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5년 5월 8일 목요일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k0893-007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


K0893
T1451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 제7권/전체4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5-08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893_T1451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 ♣0893-007♧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 제7권/전체40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화순 계당산 쌍봉사
○2019_1106_162125_nikon_exc▾화순 계당산 쌍봉사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091933_canon_exc_s12▾화순 영구산 운주사

순천 조계산 선암사
○2019_1105_133624_canon_exc▾순천 조계산 선암사

원주 구룡사
○2019_1201_164254_nikon_exc_s12▾원주 구룡사

천축산 불영사
○2020_0906_104156_nikon_ori_rs▾천축산 불영사

예산 덕숭산 수덕사
○2018_1023_140437_canon_ori▾예산 덕숭산 수덕사

양양_오봉산_낙산사
○2021_0929_114504_nikon_exc▾양양_오봉산_낙산사

진안_마이산_탑사
○2016_0412_155235_canon_exc_s12▾진안_마이산_탑사

춘천_오봉산_청평사
○2021_0214_121710_canon_exc▾춘천_오봉산_청평사

인제_설악산_백담사
○2021_0928_164232_canon_exc_s12▾인제_설악산_백담사

속리산_법주사
○2014_0808_153712_canon_exc_s12▾속리산_법주사

안동_천등산_봉정사
○2021_1001_112503_nikon_exc_s12▾안동_천등산_봉정사

춘천_오봉산_청평사
○2016_0505_131027_canon_turn_exc▾춘천_오봉산_청평사

정읍_내장산_내장사
○2017_1107_130826_nikon_exc_s12▾정읍_내장산_내장사

강화도_보문사_전등사
○2013_0309_141201-OLYMPUS_exc_s12▾강화도_보문사_전등사

영광_모악산_불갑사
○2021_1006_174854_nikon_exc_s12▾영광_모악산_불갑사

전주_완산_정혜사
○2015_0505_172602_canon_exc_s12▾전주_완산_정혜사

해남_달마산_미황사
○2021_1006_134402_nikon_exc_s12▾해남_달마산_미황사

경주_함월산_골굴사
○2021_1002_182502_nikon_exc_s12▾경주_함월산_골굴사

● [pt op tr] fr
_M#]


무주 백련사
○2020_0909_122606_canon_ori_rs▾무주 백련사



❋❋본문 ◎[개별논의]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 ♣0893-007♧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 해제 (있는 경우)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 007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본문









★1★





◆veab8821
◈Lab value 202110021825


○ 2019_1106_111852_can_ct23_s12.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gustave-dore-the-fifth-plague-livestock-disease
[#M_▶더보기|◀접기|
Artist: gustave-dore
from https://en.wikipedia.org/wiki/Gustave_Doré
Title : the-fifth-plague-livestock-disease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20_0606_134411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2019_1004_134743_nikon_ct18


♡수닷타장자 집터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상세정보=> http://buddhism007.tistory.com/5698

Michel Sardou - Comme D'habitude (Avec Yannick Noah)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5/k0893-007.html#8821
sfed--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_K0893_T1451.txt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 제7권/전체40권
sfd8--불교단상_2569_05.txt ☞◆veab8821
불기2569-05-08
θθ





■ 퀴즈



 온갖 보살에게 공통한 네 가지 서원. 홍은 광홍(廣弘), 서는 서제(誓制)니, 보살은 이 원으로 마음을 요제(要制)하여 위로는 보리를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교화하려고 함. 제불ㆍ보살의 본원(本願)에 총원(總願)ㆍ별원(別願)이 있는 중 이것은 여러 보살에 공통함으로 총원이라 함. (1) ① 중생무변서원도[衆生無邊誓願度]. 고통 세계의 중생들은 그 수가 한이 없다 할지라도, 다 제도하려는 소원. 

② 번뇌무진서원단[煩惱無盡誓願斷]. 번뇌가 한이 없다 할지라도, 다 끊으려는 소원. 

③ 법문무량서원학[法門無量誓願學]. 법문이 한량없이 많지만, 다 배우려는 소원. 

④ 불도무상서원성[佛道無上誓願成]. 위 없는 불과(佛果)를 이루려는 소원. 

(2) ① 제도되지 못한 이를 제도하려는 소원. 

② 알지 못하는 이를 알게 하려는 소원. 

