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설금강향보살대명성취의궤경』
K1207
T1170
불설금강향보살대명성취의궤경 하권/전체3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5-06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1207_T1170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불설금강향보살대명성취의궤경』
♣1207-003♧
불설금강향보살대명성취의궤경 하권/전체3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2019_1106_103557_nikon_exc▾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04033_nikon_exc_s12▾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24131_canon_fix▾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201_164653_canon_fix▾원주 구룡사
○2020_0910_115707_nikon_ori_rs▾속리산 법주사
○2020_0911_112254_nikon_ori_rs▾제천 의림지 대도사
○2018_1022_141408_nikon_ori▾공주 계룡산 갑사
○2020_1114_163252_canon_exc▾삼각산 도선사
○2019_1104_132809_nikon_fix▾구례 화엄사 연기암
○2021_1002_123314_canon_exc_s12▾영천_팔공산_은해사
○2021_1007_110032_nikon_exc_s12▾영광_법성포_백제불교최초도래지_마라난타사
○2021_0214_180709_nikon_exc_s12▾홍천_공작산_수타사
○2016_0412_153534_nikon_exc▾진안_마이산_탑사
○2021_1003_150113_canon_exc_s12▾밀양_삼량진_금오산_여여정사
○2016_0411_170834_nikon_exc_s12▾하동_지리산_쌍계사
○2021_0217_104846_nikon_exc_s12▾서산_운산면_마애삼존불
○2015_0525_123737_nikon_exc▾서울_북악산_성불사
○2017_1107_100705_nikon_exc▾정읍_내장산_내장사
○2022_1024_134256_nikon_exc▾서울_삼각산_화계사
● [pt op tr] fr
_M#]
○2021_1006_104007_nikon_exc▾해남_봉화산_대흥사
❋❋본문 ♥
◎[개별논의]
★%★
『불설금강향보살대명성취의궤경』
♣1207-003♧
불설금강향보살대명성취의궤경 해제 (있는 경우)
불설금강향보살대명성취의궤경 003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 ❋본문
★1★
◆vghl1775
◈Lab value 202210241342 |
♥단상♥ ![]()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5/k1207-003.html#1775 sfed--불설금강향보살대명성취의궤경_K1207_T1170.txt ☞불설금강향보살대명성취의궤경 하권/전체3권 sfd8--불교단상_2569_05.txt ☞◆vghl1775 불기2569-05-06 θθ |
■ 퀴즈
법라(法螺) 소라고동. 불사(佛事)하는 때를 알려 대중을 모이게 하는 기구.
답 후보
● 패(貝)
평등심(平等心)
포외시(怖畏施)
표전(表詮)
필발라(畢鉢羅)
하리제모법(訶利帝母法)
하품중생(下品中生)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Michel Sardou - Passer L'amour (Avec Marie Carmen)
Catherine Lara - Passer Ma Route
Brigitte Bardot - Tu Veux, Tu Veux Pas
Louane - Midi sur novembre ft. Julien Doré
Nicolas Peyrac - De L'autre Cote D'la Lune (Avec Francois Morel)
Barbara - Tu Ne Te Souviendras Pas
Debout Sur Le Zinc - La Fuite En Avant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48▲ 由㠯以田占 ■ 유이이전점 48 ( 말미암을 유, / 여자의 웃는 모양 요 ) ( 써 이 / 를 가지고, ~를 근거( 根據)로 이 )CF= 吕 ( 성씨 려 ,)( 써이 / 㠯 )( 밭 전) (점령할 점/점칠 점 )
