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0년 6월 20일 토요일

불설성법인경_k0750-t0103-001

『불설성법인경』
K0750
T0103

법인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불설성법인경』 ♣0750-001♧


법인






♥아래 부분은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불교기록문화유산 아카이브



불설성법인경(佛說聖法印經)


서진(西晋) 월지국삼장(月氏國三藏) 축법호(竺法護) 한역
최민자 번역



이와 같이 들었다.
한때 부처님께서 사위국(舍衛國)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에 계셨다.


“잘 들어라, 
모든 비구들이여.”


“예, 
가르침을 받겠습니다.”



▸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마땅히 그대들을 위하여 
성 법인(聖法印)에 알맞는 위의(威儀)와 
청정한 행을 나타내는 것을 말할 것이니, 
자세히 듣고 잘 생각하고 기억하여라.”◂
 


▸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설령 어떤 사람이, 
‘공(空)을 구하지 않고 
무상(無想)에 의하지 않는다’고 하면서 
뜻을 내어 
스스로 거만하지 않은 선정(禪定)의 업에 이르려고 하나 
그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만일 어떤 사람이 
공법(空法)을 본받기를 좋아하며 
뜻을 무상(無想)에 두고, 
지극한 도[至要]에 이르려는 뜻을 내어 
스스로 잘난 체하고 교만한 마음을 없애고 
선정의 업에 이르려 한다면 
이것은 가능한 일이다. 


▸ 곧 도(道)에 따라 원(願)을 세우면 
소견(所見)이 생기니, 
무엇 때문인가. 
공(空)을 본받아 좋아하고 
무상(無想)을 얻으려고 하며, 
교만하여 스스로 잘난 체하는 소견을 없애려 하기 때문이니, 
이렇게 하면 혜업(慧業)은 모두 이룰 수 있을 것이다.◂
 



▸ 무엇을 비구의 성법인이라고 하는가. 
성법인은 늘 닦아 익혀서 청정한 견해에 이르는 것이다. ◂
 

▸ 만일 비구가 한정한 곳에 있거나 
나무 밑이나 인적이 드문 곳에 앉아서 
색(色)이 무상(無常)★★함을 깨닫고 
색이 본래 없음을 보아 
이미 무상(無常)★★을 깨달아 
지극히 공하여 없음을 알면 

문득 모두 아득해져서[怳惚] 
아(我)도 없고 욕망도 없어져 
마음이 곧 쉬게 되니, 
저절로 청정하게 되어 해탈을 얻으니, 
이것을 아직 교만과 스스로 거만함을 버리지 못하고 
선정의 청정한 소견의 업에 이른 공이라고 한다. ◂
 


비록 그러하나 유순(柔順)한 정(定)에 이르렀기 때문에
▸ 곧 그 자리에서 
모든 색에 대한 상(想), 
소리에 대한 상(想)★★, 
냄새에 대한 상(想)★★을 제거한다. 
그러므로 무상(無想)에 이르렀다고 말하고, ◂
 

그러므로 아직 스스로 거만함과 교만을 버리지 못하고 
선정의 청정한 소견에 이른 무욕(無欲)이라고 한다.


그 마음이 계속 유순한 정(定)에 있으면 
▸ 그는 곧 지니고 있던 탐욕ㆍ성냄ㆍ어리석음을 보고 제거한다. ◂
 
그러므로 아직 스스로 거만함과 교만을 제거하지 못하고 
선정의 청정한 소견에 이른 무욕(無欲)의 정(定)이라고 한다.


그가 마음속으로 생각하기를, 
▸ ‘나의 아(吾我)★★가 생겼다가 사라지니 
어디에서 생겨난 것일까?’라고 하고, 
곧 사유하여 
‘나의 아(我)가 의미를 익히고 
모든 식(識)을 분별하는 소인(所因)이니 
모두 인연에서 이러한 업에 이르고, 
이러한 인연에서 신식(神識)이 있게 되었구나’라고 깨달아 안다. ◂
 


또 생각한다.
‘이들 모든 인연은 유상(有常)할까, 무상할까?’

또 생각한다.

▸ ‘인연이 합하여 이루어진 신식은 
모두 무상(無常)★★하고, 근본이 없다. 
이 신식이 무상(無常)★★에 의지하여 망상(妄想)을 만들어 낸다. 
그러므로 인연에 따라 12인연이 있다. ◂
 


▸ 모든 것이 소멸[盡]로 돌아가니 
무상(無常)★★하고, 
괴롭고, 
공하고, 
무너져 없어지고 이별하고, 
욕심을 버리고, 
소멸하여 없어진다.’◂
 

▸ 이것을 분명히 깨달은 이라야 
근본이 없음을 알고, 
마음을 항복받고, 
모든 일어나는 생각이 없어져 도행(道行)에 들어간다. ◂
 

▸ 이렇게 해야만 비로소 
스스로의 거만함을 없애 
교만과 방일이 없는 선정의 업에 이르러 
청정한 행이 나타난다. 

이것을 처음부터 끝까지 이르고, 
구경(究竟)의 본말(本末)인 
성법인(聖法印)1)의 청정한 업이라고 한다.”◂
 



부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시니, 
모든 비구들은 이것을 듣고 기뻐하지 않는 이가 없이 예를 올리고 물러갔다.


-------------

〈후기〉
원강(元康) 4년(294) 12월 25일 월지국 보살 사문 담법호(曇法護)가 주천에서 이 경을 역출하고 제자 축법수(竺法首)가 필사하여 이 심오한 법을 시방에 널리 유포시켜 대승이 항상 빛나게 하였다.
1)
1) 송본ㆍ원본ㆍ명본에 따라 유성법인(由聖法印)에서 유(由)를 생략하였다.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pt op tr] fr
_M#]

○ 2018_0928_152531_can_ct37.jpg









○ 음악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us0fl--Mylène Farmer - Maman A Tort.lrc






● 무아임을 아는 주체는 누구인가. 




