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0년 6월 5일 금요일

아비발치_불퇴_avinivartaniya


아비발치
[한문]阿鞞跋致
[범어]avinivartanīya ; avaivartika
[한문]不退
[티벳]phir mi ldog pa
[영어]non-backsliding


아비니바르타니야,
아바이바르티카의 음역.
阿毘跋致라고도 함.

[원][k]불퇴[c]不退
아비발치
[한문]阿鞞跋致
[Kor]불퇴전[Chn]不退轉
[mean]보살의 계위(階位) 중 하나.
[ref][k]불퇴[c]不退


보살의 계위(階位) 중 하나.
불도 수행의 과정에서 이미 얻은 공덕을 잃지 않고
더 이상 퇴보하거나 악취(惡趣)에 떨어지지 않는 경지를 말함.
[동]아비발치(阿鞞跋致) , 아유월치(阿惟越致) , 아유안(阿惟顔) , 불퇴전(不退轉) , 무퇴(無退) , 필정(必定).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아비발치
[한문]阿鞞跋致
【범】avinivartanīya
아유월치(阿惟越致)ㆍ아비발치(阿鞞跋致)라 쓰며,
불퇴(不退)ㆍ무퇴(無退)ㆍ불퇴전(不退轉)ㆍ불퇴위(不退位)라 번역.
반드시 성불이 결정되었다는 동시에
보살위에서 타락하지 않을 위치.
소승 유부종에서는 예류과(豫流果)를,
대승에서는 초주(初住)ㆍ초지(初地)ㆍ8지(地)를 불퇴라 함.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불퇴
[한문]佛退
【범】avinivartanīya 아비발치(阿鞞跋致)ㆍ아유월치(阿惟越致)라 음역.
불퇴전(不退轉)이라고도 함.
퇴는 퇴보ㆍ퇴폐의 뜻.
한번 도달한 수양의 계단으로부터 뒤로 물러나거나,
수행을 퇴폐 하는 일이 없는 것.
그 지위를 불퇴위(不退位)라 함.


여기에 
지위상의 불퇴,
수행상의 불퇴,
향상심의 불퇴,
주처상(住處上)의 불퇴 등이 있음.
⇒위불퇴(位不退)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 추가적 불교사전 상세 참조사항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7_0828_2258 ~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79400

불퇴전 不退轉
불퇴(不退), 무퇴(無退), 필정(必定), 아유월치(阿惟越致), 아비발치(阿毘跋致)

수행할 때 뒤로 물러서거나 깨달음을 잃어버리지 않는 상태를 불퇴전이라고 한다.
불퇴(不退)·무퇴(無退)·필정(必定)이라고도 하고, 아유월치(阿惟越致)·아비발치(阿毘跋致)등으로 음사한다.
산스크리트어로 avaivartika, avinivartanīya, 팔리어로 asalīnatta, appaṭivāni라고 한다.


[내용]

보살이 수행의 과정에서 물러난다는 것은
자신이 도달한 보살지의 경지를 잃고
삼악도나 이승의 경지(二乘地)인 성문지와 연각지로 떨어진다는 것이다.

어떤 경우에도 보살이 수행의 과정에서 물러나지 않게 되는 경지를
불퇴전지(不退轉地)라고 한다.

아비달마불교의 유부(有部)에서는 불퇴의 경지에 이른 단계를
사선근위(四善根位) 중에서 인위(忍位)라고 보았고,
대승불교에서는
십주(十住)의 제7주를 불퇴전주(不退轉住)라고 하였다.


불퇴전과 관련하여 길장(吉藏)은 『법화의소』에서
최상의 지혜에서 물러나지 않는 3가지의 불퇴로서,
위불퇴(位不退)·행불퇴(行不退)·염불퇴(念不退)를 제시했다.



