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1년 8월 16일 월요일

불기2565-08-16_불공견삭다라니자재왕주경-k0290-003


『불공견삭다라니자재왕주경』
K0290
T1097

하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공견삭다라니자재왕주경』 ♣0290-003♧




하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4_132809_nik_fix 구례 화엄사 연기암


○ 2019_1104_104339_nik_fix 구례 화엄사


○ 2019_1104_161656_can_exc 구례 쌍계부근


○ 2019_1104_121433_can_exc_s12 구례 화엄사


○ 2020_1114_132325_can_ori 삼각산 도선사


○ 2018_1023_165506_can_ori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20_0911_120025_nik_ori_rs 제천 의림지 대도사


○ 2020_0908_163243_nik_ori_rs 합천 해인사


○ 2020_0907_162639_nik_ori_rs 양산 통도사


○ 2020_0907_153955_can_ori_rs 양산 통도사


○ 2020_0905_134938_nik_ori_rs 오대산 상원사


○ 2020_0905_121612_can_ori_rs 오대산 월정사


○ 2020_0905_114528_can_ori_rs 오대산 월정사


○ 2020_0904_135339_can_ori_rs 원주 구룡사


○ 2020_0211_134502_can_exc 불암산 천보사


○ 2019_1201_161920_nik_exc_s12 원주 구룡사


○ 2019_1105_165904_can_exc_s12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19_1106_111859_can_exc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5_155652_nik_exc_s12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19_1106_092119_nik_exc_s12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20_0909_132822_can_AB7


○ 2020_0908_161253_nik_BW25

● [pt op tr] fr
_M#]

★2★



❋❋본문 ◎[개별논의]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

不空羂索陁羅尼自在王呪經

K0290


○ [pt op tr]

[#M_▶더보기|◀접기|



불공견삭다라니자재왕주경 하권



보사유 한역

김영덕 번역



13. 성취입단법분(成就入壇法分)


그때 성관자재보살이 불공견삭신주(不空羂索神呪)의 단법(壇法)을 말씀하셨다.

“이 단(壇)은 바로 대승법(大乘法)으로서, 

모든 보살들이 거두어 받아들이는 바이다. 


단에 들어갈 왕이건 신하건 혹은 모든 범부이건 원(願)을 지닌 자를 

부처님과 평등하게 생각하라. 


주문을 지녔기 때문에 능히 자기와 남을 이롭게 하며, 

악취(惡趣)에 태어나지 않고 항상 선도(善道)에 태어난다. 

그러므로 단에 들어가는 사람은 부지런히 닦아서 공양해야 하느니라. 


그 주문을 수행하는 자는 정진의 갑옷[精進甲]을 입고 뛸 듯이 기뻐하며, 

일체의 중생을 이롭게 하려는 마음을 일으키고 욕심내거나 인색한 마음을 내지 말며, 

오로지 진언 수행에 마음을 쏟아 단법(壇法)을 따라 법에 맞게 행해야 한다. 

질투심을 멀리 여의고 우쭐하는 마음과 속이는 마음을 품지 않으며, 

결코 아첨하지 않고 깨달아 안 법을 항상 생각하여 잊지 않으며, 

모든 중생들에 대해 생색내거나 바라는 것이 없어야 한다. 








선교방편(善巧方便)으로 마음에 있는 것을 똑같이 실천하고 수행해야 할 것을 과감하게 결단하여 속히 성취할 수 있어야 한다. 

아만(我慢)을 일으키지 말고 모든 쟁론(諍論)을 여의며, 

금계(禁戒)를 지켜 수지하고 몸을 씻어 청정함을 지킨다. 

이와 같이 행할 수 있는 사람이라야 비로소 주문을 지녀 이 단장(壇場)에 들어갈 수 있다.




그 행하는 단법에는 세 가지가 있다. 

첫째는 지단(地壇)요, 

둘째는 국단(國壇)이며, 

셋째는 민단(民壇)이다. 

왕을 위하여 행하는 것을 지단이라 하고, 

대신을 위하여 행하는 것을 국단이라 하며, 

백성들을 위하여 행하는 것을 민단이라 한다. 


지단은 크게 만들고, 

국단은 중간으로 하며, 

민단은 작게 만든다. 



만일 이 대ㆍ중ㆍ소의 법에 따르지 않으면 곧 나쁜 일이 일어날 것이니, 

왕이나 대신 및 주문을 염송하는 사람에게 여러 가지 나쁜 일이 있게 된다. 

그러므로 법에 의하여 만들어야 함을 마땅히 알아야 한다.



만일 단을 만들고자 한다면, 

먼저 성일(星日)이 길한 날을 택하여서 

만일 길에서 선상(善相)1)을 만나면 그 길상지(吉祥地)를 선택하라. 


혹은 강변이나 혹은 산림이나 혹은 동산[園苑]을 택하되, 

마땅히 가시덤불과 돌, 

기와조각, 

높고 낮아 평탄하지 않은 것, 

더러운 풀, 

잡목이 우거진 험악한 땅을 피하라. 



그리하여 좋은 곳에서 나쁜 흙을 제거한 후에 좋은 흙을 그곳에 메우고, 

진흙을 발라 마치 손바닥과 같이 평탄하게 하며, 

주변을 곱고 편편하게 하여 마치 거울과 같게 하라.

만일 왕단(王壇)을 만들려면 가로 세로를 각각 32주(肘)2)로 한다. 



마땅히 금ㆍ은ㆍ진주 등의 가루를 붉은색ㆍ흰색ㆍ황색ㆍ녹색ㆍ검은색 물감에 섞어서 

단의 경계와 통로를 만들어라. 

단의 사면에 각각 한 문을 만들어야 하니, 

문에서 멀지 않은 곳에 각각 두 기둥을 세우고, 

여러 가지 장식을 하여 길상문(吉祥門)을 만든다. 

이 문 밖에 여러 묘한 꽃을 깔아 주변을 둘러싸게 하라.

단의 동쪽 문 밖에 두 천왕(天王)을 그려서 그 문을 수호하게 하라. 

왼쪽에는 마땅히 지국천왕(持國天王)3)을 만들고, 

오른쪽에는 마땅히 증장천왕(增長天王)4)을 만들어야 한다. 

모두 갑옷을 입고 무기[器杖]를 가지고 있으며, 

위엄이 있고 청정한 모습을 하고 성낸 얼굴로 있는데 눈빛은 붉게 한다. 

지국천왕은 손에 칼을 잡고 증장천왕은 손에 방망이를 잡는다. 

단의 남문 밖에 마땅히 두 왕을 그려 그 문을 지키게 하라. 

왼쪽에는 추목천왕(醜目天王)5)을 만들어라. 

오른쪽에는 마땅히 적목신왕(赤目神王)6)을 만들어라. 

이 두 왕의 얼굴은 모두 검은 빛으로서, 

적금(赤金)으로 몸을 장엄하고 모두 갑옷을 입고 그 손에 활과 화살과 도(刀)와 검(劍)을 잡게 한다.

단의 서문 밖에 두 야차왕을 그려 그 문을 지키게 하라. 

왼쪽에는 마땅히 말니발달라약차왕(末尼跋達羅藥叉王)7)을 만들고, 

오른쪽에는 마땅히 포률나발라약차왕(布栗拏跋羅藥叉王)8)을 만들어라. 

이 두 왕을 만들 때에는 마땅히 본래 그들의 색과 같게 하라. 

여러 가지로 몸을 장엄하고 갑옷을 입고 손에는 도끼와 밧줄을 갖추게 한다. 

단의 북문 밖에 두 천왕을 그려서 그 문을 수호하게 하라. 

왼쪽에는 마땅히 다문천왕(多聞天王)을 만들어라. 

오른쪽에는 마땅히 금강수천왕(金剛手天王)을 만들어라. 

이 두 왕을 그리려면 각각 본래의 색에 따르라. 

뭇 보배로써 장엄하고 무기[器杖]를 잡은 모습으로 한다.

단(壇)의 정 가운데에 성관자재보살의 형상을 그려라. 

그 상은 연화좌(蓮花座) 안에 서 있는 모습으로 한다. 

머리는 소라 모양의 상투[螺髻]를 틀어 묶고 감색(紺色)의 머리칼을 늘어뜨리며, 

머리 위의 보관(寶冠)에는 무량수불(無量壽佛)을 그린다. 

그 존자의 몸은 모든 장신구로 장엄하고, 

형상은 흰 색으로 하여 마치 파지가(頗胝迦:水精)와 같이 하며, 

네 개의 팔을 가진 모습으로 한다. 

오른쪽 두 손에서 한 손은 연꽃을 잡고, 

다른 한 손은 조관(澡罐:澡甁)을 가지며, 

왼쪽의 두 손에서 한 손은 염주를 지니고, 

다른 한 손은 시무외인(施無畏印)을 짓도록 한다. 

얼굴 모양은 단엄(端嚴)하며 기쁨에 차 있으면서 평온하게 그린다. 

원광(圓光) 위에 하늘 꽃을 그려서 이를 장엄하여 꾸민다. 

그 가슴 앞에 만자인(萬字印)을 결하고 몸을 숙여 내려다보게 하라.

존자의 왼쪽에 대세지(大勢至)보살의 형상을 그리는데, 

그 겉모습은 백금(白金)색과 같이 하고 몸에 하늘 옷을 입으며 온갖 보배로 장엄한다.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얼굴을 성관자재보살의 앞을 향하여 합장ㆍ공경한다. 

그리고 오른쪽에는 보현보살(普賢菩薩)의 형상을 그려라. 

그 형상의 겉모습은 마치 백련화의 빛깔과 같게 하고, 

머리는 소라 모양의 상투를 틀며, 

감색 머리카락을 늘어뜨린 모습으로 한다. 

얼굴은 단엄하고 기쁨의 미소를 띠며,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얼굴을 존자에게 향하여 합장ㆍ공경한다.

보현보살의 형상 아래에는 반드시 마마계(摩麽鷄)주나라 말로 아소(我所)이다. 

천녀9)와 금강사(金剛使) 천녀를 그리며, 

대세지보살의 상 아래에는 반드시 다라(多羅)10)주나라 말로 동자(童子)이다. 

천녀와 비구지(毘俱胝)주나라 말로 진목(瞋目)이다. 

천녀11)을 그려라. 

그 다라 천녀는 백색의 옷을 입고, 

나머지의 세 천녀는 모두 여러 색이 섞여 있는 옷을 입는다. 

이 네 천녀는 모두 하늘 옷을 입고 온갖 보배로써 장식하며, 

얼굴은 온화하며 기쁨의 미소를 띠게 한다. 

모두 꿇어 앉아 오른쪽 어깨를 드러내고 존자 앞에서 합장ㆍ공경하는 모습이다.

또한 관자재보살상 앞에 불공견삭주왕(不空羂索呪王)을 그려라. 

그의 겉모습은 붉지도, 

희지도 않다. 

옷은 붉은 색이요, 

두 발은 움직이는 듯이 표현하며, 

얼굴에 세 개의 눈이 있는데 붉은 빛이면서 붉은 광채를 발하며, 

귀걸이를 아래로 늘어뜨린 모습이다. 

입 밖으로 네 개의 어금니가 삐져나와 있는데 둘은 위로 향하고 둘은 아래로 향하며, 

두 눈썹을 간혹 찡그리고 아랫입술을 때때로 움직이며, 

몸에 네 개의 팔이 있는 모습으로 표현한다. 

길고 짧은 목걸이[瓔珞]를 걸어 가슴 부위에 엇갈려 늘어뜨린 모습으로 한다. 

존자 앞에서 두 무릎을 땅에 대고 몸을 굽혀 우러러보며 귀를 기울여 듣는 모습이다.

또한 존자의 양쪽의 가까운 곳에 마땅히 범왕(梵王)ㆍ제석(帝釋)ㆍ나라연(那羅延)12)ㆍ자재(自在)13)ㆍ대자재(大自在)14) 등의 여러 하늘의 대중을 그려라. 

각각 본래의 형상을 따라 의복과 장엄구를 갖추고, 

모두 존자를 향하여 합장하고 서 있는 모습으로 한다. 

단의 사면에 각각 하나의 큰 용왕(龍王)을 그려야 하니, 

이른바 사갈라(娑竭羅)용왕15)ㆍ아나파답다(阿那婆踏多)용왕ㆍ난타(難陀)용왕ㆍ우파난타(鄔波難陀)용왕이 곧 이것이다. 

단의 네 모퉁이에는 각각 하나의 아수라왕[阿素洛王]16)을 그려라. 



이른바 광명(光明)아수라왕17)ㆍ라호라(羅怙羅)아수라왕18)ㆍ비마질달라(毘摩質怛羅)아수라왕19)ㆍ후성(吼聲)아수라왕20)이 곧 이것이다.





이 단(壇)을 완성하고 나서 

또한 여러 인(印)과 여러 무기[器杖]들을 만들어서 단장(壇場)을 장엄하라. 


곧 소라 모양의 인[螺形印]ㆍ바퀴 모양의 인[輪形印]ㆍ연꽃 모양의 인[蓮華形印]ㆍ난지가인[難地迦印]ㆍ사지가인(莎底정(丁)과 리(履)의 반절이다.迦印)ㆍ만자인문(萬字印文)을 그려라. 



또한 마땅히 몽둥이[棓]ㆍ작은 창[鑞]21)ㆍ창[戈]ㆍ끝이 갈라진 창[戟]ㆍ화살ㆍ활 등의 여러 무기들의 형상을 그려라. 

또한 흰 덮개, 

혹은 꽃, 

혹은 깃발을 그려라.

그리려고 할 때에는 마땅히 그림 그리는 사람으로 하여금 먼저 깨끗이 몸을 씻게 하고 새 옷을 입히며 8계(戒)를 받아 지니게 해야 한다. 

마땅히 울금(鬱金)ㆍ우황(牛黃)ㆍ웅황(雄黃)ㆍ금정(金精)ㆍ주사(朱砂)를 취하여 아주 뛰어나게 채색을 하라. 

아교를 섞어서는 안 되니, 

반드시 간다라사향[健陀洛娑香:安息香]의 진액과 소(酥)로써 이에 섞어서 그려라.

단의 둘레에 마땅히 청ㆍ황ㆍ적ㆍ백의 네 가지 색의 깃발을 걸어라. 

단 위에는 마땅히 흰 덮개로 덮는다. 

또한 금ㆍ은ㆍ적동(赤銅)으로 여덟 개의 큰 병을 만들어라. 

그 병에는 모두 전단(栴檀)ㆍ침수(沈水)ㆍ용뇌(龍腦)ㆍ울금(鬱金) 등 여러 향을 섞어서 그 위에 그림을 그리고, 

화환[貫花]을 그 병의 목에 걸어 두며, 

각각에 물을 채워 단 안에 놓아라. 

또한 품질이 좋은 향(香)ㆍ소(酥)ㆍ꿀[蜜]ㆍ젖[乳]ㆍ낙(酪), 

이와 같은 다섯 종류의 물건을 취하여 각각 네 그릇씩 담아 단 안에 놓아라. 

소(酥)로써 떡[餠]을 찌고, 

사탕(砂糖)ㆍ석밀(石蜜)을 떡 위에 바른다. 

멥쌀로 지은 밥과 유죽[乳糜], 

혹은 깨죽[胡麻粥]이나 보리죽 등 여러 가지 좋은 음식을 차려라. 

그러나 피와 고기로 만든 음식은 빼야 한다. 

모두 그릇에 담아 단 안에 공양하라.

단 밖의 사면에 담장을 쌓고 구덩이를 파거나 혹은 울타리를 세워야 하니, 

이 가운데 하나를 취해야 한다. 

