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반야바라밀다경』
K0001
T0220
제43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대반야바라밀다경』
♣0001-430♧
제430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4_121347_can_ab41_s12 구례 화엄사
○ 2019_1104_100231_can_ct18_s12 구례 화엄사
○ 2020_1114_143511_can_ct18_s12 삼각산 도선사
○ 2020_1114_131206_can_bw0_s12 삼각산 도선사
○ 2019_0106_180024_can_exc 의정부 도봉산 망월사
○ 2018_1023_131725_can_Ar28_s12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18_1022_174555_can_CT28 공주 태화산 마곡사
○ 2018_1022_125353_nik_ori 공주 계룡면사무소 영규대사비
○ 2020_1017_152233_can_exc_s12 삼각산 화계사
○ 2020_1002_144559_nik_BW17 파주 고령산 보광사
○ 2020_0930_143954_can_AR28 화성 용주사
○ 2020_0930_143020_can_ar33 화성 용주사
○ 2020_0906_110639_nik_BW25 천축산 불영사
○ 2020_0904_085506_nik_ab41 여주 신륵사
○ 2019_1105_161258_can_ar38_s12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19_1106_151417_can_fix 화순 계당산 쌍봉사
○ 2019_1106_121543_can_ct18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5_123118_nik_ar45_s12 순천 조계산 선암사
● [pt op tr] fr
_M#]
○ 2019_1106_114714_can_CT33 화순 영구산 운주사
❋❋본문 ♥ ◎[개별논의]
★%★
『대반야바라밀다경』
♣0001-430♧
◎◎[개별논의] ♥ ❋본문
From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4/2561-12-24-001_27.html
임시 =>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12/2565-12-15-k1081-029.html
임시 =>(재수정+보충)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12/2565-12-17-k0001-430.html
>>>
● 망집을 제거하는 원칙적 방식과 보충적 방식(가정적 논의)
망집을 제거함에 있어서는
원칙적인 방식과 보충적인 방식을 생각할 수 있다.
우선 망집 제거는 다음 문제다.
우선 일반적으로 현실에서 감각현실을 얻고 분별을 행한다.
그리고 이들 내용을 실답게 있는 내용으로 여긴다.
그리고 이에 대해 집착을 갖고 임한다.
그런데 이들 현실내용이 과연 실다운가를 살피게 된다.
그래서, 이 경우 먼저 관념분별은 '감각현실 영역에서' 얻을 수 있는가를 문제삼는다.
또 관념분별이 본 바탕인 '실재 영역에서' 얻을 수 있는가를 문제삼는다.
또 한편 감각현실도 마찬가지다.
감각현실이 본 바탕인 '실재 영역에서' 얻을 수 있는가를 문제삼는다.
또 감각현실이 관념영역에서 있는가를 문제삼는다.
더 나아가 이들 각 내용이 참된 진짜라고 할 실체가 있는가를 문제삼는다.
그리고 그 결론은 모두 그렇지 않음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것이 이들 현실 내용이 실다운가를 판단하는데 중요한 부분이다.
그리고 이를 살피는 가장 원칙적인 방안은 다음이다.
이런 경우 문제되는 각 내용을 놓고 그것이 그런 내용인가를 직접 살피면 된다.
그 다음 보충적인 방안은 또 다음이다.
현실이 실답다고 여기는 입장을 일단 가정적으로 받아들인다.
그런 다음 그런 입장이 잘못됨을 밝혀 깨뜨리는 것이다.
여기서 원칙적 방식은 대반야바라밀다경 등의 경전에서 제시된다.
한편 보충적 방식은 중관론 등의 논서에서 주로 제시된다.
아래에서 이런 방식을 개관해 살피기로 한다.
먼저 원칙적 방식에 대해서는 그간 많이 반복했다.
그러나, 다시 아래에 간단히 제시하기로 한다.
그림을 보고 살피기로 한다.
[img2-9]
08pfl--image/8식-9.jpg
[img2-9]
08pfl--image/8식-9.jpg
이 그림은 다음을 나타낸 것이다.
예를 들어 현실에서 눈을 떠서 무언가를 본다고 하자.
이 때 얻는 내용을 1! 영역안의 a!라고 표시하기로 하자.
그리고 지금 자신이 눈을 떠 무언가를 보는 상태라고 하자.
이 때 스스로 자신의 몸이라고 여기는 부분이 어느 부분인가 확인해보자.
그래서 그 부분을 손으로 가리켜보자.
현실에서 그렇게 자신으로 여기고 가리키는 부분이 있다.
그런 부분을 위 그림에서 a! 로 표시하고 있다.
현실에서 이런 내용을 대하면서 그 부분을 스스로 '나'라고 여긴다고 하자.
그런데 그런 생각은 6@ 라는 관념분별 영역에서 일으킨다.
그런데 이 상황에서 그렇게 분별하고 생각해낸 내용은 관념내용이다.
그래서 이를 a@로 표시하였다.
그래서 현실에서는 a! 와 a@와 같은 내용들을 얻게 된다.
즉 우선 현실에서 a! 와 같은 감각현실을 얻는다.
그리고 그런 바탕에서 다시 a@와 같은 분별내용을 일으켜 얻게 된다.
그런데 이 상태에서 이들 내용이 실다운가를 문제삼는다고 하자.
이 경우 현실에서 이런 각 내용을 얻는 자체를 문제삼는 것은 아니다.
또 그렇게 얻어진 이들 내용 자체를 문제삼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에는 이들 내용이 다른 영역에서도 그처럼 얻어지는가를 문제삼는다.
그것이 이들 내용이 실다운가 아닌가를 밝히는 핵심부분이기 때문이다.
이는 꿈이 실다운가를 판단하는 과정과 마찬가지다.
○ 꿈의 실답지 않음의 윈칙적 판단 방식
어떤 내용이 현실에서 얻어진다.
그렇지만 그 내용이 실답지 않음을 이해하려 한다고 하자.
그런 경우 현실에서 꿈이 실답지 않음을 이해하는 과정을 먼저 살피는 것이 좋다.
자면서 바다나 황금꿈을 생생하게 꾸었다고 하자.
이제 이 꿈이 실다운가를 판단하려 한다고 하자.
그런 경우 꿈을 놓고 어떤 측면을 검토하게 되었는가를 생각해 보면 된다.
이런 경우 꿈 안의 내용만 살펴서는 곤란하다.
꿈 밖 현실에서 침대 영역의 사정을 살펴야 한다.
그래서 현실의 침대에서 그런 바다나 황금이 그처럼 얻어지는가를 살펴야 한다.
꿈이 실답지 않음을 문제삼는다고 하자.
이런 경우 꿈을 정말 생생하게 꾸었나 여부를 문제삼는 것이 아니다.
꿈은 꿈대로 생생하게 꾼 것이 사실이다.
그렇지만, 그 꿈을 실답지 않다고 한다.
꿈은 꿈을 꾸게 되는 그런 조건에서는 그렇게 꾸게 된다.
그러나 그런 내용을 그런 상황을 떠나서도 얻을 수 있는가를 문제삼는다.
