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0년 12월 21일 월요일

현량_direct-perception

현량
[한문]現量
[범어]pratyakṣa-pramāṇa
[티벳]rjes su dpag pa
[영어]direct perception




인명(因明)의 3양(量) 중 하나. 

직접적인 지각(知覺)에 의해서 사상(事象)을 인식하는 것. 
색(色) 등의 모든 법을 분별하여 헤아리는 인식(認識) 작용을 가리킴.
[동]진현량(眞現量).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현량
[한문]現量 
인명(因明) 3량인 현량(現量)ㆍ비량(比量)ㆍ비량(非量)의 하나. 
심식(心識) 3량의 하나. 
비판하고 분별함을 떠나서 외경계의 사상(事象)을 그대로 각지(覺知)하는 것. 
예를 들면, 
맑은 거울이 어떤 형상이든 그대로 비치듯, 
꽃은 꽃으로 보고, 
노래는 노래로 듣고, 
냄새는 냄새로 맡고, 
매운 것은 매운대로 맛보고, 
굳은 것은 굳은대로 느껴서, 
조금도 분별하고 미루어 구하는 생각이 없는 것.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 2019_1106_151633_can_bw0_s12 화순 계당산 쌍봉사


○ 2019_1106_123310_nik_Ab27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20_1114_132401_can_CT28 삼각산 도선사


○ 2019_1104_113103_can_ab51 구례 화엄사 구층암


○ 2020_0907_140940_can_BW17 양산 통도사


○ 2020_1114_162604_can_CT28 삼각산 도선사


○ 2018_1022_132318_can_ori 공주 계룡산 갑사


○ 2020_0905_114656_can_CT33 오대산 월정사


○ 2018_1023_142842_can_AB7_s12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19_1201_164102_nik_CT27 원주 구룡사


○ 2020_0907_145001_nik_Ab27 양산 통도사


○ 2020_1017_163622_nik_ar14 삼각산 화계사


○ 2020_1017_153751_nik_BW25 삼각산 화계사


○ 2020_1002_121547_nik_CT28 파주 고령산 보광사


○ 2020_1114_131204_nik_AB4_s12 삼각산 도선사


○ 2020_1017_145739_can_ab40 삼각산 화계사


○ 2020_1017_151259_can_ct8 삼각산 화계사


○ 2019_1106_124257_can_CT27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20_0905_164136_can_ar12 오대산 적멸보궁


○ 2018_1024_160411_can_ori 부여 고란사


○ 2019_1106_124227_nik_exc_s12 화순 영구산 운주사





■ 추가적 불교사전 상세 참조사항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위키백과자료 






https://ko.wikipedia.org/wiki/불교_용어_목록_(ㄹ)




량(量, 산스크리트어: pramāṇa)의 한자어 그대로의 뜻은 '헤아리다' 또는 '추측하다'이다.[1] 




불교 용어로는 동사로 쓰일 때는 '헤아려 아는 것'을 뜻한다. 
명사로 쓰일 때는 인식방법 또는 지식의 근거를 뜻한다.[2][3][4]




예를 들어, 정량(正量) 또는 정량(定量)은 지식의 바른 근거를 뜻한다.[5] 
이러한 뜻은 일반 사전적인 뜻과는 다른데, 정량(定量)의 일반 사전적인 뜻은 '일정하게 정하여진 분량' 또는 '양을 헤아려 정함'이다.[6]




후자의 경우, 
보통 현량(現量) · 비량(比量) · 비량(非量)의 3량(三量) 
또는 현량(現量) · 비량(比量) · 성교량(聖教量)의 3량(三量)을 든다.[7][8]



현량(現量, 산스크리트어: pratyakṣa-pramāṇa): 직접적 인식인 지각(知覺)을 뜻한다.
비량(比量, 산스크리트어: anumāna-pramāṇa): 간접적 인식인 추리(推理)를 뜻한다.
비량(非量, 산스크리트어: apramāṇa): 착오적인 현량(現量)과 비량(比量) 즉 착오적인 지각추리를 뜻한다.


성교량(聖教量, 산스크리트어: āgama-pramāṇa, āgama): 성인의 진술 특히 고타마 붓다의 진술이나 부처의 진술을 뜻한다.




----


위키백과 
각주[■편집]
 "", 《네이버 한자사전》. 2013년 1월 15일에 확인.
"量: 헤아릴 량(양)
1. 헤아리다 2. 추측하다(推測--: 미루어 생각하여 헤아리다) 3. 달다 4. 재다 5. 되다 6. 가득차다 7. 양 8. 분량(分量) 9. 용기 10. 용적 11. 기량(技倆ㆍ伎倆) 12. 성격 13. 재능(才能) 14. 되"
 곽철환 2003, "양(量)". 2013년 1월 15일에 확인
"산스크리트어 pramāṇa ① 헤아려 앎. ② 인식. 인식의 근원. 인식의 근거. 인식 수단. "
 권오민 1991, 9, 현량(現量)과 비량(比量)쪽
"불교에 있어 확실한 인식방법(量, pramāṇa)으로 논의되는 지각(現量, pratyakṣa-pramāṇa)과 추리(比量, anumāna-)의 문제는..."
 星雲, "". 2013년 1월 15일에 확인







● from 대만 불광대사전 
"量:  梵語 pramāna 之意譯。


【量】 p5293-上≫
梵語 pramāṇa 之意譯. 
有廣狹二義, 
狹義而言, 
指認識事物之標準․根據 ; 


廣義言之, 
則指認識作用之形式․過程․結果, 
及判斷知識眞僞之標準等. 
又印度自古以來, 
在認知範疇中, 
一般皆將量知對象加以認識論證, 
泛稱爲量. 
此量知之主體, 
稱爲能量, 
或量者(梵 pramātṛ;) 
; 被量知之事物, 
稱爲所量(梵 prameya) 
; 量知之結果, 
或了知其結果, 
稱爲量知(梵 pramiti)
或量果. 
以上三者稱爲三量. 


玆將三量各擧譬喩, 
竝將其與外道․小乘․大乘․唯識等相當之部分, 
列表如下 :  


依不同之方法去量知對象, 
卽産生種種不同之量果, 
大別之, 
有下列數種 : 


(一)現量(梵 pratyakṣa-pramāṇa), 
不含比知推度, 
僅以知覺進行認識作用, 
或依前五識, 
或依與前五識同時而起之意識, 
或依自證分․
定心等無分別心而來. 
例如眼識認識色境時, 
卽爲現量.




(二)比量(梵 anumāna-pramāṇa), 
係以旣知之事實爲基礎, 
比知未知之事實, 
乃經由推理而進行認識作用, 
不與前五識同時而起, 
係依散地之意識而來者. 
例如見煙則推知火之存在. 
比量又可分爲二種比量․三種比量․五種比量, 
卽 : 


(1)二種比量 : 


1.自比量(梵 svārtha-anumāna), 
又作
自比․爲自比量, 
卽爲自己而比量 ; 以智爲本質, 
此時未必需要表之於他人. 


2.他比量(梵 parārtha-anumāna), 
又作
他比․爲他比量, 
卽爲他人而比量 ; 經由自比量所認識之智, 
再語之他人時之比量. 




(2)三種比量 : 


1.自比量, 
爲自己所認可而不爲他人所認可作爲因(理由根據)之比量. 


2.他比量, 
爲他人所認可而不爲自己所認可作爲因之比量. 


3.共比量, 
又作
共比, 
爲自己與他人共同認可之比量. 


(3)五種比量 : 


1.相比量, 
例如見煙之相而推知火之存在 ; 卽爲有關事物外相之比量. 
2.體比量, 
例如見現在之體而推知過去․未來之體 ; 此乃有關事物自體之比量. 
3.業比量, 
例如見草木動搖, 
則知風之存在 ; 卽由事物之動作, 
而推知該作用之根據. 
4.法比量, 
例如由無常而推知苦之存在 ; 此因法與法之間具有相互依存之密切關係, 
故根據一事卽可推知他事. 
5.因果比量, 
由因推知果, 
或由果推知因.




(三)聖敎量(梵 āgama 或 śabda), 
又作
正敎量․至敎量․聲量․聖言量, 
卽篤信聖者之敎說眞實無誤, 
而依靠聖敎來量知種種意義.




(四)非量, 
又作
似量, 
卽似是而非之現量及比量, 
故又作
似現量․似比量. 
例如衣由色等四塵構成, 
本身竝無實體可言, 
然由於分別見解, 
遂認爲「衣乃實在者」, 
此卽似現量. 
又如遠見塵․霧等, 
卻錯以爲煙, 
竝據此錯覺而證明有火存在, 
此卽似比量. 
以上均爲似是而非之現量及比量. 
其中, 
現量․比量․非量, 
或現量․比量․聖敎量等, 
皆稱三量. 