위불퇴는 보살10주에서 제7주 밑으로 떨어지지 않고,
행불퇴는 보살이 수행할 때 어떤 경우에도 퇴굴하지 않으며,
염불퇴는 제8지인 부동지 이상의 보살이 정진하려는 의도를 내지 않아도 저절로 정진이 이뤄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삼불퇴에 처불퇴(處不退)를 더하여 사불퇴(四不退)라고 하는데,
처불퇴는 아미타불의 극락정토에 왕생하여
더 이상 다른 곳으로 윤회하지 않는 것을 가리킨다.


또한 규기(窺基)가 설한 다른 종류의 사불퇴도 있다.
위불퇴·행불퇴에 증불퇴(証不退)와 신불퇴(信不退)를 더한 것이다.

신불퇴는 10신위중 제6심(心) 이상의 보살이 삿된 견해를 일으키지 않는 것,
증불퇴는 초지 이상의 보살이 증득한 법에서 물러서지 않는 것을 가리킨다.

여기에 더하여 규기는 사불퇴에 번뇌불퇴를 더하여 오불퇴를 설하기도 했다.
번뇌불퇴란 등각위(等覺位)보살의 경지에서는 번뇌를 일으켜 물러나는 것이 없음을 말한다.



참고문헌
『대반야경(大般若經)』
『법화의소(法華義疏)』
『정토론(淨土論)』
『법화현찬(法華玄贊)』
『아미타경통찬소(阿彌陀經通贊疏)』

[Daum백과] 불퇴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From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아비발치 
[불기2564-06-05 한국위키 스크랩]


아유월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아비발치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아유월치(阿惟越致, 산스크리트어 avivartika)는 대승불교 보살의 한 경지이다.
목차

1설명
2깨달음
3관세음보살
4정토사상
5더 보기
6각주

설명[■편집]
대승불교에서, 
보살은 유월치 보살과 
아유월치 보살의 둘로 나뉜다.



아유월치는 
불퇴(不退), 무퇴(無退), 불퇴전(不退轉), 불퇴위(不退位), 
아비발치(阿鞞跋致)라고도 번역한다. 


반드시 부처가 되는 지위이며, 
보살위에서 타락하여 범부가 되지 않는다.




아미타불극락세계의 중생으로 태어나는 사람들은 
모두 불퇴전의 경지에 있는 아비발치(阿鞞跋致)이며, 
그 중 대부분이 일생보처(一生補處)이다. 
(불설아미타경)




보살도를 실천하여 아미타부처님 국토에 태어나고자 하는 자는 
그 사람이 그렇게 한 이후에 
모두 마땅히 아유월치 보살의 지위를 얻는다. 

그리고 아유월치 보살인 자는 
모두 마땅히 32상(相)과 자마금빛의 몸의 색깔과 80종호(種號)를 갖추게 되고, 
또한 모두 마땅히 부처를 이루게 된다. 
(아미타삼야삼불살루불단과도인도경)


아비달마불교의 유부(有部)에서는 
불퇴의 경지에 이른 단계를 
사선근위(四善根位) 중에서 인위(忍位)라고 보았고, 

대승불교에서는 십주(十住)의 제7주를 
불퇴전주(不退轉住)라고 하였다.



금강정유가경의 대본 18회 중에서 제15회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금강장장엄반야바라밀다교중일분(金剛場莊嚴般若波羅蜜多敎中一分)에서는 
불퇴전을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보살의 열 가지 분위[十分位]가 있으니, 
말하자면 
발심(發心)분위ㆍ
동진(童眞)분위ㆍ
초습업(初習業)분위ㆍ
수행(修行)분위ㆍ
생귀(生貴)분위ㆍ
상응구족(相應具足)분위ㆍ
정심(正心)분위ㆍ
불퇴전(不退轉)분위ㆍ
득관정(得灌頂)분위ㆍ
일생보처(一生補處)분위다.



