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보적경』
K0022
T0310
대보적경 제16권/전체12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5-09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022_T0310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대보적경』
♣0022-016♧
대보적경 제16권/전체120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2019_1106_153043_nikon_Ab31_s12▾화순 계당산 쌍봉사
○2019_1105_151842_nikon_ab41_s12▾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106_160010_canon_exc_s12▾화순 계당산 쌍봉사
○2019_1106_170334_canon_ab41_s12▾화순 계당산 쌍봉사
○2020_0905_171558_canon_ct9▾오대산 적멸보궁
○2020_0906_120659_canon_bw5▾천축산 불영사
○2020_0907_172301_canon_Ab31▾양산 통도사
○2020_1002_120138_nikon_ar47▾파주 고령산 보광사
○2020_1017_160138_nikon_ar23▾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61444_nikon_ct18▾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75845_nikon_AR35_s12▾삼각산 화계사
○2018_1023_134336_canon_AB7_s12▾예산 덕숭산 수덕사
○2019_1104_110830_canon_bw24_s12▾구례 화엄사
○2019_1104_112911_nikon_ct16▾구례화엄사 구층암
○2021_1003_150416_canon_ar47▾밀양_삼량진_금오산_여여정사
○2021_1002_181658_nikon_Ab35_pc▾경주_함월산_골굴사
○2022_1027_165324_nikon_bw24▾서울_길상사
○2021_0929_120048_nikon_BW21_s12_pc▾양양_오봉산_낙산사
○2021_1003_105457_nikon_BW17_pc▾밀양_재악산_표충사
● [pt op tr] fr
_M#]
○2020_0905_112206_canon_CT33▾오대산 월정사
❋❋본문 ♥
◎[개별논의]
★%★
『대보적경』
♣0022-016♧
대보적경 해제 (있는 경우)
대보적경 016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 ❋본문
★1★
◆vygu1816
◈Lab value 202110031054 |
♥단상♥ ![]()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5/k0022-016.html#1816 sfed--대보적경_K0022_T0310.txt ☞대보적경 제16권/전체120권 sfd8--불교단상_2569_05.txt ☞◆vygu1816 불기2569-05-09 θθ |
■ 퀴즈
세상의 무상함을 느낌에 빠르고 느림이 있는 것을 말에 비유한 것.
(1) 채찍의 그림자만 보고도 놀라는 말은, 다른 마을에 아무개가 죽었단 말을 듣고 놀라는 이. (2) 채찍이 털에 닿아야 놀라는 말은, 자기 마을에 죽는 이가 있음을 보고 놀라는 이.
(3) 채찍이 살갗에 맞고야 놀라는 말은, 자기의 친척이 죽는 것을 보고 놀라는 이.
(4) 채찍에 맞아 뼈에 사무치도록 아파야만 놀라는 말은, 자기가 병들어 앓고야 비로소 놀라는 이. 『지관보행』 제2권에 있음.
답 후보
● 사마유(四馬喩)
사무위(四無爲)
사바라이(沙波羅夷)
사불성과(四不成過)
사생(四生)
사수(捨受)
사악취(四惡趣)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Mireille Mathieu - Un Clown Dans Mon Coeur
Edith Piaf - Avant L'heure
Boris Vian - Ah ! Si J'avais Un Franc Cinquante
Georgius - La Plus Bath Des Javas [1924]
Patrice & Mario - Bambino
Marie Laforet - L'orage
Maxime Le Forestier - Le Cadeau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51▲ 皮疋必玄穴 ■ 피필필현혈 51 (가죽 피 )(짝 필/ 발 소, 바를 아 )( 반드시 필 )(검을 현 / 오묘하다( 奧妙--) 심오하다( 深奧--), ) (구멍 혈 / 굴 휼 )
064▲ 豆卵良呂免 ■ 두란량려면 64 ( 콩 두 ) (알 란 / 난 )( 어질 량 / 양)( 성씨 려 / 법칙 려, 여)(면할 면 / 해산할 문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Buddhism in Sri Lanka
[san-chn] śuddhaka 淸淨定, 淨, 淸淨
