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아함경』
K0650
T0099
제1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잡아함경』 ♣0650-001♧
제1권

○ 2019_1104_121746_can_exc_s12 구례 화엄사
★★★ 현재 페이지 분량이 많아 전체 내용이 올라가지 않습니다.
전체분량은 블로거 사이트에 올려져 있습니다.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3/k0650-t0099-001-01.html
따라서 목차만 해당 페이지로 하이퍼링크 연결합니다.
그리고 전체분량을 다음 사이트에 압축파일로 올립니다.
★★★
https://drive.google.com/up
현재버전 [v2569-032]
★★★ 개설서 관련 연구내용 (작성중 자료) 폴더
https://drive.google.com
해당 폴더 링크는 이후 사정상 변동 가능합니다.
혹시 위 링크로 연결되지 않을 때는 본 페이지 내 공지를 참조하십시오.
[작업중파일] 보관폴더내 편집 자료파일
★★★ 연구용 작성중 자료
[작업중파일] 편집 작성중인 자료파일
○ 불교사전학습과_수행
○ 불교개설서_연구_수행
○ 불교기초_잡아함경
○대장경 단문형태 편집 파일
○니르바나행복론
초중고_교과서와수행
○역사
○어학
○영어
○중국어
○지구과학
○한문(불교한문)
이들 파일은 모두 작성중인 자료 파일들입니다.
이는 다음 링크를 통해 자유롭게 이용가능합니다.
https://drive.google.com
● 위 폴더내 파일 중 불교 개설서 관련 파일에 대한 안내
위 폴더내 파일 중 불교 개설서 관련 파일은
기본적으로 다음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기초 체계로 합니다.
원 파일 출처 https://cloudwater.tistory.com/221
'정해 불교학 총정리' 운수 조중현 (불기 2551년(2007)년 경서원 재발간)
위 폴더내 불교 개설서 내용은 이를 기초 바탕체계로 합니다.
그러나 원 사이트의 원래 책과는 내용이 정확히 일치하지 않습니다.
그 사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는 위 개설서 내용을 기초로 불교관련 공부를 하면서
대장경자료 및 불교사전 자료, 관련 단행본서적 내용 및 기타 인터넷 자료 등을 참조하며
필요한 내용을 수시로 보충하며 연구해가는 용도의 파일입니다.
그래서, 인터넷 상에서 실시간으로 계속 수정 보완을 해가며 변경되는 파일입니다.
따라서 원저자의 내용을 참조하고자 할 때는 위에 링크된 사이트내 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한편 이들 폴더내 다른 자료 파일들도 모두 성격을 갖습니다.
즉, 이들은 인터넷 상에서 실시간으로 계속 수시로 수정 보완을 해가며 변경되는 파일입니다.
다만 연구 작업 도중의 파일 내용이더라도
연구 목적으로 필요한 경우, 누구나 언제나 자유롭게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한 자료입니다.
따라서 이들 파일 사용시는 이런 사정을 미리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v2569-032]
▣- 서
I
▣- 경전내용 - 『잡아함경』 1 무상경
▣■ 고려대장경 영인본
▣■ 고려대장경 판본
▣■ 팔리본
▣■ 영어번역본
▣■ 요약-
▣○ 정관과 염리의 관계
▣○ 경전내용 요약
▣○ 5온과 현상의 범주
▣○ 불교의 기본적 진리
▣○ 일체에 공통된 내용
▣○ 개인적인 삶의 기본목표
▣○ 5온과 무상ㆍ고ㆍ공에 대한 의문내용
▣- 법문의 이해와 실천 수행의 순서
▣- 수행과 법문의 이해
▣○ 생사고통과 현실의 정체 이해
▣○ 일반적 입장에서 수행에 들어가는 기본 계기
▣- 기초적으로 세속의 묶임에서 벗어나기
▣- 고통의 임시적 제거와 근본적 제거 방안
▣- 좁고 짧고 얕은 관찰과 넓고 길고 깊은 관찰
