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5년 2월 25일 화요일

불기2569-02-25_신화엄경론-k1263-006


『신화엄경론』
K1263
T1739

신화엄경론 제6권/전체40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신화엄경론』 ♣1263-006♧




신화엄경론 제6권/전체40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6_124105_nik_exc_s12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201_153028_can_exc 원주 구룡사


○ 2020_0430_132217_can_exc 종로구 창의문로 성불사


○ 2020_0906_124348_can_ori_rs 천축산 불영사


○ 2020_0909_130921_can_ori_rs 무주 백련사


○ 2020_0909_143305_can_ori_rs 무주 백련사

_ori_rs
○ 2016_0505_121409_nik 춘천 청평사


○ 2020_1017_151514_can_exc_s12 삼각산 화계사


○ 2018_1024_172952_nik_ori 부여 고란사


○ 2019_1104_101343_can_exc 구례 화엄사


○ 2021_0930_111735_nik_exc_s12_pc삼척_두타산_천은사


○ 2021_0929_114419_nik_exc양양_오봉산_낙산사


○ 2021_1113_143219_nik_exc_s12경기도광주_남한산성_청량산_장경사


○ 2021_1008_123857_can_exc완주_화암사


○ 2021_1001_113843_nik_exc_s12안동_천등산_봉정사


○ 2021_1007_135013_nik_exc_s12부안_능가산_내소사


○ 2021_1006_144716_nik_exc해남_달마산_미황사


○ 2012_0522_102009_exc남양주_운길산_수종사


○ 2021_0929_161113_nik_exc강릉_괘방산_등명낙가사

● [pt op tr] fr
_M#]



○ 2021_0930_171949_nik_exc영월_사자산_법흥사



❋❋본문 ◎[개별논의]

★%★
『신화엄경론』 ♣1263-006♧






◎◎[개별논의] ❋본문









★1★





◆vzor6801

◈Lab value 불기2569/02/25


○ 2019_0801_094110_nik_ct12.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Renoir jug-1
[#M_▶더보기|◀접기|
Artist: Pierre-Auguste Renoir
from https://en.wikipedia.org/wiki/Pierre-Auguste_Renoir
Title : jug-1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20_0606_180138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York_Guildhall
[#M_▶더보기|◀접기|
York Guildhall
Author Tim Green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Guyana Linden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Les Petites Bourettes - Rayon Frais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2/2569-02-25-k1263-006.html#6801
sfed--신화엄경론_K1263_T1739.txt ☞신화엄경론 제6권/전체40권
sfd8--불교단상_2569_02.txt ☞◆vzor6801
불기2569-02-25
θθ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탑은 범어 탑파(塔婆)의 준말. 

묘는 그 번역. 

범어와 한문을 아울러 든 것. 

⇒<유사어>탑<참조어>탑(塔)

답 후보
● 탑묘(塔廟)

통계(通戒)
통혹(通惑)
파계오과(破戒五過)
파사닉(波斯匿)
파지옥문(破地獄文)
팔교(八敎)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Charles Aznavour - Quel Che Non Si Fa Piu
Pierre Groscolas - Elise
Rue De La Muette - Rue De La Muette
Doriand - Guillaume Cantillon - On Aimerait Bien
Daniel Darc - Parce Que
Amelie-Les-Crayons - Chamelet
Pierre Bachelet - Emmenuell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56▲ 色西覀舌成 ■ 색서아설성 56 ( 빛 색 )( 서녘 서 )( 덮을 아 )(혀 설 )(이룰 성 )
057▲ 戌囟臣羊亦 ■ 술신신양역 57 ( 개 술 / 열한째 지지 술) --CF-- 戍 수자리 수 ( 정수리 신 ) --CF-- 囱 창 창, 바쁠 총(신하 신 )( 양 양 / 상서( 祥瑞)롭다 배회( 徘徊)하다 양 )(또 역 / 클 혁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Decline of Buddhism in India
[san-chn] laukikāni śilpa-karma-sthānāni 世間工巧業處
[san-eng] kāsate $ 범어 to cough
[pali-chn] camma-khandhaka 皮革犍度
[pal-eng] paakava.t.ta $ 팔리어 m.continuous supply of food.
[Eng-Ch-Eng] 仙駕 The carriage of a recluse sage.
[Muller-jpn-Eng] 蓮花座 レンゲザ lotus seat
[Glossary_of_Buddhism-Eng] WAYMAN, ALEX☞
“Modern American scholar of Buddhism, best known for his work
as a Professor at Columbia University and his prolific publication
record on a variety of Buddhist topics. The vast majority of Wayman’s
scholarly publications are devoted to topics in Tibetan Buddhism.”
Preb: 279 #1081
【book-page-858 859】

