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비달마대비바사론』
K0952
T1545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176권/전체20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아비달마대비바사론』
♣0952-176♧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176권/전체200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6_121729_nik_CT33
○ 2019_1106_141435_nik_ct19_s12
○ 2019_1106_161812_nik_ct31_s12
○ 2019_1106_101748_can_ct26
○ 2019_1201_143723_can_ct19_s12
○ 2020_0904_142921_can_ct9
○ 2020_0905_135612_nik_BW25
○ 2020_0905_155201_nik_CT28
○ 2020_0906_121800_nik_AB7
○ 2020_0908_163857_can_CT28
○ 2020_0909_155959_can_AB7
○ 2020_0909_160048_can_CT33
○ 2020_0911_111533_can_ori_rs
○ 2020_0930_134150_nik_BW17
○ 2020_0930_145553_can_CT34
○ 2018_1022_134633_nik_Ar37_s12
○ 2018_1023_141139_can_BW17
○ 2019_1104_120749_can_CT28
○ 2019_1104_110055_nik_ar39
● [pt op tr] fr
_M#]
○ 2020_1002_121628_nik_bw0_s12
❋❋본문 ♥ ◎[개별논의]
★%★
『아비달마대비바사론』
♣0952-176♧
◎◎[개별논의] ♥ ❋본문
★1★
◆vstc1113
◈Lab value 불기2568/08/10 |
♥단상♥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4/08/2568-08-10-k0952-176.html#1113 sfed--아비달마대비바사론_K0952_T1545.txt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176권/전체200권 sfd8--불교단상_2568_08.txt ☞◆vstc1113 불기2568-08-10 θθ |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법처소섭색(法處所攝色) 5종의 하나. 5근(根)ㆍ5경(境) 등의 실색(實色)을 세밀하게 나누어 다시 더 나눌 수 없는 데에 이른 것을 말함. 곧 극미(極微). 소승 유종부(有宗部)에서는 이를 실물(實物)이라 하여 안식(眼識)으로 반연하는 색처(色處)에 소속시키고, 대승 유식종(唯識宗)에서는 이를 가상(假想)의 분석이라 하여 의식으로 반연하는 법처(法處)에 소속시킨다.
답 후보
● 극략색(極略色)
근사(近事)
근책녀율의(勤策女律儀)
금강나라연신(金剛那羅延身)
금강불괴(金剛不壞)
금강야차(金剛夜叉)
급고독(給孤獨)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Jean Ferrat - Ma Mome
Gerard Lenorman - On Pourra Partir
Cristina Marocco - Cosa Resta
Anais - I Love You (From The Amber Story)
Joe Dassin - L'ete Indien
Mireille Mathieu - Viento
Jea-Jaques Goldman - Comme Toi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67▲ 酉邑⻏赤足 ■ 유읍방적족 67 ( 닭 유/ 열째 지지 유 )( 고을 읍/ 아첨할 압 ) ( 우부방 읍 )( 붉을 적 )( 발 족 / 지나칠 주 )
028▲ 予五午王夭 ■ 여오오왕요 28 ( 나 여/ 줄 여, 미리 예 ) ( 다섯 오 )( 낮 오 / 일곱째 지지( 地支) 오 )(임금 왕 / 구슬 옥 옥 )( 일찍 죽을 요/ 어릴 요, 어린아이 오, 땅 이름 옥, 예쁠 외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Buddhism in Sri Lanka
[san-chn] tri-malânta-kara 除三垢
[san-eng] vā $ 범어 or
[pali-chn] kamma 業, 羯磨, 行爲
[pal-eng] sa.mvaasaka $ 팔리어 adj.living together; co-resident.
[Eng-Ch-Eng] 四家大乘 Four schools of Maha^ya^na: (1) Huayan 華嚴 , Tiantai 天台, Zhenyan 真言 and Chan 禪. (2) Faxiang 法相, Sanlun 三論, Tiantai and Huayan.
[Muller-jpn-Eng] 餘經 ヨキョウ other scriptures
[Glossary_of_Buddhism-Eng] DOUBTS ABOUT REBIRTH IN THE PURE LAND ☞
See: Rebirth in the Pure Land; Three Doubts and Four Narrow
Passes.