061▲ 州竹至舛虫 ■ 주죽지천충 61 ( 고을 주 ) ( 대 죽 )( 이를 지, / 덜렁대는 모양 질 )( 어그러질 천 )( 벌레 충, / 벌레 훼, 찔 동)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Ten Stages Sutra
[san-chn] bhūta-sukha 實樂
[san-eng] lakṣmaṇopetaṃ $ 범어 having Lakṣmana nearby
[pali-chn] ojā 氣味
[pal-eng] laggetvaa $ 팔리어 abs. of laggetihaving hung on; having stuck to.
[Eng-Ch-Eng] 僧朗 Sungnang. One of the earliest eminent monks from Koguryo (5-6c) who traveled in China and spent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and studying Sanlun 三論 and Huayan 華嚴 before returning to Koguryo.
[Muller-jpn-Eng] 眞實義愚 シンジツギグ folly regarding reality
[Glossary_of_Buddhism-Eng] LU K’UAN YU☞
See: Luk, Charles (1898-1978).
[fra-eng] tuez $ 불어 kill
[chn_eng_soothil] 理身理土 The dharmakāya in the dharmakṣetra, e.g. the spiritual Vairocana in the eternal light.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何以故? 須菩提, 若樂小法者, 着我見人見衆生見壽者見, 卽於此經,
不能聽受讀誦, 爲人解說.
무슨 까닭이겠는가? 수보리야, 소승법(小乘法)을 좋아하는 이는 아상、인상、
중생상、수자상의 소견에 집착되므로 이 경을 듣지도 못하고 읽고 외우지도
못하고 남에게 일러주지도 못하기 때문이니라.
[玄奘] 何以故? 善現, 如是法門, 非諸下劣信解有情所能聽聞!
非諸我見、非諸有情見、非諸命者見、非諸士夫見、非諸補特伽羅見、非諸意生見
、非諸摩納婆見、非諸作者見、非諸受者見所能聽聞!
此等若能受持、讀誦、究竟通利、及廣為他宣說開示、如理作意, 無有是處!
[義淨] 何以故? 妙生, 若樂小法者,則著我見、眾生見、壽者見、更求趣見,
是人若能讀誦、受持此經, 無有是處!
15-07 तत्कस्य हेतोः ? न हि शक्यं सुभूते अयं धर्मपर्यायो हीनाधिमुक्तिकैः सत्त्वैः श्रोतुम्, नात्मदृष्टिकैर्न सत्त्वदृष्टिकैर्न जीवदृष्टिकैर्न पुद्गलदृष्टिकैः।
नाबोधिसत्त्वप्रतिज्ञै सत्त्वैः शक्यमयं धर्मपर्यायः श्रोतुं वा उद्ग्रहीतुं वा धारयितुं वा वाचयितुं वा पर्यवाप्तुं वा।
नेदं स्थानं विद्यते॥
tatkasya hetoḥ | na hi śakyaṁ subhūte ayaṁ dharmaparyāyo
hīnādhimuktikaiḥ sattvaiḥ śrotuṁ nātmadṛṣṭikairna sattvadṛṣṭikairna
jīvadṛṣṭikairna pudgaladṛṣṭikaiḥ | nābodhisattvapratijñaiḥ sattvaiḥ
śakyamayaṁ dharmaparyāyaḥ śrotuṁ vodgrahītuṁ vā dhārayituṁ vā
vācayituṁ vā paryavāptuṁ vā | nedaṁ sthānaṁ vidyate |
그것은 어떤 이유인가? 수보리여! 이 법문은 희박한 믿음을 지닌 중생들에 의해
들려지는 것이 불가능하며, 자아라는 견해를 가진 자들에 의해서도 아니요, 중생이라는
견해를 가진 자들에 의해서도 아니요, 영혼이라는 견해를 가진 자들에 의해서도 아니요,
개체아라는 견해를 가진 자들에 의해서도 들려지지 않는다. 이 법문은 깨달음갖춘이가
되겠다는 서원을 지니지 않은 중생들에 의해서 (그들이) 듣는다거나 배운다거나
외운다거나 독송한다거나 깊이 이해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런 경우는 존재하지
않는다.”
▼▷[tatkasya] ① tat(pn.ƿ.nom.) + kasya(pn.ƾ.gen.) → [그것은、 어떤]
▼[hetoḥ] ① hetoḥ(ƾ.gen.) → [이유인가?]
▼▷[na] ① na(ƺ.)
▼[hi] ① hi(ƺ.) → [참으로]