③ 편안하지 못한 이를 편안케 하려는 소원. 

④ 열반에 들지 못한 이를 열반을 얻게 하려는 소원.


답 후보
● 사홍서원(四弘誓願)
삼고(三鈷)
삼념처(三念處)
삼륜청정게(三輪淸淨偈)
삼매야(三昧耶)

삼먁삼불타(三藐三佛陀)
삼무차별(三無差別)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Arthur H - Inseparables Mais
Mireille Mathieu - After You (With Paul Anka)
Charles Aznavour - Isabel
Jacques Brel - Madeleine
Serge Lama - Au Chili Comme A Prague
Balavoine - Je Suis Bien
Michel Berger - Si Tu Plonges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50▲ 凸出平包勹 ■ 철출평포포 50 ( 볼록할 철 )( 날 출/ 단락 척 )( 평평할 평 / 다스릴 편 )( 쌀 포/ 꾸러미 포 )( 쌀 포 )
063▲ 角見更系求 ■ 각견경계구 63 (뿔 각 / 사람 이름 록( 녹), 꿩 우는 소리 곡 )( 볼 견 / 뵈올 현, 관의 천 )( 고칠 경 / 다시 갱 )( 맬 계 ) (구할 구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Jhāna
[san-chn] buddhachāyā 佛影
[san-eng] śāntyarūpaṃ $ 범어 the letter `śA'+AṇṭYAṛUPAṃ , having this form in the end
[pali-chn] catasso parisā 四衆
[pal-eng] anuparigacchi $ 팔리어 aor.went round about.
[Eng-Ch-Eng] 俱解脫 Simultaneous liberation. As distinguished from wisdom liberation 慧解脫, where one uses wisdom alone to accomplish freedom from the hindrances of affliction 煩惱障, one instead uses both wisdom and concentration to liberate oneself both from the hindrances of affliction, and the hindrances of liberation 解脫障. Due to this liberation, one attains the sama^dhi of total annihi^ation 滅盡定. One of the 二十七堅聖 and one of the nine no-more-learnings 九無學. 〔瑜伽論 T 1579.30.832b18〕
[Muller-jpn-Eng] 自體愛 ジタイアイ attachment to a self essence
[Glossary_of_Buddhism-Eng] GANGES RIVER☞
“The Ganges River in India symbolizes the profound virtue of the
Buddhas and Bodhisattvas which moistens and quenches the thirst of
living beings.”
[HHFAS39I, 221]uu #1208