▣- 넒고 길고 깊은 관찰에 바탕한 좋음
▣- 소원과 서원의 가치
▣- 좁고 짧고 얕은 관찰에 바탕한 가치판단의 문제점
▣- 당장 외관에 드러나지 않는 내용들
▣- 각 주체의 내면 내용
▣- 초점 외 잠재된 내용
▣- 당장의 감각, 느낌에 치중
▣- 인과에 대한 무지
▣- 시장가격에 의한 판단
▣- 실질 가치 및 효용과 시장가격
▣- 눈에 보이지 않은 수익과 비용
▣- 생명과 신체의 소모분
▣- 생명과 신체의 소모분의 화폐가치 환산
▣- 화폐의 실질 가치와 시장가격
▣- 쓰레기와 보물
▣- 수행으로의 전환 계기
▣- 생사고통이 없음의 가치
▣- 고려하는 기간의 문제
▣- 장기간에 걸친 인과 판단
▣- 자신의 생명에 대한 객관적 평가 (다른 생명들의 주관적 평가 )
▣- 단멸관과 수행
▣- 단멸관의 제거의 어려움과 믿음의 중요성
▣○ 종교 일반의 현실부정 공상주의적 이상성과 불교
▣- 다양한 가능성을 고려하는 합리적 입장
▣- 생사과정에서 수행의 가치
▣- 가치의 유지기간과 수행을 통해 얻는 자산
▣- 수행에 대한 의지를 갖기
▣- 수행의 여러 단계와 생사 고통 제거 방안
▣- 장래 결과 발생 원인제거
▣- 이미 발생한 고통에 대한 대처 방안
▣- 원래의 좋은 상태로 회복하는 추가 노력
▣- 과거에 쌓여진 업장의 추가제거
▣- 고통의 제거 순서 - 예방의 중요성
▣- 수행의 최초 진입 - 인천교적인 방안
▣- 인천교와 10선법
▣- 생사묶임에서 벗어나는 수행의 예비단계
▣- 외범으로서 3현
▣- 5정심관
▣- 관신부정觀身不淨
▣- 관수시고觀受是苦
▣- 관심무상觀心無常
▣- 관법무아觀法無我
▣- 불교내 수행 예비단계 (난ㆍ정ㆍ인ㆍ세제일 4선근위)
▣- 고제(苦諦)의 4행상 [비상非常ㆍ고苦ㆍ공空ㆍ비아非我]
▣- 고집제(苦集諦)의 4행상 [인因ㆍ집集ㆍ생生ㆍ연緣]
▣- 고멸제(苦滅諦)의 4행상 [멸滅ㆍ정靜ㆍ묘妙ㆍ리離]
▣- 도제(苦滅道諦)의 4행상 [도道ㆍ여如ㆍ행行ㆍ출出]
▣- 존재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수행의 필요성- 생사고통의 제거
▣○ 생사현실의 생사고통 [고제苦諦]
▣○ 생사고통을 겪는 원인 [고집제]
▣- 욕계의 소원의 성취 과정의 문제
▣- 망상분별과 번뇌 집착
▣- 자신에 대한 잘못된 이해 [신견身見]
▣- 영원함과 단멸관을 취함 [변견邊見]
▣- 탐ㆍ진ㆍ치ㆍ만 [미사혹, 수혹]
▣- 잘못된 인과 판단 문제 [사견邪見]
▣- 현실에 대한 온갖 잘못된 이해 [견취견見取見]
▣- 계금취견戒禁取見
▣- 올바른 가르침에 대한 의심 [의疑]
▣- 현실을 진짜이며 실답다고 여기는 자세의 문제
▣- 생사현실을 참된 진짜이고, 실답다고 잘못 이해하는 사정
▣- 풍부하게 중첩해 현실 내용을 얻음
▣- 감각현실과 관념을 재료로 망상분별을 일으킴
▣- 현실 내용을 외부 객관적 실재로 잘못 이해함
▣- 감각현실의 각 부분의 특성이 달라 그 실재가 있다고 여김
▣- 다수가 일정 내용을 반복 경험하기에 그 실재가 있다고 여김
▣- 본바탕 실재에 대한 다양한 잘못된 이해
▣- 참된 진짜 뼈대가 있기에 현실 내용을 얻는다고 잘못 분별함 [실체설]
▣○ 수행의 목표점 [고멸제]
▣- 근본적인 고의 제거방안 [자성청정열반, 유여의열반, 무여의열반, 무주처열반]
▣- 유여의열반
▣- 무여의열반 [회신멸지]
▣- 본래 자성청정열반
▣- 생사현실 안에서 '자성청정열반'에 대한 이해가 갖는 의미 - <생사 즉 열반>
▣- 중생제도를 위한 방안 [무주처열반]
▣○ 고통을 제거하기 위한 단계적 방안들 [고멸도제]
▣- 본 수행
▣- 37 도품
▣- 4념처
▣- 4정단
▣- 4여의족
▣- 5근
▣- 5력
▣- 7각지
▣- 8정도
▣- 정견(正見)
▣- 정사유
▣- 정어
▣- 정업
▣- 정명
▣- 정정진
▣- 정념
▣- 정정
▣- 계ㆍ정ㆍ혜 3학을 통한 번뇌의 근본제거
▣- 기본적인 계의 덕목의 성취
▣- 본성적인 계와 차계
▣- 10선법과 계와 율의 관계
▣- 계와 율의 구분
▣- 중생제도를 위한 수행에서의 계율
▣- 5계
▣- 8관재계
▣- 사미 사미니 10계
▣- 대승보살의 10중계(十重戒)
