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5년 4월 28일 월요일

방광반야경-k0002-005


『방광반야경』


K0002
T0221

방광반야경 제5권/전체2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4-28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002_T0221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방광반야경』 ♣0002-005♧




방광반야경 제5권/전체20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093351_nikon_bw24_s12▾화순 영구산 운주사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02113_nikon_ct13▾화순 영구산 운주사

순천 조계산 선암사
○2019_1105_114851_canon_CT28▾순천 조계산 선암사

순천 조계산 선암사
○2019_1105_121523_canon_ar38▾순천 조계산 선암사

순천 조계산 송광사
○2019_1105_162950_canon_BW17▾순천 조계산 송광사

여주 봉미산 신륵사
○2020_0904_093952_canon_bw24▾여주 봉미산 신륵사

오대산 적멸보궁
○2020_0905_151831_canon_BW27▾오대산 적멸보궁

양산 통도사
○2020_0907_174921_canon_Ab31▾양산 통도사

합천 해인사
○2020_0908_161326_canon_CT28▾합천 해인사

무주 백련사
○2020_0909_154640_canon_CT28▾무주 백련사

속리산 법주사
○2020_0910_114432_canon_ar45▾속리산 법주사

화성 용주사
○2020_0930_142848_nikon_AB2▾화성 용주사

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52929_canon_ori_rs▾삼각산 화계사

부여 고란사
○2018_1024_175158_nikon_ar24▾부여 고란사

의정부 도봉산 망월사
○2019_0106_150454_canon_AB4_s12▾의정부 도봉산 망월사

삼각산 도선사
○2020_1114_140806_canon_CT33_s12▾삼각산 도선사

해남_봉화산_대흥사
○2021_1006_105541_nikon_Ab27▾해남_봉화산_대흥사

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2023_0402_140042_canon_BW17▾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 [pt op tr] fr
_M#]


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2021_1003_171525_canon_ar11_s12_pc▾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본문 ◎[개별논의]

★%★

『방광반야경』 ♣0002-005♧
방광반야경 해제 (있는 경우)

방광반야경 005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본문









★1★





◆vdyh1728
◈Lab value 202110031715


○ 2016_1008_131153_nik.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Ernst-Ludwig-Kirchner-parterre-acrobats
[#M_▶더보기|◀접기|
Artist: Ernst-Ludwig-Kirchner
from https://en.wikipedia.org/wiki/Ernst_Ludwig_Kirchner
Title : parterre-acrobats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20_0606_183322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2018_0419_140543_canon_ar28

 

♥Bailieborough ,Ireland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Georges Brassens - La Complainte Des Filles De Joie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4/k0002-005.html#1728
sfed--방광반야경_K0002_T0221.txt ☞방광반야경 제5권/전체20권
sfd8--불교단상_2569_04.txt ☞◆vdyh1728
불기2569-04-28
θθ





■ 퀴즈


 2승(乘)의 하나인 성문의 네 가지. 결정성문(決定聲聞)ㆍ퇴보리성문(退菩提聲聞)ㆍ응화성문(應化聲聞)ㆍ증상만성문(增上慢聲聞). 

(1) 결정성문은 성문으로 결정되어 성불할 수 없는 사람. 

(2) 퇴보리성문은 보살로서 타락한 사람. 

(3) 응화성문은 불ㆍ보살의 시현으로 된 사람. 

(4) 증상만성문은 성문의 증(證)을 얻고, 거만한 마음이 더욱 커진 사람.

답 후보
● 사종성문(四種聲聞)
사치기(捨置記)