[fra-eng] récupéré $ 불어 recuperated
[chn_eng_soothil] 怛利耶怛喇舍 (or 怛利耶怛喇奢) Trayastriṃśa, the thirty-three heavens of lndra, cf. 多羅夜登陵舍.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 第16 能淨業障分
▼[羅什] 「復次須菩提, 善男子善女人, 受持讀誦此經, 若爲人輕賤,
“또 수보리야, 만일 선남자나 선녀인이 이 경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면서
도 남에게 천대를 받으면,
[玄奘] 復次, 善現, 若善男子或善女人,
於此經典受持、讀誦、究竟通利及廣為他宣說開示、如理作意,
若遭輕毀、極遭輕毀.
[義淨] 妙生, 若有善男子善女人, 於此經典受持、讀誦、演說之時, 或為人輕辱.
16-01 अपि तु ये ते सुभूते कुलपुत्रा वा कुलदुहितरो वा इमानेवंरूपान् सूत्रान्तानुद्ग्रहीष्यन्ति धारयिष्यन्ति वाचयिष्यन्ति पर्यवाप्स्यन्ति, योनिशश्च मनसिकरिष्यन्ति, परेभ्यश्च विस्तरेण संप्रकाशयिष्यन्ति, ते परिभूता भविष्यन्ति, सुपरिभूताश्च भविष्यन्ति।
api tu ye te subhūte kulaputrā vā kuladuhitaro vemān evaṁrūpān
sūtrāntānudgrahīṣyanti dhārayiṣyanti vācayiṣyanti paryavāpsyanti yoniśaśca
manasikariṣyanti parebhyaśca vistareṇa samprakāśayiṣyanti | te paribhūtā
bhaviṣyanti | suparibhūtāśca bhaviṣyanti |
“그런데 또한, 수보리여! 그들 귀족자제나 귀족여식들이 이런 모습의 경전말씀들을
배우고 외우고 독송하고 깊이 이해하며, 그리고 근원으로부터 生角에 새겨서 다른
이들을 위해 상세하게 설명해주고자 한다면 그들은 모욕당하게 될지도 모르며 더욱이
심하게 모욕당하게 될지도 모른다.
▼▷[api] ① api(ƺ.) → [또]
▼[tu] ① tu(ƺ.) → [그런데]
▼[ye] ① ye(pn.ƾ.nom.pl.) → [(어떠한) 그들이]
▼[te] ① te(pn.ƾ.nom.pl.) → [그들이]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kulaputrā] ① kulaputrāḥ(ƾ.nom.pl.) → [貴族子弟들이거나]
② kulaputra(ƾ. a noble­born youth man) < kula(ƿ. a race, family; the residence of a
family, a seat, house; a high or noble family) + putra(ƾ. a son, child)
▼[vā] ① vā(ƺ.)
▼[kuladuhitaro] ① kuladuhitaraḥ(Ʒ.nom.pl.) → [貴族女息들이거나]
② kuladuhitṛ(Ʒ.) = kulaputrī(Ʒ. a noble­born youth woman)
▼[vemān] ① vā(ƺ.) + imān(pn.ƾ.acc.pl.) → [이]
② imān(pn.ƾ.acc.pl.) < idam(pn. this)
▼[evaṁrūpān] ① evaṁ(ƺ.) + rūpān(nj.→ƾ.acc.pl.) → [이런、 형색인]
② evam(ƺ. thus, so, in this manner or way)
② rūpa(ƿ. any outward appearance or phenomenon or colour; form, shape, figure)
▼[sūtrāntānudgrahīṣyanti] ① sūtrāntān(ƾ.acc.pl.) + udgrahīṣyanti(fut.Ⅲ.pl.) →
▼[경전말씀들을、 받아들이고(→배우고)]
② sūtrānta(ƾ.È 敎, 經) < sūtra(ƿ. a thread, string; a short or concise technical sentence
used as a memorial rule; a rule, canon) + anta(ƾ. end; limit, boundary)
② udgrah(9.ǁ. to take up, lift up; to take or draw out; to deposit; to preserve)
▼[dhārayiṣyanti] ① dhārayiṣyanti(cuas.fut.Ⅲ.pl.) → [간직하고(→외우고)]
② dhṛ(1.ǁ.10.dž. to hold, bear, carry; maintain, support) > dhāray(caus.)
▼[vācayiṣyanti] ① vācayiṣyanti(cuas.fut.Ⅲ.pl.) → [이야기하고(→독송하고)]
② vac(2.ǁ. to speak, say, tell) > vācay(caus. to cause to speak; to go over, read; to say)
▼[paryavāpsyanti] ① paryavāpsyanti(fut.Ⅲ.pl.) → [깊이 취하고(→깊이 이해하고),]
② paryavāp(5.dž.) < pari(ƺ. towards, near to, down upon) + avāp(5.dž. to get, obtain,
secure, gain; to reach, go to, enter; to suffer, incur, receive) → understand
▼[yoniśaśca] ① yoniśaḥ(ƾ.abl.) + ca(ƺ.) → [그리고、 모태로부터]
② yoni(ƾƷ. womb, uterus; any place of birth or origin; a mine; an abode, a place)
▼[manasikariṣyanti] ① manasi(ƿ.loc.) + kariṣyanti(fut.Ⅲ.pl.) → [生角에、 만들고,]
 그 근원으로부터 마음에 새기다.
② manas(ƿ. the mind, heart; conscience; thought, idea; desire, longing after)
② kṛ(8.dž. to do; to make; to manufacture, prepare; to built, create; to form, arrange)
▼[parebhyaśca] ① parebhyaḥ(ƾ.dat.pl.) + ca(ƺ.) → [그리고、 다른 이들을 위해]
▼[vistareṇa] ① vistareṇa(ƾ.ins.→adv.) → [상세함으로 → 상세하게]
▼[samprakāśayiṣyanti] ① samprakāśayiṣyanti(caus.fut.Ⅲ.pl.) → [보여주고자 한다. →
설명해주고자 한다면,]
▼▷[te] ① te(pn.ƾ.nom.pl.) → [그들은]
▼[paribhūtā] ① paribhūtāḥ(njp.→ƾ.nom.pl.) → [모욕당하게]
② paribhūta(p.p. overpowered, conquered; disregarded, slighted) < paribhū(1.ǁ. to defeat,
subdue, conquer; to despise, slight; to injure, destroy; grieve)
▼[bhaviṣyanti] ① bhaviṣyanti(fut.Ⅲ.pl.) → [될 것이며, (→ 될지도 모르며,)]
② bhū(1.ǁ. to be, become; to be born or produced; to spring or proceed from; to happen)
▼▷[suparibhūtāśca] ① su+paribhūtāḥ(njp.→ƾ.nom.pl.) + ca(ƺ.) → [그리고、 심하게
모욕당하게]
② su(ƺ. good, excellent, right → excessively)
▼[bhaviṣyanti] ① bhaviṣyanti(fut.Ⅲ.pl.) → [될 것이다. (→ 될지도 모른다.)]
② bhū(1.ǁ. to be, become; to be born or produced; to spring or proceed from; to happen)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28일째]
선등세계일겁 $ 128▲不可說轉不可說轉為 一 ● 不可說不可說, ○□□□□,妙,難,莊,佛