▣- 정(定: 삼매)
▣- 삼매의 공덕
▣- 삼매 수행의 내용
▣- 8해탈
▣- 8승처
▣- 10변처
▣- 3삼매
▣- 공삼매
▣- 무상삼매
▣- 무원삼매
▣- 4무량심
▣- 제불현전삼매
▣- 다양한 삼매
▣- 삼매의 단계
▣- 색계 4선
▣- 초선(初禪) 이생희락지(離生喜樂地)
▣- 2선(二禪) 이희묘락지(離喜妙樂地)
▣- 3선(三禪) 정생희락지(定生喜樂地)
▣- 4선(四禪) 사념청정지(捨念淸淨地)
▣- 심(尋)과 사(伺)의 유무에 따른 분류
▣- 현법락주
▣- 무색계 4선
▣- 멸진정과 9차제정
▣- 사자분신삼매와 초월삼매
▣- 삼매의 다양한 표현
▣- samādhi
▣- cittaikāgratā
▣- samāhita
▣- samāpatti
▣- śamatha
▣- dhyāna
▣- dṛṣṭa-dharma-sukha-vihāra
▣- 삼매로 분별 및 수ㆍ상ㆍ행ㆍ식을 제거해가는 사정
▣- 세계의 의미와 욕계 색계 무색계
▣- 망집과 욕계
▣- 욕계의 망상분별과 3 악도의 생사고통
▣- 욕계의 산란 상태
▣- 욕계에서 초점 밖 영역
▣- 욕계의 심일경성 단계
▣- 색계 삼매
▣- 무색계 삼매
▣- 색계 무색계와 궁극적 수행목표
▣- 생득정과 해탈
▣- 중생 제도와 욕계를 택하는 사정
▣- 지혜를 통한 근본적 번뇌 제거
▣- 의심의 제거
▣- 계금취견의 제거
▣- 신견의 제거
▣- 변견의 제거(상견과 단견의 제거)
▣- 상견과 단견을 취하게 되는 배경사정
▣- 상견과 단견의 제거방안
▣- 무상ㆍ고ㆍ무아ㆍ부정을 기초적으로 제시하는 사정
▣- 2분법상의 유무 분별과 망집
▣- 2분법상의 상단 분별과 망집
▣- 2분법상의 생멸 분별과 망집
▣- 언설로 표현한 제일의제와 망집
▣- 14무기와 망집
▣- 상대의 입장에 맞춘 망집제거 방편
▣- 망집에 바탕한 62견
▣- 현실의 유무분별과 망집
▣- 유무판단의 논의 취지 - 실다움 여부의 판단
▣- 실답지 않음의 판단
▣- 다양한 유무판단
▣- 존재가 문제되는 다양한 영역
▣- 일반적 입장에서의 유무 문제
▣- 관념에 대응하는 감각현실 유무문제
▣- 관념으로 감각현실을 찾아 유무를 판단하는 경우
▣- 감각현실을 먼저 대한 후 유무 판단하는 경우
▣- 일반적 유무판단시 유무 양변을 모두 떠나야 한다는 입장
▣- 망상분별 부분이 논의핵심이 되는 사정
▣- 일반적인 유무판단과 망상분별
▣- 망상분별을 일으키는 일련의 과정
▣- 아상(我相)[자신에 대한 상]
▣- 아(我)의 유무 논의의 효용
▣- 생멸 및 왕래에 대한 상
▣- 감각현실에 대응하지 않은 관념의 현실 유무 문제
▣- 실재 영역과 관련한 유무 문제
▣- 실재의 유무 논의와 생사고통
▣- 실체의 유무 문제
▣- 실다운 진짜를 찾는 사정
▣- 무아ㆍ무자성과 실재의 공함의 관계
▣- 현실에서 행해지는 다양한 유무논의
▣- 관념 영역에서 관념의 유무 문제
▣- 관념영역에서 관념이 얻어지는가 여부의 문제
▣- 유무 논의의 성격 혼동 문제
▣- 실체의 존부 문제와 관념의 존부문제의 혼동
▣- 관념적 차원에서 유무 문제들
▣- 관념영역에 관념이 현재 머물고 있는가의 문제
▣- 수학문제에서 답의 '유무' 논의
▣- 수학문제를 풀수 있는가 여부의 유무논의
▣- 과거에 기억한 관념의 현재 존부문제
▣- 연상되어지는 일정한 관념내용의 유무
▣- 감각현실에 대응한 관념의 존부 문제
▣- 감각현실 자체를 잘 얻지 못하는 경우
▣- 감각현실 자체는 잘 얻는 경우
▣- 언어 영역에서 언어의 유무 문제
▣- 언어 시설의 문제
▣- 언어 시설로 감각현실 부분을 가리키는 경우
▣- 법처소섭색[감각할 가능성으로서 유무판단]
▣- 극략색
▣- 극형색
▣- 수소인색
▣- 변계소기색
▣- 자재소생색
▣- 상황에 따라 변하는 유무판단문제
▣- 내부 내용
▣- 장애물로 가려진 내용
▣- 먼 곳의 내용
▣- 감각에 필요한 요소 조건 등이 결여된 기타 여러 상황
▣- 다른 감각현실
▣- 다른 생명체의 다른 감관이 얻는 내용들
▣- 기계적 센서를 통해 얻어지는 내용
▣- 수행을 통한 6 신통등
▣- 공간의 유무문제
▣- 마음의 유무
▣- 마음의 시설
▣- 마음의 실다움과 다른 영역과의 관계
