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바보살석능가경중외도소승열반론』
K0642
T1640
제바보살석능가경중외도소승열반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제바보살석능가경중외도소승열반론』
♣0642-001♧
제바보살석능가경중외도소승열반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6_153158_nik_ct8
○ 2019_1106_153507_nik_AR35_s12
○ 2019_1105_120503_can_fix
○ 2019_1105_154837_can_ct9_s12
○ 2019_1201_151425_can_BW17
○ 2020_0906_124535_can_ct18
○ 2020_0908_154431_can_ar47
○ 2020_0910_113155_nik_CT27
○ 2020_0910_130038_can_CT33
○ 2020_0910_132839_can_ct18
○ 2020_0908_174141_can_ct9
○ 2020_0930_140006_nik_CT9
○ 2020_1017_155143_nik_CT38_s12
○ 2020_1017_155644_can_BW22
○ 2018_1022_173215_can_CT33_s12
○ 2018_1024_142422_nik_ct19
○ 2018_1023_122309_can_CT27
○ 2018_1023_141853_can_ab41_s12
○ 2019_1104_131657_can_Ar26_s12
● [pt op tr] fr
_M#]
○ 2020_0910_133006_can_CT27
❋❋본문 ♥ ◎[개별논의]
★%★
『제바보살석능가경중외도소승열반론』
♣0642-001♧
◎◎[개별논의] ♥ ❋본문
★1★
◆vgde9051
◈Lab value 불기2567/07/20 |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2021_1112_151702_can_ar47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New York metropolitan area, U.S.A
Eddy Mitchell - Couleur Menthe A Leau
♥단상♥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3/07/2567-07-20-k0642-001.html#9051 sfed--제바보살석능가경중외도소승열반론_K0642_T1640.txt ☞제바보살석능가경중외도소승열반 sfd8--불교단상_2567_07.txt ☞◆vgde9051 불기2567-07-20 θθ |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3성(性)의 하나.
변계는 이리저리 억측[周遍計度]한다는 뜻,
계탁(計度)은 자기의 감정과 욕망에서 시비선악(是非善惡)의 차별적 집착을 일으키는 것.
또 이 집착은 일체 사물에 대하여 주관적 색채를 띠고 보는 것이므로 주변이라 한다.
소집은 변계에 의하여 잘못 보이는 대상, 곧 주관의 색안경을 쓰고서 대상을 올바르게 보지 못하고, 언제든지 잘못 분별하는 것을 변계소집이라 한다.
이 능변계(能遍計)하는 마음이 소변계(所遍計)의 법을 망녕되이 집착할 때 그 망정(妄情) 앞에 나타나는 그림자를 변계소집성이라 한다.
곧 망정으로 아(我)가 아니며, 법(法)이 아닌 것을 아요 법이라고 집착할 적에 나타나는 실아(實我)ㆍ실법(實法)이라는 모양을 말함.
그러나 이것은 주관인 망정으로만 실(實)이라 하는 것이고
객관인 이(理)로는 없는 것이므로 정유이무(情有理無)라 한다.
또 전혀 실재성이 없는 것이므로 체성도무(體性都無)라 한다.
또 실재가 아닐 뿐만 아니라 가유(假有)도 아니므로 망유(妄有)라 하고,
잠간 있는 주관의 망정에만 있는 것이므로 당정현상(當情現相)이라 하고,
주관의 망정이 그 주관과 객관 사이에 잘못 그려 놓은 그림자이므로 중간존경(中間存境)이라 함.
비유하면 길에 놓여진 노끈을 뱀인 줄 잘못 볼 적에 노끈은 소변계,
뱀이라고 분별하는 마음은 능변계,
그 때에 눈 앞에 떠오르는 뱀의 그림자는 변계소집성임.
답 후보
●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
변집견(邊執見)
변화토(變化土)
별상념주위(別相念住位)
병사왕(洴沙王)
보리류지(菩提流支)
보문품(普門品)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La compagnie creole - Ca fait rire les oiseaux
Calogero - Yalla
Indochine - Le grand soir
Fernandel - Felicie Aussi
Julien Clerc - 4 Heures Du Matin live
Charles Aznavour - Te Espero
Daniel Balavoine - Un Autre Mond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示 ■ ( 보일 시 / 땅귀신 기, 둘 치 )
045▲ 世示礻矢市 ■ 세시시시시 45 ( 인간 세/ 대 세 )( 보일 시 / 땅귀신 기, 둘 치 )( 보일시변 시 )( 화살 시 )( 저자 시/ 상품을 팔고 사는 시장, 장사 시 )
006▲ 十乂又二人 ■ 십예우이인 6 ( 열 십 )( 벨 예 / 징계할 애 )( 또 우 / 용서할 유 )( 두 이 )( 사람 인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Four Great Elements
[san-chn] dṛḍhâdhyāśayatā 志意堅固
[san-eng] vaśaṃ $ 범어 control
[pali-chn] tisso sikkhā 三學
[pal-eng] sankhaku.t.thii $ 팔리어 m.one who is suffering with white crab.
[Eng-Ch-Eng] 動轉 Movement and change (transformation).
[Muller-jpn-Eng] 眞興王 シンコウオウ (person) Chinhŭng Wang
[Glossary_of_Buddhism-Eng] TEN SINS☞
See: Ten Evil Deeds.
[fra-eng] stimula $ 불어 stimulated
■ 암산퀴즈
73* 683
159640 / 260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6 번째는?
자비주 45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93 번째는?
06 무병(無病)하도록 증장시키며,
암바라참포, 菴跋洛讖蒱<六>
ambara ksam bhu.