□□□□□□,於妙光明世界光明藏佛剎為一日一夜;妙光明世界一劫,於難超過世界法光明蓮華開敷佛剎為一日一夜;
難超過世界一劫,於莊嚴慧世界一切神通光明佛剎為一日一夜;莊嚴慧世界一劫,於鏡光明世界月智佛剎為一日一夜。
□□□□□□,어묘광명세계광명장불찰위일일일야;묘광명세계일겁,어난초과세계법광명련화개부불찰위일일일야;
난초과세계일겁,어장엄혜세계일절신통광명불찰위일일일야;장엄혜세계일겁,어경광명세계월지불찰위일일일야。

善燈世界一劫,
선등 세계의 한 겁은 광명장불(光明藏佛)이 계시는 묘광명(妙光明) 세계의 하루 낮 하룻밤이요,
묘광명 세계의 한 겁은 법광명연화개부불(法光明蓮華開敷佛)이 계시는 난초과(難超過) 세계의 하루 낮 하룻밤이요,
난초과 세계의 한 겁은 일체신통광명불(一體神通光明佛)이 계시는 장엄혜(莊嚴慧) 세계의 하루 낮 하룻밤이요,
장엄혜 세계의 한 겁은 월지불(月智佛)이 계시는 경광명(鏡光明) 세계의 하루 낮 하룻밤이니라.



[129째]
불자여시차제 $ 129▲此又不可說不可說為 一 ● 不可說不可說轉。」 ○□□□□,勝,普,諸,諸

□□□□□□,乃至過百萬阿僧祇世界,最後世界一劫,於勝蓮華世界賢勝佛剎為一日一夜,
普賢菩薩及 諸同行大菩薩等充滿其中。」  => 諸菩薩住處品第三十二
□□□□□□,내지과백만아승기세계,최후세계일겁,어승련화세계현승불찰위일일일야,
보현보살급제동행대보살등충만기중。」  제보살주처품제삼십이

佛子如是次第,
불자들이여, 이렇게 차례차례로
백만 아승기 세계를 지나가서 나중 세계의 한 겁은
현승불(賢勝佛)이 계시는 승련화(勝蓮華) 세계의 하루 낮 하룻밤인데,
보현보살과 함께 수행하는 큰 보살들이 그 가운데 가득하였느니라.” => 32. 제보살주처품(諸菩薩住處品)



●K1389_T1448.txt★ ∴≪A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약사≫_≪K1389≫_≪T1448≫
●K0893_T1451.txt★ ∴≪A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_≪K0893≫_≪T1451≫
●K1391_T1444.txt★ ∴≪A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출가사≫_≪K1391≫_≪T1444≫


■ 암산퀴즈


481* 915
68670 / 70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63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39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20 번째는?