[san-eng] ākāṁkṣā $ 범어 wiś, ambition
[pali-chn] anuttaro purisadammasārathi 無上士
[pal-eng]
[Eng-Ch-Eng] 六神通 The six supernatural powers possessed by a buddha (s!ad! abhijn~a^h!), which are six kinds of unimpededness. They are (1) unimpeded bodily action (神境通,身通, 身如意通, 神足通). (2) The power of divine vision 天眼通, wherein they can observe the full course of passage by sentient beings through the six destinies. (3) the power of divine vision 天耳通, with which they are able to hear all the words of suffering and joy experienced by living beings in the six destinies. (4) the power of awareness of the minds of others 他心通, whereby they know the thoughts of all the beings who pass through the six destinies; (5) the power of the knowledge of previous lifetimes 宿命通,宿住通, whereby they know the events of countless kalpas of previous lifetimes experienced by themselves, as well as all the beings in the six destinies; (6) the power of the extinction of contamination 漏盡通, whereby they completely extinguish all the afflictions of the three realms, and thus are no longer subject to rebirth in the three realms. Also written as 六通. The second, fifth and sixth are called the three kinds of wisdom 三明.
[Muller-jpn-Eng] 顯性教 ケンショウキョウ (term) teaching that reveals the nature
[Glossary_of_Buddhism-Eng] PERSONAL PROVISIONS☞
See: Provisions for Pure Land Rebirth.
[fra-eng] réconciliées $ 불어 reconciled
[chn_eng_soothil] 作 To make, do, act, be; arise.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是人先世罪業, 應墮惡道, 以今世人, 輕賤故, 先世罪業, 卽爲消滅,
當得阿耨多羅三藐三菩提.」
이 사람은 지난 세상에 지은 죄업으로 악도(惡道)에 떨어질 것이어늘 금생
에 남의 천대를 받는 탓으로 전생의 죄업이 모두 소멸하고 반드시 아뇩다
라삼먁삼보리를 얻으리라.”
[玄奘] 所以者何? 善現, 是諸有情宿生所造諸不淨業, 應感惡趣, 以現法中遭輕毀故,
宿生所造諸不淨業皆悉消盡, 當得無上正等菩提!
[義淨] 何以故? 妙生, 當知是人於前世中造諸惡業, 應墮惡道, 由於現在得遭輕辱,
此為善事, 能盡惡業, 速至菩提故!
16-02 तत्कस्य हेतोः ? यानि च तेषां सुभूते सत्त्वानां पौर्वजन्मिकान्यशुभानि कर्माणि कृतान्यपायसंवर्तनीयानि, दृष्ट एव धर्मे परिभूततया तानि पौर्वजन्मिकान्यशुभानि कर्माणि क्षपयिष्यन्ति, बुद्धबोधिं चानुप्राप्स्यन्ति॥
tatkasya hetoḥ | yāni ca teṣāṁ subhūte sattvānāṁ paurvajanmikānyaśubhāni
karmāṇi kṛtānyapāyasaṁvartanīyāni | dṛṣṭa eva dharme tayā paribhūtatayā
tāni paurvajanmikānyaśubhāni karmāṇi kṣapayiṣyanti | buddhabodhiṁ
cānuprāpsyanti |
그것은 어떤 이유인가? 수보리여! 그들 중생들의 경우에 전생에서 생겼으며 상서롭지
못하며 (이미) 지어진 業들( 때문에 그들 중생들)이 파멸로 떨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법이 내보여지는 그때 그 모욕 때문에 전생에서 생겼으며 상서롭지 못한 업들은 소멸될
것이며, 그리고 깨달음의 완벽한 지혜를 따라서 가지게 될 것이다.”
▼▷[tatkasya] ① tat(pn.ƿ.nom.) + kasya(pn.ƾ.gen.) → [그것은、 어떤]
▼[hetoḥ] ① hetoḥ(ƾ.gen.) → [이유인가?]
▼▷[yāni] ① yāni(pn.ƿ.nom.pl.) → [(어떠한) 그것들이]
② yāni(pn.ƿ.nom.acc.pl.) < yad(pn. who, which)