▣- 마음과 실재의 혼동과 구분
▣- 언어표현에서의 혼동 정리
▣- 있고 없음의 판단에서 각 영역의 상호관계를 살피는 형식
▣- 유무논의와 상단 논의를 통한 수행의 방향
▣- 사견의 제거
▣- 인과의 올바른 파악 [지혜]
▣- 견취견의 제거
▣- 탐ㆍ만ㆍ진ㆍ무명의 근본제거 - 수도
▣- 탐욕과 분노에 대한 집착의 제거
▣- 어리석음의 제거
▣- 만(慢)의 제거
▣- 번뇌를 끊어가는 수행단계 3도- 4향4과
▣- 수행을 통해 끊어야 할 번뇌의 구분
▣- 견혹
▣- 수혹
▣- 수번뇌
▣- 대수혹(대번뇌지법)
▣- 불신(不信)
▣- 해태(懈怠)
▣- 방일(放逸)
▣- 혼침(惛沈)
▣- 도거(掉擧)
▣- 산란(散亂)
▣- 실념(失念)
▣- 부정지(不正知)
▣- 치(癡)
▣- 중수혹(대불선지법)
▣- 무참(無慚)ㆍ무괴(無愧)
▣- 소수혹(소번뇌지법)
▣- 간(慳)
▣- 교(憍)
▣- 질(嫉)
▣- 한(恨)
▣- 분(忿)
▣- 해(害)
▣- 뇌(惱)
▣- 부(覆)
▣- 첨(諂)
▣- 광(誑)
▣- 근본번뇌의 수행단계별 분류
▣- 수행의 3도-견도ㆍ수도ㆍ무학도
▣- 4향4과
▣- 예류향
▣- 예류과
▣- 일래향
▣- 일래과
▣- 불환향
▣- 불환과
▣- 아라한향
▣- 아라한과
▣- 아라한과 대승 보살의 수행[<생사 즉 열반관>]
▣- 업과 집착의 기본적 제거
▣- 자신에 대한 잘못된 분별과 집착의 제거[아집(我執) 번뇌장(煩惱障)의 제거]
▣- 일반 현실에 대한 잘못된 분별과 집착[법집(法執), 소지장(所知障)]
▣- 자신과 근본정신에 대한 심층적 이해
▣- 외부 세상에 대한 잘못된 분별제거
▣- 잘못된 판단에 해당하는 부분을 올바로 찾기
▣- 생사현실 일체에 대한 부정과 긍정 - <생사 즉 열반>의 이론적 이해
▣- 생사현실내 안인성취와 <생사 즉 열반>의 실증
▣- 잘못된 악취 공견의 제거
▣- 무량행문을 통한 무량 방편지혜 구족과 중생제도
▣- 보살수행과 바라밀다
▣-보시(布施, dāna-pāramitā)
▣-정계(淨戒, 지계持戒, śīla-pāramitā)
▣-안인(安忍, 인욕忍辱, kṣānti-pāramitā)
▣-정진(精進, virya-pāramitā)
▣-정려(靜慮, 선정禪定, dhyāna-pāramitā)
▣-반야(般若, prajñā-pāramitā)
▣-방편(方便, upāya-pāramitā)
▣-원(願, praṇidhāna-pāramitā)
▣-력(力, bala-pāramitā)
▣-지(智, jñāna-pāramitā)
II
▣● 색ㆍ수ㆍ상ㆍ행ㆍ식의 의미
▣- 일체를 분류하는 여러 방식과 5온
▣- 색ㆍ수ㆍ상ㆍ행ㆍ식의 총괄적 의미
▣- 넓은 의미의 색과 좁은 의미의 색
▣- 수의 의미
▣- 상의 의미
▣- 행의 의미
▣- 식의 의미
▣- 식의 다양한 의미
▣- 마음작용에서 기관ㆍ작용ㆍ결과내용의 구분
▣● 색ㆍ수ㆍ상ㆍ행ㆍ식 5온 분류의 의미
▣- 현실 일체를 포함하는 범주로서 5온
▣- 자신의 구성요소로서 5온
▣- 평소 눈을 떠 자신으로 여기고 대하는 부분의 정체
▣- 좁은 의미의 색
▣- 넓은 의미의 색(감각현실) 가운데 일부
▣- 자신이 얻어낸 내용 (마음 내용)
▣- 5온과 자기자신의 관계
▣- '색'이란 표현이 가리키는 부분에 대한 잘못된 판단들
▣- '색'은 자신의 몸이 아니다.
▣- 현실에서 자기자신으로 보는 내용의 검토
▣- 상일성
▣- 주재성
▣- 대상에 대한 주관
▣- 색의 일부분이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배경 - 구생기신견
▣- 잘못된 신견의 방치와 생사고통의 문제
▣- 분별기 신견이 잘못인 사정
▣- 얻어진 내용안에 '그 내용을 얻는 주체'가 있을 수는 없다.
▣- 관념은 감각현실 등 다른 영역에 얻을 수 없다.
▣- 본바탕인 실재에서 얻을 수 없는 내용이다.
▣- 참된 진짜 실체가 아니다.
▣- 자신의 부분이 갖는다고 여기는 특성이 있다. - 이는 잘못 파악한 내용이다.
▣- 상일하게 유지되는 부분이 아니다.
▣- 자신 뜻대로 주재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다.
