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5년 5월 18일 일요일

시설론-k1484-004


『시설론』


K1484
T1538

시설론 제4권/전체7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5-18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1484_T1538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시설론』 ♣1484-004♧




시설론 제4권/전체7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23120_nikon_fix▾화순 영구산 운주사

화순 계당산 쌍봉사
○2019_1106_154507_canon_exc_s12▾화순 계당산 쌍봉사

원주 구룡사
○2019_1201_153939_canon_exc_s12▾원주 구룡사

원주 구룡사
○2019_1201_161810_nikon_exc▾원주 구룡사

오대산 적멸보궁
○2020_0905_144857_canon_ori_rs▾오대산 적멸보궁

_ori_rs
○2016_0505_125000_canon▾춘천 청평사

삼각산 화계사
○2020_1017_160103_nikon_exc_s12▾삼각산 화계사

밀양_만어산_만어사
○2021_1003_124729_canon_exc_s12▾밀양_만어산_만어사

서울_수도산_봉은사
○2014_0302_174241_canon_exc_s12▾서울_수도산_봉은사

양평_용문산_용문사
○2023_0222_164341_nikon_exc▾양평_용문산_용문사

양평_용문산_용문사
○2023_0222_165239_canon_exc▾양평_용문산_용문사

서울_구룡산_능인선원
○2022_1028_150107_nikon_exc▾서울_구룡산_능인선원

부안_능가산_내소사
○2021_1007_132435_nikon_exc▾부안_능가산_내소사

춘천_오봉산_청평사
○2021_0214_115227_canon_exc▾춘천_오봉산_청평사

의정부_도봉산_회룡사
○2022_0827_152605_nikon_exc▾의정부_도봉산_회룡사

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2021_1003_173939_nikon_exc▾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산청_지리산_대원사
○2021_1004_134757_nikon_exc_s12▾산청_지리산_대원사

서울_구룡산_구룡사
○2022_1031_143708_nikon_exc▾서울_구룡산_구룡사

초안산_선학원_인과선원
○2014_1112_144937_nikon_exc_s12▾초안산_선학원_인과선원

● [pt op tr] fr
_M#]


오대산 적멸보궁
○2020_0905_162219_nikon_ori_rs▾오대산 적멸보궁



❋❋본문 ◎[개별논의]

★%★

『시설론』 ♣1484-004♧
시설론 해제 (있는 경우)

시설론 004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본문









★1★





◆vyev1738
◈Lab value 201411121449


○ 2020_0910_182736_nik_ar47.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Renoir flower-study-1913
[#M_▶더보기|◀접기|
Artist: Pierre-Auguste Renoir
from https://en.wikipedia.org/wiki/Pierre-Auguste_Renoir
Title : flower-study-1913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sun-flower-1058504
[#M_▶더보기|◀접기|http://kr.freeimages.com/photo/sun-flower-1058504
Tudou Mao
● [pt op tr] fr
_M#]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Taizita
[#M_▶더보기|◀접기|

https://zh.wikipedia.org/wiki/File:Taizita.jpg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santa-cruz-aruba
[위성정보4]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상세정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3/santa-cruz-aruba.html
https://buddhism007.tistory.com/18173
■htmback--B-♥santa-cruz-aruba_불기2565-03-28-Tis.htm

Marie-Paule Belle - Drouot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5/k1484-004.html#1738
sfed--시설론_K1484_T1538.txt ☞시설론 제4권/전체7권
sfd8--불교단상_2569_05.txt ☞◆vyev1738
불기2569-05-18
θθ





■ 퀴즈

2인(因)의 하나. 

2인이란, 근과(近果)ㆍ정과(正果)를 내는 생인(生因)과 

원과(遠果)ㆍ잔과(殘果)를 끌어 오는 인인(引因)을 말한다. 

예를 들면 

우리들의 육체나 초목의 싹은 생인에서 난 근과ㆍ정과이고, 

죽은 후의 송장이나 말라죽은 초목은 인인에서 난 원과ㆍ잔과임. 

그러나 두 인은 전혀 다른 것이 아니고, 

상대의 과가 다르기 때문에 

이름을 달리하여 부른 것에 지나지 않음.