최근 현실에서 아상을 갖는 문제를 살폈다. 

● 지옥 중생과 여래 정체 파악하기 
https://buddhism007.tistory.com/17324#001 

● 아상과 통증 
https://buddhism007.tistory.com/17334#001 



그런데 『불설성법인경』에서도 
역시 이 망상증상에 대해 언급되고 있다. 




..
그가 마음속으로 생각하기를, 
▸ ‘나의 아(吾我)★★가 생겼다가 사라지니 
어디에서 생겨난 것일까?’라고 하고, 
곧 사유하여 
‘나의 아(我)가 의미를 익히고 
모든 식(識)을 분별하는 소인(所因)이니 
모두 인연에서 이러한 업에 이르고, 
이러한 인연에서 신식(神識)이 있게 되었구나’라고 깨달아 안다. ◂
...

▸ ‘인연이 합하여 이루어진 신식은 
모두 무상(無常)★★하고, 근본이 없다. 
이 신식이 무상(無常)★★에 의지하여 망상(妄想)을 만들어 낸다. 
그러므로 인연에 따라 12인연이 있다. ◂
...
『불설성법인경』 ♣0750-001♧


『불설성법인경』에서 이 정신증상을 '망상(妄想)'이라고 제시한다. 
이 망상 정신질환 때문에 현실에 얻을 수 없는 생멸과 생사를 놓고 
중생들이 생사를 겪는다. 
그리고 그 과정을 연기(인과)로 제시하게 된다. 

이는 다음 의미다. 
본래 그런 것을 얻을 수 없다. 
그런데 그런 망상증상을 일으킨 상태에서는 하나같이 그런 것이 
생사현실에 그처럼 있다고 여긴다. 
그래서 다시 그런 상태가 되는 과정을 연기(인과)로 제시한다. 
그래서 망상상태에서는 그 연기 인과를 이해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이를 통해 
다시 자신의 평소 분별이 망상인 사실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또 그렇게 되어야 한다. 

이런 사정을 '세속제를 통해서 승의제를 이해하게 된다'고 경전에서 표현한다. 

a + b => C 의 관계를 통해서 
C 라는 내용이 영원하지 않음을 제시한다. [무상] 
또 일체가 괴로움임을 제시한다. 
또 일체가 무아임을 제시한다. 
또 일체가 열반 적정 상태임도 제시한다. 
또 일체가 공하다는 제시한다. 
이것이 연기 즉 공의 관계이기도 하다. 

위 식을 살피면 위에 나열된 내용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즉, a + b => C 라는 식 자체가 위 사정을 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이 식은 그 C 가 그런 관계로 얻어진 것임을 나타낸다. 
그 관계를 떠나면 못 얻는다는 것도 말한다. 
이것이 곧 무상이란 표현이 갖는 의미다. 
어떤 것이 영원하다고 하자. 
그렇다면 그렇지 않다는 뜻이다. 

나머지도 다 사정이 같다. 
자세한 내용은 이전에 반복했음으로 여기서는 되풀이하지 않기로 한다. 
[ 나중에 링크로 연결하기로 한다. ]

여하튼 이런 내용을 통해 
그런 망상을 잘 제거해야 한다.

『불설성법인경』에서 다음처럼 제시한다. 

...
그러므로 인연에 따라 12인연이 있다. ◂
 
▸ 모든 것이 소멸[盡]로 돌아가니 
무상(無常)★★하고, 
괴롭고, 
공하고, 
무너져 없어지고 이별하고, 
욕심을 버리고, 
소멸하여 없어진다.’◂
 
▸ 이것을 분명히 깨달은 이라야 
근본이 없음을 알고, 
마음을 항복받고, 
모든 일어나는 생각이 없어져 도행(道行)에 들어간다. ◂그러므로 인연에 따라 12인연이 있다. ◂
... 

『불설성법인경』 ♣0750-001♧



이렇게 되면 이제 망상을 가진 상태와 차이가 있게 된다. 
그리고 그런 망상을 제거한 바탕에서 
이제 생사현실에서 도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청정한 업을 닦고 선정수행도 잘 성취하게 된다. 
그리고 이후 더 나아가 중생제도 및 성불을 위한 수행까지 나아가야 한다. 


『불설성법인경』에서 다음처럼 제시된다. 

...
▸ 이것을 분명히 깨달은 이라야 
근본이 없음을 알고, 
마음을 항복받고, 
모든 일어나는 생각이 없어져 도행(道行)에 들어간다. ◂
 

▸ 이렇게 해야만 비로소 
스스로의 거만함을 없애 
교만과 방일이 없는 선정의 업에 이르러 
청정한 행이 나타난다. 

이것을 처음부터 끝까지 이르고, 
구경(究竟)의 본말(本末)인 
성법인(聖法印)1)의 청정한 업이라고 한다.”◂
...
『불설성법인경』 ♣0750-001♧ 



그런데 망상을 제거해서 생사현실에 
그런 행을 할 나라는 존재가 없다고 처음에 제시했다. 
그런데 이 상황에서는 다시 무엇이 있어 
그런 수행을 그렇게 하는가 하는 의문이 생길 수 있다. 

그런데 이 부분도 과거에 많이 살폈다. 
그래서 중복되는 감이 있다. 

여기서는 아상이라는 망상 제거 문제를 간단히 개관해보기로 한다. 