또한 단의 사면에 똑같이 각각 하나의 문(門)을 만들고, 

그 문 밖에 사람을 두어 수호하게 한다. 

그 수호자에게는 몸에 갑옷을 입히고, 

손에 무기[器杖]를 잡게 하라. 

또한 단으로부터 1구로사(俱盧舍)22) 떨어진 곳의 사면에 4병(兵), 

곧 상병(象兵)ㆍ마병(馬兵)ㆍ거병(車兵)ㆍ보병(步兵)을 배치하고 지키게 하여 이로써 적과 비인(非人)23)을 막아야 한다.

그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은 향(香) 끓인 물로 몸을 깨끗하게 씻고 새 옷으로 갈아입는다. 

길상법(吉祥法)을 행하면서 주문을 염송하여 스스로 수호하여서 비인(非人)으로 하여금 틈을 노리지 못하게 하라. 

그리고 단 밖에 하나의 작은 단을 세워라. 

곧 그 왕과 왕의 권속으로서 단으로 들어갈 자로 하여금 작은 단 안에서 향 끓인 물로 몸을 씻게 하고 흰 옷을 입게 하며 8계재(戒齋)를 지니게 한다. 

하루 낮 하룻밤 동안 모두 단식(斷食)하게 하고, 

입으로 양지(楊枝:齒木, 

입안을 청결하게 하는 기구)을 씹게 한다. 

흰 개자(芥子)에 주문을 외워 가지하고, 

왕 자신과 여러 권속으로 하여금 모두 손에 개자를 잡게 하라. 

길상병의 물을 왕의 정수리에 쏟고, 

왕으로 하여금 정념(正念)에 머무르게 하고, 

방편으로 안위하여 지극한 마음으로 허물을 뉘우치고 고치게 하라.

그 주문을 염송하는 사람은 곧 먼저 단에 들어가서 여러 주신(呪神) 대중에게 향ㆍ꽃ㆍ음식 및 등불[燈明] 등 갖가지로 공양하며 성관자재보살게 정례(頂禮)한다. 

마땅히 이 주문을 염송하여 흰 개자에 가지하고 시방에 뿌려라. 



열여덟 번째 주문은 다음과 같다.

거란본에는 이 주문이 오히려 중권(中卷)에 있다.


옴 아모가 사새야 사새야 훔바타

唵 阿慕伽 赦䚡耶 赦䚡耶 𤙖泮吒


이것은 곧 결계하는 주문[結界呪]이다. 




결계하려고 할 때에는 먼저 이 주문을 외워 흰 개자에 가지하고 시방의 면에 뿌려 방호(防護)하라.

열아홉 번째 주문은 다음과 같다.거란본에는 이 주문이 오히려 열여덟 번째 주문이 있는 곳에 있다.


옴 아모가 바라 디하다 만다만다락샤락샤 라쟈 살바살타훔구람 옴

唵 阿慕伽 鉢囉二合底訶多 漫陀漫陀囉叉囉叉自稱名囉攘 薩婆薩埵𤙖 俱嚂唵

바타 사바하

泮吒半音娑婆訶


이것은 단을 결계하는 신주[結壇神呪]이다. 

단을 결계하려고 할 때에는 먼저 이 주문을 외워 물[水]에 가지하고, 

재[灰]나 혹은 흰 개자에 주문으로 가지하고는, 

사방에 뿌려 그 멀고 가까움에 따라 곧 경계[界畔]를 지어 방호한다.

스무 번째 주문은 다음과 같다.거란본에는 이 주문이 오히려 열아홉 번째 주문이 있는 곳에 있다.


옴 뎨라로기야 미사야 모가바샤사마라 삼마야 짇-따남 마하사마야바라

唵 帝曬嚕枳耶 微闍耶 慕伽播賒娑蟒囉 三摩耶 地瑟咤南 摩訶娑蟒耶鉢囉

타바훔야

二合答波𤙖若


이것은 바로 자신에게 접근하는 것을 금지하는 주문[禁自身呪]이다. 

만일 도량으로 들어가려면, 

먼저 이 주문을 외워 자신을 보호하여 비인(非人)으로 하여금 설치지 못하게 하라.

스물한 번째 주문은 다음 같다.거란본에는 이 주문이 오히려 스무 번째 주문이 있는 곳에 있다.


옴 아모가 락샤락샤 훔바타

唵 阿慕伽 囉叉囉叉自稱名𤙖泮吒半音


이것은 바로 향에 주문하는 주문[呪香呪]이다. 

만일 단장(壇場)으로 들어가서 향을 피우려고 할 때에는, 

먼저 이 주문을 외워 향에 가지한 다음에 이것을 태워서 공양하라.



스물두 번째 주문은 다음과 같다.


거란본에는 이 주문이 오히려 스물한 번째 주문이 있는 곳에 있다.


옴 아모가 다마다마 바라 디제도방망 미라마 사바하

唵 阿慕伽 淡磨淡磨 鉢囉 底掣度謗忙 微嚂麼 娑婆訶


이것은 바로 꽃에 주문하는 주문[呪華呪]이다. 

만일 단장에 들어가서 꽃다발을 공양하려고할 때에는, 

먼저 이 주문으로써 화만에 가지하고 나서 단장에 뿌려라.




스물세 번째 주문은 다음과 같다.거란본에는 이 주문이 오히려 스물두 번째 주문이 있는 곳에 있다.


옴 아모가 아하라 아하라 보스바달바암미마 아자리니 훔바타

唵 阿慕伽 阿訶囉 阿訶囉 布澁波達嚩闇微麽 阿遮唎尼 𤙖泮吒半音


이것은 바로 공양을 바칠 때 사용하는 신주[獻供神呪]이다. 

공양을 바치려고 할 때에는, 

먼저 이 주문으로 물ㆍ쌀 및 갖가지 여러 꽃에 가지하고, 

그렇게 한 뒤에 단 안에 흩어 뿌려서 공양을 받들어 올린다.

스물네 번째 주문은 다음과 같다.거란본에는 이 주문이 오히려 스물세 번째 주문이 있는 곳에 있다.


옴 아모가 아라샤 바라 디챠거라가 바점알리 혜나 알리 혜나말리

唵 阿慕伽 阿囉闍 鉢囉二合底車傑囉伽 跛店孽里二合醯拏 孽哩二合醯拏沫林

사바하

娑婆訶


이것은 바로 자리에 주문하는 신주(呪座神呪)이다. 

만일 앉으려고 할 때에는 먼저 이 단 안의 자리에 주문하여 가지한다. 

그 위에 결가부좌하고, 

두 손으로 연화인(蓮華印)을 맺고, 

불공견삭심주(不空羂索心呪)를 염송하라. 

이와 같이 염송하면 주문의 위신력으로 인해 허공에서 기이한 형상이 나타나거나, 

혹은 설법하는 소리를 들리거나, 

혹은 손가락을 튕기는 소리[彈指]24)가 들리거나, 

혹은 ‘훌륭하도다[善哉]’라는 소리가 들리거나, 

혹은 꽃이 비처럼 내리는 것을 볼 것이다. 

주문을 염송하는 사람이 이와 같은 불가사의하고 길상한 일을 보거나 들으면, 

곧 수행한 단법(壇法)이 성취되었음을 알아야 하니, 

왕과 권속을 마땅히 바로 단으로 들어오게 해야 한다.

이 주문을 염송하는 사람이 곧 자리에서 일어나 성관자재보살과 여러 성중(聖衆)께 이마를 땅에 대어 예배하고 단(壇)으로부터 나와서 왕의 오른손을 잡고 이끌어 단문(壇門)에 이른다. 

왕으로 하여금 합장하게 하고 흰 비단[白繒]을 취하여 왕의 두 눈을 가린다. 

그리고 왕으로 하여금 여러 부처님과 신주왕(神呪王) 및 다라(多羅) 천녀(天女)ㆍ비구지(毘俱胝) 천녀ㆍ마마계(摩麽鷄) 천녀ㆍ금강사(金剛使) 천녀, 

그리고 대세지보살ㆍ보현보살에게 공경히 예배하게 하고, 

왕으로 하여금 발심하여 지극한 정성으로 참회하게 하고, 

큰 서원을 내고서 손에 묘한 꽃을 들게 하라.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이 왕을 서쪽 문으로 이끌어 들어와서 단 안에 이르러, 

들고 온 꽃을 여러 상(像) 앞에 놓게 하되 마음 가는 곳에 놓게 하고, 

꽃을 놓은 자리의 상을 곧 스승으로 삼는다.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은 꿇어앉아서 합장하고 보살계(菩薩戒)를 받으며 이와 같이 말하라.

‘이제부터 저는 영원히 술과 고기를 끊고 냄새나는 매운 채소를 먹지 않으며, 

또한 다른 삿된 마구니[邪魔]와 외도(外道)에 귀의하지 않으며, 

은혜를 알고 은혜에 보답하겠습니다. 

오직 바라오니 삼보와 보살과 성문께서는 자비하신 생각으로 가호하소서. 

이제부터 중생의 부류에게 항상 두려움이 없게 하고 맹세코 목숨을 끊지 않으며, 

보리심을 발하여 진실한 말을 하며, 

삿된 행동을 하지 않고 항상 올바른 견해를 행하며, 

아견(我見)25)과 중생(衆生)26)과 명자(命者)27)와 보특가라(補特伽羅)28) 등의 일체 삿된 견해를 일으키지 않으며, 

생사윤회를 벗어나게 되기를 힘써 구하고 공한 법성을 증득하여 마침내 모든 상(相)에 집착하지 않겠습니다.’

두세 번 이와 같이 하고, 

서원하기를 ‘원컨대 이와 같이 하여 생한 공덕으로 속히 세간을 벗어나 마땅히 도사(導師:佛)ㆍ양족중존(兩足中尊)29)이 되어 일체중생으로 하여금 번뇌의 병을 끊게 하고 여러 율의(律儀)를 받게 하리라’라고 한다.

이에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은 왕에게 불공견삭심주인법(不空羂索心呪印法)을 주어 단 밖으로 인도하여 내보내라. 

또한 그 다음에 왕의 권속을 이끌어 들인다. 

낱낱이 단에 들이고서 왕이 법을 받아 지닌 것과 똑같이 행하게 한다. 

이 일이 끝나면 왕과 그 권속은 마땅히 재보(財寶)와 집물(什物)로써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 등에게 베풀고, 

곧 궁으로 돌아가야 한다.

만일 신단(臣壇)을 만들려면, 

길이와 너비는 16주(肘)로 한다. 

그 단 안에 있는 경계와 통로를 긋되, 

금이나 은을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능력껏 여러 가지 채색을 사용하여 주왕(呪王) 등의 여러 형상을 그리되, 

왕의 단법과 같게 한다. 

마땅히 음식을 단 안에 놓고 공양하라. 

단의 네 면에 각기 깃발을 세우고, 

네 개의 길상병(吉祥甁)에 각각 물을 채워 그것을 사방에 놓아라. 

단으로 들어갈 자는 먼저 깨끗이 몸을 씻고 깨끗한 새 옷을 입는다. 

그리고 온갖 이름난 향을 피우며 꽃을 뿌려 공양한다. 

기타 법을 사용함은 모두 왕단(王壇)과 같게 한다.

만일 민단(民壇)을 만들려면, 

길이와 너비를 8주(肘)로 하고, 

그 단 안에 마땅히 존자 성관자재보살 주왕(呪王)의 형상과 인문(印文)을 그려야 한다. 

그 나머지 형상은 저 왕과 신의 단법과 같게 하지 말라. 

만일 단의 경계와 통로를 그으려면 세 가지인 붉은색ㆍ흰색ㆍ노란색으로 하라. 

단에 놓을 길상병은 백동(白銅)으로 만들거나 혹은 적동(赤銅)으로 만들거나, 

혹은 은(銀) 만들며, 

자신이 가진 능력에 따라서 향ㆍ꽃ㆍ깃발ㆍ일산과 여러 가지의 음식 그리고 갖가지 과자(菓子)를 마련하여서, 

이를 공양한다. 

단에 들어갈 자는 몸을 씻고 계를 받아 지니며, 

단장(壇場)에 들어가고 나오는 일체의 궤칙(軌則)은 모두 왕법과 똑같이 행하라.

이와 같이 단장(壇場)이 소유하는 이익은 모두 세존의 선교방편이니, 

중생을 조복(調伏)하여 긴 밤[長夜]30)의 허덕임으로부터 해탈을 얻게 한다. 

만일 성문(聲聞)을 구하면 곧 성문승(聲聞乘)으로써 이를 조복하고, 

만일 벽지불(辟支佛)을 구하면 곧 벽지불승으로써 이를 조복하며, 

만일 보살을 구하면 곧 대승(大乘)으로써 이를 조복하며, 

만일 이와 같은 비밀신주(祕密神呪)로써 조복하여야 할 자는 곧 신주(神呪)로써 선교방편을 삼아 선도(善道)에 나아가게 하고 나아가 보리(菩提)로 이르게 한다. 

그러므로 이 신주에 대해 반드시 의혹(疑惑)을 끊어야 한다. 

만일 부처님과 보살이 말씀하신 신주를 성취하면, 

이러한 사람은 곧 예류(預流)ㆍ일래(一來)ㆍ불환(不還)ㆍ아라한과(阿羅漢果)ㆍ벽지불과(僻支佛果)를 얻고 나아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까지도 증득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단에 들어가는 자는 큰 복업(福業)을 성취하고 지혜와 신통과 숙명지를 모두 갖추며, 

나아가 10지(地)에 오르는 공덕까지 모두 성취하게 된다. 

온갖 마구니의 일체 경계를 초월하여 원적(怨敵)을 부수어 항복시키고, 

여러 가지 장애가 되는 고뇌를 끊으며, 

나아가 5무간업(無間業)31)이 모두 소멸되는 등, 

무량한 공덕이 모두 성취될 것이다.”








14. 성취조복제룡자재분(成就調伏諸龍自在分)


그때 성관자재보살이 또한 용을 다스려 항복시키는 법을 말씀하셨다.

“만일 여러 용을 조복하여 자재함을 얻고자 하면,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은 마땅히 그 용이 살고 있는 곳으로 가서, 

깨끗한 황토(黃土)를 취하여 거기에 쇠똥[牛糞]을 섞어 단장(壇場)을 발라 만들고, 

전단향(栴檀香)과 침수향(沈水香)을 사르고 꽃을 뿌려서 공양하라. 

그리고 마땅히 존자 성관자재불공견삭심주왕(聖觀自在不空羂索心呪王)을 백팔 번 염송하라. 

그러면 용이 살고 있는 연못의 물이 모두 말라 없어져 용과 용녀가 자연히 나타나서 모두 기뻐하며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에게 이마를 땅에 대어 예배하고 그를 칭찬하여 말하리라.

‘잘 오셨습니다. 

잘 오셨습니다. 

무슨 일로 이곳에 오셨습니까?’

주문을 수행하는 자는 다음과 같이 답하여 말한다.

‘나에게 바라는 것이 있으니, 

원컨대 능히 그대로 행하라.’

용이 다시 물어 볼 것이다.

‘어떤 것을 바라십니까?’

그러면 주문을 수행하는 자는 다음과 같이 말해야 한다.

‘내가 생각하는 대로 너는 내 마음에 속히 응하여 그대로 행하라.’

그 용이 듣고 나서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에게 이마를 땅에 대어 예배하고 홀연히 없어질 것이며, 

순식간에 용이 있는 연못의 물이 다시 채워져 용과 그 권속이 본궁(本宮)으로 돌아갈 것이다. 