불퇴전 보살마하살은 
온갖 성문·독각·외도·악마 등이 파괴하거나 그 마음을 항복시켜 깨달음에서 물러나게 하지 못한다.
(대반야바라밀다경)




보살에 네 가지가 있으니, 
첫째는 처음 보리심을 낸 자요, 
둘째는 보리도를 닦아 행하는 데 있는 자요, 
셋째는 보리에서 견고하게 물러나지 않는 자요, 
넷째는 한 생이면 부처의 지위에 있게 되는 자이다. 


신발의(新發意) 보살, 
구발의(久發意) 보살, 
불퇴전(不退轉) 보살, 
일생보처(一生補處) 보살이다. 


처음 발심한 보살은 부처님의 상호를 보고는 곧 보리심을 내며, 
수행하는 보살은 부처님이 원만히 갖춘 온갖 착한 법을 보고는 곧 보리심을 내며, 
물러나지 않는 보살은 여래의 몸과 모든 법이 다 평등함을 보며, 
한 생이면 부처의 지위에 있게 되는 보살은 여래가 지닌 온갖 공덕과 법까지도 보지 않는데, 

혜안(慧眼)이 분명하고 청정함을 얻었기 때문이며, 
두 가지 소견을 끊었기 때문이며, 
지혜가 청정하여졌기 때문이니, 
만약에 청정함과 청정하지 아니함도 보지 않으며,
청정하지 않음과 청정하지 않지도 않음을 보지 않는다면 곧 깨닫게 된다.


신발의 보살이란 초발심(初發心)을 일으킨 보살로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고자 마음을 일으킨 것이다.


구발의 보살이란 이러한 마음을 일으킨 지 오래된 보살이란 의미로,
육바라밀의 실천을 통해 이러한 마음을 꾸준히 지켜나가는 보살이다.

불퇴전 보살이란 지혜를 얻고자 일으킨 마음이 더 이상 줄어듦이 없이 견고하며
확고한 보살이란 의미이다. 



이 보살은 반야나 공의 가르침을 들어도 놀라거나 물러서는 일이 없는
지혜와 선정의 힘을 갖춘 보살이다.


일생보처의 보살이란
마지막 한 생을 보살로서 실천 정진하면
다음 생에 부처가 될 것이 예정된 보살이다.
(대방등대집경 해혜보살품)

불퇴전 보살을
7지보살이라고도 하고 8지보살이라고도 한다.

영락본업경에서는
 "11지의 등각위(等覺位)가
일생보처 보살의 지위가 된다"고 했으니,
이 지(地)에서 보현행이 원만해져
12지에서 묘각여래(妙覺如來)가 되기 때문에
이를 일생(一生)의 주(主)로 삼는 것이다.
(신화엄경론)





깨달음[■편집]

  중국, 한국의 대승불교에서는 많은 고승들이 깨달음을 얻었다고 하지만,
석가모니불 다음의 부처님은 미륵불이라고 예정되어 있어서,
많은 스님들이 말하는 깨달음이 12지 묘각여래의 경지를 말하는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도솔천에 살고 있는 미륵보살이 11지 등각위의 일생보처 보살이라는 것이
각종 불경에 쓰여있는 바라서,
일생보처 보살 조차도 여러명이 있을 수 없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따라서, 대승불교에서는 참선을 하여
이번 생에 불퇴전 보살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흐름이 있으며,
불퇴전 보살이 되는 것을 크게 깨달았다고
표현하는 일련의 흐름이 존재한다.


관세음보살[■편집]
관세음보살은 먼 옛날 천광왕정주여래(天光王靜住如來) 앞에서,
"어떤 중생이 대비신주(大悲神呪, 신묘장구대다라니)를 외우고도 극락세계에 왕생하지 못하는 이가 있다면
나는 맹세코 성불하지 않으리라."고 서원했다.
초지보살이던 관세음보살은 천광왕정주여래가 준 신묘장구대다라니를 외우고,
즉시 8지보살이 되었다.
이후에 깨달아 관음여래가 되었다.
즉, 초지보살이 신묘장구대다라니를 암송하면,
즉시 8지보살인 아비발치 보살이 되어,
아비발치 보살만이 태어날 수 있다는
극락세계에 태어나게 된다.



