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본행집경』
K0802
T0190
불본행집경 제46권/전체6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본행집경』
♣0802-046♧
불본행집경 제46권/전체60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6_155830_can_bw7_s12
○ 2020_0907_135430_nik_ct11
○ 2020_0907_150933_nik_bw5
○ 2020_0907_175540_can_Ab31
○ 2020_0908_152719_can_Ab27
○ 2020_0909_134744_can_ab41
○ 2020_0909_154428_can_BW25
○ 2020_0910_181830_nik_Ab31
○ 2020_0930_150108_nik_ct7
○ 2020_1017_160600_can_AR35_s12
○ 2018_1024_164137_nik_AB7_s12
○ 2020_1114_114257_nik_ct18_s12
○ 2020_1114_161602_can_BW22
○ 2021_1112_173812_can_ct17_s12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 2021_1001_141044_can_BW21_s12봉화_청량산_청량사
○ 2021_1112_173603_can_Ab31_s12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 2020_0430_124915_can_Ab35서울_북악산_성불사
○ 2021_0930_110631_can_CT28삼척_두타산_천은사
○ 2021_1004_181807_can_ab41_s12_pc하동_고성산_약천사
● [pt op tr] fr
_M#]
○ 2021_1007_162102_nik_ct31부안_능가산_개암사
❋❋본문 ♥ ◎[개별논의]
★%★
『불본행집경』
♣0802-046♧
◎◎[개별논의] ♥ ❋본문
★1★
◆vsfm1227
◈Lab value 불기2569/02/23 |
♥단상♥ ![]()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2/2569-02-23-k0802-046.html#1227 sfed--불본행집경_K0802_T0190.txt ☞불본행집경 제46권/전체60권 sfd8--불교단상_2569_02.txt ☞◆vsfm1227 불기2569-02-23 θθ |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범】Pāyattika 6취계(聚戒)의 하나.
바일저가(波逸底迦)ㆍ바약치(波藥致)ㆍ바라일니가(波羅逸尼柯)ㆍ바라야질지가(波羅夜質胝迦)ㆍ바야제(波夜提)라고도 쓰며, 타(墮)라 번역.
계율 가운데 가벼운 것으로,
이를 범한 이는 범계(犯戒)에 관련된 재물을 내놓거나,
혹 다른 이에게 참회함으로써 죄가 없어진다.
그러나 만일 규정에 따라 참회하지 않으면 지옥에 떨어질 죄업을 구성하는 것이므로 타(墮)라 한다.
이에 니살기바일제(尼薩耆波逸提)와 발일제의 2종이 있다.
앞에 것은 사타(捨墮)라 번역.
뒤에 것은 단제(單提) 또는 단타(單墮)라 번역.
사타에는 30계(戒)가 있으므로 30사타,
단타에는 90계가 있으므로 90단타라 한다.
두 가지의 통(通)과 별(別)을 말하면,
사타는 재물을 버리고 참회하는 것이며,
단타는 버릴 재물이 없는 것이므로 다만 다른 이에게 향하여 참회만 하는 것이 서로 다르다.
이 두 가지는 계상(戒相)을 8단(段)으로 나눌 적에는 따로따로 취급하지만,
5편(篇) 내지 7취(聚)로 할 적에는 일괄하여 바일제라 총칭.
두 가지가 모두 참회하지 않으면 지옥 갈 죄를 구성하는 것으로 죄의 자체가 같다.
답 후보
● 바일제(波逸提)
반자교(半字敎)
발우(鉢盂)
방광삼매(放光三昧)
방법(謗法)
방장행자(方丈行者)
방편유여토(方便有餘土)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Charles Aznavour - Je Te Rechaufferai
Indochine - You Spin Me Round (Like a Record) [au profit de RSF]
Michel Sardou - Tuez-Moi
Mireille Mathieu - La Musique Du Bonheur
Chorus Meps - Nuit De Folie
Jean Sablon - Sur Le Pont D'avignon (Swing)
Mireille Mathieu - Maman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54▲ 年老耂耒吏 ■ 년로로뢰리 54 ( 해 년( 연), / 아첨할 녕( 영) )( 늙을 로 / 노 )( 늙을로엄 로 / 노)(가래 뢰 /뇌 )( 벼슬아치 리 / 이, 관리 리. 이 )
055▲ 卍米百缶糸 ■ 만미백부사 55 ( 만자 만 )( 쌀 미 )(일백 백/ 힘쓸 맥 )(장군 부 / 두레박 관 )CF 장군( =배가 불룩하고 목 좁은 아가리가 있는 질그릇)(실 사 / 가는 실 멱,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Mañjuśrīmitra
[san-chn] upabṛṃhayati 令增長, 增長, 長
[san-eng] ghoṣaḥ $ 범어 vibration
[pali-chn] sammā-vācā 正語
[pal-eng]
[Eng-Ch-Eng] 取舍 Grasping and letting go. Choice, option (a^da^na-tya^ga).\nSelecting and rejecting; grasping and releasing. Same as 取舍.
[Muller-jpn-Eng] 不善性 フゼンショウ unwholesome quality; evil, bad
[Glossary_of_Buddhism-Eng] KANISKHA☞
See: Kanisha (100 A.D.).
[fra-eng] immergent $ 불어 immerse
[chn_eng_soothil] 普光 Universal light, to shine everywhere.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所以者何? 一切賢聖, 皆以無爲法, 而有差別.」
어째서 그러냐 하면, 온갖 현인(賢人)이나 성인(聖人)들이 모두가 무위(無
爲)의 법에서 여러 가지 차별을 이루기 때문입니다.”
[玄奘] 何以故? 以諸賢聖補特伽羅皆是無為之所顯故.
[義淨] 何以故? 以諸聖者皆是無為所顯現故.