此外, 
現量與比量對非量而言, 
稱爲眞現量․眞比量. 




於現․比․聖敎三量之外, 
若加上


譬喩量(梵 upamāna, 
例如由牛而推知有水牛․乳牛等 ; 此卽依據類似事物而推知相同之他物), 
則爲四量. 


若再加上
義准量(梵 arthāpatti, 
又作
義準量, 
例如無常必定無我, 
今旣知諸法無我, 
依準其義, 
卽可了知無常之存在), 
則爲五量. 


若再加上


無體量(梵 abhāva, 
例如進入屋內, 
由於主人不在, 
則知主人必定前往他處), 
則爲六量. 




此外, 
另有


隨生量(梵 saṃbhava)․
想定量(梵 pratibhā)․
傳承量(梵 aitihya)․
身振量(梵 ceṣṭā)等. 






於古代印度各學派間, 
對各種量論之看法及側重之情形, 
大都隨其宗義而有所不同, 




例如順世外道僅承認現量, 
勝論學派承認現․比二量, 
耆那敎․數論學派․瑜伽派承認現․比․聖敎三量, 
正理學派承認現․比․聖敎․譬喩等四量, 
彌曼蹉學派之咕魯派(梵 Guru)則另又加上承認義準量, 
彌曼蹉學派之帕達派(梵 Bhāṭṭa)及吠檀多學派另又承認無體量, 
而共爲六量. 
在佛敎, 
則常用現量․比量․聖敎量․譬喩量. 
在因明方面, 
古因明師多採現․比․聖敎三量. 
至六世紀之大論師陳那時, 
則限定僅以現量․比量等二量用於因明論式. 
[解深密經卷五․大毘婆沙論卷七十一․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十六․因明入正理論․成唯識論卷二․因明入正理論疏卷上](參閱「三量」633․「量論」5295)








 권오민 1991, 218. 정량(正量)쪽
"經을 지식의 근거(正量)로 삼아 論을 正量으로 삼는 有部 아비달마의 法有論을 강력하게 비판하였던 적극적이고도 공격적인 후대 경량부(Sautrāntika)..."


 "정량", 《네이버 국어사전》. 2013년 1월 15일에 확인.


 星雲, "三量". 2013년 1월 15일에 확인
"三量: 
삼량
【三量】 p633-上≫


<一>量, 
卽尺度, 
標準之意, 
指知識之來源, 
認識形式, 
及判定知識眞僞之標準. 
印度自古各哲學宗派間卽盛行探討知識來源, 
形式, 
眞僞之學問, 
遂産生各種「量論」之說, 
其中最普遍者爲三量. 
然三量之內容與名稱 ; 各宗所說互異.




(一)就心, 
心所量知所緣對境而立之三種量. 
唯識宗於此, 
多所分別, 
並詳加闡論 ; 而於因明之中, 
亦爲重要之「自悟」方法. 
此三量卽 : 


(1)現量(梵 Pratyakṣa-pramāṇa), 
又稱眞現量. 
乃對境時無任何分別籌度之心, 
各各逼附自體, 
顯現分明, 
照了量知. 
亦卽由五官能力直接覺知外界之現象者 ; 此一覺知乃構成知識之最基礎來源. 
(2)比量(梵 anumāna-pramāṇa), 
乃由旣知之境比附量度, 
而能正確推知未現前及未知之境. 
(3)非量, 
卽似現量, 
似比量之總稱. 
乃非正確無訛之現, 
比量, 
或非可量知之量.




(二)瑜伽師地論卷十五與顯揚聖敎論卷十一所立之三量 : 


(1)現量(同上), 
(2)比量(同上), 
(3)聖敎量, 
又作至敎量, 
正敎量, 
爲一切智所說之言敎, 
或從其聞, 
或隨其法, 
其中又分 : 


1不違聖言, 
佛自說經敎, 
輾轉流布, 
不違正法, 
正義. 


2能治雜染, 
善修此法, 
能永調伏貪癡等煩惱. 


3不違法相, 
不於一切離言法中建立言說.




(三)數論外道所立之三量 : 


(1)證量, 
指從根塵所生之五知根, 
緣五塵所顯現之覺知作用. 
相當於上記之現量. 


(2)比量, 
分爲有前, 
有餘, 
平等三種 ; 「有前」乃推知未來之作用, 
「有餘」爲推知過去之作用, 
「平等」爲推知現在之作用. 


(3)聖言量, 
相當於上記之聖敎量, 
雖非由五官感知, 
亦非經推比而來, 
然以篤信聖者之故, 
亦得信知聖敎聖言. 
如北鬱單越之存在, 
旣非吾人所能感知, 
亦非推比可得, 
然以聖言之故, 
遂得信知其存在. 
[解深密經卷五, 
阿毘達磨雜集論卷十六, 
因明入正理門論, 
因明入正理論疏卷上本, 
因明論疏瑞源記卷一](參閱「比量」1481, 




「眞現量」4222, 
「量」5293)




<二>成唯識論卷二所立之三量. 
卽 : (一)所量, 
指被測度量知之對象. 
(二)能量, 
指能夠用以量知者. 
(三)量果, 
指所量知之結果. 
例如欲量知一織物, 
則織物爲所量, 
尺度爲能量, 
所量得之尺寸爲量果. 
成唯識論復基於此說, 
將心識之作用分爲四分, 
而以相分爲所量, 
見分爲能量, 
自證分爲量果. 
(參閱「四分」1663)
From 南山律學辭典
正論法毗尼白


子題:
三量、
現量、
比量、
正教量


羯磨疏‧集法緣成篇:
「正論法者, 
屏論已定, 
三量無疑。
欲靜後緣, 
必須對眾, 
先和表意也。



濟緣記釋云:
「三量:
一﹑現量, 
現理當也;二﹑比量, 
他事例也;三﹑正教量, 
聖言證也。
」(業疏記卷三‧一二‧八)


【《南山律學辭典》(0266c10~0266c19)】


From 陳義孝佛學常見辭彙-edited
삼량


【三量】1․現量․比量․聖敎量. 
現量是在根境相對時, 
用不著意識思索就能夠直覺親證到的, 
如眼耳鼻舌身前五識去了別色聲香味觸五塵的時候是;比量是比度而知, 
如遠見煙就知道彼處有火, 
聽到隔壁有說話的聲音, 
就知道裡面有人是;聖敎量又名聖言量, 
是因爲有聖人的文敎才知道的意思. 
2․現量․比量․非量. 
現量和比量如前所說, 
非量謂心心所緣境時, 
判斷錯誤, 
如見繩以爲蛇, 
見月明以爲天亮等是. 
→699
From 丁福保 - 佛學大辭典 : Ding Fubao's Dictionary of Buddhist Studies
三量




【名數】 一現量, 
二比量, 
三聖教量, 
又曰至教量聲量正教量。
尚有現量比量非量之三量。


【術語】 三量有二種:
一、
因明之三量:
即現, 
比, 
聖教, 
之三也。
詳見量條。
二、
就心心所量知所緣之境, 
而立三量之不同:
一、
現量, 
如鏡之對於物體。
能緣之心, 
不為些之分別計度, 
量知現在之境者。
如耳識之對於聲, 
眼識之向於色, 
是也。
二、
比量, 
於不現顯之境。
比知分別而量知者。
如見煙知有火。
凡因明依第六意識之比量智而成也。
三、
非量, 
於現在之境與非現在之境, 
以逆亂之心錯分別取不實之事者。
即以似現量似比量, 
而為非量也。
就八識所知而分之, 
則第八識與眼等之五識唯為現量, 
第七識唯為非量, 
第六識通於三量。
說見百法問答抄二。




【參見:
量】 
From 三藏法數
三量


﹝出宗鏡錄﹞ 
〔一、
現量〕, 
現即顯現, 
量即量度, 
是楷定之義也。
謂眼識乃至身識, 
對於顯現五塵之境, 
而能度量楷定法之自相, 
不錯謬故, 
是名現量。
(五塵者, 
色塵、
聲塵、
香塵、
味塵、
觸塵也。
) 
〔二、
比量〕, 
比即比類, 
謂以比類量度, 
而知有故。
如遠見煙, 
知彼有火, 
是名比量。
 
〔三、
聖教量〕, 
謂於聖人所說現量、
比量之言教, 
皆不相違, 
定可信受, 
是名聖教量。


(參閱「四分」1663)"




 운허, "三量(삼량)". 2013년 1월 15일에 확인
"三量(삼량):


법상종에서 심(心)ㆍ심소(心所)가 자기의 앞에 나타난 대상을 아는 모양을 셋으로 나눈 것. 


