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불화엄경』
K0079
T0278
대방광불화엄경 제55권/전체6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대방광불화엄경』
♣0079-055♧
대방광불화엄경 제55권/전체60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6_152152_nik_Ab31_s12 화순 계당산 쌍봉사
○ 2019_1106_123823_can_Ar28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20_0907_153308_nik_bw5 양산 통도사
○ 2020_0908_164130_nik_AB7 합천 해인사
○ 2020_0908_173035_nik_CT33 합천 해인사 백련암
○ 2020_0910_183031_can_Ab27 제천 월악산 신륵사
○ 2018_1023_163419_can_BW22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18_1023_165825_nik_AR25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18_1023_191337_nik_Ab15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19_1104_173150_nik_Ar26_s12 구례 연곡사
○ 2019_0317_162355_nik_bw24_서울_도봉산_광륜사
○ 2021_1007_165734_can_BW25부안_능가산_개암사
○ 2021_1112_154925_nik_BW17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 2021_1003_184033_nik_ct18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 2021_1001_101337_can_bw24_pc안동_천등산_봉정사
○ 2021_1003_152019_can_ct31_s12_pc밀양_삼량진_금오산_여여정사
○ 2021_0320_143842_nik_CT28포천_왕방산_왕산사
○ 2021_1003_104422_nik_ar28_s12밀양_재악산_표충사
○ 2023_0402_151541_can_ar47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 [pt op tr] fr
_M#]
○ 2020_1114_143355_can_Ab31 삼각산 도선사
❋❋본문 ♥ ◎[개별논의]
★%★
『대방광불화엄경』
♣0079-055♧
◎◎[개별논의] ♥ ❋본문
★1★
◆vddr7309
◈Lab value 불기2569/02/13 |
Charles Aznavour - Mon Coeur S'envole Vers Toi
♥단상♥ ![]()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2/2569-02-13-k0079-055.html#7309 sfed--대방광불화엄경_K0079_T0278.txt ☞대방광불화엄경 제55권/전체60권 sfd8--불교단상_2569_02.txt ☞◆vddr7309 불기2569-02-13 θθ |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불기2569-02-13_대방광불화엄경_055
세계를 말함. 여러 연(緣)으로 말미암아 미진(微塵)이 모여서 물질계(界)를 조성하거나 5온(蘊)이 가화합(假和合)하여 사람이 되는 것처럼 여러 가지가 융합하여 하나의 상(相)을 이루는 것. 또는 모든 것이 하나의 전체라고 보아서 고집하는 집착.
답 후보
● 일합상(一合相)
입적(入寂)
자력회향(自力廻向)
자비량(自比量)
자성(自性)
자수용(自受用)
자연(自然)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Veronique Sanson - Cameleon
Arthur H - Naive Derviche
Les Cowboys Fringants - Hannah
Piaf Edith - C'est D'la Faute A Tes Yeux
Stanislas & Calogero - La Debacle Des Sentiments
Monty - Un Verre De Whisky
Marie-Paule Belle - Une Imbecile Heureus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44▲ 司史疒生石 ■ 사사상생석 44 ( 맡을 사 )(사기 사 )( 병들어 기댈 상 / 병들어 기댈 녁 / 역 )( 날 생 )( 돌 석/ 섬 석 )
045▲ 世示礻矢市 ■ 세시시시시 45 ( 인간 세/ 대 세 )( 보일 시 / 땅귀신 기, 둘 치 )( 보일시변 시 )( 화살 시 )( 저자 시/ 상품을 팔고 사는 시장, 장사 시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Passaddhi
[san-chn] vipula-vīrya 廣大精進
[san-eng] sūryagṛhe $ 범어 in the home of sun(during the solar eclipse)
[pali-chn] pāṭaliputta 巴連弗, 波吒釐子城
[pal-eng]
[Eng-Ch-Eng] self-power 自力
[Muller-jpn-Eng] 輪廻 リンネ (term) transmigration (saṃsāra)
[Glossary_of_Buddhism-Eng] NINE REALMS☞
See also: Ten Realms.
“All realms in the cosmos, with the exception of the Buddha
realms.”
Tam: 343 #0958
[fra-eng] plue $ 불어 pleased, rained
[chn_eng_soothil] 褐麗 (褐麗伐多) Revata, name of several persons, v. 利, 離.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何以故? 是諸衆生, 無復我相人相衆生相壽者相,
무슨 까닭인가 하면 이 중생들은 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이 전혀 없으며
[玄奘] 何以故? 善現!
彼菩薩摩訶薩無我想轉、無有情想、無命者想、無士夫想、無補特伽羅想、無意生
想、無摩納婆想、無作者想、無受者想轉;
[義淨] 何以故? 由彼菩薩無我想、眾生想、壽者想、更求趣想;
06-10 तत्कस्य हेतोः ? न हि सुभूते तेषां बोधिसत्त्वानां महासत्त्वानामात्मसंज्ञा प्रवर्तते, न सत्त्वसंज्ञा, न जीवसंज्ञा, न पुद्गलसंज्ञा प्रवर्तते।
tatkasya hetoḥ | na hi subhūte teṣāṁ bodhisattvānāṁ
mahāsattvānāmātmasaṁjñā pravartate na sattvasaṁjñā na jīvasaṁjñā na
pudgalasaṁjñā pravartate |
그것은 어떤 이유인가? 수보리여! 참으로 그들 위대한 존재로서 깨달음갖춘이들의 경우
‘자아’에 대한 산냐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며, ‘중생’에 대한 산냐、 ‘영혼’에 대한 산냐、
‘개체아’에 대한 산냐가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意味] ‘보살은 四相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무한공덕이 있다.’라는 것이 본 구절의
