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비달마품류족론』
K0949
T1542
제9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아비달마품류족론』 ♣0949-009♧
제9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아비달마품류족론 제9권
세우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6. 변섭등품 ⑤
이생법의 법[異生法法]에는
18계(界)와 12처(處)와 5온(蘊)이 속하고,
멸지(滅智)와 도지(道智)를 제외한 8지(智)로 알며
6식(識)으로 인식하는 것이어서,
욕계(欲界)ㆍ색계(色界)의 온갖 수면이
따라다니며 허물을 더하게 한다.
< 위와 같은 형태로
각 법에는
18계(界)와 12처(處)와 5온(蘊) 가운데 어떤 내용들이 속하는가.
또 이는 어떠한 지혜로 아는가.
어떤 식으로 인식하는 것인가.
어떠한 수면이 따라다니며 허물을 더하게 하는가. 그렇지 않은가의 문제를 살핀다.
이런 형태로 살피기 위해 제9권에서 나열되는 법들은 다음과 같다.
이생법의 법[異生法法]
이생법이 아닌 법[非異生法法]
이생과 함께 하는 법[共異生法]
이생과 함께 하지 않는 법[不共異生法]
정법(定法)
비정법(非定法)
순열뇌법[順熱惱法]
비순열뇌법[非順熱惱法]
근의 법[根法]
근이 아닌 법[非根法]
성스러운 진리에 소속된 법[聖諦所攝法]
성스러운 진리에 소속되는 것이 아닌 법[非聖諦所攝法]
함께 있는 법[俱有法]
함께 있지 아니하는 법[非俱有法]
상응하는 법[相應法]
상응하지 않는 법[非相應法]
결과의 법[果法]
결과가 아닌 법[非果法]
결과가 있는 법[有果法]
결과가 없는 법[無果法]
이숙의 법[異熟法]
이숙이 아닌 법[非異熟法]
이숙이 있는 법[有異熟法]
이숙이 없는 법[無異熟法]
인연의 법[因緣法]
인연이 아닌 법[非因緣法]
인연이 있는 법[有因緣法]
인연이 없는 법[無因緣法]
여읨의 법[離法]
여읨이 아닌 법[非離法]
여읨이 있는 법[有離法]
여읨이 없는 법[無離法]
상속의 법[相續法]
상속이 아닌 법[非相續法]
상속이 있는 법[有相續法]과
상속이 없는 법[無相續法]에
착한 법[善法]
착하지 못한 법[不善法]
무기의 법[無記法]
학의 법[學法]과 무학의 법[無學法]
비학비무학법[非學非無學法]
견도에서 끊어야 할 법[見所斷法]
수도에서 끊어야 할 법[修所斷法]
끊어야 할 것이 아닌 법[非所斷法]
견도에서 끊어야 할 인이 되는 법[見所斷爲因法]
수도에서 끊어야 할 인이 되는 법[修所斷爲因法]
끊지 않아야 할 것이 인이 되는 법[非所斷爲因法]
볼 수도 있고 대할 수도 있는 법[有見有對法]
볼 수는 없되 대할 수는 있는 법[無見有對法]
볼 수도 없고 대할 수도 없는 법[無見無對法]
이숙의 법[異熟法]
이숙법의 법[異熟法法]
이숙도 아니고 이숙법도 아닌 법[非異熟非異熟法法]
열등한 법[劣法]
중간의 법[中法]
미묘한 법[妙法]
작은 법[小法]과 큰 법[大法]
한량없는 법[無量法]과
뜻에 맞는 법[可意法]과
뜻에 맞지 않는 법[不可意法]과
뜻에 맞지도 뜻에 맞지 않는 것도 아닌 법[非可意非不可意法]
낙구행법[樂俱行法]
고구행법[苦俱行法]
불고불락구행법[不苦不樂俱行法]
함께 생기는 법[俱生法]과
함께 머무르는 법[俱住法]과
함께 소멸하는 법[俱滅法]
함께 생기지 아니하는 법[非俱生法]과
함께 머무르지 아니하는 법[非俱住法]과
함께 소멸하지 아니하는 법[非俱滅法]
마음과 함께 생기는 법[心俱生法]
마음과 함께 머무르는 법[心俱住法]
마음과 함께 소멸하는 법[心俱滅法]
마음과 함께 생기지 아니하는 법[非心俱生法]과
마음과 함께 머무르지 아니하는 법[非心俱住法]과
마음과 함께 소멸 하지 아니하는 법[非心俱滅法]
욕계[欲界)
에계[恚界)