[fra-eng] reconstituent $ 불어 reconstitute
[chn_eng_soothil] 相輪 The sign or form of wheels, also 輪相, i. e. the nine wheels or circles at the top of a pagoda.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須菩提言: 「甚多, 世尊.
수보리가 대답하였다. “매우 많겠나이다. 세존이시여.
[玄奘] 善現答言: 甚多, 世尊! 甚多, 善逝! 是善男子或善女人,
由此因緣所生福聚其量甚多!
[義淨] 妙生言: 甚多, 世尊!
08-02 सुभूतिराह-बहु भगवन्, बहु सुगत स कुलपुत्रो वा कुलदुहिता वा ततोनिदानं पुण्यस्कन्धं प्रसुनुयात्।
subhūtirāha | bahu bhagavan bahu sugata sa kulaputro vā kuladuhitā vā
tatonidānaṁ puṇyaskandham prasunuyāt |
수보리가 말씀드렸다. “많습니다. 복덕갖춘분이시여! 많습니다. 잘가닿은분이시여! 그
귀족자제나 귀족여식은 그것이 원인이 되어 공덕무더기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subhūtirāha] ① subhūtiḥ(ƾ.nom.) + āha(ƺ.) → [수보리는、 말했다.]
▼▷[bahu] ① bahu(ƺ.) → [많습니다]
② bahu(nj. much, many, frequent, numerous: ƺ. much, abundantly, very much; somewhat)
▼[bhagavan] ① bhagavan(ƾ.voc.) → [복덕갖춘분이시여!]
▼[bahu] ① bahu(ƺ.) → [많습니다]
▼[sugata] ① sugata(ƾ.voc.) → [잘가닿은분이시여!]
② sugata(nj. well­gone or passed; well­bestowed: ƾ. an epithet of buddha)
▼[sa] ① saḥ(ƾ.nom.) → [그]
▼[kulaputro] ① kulaputraḥ(ƾ.nom.) → [貴族子弟가]
▼[vā] ① vā(ƺ.) → [또는]
▼[kuladuhitā] ① kuladuhitā(Ʒ.nom.) → [貴族女息이]
▼[vā] ① vā(ƺ.) → [또는]
▼[tatonidānaṁ] ① tataḥ(ƺ.) + nidānaṁ(ƿ.acc.→adv.) → [그것으로부터、 까닭하여] →
그것이 원인이 되어
▼[puṇyaskandham] ① puṇya+skandham(ƾ.acc.) → [공덕무더기를]
▼[prasunuyāt] ① prasunuyāt(pot.Ⅲ.sg.) → [생성할 수 있습니다.]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56일째]
신업청정불가설 $ 056▲調伏調伏為 一 ● 離憍慢, ○□□□□,語,意,信,妙

□□□□□□□, 語業清淨不可說,
意業清淨不可說, 信解清淨不可說,
□□□□□□□, 어업청정불가설,
의업청정불가설, 신해청정불가설,

身業清淨不可說,
몸의 업[身業]이 청정함을 말할 수 없고
말하는 법 청정함을 말할 수 없고
마음의 법 청정함을 말할 수 없고
믿는 이해 청정함을 말할 수 없고



[57째]
묘지청정불가설 $ 057▲離憍慢離憍慢為 一 ● 不動, ○□□□□,妙,了,斷,出

□□□□□□□, 妙慧清淨不可說,
了諸實相不可說, 斷諸疑惑不可說,
□□□□□□□, 묘혜청정불가설,
료제실상불가설, 단제의혹불가설,

妙智清淨不可說,
묘한 슬기 청정함도 말할 수 없고
묘한 지혜 청정함도 말할 수 없고
실상을 이해함도 말할 수 없고
의혹을 끊는 일도 말할 수 없고





●K1257_Txxxx.txt★ ∴≪A신집장경음의수함록≫_≪K1257≫_≪Txxxx≫
●K1263_T1739.txt★ ∴≪A신화엄경론≫_≪K1263≫_≪T1739≫
●K0018_T0240.txt★ ∴≪A실상반야바라밀경≫_≪K0018≫_≪T0240≫


■ 암산퀴즈


266* 33
626311 / 917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56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11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56 번째는?