겉으로 드러난 의미이며, ‘보살행은 諸行이 無爲로 행해지는 까닭에 어떠한 業도
발생되지 않으므로 해탈한 상태와 동일하므로 보살행이 완전한 열반에 듦에
방해될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라는 것이 본래의 의미이다.
▼▷[tatkasya] ① tat(pn.ƿ.nom.) + kasya(pn.ƾ.gen.) → [그것은、 어떤]
▼[hetoḥ] ① hetoḥ(ƾ.gen.) → [이유의? → 이유인가?]
② hetu(ƾ. cause, reason, motive; source, origin; a means or instrument)
▼▷[na] ① na(ƺ.) → [(否定)]
▼[hi] ① hi(ƺ.) → [참으로]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teṣāṁ] ① teṣāṁ(pn.ƾ.gen.pl.) → [그들]
② teṣāṁ(pn.ƾƿ.gen.pl.) < tad(pn. that, he, it she)
▼[bodhisattvānāṁ] ① bodhisattvānāṁ(ƾ.gen.pl.) → [깨달음갖춘이들의 경우]
▼[mahāsattvānāmātmasaṁjñā] ① mahāsattvānām(nj.→ƾ.gen.pl.) +
ātma+saṁjñā(Ʒ.nom.) → [위대함갖춘상태인、 자아에 대한 산냐가]
② ātman(ƾ. the soul; self; supreme deity and soul of the universe)
② saṁjñā(Ʒ. consciousness; knowledge, understanding; intellect, mind)
▼[pravartate] ① pravartate(pres.Ⅲ.sg.) → [일어나지 않는다, →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며,]
② pravṛt(1.Ʋ. to go forward, proceed; to arise, be produced; to happen, take place) <
pra(ƺ. higher, forward) + vṛt(1.Ʋ. to be, exist, abide, remain, subsist, stay)
▼[na] ① na(ƺ.) → [(否定)]
▼[sattvasaṁjñā] ① sattva+saṁjñā(Ʒ.nom.) → [중생에 대한 산냐가]
② sattva(ƿƾ. being, existence, entity; nature; nature character)
▼[na] ① na(ƺ.) → [(否定)]
▼[jīvasaṁjñā] ① jīva+saṁjñā(Ʒ.nom.) → [영혼에 대한 산냐가]
② jīva(nj. living, existing, alive: ƾ. the principle of life, the individual or personal soul)
▼[na] ① na(ƺ.) → [또는]
▼[pudgalasaṁjñā] ① pudgala+saṁjñā(Ʒ.nom.) → [개체아에 대한 산냐가]
② pudgala(nj. beautiful, lovely, handsome: ƾ. atom; the body matter; the ego or individual)
▼[pravartate] ① pravartate(pres.Ⅲ.sg.) → [일어나지 않는다. → 일어나지 않기 때문이다.]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44일째]
념념어제소행처 $ 044▲泥羅婆泥羅婆為 一 ● 訶理婆, ○□□□□,調,所,所,於
□□□□□□□, 調伏眾生不可說。
所有神變不可說, 所有示現不可說,
□□□□□□□, 조복중생불가설。
소유신변불가설, 소유시현불가설,
念念於諸所行處,
찰나찰나 다니는 여러 곳에서
중생을 조복함도 말할 수 없고
갖고 있는 신통 변화 말할 수 없고
보이어 나타냄도 말할 수 없어
045□
[47째]
이일국토쇄위진 $ 047▲訶理蒲訶理蒲為 一 ● 訶理三, ○□□□□,其,如,俱,此
□□□□□□□, 其塵無量不可說,
如是塵數無邊剎, 俱來共集一毛端。
□□□□□□□, 기진무량불가설,
여시진수무변찰, 구래공집일모단。
以一國土碎為塵,
한 세계를 부수어 만든 티끌들
그 티끌 한량없어 말할 수 없고
이러한 티끌 수의 끝없는 세계
모두 와서 한 털 끝에 모이었으니
●K0150_T0462.txt★ ∴≪A대방광보협경≫_≪K0150≫_≪T0462≫
●K0079_T0278.txt★ ∴≪A대방광불화엄경≫_≪K0079≫_≪T0278≫
●K0080_T0279.txt★ ∴≪A대방광불화엄경≫_≪K0080≫_≪T0279≫
■ 암산퀴즈
835* 545
25652 / 484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44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43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44 번째는?
44 좋은 말씀은 싸움이 치성한 겁을 능히 맑히며
다뎨, 癉綻<四十四徒界反>
tade
(이하~) 망상을 부수고 욕망에 가득한 이들의 힘을 빼 포박 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430 바저라 ◐跋折囉<四百三十>◑vajra
431 아리반타 ◐阿唎畔陁<四百三十一>◑ariㆍbandha
432 비타니 ◐毘陁你<四百三十二>◑vidhani
433 바저라바니바 ◐跋折囉波尼泮<四百三十三>◑vajraㆍpāṇi phaṭ//
434 호훔 ◐呼吽<四百三十><四>◑hūṃ
435 도로훔 ◐咄嚕吽<三合四百三十五>◑trūṃ
436 사바하 ◐莎皤訶<四百三十六>◑svāhā//
437 옴훔 ◐唵吽<四百三十><七>◑Auṃ
438 비로뎨 ◐毘嚕提<四百三十八>◑virūdhaka
439 사바하 ◐莎皤訶<四百三十九>◑svāhā//
● 그러고도
이 선남자가 부모에게 받은 몸으로 마음을 통달하지 못한다면,
10방 여래의 말씀은 곧바로 허망한 말[妄語]이 되리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44
업(業)도 없고 무서움도 없는 이께 귀의합니다.
南無無業無怖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455075
53
법수_암기방안
43 꼬마(새끼)발가락 the little toe
44 네째발가락 the fourth toe
47 발 돌출부 [신조어] 엄지발가락 위 돌출부분 ( Ball )
44 네째발가락 the fourth toe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216_213546 :
대장경 내 게송
출전:
한글대장경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발끝 당기기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2568-12-07-토
청도 대비사
[사진]
https://search.daum.net
https://search.naver.com
https://www.google.co.kr
[지도내 사진] https://maps.app.goo.gl
[거리뷰1]
[세계내-위치]
[설명 1] https://ko.wikipedia.org
[설명 2] https://48324ekfmak.tistory.com
https://gopeak.tistory.com
https://blog.naver.com
[동영상 1] 11:59
https://youtu.be
[동영상 2]
[현지음악]
[위키 그림 감상]
작은 여학생 - 앙리 르 포코니에
https://www.wikiart.org
https://www.wikiart.org

