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자수대나경』
K0207
T0171
태자수대나경 /전체1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태자수대나경』
♣0207-001♧
태자수대나경 /전체1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201_163727_nik_exc 원주 구룡사
○ 2020_0211_134407_can_exc_s12 불암산 천보사
○ 2020_0908_155636_can_ori_rs 합천 해인사
○ 2020_0908_160846_can_ori_rs 합천 해인사
○ 2020_0930_134431_can_ori_rs 화성 용주사
○ 2019_1104_133634_nik_exc_s12 구례 화엄사 연기암
○ 2019_1104_175211_nik_exc 지리산 피아골
○ 2021_1003_123112_can_exc_pc_밀양_만어산_만어사
○ 2021_0217_143401_can_exc_s12서산_상왕산_개심사
○ 2021_1006_141452_nik_exc_s12해남_달마산_미황사
○ 2021_1005_111936_nik_exc_s12여수_금오산_향일암
○ 2013_0309_152003-OLYMPUS_exc강화도_보문사_전등사
○ 2021_0320_144002_can_exc포천_왕방산_왕산사
○ 2021_1003_101449_can_exc밀양_재악산_표충사
○ 2021_1006_141200_nik_exc해남_달마산_미황사
○ 2022_1027_171704_can_exc서울_길상사
○ 2021_1004_105419_can_exc의령_봉황산_일붕사
○ 2021_1003_174507_can_exc_s12밀양_영축산_영산정사
● [pt op tr] fr
_M#]
○ 2022_1030_134700_can_exc북한산_진관사
❋❋본문 ♥ ◎[개별논의]
★%★
『태자수대나경』
♣0207-001♧
◎◎[개별논의] ♥ ❋본문
★1★
◆vydm1822
◈Lab value 불기2569/02/24 |
○ 2020_0606_140151_can.jpg
♥단상♥ ![]()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2/2569-02-24-k0207-001.html#1822 sfed--태자수대나경_K0207_T0171.txt ☞태자수대나경 /전체1권 sfd8--불교단상_2569_02.txt ☞◆vydm1822 불기2569-02-24 θθ |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1) 재공양(財供養). 세간의 재물ㆍ향ㆍ꽃으로 공양.
(2) 법공양(法供養). 교법을 따라 보리심(菩提心)을 일으켜 자리이타(自利利他)의 행을 함.
(3) 관행공양(觀行供養). 화엄의 관법(觀法)인 사사무애관(事事無礙觀)을 하는 것.
답 후보
● 삼종공양(三種供養)
삼지(三智)
삼초이목(三草二木)
삼해탈문(三解脫門)
상(相)
상대가(相待假)
상부극성과(相符極成過)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Fran7oise Hardy - J'aurais Voulu
Arthur H - Confessions Nocturnes
Serge Gainsbourg - Quand Mon 6'35 Me Fait Les Yeux Doux
Benjamin Biolay - Chaise A Tokyo
Michel Sardou - Hallyday (Le Phenix)
Da Silva - Le Jeu
Bernard Lavilliers - San Salvador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055▲ 卍米百缶糸 ■ 만미백부사 55 ( 만자 만 )( 쌀 미 )(일백 백/ 힘쓸 맥 )(장군 부 / 두레박 관 )CF 장군( =배가 불룩하고 목 좁은 아가리가 있는 질그릇)(실 사 / 가는 실 멱, )
056▲ 色西覀舌成 ■ 색서아설성 56 ( 빛 색 )( 서녘 서 )( 덮을 아 )(혀 설 )(이룰 성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Buddhism in the West
[san-chn] bhāgâda 賊
[san-eng] sakhaiva $ 범어 like a friend
[pali-chn] pārimaṃ tīraṃ 彼岸
[pal-eng] asu $ 팔리어 adj.such and such.aasu (ind.), quickly.
[Eng-Ch-Eng] 但荼 Transcription of the Sanskrit and Pali dan!d!a. 【參照: 檀拏】
[Muller-jpn-Eng] 五箭 ゴセン five arrows
[Glossary_of_Buddhism-Eng] ANUTTARASAMYAKSAMBODHI☞
See: Supreme, Perfect Enlightenment.
[fra-eng] allaitée $ 불어 suckled
[chn_eng_soothil] 大無量壽經 idem 大經 q.v.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羅什] 「須菩提, 於意云何? 若人, 滿三千大千世界七寶, 以用布施, 是人所得福德,
