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3년 7월 27일 목요일

불기2567-07-27_종경록-k1499-008


『종경록』
K1499
T2016

제8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종경록』 ♣1499-008♧




제8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6_153617_nik_fix 화순 계당산 쌍봉사


○ 2019_1106_153437_can_ar45_s12 화순 계당산 쌍봉사


○ 2019_1105_134504_can_ar38 순천 조계산 선암사


○ 2020_0904_140426_nik_BW28 원주 구룡사


○ 2020_0905_105101_nik_ar47 오대산 월정사


○ 2020_0905_120317_can_BW27 오대산 월정사


○ 2020_0906_112549_nik_ct26 천축산 불영사


○ 2020_0908_155654_nik_ar43 합천 해인사


○ 2020_0908_163448_nik_Ab31 합천 해인사


○ 2020_0910_155801_can_ct18 속리산 법주사


○ 2020_0930_144142_can_AB4 화성 용주사


○ 2020_1017_153844_can_Ab35 삼각산 화계사


○ 2020_1017_160440_can_BW22 삼각산 화계사


○ 2018_1022_140210_nik_Ar37_s12 공주 계룡산 갑사


○ 2018_1023_144644_can_ct8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18_1023_153339_can_ar24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20_1114_135806_can_ar24 삼각산 도선사


○ 2019_1104_172133_can_ct18 구례 지리산 연곡사


○ 2019_1104_101331_nik_ct19_s12 구례 화엄사

● [pt op tr] fr
_M#]



○ 2020_0908_163538_can_ct30 합천 해인사


❋❋본문 ◎[개별논의]

★%★
『종경록』 ♣1499-008♧






◎◎[개별논의] ❋본문









★1★





◆vnkh5835

◈Lab value 불기2567/07/27


○ 2020_1114_153612_can_BW25_s12.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Giovanni-Battista-Piranesi-vedute-di-roma-26.jpg!HD
[#M_▶더보기|◀접기|
Artist: Giovanni-Battista-Piranesi

from https://en.wikipedia.org/wiki/Giovanni_Battista_Piranesi
Title : vedute-di-roma-26.jpg!HD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20_0525_185748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Tuvalu_Meteorology_Service
[#M_▶더보기|◀접기|

English: Tuvalu Meteorological Service in Funafuti looking east.
uthor Davidarfonjones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uruguay--maldonado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상세정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5/uruguay-maldonado.html

Patricia Kaas - Mon Mec A Moi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3/07/2567-07-27-k1499-008.html#5835
sfed--종경록_K1499_T2016.txt ☞제8권
sfd8--불교단상_2567_07.txt ☞◆vnkh5835
불기2567-07-27
θθ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범】jāmbūnada-suvarṇa 염부날다(閻浮捺陀)ㆍ염부나단(閻浮那檀)ㆍ섬부날다(贍部捺陀)라 음역. 염부는 나무 이름. 단은 강ㆍ바다란 뜻. 염부나무 밑으로 흐르는 강에서 나는 사금.

답 후보
● 염부단금(閻浮檀金)
염불회향(念佛廻向)
염착(染着)
영험(靈驗)
예찬(禮讚)

오경(五境)
오교(五敎)


 4무기(無記)의 하나. 몸과 입으로 하는 여러 가지 기예(伎藝). 이를테면 장난감을 만들고, 그림을 그리고, 소리를 하고, 시늉을 하는 따위를 할 때의 마음이 무기인 것. 공교(工巧) 중에는 선(善)과 불선(不善)도 있지만은 그것은 제함.

답 후보
● 공교무기(工巧無記)
공안(公案)
공유무애종(空有無礙宗)
공해(空海)
과(果)

