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불화엄경』
K0079
T0278
대방광불화엄경 제38권/전체6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5-02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079_T0278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대방광불화엄경』
♣0079-038♧
대방광불화엄경 제38권/전체60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2019_1106_102545_canon_exc▾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5_165904_canon_exc_s12▾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201_143552_nikon_exc▾원주 구룡사
○2019_1201_153728_canon_exc_s12▾원주 구룡사
○2020_0906_115958_canon_ori_rs▾천축산 불영사
○2019_1104_162313_nikon_exc▾구례 쌍계사부근
○2021_1003_144559_nikon_exc_s12▾밀양_삼량진_금오산_여여정사
○2015_0505_171902_canon_exc_s12▾전주_완산_정혜사
○2021_1006_174234_nikon_exc_s12▾영광_모악산_불갑사
○2021_1005_114008_nikon_exc_s12▾여수_금오산_향일암
○2021_1006_175318_canon_exc_s12▾영광_모악산_불갑사
○2021_1004_114347_canon_exc_s12▾의령_봉황산_일붕사
○2021_1008_125114_nikon_exc_s12▾완주_화암사
○2021_1004_172012_nikon_exc▾하동_고성산_약천사
○2013_0309_133419-OLYMPUS_exc▾강화도_보문사_전등사
○2016_0505_114626_canon_exc_s12▾춘천_오봉산_청평사
○2014_0808_152247_canon_exc▾속리산_법주사
○2016_0123_155237_canon_exc▾부안_능가산_내소사
○2021_1003_104856_nikon_exc▾밀양_재악산_표충사
● [pt op tr] fr
_M#]
○2021_0929_103750_nikon_exc▾양양_오봉산_낙산사
❋❋본문 ♥
◎[개별논의]
★%★
『대방광불화엄경』
♣0079-038♧
대방광불화엄경 해제 (있는 경우)
대방광불화엄경 038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 ❋본문
★1★
◆vupc9860
◈Lab value 202109291037 |
♥단상♥ ![]()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5/k0079-038.html#9860 sfed--대방광불화엄경_K0079_T0278.txt ☞대방광불화엄경 제38권/전체60권 sfd8--불교단상_2569_05.txt ☞◆vupc9860 불기2569-05-02 θθ |
■ 퀴즈
모든 부처님의 본서(本誓)를 표시하는 탑ㆍ검ㆍ보주(寶珠) 등. 이는 각존(各尊)의 성격을 나타낸 것이므로 이것을 바로 불체(佛體)로 보아 이렇게 이름.
답 후보
● 삼매야신(三昧耶身)
삼밀용대(三密用大)
삼복(三福)
삼상(三相)
삼선근(三善根)
삼성업(三性業)
삼승(三乘)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Les Rita Mitsouko - C'est Comme ç
Les Cowboys Fringants - Comme Joe Dassin
Francois Feldman - Vivre, Vivre
Pascal Obispo - Zinedine (instru)
C.Jerome - L'amerique
Serge Gainsbourg And Jane Birkin - Je T'aime... Moi Non Plus
Tes yeux noirs-Indochine (concert au zenith 86)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44▲ 司史疒生石 ■ 사사상생석 44 ( 맡을 사 )(사기 사 )( 병들어 기댈 상 / 병들어 기댈 녁 / 역 )( 날 생 )( 돌 석/ 섬 석 )
057▲ 戌囟臣羊亦 ■ 술신신양역 57 ( 개 술 / 열한째 지지 술) --CF-- 戍 수자리 수 ( 정수리 신 ) --CF-- 囱 창 창, 바쁠 총(신하 신 )( 양 양 / 상서( 祥瑞)롭다 배회( 徘徊)하다 양 )(또 역 / 클 혁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Kensho
[san-chn] yogôdvahana 濟, 給濟, 與
[san-eng] vādayati $ 범어 to play (a musical instrument)
[pali-chn] musā-vāda 妄語
[pal-eng] gopetu $ 팔리어 m.protector.
[Eng-Ch-Eng] 四法界 The four dharmadha^tus, or four realms of reality as explicated by the masters of the Huayan school: (1) shi fajie 事法界 the realm of individual phenomena; (2) li fajie 理法界 the realm of the one principle (/su^nyata^); (3) lishi wuai fajie 理事無礙法界 the realm of non-obstruction between principle and phenomena; (4) shishi wuai fajie 事事無礙法界 the realm of non-obstruction between phenomena.
[Muller-jpn-Eng] 石榴 ジャクロ pomegranate
[Glossary_of_Buddhism-Eng] ALAYA VIJNANA☞
See: Alaya Consciousness.
[fra-eng] l'ando $ 불어 the ando