사혜(思慧)
살가야견(薩迦耶見)
삼가(三假)
삼구(三句)
삼량(三量)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Michel Polnareff - Lettre A France
LIANE FOLY - La Vie Ne M'apprend Rien
Indochine - La chevauchée des champs de blé
Marie Laforet - Le Computeur
CALI - Comme J'Etais En Vie
Les Petites Bourrettes - La Pluie
Francis Cabrel - Comme Une Femm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40▲ 卯卬戊民半 ■ 묘앙무민반 40 ( 토끼 묘 /넷째 지지 묘 )( 나, 자신( 自身) 앙 / 위풍당당( 威風堂堂)한 모양 앙) ( 다섯째)천간( 天干) 무 / 무성하다( 茂盛--) 무 )( 백성 민 / 잠잘 면 )( 반 반 )
053▲ 曲共光交臼 ■ 곡공광교구 53 ( 굽을 곡/ 잠박 곡, 누룩 국 )( 한가지 공 )( 빛 광 )( 사귈 교 )( 절구 구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T
[san-chn] drakṣyāmi 應見, 當見
[san-eng] bhavati $ 범어 becomes
[pali-chn] kāmâsava 欲漏
[pal-eng] .thaanaso $ 팔리어 adv.with reason and cause.
[Eng-Ch-Eng] hindrances due to discrimination 分別障
[Muller-jpn-Eng] 已 イ already; this, here
[Glossary_of_Buddhism-Eng] SHINGON SCHOOL☞
See also: Esoteric School; Mikkyo; Tibetan Buddhism.
“One of the esoteric schools of Japanese Buddhism characterized by
mystic ritualism and speculative doctrines, introduced by Kukai (774-
835). Its monastic center is located on Mount Koya in Wakayama
Prefecture.”
Okaz: 187 #2151
【book-page-684 685】

[fra-eng] lumineux $ 불어 bright, lucent, luminous, shining
[chn_eng_soothil] 盲冥 Blind and in darkness, ignorant of the truth.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若菩薩心不住法, 而行布施, 如人有目, 日光明照, 見種種色.」
어떤 보살이 마음을 법에 머물러 두지 않고 보시하면 눈 밝은 사람이 햇빛
아래서 여러 가지 물건을 보는 것 같으니라.”
[玄奘] 善現, 譬如明眼士夫, 過夜曉已, 日光出時見種種色. 當知菩薩不墮於事,
謂不墮事而行布施, 亦復如是.
[義淨] 若不住事而行布施, 如人有目, 日光明照, 見種種色.
是故菩薩不住於事應行其施.
14-21 तद्यथापि नाम सुभूते चक्षुष्मान् पुरुषः प्रभातायां रात्रौ सूर्येऽभ्युद्गते नानविधानि रूपाणि पश्येत्, एवमवस्तुपतितो बोधिसत्त्वो द्रष्टव्यो योऽवस्तुपतितो दानं परित्यजति॥
tadyathāpi nāma subhūte cakṣuṣmān puruṣaḥ prabhātāyāṁ rātrau
sūrye'bhyudgate nānāvidhāni rūpāṇi paśyet | evamavastupatito bodhisattvo
draṣṭavyo yo'vastupatito dānaṁ parityajati |
그것은 또한 마치, 수보리여! 시력을 지닌 사람이 밤이 새고 태양이 떠올랐을 때 여러
가지인 형색들을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그렇게 경계에 떨어지지 않은 채
깨달음갖춘이는 경계에 떨어지지 않고 베풂을 깡그리 행한다고 보여져야 한다.”
▼▷[tadyathāpi] ① tat(pn.ƿ.nom.) + yathā(ƺ.) + api(ƺ.) → [그것은、 마치、 또한]
▼[nāma] ① nāma(ƺ.) → [실로]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cakṣuṣmān] ① cakṣuṣmān(nj.→ƾ.nom.) → [시력을 지닌]
② cakṣusmat(nj. having an insight) < * + ­mat(possessive) < cakṣus(nj. seeing: ƿ. the
eye; sight, look, vision; light, clearness)
▼[puruṣaḥ] ① puruṣaḥ(ƾ.nom.) → [사람이]
② puruṣa(ƾ. a male being, man; mankind; the soul; the supreme being: [­ā]Ʒ. a woman)
▼[prabhātāyāṁ] ① prabhātāyāṁ(njp.→Ʒ.abso.loc.) → [새고]
② prabhāta(p.p. begun to become clear or light)
▼[rātrau] ① rātrau(Ʒ.abso.loc.) → [밤이]
② rātri(Ʒ. night; the darkness of night; turmeric) = rātrī(Ʒ.)
▼[sūrye'bhyudgate] ① sūrye(ƾ.abso.loc.) + abhyudgate(njp.→ƾ.abso.loc.) → [태양이、
떠올랐을 때]
② sūrya(ƾ the sun; the tree called Arka; the number twelve)
② abhyudgata(p.p. gone forth to meet; extended, spread, elevated) < abhyudgam(1.ǁ.)
▼[nānāvidhāni] ① nānā+vidhāni(ƾnp.acc.pl.) → [여러 가지인]
② nānā(ƺ. in different places, in different ways, manifoldly, variously)
② vidha(ƾ. kind, sort; mode, manner, form; fold)
▼[rūpāṇi] ① rūpāṇi(ƿ.acc.pl.) → [형색들을]
② rūpa(ƿ. any outward appearance or phenomenon or colour; form, shape, figure)
▼[paśyet] ① paśyet(pot.Ⅲ.sg.) → [볼 수 있다. →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② paś(4.dž. to see, look at, observe)
▼▷[evamavastupatito] ① evam(ƺ.) + a|vastu+patitaḥ(nj.→ƾ.nom.) → [그렇게、 경계에
떨어지지 않은]
▼[bodhisattvo] ① bodhisattvaḥ(ƾ.nom.) → [깨달음갖춘이는]
▼[draṣṭavyo] ① draṣṭavyaḥ(njp.→ƾ.nom.) → [보여져야 한다]
▼[yo'vastupatito] ① yaḥ(pn.ƾ.nom.) + avastu+patitaḥ(njp.→ƾ.nom.) → [(어떠한) 그는、
경계에 떨어지지 않고]
▼[dānaṁ] ① dānaṁ(ƿ.acc.) → [베풂을]
▼[parityajati] ① parityajati(pres.Ⅲ.sg.) → [깡그리 행한다(고).]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18일째]
득불가설무애심 $ 118▲無等轉無等轉為 一 ● 不可數, ○□□□□,往,神,所,往