우선 모든 생명에 공통된 특성을 찾을 수 있다. 
색,수,상,행,식을 갖추고 활동한다. 
먹고, 싸고, 놀고, 하고, 쉬고, 자는 활동을 한다. 
이런 내용들이다. 
벌레나 쥐나 소나 사람이나 사정이 다 그렇다. [유정=중생=생명]


그래서 이런 특성을 자신도 갖는다. 
그런데 현실에서 이런 특성이 있기만 하면 모두 다 자신으로 여기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이런 특성을 갖는 것 가운데 특별한 것만 
특별한 사정으로 평소 자신으로 여긴다. 

그래서 갓난아이때부터 청소년 장년 노년이 될 때까지 
매순간 그렇게 잘못 여기고 임한다. 
이것이 그 주체의 '망상'현상이다. 
평생을 지니고 살아가는 정신질환이다. 
이 질환 때문에 본래 얻을 수 없는 생사 생멸을 있다고 여기고 살아간다. 
그런 가운데 극심한 생사고통을 무량겁에 걸쳐 겪어 나가게 된다. 

그래서 이 증상을 잘 제거하고 
수행을 잘 성취해야 한다. 
그래야 그런 생사고통에서 벗어나게 된다. 
또 반대로 생사현실에서 무량한 복덕과 지혜자량을 구족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이 부분을 간단하게 잘 살펴보기로 한다. 


그런데 현실에서 그렇게 일정부분을 자신으로 여기고 대하게끔 하는 
성품을 a 성이라고 표시해보자. 

a 성에 해당하는 것을 종전에 상락아정에 배당해 나열했었다. 
이는 평소 자신으로 여기는 부분은 
다음 특성을 갖는다고 여긴다. 
이는 벽돌이나 지우개와 달리 그 부분만 갖는다고 여기는 특성들이다. 

예를 들어 눈을 뜨고 대할 때 늘 일정 부분이 파악된다. 
나머지는 들고 나고 한다. [상]
또 그 부분은 자신이 어디론가 움직이려면 따라 움직인다. 
그래서 내뜻처럼 되어서 즐거움을 준다고 여긴다. 
나머지는 그렇지 않다. [락]

그 부분은 다른 부분과 다르다. 
예를 들어 지우개를 벽돌에 댔다고 하자. 
그런데 손을 벽돌에 댔다고 하자. 
그리고 손을 손과 댔다고 하자. 
이 세 경우 다 차이를 느낀다. 
결국 평소 자신으로 여기는 부분은 일정한 대상을 대해 
감각을 하는 주관이 위치한 부분으로 여기게끔 된다. [아]

즉 평소 자신으로 여기는 부분은 
이런 특성을 갖기에 자신으로 잘못 여기게끔 된다 .



그래서 현실에서 자신이 대하는 것들 가운데 
이런 a 성을 갖고 있다고 여겨지는 것과 
없다고 여겨지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그 경우 그 주체의 그에 대한 태도나 자세 반응 유형이 달라진다. 

즉 거리에 벽돌이 있다거나, 책상위에 지우개가 있다. 
이것을 어떤 이가 발로 찬다. 집어간다. 
이렇다고 해서 크게 문제되지는 않는다. 

그런데 평소 자신으로 여긴 다리나 팔을 그렇게 한다면 
문제가 심각해진다. 


예를 들어 어떤 이가 정육점에서 고기를 사가지고 불에 구워 먹는다고 하자. 
자신의 살과 정육점에 사온 살과 질적 차이가 그렇게 크지는 않다. 
그런데 주관적으로 그 차이가 크다. 
자신의 살이 불판위에 올라가서 구워지면 대단히 심각한 문제다. 

그런데 이것이 잘못된 망상증상에 바탕한 반응의 차이다. 
그런데 현실에서는 대부분 이런 망상을 바탕으로 업을 행한다. 
그리고 그 망상증상때문에 그 이후 상태가 점점 더 악화된다. 
그것이 곧 생사고통의 현실이다. 


그래서 그것이 잘못된 판단임을 일단 잘 이해하고 깨달아야 한다. 

이는 다음을 의미한다. 
평소 자신으로 여기고 대하는 부분에 a 성이 있다고 잘못 여긴다. 
그런데 그 부분이 a 성을 갖지 않는다는 사정을 잘 이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원래 다른 부분은 a 성을 갖지 않는다. 
그래서 평소 자신으로 여기는 부분도 그와 마찬가지임을 잘 이해해야 한다. 



이제 평소 가졌던 그런 분별이 망상분별로서 잘못임을 이해했다고 하자. 
그런데 그로 인해 다시 2 차 문제가 발생할 여지가 있다. 

즉, 평소 일정한 부분을 자신으로 여기고 집착하고 대했다. 
그런데 그 부분이 자신이 아님을 이해했다고 하자. 
이 경우 평소 자신으로 여기며 소중하게 대해왔던 것이 
갑자기 없어졌다고 허탈해하기 쉽다. 

한편 또 다른 문제가 다시 발생할 수 있다. 

우선 처음에 평소 자신으로 여긴 부분이 a 성품을 갖는다고 잘못 여겼다. 
그런데 그 부분은 그런 성품을 갖지 않음을 이해하게 되었다. 
그런데 이후 그런 a 성품을 갖는 부분을 다시 찾아대게끔 된다. 
그래서 새로운 내용이 오히려 그런 a 성품을 갖는 것으로 이해하게 된다. 

예를 들어 경전에서 말하는 보특가라상 내지 인상으로 표현하게 되는 
그런 내용이다. 이는 생사윤회를 행하는 주체를 의미한다. 
그래서 앞에서 가진 집착을 이 부분으로 옮겨 오기 쉽다. 