(1) 능량(能量). 
대상에 대하여 양지(量知)하는 마음이니, 
척도(尺度)와 같음. 


(2) 소량(所量). 
양지할 대상이니, 
포백(布帛)과 같음. 


(3) 양과(量果). 
그 결과를 아는 것이니, 
몇자 몇치와 같음.((운허_동국역경원사전))




삼량
삼량 三量
(1) 현량(現量). 
마음이 현재의 현상을 그대로 양지함이니, 
안식(眼識)이 색(色)에 대함과 같은 것. 
(2) 비량(比量). 
현재에 나타나지 않은 경계를 추측해 아는 것이니, 
연기를 보고 불이 있는 줄 아는 것과 같음. 
(3) 비량(非量). 
현전한 경계, 
또는 현전치 않은 경계를 잘못 인식하는 것이니, 
환화(幻華)를 보는 것과, 
안개를 연기로 잘못 보고 불이 있는 줄 아는 것과 같음.
((운허_동국역경원사전))




>>>














삼량
①-633■불광사전
hbfl--07_Sa_0725.TIF






● From yusig
三量


三量, 
是現量、
比量、
非量。
量是認識、
知識, 
也是測量的准繩。
如以斗量米, 
以尺量布, 
以至於以秤量物。
唯識學立有三量, 
是明心識所具的量度。
在我人的心識活動中, 
能認識的作用是識, 
所認識的對象是境, 
在此能認識與所認識之間, 
心識是能量, 
所認識之境是所量, 
此能量與所量之間, 
有識量的生起。
如販布者不用尺量, 
則不知布的長度, 
吾人心識認識外境, 
如果沒有心識的計慮量度, 
則不知此境是黑是白, 
是圓是方, 
可見識量在認識作用上的重要性。
以能量量所量, 
所得之果曰量果。
識之量度有三種, 
隨因的不同, 
其果亦有差別。
此三量為:
一、
現量:
現量是能緣之心, 
量所緣之境時, 
不起分別計度所穫之量果。
但現量之境, 
要具備三個條件, 
即一者是現在, 
以簡別於過去或未來。
二者心識認識的對象必鬚要顯現出來, 
亦即必鬚是現行位之法, 
在種子位不能成為現量。
三者現有, 
在能所位上, 
即能量之識與所量之境, 
都是明白現前, 
和合俱有。
二、
比量:
心識所量度的對象, 
沒有呈現在前, 
但可藉著知識經驗, 
推測比度而穫致量果。
如見山下有烟, 
推知該處有火;見牆外有雙角, 
推知牆外有牛。
三、
非量:
此是一種錯誤的認知, 
即是於所緣之境, 
以錯覺之心錯為分別所穫致之量果, 
如見繩以為是蛇, 
見騾誤認為馬, 
都屬於非量。
八識緣境, 
前五識量度之境, 
是根塵相對的而生識的直接感覺, 
此時無分別心, 
不雜名言, 
所以是現量。
例如眼識緣色, 
唯緣青黃赤白四實色, 
不緣長短方圓之假色、
及取舍伸屈之形色。
但當五俱意識生起, 
有了分別, 
就墮入比量或非量了。
第六識通於三量, 
在五俱意識初起剎那, 
也是現量, 
第二念就有了分別, 
即是比量或非量。
第七識唯緣第八識的見分執為自我, 
唯是非量。
第八識緣根身、
器界、
種子, 
唯是現量。


● From Hanja(Korean Hanzi) Dic
삼량


三量 三樑
From BUDDHDIC


三量
サンリョウ
(term) three ways of knowing
From Eng-Ch-Eng dic of Buddhist terms


三量
Three ways of knowing according to the early school of hetu-vidya^: (1) 現量 to see directly with one's own eyes (prayaks!a); (2) 比量 to know by inference (anuma^na); (3) 聖教量To know by the teachings of the sages.
From Korean Dic




삼량




참고 영문 위키 백과 스크랩 
=> 
https://buddhism007.tistory.com/17915#direct-perception-cf 
sfx--dict/현량_cf.txt ☞ 
sfd8--기타_2564_12.txt ☞◆direct-perception-cf
불기2564-12-21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12/direct-perception-cf.html#direct-perception-cf 
htmback--현량_cf_불기2564-12-21-tis.htm 



https://en.wikipedia.org/wiki/Pramana


번역 by 구글 번역 [ 번역불완전 오류는 원문을 검토 ]

프라 마나
무료 백과 사전, 위키피디아에서
Pramāṇa 에서 리디렉션  )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현량
[한문]玄兩
고려 스님.
고려 초기에 운문산 선원의 상좌로 있었다.





● From 대만불광사전
현량
【現量】 p4729-中≫
梵語 pratyakṣa-pramāṇa.
因明用語.
三量之一,
心識三量之一.

量, 爲尺度之意,
指知識來源․認識形式,
及判斷知識眞僞之標準.
現量卽感覺,
乃尙未加入 槪念活動,
毫無分別思惟․籌度推求等作用,
僅以直覺去量知色等外境諸法之自相.
如五根之眼見色․耳聞聲等是.
廣義之現量,
分爲眞現量,
似現量兩種,
眞現量係指未受幻相․錯覺等所影響,
且尙未加入槪念分別作用之直接經驗 ; 似現量則指由於幻相․錯覺所致,
或已加入槪念分別作用之認識.
狹義之用法,
現量一詞多指眞現量而言.
於唯識中,
五識之緣五境․五同緣意識․五俱意識․定中之意識與第八識之緣諸境,
均爲出於心識上之現量.
因明所用之現量,

唯有五識及五同緣․五俱意識而已.
  因明入正理論(大三二․一二中) : 「現量謂無分別,
若有正智於色等義,
離名種等所有分別,
現現別轉,
故名現量.」 因明入正理論疏卷上(大四四․九三中) : 「能緣行相,
不動不搖,
自循照境,
不籌不度,
離分別心,
照符前境,
明局自體,
故名現量.」 [瑜伽師地論卷十五․因明入正理論疏卷下․因明論疏明燈抄卷三末․卷四本․因明入正理論疏瑞源記卷四](參閱「三量」633)



● From 陳義孝佛學常見辭彙
현량
【現量】三量之一. 見三量條.
→3927







● From Hanja(Korean Hanzi) Dic
현량 賢良 見糧 現量

● From Korean Dic
현량
현량(賢良)[혈―][명사][하다형 형용사]어질고 착함,
또는 어진 사람과 착한 사람.
【예】장안의 현량이 다 모였다.
현량-히[부사].


⑤-4729■불광사전 
hbfl--14_Ha_1675.TIF 
● From Kor-Eng Dictionary
현량
현량 [賢良]ㆍ ~하다 wise and good[virtuous / honest]. ■ '현량' 관련 기타 참고 사전 통합 검색
다음백과 https://100.daum.net/search/entry?q=현량
네이버백과 https://terms.naver.com/search.nhn?query=현량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현량
네이버한자 https://hanja.naver.com/search?query=현량
네이버지식 https://kin.naver.com/search/list.nhn?query=현량
네이버사전 https://endic.naver.com/search.nhn?sLn=kr&isOnlyViewEE=N&query=현량

위키영문 https://en.wikipedia.org/wiki/pratyakṣa-pramāṇa
구글 https://www.google.co.kr/?gws_rd=ssl#newwindow=1&q=현량
네이버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현량
다음 https://search.daum.net/search?w=tot&q=현량


--- 이하 단어 직접 입력 검색 ---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https://abc.dongguk.edu/ebti/c3/sub1.jsp
불광대사전(佛光大辭典) https://www.fgs.org.tw/fgs_book/fgs_drser.aspx
산스크리트어사전 https://www.sanskrit-lexicon.uni-koeln.de/monier/
티벳어사전 https://nitartha.pythonanywhere.com/index


● [pt op tr] fr
_M#]
■ 불교사전 링크 및 불교 사전 출처 종합 안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4/blog-post_21.html


●● 관련정보 사용페이지



----[‡사용한 다른 페이지]---






♥단상♥정신내용을 얻는 과정[현량 비량 성교량등]과 옳음의 문제  

옳고 그름의 판단을 위해 인식론이나 논리학 인명론 등의 지식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현량을 통해 얻는 내용을 옳다고 잘못 여기는 인명론 입장이 있다. 