포악함이 다시는 없게 되고 그 성품이 유순하게 되며, 

방일(放逸)하지 않게 된다.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이 거듭 그 벌을 가하여 자재함과 그의 권속을 잃게 될까 항상 두려워하고, 

악도(惡道)에 떨어질 것을 두려워하며, 

5욕(欲)을 탐내지 않게 된다.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이 후에 재물을 구해서 널리 은혜를 베풀어 중생을 이롭게 하려고 그 용을 생각하면, 

그때에 용이 곧 동자(童子)의 형상으로 변하여서, 

생각하는 대로 수행하는 사람 앞에 이를 것이다. 

몸에는 의복과 진귀한 보배 등 여러 가지로 장엄하고는, 

주문을 수행하는 자의 앞에 꿇어 앉아 물을 것이다.

‘무엇을 원하십니까?’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은 다음과 같이 답하여 말한다.

‘나는 재물을 구하여 가난한 자에게 베풀려고 한다.’

용이 또 답하여 말할 것이다.

‘이제 당신이 뜻하고 바라는 대로 마땅히 만족하게 하겠습니다.’

이 말을 하고 나서 곧 바다 속으로 들어가 여의보주(如意寶珠)를 취하여,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에게 바치고 큰 원을 발할 것이다.

‘이 여의주로써 섬부주(贍部洲)의 일체 중생에게 베풀어 빈궁함을 여의게 하고 큰 부귀를 얻게 하며, 

바라는 것을 자재하고 걸림이 없이 만족하게 하소서.’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이 여의주를 얻으면 용에게 말하라.

‘너는 궁으로 돌아가 있어라. 

내가 만일 네가 필요하여 생각을 하면, 

곧 나에게 와야 하니, 

이를 잊어서는 안 된다.’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이 이 여의보주를 얻으면, 

필요로 하는 것이 모두 이루어지고, 

한량없는 모든 중생들을 이롭게 하여 모두 쾌락과 부귀를 마음대로 성취하게 할 것이다.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은 또한 여러 가지 향과 꽃으로 여의보주에 공양하라. 

그리고 오직 자기만 보아야 하니, 

절대로 남에게 보여서는 안 된다. 

만일 남에게 보이면 구슬이 신통변화의 힘을 잃어 자재(自在)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후에 만일 팔 때에는 백 구지(俱胝:百億)의 값 중에서 단지 그의 반을 얻고, 

또한 다시 팔 때에는 다시 반값을 감한다. 

이와 같이 뒤에 다시 팔 때에는 항상 그의 반을 감하여, 

결국 돌과 같이 하나의 값어치도 없게 되고, 

이를 땅에 버릴 정도로 광명이 없게 된다. 

만일 뒤에 부처님께서 세상에 나시면 이 여의주는 다시 신통변화의 힘이 생겨서 바다 속으로 들어갈 것이다. 

이와 같은 복의 힘은 모두 신주(神呪)에 의한 것이니, 

만일 이와 같이 하지 않으면 여의보주는 매우 얻기 어렵다.

만일 그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이 가뭄이 들어 곡식이 바싹 마른 것을 보거든, 

마음속으로 그 용을 생각하라. 

그러면 그 용은 이때 사람의 형상으로 변하여 생각하는 대로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에게 와서 이마를 땅에 대어 예배하고 이렇게 말할 것이다.

‘당신은 지금 무엇을 바라십니까?’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은 다음과 같이 답한다.

‘지금 날이 가물어서 싹과 이삭이 자라지 못하고 있다. 

단비[甘雨]를 내려 널리 윤택하게 하라.’

이때 곧 용의 형상으로 돌아가 공중으로 올라가서는, 

큰 구름과 비를 일으켜 일체를 널리 적셔 풍족하게 하지 않음이 없을 것이다. 

이렇게 하고 나서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에게 말할 것이다.

‘할 일을 이제 다 마쳤습니다.’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이 용에게 말하라.

‘네가 머무는 곳으로 돌아가도 좋다. 

내가 만일 기억하여 생각하면 너는 마땅히 나에게 와야 하느니라.’

이에 그 용이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의 발에 예배하고 나서, 

곧 사라져 본궁(本宮)으로 돌아갈 것이다.

만일 그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이 용궁을 다니며 보고자 하려면, 

그 용을 마음속으로 생각하라. 

그 용이 곧 능히 생각대로 와서 이런 말을 할 것이다.

‘당신께서는 다시 무엇을 바라십니까?’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은 답하라.

‘용궁에 가보고자 한다.’

곧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을 이끌고 홀연히 가서 그 용궁에 이르게 된다. 

용이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을 용의 동자[龍子]32) 형태로 변하게 하여 같이 그곳을 두루 노닐 것이니, 

끝내 그 용의 독으로 인해 손상당하지 않을 것이다.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이 노닌 지 오래 되어서 다시 인간 세상에 돌아갈 것을 생각하면, 

곧 용궁에 있는 진귀한 보배ㆍ의복ㆍ음식ㆍ향(香)ㆍ꽃ㆍ비단[繒綵] 및 여러 악기와 그림[畵繢] 등 모두 인간 세상에 없는 매우 뛰어난 물건들을 취하여,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에게 주어 그 물건을 가지고 잠깐 사이에 본래 있던 곳으로 돌아온다. 

그리고는 주문을 행하는 사람에게 이와 같이 말할 것이다.

‘다시 무엇을 원하십니까?’

주문을 행하는 사람은 다음과 같이 답하라.

‘모든 일이 이미 성취되었으니, 

뜻대로 가라.’

이때 그 용이 하늘로 올라 날아갈 것이다.

만일 주문을 행하는 사람이 용을 다른 나라로 옮겨 두려면, 

곧 용의 연못으로 가서 이 주문을 염송하여 결계(結界)하고 스스로 수호하라. 

스물다섯 번째 주문은 다음과 같다.거란본에는 이 주문이 오히려 스물네 번째 주문이 있는 곳에 있다.


옴 아모가 오바미샤 훔 바타

唵 阿慕伽 烏波味賖 𤙖 泮吒半音


단본에 있는 주문은 다음과 같다.이 주문은 송본(宋本)과 향본(鄕本:高麗本)에는 없다. 

거란본에 이 주문이 있어 스물다섯 번째 주문에 둔다.


옴 아모가 비샤야 마하나 만다만다 사바하

唵 阿慕伽 毘社耶 摩訶那去漫陀漫陀 娑婆訶


이것은 바로 자신을 수호하는 주문[護自身呪]이다. 

결계(結界)하려고 할 때에는, 

먼저 이 주문을 염송하여 시방에 가지하고 마음이 가는대로 멀고 가까운 데를 그 경계[界畔]로 정하면, 

모든 비인(非人)이 능히 설치지 못하게 된다. 

그 경계 안에서 정결한 땅을 선택하여 깨끗한 황토(黃土)로 네모난 단[四方壇]을 만들고, 

그 단 안에서 향을 피우고 꽃을 뿌리고는 반드시 밧줄[羂索]을 그리되 마치 뱀의 형상과 같게 하라. 

이 이름을 용견삭(龍羂索)이라고 한다. 

그때 주문을 행하는 사람은 오른발의 엄지발가락으로 그림으로 그린 밧줄의 끝 부분을 밟고 불공견삭심주왕을 백팔 번 염송하라. 

그때 그 용이 몸이 불타오르는 것같이 되어 주문을 행하는 사람의 앞에 이를 것이다. 

주문의 힘 때문에 비록 성내고 화내는 것이 있더라도 해를 끼치지 못하고, 

곧 그 형상이 변하여 물뱀[水蛇]이 된다. 

주문을 행하는 사람이 이를 잡아서 병 안이나 혹은 상자 속에 넣어두면, 

도피할 곳이 없어서 가는 곳마다 항상 따를 것이다. 

젖[乳汁]을 마시게 하여 그 몸과 목숨을 보존하게 하라.

설령 다른 나라에 심한 가뭄이 들고 기후가 고르지 않아서 이 용을 팔아 재물과 바꾸어 그 나라를 돕기 위한 것이라 할지라도, 

이 용을 재화와 바꾸어 팔지 말라. 

만일 국토에 가뭄의 어려움이 있다면, 

그 용으로 하여금 비를 내리게 하면 되니, 

그러면 앞에서와 같은 허물이 없을 것이다. 

용이 다른 나라에 이르러서 단비를 내리면, 

모든 곡식의 싹ㆍ사탕수수[甘蔗]ㆍ벼[稻穀]가 모두 잘 자라고 익게 하며, 

또한 능히 그 나라에 여러 물소들이 많아지게 하여, 

그 나라의 중생들이 이로 인해 농작물을 경작하고 재배하게 된다. 

이로 말미암아 기근(饑饉)ㆍ역병(疫病)ㆍ전쟁(戰爭)ㆍ논쟁(論諍)이 멀리 떠나고, 

또한 도둑과 사나운 짐승들이 없어지며, 

입을 것과 먹을 것이 풍족하게 되어서, 

안온하고 쾌락하게 될 것이다. 

모든 백성이 착한 일을 행하고, 

금계(禁戒)를 굳게 지니며, 

널리 복업(福業)을 닦고 항상 무상(無常)을 염하며, 

이와 같이 말할 것이다.

‘우리들 중생은 변두리 나라[邊國]에 태어나 한량없는 때로부터 지금까지 흉년과 배고픔에 시달려 왔다. 

마땅히 알라. 

이것은 모두 대룡(大龍)이 지닌 위덕(威德)의 힘 때문이니, 

이로 인해 우리들이 이와 같은 한량없는 고통과 번뇌를 버리게 된 것이다.’

대룡(大龍)은 이에 의하여 한량없는 복을 얻게 되고, 

그 나라에서 받들어 섬겨 공양하는 것을 받게 되리니, 

이에 용왕(龍王)이 환희하여 백성을 수호한다.

그때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은 그 용을 거두어들여서 권하여 항상 일체 중생을 이롭게 할 것을 서원하게 하고 또한 계(戒)를 받아 지니게 하면, 

그 용은 이 선근(善根)의 힘으로 인해 축생(畜生)의 몸을 버리고 불퇴지(不退地)33)를 얻으며, 

나아가 무상보리(無上菩提)를 증득하게 될 것이다. 

그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은 중생을 이롭게 하기 위하여 그 목숨을 보시하기 때문에 단바라밀(檀波羅蜜:보시바라밀)이 곧 원만하게 되고, 

또한 지옥ㆍ아귀ㆍ축생의 세계에 태어나지 않으며, 

항상 사람과 하늘 세계에 태어나 속히 불지(佛地)를 얻을 것이다.”








15. 성취견불공견삭왕법분(成就見不空羂索王法分)


“만일 불공견삭신주왕을 뵙고자 하면, 

그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은 마땅히 먼저 몸을 씻고 깨끗한 새 옷을 입고서 금계(禁戒)를 지켜야 한다. 

그렇게 한 뒤에 한적한 곳을 택해야 하니, 

혹은 나무 밑에서 혹은 탑의 옆에서 혹은 원림(園林) 속에서 백월(白月) 8일 혹은 14일에 땅을 골라 단(壇)을 만들고 물을 뿌리며, 

그곳에 길상초(吉祥草)를 깔고 이 주문을 염송해야 한다. 

스스로 정발(頂髮)을 맺고 그 몸을 수호한다. 

주문은 다음과 같다.


옴 아모가 바라지다 락샤락샤 아모가 험 바 사바하

唵一旖慕伽上二跛囉視多三𠸪叉𠸪叉四我某甲五𧵊呼奄反六撥七娑嚩訶八


이 주문을 염송하고 나면, 

마땅히 불공견삭왕주를 염송해야 한다. 

흰 개자(芥子)에 주문을 세 번 외우고 사방에 뿌리면, 

곧 장애를 일으키는 일체의 귀신이 흩어져 물러나고 달아나서 능히 괴롭히거나 어지럽게 하는 일이 없을 것이다. 

그런 뒤에는 길상초 위에 결가부좌하고 옷감[衣]으로 머리를 싸매고 나서, 

선정의 수인[定手印]을 맺고 마땅히 불공견삭신주왕을 천팔 번을 염송하라. 

그때 큰 소리와 큰 광명이 있거나, 

혹은 공중으로부터 꽃이 내려올 것이다.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은 이와 같은 것을 보고 듣더라도, 

결코 놀라거나 두려워하지 말라. 

마땅히 알라. 

이는 곧 존자 불공견삭왕을 뵙는 법이 성취된 것이다.

그 뒤에 자리에서 일어나 향을 피우고 꽃을 뿌리고, 

일심(一心)으로 존자 성관자재를 깊이 생각하며 시방(十方)을 두루 관찰하라. 

곧 성스러운 불공견삭신주왕께서 남쪽의 하늘로부터 날아오시는 것을 보게 될 것이다. 

위광(威光)이 밝게 비춤이 마치 백천(百千)의 번갯불과 같고, 

모든 진귀한 보물로 그 몸을 장엄하며, 

얼굴에 세 눈이 있는데 성난 모습을 하고 계신다. 

이빨은 입 밖으로 위를 향해 솟아있고, 

머리칼은 불꽃과 같으며, 

그 색은 마치 여름철의 구름[夏雲]이 잔뜩 낀 것과 같다. 

몸에는 네 개의 팔이 있는데, 

한 손에는 칼을 잡고, 

한 손에는 밧줄을 잡고 있다. 

잡고 있는 칼과 밧줄에는 화염의 빛[火焰光]이 있다. 

붉은 옷을 입고, 

콧구멍에서 기운을 내는 것이 치성한 불꽃과 같으며, 

허공에 가득차서 일체를 밝게 비출 것이다. 

팔과 다리는 모두 진금(眞金)ㆍ금강(金剛)ㆍ마니(末尼:寶珠)와 폐유리(吠瑠璃)34)로 장엄하였고, 

대용왕(大龍王)으로써 목걸이[瓔珞]를 삼았다. 

그 형상은 두려워할 만하며, 

큰 웃음소리는 마치 하늘의 북소리[天鼓]와 같아서 산을 뒤흔들고 강을 솟구치게 하며 나무들을 부러트리고 꺾는다.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은 이와 같은 여러 가지의 기이한 모습을 보더라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 

불공견삭심주왕을 염송하면서 오로지 마음속 깊이 성관자재보살을 생각한다. 

그리고 향을 피우고 꽃을 뿌리며, 

또한 깨끗한 물[淨水]에 흰 멥쌀[粳米]을 섞어서 이를 뿌려 공양하라. 

그때 주왕(呪王)은 하늘로부터 내려올 것이니, 

그 용모는 평온하면서도 고요하여[寂靜] 마치 하늘의 몸[天身]과 같을 것이다. 

그는 기쁘게 미소를 지으며 주문을 염송하는 사람을 다음과 같이 칭찬하실 것이다.

‘훌륭하고 훌륭하구나. 

나는 지금 기쁘다. 

너는 무엇을 바라는가? 

자유자재한 안락함[自在安樂]이냐, 

혹은 갈라사(曷囉闍:王)의 지위를 바라는가? 

작갈라벌저갈라사(斫羯羅伐底曷囉闍:轉輪王)의 지위인가? 

혹은 몸을 안 보이게 하거나[隱形], 

혹은 하늘에 오르기[騰空]를 바라느냐? 

혹은 주선(呪仙), 

혹은 주선작갈라벌저갈라사(呪仙斫羯羅伐底曷囉闍), 

혹은 제석(帝釋), 

혹은 범왕(梵王), 

혹은 호세(護世)35)가 되기를 바라는가? 

혹은 숙주수념지(宿住隨念智:宿命智) 혹은 5통(通)36)을 얻기를 원하는가? 

혹은 예류과(預流果)ㆍ일래과(一來果)ㆍ불환과(不還果)ㆍ아라한과(阿羅漢果)ㆍ벽지불과(僻支佛果)를 성취하고 나아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를 증득하길 바라는가? 

