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1년 12월 24일 금요일

불기2565-12-24_대반야바라밀다경-k0001-583


『대반야바라밀다경』
K0001
T0220

제583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대반야바라밀다경』 ♣0001-583♧




제583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8_1023_150756_can_Ar37_s12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18_1024_141813_can_AB7_s12 공주 칠갑산 장곡사


○ 2018_1024_141125_can_Ab35 공주 칠갑산 장곡사


○ 2020_1017_163651_can_ar13 삼각산 화계사


○ 2020_0930_144327_nik_AR6 화성 용주사


○ 2020_0930_135554_can_CT19 화성 용주사


○ 2020_0908_165519_can_ori_rs 합천 해인사 백련암


○ 2020_0907_162626_can_ar42 양산 통도사


○ 2020_0907_162146_can_Ab31 양산 통도사


○ 2020_0907_155217_can_ct9 양산 통도사


○ 2020_0907_134829_can_AB7 양산 통도사


○ 2020_0907_155343_nik_CT27 양산 통도사


○ 2020_0906_112509_nik_ar47 천축산 불영사


○ 2020_0905_154439_nik_AB7 오대산 적멸보궁


○ 2020_0905_140715_can_Ab27 오대산 상원사


○ 2020_0904_141010_can_BW17 원주 구룡사


○ 2020_0904_093006_nik_bw5 여주 신륵사


○ 2019_1201_151600_can_CT33 원주 구룡사


○ 2019_1105_164344_nik_Ab31_s12 순천 조계산 송광사

● [pt op tr] fr
_M#]



○ 2020_1017_154258_can_Ab35 삼각산 화계사



❋❋본문 ◎[개별논의]

★%★
『대반야바라밀다경』 ♣0001-583♧






◎◎[개별논의] ❋본문



From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4/2561-12-24-001_27.html

임시 =>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12/2565-12-05-k0650-024.html

임시2 =>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12/2565-12-24-k0001-583.html


○ 있음과 실답게 있음의 차이 


현실은 실답지 않다. 

그러나 이는 현실내용을 '전혀 얻지 못함'을 '의미하지 않는다'. 


생생하게 꿈을 꾸고 얻는다. 

그러나 꿈은 실답지 않다.

현실도 이런 경우와 마찬가지다. 


생사현실은 생생하고 명료하게 얻는다. 

감각현실은 매순간 생생하게 얻는다. 

그리고 분별을 명료하게 일으킨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바탕 실재에서 얻을 수 없다. 

그런 내용은 그런 조건에서 그처럼 일시적으로 일으켜 얻는 것 뿐이다. 


그래서 결국 꿈과 성격이 같다. 

따라서 현실은 꿈처럼 실답지 않다. 


현실에서 이런 사정을 잘 관하고 이해해야 한다. 

그리고 이에 집착하지 않아야 한다. 

그래야 그에 묶이지 않고 생사현실에서 벗어나올 수 있다. 


그래서 무언가가 '있다'는 것과 '실답게 있다'는 것이 어떤 의미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자. 




현실에서 존재가 문제되는 영역이 있다. 

이를 본 바탕인 실재 영역 - 감각현실영역 - 관념분별 영역으로 나눠보자. 


현실에서 한 주체는 감관을 통해 색성향미촉과 같은 감각현실을 얻는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관념분별을 일으켜 얻는다. 


예를 들어 눈을 떠서 무언가를 본다고 하자. 

그러면 그렇게 눈을 떠 얻는 내용은 감각한 내용들이다. 

그래서 이를 감각현실 영역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한편, 눈을 감더라도 마음으로 떠올려 생각하게 되는 내용이 있다. 

예를 들어 마음으로 도깨비를 떠올린다고 하자. 

이는 눈으로 보지 못하더라도 그처럼 생각해 내는 내용이다. 

그래서 이런 내용을 떠올리는 영역을 관념분별 영역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현실에서 한 주체는 이런 감각현실과 관념분별을 얻는다. 