답 후보
● 인인(引因)
일대겁(一大劫)
일미온(一味蘊)
일설부(一說部)

일심삼혹(一心三惑)
일천제(一闡提)
일체종지(一切種智)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Alain Souchon - Ballade De Jim
Yves Duteil - La Derniere Seance
Guy Marchand - Victime Des Circonstances
Rue De La Muette - Albert Vs
Jean Ferrat - L'adresse Du Bonheur
Gerard Lenorman - Soldats Ne Tirez Pas
Daniel Guichard - Les Amoureux Des Bancs Publics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60▲ 朿自在舟朱 ■ 자자재주주 60 ( 가시 자 / 가시나무 극 )( 스스로 자 ) ( 있을 재 ) ( 배 주 ) ( 붉을 주 )
008▲ 丁七八勹厂 ■ 정칠팔포한 8 ( 고무래 정/장정 정 --CF* 고무래( 곡식을 그러모으고 펴거나, 밭의 흙을 고르거나 아궁이의 재를 긁어모으는 데에 쓰는 丁 자 모양의 기구) )( 일곱 칠 )( 여덟 팔 )( 쌀 포 )( 기슭 한 / 기슭 엄, 공장 창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8th Panchen Lama (Tenpai Wangchuk)
[san-chn] nagaraṃ vinirmitam 化城
[san-eng] yantrāgāram.h $ 범어 (n) factory
[pali-chn] kāyasakkī 身證
[pal-eng] pavisitvaa $ 팔리어 abs. of pavisatihaving gone; having entered.
[Eng-Ch-Eng] Sutra of the Revolving Wheel 回向輪經
[Muller-jpn-Eng] 識 シキ (term) consciousness
[Glossary_of_Buddhism-Eng] DEVAEAR☞
Syn: Divine Ear; Supernatural Hearing.
See also: Spiritual Powers.
“One of six miraculous powers. Supernatural hearing is the ability to hear the sounds of humans and nonhumans, distant and near
sounds, and so on. The degree of this power differs according to one’s
karmic reward or yogic (samadhi) achievement.”


[fra-eng] désembarquèrent $ 불어 disembarked
[chn_eng_soothil] 心宗 The intuitive sect, i. e. the Ch'an (Zen) school; also 佛心宗; 禪宗.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所以者何? 須菩提, 實無有法, 發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者.」
그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수보리야, 실제로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낼 법이 없기 때문이니라.”
[玄奘] 何以故? 善現, 無有少法, 名為發趣菩薩乘者!」
[義淨] 所以者何? 妙生, 實無有法, 可名發趣菩薩乘者!」
17-04 तत्कस्य हेतोः ? नास्ति सुभूते स कश्चिद्धर्मो यो बोधिसत्त्वयानसंप्रस्थितो नाम॥

tatkasya hetoḥ | nāsti subhūte sa kaściddharmo yo
bodhisattvayānasamprasthito nāma |
그것은 어떤 이유인가? 수보리여! 깨달음갖춘이의 여정으로 길을 떠나는 자라고 이름 할
만한 그 어떤 법도 없기 때문이다.”
▼▷[tatkasya] ① tat(pn.ƿ.nom.) + kasya(pn.ƾ.gen.) → [그것은、 어떤]
▼[hetoḥ] ① hetoḥ(ƾ.gen.) → [이유인가?]
▼▷[nāsti] ① nāsti(ƺ.) → [없다 → 없기 때문이다]
② nāsti(ƺ. 'it is not', non­existence)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sa] ① saḥ(ƾ.nom.) → [그]
▼[kaściddharmo] ① kaścit(pn.ƾ.nom.) + dharmaḥ(ƾ.nom.) → [어떤、 법은] → 그 어떤
법도
② kimcit(ƺ. to a certain degree, somewhat, a little)
② dharma(ƾ. that which is established or firm, law; usage, practice, duty; right, justice)
▼[yo] ① yaḥ(pn.ƾ.nom.) → [(어떠한) 그것이]
▼[bodhisattvayānasamprasthito] ① bodhisattva+yāna+samprasthitaḥ([nj.→]ƾ.nom.) →
▼[깨달음갖춘이의 旅程으로(or 수레로) 길을 떠나는 자이다(라고)]
② bodhisattva(ƾ. a Buddhist saint) < bodhi(ƾ. perfect wisdom or enlightenment) +
sattva(ƿ. being, existence; nature character) < sat(nj. existing) + ­tva('state of')
② yāna(ƿ. going, moving, walking; a voyage, journey; marching against; a conveyance,
vehicle, chariot)
② samprasthita(nj. set out on a journey, departed; advancing towards Buddhahood)
▼[nāma] ① nāma(ƺ.) → [이름 할 것이.]
② nāma(ƺ. by name, called; indeed, certainly, really)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38일째]
차진유찰불가설 $ 009▲阿庾多阿庾多為 一 ● 那由他, ○□□□□,此,以,不,以

□□□□□□□, 此剎為塵說更難,
以不可說算數法, 不可說劫如是數。
□□□□□□□, 차찰위진설갱난,
이불가설산수법, 불가설겁여시수。

此塵有剎不可說,
이런 티끌 속 세계를 말할 수 없고
이런 세계 부순 티끌 더욱 그러해
말로 할 수 없는 셈법으로써
말할 수 없는 겁에 그렇게 세며