□□□□□□□, 往詣十方不可說,
神力示現不可說, 所行無際不可說,
□□□□□□□, 왕예십방불가설,
신력시현불가설, 소행무제불가설,

得不可說無礙心,
말로 못할 걸림없는 마음을 얻어
시방에 나아감을 말할 수 없고
신통한 힘 나타냄도 말할 수 없고
행하는 일 그지없어 말할 수 없고



[119째]
왕예중찰불가설 $ 119▲不可數不可數為 一 ● 不可數轉, ○□□□□,了,精,智,於

□□□□□□□, 了達諸佛不可說,
精進勇猛不可說, 智慧通達不可說。
□□□□□□□, 료달제불불가설,
정진용맹불가설, 지혜통달불가설。

往詣眾剎不可說,
모든 세계 가는 일을 말할 수 없고
부처님을 아는 일도 말할 수 없고
용맹하게 정진함도 말할 수 없고
지혜를 통달함도 말할 수 없고




●K0111_T0187.txt★ ∴≪A방광대장엄경≫_≪K0111≫_≪T0187≫
●K0002_T0221.txt★ ∴≪A방광반야경≫_≪K0002≫_≪T0221≫
●K0239_T0831.txt★ ∴≪A방불경≫_≪K0239≫_≪T0831≫


■ 암산퀴즈


830* 390
47592 / 661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53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29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10 번째는?




53 “세존이시여, 이와 같이 이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具足水火吉祥光明大記明呪總持)의 말씀’은
돈계, 敦祇<五十三葵計反>
tunje
(~!~) 성스러운 가문에 출생 토록 전진 전진케 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290 바타바타 ◐泮咤泮咤<二百><九十>◑phaṭ phaṭ
291 사바하 ◐莎皤訶<二百九十一>◑svāhā//
292 혜혜바 ◐醯醯泮<二百九十二>◑He he phaṭ
293 아모가야바 ◐阿牟伽耶泮<不空大使二百九十三>◑Amoghāya phaṭ
294 아바라디하다바 ◐阿鉢囉底訶多泮<無障㝵二百九十四>◑apratihatāyaㆍphaṭ
295 바라바라 타바 ◐皤囉鉢囉<二合>陁泮<與願二百九十五>◑varaㆍpradāyaㆍphaṭ
296 아소라비타아바가바 ◐阿素囉毘陁囉皤迦泮<修羅破壞二百九十六>◑asuraㆍvidrāpa kāyaㆍphaṭ
297 살바뎨볘볘바 ◐薩皤提吠弊泮<一切天神二百九十七>◑sarvaㆍdevebhyaḥㆍphaṭ
298 살바나나가볘바 ◐薩皤那那伽弊泮<一切龍衆二百九十八>◑sarvaㆍnāgebhyaḥㆍphaṭ
299 살바약사볘바 ◐薩皤藥叉弊泮<一切勇鬼><神二百九十九>◑sarvaㆍyakshebhyaḥㆍphaṭ