그대가 바라는 것을 따라서 그 바라는 것에 예배하고 위에서 말한 것을 찾아 구하라.’

주문을 수행하는 자는 이렇게 말하라.

‘너는 나를 위하여 사자(使者)가 되어라.’

그때 주신(呪神)이 사자가 되어 처분에 따라서 모두 능히 행하고, 

가는 곳마다 항상 그를 따르고, 

보고 들은 것을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에게 말해 줄 것이다. 

만일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이 주왕(呪王)으로 하여금 가까이 머물기를 바라지 않을 때에는 곧 스스로 멀리 떨어져 가지만,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이 마음속으로 생각하면 그때마다 바로 그에게 올 것이다.

혹은 감추어져 있던 보배[伏藏]를 가지고 와서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에게 주거나, 

혹은 감추어져 있는 보배를 보여 줄 것이다. 

혹은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이 귀신들린 병자를 보고서 마음속으로 고치기를 바라면, 

사자는 곧 그를 위하여 귀신을 내쫓아 제거하고, 

아울러 다스려 벌할 것이다. 

만일 오한(惡寒)이 나거나 고열이 나는 등의 병을 앓으면, 

능히 제거하여 멸하게 할 것이며, 

또한 일체의 홍수[水]이나 화재[火]ㆍ칼[刀劍]ㆍ독약(毒藥)ㆍ운룡(雲龍)ㆍ도적(盜賊) 등을 능히 막아서 그치게 할 것이다. 

또한 능히 다른 나라의 군대나 원수를 쳐부술 것이다. 

주문을 수행하는 자의 뜻에 따라 행하여서 어기지 않을 것이니,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이 화낼 때에도 또한 감히 화내지 않고, 

또한 도망가거나 피하지 않을 것이다.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이 만일 법에 맞게 행하지 않으며 겁약(怯弱)한 마음을 품으면, 

성취하지 못한다. 

그러므로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은 항상 법에 맞게 복업(服業)을 부지런히 닦아야 한다. 

그러면 많은 공덕을 빌리지 않고서도 성취할 수 있을 것이다.”









16. 성취견여래법분(成就見如來法分)


“만일 여래를 뵙고자 한다면, 

그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은 10선업(善業)을 행하며, 

자비심(慈悲心)을 일으키고 더욱 정진하고자 하는 깊은 마음[增上意樂]을 발하여, 

반드시 모든 중생을 이롭게 하겠다고 스스로 서원하고, 

삼보에 공양하라. 

성관자재보살의 형상 앞에 땅을 진흙으로 발라 단(壇)을 만들고, 

능력껏 여러 생활용품[資具]과 등촉(燈燭)ㆍ꽃ㆍ향을 공양한다. 

그 몸을 씻어 깨끗이 하고서 매우 깨끗하고 하얀 옷[鮮白衣]을 입되, 

날마다 세 때에 목욕을 하고 의복을 갈아입는다. 

그 단(壇)에서 혹은 3일 혹은 7일 동안 결가부좌하고 단식하면서, 

여래인(如來印)을 맺고 반드시 불공견삭심주왕을 염송하여야 한다.

그때 성관자재보살상의 몸이 진동하거나, 

혹은 신통변화를 나타내거나, 

혹은 걷거나 혹은 앉으며, 

혹은 낮거나 높은 곳에 나타나며, 

혹은 한 몸이거나 많은 몸을 나타내며, 

혹은 거칠거나 고운 모습을 나타내며, 

혹은 일어나서 공중으로 올라가 큰 광명을 발할 것이다. 

만일 이와 같은 여러 가지 다른 모습을 보면, 

곧 이는 주법(呪法)이 성취되었음을 마땅히 알아야 한다. 

그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은 마땅히 보현으로 하여금 여래를 뵐 수 있게 할 것이다. 

또한 이 모습으로 인하여 성관자재보살이 보현보살로 하여금 세존께 청을 올리게 하여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이 뵐 수 있게 할 것이다. 

또한 이 모습으로 마땅히 알아야 하리니, 

여래께서 성관자재보살이 아뢰어 청하는 것을 받아들이심은 일체의 중생을 이롭게 하고 가엾이 여기시기 때문이니라.

그때 주문을 수행하는 자는 이와 같은 현상을 보고 뛸 듯이 기뻐하면서 여러 가지 공양구(供養具)를 성관자재보살에게 공양하고, 

불공견삭심주왕을 염송해야 한다. 

그러면 성관자재보살의 형상이 그 자리 위에 모습을 감추어 없어지고, 

여래께서 나타나실 것이니, 

금색의 팔을 뻗어 주문을 행는 사람을 안위(安慰)하며 이러한 말씀을 하실 것이다.

‘그대는 여래의 대비심을 일으킨 자이니, 

그대를 가엾이 여기기 때문에 그대가 바라는 대로 나는 그대가 원하는 것을 만족시켜줄 것이니라.’

그때 주문을 행하는 사람이 세존을 우러러 기뻐하면서 오른쪽으로 일곱 번 돌고, 

향과 꽃으로 공양하여 받들어 모시고 나서 세존께 아뢴다.

‘저는 이제 육안(肉眼)으로 여래를 뵐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제가 바라는 것을 채워 주시옵소서.’

그때 세존이 주문을 행하는 사람에게 다음과 같이 말씀하실 것이다.

‘그대가 바라는 대로 모두 그대에게 줄 것이다. 

그대는 이제 무엇을 바라는가? 

널리 듣고 많이 알기를 바라는가? 

재보(財寶)와 부귀(富貴)의 자재함을 바라는가? 

주선(呪仙)이 되기를 바라는가? 

혹은 여래의 법 중에서 성문(聲聞)ㆍ연각(緣覺)의 보리(菩提)를 구하는가? 

혹은 관정(灌頂) 보살37)의 경지를 바라는가? 

혹은 인간 세상에 태어나서 병이 없이 오래 살기를 바라는가? 

혹은 바라문가(婆羅門家)38)ㆍ거사(居士)의 대종성가(大種姓家)39)ㆍ전륜왕가(轉輪王家)의 훌륭한 가문에 태어나기를 바라는가? 

혹은 4대왕(大王)의 온갖 천상세계(天上世界)와 33천(天)40)ㆍ염마천(閻魔天)41)ㆍ도사다천(覩史多天)42)ㆍ화락천(化樂天)43)ㆍ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44)ㆍ범신천(梵身天)45)ㆍ정거천(淨居天)46)에 태어날 것을 바라는가? 

또한 성과(聖果:涅槃)를 바라는가? 

이와 같은 것을 구하는 대로 모두 얻을 것이니, 

이는 여래의 신력(神力) 때문이며, 

복덕(福德)의 가지(加持) 때문이며, 

여래의 비밀한 신주(神呪) 때문이며, 

성관자재보살의 원력(願力) 때문이며, 

불공견삭심주왕의 위력(威力)때문이며,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의 청정한 의요(意樂) 때문이다. 

여래의 말에는 허망하고 그릇됨이 없으니, 

바라고 요구하는 바가 반드시 성취될 것이다.’

만일 주문을 수행하는 자가 여래 앞에서 수기(授記)47)를 얻고자 하면, 

여래는 또한 그를 위하여 수기하실 것이다. 

어리석은 사람이 작은 지혜로써 분별하여 이와 같은 의심을 내지 말지니, 

곧 ‘부처님의 지혜는 이루기 어렵다. 

반드시 무량(無量)한 백천(百千)의 구지나유다아승기야겁(俱胝那庾多阿僧祇耶劫)48)을 거치면서 청정한 업을 수행하여 백천(百千) 업행(業行)의 선교방편으로써 성취할 수 있는 것이니, 

어찌 하찮은 주법(呪法)으로 한 생애에 걸쳐 닦아 모아서 곧 수기를 받을 수 있겠는가’라는 의심을 일으키지 말라. 

왜냐 하면 주문을 행하는 사람은 지혜[般若]와 선교방편을 수행함으로써 믿음의 힘[信力]과 정진의 힘[精進力]과 염력(念力) 및 삼매의 힘[三摩地力]을 성취하여, 

이 인연으로 일체가 성취되고 나아가 성불(成佛)하기 때문이다. 

나는 이제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을 안위(安慰)하여, 

정진(精進)할 것을 권하고 마땅히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이룰 것이라고 그에게 수기할 것이다.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이 수기를 얻고 나서 보살행(菩薩行)에 의하여 차례로 닦아서 익히면, 

모든 것에 자재하게 되어 정려삼마지(靜慮三摩地)를 얻으니, 

이와 같이 자재한 보살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에 가까이 갈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의하여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은 먼저 자재함을 구해야 하니, 

만일 아직도 보리락(菩提樂)49)이 얻지 못한 자가 있으면, 

마땅히 깨끗한 신심(信心)을 일으켜야 한다. 

신심의 힘에 의하여 모든 일이 빨리 이루어져서 피안(彼岸)에 도달하니, 

만일 믿지 않으면 비록 백천 구지의 많은 겁 동안 정진하더라도 그 공덕을 허무하게 잃어 결국 증득하지 못하게 되고,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멀리 여의게 될 것이다. 

세존께서 이러한 중생의 뜻과 바람을 아시기 때문에 수기하시는 것이니,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도 이에 의하여 세존 앞에서 수기를 요구하기 때문에 부처님께서는 이를 위하여 수기하신다. 

그때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은 수기를 얻은 다음에, 

‘나는 마땅히 성불하여 천인사(天人師)50)와 무상복전(無上福田)51)을 이루어야 한다’라고 알아야 한다. 

그리고 이런 마음을 일으켜야 한다.

‘나의 못난 몸은 깨끗하지 않은 곳에 태어나 무상(無常)하여 무너져 버리고, 

목숨은 짧아 태어나고 없어지는 것에 매우 괴로워하게 되니, 

다시 무엇에 쓰겠는가? 

그러나 여래의 무너지지 않는 몸을 구하기 위하여 이 몸을 유지하고 기르는 것이니, 

몸과 말과 뜻으로 착하지 않은 업을 행하지 않고 항상 몸과 말과 뜻으로 착한 일을 행하여 반드시 다섯 가지 중생의 세계를 떠날 것을 발원(發願)하고, 

부처가 되는 인(因)을 수행하되 부지런히 정진하고 애써 고행(苦行)할 것이다.’

이에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은 신주(神呪)의 힘으로 반드시 보리(菩提)를 증득할 것이니, 

이는 능히 불가사의한 공덕력(功德力)을 쌓기 때문이며, 

여래의 다라니를 염송하여 지니기 때문이며, 

뛰어난 삼마지력(三摩地力)을 닦아서 익히기 때문이다. 

이에 의하여 여래의 주장(呪藏)52) 중에 말한 것 가운데에는 대인법(大印法) 및 결단법(結壇法)과 입단법(入壇法)과 재앙을 없애는 법[攘災法], 

증익법(增益法), 

장애를 일으키는 모든 귀신53)을 다스리고 벌하는 법[治罰一切障礙鬼法]과 같은 신주(神呪)가 있다. 

만일 믿음이 있으면, 

주법의 방편[呪方便]으로 장애를 일으키는 귀신을 조복(調伏)시키고, 

능히 보살의 여러 가지 신통변화와 길상(吉祥)한 선교방편을 나타내며, 

무병장수하여 여러 번뇌를 멸하고 5무간업(無間業)을 여의며, 

또한 능히 액난과 재앙의 장애를 소멸시키고, 

능히 전염병을 제거할 것이다. 

또한 능히 주기사시귀(呪起死屍鬼)54)ㆍ염매(魘魅)55)ㆍ기시귀(起屍鬼) 및 상서롭지 못한 징조[惡徵祥]를 제거하며, 

주문의 힘으로 말미암아 능히 독약(毒藥)ㆍ벌레의 독[蠱毒]ㆍ무기에 의한 공격[器杖]ㆍ홍역[赤瘡]ㆍ흑창(黑瘡)ㆍ치질[痔瘻]ㆍ색건타귀(塞建陀鬼)56)ㆍ간질병[癎鬼]ㆍ문둥병[影鬼]ㆍ소아귀(小兒鬼)57)가 해를 끼치지 못하게 된다. 

또한 강력한 힘과 부귀와 자재함과 안락을 얻어 몸과 마음이 편안하고 기쁘게 되며, 

지혜롭고 총명하게 생각하고 기억하며, 

큰 위덕(威德)을 갖추어 뭇 사람에게 공경과 사랑을 받을 것이다. 

또한 능히 복덕과 지혜의 자량(資糧)을 성취하여 선근(善根)이 더욱 증장하며, 

용모가 단정하고 빛이 나서 좋아할 만하게 될 것이다. 

만일 존자(尊者)이신 성관자재보살(聖觀自在菩薩)의 불공견삭심주왕법(不空羂索心呪王法)을 성취하면, 

곧 이와 같은 무량한 공덕을 얻는 것이 마치 요구하는 대로 모두 얻게 되는 여의보(如意寶:如意寶珠)와 겁랍파수(劫臘波樹)58)과 같게 된다.

이 신주법(神呪法)은 비록 백천(百千) 구지(俱胝) 겁의 생(生)을 거쳐서 구하더라도, 

오히려 얻기 어렵거늘, 

하물며 어찌 작은 복을 가진 중생으로서 이 법을 얻을 수 있겠는가? 

법이 이렇게 얻기 어렵거늘, 

하물며 어찌 성취할 수 있겠는가? 

마땅히 알라. 

이 주문은 보고 듣기 어려우니, 

모든 여래가 호지(護持)하는 바이고, 

모든 보살이 같이 들어가는 바이고, 

모든 여래가 함께 성취하는 바이며, 

일체의 모든 천(天)이 옹위(擁衛)하는 바로서, 

주문을 수행하는 사람이 항상 공양하는 대상이며, 

큰 복덕의 덩어리[大福聚]이니, 

능히 중생에 응해서 모두 만족을 얻게 하고, 

위없는 바르고 평등한 지혜[無上正等菩提]를 나타내 보인다. 

만일 어떤 사람이 이 주문을 받아 지니고서, 

여러 가지 꽃과 향ㆍ당기[幢]ㆍ번기[幡]ㆍ보배덮개[寶蓋]로써 공양하며, 

공경하고 존중하며 찬탄하면, 

끝내 지옥ㆍ아귀ㆍ축생의 여러 악취(惡趣)에 떨어지지 않고, 

항상 극락세계의 아미타불 앞에 태어나며, 

수명이 헤아릴 수 없이 길 것이니, 

모든 것이 성관자재보살의 위덕(威德)ㆍ신력(神力)과 같이 될 것이다.

스물여섯 번째 주문은 다음과 같다.


나모라다나 다라야야 나모아미다바야 다타아다야 나모아리야 바로기뎨

南謨囉哆那 怛囉夜耶 南謨阿弭哆婆耶 怛他蘖多耶 南謨阿唎耶 跋嚧吉帝

새바라야 보디사다야 마하사다야 마하가로니가야 다질타 옴 아모가 바라

失筏囉耶 菩提薩埵耶 摩訶薩埵耶 摩訶迦嚧尼迦耶 怛跌他 唵 阿慕伽 鉢囉

디하다 싱하라싱하라 훔바타

底喝多 僧訶囉僧訶囉 𤙖泮吒


이것은 거두어 제거하는 주문[收除呪]이다. 

무릇 단(壇)을 완성하고 모든 일을 마치고는, 

이를 거두어 제거하려고 할 때에는 우선 이 주문을 염송하고 나서 단을 제거해야 한다.”



----

1)

땅의 색과 질 등 전체적인 상태가 좋은 것을 말한다.

2)

길이의 단위이다. 

1주(肘)의 길이는 1척 5촌이라고도 하는데, 

다른 견해도 있다. 

