2020_0905_162951_can_ori_rs 오대산 적멸보궁


○ 2020_0904_144739_can_bw5 원주 구룡사


○ 2020_0904_133726_can_CT27 원주 구룡사


○ 2020_0904_091456_can_CT27 여주 신륵사


○ 2019_1106_135804_can_ar45_s12 화순 영구산 운주사

● [pt op tr] fr
_M#]



○ 2019_1106_111301_nik_Ar28 화순 영구산 운주사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tistory.com/5857

○ [pt op tr]
● 아비달마대비바사론_K0952_T1545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아비달마대비바사론』 ♣0952-170♧
[관련키워드]
제17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5-03-04_아비달마대비바사론-K0952-170
https://buddhism007.tistory.com/18140
sfed--아비달마대비바사론_K0952_T1545.txt ☞제170권
sfd8--불교단상_2565_03.txt ☞◆vllv7450
불기2565-03-04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2264679570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3/2565-03-04-k0952-170.html
htmback--불기2565-03-04_아비달마대비바사론_K0952_T1545-tis.htm
● [pt op tr] fr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