寧爲多不?」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어떤 사람이 삼천대천세계에 칠보를 가득
히 쌓아두고 모두 보시에 쓴다면 그 사람이 받을 복덕이 많지 않겠느냐?”
[玄奘] 佛告善現: 於汝意云何, 若善男子或善女人, 以此三千大千世界盛滿七寶,
持用布施, 是善男子或善女人, 由此因緣所生福聚寧為多不?
[義淨] 妙生, 於汝意云何, 若善男子善女人, 以滿三千大千世界七寶持用布施,
得福多不?
08-01 भगवानाह- तत्किं मन्यसे सुभूते यः कश्चित्कुलपुत्रो वा कुलदुहिता वा इमं त्रिसाहस्रमहासाहस्रं लोकधातुं सप्तरत्नपरिपूर्णं कृत्वा तथागतेभ्योऽर्हद्भयः सम्यक्संबुद्धेभ्यो दानं दद्यात्, अपि नु स कुलपुत्रो वा कुलदुहिता वा ततोनिदानं बहु पुण्यस्कन्धं प्रसुनुयात्।
bhagavānāha | tatkiṁ manyase subhūte yaḥ kaścitkulaputro vā kuladuhitā
vemaṁ trisāhasramahāsāhasram lokadhātuṁ saptaratnaparipūrṇaṁ kṛtvā
tathāgatebhyo'rhadbhyaḥ samyaksambuddhebhyo dānaṁ dadyāt | api nu sa
kulaputro vā kuladuhitā vā tato nidānaṁ bahutaraṁ puṇyaskandham
prasunuyāt |
복덕갖춘분께서 말씀하셨다. “이것을 어떻게 생각하느냐? 수보리여! 누구든지 어떤
귀족자제거나 귀족여식이거나 이 삼천대천의 세계영역을 일곱 가지 보석으로 가득 찬
것으로 만들어두고 응당공양올려야될분들이자 바르고동등하게깨달으신분들인
그렇게오신분들을 위해 보시를 행한다면, 그 귀족자제나 귀족여식이 그것이 원인이 되어
반드시 많은 공덕무더기를 생성할 수 있겠는가?”
▼▷[bhagavānāha] ① bhagavān(ƾ.nom.) + āha(ƺ.) → [복덕갖춘분께서、 말씀하셨다.]
▼▷[tatkiṁ] ① tat(pn.ƿ.acc.) + kiṁ(ƺ.) → [그것을、 어떻게]
▼[manyase] ① manyase(pres.Ⅱ.sg.) → [(그대는) 생각하는가?]
▼[subhūte] ① subhūte(ƾ.voc.) → [수보리여!]
▼[yaḥ] ① yaḥ(pn.ƾ.nom.) → [(어떠한) 그가]
▼[kaścitkulaputro] ① kaścit(pn.ƾ.nom.) + kulaputraḥ(ƾ.nom.) → [어떤、 貴族子弟거나]
② kimcit(ƺ. to a certain degree, somewhat, a little)
② kulaputra(ƾ. a nobleborn youth man) < kula(ƿ. a race, family; the residence of a
family, a seat, house; a high or noble family) + putra(ƾ. a son, child)
▼[vā] ① vā(ƺ.)
② vā(ƺ. or, either, or else)
▼[kuladuhitā] ① kuladuhitā(Ʒ.nom.) → [貴族女息이거나]
② kuladuhitṛ(Ʒ.) = kulaputrī(Ʒ. a nobleborn youth woman)
▼[vemaṁ] ① vā(ƺ.) + imaṁ(pn.ƾ.acc.) → [이]
▼[trisāhasramahāsāhasram] ① tri+sāhasra+mahā+sāhasram(nj.→ƾ.acc.) → [三千大千의]
② tri(num.nj.pl. three)
② sāhasra(nj. relating to a thousand; consisting of a thousand; exceedingly numerous)
② mahā(in comp. of mahat) < mahat(nj. great, big)
▼[lokadhātuṁ] ① lokadhātuṁ(ƾ.acc.) → [세계영역을]
② lokadhātu(ƾ. a particular division of the world)
② loka(ƾ. free or open space, room, place; the sky or heaven; the human race, mankind)
② dhātu(ƾ. a constituent or essential part, an ingredient; an element; a part, portion)
▼[saptaratnaparipūrṇaṁ] ① sapta+ratna+paripūrṇaṁ([nj.→]ƾ.acc.) → [일곱 가지
보석으로 가득 찬 것으로]
② sapta(num.nj. seven)
② ratna(ƿ. a gem, jewel; anything best or excellent of its kind)
② paripūrṇa(nj. quite full, completely filled or covered with; selfsatisfied, content)
▼[kṛtvā] ① kṛtvā(ger.) → [만들고] → 만들어두고