관부사의경(觀不思議境)
관음(觀音)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Charles Aznavour - Les Comediens
Mireille Mathieu - Bring The Wine (With Paul Anka)
Michel Berger - La Bonne Musique
Miossec - Ce Qui Nous Atteint
Guillaume Cantillon - On A Tout Reussi
Guy Marchand - Le Knack
Guy Marchand - Broadway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艮 ■ ( 괘 이름 간 / 그칠 간, 은 은 )
052▲ 兄乎禾各艮 ■ 형호화각간 52 ( 형 형 / 두려워할 황 ) ( 어조사 호 / ~느냐? ~랴! ) ( 벼 화 / 말 이빨의 수효 수 )( 각각 각 )( 괘 이름 간 / 그칠 간, 은 은 )
013▲ 彡上夕小尸 ■ 삼상석소시 13ㅡ 털 위의 세계에도 밤이 작게 있고 주검도 있다. ( 터럭 삼 / 성씨 섬 )( 윗 상 )( 저녁 석 / 사람 이름 역, 한 움큼 샤 )( 작을 소 )( 주검 시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Dharmaguptaka
[san-chn] āstāro kaṭhina-cīvaro 受迦絺那衣
[san-eng] uttama $ 범어 exceptional
[pali-chn] āloka 覺
[pal-eng] parika.d.dhana $ 팔리어 nt.drawing over; dragging.
[Eng-Ch-Eng] Compilation of Examinations of and Verses on Ancient Precedents 禪門拈頌集
[Muller-jpn-Eng] 充滿一切智 シュウマンイッサイチ understanding of ubiquity
[Glossary_of_Buddhism-Eng] LIBERATION IN ONE LIFETIME☞
See also: Rebirth in the Pure Land.
“In this Dharma-Ending Age, if we practice other methods without following Pure Land at the same time, it is difficult to attain
emancipation in this very lifetime. If emancipation is not achieved in
this lifetime, deluded as we are on the path of Birth and Death, all
of our crucial vows will become empty thoughts. This is a cardinal
point which the cultivator should keep in mind. Those practitioners
who follow other schools, stressing only self-help and a firm, neverchanging mind, believe that we should just pursue our cultivation
life after life. Even if we do not achieve emancipation in this life, we
shall certainly do so in a future lifetime. However, there is one thing
we should consider: Do we have any firm assurances that in the
next lifetime, we will continue cultivating? For, if we have not yet
attained Enlightenment, we are bound to be deluded upon rebirth,
easily forgetting the vow to cultivate which we made in our previous
lifetimes. Moreover, in this world, conditions favoring progress in the
Way are few, while the opportunities for retrogression are many. How
many monks and nuns have failed to pursue their cultivation upon
rebirth…? The sutras state: ‘Even Bodhisattvas are deluded in the
bardo stage, even Sravakas are deluded at birth.’ … In the interval
between the end of this current life and the beginning of the next life,
even Bodhisattvas are subject to delusion, if they have not yet attained
[a high degree of] Enlightenment. Another passage in the sutras
states: ‘Common mortals are confused and deluded when they enter
the womb, reside in the womb, and exit from the womb. Celestial
kings, thanks to their merits, are awake upon entering the womb, but
are confused and deluded when residing in or exiting from the womb.
Sravakas are awake when they enter and reside in the womb; however, they are confused and deluded when they exit from the womb.
Only those Bodhisattvas who have attained the Tolerance of NonBirth are always awake – entering, residing in, and exiting from the
womb.’ In a few instances, ordinary people, because of special karmic
conditions, are able to remember their previous lives, but these are
very rare occurrences. Or else, they could be Bodhisattvas who took
human form in order to demonstrate the existence of transmigration
to sentient beings. Otherwise, all sentient beings are deluded when
they pass from one life to another. When they are in such a state, all
their knowledge of the Dharma and their great vows from previous
lives are hidden by delusion and often forgotten. This author recalls
the story of a Dharma colleague. In his youth, each time he happened
to be dreaming, he would see himself floating freely, high up in the
air, travelling everywhere. As he grew older, he could only float lower
and lower, until he could no longer float at all. In the commentary
Guide to Buddhism, there is the story of a layman who, at the age of
four or five, could see everything by night as clearly as in the daytime.
As the years went by, this faculty diminished. From the age of ten
onward, he could no longer see in the dark, except that from time to
time, if he happened to wake up in the middle of the night, he might
see clearly for a few seconds. After his seventeenth birthday, he could
experience this special faculty only once every two or three years;
however, his special sight would be merely a flash before dying out.
Such persons had cultivated in their previous lives. However, when
they were reborn on this earth they became deluded, and then, as
their attachments grew deeper, their special faculties diminished.
There are similar cases of persons who can see everything clearly for
a few dozen miles around them. Others can see things underground,
through walls, or in people’s pockets.
However, if they do not pursue cultivation, their special faculties diminish with time and, in the end, they become just like everyone else.
Some persons, having read a book once, can close it and recite every
line without a single mistake. Others have a special gift for poetry, so
that whatever they say or write turns poetic. However, if they do not
pursue cultivation, they sometimes end by rejecting the Dharma. An
eminent Master once commented that such persons had practiced
meditation in their previous lives to a rather high level and reached a
certain degree of attainment. However, following the Zen tradition,
they sought only immediate awakening to the True Nature, severing
attachment to the concepts of Buddha and Dharma (i.e., letting the
mind be empty, recognizing no Buddha and no Dharma). Therefore,
those who failed to attain Enlightenment were bound to undergo
rebirth in the Triple Realm, whereupon, relying on their mundane
intelligence, they sometimes became critical of Buddhism. Even true
cultivators in the past were thus; how would today’s practitioners
fare compared to them? As Buddha Sakyamuni predicted, ‘In the
harma-Ending Age, cultivators are numerous, but those who can
achieve Supreme Enlightenment are few.’ And, not having achieved
it, even with bad karma as light as a fine silk thread, they are subject
to Birth and Death. Although there may be a few cultivators who
have awakened to the Way, being awakened is different from attaining Supreme Enlightenment. During rebirth, they are bound to be
deluded and unfree. In subsequent lifetimes, there may be few conditions for progress and many opportunities for retrogression, making it
difficult to preserve the vow of liberation intact.”
Tam: 49-52

