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빈두로법』
K1042
T1689
청빈두로법 /전체1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청빈두로법』
♣1042-001♧
청빈두로법 /전체1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6_151816_nik_ar1 화순 계당산 쌍봉사
○ 2019_1105_153559_nik_ab41_s12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19_1105_113534_can_exc 순천 조계산 선암사
○ 2019_1105_160038_can_ar45_s12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19_1201_151736_can_Ab27 원주 구룡사
○ 2020_0904_092823_nik_ar47 여주 봉미산 신륵사
○ 2020_0905_143200_can_ori_rs 오대산 상원사
○ 2020_0930_134454_can_BW3 화성 용주사
○ 2020_1017_154747_can_CT38_s12 삼각산 화계사
○ 2020_1017_161349_can_Ar12_s12 삼각산 화계사
○ 2018_1023_174430_can_Ab15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20_1114_131309_can_ab41_s12 삼각산 도선사
○ 2019_1104_173451_nik_Ar26_s12 구례 연곡사
○ 2021_1004_140011_can_bw24산청_지리산_대원사
○ 2021_1007_101322_can_Ab27_pc영광_법성포_백제불교최초도래지_마라난타사
○ 2021_1008_192144_can_bw24_pc계룡산_신원사
○ 2022_1029_174142_can_CT27서울_삼각산_도선사
○ 2021_1007_142335_nik_bw24_pc부안_능가산_내소사
○ 2022_1026_161406_can_ar47서울_수도산_봉은사
● [pt op tr] fr
_M#]
○ 2020_0907_124228_nik_BW17 양산 영축사
❋❋본문 ♥ ◎[개별논의]
★%★ * 내용 이해가 쉽도록 위 사이트 원 번역문 내용을 단문형태로 끊어 표현을 바꿔 기재한다.
청빈두로법
K1042V30P0673a
청빈두로법(請賓頭盧法)
석혜간(釋慧簡) 한역
¶천축국(天竺國)에서는
우바새(優婆塞)ㆍ국왕(國王)ㆍ장자(長者) 등이 일체의 모임[會]을 시설하면
항상 빈두로파라타서(賓頭盧頗羅墮誓) 아라한1) 을 초청하였다.
빈두로는 이름이고 파라타서는 성(性)이다.
그 사람은 수제(樹提) 장자를 위하여 신족통(神足通)을 나타냈다.
때문에 부처님께서는 그를 배제하여[擯] 열반에 들기를 허락하지 않으셨다.
그리고 칙령을 내렸다.
그래서 말법(末法)시대에 4부대중의 복전(福田)이 되도록 하셨다.
그를 초청할 때는 다음과 같이 행한다.
조용한 곳에서 향을 피운다.
그리고 예배한다.
그러면서 천축의 마리산(摩梨山)을 향해 지심으로 칭명(稱名)한다.
그러면서 다음과 같이 말해야 한다.
“대덕(大德) 빈두로파라타서이시여,
부처님의 교칙(敎勅)을 받들어
말법시대에 사람들을 위하여
복전이 되셨읍니다.
그러니 부디 저의 초청을 받아들이십시오.
그래서 이곳에 오십시오.
그래서 음식을 드셨으면 합니다.”
만약 새로 집을 지었어도 또한 초청의 말을 해야 한다.
“부디 저의 초청을 받아들이십시오.
그래서 이 집의 평상에 자리하십시오.
그래서 머무르셨으면 합니다.”
**만약 널리 대중 스님들을 목욕하도록 초청한다고 하자.
그 때에도 마땅히 그를 초청한다.
그래서 말해야 한다.
“부디 저의 초청을 받아들이십시오.
그래서 이곳에서 목욕을 하셨으면 합니다.”
아울러 날이 밝기 전에 다음을 갖추어 놓는다.
즉, 향기롭게 끓인 깨끗한 물ㆍ가루비누ㆍ양지(楊枝)ㆍ향유를 갖추어 놓는다.
그리고 물이 차갑지 않도록 조절한다.
그리고 뜨겁지 않도록 조절한다.
사람이 목욕하려 할 때처럼 문을 연다.
그래서 들어오도록 청한다.
그 다음 문을 닫는다.
이후 사람이 목욕을 마칠 만큼 시간이 지난다.
그 뒤에 비로소 대중 스님들이 들어갈 수 있다.
대개 모임을 열어 음식을 먹고 목욕을 할 때라고 하자.
그런 경우는 반드시 일체의 스님들을 초청한다.
그리고 지극한 마음으로 해탈을 구한다.
그래서 의심하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이치에 어둡지 않아야 한다.