○ 2020_0907_122422_nik_ori_rs 양산 보광사

○ 2020_0907_152112_nik_ori_rs 양산 통도사

○ 2020_0910_135415_nik_ori_rs 속리산 법주사

○ 2020_1002_121126_nik_exc_s12 파주 고령산 보광사

○ 2020_1017_163506_nik_exc_s12 삼각산 화계사

○ 2018_1023_174430_can_ori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18_1023_160508_nik_ori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18_1023_161001_nik_ori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19_1104_105303_can_exc_s12 구례 화엄사

○ 2019_1104_161656_can_exc_s12 구례 쌍계부근

○ 2019_1104_112636_nik_exc 구례화엄사 구층암

○ 2021_0929_094139_nik_exc양양_오봉산_낙산사

○ 2021_0211_160026_nik_exc서울_북한산_진관사

○ 2021_1005_160158_nik_exc장흥_천관산_천관사

○ 2021_1001_112357_nik_exc_s12안동_천등산_봉정사

○ 2021_1004_132419_nik_exc산청_지리산_대원사

○ 2016_0505_125836_nik_exc_s12춘천_오봉산_청평사

○ 2021_1005_163438_nik_exc_s12장흥_천관산_천관사

○ 2023_0325_185449_nik_exc_s12수도산_봉은사
● [pt op tr] fr
_M#]

○ 2019_0317_160337_nik_exc서울_도봉산_광륜사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
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대방광불화엄경_K0079_T0278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대방광불화엄경 제55권/전체6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9-02-13_대방광불화엄경-K0079-055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2/2569-02-13-k0079-055.html
sfed--대방광불화엄경_K0079_T0278.txt ☞대방광불화엄경 제55권/전체60권
sfd8--불교단상_2569_02.txt ☞◆vddr7309
불기2569-02-13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762759556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267
htmback--불기2569-02-13_대방광불화엄경_K0079_T0278-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