▣- 자신의 감관이 위치한 부분이 사실은 아니다.
▣- 색은 자기 자신이 아니다. - 그림을 통한 설명
▣- 다른 이가 감각하는 과정의 관찰
▣- 다른 이가 감각하는 내용은 다른 이 내부의 변화다.
▣- 스스로 자신으로 여기는 부분 - 이 부분은 자신이 아니다.
▣- 실질적 자신으로 보아야 할 부분
▣- 공통 요소
▣- 유사성
▣- 인과관계 전후 연결성
▣- 변화과정에 계속 존재하는 내용을 찾아내기
▣- 근본정신의 구조와 기제의 시설 문제
▣- 근본정신의 구조와 기제와 실질적 자신의 시설
▣- 자신의 현상적 본 정체성 - 정신과 육체
▣- 실질적인 자신과 현상적 자신의 관계
▣- 다른 이로 여기는 부분 - 이 부분은 다른 이가 아니다.
▣- 자신이 다른 이 철수로 보는 부분- 이는 철수의 외부 실재가 아니다.
▣- 자신 외부에 대한 잘못된 판단들
▣- 다른 이의 외부에 대한 판단
▣- 다른 이 철수가 행하는 외부세상 등에 대한 판단
▣- 다른 이의 외부세상 등에 대한 판단의 검토
▣- 다른 이 철수가 또 다른 이와 관련해 행하는 판단
▣- 다른 이 철수가 또 다른 이와 관련해 행하는 판단의 검토
▣- 자신의 외부세상 등에 대한 판단 검토
▣- 자신의 다른 이가 대하는 외부세상 등에 대한 판단 검토
▣- 외부 세상에 대한 잘못된 판단과 집착의 제거
▣- 감각과정 및 동작시 주관과 대상의 인과 관계 문제
▣- 현실에서 운동의 인과관계
▣- 감각현실이 객관적 실재가 아닌 사정
▣- 감각현실이 다수에게 일정한 관계로 반복 파악되는 사정
▣- 색은 객관적 실재 대상이 아니다.
▣- 감각현실은 실재 대상이 아니다.
▣- 관념적 내용은 외부 실재 대상이 아니다.
▣- 다른 주체가 얻는 감각현실은 실재대상이 아니다.
▣- 마음은 실재가 아니다.
▣- 실재에 대한 다양한 입장
▣- 색은 정신내용이다. - 정신밖 외부 물질이 아니다.
▣- 물질과 색의 표현의 의미 차이
▣- 색은 물질이 아니다 - 논의효용1- 근본 정신에 대한 올바른 파악과 단멸관의 제거
▣- 색은 물질이 아니다 - 논의효용2- 정신의 정체에 대한 올바른 파악과 집착의 제거
▣- 색에 대한 다양한 표현과 성격 지위
▣- 색이라고 표현할 경우의 의미
▣- 색과 수ㆍ상ㆍ행ㆍ식과의 차이
▣- 색과 수ㆍ상ㆍ행ㆍ식의 공통성
▣- 색은 정신영역 안의 내용이다.
▣- 색을 물질이라고 표현할 경우의 의미
▣- 물질개념1 - 느낌, 분별 등 정신적 내용과 다른 특성을 갖는 내용
▣- 물질개념2 - 정신영역과 떨어진 내용
▣- 색이 갖는 물질적 측면
▣- 감각현실이 물질적 특성을 갖는 사정
▣- 색이 물질과 다른 측면
▣- '감각 과정'을 물질적 현상으로 이해하는 입장 - 생리학자의 입장
▣- 생리학자의 입장이 잘못인 사정
▣- 몸의 위치에 대한 잘못된 판단
▣- 자신이 얻는 내용물이 담기는 그릇(~정신)의 위치에 대한 잘못된 판단
▣- 다른 사람이 얻는 내용물 그릇(~정신)의 위치에 대한 잘못된 판단
▣- 다른 사람이 행하는 다른 사람 자신에 대한 판단
▣- 다른 사람이 또 다른 사람의 그릇(~정신)에 대해 행하는 잘못된 판단
▣- 다른 사람 철수가 행하는 판단들의 검토
▣- 자신이 행하는 그릇(~정신)의 위치에 대한 판단의 검토
▣- 그릇(~정신)의 위치는 한 주체가 얻는 내용 밖에서 찾아야 한다.
▣- 그릇(~정신)과 실재의 문제
▣- 그릇(~정신)에 대한 실험관찰의 곤란성
▣- 감각작용은 물질적인 변화과정에 준하지 않는다.
▣- 감각현실과 얻어진 다른 내용의 공통점
▣- 정신적 그릇의 작용에 대한 실재 영역 추리
▣- 정신과 육체의 관계
▣- 5 온의 분류와 물질정신의 분류 차이
▣○ 색ㆍ수ㆍ상ㆍ행ㆍ식의 분류가 갖는 의미차이
▣● 일체를 무상ㆍ고ㆍ공ㆍ비아라고 보는 근거
▣- 일체에 대해 공통적으로 성립되는 진리 (5법인)의 성격
▣- 망집에 바탕한 희망과 일치하지 않는 5법인
▣- 권위적 판단에 대한 맹목적 추종
▣- 합리적 판단에 의한 이해
▣○ 현상 일체가 영원하지 않다고 제시하는 근거
▣○ 일체의 본바탕 실재
▣- 현실 내용에 대한 잘못된 이해와 본바탕 실재의 문제
▣- 실재내용과 감각내용의 관계
▣- 실재를 찾는 문제