그렇지 못함을 현실에서 이해하게 된다.
한편, 꿈 내용이 꿈과 다른 영역에서도 그처럼 얻어지는가를 문제삼게 된다.
그래서 그 내용이 현실의 영역에서 그처럼 얻어지는가.
그렇지 못함을 현실내용과 대조함으로써 이해하게 된다.
한편 현실에서 어떤 내용은 일정한 성품을 갖는다고 여기게 된다.
그래서 예를 들어 바다물을 만지면 축축해진다.
황금은 딱딱하다. 이런 성품들이다.
그래서 일정한 내용은 일정한 성품을 갖는 것을 기대하게 된다.
그래서 그처럼 꿈에서 본 바다나 황금도 그런 성품을 갖고 있는가 등을 살피게 된다.
역시 그렇지 못함을 이해하게 된다.
꿈속에서 살을 꼬집어 본다고 하자.
이 경우 아프지 않아서 그 상황이 꿈임을 안다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그런 가운데 그런 꿈의 성격과 지위를 검토한다.
그래서 꿈은 실답지 않다고 하게 된다.
꿈은 꿈을 꾸는 동안 생생하게 꾼 것은 사실이다.
또 현실에 그런 침대가 있는 것도 현실이다.
그러나 이런 내용을 대조 비교하여 본다.
그런 가운데 위와 같은 사정을 살펴서 꿈이 실답지 않음을 이해하게 된다.
그리고 이것이 각 내용이 꿈처럼 실답지 않음을 이해하는 원칙적 방식이 된다.
여기서 이들 관계를 다시 정리해보자.
먼저 각 내용의 지위를 판단해보자.
우선 눈을 떠 현실에서 보는 침대는 감각현실이다.
한편, 꿈에서 본 내용의 성격이 무엇인지 확인해보자.
다시 꿈을 꾸어 보아야 정확히 꿈의 위치가 무언가를 파악할 수 있을 지 모른다.
그러나 꿈이 현실에서 눈을 떠서 보는 내용은 아니다.
그래서 꿈은 감각현실은 아님을 이해할 수 있다.
현실에서 각 현실 내용을 얻는 관계를 다음처럼 나열해보자.
실재 => 감각현실 => 관념분별
그러면 꿈은 위 관계에서 관념분별 위치에 넣어야 적절하다.
그래서 꿈은 제 6 의식 가운데 몽중의식의 범주에 넣게 된다.
한편, 꿈 내용과 감각현실과의 관계를 살펴보기로 하자.
꿈에서 바다나 황금을 보았다고 하자.
이런 내용이 곧 눈으로 보는 침대 즉 감각현실 자체인가를 검토해본다.
그래서 다음 결론을 얻게 된다.
-- 꿈은 감각현실이 아니다
반대로 눈으로 보는 침대와 같은 감각현실이 있다.
이처럼 현실에서 얻는 감각현실이 곧 꿈에서 본 그 바다나 황금인가를 검토해보자.
그래서 다음 결론을 얻게 된다.
-- 감각현실은 꿈이 아니다.
이렇게 각 내용의 위치를 바꾸어 묻는 것은 의미가 있다.
예를 들어 영희와 사람의 관계를 문제삼는다고 하자.
이 때 다음 두 질문의 답은 서로 다르게 된다.
영희는 사람인가? - 그렇다.
사람은 영희인가? - 그렇다고 할 수 없다.
그래서 이 두 질문이 갖는 의미는 다르다.
그래서 이런 방식으로 이 둘의 관계를 묻고 살피게 된다.
그렇지만, 꿈에서 그런 내용을 보는 것은 현실내용과 전혀 관계없는가.
그러나 전혀 관계가 없다고 할 수는 없다.
꿈에서 영희를 봤고 황금도 보았다고 하자.
그런데 이런 내용들은 현실에서도 비슷하게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그런 바탕에서 꿈에서도 그런 내용을 꾼것이다.
물론 침대가 놓인 현실과 꿈 속의 황금은 동떨어진 내용이다.
그러나 그 침대에 누어 그렇게 꾼 것이다.
그래서 침대가 있는 감각현실과 꿈이 전혀 무관하다고 할 도리는 없다.
그리고 다음 결론을 얻게 된다.
-- 꿈은 침대를 떠나서 얻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무언가의 정체와 그 실다움 여부가 문제된다고 하자.
그러면 이렇게 각 내용을 나열해 놓고 서로 대조해보며 관계를 따져보아야 한다.
그리고 이것이 가장 기본적인 방식이다.
그런 결과, 현실의 침대에서 꿈 내용이 얻어지지 않음을 확인한다고 하자.
그러면 이를 통해 바다나 황금꿈이 엉터리임을 확인하게 된다.
이런 사정으로 꿈에서 본 내용은 생생하게 얻지만, 이는 실답지 않다고 판단하게 된다.
○ 현실의 실답지 않음의 판단방식
현실 내용이 실다운가를 판단하는 방식도 꿈의 경우와 마찬가지다.
그래서 먼저 꿈이 실답지 않음을 판단하는 과정을 잘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에 준해 현실 각 내용이 실답지 않음을 판단할 수 있다.
현실에서 감각현실을 매 순간 생생하게 얻는다.
또 그런 가운데 관념분별도 명료하게 일으킨다.
그런데 이들 각 내용이 실다운 것인가를 검토하려 한다고 하자.
그런 경우도 위 방식과 마찬가지다.
현실에서 문제되는 내용을 일단 확보해 놓는다.
그리고 바탕이 되는 다른 영역의 내용을 또 확보한다.
그리고 그 두 내용을 놓고 서로 대조해본다.
그래서 그런 입장에서 문제되는 각 영역을 살핀다.
이 경우 이들 내용이 본 바탕인 실재영역에 그처럼 있는가를 문제삼게 된다.
또 이와 함께 마음의 다른 영역에서도 그처럼 얻어지는가를 문제삼게 된다.
그리고 그 각 내용을 얻는 관계를 살핀다.
즉 한 쪽이 없어도 다른 한쪽을 얻을 수 있는가 여부 등을 살핀다.
이를 통해 양 내용이 서로 어떤 관계에 있는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것이 가장 기본적이고 원칙적인 방식이다.
이는 대반야바라밀다경에서 제시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그 각 내용이 실다운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현실 각 내용은 침대에 누어 꾼 바다나 황금꿈의 성격과 같음을 이해하게 된다.
○ 현실의 실다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들
○ 실재와 감각현실의 관계
현실에서 매 순간 생생하게 감각현실을 얻는다.
눈을 뜨면 일정한 모습을 본다.
귀로 일정한 소리를 듣는다.
이런 경우들이다.
이런 경우 이런 감각현실들이 실다운가를 판단하려 한다고 하자.
그런데 그 내용이 다른 영역에서도 그처럼 얻을 수 있는 것인가를 검토해야 한다.
그래서 본 바탕 실재 영역에 그런 내용이 그처럼 얻어지는가를 살펴야 한다.