그 기준은 팔꿈치의 관절에서부터 가운뎃손가락 끝까지의 길이다.

3)

안민(安民)의 신으로서, 

수미산 동쪽 중턱의 황금타(黃金埵)에 있는 천궁(天宮)에 산다.

4)

수미산 남쪽의 유리타(琉璃埵)에 머문다.

5)

4천왕의 하나인 수미산 서쪽을 담당하는 광목천왕(廣目天王)의 다른 이름이다. 

입을 벌리고 눈을 부릅뜬 모습으로, 

구반다 등 무수한 귀신을 거느린다.

6)

4천왕의 하나인 다문천왕(多聞天王)을 가리킨다. 

다문천왕은 수미산의 북쪽 수정타(水精埵)에 살며, 

권속으로 야차와 나찰을 거느린다.

7)

범어로는 maṇibhadra yakṣa이니, 

보현(普賢)이라 의역한다. 

8대장(大將)의 하나이다.

8)

범어로는 pūrṇabhadra yakṣa이니, 

만현(滿賢)이라고 번역한다. 

8대장의 하나이다.

9)

범어로는 Māmak이니, 

보살 명칭 가운데 하나이다. 

마마계(摩麽鷄)또는 망망계(忙莽計)ㆍ마막지(摩莫枳)ㆍ망망계(忙忙鷄)라고 음역한다. 

금강부(金剛部)의 부모(部母)로서, 

금강수원(金剛手院)에 속한다.

10)

범어로는 Tārā이다. 

다라는 ‘바다나 강을 건너다’라는 동사에서 파생한 명사로 ‘윤회의 바다를 건너는 일을 도와주는 여성’을 의미한다.

11)

범어로는 bhrṛkuṭi이다. 

비구지(毘俱知)라고도 하며, 

진목(瞋目)이라 번역한다. 

눈이 세 개, 

손이 네 개이며, 

분노하는 모양을 한 천녀상이다. 

비구지는 주름살이라는 뜻이니, 

이 천녀는 관음의 이마 위 주름살에서 생하였다고 한다. 

태장만다라 관음원의 첫 번째 열에 있는 보살이다.

12)

범어로는 nārāyaṅa이다. 

승력(勝力)ㆍ견뢰(堅牢) 등으로 의역한다. 

하늘에 있는 역사(力士)의 이름으로, 

제석천의 권속이다. 

그 힘이 코끼리의 백만 배나 된다고 한다.

13)

대자재천의 화신(化身)을 말한다. 

욕계(欲界)의 제6천에 살고 있는 자재주(自在主) 이사나(伊舍那)를 말한다.

14)

범어로는 Maheśvara이다. 

대천세계(大千世界)의 주신(主神)으로서, 

자재천을 가리킨다. 

마혜수라(摩醯首羅) 또는 마혜습벌라(摩醯濕伐羅)라고도 음역한다. 

자재천ㆍ자재천왕ㆍ천왕 외에도 상갈라(商羯羅)ㆍ노날라(嚕捺羅)ㆍ이사나(伊舍那)ㆍ마하제바(摩訶提婆)ㆍ습파(濕婆)ㆍ이습벌라(伊濕伐羅)라는 이명이 있다. 

힌두교의 시바신이 불교화한 신격(神格)으로, 

포악과 치료의 양면을 지니기 때문에 마침내 유일 최고의 천지창조신으로서 존숭되었다. 

형상은 세 개의 눈과 여덟 개의 팔을 가졌으며, 

천관(天冠)을 쓰고 흰 소를 탔으며, 

흰 불자(拂子)를 든 큰 위덕을 가진 신의 이름이다.

15)

범어로는 Sāgaranāgarāja이다. 

사가라(娑伽羅)용왕이라고도 한다. 

사가라는 큰 바다라는 뜻으로, 

바다의 용왕이란 말이다. 

8대(大) 용왕의 하나로서 불법을 수호하는 용이다. 

이하에서 팔대 용왕의 일부가 등장한다. 

용에도 여러 종류가 있으나, 

특히 불법을 수호하는 8대 용왕들은 부처님께서 『법화경』을 설하실 때의 회중으로 열거되어 있는데, 

그 이름과 성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난타(難陀)용왕은 호법용신의 대표자이다. 

둘째, 

발난타(跋難陀)용왕은 난타의 형제로서 『청우경만다라(請雨經曼茶羅)』에서 두 용왕이 중심이 된다. 

셋째, 

사갈라(沙竭羅)용왕은 청우법의 본존으로 천수관음 28부(部) 중의 하나이다. 

『법화경』 「제바달다품」의 용녀는 이 용왕의 딸이다. 

넷째, 

화수길(和脩吉)용왕은 머리가 아홉 개 달린 용이다. 

다섯째, 

덕차가(德叉迦)용왕은 화수길과 동료로서 노하여 응시하면 사람과 짐승이 죽는다. 

여섯째, 

아나바달다(阿那婆達多)용왕은 설산 위에 살며 가장 덕이 높은 용이다. 

일곱째, 

마나사(摩那斯)용왕은 몸도 크고 힘도 세고 뜻도 큰 용왕이다. 

여덟째, 

우발라(憂鉢羅)용왕은 청련지(靑蓮池)에 사는 용이다.

16)

범어로는 Asura이다. 

아소라(阿素羅)ㆍ아소락(阿素洛)ㆍ아수륜(阿須倫)이라고도 음역하며, 

무주(無酒)ㆍ비천(非天)ㆍ부단정(不端正)이라 번역한다. 

인도 고대에는 전투를 일삼는 일종의 귀신으로 간주되었고, 

항상 제석천(帝釋天)과 싸우는 투쟁적인 악신(惡神)으로 여겨졌다.

17)

변조(遍照)아수라라고도 하니, 

지혜광명을 나타낸다.

18)

라후라(rāhula)는 장애(障碍), 

복장(覆障)이라고 번역한다. 

이 아수라왕은 제석과 싸울 때에 능히 손으로 해와 달을 잡고 그 빛을 막기 때문에 집월(執月)이라고 한다. 

『법화경』 「서품」에서 설하는 4종의 아수라왕 가운데 하나이다.

19)

범어로는 vemacitra이다. 

사지천인(舍脂天人). 

정심(淨心)ㆍ기화(綺畵)ㆍ보식(寶飾)ㆍ기식(綺飾)ㆍ채화(綵畵) 등으로 번역한다. 

건달바의 계집을 얻어 그의 딸을 제석에게 출가시켰으므로, 

제석의 장인이 된다.

20)

범어로는 kharakaṇṭha이다. 

후여뢰(吼如雷), 

광견갑(廣肩胛)이라고 번역한다. 

4종의 아수라왕 가운데 하나이다.

21)

납과 주석과의 합금으로 만든 일종의 무기이다.

22)

범어로는 krośa이다. 

큰 소가 우는 소리, 

또는 북소리를 들을 수 있는 범위의 거리를 뜻하는 말이다. 

따라서 거리의 단위로 쓰인다. 

구로사(拘盧舍)ㆍ구루사(拘樓賖)라고도 하며, 

의역하여 일우후(一牛吼)라고 한다. 

막연하게 쓰이던 거리의 단위로서 대지가 험하고 평탄한 정도에 따라 실제 거리에는 차이가 있게 마련이다. 

대략 5리(里)정도의 거리이다. 

『불공견삭다라니경(不空羂索陀羅尼經)』에서는 10리라고 하였다.

23)

사람 아닌 것을 일컫는 말이다. 

천룡팔부(天龍八部)와 야차(夜叉), 

악한 귀신 등을 통틀어서 비인(非人)이라 칭하기도 한다.

24)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을 마찰시켜 내는 소리다. 

여기에 여러 가지 의미가 있는데, 

다른 사람에게 경고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나, 

손끝으로 튀겨서 다른 사람의 집이나 방에 들어갈 때에 신호를 낸다. 

또는 경전 가운데에서 허락의 의미이거나 환희할 때에도 소리 낸다고 설한다. 

인도의 풍습에 따르면 다른 사람의 집이나 방을 방문할 때에는 반드시 먼저 문 앞에서 탄지하고 그 집주인의 허락을 얻은 다음에 들어가는 것이 보통이다. 

밀교에서는 이 풍습에 따라서 도량으로 들어갈 때에는 탄지를 세 번하고 훔(吽, 

hūṃ)자를 세 번 송하고 법계도량의 문을 연다고 관상한다.

25)

나의 몸이 5온(蘊)의 거짓 화합인 줄 모르고, 

실제로 나의 몸이 있다고 헛되이 분별하는 것을 가리킨다.

26)

5온의 법이 화합한 가운데 실로 중생이 있어서 생한다고 하는 망령되이 생각하는 것이다.

27)

5온의 법 가운데 명근(命根)이 있어 연속하여 끊어지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28)

5온의 법 가운데에서 나는 능히 수행하는 사람으로서 능히 수행하지 못하는 다른 사람과 다르다고 망령되게 생각하는 것을 말한다.

29)

부처님께서는 두 다리를 가진 중생 가운데 가장 존귀하여 복덕과 지혜를 원만하게 모두 갖추었으므로 이렇게 칭하는 것이다. 

밀교에서는 복(福)과 지(智)의 두 가지 덕으로 법계에 다니신다고 해석한다.

30)

범부가 무명으로 인하여 오랫동안 생사의 윤회를 벗어나지 않는 것을 긴 밤의 꿈에서 깨지 않는 것에 비유한 것이다.

31)

무간지옥에 떨어지는 과보를 받게 되는 다섯 가지의 악업이니, 

5역죄(逆罪)를 가리킨다. 

첫째 아버지를 살해하는 것, 

둘째 어머니를 살해하는 것, 

셋째 아라한을 살해하는 것, 

넷째 부처님의 몸에 피가 나게 하는 것, 

다섯째 승단의 화합을 깨뜨리는 것이다.

32)

용의 아들, 

도마뱀이라는 뜻이 있는데, 

『불공견삭다라니경』의 ‘용동자(龍童子)’를 참고로 번역하였다.

33)

수행한 공덕으로 잃거나 물러서는 일이 없는 경지이다. 

여기서는 3악도를 벗어나 다시는 되돌아가지 않는 것을 말한다.

34)

범어로는 vaidūrya이다. 

청색의 보석으로 7보(寶)의 하나이다.

35)

지국(持國)ㆍ증장(增長) 등의 4천왕(天王)을 가리킨다. 

4천왕은 세상을 수호하는 자이므로 모두 호세자(護世者)이다.

36)

다섯 가지 신통이니, 

천안(天眼)ㆍ천이(天耳)ㆍ타심(他心)ㆍ숙명(宿命)ㆍ신경(神境) 등의 5신통이다.

37)

관정은 인도에서 왕위를 물려줄 때 행하던 의식이 불교에 들어와서 법(法)의 위를 이어받는 의식으로 바뀌었다. 

여기서 관정 보살이라고 함은 10지(地) 가운데 열 번째 법운지(法雲地)의 보살이 불위(佛位)를 받을 때 제불(諸佛)로부터 감로(甘露)의 법수(法水)를 그 정수리로 받는 것을 가리킨다.

38)

인도 4성(姓)계급 가운데 하나로, 

4성 가운데 최고의 지위에 있는 승려 계급이다.

39)

찰제리(刹帝利)이니, 

즉 인도의 4성 제도 가운데 귀족 계급인 크샤트리아를 말한다.

40)

욕계(欲界) 6천(天) 가운데 제2천인 도리천(忉利天)을 가리킨다. 

남섬부주의 위에 팔만 유순의 수미산 꼭대기에 있다. 

중앙에 선견성(善見城)이 있는데, 

사면이 팔만 유순씩 되는 큰 성이며, 

여기에 제석천이 있고, 

사방에 각기 여덟 개의 성이 있어서 하늘 사람들이 살고 있다. 

사방 여덟 개의 성이므로 모두 32성(城)인데 제석천의 선견성을 더하여 33천이라 한다.

41)

삼계(三界) 중 욕계(欲界)에 딸린 6천(天)의 제3천이니, 

공중에 머무는 4천(天) 가운데 하나이다. 

수야마천(須夜摩天)ㆍ야마천(夜摩天)ㆍ염천(焰天)이라고도 하며, 

선시천(善時天), 

또는 시분천(時分天)이라 번역한다. 

때를 따라 쾌락을 받으므로 이렇게 이른다.

42)

욕계(欲界)의 6천(天)의 제4천이다. 

도사다(覩史多)ㆍ투슬치(鬪瑟哆)ㆍ도솔타(兜率陀)ㆍ도술(兜術)이라 음역하며, 

상족천(上足天)ㆍ희족천(喜足天)ㆍ묘족천(妙足天)ㆍ지족천(知足天)이라 번역한다. 

수미산 꼭대기로부터 십이만 유순 위에 있는 하늘이라 한다. 

7보(寶)로 만든 아름다운 궁전이 있고, 

한량없는 하늘 사람들이 살고 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여기에 내외의 이원(二院)이 있다. 

외원은 천중(天衆)의 욕락처이고, 

내원은 미륵보살의 정토라 한다. 

석가모니 부처님도 여기서 수행하다가 세상에 태어난 것으로 이해되었고, 

현재 미륵보살이 여기서 설법하고 있으며 남섬부주에 하생하여 성불할 시기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해진다.

43)

범어로는 nirmaṇarataya이다. 

6욕천(欲天)의 제5 도솔천의 위에 있고, 

타화자재천의 아래에 있다. 

이 하늘에 나면, 

자기의 대경(對境)을 변화하여 오락(娛樂)의 경계로 삼게 되므로 이렇게 이름한다.

44)

범어로는 Paranirmitavaśavartin이니, 

6욕천의 제6천이다. 

욕계(欲界)의 가장 높은 곳에 있는 하늘로서 욕계천의 임금인 마왕이 있는 곳이다. 

이 천의 삼매야형은 욕락의 자재를 뜻하는 궁전(弓箭)이다. 

이 하늘은 남이 변해 나타내는 즐거운 일을 자유로이 자기의 쾌락으로 삼는 까닭에 타화자재천이라 한다.

45)

색계 초선천(初禪天)의 첫 번째 하늘로, 

범파리사(梵波梨沙)라 음역한다. 

대범왕이 통솔하는 하늘 사람들이 이곳에 살고 있으므로 범중천이라 한다. 

이 하늘 사람들의 키는 반(半) 유순이며, 

수명은 반 겁이라 한다.

46)

성문(聲聞)의 제3과(果), 

즉 불환과(不還果)를 증득한 성자만이 있어 이생(異生)의 잡된 것이 없는 곳을 말한다. 

색계(色界)의 제4선(禪)에 있으며, 

여기에 무번천(無煩天)ㆍ무열천(無熱天)ㆍ선현천(善現天)ㆍ선견천(善見天)ㆍ색구경천(色究竟天)의 다섯 천이 있다. 

이 다섯 천을 5정거천(淨居天)이라 한다.

47)

범어로는 vyākaranṇa이다. 

부처님으로부터 미래에 반드시 부처가 된다는 기별을 받는 것을 말한다. 

부처님께서 제자에게 미래에는 부처님이 될 것이라고 보증해 주는 말이기도 하다. 

예언ㆍ인가ㆍ미래의 약속을 의미한다.

48)

구지는 범어로 억(億)이고, 

나유타는 십만, 

아승기야겁은 무수한 시간을 말함이니, 

그야말로 무한한 시간을 의미한다.

49)

보리를 이룩하여 법계에서 자재롭게 될 수 있는 법락(法樂)을 말한다.

50)

여래 10호(號) 가운데 하나로, 

하늘과 사람 세상을 이끄시는 스승이라는 뜻이다.