[fra-eng] l'octave $ 불어 the octave
[chn_eng_soothil] 金剛慧 Diamond wisdom, which by its reality overcomes all illusory knowledge.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須菩提言: 「不也, 世尊! 何以故? 須陀洹名爲入流, 而無所入,
不入色聲香味觸法, 是名須陀洹.」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무슨 까닭인가 하오
면, 수다원은 입류(入流)라 하지만 실로는 들어간 일이 없으니, 색(色)、성
(聲)、향(香)、미(味)、촉(觸)、법(法)에 들지 않으므로 이름을 수다원이라 하
기 때문입니다.”
[玄奘] 善現答言: 不也, 世尊! 諸預流者不作是念 ࡔ我能證得預流之果ࡕ! 何以故?
世尊, 諸預流者無少所預, 故名預流; 不預色、聲、香、味、觸、法, 故名預流.
[義淨] 妙生言: 不爾, 世尊! 何以故? 諸預流者無法可預, 故名預流;
不預色、聲、香、味、觸、法, 故名預流.
09-02 सुभूतिराह-नो हीदं भगवन्।
न स्रोतआपन्नस्यैवं भवति-मया स्रोतआपत्तिफलं प्राप्तमिति।
तत्कस्य हेतोः ? न हि स भगवन् कंचिद्धर्ममापन्नः, तेनोच्यते स्रोतआपन्न इति।
न रूपमापन्नो न शब्दान् न गन्धान् न रसान् न स्प्रष्टव्यान् धर्मानापन्नः।
तेनोच्यते स्रोतआपन्न इति।
subhūtirāha | no hīdaṁ bhagavan | na srotāpannasyaivaṁ bhavati mayā
srotāpattiphalaṁ prāptamiti | tatkasya hetoḥ | na hi sa bhagavan
kaṁciddharmamāpannaḥ | tenocyate srotāpanna iti | na rūpamāpanno na
śabdān na gandhān na rasān na spraṣṭavyān na dharmānāpannaḥ | tenocyate
srotāpanna iti |
수보리가 말씀드렸다. “그것은 참으로 아닙니다. 복덕갖춘분이시여! 흐름에 든자의
경우에 ‘나에 의해 (성자의) 흐름에 든 결과가 얻어졌다’라는 그러한 (생각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것은 어떤 이유인가 하오면, 복덕갖춘분이시여! 참으로 그는 어떤 법에도
빠져들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말해집니다. ‘흐름에 든 자이다’라고. (그는) 형색에
빠져들지 않았으며, 소리들에도 아니요, 냄새들에도 아니요, 맛들에도 아니요,
감촉들에도 아니요, 법들에 (또한) 빠져들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말해집니다. ‘흐름에 든
자이다’라고.
▼▷[subhūtirāha] ① subhūtiḥ(ƾ.nom.) + āha(ƺ.) → [수보리는、 말했다.]
▼▷[no] ① no(ƺ.) → [아닙니다]
▼[hīdaṁ] ① hi(ƺ.) + idaṁ(pn.ƿ.nom.) → [참으로、 그것은.]
▼[bhagavan] ① bhagavan(ƾ.voc.) → [복덕갖춘분이시여!]
▼▷[na] ① na(ƺ.) → [(否定)]
▼[srotāpannasyaivaṁ] ① srota+āpannasya([nj.→]ƾ.gen.) + evaṁ(ƺ.) → [흐름에 든
자의、 그러한(→그러함이)]
그러한 + 일어난다. > 그러함이 일어난다. |or| 그러한 (산냐가) 일어난다.
▼[bhavati] ① bhavati(pres.Ⅲ.sg.) → [일어나다] → (+산냐는) 일어나지 않습니다
▼[mayā] ① mayā(pn.Ⅰ.ins.) → [나에 의해]
▼[srotāpattiphalaṁ] ① srota+āpatti+phalaṁ(ƿ.nom.) → [흐름에 든 결과가]
▼[prāptamiti] ① prāptam(njp.→ƿ.nom.) + iti(ƺ.) → [얻어졌다、 라는.]
▼▷[tatkasya] ① tat(pn.ƿ.nom.) + kasya(pn.ƾ.gen.) → [그것은、 어떤]
▼[hetoḥ] ① hetoḥ(ƾ.gen.) → [이유의? → 이유인가 하오면,]
▼▷[na] ① na(ƺ.)
▼[hi] ① hi(ƺ.) → [참으로]
▼[sa] ① saḥ(ƾ.nom.) → [그는]
▼[bhagavan] ① bhagavan(ƾ.voc.) → [복덕갖춘분이시여!]