그런데 이것이 잘못임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망집에 바탕해서 현실을 대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그래서 이 문제를 먼저 간단히 살피고자 한다. 


현실에서 한 주체가 생활하는 가운데 많은 내용을 얻는다. 

예를 들어 눈을 감은 상태로 지내다 눈을 뜬다고 하자. 
그러면 그 순간에 일정한 모습을 보게 된다. 
또 소리도 듣고 냄새도 맛고 맛도 보고 촉감도 얻는다. 

그리고 이런 상태에서 좋다 아늑하다 상쾌하다 우울하다 등등의 느낌도 받는다. 

한편 일정한 분별도 한다. 
그리고 꿈도 꾼다. 
이런 식으로 다양한 형태의 내용을 얻는다. 

이렇게 현실에서 많은 감각현실, 느낌, 분별 내용등을 얻는다. 
그래서 그것을 나열한다고 하자. 
그렇다고 그것을 옳다 그르다라고 하기 곤란하다. 

예를 들어 어떤 학생이 단순히 4 라는 숫자를 제시한다고 하자. 
그렇게 4 라는 숫자를 생각해 제시한다고 해서 그것만으로 이를 옳다 그르다라고 하기 곤란하다. 
이런 것과 마찬가지다. 

어느 상황에서 좋은 느낌을 느낀다고 하자. 
그렇다고 그것이 옳다고 할 것인가 그르다고 할 것인가. 
그렇게 판단하기 곤란하다. 

또는 연필이란 생각을 하고나서 이를 통해 기차를 연상해 떠올린다고 하자. 
그 상황에 그런 경로와 과정으로 그런 기차란 생각을 하게 된 것은 사실이다. 
그렇다고 그런 기차를 옳다거나 그르다고 하기 힘들다. 

침대에 누어서 자면서 꿈에서 바다에서 황금을 얻는 꿈을 꾸었다고 하자. 
그런 꿈을 꾼것은 사실이다. 
그런데 그렇다고 해서 그런 황금꿈 내용이 옳은가 그른가를 말히기 곤란하다. 

그래서 어떤 내용을 단순히 얻는 것과 그것의 옳고 그름의 판단은 다른 문제다. 

현실에서 한 주체가 다양한 내용을 얻는다. 
이 경우 한 주체가 그런 내용을 각기 어떤 과정으로 얻게 되는가를 살필 수도 있다. 

그런데 어떤 내용을 어떤 과정을 통해 얻는 사정만으로 그렇게 얻어진 결과를 곧 옳다고 하기도 곤란하다. 


한편, 인명론자들은 감각현실을 얻는 과정이 직접적이라고 제시한다. 
그런데 자세히 보면 그렇지도 않다. 
소리를 듣는 과정 하나만 나열해도 오늘날 생리학자는 대단히 복잡한 과정을 나열한다. 
눈으로 볼 때도 마찬가지다. 
예를 들어 안경을 써서 보는가. 아닌가에 따라 얻는 모습이 다르다. 
그리고 눈을 통해서 망막의 시신경을 거쳐 모습을 보게 된다고 제시한다. 
그래서 직접적으로 곧바로 얻는 것도 아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어느 요소만 조금 달라져도 다른 결과를 얻는다. 

다만 어떤 모습을 보는 경우 그 주체는 그런 경로를 일일히 파악하기 곤란하다. 
단지 매순간 얻어진 결과물만 얻게 된다. 
그래서 마치 감각현실은 그저 곧바로 얻게 된다고 잘못 이해하는 것 뿐이다. 

어떤 감각현실을 대해서 일정한 관념분별을 한다. 
이것은 관념영역에서 추리 등을 통해 일정한 내용을 판단하는 것과는 성격이 다르다. 
그런데 이 경우도 사정이 비슷하다. 
그런 감각현실을 얻고 일정 부분을 묶고 나눈다. 
즉 초점을 맞추고 구획을 한다. 
그래서 일정 부분은 꽃이라거나 바위라는 분별을 일으킨다. 
이런 경우 그 분별을 통해 일정한 관념내용을 곧바로 관념영역에서 일으키게 된다. 
그래서 이런 경우도 직접적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지만, 그 과정을 자세히 검토하면 눈으로 무언가를 보는 과정과 사정이 비슷하다. 
즉 간단한 것은 아니다. 
이는 감각현실을 대하면서 멍한 가운데 아무런 분별을 행하지 않는 경우
또는 일정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서 면밀히 살피고 분별하는 경우 등을 
서로 대조해 봄으로써 그 차이를 이해할 수 있다. 
또 구체적으로 그 이전에 어떤 분별을 한 상태에서 대하는가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는다. 
그 이전에 자라를 보고 놀랐다고 하자. 
그런 가운데 솥뚜껑을 대하면 또 놀랄 수도 있다. 
이런 내용이 여기에 해당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도 어느 요소만 조금 달라져도 다른 결과를 얻는다. 


그런데 각 경우 그런 내용을 어떤 과정을 통해 얻는가의 문제와 
그렇게 얻어진 내용이 옳은가 그른가 판단문제는 별개 문제다. 



옳은가 그른가 판단은 다음을 놓고 생각해야 한다. 

어떤 주체가 무언가를 대상으로 해서 일정한 과정을 거쳐서 어떤 내용을 얻는다고 하자. 
여기에서 먼저 무엇을 대상으로 얻었는가. 
또 어떤 과정을 거쳐 얻었는가. 
그 내용이 무언가 
이런 것들이 다 함께 문제된다. 


예를 들어 앞에서 비유를 든 4 라는 숫자를 생각해보자. 

만일 그 학생이 1 더하기 3은 얼마인가라는 문제를 대해서 
이것을 손가락을 꼽아서 4 라는 답을 얻었다고 하자. 
그렇다면 그 4 는 그런 상황에서 그 문제와 관련해 옳은 답이라고 할만하다. 

그런데 사정이 그렇지 않다고 하자. 
예를 들어 누군가 철수에게 철수 앞에 있는 물건이 무엇인가라고 물었다고 하자. 
그런데 철수가 뒤를 보고 벽에 써 있는 숫자를 읽었다. 
그래서 4 라고 답했다고 하자. 
그렇다면 엉뚱한 내용이다. 

이 각 경우에 철수가 4 라는 숫자를 마음에서 일으켜 얻는 것은 마찬가지일 수 있다. 
그런데 각 경우마다 옳고 그름의 판단은 달라진다. 

감각현실을 한 주체가 단순히 감각과정을 거쳐 얻었다고 하자. 
그래서 이런 경우 그런 감각현실을 얻었다는 그 사실만으로 
그 감각현실을 옳다 그르다라고 제시하기 곤란하다. 

여기서는 그가 무엇을 대상으로 그런 내용을 얻었는가가 우선 문제된다. 
그런데 감각현실은 마음 내용이다. 
그리고 그 주체가 얻는 내용 안에 그런 내용을 얻게 한 외부대상은 얻지 못한다. 
또 그가 얻은 감각현실 내용은 실재의 실상도 아니다. 
그런 사정으로 그 내용은 옳다고 할 수 없다. 

=> 감각현실처럼 직접적으로 어떤 내용을 얻는다.[ 현량 ] 
그러면 그런 사정만으로 그 내용은 옳다. 
이런 인명론의 주장은 잘못이다. 


● 감관을 통해 얻는 감각현실이 그 자체로 옳다고 여기는 잘못의 문제 


현실에서 얻은 감각현실에 대해 그 자체로 그 내용이 옳다고 잘못 혼동을 일으키게끔 하는 사정이 있다. 

그 사정을 이전에 제시했다. 
그런데 여기서 간략하게 그 사정을 다시 살펴보자. 

08pfl--image/진리의오류55.jpg 
https://buddhism007.tistory.com/228#056
 ☞○ 마음과 색의 의미에 관한 논의 
https://thegood007.tistory.com/1172 ☞○ 진리에 관한 수많은 오류와 착각 
03fl--ghpt/r1030.htm 
[img2] [그림] 08pfl--image/진리의오류55.jpg 



1 이라는 관찰자가 눈을 떠서 본 내용을 그림으로 표시해보았다. 
이 상황에서 옆에 철수라는 2 를 세워 놓고 실험을 한다. 

앞에 꽃4 를 놓고 2 에게 눈을 수저로 가리거나 감으라고 하면 꽃이 안 보인다고 보고한다. 
다시 눈을 뜨라고 하면 2 는 꽃모습이 보인다고 한다. 
그런데 이 상황에서 관찰자 1은 별 변화를 파악할 수 없다. 