그런데 앞에서 처음 말한 내용은 여기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이는 다음 의미다. 
만일 a 성품을 가진 것을 굳이 찾자면 차라리 
보특가라라고 이해하는 그런 내용이 a 성품을 갖는다고 해야 할 것이다. 
그런데 그 역시 그렇지는 않다. 

그래서 다시 앞 문제에 부딪힌다. 

즉 다음이다. 
평소 무언가를 자신으로 여기고 집착했다. 
그런데 그런 것들이 자신이 아니라고 이해하게 되었다고 하자. 
그 경우, 평소 자신으로 여긴 부분은 
처음 제시한 벽돌이나 지우개처럼 그 성격이 비슷하다고 해야 한다. 
우선 현실적으로 그렇게 잘 적용되지는 않는다. 

그런데 그것을 받아들인다고 하면 
그로 인해 무언가 소중한 것이 없어진 것처럼 허탈해지기 쉽다. 
이전에 자신이 무언가를 자신으로 여기고 소중하게 대했다. 
그런데 이제는 그런 것이 없다고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부분이 경전의 다음 내용과 관련된다. 



... 
▸ 이것을 분명히 깨달은 이라야 
근본이 없음을 알고, 
마음을 항복받고, 
모든 일어나는 생각이 없어져 도행(道行)에 들어간다. ◂
... 
『불설성법인경』 ♣0750-001♧ 

그런데 이 부분을 잘 살펴서 잘 이해해야 한다. 

간략하게 개관을 해서 세세한 부분이 빠졌다. 
과거에 많이 반복해서 설명했으므로 여기서는 대부분 생략한다. 


비유를 들어 이 상황을 이해해보자. 

벽돌 블럭이 앞에 놓여 있다. 
그런데 어떤 이가 망상증상을 세번 겹겹히 일으켰다. 
그래서 벽돌이 자신이라고 여기고 대한다. 
물론 그 망상증상에서 벽돌을 대하면 앞에 나열한 a 성품이 있다고 여겨진다. 

그래서 벽돌을 자신으로 여기고 살아간다. 
그런데 경전을 대하면서 연구하는 가운데 
벽돌은 벽돌이고 자신이 아님을 이해하게 되었다고 하자. 

이 경우 벽돌이 어디로 가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종전에 a 성품이 있다고 여긴 그런 내용이 벽돌에서 사라지는 것도 아니다. 
다만 망상이 제거되어서 벽돌을 자신으로 여기고 대하는 정신질환증상만 제거된 것 뿐이다. 

이 비유를 잘 이해해야 한다. 


다시 보특가라상이 문제된다. 
이것도 비유로 이해해보자. 

앞에서 망상증상을 일으킨 환자는 내력이 깊다. 
정신질환을 무량겁에 걸쳐서 겪어 왔다. 

그래서 한 때는 레고 블럭을 자신으로 여기고 살아왔다. 
그러다가 또 한 때는 짚을 자신으로 여기고 살아왔다. 
또 한 때는 치솔을 자신으로 여기고 살아왔다. 
그러다고 최근에는 벽돌을 한참동안 자신으로 여기고 살아왔다. 
이 증상을 방치하면 다음에는 나무판자를 자신으로 여기고 살아가게 되기 쉽다. 


이렇게 매번 레고블럭- 짚 - 치솔 - 벽돌 - 나무판자. 
이런 식으로 내용이 달라진다. 

그런데 이 환자가 매번 그렇게 다른 내용을 자신으로 여기면서 
대하게 되는 어떤 기제나 구조가 있다. 
매번 그렇게 되는 과정이 있다. 
우선 3차례에 걸쳐 반복된 망집을 일으킨 다음 그렇게 그것들을 대하게 된다. [3능변]
그러고 나면 그것이 해소될 때까지 그 증상이 계속된다. 
그래서 벽돌이면 계속 벽돌을 붙잡고 그렇게 살아가게 된다. 
그리고 해소되면 또 다시 그 증상을 반복한다. 

그리고 일단 그렇게 매듭이 지어진 상태에서는 
왠만해서는 스스로 그 상태에서 벗어나오지 못한다. 

마치 신발끈과 사정이 비슷하다. 
한번이나 두번 묶어 놓으면 운동하다가 끈이 저절로 풀려질 수도 있다. 
그런데 3 번 묶이면 끈을 붙잡아 풀어낼때까지 왠만해서는 풀리지 않는다. 
그래서 오히려 생사현실에서는 
이들이 일으킨 망상분별 내용이 정상이고 옳은 것처럼 이들끼리 취급되게 된다. 

이것이 생사현실이다. 
지옥부터 축생을 비롯해 그 상태가 다 같다. 
그래서 이것을 잘 해결해야 한다. 

여하튼 벽돌은 자신이 아니라고 이제 이해한다고 하자. 
그런데 현실에서 벽돌을 대해 위와 같은 a 성을 갖는다고 여기게 되는 배경사정이 있다. 
앞에서 그런 기제나 구조가 있다고 표현했다. 

그 기제나 구조 때문에 
레고블럭- 짚 - 치솔 - 벽돌 - 나무판자를 매 순간 자신으로 여기면서 살게된다. . 
그래서 이 관계를 죽 이어 살피면 
이제 이 매 경우마다 공통된 그 기제나 구조를 오히려 
자신으로 여기게끔 된다. 

즉 지금 벽돌을 살피니 a 성품이 없음을 이해하게 되었다고 하자. 
그런데 레고블럭- 짚 - 치솔 - 벽돌 - 나무판자를 매 순간 자신으로 여기게 된 
과정을 살핀다고 하자. 
그러니까 그렇게 되게끔 하는 그 기제가 오히려 a 성품을 갖는것으로 여기게 된다. 