▣○ 감각현실과 실재내용의 관계
▣○ 비아, 또는 무아, 무자성 판단 문제
▣- 논의의 실익 문제
▣- 실체없음과 실재의 공함의 관계
▣● 무상ㆍ고ㆍ공ㆍ비아를 근거로 싫어하여 떠날 이유
▣○ 마음의 해탈(심해탈)의 효용
▣- 생사고통의 예방과 원인의 제거
▣- 생사고통을 받는 과정
▣- 가치에 대한 잘못된 판단
▣- 잘못된 희망의 잘못된 방안을 통한 추구
▣- 집착이 불러 일으키는 고통의 모습
▣- 현실에서 가치없는 것에 대한 집착의 제거
▣- 집착의 근원- 자신과 생명 등
▣- 생사고통의 원인으로서 집착
▣- 집착을 제거하기 위한 방안
▣○ 수행목표와 수행방편에 대한 집착의 제거
▣● 무상ㆍ고ㆍ공과 수행목표
▣● 해탈지견의 내용
▣○ 해탈과 단견의 차이
▣○ 윤회
▣○ 윤회와 삶의 목표
▣- 윤회의 증명 문제
▣● 수행목표 상태와 일반 상태의 차이점
▣- 수행의 어려움과 수행의 가치의 인식 필요성
▣-수행의 목표의 가치
▣- 수행의 현실에서의 가치
▣- 윤회를 전제로 한 수행의 가치
▣● 무상ㆍ고ㆍ공ㆍ비아와 수행목표 상태의 관계
▣○ 무상, 고와 수행목표로서 해탈과 열반의 성격
▣- 무상한 것은 왜 고통인가?
▣- 현실을 모두 즐거움으로 본다는 반대 주장
▣- 비관주의와 불교의 차이
▣○ 일반의 경우와 불교의 목표의 차이
▣- 인과상 나쁨의 결과를 가져오는 좋음
▣- 좋음을 얻는 기간의 문제
▣- 일시적인 좋음의 문제
▣- 고통의 근본적 해결방안의 문제
▣-고통과 열반의 관계- 생멸 즉 고통이 없어진 상태로서의 열반
▣- 생멸을 멸하는 방안 - 회신멸지의 니르바나
▣○ 회신멸지(灰身滅智) 니르바나의 문제점
▣- 일반인의 입장에서의 문제점
▣- 수행자 입장에서 회신멸지 상태의 문제점
▣○ <생사 즉 열반관>과 중생제도를 위한 수행
▣- <생사 즉 열반>의 근거1
▣- <생사 즉 열반>의 근거2
▣- <생사 즉 열반>의 근거3
▣- <생사 즉 열반>의 근거4
▣- <열반 즉 생사>와 <생사 즉 열반>의 관계
▣○ 생사현실에 생멸을 본래 얻을 수 없음
▣- 3가지 존재영역 - 원성실상ㆍ의타기상ㆍ변계소집상
▣- 원성실상과 승의무자성
▣- 의타기상과 생무자성
▣- 변계소집상과 상무자성
▣- 유무극단을 떠난 3성 3무성의 관계
▣- 3무성과 생사현실의 실답지 않음
▣- 3무성과 <생사 즉 열반>
▣- <생사 즉 열반>과 수행의 필요성
▣- 관념이 실답지 않은 사정 - 환자와 가족의 비유를 통한 이해
▣○ 열반과 다양한 수행목표 선택 문제
▣- 중생제도를 위한 수행과 <생사 즉 열반>
▣- 생사고통의 해결과 꿈의 비유
▣○ <생사 즉 열반>에서의 문제점
▣- 현실 그대로가 아무 문제가 없다고 착각함
▣- 망집에 바탕한 단순한 낙관주의
▣- 수행중 망상분별과 집착 상태로 다시 물러남[퇴전]
▣- 안인 수행과 지나친 고행주의
▣- <생사 즉 열반관>으로 없음에 치우쳐 모든 것을 부정하는 잘못
▣- <생사 즉 열반관>으로 개인의 해탈에 안주하고 중생제도를 외면함
▣- 집착이 없으면 아무렇게 행해도 된다고 생각하는 잘못(악취공견)
▣- 생사현실에서 중생제도를 위한 수행방안
▣- <생사 즉 열반>의 2 중적인 측면- 현실 긍정과 부정
▣○ 현실부정적인 측면 - 깨끗하지 못한 현실의 부정
▣○ 현실긍정적인 측면 - 깨끗한 형태로 현실의 긍정
▣○ 윤리적 이상추구 실천행의 측면
▣- 중생제도를 위한 수행과 생사윤회 [변역생사]
▣- 무상한 현실내 수행의 의미 - 현실 부정과 현실 긍정과 이상추구
▣- 공, 비아와 수행목표의 관계
▣- 생사현실에서 공의 이해가 갖는 효용과 본바탕의 관계
▣● 수행목표와 염리, 희탐진
▣● 수행의 근거
▣- 수행에 대한 집착 제거 필요성
▣- 기본적 수행방안
<부록>
▣○ 경전의 불설 비불설 논의
▣- 경전 전파 경로와 원본 문제
▣- 분량의 장단과 원본 문제
▣- 다양한 설법 방식과 원본 문제
▣- 다양한 전파 번역 과정과 원본 문제
▣- 깨달음을 주는 소재로서 경전의 가치
▣- 마침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4_105424_nik_AB7 구례 화엄사

