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1년 6월 24일 목요일

불기2565-06-24_사분율-k0896-013


『사분율』
K0896
T1428

제13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사분율』 ♣0896-013♧




제13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4_091518_nik_exc_s12 구례 화엄사


○ 2019_1104_131715_can_exc_s12 구례 화엄사 연기암


○ 2020_1114_140120_can_ori 삼각산 도선사


○ 2020_1114_132556_nik_ori 삼각산 도선사


○ 2019_0106_154857_nik_ori 의정부 도봉산 망월사


○ 2019_0106_154219_can_exc 의정부 도봉산 망월사


○ 2018_1023_155808_nik_exc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18_1023_165317_can_ori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20_1002_115807_nik_fix 파주 고령산 보광사


○ 2020_0930_135526_nik_ori_rs 화성 용주사


○ 2020_0909_154040_can_ori_rs 무주 백련사


○ 2019_1201_162257_can_exc_s12 원주 구룡사


○ 2019_1201_153719_can_exc 원주 구룡사


○ 2019_1105_115717_can_fix 순천 조계산 선암사


○ 2019_1106_112401_can_exc_s12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5_170416_nik_exc_s12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19_1105_155701_nik_exc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19_1105_114909_nik_exc 순천 조계산 선암사

● [pt op tr] fr
_M#]



○ 2019_1106_123823_can_exc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4_101343_can_fix 구례 화엄사

❋❋본문 ◎[개별논의]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


四分律 卷第十三

K0896


○ [pt op tr]

[#M_▶더보기|◀접기|


사분율 제13권



요진 계빈삼장 불타야사ㆍ축불념 등 공역

김월운 번역

주호찬 개역



5. 아흔 가지 단제법 ③


22) 비구니에게 설법하되 해 지기까지 이르지 말라

어느 때에 부처님께서는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때에 존자 난타가 대중에서 뽑히어 비구니에게 가르치게 되었는데 비구니를 가르친 뒤에는 잠자코 있었다.

그때에 대애도 비구니가 말했다.

“존자 난타시여, 

저희들은 법문을 듣고자 합니다. 

바라옵건대 다시 저희들에게 말씀해 주십시오.”

그때에 존자 난타가 설법을 마치고 또 잠자코 있자, 

대애도가 다시 청하였다.

“저희들은 법문을 듣고자 합니다. 

바라옵건대 다시 말씀해 주십시오.”

그때에 존자 난타가 좋은 음성으로 설법을 하니 듣는 사람들이 좋아하였는데, 

날이 저물었다.

그때에 비구니들이 기원정사(祇園精舍)를 나와서 사위성으로 가니, 

성문은 이미 닫혀서 들어갈 수 없으므로 성 밖에 있는 성채[塹]에서 밤을 새고 새벽에 문이 열리자 맨 먼저 성으로 들어갔다.

그때에 장자들이 보고 모두가 말했다.

“사문 석자가 부끄러움도 없고 청정한 행도 없다. 

겉으로는 내가 바른 법을 닦는다고 자칭하지만 이렇거늘 어찌 바른 법이 있으랴. 

그대들, 

이 비구니를 보라. 

밤새도록 비구들과 함께 자다가 낮이 되어서야 풀려나온다.”



여러 비구들이 듣고 그 중에 욕심이 적고 만족함을 알고 두타행을 하고 계율 배우기를 좋아하고 부끄러움을 아는 이는 비난하였다.

“어찌하여 난타 비구는 비구니들에게 설법을 하다가 날이 저물기까지 이르러서 장자들이 비난하게 하는가?”


여러 비구들이 부처님께 가서 머리를 숙여 발 앞에 예배하고 한쪽에 앉아서 이 사실을 자세히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인하여 비구들을 모으시고 알면서도 짐짓 존자 난타에게 물으셨다.

“너는 참으로 비구니들을 가르치다가 해가 저물기까지 이르렀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그때에 부처님께서 무수한 방편으로 난타 비구를 꾸짖으셨다.



“네가 한 일은 옳지 않다. 

위의가 아니며, 

사문의 법이 아니며, 

청정한 행이 아니며, 

수순하는 행이 아니어서 할 일이 아니다. 

그런데 난타 비구야, 

너는 어찌하여 비구니들에게 설법하고 가르치다가 

날이 저물기까지 이르렀느냐?”

이와 같이 꾸짖으신 뒤에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이 난타, 

어리석은 사람은 여러 가지 유루의 곳에서 맨 처음으로 계를 범하였다. 

지금부터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어 열 구절의 이치를 모으고, 

내지 바른 법이 오래도록 머무르게 하리니, 

계를 말하려는 이는 이와 같이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대중에서 뽑히어 비구니들을 가르치되 날이 저물기까지 이르면 바일제이니라.’

비구의 정의는 위에서 말한 것과 같으니라.

대중이라 함은 함께 계를 말하고 함께 갈마를 하는 사람이며, 

가르친다 함은 대중이 뽑아서 알리기와 두 차례의 갈마를 하는 것이니라.

저 비구가 대중에게 뽑혀서 비구니들을 가르치되 해가 저물기까지 이르면 바일제이니라.

가르치는 일을 제외하고 경을 배우거나 경을 외우거나 묻거나, 

그 밖에 다른 일을 하다가 해가 저물면 돌길라이며, 

비구니를 제외한 다른 부녀자들과 경을 배우거나 경을 외우거나 묻거나, 

그 밖에 다른 일을 하다가 날이 저물면 돌길라이니라.

날이 저물었는데 날이 저물었다고 생각하면 바일제이며, 

날이 저물었다고 의심하면 돌길라이며, 

날이 저물었는데 저물지 않았다고 생각하면 돌길라이며, 

날이 저물지 않았는데 날이 저물었다고 생각하면 돌길라이며, 

날이 저물지 않았다고 의심하면 돌길라이니라.

비구니는 돌길라이며, 

식차마나와 사미ㆍ사미니도 돌길라이니, 

이것들은 범하는 것이다. 

범하지 않는다 함은 비구니를 가르치다가 날이 저물기 전에 그치거나, 

부녀자들을 제외한 다른 사람들에게 경을 가르치고 경을 외우게 하고 묻게 하거나 그밖에 다른 일을 하면 범하지 않는 것이니라.

또 나룻배에서 설법을 하는데 비구니가 듣거나, 

장사꾼들과 함께 밤길을 가면서 설법하거나, 

비구니 절에 가서 설법하거나, 

계를 말하는 날에 교수할 사람을 청하러 대중에 왔다가 설법하는 자리를 만나 듣는 것들은 범하지 않는 것이니라.

또 범하지 않는다 함은 맨 처음으로 계율을 제정하기 전이거나 어리석고 미쳐서 마음이 어지럽고, 

고통과 번뇌에 얽힌 때이니라.”


23) 교수하는 사람을 비방하지 말라

어느 때에 부처님께서는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때에 비구니들이 교수사(敎授師)가 온다는 말을 듣고 반 유순을 나와 맞이하되 방을 마련하고, 

죽과 음식과 평상ㆍ방석ㆍ목욕할 곳 등을 장만하였다.

그때에 여섯 무리 비구들이 생각하였다.

‘저 비구들은 우리들이 비구니를 가르쳐 주도록 뽑아 주지 않았다.’

그들은 곧 질투하는 생각을 일으켜 말하였다.

“저 비구들은 진실답게 비구니들을 가르치지 못하고 다만 음식을 위해서 비구니들을 가르쳐 주어 경을 외우거나 경을 배우거나 묻게 한다.”

그때에 여러 비구들이 이 말을 들었다. 

그 중에 욕심이 적고 만족함을 알고 두타행을 하고 계율 배우기를 좋아하고 부끄러움을 아는 이는 여섯 무리 비구들을 비난하였다.

“어찌하여 말하되 ‘저 비구들은 우리들이 비구니들을 교수하도록 뽑아주지 않았다’ 하고, 

곧 질투하는 마음을 내되 ‘저 비구들은 진실답게 비구니들을 가르쳐 주지 못하고 다만 음식을 위해서 비구니들을 가르쳐 주어 경을 외우고 경을 배우고 묻게 한다’ 하였는가?”

여러 비구들이 부처님께 가서 머리를 숙여 발 앞에 예배하고 한쪽에 서서 이 사실을 자세히 말씀드렸다.

그때에 부처님께서 비구들을 모으시고 여섯 무리 비구들을 꾸짖으셨다.

“너희들이 한 일은 옳지 않다. 

위의가 아니며, 

사문의 법이 아니요 청정한 행이 아니요 수순하는 행이 아니어서 할 일이 아니다. 

그런데 어찌하여 여섯 무리 비구들은 말하되 ‘저 비구들은 우리들이 비구니들을 가르치도록 뽑아 주지 않았다’ 하고, 

질투하는 마음을 품되 ‘저 비구들은 비구니들을 가르치지 못할 터인데 다만 음식을 위해서 비구니들을 가르쳐서 경을 외우고 경을 배우고 묻게 한다’ 하였느냐?”

부처님께서 무수한 방편으로 여섯 무리 비구들을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이 어리석은 사람은 여러 가지 유루의 곳에서 맨 처음으로 계를 범하였다. 

지금부터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어 열 구절의 이치를 모으고, 

바른 법이 오래도록 머무르게 하리니, 

계를 말하려는 이는 이와 같이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비구들에게 비방하는 말을 하되 저 비구는 음식을 위해서 비구니들을 가르친다 하면 바일제이니라.’

비구의 정의는 위와 같나니, 

그 비구가 말하되 ‘여러 비구들은 음식을 위해서 비구니들을 가르치고, 

음식을 위해서 경을 외우고 경을 배우고 묻게 한다’ 하여 분명히 말하면 바일제이며, 

분명하지 않게 말하면 돌길라이니라.

비구니는 돌길라이며, 

식차마나와 사미ㆍ사미니도 돌길라이다. 

이것들은 범하는 것이며, 

범하지 않는다 함은 참으로 음식 공양을 위하여 비구니들을 가르치고, 

음식을 위하여 가르쳐서 경을 외우고 경을 배우고 묻게 하거나, 

희롱으로 웃으면서 말하거나, 

혼자서 말하거나, 

꿈속에 말하거나, 

이것을 말하려다 잘못하여 저것을 말한 것은 범하지 않는 것이니라.

또 범하지 않는다 함은 맨 처음으로 계를 제정하기 전이거나 어리석고 미쳐서 마음이 어지럽고, 

고통과 번뇌에 얽힌 때이니라.”


24) 친속이 아닌 비구니에게 옷을 주지 말라

어느 때에 부처님께서는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때에 성안에 한 걸식 비구가 있었는데 위의가 구족하였다. 

그때에 어떤 비구니가 그를 보자, 

곧 좋아하는 마음이 생겼다. 

비구니는 자주 자주 그 비구에게 공양을 청하였으나 비구는 받지 않았다.

그 뒤 어느 때에 기원정사의 여러 비구들이 옷을 나누었는데, 

이 비구가 자기 몫의 옷을 가지고 기수급고독원 문을 나서는데 마침 그 비구니가 기수급고독원으로 들어오는 것을 만났다.

그때에 이 비구가 생각하였다.

‘이 비구니는 자주 자주 나에게 공양받기를 청하였는데 나는 받지 않았었다. 

나는 지금 내 몫의 옷으로 저에게 주겠다고 청하리라. 

그러면 그는 반드시 받지 않고 더 보태어 돌려보내 주리라.’

그때에 이 비구가 비구니에게 말했다.

“대매여, 

이 옷은 나의 몫이니 필요하면 가지라.”

그때에 이 비구니가 얼른 받으니, 

비구는 그 비구니를 비난하면서 말했다.

“나는 자주 자주 사람들에게 말하되 ‘저 비구니가 가끔 나에게 청하여 발우에 남긴 것을 주었는데 나는 받지 않았었소. 

나는 생각하기를 저 비구니가 자주 자주 나에게 청하여 발우에 남긴 것을 주었으나 내가 받지 않았는데 나는 지금 이 몫의 옷을 저 비구니에게 주리라. 

그는 반드시 받지 않고 더 보태어 돌려보내 주리라 여겼더니, 

그는 얼른 받았다’ 하리라.”

그때에 여러 비구들이 그에 대해 들었다. 

그 중에 욕심이 적고 만족함을 알고 두타행을 하고 계율 배우기를 좋아하고 부끄러움을 아는 이는 그 비구를 비난하였다.

“어찌하여 비구가 비구니에게 옷을 주고서도 버리지 않고 그에게 청하는가?”

여러 비구들이 부처님께 가서 머리를 숙여 발 앞에 예배하고 한쪽에 앉아서 이 사실을 자세히 말씀드렸다.

그때에 부처님께서 비구들을 모으시고 그 비구를 꾸짖으셨다.

“네가 한 일은 옳지 않다. 

위의가 아니며, 

사문의 법이 아니요 청정한 행이 아니요 수순하는 행이 아니어서 할 일이 아니다. 