신심(信心)이 청정해져야 한다.
그 이후에야 비로소 초청에 응할 것이다.
얼마 전[近世]에 어떤 장자(長子)가 다음 말을 들었다.
즉, '빈두로 아라한이 부처님의 교칙을 받들었다.
그래서 말법시대 사람들의 복전이 되었다'라고.
그래서 여법하게 대회(大會)를 시설하였다.
그래서 지극한 마음으로 빈두로를 청하였다.
그리고 융단 아래에 두루 꽃을 뿌렸다.
그래서 그것을 시험해 보려고 하였다.
대중들이 식사를 마쳤다.
이 후 융단을 걷었다.
이 때 꽃들이 다 시들어 있었다.
그래서 그 장자는 깊이 고뇌하였다.
그리고 자책하였다.
허물이 어디서 왔는지를 알 수 없었다.
그래서 다시 정성을 다했다.
그래서 경사(經師)에게 자세히 물었다.
그리고 거듭 대회를 열었다.
그런데 이전과 마찬가지였다.
그래서 꽃들은 다 시들어 있었다.
또다시 집안의 재산을 모두 다하였다.
그래서 대회를 열었다.
그러나 이전과 마찬가지였다.
그는 깊이 고뇌하였다.
그리고 스스로를 자책하였다.
그리고는 다시 백여 명의 법사들을 초청하였다.
그래서 그가 잘못한 것을 물었다.
그리고 죄과를 참회하였다.
그리고 사죄하기를 구했다.
그는 윗자리에 앉은 한 연로한 사람을 향하였다.
그리고 사방으로 그 허물을 알리었다.
그리고 뉘우쳤다.
윗자리에 앉은 노인이 그에게 말했다.
“그대는 세 번의 모임에 나를 청하였습니다.
그리고 나는 그 초청을 모두 받아들였습니다.
그런데 그대 스스로 노비에게 시켜서
문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았습니다.
그대는 이렇게 여겼습니다.
늙고 의복은 해졌다.
그리고 떨어졌다.
그래서 쫓겨난 뢰제(賴提) 사문이다.
이처럼 여겼습니다.
그리고 앞에서 보고도 기뻐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그대가 나를 청했습니다.
그러므로 억지로라도 들어가려 했습니다.
그러나 그대의 노비가 몽둥이로 내 머리를 때렸습니다.
그래서 상처를 냈습니다.
오른쪽 이마의 상처가 이것입니다.
두 번째 모임에도 왔습니다.
그러나 다시 앞에 나타날 수가 없었습니다.
나는 다시 억지로 들어가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또다시 내 머리를 때렸습니다.
이마 중간에 상처가 이것입니다.
세 번째 대회에도 왔었습니다.
그러나 이전과 마찬가지로 머리를 때렸습니다.
왼쪽 이마의 상처가 이것입니다.
이 모든 것이 그대 자신이 한 짓입니다.
그런데 왜 고뇌합니까.
그리고 한탄합니까?”
그는 말을 마치고 사라져버렸다.
장자는 곧 그가 빈두로라는 것을 알았다.
그때 이래로 모든 사람들은
복을 베풀 때에는 다시는 감히 문을 막지 않았다.
만약 빈두로가 왔다 갔다고 하자.
그러면 그가 앉은 자리에는 꽃이 시들지 않는다.
새로 집을 짓거나 평상을 만들어
빈두로를 초청하고 싶을 때라고 하자.
그러면 향을 끓인 물을 땅에 뿌린다.
그리고 향을 피운다.
그리고 기름등을 켠다.
새 평상에 새 요를 깐다.
그리고 솜을 튼다.
그래서 그 위에 깐다.
그리고 흰 명주를 솜 위에 덮는다.
첫날밤은 여법하게 그를 초청한다.
그래서 방문을 닫는다.
그리고 신중하게 처신한다.
그래서 경거망동하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몰래 엿보지 말아야 한다.
그리고 모두들 각기 지극한 마음으로 믿는다.
즉, 그가 반드시 올 것이라고 믿는다.
정성이 사무쳐 감응한다고 하자.
그러면 이르지 않을 일이 없다.
그가 오면 요 위에 누운 자리가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욕실에도 탕수를 쓴 곳이 나타나게 된다.
대회에 초청받았을 때에는
윗자리에 있기도 한다.
그리고 중간 자리에 있기도 한다.
그리고 아랫자리에 있기도 한다.
그런데, 그 처소마다 스님의 형상으로 나타난다.
그러므로 사람들이 그 특이한 점을 찾으려 해도
끝내 발견할 수 없을 것이다.
그리고, 그가 떠난 후 앉아 있던 곳의 꽃이 시들지 않는다.
그래서 이러한 것을 미루어
그가 왔었다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
¶¶
[주]------
주<1 br="" ja="" ola-bharadv="" pi="">
의역(音譯)하면 빈두로돌라사(賓頭盧突羅闍)이다.
16나한 중 한 분이다.
원래 발차국(跋蹉國) 구사미성 재상의 아들이다.
구족계를 받고 여러 곳을 다니며 전도하였다.
부처님의 명을 받아 열반에 들지 않는다.
