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4년 8월 26일 월요일

불기2568-08-26_칭찬대승공덕경-k0256-001


『칭찬대승공덕경』
K0256
T0840

칭찬대승공덕경 /전체1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칭찬대승공덕경』 ♣0256-001♧




칭찬대승공덕경 /전체1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6_154444_nik_bw24


○ 2019_1106_155605_nik_ct19_s12


○ 2019_1105_111507_nik_ct32_s12


○ 2019_1105_114556_nik_exc_s12


○ 2019_1105_120326_nik_ct8


○ 2019_1105_132159_nik_CT28


○ 2019_1201_161641_nik_ct18


○ 2020_0905_164836_can_BW25


○ 2020_0908_160357_nik_ct4


○ 2020_0909_155447_can_BW27


○ 2020_0909_160539_can_BW25


○ 2020_0909_180927_can_BW17


○ 2020_0910_133421_can_ar36


○ 2018_1023_131725_can_ar24


○ 2018_1023_140437_can_ct19


○ 2018_1023_165001_nik_ab41_s12


○ 2018_1023_182842_nik_Ar28_s12


○ 2019_1104_120526_can_exc_s12


○ 2019_1104_130935_nik_ar6

● [pt op tr] fr
_M#]



○ 2020_1114_133612_can_bw4_s12



❋❋본문 ◎[개별논의]

★%★
『칭찬대승공덕경』 ♣0256-001♧






◎◎[개별논의] ❋본문









★1★





◆vkoh2539

◈Lab value 불기2568/08/26


○ 2020_0905_135147_nik_BW27.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onteSantiagoLobera
[#M_▶더보기|◀접기|
Monte de Santiago, Burgos, Spain
Author byj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 2020_0606_191221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Acme_band
[#M_▶더보기|◀접기|
English: A scene from the Galway Arts Festival 2007
Author Peter Clarke at English Wikipedia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금련선원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Daum 지도

Patrick Bruel - Viens Tout Contre Moi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4/08/2568-08-26-k0256-001.html#2539
sfed--칭찬대승공덕경_K0256_T0840.txt ☞칭찬대승공덕경 /전체1권
sfd8--불교단상_2568_08.txt ☞◆vkoh2539
불기2568-08-26
θθ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출가(出家) 5중(衆)의 하나. 

구역에서는 학법녀(學法女)라 하고, 신역에서는 정학녀(正學女)라 함. 사미니가 구족계를 받으려 할 때는 18세에서 20세까지의 만 2년간 따로 6법(法)을 배우게 하여, 아이를 밴 여부를 확인하고 또 계행이 참으로 견고한가를 시험하는 것. 이 기간을 식차마나라 함.

답 후보
● 정학녀(正學女)
제삼과(第三果)
제육식(第六識)
제일시교(第一時敎)

제행(諸行)
제호미(醍醐味)
조복법(調伏法)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STAR ACADEMY - Laissez-Moi Danser
Nicolas Peyrac - Les Filles Qu'on Aime
Michel Sardou - Monsieur Le President De France
Brigitte Bardot - Tu Veux, Tu Veux Pas
Indochine - Un homme dans la bouche
Les Forbans - Chante
Gilbert Bécaud - C'est En Septembr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05▲ 匚卜匕冫厶 ■ 방복비빙사 5 ( 상자 방 )( 점 복/ 무 복, 짐바리 짐 )( 비수 비 )( 얼음 빙 )( 사사 사 / 아무 모 )
044▲ 司史疒生石 ■ 사사상생석 44 ( 맡을 사 )(사기 사 )( 병들어 기댈 상 / 병들어 기댈 녁 / 역 )( 날 생 )( 돌 석/ 섬 석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Jnanaprasthana
[san-chn] guṇa-paṭala 功德品
[san-eng] āśritaṃ $ 범어 assuming
[pali-chn] anāsava 無漏
[pal-eng] ekuunacattaa.liisati $ 팔리어 f.thirty-nine.
[Eng-Ch-Eng] SANJNA Sanjna 想 【參照: Recognition】or【參照: Five Skandhas】
[Muller-jpn-Eng] 阿耆達 アギタツ (person) Agnidatta
[Glossary_of_Buddhism-Eng] AKSOBHYA BUDDHA☞
“The immovable Buddha. Aksobhya is one of the five [primordial]
Buddhas. His left hand is in the shape of a fist, his right hand touches
the ground, and he is of golden complexion.”
Dait: 12 #0010