그런데 너 비구야, 

너는 어찌하여 비구니에게 옷을 주고서도 버리지 않고 그에게 청하였느냐?”

“이 어리석은 사람은 여러 가지 유루의 곳에서 맨 처음으로 계를 범하였다. 

지금부터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어 열 구절의 이치를 모으고, 

내지 바른 법이 오래도록 머무르게 하리니, 

계를 말하려는 이는 이와 같이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비구니에게 옷을 주면 바일제이니라.’”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이와 같이 계를 제정해 주시니, 

그 중에 어떤 비구는 조심스러워서 친속인 비구니에게도 옷을 주지 못하고 부처님께 이 사실을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친속인 비구니에게는 옷을 주도록 허락하노니, 

친속이 아닌 비구니에게 옷을 주면 바일제이니라.”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계를 제정하신 뒤, 

어느 때 기수급고독원의 두 무리 대중이 옷을 나누었는데 비구의 옷을 비구니가 얻고 비구니의 옷을 비구가 얻은 일도 있었다.

그때에 비구니들이 이미 얻은 옷을 가지고 절에 와서 비구들에게 말씀드렸다.

“대덕 스님 여러분, 

이 옷과 바꾸시지 않겠습니까?”

비구들이 대답했다.

“우리들은 친속이 아닌 비구니에게 옷을 주지 못하오.”

그때에 비구들이 부처님께 말씀드리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지금부터는 바꾸기 위해서는 친속이 아닌 비구니에게 옷을 주도록 허락하노니, 

지금부터는 이와 같이 계를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친속이 아닌 비구니에게 옷을 주고 바꾸는 것을 제외하고는 바일제이니라.’

비구의 정의는 위에서 말한 것과 같으니라.

친속이 아니라 함도 위와 같고, 

친속이라 함도 위와 같고 옷에 열 가지가 있음도 위와 같으니라.

바꾼다 함은 옷으로 옷을 바꾸고 옷으로 옷 아닌 것을 바꾸고 옷 아닌 것으로 옷을 바꾸고, 

바늘과 칼이나 실이나 끈이나 아래로는 내지 약 한 조각을 바꾸는 것이니라.

만일 비구가 친속이 아닌 비구니에게 옷을 주면 바꾸는 것을 제외하고는 바일제이니라.

비구니는 돌길라이며, 

식차마나와 사미ㆍ사미니도 돌길라이니, 

이것이 범하는 것이니라.

범하지 않는다 함은 친속인 비구니에게 옷을 주거나 서로서로 바꾸거나 부처님ㆍ스님들에게 주는 것은 범하지 않는 것이니라.

또 범하지 않는다 함은 맨 처음으로 계를 제정하기 전이거나 어리석고 미쳐서 마음이 어지럽고, 

고통과 번뇌에 얽힌 때이니라.”


25) 친속이 아닌 비구니에게 옷을 만들게 하지 말라

어느 때에 부처님께서는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때에 어떤 비구니가 승가리(僧伽梨)를 만들려 하였는데, 

옷을 만들기 위해 절에 와서 존자 가류타이에게 말하였다.

“대덕이여, 

나는 이 옷감으로 승가리를 만들려 하는데 존자께서 나를 위해 만들어 주시기 바랍니다.”

가류타이가 대답했다.

“나는 못하겠다.”

“왜 못 만들어 주십니까?”

“너희들은 자주 와서 재촉하기를 좋아하므로 만들 수 없다.”

비구니가 말했다.

“우리들은 재촉하지 않겠습니다. 

옷이 끝나는 대로 저에게 주시면 됩니다.”

“좋다.”

그때에 비구니가 옷감을 주고 떠났는데 가류타이는 옷 만드는 법을 잘 아는 까닭에 곧 재단하여서 남녀가 음욕을 행하는 형상을 만들었다.

그때에 비구니가 절에 왔다가 가류타이에게 물었다.

“대덕이여, 

내 옷은 다 되었습니까?”

“다 되었다.”

“옷이 다 되었으면 보여 주십시오.”

그때에 가류타이가 곧 옷을 꺼내주면서 말했다.

“대매여, 

잘 알라. 

이 옷은 함부로 펴 보거나 남에게 보이지도 말고 알리는 때[白時]가 오거든 이 옷을 입고 비구니들 뒤를 따라다니라.”

그때에 비구니가 그 분부대로 펴 보지도 않고 남에게 말하지도 않다가 뒤에 알리는 때가 되어 이 옷을 입고 비구니들 뒤를 따라다녔다.

그때에 거사들이 보고 모두가 조롱하고 웃으며, 

손뼉을 쳐서 마주 보고, 

나무를 치고, 

휘파람을 불고 높은 소리로 크게 웃으면서 말했다.

“그대들, 

이 비구니가 입은 옷을 보라.”

그때에 대애도 비구니가 이를 보고 이 비구니에게 말했다.

“대매여, 

속히 이 옷을 벗으시오.”

그는 곧 걷어서 어깨 위에 얹었다.

그때에 대애도 비구니가 공양 끝에 절로 돌아와서 그 비구니에게 말했다.

“그대의 아까 그 옷을 가지고 오시오. 

내가 보려 하오.”

곧 꺼내서 보이니, 

물었다.

“누가 그대에게 이 옷을 만들어 주었는가?”

“가류타이가 만들었습니다.”

“왜 펴 보지도 않고, 

같은 도반들에게도 보이지 않았는가? 

재단하고 꿰맨 것이 좋고 견고하던가.”

그때에 비구니가 가류타이가 분부한 일을 자세히 말하니, 

여러 비구니들이 들었다. 

그 중에 욕심이 적고 만족함을 알고 두타행을 하고 계율 배우기를 좋아하고 부끄러움을 아는 이는 가류타이를 비난하였다.

“어찌하여 비구니에게 이와 같은 옷을 만들어 주었는가?”

그때에 비구니들이 비구들에게 말하니, 

비구들은 곧 부처님께 가서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이 일로 인하여 비구들을 모으시고 알면서도 짐짓 가류타이에게 물으셨다.

“너는 참으로 비구니에게 이와 같은 옷을 만들어 주었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무수한 방편으로 가류타이를 꾸짖으셨다.

“네가 한 일은 옳지 않다. 

위의가 아니며, 

사문의 법이 아니며, 

청정한 행이 아니며, 

수순하는 행이 아니어서 할 일이 아니다. 

그런데 너는 어찌하여 비구니들에게 이와 같은 옷을 만들어 주었느냐?”

가류타이를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이 어리석은 사람은 여러 가지 유루의 곳에서 맨 처음으로 계를 범하였다. 

지금부터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어 열 구절의 이치를 모으고, 

내지 바른 법이 오래도록 머무르게 하리니, 

계를 말하려는 이는 이와 같이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비구니에게 옷을 만들어 주면 바일제이니라.’”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이와 같이 계를 제정해 주시니 그 뒤에 비구들이 두려워서 친속인 비구니에게도 옷을 만들어 주지 못하고 부처님께서 가서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비구가 친속인 비구니에게는 옷을 지어 주도록 허락하노니, 

지금부터는 이와 같이 계를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친속이 아닌 비구니에게 옷을 만들어 주면 바일제이니라.’

비구의 정의는 위에서 말한 것과 같으니라.

친속과 친속이 아니라 함도 위와 같고, 

옷에 열 가지가 있음도 위와 같으니라.

만일 저 비구가 친속이 아닌 비구니에게 옷을 지어 주면 재단한 것의 많고 적음에 따라 바일제이며, 

한 올을 꿰매고 한 바늘을 뜨더라도 바일제이니라.

또 펴 보고, 

당겨서 펴고, 

다리미질을 하고, 

손으로 쓰다듬거나, 

네 모퉁이를 당기어 반듯하게 하여 상자에 넣거나, 

도련ㆍ끈ㆍ고름을 달면 모두가 돌길라이니라.

비구니는 돌길라이며, 

식차마나와 사미ㆍ사미니도 돌길라이니, 

이것들은 범하는 것이니라.

범하지 않는다 함은 친속인 비구니에게 만들어 주거나 비구들에게 만들어 주거나 탑을 위하거나 빌려 입거나 빨고 물들이고 다듬어서 주인에게 돌리는 것은 범하지 않는 것이니라.

또 범하지 않는다 함은 맨 처음으로 계를 제정하기 전이거나 어리석고 미쳐서 마음이 어지럽고, 

고통과 번뇌에 얽힌 때이니라.”




26) 드러난 곳이나 으슥한 곳에서 비구니와 단둘이 앉지 말라



어느 때에 부처님께서는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때에 존자 가류타이는 얼굴이 단정하였고, 

투란난타(偸蘭難陀) 비구니도 얼굴이 단정하여 남들과 달랐다. 

이런 까닭에 가류타이는 항상 투란난타 비구니에 대하여 좋아하는 생각을 가졌고, 

투란난타 비구니도 가류타이에 대하여 좋아하는 뜻을 품고 있었다.

그때에 가류타이가 이른 아침에 옷을 입고 발우를 들고 투란난타의 처소에 가서 문밖에 자리를 같이하고 앉아 있었다.

그때에 거사들이 보고 모두가 미워하면서 제각기 말했다.

“그대들은 이 두 사람이 함께 앉은 것을 보라. 

마치 부부와 같고 마치 원앙새와도 같구나.”

그때에 여러 비구들이 그에 대해 들었다. 

그 중에 욕심이 적고 만족함을 알고 두타행을 하고 계율 배우기를 좋아하고 부끄러움을 아는 이는 가류타이를 비난하였다.

“어찌하여 투란난타 비구니와 문밖에 함께 앉았는가?”

그때에 여러 비구들이 부처님께 가서 머리를 숙여 발 앞에 예배하고 한쪽에 앉아서 이 사실을 자세히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인하여 비구들을 모으시고 알면서도 가류타이에게 물으셨다.

“너는 참으로 투란난타 비구니와 함께 문밖에서 한 자리에 앉았었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그때에 부처님께서 무수한 방편으로 가류타이를 꾸짖으셨다.

“네가 한 일은 옳지 않다. 

위의가 아니며, 

사문의 법이 아니며, 

청정한 행이 아니며, 

수순하는 행이 아니어서 할 일이 아니다. 



그런데 너는 어찌하여 투란난타 비구니와 문밖에서 한 자리에 앉았었느냐?”

이와 같이 가류타이를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이 어리석은 사람은 여러 가지 유루의 곳에서 맨 처음으로 계를 범하였다. 

지금부터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어 열 구절의 이치를 모으고, 

내지 바른 법이 오래도록 머무르게 하리니, 

계를 말하려는 이는 이와 같이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비구니와 으슥한 곳에 함께 앉으면 바일제이니라.’

비구의 정의는 위에서 말한 것과 같으니라.

한 곳이라 함은 하나는 비구요 하나는 비구니인 것이며, 

으슥한 곳이라 함은 보이지 않는 곳이나 들리지 않는 곳이니라.

보이지 않는 곳이라 함은 티끌ㆍ안개ㆍ연기ㆍ구름ㆍ어두움 때문에 보이지 않는 것이며, 

들리지 않는 곳이라 함은 내지 예삿말이 들리지 않는 곳이며, 

막힌 곳이라 함은 나무ㆍ담ㆍ울타리ㆍ옷 등이나 그 밖에 다른 물건으로 막힌 것이니라.

만일 비구가 으슥한 곳에서 비구니와 단둘이서 함께 앉으면 바일제이며, 

앞은 못 보되 귀는 먹지 않았거나 먹었으되 소경은 아니면 돌길라이며, 

섰으면 돌길라이니라.

비구니는 돌길라이며, 

식차마나와 사미ㆍ사미니는 돌길라이니, 

이것들은 범하는 것이니라. 

범하지 않는다 함은 비구에게 동무가 있거나 눈멀지 않고 귀먹지 않고 귀먹지 않고 눈멀지 않은 지혜 있는 사람이 둘이 곁에 있거나 가다가 별안간 땅에 넘어졌거나 힘 센 이에게 붙들렸거나 결박을 당했거나 목숨과 범행을 지니기 어려움이 있을 때에는 범하지 않는 것이니라.

또 범하지 않는다 함은 맨 처음으로 계를 제정하기 전이거나 어리석고 미쳐서 마음이 어지럽고, 

고통과 번뇌에 얽힌 때이니라.”


27) 비구니와 약속하고 다니지 말라


어느 때에 부처님께서는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때에 여섯 무리 비구들이 여섯 무리 비구니들과 함께 구살라 나라에서 세간으로 다니니, 

여러 거사들이 보고 모두가 비난하였다.

“사문 석자가 부끄러움도 없고, 

범행을 닦지도 않는다. 

겉으로는 내가 바른 법을 닦는다고 자칭하지만, 

이렇거늘 어찌 바른 법이 있겠는가? 

비구니들과 함께 세간으로 다니다가 하고 싶은 일이 있으면 곧 길에서 내려가겠지.”

여러 비구들이 그에 대해 들었다. 