▼[kaṁciddharmamāpannaḥ] ① kaṁcit(pn.ƾ.acc.) + dharmam(ƾ.acc.) +
āpannaḥ(njp.→ƾ.nom.) → [어떤、 법에、 빠져들지 않았습니다.] → 어떤 법에도
빠져들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② kiṁcit(ƺ. to a certain degree, somewhat, a little)
② dharma(ƾ. that which is established or firm, law; usage, practice, duty; right, justice)
② āpanna(p.p. gained, obtained, acquired; gone or reduced to, fallen into; afflicted)
▼▷[tenocyate] ① tena(ƺ.) + ucyate(pass.pres.Ⅲ.sg.) → [그래서、 말해집니다]
② tena(ƺ. in that direction, in that manner, thus)
② vac(2.ǁ. to speak, say, tell)
▼[srotāpanna] ① srota+āpannaḥ([nj.→]ƾ.nom.) → [흐름에 든 자이다]
② srota(ƿ. a stream)
② āpanna(p.p. gained, obtained, acquired; gone or reduced to, fallen into; afflicted)
▼[iti] ① iti(ƺ.) → [라고.]
▼▷[na] ① na(ƺ.) → [(否定)]
▼[rūpamāpanno] ① rūpam(ƿ.acc.) + āpannaḥ(njp.→ƾ.nom.) → [형색에、 빠져들지
않았으며]
② rūpa(ƿ. any outward appearance or phenomenon or colour; form, shape, figure)
② āpanna(p.p. gained, obtained, acquired; gone or reduced to, fallen into; afflicted)
▼[na] ① na(ƺ.) → [아니요]
▼[śabdān] ① śabdān(ƾ.acc.pl.) → [소리들에(+도)]
② śabda(ƾ. sound [the object of the sense of hearing and property of ākāśa]; sound, note,
noise in general; a word, sound, significant word)
▼[na] ① na(ƺ.) → [아니요]
▼[gandhān] ① gandhān(ƾ.acc.pl.) → [냄새들에(+도)]
② gandha(ƾ. smell, odour; smell considered as one of the 24 properties or guṇas of the
Vaiśeṣkas; the mere smell of anything)
▼[na] ① na(ƺ.) → [아니요]
▼[rasān] ① rasān(ƾ.acc.pl.) → [맛들에(+도)]
② rasa(ƾ. sap, juice [of trees]; a liquid, fluid; water; liquor, drink)
▼[na] ① na(ƺ.) → [아니요]
▼[spraṣṭavyān] ① spraṣṭavyān(ƾ.acc.pl.) → [감촉들에(+도)]
② spraṣṭavya(nj. to be touched or handled; tangible, palpable, sensible: ƿ. touch, feeling)
< sparśa(ƾ. touch, contact [in all senses]; contact)
▼[na] ① na(ƺ.) → [(否定)]
▼[dharmānāpannaḥ] ① dharmān(ƾ.acc.pl.) + āpannaḥ(njp.→ƾ.nom.) → [법들에、
(+또한) 빠져들지 않았습니다.]
② dharma(ƾ. that which is established or firm, law; usage, practice, duty; right, justice)
② āpanna(p.p. gained, obtained, acquired; gone or reduced to, fallen into; afflicted)
▼▷[tenocyate] ① tena(ƺ.) + ucyate(pass.pres.Ⅲ.sg.) → [그래서、 말해집니다]
▼[srotāpanna] ① srota+āpannaḥ([nj.→]ƾ.nom.) → [흐름에 든 자이다]
▼[iti] ① iti(ƺ.) → [라고.]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223일째]
세간도사불가설 $ 094▲娑婆羅娑婆羅為 一 ● 迷攞普, ○□□□□,演,彼,清,彼
□□□□□□□, 演說讚歎不可說,
彼諸菩薩不可說, 清淨功德不可說,
□□□□□□□, 연설찬탄불가설,
피제보살불가설, 청정공덕불가설,
世間導師不可說,
세상의 길잡이됨 말할 수 없고
연설하고 찬탄함을 말할 수 없고
저 모든 보살들을 말할 수 없고
청정한 그 공덕을 말할 수 없고
095□
[224째]
피제변제불가설 $ 095▲迷攞普迷攞普為 一 ● 者麼羅, ○□□□□,能,住,盡,欣
□□□□□□□, 能住其中不可說,
住中智慧不可說, 盡諸劫住無能說,
□□□□□□□, 능주기중불가설,
주중지혜불가설, 진제겁주무능설,
彼諸邊際不可說,
저 여러 끝단 데를 말할 수 없고
그 가운데 머무는 일 말할 수 없고
머무르는 지혜들도 말할 수 없고
그지없이 머무는 일 말할 수 없고
●K0953_T1559.txt★ ∴≪A아비달마구사석론≫_≪K0953≫_≪T1559≫
●K0952_T1545.txt★ ∴≪A아비달마대비바사론≫_≪K0952≫_≪T1545≫
●K0944_T1544.txt★ ∴≪A아비달마발지론≫_≪K0944≫_≪T1544≫
■ 암산퀴즈
856* 120
243800 / 460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28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2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7 번째는?