[fra-eng] résulter $ 불어 result


■ 암산퀴즈


135* 440
471231 / 563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13 번째는?
자비주 52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100 번째는?




13 부처님의 설법을 많이 듣는 일을 증장시키며,
비바 로가스바참포, 毘婆<縛迦反>路迦插婆讖蒱<十三>
vyavaloka ksapa ksam bhu,
일일관찰 지장,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52
또 이 주문 외우고 지니는 자가
입으로 하는 말이
좋은 말이든 나쁜 말이든
일체 천마(天魔)나
외도(外道)와 용과 신이 모든 귀신이 들으면
다 청정한 법음으로 듣게 되어
다 이 사람에게
공경하는 마음을 내어
부처님과 같이 존경하리라.
● 사바하 娑婆訶<五十二> s vā hā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100
아리타 남 미잉 다 라
阿哩他<二合引>喃<引>尾孕<二合>哆<引>囉<一百>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208일째]
피제신력불가설 $ 079▲謎魯陀謎魯陀為 一 ● 契魯陀, ○□□□□,彼,入,念,無

□□□□□□□, 彼諸方便不可說,
入空寂智不可說, 念念相續不可說,
□□□□□□□, 피제방편불가설,
입공적지불가설, 념념상속불가설,

彼諸神力不可說,
저 모든 신통의 힘 말할 수 없고
저 모든 방편들도 말할 수 없고
고요한 지혜에 듦 말할 수 없고
생각생각 계속함을 말할 수 없고


[209째]
무량행문불가설 $ 080■ ■無 諸種了知變 示一勇清成
080▲ 契魯陀契魯陀為 一 ● 摩覩羅, ○□□□□,念,諸,悉,諸

□□□□□□□, 念念恒住不可說,
諸佛剎海不可說, 悉能往詣不可說,
□□□□□□□, 념념항주불가설,
제불찰해불가설, 실능왕예불가설,

無量行門不可說,
한량없는 수행의 문 말할 수 없고
생각생각 머무름을 말할 수 없고
부처님의 세계해도 말할 수 없고
거기마다 나아감을 말할 수 없고





●K0335_T1343.txt★ ∴≪A존승보살소문일체제법입무량문다라니경≫_≪K0335≫_≪T1343≫
●K1499_T2016.txt★ ∴≪A종경록≫_≪K1499≫_≪T2016≫
●K0318_T1337.txt★ ∴≪A종종잡주경≫_≪K0318≫_≪T1337≫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두 다리 펴 허리 비틀기

59400
837
법수_암기방안


80 거골[=발목뼈중 가장 윗뼈]
13 노뼈 [radius]
52 눈 eye 眼 【안】

100 네이블navel, 옴파로스Ompharos 臍 【배꼽 제】 / 벨리버튼belly button,
79 검지 식지 (~집게)
8 큰 창자,【대장】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7_0727_184753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백연경(百緣經)』에서 말하였다.