그 중에 욕심이 적고 만족함을 알고 두타행을 하고 계율 배우기를 좋아하고 부끄러움을 아는 이는 여섯 무리 비구들을 꾸짖었다.

“어찌하여 여섯 무리 비구니들과 함께 세간으로 다녔는가?”

여러 비구들이 부처님께 가서 머리를 숙여 발 앞에 예배하고 한쪽에 앉아서 이 사실을 자세히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인하여 비구들을 모으시고 여섯 무리 비구들을 꾸짖으셨다.

“너희들이 한 일은 옳지 않다. 

위의가 아니며, 

사문의 법이 아니며, 

청정한 행이 아니며, 

수순하는 행이 아니어서 할 일이 아니다. 

그런데 어찌하여 여섯 무리 비구들은 여섯 무리 비구니들과 함께 구살라 나라에서 세간으로 다녔느냐?”

부처님께서 무수한 방편으로 여섯 무리 비구들을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이 어리석은 사람은 여러 가지 유루의 곳에서 맨 처음으로 계를 범하였다. 

지금부터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어 열 구절의 이치를 모으고, 

내지 바른 법이 오래도록 머무르게 하리니, 

계를 말하려는 이는 이와 같이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비구니와 함께 다니면서 한 마을에서 한 마을 사이에 이르면 바일제이니라.’”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시니, 

그 뒤에 비구들이 비구니들과 먼저부터 기약함이 없이 우연히 길에서 만났으나 두려워서 감히 함께 가지 못했으므로 부처님께 말씀하셨다.

“함께 가자고 기약하지 않은 것은 범하지 않는 것이니라. 

지금부터는 이와 같이 계를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비구니와 함께 약속하여 한 길을 함께 다니되 한 마을 사이에라도 이르면 바일제이다.’”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셨다.

그때에 여러 비구들이 사위국에서 비사리로 가려 하였고, 

여러 비구니들도 사위국에서 비사리로 가려 하였는데 비구니들이 비구들에게 물었다.

“대덕이시여, 

어디로 가려 하십니까?”

비구들이 대답했다.

“우리들은 비사리로 가려 하오.”

비구니들이 말했다.

“대덕이시여, 

우리들도 그리로 가려 합니다.”

비구들이 말했다.

“대매여, 

갈려면 먼저 가시오. 

우리들은 뒤에 가겠소. 

아니면 우리들은 앞서 가고 대매들이 뒤에 오시오. 

왜냐하면 부처님께서 계를 제정하시어 비구니와 같이 길을 다니지 말라 하셨기 때문이오.”

비구니들이 말했다.

“대덕들은 우리들의 어른이니 앞서 가십시오. 

우리들은 뒤에 가겠습니다.”

그때에 비구니들이 뒤에 가다가 도적에게 겁탈을 당해 의발을 잃었다. 

비구니들이 이 일로 인하여 부처님께 자세히 말씀드리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지금부터는 장사꾼들과 함께 가거나 두려움과 의심이 있는 곳에서는 범하지 않는 것이니, 

지금부터는 이와 같이 계를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비구니와 약속하여 한 길을 가되 한 마을에서 내지 한 마을에까지 이르면 다른 때를 제외하고는 바일제이니라.’

다른 때라 함은 장사꾼과 함께 가거나 의심하고 두렵고 겁날 때이니, 

이것이 다른 때이니라.

비구의 정의는 위에서 말한 것과 같으니라.

기약한다 함은 함께 가서 어느 성 어느 나라에 이르자 하는 것이며, 

의심이 있다 함은 도적이 있다고 의심되는 곳이요 두려운 곳이니라. 

길이라 함은 마을 사이에 동구가 있어 다닐 수 없는 곳이니라.

만일 비구가 비구니와 함께 약속하여 한 길을 가다가 내지 마을 사이의 동구에 이르면 여러 경계의 많고 적음에 따라 모두가 바일제이며, 

마을 아닌 빈 곳을 다니어 십 리에 이르면 바일제이니라.

한 마을이 못 되거나 십 리가 못되면 돌길라이며, 

여러 마을 사이의 같은 경계를 다니면 돌길라이며, 

방편으로 가려 하거나 함께 장엄하고자 하면 모두가 돌길라이니라.

비구니는 돌길라이며, 

식차마나와 사미ㆍ사미니는 돌길라이니, 

이것들은 범하는 것이니라. 

범하지 않는다 함은 약속 없이 함께 다녔거나 큰 무리와 다니거나 의심과 두려움이 있는 곳이거나 저곳에 이르면 편안할 수 있을 때와 힘센 이에게 잡혔거나 결박을 당했거나 목숨과 범행을 유지하기 어려운 때에는 범하지 않는 것이니라.

또 범하지 않는다 함은 맨 처음으로 계를 제정하기 전이거나 어리석고 마음이 미쳐서 마음이 어지럽고, 

고통과 번뇌에 얽힌 때이니라.”



28) 비구니와 약속하고 함께 배를 타지 말라


어느 때에 부처님께서는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때에 여섯 무리 비구들이 여섯 무리 비구니들과 함께 배를 타고 물을 따라 오르락내리락하였다.

그때에 거사들이 보고 모두가 비난하면서 수군거렸다.

“사문 석자가 부끄러움도 모르고 범행도 닦지 않는구나. 

겉으로는 내가 범행을 닦는다고 자칭하지만, 

이렇거늘 어찌 바른 법이 있겠는가? 

비구니와 함께 배를 타고 물을 따라 오르락내리락하다가 하고 싶은 일이 있을 때에는 곧 배를 언덕 가에다 멈춰 두고 마음대로 하겠지.”

그때에 여러 비구들이 그에 대해 들었다. 

그 중에 욕심이 적고 만족함을 알고 두타행을 하고 계율 배우기를 좋아하고 부끄러움을 아는 이는 여섯 무리 비구들을 비난하였다.

“어찌하여 여섯 무리 비구니들과 함께 배를 타고 물을 따라 오르락내리락하였는가?”

여러 비구들이 부처님께 가서 머리를 숙여 발 앞에 예배하고 한쪽에 앉아서 이 사실을 자세히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인하여 비구들을 모으시고 여섯 무리 비구들을 꾸짖으셨다.

“너희가 한 일은 옳지 않다. 

위의가 아니며, 

사문의 법이 아니며, 

청정한 행이 아니며, 

수순하는 행이 아니어서 할 일이 아니다. 

그런데 어찌하여 여섯 무리 비구는 비구니들과 함께 배를 타고 물을 따라 오르락내리락하였느냐?”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꾸짖으신 뒤에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이 어리석은 여섯 비구들은 여러 가지 유루의 곳에서 맨 처음으로 계를 범하였다. 

지금부터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어 열 구절의 이치를 모으고, 

내지 바른 법이 오래 머무르게 하리니, 

계를 말하려는 이는 이와 같이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비구니와 함께 배를 타고 물을 따라 오르락내리락하면 바일제이니라.’”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계를 제정해 주시니, 

그때에 비구들이 기약하지 않는 것으로써 두려워하였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기약하지 않은 것은 범하지 않나니, 

지금부터는 이와 같이 계를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비구니와 함께 약속하여 같은 배에 타고 물을 따라 오르락내리락하면 바일제이니라.’”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셨는데 그때에 여러 비구들이 항하를 건너 이 언덕에서 저 언덕으로 가려 하였다.

그때 여러 비구니들도 항하를 건너 이 언덕에서 저 언덕으로 가려 하였는데, 

비구니들이 비구들에게 가서 물었다.

“대덕이여, 

어디로 가시렵니까?”

비구들이 대답했다.

“우리들은 항하를 건너려 하오.”

비구니들이 말했다.

“함께 건너십시다.”

비구들이 대답했다.

“여러분이 앞에 건너시오. 

우리들은 뒤에 건너겠소. 

그렇지 않으면 여러분이 뒤에 건너시오. 

우리들이 앞에 건너겠소. 

왜냐하면 부처님께서 계율을 제정하시되 비구니와 함께 같은 배로 물을 건너지 말라 하셨소. 

그러므로 할 수 없소.”

비구니들이 말했다.

“대덕들은 우리들의 어른이시니 앞에 서십시오. 

우리들은 뒤에서 건너겠습니다.”

그때에 여름철의 큰 소나기가 와서 강물이 불었으므로 배가 저 언덕에 갔다가 돌아오기 전에 해가 저물었다. 

비구니들이 강가에서 자다가 밤에 나쁜 도적들에게 겁탈을 당하였다.

그때에 비구니들이 부처님께 가서 말씀드리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바로 건너서 저 언덕에 이르는 것은 범하지 않나니, 

지금부터는 이와 같이 계를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비구니와 함께 약속하여 같은 배를 타고 물을 따라 오르락내리락하면 바로 건너는 것을 제하고는 바일제이니라.’

비구의 정의는 위에서 말한 것과 같으니라.

함께 약속한다는 것도 위와 같고, 

배라 함도 위와 같으니라.

만일 비구가 비구니와 함께 약속하여 같은 배를 타고 물을 따라 오르락내리락하면 바로 건너는 것을 제외하고는 배 안에 들어간 것은 모두가 바일제이니라.

만일 한 다리는 배에 있고 한 다리는 땅에 있거나 방편으로 들어가려 하다가 들어가지 않았거나 함께 장엄하려 하면 모두가 돌길라이니라.

비구니는 돌길라이며, 

식차마나와 사미ㆍ사미니도 돌길라이니, 

이것들은 범하는 것이니라. 

범하지 않는다 함은 함께 약속하지 않거나 바로 저 언덕으로 건너거나 배에 들어갔는데 사공이 잘못하여 물을 따라 오르락내리락하였거나 저 언덕에 가면 편안하지 못하거나 힘센 이에게 잡혔거나 결박을 당했거나 목숨과 범행이 두려우면 범하지 않는 것이니라.

또 범하지 않는다 함은 맨 처음으로 계율을 제정하기 전이거나 어리석고 미쳐서 마음이 어지럽고, 

고통과 번뇌에 얽힌 때이니라.”


29) 비구니가 찬탄한 음식을 먹지 말라

어느 때에 부처님께서는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때에 사위성에 한 거사가 있었는데 사리불과 목건련을 청하여 밥을 먹이려 하였다.

그는 그날 밤에 가지가지 음식을 장만하고, 

이튿날 밖에다 좋은 자리를 편 뒤에 밥 때가 되었음을 알렸다.

그때에 투란난타 비구니는 먼저부터 그 거사 집의 단골 비구니였는데, 

이른 아침에 옷을 입고 발우를 들고 그 거사의 집에 갔다가 거사가 한 곳에다 좋은 자리를 편 것을 보고 말했다.

“거사는 이 여러 가지 자리를 폈으니, 

비구들을 청하려 하십니까?”

“청하려 하오.”

비구니가 말했다.

“어떤 비구를 청하려 하십니까?”

“나는 사리불과 목건련을 청하려 하오.”

비구니가 말했다.

“거사께서 청하신 이는 모두가 천한 사람입니다. 

만일 먼저 나에게 말했더라면 나는 거사를 위해서 용 가운데 용[龍中之龍]을 청하였을 것입니다.”

거사가 물었다.

“누가 용 가운데 용인가요?”

“존자 제바달다ㆍ삼문달ㆍ타라달(陀羅達), 

건타달바(騫陀達婆)ㆍ구바리(瞿婆離)ㆍ가류라제사(迦留羅提舍)입니다.”

이와 같이 말할 때에 사리불과 목건련이 왔는데, 

비구니가 보고 거사에게 말했다.

“용 가운데 용이 왔습니다.”

거사가 비구니에게 말했다.

“그대는 아까 천한 사람이라 하더니, 

지금은 어찌하여 용 가운데 용이라 하는가? 

지금부터는 내 집에 왕래하지 말라.”

그때에 거사가 사리불과 목건련에게 말했다.

“앉으십시오.”

곧 자리에 나아가 앉으니 거사가 가지가지 맛있는 음식을 내어 공양하였다. 

공양이 끝난 뒤에는 밥그릇을 치우고 머리를 숙여 발 앞에 예배한 뒤에 작은 평상을 가지고 와서 한쪽에 놓고 말씀드렸다.

“저는 법을 듣고자 합니다.”

그때에 사리불과 목건련이 가지가지 미묘한 법을 말하여 기쁘게 하였다.

설법을 마친 뒤에는 자리에서 일어나 절로 돌아가서 부처님께 나아가 머리를 숙여 발 앞에 예배하고 한쪽에 앉으니, 

부처님께서 알면서도 짐짓 사리불과 목건련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은 오늘 청을 받았는데 밥은 만족하게 먹었느냐?”

사리불과 목건련이 말씀드렸다.

“밥은 만족하였으나 저희들은 오늘 거사의 집에서 천한 이도 되고 용도 되었나이다.”

“무슨 까닭에 그러하였느냐?”

그때에 사리불과 목건련이 이 일로 인하여 자세히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제바달다의 사삿무리[部黨]가 비구니를 보내서 그를 공양하도록 권고하여 음식을 받고 있었습니다.”