▼[ca] ① ca(ƺ.)
▼[teṣāṁ] ① teṣāṁ(pn.ƾ.gen.pl.) → [그들]
② teṣāṁ(pn.ƾƿ.gen.pl.) < tad(pn. that, he, it she)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sattvānāṁ] ① sattvānāṁ(ƾ.gen.pl.) → [중생들의]
② sattva(ƿƾ. being, existence, entity; nature; nature character)
▼[paurvajanmikānyaśubhāni] ① paurva+janmikāni(nj.→ƿ.nom.pl.) +
aśubhāni(nj.→ƿ.nom.pl.) → [예전에 일어난(→ 전생에서 생긴)、 상서롭지 못한]
② paurva(nj. relating to the past; relating to the east; coming in succession)
② janmika(nj.) < * + ika(taddhita) < janman(ƿ. birth; origin, rise, production, creation;
life, existence) < jan(4.Ʋ. to be born; to generate, produce, happen)
② aśubha(nj. inauspicious; impure, dirty: ƿ. sin, a shameful deed; misfortune)
▼[karmāṇi] ① karmāṇi(ƿ.nom.pl.) → [행위들이(→業들이)]
② karman(ƿ. action, work, deed; duty; a religious rite; specific action, moral duty)
▼[kṛtānyapāyasaṁvartanīyāni] ① kṛtāni(nj.→ƿ.nom.pl.) +
apāya+saṁvartanīyāni(njp.→ƿ.nom.pl.) → [지어진、 파멸로 떨어진다(→파멸로
떨어지기 때문이다).]
전생에서 생겼으며 상서롭지 못하며 (이미) 지어진 業들이 파멸로 떨어지기
때문이다. → 전생에서 생겼으며 상서롭지 못하며 (이미) 지어진 業들때문에
중생들이 파멸로 떨어지기 때문이다.
② kṛta(p.p. done, performed, made, effected, accomplished; wounded, hurt; acquired)
② apāya(ƾ. going away, departure; separation; disappearance, vanishing; destruction, loss,
death; ill, misfortune, risk) < ape(2.ǁ. to go away; withdraw; vanish, pass away; die)
② saṁvartanīya(nj.) < * + anīya(pass.pot.p.) < saṁvṛt(1.Ʋ. to turn or go towards,
approach; to attack, assault; to be or become)
▼▷[dṛṣṭa] ① dṛṣṭe(njp.→ƾ.abso.loc.) → [내보여질 때]
② dṛṣṭa(p.p. looked, perceived, observed; visible; regarded) < dṛś(1.ǁ. to see, look at)
▼[eva] ① eva(ƺ.) → [바로]
② eva(ƺ. indeed, truly, really; just so, exactly so truly)
▼[dharme] ① dharme(ƾ.abso.loc.) → [법이]
② dharma(ƾ. that which is established or firm, law; usage, practice, duty; right, justice)
▼[tayā-黙本追加] ① tayā(pn.Ʒ.ins.) → [그]
▼[paribhūtatayā] ① paribhūtatayā(Ʒ.ins.) → [모욕으로 → 모욕 때문에]
② paribhūtatā(Ʒ.) < * + tā('the state of') < paribhūta(p.p. disregarded, slighted)
▼[tāni] ① tāni(pn.ƿ.nom.pl.) → [그]
▼[paurvajanmikānyaśubhāni] ① paurva+janmikāni(nj.→ƿ.nom.pl.) +
aśubhāni(nj.→ƿ.nom.pl.) → [예전에 일어난(→ 전생에서 생긴)、 상서롭지 못한]
▼[karmāṇi] ① karmāṇi(ƿ.nom.pl.) → [행위들은(→業들은)]
▼[kṣapayiṣyanti] ① kṣapayiṣyanti(caus.fut.Ⅲ.pl.) → [던져질 것이며, → 소멸될 것이며,]
② kṣap(1.dž. to fast, to be abstinent: [caus.] to throw, send, cast; tomiss)
▼▷[buddhabodhiṁ] ① buddha+bodhiṁ(ƾ.acc.) → [그리고、 깨달음의 완벽한 지혜를]
② buddha(p.p. known, understood, perceived; awakened, awake; observed; enlightened, wise)
② bodhi(ƾ. perfect wisdom or enlightenment)
▼[cānuprāpsyanti] ① ca(ƺ.) + anuprāpsyanti(fut.Ⅲ.pl.) → [따라서 가지게 될 것이다.]