한편, 한 주체와 관계없이 그대로 있다고 할 본 바탕의 내용을 또 생각할 수 있다. 

이것은 본 바탕인 실재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한 주체가 어떤 내용을 얻건 얻지 못하건 관계없는 내용이다. 


한편 이 어디인가에 꿈과는 성격이 달리, 참된 진짜가 있는가가 문제된다. 

즉 꿈과는 달리 늘 고정되어 변하지 않는 참된 실체가 있는가가 함께 문제된다. 


그래서 이들은 우선 다음과 같이 기호로 표시해보자. 


실재영역 # -  감각현실영역▽  - 관념분별영역  □



그리고 이들 영역에 어떤 내용이 얻어지면 그것을 다음처럼 표시해보자. 

현실에서 한 주체는 감각현실과 관념분별을 얻는다. 


그래서 그 내용을 다음처럼 표시할 수 있다. 

                     감각현실 ▼  - 관념분별 ■


그리고 이런 내용과 관련해서 참된 실체가 있는가를 살핀다고 하자. 

그래서 현실내용을 얻게 하는 참된 진짜로서, 고정 불변한 실체가 어느 영역에인가 있다고 하자. 

그렇다면 그것을 $ 라고 따로 표시해보자. 


○ 단순한 있음의 의미 


이제 현실에서 이들 내용을 이처럼 얻는다고 하자. 

그러면 그런 내용을 얻기에 '있다'라고 표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을 떠서 어떤 모습을 본다고 하자. 

그러면 그렇게 그런 모습을 보기에 그런 의미로 '있다'라고 표현하는 경우다. 


이 경우 없다는 다음을 의미한다. 

눈을 떴다. 그리고 주변환경도 밝다. 

그래서 무언가(예를 들어 바위나 나무)가 있다면 보일 것이다. 

그러나 그런 것이 보이지 않는다. 


평소 일상생활에서는 이런 뜻으로 있고 없음을 말한다. 


꿈 내용도 그런 의미로는 있다고 ㅎ야 한다. 

꿈을 꾸는 상황에서는 여하튼 그런 내용을 얻는다. 

따라서 그런 꿈은 그런 의미로 '있다'라고 할 수 있다. 


● 실답게 있음의 의미 


그런데 지금 주된 초점은 이들 내용이 과연 '실답게' 있는 내용인가이다. 


여기서 '실답게 있다'는 것은 단순히 있는 것과 다른 의미다. 

현실 내용은 현실에서 얻는다. => 있다. 

그렇지만, 그런 내용은 실답지 않다. => 그래서 '실답지 않게 있다'


이 경우 실답게 있음은 단순한 있음과는 어떤 다른 의미인가를  살펴보아야 한다. 


우선 관념분별을 놓고 생각해보자. 


실재영역 # -  감각현실영역▽  - 관념분별영역 □ 을 구분한다. 

이런 가운데 한 주체가 관념영역에서 관념을 떠올린다. 

그러면 그런 관념내용이 그런 측면에서는 있다고 해야 한다. 


자신이 안경을 찾을 때 안경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자신이 찾고자 하는 안경에 대한 생각은 하고 있다. 

그래서 관념영역에서 그런 관념은 그런 형태로는 '있다'고 표현하게 된다. 


현실에서 없을 것 같은 '도깨비'를 생각한다고 하자. 

또는 '뿔달린 토끼'나 '거북이털'도 사정이 같다. 

그런 내용을 현실에서 찾아볼 수 없다. 

그렇다해도 자신은 그런 생각을 마음으로 떠올릴 수 있다. 

따라서 그런 관념내용은 그런 측면에서 관념영역에는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상태를 기호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감각현실 ▽  - 관념분별 ■



그런데 어떤 관념내용 ■이 '실답게 있다'라고 표현하려 한다고 하자. 