28 바른 법의 정기가 선행(善行)하도록 증장시키며,
가라바바라벌라뎨, 揭剌婆跋羅伐剌帝<二十八>
hrd-grah samvara vrate,
(이하~) 나약하고 친밀한 이의 마음을 제압하시는 이시여!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020 오마바디 사혜야야 ◐烏摩鉢底<天后>娑醯夜耶<及眷屬等二十>◑umāpati-sahitāya//
021 나모바가바 뎨 ◐娜牟婆伽筏<蒱末反>帝<世尊二十一>◑Namo bhagavate
022 나라연나야 ◐那囉延拏耶<地祇衆二十二>◑nārāyaṇāya
023 반자마하몯다라 ◐半遮摩訶沒陁囉<大印二十三>◑pacamahāsammudrā//
024 나모스가리 다야 ◐娜牟塞訖哩<二合>多耶<頂禮世尊二十四>◑Namas-kritāya//
025 나모바가 바뎨마하가라야 ◐娜牟婆伽<上呼>筏帝摩訶迦囉耶<大黑天神二十五>◑Namo bhagavate mahā-kālāya
026 디리보라나가 라 ◐底哩<二合>補囉那伽<上>囉<城二十六>◑tri-pura-nagara
027 비타라바나가라야 ◐毘陁囉皤拏迦囉耶<破壞二十七>◑vidrāpaṇa-karāya
028 아뎨목다가시마사나바싣니 ◐阿底目多迦尸摩舍那縛悉埿<尸陁林中二十八>◑adhimuktaka-śmaśāna-vāsine
029 마다리 가나 ◐摩怛唎<二合>伽拏<鬼神衆二十九>◑mātri-gaṇāṃ//
●10방 여래께서는
이 주문의 비밀심인(祕密心印)을 잡고 모든 마군을 항복시켜서 온갖 외도를 제압하시느리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07
공덕해(功德海)께 귀의합니다.
南無功德海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102720
530
법수_암기방안
95 足背 【족배】 ~발등.
2 염통 【심장】
28 새끼 ( LITTELE finger)
19 자뼈 (알너 - ULNA)
7 갈비 【협】
94 검지(~두째) 발가락 [신조어 ]
23 엄지 (THUMB)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8_0810_090521 :
대장경 내 게송
무위법(無爲法) 전체를 포괄하므로
불생멸(不生滅)이라 하고
유위법(有爲法) 전체를 포괄하므로
생멸(生滅)이라 한다네.
출전:
한글대장경 K1397_T1668
석마하연론(釋摩訶衍論) 용수보살조.
요진 벌제마다역
釋摩訶衍論 【龍樹菩薩造.
姚秦 筏提摩多譯】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정뇌 호흡
○ 2019_0405_151400_can_Ab7
○ 2019_1004_135234_nik_Ar26
○ 2019_1004_172357_nik_BW21
○ 2019_1004_150108_can_bw24
○ 2019_1004_175014_nik_CT33
○ 2019_1004_145904_can_ar3
○ 2019_1004_175259_nik_bw4
○ 2019_1004_143930_can_ar38
○ 2019_1004_163801_can_ct19
○ 2019_1004_164059_can_ab44
○ 2019_1004_170543_can_ct2
○ 2018_1025_162004_nik_CT28
○ 2018_1025_163529_nik_Ar12
○ 2018_1025_165629_nik_AB7_s12
○ 2020_1126_153514_nik_ct9_s12
○ 2020_1126_155204_nik_ar24
○ 2020_1126_155742_nik_ab41_s12
● [pt op tr] fr
_M#]
○ 2020_0224_113729_nik_AR25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아비달마대비바사론_K0952_T1545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176권/전체20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8-08-10_아비달마대비바사론-K0952-176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4/08/2568-08-10-k0952-176.html
sfed--아비달마대비바사론_K0952_T1545.txt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176권/전체200권
sfd8--불교단상_2568_08.txt ☞◆vstc1113
불기2568-08-10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542886579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080
htmback--불기2568-08-10_아비달마대비바사론_K0952_T1545-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