07-05 तत्कस्य हेतोः ? असंस्कृतप्रभाविता ह्यार्यपुद्गलाः॥७॥
tatkasya hetoḥ | asaṁskṛtaprabhāvitā hyāryapudgalāḥ ||7||
그것은 어떤 이유인가 하오면, 참으로 고귀한 이들은 無爲로써 드러나기 때문입니다.”˚
▼▷[tatkasya] ① tat(pn.ƿ.nom.) + kasya(pn.ƾ.gen.) → [그것은、 어떤]
▼[hetoḥ] ① hetoḥ(ƾ.gen.) → [이유의? → 이유인가 하오면,]
② hetu(ƾ. cause, reason, motive; source, origin; a means or instrument)
▼▷[asaṁskṛtaprabhāvitā] ① asaṁskṛta+prabhāvitāḥ(njp.→ƾ.nom.pl.) → [다듬어지지 않은
채 드러납니다 → 無爲로써 드러나기 때문입니다]
② asaṁskṛta(nj. unpolished, not refined or cleansed) < saṁskṛta(nj. polished, refined or
cleansed; decorated or adorned) < saṁ(ƺ. with) +|s|+ kṛ(8.dž. to do, to make)
② prabhāvita(nj.) < pra(ƺ. higher, forward) + bhāvita(p.p. created, produced, obtained;
manifested, displayed; cherished, fostered)
▼[hyāryapudgalāḥ] ① hi(ƺ.) + ārya+pudgalāḥ(ƾ.nom.pl.) → [참으로 고귀한 이들은.]
② ārya(nj. Āryan; worthy of an Ārya; worthy, venerable, respectable, noble)
② pudgala(ƾ. atom; the body matter; the soul; the ego or individual; man)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54일째]
의근명료불가설 $ 054▲瑿攞陀瑿攞陀為 一 ● 摩魯摩, ○□□□□,遊,勇,自,所
□□□□□□□, 遊歷諸方不可說,
勇猛精進不可說, 自在神變不可說,
□□□□□□□, 유력제방불가설,
용맹정진불가설, 자재신변불가설,
意根明了不可說,
의근(意根)이 분명함을 말할 수 없고
여러 방위 다님도 말할 수 없고
용맹하게 정진함도 말할 수 없고
자유로운 신통 변화 말할 수 없고
055□
[55째]
소유사유불가설 $ 055▲摩魯摩摩魯摩為 一 ● 調伏, ○□□□□,所,所,一,身
□□□□□□□, 所有大願不可說,
所有境界不可說, 一切通達不可說,
□□□□□□□, 소유대원불가설,
소유경계불가설, 일체통달불가설,
所有思惟不可說,
그 가운데 생각함도 말할 수 없고
그 가운데 큰 서원도 말할 수 없고
거기 있는 경계도 말할 수 없고
온갖 것 통달함도 말할 수 없고
●K0979_T0193.txt★ ∴≪A불본행경≫_≪K0979≫_≪T0193≫
●K0802_T0190.txt★ ∴≪A불본행집경≫_≪K0802≫_≪T0190≫
●K0993_T2029.txt★ ∴≪A불사비구가전연설법몰진게백이십장≫_≪K0993≫_≪T2029≫
■ 암산퀴즈
178* 65
64014 / 94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54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9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54 번째는?
54 제가 과거에 항하의 모래알 수만큼 많은 부처님으로부터 직접 받아 지닌 것입니다.
돈구례, 敦具隸<五十四>
tud kule,
(~!~) 성스러운 가문에 출생 토록 전진 전진케 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090 아기니 ◐阿祁尼<火九十>◑agni
091 오다가라니 ◐烏陁迦囉尼<水九十一>◑udakaㆍuttarani//
092 아바 라시다구라 ◐阿波<引>囉視多具囉<苻能勝嚴九十二>◑Aparājitāㆍgura
093 마하바라젼나 ◐摩訶跋囉戰拏<大力嗔怒九十三>◑mahāㆍbalaㆍcaṇḍa
094 마하뎨다 ◐摩訶提哆<火天九十四>◑mahāㆍdīpta
095 마하뎨자 ◐摩訶帝闍<大滅九十五>◑mahāㆍteja
096 마하세미 다 ◐摩訶稅尾<二合>多<太白><九十六>◑mahāㆍśveta
097 지바 라 ◐什伐<二合>囉<光焰九十七>◑jvala
098 마하바라 ◐摩訶跋囉<大力九十><八>◑mahāㆍbala
099 반다라바시니 ◐半茶囉嚩<引>悉你<白拂九十九>◑pāṇḍaraㆍvāsinl.
●10방 여래께서는
이 주문의 비밀심인을 따라
10방에서 선지식(善知識)을 섬기며,
다니거나 머물거나 앉거나 누울 때도
마음대로 공양하시므로,
항하의 모래처럼 많은 여래께서는
모임 가운데서 큰 법왕자로 추천하신다.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54
열반의 청량함을 얻으신 이께 귀의합니다.
南無得淸涼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11570
681
법수_암기방안
9 맹장 【맹장】
54 입 mouth 口脣 【구순】
55 이마 forehead, 額上 【액상】 이마의 위
54 입 mouth 口脣 【구순】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223_225259 :
장경각 내 게송
그래서 나는 또 죽어
어느 소장수의 암소에게 태어나
나무의 진 같은 구리쇠빛 송아지로
불알 깨이고 열두 달 동안을,
출전: [승가학회CD,
동국대불교학과 자료집DVD]
장경각 1경전-
남전-장로니게(長老尼偈)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팔 옆으로 벌렸다 모으기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2568-11-27-수
♡Sanchi India
[사진] https://www.google.co.kr
[지도내 사진] https://maps.app.goo.gl
[거리뷰1] https://maps.app.goo.gl
[세계내-위치]
[설명 1] https://en.wikipedia.org
[설명 2]
[동영상 1] 4:28
https://youtu.be
Great Stupa at Sanchi, India [Amazing Places 4K]
[동영상 2]
[현지음악]
[예술작품감상]자화상사진
https://www.wikiart.org
https://en.wikipedia.org