▼[śakyaṁ] ① śakyaṁ(njp.→ƾ.nom.) → [가능하지가 않다]
② śakya(pass.pot.p. possible, practicable, capable; fit to be effected; easy to be effected)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ayaṁ] ① ayaṁ(pn.ƾ.nom.) → [이]
▼[dharmaparyāyo] ① dharma+paryāyaḥ(ƾ.nom.) → [법문은]
▼[hīnādhimuktikaiḥ] ① hīna+adhimuktikaiḥ(nj.→ƾ.ins.pl.) → [희박한 믿음을 지닌]
② hīna(p.p. left, abandoned; excluded, shut out from; wasted: nj. without, devoid of)
② adhimuktika(nj.) < * + ka(agentive) < adhimukti(Ʒ. trust, confidence) < adhi(ƺ.
above) + mukti(Ʒ. release, liberation; freedom, emancipation) < muc(6.dž. to loose,
free, let go; abandon, give up; to yield, grant)
▼[sattvaiḥ] ① sattvaiḥ(ƾ.ins.pl.) → [중생들에 의해서]
② sattva(ƿƾ. being, existence, entity; nature; nature character)
▼[śrotuṁ] ① śrotuṁ(inf.) → [듣기가, → 들려지기가,]
inf.는 기본적으로 actv.나 pass. 성격과 무관하다.
② śru(5.ǁ. to hear, listen to, give ear to)
▼[nātmadṛṣṭikairna] ① na(ƺ.) + ātma+dṛṣṭikaiḥ([nj.→]ƾ.ins.pl.) + na(ƺ.) →
▼[자아라는 견해를 가진 자들에 의해서도 아니요]
② ātman(ƾ. the soul; self; supreme deity and soul of the universe)
② dṛṣṭika(nj.È 잘못 알고 믿는, 見) < * + ka(agentive) < dṛṣṭi(Ʒ. seeing, viewing;
seeing with the mental eye; knowledge; the eye)
▼[sattvadṛṣṭikairna] ① sattva+dṛṣṭikaiḥ([nj.→]ƾ.ins.pl.) + na(ƺ.) → [중생이라는
견해를 가진 자들에 의해서도 아니요]
▼[jīvadṛṣṭikairna] ① jīva+dṛṣṭikaiḥ([nj.→]ƾ.ins.pl.) + na(ƺ.) → [영혼이란 견해를 가진
자들에 의해서도 아니요]
▼[pudgaladṛṣṭikaiḥ] ① pudgala+dṛṣṭikaiḥ([nj.→]ƾ.ins.pl.) → [개체아라는 견해를 가진
자들에 의해서도 아니다.(→ ~자들에 의해서도 들려지지 않는다.)]
▼▷[nābodhisattvapratijñaiḥ] ① na(ƺ.) + a|bodhisattva+pratijñaiḥ(nj.→ƾ.nom.pl.) →
▼[깨달음갖춘이가 되겠다는 서원을 가지지 않은 (← 보살의 서원이 아닌)]
② pratijñā(Ʒ. admission, acknowledgment; a vow, promise; a statement, assertion)
▼[sattvaiḥ] ① sattvaiḥ(ƾ.ins.pl.) → [중생들에 의해서]
▼[śakyamayaṁ] ① śakyam(njp.→ƾ.nom.) + ayaṁ(pn.ƾ.nom.) → [가능하지가 않다、 이]
② śakya(pass.pot.p. possible, practicable, capable; fit to be effected; easy to be effected)
▼[dharmaparyāyaḥ] ① dharma+paryāyaḥ(ƾ.nom.) → [법문은]
▼[śrotuṁ] ① śrotuṁ(inf.) → [듣기가、 또는 → 듣는다거나]
② śru(5.ǁ. to hear, listen to, give ear to)
▼[vodgrahītuṁ] ① vā(ƺ.) + udgrahītuṁ(inf.) → [받아들이기가、 또는 → 배운다거나]
② udgrah(9.ǁ. to take up, lift up; to take or draw out; to deposit; to preserve)
▼[vā] ① vā(ƺ.)
▼[dhārayituṁ] ① dhārayituṁ(inf.) → [간직하기가、 또는 → 외운다거나]
② dhṛ(1.ǁ.10.dž. to hold, bear, carry; maintain, support) > dhāray(caus.)