[139째]
이차제진수제겁 $ 010■ ■以 於一彼不於 一不於彼此
010▲ 那由他那由他為 一 ●頻婆羅 ○□□□□,一,爾,無,於

□□□□□□□, 一塵十萬不可說,
爾劫稱讚一普賢, 無能盡其功德量。
□□□□□□□, 일진십만불가설,
이겁칭찬일보현, 무능진기공덕량。

以此諸塵數諸劫,
이러한 티끌로써 겁을 세는데
한 티끌에 십만 개의 말 못할 겁씩
그렇게 많은 겁에 칭찬한대도
한 보현의 공덕도 다할 수 없어





●K0008_T0231.txt★ ∴≪A승천왕반야바라밀경≫_≪K0008≫_≪T0231≫
●K1484_T1538.txt★ ∴≪A시설론≫_≪K1484≫_≪T1538≫
●K1114_T1347.txt★ ∴≪A식제중요다라니경≫_≪K1114≫_≪T1347≫


■ 암산퀴즈


666* 931
98658 / 261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8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5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30 번째는?




08 명성(名聲)을 증장시키며,
바주라참포, 伐折洛讖蒱<八>
vajra ksam bhu,
금강(金剛) 지장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050 바라 바라 자야 ◐鉢囉<二合>婆囉<引>闍耶<光王五十>◑prabhā-rājāya
051 다타아다야 ◐怛他揭多耶<五十一>◑tathāgatāya
052 아라하뎨삼먁삼몯다야 ◐阿囉訶帝三藐三菩陁耶<五十二>◑arhate samyaksaṃbuddhāya//
053 나모바가바뎨 ◐娜牟婆伽筏帝<五十三>◑Namo bhagavate
054 사보스비다바라라 자야 ◐三布瑟畢多娑囉囉<引>闍夜<娑羅花王五十四>◑saṃpushpita-sāla-rājāya
055 다타가다야 ◐怛他揭多耶<五十五>◑tathāgataya
056 아라하뎨삼먁삼몯다 야 ◐阿囉訶帝三藐三菩陁<引>耶<五十六>◑arhate samyaksaṃbuddhāya//
057 나모바가바뎨 ◐娜牟婆伽筏帝<五十七>◑Namo bhagvate
058 사갸 ­ 모나예 ◐舍抧也<二合>母娜曳<釋迦牟尼><佛五十八>◑śākhyamunaye
059 다타가다야 ◐怛他揭多耶<五十九>◑tathāgatāya

●10방 여래께서는
이 주문의 비밀심인을 지니시어
능히 10방세계에서 정수리를 만져 수기를 내리시니,
자기 과위(果位)를 아직 성취하지 못한 행자는
10방 어디에서나 부처님의 수기를 받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30
죄를 없애고 ‘나’라는 생각이 없는 [無我相] 이께 귀의합니다.
南無滅罪無我相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620046
378
법수_암기방안


5 목 ●
9 맹장 【맹장】
10 손목 WRIST
8 큰 창자,【대장】

6 쇄골 【쇄골】
30 발목 [ankle]
138 [Shin] 정강이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519_013927 :

대장경 내 게송



출전:
한글대장경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엎드린 휴식 자세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2568-11-25-월
Basseterre_Newton Ground Saint Kitts and Nevis
[구글맵1 https://maps.app.goo.gl
[구글사진 2 https://maps.app.goo.gl
[동영상 [8:04]
9 BEST Things to Do in Saint Kitts and Nevis | Caribbean Travel
https://youtu.be
[위키가이드 https://en.wikipedia.org
[현지음악 https://radio.garden

[예술작품 https://en.wikipedia.org
https://www.wikiart.org
002 아라하뎨삼먁삼몯다야 ◐阿囉訶帝三藐三菩陁耶<歸命一切如來應正等覺二>◑arhate samyaksaṃbuddhāsya//


○2016_1008_131131_canon


○2016_1008_141141_canon


○2016_1008_141557_canon


○2016_1009_160419_canon


○2018_0419_125648_nikon


○2018_0419_130449_canon


○2020_0525_165350_nikon


○2020_0525_174616_canon


○2020_0525_174932_canon


○2020_0606_140321_canon


○2020_0606_141935_canon


○2020_0606_173755_canon


○2020_0606_181052_canon


○2020_0606_193032_canon


○2022_0411_153337_canon_exc_s12_%23f01


○2022_0411_155131_canon_exc_s12_%23f01


○2022_0411_161359_canon_exc_s12


○2022_0411_155251_canon_exc


○2022_1109_123744_canon_exc

● [pt op tr] fr
_M#]



○2022_0909_145331_canon_exc_s12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시설론_K1484_T1538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시설론』 ♣1484-004♧
[관련키워드]
시설론 제4권/전체7권