[fra-eng] transportâmes $ 불어 transported
[chn_eng_soothil] 洩 To leak, diminish.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須菩提言: 「甚大, 世尊. 何以故? 佛說非身, 是名大身.」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엄청나게 크옵니다. 세존이시여, 왜 그런가 하오면,
부처님께서는 몸 아님을 말씀하셨으므로 큰 몸이라 이름하셨기 때문입니
다.”
[玄奘] 善現答言: 「彼之自體廣大, 世尊! 廣大, 善逝! 何以故? 世尊, 彼之自體,
如來說非彼體, 故名自體; 非以彼體, 故名自體.」
[義淨] 妙生言: 「甚大, 世尊! 何以故? 彼之大身, 如來說為非身, 以彼非有,
說名為身.」
10-07 सुभूतिराह-महान् स भगवान्, महान् सुगत स आत्मभावो भवेत्।
तत्कस्य हेतोः ? आत्मभाव आत्मभाव इति भगवन् न भावः स तथागतेन भाषितः।
तेनोच्यत आत्मभाव इति।
न हि भगवन् स भावो नाभावः।
तेनोच्यते आत्मभाव इति॥१०॥

subhūtirāha | mahān sa bhagavan mahān sugata sa ātmabhāvo bhavet |
tatkasya hetoḥ | ātmabhāva ātmabhāva iti bhagavan na bhāvaḥ sa
tathāgatena bhāṣitaḥ | tenocyata ātmabhāva iti | na hi bhagavan sa bhāvo
nābhāvaḥ | tenocyata ātmabhāva iti ||10||

수보리가 말씀드렸다. “큽니다, 그것은. 복덕갖춘분이시여! 그것은 커다란 자아존재가 될
수 있습니다. 잘가닿은분이시여! 그것은 어떤 이유인가 하오면, ‘자아존재다,
자아존재다’라는 것은, 복덕갖춘분이시여! 그것은 존재가 아니라고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말해졌습니다. 그래서 ‘자아존재다’라고 말해집니다. 참으로 그것은, 복덕갖춘분이시여!
존재가 아니며 존재가 아닌 것도 아닙니다. 그래서 ‘자아존재다’라고 말해집니다.”
▼▷[subhūtirāha] ① subhūtiḥ(ƾ.nom.) + āha(ƺ.) → [수보리는、 말했다.]
▼▷[mahān] ① mahān(njp.→ƾ.nom.) → [큽니다]
▼[sa] ① saḥ(ƾ.nom.) → [그것은]
▼[bhagavan] ① bhagavan(ƾ.voc.) → [복덕갖춘분이시여!]
▼[mahān] ① mahān(nj.→ƾ.nom.) → [커다란]
▼[sugata] ① sugata(ƾ.voc.) → [잘가닿은분이시여!]
② sugata(nj. well­gone or passed; well­bestowed: ƾ. an epithet of buddha)
▼[sa] ① saḥ(ƾ.nom.) → [그것은]
▼[ātmabhāvo] ① ātma+bhāvaḥ(ƾ.nom.) → [자아존재가]
▼[bhavet] ① bhavet(pot.Ⅲ.sg.) → [될 수 있습니다.]
② bhū(1.ǁ. to be, become; to be born or produced; to spring or proceed from; to happen)
▼▷[tatkasya] ① tat(pn.ƿ.nom.) + kasya(pn.ƾ.gen.) → [그것은、 어떤]
▼[hetoḥ] ① hetoḥ(ƾ.gen.) → [이유의? → 이유인가 하오면,]
▼▷[ātmabhāva] ① ātma+bhāvaḥ(ƾ.nom.) → [‘자아존재다’]
▼[ātmabhāva] ① ātma+bhāvaḥ(ƾ.nom.) → [‘자아존재다’]
▼[iti] ① iti(ƺ.) → [라는 것은]
▼[bhagavan] ① bhagavan(ƾ.voc.) → [복덕갖춘분이시여!]
▼[na] ① na(ƺ.)
▼[bhāvaḥ] ① bhāvaḥ(ƾ.nom.) → [존재가 아니다(라고)]
② bhāva(ƾ. being, existing; becoming, occurring; state, condition) < bhū(1.ǁ. to become)
▼[sa] ① saḥ(ƾ.nom.) → [그것은]
▼[tathāgatena] ① tathāgatena(ƾ.voc.) → [그렇게오신분에 의해]
▼[bhāṣitaḥ] ① bhāṣitaḥ(njp.→ƾ.nom.) → [말해졌습니다.]
② bhāṣita(p.p. spoken, said, uttered)
▼▷[tenocyata] ① tena(ƺ.) + ucyate(pass.pres.Ⅲ.sg.) → [그래서、 말해집니다]
② tena(ƺ. in that direction, in that manner, thus)
② vac(2.ǁ. to speak, say, tell)
▼[ātmabhāva] ① ātma+bhāvaḥ(ƾ.nom.) → [‘자아존재다’]
▼[iti] ① iti(ƺ.) → [라고.]
▼▷[na] ① na(ƺ.)
▼[hi] ① hi(ƺ.) → [참으로]
▼[bhagavan] ① bhagavan(ƾ.voc.) → [복덕갖춘분이시여!]
▼[sa] ① saḥ(ƾ.nom.) → [그것은]
▼[bhāvo] ① bhāvaḥ(ƾ.nom.) → [존재가 아니며,]
▼[nābhāvaḥ] ① na(ƺ.) + abhāvaḥ(ƾ.nom.) → [존재가 아닌 것도 아닙니다.]
 日本式김치는 김치가 아니라고 요리사가 말했다. 그래서 ‘日本式김치’라고 일컬어질
뿐이다. 그것은 김치도 아니요 김치가 아닌 것도 아니다. 그래서 ‘日本式김치’라고…
▼▷[tenocyata] ① tena(ƺ.) + ucyate(pass.pres.Ⅲ.sg.) → [그래서、 말해집니다]
▼[ātmabhāva] ① ātma+bhāvaḥ(ƾ.nom.) → [‘자아존재다’]
▼[iti] ① iti(ƺ.) → [라고.]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239일째]
일미진중능실유 $ 110■ ■一 乃一一神成 種種得往於
110▲ 至至為 一 ● 阿僧祇,○□□□□,不,一,賢,乃