▼[vā] ① vā(ƺ.)
▼[vācayituṁ] ① vācayituṁ(inf.) → [이야기하기가、 또는 → 독송한다거나]
② vac(2.ǁ. to speak, say, tell) > vācay(caus. to cause to speak; to go over, read; to say)
▼[vā] ① vā(ƺ.)
▼[paryavāptuṁ] ① paryavāptuṁ(inf.) → [깊이 이해하기가、 또는 → 깊이 이해한다거나.]
② paryavāp(5.dž.) < pari(ƺ. towards, near to, down upon) + avāp(5.dž. to get, obtain,
secure, gain; to reach, go to, enter; to suffer, incur, receive) → understand
▼[vā] ① vā(ƺ.)
▼▷[nedaṁ] ① na(ƺ.) + idaṁ(pn.ƿ.nom.) → [이]
▼[sthānaṁ] ① sthānaṁ(ƿ.nom.) → [경우는]
② sthāna(ƿ. stay; a place, spot; an abode, a house; a country, region, a town, city)
▼[vidyate] ① vidyate(pres.Ⅲ.sg.) → [존재하지 않는다.]
② vid(2.ǁ. to know, understand; 4.Ʋ. to be, exist; 6.dž. get, obtain)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26일째]
수량품제삼십일 $ 126▲不可量轉不可量轉為 一 ● 不可說, ○□□□□,三,心,娑,極
□□□□□□□,爾時,
心王菩薩摩訶薩於眾會中告諸菩薩言:佛子,此娑婆世界釋迦牟尼佛剎一劫,於極樂世界阿彌陀佛剎為一日一夜;
□□□□□□□,이시,
심왕보살마하살어중회중고제보살언:「불자!차사바세계석가모니불찰일겁,어극락세계아미타불찰위일일일야;
壽量品第三十一
31. 여래수량품(如來壽量品)
그 때 심왕보살마하살이 대중 가운데서 여러 보살에게 말하였다.
“불자들이여, 석가모니께서 계시는 사바세계의 한 겁이
아미타부처님께서 계시는 극락세계에서는 하루 낮 하룻밤이요,
[127째]
극락세계일겁 $ 127▲不可說不可說為 一 ● 不可說轉, ○□□□□,袈,不,離,善
□□□□□□,於袈裟幢世界金剛堅佛剎為一日一夜;袈裟幢世界一劫,於不退轉音聲輪世界善勝光明蓮華開敷佛剎為一日一夜;
不退轉音聲輪世界一劫,於離垢世界法幢佛剎為一日一夜;離垢世界一劫,於善燈世界師子佛剎為一日一夜;
□□□□□□,어가사당세계금강견불찰위일일일야;가사당세계일겁,어불퇴전음성륜세계선승광명련화개부불찰위일일일야;
불퇴전음성륜세계일겁,어이구세계법당불찰위일일일야;이구세계일겁,어선등세계사자불찰위일일일야;
極樂世界一劫
극락세계의 한 겁은 금강견불(金剛堅佛)이 계시는 가사당(袈裟幢) 세계의 하루 낮 하룻밤이요,
가사당 세계의 한 겁은 선승광명연화개부불(善勝光明蓮華開敷佛)이 계시는 불퇴전음성륜(不退轉音聲輪) 세계의 하루 낮 하룻 밤이요,
불퇴전음성륜 세계의 한 겁은 법당불(法幢佛)이 계시는 이구(離垢) 세계의 하루 낮 하룻밤이요,
이구 세계의 한 겁은 사자불이 계시는 선등(善燈) 세계의 하루 낮 하룻밤이요,
●K1442_T0886.txt★ ∴≪A불설금강장장엄반야바라밀다교중일분≫_≪K1442≫_≪T0886≫
●K1207_T1170.txt★ ∴≪A불설금강향보살대명성취의궤경≫_≪K1207≫_≪T1170≫
●K1174_T0548.txt★ ∴≪A불설금광왕동자경≫_≪K1174≫_≪T0548≫
■ 암산퀴즈
303* 940
126677 / 967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61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37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18 번째는?
61 이 다라니는 세존의 감로(甘露)와 같은 거룩한 가르침을 흥성하게 하고
반다타, 叛荼陁<六十一>
bhandana
(~!~) 적들을 파괴하고 없애 행복케 하소서. 망상을 소멸 근절케 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370 자미가가라하 ◐闍弭迦揭囉訶<如烏鬼三百七十>◑jamikāㆍgrahā
371 사구니가라하 ◐舍俱尼揭囉訶<如馬三百七十一>◑śakuniㆍgrahā
372 만다라난뎨가아라하 ◐漫怛囉難提迦揭囉訶<如猫兒三百七十二>◑mantraㆍnandikāㆍgrahā
373 아람바아라하 ◐阿藍皤揭囉訶<如蛇><三百七十三>◑laṃvikāㆍgrahā
374 라노건도바니아라하 ◐訶奴建度波尼揭囉訶<如雞三百七十四>◑hanuㆍkaṇṭhaㆍpāṇiㆍgrahā//