정토사상[■편집]
<nowiki />이 부분의 본문은 정토사상입니다.


불교 수행자들이 수행을 하여, 
이번생에 깨달아 부처가 되는 것 말고,
사바세계의 주인은 석가모니이고,
다음 용화세계의 주인은 미륵불이어서,
현재 11지 등각위 보살, 일생보처 보살인 미륵보살이 
도솔정토를 주관하고 있어서,
도솔천에 왕생하고자 하는 것을 정토사상이라고 한다.
즉, 불교 수행을 하다가 죽어서 천국에 가겠다는 사상이다.
이 곳은 예토이며, 천국을 정토라고 한다.
정토는, 최초로 등장한 도솔정토 보다는
그 다음에 유행하게 된 아미타불의 극락정토가 매우 유명하다.

불교도가 극락세계에서 태어나려면, 
부지런히 명상 수행을 하여 아유월치 보살이 되어야만,
극락세계에 태어날 1차적인 자격이 된다.
따라서, 불교도의 목적은, 
현생에 석가모니불 처럼 부처님이 되는 것은, 너무 힘들기 때문에,
아유월치 보살까지만 되어서,
다음생에 극락세계에 태어나고자 기도한다.

신라시대에, 문맹이 가득하던 시절,
일반 서민들에게 나무아미타불만 계속 암송하면,
죽어서 극락세계에 태어난다고 가르친 유명한 고승이 원효이다.


정토사상을 설하고 있는 불경은 
약 650여 부의 대승경전 중 200여 부나 되는 것으로 보아, 
정토사상이 대승불교에서 얼마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인도에서도 청정한 국토에 대한 설법이 유마경 등에서도 보이고, 
용수대지도론(大智度論), 십주비바사론(十住毘婆沙論), 
무착(無着)의 섭대승론(攝大乘論), 
세친(世親)의 무량수경우바제사원생게(無量壽經優婆提舍願生偈) 등에서 언급되고 있다. 

이러한 인도의 정토사상은 
중국의 담란(曇鸞)·혜원(慧遠)·도작(道綽)·선도(善導) 등에 의하여 더욱 발전되어 
정토종(淨土宗)으로까지 성립되었다. 

즉, 시작은 당연히 인도불교이지만, 
인도는 정토사상이 크게 발전하지는 않았으며, 
중국 불교에서 정토사상이 처음으로 크게 발달했다고 알려져 있다.

더 보기[■편집]

십지
각주[■편집]



분류: 불교


 


