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아함경』
K0650
T0099
잡아함경 제41권/전체5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잡아함경』
♣0650-041♧
잡아함경 제41권/전체50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6_125247_can_fix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6_131745_can_ct37_s12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5_112525_can_exc_s12 순천 조계산 선암사
○ 2019_1201_143634_can_fix 원주 구룡사
○ 2020_0907_141846_can_ori_rs 양산 통도사
○ 2018_1024_180018_nik_ori 부여 고란사
○ 2019_0106_150841_can_ori 의정부 도봉산 망월사
○ 2020_1114_140336_nik_ori 삼각산 도선사
○ 2020_1114_142453_nik_ori 삼각산 도선사
○ 2021_1008_151404_nik_exc_계룡산_신원사
○ 2021_0214_132959_nik_exc춘천_오봉산_청평사
○ 2021_1005_114008_nik_exc_s12여수_금오산_향일암
○ 2021_1003_181122_can_exc_s12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 2021_0926_171401_nik_exc서울_삼각산_도선사
○ 2021_1003_104648_nik_exc_s12밀양_재악산_표충사
○ 2021_1008_123007_nik_exc완주_화암사
○ 2021_1003_100011_can_exc밀양_재악산_표충사
○ 2021_0929_170112_nik_exc강릉_괘방산_등명낙가사
○ 2023_0312_112739_nik_exc_s12운악산_봉선사
● [pt op tr] fr
_M#]
○ 2021_1007_164631_can_exc부안_능가산_개암사
❋❋본문 ♥ ◎[개별논의]
★%★
『잡아함경』
♣0650-041♧
◎◎[개별논의] ♥ ❋본문
★1★
◆vfmy1941
◈Lab value 불기2569/02/09 |
Natasha St-Pier - Tant Que J'existerai
♥단상♥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2/2569-02-09-k0650-041.html#1941 sfed--잡아함경_K0650_T0099.txt ☞잡아함경 제41권/전체50권 sfd8--불교단상_2569_02.txt ☞◆vfmy1941 불기2569-02-09 θθ |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열반 곧 무생(無生)의 이치를 증오(證俉)한 것. 여기에 분(分)과 원(圓)이 있다. 1분을 얻은 이는 보살위(位), 원만하게 얻은 이는 불과(佛果).
답 후보
● 무생신(無生身)
무운천(無雲天)
무이상(無異想)
무작(無作)
무주처열반(無住處涅槃)
무학(無學)
문신(文身)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Francis Lai - Mariage
Alain Bashung - Osez Josephine
Marie Myriam - Douce Nuit, Sainte Nuit
Françoise Hardy - Partir Quand Même
Patrick Bruel - Qu'est Ce Qu'on Attend Pour Etre Heureux (Avec Johnny Hallyday)
Georges Brassens - Embrasse-Les Tous
Line Renaud - Ma Cabane Au Canada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40▲ 卯卬戊民半 ■ 묘앙무민반 40 ( 토끼 묘 /넷째 지지 묘 )( 나, 자신( 自身) 앙 / 위풍당당( 威風堂堂)한 모양 앙) ( 다섯째)천간( 天干) 무 / 무성하다( 茂盛--) 무 )( 백성 민 / 잠잘 면 )( 반 반 )
041▲ 犮发白丙本 ■ 발발백병본 41 ( 달릴 발 ) (터럭 발 / 필 발 )( 흰 백/ 아뢸 백 )( 남녘 병/ 셋째 천간 병 )( 근본 본, / 달릴 분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Ekavyahāraka
[san-chn] sūryasyābhyudgamana-samaya 日出時
[san-eng] ahiṁsā $ 범어 non-violence
[pali-chn] cetiya 支提
[pal-eng] tacchaka $ 팔리어 m.a carpenter; chipper of wood.
[Eng-Ch-Eng] 七惡 The seven evil karmas: three of the body and four of the mouth.
[Muller-jpn-Eng] 具顯 グケン fully express
[Glossary_of_Buddhism-Eng] JINA Skt ☞
See: Conquerors.