그래서 그런 변화는 2 영역 안에서 일어나는 변화로 추정하게 된다. 
다만 관찰자 입장에서는 매 순간 2의 내부에서 얻는 내용 자체를 직접 얻어낼 수는 없다. 
단지 위 사실로 그렇게 추정할 뿐이다. 


두번째 실험이다. 
이 상황에서 관찰자 자신도 철수가 행한 것처럼 해본다 
마찬가지 결과를 경험하게 된다. 
눈을 뜨면 위 그림 전체와 같은 모습이 보인다. 
눈을 감으면 보이지 않는다. 
이런 내용이다. 

그런데 이 두 간단한 실험과정에서 대부분 착각과 혼동을 일으키기 쉽다. 

먼저 처음 철수의 실험을 놓고 보자. 
관찰자 1이 생각할 때는 자신이 보는 4라는 꽃을 대상으로 2 의 눈이 관계해 2 가 무언가를 본다고 '잘못' 여기게 된다.
위 실험만 놓고 보면 마치 이들이 서로 관계하는 것처럼 여겨진다. 
2 의 눈을 가리면 보지 못한다. 
2 의 눈을 가리지 않고 뜨게 하면 본다. 
이런 관계성이 파악된다. 
또 4 라는 꽃을 치우면 보지 못한다. 
그런데 다시 앞에 갖다 놓으면 본다. 
그래서 이런 관계성으로 4를 2 의 눈이 대하는 대상이라고 '잘못' 여기게 된다. 

그런데 여하튼 그 상황에서 자신과 철수를 다시 비교해보자. 
이 경우 자신도 4 의 모습을 본다. 
앞 실험에서 4 를 2의 눈이 대하는 대상으로 잘못 여긴다고 하자. 
그러면 곧바로 이 경우에도 4 를 1 자신의 눈이 대하는 대상으로 잘못 여기게 된다. 

그런 가운데 다시 1 자신의 실험 상황으로 들어와 보자. 
자신이 이 상황에서 눈을 감는다. 
그러다가 눈을 뜬다고 하자. 
이 때 자신이 눈을 떠서 보는 모습이 무언가 하면 바로 4 의 모습이다. 

그래서 이 경우 관찰자 1은 다음과 같은 혼동을 일으키게 된다. 

4 라는 부분은 철수나 자신의 눈이 대하는 대상이라고 잘못 여겼다. 
그런 가운데 자신이 눈을 떠서 보는 꽃의 모습은 바로 그 4 다. 

그래서 자신의 눈이 보는 4 라는 꽃 모습에 2 중적인 지위를 부여한다. 

한편으로는 자신의 눈이 대한 대상이다. 
그런데 그것은 곧 자신이 눈을 통해 보게 된 감각현실 내용이기도 하다. 
이렇게 혼동한다. 

이런 상태에서는 자신이 얻은 그 감각현실은 대상과 완전히 일치하는 내용이라고 잘못 여기게 된다. 
그래서 인명론에서 그런 주장을 하는 배경이 된다. 

그러나 위 주장은 모두 잘못된 내용이다. 

우선 철수는 결코 자신이 보는 자신의 마음안 내용을 대상으로 무언가를 보는 것이 아니다. 
=> 그래서 4 라는 부분은 철수의 눈이 대하는 대상도 아니다. 

한편 4 라는 부분은 관찰자 1이 눈을 떠 본 내용일 뿐, 1 이 대하는 대상도 아니다. 

그래서 이 부분의 잘못된 판단을 먼저 잘 시정해야 한다. 

그리고 나서 자신이 눈을 떠 본 내용을 평가해야 한다. 
그것은 그 순간에 자신이 감각을 통해 얻어낸 내용이다. 
그러나 그것 뿐이다. 
그리고 그런 내용을 얻게 한 외부 실재의 대상이나 실재영역의 사정은 파악되지 않는다. 
그래서 단지 그런 내용을 얻었다고 해서  그것만으로 그것을 옳다거나 그르다고 판단할 수는 없다. 

더욱이 사과를 하나 놓고 
눈으로 보고 두드려 소리를 듣고 코로 냄새맛고  손으로 만진다고 하자. 
이 경우 각 감관을 통해 얻는 감각현실은 서로간에 대단히 엉뚱하다. 
그래서 이들을 비교하더라도 사정이 마찬가지다. 

이 경우도 앞의 오류가 시정이 되지 않으면 다음처럼 또 잘못된 판단을 이어나가기 쉽다. 
즉 눈으로 보는 그런 색을 대해서 자신이 촉감을 얻는다고 잘못 여기기 쉽다. 
현실에서는 그렇게 보인다. 
즉 자신의 손이 사과를 닿는 모습을 눈으로 본다. 
바로 그 순간에 촉감을 느낀다. 
이런 경험을 반복한다. 

그래서 자신의 눈으로 본 그 모습이 대상이라고 잘못 여긴다. 
그리고 이 상황에서 사과를 댄 자신의 손 모습이 그런 촉감을 느끼는 감관이라고 잘못 여긴다. 
그런데 사정은 그렇지 않다. 

한편 이 상황에서 처음 그 모습을 촉감을 얻게한 대상이라고 판단한다고 하자. 
그렇다면 더 이상하다. 
그 촉감은 그런 색상 모습과는 전혀 이질적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렇게 얻는 촉감을 옳은 내용이라고 하기 곤란하다. 

그런데 사실은 이 상황에서 눈으로 본 그 내용은 촉감을 얻게 한 대상이 아니다. 
또한 얻어진 촉각정보 안에 그 촉각을 얻게한 대상이 들어 있는 것도 아니다. 

그리고 이에 준해 시각의 과정도 마찬가지로 이해해야 한다. 


이 사정은 그림에 그려진 2의 상황을 놓고 판단하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1이 눈을 뜨고 감고 실험하는 과정을 그 옆에서 2 가 거꾸로 관찰한다고 하자. 

그 상황에서 2는 다음처럼 잘못 여길 수 있다. 

즉 2 가 본 내용 가운데에서 
4^ 라는 부분을 대상으로 1^ 의 눈부분이 관계해서 1^ 라는 사람이 어떤 내용을 본다. 
이렇게 잘못 여기기 쉽다. 
그리고 그 1^ 가 본 내용은 1^ 부분 안에 들어 있게 된다. 
이렇게 잘못 여기기 쉽다. 

그런 가운데 2는 또 자신이 보는 과정도 이와 마찬가지로 잘못 이해하기 쉽다. 

즉 자기 자신도 2^ 부분으로 잘못 여긴다. 
그런 가운데 2^ 자신도 4^ 라는 꽃 부분을 대상으로 해서 무언가를 본다고 잘못 여긴다. 

이 내용을 관찰자 1이 위 그림에서 파악한다고 하자. 
그러면 그런 판단이나 보고가 모두 엉터리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런데 처음 1이 행한 판단도 사정이 같다. 
그래서 이들은 잘못된 판단이다. 

그런 사정으로 1이나 2가 감각을 통해 얻는 내용은 대상과 일치하는 내용이라고 할 수 없다. 

그래서 단지 감각을 통해 어떤 내용을 얻었다고 해서 그것만으로 옳은 지식이라고 할 수 없다. 

관념분별의 경우는 이와 또 성격이 다르다. 
그렇지만 관념분별이 감각현실을 대상으로 이뤄질 때는 
모두 같은 사정을 갖는다. 
감각현실은 관념분별이 아니다. 
그리고 관념분별은 감각현실이 아니다. 
그래서 관념으로 행하는 일체 판단은 모두 희론적 성격을 본래 갖는다. 

그리고 이런 희론을 통해 얻어야 할 내용은 다음이다. 
본래 사정이 그렇지 않다. 
평소 행하던 그런 판단을 잘못된 망상분별이다. 
이런 사정을 이해해야 한다. 
부처님이 제시하는 내용도 그런 취지다. 

금강경에서 그 사정을 다음처럼 제시한다. 
상은 실로 상이 아니다. 
그런 까닭에 상이라고 칭하는 것이다. 
이런 사정을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 








○ 관념분별을 일으키는 다양한 경로  

한편 한 주체가 얻는 내용은 오직 감각현실에 국한하지 않는다. 
관념분별도 현실에서 한 주체가 일으켜 얻는다. 
그리고 이 관념분별을 일으켜 얻는 경로나 
그 내용의 옳고 그름이 문제된다. 

우선 관념분별은 대단히 다양한 경로로 얻게 된다. 