○ 2020_1114_161242_can_Ar12 삼각산 도선사

○ 2018_1023_161336_can_Ar12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18_1024_173420_nik_AB7_s12 부여 고란사

○ 2018_1022_164457_can_ab41_s12 공주 태화산 마곡사

○ 2020_1002_122623_nik_Ar25_s12 파주 고령산 보광사

○ 2020_0930_134203_nik_AB4 화성 용주사

○ 2020_0910_152602_can_ar45 속리산 법주사

○ 2020_0908_155910_nik_bw24 합천 해인사

○ 2020_0904_093444_can_bw5 여주 신륵사

○ 2019_1105_165600_can_exc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19_1106_155453_can_fix 화순 계당산 쌍봉사

○ 2018_1023_154659_nik_Ar12

○ 2020_1017_160530_can_ct18

○ 2020_1017_154637_can_CT38_s12

○ 2020_1017_152218_can_AB7

○ 2020_1017_145724_can_ab41_s12

○ 2020_0930_135047_nik_AB45

○ 2020_0905_164325_can_BW27
● [pt op tr] fr
_M#]
❋❋본문 ♥ ◎[개별논의]
★%★
『잡아함경』 ♣0650-001♧

◎◎[개별논의] ♥ ❋본문
◆voth4287
◈Lab value 불기2554/11/25 |
![]() ○ 2018_1022_141717_nik_ori.jpg ![]()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Giovanni-Battista-Piranesi-leftovers-behind-the-pronaos-of-which-the-above-table [#M_▶더보기|◀접기| Artist: Giovanni-Battista-Piranesi from https://en.wikipedia.org/wiki/Giovanni_Battista_Piranesi Title : leftovers-behind-the-pronaos-of-which-the-above-table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 2018_0418_121937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Gurilandrib [#M_▶더보기|◀접기| 日本語: 最近は十和田湖にてRIBの機動性を生かした観光ツアーも人気 作者 佐藤ぐりら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Mansilla de la Sierra ,Spain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상세정보=> https://buddhism007.tistory.com/5833 Michel Berger - Bats-Toi ♥단상♥ ![]()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3/k0650-t0099-001-01.html#4287 sfed--잡아함경_K0650_T0099.txt ☞제1권 sfd8--불교단상_2554_11.txt ☞◆voth4287 불기2554-11-25 θθ |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범】Tiryagyoni 저율차(底栗車)라 음역. 방생(傍生)ㆍ횡생(橫生)이라고도 번역. 남이 길러주는 생류(生類)라는 뜻. 고통이 많고 즐거움이 적고 성질이 무지하여 식욕과 음욕만이 강하고, 부자 형제의 차별이 없이 서로 잡아먹고 싸우는 새ㆍ짐승ㆍ벌레ㆍ고기 따위. 그 종류는 매우 많아서 『십이유경(十二遊經)』에는 6400의 물고기와 4500종의 새, 2400종의 짐승이 있다고 함. 사는 곳도 물ㆍ하늘ㆍ뭍에 걸쳐 있음. 중생으로서 악업을 짓고 매우 어리석은 이는 죽어서 축생도에 태어난다 함.
답 후보
● 축생(畜生)
취(取)
치류(緇流)
칠구지불모(七俱胝佛母)
칠종(七宗)
타력(他力)
타승죄(他勝罪)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Barbara - Mes Theatres
Les Chats Sauvages - Est-Ce Que Tu Le Sais
Serge Lama - La Fille Dans L'eglise
Amelie Les Crayons - Tout De Nous
Marie-Paule Belle - Debranche Ton Soleil
Georges Moustaki - Ce Soir Mon Amour
Michel Berger - La Fille Des Annees 2000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Sangha
[san-chn] vi-√muc 令得解脫, 滅除, 背捨, 證得解脫
[san-eng] saumyavapuḥ $ 범어 the beautiful form
[pali-chn] arahat 應供
[pal-eng] sugopita $ 팔리어 pp.well guarded or protected.
[Eng-Ch-Eng] 北郁單越 【參照: 北俱盧洲】
[Muller-jpn-Eng] 華嚴探玄記 ケゴンタンゲンキ Record of the Search for the Profundities of the Huayan Sutra
[Glossary_of_Buddhism-Eng] UNSOLICITED FRIEND☞
See also: Good Spiritual Advisors.
In the Avatamsaka Sutra, this term refers to Bodhisattvas who
act as friends and benefactors, unbeknownst and unsolicited, to all
sentient beings. As the Avatamsaka Sutra (Ch. 21) states:
“The Bodhisattvas also conceive this overwhelming determination:
‘If I attain complete perfect enlightenment first without having established all sentient beings on the path of unsurpassed liberation, I
would be violating my original vow – that would never do; so I should
first cause all sentient beings to attain Supreme Enlightenment and
Nirvana Without Remainder and then after that fulfill Buddhahood.
Why? Sentient beings have not asked me to set my mind on Enlightenment. I, of my own accord, act as an unsolicited friend to sentient beings,
wishing to first cause all beings to fully develop their good potential and
obtain omniscience.’ ”
[fra-eng] davantage $ 불어 more
■ 암산퀴즈
614* 95
529419 / 789
■ 다라니퀴즈
자비주 17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5 번째는?
17
○ 이렇게 원을 발한 다음
지극한 마음으로 제 이름(관세음보살)을
입으로 부르고, 마음으로 생각하며[稱念]
다시 저의 스승 아미타불을
입으로 부르고, 마음으로 생각한[專念] 후에
○ 이 다라니 신주를 외우되
하룻 밤 동안
3*7 (21) 편이나
7*7 (49) 편씩 외우면
몸 가운데 있는 백천만억겁토록
나고 죽으며 지은 큰 죄가
없어질 것입니다."
[주]------
* 이 부분에서
계족도(戒足道)를
계정도(戒定道)로 보기도 한다.
● 마바특두 摩罰特豆<十七> ma va du du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5
바리가사 나바바삼유아나
波哩訖叉<二合>拏婆嚩三喩惹曩<五>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329일째]
성취제인불가설 $ 071▲偈羅偈羅為 一 ● 窣步羅, ○□□□□,無,具,住,起
□□□□□□□, 無生法忍不可說,
具足寂靜不可說, 住寂靜地不可說,
□□□□□□□, 무생법인불가설,
구족적정불가설, 주적정지불가설,
참는 일 성취함을 말할 수 없고
죽살이 없는 지혜 말할 수 없고
고요함을 갖춘 일 말할 수 없고
고요한 데 머무는 일 말할 수 없고
[78째]
피제법지불가설 $ 078▲娑攞荼娑攞荼為 一 ● 謎魯陀, ○□□□□,彼,彼,彼,彼
□□□□□□□, 彼淨法輪不可說,
彼大法雲不可說, 彼大法雨不可說,
□□□□□□□, 피정법륜불가설,
피대법운불가설, 피대법우불가설,
저 여러 법의 지혜 말할 수 없고
깨끗한 법 바퀴도 말할 수 없고
저렇게 큰 법 구름을 말할 수 없고
저렇게 큰 법 비도 말할 수 없고
●K0960_T1552.txt★ ∴≪A잡아비담심론≫_≪K0960≫_≪T1552≫
●K0650_T0099.txt★ ∴≪A잡아함경≫_≪K0650≫_≪T0099≫
●K0745_T0101.txt★ ∴≪A잡아함경≫_≪K0745≫_≪T0101≫
법수_암기방안
71 라선[腡선] = 손금선 /또는 갈고리뼈 (=헤이메이트 HAMATE~갈고리뼈]
78 *무지 (~ 엄지)
17 알통 [바이셉쓰biceps ]
5 목 ●
58330
671