즉 자신은 지금까지 한 때는 레고블럭이었고 또 그 뒤에는 짚이었고 
치솔이었고 벽돌이었다. 
다음에는 나무판자다. 
이렇게 매순간 내용이 다르다. 
그렇지만, 그렇게 그런 기제를 통해서 이들 내용이 이어진다. 

따라서 이렇게 매생 다른 내용을 자신으로 여기고 대하게 만든 
그 기제가 곧 생사윤회의 주체라고 여기게 된다. 
그리고 이 내용이 곧 a 성품을 갖는 적절한 내용이라고 여기게 된다. 

그래서 처음 벽돌을 대해 자신으로 여겼던 망상증상이 
이 부분으로 옮겨 오게 된다. 

이제 자신은 내생에는 하늘에 가서 살고자 한다고 하면 
지금 자신이 산다고 여기지 않는다. 
이 내용이 그렇게 된다고 여기는 것이다. 
그래서 망상증상이 해소되지 않는다. 


그런데 처음 벽돌을 놓고 자신이 아니라고 한 사정은 
여기에도 그래도 적용된다. 

그래서 이 점을 잘 이해해야 한다. 


그런데 그 경우도 앞과 사정이 마찬가지다. 

즉 그 부분은 자신이 아니다. 
그런데 그렇게 올바로 이해한다고 하자. 
그렇다고 벽돌이 그로 인해 사라지는 것도 아니다. 
또 그런 a 성품을 여기게 한 그런 내용도 그로 인해 역시 사라지는 것도 아니다 .

단지 그런 올바른 깨달음을 가지면 
그런 망상증상만 제거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것이 갖는 의미 차이가 대단히 크다. 
그래서 그것을 잘 이해해야 한다. 

망상증상을 갖거나 갖지 않거나 벽돌이나 그 기제가 크게 달라진다고 할 것은 아니다. 
그런데 망상증상을 갖고 매 순간 임하면 그 예후가 대단히 나빠진다. 

그 사정은 다음이다. 

망상증상을 가진 이는 다음과 같이 매번 행한다. 

벽돌이던 그 기제던 보특가라던 그것을 자신이라고 여긴다고 하자. 
그러면 그에 바탕해 집착을 갖게 된다. 

그래서 정육점에서 사온 고기나 벽돌이나 다 자신이 아니다. 
그런데 정육점에사 사온 고기는 집착을 크게 갖지 않는다. 
그런데 벽돌을 그 망집에 바탕해 대단히 집착을 갖는다. 

그리고 그 망집에 바탕해서 업을 행하게 된다. 
그 업은 그 주체 입장에서는 벽돌에게 좋다고 여기는 것들이다. 
그런데 망집 상태에서 행한 판단이다. 
그리고 인과를 적당히 살피고 좁고 짧고 얕게 관찰해 살핀 내용이다. 
그래서 적당히 좋음을 주고 그 이후 대단히 나쁜 상태가 된다. 

그래서 그런 망집에 바탕해서 업을 행하면 
그 바탕에서 대단히 장구하고 극심한 생사고통을 받는 상태에 묶이게 된다. 

망상분별 자체는 그것만 떼 놓고 보면 큰 문제가 아니라고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화에 그려진 그림이나 소설과 성격이 비슷할 수 있다. 
그래서 망상분별을 갖고 임해서 그로 인해 그런 생사고통을 겪지 않는다고 하자. 
그렇다면 굳이 문제삼을 이유는 없다. 
그런데 사정이 그렇지 않다. 

망집 번뇌[혹] => 업 => 생사고통
이런 관계성이 있다. 

그리고 그 생사고통은 그런 망집에 바탕해서 겪게 된다. 
그런데 그런 생사고통을 받는 망상분별은 옳은 내용도 아니다. 
그래서 그것을 잘 해결하고 제거해야 한다. 

그러면 망집에 바탕한 업이 제거된다. 
그리고 이후 기존에 쌓아 놓은 업의 장애도 수행을 통해 제거해나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생사고통의 묶임에서 일단 풀려나게 된다. 

망집이 있고 없는가에 따라 
가장 기본적으로 이런 차이가 발생한다. 

망상분별을 일으킨 벽돌재료는 별 차이가 없다. 
또 벽돌재료가 a 성품을 갖는다고 여기게 한 그런 내용도 별 차이가 없다. 
또 보특가라(윤회주체)로 대한 그런 내용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이 내용을 놓고 망집을 갖고 대하는가 아닌가의 차이가 크다. 
따라서 현실 내용을 놓고 판단을 잘 해야 한다. 


그런데 생을 출발하는 단계에서 3번 망집을 일으켜 매듭이 지어진다. [3능변]
처음 벽돌의 비유에서 벽돌은 a 성품을 갖는 자신이 아니라고 제시했다. 
그런데 이 상태에서는 벽돌이 왜 그런 것이 아니라고 하는지 자체가 이해되지 않기 쉽다. 

그래서 이 문제를 『불설성법인경』에서 선정 수행과 관련된 내용을 통해 
다시 중복해 살펴보기로 한다. 


◧◧◧ para-end-return ◧◧◧







○ 음악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us0fl--Frehel - La Chanson Des Fortifs.lrc








● 선정의 업과 무상 


경전에서 무상과 무상이 혼동되는 부분이 있어 
일일히 한자를 붙여 구별해보았다. 

영원하지 않다. => 무상(無常) 
상이 없다. => 무상(無想) 
이런 차이가 있다. 
한편 혼동을 일으키는 상에 다음도 있다. 

실상(實相 dharmatā ; dharma-svabhāva) - 상(相 Lakṣaṇa ) - 상(想 Saṃjña)
그래서 이들도 함께 살필 필요가 있다. 