② anuprāp(5.ǁ. to get, obtain; to reach, go to, overtake; to imitate; to arrive)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29일째]
불자여시차제 $ 129▲此又不可說不可說為 一 ● 不可說不可說轉。」 ○□□□□,勝,普,諸,諸
□□□□□□,乃至過百萬阿僧祇世界,最後世界一劫,於勝蓮華世界賢勝佛剎為一日一夜,
普賢菩薩及 諸同行大菩薩等充滿其中。」 => 諸菩薩住處品第三十二
□□□□□□,내지과백만아승기세계,최후세계일겁,어승련화세계현승불찰위일일일야,
보현보살급제동행대보살등충만기중。」 제보살주처품제삼십이
佛子如是次第,
불자들이여, 이렇게 차례차례로
백만 아승기 세계를 지나가서 나중 세계의 한 겁은
현승불(賢勝佛)이 계시는 승련화(勝蓮華) 세계의 하루 낮 하룻밤인데,
보현보살과 함께 수행하는 큰 보살들이 그 가운데 가득하였느니라.” => 32. 제보살주처품(諸菩薩住處品)
[130째]
이시 $ 001▲● 십 ○□□,白,諸,阿,世
□□,心王菩薩 白佛言:「世尊!
諸佛如來 演說 阿僧祇 無量、無邊、無等、不可數、不可稱、不可思、不可量、不可說、不可說不可說。
□□, 심왕보살 백불언:「세존!
제불여래 연설 아승기, 무량、무변、무등、불가수、불가칭、불가사、 불가량、불가설、불가설불가설。
爾時,
그 때 심왕(心王)보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여러 부처님 여래께서는 아승기고, 한량이 없고, 그지없고, 같을 이 없고, 셀 수 없고, 일컬을 수 없고,
생각할 수 없고, 헤아릴 수 없고, 말할 수 없고, 말할 수 없이 말할 수 없음을
연설하시나이다.
■ 암산퀴즈
98* 817
492480 / 855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64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40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21 번째는?
64 안락하게 합니다.”
호로, 滸盧<六十四>
huru
(이하~) 속히 속히 성취게 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400 아사다슈람 ◐喝薩多輸藍<手痛四百>◑hastaㆍśūlaṃ
401 바다슈람 ◐波陁輸藍<腳痛四百一>◑pādaㆍśūlaṃ
402 안가바라등슈람 ◐頞伽鉢囉登輸藍<四支節痛四百二>◑aṅgaㆍpratyaṅgaㆍśūlaṃ//
403 보다볘다다 ◐部多吠怛茶<起尸鬼四百三>◑bhūtaㆍvetāla
404 다기 니 ◐茶枳<呼哽反上>尼<魅鬼四百四>◑dākinī.
405 스바라타도로건추 ◐什皤囉陁突盧建紐<四百五>◑jvarāㆍdadrūㆍkaṇḍu
406 기디 바로다 ◐吉知<蜘蛛>婆路多<丁瘡四百六>◑kiṭībhaㆍlūtā
407 볘사라바로하 릉 가 ◐吠薩囉波嚕訶<侵淫瘡>淩<里孕反>伽<赤瘡四百七>◑visarpaㆍlohaㆍliṅga
408 슈사다 라사나가라비사슈가 ◐輸沙多<引>囉娑那迦囉毘沙喩迦<上坎四百八>◑śoshaㆍtrāsanaㆍgaraㆍvishaㆍyoga
409 아기니 오타가 마라볘라건다라 ◐阿祁尼<火>烏陁迦<水>摩囉吠囉建多囉<四百九>◑agniㆍudakaㆍmāraㆍvīraㆍkaṇḍaka
●아난아,
이 사바세계에는
재앙의 괴변을 일으키는 8만 4천의 나쁜 별들이 있으니,
그 가운데 스물여덟 개의 나쁜 별들이 우두머리며,
또 그 가운데 여덟 개의 나쁜 별이 최고 으뜸이니라.
이 별들이 가지가지 형상을 지어
세상에 나타날 때는,
중생들에게 가지가지 재앙과 이변을 일으키고 있으나,
이 주문이 있는 땅에서는 모두 다 소멸되며,
12유순(由旬)의 도량 경계가 정해진 땅[結界地]에는
온갖 나쁜 재앙이 영원히 들어갈 수 없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21
천인사(天人師)께 귀의합니다.
南無天人師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80066
576
법수_암기방안
40 중앙 발가락 [신조어 ] center part (middle) toe
129 (RING finger ) 약지
1 빗장뼈[=쇄골]
64 척골(尺骨)[자뼈]
21 큰 마름 [엄지쪽 큰마름(뼈) ~ 트러피지엄trapezium]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509_234115 :
대장경 내 게송
출전:
한글대장경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양다리 벌려 선 전굴 자세 [Dandayamana Bibhaktapada Paschimottanasana]
●세계사이트방문일자: 2569-03-21-금
♡대불정사,서울 동작구 동작대로 2O7-16
[사진]
[지도내 사진]
[거리뷰1] https://naver.me
[세계내-위치] https://kko.kakao.com
[설명 1]
[설명 2]
[동영상 1]
[동영상 2]
[음악]
[예술작품감상]
https://www.wikiart.org
https://www.wikiart.org
008 나모소로다반나남 ◐娜牟蘇嚕哆半那喃<八>◑Namaḥ srota-apannānāṃ//