그때에 부처님께서 이 일로 인하여 비구들을 모으시고, 

알면서도 짐짓 제바달다의 사삿무리 비구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은 참으로 비구니를 보내서 찬탄케 하고 단월을 권하여 밥을 얻었느냐?”

“그렇습니다.”

그때에 부처님께서 무수한 방편으로 제바달다의 사삿무리 비구들을 꾸짖으셨다.

“너희들이 한 일은 옳지 않다. 

위의가 아니며, 

사문의 법이 아니며, 

청정한 행이 아니며, 

수순하는 행이 아니어서 할 일이 아니다. 

그런데 너희들은 어찌하여 비구니를 보내서 찬탄케 하고 단월을 공양하여 밥을 받았느냐?”

이와 같이 제바달다의 사삿무리 비구들을 꾸짖으신 뒤에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이 어리석은 사람은 여러 가지 유루의 곳에서 가장 처음으로 계를 범하였다. 

지금부터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어 열 구절의 이치를 모으고, 

내지 바른 법이 오래도록 머무르게 하리니, 

계를 말하려는 이는 이와 같이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비구니를 보내서 권고하여 밥을 얻으면 바일제이니라.’”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이와 같이 계를 제정해 주신 뒤 비구들은 권고한 이가 있었는지 권고한 이가 없었는지 알지 못하다가 뒤에야 알고, 

바일제의 참회를 하는 이도 있고, 

의심하는 이도 있었으므로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먼저 알지 못하고 한 것은 범하지 않는 것이니, 

지금부터는 이와 같이 계를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비구니들이 교화하는 곳임을 알면서도 밥을 얻으면 바일제이니라.’”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신 뒤 어느 때에 나열성에 큰 장자가 있었는데 이사달(梨師達)과 친구였으므로 항상 말하였다.

“대덕 이사달이 나열성에 오시면, 

우리는 이사달이 처음 오시니 여러 스님들을 모두 청하여 공양하리라.”

그때에 장자의 집의 단골 비구니가 이 말을 듣고, 

가만히 속에다 간직하였다. 

그 뒤 어느 때 존자 이사달이 나열성으로 왔다.

그때에 비구니는 존자 이사달이 성에 들어왔다는 말을 듣고 장자에게 가서 말했다.

“아시겠습니까? 

이사달이 이미 나열성으로 들어왔습니다.”

장자가 곧 사람을 시켜 절에 보내서 청하였다.

“내일 아침에 높으신 뜻을 굽히시어 여러 스님들과 함께 저의 집에 오셔서 공양하십시오.”

그때에 장자가 밤새 가지가지 맛난 음식을 장만하고, 

이튿날 아침에 가서 밥 때가 되었음을 말씀드렸다. 

그때에 여러 비구들이 옷을 입고 발우를 들고 장자의 집에 가서 자리에 앉으니, 

장자가 이사달의 곁에 가서 말했다.

“바로 존자를 위해서 여러 스님들을 공양하는 것입니다.”

그때에 이사달이 장자에게 물었다.

“어떻게 내가 여기에 온 것을 알았소?”

장자가 대답했다.

“우리 집에서 공양하는 비구니가 말해 주었습니다.”

이사달이 장자에게 말했다.

“사실이 그렇다면 나는 이 밥을 받을 수 없소.”

장자가 대답했다.

“나도 이 비구니의 말에 따라 이 음식을 장만한 것이 아닙니다. 

내가 먼저부터 서원하기를 ‘이사달께서 오시면 음식을 장만하여 여러 스님들에게 공양하리라’ 하였었습니다.”

이사달이 다시 장자에게 말했다.

“아무리 그렇게 말해도 나는 이 밥을 먹을 수 없소.”

그때에 이사달은 그만두고 먹지 않았다.

그때에 여러 비구들이 이 사실을 자세히 부처님께 말씀드리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만일 단월이 먼저부터 뜻이 있었으면 범하지 않는 것이니, 

지금부터는 이와 같이 계를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비구니들이 찬탄하고 교화한 사실이 있는 줄 알면서 밥을 얻어먹으면 단월이 먼저부터 뜻이 있었던 것을 제외하고는 바일제이니라.’

비구의 정의는 위에서 말한 것과 같으니라.

교화한다 함은 아란야에 살고 걸식하고, 

누더기를 입고, 

밥 남기는 법을 한 뒤에는 먹지 않고, 

한 자리에서 먹고, 

한 덩어리로 먹고, 

무덤 사이와 한데 나와 앉고, 

나무 밑에 앉고, 

항상 앉고, 

경계를 따라 앉고, 

세 가지 옷을 갖고, 

게송을 읊고, 

들은 것이 많고, 

법사이며, 

계율을 지키고, 

좌선하는 사람이다 하는 것이며, 

밥이라 함은 아침부터 낮에까지 얻어먹는 것이니, 

그 비구가 비구니들이 교화한 곳임을 알면서도 밥을 얻어먹어 목구멍에 삼키면 바일제이니라.

이러한 밥을 제외하고, 

그 밖에 속옷, 

등잔 기름ㆍ다리에 바르는 기름 등을 교화하여 얻으면 모두가 돌길라이며, 

교화한 것인 줄 알고, 

교화한 것이라고 의심하면 돌길라이며, 

교화하지 않은 것을 교화한 것이라고 생각하면 돌길라이며, 

교화하지 않는 것을 의심하면 돌길라이니라.

비구니는 돌길라이며, 

식차마나와 사미ㆍ사미니도 돌길라이니, 

이것들은 범하는 것이니라. 

범하지 않는다 함은 단월이 먼저부터 가졌던 뜻을 알지 못하거나 교화한 것을 교화하지 않았다고 생각했거나 비구니 자신이 장만했거나 단월이 비구니를 시켜 경영하거나 짐짓 교화하여 걸식하지 않아도 주는 것들은 범하지 않는 것이니라.

또 범하지 않는다 함은 맨 처음으로 계를 제정하기 전이거나 어리석고 미쳐서 마음이 어지럽고 고통과 번뇌에 얽힌 때이니라.”


30) 여자와 약속하고 같이 다니지 말라

어느 때에 부처님께서는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때에 비사리 나라의 여자가 사위국 사람에게 시집을 갔다가, 

뒤에 시어머니와 싸우고 본국으로 돌아왔다.

그때에 아나율(阿那律)이 사위국으로부터 비사리 나라로 가려 하였는데 그 여자가 아나율에게 물었다.

“존자께서는 어디로 가시겠습니까?”

“나는 비사리 나라로 가려 하오.”

여자가 얼른 말했다.

“데리고 가 주시겠습니까?”

“좋소.”

그때에 존자 아나율은 곧 이 여자와 같이 길을 떠났다. 

그 여자의 남편은 먼저부터 밖에 나갔다가 뒷날에 집에 와 보니, 

그 부인이 보이지 않으므로 그 어머니에게 물었다.

“내 처는 어디를 갔습니까?”

그의 어머니가 대답했다.

“나와 싸우고 도망하였는데 있는 곳을 알 수 없다.”

그때에 남편이 재빨리 뒤를 쫓아 길에서 그의 부인을 잡고, 

아나율의 앞에 나서서 말했다.

“무슨 까닭에 내 아내를 데리고 도망하는가?”

아나율이 대답했다.

“그런 말을 말라. 

우리들은 그런 사람이 아니다.”

장자가 말했다.

“어떻게 그렇지 않다고 하는가? 

그대는 지금 분명히 같이 가고 있지 않는가?”

그 여자가 남편에게 말했다.

“내가 이 존자와 함께 오되 형제와 같이 따랐을 뿐 다른 허물은 없습니다.”

남편이 말했다.

“이 사람이 오늘 그대를 데리고 도망했는데 왜 그 말은 하지 않는가?”

그때에 그 사람이 아나율을 때려서 거의 죽을 뻔하였다. 

존자 아나율은 길에서 내려 조용한 곳에서 가부좌를 맺고 앉아 몸을 단정히 하고 뜻을 바르게 하여 생각을 착한 곳에 모아 화광삼매(火光三昧)에 들었다.

그때에 장자가 이를 보고 곧 착한 마음이 생기어 속으로 생각하였다.

“만일 이 아나율이 삼매에서 일어나면 나는 예배하고 참회하리라.”

그때에 존자 아나율이 삼매에서 깨니, 

장자는 곧 참회하였다.

“바라옵건대 대덕이시여, 

저의 참회를 받으십시오.”

아나율이 그의 참회를 받으니, 

장자는 발 앞에 예배하고 한쪽에 앉았다.

그때에 아나율은 장자에게 가지가지 미묘한 법을 말해 주어 기쁘게 하였고, 

설법을 마치고는 곧 자리에서 일어나 떠나버렸다.

그때에 아나율이 공양이 끝난 뒤에 절에 가서 이 사실을 자세히 여러 비구들에게 말하니, 

여러 비구들이 그에 대해 들었다. 

그 중에 욕심이 적고 만족함을 알고 두타행을 하고 계율 배우기를 좋아하고 부끄러움을 아는 이는 아나율을 비난하였다.

“어찌하여 아나율은 혼자서 여자와 함께 길을 갔는가?”

여러 비구들이 부처님께 가서 머리를 숙여 발 앞에 예배하고 한쪽에 앉아서 이 사실을 자세히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인하여 비구들을 모으시고, 

알면서도 짐짓 아나율에게 물으셨다.

“너는 참으로 여자와 같이 길을 갔느냐?”

“그렇습니다.”

그때에 부처님께서 무수한 방편으로 아나율을 꾸짖으셨다.

“네가 한 일은 옳지 않다. 

위의가 아니며, 

사문의 법이 아니며, 

청정한 행이 아니며, 

수순하는 행이 아니어서 할 일이 아니다. 

그런데 너는 어찌하여 여자와 함께 같은 길을 갔느냐?”

그때에 부처님께서 무수한 방편으로 아나율을 꾸짖으신 뒤에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이 아나율은 여러 가지 유루의 곳에서 가장 처음으로 계를 범하였다. 

지금부터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어 열 구절의 이치를 모으고, 

내지 바른 법이 오래도록 머무르게 하리니, 

계를 말하려는 이는 이와 같이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여자와 함께 같은 길을 가서 마을 사이에 이르면 바일제이니라.’”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신 뒤에, 

여러 비구들은 서로 약속하지 않았으나 길에서 만나게 되면 두려워서 같이 가지 못하는 이가 있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약속하지 않은 것은 범하지 않나니, 

지금부터는 이와 같이 계를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여자들과 약속하고 같은 길을 가서 마을 사이에 이르면 바일제이니라.’

비구의 정의는 이와 같고 부인이라 함도 위와 같고, 

함께 약속한다 함도 위와 같고, 

길이라 함도 위와 같으니라.

만일 비구가 여자와 함께 약속하여 같이 길을 가서 마을 사이에 이르면 여러 경계의 살피를 지난 것에 따라 낱낱이 바일제이며, 

마을이 없는 호젓한 곳을 십 리 동안 가면 바일제이며, 

한 마을이 못되거나 십 리가 못되면 돌길라이며, 

마을 안의 한 경계를 함께 다니면 돌길라이며, 

방편으로 다니려 하다가 다니지 않거나 함께 약속해서 장엄하려 하다가 가지 않으면 모두가 돌길라이니라.

비구니는 돌길라이며, 

식차마나와 사미ㆍ사미니는 돌길라이니, 

이것들은 범하는 것이니라. 

범하지 않는다 함은 애초부터 함께 약속하지 않았거나, 

저곳에 가야 편안하겠거나, 

힘 센 이에게 잡혔거나, 

갇혔거나, 

목숨과 범행을 유지하기에 어려움이 있을 때는 범하지 않는 것이니라.

또 범하지 않는다 함은 맨 처음으로 계를 제정하기 전이거나 어리석고 미쳐서 마음이 어지럽고, 

고통과 번뇌에 얽힌 때이니라.”


31) 한 번만 밥을 주는 곳에서 지나치게 받지 말라

어느 때에 부처님께서는 사위국의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때에 구살라 나라에는 비구가 쉴 곳이 없는 마을이 있었는데, 

거사들이 비구를 위해 쉴 곳을 장만하고 항상 음식을 공양하였다.

“여기에서 쉬는 비구에게는 밥 한 끼니씩을 주리라.”

그때에 여섯 무리 비구들이 구살라 나라의 쉴 곳 없는 마을에 가려 하여, 

그곳에 이르러서 하루를 쉬고 좋은 음식을 얻어먹었다. 

그리고 다시 이틀째 쉬어 또 좋은 음식을 얻어먹었다.

그 여섯 무리 비구들은 생각하였다.

“우리들이 다니는 것은 바야흐로 음식을 위한 것인데 이제 얻었다.”

그들은 이 쉴 곳에서 자주 자주 쉬고 먹고 하니, 

거사들이 모두 비방하였다.

“이 사문 석자들은 만족함도 없고 부끄러움도 모른다. 

겉으로 내가 바른 법을 안다고 자칭하지만, 

이렇거늘 어찌 바른 법이 있겠는가? 