■ 본 페이지 ID 정보
시설론-K1484-004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5/k1484-004.html
sfed--시설론_K1484_T1538.txt ☞시설론 제4권/전체7권
sfd8--불교단상_2569_05.txt ☞◆vyev1738
불기2569-05-18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869981666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358
htmback--불기2569-05-18_시설론_K1484_T1538-tis.htm
● [pt op tr] fr
_M#]



2025년 5월 17일 토요일

첨품묘법연화경-k0118-004


『첨품묘법연화경』


K0118
T0264

첨품묘법연화경 제4권/전체7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기2569-05-17 -- 뽑혀진 대장경 내용 연구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다만, 여건상 일부분만 살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작업중 파일을 별도로 만든다.
그리고 클라우드 드라이브 폴더에 보관한다.
그리고 이후 계속 수정보완해가기로 한다.
그리고 완료되면 본 페이지에 직접 붙여나가기로 한다.
작업중인 파일은 다음 폴더 안에서 K0118_T0264_in 파일을 참조하면 된다.
https://drive.google.com
●차후 링크가 변경되어 연결되지 않을 때는 다음 페이지 안내를 참조한다.
buddhism0077



『첨품묘법연화경』 ♣0118-004♧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화순 계당산 쌍봉사
○2019_1106_152506_nikon_fix▾화순 계당산 쌍봉사

순천 조계산 선암사
○2019_1105_113042_nikon_exc▾순천 조계산 선암사

화순 영구산 운주사
○2019_1106_111905_canon_exc_s12▾화순 영구산 운주사

불암산 천보사
○2020_0211_135534_canon_exc_s12▾불암산 천보사

무주 백련사
○2020_0909_155914_canon_ori_rs▾무주 백련사

속리산 법주사
○2020_0910_133759_nikon_ori_rs▾속리산 법주사

속리산 법주사
○2020_0910_142259_canon_ori_rs▾속리산 법주사

파주 고령산 보광사
○2020_1002_120758_nikon_exc_s12▾파주 고령산 보광사

파주 고령산 보광사
○2020_1002_121926_canon_exc_s12▾파주 고령산 보광사

_ori_rs
○2016_0505_124529_nikon▾춘천 청평사

_ori_rs
○2016_0505_125408_canon▾춘천 청평사

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2021_1003_181157_nikon_exc_s12▾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진안_마이산_탑사
○2016_0412_160531_nikon_exc_s12▾진안_마이산_탑사

경기도광주_남한산성_청량산_망월사
○2021_1113_162317_nikon_exc▾경기도광주_남한산성_청량산_망월사

계룡산_신원사
○2021_1008_152558_nikon_exc_s12▾계룡산_신원사

부산_금정산_범어사
○2015_0727_112721_canon_exc▾부산_금정산_범어사

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2021_1003_181122_canon_exc▾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강화도_전등사
○2021_0216_155604_nikon_exc▾강화도_전등사

의정부_도봉산_회룡사
○2022_0827_150309_nikon_exc▾의정부_도봉산_회룡사

● [pt op tr] fr
_M#]


삼척_두타산_천은사
○2021_0930_105117_canon_exc_s12▾삼척_두타산_천은사



❋❋본문 ◎[개별논의]

★%★

『첨품묘법연화경』 ♣0118-004♧
첨품묘법연화경 해제 (있는 경우)

첨품묘법연화경 004권 요점 핵심








◎◎[개별논의] ❋본문









★1★





◆vkuh1330
◈Lab value 202208271503


○ 2019_1004_164133_can_ar45.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pablo-picasso-nudes-and-bust-1933
[#M_▶더보기|◀접기|
Artist: pablo-picasso
from https://en.wikipedia.org/wiki/Pablo_Picasso
Title : nudes-and-bust-1933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Red_rose_-_5595
[#M_▶더보기|◀접기|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Red_rose_-_5595.jpg
English: A backlit red rose with water drops
Author Jorge Royan
● [pt op tr] fr
_M#]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718px-Modus_Camestros.svg
[#M_▶더보기|◀접기|
One of the 24 syllogisms listed below.
Author Watchduck.svg Watchduck (a.k.a. Tilman Piesk)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Kōzan-ji in Shimonoseki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Taxi Girl - Chercher Le Garçon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5/k0118-004.html#1330
sfed--첨품묘법연화경_K0118_T0264.txt ☞첨품묘법연화경 제4권/전체7권
sfd8--불교단상_2569_05.txt ☞◆vkuh1330
불기2569-05-17
θθ





■ 퀴즈


 신라의 순교자(殉敎者). 거차돈(居次頓)ㆍ처도(處道)ㆍ염촉(厭觸)이라고도 했음. 성은 박씨. 조부는 아진종(阿珍宗). 

습보갈문왕(習寶葛文王)의 아들. 