● From 陳義孝佛學常見辭彙
아비발치
【阿鞞跋致】華譯爲不退轉,
是菩薩的階位名,
要經過一大阿僧祇劫的修行,
才能到達此位.
→3080





● From 대만불광사전
불퇴
【不退】 p984-下≫
梵語 avinivartanīa.
音譯爲阿惟越致․
阿鞞跋致․
阿毘跋致.
又作
不退轉․
無退․
必定.
退,
乃謂退步․
退墮之意,
指退墮惡趣及二乘地(聲聞․
緣覺之位),
卽由所證得之菩薩地及所悟之法退失.
反之,
不再退轉,
至必能成佛之位,
則爲不退.
不退位又作
不退轉地.
在有部四善根位中,
至忍位則不再墮退惡趣,
故稱不退.
大般若經卷四四九載,
入見道而得無生法忍,
則不再墮退二乘地而得不退.
復次,
菩薩階位中,
十住中之第七住,
稱爲不退轉住,
由此産生諸種不退之說.
 (一)三不退,
乃吉藏法華義疏卷一之說.
對此解釋有四說,
現採第一說,
三不退指:
(1)位不退,
十住位中第七住以上之菩薩不再退轉二乘地.
(2)行不退,
十地之中,
第七地菩薩所作之修行,
不再退轉.
(3)念不退,
第八地以上之菩薩無須刻意精進,
自然可進道而不動念.
 (二)四不退,
三不退加處不退(往生彌陀淨土,
不再退轉),
則爲四不退,
係迦才淨土論卷上之說.
此外,
窺基於法華玄贊卷二,
亦立四不退:
(1)信不退,
在十信位中,
第六心以上之菩薩,
不再起邪見.
(2)位不退,
十住位之中,
第七住以上之菩薩,
不再退轉二乘地.
(3)證不退,
初地以上之菩薩之法,
不再退失.
(4)行不退,
八地以上之菩薩,
能修有爲與無爲行,
而不再退轉.
懷感之釋淨土群疑論卷四亦有此四不退之說.
智旭之阿彌陀經要解擧出念․
行․
位․
畢竟等四不退說;慈恩之四土圖說則有願․
行․
智․
位等四不退說.
(參閱「四不退」1662)
 (三)五不退,
信․
位․
證․
行等四不退,
若加煩惱不退(等覺位之菩薩,
不再爲煩惱而退轉),
則爲五不退.
[大寶積經卷二十七․
卷七十七․
卷一一一․
北本大般涅槃經卷二十八․
彌勒菩薩所問經論卷一․
攝大乘論釋卷八․
大毘婆沙論卷六․
俱舍論卷二十三․
十住毘婆沙論卷五易行品]



● From 丁福保 - 佛學大辭典 : Ding Fubao's Dictionary of Buddhist Studies
不退

【術語】 梵語曰阿毘跋致Avinivartaniya,
又Avaivartika,
譯曰不退。
功德善根,
愈增進而無退失退轉也。
如不退之土,
不退之位等,
又不退轉,
言勤行修習也。
如不退之念佛,
不退之勤行等。
● From 丁福保 - 佛學大辭典 : Ding Fubao's Dictionary of Buddhist Studies
不退轉
【術語】 所修之功德善根愈增愈進,
不更退失轉變也。
略云不退,
即梵語之阿毘跋致也。
無量壽經上曰:
「聞我名字不即得至不退轉者,
不取正覺。
」十住毘婆娑論曰:
「若人疾欲至不退轉地者,
應以恭敬心執持稱名號。
」法華經序品曰:
「此於阿耨多羅三藐三菩提不退轉。



● From Soothill-Hodous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DDBC version)
不退
(不退轉) avaivartika,
or avinivartanīya.
Never receding,
always progressing,
not backsliding,
or losing ground; never retreating but going straight to nirvana; an epithet of every Buddha.



● From Mahāvyutpatti (bye brag rtog byed)

[Mvyt: 740]
梵文 (轉寫) / Sanskrit (IAST):
avinivartanīyaḥ
梵文 (天成體) / Sanskrit (Devanāgarī):
अविनिवर्तनीयः
中文 / Chinese:
不退
藏文 (Wylie) / Tibetan (Wylie):
phyir mi ldog pa
藏文 / Tibetan:
ཕྱིར་མི་ལྡོག་པ་
cittaṃ nāvalīyate na saṃlīyate








apratinirvartī (apratirvāti)
[Mvyt: 5110]
梵文 (轉寫) / Sanskrit (IAST):
apratinirvartī (apratirvāti)
梵文 (天成體) / Sanskrit (Devanāgarī):
अप्रतिनिर्वर्ती (अप्रतिर्वाति)
中文 / Chinese:
不還退
中文 / Chinese:
不退
藏文 (Wylie) / Tibetan (Wylie):
mi ldog pa
藏文 / Tibetan:
མི་ལྡོག་པ་
avinivartanīyaḥ