② kṛ(8.dž. to do, make, perform → to create, to produce)
▼[tathāgatebhyo'rhadbhyaḥ] ① tathāgatebhyaḥ(ƾ.dat.pl.) + arhadbhyaḥ(nj.→ƾ.dat.pl.) →
▼[그렇게오신분들을 위해、 응당공양올려야될]
② arhat(nj. worthy, deserving, deserving respect; praised, celebrated; worthy of deserving:
ƾ. a Buddha, the highest rank in Buddhist hierarchy; a superior divinity with the Jainas)
▼[samyaksambuddhebhyo] ① samyaksambuddhebhyaḥ(nj.→ƾ.dat.pl.) →
▼[바르고동등하게깨달으신]
▼[dānaṁ] ① dānaṁ(ƿ.acc.) → [보시를]
② dāna(ƿ. giving, granting, teaching; delivering, handing over; a gift, donation)
▼[dadyāt] ① dadyāt(pot.Ⅲ.sg.) → [드릴 수 있다. → 드릴 수 있다면,]
② dā(1.ǁ. to give, bestow, grant: 2.ǁ. to cut: 4.ǁ. to bind: 3.dž. to give, bestow, grant)
▼▷[api] ① api(ƺ.) → [또한]
② api(ƺ. and, also, besides; often used to express emphasis. even, also, very)
▼[nu] ① nu(ƺ.) → [반드시]
② nu(ƺ. now, still, just, at once; certainly, surely)
▼[sa] ① saḥ(ƾ.nom.) → [그]
▼[kulaputro] ① kulaputraḥ(ƾ.nom.) → [貴族子弟가]
▼[vā] ① vā(ƺ.) → [또는]
▼[kuladuhitā] ① kuladuhitā(Ʒ.nom.) → [貴族女息이]
▼[vā] ① vā(ƺ.) → [또는]
▼[tato] ① tataḥ(ƺ.) → [그것으로부터]
② tatas(ƺ. from that, thence; then, thereupon; therefore)
▼[nidānaṁ] ① nidānaṁ(ƿ.acc.→adv.) → [까닭하여] → 그것이 원인이 되어
② nidāna(ƿ. a band, rope, halter; a primary cause, the first or essential cause; a cause)
▼[bahutaraṁ] ① bahuṁ(nj.→ƾ.acc.) → [많은]
② bahu(nj. much, many, frequent, numerous)
▼[puṇyaskandham] ① puṇya+skandham(ƾ.acc.) → [공덕무더기를]
② puṇya(ƿ. virtue, religious or moral merit; a virtuous or meritorious act; purity)
② skandha(ƾ. the shoulder; the body; the five objects of sense; the five forms of mundane
consciousness [in Buddhism phil.])
▼[prasunuyāt] ① prasunuyāt(pot.Ⅲ.sg.) → [생성할 수 있다. → 생성할 수 있겠는가?]
② prasu(1.ǁ.2.4.Ʋ. to beget, generate, produce; to bring forth, be delivered of)
출처 봉선사_범어연구소_현진스님_금강경_범어강의
『능단금강반야바라밀다경』(能斷金剛般若波羅密多經) - 범어 텍스트 vajracchedikā prajñāpāramitā sūtraṁ
♣K0116-001♧
♣K0117-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55일째]
소유사유불가설 $ 055▲摩魯摩摩魯摩為 一 ● 調伏, ○□□□□,所,所,一,身
□□□□□□□, 所有大願不可說,
所有境界不可說, 一切通達不可說,
□□□□□□□, 소유대원불가설,
소유경계불가설, 일체통달불가설,
所有思惟不可說,
그 가운데 생각함도 말할 수 없고
그 가운데 큰 서원도 말할 수 없고
거기 있는 경계도 말할 수 없고
온갖 것 통달함도 말할 수 없고
[56째]
신업청정불가설 $ 056▲調伏調伏為 一 ● 離憍慢, ○□□□□,語,意,信,妙
□□□□□□□, 語業清淨不可說,
意業清淨不可說, 信解清淨不可說,
□□□□□□□, 어업청정불가설,
의업청정불가설, 신해청정불가설,
身業清淨不可說,
몸의 업[身業]이 청정함을 말할 수 없고
말하는 법 청정함을 말할 수 없고
마음의 법 청정함을 말할 수 없고
믿는 이해 청정함을 말할 수 없고
●K0193_T0367.txt★ ∴≪A칭찬정토불섭수경≫_≪K0193≫_≪T0367≫
●K0207_T0171.txt★ ∴≪A태자수대나경≫_≪K0207≫_≪T0171≫
●K1077_T2109.txt★ ∴≪A파사론≫_≪K1077≫_≪T2109≫
■ 암산퀴즈
798* 672
155760 / 165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55 번째는?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100 번대 10개 다라니는?