또 마음의 다른 영역에서는 사정이 어떤가도 함께 살펴야 한다.
그런 가운데 그것이 실다운것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그런 경우 본 바탕이 되는 실재를 먼저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 그림에서는 #실재라고 표시하여 나타냈다.
그런데 이런 실재 내용을 검토하게 되는 사정이 있다.
우선 여기서 문제삼는 실재# 가 무엇을 나타내는가.
이를 다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어떤 이가 눈을 뜨면 일정한 모습을 본다.
그런데 눈을 감으면 그 모습을 얻지 못한다.
이처럼 현실 내용은 한 주체가 관여해서 얻는 내용이다.
즉 한 주체의 마음이 관계해 마음 안에 얻게 되는 내용이다.
그런데 어떤 주체나 마음이 관계하지 않더라도 어떤 내용 무언가는 그대로 있을 것 아닌가.
그것이 있다면 무엇인가.
이런 논의가 본 바탕으로 있다고 할 실재를 찾는 문제다.
예를 들어 눈을 떠서 나무나 바위모습을 보았다고 하자.
그런데 눈을 감으면 이제 그 모습을 보지 못한다.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 자신이 보지 못한다고 전혀 아무 것도 없다고 할 것인가.
아니면 무언가가 자신과 관계없이 그대로 있다고 할 것인가가 문제된다.
그리고 그런 것이 있다면 그것은 무언가가 문제된다.
이것이 지금 문제삼는 본 바탕 실재#의 내용이 된다.
현실에서 예를 들어 눈을 떠 감각현실을 얻게 된다.
그리고 그런 상태에서 분별을 행하게 된다.
그래서 현실에서 감각현실과 관념적 분별 내용을 얻게 된다.
그래서 이들 현실 내용이 발생하는 관계는 다음과 같이 나열해 볼 수 있다.
실재 => 감각현실 => 관념분별
여기서 #실재는 어떤 주체가 관계하지 않고서도 그대로 있다고 할 내용이다.
그러나 현실 내용은 이에 어떤 주체가 관계하여 얻어낸 내용이다.
그래서 현실 내용을 얻게 한 본 바탕은 #실재라고 해야 한다.
그런데 이제 한 주체가 얻는 현실 내용의 지위나 성격을 판단하려 한다고 하자.
그런데 이런 판단을 하려면 본 바탕 실재의 사정을 함께 살펴야 한다.
이런 판단은 꿈의 정체나 성격을 살피는 경우와 같다.
예를 들어 꿈의 정체와 성격을 살피려 한다고 하자.
그런 경우에는 꿈 밖 현실의 내용을 살펴야 한다.
그래서 이를 서로 대조 비교하면서 살펴나가야 한다.
이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다.
● 실재와의 비교시 불가득의 문제점
현실 내용이 실다운가를 판단라려 한다고 하자.
이런 경우는 앞과 같은 사정으로 실재의 정체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실재와 현실 내용을 놓고 각 내용의 관계를 살피게 된다.
이를 통해 어떤 내용이 실다운 내용인가 아닌가를 살피게 된다.
그런 가운데 #실재에 대해 다양한 추리나 주장을 하게 된다.
이 내용은 이미 앞에서 대강 살폈다.
일반적으로는 자신이 얻은 현실 내용이 곧 본 바탕 실재라고 잘못 여기기도 한다.
그러나 자신이 얻은 현실 내용은 실재가 아님을 이해한다고 하자.
즉, 현실이 자신 마음안 내용임을 이해한다고 하자.
그런 경우에도 다음처럼 다시 여러 입장이 나뉜다.
먼저, 실재는 자신이 얻는 현실 내용과 그대로 일치한다는 입장
실재는 현실내용과 유사하거나 이에 비례한다는 입장.
실재는 전혀 아무 것도 없다는 입장,
실재는 전혀 아무 것도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 내용을 얻지 못해, 언설로 표현할 수 없다는 입장.
등이다.
여하튼 이 가운데 어느 입장이나, 문제되는 내용을 직접 얻어 제시할 도리는 없다.
그런 가운데 입장의 대립이 있다.
그래서 어려움이 있다.
즉, 현실에서 문제되는 각 내용을 직접 얻어 비교하는 경우와는 다르다.
그러나 여기서 처음 이런 #실재가 어떤 사정에서 문제삼았는가를 잘 이해해야 한다.
현실에서 얻는 내용이 과연 그런 영역에서 그처럼 얻어지는가를 살피기 위함이었다.
그런데 실재는 현실에서 얻는 내용과 성격이 다름을 이해하게 된다.
즉 현실 내용은 한 주체가 현실에서 얻는 내용이다.
그러나 본 바탕 실재는 그렇지 못하다.
그 내용을 한 주체가 끝내 얻을 수 없다.
그 사정은 다음 때문이다.
한 주체는 오직 그 주체가 관여한 내용만 얻게 된다.
즉 그 주체의 마음이 관계하여 화합해 얻어낸 내용만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지금 문제삼는 실재는 그런 성격을 갖는 내용이 아니다.
즉 어떤 주체와도 관계없이 그대로 있다고 할 본 바탕의 내용을 문제삼는다.
그래서 이런 사정으로 한 주체는 끝내 실재를 직접 얻어내지 못한다.
그래서 결국 문제삼는 실재는 불가득 공이라고 표현하게 된다.
즉 본래 별 의미를 갖지 않는 공이라는 표현을 빌려 이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그리고 이는 한 주체가 행하는 2 분법상의 분별을 떠나게 된다.
그래서 ~이다 ~ 아니다 ~과 같다. ~과 다르다. 깨끗하다 더럽다. 좋다 나쁘다
선하다 악하다 등등의 온갖 2 분법상의 분별을 떠난 상태가 된다. [불이법]
그리고 이는 언설로 직접 표현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그래서 결국 #실재와 현실내용은 서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게 된다.
한편, 현실내용은 #실재와 어떤 관계에서 얻게 되는가를 다시 잘 살펴야 한다.
그런 가운데 현실 내용은 또 이런 본 바탕 실재를 떠나 얻는 것도 아님을 이해하게 된다.
즉, 현실 내용은 #실재를 떠나지 않고 #실재를 바탕으로 얻는 것이다.
그래서 현실 내용의 정체와 지위를 살필 때는 원칙적으로 이런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그래서 이를 통해 현실은 꿈과 성격이 같음을 이해하게 된다.
즉, 마치 침대에 누어 꾸는 바다나 황금 꿈과 성격이 같음을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현실 내용이 실답지 않음을 이해하려는 경우 이 부분이 중요하다.
이런 사정을 통해 현실안에서 현실 내용이 실답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다음의 결론을 얻게 된다.
-- 실재는 감각현실이 아니다.
-- 감각현실은 실재가 아니다.
-- 그러나 감각현실은 실재를 떠나 얻는 것이 아니다.
또한 실재도 감각현실을 떠나 있는 것이 아니다.
○ 실재와 관념분별의 관계
현실에서 감각현실을 얻고 다시 관념분별을 일으킨다.
그 가운데 다시 관념분별이 실다운가를 문제삼는다고 하자.