[fra-eng] dois $ 불어 owe
[chn_eng_soothil] 法塵 A mental object, any direct mental perception, not dependent on the sense organs. Cf. 六塵.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當知是人, 不於一佛、二佛、三四五佛而種善根,
이런 사람은 한 부처님이나 두 부처님이나 셋、넷、다섯 부처님께만 선근(善
根)을 심은 것이 아니라…
[玄奘] 復次, 善現, 彼菩薩摩訶薩非於一佛所承事供養、非於一佛所種諸善根,
[義淨] 而彼菩薩, 非於一佛承事供養、植諸善根,
06-06 न खलु पुनस्ते सुभूते बोधिसत्त्वा महासत्त्वा एकबुद्धपर्युपासिता भविष्यन्ति, नैकबुद्धावरोपितकुशलमूला भविष्यन्ति।
na khalu punaste subhūte bodhisattvā mahāsattvā ekabuddhaparyupāsitā
bhaviṣyanti | naikabuddhāvaropitakuśalamūlā bhaviṣyanti |
참으로 다시 수보리여! 그들 위대한 존재로서 깨달음갖춘이들은 한 분의 깨달은님만을
섬기게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한 분의 깨달은님 아래서만 건전한 뿌리를 심게 되지
않을 것이요…
▼▷[na] ① na(ƺ.) → [(否定)]
▼[khalu] ① khalu(ƺ.) → [참으로]
▼[punaste] ① punar(ƺ.) + te(pn.ƾ.nom.pl.) → [다시、 그들은]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bodhisattvā] ① bodhisattvāḥ(ƾ.nom.pl.) → [깨달음갖춘이들은]
▼[mahāsattvāḥ] ① mahāsattvāḥ(nj.→ƾ.nom.pl.) → [위대함갖춘상태인]
▼[ekabuddhaparyupāsitā] ① eka+buddha+paryupāsitāḥ(njp.→ƾ.nom.pl.) → [한 분의
깨달은님을(→깨달은님만을) 섬긴 자들이] → ~ 섬기게
② buddha(p.p. known, understood, perceived; awakened, awake; observed; enlightened, wise)
② paryupāsita(p.p.p.) < * + ita(past.pass.p.) < paryupās(2.Ʋ. to attend upon, worship,
attend respectfully; resort to; to enclose) < pari(ƺ. about; towards) + upās(2.Ʋ. to sit
near to, serve, worship) < upa(ƺ. toward, near to) + ās(2.Ʋ. to sit, sit down)
tāraḥ(ƾ.nom.pl.) < paryupāsitṛ(ƾ.) < * + itṛ(agentive) < paryupās(2.Ʋ.)
▼[bhaviṣyanti] ① bhaviṣyanti(fut.Ⅲ.pl.) → [되지 않을 것이다. →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② bhū(1.ǁ. to be, become; to be born or produced; to spring or proceed from; to happen)
▼▷[naikabuddhāvaropitakuśalamūlā] ① na(ƺ.) +
eka+buddha+avaropita+kuśala+mūlāḥ(njp.→ƾ.nom.pl.) → [(否定)、 한 분의 깨달은님
(+아래서) 건전한 뿌리(→善根)을 심었다.] → 한 분의 깨달은님 아래서만 ~ 심게…
② avaropita(p.p. uprooted; deprived of, curtailed; diminished, lost; dethroned, bereaved of)
< ava(ƺ. away, off: [as a prefix to verbs] determination; support) + ropita(p.p.
planted, set up; erected, raised) < ruh(1.ǁ. to grow, spring up)
② kuśala(nj. right, proper; happy, prosperous; able, skillful, clever: ƿ. welfare, prosperous
condition; virtue; cleverness, ability) < [skillful, wholesomeness ← cut the grass] <
kuśa(nj. wicked, vile; mad: ƾ. a kind of grass considered holy and forming an essential
requisite of several religious ceremonies) + ~la(
foundation) < mūl(1.dž. to take or strike root, be firm: 10.dž. to plant, cause to grow)
▼[bhaviṣyanti] ① bhaviṣyanti(fut.Ⅲ.pl.) → [되지 않을 것이다. → 되지 않을 것이요,]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40일째]
청정실상불가설 $ 040■ ■清 於於不念於 一以此於虛
040▲ 伺察伺察為 一 ● 周廣, ○□□□□,說,於,演,於
□□□□□□□, 說修多羅不可說,
於彼一一修多羅, 演說法門不可說;
□□□□□□□, 설수다라불가설,
어피일일수다라, 연설법문불가설;
清淨實相不可說,
청정하온 실상을 말할 수 없고
말씀하신 수다라 말할 수 없고
저러한 하나하나 수다라에
연설하신 법문도 말할 수 없어
[41째]
어피일일법문중 $ 041▲周廣周廣為 一 ● 高出, ○□□□□,又,於,所,於
□□□□□□□, 又說諸法不可說;
於彼一一諸法中, 所有決定不可說;
□□□□□□□, 우설제법불가설;
어피일일제법중, 소유결정불가설;
於彼一一法門中,
저러한 하나하나 법문 가운데
또 말씀한 모든 법 말할 수 없고
저러한 하나하나 모든 법 중에
갖고 있는 결정한 뜻 말할 수 없어
●K0960_T1552.txt★ ∴≪A잡아비담심론≫_≪K0960≫_≪T1552≫
●K0650_T0099.txt★ ∴≪A잡아함경≫_≪K0650≫_≪T0099≫
●K0745_T0101.txt★ ∴≪A잡아함경≫_≪K0745≫_≪T0101≫
■ 암산퀴즈
466* 989
394304 / 808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40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39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40 번째는?