63 3계의 중생들을 다 이롭고
히 리, 㕧<上聲>梨<六十三>
hire,
(~!~) 적들을 파괴하고 없애 행복케 하소서. 망상을 소멸 근절케 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390 단다슈람 ◐檀多輸藍<齒痛三百九十>◑dantaㆍśūlaṃ
391 길리타야슈람 ◐頡哩馱耶輸藍<心痛三百><九十一>◑hridayaㆍśūlaṃ
392 마마슈람 ◐末摩輸藍<盧鉗反三百九十二>◑marmaㆍśūlaṃ
393 바라시바슈람 ◐跋囉㗌婆輸藍<肋痛三百九十三>◑pārśvaㆍśūlaṃ
394 배리스타슈람 ◐背哩瑟咤輸藍<背痛三百九十四>◑prishṭhaㆍśūlaṃ
395 오타라슈람 ◐烏馱囉輸藍<盧紺反腹痛三百九十五>◑udaraㆍśūlaṃ
396 단지슈람 ◐羶知輸藍<腰痛三百九十><六>◑kaṭiㆍśūlaṃ
397 바싣뎨슈람 ◐跛悉帝輸藍<裸骨痛三百九十七>◑vastiㆍśūlaṃ
398 오 로슈람 ◐鄔<上>嚧輸藍<腿䏶><痛三百九十八>◑ūruㆍśūlaṃ
399 상가슈람 ◐常伽輸藍<腕痛三百九十九>◑jaṅghāㆍśūlaṃ

●뿐만 아니라
일체 나쁜 별들이 곳을 따라
나타내는 괴변(怪變)을 진압하여,
재앙의 장애가 일어나지 않으니,
사람들은 횡액이나 요절[橫夭]을 당하는 일이 없고,
칼과 고랑으로 그 몸을 묶는 일도 없고,
밤과 낮이 편안하여 잠잘 때도 나쁜 꿈이 없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20
람의라사족(囕儗囉莎族)께 귀의합니다.
南無囕儗囉娑族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440115
981
법수_암기방안


39 아킬래스건 Achilles tendon
128 ( LITTELE finger) 새끼
129 (RING finger ) 약지
63 전박 (前膊) ~ 아래팔뚝


20 가운데(손가락) (MIDDLE)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508_235305 :

대장경 내 게송



출전:
한글대장경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합장하여 앞으로 숙이기 [Dandayamana Bibhaktapada Janushirasana]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2568-11-28-목
東海山 泥垣院 照源寺 Kuwana-桑名市,Japan
[사진]
[지도내 사진] 東海山 泥垣院 照源寺
https://maps.app.goo.gl
法盛寺
https://maps.app.goo.gl
[거리뷰1] https://maps.app.goo.gl
Gensho-ji random
https://maps.app.goo.gl
[세계내-위치] https://www.google.nl
[설명 1] https://en.wikipedia.org
[설명 2] https://ja.wikipedia.org
[동영상 1] 9:32
Shōgen-ji Temple 東海山照源寺三重県桑名市
https://youtu.be
[동영상 2] https://youtu.be
照源寺 桑名市 2012年3月 Shyougenji Temple
[음악]
[예술작품감상]
https://en.wikipedia.org
https://www.wikiart.org
002 아라하뎨삼먁삼몯다야 ◐阿囉訶帝三藐三菩陁耶<歸命一切如來應正等覺二>◑arhate samyaksaṃbuddhāsya//


○2019_1004_142056_nikon_Ar26


○2019_1004_155226_nikon_BW21


○2019_1004_170807_canon_CT27


○2019_1004_171959_canon_Ar28


○2019_1004_174400_canon_Ar28


○2019_1004_181028_nikon_Ar28


○2019_1004_142831_canon_BW25


○2019_1004_165950_canon_ar45


○2019_1004_175024_nikon_BW25


○2019_1004_150224_canon_ar47


○2019_1004_150252_canon_ct18


○2019_1004_155244_canon_AR35


○2019_1004_171653_nikon_AR35


○2019_1004_174223_canon_AR35


○2019_1004_180540_nikon_AR35


○2019_1004_152336_canon_ct19


○2019_1004_170607_nikon_ct19


○2019_1004_153856_nikon_ct6

● [pt op tr] fr
_M#]



○2019_1004_171334_canon_ab30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_K0893_T1451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 ♣0893-007♧
[관련키워드]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 제7권/전체4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K0893-007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5/k0893-007.html
sfed--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_K0893_T1451.txt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 제7권/전체40권
sfd8--불교단상_2569_05.txt ☞◆veab8821
불기2569-05-08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859564482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350
htmback--불기2569-05-08_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_K0893_T1451-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