[chn_eng_soothil] 記別 記莂; 授別 To record and differentiate, the Buddha's foretelling of the future of his disciples to Buddhahood, and to their respective Buddha-kalpas Buddha-realms, titles, etc.; see the 記別經 and 和伽羅那 Vyākaraṇa, predictions, one of the twelve divisions of the Canon.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須菩提, 以要言之, 是經有不可思議不可稱量無邊功德!
수보리야, 중요한 뜻만을 들어서 말하건대 이 경에는 말할 수 없고 생각할
수 없고 측량할 수도 없는 많은 공덕이 있다.
[玄奘] 复次, 善现, 如是法门不可思议、不可称量! 应当希冀不可思议所感异熟!
[義淨] 妙生, 是经有不可思议、不可称量无边功德!
15-03 अपि तु खलु पुनः सुभूते अचिन्त्योऽतुल्योऽयं धर्मपर्यायः।
api tu khalu punaḥ subhūte acintyo'tulyo'yam dharmaparyāyaḥ |
“그런데 참으로 또한, 수보리여! 이 법문은 생각되어질 수 없으며 비교되어질 수 없다.
▼▷[api] ① api(ƺ.) → [또]
▼[tu] ① tu(ƺ.) → [그런데]
▼[khalu] ① khalu(ƺ.) → [참으로]
▼[punaḥ] ① punaḥ(ƺ.) → [다시]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acintyo'tulyo'yam] ① acintyaḥ(njp.→ƾ.nom.) + atulyaḥ(njp.→ƾ.nom.) +
ayam(pn.ƾ.nom.) → [생각되어질 수 없으며、 비교되어질 수 없다、 이]
② cintya(pass.pot.p.) < * + ya(pass.pot.p.) < cint(10.ǁ. to think, have a thought or idea)
② tulya(nj. equal to, similar) < tul(1.ǁ.|10.dž. to weigh, measure; to compare, equal)
▼[dharmaparyāyaḥ] ① dharma+paryāyaḥ(ƾ.nom.) → [법문은.]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22일째]
어불가설제불법 $ 122▲不可稱轉不可稱轉為 一 ● 不可思, ○□□□□,一,能,或,毛
□□□□□□□, 一一了知不可說,
能於一時證菩提, 或種種時而證入。
□□□□□□□, 일일료지불가설,
능어일시증보리, 혹종종시이증입。
於不可說諸佛法,
말할 수 없는 여러 부처님 법을
낱낱이 아는 일을 말할 수 없어
한꺼번에 보리를 얻기도 하고
여러 때에 증득하여 들기도 하며
[123째]
모단불찰불가설 $ 123▲不可思不可思為 一 ● 不可思轉, ○□□□□,塵,如,見,通
□□□□□□□, 塵中佛剎不可說,
如是佛剎皆往詣, 見諸如來不可說。
□□□□□□□, 진중불찰불가설,
여시불찰개왕예, 견제여래불가설。
毛端佛剎不可說,
털 끝에 부처 세계 말할 수 없고
티끌 속의 세계도 말할 수 없어
이러한 부처 세계 모두 나아가
여러 여래 뵈옵는 일 말할 수 없고
●K0150_T0462.txt★ ∴≪A대방광보협경≫_≪K0150≫_≪T0462≫
●K0079_T0278.txt★ ∴≪A대방광불화엄경≫_≪K0079≫_≪T0278≫
●K0080_T0279.txt★ ∴≪A대방광불화엄경≫_≪K0080≫_≪T0279≫
■ 암산퀴즈
520* 227
326988 / 558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57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33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14 번째는?
57 대덕 세존이시여,
호로, 滸盧<五十七>
huru,
(~!~) 속히 속히 속히 영원히 행복한 세제에 이르게 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330 나모스가리 다야바 ◐娜牟塞揭哩<二合>多耶泮<三百><三十>◑namas kritāya phaṭ
331 비슬나미예바 ◐毘瑟拏尾曳泮<毘紉天子三百三十一>◑vishṇaviye phaṭ
332 바라훔마니예바 ◐皤囉摩尼曳泮<梵王三百三十二>◑brahmaṇiye phaṭ
333 아기니예바 ◐阿祁尼曳泮<火天三百三十三>◑agnaye phaṭ
334 마하가리예바 ◐摩訶迦哩曳泮<大黑天女三百三十四>◑mahā kāliye phaṭ
335 가라다다예바 ◐迦囉檀特曳泮<大鬼師黑奧神三百三十五>◑kālaㆍdaṇḍiye phaṭ
336 예니리예바 ◐瞖泥哩曳泮<帝釋三百三十六>◑indrāya phaṭ
337 차문지예바 ◐遮文遲曳泮<怒神三百三十七>◑cāmundiye phaṭ
338 노다리예바 ◐嘮怛哩曳泮<瞋怒><神三百三十八>◑rudrāya phaṭ
339 가라다리예바 ◐迦囉<引>怛哩曳泮<三百三十九>◑kālaㆍrātriye phaṭ
●장수[長命]하기를 원하는 사람은
빠르게 장수를 얻는다.
,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14
가장 훌륭한 법의 등불이신 이께 귀의합니다.
南無最上法燈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118040
586
법수_암기방안
33 종아리 [캪]calf
122 [ 썸 넉클 THUMB knuckle] 엄지 첫마디
123 엄지 (THUMB)
57 眼球 【안구】 동공 eye ball
14 맥박~점(맥박뛰는곳) pulse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502_215550 :
한국불교전서 내 시구 및 게송
기 스님을 이별하며(別玘師)
來時知有去
올 때에 떠날 줄 알았거니
去後幾時來
가고 나면 언제 다시 올까
世事還如許
세상일도 또한 저러하니
携茶上月臺
차 들고 달빛 누대 오르네
출전:
한국불교전서 10책 H0232
조선 ∴응윤(應允) 경암집(鏡巖集) 8권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회진법
●세계사이트방문일자: 2569-04-18-금
♡대신선원,서울 은평구 갈현로3다길 13
[사진]
[지도내 사진]
[거리뷰1] https://naver.me
https://naver.me
[세계내-위치] https://kko.kakao.com
https://kko.kakao.com
[설명 1]
[설명 2]
[동영상 1]
[동영상 2]
[음악]
[예술작품감상]
https://www.wikiart.org
https://www.wikiart.org
010 나모로계사먁가다남 ◐娜牟盧鷄三藐伽哆喃<敬禮過去未來十>◑Namo loke samyaggatānāṃ//