그리고 남인도 마리산에 있다.
그러면서 불멸(佛滅)후에 중생을 제도한다고 한다.
중국에서는 동진(東晋)의 도안(道安)이 처음으로 빈두로를 신앙하였다.
그리고, 송나라 태초(泰初) 말기(471)에 법현과 법경 등이 처음으로 그의 형상을 그렸다.
그래서 공양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를 독성(獨聖) 나반존자(那畔尊者)라고 한다.
그래서 절마다 봉안하고 있다.
** 수제 장자1>
<1 br="" ja="" ola-bharadv="" pi="">
1>
수제가
【樹提伽】 p6245-下≫
梵名 Jyotiṣka,
巴利名 Jotika.
印度摩揭陀國王舍城人,
一說瞻婆國人.
佛弟子之一.
又作聚底色迦․殊底色迦․殘底墻迦․殊底穡迦․殊提․樹提.
意譯星曆․有命․火生․光明.
南本大般涅槃經卷二十八載,
瞻婆城有大長者,
年老無子,
奉事六師外道,
以求得子.
不久,
其妻懷孕,
問於六師,
六師皆言是女子,
不長命.
又問於佛陀,
佛陀言必爲男子,
具足妙相․福德.
六師聞之,
因而嫉妬,
乃以菴羅果和合毒藥使母服之,
未幾而死,
該長者乃積薪火葬,
時火燒死屍而腹裂,
子從中而出,
端坐火中,
佛陀遣耆婆入火抱兒,
如入淸涼大河中,
抱兒而還,
長者復請佛陀爲之命名,
佛陀謂此兒生於猛火(梵 jyotis,
音譯樹提)中,
故取名爲樹提伽.
另據光明童子因緣經載,
樹提伽後至佛所出家,
斷除煩惱,
證阿羅漢果.
[樹提伽經․北本大般涅槃經卷三十․佛五百弟子自說本起經․大莊嚴論經卷十三․鼻奈耶卷六․俱舍論光記卷五․大唐西域記卷九]
<1 br="" ja="" ola-bharadv="" pi="">
『청빈두로법』
♣1042-001♧
◎◎[개별논의] ♥ ❋본문
★1★
◆vsfa5711
1>
◈Lab value 불기2569/02/16 |
Michel Sardou - La Vie, La Mort Etc
♥단상♥ ![]()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2/2569-02-16-k1042-001.html#5711 sfed--청빈두로법_K1042_T1689.txt ☞청빈두로법 /전체1권 sfd8--불교단상_2569_02.txt ☞◆vsfa5711 불기2569-02-16 θθ |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금강반야경(金剛般若經)』을 말함.
이 경은 꿈(夢)ㆍ요술(幻)ㆍ물거품(泡)ㆍ그림자(影)ㆍ이슬(露)ㆍ번개(電)의
6유로 일체 만법의 공하고 무상(無常)한 것을 말한 까닭.
답 후보
● 육유반야(六喩般若)
육천(六天)
윤생혹(潤生惑)
율의(律儀)
음광(飮光)
응신(應身)
의(意)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Gerard Berliner - Vendeur De Larmes
Guy Marchand & Claude Bolling Band - Bill Bailey (Reprise;sur Le Cd Uniquement))
Marie Laforet - Un Jour
Frank Noel - A Credit Et En Stereo
Patsy Gallant & Star - C'est La Vie, C'est La Vie
Francois Feldman - Elle Me Rend Barbare
Pierre Bachelet - Vingt Ans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47▲ 玉瓦凹用右 ■ 옥와요용우 47 ( 구슬 옥 ) ( 기와 와 ) ( 오목할 요, / 오목할 압 ) ( 쓸 용 ) ( 오른쪽 우/ 도울 우 )
048▲ 由㠯以田占 ■ 유이이전점 48 ( 말미암을 유, / 여자의 웃는 모양 요 ) ( 써 이 / 를 가지고, ~를 근거( 根據)로 이 )CF= 吕 ( 성씨 려 ,)( 써이 / 㠯 )( 밭 전) (점령할 점/점칠 점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Ajahn Amaro
[san-chn] sattvârtha-karaṇa 饒益有情
[san-eng] mā $ 범어 ḍo not
[pali-chn] ghana 鍵南
[pal-eng] va.n.navantu $ 팔리어 adj.colourful.