[Mvyt: 7273]
梵文 (轉寫) / Sanskrit (IAST):
cittaṃ nāvalīyate na saṃlīyate
梵文 (天成體) / Sanskrit (Devanāgarī):
चित्तं नावलीयते न संलीयते
中文 / Chinese:
心不退縮
中文 / Chinese:
不退
藏文 (Wylie) / Tibetan (Wylie):
sems mi zhum kun tu mi shum
藏文 / Tibetan:
སེམས་མི་ཞུམ་ཀུན་ཏུ་མི་ཤུམ་
na līyate
[Mvyt: 1827]
梵文 (轉寫) / Sanskrit (IAST):
na līyate
梵文 (天成體) / Sanskrit (Devanāgarī):
न लीयते
中文 / Chinese:
不退
中文 / Chinese:
不狷
藏文 (Wylie) / Tibetan (Wylie):
mi zhum
藏文 / Tibetan:
མི་ཞུམ་
nārtīyate
[Mvyt: 1830]
梵文 (轉寫) / Sanskrit (IAST):
nārtīyate
梵文 (天成體) / Sanskrit (Devanāgarī):
नार्तीयते
中文 / Chinese:
不還
中文 / Chinese:
不退
藏文 (Wylie) / Tibetan (Wylie):
mi ldog
藏文 / Tibetan:
མི་ལྡོག་



● From Hanja(Korean Hanzi) Dic
불퇴
不退






● From BUDDHDIC
不退
フタイ
(term) non-backsliding ,
non-retrogression



● From Eng-Ch-Eng dic of Buddhist terms
不退
'non-backsliding,' 'non-retrogression.' Not to grow weary with,
or give up on (akila^sitva,
akhinna,
akheda).
Not retreating,
especially in terms of the Buddhist path of practice,
which is based on the accumulation of prior merit,
or on enlightenment.
According to various scriptures,
there are various levels of practice which are designated as the 'level (stage) of non-backsliding.' For example,
in many Maha^ya^na texts,
the level designated as 'non-backsliding' is the seventh of the 'ten abodes.
But the Yoga^ca^rabhu^mi-/sa^stra (Yuqie shidi lun 瑜伽師地論) says that the stage of non-backsliding is the first of the ten bhu^mis (the stage of joy),
and again,
the Buddha-nature Treatise (Foxing lun 佛性論) says it is the first of the 'ten dedications of merit.'



● From Korean Dic
불퇴
불퇴(不退)[―퇴/―퉤][명사]
1.[하다형 자동사]물러나지 아니함.
2.[하다형 타동사]물리지 아니함.
【예】일수(一手)불퇴.
3.☞불퇴전.

● From Naverjpdic
不退
불퇴[不退]
<1>[명사하다형 자동사]退しりぞかないこと;立たち退のかないこと。

<2>[명사하다형 자동사]戻もどさないこと;譲ゆずらないこと。

일수 불퇴待まった無なし。

<3>[명사하다형 자동사]『불교』不退ふたい。

〔동의어〕불퇴전
不退
ふたい[不退]
[명사]『불교』 불퇴.
1.[명사]⇒ 不退転ふたいてん1..
2.[명사]근행(勤行)을 게을리 하지 않음.



①-984■불광사전
hbfl--06_Ba_0611.TIF
■ '불퇴' 관련 기타 참고 사전 통합 검색
다음백과 https://100.daum.net/search/entry?q=불퇴 
네이버백과 https://terms.naver.com/search.nhn?query=불퇴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불퇴 
네이버한자 https://hanja.naver.com/search?query=불퇴 
네이버지식 https://kin.naver.com/search/list.nhn?query=불퇴 
네이버사전 https://endic.naver.com/search.nhn?sLn=kr&isOnlyViewEE=N&query=불퇴 
위키영문 https://en.wikipedia.org/wiki/avinivartanīya_;_avaivartika
구글 https://www.google.co.kr/?gws_rd=ssl#newwindow=1&q=불퇴 
네이버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불퇴 
다음 https://search.daum.net/search?w=tot&q=불퇴 