이 경우도 앞 경우에 준해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역시 다음의 결론을 얻게 된다.
-- 실재는 관념분별이 아니다.
-- 관념분별은 실재가 아니다.
-- 그러나 관념분별을 실재를 떠나 얻는 것이 아니다.
또한 실재도 관념분별을 떠나 있는 것이 아니다.
○ 관념분별과 감각현실의 관계
관념분별이 실다운가를 문제삼는다고 하자.
그런데 현실에서 감각현실을 얻고 그 바탕에서 관념분별을 일으키는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다시 관념분별과 감각현실의 관계를 살필 필요가 있다.
물론 관념분별을 일으키는 경로는 다양하다.
단순히 관념을 연상해 떠올려서 관념분별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어 눈을 감고, 비행기는 빠르다. 빠른 것은 기차다.
이런 식으로 여러 관념을 떠올리는 경우와 같다.
한편, 관념분별을 감각현실을 얻는 가운데 일으키기도 한다.
즉 얻어진 감각현실을 대하면서 관념분별을 일으키기도 한다.
예를 들어 눈을 떠 일정한 모습을 보게 된다고 하자.
그런 가운데 저 부분은 바위다. 이 부분은 영희다. 또 이 부분은 자신의 몸이다.
이런 식으로 분별을 일으키는 경우다.
이런 경우 현실에서 관념분별을 일으켜 얻는 관계를 다음처럼 나열해보자.
실재 => 감각현실 => 관념분별
그래서 이 경우는 감각현실이 관념분별을 일으킨 바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경우 이들 각각의 정체와 관계가 문제된다.
이런 경우에는 일단 현실내용에서 감각현실과 관념 서로를 잘 구분해야 한다.
그리고 이들 내용을 서로 잘 대조해 보는 노력이 필요하다.
우선 감각현실은 그 주체의 마음안 내용이다.
예를 들어 눈을 떠 무언가를 보게 된다고 하자.
이는 그가 눈을 의존해 마음에 얻어낸 내용이다.
그리고 그 상황에서 관념분별을 일으킨다고 하자.
이런 관념분별도 역시 그 주체의 마음안 내용이다.
그리고 감각현실과 관념분별은 모두 한 주체의 마음안 내용이다.
그래서 현실적으로 이 둘을 서로 혼동하기 쉽다.
따라서 주의를 기울여 이 둘을 서로 잘 구분할 필요가 있다.
우선 이 상황에서 눈을 감는다고 하자.
그래도 마음안에서 계속 유지되고 떠올릴 수 있는 내용이 있다.
이는 관념내용이다.
한편 눈을 감았다가 다시 뜬다고 하자.
그 상황에서 새로 얻게 되는 내용이 있다고 하자.
그것은 눈을 의존해 얻는 감각현실이다.
이런 내용은 다시 눈을 감으면 또 얻지 못한다.
그리고 이후 눈을 감은 상태에서는 얻지 못한다.
즉, 이런 감각현실은 감관이 의존하는 그 순간에만 얻게 된다.
그래서 이 처럼 감각현실과 관념분별을 마음안에서 서로 구분할 수 있다.
물론 감각현실은 그것을 얻는 순간에만 얻게 된다.
그래서 다음 순간에도 유지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마음에서 이런 방식으로 이 각 내용을 서로 잘 구분해 확보해보려 노력해보자.
그리고 이 두 내용을 서로 대조 비교해보자.
- 감각현실과 관념분별 사이의 원칙적인 관계 분별 -
감각현실과 관념분별이라고 표현이 가리키는 바를 이해했다고 하자.
이 경우 이 두 내용의 관계를 살피려 한다고 하자.
이 때 가장 원칙적인 방안을 적용해 살핀다고 하자.
그런 경우 우선 문제되는 내용을 잘 붙잡아 놓는다.
예를 들어 스스로 다음과 같이 검토한다.
지금 상황에서 문제삼는 감각현실을 잘 포착해 붙잡아 둔다.
예를 들어 눈을 뜨면 얻게 되는 감각현실의 경우 다음 방식으로 확보한다.
먼저 눈을 감는다.
그 순간 사라져 보이지 않게 되는 것들이 있다.
그런데 다시 눈을 뜨면 그 순간 다시 보게 되는 내용이 있다.
그런 내용을 눈을 뜰 때 얻는 감각현실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을 우선 잘 마음에서 포착해낸다.
그런 내용을 감각현실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그 상황에서 관념내용을 잘 포착해 붙잡는다.
예를 들어 눈을 감고 뜸을 반복한다.
그런 상황에서도 별 관계없이 여전히 마음에 떠올릴 수 있는 내용이 있다.
그러 내용을 관념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스스로 이를 잘 포착해낸다.
이와 같이 문제삼는 감각현실과 관념분별을 먼저 잘 포착한다.
그 다음 이들 양 내용을 다음 방식으로 대조해본다.
먼저, 어떤 순간에 감관으로 얻는 감각현실 내용이 있다.
예를 들어 눈을 떠서 무언가를 본다고 하자.
이 상황에서 분별한 관념내용이 있었다고 하자.
이 상황에서 눈을 뜨고 감음을 반복한다고 하자.
그런데 분별 내용은 이에 관계없이 어느 정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달리 눈을 감으면 사라져 얻지 되는 내용이 있다.
그리고 눈을 뜨면 그 순간만 새로 얻는 내용이 있다.
이것이 눈을 떠 얻는 감각현실이다.
이처럼 감각현실을 얻게 된다.
그런데 이처럼 감각현실을 얻는 상황을 잘 포착한다.
그리고 그렇게 얻는 감각현실 안에 그 직전까지 분별한 내용이 얻어지는가를 확인해본다.
이 상황에서 물론 감각현실을 대해 관념분별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판단할 내용은 그 부분이 아니다.
다음을 주의해서 판단해야 한다.
즉 그 순간에 얻는 감각현실에 처음 확보한 분별 내용이 다시 얻어지는가를 확인해야 한다.
즉 그 순간에 얻는 감각현실 안에 분별 내용 같은 내용이 찾아지는가를 확인해야 한다.
그런데 사정이 그렇지 않다.
그래서 다음 결론을 얻게 된다.
-- 감각현실에서는 관념분별을 '얻어낼 수 없다'.
위 표현은 다음과 다른 의미다. 따라서 서로 혼동을 일으키면 안 된다.
감각현실을 대해 관념분별은 일으킬 수 있다.
그렇다고 감각현실에 관념분별이 들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라이터를 대해 불을 연상해 떠올릴 수 있다.
그렇다고 라이터에 그렇게 떠올린 불이 들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이 두 문제를 서로 혼동하면 안 된다.
그래서 다음의 결론을 얻는다.
- 감각현실은 관념분별이 아니다.
한편 이 두 내용의 위치를 이제 반대로 놓고 또 다시 한번 살펴본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문제를 제기하고 살펴본다.
우선 눈을 뜨고 감는 동작을 반복한다.
그런 가운데 눈을 감고 직전에 본 내용을 떠올려 보자.