51)

복덕을 낳는 밭이라는 뜻이니, 

불(佛)ㆍ법(法)ㆍ승(僧)의 삼보와 부모를 공양하고, 

괴로워하는 이들을 보살피면 복덕을 얻기 때문에 이것을 밭에 비유해서 복전이라 한다. 

공양할 자를 공양하면 마땅히 복의 보답을 받는다는 뜻이다.

52)

불교 경전의 네 가지인 4장(藏)의 하나로, 

경장(經藏)ㆍ율장(律藏)ㆍ논장(論藏)ㆍ주장(呪藏)이라 한다. 

주장은 모든 주문(呪文:陀羅尼)을 설한 경전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53)

비나야가(毘那夜迦)를 말하니, 

항상 사람에게 붙어서 어려움을 일으키는 악한 귀신이다.

54)

범어로는 kṛtya이다. 

죽은 시체를 일으키는 주문을 외워서 그로 하여금 원수진 사람을 죽이게 하는 작법이다. 

또는 귀신을 죽은 시체에 붙여서 그 시체를 주(呪)하여 일으켜 귀신으로 하여금 거기서 떠나가서 사람을 죽이게 하는 것을 말한다. 

주살(呪殺)ㆍ기사인주(起死人呪)라고도 한다.

55)

삿된 도로서, 

사람을 죽도록 저주하는 일이니, 

기사시귀(起死屍鬼)와 같다.

56)

범어로는 skanda이다. 

편순귀(偏脣鬼)ㆍ색건나천(塞建那天)이라고도 한다. 

『금광명최승왕경』 제8권에 “색건타천은 말솜씨가 뛰어나다”고 하였고, 

『대일경소』 제5권에는 “색건나천은 동자천(童子天)이다”라고 하였다.

57)

옛날에는 어린아이가 경기(驚氣)하는 것을 귀신이 일으키는 병으로 여겼기 때문에 이렇게 부른 것이다. 

소아병(小兒病)이라고도 한다.

58)

범어로는 kalpa taru이다. 

제석천의 희림원(喜林園)에 있는 나무의 이름이다. 

겁파수(劫波樹)라고도 한다. 

칼파는 시분(時分)이라는 뜻이니, 

때에 맞게 모든 필요한 물건을 내어 놓는 나무라는 뜻이다.


● [pt op tr] fr

_M#]



『불공견삭다라니자재왕주경』 ♣0290-003♧






◎◎[개별논의] ❋본문



○ 성관자재보살의 중생제도 방안과 표준적 수행방안의 차이





★1★





◆visd3971

◈Lab value 불기2565/08/16


○ 2019_1004_163133_can_bw24.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Ernst-Ludwig-Kirchner-reclining-nude-isabella-1906
[#M_▶더보기|◀접기|
Artist: Ernst-Ludwig-Kirchner
https://en.wikipedia.org/wiki/Ernst_Ludwig_Kirchner
Title : reclining-nude-isabella-1906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18_0419_140451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Galway_Spaninsh_Arch
[#M_▶더보기|◀접기|
Galway arco español
Author Ramón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Zoutkamp ,Netherlands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Mireille Mathieu - La Paloma Reviens



 ♥단상♥doctr님은 어떻게 거부가 되었는가.  

연구원 가운데 가진 부를 헤아릴 수 없는 이들이 꽤 있다. 
본인도 헤아리기 힘든 경우에 해당한다. 
헤아릴 부가 별로 없기에 헤아리기 힘들다. 

그러나 doctr 님의 경우는 또 경우가 다르다. 
개인적으로 doctr 님을 알게 된 것은 어언 40 여년전이다. 
당시 본인이 고시 공부를 하는 가운데 doctr 님을 처음 만났었다. 
그런데 doctr 님도 이후 고시에 합격하지 못했고 본인도 합격하지 못했다. 
다만, doctr 님은 당시 인간 행복론, 이상사회론, 현상의 진리론 이런 3 부작을 완성하는 것을 
삶의 목표로 정하고 있었다. 
그리고 doctr 님은 이 3 부작을 완성하는데 필요한 학문분야가 고시 과목에 묘하게 거의 대부분 함께 들어 있어고시공부를 한 것이었다.
그러나 본인은 출세해서 잘 살아보려고 했던 것이었다. 
여하튼 이후 doctr 님도 이후 돈버는 활동을 거의 하지 않았고 본인도 거의 하지 않았다. 
그런데 doctr 님은 엄청난 거부로 살고 있고 본인은 그렇지 못하다. 
doctr 님은 알고보면 태어날 때부터 거부로 태어났고 본인은 또 그렇지 못하다. 

그리고 그 차이가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런 가운데 삶을 마감하는 시점이 되어 생각해보니 이 현실에서의 극심한 차별이 가슴을 아프게 한다. 

최근 본인이 약간 갖고 있는 현금을 doctr 님의 권유에 의해 투자를 했다. 
그런데 아무리 살펴봐도 오르지 않고 오히려 내리기만 반복해서 최근에 팔고 종목을 옮겼다. 
그런데 팔고 며칠 안 지나서부터 그 종목만 유독 곧바로 수직상승을 해서 이제 1, 2 주 지난 지금은 거의 10 배 가격이 되어 있다. 

그래서 이 현실을 대하면서 다시 비애감을 느끼게 된다. 
몇 주전 그 종목을 팔지 않았으면 본인도 지금은 약간 현금을 보유하게 되었을 것이다. 

그런 가운데 이런 생각을 하게 된다.
doctr 님은 이미 거부인데 왜 다시 엄청난 부자가 되고 
본인은 현금도 별로 없는 가운데 왜 또 손실을 보는가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그런데 수행을 논의하면서 이런 일을 왜 문제삼는가에 대해 의문을 가질 수 있다. 
그런데 결국 현실에서 부딪히는 이런 문제들을 잘 살펴 대처방안을 알아내는 것이 수행과 관련이 깊다. 

현실에는 이런 일 외에도 잠깐의 선택 때문에 현실에서 명암이 극단적으로 엇갈리는 경우가 많다. 

다행스럽게 그로 인해 좋은 경우라면 좋다.
그러나 그렇지 않으면 대조효과로 인해 그 충격이 일반적인 경우보다 훨씬 크게 된다. 

그런데 여하튼 그런 일이 어떤 연유로 그렇게 되는 것인가. 
그런 문제를 놓고 수행과 관련지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물론 짧게만 보면 그 때 공연히 그런 선택을 해서 그렇다고 보게 된다. 

그런데 다시 살펴야 한다. 
왜 하필 그 때 그런 선택을 했는가. 
그래서 그 연유를 계속 쫒아 살피다보면 결국 그 배경까지 꺼내 더듬게 된다. 

이번 경우같으면 이렇게 물어야 한다. 
그 때까지 죽 가만히 있다가 하필 오르기 3,4 일 직전에 팔았는가. 
여하튼 그 때 그 선택으로 명암의 차이가 극단적이다. 

이런 경우가 되면 속이 상하게 마련이다. 
그래서 다시 이후 여러가지 악순환의 과정을 밟아 나가게 되기 쉽다. 

생각해보면 그런 선택을 한 이유가 있다. 
본인이 일찍이 개미의 성공적 투자론을 적은 적이 있다. 

개미가 투자에 임하는 특성이 있다. 

시장 시세를 만들어낼 힘이 없다. 
한편 장래의 시세를 정확하게 예측할 능력이 없다. 
이 두 특성을 개미 투자자가 갖고 있다. 

이것을 주사위 도박에 비유해보자. 
주사위를 던져 나오는 특정한 숫자를 맞추면 게임에 이기고 큰 수익을 얻는다고 가정하자. 
그런데 주사위를 던져 특정한 숫자를 매번 원하는 대로 나오게 할 수 없다고 하자.  
또 한편, 자신이 매번 주사위에 나올 숫자를 미리 알아 맞출 수 없다고 하자. 
이런 경우 매번 게임에 응해 주사위 게임을 한다고 하자. 
그런데 게임을 1회 할 때마다 참가비용이 들어간다고 하자. 
그러면 어떻게 될 것인가. 

그런데 이런 경우와 개미 투자자의 상황이 마찬가지다. 

그래서 어떤 투자를 할 경우 위 상황을 매번 검토해봐야 한다. 
한 번은 요행이 자신 뜻대로 성과를 거둘 수도 있다. 
그런데 그것을 계속 반복해 가면 결국 곤란에 처하게 된다. 

지뢰밭에서 어디에 지뢰가 있는지 알지 못한면서 이리저리 뛰어 다니면서 금괴를 찾아내려는 것과 상황이 같다. 
한 번은 다행스럽게 무사할 수 있다. 그러나 반복하면 결국 곤란에 처하게 된다. 

그래서 개미투자자의 투자 이론에 대해 자세하게 제시했다. 
우선 자신이 없어도 무방하다고 여기는 자금을 확보한다. 
그것을 투자한다고 하자.
그런데 투자 하기 전에 다음을 먼저 확실히 해야 한다. 
그 자금이 얼마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가를 먼저 정해야 한다. 
그것은 다시 다음 질문을 먼저 해결해야 한다. 
자신이 무엇때문에 투자를 하는가. 
또는 목표 금액이 되면 그것으로 무엇을 어떻게 하려고 하는가. 
이 질문부터 먼저 답해야 한다. 

목표 금액이 얼마인가는 위 질문과 함께 관련된다. 

자신이 어떤 사업을 하려고 한다. 
그런데 사업 자금이 필요하다. 
이렇다면 그 사업 성격에 따라 그런 목표금액이 나타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맹목적이 되고 무한대로 나아가기 쉽다. 
무조건 많으면 좋다. 이렇게 생각하면 이제 출구가 없게 된다. 

그 다음 목표금액과 함께 양극단을 놓고 출구를 찾아야 한다. 
투자를 하다보면 어느 경우에는 극단적으로 0 이 될 수도 있다.
또는 뜻하지 않게 자신이 기대한 목표치가 될 수도 있다. 
이 2 경우가 의미가 있다. 

그런데 이 양 극단의 경우에 그 상태에서 자신이 하고자 하는 내용을 
먼저 잘 정해야 한다. 
그리고 그런 내용 가운데 당장 할 수 있는 일을 하면 된다. 

장래 시세를 만들어 낼 힘도 없고, 예측할 능력도 없는 경우라고 하자.
그런 경우는 위 방안이 최선이다. 

이렇게 제시했었다. 

그렇게 해서 그 방침에 따라 투자를 하게 되었다. 
그런데 사정이 변경되었다. 
그런 방침에 따라 본인이 투자한 종목이 딱 2 종목이었다.
그런데 그것이 모두 거래시장에서 퇴출되게 된 것이다. 
앞 조건이 안 되었기에 본인이 그간 전혀 관심을 갖고 있지 않았다. 
그런 가운데 1 종목은 그간 완전히 퇴출되었다. 
물론 거래소에서는 공고로 여유기간을 주고 정리할 시간을 주었던 것 같다. 
그런데 본인은 공고가 난지 너무 시일이 지난 뒤에 확인하게 되었다.
그래서 어떻게 회수할 방법이 없이 없어졌다. 
그렇다고 다른 법률적 구제방법을 찾아보자니 원금자체가 너무 작다.
그래서 그대로 원금을 상실하고 포기하게 되었다. 

그런 가운데 또 1 종목이 퇴출된다고 예정된 것이다. 
왜 그런지는 모른다.
그러나 본인에게 퇴출종목만 묘하게 선택하는 특수 능력이 잠재되어 있었던 것이 아닐까 생각하게 된다. 
그런 저런 사정으로 처음 투자금액의 반절 이하로 떨어졌다. 

그래도 원칙적인 투자원칙을 고집하고 연구만 해왔다. 
그런데 갑자기 종목을 바꾸게 된 계기가 있다. 

본인이 연구하면서 글을 올리면서 음악을 듣는다. 
그런데 어느날 음악을 듣다가 음악 안에서 최고시세라는 말을 듣게 되었다. 
그래서 갑자기 그간 살펴보지 않던 그 종목을 살펴보게 되었다. 
그런데 그 종목이 원래 투자 금액 비슷한 정도로 올라 있음을 보게 되었다.  

그런데 최고세라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제는 가격이 이 이하로 내리게 된다는 것을 의마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한 것이다.
그리고 당시 시세가 처음 투자한 금액과도 비슷하고 최고세라고 하니 팔게 된 것 뿐이다. 
그리고 앞으로는 퇴출될 가능성이 비교적 적다고 본 종목으로 바꾸게 된 것 뿐이다. 

그리고 기본 원칙은 마찬가지다. 

그리고 그런 사정을 본인이 doctr 님에게도 보고한 바 있다. 
그런데 doctr 님은 doctr 님대로 비슷한 사정이 있어서 그 종목을 계속 보유하고 있었다고 한다. 
우선 투자한 종목이 최고세라고 하였다는데 왜 팔아야 하는가. 계속 보유해야 한다.
이렇게 반대로 생각했다고 한다. 
그리고 또 자신 나름대로 들은 노래에서는 2 주후에 최고세라는 말을 들었다고 주장한다. 

여하튼 그런 계기가 있다. 
개미투자자로서 능력이 없다고 하자.  
즉 자신이 매매하는 거래 물량으로 시장시세를 변경시킬 힘이 없다. 
또 어떤 신통한 예측 능력이 없다고 하자. 
그렇다면 위와 같은 개미투자 방안에 의해 오직 여유자금으로만 투자해야 한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양 극단으로 출구가 보일 때까지는 여기에 관심을 끊는다. 
그리고 원래 그런 양 극단 출구에서 하고자 한 일 가운데 지금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열심히 하면 된다. 
이런 것이다. 

그런데 최근 경험으로 다음 내용이 추가되었다. 
우선 장기적으로 투자하고 시장에서 관심을 끊고 지내려 한다고 하자.
그러면 최소한 처음 종목 선택시 시장에서 퇴출될 가능성이 많아 보이는 종목만은 피해야 한다. 
관심을 끊고 있을 때 퇴출까지 당하면 조금 심하기 때문이다.
그것 뿐이다. 

그리고 그런 가운데, 어느날 살펴보니 종목을 옮겨야 할 상황이 되었다고 본 것 뿐이다. 
그간 형편없이 가격이 하락상태로 있었다. 
그런데 마침 그날 원래 가격으로 회복된 것이다. 
그래서 옮겼던 것 뿐이다. 

그런데 지금 살펴보니, 비애감을 느낄 정도로 차이가 크다. 

본인이 들었던 노래는 대강 2 주전쯤 페이지에 올려져 있다. 
그런데 doctr 님이 들었다는 노래는 다음 노래라고 한다. 



○ 음악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us0fl--Calogero - Grand Corps Malade - L'ombre Et La Lumière.lrc



○ 신통력의 개발 

수행계에서도 이런 이야기가 있다. 
스님들은 원칙적으로 구걸로 식사문제를 해결한다. 
그런데 어떤 사찰에서 스님들이 구걸을 나갔는데 1분도 공양을 받지 못했다. 
그래서 굶고 지내게 되었다. 
보통 이런 일이 없는데 그렇게 되었다. 
그래서 사찰 주지 스님이 그 연유가 궁금해졌다. 
그래서 다음날에는 스님들을 조를 나누어서 구걸을 떠나게 했다. 
그러자 그 가운데 1조는 공양을 받았는데 1 조에서 또 똑같은 일이 발생했다. 
그래서 주지 스님이 그 다음날은 또 공양을 받지 못한 조를 다시 2 조로 나누어 구걸을 떠나게 했다. 
그러자 또 앞과 같은 일이 나타났다. 
그래서 위와 같이 반복하게 되었다. 
그래서 끝내 스님 가운데 1 분만 공양을 못 받고 돌아오게 됨을 알게 되었다. 
알고보니, 첫날 다른 스님들까지 공양을 못하게 되었던 사정은 그 스님 때문인 것이었다. 