□□□□□□□, 不可言說蓮華界,
一一蓮華世界中, 賢首如來不可說。
□□□□□□□, 불가언설련화계,
일일련화세계중, 현수여래불가설。

一微塵中能悉有,
한 티끌 속에마다 말할 수 없는
연화장 세계들이 모두 다 있고
하나하나 연화장 세계 가운데
계시는 현수(賢首)여래 말할 수 없고



[240째]
내지법계실주편 $ 111▲阿僧祇阿僧祇為 一 ● 阿僧祇轉, ○□□□□,其,世,其,一

□□□□□□□, 其中所有諸微塵,
世界若成若住壞, 其數無量不可說。
□□□□□□□, 기중소유제미진,
세계약성약주괴, 기수무량불가설。

乃至法界悉周遍,
그렇게 온 법계에 가득하거든
그 가운데 들어 있는 티끌 속마다
이뤄지고 머물고 헐리는 세계
그 수효 한량없어 말할 수 없고





●K0433_T1332.txt★ ∴≪A칠불팔보살소설대다라니신주경≫_≪K0433≫_≪T1332≫
●K0256_T0840.txt★ ∴≪A칭찬대승공덕경≫_≪K0256≫_≪T0840≫
●K0193_T0367.txt★ ∴≪A칭찬정토불섭수경≫_≪K0193≫_≪T0367≫


■ 암산퀴즈


356* 285
51300 / 135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44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18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23 번째는?




44 좋은 말씀은 싸움이 치성한 겁을 능히 맑히며
다뎨, 癉綻<四十四徒界反>
tade
(이하~) 망상을 부수고 욕망에 가득한 이들의 힘을 빼 포박 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180 아가라마리 투바야 ◐阿迦囉沒㗚<利吉反>駐婆夜<掩死難百八十>◑akālaㆍmrityuㆍbhaya
181 아다라니보미검바 ◐阿陁囉尼部彌劍波<摠持地動百八十一>◑adhāranīㆍbhūmikaṃㆍbhaya
182 가바다바야 ◐伽波哆婆夜<險難百八十二>◑kāpātaㆍbhaya
183 오라라가바다바야 ◐烏囉囉迦波多婆夜<道路難百><八十三>◑ulkāㆍpātaㆍbhaya
184 라자단다바야 ◐囉闍彈茶婆夜<王刑罰難百八十四>◑rājaㆍdaṇḍaㆍbhaya
185 나 가바야 ◐那<上>伽婆夜<龍怖難百八十五>◑nāgaㆍbhaya
186 미디슈바야 ◐微地揄婆夜<閃電難百八十六>◑vidyudㆍbhaya
187 소바걸니바야 ◐蘇跋㗚尼婆夜<金翅鳥難百八十七>◑suparṇiㆍbhaya//
188 약사가라하 ◐藥叉揭囉訶<百八十八>◑yakshaㆍgrahā
189 라샤사가라하 ◐羅剎娑揭囉訶<百八十九>◑rākshaㆍgrahā