감각현실을 얻는 상태에서 곧바로 관념분별을 일으킬 수 있다. [5구동연의식]

그리고 어떤 경우는 단순히 관념을 떠올릴 수 있다. [독산의식]
예를 들어 과거에 기억한 내용이 갑자기 불현듯, 떠올려질 수도 있다. 
또는 어떤 것을 통해 연상해 떠올릴 수도 있다. 
감각현실에서 연필부분을 대하고 기차를 연상해 떠올리는 경우와 같다.  
또는 단순히 사과를 생각한 다음 이 관념을 바탕으로 바나나라는 과일을 떠올릴 수도 있다. 

또 다른 이가 어떤 말을 해서 그 말을 통해 떠올릴 수도 있다. 
또 책을 읽고 보아서 떠올릴 수도 있다. 
다른 사람이 말을 해주어서 그런 분별을 할 수도 있다. 
또는 어떤 이가 비유적인 이야기를 해주어서 일정한 판단을 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비행기가 나타났다고 한다. 
그런데 보지 않아서 잘 모른다.
그런데 그가 참새 비슷한 형태라고 설명해준다고 하자. 
그러면 그런 내용을 통해 비슷한 내용을 떠올릴 수 있다. 

또는 일정한 내용을 바탕으로 추론을 해서 어떤 내용을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 는 M 이다. 
M 은 P 다. 
그래서 S 는 P 다. 
이런 식으로 앞 부분과 형태와 내용이 다른 새로운 판단을 이끌어낼 수도 있다. 
이런 경우도 있다. 

이런 식으로 관념 분별을 행하고 얻는 경로가 다양하다. 

꿈 내용이나 정려 수행과정에서 얻는 내용도 이와 성격이 비슷하다. 
이들은 감관을 통해 얻는 감각현실로 얻는 내용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각 경우 얻는 내용들은 제 각각 그런 일정한 과정과 경로로 얻게 된 것은 사실이다. 
그래서 그런 관념내용을 일으키고 얻었다는 자체는 사실이다. 
그러나 그것만으로 그 관념내용이 옳다 그르다고 하기는 곤란하다. 

이 경우도 그 관념은 무엇을 대상으로 해서 얻었는가. 
또 그 관념은 어떤 경로와 과정으로 얻게 되었는가.
그리고 그렇게 일으키게 된  관념은 어떤 내용인가.
이런 것이 함께 문제된다.  




○ 감각현실부분에 대해 일으키는 관념분별의 경우 

어떤 감각현실의 일정부분을 대상으로 어떤 관념을 일으키는 경우만 우선 살펴보자. 

예를 들어 자신의 안경이 어디에 있는가라고 찾는다고 하자. 
이 경우 방에서 안경을 찾는다고 하자. 
그런데 아직 눈에 안경이 보이지 않는다고 하자. 
그래도 그 마음 속에는 찾는 안경에 대한 내용을 떠올릴 수 있다. 
이는 그 성격이 관념내용이다. 

그런데 한참 지나 그가 방의 한 부분에서 안경을 찾았다고 하자. 
그런 경우 그 안경이 어디 있는가를 묻는다고 하자. 
그러면 그 부분을 안경이라고 가리키게 된다. 
이 때 그가 손으로 가리키는 그 부분은 앞 단계에서의 관념내용이 아니다. 
그가 손으로 가리킨 그 부분의 정체는 사실은 감각현실이다. 
즉 그의 마음안 내용이다. 

그런데 대부분 이 부분을 그 자신 외부에 있는 외부 세계로 잘못 이해한다. 
또 그것을 자신의 감관이 대하는 외부 대상으로 잘못 이해한다. 
또 그것은 자신의 정신 밖에 있고, 정신과는 별개의 것으로 잘못 이해한다. 
또 그것은 자신이나 영희 철수가 다 함께 대하는 외부의 객관적 실재라고 잘못 이해한다. 

그런데 그가 가리킨 그 부분의 본 정체는 그 마음안 내용이다. 
그리고 그것은 마음안 내용 가운데에서 감각현실이다. 즉 관념내용이 아니다. 
따라서 이 부분을 주의해야 한다. 
여하튼 그는 그는 현실에서 그런 부분을 가리켜 그가 찾던 안경이라고 하게 된다. 



이번에는 반대로 물어보자. 
그 부분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면서 그 부분은 무엇인가라고 묻는다고 하자. 
그러면 그는 그 부분은 안경이라고 답을 하게 된다. 

이는 그런 관념분별을 바탕으로 헌실에서 잘못 상을 취하는 현상이다.

실상(實相 dharmatā ; dharma-svabhāva) - 상(相 Lakṣaṇa ) - 상(想 Saṃjña)의 관계에서 
관념분별은 상(想 Saṃjña)에 해당한다. 
그런데 어떤 이가 일정한 관념분별 상(想 Saṃjña) 을 일으킨다고 하자. 
그런 가운데 일정 감각현실 부분 즉 상(相 Lakṣaṇa )을 그런 내용이라고 가리킨다. 
이것이 경전에서 말하는 상을 취하는 현상이다. 
현실에서는 이렇게 상을 취한 바탕에서 행위해 나가고 머물게 된다. 
이것이 그처럼 잘못 상을 취하고 행하고 머무는 현상이다. 


그리고 안경을 찾는 현실 과정이 모두 이에 해당한다. 
또는 반대로 일정 부분이 무언가 물을 때 그 부분은 안경이라고 답하는 현실이 이에 해당한다. 
이들은 모두 그런 분별을 바탕으로 그런 부분이 그것이라고 잘못 망상분별을 일으키는 현상이다. 

그런 부분에는 그가 생각하는 내용을 얻을 수 없다. 
그럼에도 이 경우 그는 
그런 부분에 자신이 생각하는 그런 안경이 '있다'고 잘못 여긴다. 
또는 그런 부분은 곧 그런 안경'이다'고 잘못 여긴다. 
그렇게 잘못 여기기에 그런 부분을 그렇게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것이다. 
또 그 부분이 무엇인가의 물음에 그 부분은 안경이라고 답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이를 망상분별이라고 칭하게 된다. 




이제 그런 부분을 놓고 그런 분별을 행한다고 하자. 
이 경우 그 관념은 감각현실이 아니다. 
또 그 감각현실 부분도 관념이 아니다. 
그래서 본래 그 내용은 그와 관련해서는 옳다고 할 내용이 아니다.

그래서 옳고 그름을 판단할 때 이런 사정으로 
그런 감각현실을 대해서 그런 분별을 일으키는 것은 모두 옳다고 할 수 없다. 


한편 그런 사정으로 관념영역에서만 닫혀 판단을 한다고 하자. 
그런 경우 이들 내용은 끝내 감각현실 영역 및 실재 영역과는 떨어지게 된다. 

한편 설령 감각현실이나 실재 영역들을 대상으로 관념분별을 행한다고하자. 
그렇다해도 그런 판단 일체는 마찬가지로 처음부터 일치 관계가 성립하기 곤란하다. 

차를 한잔 마신다고 하자. 
아무리 그것을 관념분별하거나 언어로 기술해도 그것만으로 
그것이 마시는 차맛이 될 수는 없다. 
이런 사정이 이를 말해준다. 

그래서 이런 입장의  분별 판단은 그 일체가 희론의 성격을 갖게 된다. 
다만 그런 분별을 통해 현실의 그런 사정을 이해하게 된다면 
그 분별은 그런 의미에서 가치를 갖는다. 

이런 사정이 『금강경』에서 제시하는 뗏목의 비유와 관련된다. 
즉 부처님이 설한 내용은 일체가 그런 성격을 갖는다. 





○ 실용적인 측면에서 행하는 관념분별의 타당성 문제 

한편, 현실에서 분별을 행할 때 다양한 측면에서 분별하게 된다.  

어떤 이가 감각현실의 어떤 부분을 대하여 그것은 a 라고 분별한다고 하자. 
예를 들어 손가락으로 가리킨 부분은 사과라고 분별하는 경우와 같다. 
이 경우 그 주체는 현실에서 그에 바탕해 또 다른 분별을 이어서 행하게 한다. 


우선 a 는 어떤 모습인가를 판단하기도 한다. 
그 사과는 둥근가. 아니면 네모인가를 판단하는 경우와 같다. 
또 그 a 는 어떤 성품을 갖고 있는가 어떤 기능을 갖고 있는가를 판단하기도 한다. 
그 사과는 딱딱한가. 맛이 단가 신가 등도 이런 판단에 해당한다. 
사과는 굴리면 굴러가는가 아니면 멈추는가 폭발하는가 이런 것도 이에 해당한다. 