또 다른 이야기도 있다. 
위와 비슷한 이야기다.
어떤 동자 사미가 있었는데 그 사미만 함께 데리고 가면 공양을 받지 못한다. 
그런데 어떤 곳에서 음식을 장만해 스님을 초대한 일이 있었다. 
그래서 그 동자만 떼 놓고 가기로 했다고 한다. 
그리고 한 스님이 대신 그 동자가 먹을 음식을 따로 챙겨 갔다 주기로 한 것이다. 
그런데 그렇게 하자 그 후 동자가 그 음식을 먹고 배탈이 났다는 이야기다. 

또 다른 이야기가 있다. 
형제가 같이 수행을 했다. 
그런데 그 가운데 한 사람은 정려 수행만 중요하게 여겨 행하고 보시는 닦지 않았다. 
그런데 또 다른 한 사람은 보시만 행하고, 다른 수행은 잘 행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런데, 이후 생에 각기 사정이 달라졌다. 
정려 수행을 행한 이는 신통력을 갖추어 전생을 보는 힘이 생겼다. 
그런데 어느날 멋진 장식을 하고 공양을 잘 받는 왕의 코끼리를 보게 되었다.
그리고 그 코끼리가 과거 같이 수행한 형제임을 알게 되었다. 
그런데 정작 그 스님은 그 코끼리보다 공양을 못 받는 상황임을 보게 되었다. 
그래서 코끼리에게 다가가 그런 사정을 이야기 해주었다고 한다. 
그러자 코끼리가 충격을 받았는지 이후 곡기를 끊고 목숨을 마쳤다는 이야기다. 

수행을 하는데에도 식사는 해야 한다. 
옷은 입어야 한다. 
또 수행을 하려면 병도 걸리지 않고 건강해야 한다. 
그런데 그런 것이 다 뜻과 같지 않다. 


요즘 하드 디스크를 정리 중이다. 
그간 대략 20 여년간 컴퓨터로 작업을 해왔다. 
그전까지는 대부분 종이를 사용했다. 

doctr 님 사정도 마찬가지다. 
doctr 님이 썼다는 행복론 이상사회론 현상 진리론이 모두 종이조각에 남아 있다. 
그러나 최근 컴퓨터가 일반화된 이후로는 모든 문서작업이 하드디스크에 담겨져 있다. 

컴퓨터는 과거 종이에 작업하는 것보다 훨씬 편하다. 
특히 각 부분을 이동 배치할 때 편의성이 크다. 
앞 부분을 떼어서 뒷 부분으로 옮긴다고 하자. 
펜으로 적은 경우는 그 수고가 극심해진다. 
선으로 그리는 글자를 손가락 한 두번 눌러 적는 것도 무시할 수 없다. 
그래서 컴퓨터가 대단히 편하다. 


그런데 문제가 있다. 
우선 usb 디스크가 이리저리 이동시 파손되거나 분실되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백업을 잘 해야 한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이것이 엉망이 된다. 
처음에는 1 기가 용량 정도의 디스크에 내용이 담겼다. 
그런데 요즘은 8 테라 하드디스크를 사용한다. 

그리고 디스크에 담긴 파일 숫자를 헤아리다보면 수만개가 훌쩍 넘는다. 
이것을 정리하는 문제가 심각하다. 
비유하면 국가 도서관의 서적이 어떤 체계도 없이 서고에 있다고 하자. 
여기서 어떤 책을 찾으려 한다고 하자. 
평생 걸쳐 뒤지고 뒤져도 원하는 책을 찾기 힘들다. 

그런데 또 어떤 경우는 엇비슷한 내용의 파일이 각 디스크마다 매번 들어 있다고 하자. 
이 경우는 또 문제가 발생한다. 

doctr 님을 놓고 생각해보자. 

처음 행복론을 1 이라고 적었다. 
그런데 그후 다시 조금 수정해서 2 라고 적었다. 
그런 식으로 각 디스크마다 엇비슷한 내용이 있다고 하자. 

그러면 이제 그 글을 적은 본인마저도 혼동이 오게 된다. 
그런데 왠 사정인지 수십개 되는 하드디스크마다 어떤 파일은 수없이 반복되어 들어 있다. 
그리고 어떤 것은 또 백업도 되지 않은 상태로 있다. 

문제는 이것을 하나하나 들여다 보면서 정리하기가 대단히 힘들다. 
그래서 대강 용량이 가득차면 이제 정리를 포기하게 된다.
그리고 전보다 조금 용량이 많은 새 하드디스크를 마련하게 된다. 

오늘날 8 테라 하드디스크를 용량이 큰 하드디스크로 옮겨 저장한다고 하자. 
그런데 복사속도가 usb2 나 usb3 또는 네트워크 랜선 속도나 각 컴퓨터 성능이나 시스템 내부 처리 속도 등에 함께 영향을 받는다. 
그래서 10 년전 usb1 방식으로 만일 옮긴다면 몇 달이 걸릴 수도 있다. 

실제로 어떤 하드디스크에서 대략 3, 4 기가 파일을 하나 옮기려 하니 작업을 마치는데 하루가 걸린다고 창에 나타난다.
그래서 왜 그런가 살펴보니 그 경우는 하드디스크가 상당히 오래된 경우다. 
그런데 또 과거 20 년전에는 그런 방법도 없었다. 
이동에 lpt 단자를 이용하기도 했다. 

여하튼 작업이 상당히 힘들다. 

현재 usb 디스크는 파일을 정리하고 분실시에도 큰 문제가 없도록 백업도 병행하는 중이다. 
그런데 8 테라 디스크를 백업을 하다보니 3 일째 작업을 하게 된다.  
너무 심하다. 
물론 기계가 알아서 하는 일이지만, 지켜 보는 데 지치게 된다. 
usb3 이면 조금 더 빨리 마쳐져야 할 듯 한데, 여러 사정이 있는 듯 하다. 

그러나 이보다 더 복잡한 일은 파일 하나하나의 특성에 따라 잘 분류해 정리하는 일이다. 

그 가운데 대부분 일은 매 디스크마다 들어 있는 doctr 님의 문서를 삭제처리하는 일이다. 
중복되어도 너무나 많이 중복되어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런데 조금씩 다르다. 
아직 이런 경우 처리 방법을 잘 알 수가 없다. 

사실은 글을 작성한 이가 일일히 대조를 해보아야 한다. 
그리고 그 가운데 하나만 남기고 삭제처리를 잘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혼잡스러워서 이후 작업을 할 도리가 없다. 

그래서 새로운 처리 방식을 도입하기로 했다. 


○ 투자와 신통 

대부분의 투자자가 다음 생각을 하게 된다. 
시세차트를 보면 과거 내역은 대부분 잘 안다. 

그런데 매 순간 다음 순간부터 장래 내용을 모른다. 

물론 과거 내역이 영향을 전혀 미치지 않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정작 다음 순간부터 약간 차이가 큰 차이를 만들어낸다. 
그런데 투자에서는 이 부분이 핵심이다. 
그래서 그 차별이 심하다. 

특히 그 경계선에서의 대조효과가 심리적으로 충격을 많이 준다. 
마치 어떤 시험에서 커트라인에 걸려 떨어진 경우와 합격한 경우의 차이와 같다. 
떨어지면 다시 1 년 또는 4 년 이런 식으로 늦어진다. 
어떤 시험에서는 때로는 그 이전까지의 전 학습기간을 다시 되풀이 해야 할 경우도 있다. 
어떤 이는 20 세에 합격하는데 어떤 이는 40 세에 합격한다면 그런 경우다. 
그런데 더 심한 경우도 있다. 
수행이 그런 경우다. 
한번 떨어지면 3 악도에서 무량겁을 지낸 후 다시 만나게 된다. 

경전에 나오는 사례가 많다. 
아함경에서는 오랜만에 다시 만났습니다라고 아라한이 부처님에게 말하는 사례가 전해진다. 
그런데 그 아라한은 사실은 부처님 곁에서 늘 지내던 스님이었다. 

그래서 다른 제자들이 그렇게 말하는 연유를 묻게 되었다. 
그 연유는 다음과 같다. 
그 스님이 어느 순간 아라한이 되었다.
그래서 그 과거생의 내력을 스스로 알게 되었다. 
그런데 과거에 부처님을 만난 적이 있었다. 
그 당시 부처님과는 친구 사이였다. 
그런데 부처님은 당시 연등불을 만나 자신의 머리카락으로 진흙길을 덮어 부처님이 밟고 지나가게 했다. 
이 모습을 당시 그 친구가 본 것이다. 

그 때나 지금이나 사정이 비슷하다. 
그 친구와 부처님은 당시 선비 신분이었다. 
그런데 수행자 형태로 부처님이 지나간다고 해서 선비가 너무 지나치게 공양을 드리는 것을 본 것이다. 
그런 사정으로 당시 친구는 속으로 그것을 비웃었던 것이다. 
조선시대 어떤 스님을 만난 유생들을 놓고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이 그 친구가 부처님을 마지막으로 본 때였다. 
그리고 이후 그는 장구한 세월동안 3 악도에서 지냈다. 
바다속에서 흉칙한 물고기 형태로만 주로 지냈다고 전한다. 
그리고 부처님이 출현하실 때 비로소 벗어나와서 부처님을 만나 아라한이 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나서 그간의 사정을 스스로 알게 되었다. 
그런 사정으로 매일 보는 부처님을 대하고 오랜만에 다시 만났습니다라고 인사를 드리게 된 것이다. 

당시 부처님의 친구가 그 사정을 미리 알았다면 당시 그렇게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그 사정이나 투자시 한 순간 이후의 시세를 모르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그래서 여하튼 장래를 내다보는 능력이 필요한 것은 수행이나 투자나 마찬가지다. 
이것이 없기 때문에 과거 시세는 알아도 매번 선택을 잘 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그런 가운데 선택을 반복해가면 손해를 보게 된다. 

물론 수행의 목표는 신통을 얻는데에 있지 않다. 
또 수행의 목표는 돈을 버는 데에도 있지 않다. 
그러나 수행을 잘 행하려면 신통이 필요하다. 
특히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서는 다라니 삼매 신통이 필요하다. 
이것이 있고 없음에 따라 중생 제도가 되고 안 되고의 차이가 극심하다. 

그런데 또 이런 다라니 삼매 신통력은 수행을 함에 따라 얻어진다. 
이미 그 사정을 앞에서 보았다. 
그리고 그런 사정이 경전에서도 제시된다. 
수행자가 수행을 통해 얻는 신통에 6 신통이 있다.
이는 정려 수행을 닦다 보면 자연스레 얻어진다. 
그리고 정려 수행의 가장 핵심은 심일경성의 상태를 얻는데 있다. 

즉 하나의 대상이나 내용에 마음을 집중시켜야 한다. 
그런 상태에서 일반적인 입장에서 신통으로 여겨지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중생을 제도함에 있어서는 이런 신통이 대단히 필요한 부분이 있다. 
다라니 수행 부분도 사정이 비슷하다. 

경전에서 다라니를 제시한다고 하자. 
이런 다라니를 부처님이나 보살이 제공한다고 하자. 
그런데 이런 다라니는 무조건 그것만 념송하면 소원이 성취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음성으로 문이 열리게 하는 그런 장치는 아니다. 

다라니는 이것을 제공한 이가 타심통을 갖는 것이 요건이 된다. 
그래서 다라니를 념송하게 되면 타심통을 통해 그 상대의 마음을 관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결국 중생제도 과정에서는 신통이 전제가 된다. 


그런데 현실 사정은 어렵다. 
투자에 있어서는 당장 한 순간 후의 시세 변동도 알기 힘들다. 
과거에 작성한 파일들에서는 자신이 작성했어도 
어디에 있는지 찾지 못한다. 
usB 디스크가 여러개 된다고 하자. 
그런데 언젠가 자신이 어떤 파일을 보관했다. 
그런 경우 이것을 찾으려면 엄두가 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일단 하나하나 디스크에 붙여 살펴야 한다. 
그런데 잘 찾아지지 않는다. 
또 어떤 때는 수없이 많이 나타난다. 

연구과정이 이렇게 되면 힘들다. 

서고가 정리되지 않고 수만권 책이 함께 뒤섞여 있는 도서관이 있다고 하자.
그런데 여기서 책을 어떻게 해야 잘 찾아 내야 하는가.
또 어떤 경우는 엇비슷한데 판본이 다른 서적이 수없이 발견된다. 
이 가운데 어떤 것이 진본인가. 판단이 어렵다. 
이런 문제가 된다. 

사실은 서고 정리를 잘 해야 한다. 
그런데 분량을 살펴보니 100 년은 걸릴 듯 하다. 
그래서 역시 이 경우에도 신통이 필요하다. 

수많은 투자 종목이 있을 때 여기서 좋은 투자 종목을 바로 바로 잘 찾아내야 한다.
마찬가지로 원할 때 원하는 파일이 어디 있는지 바로 바로 찾아낼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이 신통이다. 


그래서 그 방안을 연구 중이다. 

우선 생각할 수 있는 방법이 하나 있다. 다라니다! 
예를 들어 오늘 살피는 불공견삭다라니자재왕에게 부탁하는 방법이 있다. 

들리는 노래에서는 연구소내 관자재 연구원이 천재임을 강조한다. 
또 다른 노래에서는 대장경 전체를 이미 4 번 완독하고 
그 상태에서 핵심을 추려 반야심경을 유포시켰다고도 전한다. 
그리고 경전에 실려진 다라니 대부분이 관자재보살이 제공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런데 정작 현실에서는 그런 면이 잘 보이지 않는다. 
현실에서는 메모리카드도 잘 다루지 못한다. 
심지어 다라니가 어떤 원리에 의해 세상사람들의 소원을 성취시켜주는가를 문제삼기도 한다. 
그리고 심지어 자신이나 자신의 가족의 질병의 고통을 호소한다.
그래서 차이가 크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고 하자.
그러면 사실 현실에서 오히려 곤란하게 된다. 
그리고 곧바로 공장에 취직하게 된다고 그 어려움을 호소한다. 
즉 자신부터 묶이게 된다. 

사정이 그렇다. 
무량한 중생이 호소하는 현실 문제가 무량하다.  
그래서 하나하나 다 성취시켜주려면 소원 성취 기계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에 묶이게 된다. 

그래도 중요한 문제는 해결을 하기는 해야 한다. 
알고보면 노래에서도 여러 사람이 함께 해야 노래 하나가 소화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하드 디스크 정리는 이제 막 마쳐졌다. 
8 테라 하드 디스크 복사본 하나 만드는데 꼬박 3 일 걸렸다. 

문제는 이 안에 든 파일을 정작 필요할 때 어떻게 찾아 사용할 것인가이다. 


그래서 원할 때 원하는 자료를 바로 바로 찾아내 앞에 꺼내 볼 수 있게 
기술적 방안을 마련해달라고 요청할 예정이다. 
과거에는 PRINCE 님이 그런 기술적 문제 대부분을 해결해주고는 했다. 
그런데 요즘 PRINCE 님이 교회활동에 주력하면서 방문이 뜸하다. 

본인이 구상하는 방안은 대강 다음이다. 

우선 대강 파일 성격에 따라 범주를 나누어 폴더를 잘 정리한다. 
그런데 처음 지적한 것이 이 문제다. 
파일 하나하나 살피면서 이렇게 할 시간이 없다. 

그러나 원하는 파일을 사용하고자 할 때 바로 사용할 수 있게 조치를 취해야 한다. 
쉽게 생각하면 수많은 파일을 제목이나 내용을 검색해 찾아내 줘야 한다.
폴더 하나에 들어간 파일들만 놓고 검색작업을 해봐도 어렵다. 