이것이 현실에서 갖는 망상분별, 아상, 인상[보특가라상], 중생상[생명상], 수자상[목숨상], 
이런 내용과 관련된다. 
그리고 생사의 묶임에서 벗어나는 무상해탈삼매와 관련된다. 
또 이는 수행자가 넘어야 할 고비 안인 수행과도 관련된다. 
그리고 수행자가 증득해야 할 무생법인의 증득과도 관련된다. 
그리고 수행자가 얻어야 할 붙퇴전의 상태와도 관련된다. 

이는 특히 생사현실에서 극심한 생사고통을 겪는 상황에서 적용되어야 할 부분이다. 
그렇지 않은 경우는 그렇거나 안 그렇거나 별 차이가 없다. 
만화의 사정과 같다. 
만화도 실답지 않다. 
그것이 생사고통과 관련되지 않으면 그것만으로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런데 생사현실에서 일으키는 망집은 고통과 관련이 된다. 
따라서 위 내용을 이런 상황에 적용해 잘 해결할 수 있는가가 핵심이다. 



『불설성법인경』에서 처음에 다음처럼 제시한다. 

...
▸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설령 어떤 사람이, 
‘공(空)을 구하지 않고 
무상(無想)에 의하지 않는다’고 하면서 
뜻을 내어 
스스로 거만하지 않은 선정(禪定)의 업에 이르려고 하나 
그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
『불설성법인경』 ♣0750-001♧



선정을 원만하게 잘 닦아야 한다. 
잘 닦으면 그 자체로 계행이 구족된다. 
그리고 일단, 욕계의 3 악도에서 벗어날 수 있다. 

아상과 신견을 제거하지 못하면 생사의 묶임에서 벗어나기 곤란하다. 
그런데 그런 상태에서라도 우선 욕계 3 악도에서만은 벗어나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선정 수행을 잘 닦아야 한다. 
그러면 색계 무색계로 나아갈 수 있다. 

그런데 그것을 잘 닦으려면 
공이나 무상도 잘 이해해야 한다고 경전에서 제시한다. 
이는 공해탈삼매 무상해탈삼매와 관련된다. 


그래서 이에 대해 살펴야 한다. 

먼저 상(想)이란 글자를 놓고 살펴보자. 

상은 나무 목과 눈 목 그리고 마음심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한자글자를 놓고 이 상태를 설명해보자. 
그래서 상(相 Lakṣaṇa )과도 구별하면서 
여기에 무슨 문제가 있는가를 살펴보아야 한다.  

한편 선정은 심일경성을 요소로 한다. 
마음을 하나의 대상에 집중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현실에서 일으키는 망상분별이나 번뇌의 제거 해결과도 관련된다. 

현실에서 영희가 100 m 앞에 있다. 
손가락마디보다 작게 보인다. 
그런 가운데 자신을 보고 달려온다. 
이런 상황에 영희가 누구인가라고 묻는다고 하자. 
그러자 철수가 손가락으로 일정 부분을 가리킨다. 
그런데 앞에서 망상분별이라고 한 내용이 이와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이런 상황에 영희가 얻을 수 없다는 내용을 잘 이해하지 못한다. 
또 그 상황에 영희의 오고감을 얻을 수 없다는 내용도 잘 이해하지 못한다. 
그리고 같은 성격으로 이런 현실에 생사나 생멸을 얻을 수 없다는 내용도 잘 이해하지 못한다. 
그리고 이 생사현실에 그런 생사를 받는 자신을 얻을 수 없다는 내용도 역시 잘 이해하지 못한다. 


그래서 이 문제를 상(相)이란 글자를 놓고 파악해보자. 

상(相)이란 글자는 나무 목과 눈 목으로 되어 있다. 
이제 자신이 있는 곳에 나무가 잘 안 보인다고 하자. 
그래도 나무를 찾아보기로 하자. 
이런 경우 나무에 해당하는 것이 안 보일 수 있다. 
그래도 그 상황에 자신의 마음 속에 찾는 나무에 대한 생각은 있다. 
그런 생각은 눈을 감아도 떠올릴 수 있다. 
이제 그런 내용은 상(相)에 마음 심자를 덧붙여 표현할 수 있다. 
즉 생각내용으로서 상(想)이다. 
관념적 내용이다. 
이는 눈에 보이지도 않고 만져지지도 않는다. 

이 경우는 안경을 찾는 상황과 같다. 
안경이 무언가는 대강 알고 있다. 
마음 속에 대강 떠오른다. 
그런데 그런 생각 내용인 안경은 쓸 수 없다. 
그런 상태에서 안경을 찾는다. 

나무를 찾는 문제도 사정이 같다. 

눈을 감았다가 떴다고 가정하자. 
눈을 감을 때는 보이지 않았다. 
그런데 눈을 뜨면 보이는 내용이 있다. 

여기서 나무로 된 것을 하나 찾아보자. 
숲에 있다면 쉽게 찾을 수 있다. 
그런데 숲에 없다면 찾기 힘들 수 있다. 
이제 눈을 뜬 가운데 대신 나무 재질로 된 무언가를 찾기로 하자. 
그리고 거기에 초점을 맞추어 보자. 

이 상황이 상(相 Lakṣaṇa )이란 글자가 나타내는 상황이다. 
나무 목과 눈 목이 합쳐져 눈을 떠 나무를 대하는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이 경우를 놓고 상(相 Lakṣaṇa )과  상(想 Saṃjña)을 일단 구별해야 한다. 