[Eng-Ch-Eng] 六現觀 Six ways of clearly perceiving presently existent object based on the outflow and no-outflow wisdoms, as explained in the Yoga^ca^ra school. These are: (1) thought observation 思現觀、wisdom which arises from thought based in feelings of joy. (2) faith observation 信現觀; firm outflow and no-outflow based faith in the three treasures. This is a view that is not subject to backsliding. (3) precepts observation 戒現觀; no-outflow precepts, which make the vision more clear. (4) the observation of the wisdom of reality 智諦現觀; the a priori and a posteriori wisdoms that observe suchness in the paths of seeing 見道 and cultivation 修道. (5) observation of extensive wisdom of reality 邊智諦現觀; the mundane and transmundane wisdoms that are based on the manifold marks of suchness. final observation 究竟現觀; the ten no outflow wisdoms 十智 that are present at the final stage. 【參照: 現觀】
[Muller-jpn-Eng] 掉亂 トウラン to be agitated, disturbed, confused
[Glossary_of_Buddhism-Eng] KUNGAN☞
See: Koan.
[fra-eng] sous-système $ 불어 subsystem
[chn_eng_soothil] 車軸 The hub of a cart; applied to large drops (of rain).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何以故? 若取非法相, 卽着我人衆生壽者.
무슨 까닭인가 하면, 비법상에 걸리더라도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에 집착
되기 때문이니라.
[玄奘] 若有非法想轉, 彼亦應有我執、有情執、命者執、補特伽羅等執.
[義淨] 若有非法想, 彼亦有我執、有情執、壽者執、更求趣執.
06-13 सचेदधर्मसंज्ञा प्रवर्तेत, स एव तेषामात्मग्राहो भवेत्, सत्त्वग्राहो जीवग्राहः पुद्गलग्राह इति।
sacedadharmasaṁjñā pravarteta | sa eva teṣāmātmagrāho bhavet |
sattvagrāho jīvagrāhaḥ pudgalagrāha iti |
만약 법이 아닌 것에 대한 산냐가 생겨날 수 있다면 그것은 오직 그들에게 있어서
자아에 대한 집착이 될 것이며 중생에 대한 집착、 영혼에 대한 집착、 개체아에 대한
집착이 될 것이다.
▼▷[sacedadharmasaṁjñā] ① sacet(ƺ.) + a|dharma+saṁjñā(Ʒ.nom.) → [만약、 법이 아닌
것에 대한 산냐가]
▼[pravarteta] ① pravarteta(pot.Ⅲ.sg.) → [생겨날 수 있다. → 생겨날 수 있다면,]
② pravṛt(1.Ʋ. to go forward, proceed; to arise, be produced; to happen, take place)
▼▷[sa] ① saḥ(ƾ.nom.) → [그것은]
▼[eva] ① eva(ƺ.) → [오직]
▼[teṣāmātmagrāho] ① teṣām(pn.ƾ.gen.pl.) + ātma+grāhaḥ(ƾ.nom.) → [그들에게
있어서、 자아에 대한 집착이]
▼[bhavet] ① bhavet(pot.Ⅲ.sg.) → [될 것이다. → 될 것이며,]
▼▷[sattvagrāho] ① sattva+grāhaḥ(ƾ.nom.) → [중생에 대한 집착이]
▼[jīvagrāhaḥ] ① jīva+grāhaḥ(ƾ.nom.) → [영혼에 대한 집착이]
▼[pudgalagrāha] ① pudgala+grāhaḥ(ƾ.nom.) → [개체아에 대한 집착이 (될 것이다)]
▼[iti] ① iti(ƺ.) → [라고.]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47일째]
이일국토쇄위진 $ 047▲訶理蒲訶理蒲為 一 ● 訶理三, ○□□□□,其,如,俱,此
□□□□□□□, 其塵無量不可說,
如是塵數無邊剎, 俱來共集一毛端。
□□□□□□□, 기진무량불가설,
여시진수무변찰, 구래공집일모단。
以一國土碎為塵,