528년(법흥왕15) 호승(胡僧) 아도(阿道)가 오자, 왕이 불교를 대흥하려 하였으나 여러 신하들이 반대하여 왕이 주저하였다. 

그때에 내사사인(內史舍人) 이차돈이 말하기를 “소신의 머리를 베어 여러 사람의 의논을 정하소서” 하니 왕이 “불도를 일으키려 하면서 무고한 사람을 어떻게 죽이겠느냐?” 하고 대신을 모아 의논하니, 

모두 말하기를 “승려들은 머리를 깎고 이상한 옷을 입고 말이 야릇하니, 상도(常道)가 아닙니다. 만일 이 도를 행하면 후회가 있을 것이니 신 등은 왕명을 받들 수 없습니다” 하였다. 

이때 이차돈은 “비상한 사람이 있고서야 비상한 일이 있는 것이라, 불교는 깊고 묘한 것이니 믿지 아니할 수 없습니다” 하니 왕이 “여러 사람의 말이 같거늘 네가 어찌 딴 말을 하느냐?” 하고 옥졸에게 명하여 죽이려 하였다. 


이차돈이 하늘에 맹세하되 “내가 불법을 위하여 형벌을 받사오니, 불법이 신령하오면 내가 죽은 후에 이상한 일이 있으리라” 하였다. 

목을 베니 흰 피가 솟아오르고 천지가 캄캄해지고 하늘에서 꽃비가 내렸다. 

군중들이 기이하게 생각하고 감히 불법을 훼방하지 못하였다. 

속전(俗傳)에는 목을 내리치니 머리가 날아가 금강산(경주) 꼭대기에 떨어지고, 뒤에 그 곳에 자추사(刺楸寺)를 지었다 함. 

817년(현덕왕9) 국통(國統) 혜륭(惠隆) 등이 무덤을 만들고, 비를 세웠고, 

흥륜사 영수(永秀)는 이 무덤에 모여서 예배하는 향도(香徒)들을 결속하여 단을 만들고, 

매월 5일에 영혼을 조상하였다 함. ⇒<유사어>염촉<참조어>염촉(厭觸)

답 후보
● 이차돈(異次頓)
인과응보(因果應報)
인등(引燈)
인아(人我)

인욕바라밀(忍辱波羅蜜)
인타라굴(因陀羅窟)
일념삼천(一念三千)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Guesch Patti - C'est !omme Ca
Pierre Vassiliu - Qui C'est Celui La
Michel Berger - Chanson Pour Une Fan
Michel Sardou - Le Blues Black Brothers
Jean Ferrat - La Montagne
Indochine - Le fond de l'air est rouge
Karpatt - J'suis Mort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59▲ 衣衤耳而印 ■ 의의이이인 59 ( 옷 의 )( 옷의변 의 )( 귀 이 / 잉손 잉 )( 말 이을 이 / 능히 능 )(도장 인 / 벼슬 인 )
007▲ 亻入左卩㔾 ■ 인입좌절절 7 ( 사람인변 인 )( 들 입 )( 왼 좌 )( 병부 절 )( 병부 절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Dakini
[san-chn] saṃpratyāyana 顯了
[san-eng] sandehaḥ $ 범어 (m) doubt
[pali-chn] viññāṇa-āhāra 識食
[pal-eng] pavisitvaa $ 팔리어 abs. of pavisatihaving gone; having entered.
[Eng-Ch-Eng] 一字三禮 See .
[Muller-jpn-Eng] 通別 ツウベツ Shared and distinct
[Glossary_of_Buddhism-Eng] ARHATSHIP  FOUR STAGES ☞
See also: Anagamin; Arhat; Beyond Learning Stage.
Refers to four levels of Enlightenment, culminating in Arhatship.
Arhats are no longer subject to rebirth in Samsara, i.e., in the cycle of
Birth and Death.

“These are the four stages of enlightenment on the Theravada path,
namely, the stage of Stream-enterer (Srotapanna), the Once-returner,
the Non-returner (Anagamin), and the Arhat.”

[fra-eng] souscrivant $ 불어 subscribing
[chn_eng_soothil] 煩 Trouble, annoyance, perplexity.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何以故? 須菩提, 若菩薩, 有我相人相衆生相壽者相, 卽非菩薩.
무슨 까닭이겠는가? 만일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이 있는 보살이라면 참
보살이 아니기 때문이니라.
[玄奘] 何以故? 善現, 若諸菩薩摩訶薩有情想轉, 不應說名菩薩摩訶薩! 所以者何?
若諸菩薩摩訶薩不應說言有情想轉, 如是命者想、士夫想、補特伽羅想
意生想、摩納婆想、作者想、受者想轉, 當知亦爾!
[義淨] 何以故? 妙生, 若菩薩有眾生想者, 則不名菩薩!
17-03 तत्कस्य हेतोः ? सचेत्सुभूते बोधिसत्त्वस्य सत्त्वसंज्ञा प्रवर्तेत, न स बोधिसत्त्व इति वक्तव्यः।
जीवसंज्ञा वा यावत्पुद्गलसंज्ञा वा प्रवर्तेत, न स बोधिसत्त्व इति वक्तव्यः।