이제 그런 철수에게 나무가 어디 있는가라고 물어보자. 
그러면 눈을 떠서 보이는 내용 가운데 일정 부분을 다시 손가락으로 가리키게 된다. 
철수가 그 부분을 나무라고 여기고 대하는 상황이다. 

그리고 경전에서 망상이라고 하는 부분이 이 부분과 관련된다. 
그리고 상을 취한다는 현상이 바로 이와 관련된다. 
그래서 이 부분을 좀 더 자세하게 살펴야 한다. 

이제 이 상황이 갖는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철수에게 다음 질문을 해보자. 

다른 부분은 왜 나무가 아닌가. 
그리고 그가 손가락으로 가리킨 부분은 왜 나무로 여기는가. 
이렇게 질문을 해보자. 

이 상황에서 눈을 떠서 보이는 내용이 온통 흰색이나 검은 색이 아니다. 
각 부분의 색이 다르게 구분해 보인다. 

그렇지만, 그가 손가락으로 가리킨 부분은 나무가 아니다. 
또 그 부분에는 그가 생각하는 나무를 얻을 수 없다. [=없다]
이렇게 제시하게 된다. 


나머지 사정도 마찬가지다. 
거리에서 영희가 뛰어온다고 하자. 
거기에 영희를 얻을 수 없다. 
영희의 오고감을 얻을 수 없다. 
더 나아가 영희의 생멸이나 생사를 얻을 수 없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자신을 얻을 수 없다. 
자신의 생사나 생멸을 얻을 수 없다. 
이 내용이 다 위와 관련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 상황에 나무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내용을 잘 이해하지 못한다. 
그 상황에서 대부분 철수가 손가락으로 가리킨 그 부분을 나무라고 여긴다. 
그래서 생생하고 명료하게 그 부분에 나무가 있는데 
왜 엉뚱한 이야기를 하는가라고 거꾸로 의문을 갖게 된다.

그래서 하나의 내용을 통해서 이 모두를 다 함께 이해해야 한다. 


이 주제는 또 다음 문제와 관련된다. 

눈을 뜰 때는 그런 내용이 보인다. 
그런데 눈을 감으면 이제 그 내용이 사라져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다시 의문을 갖게 된다. 

자신이 눈을 뜨고 감고 관계없이 본래 그대로 있다고 할 내용은 무언가. 
그 내용은 눈을 감고 대한 상태와 일치하는가. 
아니면 눈을 떠 대한 상태와 일치하는가. 
이런 의문을 가질 수 있다. 

철수가 눈을 떠서 나무를 보았다고 하자. 
그런데 눈을 감으니 없어져 보이지 않는다. 
그렇다고 아무 것도 없게 된 것인가. 
아니면 철수가 눈을 감거나 뜨거나 관계없이 한번 본 나무는 
그 자리에 그대로 있다고 할 것인가. 

이것이 문제된다. 
이것이 본 바탕의 실재가 무언가를 찾는 문제다. 

대부분 자신이 한번 눈에서 어떤 모습을 보면 
그것이 그 자리에 그대로 있다고 잘못 여긴다. 

그런데 그것은 현실 안에서 확인해도 그렇지 않다. 
그리고 다른 감관을 통해 얻는 내용과 비교해도 그렇지 않다. 
그래서 그 실재가 무언가가 문제된다. 

이것은 현실에서 얻는 내용의 성격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즉 현실은 마치 침대에서 누어 꾼 바다나 황금꿈의 성격과 같다. 

본 바탕에서 얻어지지 않는 내용이다. 
그런 내용을 감관을 통해 화합해서 마음에서 얻어내는 상태다. 
따라서 이런 사정을 이해해야 한다. 
그래서 현실에 대해 집착을 제거해야 한다. 
이를 위해 실재가 공함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렇게 실재가 공함을 통해 생사의 묶임에서 벗어나야 한다. [공해탈삼매]



다시 안경이나 나무를 찾는 상황으로 돌아가보기로 한다. 

현실에서 안경을 찾는다고 하자. 
이것은 희망이다. 
이런 상태에서는 희망은 관념으로만 되어 있다. 
그 상황에서 안경을 찾았다고 하는 것은 다음을 의미한다. 

즉 손가락으로 가리킬 수 있는 안경을 찾아내야 한다. 
즉 철수가 손가락으로 나무를 가리키듯 하는 상황이 되어야 한다. 
이 경우 자신이 안경을 찾았다고 한다. 

그런데 그 상황이 잘못된 분별이라고 제시한 것이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앞 내용이 의미를 갖는다. 
망상분별과 현실은 이런 차이를 갖는다. 

현실에서 안경을 찾으면 안경을 쓸 수 있다. 
그리고 사물을 좀더 정확하게 볼 수 있다. 

또 현실에서 나무는 예를 들어 불을 붙이면 탄다. 
이런 내용을 볼 수 있다. 

그래서 그 부분은 다른 부분과 다르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손가락으로 가리킨 그 부분은 
안경이나 나무라는 판단은 현실에서 이런 사실로 지지받게 된다. [효과적 작용성]


밥과 사정이 같다. 
밥을 먹고 싶을 때 먹고 싶은 밥은 생각 속에 있다. 
그런데 그 생각만으로는 배가 부르지 않는다. 

그 희망이 성취된 상태는 앞과 사정이 같다. 
손가락으로 가리킬 수 있는 밥을 현실에서 얻을 때 성취된다. 
그리고 그 밥을 섭취하면 배고픔이 사라진다. [효과]

그래서 처음 그 부분을 밥이라고 여긴다고 하자. 
그러면 이를 통해서 일정한 일정한 인과를 보게 된다. 
밥 => 먹음 => 배부름 



반면, 생각속의 안경이나 나무나 밥은 이런 효과를 거두지 못한다. 
그런데 현실에서 얻을 수 없다는 것은 이 생각속의 안경이나 나무 밥 등을 뜻한다. 
즉,  처음 한 정지단면에서 그런 안경이나 나무 밥 등을 얻을 수 없다고 제시한 것이다. 