“부처님께서 이 세상에 살고 계셨을 적에 사위성에 어떤 장자가 있었는데,
그는 재산과 보물이 한량없어서 이루 다 헤아릴 수가 없었다.
그 아내가 한 사내 아이를 낳았는데,
모습이 단정하고 빼어나며 미묘하여 세상에 보기 드문 인물이 있다.
그 아이가 태어나던 날에 하늘에선 큰 비가 내렸다.
부모는 매우 기뻐하면서 온 나라에 소문을 내고 관상쟁이를 불러 아이의 상을 점치게 하여 착한 인물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로 인하여 그 아이의 이름을 야사밀다(耶奢蜜多)라고 지었다.
그 아이는 젖을 먹지 않았는데 그 아이의 어금니 사이에서 저절로 여덟 가지 공덕수(功德水)가 솟아나와 그것으로 스스로를 충족시켰다.
그 아이는 점점 장대(長大)해지자 부처님을 뵙고 출가하여 아라한과(阿羅漢果)를 증득하였다.
그러자 여러 하늘들과 세상 사람들이 그를 보고는 공경하고 추앙하였다.
그 때 여러 비구들이 이런 일을을 보고 나서 부처님께 과거세에 지은 복의 인연에 대하여 설명해 주기를 청하였다.
그 때 세존께서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이 현겁(賢劫)가운데 어떤 부처님께서 세상에 출현하셨는데,
그 부처님의 명호는 가섭(迦葉)이셨느니라.
그 부처님의 법 가운데에 나이가 지긋한 어떤 장자가 있었다.
그 장자는 출가하여 도(道)에 들어가기는 했지만 부지런히 정근(精勤)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중한 질병에까지 걸렸었다.
훌륭한 의사가 진찰한 결과 반드시 소(蘇)를 먹어야만 그 명이 비로소 낳을 것이라고 하므로 의사의 가르침을 따라 소를 취하여 먹었다.
그러나 그 날 밤에 약을 먹고 열이 나며 갈증이 생겨 사방을 헤매면서 물을 찾았지만 물그릇마다 모두 비어 있었다.
그래서 다시 샘과 강가에 가보았지만 거기에도 모두 물은 말라 있었다.
이와 같이 곳곳마다 물을 구했지만 얻을 수 없게 되자 스스로 매우 후회하고 자책한 나머지 그 강 언덕에서 옷을 벗어 나무에 걸어 둔 채 버려두고 알몸으로 돌아왔다.
다음날 아침,
이 사실을 스승에게 말하자 스승이 그 말을 듣고 곧 대답하였다.
〈네가 이런 고통을 만나 그 형상이 마치 아귀(餓鬼) 같구나.
너는 이제 내 병 속에 넣어둔 물을 취해서 그것을 가지고 스님들이 있는 곳으로 가라.

즉시 가르침을 받고 병 속에 물을 받기는 했으나 물이 다 말라버렸으므로 마음에 근심과 두려움이 생겨 말하였다.
〈나는 죽으면 틀림없이 아귀에 떨어질 것이다.

잠시 후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나아가 앞에 있었던 일들을 모두 갖추어 진술하고 세존께 아뢰었다.
〈바라옵건대 드러내 보여 주시면 매우 다행스럽겠습니다.

부처님께서 비구에게 말씀하셨다.
〈네가 지금 마땅히 대중스님들께 좋은 물을 돌리면 이 아귀의 몸을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그 말을 듣고 난 뒤에 기뻐하면서 곧바로 스님들에게 늘 깨끗한 물을 돌리기를 이만 년이 지나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목숨을 마치고 나서 태어나는 곳마다 그 어금니 사이에서 늘 깨끗한 여덟 가지 공덕수가 저절로 솟아 나와 충족할 수 있고 젖을 먹지 않아도 되었으며,
마침내 오늘날에 이르르서는 나를 만나 출가하여 득도하게 되었느니라.
비구는 그 말을 듣고 난 뒤에 매우 기뻐하면서 받들어 실천하였다.”



출전:
한글대장경 K1052_T2123
제경요집(諸經要集) 당 도세집
諸經要集 【唐 道世集】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 2019_1105_113659_nik_exc_s12


○ 2019_1105_115000_can_exc_s12


○ 2019_1201_151217_can_exc_s12


○ 2020_0904_130300_nik_ori_rs


○ 2020_0905_142108_nik_ori_rs


○ 2020_0907_145719_can_ori_rs


○ 2020_0909_143931_can_ori_rs


○ 2020_0910_140429_can_ori_rs


○ 2020_0930_134343_can_ori_rs


○ 2020_1002_123422_can_exc_s12


○ 2020_1017_152124_can_exc


○ 2020_1017_160500_can_exc_s12


○ 2020_1017_151941_can_ori_rs


○ 2020_1017_163646_nik_ori_rs


○ 2018_1022_170759_can_ori


○ 2018_1023_171831_can_ori


○ 2019_1104_131022_can_fix


○ 2019_1104_133934_nik_exc_s12

● [pt op tr] fr
_M#]



○ 2018_1023_122758_can_ori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종경록_K1499_T2016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종경록』 ♣1499-008♧
[관련키워드]
제8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7-07-27_종경록-K1499-008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3/07/2567-07-27-k1499-008.html
sfed--종경록_K1499_T2016.txt ☞제8권
sfd8--불교단상_2567_07.txt ☞◆vnkh5835
불기2567-07-27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167804821
https://buddhism007.tistory.com/18298
htmback--불기2567-07-27_종경록_K1499_T2016-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