이것은 눈을 감고도 떠올리게 되는 관념적 내용이다.
그런데 이 안에 눈을 감기 직전 본 모습이 이 안에서 찾아지는가를 스스로 확인해본다.
그렇지 않다.
그래서 다음 결론을 얻게 된다.
-- 관념내용 안에는 감각현실이 '없다'. [=> 변계소집상의 상무자성]
그런 가운데 다시 다음을 판단해본다.
그 관념분별 그 자체가 곧 그 직전에 얻은 감각현실인가?
그렇지 않다.
그래서 다음의 결론을 얻는다.
-- 관념내용은 감각현실이 아니다.
한편, 관념분별을 얻는 관계를 다시 살필 필요가 있다.
물론 관념은 시인이 그냥 생각만으로 떠올려 내는 경우도 물론 있다.
그러나 감각현실을 얻는 가운데 어떤 것의 정체를 살피는 경우는 이와 다르다.
예를 들어 현실에서 일정한 감각현실을 얻는다고 하자.
그런 경우 그에 바탕해서 다시 일정한 관념분별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눈을 뜨면 일정한 내용을 얻는다.
그런 가운데 저 부분은 바위다. 저 부분은 영희다. 이 부분은 자신의 몸이다.
이런 식으로 분별을 일으키게 된다.
이런 경우 그런 관념분별을 일으키게 되는 관계가 문제된다.
그래서 다시 다음 문제를 검토해보아야 한다.
즉, 그런 상황에서 일으킨 관념분별이 그런 감각현실을 떠나 얻게 되는 것인가.
이 문제를 또 검토해보아야 한다.
그리고 위와 같이 관계를 살핀다고 하자.
그런 경우 이 둘은 또 전혀 무관한 관계는 아님을 이해하게 된다.
어떤 감각현실을 얻는 가운데 일정한 분별을 일으킨다고 하자.
그런데 그 관념은 다른 감각현실 부분을 대할 때는 잘 떠올리지 않는 내용이다.
예를 들어 그는 다른 경우에는 그런 바위라는 생각을 잘 떠올리지 않는다.
그런데 그가 일정한 감각현실을 대해 바위라는 생각을 떠올리게 된 것이다.
그래서 이 두 내용은 이런 관계가 있다.
즉 서로 아주 무관한 관계가 아니다.
이는 다음 사정을 살피면 이해가 쉽다.
어떤 눈 나쁜 이가 평소 안경없이는 글자를 잘 보지 못한다고 하자.
그런데 그가 안경을 쓰고 난 후 작은 글자를 읽거나 물체를 알아보는 경우를 놓고 생각해보자.
그런 경우 그가 저 부분은 나무그림이다.
이 부분은 가나다라라고 적혀 있다. 이런식으로 분별을 한다고 하자.
이는 그 상황에서 그가 일정한 감각현실을 얻었기 때문이다.
안경이 없어 희미한 상을 얻을 때는 그런 분별은 하지 못한 것이다.
그래서 이들은 서로 일정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이 경우에도 역시 다음의 결론을 얻게 된다.
-- 감각현실은 관념분별이 아니다. ( 감각현실 안에 관념분별을 얻을 수 없다. )
-- 관념분별은 감각현실이 아니다. ( 관념분별 안에 감각현실은 없다. )
-- 그러나 그 경우 관념분별은 감각현실을 떠나 얻는 것은 아니다.
이런 대조 판단과정을 통해 각 내용이 실다운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여하튼 이런 각 내용의 정체와 관계를 서로 대조해 살핀다고 하자.
그러면 이를 통해 현실 내용이 실답지 않음을 이해하게 된다.
즉, 현실 각 내용은 침대에 누어 꾼 바다나 황금꿈의 성격과 같음을 이해하게 된다.
처음 어떤 것이 실다운가 아닌가를 문제삼았다.
그런데 위와 같은 방식이 이 문제를 살피는 원칙적인 방식이다.
그리고 꿈이 실다운를 살필 때도 이런 방식이 원칙적인 방식이다.
결국 위 방안은 어떤 것의 정체를 살필 때 사용할 수 있는 원칙적 방식이다.
그리고 그 실다움 여부를 문제삼을 때 사용하는 기본 방식이다.
실험을 하는 과학자도 마찬가지다.
이것이 소금인가. 밀가루인가.
또 소금에서 과연 밀가루가 얻어지는가 등이 문제된다고 하자.
그러면 두 내용을 일단 확보해 놓는 것이 첫 과제다.
그리고 그 두 내용을 잘 살피는 것이 두번째다.
그리고 이는 대반야바라밀다경에서 제시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이런 방식이 현실 내용이 실답지 않음을 이해하는 원칙적 방식이다.
>>>
○ 얻을 수 없음과 없음의 의미 차이
참고로 여기서 관념은 실재나 감각현실에서 '얻을 수 없다'고 표현한다.
그러나 감각현실은 관념영역에서 '없다'고 표현한다.
그런데도 이처럼 표현을 약간 달리하는 사정이 있다.
우선 얻어낼 수 없다[불가득]은 있다, 없다라는 말과는 다른 표현이다.
얻을 수 없음은 곧 없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 사정을 쉽게 이해하면 다음과 같다.
눈으로는 소리를 얻지 못한다.
그러나 그렇다고 소리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눈이 소리를 얻지 못한다고 하자.
그렇다고 이것만으로 소리가 없다고 표현하기 곤란하다.
그래서 각 표현에 차이가 있다.
한편, 있고 없음의 판단은 관념영역에서 판단하게 된다.
그런데 다음과 같은 경우라고 하자.
관념분별 과정에서 다른 영역안의 내용에 대해 '있고 없음'을 판단할 경우라고 하자.
이는 '관념영역' 안에서 그런 내용이 얻어지는가 그리고 있는가 여부를 문제삼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그런 경우에는 관념영역에서는 우선 판단할 그런 내용자체가 얻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이런 상태에서는 '있고 없음'의 판단을 떠나게 된다.
즉 없다는 판단도 단정적으로 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그래서 이 경우는 '얻을 수 없다'라고 표현하게 된다.
예를 들어 실재에 대해 판단한다고 하자.
그런 경우 이는 얻을 수 없고, 분별을 떠난다고 표현하게 된다.
그리고 이는 유(有)나 무(無) 즉, 있고 없음의 양변을 떠남을 의미한다.
즉 관념영역에서 그런 내용을 얻을 수 없다.
그런데 이런 사정만으로 이를 무(無)라고 단정해 판단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런데 관념 안에 감각현실이 '있고 없음'을 판단할 경우라고 하자.
물론 관념영역에서 감각현실은 얻을 수 없다. 그것은 앞과 사정이 서로 같다.
즉 관념영역에서 그런 감각현실은 얻어지지 않는다.
그런데 관념영역에서 감각현실의 존부를 판단한다고 하자.
그런 경우 '관념 영역안에는' 적어도 그런 내용이 '없음'을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이 경우는 앞과 달리 관념에는 감각현실이 없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실체의 유무를 판단한다고 하자.