--- 이하 단어 직접 입력 검색 ---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https://abc.dongguk.edu/ebti/c3/sub1.jsp
불광대사전(佛光大辭典) https://www.fgs.org.tw/fgs_book/fgs_drser.aspx
산스크리트어사전 https://www.sanskrit-lexicon.uni-koeln.de/monier/
 티벳어사전 https://nitartha.pythonanywhere.com/index


■ '아비발치' 관련 기타 참고 사전 통합 검색
다음백과 https://100.daum.net/search/entry?q=아비발치
네이버백과 https://terms.naver.com/search.nhn?query=아비발치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아비발치
네이버한자 https://hanja.naver.com/search?query=아비발치
네이버지식 https://kin.naver.com/search/list.nhn?query=아비발치
네이버사전 https://endic.naver.com/search.nhn?sLn=kr&isOnlyViewEE=N&query=아비발치

위키영문 https://en.wikipedia.org/wiki/avinivartanīyavaivartika
구글 https://www.google.co.kr/?gws_rd=ssl#newwindow=1&q=아비발치
네이버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아비발치
다음 https://search.daum.net/search?w=tot&q=아비발치


--- 이하 단어 직접 입력 검색 ---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https://abc.dongguk.edu/ebti/c3/sub1.jsp
불광대사전(佛光大辭典) https://www.fgs.org.tw/fgs_book/fgs_drser.aspx
산스크리트어사전 https://www.sanskrit-lexicon.uni-koeln.de/monier/
티벳어사전 https://nitartha.pythonanywhere.com/index


● [pt op tr] fr
_M#]

■ 불교사전 링크 및 불교 사전 출처 종합 안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4/blog-post_21.html


●● 관련정보 사용페이지


----[‡사용한 다른 페이지]---
불기2561-08-28_마하반야바라밀경-K0003-016
sfed--마하반야바라밀경_K0003_T0223.txt ☞제16권
sfd8--불교단상_2561_08.txt ☞◆vopa1298
불기2561-08-28
htmback--불기2561-08-28_마하반야바라밀경_K0003_T0223-tis.htm









◆vfkd3150
◈Lab value 불기2564/06/05/금/20:42


Volo - L'interpretation


○ 2019_1105_145901_nikon_ar32_s12.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pablo-picasso-man-and-woman-in-café-1903
[#M_▶더보기|◀접기|
Artist: pablo-picasso
https://en.wikipedia.org/wiki/Pablo_Picasso
Title : man-and-woman-in-café-1903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20_0525_174416_cano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Palau_Capitol_Complex,_Exective_Building
[#M_▶더보기|◀접기|
English: Palau Capitol Complex, Exective Building
Author  Abasaa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Puértolas ,Spain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잡담♥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avinivartaniya.html#3150
sfx--dict/아비발치.txt
sfd8--불교용어dic_2564_06.txt ☞◆vfkd3150
불기2564-06-05
θθ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Les Belles Musettes - Madame-Le Tango De Francois
French Anthology Salvatore Adamo - Tender Love Gardener - Le Taureau Et L'enfant
Team BS - Mes Couleurs
Arthur H - Basquiat (Feat. Saul Williams)
Gold - Capitaine Abandonné
Camille - Tout Dit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Buddhism and evolution
[san-chn] anunnamana 不生憍慢
[san-eng] cuṃbana $ 범어 kiss
[pali-chn] gaha-pati 居士
[pal-eng] ga.n.thi $ 팔리어 f.a knot; a tie; a wooden block.
[Eng-Ch-Eng] 前 (1) Front, fore part, head, ahead, the facing. (2) Before, prior; previously, ago, up till now. (pu^rva) (3) A while ago, a long time ago. Originally, former, previous.
[Muller-jpn-Eng] 五果 ゴカ fivefold aspects of cause and effect
[Glossary_of_Buddhism-Eng] LION☞
See: Discourse on the Golden Lion.