그런 경우는 다음 의미를 나타낸다. 


실재영역 # -  감각현실영역▽  - 관념분별영역  □ 을 찾아본다. 

그러니, 그 관념분별 ■ 은 우선 감각현실영역▽에서도 그렇게 있다고 하자.  

더 나아가 본 바탕인 실재영역 #에서도 그렇게 있다고 하자. 

즉, 그 관념 ■은 실재영역 # -  감각현실영역▽  - 관념분별영역  □ 에서 모두 

■ -■ -■ 이런 상태로 있음을 의미한다. 

그런 경우 그 ■ 은 그 만큼 '실답게 있는 내용'이라 할 수 있다. 


만일 사정이 이렇다고 하자. 

그렇다면 이는 꿈이 실답지 않다라는 경우와 구별된다. 

자면서 바다나 황금꿈을 꾸었다. 

그러나 이들 내용은 침대에는 없다. 

그렇기에 실답지 않다고 한다. 

이런 상태와 구별된다. 


그런데 현실 사정이 그렇지 못하다. 

관념영역에서 관념내용을 명료하게는 얻는다. 

그러나 그 관념은 '실답게 있는 것이 아니다'

이는 사정이 위와 같지 않음을 나타낸다. 


현실에서 눈을 떠서 ▼과 같은 감각현실을 얻었다고 하자. 

그리고 이런 상태에서 관념영역에서 ■과 같은 관념내용을 일으켜 얻었다. 

그러나 관념내용 ■ 은 '실답게 있는 것이 아니다'

이 표현은 그런 ■ 을 그가 일으켜 얻지 못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런 ■ 은 명료하게 일으켜 얻었다. 

그러나 그 ■ 라는 내용은 그 영역에서 그렇게 일으킨 것일뿐이다. 

그렇지만, 다른 영역 예를 들어 실재영역 # -  감각현실영역▽ 등에서는 그런 내용을 얻지 못한다. 

그래서 다른 영역에서 얻지 못하는 내용을 그렇게 일으켜 얻은 것뿐이라는 뜻이다. 

즉 그 상태를 기호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실재 #  -  감각현실 ▼  - 관념분별 ■

그래서 이는 ■ -■ -■ 이런 상태가 아니다. 


그래서 '실답게 있고, 없음'의 문제와 

단순히 '있고, 없음'의 문제는 서로 성격이 다르다. 


어떤 관념■이 '실답게' 있고 없음을 논의한다고 하자. 

이런 경우 이는 다음에 초점을 맞추고 논의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관념분별 ■을 실답다고 잘못 여기는 입장이 있다.  

이 입장은 관념내용 ■은 단순히 관념영역에서만 있는 것이 아님을 주장한다. 

즉, 다른 영역에서도 '얻어진다' 

그리고 다른 영역에도 그런 내용이 그렇게 '있음'을 주장하는 것이다. 

우선 얻어진 감각현실▼에 ■ 과 같은 내용이 그처럼 있다고 잘못 여긴다. 

또 실재영역 # 에도  ■과 같은 내용이 그처럼 있다고 여긴다. 

즉, 그것은 실재영역 # -  감각현실영역▽  - 관념분별영역  □ 에서 

■ -■ -■ 이런 상태로 ■이 있음을 의미한다. 

그래서 각 영역에 그런 ■이 그처럼 있다고 잘못 분별한다. 

따라서 ■ 을 '실답게 있다'고 잘못 여기게 된다. 




반대로 ■ 관념내용이 실답게 있음을 부정하는 입장은 다음 입장이다. 

이 입장은 현실에서 ■과 같은 관념내용을 일으켜 얻지 못함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 관념내용 ■은 관념영역에서는 그렇게 일으켜 얻고 있다. 

그리고 그런 의미에서 그런 관념 ■은 있는 것이다. 

다만, 다른 각 영역에서 ■ 과 같은 관념내용을 얻을 수 없음을 지적하는 것 뿐이다. 