40 일체의 수용(受用)하는 자구를 증장시켰습니다.
다례, 闥㘑<四十>
dare
(~!~) 현세의 왕이시여! 지옥과 불에 떨어진 이들을 보호하고 보호 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390 단다슈람 ◐檀多輸藍<齒痛三百九十>◑dantaㆍśūlaṃ
391 길리타야슈람 ◐頡哩馱耶輸藍<心痛三百><九十一>◑hridayaㆍśūlaṃ
392 마마슈람 ◐末摩輸藍<盧鉗反三百九十二>◑marmaㆍśūlaṃ
393 바라시바슈람 ◐跋囉㗌婆輸藍<肋痛三百九十三>◑pārśvaㆍśūlaṃ
394 배리스타슈람 ◐背哩瑟咤輸藍<背痛三百九十四>◑prishṭhaㆍśūlaṃ
395 오타라슈람 ◐烏馱囉輸藍<盧紺反腹痛三百九十五>◑udaraㆍśūlaṃ
396 단지슈람 ◐羶知輸藍<腰痛三百九十><六>◑kaṭiㆍśūlaṃ
397 바싣뎨슈람 ◐跛悉帝輸藍<裸骨痛三百九十七>◑vastiㆍśūlaṃ
398 오 로슈람 ◐鄔<上>嚧輸藍<腿䏶><痛三百九十八>◑ūruㆍśūlaṃ
399 상가슈람 ◐常伽輸藍<腕痛三百九十九>◑jaṅghāㆍśūlaṃ
●뿐만 아니라
일체 나쁜 별들이 곳을 따라
나타내는 괴변(怪變)을 진압하여,
재앙의 장애가 일어나지 않으니,
사람들은 횡액이나 요절[橫夭]을 당하는 일이 없고,
칼과 고랑으로 그 몸을 묶는 일도 없고,
밤과 낮이 편안하여 잠잘 때도 나쁜 꿈이 없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40
삼승(三乘)의 보리를 말씀하신 이께 귀의합니다.
南無說三乘菩提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460874
488
법수_암기방안
39 아킬래스건 Achilles tendon
40 중앙 발가락 [신조어 ] center part (middle) toe
41 발뒤꿈치 (발굽) the heel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210_191101 :
대장경 내 게송
출전:
한글대장경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앉은 산 자세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2568-11-24-일
Marlow_Mecklenburg-Western Pomerania_Germany
[동영상 https://youtu.be
[구글맵 https://maps.app.goo.gl
[위키 https://en.wikipedia.org
[위키2 https://en.wikipedia.org
○ 2019_0405_165130_can_ar42
○ 2019_1004_154039_can_ct1
○ 2019_1004_143029_can_BW17
○ 2019_1004_144654_can_BW17
○ 2019_1004_142506_nik_ab41
○ 2019_1004_163801_can_CT33
○ 2019_1004_170742_nik_ab41
○ 2019_1004_164908_can_ar45
○ 2019_1004_164923_can_BW25
○ 2019_1004_150851_nik_bw1
○ 2019_1004_153000_nik_AB7
○ 2019_1004_155420_nik_bw8
○ 2019_1004_162419_nik_AB7
○ 2019_1004_164538_can_bw19
○ 2019_1004_175000_can_exc
○ 2019_1004_142845_nik_ct9
○ 2019_1004_143909_nik_ct9
○ 2019_1004_142226_can_ct19
○ 2019_1004_170409_can_ar38
● [pt op tr] fr
_M#]
○ 2019_1004_165044_can_Ab27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잡아함경_K0650_T0099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잡아함경 제41권/전체5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9-02-09_잡아함경-K0650-041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2/2569-02-09-k0650-041.html
sfed--잡아함경_K0650_T0099.txt ☞잡아함경 제41권/전체50권
sfd8--불교단상_2569_02.txt ☞◆vfmy1941
불기2569-02-09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755640494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263
htmback--불기2569-02-09_잡아함경_K0650_T0099-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