●또 가령 터지고
헤진 부정한 옷을 입었을지라도,
한 번 행하고 한 번 머무는 모습이 모두 한결같이 청정하며,
또 비록 단을 만들지 않고
도량에 들어가지 않고
도를 행하지 않을지라도,
이 주문을 지니고 외우면
단에 들어가서 도를 행한 공덕과 전혀 다르지 않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11
선서(普逝)께 귀의합니다.
南無善逝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323700
72
법수_암기방안


29 약지 (RING finger )
118 (forearm) 아래팔뚝
119 (알너 - ULNA) 자뼈
53 (귀)코 nose 鼻 【비】


10 손목 WRIST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429_223948 :

대장경 내 게송



일체 행은 무상하니
인식함[識]도 바깥의 티끌과 물질이라네.
일어난 것은 반드시 다함이 있으니
저 적멸[滅]은 최고의 즐거움인 것을.

나고 늙고 병들어 죽지 않으면
또한 3유(有)에도 있지 않으리.
영원히 허공계에 있다면
그곳이 부처님 집일세.

두려움 없으면 더럽힘 없고
애욕에 물들지 않아
향기에 쪼임과 다섯 가지 욕망은
영원히 다하여 남음이 없네.

만약 백여덟 가지 애욕 끊어버리면
법을 모음도 또한 그러해
앞이 없어지면 뒤에는 나지 않고
도가 생겨 과위가 증득되리라.

불법의 총요(總要)는
37조도품(助道品)이고,
무원(無願)ㆍ무상(無相)ㆍ공(空)은
모든 부처님의 길이라네.

재능이 뛰어난 중생 등류
한 번 듣고 나고 죽음 벗어나나니
지혜의 칼로 잘라낸 것이
마치 불이 산과 들녘을 태운 듯하네.

억만 부처님 앞에 계셔서
비록 중생 등류 깨우쳤으나
죄업의 뿌리 깊고 견고하며
가엾어도 제도하기 어렵네.

중음으로 받은 몸들
장차 인도하면 말을 따라 교화되리니
비록 본래 발심한 것 아니나
법을 듣고 곧바로 제도되리라.


출전:
한글대장경 K0414_T0385
중음경(中陰經) 요진 축불념역
中陰經 【姚秦 竺佛念譯】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오장육부 자극하기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2568-12-12-목
청안사
경남 함안군 법수면 부남2길 122 청안사
cf 세종 전의면 가느실길 128-23
[사진] https://www.google.co.kr
[지도내 사진] https://maps.app.goo.gl
[거리뷰1] https://search.naver.com
https://map.naver.com
https://map.naver.com
[세계내-위치]
[설명 1] https://www.ggbn.co.kr
[설명 2] https://blog.naver.com
[동영상 1] 7:50
https://youtu.be
청안사제1회 어울림한마당축제 #천태종#함안청안사#불교
[동영상 2]
[음악]
[예술작품감상]
https://www.wikiart.org
포도나무 재배자와 무화과나무(Le vigneron et le figuier)-제임스 티소
003 나모살바몯다 ◐娜牟薩婆勃陁<敬禮一切諸佛三>◑Namaḥ sarva buddhāya



○2016_1008_132032_nikon


○2016_1008_150313_canon_ar45


○2018_0419_134743_canon_ab38


○2020_0525_190649_nikon_ct27


○2020_0606_125250_canon_ar20


○2020_0606_141930_canon_ct3


○2020_0606_142246_canon_bw17


○2022_0411_153530_canon_ct8_%23f01


○2022_0411_155131_canon_ct21_%23f01


○2022_0411_161355_canon_Ar28


○2022_0411_155105_canon_bw24


○2022_1109_123818_canon_AR35_s12


○2023_0216_174806_nikon_AB7


○2022_1116_163516_HP_BY_YJ_AR35_s12


○2022_1109_123825_canon_AB7


○2022_1116_161539_canon_BW25


○2022_1116_164155_canon_ab41_s12


○2022_0909_145410_canon_ct9_s12

● [pt op tr] fr
_M#]



○2022_0411_152348_canon_BW21_s12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방광반야경_K0002_T0221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방광반야경』 ♣0002-005♧
[관련키워드]
방광반야경 제5권/전체2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방광반야경-K0002-005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4/k0002-005.html
sfed--방광반야경_K0002_T0221.txt ☞방광반야경 제5권/전체20권
sfd8--불교단상_2569_04.txt ☞◆vdyh1728
불기2569-04-28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850448142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340
htmback--불기2569-04-28_방광반야경_K0002_T0221-tis.htm
● [pt op tr] fr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