그러나 여하튼 요구하는 내용은 이렇다. 

세상에서 어떤 이와 멀어지고 싶다고 하자. 
그러면 방안이 있다. 
자꾸 요구를 하면 된다. 

그러면 그렇게 된다. 

요구를 한다. - 무리한 요구다. - 안들어준다. - 요구한 이는 기대한 만큼 원망이 생긴다. 
- 상대는 요구하는 상대가 그 만큼 귀찮아진다. 성가시게 느껴진다. 
- 그러다가 서로 상대를 욕하게 된다. ( 빨리 발음하면 요구하다와 욕하다는 발음도 비슷하다. )
그러면 멀어지게 된다. 
- 그러나 그렇게 되면 안 된다. 
- 상대의 무리한 요구가 매번 뜻대로 되기는 현실적으로 힘들다. 
- 그래서 그런 요구일수록 소원 접수시 거꾸로 요구하는 절차가 많아지게 된다. 

그래서 그런 경우는 외어야 할 다라니 구문도 많게 된다. 
그리고 의식 절차도 까다롭게 된다. 
그만큼 정성을 보어야 한다. 

현실에서 예를 들어 돈을 빌리려 할 때 그냥 바로 주지 않는다. 
상대가 호적등본도 요구하고, 담보를 세울 부동산도 요구하고, 아니면 연대보증인도 요구하고 기타 등등 복잡하게 요구하는 것과 같다. 
그런데 그렇게 하면 바로 상대를 원망하지는 않게 된다. 

본래 자신이 무리한 요구를 한 것이다. 
그리고 그런 경우는 그 만큼 정성을 들여야 하는데 들이지도 않은 것이다. 

그런데 글을 적다보니 너무 거품이 많고 허황되어 보인다. 
무슨 연구소 연구원에 관자재 연구원과 묘길상 연구원이 있는가. 
그런데 이는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다. 
예를 들어 스페인에 가면 이름이 요한이나 바울은 말할 것도 없고 예수이고 마리아인 이들까지도 수없이 많다. 
그래서 연구원 별명으로 관자재 묘길상 보현, 숙왕화 이런 이름을 붙이는 것을 
문제시 할 것은 아니다. 

여하튼 디스크 정리방안에 대해서는 prince 님이 간단하게 해결방안을 제시해주었다. 


- 폴더 범주 정리를 할 수 있는 만큼 최선을 다해 잘 한다. 
- 수많은 디스크, 메모리카드, SD카드 등 USB 매체마다 이름과 표시를 한다. 
예를 들어 용량 - 일련번호 - 대강의 이름 - ( 예" 부팅용, 문서, 사진 등등)
이 표시를 하드디스크 표면 - USB 케이스 - 그리고 파티션 볼륨명칭 등에도 
다 일관되게 붙인다. 

- 그 다음 os 용도의 파일들만 제외하고 각 폴더 파일 내용을 목록으로 작성한다. 

이 경우 토털커맨더 프로그램과 그 플러그인 DISKDIR 프로그램을 추천한다. 
그러나 일반 텍스트 파일 형태로도 목록 작성자체는 쉬울 수 있다. 
파일을 파일명과 경로 용량 날짜 정보를 복사해 기재하는 방식이다. 
다만 파일이 너무 많으면 시간은 걸린다. 

-> 이것으로 끝이다. 

이제 파일을 찾고자 할 때 이들 목록 파일에서 키워드 검색을 한다. 
=> 그러면 해당 파일이 보관되어 있는
디스크 명칭과 번호 - 해당 폴더 - 위치를 텍스크 검색기가 알려준다. 

그러면 이제 그 정보로
디스크나 USB 매체케이스 또는 카드 외관에 붙인 표시를 보고  찾아낸다.

그리고 이를 본체에 붙여서 파일을 찾아낸다. 


이것이 이른바 도서관에서 분류기호 등으로 책을 찾아내는 방식과 같다고 한다. 

다만 이런 방식이 가능하려면, 여하튼 목록 작성만은 필수적이다.  

예를 들어 500G - DOCTR님문서보관디스크 - g 폴더 - 02 폴더에 
인간행복론 자료가 있다. 
이런 것을 알아내 이용하려고 한다고 하자.

그러려면 미리 각 디스크마다 명칭도 붙이고, 표시도 붙여 둬야 한다. 
그리고 그 안의 문서 파일 목록도 작성해 둬야 한다. 
그리고 필요시 검색도구를 이용해 키워드를 통해 찾아야 한다. 
DISKDIR 프로그램은 이 목록 파일을 디스크 폴더 형태로 보여준다는 것 뿐이다. 

그런데 이렇게 하지 않았다고 하자. 
있는 디스크나 카드 등을 일일히 다 붙여서 찾아내야 한다. 
한 두개 있는 경우는 그렇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서너개만 되어도 포기하게 되기 쉽다. 

그런데 이번에 본인은 위 방안에 다시 다음 방안을 추가해 정리 중이다. 

예를 들어 여러 디스크에 촬영한 사진자료가  중복 백업되어 있다고 하자. 
그 때 그 때 백업해두었을 수 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 여러 디스크에서 이것을 발견하는 것도 성가시다. 
그런데 중복저장되면 여러가지로 혼란스럽다. 
중복된 것인지 확인이 되지 않으면 삭제하기도 힘들다. 
그래서 백업을 하더라도 2 본 이상 백업하면 곤란하다. 

아무리 중요해도 2 본 정도로 충분하다.
정말 너무 중요하면 3 본 정도로 만족해야 한다. 
그렇지 않고 조선왕조실록처럼 4대 서고에 4 본 씩 백업하면 대단히 곤란하다. 

그런데 중복된 부분을 찾아내는 것부터 시간이 걸리고 성가신 작업이 된다. 
그런데 보통 백업을 별 생각없이 반복하다보면 그렇게 된다. 


큰 용량은 작은 용량을 담을 수 있다. 
그런데 그 반대는 곤란하다. 

그래서 큰 용량의 디스크를 마련한다.
그 다음 디스크내 각 폴더 분류를 먼저 잘 해야 한다. 
또 이 경우 파일별 성격을 잘 파악해야 한다. 

특히 usb 디스크나 sd 카드는 분실상황도 고려해야 한다. 
특정인의 중요한 개인 정보가 들어 있는 카드를 분실하면 치명적일 수도 있다. 
이런 경우 보안도 신경써야 한다. 

그래서 보안을 취해야 할 자료, 
공개해도 무방한 자료, 
그리고 아예 보안이나 백업자체가 그다지 불필요한 자료 
이런 식으로 먼저 구분을 해야 한다. 


그 다음 빈 디스크를 하나 놓고 작은 디스크내 파일들을 옮기면 된다. 

이 때도 방안이 있다. 
대강 서너 범주로만 묶어 무조건 이동시킨다. 
파일 하나하나하 붙잡고 세세하게 분류해 옮기려면 시간이 너무 걸린다. 
일단 큰 범주로 옮겨 놓고 그 안에서 다시 분류하는 것이 능률상 좋다. 

그렇게 해서 작은 디스크 내용이 다 옮겨지면 이제 비운다. 
굳이 삭제하지 않아도 무방하다고 여겨 남겨두면 곤란하다. 
그것이 뒷날 중복 폴더 파일의 혼란을 초래하게 된다. 

같은 내용이 여기에도 있고 저기에 도 있다. 
그런데 조금씩 다르다. 
이런 경우 복잡하게 된다. 
대강 당시 조금 중요하다고 본 자료일수록 이런 현상이 많아진다. 
그래서 아무리 중요해도 2 본 이상 백업하지 않는 원칙이 중요하다. 


다만 그렇게 해보았자, 빈 디스크 하나가 생겨나는 효과 밖에 없다. 
그래서 원칙적으로 목록만 잘 작성해 사용하는 것이 낫다. 
그러나 시간이 남을 때 한번씩 폴더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면 디스크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8/2565-08-16-k0290-003.html#3971
sfed--불공견삭다라니자재왕주경_K0290_T1097.txt ☞하권
sfd8--불교단상_2565_08.txt ☞◆visd3971
불기2565-08-16
θθ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또는 대불정만행수능엄다라니(大佛頂萬行首楞嚴陀羅尼)ㆍ수능엄다라니ㆍ불정주(佛頂呪). 『수능엄경』에 말한 427귀의 주(呪)를 말함.

답 후보
● 능엄주(楞嚴呪)
니야야(尼夜耶)
다문분별부(多聞分別部)
다타아가도(多陀阿迦度)

단나(檀那)
단식(斷食)
달라이라마()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MARIE-ANNICK LÉPINE dans mon coeur
Sandrine Kiberlain - Loin Derriere
FRANCE GALL - Evidemment
Camelia Jordana - Non Non Non (Ecouter Barbara)
Christophe Maé - Ma jolie
Mireille Mathieu - Una Canzone
Calogero - Grand Corps Malade - L'ombre Et La Lumière 
Christophe Maé - Charly
MYLENE FARMER - Desenchant 


Pierre Perret - Leila
CALI - Comme J'Etais En Vie
Enrico Masias - Les Gens Du Nord
Karpatt - Chamade
La Foule Sentimentale - Alain Soushon
Michel Sardou_Un jour la liberté
Mireille Mathieu - Minuit, Chretiens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Luipa
[san-chn] srota-āpatti-phala 預流果
[san-eng] rasātmakaḥ $ 범어 supplying the juice
[pali-chn] cha-gatiyo 六道
[pal-eng] buddhagu.na $ 팔리어 m.virtues of a Buddha.
[Eng-Ch-Eng] 十地經 The Da/sabhu^mika-su^tra. The full Chinese title is Foshuo shidi jing. 佛說十地經; 9 fasc. T 287.10.535a-573. Trans. S/i^ladharma 尸羅達摩 and Dharmaraks!a 竺法護. A chapter of the Hua-yen su^tra 華嚴經 which became so popular that it was translated into Chinese and circulated as a separate sutra. It gives an in-depth explanation of the ten stages (bhu^mi) of the bodhisattva's progress. See T 278, 279, 285, 286.
[Muller-jpn-Eng] 功 ク efficacy
[Glossary_of_Buddhism-Eng] ASOKA  270230 B.C. ☞
See also: Maurya Dynasty.
“India’s foremost royal patron of Buddhism and the first monarch
to rule over a united India.”
[fra-eng] abkhasien $ 불어 Abkhazian


■ 암산퀴즈


808* 229
554224 / 737


■ 다라니퀴즈

자비주 72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12 번째는?




72
아난이 다시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이 보살 마하살은
다시 어떤 이름이 있으며
이와 같은 큰 다라니를
잘 수행하시고 잘 설하신 이래
또 얼마나 오랜 겁을 지나셨나이까.
오직 원하옵건대 세존이시여
이 보살의 명호와
겁의 수효와 장단과
또 무슨 선근을 성취하셨기에
이와 같은 큰 다라니(陀羅尼)를 잘 설하실 수 있는지
설하여주십시오. "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 보살의 명호는
관세자재(觀世自在)이며
일명 견색(羂索)이며
또한 천광안(千光眼)이니라.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이 관세자재보살은 불가사의한 위신력이 있으니
이미 과거무량무수한 아승기겁 전에
성불하였으니
명호는 정법명여래(正法明如來)니라.
대비원력으로
일체 중생을 성숙시키고
안락을 얻게 하고자 하는 까닭에
보살의 형상을 나타내셨느니라.
이 보살의 명호도
듣기 어려운데
어찌 뵐 수 있겠느냐.
● 마바리승갈라야 摩婆唎勝羯囉夜<七十二> ma va ri śaṅ ka ya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12
오뎨라나 바바건 다 라
塢諦囉拏<二合>婆嚩建<引>哆<引>囉<十二>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228일째]
제불보리불가설 $ 099▲毘伽摩毘伽摩為 一 ● 烏波跋多, ○□□□□,發,分,知,오

□□□□□□□, 發生智慧不可說,
分別義理不可說, 知一切法不可說,
□□□□□□□, 발생지혜불가설,
분별의리불가설, 지일체법불가설,

부처님의 보리를 말할 수 없고
지혜를 내는 일도 말할 수 없고
이치를 분별함도 말할 수 없고
모든 법 아는 일을 말할 수 없고


[229째]
엄정불찰불가설 $ 100■ ■嚴 諸清不不十 此此如如一
100▲ 烏波跋多烏波跋多為 一 ● 演說, ○□□□□,修,長,一,諸

□□□□□□□, 修行諸力不可說,
長時修習不可說, 一念悟解不可說,
□□□□□□□, 수행제력불가설,
장시수습불가설, 일념오해불가설,

부처 세계 장엄함을 말할 수 없고
모든 힘 수행함을 말할 수 없고
오랜 세월 수행함을 말할 수 없고
한 생각에 깨달음을 말할 수 없고





●K0291_T1096.txt★ ∴≪A불공견삭다라니경≫_≪K0291≫_≪T1096≫
●K0290_T1097.txt★ ∴≪A불공견삭다라니자재왕주경≫_≪K0290≫_≪T1097≫
●K1353_T1002.txt★ ∴≪A불공견삭비로자나불대관정광진언≫_≪K1353≫_≪T1002≫

법수_암기방안


99 무명 (~네째) 발가락 [ 신조어 ]
100 네이블navel, 옴파로스Ompharos 臍 【배꼽 제】 / 벨리버튼belly button,
72 소지첫마디 = 손 허리뼈 / (=-매타카펄 metacarpal )
12 팔꿉 [elbow]

185032
752

○ 2020_1125_153116_can_ct8_s12 장성 축령산 편백나무치유센터_풍광


○ 2020_1125_152048_can_BW22 장성 축령산 편백나무치유센터_풍광


○ 2020_1125_150915_can_Ab31 장성 축령산 편백나무치유센터_풍광


○ 2020_1125_144518_nik_CT27 장성 축령산 편백나무치유센터_풍광


○ 2020_1125_144422_nik_ct19 장성 축령산 편백나무치유센터_풍광


○ 2020_1125_141745_nik_ct19 장성 축령산 편백나무치유센터_풍광


○ 2020_1125_132042_can_ct9_s12 장성 축령산 편백나무치유센터_풍광


○ 2020_1125_125406_nik_AB4_s12 장성 축령산 편백나무치유센터_풍광


○ 2019_0801_125351_nik_ct9_s12 울진 금강송 풍광


○ 2019_0801_113105_nik_CT27 울진 금강송 풍광


○ 2019_0801_080933_can_bw0_s12 울진 금강송 풍광


○ 2019_0801_080901_can_bw4_s12 울진 금강송 풍광


○ 2019_0731_191314_can_bw4_s12 울진 금강송 풍광


○ 2019_0731_174451_can_CT28 울진 금강송 풍광


○ 2019_0113_155758_can_BW22 예봉산_풍광


○ 2019_0113_153933_can_CT28 예봉산_풍광


○ 2019_0113_141644_nik_AB7_s12 예봉산_풍광


○ 2019_0113_141619_nik_Ar37_s12 예봉산_풍광


○ 2019_0113_141409_nik_bw0_s12 예봉산_풍광


○ 2019_0113_121440_can_Ab31 예봉산_풍광

● [pt op tr] fr
_M#]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불공견삭다라니자재왕주경_K0290_T1097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불공견삭다라니자재왕주경』 ♣0290-003♧
[관련키워드]
하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5-08-16_불공견삭다라니자재왕주경-K0290-003
https://blog.daum.net/thebest007/776
sfed--불공견삭다라니자재왕주경_K0290_T1097.txt ☞하권
sfd8--불교단상_2565_08.txt ☞◆visd3971
불기2565-08-16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8/2565-08-16-k0290-003.html
htmback--불기2565-08-16_불공견삭다라니자재왕주경_K0290_T1097-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