tatkasya hetoḥ | sacetsubhūte bodhisattvasya sattvasaṁjñā pravarteta na sa
bodhisattva iti vaktavyaḥ | jīvasaṁjñā vā yāvatpudgalasaṁjñā vā pravarteta
na sa bodhisattva iti vaktavyaḥ |
그것은 어떤 이유인가? 만약에, 수보리여! 깨달음갖춘이에게 있어서 중생에 대한 산냐가
생긴다면 그는 ‘깨달음갖춘이’라고 말해져서는 안 된다. 또는 영혼에 대한 산냐가,
나아가 또는 개체아에 대한 산냐가 생긴다면 그는 ‘깨달음갖춘이’라고 말해져서는 안
된다.
▼▷[tatkasya] ① tat(pn.ƿ.nom.) + kasya(pn.ƾ.gen.) → [그것은、 어떤]
▼[hetoḥ] ① hetoḥ(ƾ.gen.) → [이유인가?]
▼▷[sacetsubhūte] ① sacet(ƺ.) + subhūte(ƾ.voc.) → [만약에、 수보리여!]
② sacet(ƺ.È 만약, ~이라면)
▼[bodhisattvasya] ① bodhisattvasya(ƾ.gen.) → [깨달음갖춘이의]
▼[sattvasaṁjñā] ① sattva+saṁjñā(Ʒ.nom.) → [중생에 대한 산냐가]
② sattva(ƿƾ. being, existence, entity; nature; nature character)
② saṁjñā(Ʒ. consciousness; knowledge, understanding; intellect, mind)
▼[pravarteta] ① pravarteta(pot.Ⅲ.sg.) → [생긴다면]
② pravṛt(1.Ʋ. to go forward, proceed; to arise, be produced; to happen, take place)
▼[na] ① na(ƺ.)
▼[sa] ① saḥ(ƾ.nom.) → [그는]
▼[bodhisattva] ① bodhisattvaḥ(ƾ.nom.) → [깨달음갖춘이다]
▼[iti] ① iti(ƺ.) → [라고]
▼[vaktavyaḥ] ① vaktavyaḥ(njp.→ƾ.nom.) → [말해져서는 안 된다.]
② vaktavya(nj.) < * + ­tavya(pot.pass.p.) < vac(2.ǁ. to say, speak)
▼▷[jīvasaṁjñā] ① jīva+saṁjñā(Ʒ.nom.) → [또는、 영혼에 대한 산냐가]
② jīva(nj. living, existing, alive: ƾ. the principle of life, the individual or personal soul)
▼[vā] ① vā(ƺ.)
▼[yāvatpudgalasaṁjñā] ① yāvat(ƺ.) + pudgala+saṁjñā(Ʒ.nom.) → [나아가、 또는、
개체아에 대한 산냐가]
② yāvat(ƺ. as far as, for, up to, till; as long as, while, by the time)
② pudgala(nj. beautiful, lovely, handsome: ƾ. atom; the body matter; the ego or individual)
▼[vā] ① vā(ƺ.)
▼[pravarteta] ① pravarteta(pot.Ⅲ.sg.) → [생긴다면]
▼[na] ① na(ƺ.)
▼[sa] ① saḥ(ƾ.nom.) → [그는]
▼[bodhisattva] ① bodhisattvaḥ(ƾ.nom.) → [깨달음갖춘이다]
▼[iti] ① iti(ƺ.) → [라고]
▼[vaktavyaḥ] ① vaktavyaḥ(njp.→ƾ.nom.) → [말해져서는 안 된다.]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37일째]
차불가설제불찰 $ 008▲俱胝俱胝為 一 ● 阿庾多, ○□□□□,一,念,盡,此

□□□□□□□, 一念碎塵不可說,
念念所碎悉亦然, 盡不可說劫恒爾。
□□□□□□□, 일념쇄진불가설,
념념소쇄실역연, 진불가설겁항이。

此不可說諸佛剎,
이러하게 말 못할 부처 세계를
한 생각에 부순 티끌 말할 수 없고
생각생각 부순 티끌 역시 그러해
말할 수 없는 겁토록 늘 그러하며