○ 2016_1008_131111_nik_exc

○ 2018_0419_124041_can_ct27

○ 2020_0525_162442_nik_ct3

○ 2020_0525_165537_can_exc

○ 2020_0525_183824_can_ct27

○ 2020_0606_140917_can_ct5

○ 2020_0606_141658_can_ar17

○ 2020_0606_172753_can_ct31

○ 2022_0411_152101_can_BW21_s12_장안벚꽃길

○ 2022_0411_154528_can_BW21_s12_장안벚꽃길

○ 2022_0411_153530_can_bw0_s12_장안벚꽃길

○ 2022_0411_174850_can_Ab35장안벚꽃길

○ 2022_0411_154718_can_ct8장안벚꽃길

○ 2022_0411_152429_can_ct9_s12장안벚꽃길

○ 2022_0411_161443_can_Ar28장안벚꽃길

○ 2022_1116_162828_can_ar34과천공원
● [pt op tr] fr
_M#]

○ 2024_0530_101639_can_Ar28뚝섬공원_국제정원박람회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불본행집경_K0802_T0190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불본행집경 제46권/전체6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9-02-23_불본행집경-K0802-046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2/2569-02-23-k0802-046.html
sfed--불본행집경_K0802_T0190.txt ☞불본행집경 제46권/전체60권
sfd8--불교단상_2569_02.txt ☞◆vsfm1227
불기2569-02-23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770973663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277
htmback--불기2569-02-23_불본행집경_K0802_T0190-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