375 지 바라 예가혜가 덕볘디가 ◐什<入音>皤囉<壯熱瘧鬼>翳迦醯迦<一日一發>德吠底迦<二日一發三百七十五>◑jvarāㆍekāhikāㆍdvaitīyakā
376 뎨리뎨약가 저도리타가 ◐帝哩帝藥迦<三日一發>折咄㗚他迦<四日一發三百七十六>◑tritīyakāㆍcaturthakāㆍjvarā
377 니디야지바라 ◐眤底夜什皤囉<常壯熱鬼三百七十七>◑nityaㆍjvarā
378 비사마지바라 ◐毘沙摩什皤囉<壯熱三百七十八>◑vishamaㆍjvarā
379 바디가 배디 가 ◐皤底迦<風病鬼>背底迦<黃病鬼三百七十九>◑vātikāㆍpaittikā
● 가령 모든 국토의 큰 고을과
작은 고을과 촌락에서
흉년이 들고 전염병이 돌고,
혹은 군사의 난리와 도적난리가 일어나고 투쟁이 벌어지거나,
그 외에 일체 재난이 발생한 곳일지라도,
이 신비한 주문을 베껴서
성의 네 문에 붙이든지,
공양하는 곳[支提]에 모시든지,
혹은 깃대[脫闍]에 달아 올려서,
그 국토 중생들에게
이 주문을 받들어 맞이하게 하고
예배 공경하여 일심으로 공양케 하고,
그 백성들이 각기 몸에 차기도 하고
혹은 각기 살고 있는 집에 모시게 한다면,
일체 재앙[災厄]이 모두 다 소멸하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18
일족(日族)께 귀의합니다.
南無日族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284820
131
법수_암기방안
37 종지뼈 ( the kneecap, / the patella무릎 종지뼈)
126 the line of the palm 손금
127 [little finger-넉클knuckle] 새끼마디
61 액와(腋窩) ~ 겨드랑이
18 아래팔뚝 (forearm)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507_235421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 제29조.
혜가慧可 선사
선사는 무뢰武牢 사람이며,
성은 희姬씨이다.
아버지 적寂은 당초 아들이 없어서 그 부인과 생각하기를 ‘우리는 지극히 선한 가문인데도 자식이 없으니 참으로 슬프구나.
어느 성현께서 굽어 보살펴 주시려나’ 했는데,
후위의 여섯째 왕인 효문제孝文帝 영의永宜 15년 정월 초하루 저녁에 광명이 온 집안에 두루 하는 상서가 나타난 뒤로 태기가 있어 아들을 낳아 이름을 광광光光이라 하였다.
나이 15세에 9경經을 통달해 외웠고,
30세가 되자 용문龍門의 향산사香山寺로 가서 보정寶靜 선사를 섬기면서 항상 정定과 혜慧를 닦았다.
출가한 후에는 동경東京의 영화사永和寺로 가서 구족계를 받았고,
32세가 되자 다시 향산사로 돌아와서 스승을 섬겼는데,
다시 또 8년이 지났다.
그러던 어느 고요한 밤에 한 신인神人을 보았는데,
그가 광에게 말했다.
“과위를 받으려 하면서 어찌 여기에 머물러 있는가?
남쪽으로 가야 도道에 가까워지리라.”
본래의 이름은 광광인데,
신인이 나타나는 모습을 보았으므로 신광神光이라 했다.
그로부터 이틀이 지나 밤이 되자 갑자기 머리가 찢어지는 듯이 아파서 그 스승이 뜸을 뜨려 했는데,
공중에서 소리가 들렸다.
“그만두어라,
그만두어라.
이는 뼈를 바꾸기 위한 것이라 예사 고통이 아니니라.”
스승이 곧 그만두었다.
마침내 전의 이상한 신을 본 사실을 스승인 보정에게 이야기하니,
보정이 말했다.
“반드시 상서祥瑞일 것이다.
네 정수리가 달라졌으니 옛날의 머리가 아니다.
5봉이 옥 수레에 내려앉은 듯 그 모습이 기이하구나.”
그리하여 스승을 하직하고 남쪽으로 갔다.
달마를 만나 상승上乘의 법을 확연히 깨달을 수 있었다.
달마가 말했다.
“일진一眞의 법을 모두 가졌으니 잘 지키어 끊이지 않게 하라.
그대에게 신의(信衣:가사)를 전하나니 각기 표시하는 바가 있느니라.”
혜가가 말했다.
“무엇을 표시합니까?”
달마가 대답했다.
“안으로는 심인心印을 전하여 마음을 깨쳤음을 증명하고,
겉으로는 가사를 받아서 종지를 확정하나니 착오가 없기 위한 것이다.
내가 입적한 뒤 2백 년 동안 이 가사가 전해지지 않을 것이다.
법이 온 누리에 퍼질 것이니,
도에 밝은 이는 많아도 도를 행하는 이는 적을 것이며,
이치를 말하는 이는 많아도 진리를 통한 이는 적을 것이다.
그 뒤로는 도를 얻은 이가 천만 명에 가까울 것이다.
그대가 도를 펼 때에 늦게 배우기 시작한 이를 가벼이 여기지 말라.
이 사람이 뜻을 돌리면 반드시 보리를 얻을 것이다.
초심初心 보살은 부처님의 공덕과 동등하리라.”
이때 혜가 대사가 법을 부촉 받고서 널리 선전하고 유포하여 뭇 유정有情들을 제도하였다.
천평天平 연간에 이르러 후주後周의 제2주主인 효민왕孝閔王 기묘己卯 해에 한 거사가 나이와 계절을 말하지 않은 지 14년 만에 조사(혜가)에게 와서 절을 하고 성명도 밝히지 않은 채 말했다.