즉 다른 영역에서는 얻어지지 않는 내용을 그렇게 관념영역에서 일으킨 것뿐임을 의미한다. 

그러나 다른 영역에서는 그런 내용을 얻을 수 없다. 

그런 사정으로 실답지 않다고 한다. 

예를 들어 도깨비나 토끼의 뿔이나, 거북이털과 같은 관념의 경우와 같다. 


즉, 관념내용 ■은 본 바탕인 실재 영역 ○에서도 얻어지지 않는다. 

또 감각현실 영역 ▽에서도 얻어지지 않는다. 

또 ▼과 같은 구체적 감각현실 내용에 그런 관념내용■ 은 얻을 수 없다.  


또 본 바탕인 실재 #영역도 마찬가지다. 

실재 #영역에서 그런 관념내용 ■을 얻을 수 없다. 

이런 내용을 기본적으로 제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다음 내용들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다. 

우선 그 상황에서 그런 관념 ■ 자체를 얻지 못한다고 지적하는 것이 아니다. 

또, 그 상황에서 감각현실을 얻지 못함을 지적하는 것도 아니다. 

감각현실 영역에서는 ▼과 같은 감각현실을 얻는다. 

다만 감각현실 영역에 ■ 내용을 얻을 수 없음을 지적하는 것이다. 


한편,  이는 실재 #에 어떤 내용도 전혀 아무것도 없음을 지적하는 것이 아니다. 

다만, 실재 #영역에서 그런 관념내용 ■을 끝내 얻을 수 없음을 지적하는 것 뿐이다. 


실재 영역 #에서는 본래 어떤 주체가 그 내용을 끝내 직접 얻어낼 수 없다. 

각 주체는 오직 마음의 관계해 화합해 얻어낸 내용만 얻기 때문이다. 

그런데 관념 ■은 한 주체의 마음안에서 얻어 내는 내용이다. 

따라서, 결국 ■은 실재의 지위에 있는 내용이 아니다. 

그리고 실재 영역에서는 ■과 같은 내용은 본래 얻어낼 수 없는 것이다. 


즉 현실에서 일으키는 관념 ■은 다음과 같은 것이다. 

그것은 명료하게 현실에서 일으켜 얻는다. 

그러나 이들 내용은 다른 영역에서는 얻지 못하는 그런 내용이다. 

그런 내용을 관념영역에서 일으켜 얻는 것 뿐이다. 

따라서 관념 ■은 '실답게' 있는 내용이 아님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논의가 현실에서 갖는 의미는 다음이다. 


관념 ■은 '실답게' 있는 내용이 아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관념이 실답다라고 잘못된 망상분별을 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자신이 관념■을 일으킨다고 하자. 

그런데 각 영역에 그런 ■은 얻을 수 없다. 

그런데도 다른 영역에도 그런 내용■이 있다고 잘못 여기게 된다. 

때문에 그런 관념내용 ■을 실답다고 잘못 여기게 된다.

그렇기에 이를 망상분별이라고 표현한다. 

즉 얻을 수 없는 것을 '있다'고 잘못된 판단[망상분별]을 한다.  

=> 그래서 어떤 a 를 실다운 것으로 잘못 여긴다. 


그러면 그 내용을 집착하게끔 된다. 

그러면 그런 바탕에서 매 상황에 반응할 수 밖에 없게 된다. 

그래서 그런 바탕에서 매 상황에서 일정한 업을 할 도리 밖에는 없게 된다. 


그러면 그런 바탕에서 그 주체는 이후 반복해서 생사고통을 겪어 나가게 된다. 

본래 각 영역에서 그런 생사고통을 얻을 수 없다. 

그리고 생사고통은 본래 실다운 것이 아니다. 

그럼에도 그는 망집에 바탕해 그것이 실답게 있다고 여긴다. 

그런 상태에서 생사고통을 생생하고 명료하게 무량하게 겪어 나간다. 