한편 a 를 구성하는 각 부분은 각기 무엇들인가를 분석해 판단하기도 한다. 
사과는 그 안에 육질과 씨가 들어 있다는 판단이 그런 경우다. 
또는 a 를 포함하고 있는 전체 부분은 또 무언가를 판단하기도 한다. 
사과는 전체적으로 과일 열매에 속한다. 
사과는 식탁 선반에 들어 있다 이런 판단이 그런 것이다. 


또 그런 가운데 a 는 다른 부분 b,c 들과는 어떤 관계에 놓이는가를 판단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그 사과는 책상 위에 있는 것인가, 안에 있는 것인가. 등도 이런 판단의 하나다. 

한편 이제 무엇이 그런 a 를 나타나게 했는가 그 원인을 찾아 나서기도 한다. 
사과는 이 씨에서 나오는가 아니면 지우개에서 나오는가 이런 문제와 관련된다. 

또 a 는 이후 무엇을 나타나게 하는가를 그 결과를 찾아 나서기도 한다. 
사과는 이후 어떤 형태로 되는가. 이런 것도 이와 관련된다. 
그리고 사과를 먹으면 그 이후 신체는 어떤 변화를 일으키게 되는가도 이와 관련된다. 



이처럼 다양한 판단을 이어서 행하게 된다. 

여기서 현실에서 어떤 판단이 실용적으로 유용한 경우와 그렇지 못한 경우가 나뉜다. 
그런데 이는 처음 어떤 판단 내용이 대상과 일치하는가 여부로 옳고 그름을 판단한 것과는 다르다. 
이제 이 경우를 살펴보자. 

우선 현실에서 대부분 망집을 바탕으로 현실을 대한다. 
예를 들어 사과가 어디 있는가라고 묻는다고 하자. 
이 경우 그가 처음 사과를 보지 못한 경우에도 마음에서 떠올릴 수 있다. 
이는 그 성격이 관념내용이다. 
이후 그가 눈을 떠서 사과를 보았다고 하자. 
그러면 그는 자신이 얻은 감각현실 일정 부분을 사과라고 가리키게 된다. 
그리고 그 부분이 사과라고 그 주체는 그런 부분이 곧 그런 a 라고 잘못 여기고 임한다. 
이것이 잘못된 망상분별이다. 
이 내용을 이미 앞에서 보았다. 

그가 가리킨 그 부분은 그 본질이 감각현실이다. 
그리고 감각현실은 관념분별이 아니다. 
그래서 본질적으로 옳은 판단이 아니다. 


그런데 이런 판단을 바탕으로 대부분 현실에서 생활한다. 
그래서 살아서 죽을 때까지 이런 망상분별에 바탕해서 업을 행해 나가게 된다. 
이것이 생사고통을 일으키는 근본이 된다. 
그러나 여하튼 이런 분별은 그런 바탕에서는 대단히 유용하고 타당한 판단이라고 여기게끔 된다. 
그 사정은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사과나 안경을 찾는다고 하자. 
이 경우 그가 방안을 살피다가 사과와 안경을 찾았다고 하자. 
그래서 손가락으로 일정부분을 사과나 안경이라고 가리킨다고 하자. 
이 상황이 상을 취하는 현상이다. 
그리고 잘못된 망상분별을 일으키고 임하는 상태다. 
사정이 이와 같음을 앞에서 이미 보았다. 

그렇지만, 이 경우 사과나 안경을 그렇게 가리킨 경우와 
그렇지 못한 경우는 현실에서 차이가 크다고 여기게 된다. 

예를 들어 위 상황에서 
어떤 이가 고무지우개를 붙들고 안경이라고 한다고 하자. 
그런 경우 그 상대가 너무 어려서 언어 생활 자체가 잘 안되는 상태일 수도 있다. 
또는 아예 지능이 낮거나 분별을 못하는 장애 상태일 수도 있다. 
또는 축생의 경우는 또 아예 이런 활동을 하지 못하기도 한다. 

반대로 현실에서 사과나 안경을 찾을 때 그처럼 빨리 찾아 손으로 가리키는 것이 생활에 도움을 준다. 
그리고 그런 부분을 사과라고 판단하는 것은 타당하다고 여기게 된다. 

그것은 다음 의미다. 
예를 들어 일정 부분을 대해  것이 사과라고 판단을 한다고 하자. 

그런 경우 그 이후 다음 활동을 다음처럼 이어서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그가 그 부분을 붙들고 영희에게 건넬 수도 있다. 
그런 경우 다시 영희가 그것을 맛보고 사과라고 여기게 된다. 
또 영희가 이후 사과가 맛있다거나 배가 부르다고 답하기도 한다. 
이런 형태가 생활에서 이어지게 된다. 

이는 그 경우 부분을 공이나 지우개라고 판단한 경우와는 다음처럼 구별된다. 
그런 경우는 위와 같은 활동을 이어 하기 힘들다. 

한편, 반대로 어떤 나무조각을 붙들고 사과라고 가리킨 경우와도 구별된다. 

이런 경우 그 나무조각을 그가 사과라고 여기고 영희에게 건냈다고 하자. 
그 경우에는 위와 같은 내용들이 이어지지 않는다. 
즉 영희는 그것을 맛보고 사과라고 하지 않는다. 
또 그것을 먹고 나서 맛있다거나 배가 부르다고도 하지 않는다. 
그래서 앞의 경우와는 다르다. 


한편, 이 경우 그는 바로 그런 사정 때문에 처음 행한 판단이 옳다고 또 잘못 여기기 쉽다. 
이는 그렇지 않은 다른 경우들과 구별된다는 실용적인 근거에 의해서다. 

그런데 이 경우 이어지는 매 단면 하나하나는 다 망집에 바탕한 내용들이다. 
자신이나 영희나 그 사정이 마찬가지다. 
그래서 그런 바탕에서는 그 하나하나의 단면에서 각 내용이 옳지 않음 부터 먼저 잘 이해해야 한다. 

그래서 하나하나 그것은 잘못된 망상 분별이다. 
그 성격이 다 앞에 본 내용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한 내용과 관련해 잘못된 분별내용들이 무수하게 쌓여 올려질 수 있다. 
사정이 그렇다고 그  분별이 옳은 내용이 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그런 분별을 계속 행하고 임하는 이상 그런 활동이 계속 이어지게 되는 것 뿐이다. 




○ 전문과 성교량의 차이 

오늘날 대부분 지식은 책으로 얻는다. 
글자를 보고 얻는다. 

이것은 말을 들어서 내용을 얻는 경우와 사정이 같다. 
이른바 전문 형태다. 
그런데 여하튼 그런 과정으로 얻는 내용 가운데 일부는 옳다. 

그래서 여기에서 성교량이란 내용이 또 제시된다. 
그래서 일반적인 전문과 성교량은 어떻게 차이가 있는가를 다시 살펴야 한다. 
이는 귀납추론을 통한 권위의 취득 과정을 함께 살펴야 한다. 
즉 경험상 어떤 주체가 설한 내용은 옳다. 
이런 경험이 필요하다. 
그런 경험이 쌓이면 이후 귀납추론을 행하게 된다. 
그래서 일정한 권위를 부여하게 된다. 

이런 경우 그런 내용을 직접 그것을 경험하지 않았다해도 상당히 신뢰를 두게 된다. 
이런 형태가 된다. 



○ 비유 등이 갖는 효용 

한편 어떤 판단을 얻는 과정에서는 
부처님이 단순히 비유를 통해 쉽게 이해하게 하는 경우도 있다. 
그래도 그런 판단을 결과적으로 얻을 수 있다. 
이 안에도 옳은 내용과 그른 내용이 있을 수 있다. 

이런 가운데 분별을 얻게 하는 어떤 과정이 
곧 그 분별결과를 옳게 만드는가 여부를 잘 살펴야 한다. 