○ 2020_1114_141647_can_ori 삼각산 도선사

○ 2018_1022_164457_can_exc 공주 태화산 마곡사

○ 2018_1022_132312_can_ori 공주 계룡산 갑사

○ 2020_1017_160314_can_exc 삼각산 화계사

○ 2020_0930_145351_can_ori_rs 화성 용주사

○ 2020_0910_182826_can_ori_rs 월악산 신륵사

○ 2019_1105_133624_can_exc 순천 조계산 선암사

○ 2019_1106_154420_can_fix 화순 계당산 쌍봉사

○ 2019_1106_105047_nik_exc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0106_162326_nik_exc 의정부 도봉산 망월사

○ 2018_1023_155702_nik_ori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18_1024_174207_nik_ori 부여 고란사

○ 2020_0430_125216_can_exc 종로구 창의문로 성불사

○ 2019_1106_130433_can_exc_s12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20_0907_152418_can_ori_rs 양산 통도사
● [pt op tr] fr
_M#]

○ 2020_0904_130729_can_ori_rs 원주 구룡사

[오래된 조각글재정리 안내]
☎잡담☎ = 순전한 잡담부분
● = 논의부분
재검토시작 Lab value 2565/03/19/금/17:34
♥본 페이지는 현재 작성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문단, 표현 재정리 작업중
경전정리 (▽정리중) (▼마침)
논의 (○정리중) (●마침)
조각글 (☆정리중) (★마침)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잡아함경_K0650_T0099 [문서정보]- 경전논의 키워드
[#M_▶더보기|◀접기|
『잡아함경』 ♣0650-001♧
[관련키워드]
제1권
■ 본 페이지 ID 정보
잡아함경_K0650-T0099-001-01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3/k0650-t0099-001-01.html
sfed--잡아함경_K0650_T0099.txt ☞제1권
sfd8--불교단상_2554_11.txt ☞◆voth4287
불기2554-11-25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2280859486
사이트 사정상 전체 분량 업데이트 중지
https://buddhism007.tistory.com/228
사이트 사정상 중지 http://buddhism.egloos.com/6944111
사이트 사정상 업데이트 중지 https://reality007.tistory.com/17
사이트 사정상 업데이트 중지 https://thebest007.tistory.com/627
사이트 사정상 업데이트 중지 https://blog.daum.net/thebest007/627
htmback--잡아함경_K0650_T0099_불기2554-11-25-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