여기서 자주 자주 밥을 받으니, 

마치 우리들은 이 사문 석자들만을 공급하기 위한 것같이 되었다. 

우리들은 본래 한 번 쉬는 비구에게 두루 공급하려 하였다.”

그때에 여러 비구들이 이 말을 들었다. 

그 중에 욕심이 적고 만족함을 알고 두타행을 하고 계율 배우기를 좋아하고 부끄러움을 아는 이는 여섯 무리 비구들을 비난하였다.

“어찌하여 여섯 무리 비구들은 이 쉴 곳에서 자주 자주 밥을 받는가?”

여러 비구들이 부처님께 가서 머리를 숙여 발 앞에 예배하고 한쪽에 앉아서 이 사실을 자세히 말씀드렸다. 

부처님께서는 이 일로 인하여 비구들을 모으시고 여섯 무리 비구들을 꾸짖으셨다.

“너희들이 한 일은 옳지 않다. 

위의가 아니며, 

사문의 법이 아니며, 

청정한 행이 아니며, 

수순하는 행이 아니어서 할 일이 아니다. 

그런데 여섯 무리 비구들아, 

너희들은 어찌하여 그 쉴 곳에서 자주 자주 밥을 받아먹었느냐?”

그때에 부처님께서 무수한 방편으로 여섯 무리 비구들을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이 어리석은 사람은 여러 가지 유루의 곳에서 맨 처음으로 계를 범하였다. 

지금부터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어 열 구절의 이치를 모으고, 

내지 바른 법이 오래도록 머무르게 하리니, 

계를 말하려는 이는 이와 같이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한 번 쉬고 먹는 곳에서 한 끼니만 먹을 것을 더 먹으면 바일제이니라.’”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신 뒤였다.

어느 때에 사리불이 구살라 나라에서 다니다가 이 쉴 곳 없는 마을에 이르러 하룻밤을 쉬고 이튿날 아침에 좋은 음식을 먹었다. 

그런데 거기서 사리불은 병이 나서 생각하였다.

‘부처님께서 계율을 제정하시되 ≺비구는 한 번만 쉬는 곳에서는 한 끼니만 먹으라. 

더 있으면 바일제이다≻라 하셨다.’

그는 앓으면서 떠났으나 병은 더욱 무거워졌다.

그때에 비구들이 부처님께 가서 말씀드리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병든 비구는 오래도록 먹기를 허락하나니, 

지금부터는 이와 같이 계를 말하여라.

‘한 번만 먹는 곳에서 병 없는 비구는 한 끼니만 먹으라. 

지나면 바일제이니라.’

비구의 정의는 위에서 말한 것과 같으니라.

쉴 곳이라 함은 그 안에서 한 번 쉬는 것이며, 

먹는다 함은 때가 되어서 먹는 것이며, 

병이라 함 그 마을을 떠나면 더 심해지는 것이니라.

만일 병 없는 비구가 한 번만 쉬고 먹는 곳에서 지나게 밥을 받아 목구멍에 삼키면 바일제이며, 

밥을 제하고 다시 속옷ㆍ등잔 기름ㆍ다리에 비르는 기름 같은 것을 받으면 돌길라이니라.

비구니는 바일제이며, 

식차마나와 사미ㆍ사미니는 돌길라이니, 

이것들은 범하는 것이니라. 

범하지 않는다 함은 한 번 자고 밥을 받았는데 병이 나서 지나게 받았거나, 

거사들이 말하되 ‘대덕이시여, 

여기에 머무시오. 

저희들은 사문 석자들을 위해서 이 쉴 곳을 마련하고 음식을 공급하는데 사문 석자를 만나지 못하면 다른 사람을 주겠습니다’ 하는 것이니라.

또 단월이 차례차례 청하거나 그의 아들ㆍ딸ㆍ누이ㆍ며느리들이 차례차례 청하는 것은 범하지 않는 것이니라.

또 오늘은 이 사람의 밥을 받고 내일은 저 사람의 밥을 받거나, 

물이 갑자기 흘러서 길이 막혔거나 도적ㆍ범ㆍ이리ㆍ사자 등이 있거나 힘 센 이에게 잡혔거나 갇혔거나 목숨과 범행을 유지하기 어려움이 있을 때에는 한 끼니를 지나게 먹어도 범하지 않는 것이니라.

또 범하지 않는다 함은 맨 처음으로 계를 받기 전이거나 어리석고 미쳐서 마음이 어지럽고, 

고통과 번뇌에 읽힌 때이니라.”


32) 여기저기서 먹지 말라

어느 때에 부처님께서는 나열성의 가란타(迦蘭陀) 대숲 동산에 계셨다.

그때에 부처님께서 나열성에서 나오셔서 세간에 다니시는데 큰 비구들 1,250사람과 함께 계셨다.

그때에 온 나라 안에 농사가 안 되어 쌀값이 비싸서 걸식하기가 힘들고, 

사람들은 모두가 주린 빛이었다. 

그때에 5백 명의 걸인이 부처님의 뒤를 따라다녔다.

그때에 사토(沙菟)라는 바라문이 있었는데 5백 수레에다 음식을 가득 싣고 겨울에서 여름까지 부처님의 뒤를 따르면서 공양 없는 날에는 공양을 마련하려 하였다.

그때에 부처님께서 마갈 나라에서부터 점점 교화하여 아나빈두(阿那頻頭) 나라에까지 오셨는데 그 나라 사람들이 앞을 다투어 공양 거리를 장만하여 부처님과 비구들을 공양하여 빈 날이 없었다.

그때에 바라문이 종일 기다렸으나 빈틈이 없어서 공양을 차릴 수 없으므로 아난에게 가서 말했다.

“나 사토는 5백 수레에다 음식을 가득 싣고 겨울에서 여름까지 부처님의 뒤를 따르면서 공양이 없어 비는 날을 기다려 공양하려 하였습니다. 

그러나 나는 지금까지 공양할 차례를 얻지 못했습니다. 

우리들은 속인이어서 어려움이 많으니, 

관청의 역사에 매이고, 

일이 없는 날에도 나아가야 하며, 

겸하여 안 일도 살펴야 하고, 

또 관청에 재물과 곡식도 바쳐야 하니, 

공ㆍ사에 시달려서 조금도 틈이 없습니다.

바라건대 존자께서는 나를 위해 부처님께 아뢰어 주시오. 

부처님께서 분부가 계시면 받들어 행하겠습니다.

만일 부처님과 스님에게 공양할 차례를 얻지 못하면 나는 이 5백 수레의 음식을 길에 펴서 부처님과 스님 여러분께서 밟고 지나시게 함으로써 내 공양을 받으신 것으로 여기겠습니다.”

아난이 대답하였다.

“잠깐 기다리시오. 

내가 부처님께 여쭈어 드리겠소.”

그때에 아난이 부처님께 가서 머리를 숙여 발 앞에 예배하고 한쪽에 서서 이 사실을 자세히 말씀드렸다.

“사토 바라문이 제게 와서 말하기를 ‘겨울에서 여름까지 5백 수레에다 음식을 가득 싣고 부처님의 뒤를 따르면서 공양 없어 비는 날을 기다려 공양하려 하였는데 나는 지금 공양할 차례를 얻지 못했소.

우리들은 속인이어서 여러 가지 어려움이 많으니, 

관청의 역사에 매이고, 

일이 없는 날에도 나아가야 하고, 

겸하여 집안일도 살피어 공ㆍ사에 틈이 없다. 

바라건대 존자는 나를 위해 부처님께 아뢰어 주시오. 

부처님께서 분부가 계시면 받들어 행하겠소. 

만일 공양할 차례를 얻지 못하면 이 5백 수레의 음식을 길에다 펴서 부처님과 스님 여러분께서 밟고 지나시게 함으로써 자기의 공양을 받으신 것으로 여기겠다’ 하였습니다. 

제가 그에게 대답하되 ‘잠깐 기다리라. 

내가 부처님께 아뢰어 주겠다’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부처님께 여쭙나이다.”

그때에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그 바라문에게 가서 말하되 ‘내일 아침에 이 음식으로 죽을 쑤어 비구들에게 먹이라. 

다음에는 밥을 받으리라’ 하여라.”

그때에 아난이 부처님의 분부를 받고, 

곧 바라문에게 가서 말했다.

“그대는 이 음식으로 죽을 쑤어서 비구들에게 먹이라. 

그 뒤에는 밥을 받으리라.”

그때에 바라문이 보건대 공양하는 사람들이 아무도 떡을 장만하지 않으므로 그날 밤에 가지가지 맛있는 소락 기름ㆍ참기름ㆍ젓ㆍ맑은 물ㆍ생강ㆍ호초ㆍ필발(罼茇)을 준비하여 가지가지 죽과 떡을 만들었다.

밤이 지난 뒤에 이 죽으로 부처님과 비구들에게 공양하니, 

비구들은 받지 못하고 바라문에게 말했다.

“부처님께서 아직 비구들에게 소락 기름과 내지 세 가지 약으로 만든 갖가지 죽을 받으라고 허락하시지 않았소.”

그때에 비구들이 이 사실을 부처님께 말씀드리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비구들에게 소락 기름과 내지 세 가지 약으로 만든 갖가지 죽을 받도록 허락하노니, 

먹으라.

죽에는 다섯 가지 이익이 있느니라. 

주림을 없애고, 

목마름을 없애고, 

묵은 밥을 소화시키고, 

대변과 소변이 고르고, 

풍병을 없애나니, 

죽을 먹는 이에게는 이 다섯 가지 이로운 일이 있느니라.”

그때에 바라문이 다시 떡을 돌리니, 

비구들이 받지 못하고 말했다.

“부처님께서 아직 비구들에게 떡을 받으라고 허락하시지 않았소.”

곧 부처님께서 가서 말씀드리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비구들에게 떡을 받도록 허락하노라.”

그때에 아나빈두 나라의 거사들이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죽과 떡을 받도록 허락하셨다는 말을 듣고 모두가 매우 기뻐하면서 말했다

“우리들은 매우 좋은 복밭[福田]에 공양하는 것을 얻었다.”

그 밖에 믿음이 적은 대신이 있었는데 부처님과 비구들이 많은 공양을 얻는 것을 보고 말했다.

“이는 사소한 복덕을 가진 사람들이 아니다. 

이와 같이 곡식이 비싼 때에도 부처님과 비구승들에게는 이와 같은 공양을 드리는구나. 

나도 지금 가지가지 맛난 음식을 마련하여 사람마다 한 그릇씩의 고깃국을 대접하리라.”

그때에 그는 곧 사람을 절로 보내서 아뢰게 하였다.

“대덕 스님들, 

내일은 저의 공양을 받아 주시기 바랍니다.”

그날 밤에 가지가지 맛난 음식을 장만하고, 

이튿날 아침에 절에 가서 밥 때가 되었음을 말씀드렸다.

그때에 부처님께서 몸소 절에 계시면서 공양 청하는 곳에 보내는 일을 보셨다.

그때에 아나빈두 나라의 거사들도 먼저부터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죽 먹기를 허락하셨다는 말을 듣고, 

그날 밤에 가지가지 죽을 위와 같이 장만한 뒤에 이튿날 아침에 절로 보내서 비구들에게 먹였다.

비구들은 이미 다른 이의 밥을 먹었는데 또 이 가지가지 맛있는 죽을 먹고 또 이 대신의 집으로 먹으러 갔다.

그때에 믿음이 적던 대신이 비구들에게 가지가지 음식을 주었는데 비구들이 말했다.

“멈추시오. 

단월이여, 

조금씩 부으시오.”

대신이 비구들에게 말했다.

“나는 짐짓 비구 스님들을 위해 맛난 음식을 장만하여 한 사람마다 한 그릇씩의 고깃국을 만들었는데 나의 믿음이 적다 하여 배불리 잡숫지 않지 마십시오. 

여러 대덕이여, 

그저 잡수십시오. 

나는 믿는 마음이 있습니다.”

여러 비구들이 대답했다.

“그 까닭에 안 먹는 것이 아니오. 

성안의 백성들이 부처님께서 비구들에게 죽과 떡을 먹으라고 허락하신 것을 듣고, 

그날 밤에 가지가지 소락 기름ㆍ참기름ㆍ젓ㆍ맑은 물ㆍ생강ㆍ호초ㆍ필발로 죽을 쑤어 그 이튿날 아침에 절로 보내서 비구들에게 먹였소. 

우리들이 먼저 그 죽을 먹었으므로 지금 더 많이 먹지 못할 뿐이니, 

괴이히 여기지 마시오.”

그때에 믿음이 적던 대신이 즉석에서 비난하였다.

“내가 짐짓 여러 비구들을 위해서 이와 같은 가지가지 좋은 음식을 장만하여 사람마다 한 그릇씩의 고깃국을 주는 것은 여러 스님 여러분께서 다 공양하시게 하려는 것이었는데, 

어찌하여 먼저 진한 죽을 먹은 뒤에야 내 밥을 받으실까?”