이것이 생사현실의 문제다. [ 혹- 업 - 고 ] 


그런데 현실에서 이런 생사고통을 벗어나야 한다. 

그런데 생사고통 문제를 해결하려면 원인단계에서 제거해 해결하는 것이 낫다. 

따라서 근본 바탕이 되는 망상분별을 잘 제거해야 함을 제시하게 된다. 


그래서 관념분별■ 은 '실답게 있음'을 부정하게 된다. 



◧◧◧ para-end-return ◧◧◧







★1★





◆vlks1916

◈Lab value 불기2565/12/24


○ [pt op tr] Renoir young-woman-at-the-piano-1876
[#M_▶더보기|◀접기|
Artist: Pierre-Auguste Renoir
https://en.wikipedia.org/wiki/Pierre-Auguste_Renoir
Title : young-woman-at-the-piano-1876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Ernst-Ludwig-Kirchner-hamburg-dancers.jpg!HD
[#M_▶더보기|◀접기|
Artist: Ernst-Ludwig-Kirchner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18_0419_134757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Galway_Mayo_Institute_of_Technology_(GMIT)_-_geograph.org.uk_-_1252837
[#M_▶더보기|◀접기|
English: Galway Mayo Institute of Technology (GMIT) 
Author Graham Horn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포트 브로턴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Juliette Greco - Paname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12/2565-12-24-k0001-583.html#1916
sfed--대반야바라밀다경_K0001_T0220.txt ☞제583권
sfd8--불교단상_2565_12.txt ☞◆vlks1916
불기2565-12-24
θθ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또는 오정심관위(五停心觀位). 삼현위(三賢位)의 하나. 불도 수행에 의하여 최초에 얻는 지위. 이 지위에서는 5정심관을 닦아 탐심 많고 산란한 마음 등을 조화하여 차례로 나아가 성인의 지위에 들어가므로 이렇게 이름함.

답 후보
● 오정심위(五停心位)
오취생사륜(五趣生死輪)

오하분결(五下分結)
왕생(往生)
외연(外緣)
요설변재(樂說辯才)
욕계(欲界)


 여섯 방위. 동ㆍ서ㆍ남ㆍ북ㆍ상ㆍ하.

답 후보
● 육방(六方)
육염심(六染心)
육인(六因)

육종아라한(六種阿羅漢)
육합석(六合釋)
율(律)
율장(律藏)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Maurice Chevalier - Fleur De Paris
Claude Dubois - Chatoune
Dalida - Le Torrent
Salvatore Adamo - Je T'aimais
Renan Luce - Femme Lunettes
Patrick Bruel - J'roule Vers Toi
Mireille Mathieu - So Leb Dein Leben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Chaitya Bhoomi
[san-chn] upasaṃharaṇatā 施與, 能施
[san-eng] tadiha $ 범어 tat.h+iha, that+here
[pali-chn] kāmesu micchācāra 邪淫
[pal-eng] sandhaaraka $ 팔리어 adj.bearing; restraining.
[Eng-Ch-Eng] 功用 (1) Effort. (2) The function of bodily action, speech and thought (vya^pa^ra). (3) Function, activity, ability (sa^marthya). (4) The efficacy of practice.
[Muller-jpn-Eng] 梵衆天 ボンシュテン heaven of the followers of Brahma
[Glossary_of_Buddhism-Eng] PREDICTION OF BUDDHAHOOD☞
Syn: Prophecy of Buddhahood.
“Prophecy of attainment of Buddhahood in a future existence
given by a Buddha to some close disciples. In certain cases, the
Buddha also reveals the name and type of Buddha-land the disciple
will preside over. The Lotus Sutra contains many such prophecies.”
xxx: na #2168

[fra-eng] saigner $ 불어 bleed


■ 암산퀴즈


115* 360
435942 / 598


■ 다라니퀴즈

자비주 46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34 번째는?