[fra-eng] remirent $ 불어 remitted


■ 다라니퀴즈

자비주 1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49 번째는?




1
"세존이시여,
저에게 대비심 다라니주가 있어
지금 설(說)하고자 합니다.
모든 중생들을 안락케 하고자 하는 연고며,
● 나모갈라다나다라야야 南無曷囉怛那哆囉夜耶<一> na mo ra t na t ra yā ya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49
나가차 나 만리다 나 비
諾訖剎<二合>拏<引>挽哩哆<二合>曩<引>鼻<四十九>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57일째]
중찰위진진유상 $ 028▲毘盛伽毘盛伽為 一 ● 毘素陀, ○□□□□,不,如,皆,光

□□□□□□□, 不可言說不可說,
如是種種諸塵相, 皆出光明不可說。
□□□□□□□,  불가언설불가설,
여시종종제진상, 개출광명불가설。

여러 세계 부순 티끌 그 많은 모양
말할 수 없이 말할 수 없고
이러한 가지가지 모든 티끌이
제각기 내는 광명 말할 수 없어



[158째]
광중현불불가설 $ 029▲毘素陀毘素陀為 一 ● 毘婆訶, ○□□□□,佛,法,聞,不

□□□□□□□, 佛所說法不可說,
法中妙偈不可說, 聞偈得解不可說。
□□□□□□□, 불소설법불가설,
법중묘게불가설, 문게득해불가설。

광명 속에 있는 부처 말할 수 없고
부처님이 설한 법문 말할 수 없고
법문 속에 묘한 게송 말할 수 없고
게송 듣고 생긴 지혜 말할 수 없어




●K1109_T1402.txt★ ∴≪A소제일체섬전장난수구여의다라니경≫_≪K1109≫_≪T1402≫
●K0007_T0227.txt★ ∴≪A소품반야바라밀경≫_≪K0007≫_≪T0227≫
●K1060_T2152.txt★ ∴≪A속고금역경도기≫_≪K1060≫_≪T2152≫

법수_암기방안


28 새끼 ( LITTELE finger)
29 약지 (RING finger )
1 빗장뼈[=쇄골]
49 두째발가락 second toe
■ 용어퀴즈 다음 설명에 맞는 답을 찾으시오.

■ 용어 퀴즈

법문상(法門上)의 요의(要義)를 평이(平易)하게 서술한 것.

답 후보
● 법어(法語)
법지(法智)
법화칠유(法華七喩)
변계소기색(遍計所起色)

변역생사(變易生死)
변조여래*(遍照如來)
변화신(變化身)

● [pt op tr] fr
_M#]

○ [pt op tr]
● 아비발치 [문서정보]- 불교용어풀이 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아비발치,阿鞞跋致,avinivartanīya,avaivartika,不退,phirmildogpa,non-backsliding,아비니바르타니야,아바이바르티카,불퇴,아유월치阿惟越致,아유안阿惟顔,불퇴전不退轉,무퇴無退,필정必定,불퇴위不退位,위불퇴位不退,행불퇴行不退,념불퇴念不退,신불퇴信不退,증불퇴證不退,not-backsliding,अविनिवर्तनीयः,


[링크용타이틀]
아비발치,아비니바르타니야,아바이바르티카,불퇴,아유월치,아유안,불퇴전,무퇴,필정,불퇴위,신불퇴,행불퇴,념불퇴,증불퇴.위불퇴,


■ 본 페이지 ID 정보
DICT--아비발치

https://buddhism007.tistory.com/13690
sfx--dict/아비발치.txt
sfd8--불교용어dic_2564_06.txt ☞◆vfkd3150
불기2564-06-05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avinivartaniya.html
htmback--아비발치_불기2564-06-05-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