그때에 대신은 성이 나서 갖가지 좋은 떡과 고기들을 감춰 두고 국과 밥만을 차려 준 뒤에 부처님께 가서 머리를 숙여 발 앞에 예배하고 한쪽에 앉아서 부처님께 여쭈었다.

“아까 여러 스님들에게 공양을 차린 것은 복이 많겠나이까? 

죄가 많겠나이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당신이 공양을 베푼 것은 복덕이 매우 많습니다. 

이는 하늘에 나는 원인입니다. 

비구들이 당신에게 한 덩어리의 밥만을 먹더라도 그 복덕이 한량없습니다.”

그때에 부처님께서 점점 설법하여 주시되 보시와 계율과 하늘에 나는 법을 말씀하시고, 

애욕은 죄악이요 최상의 유루라고 꾸짖으시고, 

벗어남은 해탈을 더하게 하는 법이라고 찬탄하셨다.

이 법을 말씀하시니 그는 곧 앉은 자리에서 온갖 번뇌가 다하여 법 눈이 맑아졌다.

그는 법을 보고 법을 얻고 바른 법을 닦아 가장 높은 과위를 얻은 뒤에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지금부터 불ㆍ법ㆍ승에 귀의하오니, 

우바새가 되도록 허락해 주옵소서. 

목숨이 다하도록 살생하지 않고, 

내지 술을 마시지 않겠나이다.”

그때에 부처님께서 공양을 마치시고 이 일로 인하여 비구들을 모으시고 비구들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은 참으로 새벽에 다른 이의 진한 죽을 먹은 뒤에 대신의 청을 받았느냐?”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그때에 부처님께서 무수한 방편으로 비구들을 꾸짖으셨다.

“너희들이 한 일은 옳지 않다. 

위의가 아니며, 

사문의 법이 아니며, 

청정한 행이 아니며, 

수순하는 행이 아니어서 할 일이 아니다. 

그런데 너희들은 어찌하여 어리석게도 먼저 진한 죽을 먹은 뒤에 청을 받으러 갔느냐? 

먼저 청을 받고서는 진한 죽을 먹지 말라. 

진한 죽이라 함은 풀잎으로 그어서 죽의 금이 합쳐지지 않는 것이니, 

먹어서는 안 되느니라. 

먹으면 법대로 다스리라.”

그때에 부처님께서 아나빈두 나라로부터 세간으로 떠나셨는데 1,250사람과 함께 계셨다.

그때에 그 나라에 곡식이 귀하여 걸식하기 어려웠고 사람들은 주린 빛이 있었다. 

그리하여 5백 사람의 거지가 항상 부처님의 뒤를 따르고 있었다.

그때에 부처님께서 마갈 나라에서 점점 걸어서 나열성으로 옮겨오셨다. 

그때에 부처님과 비구들이 많은 공양을 얻었다.

그때에 나열성에 믿음이 적은 한 악사(樂師)가 있었는데 부처님과 비구들이 많은 공양을 얻는 것을 보고 생각하였다.

‘이는 사소한 복밭이 아니다. 

이와 같이 곡식이 귀한 때에 부처님과 비구들은 공양을 많이 얻었다. 

나도 지금 한 해 동안 생기는 물건으로 가지가지 맛난 음식과 사람마다 한 그릇씩의 고기를 장만하여 부처님과 비구들에게 공양하리라.”

그때에 그는 몸소 절에 가서 비구들에게 말했다.

“내일 아침에는 제 공양을 받아 주십시오.”

그날 밤에 가지가지 맛난 음식을 장만하고, 

이튿날 아침에 가서 밥 때가 되었음을 말씀드렸다.

그때에 나열성은 명절을 만나 거사들이 앞을 다투어 밥ㆍ국수ㆍ건반ㆍ생선ㆍ고기를 가지고 절에 가서 비구들에게 주니, 

비구들은 그것을 먹고 청을 받으러 갔다.

그때에 악사가 손수 가지가지 음식을 나누어 주니 비구들이 말했다.

“그만두시오. 

거사여, 

밥을 많이 담지 마시오.”

악사가 말했다.

“제가 한 해 동안 얻은 물건으로 일부러 스님들을 위해 가지가지 맛난 음식과 사람마다 한 그릇씩의 고기를 장만했습니다. 

제가 믿음이 적다 하여 믿지 않는 마음을 낼까 두려워하여 많이 안 잡숫지 마십시오. 

어서 잡수시오. 

나는 믿음이 있습니다.”

그때에 비구들이 거사에게 말했다.

“우리들은 그 일 때문에 안 먹는 것이 아니오. 

조금 전에 성안의 사람들의 음식을 먼저 먹었소. 

그러므로 지금 적게 먹는 것이니, 

다른 마음이 없소. 

괴이히 여기지 마시오.”

그때에 믿음이 적던 악사가 이 말을 듣고 비방하는 생각을 품었다.

‘내가 한 해 동안 생기는 물건으로 일부터 스님들을 위해 가지가지 맛난 음식과 사람마다에게 한 그릇씩의 고기를 장만했거늘, 

비구들은 어찌하여 먼저 남의 밥ㆍ국수ㆍ건반ㆍ생선ㆍ고기 등을 먹은 뒤에 내 밥을 받을까?’

악사는 성이 나서 가지가지 좋은 음식은 감춰 두고 국과 밥만을 준 뒤에 부처님께 가서 머리를 숙여 발 앞에 예배하고 한쪽에 앉아 부처님께서 여쭈었다.

“제가 베푼 음식은 복이 많나이까? 

죄가 많나이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지금 네가 보시한 음식은 하늘에 태어나는 원인이다. 

비구들이 한 덩어리의 밥만을 받더라도 그 복이 한량없거늘 하물며 지금 이와 같이 장만한 것이겠느냐? 

그 복덕은 한량이 없느니라.”

그때에 부처님께서 미묘한 법을 연설해 주시니 보시와 지계(持戒)는 하늘에 나는 원인이라 하시고, 

애욕은 허물이며 최상의 유루라고 꾸짖으셨다.

그때에 악사가 이 말씀을 듣고 앉은 자리에서 온갖 번뇌가 다하여 법 눈이 밝아졌다.

법을 보고 법을 얻고 바른 법을 닦아 가장 높은 과위를 얻고는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지금부터 우바새가 되겠사오니, 

허락해 주옵소서. 

목숨이 다하도록 살생하지 않고, 

내지 술을 마시지 않겠나이다.”

그때에 부처님께서 이 일로 인하여 비구들을 모으시고 알면서도 짐짓 비구들에게 물으셨다.

“너희들은 참으로 먼저 남의 다섯 가지 음식을 먹은 뒤에 이 공양 청을 받았느냐?”

“그렇습니다.”

그때에 부처님께서 무수한 방편으로 비구들을 꾸짖으셨다.

“너희들이 한 일은 옳지 않다. 

위의가 아니며, 

사문의 법이 아니며, 

청정한 행이 아니며, 

수순하는 행이 아니어서 할 일이 아니다. 

그런데 어리석은 사람들아, 

너희들은 어찌하여 먼저 남의 다섯 가지 음식을 먹은 뒤에 다시 이 청을 받았느냐?”

부처님께서 무수한 방편으로 꾸짖으신 뒤에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남의 다섯 가지 음식을 먹은 뒤에 청을 받지 말라. 

지금부터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어 열 구절의 이치를 모으고, 

내지 바른 법이 오래 머무르게 하리니, 

계를 말하려는 이는 이와 같이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여기저기서 먹으면 바일제이니라.’”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하신 뒤의 어느 때에 병든 비구들이 청을 받아먹는 곳에는 병에 맞는 음식과 병에 맞는 약이 없었고, 

설사 딴 곳에는 병에 맞는 음식과 약이 있더라도 조심스러워서 먹지 못했으니, 

여기저기서 먹지 못하는 계를 범할까 두려워하기 때문이었다.

그때에 비구들이 이 일로 인하여 부처님께 가서 말씀드리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병든 비구에게는 여기저기서 먹도록 허락하노니, 

지금부터는 이와 같이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여기저기서 먹으면 특별한 때[異時]를 제외하고는 바일제이니, 

특별한 때라 함은 병든 때이니라.’”

부처님께서 이와 같이 비구들에게 계를 제정해 주신 뒤 어느 때에 어떤 거사가 부처님과 비구들을 청하여 음식을 공양하려 하였는데 다시 어떤 거사가 부처님과 비구들을 청하여 음식과 의복을 마련해서 공양하려 하여 절에 가서 비구들에게 말했다.

“제가 부처님과 스님들을 청하여 음식을 공양하려 합니다.”

비구들이 대답했다.

“우리들은 먼저 다른 거사의 청을 받았소.”

거사가 말했다.

“대덕이여, 

나는 좋은 음식과 옷을 보시하려 합니다. 

바라건대 스님 여러분께서는 제 청을 받아 주십시오.”

그때에 비구들은 조심스러워서 부처님께 가서 말씀드리니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지금부터 비구들에게 옷을 보시할 때에는 여기저기서 먹도록 허락하노니, 

지금부터는 이와 같이 계를 말하여라.

‘어떤 비구가 여기저기서 먹으면 특별한 때[餘時]를 제외하고는 바일제이니, 

특별한 때라 함은 병들었을 때와 옷을 보시하는 때이니라.’

비구의 정의는 위에서 말한 것과 같으니라.

여기저기서 먹는다 함은 청하는 때에 한하는 것이니라. 

청하는 것은 두 가지가 있으니, 

대중의 차례대로 청함[僧次請]과 따로 청함[別請]이니라.

먹는다 함은 밥ㆍ국수ㆍ건반ㆍ생선ㆍ고기이며, 

병든 이라 함은 한 자리에서 좋은 음식을 먹어 배부를 수 없는 사람이며, 

옷을 준다 함은 자자를 바치고 카타나 옷이 없으면 한 달이며, 

가치나 옷이 없으면 다섯 달이니라.

만일 여러 곳에서 음식과 의복을 보시한다는 이가 있거나 하루에 여러 곳에서 공양 청장을 받았거든 자기는 한 사람의 청만을 받고 나머지는 남에게 미루어 줄지니, 

이와 같이 말하고 주라.

‘장로여, 

내가 거기에 가야 하겠으나 이제 그대에게 보시합니다.’

만일 비구가 앞의 청을 버리지 않고 뒤의 청을 받아 밥이 목구멍을 넘으면 바일제이며, 

뒤의 청을 버리지 않고 앞의 청을 받아 밥이 목구멍을 넘으면 돌길라이니라.

비구니는 돌길라이며, 

식차마나와 사미ㆍ사미니도 돌길라이니, 

이것들은 범하는 것이니라. 

범하지 않는다 함은 병들었을 때와 옷을 보시할 때와 하루에 여러 사람이 청하였는데 자기는 한 사람의 청만을 받고 나머지는 다른 사람에게 주었거나, 

만일 청하고서도 다섯 가지 밥 아닌 것을 주거나 밥이 부족하거나 공양을 청한 이가 없어서 먹거나 먹은 뒤에 다시 밥이 생겼거나 한 곳에 앞의 밥과 뒤의 밥이 있는 때는 범하지 않는 것이니라.

또 범하지 않는다 함은 맨 처음으로 계를 제정하기 전이거나 어리석고 미쳐서 마음이 어지럽고, 

고통과 번뇌에 얽힌 때이니라.”


● [pt op tr] fr

_M#]




『사분율』 ♣0896-013♧






◎◎[개별논의] ❋본문


○ 수행과정 중 시시비비의 해결 






★1★





◆vmfz1186

◈Lab value 불기2565/06/24


○ 2020_0908_163202_nik_ar5.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Katsushika-Hokusai-fujiwara-no-ason-michinobu
[#M_▶더보기|◀접기|
Artist: Katsushika-Hokusai
https://en.wikipedia.org/wiki/Hokusai
Title : fujiwara-no-ason-michinobu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18_0419_140418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Cadornega
[#M_▶더보기|◀접기|
English: Front page of "História geral das guerras angolanas" of António de Oliveira de Cadornega, writen in 1680.
Author Manuel de Sousa; António de Oliveira de Cadornega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san-cristóbal-dominican-republic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상세정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1/san-cristóbal-dominican-republic.html
https://buddhism007.tistory.com/18066
■htmback--B-♥san-cristóbal-dominican-republic_불기2565-01-31-Tis.htm

Patrick Bruel - Combien De Murs


♥단상♥애별리고 원증회고의 해결방안
  
오늘 숙왕화님이 제 2 차 수술을 한다. 
요즘은 코로나로 병원방문도 곤란하다. 
숙왕화님의 정신적 물질적 후원으로 그간 연구를 편하게 해왔다. 
그런데 병문안도 한번 하지 못해서 안타깝다. 


그런 뜻에서 이번에 약사여래님 다라니 기도를 드리기로 했다. 
일단 경전에 나온 내용대로 해야 되는데 조금 절차가 복잡하다. 