이런 경우는 실체는 없다라고 판단한다.
즉 무자성 무아라고 판단한다.
그 사정은 다음과 같다.
꿈과 다른 참된 실체가 있는가 여부가 문제된다고 하자.
그런 경우 먼저 관념영역에서 꿈과 다른 성품을 갖는 형태로 실체의 몽타쥬를 그려서 찾아나선다.
그리고 관념영역에서 그것이 있을 수 없음을 판단하게 된다.
그래서 결국 어느 영역에도 없음을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각 표현에는 서로 의미 차이가 있다.
따라서 불가득(不可得) 공과 아주 없음(無)은 완전히 같은 표현이 아님을 주의할 필요가 있다.
○ 실답지 않음의 의미
현실에서 일정한 내용을 얻는다.
그런데 그런 내용을 다른 영역에서 그처럼 얻지 못한다고 하자.
그런 경우에는 결국 그것은 꿈과 성격이 같다.
그래서 그것은 결국 실답지 않음을 의미한다.
그런데 이런 내용을 현실에서 실답게 여기게 되는 사정이 많다.
그리고 이런 사정을 이미 앞에서 살폈다.
즉 현실은 꿈과 성격이 같지만, 그러나 정작 꿈 자체는 아니다.
현실은 꿈과 다른 측면이 많다.
우선 현실은 5 감을 통해 대단히 생생하고 다양하게 얻는다.
그리고 좀 더 명료하게 분별내용을 얻는다.
그리고 감각현실의 각 부분의 특성이 다르다.
또한 현실은 다수 주체가 일정한 조건과 상황에서 엇비슷한 내용을 일정한 관계로
반복해 무량겁에 걸쳐 받아나간다.
이런 등등이 다르다.
그래서 이런 특성 때문에 현실을 실답게 여기게끔 된다.
그러나, 어떤 존재의 정체를 살필 때는 그렇게 문제삼는 것이 아니다.
아무리 사정이 그렇다해도 이들 감각현실은 꿈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즉 다른 영역에서는 그런 내용을 그처럼 얻지 못한다.
그래서 원칙적으로 이들 현실 내용은 꿈과 성격이 같다.
그래서 이는 결국 꿈처럼 실답지 않다고 하게 된다.
이 사정을 쉽게 이해하려면 전자게임의 화면을 생각해볼 수 있다.
또는 만화가가 종이에 그리는 그림을 생각해볼 수 있다.
또는 영화화면을 생각해볼 수 있다.
이들도 앞과 같은 특성을 갖는다.
그런데 이들 각 내용은 현실에서 얻을 수 없다.
그래서 실답지 않음을 쉽게 이해한다.
그래서 이와 마찬가지로 현실이 실답지 않음을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
즉 현실은 꿈과는 달리 다수에게 일정한 관계로 반복한다.
그렇다해도 각 내용은 실답지 않은 내용임을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
우선 감각현실을 얻는 한 순간 한 단면을 정지시켜 놓는다고 해보자.
그런 가운데 그 내용을 살펴보기로 하자.
그런 경우 실재나 마음안 다른 영역들에서는 그런 내용을 그처럼 얻을 수 없다.
예를 들어 눈으로 본 내용은 물론 매순간 생생하게 얻을 수는 있다.
그러나 이는 우선 본 바탕 실재 영역에서 얻을 수 없다.
한편, 한 주체는 단지 감관으로 눈만 갖는 것이 아니다.
눈 외에도 귀, 코, 입, 몸 등의 감각기관을 갖는다.
그런데 각 감관을 통해 매 순간 각기 다른 감각현실을 얻는다.
그리고 다른 감각영역 예를 들어 청각 영역이나 시각 영역에서는 그런 내용을 얻을 수 없다.
그리고 관념분별을 행하는 영역에서도 역시 얻을 수 없다.
한편, 한 주체의 정신은 단지 감각과 관념만 얻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근본 정신이나 제 7 식 등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그래서 한 정신에서 얻는 내용을 이런 각 경우와 대조해 볼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들 현실 내용은 본 바탕 실재를 포함해 각기 다른 영역에서 얻을 수 없다.
그래서 결국 이는 꿈과 같은 성격을 가짐을 이해할 수 있다.
그래서 비록 매 순간 생생하게 얻지만, 그 내용을 실답다고 볼 수 없다.
그래서 실답지 않다고 하게 된다.
한편 이런 상황에서 다시 인간과 다른 생명체의 입장을 함께 고려해보자.
예를 들어, 벌이나 메뚜기는 외관상 인간과는 다른 눈 구조를 갖는다.
그래서 각 상황에서 서로 다른 내용을 얻는다고 보게 된다.
그래서 한 주체가 본 내용은 다른 생명의 상태에서는 찾기 힘들다.
단지 엇비슷한 감각 인식기관을 가진 생명들 끼리 비슷한 내용을 얻는 것뿐이다.
즉, 인간이 얻는 현실 내용은 인간사이에서만 유사성을 갖는 것 뿐이다.
따라서 자신이 얻는 내용을 모든 생명이 공통적으로 얻는 내용이라고 오해하면 안 된다.
더 나아가 자신이 마음에서 얻는 감각현실을 곧 외부의 객관적 실재 자체라고 오해하면 곤란하다.
한편 이처럼, 한 순간 한 정지된 단면을 놓고 살필 때 그 내용이 실답지 않다고 하자.
그런 경우 이를 무한히 쌓아 포개어 놓아도 그 사정이 마찬가지다.
즉, 그로 인해 그 내용이 실다운 내용이 되는 것이 아니다.
비유하면 그림과 같다.
그림으로 황금을 그려 놓는다고 하자.
그리고 이렇게 황금그림을 수만장 쌓아 놓는다고 하자.
그렇다고 그로 인해 그것이 진짜 황금이 되는 것은 아니다.
감각현실은 어떤 조건에서 어떤 영역에서만 일시적으로 화합해 얻는다.
그리고 다른 영역에서는 얻을 수 없다.
그런 사정으로 이는 꿈처럼, 실답지 않음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감각현실을 반복해 이어 얻는 상황을 놓고 생각해보자.
이를 한 인간을 놓고 보면 대략 생각해보자.
한 사람은 100 년간 눈을 통해 계속 일정한 내용을 꾸준히 얻는다.
그리고 매순간 생생한 형태로 얻는다.
그래서 꿈과는 성격이 다르다고 보게 된다.
한편, 이런 내용을 세대를 이어가며 이어 나열해 살핀다고 하자.
그래서 몇 천년을 이어 살펴본다고 하자.
그러면 현실에서 얻는 내용은 꿈과 달리 대단히 실답다고 잘못 여기기 쉽다.
그래서 100 년간 눈을 계속 뜨고 대하는 상황을 생각해보자.
그러면 그런 감각현실이 계속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처럼 착각하게 되기 쉽다.
그래서 감각현실은 그런 형태로 고정되어 꿈과 달리 실다운 것으로 여기기 쉽다.
그러나 감각현실은 사실은 매순간 그처럼 눈을 떠 대하는 순간만 얻는 내용이다.