★%★









◆vxnm1616
◈Lab value 불기2564/12/21/월/15:35


○ 2019_1105_123933_can_Ab31_s12.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Giovanni-Battista-Piranesi-vedute-di-roma-99.jpg!HD

[#M_▶더보기|◀접기|
Artist: Giovanni-Battista-Piranesi
https://en.wikipedia.org/wiki/Giovanni_Battista_Piranesi
Title : vedute-di-roma-99.jpg!HD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Rose,_English_Garden,_バラ,_イングリッシュ_ガーデン,_(13169588064)

[#M_▶더보기|◀접기|
Rose, English Garden, 
Author T.Kiya from Japan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Claddagh_at_Sunrise_(8112577443)

[#M_▶더보기|◀접기|
Nothing really extraordinary, ...
Author Miguel Mendez from Malahide, Ireland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인항고등학교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Marie-Paule Belle - La Matraque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12/direct-perception.html#1616
sfx--dict/현량.txt
sfd8--불교용어dic_2564_12.txt ☞◆vxnm1616
불기2564-12-21
θθ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20_1002_123052_can_bw24 파주 고령산 보광사


○ 2019_1106_153623_can_CT28 화순 계당산 쌍봉사


○ 2018_1022_142418_nik_Ab15 공주 계룡산 갑사


○ 2019_1105_112435_nik_ab45_s12 순천 조계산 선암사


○ 2020_0910_120856_can_bw18 속리산 법주사


○ 2019_1106_120650_can_Ab27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8_1024_140115_can_BW25_s12 공주 칠갑산 장곡사


○ 2020_0910_132642_can_BW25 속리산 법주사


○ 2019_1106_153507_nik_ct9_s12 화순 계당산 쌍봉사


○ 2018_1022_174336_nik_ct8_s12 공주 태화산 마곡사


○ 2020_0930_140947_can_ar19 화성 용주사


○ 2020_0907_143701_can_AB7 양산 통도사


○ 2020_0910_120905_nik_ab41 속리산 법주사


○ 2018_1022_172653_can_bw0_s12 공주 태화산 마곡사


○ 2020_0906_120112_can_bw24 천축산 불영사


○ 2020_0906_114512_nik_CT27 천축산 불영사


○ 2019_1201_143634_can_CT38_s12 원주 구룡사


○ 2020_0910_123836_nik_CT27 속리산 법주사


○ 2020_0910_130611_can_ab44 속리산 법주사


○ 2019_1104_161642_can_ct36 구례 쌍계부근


○ 2020_0906_112549_nik_CT27 천축산 불영사




■ 음악
Cali - Elle M'a Dit
Barbara - Perlimpinpin
Dick Annegarn - Bruxelles
Marie-Paule Belle - Le Blues Des 80 Ans
Francoise Hardy - En Resume... En Conclusion
Benjamin Biolay - Regarder La Lumier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Buddhism in Indonesia
[san-chn] adhikam...prabhutvam 勝自在
[san-eng] vibhraṣṭaḥ $ 범어 deviated from
[pali-chn] sīla-bbata-upādāna 戒禁取
[pal-eng] namakkaara $ 팔리어 m.homage; veneration; bowing down.
[Eng-Ch-Eng] 住地 (1) The essential basis of the arising of dharmas.〔勝鬘經、 T 353.12.220c〕 "言地者 本為末依 名之為住 本能生末 目之為地。"(2) A place where defilements are confined. (3) Static defilements 住地煩惱, in contrast to "arisen" defilements 起煩惱. 〔二障義、 HPC 1.801a〕
[Muller-jpn-Eng] 稱讚大乘功德經 ショウサンダイジョウクトクキョウ (title) Sutra on the Merit of Extolling Mahāyāna
[Glossary_of_Buddhism-Eng] GRADUAL ENLIGHTENMENT☞
See: Sudden /Gradual Enlightenment.

[fra-eng] concilié $ 불어 conciliated


■ 다라니퀴즈

자비주 44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32 번째는?




44
이 다라니는
과거 99 억 항하사의 모든 부처님이 설하신 것이며,
저 모든 부처님이 설하신 것은
모든 수행자들이 육바라밀을 수행하되,
원만히 성취하지 못한 자를
속히 원만히 성치시키게 하기 위해서며,
보리심을 내지 못한 자는
속히 발심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 성문승을 수행하는 이 가운데
성문과(聲聞果)를 증득(證得)하지 못한 자는
속히 증득하게 하기 위해서이며,
삼천대천 세계 내에
모든 신선인이
무상보리심(無上菩提心) 발하지 못한 자는
속히 발심하게 하고,
모든 중생 가운데
대승(大乘)의 믿음의 뿌리[信根]을 얻지 못한 자는
이 다라니의 위신력으로
대승의 씨앗에
법의 싹을 자라게 하기 위해서이니,
나의 자비 방편력 때문에
그것들이 모두 이루어지느니라.
● 실리실리 悉唎悉唎<四十四> si ri si ri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32
나바나 아계 사라 로나아다타라
曩嚩曩<引>誐計<引>娑囉<引>嚕拏惹咤馱囉<三十二 >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356일째]
수승묘행불가설 $ 098▲鉢攞麼陀鉢攞麼陀為 一 ● 毘伽摩, ○□□□□,無,清,成,諸

□□□□□□□, 無量大願不可說,
清淨大願不可說, 成就菩提不可說,
□□□□□□□, 무량대원불가설,
청정대원불가설, 성취보리불가설,

훌륭하고 묘한 행을 말할 수 없고
한량없는 큰 서원 말할 수 없고
청정한 큰 서원을 말할 수 없고
보리를 성취함도 말할 수 없고



[357째]
제불보리불가설 $ 099▲毘伽摩毘伽摩為 一 ● 烏波跋多, ○□□□□,發,分,知,오

□□□□□□□, 發生智慧不可說,
分別義理不可說, 知一切法不可說,
□□□□□□□, 발생지혜불가설,
분별의리불가설, 지일체법불가설,

부처님의 보리를 말할 수 없고
지혜를 내는 일도 말할 수 없고
이치를 분별함도 말할 수 없고
모든 법 아는 일을 말할 수 없고




●K1391_T1444.txt★ ∴≪A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출가사≫_≪K1391≫_≪T1444≫
●K1390_T1450.txt★ ∴≪A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파승사≫_≪K1390≫_≪T1450≫
●K1394_T1447.txt★ ∴≪A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피혁사≫_≪K1394≫_≪T1447≫

법수_암기방안


98 계지(季指) (막내 【계】~새끼) 발가락 [ 신조어 ]
99 무명 (~네째) 발가락 [ 신조어 ]
44 네째발가락 the fourth toe
32 무릎 knee
■ 용어퀴즈 다음 설명에 맞는 답을 찾으시오.

■ 용어 퀴즈 
 천태종에서 관법(觀法)에 대하여 세 가지를 세운 것. (1) 점차지관(漸次止觀). 점차관(漸次觀)이라고도 하니, 사다리에 올라가는 것처럼, 낮은 데로부터 높은 데에 이르러, 드디어 실상의 관법에 도달하는 것. (2) 부정지관(不定止觀). 부정관(不定觀)이라고 하니, 기류(機類)에 의하여 심(深)ㆍ천(淺)이 서로 앞서기도 뒤서기도 하여, 관법이 반드시 점차가 있는 것 아님을 말함. (3) 원돈지관(圓頓止觀). 원돈관(圓頓觀)이라고도 하니, 처음부터 바로 실상을 반연하여 행(行)ㆍ해(解)가 모두 돈속(頓速)함을 말함. 천태지의 지은 『선바라밀』 10권, 『육묘문』 1권, 『마하지관』 10권은 차례대로 위와 같은 관을 말하였다.

답 후보
● 삼종지관(三種止觀)
삼취(三趣)

삼현관(三現觀)
상갈라주(商羯羅主)
상대묘(相待妙)
상비량(相比量)
상좌(上座)

● [pt op tr] fr
_M#]




○ [pt op tr]
● 현량 [문서정보]- 불교용어풀이 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현량,現量,pratyakṣa-pramāṇa,rjessudpagpa,direct perception,진현량眞現量,현량現量,비량比量,비량非量,성교량聖教量,능량能量,소량所量,양과量果,수생량隨生量 saṃbhava,상정량想定量 pratibhā,전승량傳承量 aitihya,신진량身振量ceṣṭā,비유량譬喩量 upamāna,무체량無體量abhāva,성교량聖敎量āgama或śabda,자비량自比量,타비량他比量,공비량共比量,비량比量anumāna-pramāṇa,자비량自比量svārtha-anumāna,타비량parārtha-anumāna,상비량相比量,체비량體比量,업비량業比量,법비량法比量,인과비량因果比量,의준량義准量arthāpatti



[링크용타이틀]량,현량,진현량,

[##_1N|cfile3.uf@99E4973F5FE054E02CDCAF.jpg|width="800" height="1200" filename="2019_1106_120650_canon_Ab27.jpg" filemime="image/jpeg"|_##]



■ 본 페이지 ID 정보
DICT--현량

https://buddhism007.tistory.com/17914
sfx--dict/현량.txt
sfd8--불교용어dic_2564_12.txt ☞◆vxnm1616
불기2564-12-21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12/direct-perception.html
htmback--현량_불기2564-12-21-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