『약사유리광칠불본원공덕경(藥師琉璃光七佛本願功德經)』에 다음과 같이 내용이 나온다. 

... 
또한 문수사리여, 
그 약사유리광여래는 보리를 증득할 때에 본래 세웠던 원력으로 말미암아 모든 중생이 마르는 병과 학질과 소갈병(消渴病)과 황달과 열병 등 온갖 병고에 걸렸거나, 
혹은 가위눌림과 방자 등의 작란에 빠졌거나, 
혹은 목숨이 짧고 횡사하는 것을 관찰하고, 
그들로 하여금 이러한 병고가 소멸되고 구하는 소원이 원만하도록 하였느니라.
그리고 그 세존께서 삼마지(三摩地)에 드셨으니, 
이름은 일체 중생의 괴로움을 소멸하는[滅除一切衆生苦惱] 삼마지였느니라.
이미 선정에 드시자, 
살 상투[肉䯻] 가운데서 큰 광명이 나왔고, 
그 광명 가운데서 위대한 다라니를 설하셨느니라.

나모바가바뎨 비사사루로 폐유리바라바 아라사야 다타아다야아라하뎨
南謨薄伽伐帝 鞞殺社窶嚕 薜琉璃鉢喇婆 曷囉闍也 呾他揭多也 阿囉%(口*歇)帝
삼먁삼몯타야달냐타암 비사저비사저 비사사삼몯아뎨 사바하
三藐三勃陀也呾姪他唵 鞞殺逝鞞殺逝 鞞殺社三沒揭帝 莎 訶


그때 광명 가운데서 이 신주를 설하시자, 
대지가 진동하였으며, 
큰 광명을 놓아 일체 중생의 병고를 모두 제거하고 안락을 받도록 하셨느니라.

문수사리여, 
누가 만일 병고에 시달리는 남자나 여인을 보았을 때에 마땅히 한결같은 마음으로 그 병든 이를 위하여 깨끗이 씻고 양치질한 다음 음식이나 혹은 약이나 벌레 없는 물을 향하여 이 신주를 108번 외우고 그에게 주어 복용케 한다면, 
있었던 병고가 모두 소멸하리라.
만일 소원이 있어서 마음을 기울여 염송한다면, 
모두 뜻대로 되어 병 없이 나이를 늘리고, 
목숨을 마친 뒤에는 그 세계에 나서 물러나지 않음과 나아가 보리를 얻으리라.
그러므로 문수사리여, 
만일 어떤 남자나 여인이 그 약사유래광여래께 지극한 마음으로 은근히 공경하고 공양하려면, 
늘 이 신주를 가져 잊어버리지 않아야 하느니라.

또한 문수사리여, 
만일 정신남ㆍ정신녀가 위에서 말한 일곱 부처님 여래ㆍ응공ㆍ정등각의 이름을 듣고서 외우고 지니며, 
새벽에는 양지를 가져 양치질하고 깨끗이 씻은 다음 모든 향기 나는 꽃[香花]과 가루 향[末香]과 태우는 향[燒香]과 바르는 향[塗香]과 온갖 풍악을 준비하여 부처님의 형상에 공양하며, 
이 경전을 자기가 베끼거나 혹은 남을 시켜 한결같은 마음으로 받아 지니고 그 이치를 들으며, 
또한 법사(法師)에게도 마땅히 공양하되 일체 소유한 살림 도구로써 다 보시하여 모자람이 없도록 한다면, 
어느 날 여러 부처님의 호념을 입어 소원이 원만하고, 
나아가 보리를 얻으리라.”
...

『약사유리광칠불본원공덕경(藥師琉璃光七佛本願功德經)』  ♣0178-002♧





쉬면서 노래를 자주 듣는다.
그런데 그렇게 듣다보면 노래가 하나의 시나리오처럼 
계속 서로 시리즈로 연결되어진다고 여겨지게 된다. 

외국노래가 각 곡이 처음부터 끝까지 내용이 이어지는 형태로 한국어로 들린다는 것 자체가 이상한 일이다. 
그런데 계속 이어듣는 그런 노래들이 다시 시리즈로 연결되어 이야기가 이어진다는 것도 이상한 일이다. 

그런데 이 노래들이 계속 연구원들과 관련된 이야기를 이어서 들려준다. 
마치 연속 드라마를 대하는 듯한 느낌이다. 

그런 가운데 숙왕화님과 또 다른 연구원들이 최근 갑자기 함께 수술을 하고 병에 걸리게 되었다.
그런데 그렇게 된 배경사정에 대해 대략 100 여곡 이상을 계속 노래로 들어왔다. 

숙왕화님을 두고 수많은 연구원들이 치열하게 다툰다. 
노래만 놓고 듣다보면 그래서 이런 비극적인 사태가 나타난 것처럼 여겨진다. 

그러다가 이를 놓고 생각하다보니 갑자기 서양 고전 일리아드나 오디세이야의 스토리가 연상된다. 


처음 트로이전쟁은 여자 문제 때문에 발생한다. 
처음 발단은 여신들의 상호비교, 교만 , 시기 질투 현상과 관련된다. 
그리고 여기에 연루된 어떤 이가 결국 여신들이 제출한 딜레마성격의 문제 함정에 빠진다. 

코미디 프로에서 어떤 개그맨이 다음 문제에 대해 답할 것을 요청받고 곤혹스러워 한다. 
여자 연예인들을 나열하고 이 가운데 다음 프로에 나오지 않았으면 하는 연예인은 누구인가. 
이렇게 다른 개그맨이 질문한다. 

또는 다음 형태로도 질문한다. 
다음 나열한 여자 연예인들 중에서 가장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연예인은 누구인가. 

이런 질문을 받는 경우는 그 개그맨이 이에 대해 어떤 답을 해도 결국 그 개그맨은 곤란에 처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답을 안해도 또 곤란해진다. 

그래서 이런 경우 이런 딜레마논식 유형의 문제를 격파하는 방안을 놓고 미리 연구를 잘 해야 한다. 

딜레마는 두 개의 뿔이라는 뜻을 갖는다. 
그런데 이에 대해 전통적으로 두 뿔을 붙잡는 방식과 두 뿔 사이로 지나가는 방식이 있다. 

간단히 형식을 말하면 다음이다. 
본래 딜레만 논식은 가능한 두 경우 수 어느 경우나 상대가 곤란에 처하게 되는 형태다.
그런데 이 경우 상대가 그 어느 경우나 다 붙잡고 하나하나 다 그 반대로 임해 격파시키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불교에서는 중관론에서 이런 형식을 많이 보게 된다. 
또 여기에는 다음 귀류논증식이 주로 사용된다. 
상대의 주장이 그렇다고 하자. 그렇게 받아들인 다음 상대의 입장을 계속 적용하면 상대가 끝내 필연적으로 오류나 곤경에 처하게끔 하는 방식이다. 


또 하나의 방식은 상대가 벌린 경우수에 들어가지 않고 문제 자체에서 벗어나는 방식이다. 
처음에 언뜻 보면 벌려 놓은 상대가 벌려 놓은 경우수 어딘가에는 자신이 반드시 들어가야 할 듯 하다. 
그런데 잘 생각하면 그 경우 수에 들어가지 않는 방안이 있다. 
알고 보면 세상에는 흰 옷 아니면 하얗지 않은 옷 두 종류의 경우만 있는 것은 아니다.
점박이 옷도 있고 벌거숭이 투명 비닐옷도 있는 법이다. 

이에 대해서는 다시 또 다른 방식도 있다.
그런 딜레마 문제를 제출한 이에게 거꾸로 딜레마 문제를 반대로 제출해 공격하는 방식이다. 
앞의 개그맨의  싱황을 놓고 생각해보자. 
왜 그 개그맨만 그런 질문에 답해야 하는가. 
그래서 그 개그맨도 상대 개그맨에게 비슷한 형태로 거꾸로 물어 볼 수도 있다. 

이는 쉽게 말하면 쌍동이 전략이다. 
현실에서 어떤 이가 세면을 하면서 뒤에 서 있는 자신에게 거칠게 물을 튀긴다고 하자. 
그 경우 그 상대에게 그 문제를 알려주려고 한다고 하자.
이 경우 자신도 그 상대에게 같은 형태로 거칠게 물을 튀겨준다고 하자.
이처럼 쌍동이 형태로 대응하면 그 상대가 처음에 자신이 취한 방식의 문제점을 알게도 된다. 
다만 이는 쌍동이가 서로 같은 방식으로 임하는 맞대응 보복 방식이라 약간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여하튼 여신 3 명이 모여 다음 질문을 처음 제출한다.
여기 있는 3 명 가운데 누가 가장 아름다운가. 
이런 질문이다. 

이것은 어떤 답을 하거나 하지 않거나 일반적으로 모든 경우 치명적인 결과를 맞이하는 형태의 질문이다. 
거기에 한 미남인 장군이 응한 것이다. 
아마 여신들이 그사람이 한 답이어야 권위가 있다고 여겨서 그에게 답을 요청한 듯 하다. 

그리고 이것이 나중에 알고보면 세인트 헬레나 섬에 담겨진 비밀과도 관련된다. 
알고보면 역사는 같은 형태로 반복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번에도 그런 미남 장군이자 왕이 다시 또 봇쌈을 통해 아름다운 여인을 납치해감을 예고한다. 그렇게 여인을 뺏긴 상대는 이후 비명을 지르고 정신을 잃고 울부짖는다. 

그런데 숙왕화님도 이런 사건에 간접적으로 연루되어 있는 듯 하다. 

한편, 노래상에서는 본인과 또 다른 연구원이 마치 어떤 한 여인을 두고 3 각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시된다. 
그 여인은 노래에 나올 때마다 여인 황제 또는 마님 이런 호칭과 함께 나타난다. 
그리고 장래 성불한다고도 한다. 
대강 노래를 듣다보면 연구원들 가운데 나오는 여인들은 남성 연구원보다 늘 좀 더 높은 수행단계인 것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현실에서는 연구원들이나 노래에 나오는 이들은 대부분 서로를 잘 모른다. 
서로 연구 분야가 다르고 활동분야가 다르기 때문이다. 

그런데 정작 그 연구원은 노래에 나오는 그 여인을 한번도 만나본 적도 없다. 
본인도 우연한 기회에 평생 2~3 번 정도만 대했을 뿐이다. 
그런데 매번 그렇게 반복해 노래가 나온다. 
이것이 어떻게 된 일인가. 
그런데 오늘 듣는 노래에서는 드디어 그 연구원이 그 여인을 곧 만나게 된다는 소식을 전한다. 

그리고 노래에서는 계속 시리즈로 연구원들이 서로 얽혀 등장해 이야기를 이어간다. 
그래서 노래를 듣다보면 헛웃음이 나오게 된다. 

그런데 의외로 생사현실에서는 이런 문제가 대단히 큰 이슈가 된다. 
일리아드 오디세이 이야기 중심에 바로 그런 문제가 들어 있다. 
처음 이는 국가간의 전쟁까지 촉발시킨다. 
그 후 오디세이는 20 년이 걸려 고향에 귀환한 후 남겨진 아내에게 구혼을 한 이들을 모두 살해한다. 
그것이 이 긴 이야기의 핵심이다. 

그리고 현실에서도 주로 이 테마로 막장 드라마가 끊임없이 방영된다. 
그래서 어차피 망상계 생사현실의 주된 테마는 이것이라고 보게 된다. 

본인이 처음 이 사태를 안정시키기 위해서 일단 앞으로 3 생 간은 숙왕화님을 
계속 보호관찰 상태로 두기로 했었다. 
그래서 사태가 약간 진정되는 추세에 있다. 
노래상에서 숙왕화님을 두고 촉발된 문제는 사실 
무량겁을 두고 그런 형태로 대할 필요가 전혀 없다는 생각 때문이다. 

물론 여기에도 쌍동이나 딜레마 방식도 적용가능하다. 
그런데 사실 수행자 입장에서 가장 좋은 방식은 어느 경우나 표준적인 수행방식을 취하는 것이다. 
경우수를 일일히 따지지 않고 어느 경우나 가장 좋은 결과를 얻어내는 방식은 수행방안이다. 
즉 어느 경우나 보시, 정계, 안인, 정진과 같은 계의 덕목을 충실히 행하는 방식이다. 
그것이 무량겁을 두고 가장 좋은 결과를 낳게 한다. 

선인낙과 악인고과의 관계를 잘 이해하고 
애별리고 원증회고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이 있다. 
알고보면 그것이 수행이다. 
이는 현실에서 벌려질 수 있는 어느 경우나 
모두 가장 좋은 상태로 귀결시키는 방식이다. 
즉 경우를 따지지 않고 언제나 좋은 상태가 나타나게 하는 형태로 임하는 것이다. 
그것이 알고 보면 수행이다. 

그러나 그 반대로 임하면 또 어느 경우나 그 반대의 결과가 나타나게 된다. 
그래서 주의해야 한다. 
노래는 현실이 아니다. 
드라마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그 방식이 망집에 바탕한 생사현실에서도 적용된다. 