○2018_1023_160313_nikon_ar13

○2020_0131_151423_canon_ar1_s12

○2018_1022_133149_nikon_Ab31

○2018_1022_143210_nikon_Ab35

○2018_1024_154150_nikon_bw0_s12

○2020_1114_121503_canon_BW22

○2020_1114_131230_canon_bw0_s12

○2020_1114_133519_canon_Ab31

○2018_1023_154819_canon_Ar12

○2018_1024_140015_canon_Ar28_s12

○2020_1126_154548_canon_Ab15

○2019_0113_111023_nikon_Ar28_s12

○2019_0801_103601_nikon_Ar28_s12

○2019_0801_115607_nikon_Ar37_s12

○2019_1104_110855_canon_bw0_s12

○2019_1104_102402_nikon_bw0_s12

○2019_1104_122023_nikon_ct9_s12

○2019_1104_133115_nikon_ct18

○2019_1104_133605_nikon_ar38
● [pt op tr] fr
_M#]

○2018_1022_132318_canon_AB7_s12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대보적경_K0022_T0310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대보적경 제16권/전체12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대보적경-K0022-016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5/k0022-016.html
sfed--대보적경_K0022_T0310.txt ☞대보적경 제16권/전체120권
sfd8--불교단상_2569_05.txt ☞◆vygu1816
불기2569-05-09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860704969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351
htmback--불기2569-05-09_대보적경_K0022_T0310-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