[138째]
차진유찰불가설 $ 009▲阿庾多阿庾多為 一 ● 那由他, ○□□□□,此,以,不,以

□□□□□□□, 此剎為塵說更難,
以不可說算數法, 不可說劫如是數。
□□□□□□□, 차찰위진설갱난,
이불가설산수법, 불가설겁여시수。

此塵有剎不可說,
이런 티끌 속 세계를 말할 수 없고
이런 세계 부순 티끌 더욱 그러해
말로 할 수 없는 셈법으로써
말할 수 없는 겁에 그렇게 세며




●K0881_T0592.txt★ ∴≪A천청문경≫_≪K0881≫_≪T0592≫
●K0118_T0264.txt★ ∴≪A첨품묘법연화경≫_≪K0118≫_≪T0264≫
●K0353_T1043.txt★ ∴≪A청관세음보살소복독해다라니주경≫_≪K0353≫_≪T1043≫


■ 암산퀴즈


944* 654
873792 / 888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7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4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29 번째는?




07 힘이 몸에 넘치도록 증장시키며,
바라참포, 筏羅讖蒱<七>
vira ksam bhu.
영웅(英羅) 지장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040 나모바가바뎨 ◐娜牟婆伽筏帝<四十>◑Namo bhagavate
041 아미타 바 야 ◐阿彌陁<引>婆<引>耶<無量壽佛四十一>◑amitābhāya
042 다타가다야 ◐怛他揭多耶<四十二>◑tathāgatāya
043 아라하뎨삼먁삼보다야 ◐阿囉訶帝三藐三菩陁耶<應等正覺四十三>◑arhate samyaksaṃbuddhāya//
044 나모바가바뎨 ◐娜牟婆伽筏帝<四十四>◑Namo bhagavate
045 아추뱌­ ◐阿芻鞞也<阿閦如來四十><五>◑akshobhya
046 다타가다야 ◐怛他揭多耶<四十六>◑tathāgatāya
047 아라하뎨삼먁삼몯다야 ◐阿囉訶帝三藐三菩陁耶<四十七>◑arhate samyaksaṃbuddhāya//
048 나모바가바뎨 ◐娜牟婆伽筏帝<四十八>◑Namo bhagavate
049 비사자구로 볘소리리야 ◐毘沙闍俱嚕<二合>吠琉璃唎耶<藥師如來四十九>◑bhaishajya-guru-vaidūrya

●10방 여래께서는
이 주문의 비밀심인을 머금어
티끌처럼 많은 국토에서
큰 법륜(法輪)을 굴리신다.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29
번뇌[구垢]가 없는 왕께 귀의합니다.
南無無垢王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617376
984
법수_암기방안


4 작은창자 【소장】
8 큰 창자,【대장】
9 맹장 【맹장】
7 갈비 【협】

6 쇄골 【쇄골】
29 약지 (RING finger )
137 ( the kneecap, / the patella무릎 종지뼈) 종지뼈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517_233147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12) 당나라 변주 안업사(安業寺) 석신조전(釋神照傳)