“제자는 풍병[風疾]을 앓고 있으니,
화상이시여,
제자를 참회하게 해주십시오.”
조사가 대답했다.
“그대가 죄를 가지고 오면,
죄를 참회하게 해주리라.”
거사가 말했다.
“죄를 찾아도 찾을 수가 없습니다.”
조사가 말했다.
“내 지금 그대를 참회하게 하였다.
그대는 그저 불ㆍ법ㆍ승 삼보에 의지하기만 하라.”
거사가 다시 말했다.
“화상만 뵈면 승보임을 알겠으나 세간에서 어떤 것이 부처이며,
무엇을 법이라 합니까?”
조사가 대답했다.
“마음이 부처요,
이 마음이 곧 법이니,
법과 부처는 둘이 아니니라.
그대는 알겠는가?”
거사가 말했다.
“오늘에야 비로소 죄의 성품이 안에도 밖에도 중간에도 있지 않는 줄 알았습니다.
마음이 그렇듯이 법과 부처가 둘이 아닌 줄 알았습니다.”
조사는 그가 법기法器인 줄을 알고 곧 머리를 깎아 주면서 말했다.
“그대는 승보이니 승찬僧璨이라는 이름이 적합하구나.”
그리고 구족계를 받게 하고서 일러 말했다.
“여래께서 대법안을 가섭에게 주셨고,
그렇게 점차 이 사람 저 사람에게 전하여 나에게 이르렀는데,
내가 이제 이 법안을 그대에게 주고 아울러 가사를 주어서 법의 신표로 삼노라.
나의 게송을 들어라.”
본래 땅이 있었기에
그 땅을 인해 종자가 꽃을 피운다.
본래 종자가 없다면
꽃 또한 필 수 없다.
本來緣有地 因地種花生
本來無有種 花亦不能生
이 게송을 다 말하고는 승찬에게 말하였다.
“나는 업도鄴都로 가서 묵은 빚을 갚으리라.”
그리고는 훌쩍 업도로 떠나서 중생을 교화하기를 34년 동안 혹은 저잣거리 어디서나 인연에 따르고,
혹은 남의 심부름을 하되 일이 끝나면 곧 업도로 돌아가니,
지혜 있는 이들이 매양 권했다.
“화상은 덕이 높으신 분이시니 남의 심부름은 하지 마십시오.”
조사가 말했다.
“내 스스로 마음을 조복調伏시키기 위한 것이지 다른 일에 관계되는 것이 아니오.”
이때 변화辯和 법사라는 이가 업도鄴都 관할에 있는 성城인 안현安縣의 광구사匡救寺에서 『열반경』을 강하고 있었는데,
그때 조사가 그 절에 이르러 설법하니,
조사가 설법하는 곳에는 모인 대중이 많았으나 법사의 강석에는 사람이 적었다.
그러자 변화 법사는 조사를 시기하여 현령인 적중간翟仲侃에게 가서 “사견邪見을 가진 저 사람이 나의 강석을 무너뜨렸습니다” 하고 모함하니,
적중간은 사실을 자세히 알지 못하여 도리에 맞지 않게 손상을 입혀 죽게 하였다.
자주磁州 도양현塗陽縣 동북쪽으로 70리쯤에 장사지내니,
세수 107세였다.
이렇게 멸도함을 보인 때는 수隋의 첫째 임금인 문제文帝의 개황開皇 13년 계축년癸丑年이었다.
당唐의 내공봉內供奉 사문인 법림法琳이 비문을 지었고,
덕종德宗 황제가 대홍大弘 선사라는 시호를 내렸으며,
탑호를 대화大和라 하였다.
수隋의 계축癸丑에 입적하고 나서 지금 당唐의 보대保大 10년 임자壬子에 이르기까지 359년이 된다.
정수 선사가 찬탄하였다.
2대 조사44)인 큰 학자는
지조가 굳고 단단하였다.
마음은 3승乘을 꿰뚫고
이마는 오악보다 훌륭했다.
二祖碩學 操爲堅礭
心貫三乘 頂奇五岳
천하에 하나뿐인 기린麒麟이요
인간 세상의 붕새로다.
팔을 끊고 눈 위에 섰으니
혼연히 하나 되어 외롭지 않다.
天上麒麟 人間鸑鷟
斷臂立雪 混而不獨
출전:
한글대장경 K1503_Txxxx
조당집(祖堂集) 남당 정 균찬
祖堂集 【南唐 靜 筠撰】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상체 일으키기 [Sit-up]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2568-12-02-월
의성 대곡사
[사진] https://www.google.co.kr
https://search.daum.net
https://search.naver.com
[지도내 사진] https://maps.app.goo.gl
https://www.google.nl
[거리뷰1] https://map.naver.com
[세계내-위치]
[설명 1] https://ko.wikipedia.org
[설명 2] https://ko.wikipedia.org
https://cafe.daum.net
https://6042cjm.tistory.com
cf 고령 대곡사
[동영상 1] 8:06
https://youtu.be
사찰여행-봉황이 날다 의성 대곡사/노무현 대통령 고시공부 한 곳 적조암/천년고찰 대곡사/경북사찰여행/k-temple
[동영상 2]
[음악]
[예술작품감상]
https://en.wikipedia.org
https://www.wikiart.org
003 나모살바몯다 ◐娜牟薩婆勃陁<敬禮一切諸佛三>◑Namaḥ sarva buddhāya