한 세계를 부수어 만든 티끌들
그 티끌 한량없어 말할 수 없고
이러한 티끌 수의 끝없는 세계
모두 와서 한 털 끝에 모이었으니
[48째]
차제국토불가설 $ 048▲訶理三訶理三為 一 ● 奚魯伽, ○□□□□,共,不,而,於
□□□□□□□, 共集毛端無迫隘,
不使毛端有增大, 而彼國土俱來集。
□□□□□□□, 공집모단무박애,
불사모단유증대, 이피국토구래집。
此諸國土不可說,
말로 할 수 없는 여러 세계가
한 털 끝에 모여도 비좁지 않고
터럭 끝이 커진 것도 아니지마는
저 많은 국토들이 모두 모였고
●K0353_T1043.txt★ ∴≪A청관세음보살소복독해다라니주경≫_≪K0353≫_≪T1043≫
●K1042_T1689.txt★ ∴≪A청빈두로법≫_≪K1042≫_≪T1689≫
●K0449_T1038.txt★ ∴≪A청정관세음보현다라니경≫_≪K0449≫_≪T1038≫
■ 암산퀴즈
91* 65
604324 / 764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47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2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47 번째는?
47 좋은 말씀은 흐리고 악한 맛을 능히 맑히며
앙구지다비, 盎矩之多毘<四十七>
ango-citta avi,
(~!~) 마음의 보호를 성취케 하시고, 온갖 눈병(惡相)으로부터 보호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020 오마바디 사혜야야 ◐烏摩鉢底<天后>娑醯夜耶<及眷屬等二十>◑umāpati-sahitāya//
021 나모바가바 뎨 ◐娜牟婆伽筏<蒱末反>帝<世尊二十一>◑Namo bhagavate
022 나라연나야 ◐那囉延拏耶<地祇衆二十二>◑nārāyaṇāya
023 반자마하몯다라 ◐半遮摩訶沒陁囉<大印二十三>◑pacamahāsammudrā//
024 나모스가리 다야 ◐娜牟塞訖哩<二合>多耶<頂禮世尊二十四>◑Namas-kritāya//
025 나모바가 바뎨마하가라야 ◐娜牟婆伽<上呼>筏帝摩訶迦囉耶<大黑天神二十五>◑Namo bhagavate mahā-kālāya
026 디리보라나가 라 ◐底哩<二合>補囉那伽<上>囉<城二十六>◑tri-pura-nagara
027 비타라바나가라야 ◐毘陁囉皤拏迦囉耶<破壞二十七>◑vidrāpaṇa-karāya
028 아뎨목다가시마사나바싣니 ◐阿底目多迦尸摩舍那縛悉埿<尸陁林中二十八>◑adhimuktaka-śmaśāna-vāsine
029 마다리 가나 ◐摩怛唎<二合>伽拏<鬼神衆二十九>◑mātri-gaṇāṃ//
●10방 여래께서는
이 주문의 비밀심인(祕密心印)을 잡고 모든 마군을 항복시켜서 온갖 외도를 제압하시느리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47
스스로를 조복(調伏)하시어 번뇌를 제거하신 이께 귀의합니다.
南無調伏除煩惱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5915
791
법수_암기방안
2 염통 【심장】
47 발 돌출부 [신조어] 엄지발가락 위 돌출부분 ( Ball )
48 왕(엄지)발가락 a big[great] toe
47 발 돌출부 [신조어] 엄지발가락 위 돌출부분 ( Ball )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216_220334 :
대장경 내 게송
10방의 한량없는 모든 중생이
생각마다 이미 선서(善逝)의 과위 증득했다
그가 장부(丈夫)라면 나도 역시 그렇거늘
어찌 자기를 업신여겨 퇴굴(退屈)하겠느냐.
출전:
한글대장경 K1499_T2016
종경록(宗鏡錄) 송 연수집
宗鏡錄 【宋 延壽集】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누워서 복식 호흡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2568-12-17-화
Kleppe Norway
[사진] https://www.google.co.kr
[지도내 사진] https://maps.app.goo.gl
[거리뷰1] https://maps.app.goo.gl
[세계내-위치] https://www.google.nl
[설명 1] https://en.wikipedia.org
[설명 2]
[동영상 1] 1:32
https://youtu.be
Kleppe - Rogaland
[동영상 2]
[음악] https://radio.garden
[위키 그림 감상]
https://www.wikiart.org