부처님 108 명호 55 번째는?
55 이 다라니는 일체의 선한 법을 증장시키나니,
호로, 滸盧<五十五>
huru
(이하~) 속히 속히 속히 영원히 행복한 세제에 이르게 하소서.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100 아리야다라 ◐阿唎耶多囉<聖者一百>◑āryaㆍtārạ.
101 비리 구디제바비자야 ◐毘哩<二合>俱知制嚩毘闍耶<最勝菩薩><百一>◑bhrikutīㆍcaivaㆍvijaya
102 바저라마례디비슈로다 ◐筏折囉<二合>摩禮底毘輸嚕多<摧碎金剛百二>◑vajraㆍmāletiㆍviśruta
103 바답마가 ◐鉢踏罔迦<降伏百三>◑paradamaka
104 바저라쳬 하바자 ◐跋折囉兒<熾曳反>訶縛者<金剛力士百四>◑vajraㆍjihvāㆍca
105 마라제바 ◐摩囉制縛<隨一逐百五>◑māraㆍcaiva
106 바라시다 ◐般囉室多<金剛神杵><百六>◑aparājita
107 바저 라 단디 ◐跋折<時熱反上>囉<二合>檀持<金剛神杵百七>◑vajraㆍdaṇḍi
108 비사라마차 ◐毘舍羅摩遮<天神力士百八>◑viśalāㆍca
109 션다사비뎨바보시다소마로바 ◐扇多舍毘提嚩布室哆蘇摩嚕波<參辰日月天子及二十八宿百九>◑śāntaㆍdevaㆍpūjitaㆍsaumiㆍrūpā
●10방 여래께서는
이 주문의 비밀심인을 행하시어
친한 이와 인연 있는 이를 거둬들이며,
소승들이 비밀법장[祕密藏]을 듣고도
놀라거나 두려움이 생기지 않게 하신다.
불정광취실달다반달라비밀가타미묘장구(佛頂光聚悉怛多般怛羅秘密伽陁微妙章句) -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K0426-007♧
055
적정(寂靜)을 얻으신 이께 귀의합니다.
南無得寂靜
『불일백팔명찬』佛一百八名讚
♣1183-001♧
536256
944
법수_암기방안
10 손목 WRIST
55 이마 forehead, 額上 【액상】 이마의 위
56 눈거풀 瞼 【검】 eye lid
55 이마 forehead, 額上 【액상】 이마의 위
■ 오늘의 경전 [이야기, 게송,선시 등]
2569_0224_233357 :
대장경 내 이야기
제목 : ○ 송(宋)의 사문 석법진(釋法進)
송(宋)나라 고창(高昌)의 석법진(釋法進)[혹은 도진(道進)]은 성은 장(張)씨요 양주(凉州)의 장액(張掖) 사람이다.
그는 어려서부터 부지런히 공부하여 뛰어난 덕이 있었으므로 저거몽손(沮渠蒙遜)의 신임을 받았다.
몽손이 죽고 그 아들 경환(景環)이 오랑캐에게 패하게 되어 법진에게 가서 물었다.
“고창을 치려는데 이길 수 있겠습니까?”
법진은 답하였다.
“반드시 이길 것입니다.
다만 흉년이 걱정일 뿐입니다.”
그래서 군사를 돌려 곧 평정했다.
3년 뒤에 경환이 죽고 그 아우 안주(安周)가 뒤를 이었다.
이 해에 흉년이 들어 죽는 자가 무수했다.
안주는 전부터 법진을 섬기고 있었으므로 법진은 자주 안주에게 청하여 굶주리는 사람들을 구휼했다.
그러나 나라의 재물이 자꾸 말라가서 다시 청할 수 없었다.
법진은 이에 목욕한 뒤에 칼과 소금을 준비하여 깊은 굴 속의 굶주리는 사람들이 모인 곳으로 가서 차례로 3귀계(歸戒)를 주었다.
그리고 옷과 발우를 나뭇가지에 걸어 굶주리는 사람들 앞에 맨몸을 던지면서 말하였다.
“여러분에게 보시합니다.
모두 함께 먹으시오.”
그러나 대중은 비록 주리기는 하나 의리가 있어 차마 먹을 수 없었다.
법진은 자기 손으로 살을 베고 버티어 서서 소금을 찍어 그것을 먹었다.
두 다리의 살이 다하고 마음이 흐리어 더 벨 수 없어지자 인해 대중에게 말했다.
“여러분은 내 껍질과 살을 가지십시오.
며칠은 더 부지할 것입니다.
만일 왕의 사자가 오면 반드시 가져갈 것이니 감추십시오.”
그러나 대중은 아무도 그것을 취하는 사람이 없었다.
조금 있다가 법진의 제자들이 찾아오고 또 왕의 사자도 왔다.
온 나라 사람들이 모두 달려와 울음이 끊이지 않았으며 곧 가마에 메고 궁중으로 돌아갔다.
안주는 영을 내려 3백 석의 보리를 내어 굶주리는 사람들에게 주고 따로 창고를 열어 빈민들을 구휼했다.
이튿날 새벽에 그의 숨이 끊어져 성의 북쪽으로 나가 화장할 때는 연기와 불꽃이 하늘을 찔러 7일 만에야 그쳤다.
시체는 다 타고 없었으나 오직 혀만이 타지 않았으므로,
그 자리에 3층탑을 세우고 그 오른편에 비를 세웠다.[이 한 가지 증험은 『양고승전(梁高僧傳)』에 나온다.]
출전:
한글대장경 K1406_T2122
법원주림(法苑珠林) 당 도세찬
法苑珠林 【唐 道世撰】
출처 불교기록문화유산아카이브 통합대장경
https://kabc.dongguk.edu/m
■요가자세 익히기
요가_토끼 자세
●세계사이트방문일자: 불기2568-11-24-일
Raymond_Mhlaba_Local_Municipality_South_Africa
남아공화국 Raymond Mhlaba 라는 지역이다.
[구글맵 https://maps.app.goo.gl
[위키 https://en.wikipedia.org
[위키 https://en.wikipedia.org
[동영상 Raymond Mhlaba municipality speaker laid to rest
[음악 https://radio.garden