그런데 노래를 듣다보니 연구원들이 모두 이런 방식을 취하는 것은 아닌 듯 하다. 
그리고 주로 약탈혼, 내지는 봇쌈. 이런 형태를 취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래서 또 문제가 발생함을 보게 된다. 
그래서 생사현실에서 문제가 많아짐을 보게 된다. 

그런데 노래 상에서는 본인도 역시 또 그런 유형으로 등장하는 듯하다. 
3 각관계로 나오는 상황에서 두 연구인은 과거에 부부관계였다고 나타난다. 
현실에서는 둘이 한번도 서로 대면한 적도 없다.
그런데 그렇다는 것이다. 
그런 상태에서 마치 본인이 마치 끼어든 것처럼 제시된다. 
그런데 본인도 3 번 밖에 공식석상에서 잠깐 대한 일 밖에 없다. 
그런데 이것이 다 그렇게 얽혀 있는 것으노 나온다. 

한편, 최근 본인까지 포함해서 여러 연구원들이 거의 동시에 질환을 겪고 수술대에 오르고 있다. 
그런데 알고보면 이런 원인을 제공한 측이 사실은 연구원들을 도와주기 위한 방편으로 그렇게 한 것으로 제시된다. 
그래서 노래를 듣다보면 조금 어처구니가 없게 된다. 
그리고 노래에서는 이에 대해 쌍동이 방법을 사용할 것을 권유하기도 한다. 
그러면 상대도 또 그것을 그렇게 도와주기 위한 취지로 행한다는 사정을 잘 이해한다는 것이1다. 
그것이 알고보면 쌍동이 방식의 원리이기도 하다. 
상대의 논리와 방식이 맞다면 그 경우는 그렇게 된다는 의미다. 

그런데 본인이 표준 원칙을 따르기로 했다. 
쌍동이 방식을 취하면 그 본 취지와 달리 외관자체만은 거의 다 함께 3 악도에 함께 갇히는 형태가 곧바로 된다. 
그리고 어느 경우나 가장 좋은 방식은 결국 수행 표준 방식이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노래만 듣다보면 엉뚱하게 매번 이야기가 진행되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그리고 이 원인제공자와 본인이 장래 형제로 지낸다고 한다. 
알고보면 한 Team 동료인 것이다. 

그런 가운데 노래에서도 생사현실의 이런 복잡한 사정을 다음처럼 제시하는 듯하다. 

본래 생사현실에 일체 생사나 생멸을 얻을 수 없다. 
그리고 그 사정을 잘 이해하고 생사현실을 대하면 생사현실 일체가 일종의 재미있는 드라마나 영화라고 이해할 수 있다. 
또는 꿈과 같다고 여기며 대할 수 있다. 
그것이 생사 즉 열반관이다. 
그래서 그런 상태에서는 생사현실 일체가 니르바나라고 여기며 여여하게 대할 수 있다. 

그런데 만일 그렇지 못하면 그 반대가 된다. 


숙왕화님이 생사기로에 서서 수술을 받는 이 상황도 알고보면 그 사정이 그와 마찬가지다. 
그러나 또 생사현실만 취하고 대하면 도저히 편한 상황이 아니다. 
그래서 또 시간을 내서 열심히 약사여래님 다라니 기도를 드려야 해야 한다. 


본인은 장래생에서는 외국에서 경전 연구를 할 계획이다. 
이번 생에서는 주로 행복, 이상적 사회, 현상의 진리 이런 것이 연구 주제였다. 
그런데 이 연구를 계속하는 데 어떤 직업을 가져야 좋은지를 처음에 알지 못했다. 
그런데 최근에 이것을 다 함께 연구할 수 있는 방안은 
결국 경전 연구를 하면 된다는 것을 이해하게 되었다. 

알고보면 불교를 전공해 연구하면 되는 것이다. 
그런데 노래에 이번 사태의 원인제공자가 이 분야의 교수가 되어서 나타난다고도 한다. 
그래서 지금부터 함께 연구를 할 계획을 미리 잘 세워야 한다. 


다라니기도를 마치고 
오늘 수술하는 숙왕화님과 고통을 함께 한다는 뜻에서 
매운 라면을 끓여 먹었다. 
그리고 국물에 캡사이신까지 추가해 넣어 
국물을 남김없이 먹었다. 

보통 캡사이신까지 넣으면 나중에 속이 조금 쓰리게 된다. 
상당히 심하다. 
그러나 숙왕화님과 고통을 함께 하기 위해 수행자가 이 정도 안인수행은 해야 한다.  

그런데 쉬는 동안 숙왕화님이 나오는 노래를 연이어 많이 듣게 된다. 
몸이 아플 때 약사여래님 다라니를 많이 외우고 념하게 된다. 
그런데 사실 수행자는 이 일체를 기본 표준 원칙에 의해 해결해야 한다. 

그것이 노래에서도 들린다. 
알고보면 그 원리가 반야심경 첫째 두째 줄안에 다 들어 있다. 
심지어 한 단어 한 단어 띄어서 보아도 그 단어들마다에 들어 있다. 

그것이 곧 생사현실 일류고 학생인 능제일체고학생들이 취할 표준방안이다. 
그러면 도일체고액을 하게 된다. 
일체 고액 가운데 어떤 것은 해결이 되고 어떤 것은 해결이 잘 안 되는 것이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가까이 지내던 도반이자 연구원들이 질병에 시달릴 때
또 약사여래님 기도를 하지 않을 도리도 없다. 

매운 라면만 끓여 먹고 무언가 도움이 되었다고 하기는 곤란하기 때문이다. 






○ 음악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us0fl--Christophe Maé - Dingue, Dingue, Dingue.lrc
Christophe Maé - Dingue, Dingue, Dingue  

SNS 문병을 다녀왔다. 

수술을 마쳤다. 
이렇게만 답을 받았다. 
무소식이 희소식이라고 여기게 된다. 

그런데 여전히 또 수술이 하나 더 남아 있다. 
어느 경우나 예방이 최고다. 

참회 서원 실천, 참음 미움 원망의 제거 용서 사랑. 
이런 것을 꾸준히 실천하면 생사고통이 예방될 수 있다. 

망집을 제거하면, 생사를 벗어날 수 있다. 
죽음을 벗어난다. 
죽지 않고 여여하게 니르바나 상태로 무량하게 
무량한 복덕과 지혜를 구족한 가운데 
살아가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 경전이다. 

알고보면 모든 생명이 이처럼 쉽게 될 수 있다. 
그런데 그러면 너무 싱겁다고 여길 수도 있다.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6/2565-06-24-k0896-013.html#1186
sfed--사분율_K0896_T1428.txt ☞제13권
sfd8--불교단상_2565_06.txt ☞◆vmfz1186
불기2565-06-24
θθ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10상(想)의 하나. 모든 법이 공적(空寂)한 줄을 알고 아상(我想)을 없애는 것.


답 후보

● 무아상(無我想)

무이상(無異想)

무작(無作)

무주처열반(無住處涅槃)


무학(無學)

문신(文身)

미사혹(迷事惑)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CELINE DION - Pour Que Tu M'aimes Encore
Philippe Russo - Magie Noire
Nicoletta - Ou Es-Tu Passe Mon St. Germain
Pierre Bachelet - Les Ports Du Monde Entier
Jean-Louis Murat - Le Matelot
Mylène Farmer - Pourvu Qu'elles Soient Douce
Christophe Maé - Charly
Christophe Maé - Dingue, Dingue, Dingue
Christophe Maé - Belle Demoiselle
Christophe Maé - On S'attache
Nicole !roisille - Parlez Moi De Lui
Frank Michael (Collector Edition) - Les Gens D'ici
LIANE FOLY - Ca Va, Ca Vient
Michel Sardou - Cote Soleil
Serge Gainsbourg - Sea Sex And Sun
Pierre Perret - Bercy Madeleine
LAURENT VOULZY - Bubble Star
Serge Reggiani - La Premiere Peine
Mireille Mathieu - Une Rose Au Coeur De L'hiver
Mireille Mathieu - Vivre Pour Toi
Thomas Dutronc - Turlututu
Arletty - A La Villette
Julien Clerc - Quand Je Joue
Salvatore Adamo - Il Y A Juste Un An
Francois Feldman - Corsica
Indochine - Tes yeux noirs (Live Putain de Stade)
Patrick Bruel - Peur De Moi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Dharma character school
[san-chn] vedanā-skandha 受蘊, 受陰
[san-eng] svabhāva $ 범어 nature, personal mental attributes
[pali-chn] mano-kamma 意業
[pal-eng] rangakaara $ 팔리어 m.a dyer; an actor.
[Eng-Ch-Eng] 卜 (1) To perform divination by heating tortoise shells and interpreting the cracks that appear. (2) Divination in general, foretell (佔). (3) To select, choose. (4) Assign, match to.
[Muller-jpn-Eng] 慧數 エシュ (xref) mental function of wisdom, or knowing, which, functioning in the 7th consciousness, discriminates an ego 我
[Glossary_of_Buddhism-Eng] PURE LAND MANDALAS☞
See also: Chiko Mandala; Raigo; Taima Mandala.

[fra-eng] insultent $ 불어 insult


■ 암산퀴즈


770* 75
104218 / 214


■ 다라니퀴즈

자비주 19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67 번째는?




19
대비신주를 외우고 지니는 자가
무량한 삼매(三昧)와 변재(辯才)를 얻지 못한다면
나는 맹세코 정각을 이루지 않겠습니다.
이 대비신주를 외우고 지니는 자가
현재 살아가는 데 모든 구하는 바가 만약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나는 곧 이 대비신주가 허망하다고 말할 것이며
대비심다라니(大悲心陀羅尼)라고 이름하지 않겠습니다.
오직 착하지 않은 이와
지성스럽지 않은 이는
제외하나이다.
● 아바로혜 阿婆盧醯<十九> a va lo ka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67
가마라하사다
迦摩羅賀娑哆<六十七>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75일째]
일모단처대소찰 $ 046▲一動一動為 一 ● 訶理蒲, ○□□□□,雜,如,一,以

□□□□□□□, 雜染清淨麁細剎,
如是一切不可說, 一一明了可分別。
□□□□□□□, 잡염청정추세찰,
여시일체불가설, 일일명료가분별。

한 터럭 끝에 있는 작고 큰 세계
물들고 깨끗하고 굵고 잔 세계
말로 할 수 없는 여러 세계를
낱낱이 분명하게 분별하리라.



[176째]
이일국토쇄위진 $ 047▲訶理蒲訶理蒲為 一 ● 訶理三, ○□□□□,其,如,俱,此

□□□□□□□, 其塵無量不可說,
如是塵數無邊剎, 俱來共集一毛端。
□□□□□□□, 기진무량불가설,
여시진수무변찰, 구래공집일모단。

한 세계를 부수어 만든 티끌들
그 티끌 한량없어 말할 수 없고
이러한 티끌 수의 끝없는 세계
모두 와서 한 털 끝에 모이었으니





●K0904_T1430.txt★ ∴≪A사분승계본≫_≪K0904≫_≪T1430≫
●K0896_T1428.txt★ ∴≪A사분율≫_≪K0896≫_≪T1428≫
●K0909_T1429.txt★ ∴≪A사분율비구계본≫_≪K0909≫_≪T1429≫

법수_암기방안


46 발 곡면 [신조어] 곡면( Arch)
47 발 돌출부 [신조어] 엄지발가락 위 돌출부분 ( Ball )
19 자뼈 (알너 - ULNA)
67 주관절(肘關節) 팔꿈치

57750
487

○ 2019_1004_152328_can_ab18


○ 2019_1004_141323_nik_ar38


○ 2019_1004_171912_can_ct18


○ 2019_1004_163438_nik_ct9


○ 2019_1004_143721_can_ar47


○ 2019_1004_171349_can_bw20


○ 2019_1004_170546_nik_AB7


○ 2019_1004_165317_nik_bw22


○ 2019_1004_151651_can_AB7


○ 2019_1004_142640_nik_exc


○ 2019_1004_175126_can_ar45


○ 2019_1004_164515_can_ab41


○ 2019_1004_152304_nik_Ar28


○ 2019_1004_143357_can_Ar28


○ 2019_1004_142109_can_Ar28


○ 2019_1004_170250_can_Ar26


○ 2019_1004_141509_nik_ar26_1


○ 2019_0405_150918_nik_Ab7 


○ 2019_1004_141339_nik_CT33 

● [pt op tr] fr
_M#]




○ 2019_1004_172149_nik_CT27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사분율_K0896_T1428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사분율』 ♣0896-013♧
[관련키워드]
제13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5-06-24_사분율-K0896-013
https://blog.daum.net/thebest007/718
sfed--사분율_K0896_T1428.txt ☞제13권
sfd8--불교단상_2565_06.txt ☞◆vmfz1186
불기2565-06-24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2408205174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6/2565-06-24-k0896-013.html
htmback--불기2565-06-24_사분율_K0896_T1428-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