출리계[出離界)
무에계[無恚界)와 무해계[無害界)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
욕계ㆍ색계를 색계[色界)라 하는 것
4무색(無色)을 무색계[無色界)라 하는 것
택멸(擇滅)과 비택멸(非擇滅)을 멸계(滅界)라 하는 것
또 온갖 색법(色法)을 통틀어 색계(色界)라 하는 것
택멸과 비택멸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색법이 아닌 것[非色法]을 통틀어 무색계(無色界)라 하는 것
택멸과 비택멸을 통틀어 멸계(滅界)라 하는 것
욕유(欲有)
색유(色有)
무색유(無色有)
욕루(欲漏)
에계[恚界)
무명루(無明漏)
3세(三世)와 3언의사(言依事)
욕계는 고고[苦苦]로 말미암아 괴롭다[고苦]하는 것
색계는 괴고[壞苦]로 말미암아 괴롭다하는 것
무색계는 행고(行苦)로 말미암아 괴롭다하는 것
또 뜻에 맞지 않는[不可意] 모든 행[諸行]은 고고로 말미암아 괴롭고
뜻에 맞는[可意] 모든 행은 괴고로 말미암아 괴로우며,
뜻에 맞지도 뜻에 맞지 않는 것도 아닌[非可意非不可意] 모든 행은 행고로 말미암아 괴롭다하는 것
또 괴로운 느낌[苦受]은 고고로 말미암아 괴롭다하는 것
즐거운 느낌[樂受]은 괴고로 말미암아 괴롭다하는 것
에계[恚界)
거친 생각이 있고 세밀한 생각이 있는 법[有尋有伺法]
거친 생각은 없고 세밀한 생각뿐인 법[無尋唯伺法]
거친 생각도 없고 세밀한 생각도 없는 법[無尋無伺法]
거친 생각도 있고 세밀한 생각도 있는 자리[有尋有伺地]
거친 생각이 없고 세밀한 생각뿐인 자리
거친 생각이 없고 세밀한 생각도 없는 자리[無尋無伺地]
신업(身業)
어업(語業)
의업(意業)
착한 업[善業]
착하지 못한 업[不善業]
무기의 업[無記業]
학의 업[學業]과 무학의 업[無學業]
학도 무학도 아닌 업[非學非無學法]
견도에서 끊어야 할 업[見所斷業]
수도에서 끊어야 할 업[修所斷業]
끊어야 할 것이 아닌 업[非所斷業]
순현법수업(順現法受業)과 순차생수업(順次生受業)과 순후차수업(順後次受業)
순락수업(順樂受業)
순고수업(順苦受業)
순불고불락업(順不苦不樂業)
신념주(身念住)
수념주(受念住)
심념주(心念住)
법념주(法念住)
신(身)ㆍ수(受)ㆍ심(心)ㆍ법(法)의 증상(增上)으로 생기는 착한 유루(有漏)ㆍ무루(無漏)의 도(道)
심ㆍ수ㆍ심ㆍ법을 반연하여 일어나는 착한 유루ㆍ무루의 지혜[혜慧]
4정단(正斷)과 4신족(神足)
4정려(靜慮)
괴로움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苦聖諦]와
괴로움의 원인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集聖諦]
괴로움의 소멸에 대한 성스러운 진리[滅聖諦]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진리[道聖諦]
4무량(無量)
공무변처(空無邊處)와 식무변처(識無邊處)와 무소유처(無所有處)
비상비비상처(非想非非想處)
4성종(聖種)
유위(有爲)의 4사문과(沙門果)
무위(無爲)의 4사문과
법지(法智)
유지(類智)
타심지(他心智)
세속지(世俗智)
고지(苦智)ㆍ집지(集智)ㆍ멸지(滅智)ㆍ도지(道智)
법무애해(法無碍解)
사무애해(詞無碍解)
에계[恚界)
변무애해(辯無碍解)
인연(因緣)
등무간연(等無間緣)
소연연(所緣緣)과 증상연(增上緣)
단식(段食)
촉식(觸食)과 의사식(意思食)
식식(識食)
욕폭류(欲瀑流)
유폭류(有瀑流)
견폭류(見瀑流)
무명폭류(無明瀑流)
4액(軛)
욕취(欲取)
견취(見取)
계금취(戒禁取)
아어취(我語取)
과거의 법[過去法]과 미래의 법[未來法]과 현재의 법[現在法]
과거도 아니고 미래도 아니고 현재도 아닌 법[非過去非未來非現在法]
욕계에 매인 법[欲界繫法]
색계에 매인 법[色界繫法]
무색계에 매인 법[無色界繫法]