정취(情趣) 지장,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45
또 삼천대천 세계에
암흑처의 삼악도 중생이
나의 이 주문을 들으면
다 괴로움을 여의게 되고,
모든 보살 가운데 초지에
오르지 못한 자는
속히 오르게 되고
내지 십주지(十住地)도 이르게 되고,
또 불지(佛地)에도 이르러
자연히 삼십이상(三十二相)과
팔십(八十)가지 좋은 형상을 성취하게 되며,
● 소로소로 蘇嚧蘇嚧<四十五> su ru su ru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93
사마리 뎨만다
娑沒哩<三合>諦滿哆<九十三>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201일째]
기대정진불가설 $ 072▲窣步羅窣步羅為 一 ● 泥羅, ○□□□□,其,不,不,一
□□□□□□□, 其心過去不可說,
不退轉心不可說, 不傾動心不可說,
□□□□□□□, 기심과거불가설,
불퇴전심불가설, 불경동심불가설,
起大精進不可說,
큰 정진 일으킴을 말할 수 없고
그 마음 지나간 일 말할 수 없고
물러나지 않는 마음 말할 수 없고
흔들리지 않는 마음 말할 수 없고
[202째]
일체정장불가설 $ 073▲泥羅泥羅為 一 ● 計羅, ○□□□□,觀,寂,了,智
□□□□□□□, 觀察諸法不可說,
寂然在定不可說, 了達諸禪不可說,
□□□□□□□, 관찰제법불가설,
적연재정불가설, 료달제선불가설,
一切定藏不可說,
갖가지 선정의 광 말할 수 없고
모든 법 관찰함도 말할 수 없고
고요히 정에 있음 말할 수 없고
모든 선정 통달함을 말할 수 없고
●K1420_T1658.txt★ ∴≪A제교결정명의론≫_≪K1420≫_≪T1658≫
●K0642_T1640.txt★ ∴≪A제바보살석능가경중외도소승열반론≫_≪K0642≫_≪T1640≫
●K1040_T2048.txt★ ∴≪A제바보살전≫_≪K1040≫_≪T2048≫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풀무 호흡
49859
614
법수_암기방안
73 소지 (~새끼)
6 쇄골 【쇄골】
45 발등 instep / top (side) of the foot
93 엄지(~)발가락
72 소지첫마디 = 손 허리뼈 / (=-매타카펄 metacarpal )
1 빗장뼈[=쇄골]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7_0720_224627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10) 병사왕이 음식을 좋아하여 죽어서 사천왕천(四天王天)에 태어나다
병사왕이 목련(目連)에게 물었다.
“어느 하늘에 좋은 음식이 있습니까?”
“사천왕천입니다.”
곧 ‘먼저 이 하늘에 났다가 뒤에 도솔에 태어날 것’을 생각하고는 목숨을 마치자,
비사문왕(毘沙門王)의 태자 최승자(最勝子)로 태어났다.
세 손[三手]이 생긴 중생이므로 코끼리라 이름한다’고 하였다.
“무엇 때문에 사람을 말하면서 혹은 마후륵이라 하기도 하고,
혹은 코끼리라고도 합니까?”
대답하였다.
“저 중생을 증험하건대,
광음천(光音天)으로부터 해서 마지막에는 여기에 태어났는데,
그 때에는 축생으로 났지만 형상만은 사람과 같았습니다.
음식이 나쁘고 뜻이 나쁘고 교묘한 속임수가 더욱 많아졌기 때문에
형상은 마치 두꺼비와 같습니다.”
.
출전:
한글대장경 K1050_T2121
경율이상(經律異相) 양 보창등집
經律異相 【梁 寶唱等集】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 20170406174703_%25EC%259C%25A0%25EB%25A6%25AC%25EC%25A1%25B0%25EA%25B0%2581_ct9
○ 2017_0514_160013_can_ct19
○ 2018_0418_121530_can_ct38
○ 2018_0722_151948_can_AB7
○ 2019_0405_154436_nik_exc
○ 2020_0606_132945_can
○ 2020_1114_133930_can_ab41_s12
○ 2018_1023_165847_can_Ab31
○ 2018_1024_141703_can_Ar12
○ 2019_0113_121107_can_ab41_s12
○ 2020_1125_143951_nik_BW25_s12
○ 2019_1104_112431_nik_ct14
○ 2021_0717_164844_nik_ar47_서울 동대문디자인센터
○ 2021_1002_180422_can_bw24경주_함월산_골굴사
○ 2021_1003_151957_nik_BW17밀양_삼량진_금오산_여여정사
○ 2021_1006_193414_can_exc영광_모악산_불갑사
○ 2021_1007_133255_can_ar31_s12부안_능가산_내소사
○ 2021_0215_125049_nik_exc_s12용인_문수산_법륜사
● [pt op tr] fr
_M#]
○ 2021_0320_140331_can_exc_s12포천_왕방산_왕산사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제바보살석능가경중외도소승열반론_K0642_T1640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제바보살석능가경중외도소승열반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7-07-20_제바보살석능가경중외도소승열반론-K0642-001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3/07/2567-07-20-k0642-001.html
sfed--제바보살석능가경중외도소승열반론_K0642_T1640.txt ☞제바보살석능가경중외도소승열반
sfd8--불교단상_2567_07.txt ☞◆vgde9051
불기2567-07-20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161914633
https://buddhism007.tistory.com/18291
htmback--불기2567-07-20_제바보살석능가경중외도소승열반론_K0642_T1640-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