●만일 내가 열반한 뒤에 말세중생이 자신이 외우면서
남에게 외우게 한다면, 마땅히 알라.

이와 같이 외어서
지니는 중생은
불이 태울 수 없고
물이 빠트릴 수 없고
코고 작은 독이 해칠 수 없으며,
이와 같이 용과 하늘과 귀신과 정령의 토지 신[精祇]과
악마의 도깨비[魔魅]들이 가지고 있는 나쁜 주문까지도
다 범접할 수 없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23
허물을 여의시고 삼독심(三毒心)을 제거하신 이께 귀의합니다.
南無離過除毒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101460
380
법수_암기방안


111 upper arm 위팔
18 아래팔뚝 (forearm)
44 네째발가락 the fourth toe


23 엄지 (THUMB)
110 WRIST 손목
39 아킬래스건 Achilles tendon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8_0826_224617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잡보장경(雜寶藏經)』에서 말하였다.


“옛날 어떤 아라한 도인은 한 사미를 길렀는데,
이 사미가 7일 뒤에는 반드시 목숨을 마칠 것을 알았다.
그리하여 그에게 여가를 주어 집에 돌려보내면서 7일 다음 날에는 꼭 돌아오라 했다.
이 사미는 스님에게 하직하고 집에 돌아가다가 도중에서 개미들이 물을 따라 떠내려가면서 곧 죽게 된 것을 보았다.
그는 자비심을 내어 가사를 벗어 거기에 흙을 담아 물을 막고는,
그 개미들을 집어 마른 곳에 갖다 두어 모두 살려 주었다.
그리고 7일 다음 날에 스승에게로 돌아갔다.
스승은 괴상히 여겨 선정에 들어 천안(天眼)으로 관찰했다.
그제서야 그것은 다른 복이 아니요,
개미를 구해 준 인연 때문에 7일 만에 죽지 않고 연명하게 된 것을 알았다.”[또 묵은 탑을 수리해도 연명할 수 있고,
또 가람의 담장에 구멍난 것을 보수해도 연명할 수 있다.]



출전:
한글대장경 K1406_T2122
법원주림(法苑珠林) 당 도세찬
法苑珠林 【唐 道世撰】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엎드린 휴식 자세


○ 2019_1004_142527_can_Ab35


○ 2019_1004_163621_can_ct9


○ 2020_0907_152949_can_CT28


○ 2020_0909_160612_can_ct9


○ 2020_0910_121201_can_BW27


○ 2020_0910_181911_nik_ct18


○ 2020_0930_140015_nik_ar7


○ 2020_1017_160429_can_CT28


○ 2020_1114_135504_can_BW22


○ 2020_1114_154037_can_CT28


○ 2018_1025_163617_nik_Ab15


○ 2019_0113_122805_can_ct19


○ 2019_0113_130450_nik_Ab15


○ 2019_1104_102402_nik_bw24_s12


○ 2019_1104_113410_nik_ar47


○ 2021_1112_165047_nik_ct13_s12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 2021_1004_220336_nik_ct9_s12여수_금오산_향일암


○ 2021_0929_095807_can_CT27_pc양양_오봉산_낙산사


○ 2021_1002_155049_can_Ar28영천_만불사

● [pt op tr] fr
_M#]



○ 2019_1106_111420_nik_BW21_s12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칭찬대승공덕경_K0256_T0840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칭찬대승공덕경』 ♣0256-001♧
[관련키워드]
칭찬대승공덕경 /전체1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8-08-26_칭찬대승공덕경-K0256-001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4/08/2568-08-26-k0256-001.html
sfed--칭찬대승공덕경_K0256_T0840.txt ☞칭찬대승공덕경 /전체1권
sfd8--불교단상_2568_08.txt ☞◆vkoh2539
불기2568-08-26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561786222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096
htmback--불기2568-08-26_칭찬대승공덕경_K0256_T0840-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