○2019_1106_102641_nikon_fix▾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5_154705_nikon_fix▾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106_101536_canon_exc▾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201_155504_nikon_exc_s12▾원주 구룡사

○2020_0211_134227_canon_exc_s12▾불암산 천보사

○2020_0906_111338_canon_ori_rs▾천축산 불영사

○2020_0907_150902_canon_ori_rs▾양산 통도사

○2020_0930_144330_canon_ori_rs▾화성 용주사

○2020_1017_161004_canon_ori_rs▾삼각산 화계사

○2019_1104_101331_nikon_exc▾구례 화엄사

○2021_0929_113717_nikon_exc▾양양_오봉산_낙산사

○2021_1004_140754_nikon_exc_s12▾산청_지리산_대원사

○2021_1006_180852_nikon_exc▾영광_모악산_불갑사

○2021_1004_192442_canon_exc_s12▾여수_금오산_향일암

○2021_1006_135947_nikon_exc▾해남_달마산_미황사

○2021_1007_163721_canon_exc_s12▾부안_능가산_개암사

○2021_0214_122456_canon_exc_s12▾춘천_오봉산_청평사

○2021_1005_092411_canon_exc_s12▾여수_금오산_향일암

○2023_1021_165657_nikon_exc_s12▾사자산_법흥사
● [pt op tr] fr
_M#]

○2021_0214_174028_canon_exc_s12▾홍천_공작산_수타사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대방광불화엄경_K0079_T0278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대방광불화엄경 제38권/전체6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대방광불화엄경-K0079-038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5/k0079-038.html
sfed--대방광불화엄경_K0079_T0278.txt ☞대방광불화엄경 제38권/전체60권
sfd8--불교단상_2569_05.txt ☞◆vupc9860
불기2569-05-02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853746673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344
htmback--불기2569-05-02_대방광불화엄경_K0079_T0278-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