○ 2016_1008_132827_nik_ct27

○ 2018_0418_121530_can_exc

○ 2018_0419_124041_can_ct27

○ 2018_0419_140306_can_ct24

○ 2020_0525_165349_can_ct27

○ 2020_0525_165350_nik_ct27

○ 2020_0525_165628_can_ct27

○ 2022_0411_162442_nik_Ar28_장안벚꽃길

○ 2022_0411_153258_nik_Ar28_장안벚꽃길

○ 2022_0411_153258_nik_ab41_s12_장안벚꽃길

○ 2022_0411_174852_can_BW25장안벚꽃길

○ 2022_0411_152429_can_CT38_s12장안벚꽃길

○ 2022_1116_163440_HP_BY_YJ_BW25과천공원

○ 2022_0909_150522_can_ct4_s12꽃과 장식

○ 2022_1109_133248_can_CT28인천대공원_인천수목원

○ 2022_1109_123840_can_Ab27인천대공원_인천수목원

○ 2022_1116_155404_HP_BY_YJ_CT33과천공원

○ 2022_1109_123452_can_ar38인천대공원_인천수목원
● [pt op tr] fr
_M#]

○ 2020_0525_190114_can_ct27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청빈두로법_K1042_T1689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청빈두로법 /전체1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9-02-16_청빈두로법-K1042-001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2/2569-02-16-k1042-001.html
sfed--청빈두로법_K1042_T1689.txt ☞청빈두로법 /전체1권
sfd8--불교단상_2569_02.txt ☞◆vsfa5711
불기2569-02-16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762786718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270
htmback--불기2569-02-16_청빈두로법_K1042_T1689-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