56 자세히 말하면 일체의 수용하는 자구(資具)를 증장시킵니다.
호로, 滸盧<五十六>
huru
(~!~) 속히 속히 속히 영원히 행복한 세제에 이르게 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110 마하 세미 다 ◐摩訶<引>稅尾<二合>多<引太白星百十>◑mahāㆍśriṅklalaㆍ(caiva).
111 아리야다라 ◐阿哩耶多羅<百十一>◑āryaㆍtārā
112 마하 바라아바라 ◐摩訶<引>跋囉阿波囉<百十二>◑mahāㆍbalaㆍaparā
113 바저라 상갈라제바 ◐跋折囉<二合>商羯囉制婆<金剛連鎖百十三>◑vajraㆍśriṅklalaㆍ(caiva).
114 다타 바저라구마리가 ◐怛他<天可反>跋折囉俱摩唎迦<金剛童女百十四>◑tathāㆍvajraㆍkaumārī
115 구람 타리 ◐俱嚂<盧紺反>咃唎<金剛童子百十五>◑kulandharī.
116 바저라하사다자 ◐跋折囉訶薩哆者<二合金剛手百十六>◑vajraㆍhastaㆍ(ca).
117 미댜­ ◐微地也<大明呪藏><百十七>◑vidyā
118 건차나마 리가 ◐乾遮那摩<引>唎迦<四天王太子百十八>◑kācā naㆍmālikaḥ
119 구소바아라다라다나 ◐俱蘇婆喝囉怛囉怛那<百十九>◑kusumbhaㆍratna

● 10방 여래께서는
이 주문의 비밀심인을 외우시어
더없이 높은 깨달음을 성취하시고
보리수에 앉으셔서 대열반에 드시느니라.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56
모든 중생을 제도하신 세간사(世間師)께 귀의합니다.
南無救度世間師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8778
683
법수_암기방안


11 위팔 upper arm
56 눈거풀 瞼 【검】 eye lid
57 眼球 【안구】 동공 eye ball
56 눈거풀 瞼 【검】 eye lid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225_212838 :

장경각 내 게송



(771) 그래서 사람은 항상 바른 생각을 지키고,
모든 욕망을 회피해야 한다.
배에 스며든 물을 퍼내듯이,
그와 같은 욕망을 버리고 강을 건너 피안에 도달한 사람이 되라.


출전: [승가학회CD,
동국대불교학과 자료집DVD]
장경각 1경전-
남전-숫타니파타Sutta-nipata(Sutta-nipata 수타니파타) 지혜와 자비의 말씀 - 동국역경원 간 한글대장경 (구출판본 201 남전부 1) (신출판본 153-남전부6)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코브라 자세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2568-12-03-화
Killarney_(Queensland)
[사진]
[지도내 사진] https://maps.app.goo.gl
[거리뷰1] https://maps.app.goo.gl
[세계내-위치] https://www.google.nl
[설명 1] https://en.wikipedia.org
[설명 2]
[동영상 1] 15:28
A Historical Look Around Killarney, Queensland, Australia.
https://youtu.be
[동영상 2]
[음악] https://radio.garden
[위키 그림 감상]
https://en.wikipedia.org
https://www.wikiart.org
Edith Piaf - Monsieur Lenoble (Inedit)



○ 2019_1004_135625_nik_BW17


○ 2019_1004_145830_can_BW17


○ 2019_1004_162722_nik_CT27


○ 2019_1004_174121_can_Ab35


○ 2019_1004_143238_nik_ab41


○ 2019_1004_150851_nik_CT33


○ 2019_1004_152602_nik_bw24


○ 2019_1004_145938_can_BW25


○ 2019_1004_171115_can_BW25


○ 2019_1004_154551_can_exc


○ 2019_1004_132926_nik_ar35_1


○ 2019_1004_153930_can_ar47


○ 2019_1004_154551_can_ar47


○ 2019_1004_163446_nik_ct9_1


○ 2019_1004_170316_nik_ct18


○ 2019_1004_154646_can_fix


○ 2019_1004_164256_nik_ct19

● [pt op tr] fr
_M#]



○ 2019_1004_154023_can_ab42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신화엄경론_K1263_T1739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신화엄경론』 ♣1263-006♧
[관련키워드]
신화엄경론 제6권/전체40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9-02-25_신화엄경론-K1263-006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2/2569-02-25-k1263-006.html
sfed--신화엄경론_K1263_T1739.txt ☞신화엄경론 제6권/전체40권
sfd8--불교단상_2569_02.txt ☞◆vzor6801
불기2569-02-25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773730492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279
htmback--불기2569-02-25_신화엄경론_K1263_T1739-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