46
만약 성문 구하는 사람이
이 다라니를 듣고
한 번 귀에
스쳐가거나,
이 다라니를 쓰고
순수하고 곧은 마음으로 여법하게 수행하면,
네가지 성문과를 구하지 아니하여도
자연히 얻게 되느니라.
● 못자야못쟈야(모지야모지야) 菩提夜菩提夜<四十六> bo dhi ya bo dhi ya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34
아감 모나나 건 자나바바 사
惹敢<二合>母曩那<引>建<引>左曩嚩婆<引>娑<三十四>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358일째]
엄정불찰불가설 $ 100■ ■嚴 諸清不不十 此此如如一
100▲ 烏波跋多烏波跋多為 一 ● 演說, ○□□□□,修,長,一,諸

□□□□□□□, 修行諸力不可說,
長時修習不可說, 一念悟解不可說,
□□□□□□□, 수행제력불가설,
장시수습불가설, 일념오해불가설,

부처 세계 장엄함을 말할 수 없고
모든 힘 수행함을 말할 수 없고
오랜 세월 수행함을 말할 수 없고
한 생각에 깨달음을 말할 수 없고



[359째]
제불자재불가설 $ 101▲演說演說為 一 ● 無盡, ○□□□□,廣,種,示,清

□□□□□□□, 廣演正法不可說,
種種神力不可說, 示現世間不可說,
□□□□□□□, 광연정법불가설,
종종신력불가설, 시현세간불가설,

부처님의 자재하심 말할 수 없고
바른 법 연설함을 말할 수 없고
가지가지 신통한 힘 말할 수 없고
세간에 나타나심 말할 수 없고





●K0009_T0225.txt★ ∴≪A대명도경≫_≪K0009≫_≪T0225≫
●K0001_T0220.txt★ ∴≪A대반야바라밀다경≫_≪K0001≫_≪T0220≫
●K0105_T0374.txt★ ∴≪A대반열반경≫_≪K0105≫_≪T0374≫

법수_암기방안


100 네이블navel, 옴파로스Ompharos 臍 【배꼽 제】 / 벨리버튼belly button,
101 클래비클 Clavicle 鎖骨 【쇄골】
46 발 곡면 [신조어] 곡면( Arch)
34 복숭아뼈 [멀리 얼어스 malleolus]

41400
729

○ 2020_1125_144422_nik_Ab35


○ 2019_0801_091153_nik_AB7_s12


○ 2019_0801_080941_can_Ar28_s12


○ 2019_0731_174942_can_bw0_s12


○ 2019_0113_141439_nik_CT27


○ 2019_0113_140049_nik_Ar37_s12


○ 2019_0113_133323_nik_ar9


○ 2019_0113_124437_can_ar1


○ 2019_0113_122710_can_bw4_s12


○ 2019_0113_121507_can_AR25


○ 2019_0113_111703_nik_Ab31


○ 2019_1104_161615_nik_ct8 


○ 2018_1022_134037_can_ct19


○ 2020_0930_135047_nik_AB7


○ 2020_0909_162613_nik_Ab31 



○ 2018_1024_142703_nik_BW17 


○ 2020_0906_110837_can_CT27


○ 2019_1105_131209_can_ar10


○ 2019_1106_152329_can_Ar28

● [pt op tr] fr
_M#]



○ 2020_0909_142915_can_CT33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대반야바라밀다경_K0001_T0220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대반야바라밀다경』 ♣0001-583♧
[관련키워드]
제583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5-12-24_대반야바라밀다경-K0001-583
https://blog.daum.net/thebest007/906
sfed--대반야바라밀다경_K0001_T0220.txt ☞제583권
sfd8--불교단상_2565_12.txt ☞◆vlks1916
불기2565-12-24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12/2565-12-24-k0001-583.html
htmback--불기2565-12-24_대반야바라밀다경_K0001_T0220-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