이 문제는 간단히 실험해도 확인할 수 있다
잠시라도 눈을 깜박거려보며 실험하면 이 사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금 직전에 눈을 뜨고 본 내용이 있다고 하자.
그 상태에서 눈을 감는다.
그리고 그 직전 그 순간에 본 내용을 다시 마음에서 꺼내 보려 한다고 하자.
그리고 다른 영역으로 옮겨 놓으려 노력해보자.
그런 경우 아무리 노력해도 그렇게 되지 않는다.
물론 이들 감각현실은 매순간 생생하게 얻는다.
그래서 매순간 대단히 생생하고 실답게 여기게 된다.
그러나 그런 감각현실은 그런 조건에서 그 순간만 얻는다.
그리고 그런 내용은 다른 영역에서 그처럼 계속 얻는다고 보장할 수 없다.
당장 눈을 감고 그 직전에 본 내용 조차도 다시 이를 얻어내기 힘들다.
그리고 그 상태를 계속 유지 보전할 도리가 없다.
그런데 그런 내용에 계속 집착을 갖게 임한다고 하자.
그러면 이로 인해 매 순간 문제상황에 처하게 된다.
그래서 이는 결국 꿈과 성격이 같음을 이해하게 된다.
그리고 실답다고 볼 그런 내용이 아님을 이해하게 된다.
따라서 그런 감각현실을 붙잡고 집착해 임하면 곤란하다.
그런데 현실에서 그런 감각현실을 실다운 내용으로 여긴다고 하자.
그래서 이를 집착한다고 하자.
그런 경우는 대단히 어려운 상황에 처하게 된다.
그래서 어떤 내용이 실다운가를 판단할 때는 바로 이런 점을 문제삼는 것이다.
이는 마치 게임화면의 사정과 같다.
그리고 그런 바탕에서 감각현실이 실답지 않음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그런 사정을 잘 이해하지 못한다고 하자.
그러면 그런 감각현실에 집착한 바탕에서 이후 업을 행하게 된다.
그러면 그로 인해 이후 생사고통을 받는 상태에 묶이게 된다.
그래서 이는 생사고통의 문제와 직결된다.
>>>
○ 관념분별의 실답지 않음의 의미
현실에서 눈으로 보는 일정한 모습을 본다고 하자.
그리고 일정 부분이 손이나 바위라고 여긴다고 하자.
이 경우 그런 감각현실과 그런 관념분별을 비교해보자.
이 경우 이들은 서로 전혀 무관하지는 않다.
그러나 서로 엉뚱한 내용들이다.
즉, 서로 상당히 질적으로 동떨어진 내용임을 파악하게 된다.
그리고 이는 알고보면 현실에서 꾸는 꿈과 현실의 관계와도 같다.
꿈이 실답지 않음을 확인하려 한다고 하자.
그런 경우에도 이 두 내용을 함께 확인해야 한다.
다만, 현실에서 관념분별이 이와 같다는 사정을 잘 이해하지 못할 수 있다.
침대에서 꾼 황금꿈은 서로 엉뚱함을 잘 이해한다.
그러나 관념분별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고 잘못 여기기 쉽다.
예를 들어 '일정 부분'을 보고 바위나 손이라고 생각한다고 하자.
이런 경우 자신이 분별한 내용은 꿈과 성격이 다르다고 여기기 쉽다.
그러나 사정이 그렇지 않다.
이는 비유하면 망상증 환자의 상태와 같다.
또는 최면걸린 이의 상태와 비슷하다.
어떤 망상환자가 치솔만 대하면 그것을 개로 잘못 여겨 대한다고 하자.
또는 어떤 이가 최면에 걸려 귤을 대하면서 사과라고 여긴다고 하자.
이런 상태와 같다.
★1★
◆voay1182
◈Lab value 불기2565/12/17 |
Marie-Paule Belle - Nous Nous Plumes
♥단상♥탑을 오른쪽으로 도는가 문제 큰 문제가 발생했다. 라면을 끓인 후 2 분후 냉동 만두를 넣었다. 그래서 화제다. 그리고 세계가 놀라고 들끓고 있다. 이런 경우는 없다. 절을 방문해 탑을 돈다. 그런데 왼쪽으로 도는가. 오른쪽으로 도는가가 문제된다. 본인은 오른 쪽으로 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경전에서 공경의 표시로 주변에서 돌 때는 주로 오른쪽으로 돈다고 나오기 때문이다. 그런데 범칙금을 부과받았다. 방향이 달라 충돌사고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경전을 검색 중이다. 사천왕문에 사천왕이 있다. 각기 어떤 기물을 갖고 있는가에 의해 주로 구분하게 된다. 그런데 사찰마다 제각각 다른 설명을 붙여 놓은 경우를 보게 된다. 여기서는 동쪽의 지국천왕 다른 곳에서는 서쪽의 광목천왕 이런 식으로 달리 설명이 되어 있다. 아주 중요한 문제는 아니다. 이런 일로 세계가 놀라고 유엔 안전보장 이사회가 열리지는 않는다. 그런데 여하튼 사찰마다 제각각 다른 설명으로 혼동이 온다. 정리가 잘 안된다. 일단 탑을 도는 방향은 경전을 검색해 찾아냈다. 대반야바라밀다경전 6회 제 2 통달품에 다음 구절이 나온다. .. 탑을 오른쪽으로 돌 때에는 유정들이 모두 부처를 이루기를 서원하느니라. ... 『대반야바라밀다경』 (K0001 4권 P1002b) 이 구절은 유력한 경증이 될 수 있다. 공경을 표시하고자 주변을 돌고자 할 때는 오른쪽으로 도는 것이 원칙이라고 통일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낫다. 그런데 이는 도는 탑을 정면에서 본 상태에서 오른쪽이다. 즉 시계반대방향으로 돌라는 뜻이다. 생각해보면 사천왕이 평소 무엇을 들고 다니는가. 그 때 그 때 마음에 드는 것을 드는 것이 아닐까. 이렇게도 생각해본다. 그런데 조각품이나 회화에서는 소지품이 상징하는 바가 있다. 그것으로 어떤 인물을 나타냈는가를 추리하게 된다. 그래서 조금 신경을 기울 일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보살상 얼굴이 똑같다. 그래도 코끼리를 타고 있는 보살은 보현보살 사자나 호랑이를 타고 있는 보살은 문수보살 이런 식으로 구분하게 된다. 그런데 사천왕의 경우는 그 때 그 때 다르다. 사전에서도 이렇게 제시된다. 그리고 각 경전마다 내용이 다르다. 위키백과를 참조하니 이렇게 나온다. 우선 동쪽의 지국천왕의 특징만 이렇게 우선 정리해 놓기로 한다. ... 다라니집경에는 왼손은 팔을 내려 칼을 잡고, 오른손은 팔을 구부려 보주를 쥔다고 하고, 일자불정륜왕경에는 왼손에는 창을 잡고 오른손은 손바닥을 올려든다고 하였다. 동아시아권에서는 주로 비파를 들고 있는 모습으로 형상화한다. 결국 동 지국천왕은 다음의 여러 가능성이 있다. 왼손- 칼~ 창 ~ ○ 비파, 오른손 ~ 보주 그런데 남 증장천왕도 이와 설명이 비슷하다. 다라니집경에 왼손 - ○ 칼 오른손 - 창 이렇게 제시된다. 결국 동지국천왕은 비파 이렇게 외어두는 것이 나아 보인다. 한편 서 광목천왕은 통상 ○ 용과 여의주를 든다. 다라니잡경에는 왼손 창 오른 손 새끼 일자불정륜왕경에는 오른손에 금강저를 갖는다고 제시된다. 한편 북 다문천왕은 ○ 보탑을 들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북다문천왕이 비파를 들고 있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결국 이런 문제로 오락가락하면서 혼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일단 ○ 표시된 부분 하나만 외워서 구분하기로 한다. 혼동될 때는 먼저 그중 하나만 중심적으로 외우는 방식이 낫기 때문이다. 그런데 개별 사찰을 방문할 때는 결국 모든 내용을 해당 사찰에서 제시한 대로 이해하고 대하는 것이 나아 보인다. 