신조는 속성이 순우씨(淳于氏)이며 변주(汴州) 중모현(中牟縣) 사람이다.
그가 9세 때 수나라가 난리를 겪자 가족들이 죽고 흩어져 오직 어머니와 그만이 남아 부평초처럼 떠돌아다니면서 의탁할 곳이 없었다.
얼마 후 어머니마저 돌아가자 의지할 데가 없어 아침에는 나무 열매를 구해 먹고 저녁은 주검이 있는 곳에서 잠을 자니 오가는 사람들이 이를 보고 눈물을 흘리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
12세 때 위씨사(尉氏寺)의 명지(明智) 율사에게 몸을 의지하여 출가하였다.
그때는 바로 율장(律藏)을 찬양하던 시기여서 학도들이 구름처럼 모였으나 나라가 처음으로 안정된 시기여서 곡식이 충분하지 못하였다.
신조는 마을과 고을을 돌아다니면서 식량을 얻어 와서 두루 공급하였다.
6년이 지나도록 그렇게 수고하면서도 피곤한 기색이 없었다.
대중들에게 공급하는 여가에,
밤에는 『법화경』과 『승만경』을 읽고 외웠다.
이런 일이 오래 계속 되었지만 이 일을 아는 사람이 없었다.
구족계를 받고 율법에 대한 강의를 듣게 되면서 늘 기발한 생각을 내놓으니 선배들은 그의 뛰어난 깨달음에 놀랐다.
그후 다시 업성(鄴城)의 휴(休) 법사에게 가서 『섭대승론』에 대한 강의를 들었다.
하나도 빠짐없이 다 듣고 나서 강의가 끝나고 사람들이 흩어지자 사례하고 돌아서는데,
휴 법사가 사원 밖에까지 그를 전송하니 학인들은 괴이하게 생각하였다.
휴 법사가 그들을 돌아보며 말하였다.
“이 사람은 하남(河南) 땅을 두루 비칠 사람이다.
후생들의 영수가 될 것이니 너희들은 알아두라.”
그는 다시 허주(許州)의 공(空) 법사에게 가서 『잡심론』에 대한 강의를 들었는데,
겨우 처음 8권의 강의를 듣고 스승이 병에 걸린 것으로 하여 돌아왔다.
그후 인연이 있어 그가 강의를 하여 처음과 끝을 관통시켰다.
다시 사람들이 말하였다.
“온 하남 땅을 비칠 아름다운 명성은 비단 나라의 부름을 받는 데만 그치지 않을 것이다.”
그후 『열반경』ㆍ『화엄경』ㆍ『성실론』ㆍ『잡심론』 등을 기회에 따라 곧 강의하였는데 한 번도 사양하거나 물리친 일이 없었다.
그는 또한 수백 상의 불상을 세우고 수천 권의 경을 베껴 써서 인연에 맞게 나누어 주고 저장해 두지 않았다.
새로 번역된 『능단금강반야바라밀경(能斷金剛般若波羅蜜經)이 처음으로 들어왔을 때,
이 책을 펼쳐서 읽고 이어 총괄해 보니 문장의 뜻으로 보아 한 줄이 적은 것 같았다.
그리하여 제 나름으로 추측하여 주석을 달았는데 후에 그 원본과 대조하여 보니 과연 원본과 꼭 맞았으므로 당시 사람들은 모두 그의 사고력에 놀라워하였다.
그는 정관 연간에 병에 걸려 그 병이 오래 지속되었으나 계율을 지키는 행위에서는 허물이 없었다.
그는 안업사[安業]의 본사에서 생을 마쳤는데 그때 그의 나이는 59세였다.
처음부터 그는 평소에 개 한 마리를 길렀는데 그가 머무르는 곳을 늘 따라다녔다.
그의 병이 위독하게 되자 크게 부르짖으며 슬퍼하고 사나워졌다.
밤새도록 그가 본래 출가한 사원을 향하여 2백 리 길을 갔다가 돌아와서 사원 주위를 맴돌고 부르짖으며 알렸지만 그곳 대중들은 평시에는 전혀 모르고 있었다.
후에 불길한 소문이 도착하자 비로소 개가 보인 조짐을 자세히 알게 되었다.
새벽이 되어 안업사로 돌아와서는 묘를 덮은 후에는 오랫동안 잠만 자면서 눈물을 흘렸고 먹이도 먹지 않다가 죽었다.



출전:
한글대장경 K1075_T2060
속고승전(績高僧傳) 당 도선찬
續高僧傳 【唐 道宣撰】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옆으로 누운 휴식 자세 [Savasana]


●세계사이트방문일자: 2569-04-18-금
♡대신선원,서울 은평구 갈현로3다길 13
[사진]
[지도내 사진]
[거리뷰1] https://naver.me
https://naver.me
[세계내-위치] https://kko.kakao.com
https://kko.kakao.com
[설명 1]
[설명 2]
[동영상 1]
[동영상 2]
[음악]
[예술작품감상]
https://www.wikiart.org
https://www.wikiart.org
010 나모로계사먁가다남 ◐娜牟盧鷄三藐伽哆喃<敬禮過去未來十>◑Namo loke samyaggatānāṃ//


○2017_0222_133407_nikon_ct9


○2018_0722_130146_nikon_ar24


○2018_0722_131423_nikon_ar23


○2020_0131_162700_canon_CT33


○2020_0201_100445_canon_ar16


○2020_0214_162207_nikon_bw21


○2018_1022_171627_canon_ab41_s12


○2018_1023_170022_nikon_AR25


○2020_1114_135830_canon_BW17


○2018_1023_163419_canon_CT28


○2020_0224_115517_nikon_BW25_s12


○2019_0113_112040_nikon_CT33_s12


○2019_0113_133153_nikon_ar24


○2020_1125_143929_nikon_BW22


○2019_1104_134809_canon_ct38


○2019_1104_161756_canon_CT33


○2019_1104_102018_nikon_bw24


○2019_1104_173150_nikon_BW21_s12

● [pt op tr] fr
_M#]



○2018_1024_140435_canon_CT27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첨품묘법연화경_K0118_T0264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첨품묘법연화경』 ♣0118-004♧
[관련키워드]
첨품묘법연화경 제4권/전체7권

■ 본 페이지 ID 정보
첨품묘법연화경-K0118-004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5/k0118-004.html
sfed--첨품묘법연화경_K0118_T0264.txt ☞첨품묘법연화경 제4권/전체7권
sfd8--불교단상_2569_05.txt ☞◆vkuh1330
불기2569-05-17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869053022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357
htmback--불기2569-05-17_첨품묘법연화경_K0118_T0264-tis.htm
● [pt op tr] fr
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