○2019_1106_152247_nikon_ct19_s12▾화순 계당산 쌍봉사

○2019_1106_124102_canon_ct8▾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54410_canon_Ab27▾화순 계당산 쌍봉사

○2019_1201_151425_canon_ct18▾원주 구룡사

○2019_1201_163151_nikon_ar45_s12▾원주 구룡사

○2020_0907_162724_canon_ct18▾양산 통도사

○2020_0909_140659_canon_ab50▾무주 백련사

○2020_0909_160510_canon_ori_rs▾무주 백련사

○2020_0910_183617_canon_ar45▾제천 월악산 신륵사

○2020_0930_140424_nikon_AB45▾화성 용주사

○2020_1017_160729_canon_AR35_s12▾삼각산 화계사

○2018_1022_125530_nikon_ct8▾공주 계룡면사무소 영규대사비

○2018_1022_140046_nikon_ar24▾공주 계룡산 갑사

○2018_1024_142715_nikon_ar24▾공주 칠갑산 장곡사

○2018_1023_130042_canon_AR25▾예산 덕숭산 수덕사

○2019_0106_161918_nikon_ori▾의정부 도봉산 망월사

○2019_1104_205222_nikon_ct9_s12▾지리산 피아골

○2021_1112_173721_canon_Ab31_s12▾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2021_1006_135625_nikon_ar38_pc▾해남_달마산_미황사
● [pt op tr] fr
_M#]

○2020_0908_161705_nikon_bw24▾합천 해인사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불설금강향보살대명성취의궤경_K1207_T1170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불설금강향보살대명성취의궤경 하권/전체3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설금강향보살대명성취의궤경-K1207-003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5/k1207-003.html
sfed--불설금강향보살대명성취의궤경_K1207_T1170.txt ☞불설금강향보살대명성취의궤경 하권/전체3권
sfd8--불교단상_2569_05.txt ☞◆vghl1775
불기2569-05-06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858403398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348
htmback--불기2569-05-06_불설금강향보살대명성취의궤경_K1207_T1170-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