매이지 않는 법[不繫法]
착한 것이 인이 되는 법[善爲因法]
착하지 못한 것이 인이 되는 법[不善爲因法]
무기가 인이 되는 법[無記爲因法]
착한 것이 인이 되지도 않고 착하지 못한 것이 인이 되지도 않는 무기가 인이 되지도 아니 하는 법[非善爲因非不善爲因非無記爲因法]
연유소연법(緣有所緣法)
연무소연법(緣無所緣法)
연유소연연무소연법(緣有所緣緣無所緣法)
비연유소연비연무소연법(非緣有所緣非緣無所緣法)
색온(色蘊)
수온(修蘊)
상온(想蘊)과 행온(行蘊)
식온(識蘊)
색취온(色取蘊)
수취온(受取蘊)
상취온(想取蘊)과 행취온(行取蘊)
식취온(識取蘊)
지옥의 세계[地獄趣]
방생의 세계[傍生趣]와
아귀의 세계[鬼趣]와
사람의 세계[人趣]
하늘의 세계[天趣]
견고에서 끊어야 할 번뇌부[見苦所斷煩惱部]
견집에서 끊어야 할 번뇌부[見集所斷煩惱部]
견멸에서 끊어야 할 번뇌부[見滅所斷煩惱部]
견도에서 끊어야 할 번뇌부[見道所斷煩惱部]
수도에서 끊어야 할 번뇌부[修道所斷煩惱部]
색법(色法)
심법(心法)
심소법(心所法)
심불상응행법(心不相應行法)
무위법(無爲法)
지계(地界)
수계(水界)ㆍ화계(火界)ㆍ풍계(風界)ㆍ공계(空界)
식계(識界)
견고에서 끊어야 할 법[見苦所斷法]
견집에서 끊어야 할 법[見集所斷法]
견멸에서 끊어야 할 법[見滅所斷法]
견도에서 끊어야 할 법[見道所斷法]
수도에서 끊어야 할 법[修所斷法]
끊어야 할 것이 아닌 법[非所斷法]
욕탐수면(欲貪隨眠)과 진수면(瞋隨眠)
유탐수면(有貪隨眠)
만수면(慢隨眠)
무명수면(無明隨眠)
견수면(見隨眠)
의수면(疑隨眠)
초식주(初識住)
제2식주(識住)
제3과 제4의 식주(識住)
제5와 제6과 제7의 식주(識住)
◎[개별논의]
○ [pt op tr]
○ 2018_1022_174011_nik_ct18_s12 공주 태화산 마곡사
❋❋본문 ♥ ◎[개별논의]
★%★
『아비달마품류족론』 ♣0949-009♧
◎◎[개별논의] ♥ ❋본문
★1★
◆vjrj1193
◈Lab value 불기2567/04/25 |
○ 2020_0606_141547_can.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Utagawa-Kuniyoshi-the-actor-19.jpg!HD ○ 2020_0606_140038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Fale_5_terre_3 ♡운강사_영주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Naver 지도 ○상세정보=> https://buddhism007.tistory.com/3979 Patricia Carli - Nous Sommes La ♥단상♥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3/04/2567-04-25-k0949-009.html#1193 sfed--아비달마품류족론_K0949_T1542.txt ☞제9권 sfd8--불교단상_2567_04.txt ☞◆vjrj1193 불기2567-04-25 θθ |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3수(受)의 하나. 5수의 하나. 외계(外界)와의 접촉에 의하여 마음과 몸으로 받는 즐거운 감각.
답 후보
● 낙수(樂受)
남산율사(南山律師)
남염부제(南閻浮提)
납(臘)
노스님(老――)
녹자모강당(鹿子母講堂)
누진통(漏盡通)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 2019_1004_164651_nik_BW21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아비달마품류족론_K0949_T1542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