현지 적응을 잘 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충돌이 발생하면 결국 범칙금은 납부해야 한다. ○ 음악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us0fl--Maurane - Qui es-tu Marie-Jeanne.lrc ○ 2019_1106_152253_nik_Ar28 위 그림은 4 천왕 가운데 어떤 천왕을 나타낸 것인가.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12/2565-12-17-k0001-430.html#1182 sfed--대반야바라밀다경_K0001_T0220.txt ☞제430권 sfd8--불교단상_2565_12.txt ☞◆voay1182 불기2565-12-17 θθ |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범】Bodhi 도(道)ㆍ지(智)ㆍ각(覺)이라 번역. 2종이 있다. (1) 불교 최고의 이상(理想)인 불타 정각의 지혜. 곧 불과(佛果). (2) 불타 정각의 지혜를 얻기 위하여 닦는 도(道). 곧 불과에 이르는 길을 말함. ⇒<유사어>도<참조어>도(道)
답 후보
● 보리(菩提)
보살승(菩薩乘)
보시섭(報施攝)
보타락(補陀落)
보현삼매(普賢三昧)
복덕자량(福德資糧)
본각(本覺)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Gregoire - Merci
Marc Lavoine - Chere Amie
Luis Mariano - Plus Je T'aime
Maurane - La Musique Adoucit
Jacques Dutronc - Sur Une Nappe De Restaurant
Luis Mariano - La Samba Bresilienne
Claude Dubois - Hier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Kensho
[san-chn] vajrâcārya 金剛阿闍梨
[san-eng] govinda $ 범어 Lord Kṛiśna
[pali-chn] akiliṭṭha 不染汚
[pal-eng] ajjhaavasitvaa $ 팔리어 abs. of ajjhaavasatihaving inhabited; having dwelt; having settled down.
[Eng-Ch-Eng] 四慕流 The "four raging currents." Four afflictions which agitate the originally quiescent mind: desire 欲, existence 有, opinion 見 and ignorance 無明.
[Muller-jpn-Eng] 天潼山 テンドウザン Mountain of the Children of the Gods
[Glossary_of_Buddhism-Eng] ETERNITY☞
See: Kalpa.
[fra-eng] autorisa $ 불어 authorized
■ 암산퀴즈
908* 606
28050 / 102
■ 다라니퀴즈
자비주 39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27 번째는?
39
나쁜 용과 전염병을 일으키는 귀신이
독기를 퍼뜨려
열병으로 목숨을 마치려 할 때
지성으로 대비주를 소리내 외우면
전염병은 없어지고
수명은 길어지리라.
● 벌사벌삼(바사바삼) 佛沙罰嘇<三十九> va ṣa va ṣaṃ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27
니야 오로 타바리만나라
你野<二合>虞嚕<二合引>馱波哩曼拏羅<二十七>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351일째]
제불자중불가설 $ 093▲摩攞羅摩攞羅為 一 ● 娑婆(上)羅, ○□□□□,清,稱,讚,世
□□□□□□□, 清淨勝行不可說,
稱歎諸佛不可說, 讚揚無盡不可說,
□□□□□□□, 청정승행불가설,
칭탄제불불가설, 찬양무진불가설,
불자의 여러 대중 말할 수 없고
청정하고 훌륭한 행 말할 수 없고
부처님 찬탄함도 말할 수 없고
끝없이 칭찬함을 말할 수 없고
[352째]
세간도사불가설 $ 094▲娑婆羅娑婆羅為 一 ● 迷攞普, ○□□□□,演,彼,清,彼
□□□□□□□, 演說讚歎不可說,
彼諸菩薩不可說, 清淨功德不可說,
□□□□□□□, 연설찬탄불가설,
피제보살불가설, 청정공덕불가설,
세상의 길잡이됨 말할 수 없고
연설하고 찬탄함을 말할 수 없고
저 모든 보살들을 말할 수 없고
청정한 그 공덕을 말할 수 없고
095□
●K0009_T0225.txt★ ∴≪A대명도경≫_≪K0009≫_≪T0225≫
●K0001_T0220.txt★ ∴≪A대반야바라밀다경≫_≪K0001≫_≪T0220≫
●K0105_T0374.txt★ ∴≪A대반열반경≫_≪K0105≫_≪T0374≫
법수_암기방안
93 엄지(~)발가락
94 검지(~두째) 발가락 [신조어 ]
39 아킬래스건 Achilles tendon
27 새끼마디 [little finger-넉클knuckle]
550248
275
○ 2019_1004_162404_nik_ct31
○ 2019_1004_145635_nik_ab14
○ 2019_1004_170642_can_ct19
○ 2019_1004_164059_can_ct9
○ 2019_1004_163851_can_AR35
○ 2019_1004_150217_can_AR35
○ 2019_1004_142109_can_AR35
○ 2019_1004_170607_nik_AB7
○ 2019_1004_164904_can_bw19
○ 2019_1004_152756_can_exc
○ 2019_1004_152058_can_AB7
○ 2019_1004_162707_nik_CT38
○ 2019_1004_171349_can_Ab35
○ 2019_1004_170807_can_BW21
○ 2019_1004_134353_nik_BW17
○ 2019_1004_171301_nik_Ar26
○ 2019_1004_160104_nik_Ab27
○ 2019_1004_145804_can_BW17
○ 2019_1004_132831_can_Ar26
● [pt op tr] fr
_M#]
○ 2018_0722_120554_can_ab4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대반야바라밀다경_K0001_T0220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제43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5-12-17_대반야바라밀다경-K0001-430
https://blog.daum.net/thebest007/900
sfed--대반야바라밀다경_K0001_T0220.txt ☞제430권
sfd8--불교단상_2565_12.txt ☞◆voay1182
불기2565-12-17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12/2565-12-17-k0001-430.html
htmback--불기2565-12-17_대반야바라밀다경_K0001_T0220-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