○ 2019_1004_154823_can_BW17

○ 2019_1004_132837_can_BW21

○ 2019_1004_142113_can_CT27

○ 2019_1004_155223_can_Ab35

○ 2019_1004_171912_can_BW21

○ 2019_1004_153856_nik_ar45

○ 2019_1004_160911_can_ct3

○ 2019_1004_164529_nik_ct24

○ 2019_1004_165926_can_ct32

○ 2019_1004_170730_can_ct11

○ 2020_0224_104210_nik_Ar12

○ 2020_0224_104925_nik_ar24

○ 2020_0224_111203_nik_ct8_s12

○ 2020_0224_111203_nik_CT27

○ 2020_0224_123934_nik_AB4_s12

○ 2020_1126_160004_nik_exc

○ 2020_1126_160045_nik_CT28

○ 2020_1126_160047_can_ct9_s12

○ 2020_1126_160836_nik_Ab31
● [pt op tr] fr
_M#]

○ 2020_1126_160956_nik_Ab15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태자수대나경_K0207_T0171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태자수대나경 /전체1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9-02-24_태자수대나경-K0207-001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5/02/2569-02-24-k0207-001.html
sfed--태자수대나경_K0207_T0171.txt ☞태자수대나경 /전체1권
sfd8--불교단상_2569_02.txt ☞◆vydm1822
불기2569-02-24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3772362539
https://buddhism007.tistory.com/463278
htmback--불기2569-02-24_태자수대나경_K0207_T0171-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