그 사정은 뒷 정지단면에서도 사정이 같다. 
안경을 쓰고 볼 사물, 연기나 재, 배부름도 역시 얻을 수 없다. 
얻을 수 없다는 그 사정은 앞 단면이나 뒷 단면이나 똑같기 때문이다. 


다만 첫 단면에서 밥을 얻을 수 있다고 한 경우는 
뒷 단면에서는 이를 통해 그런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여기게 된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안경을 써서 사물을 잘 보게 된다. 
나무를 태워 연기나 재가 나타난다. 
밥을 먹어 배가 부르다. 
이런 식이다. 


그런데 이 전반적인 과정이 결국 
망상에 바탕해 업을 행하고 그 결과로서 생사고통을 받아가는 과정이다. 

물론 밥을 먹어 배가 부르다고 고통을 받지는 않는다. 
그런데 그런 과정을 밟아 계속 행하면 그 업이 축적된다. 
그리고 끝내 일정단계후 생사고통을 받는 3 악도에 들어가 묶이게 된다. 
그래서 그 근본원인이 되는 단계에서 이를 예방하고자 제시하는 내용이다. 

따라서 망상에 바탕해 일으키는 희망을 일체 제거해야 한다. 
그리고 그에 바탕해 행하는 업을 일체 제거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서원과 수행으로 모두 대체해 넣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생사고통을 제거하는 방안으로 제시한다. [무원무작해탈]

첫 정지단면에서 밥이나 안경이나 나무를 얻을 수 있다고 여긴다고 하자. 
그러면 그런 측면으로는 어떤 것의 생멸을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생멸에 관계하는 연기(인과)를 제시할 수 있다. 

그래서 그런 측면에서는 다음처럼 제시한다. 
그런 가운데 행한 업은 무량겁에 걸쳐 사라지지 않는다. 
그리고 그 과보를 받는다. 
이런 내용을 제시한다. 

그런데 첫 정지단면에서 그런 내용을 제시할 내용 자체를 얻지 못한다. 
그리고 한 단면에서 이들 내용을 얻을 수 없다는 입장은 
이 어느 경우에서나 모두 그런 내용들을 다 얻을 수 없음을 제시한 것이다. 
그래서 입장 차이가 크다. 


그래서 얻을 수 없음을 이해하려면 
한 정지단면의 사정을 놓고 잘 살펴야 한다. 
그리고 이 내용을 모든 단면에 적용하면 된다. 

나무를 대할 때 거기에 나무를 얻을 수 없다. 
이 내용을 다음처럼 이해해보자. 

마음속으로 찾는 나무는 상(想)이다. 
이것을 기호로 ■ 로 표시해보자. 

그리고 눈을 떠 손가락으로 가리키게 되는 나무는 상(相)이다. 
현실에서 철수가 눈을 떠 본 내용전체가 □ 이라고 하자. 
그리고 이 상황에서 철수가 나무로 여기고 대하는 특정 부분을 ○ 으로 표시해보자. 

그리고 이제 이 두 내용을 비교해보자. 
○ 은 ■ 인가?  아니다. 
반대로 ■ 은 ○ 인가? 역시 아니다. 

이 질문은 형식을 조금 바꿔 다음처럼 물을 수도 있다. 
○ 에 ■ 이 있는가?  아니다. 얻을 수 없다. 
그러면 ■ 에 ○ 이 있는가.  아니다. 없다. 


그래서 다음처럼 제시하게 된다. 
즉 ○ 은 ■ 이 아니다. 
○ 에는 ■ 을 얻을 수 없다. [ 없다. ]
이렇게 제시하게 된다. 

그러나 그 상황에서 ○ 은 얻는다. 
또 ■ 도 일으켜 얻는다. 

그러나 '■을 얻을 수 없다'고 제시한다. 
따라서 이 표현을 오해하면 곤란하다. 
그 상황에 ○ 을 얻을 수 없다고 한것은 아니다. 
또  ■ 을 얻을 수 없다고 한 것도 아니다. 
그가 대하는 현실(감각현실) ○ 에 ■을 얻을 수 없다고 한 것이다. 


그 사정은 간단하다. 
눈으로 얻는 내용은 감각현실이다. 
그리고 자신이 생각한 내용은 관념분별이다. 
그래서 감각현실 영역에서는 관념분별 자체를 얻을 수 없다. 
그래서 그런 관념분별이 있다 없다 자체를 판단할 수 없다. 

그것은 철수가 대하는 그 내용 어느 부분이나 그 사정이 같다. 





그런데 망상을 일으킨 입장은 
이 상황에서 다음처럼 오해한다. 

철수가 일정부분을 손가락으로 가리켜 나무라고 여기는 사정이 있다. 

철수가 눈으로 본 내용 전체 □ 는 하나의 색은 아니다. 
각 부분의 색이 다르다. 
그러나 여하튼 다른 부분을 대할 때는 나무라는 생각을 잘 일으키지 않는다. 
그런데 그 가운데 특정 부분 예를 들어 ○ 으로 표시한 부분을 대하면 
그 때마다 나무라는 생각을 반복해 '일으키게' 된다. 

그래서 철수가 ○ 부분은 나무 ■'이다'라고 잘못 여기게 된다. 
그리고 경전에서는 기본적으로 그 사정이 그렇지 않음을 제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낙엽을 보면서 어떤 시인이 시집간 누님을 떠올렸다고 하자. 
사정이 그렇다고 낙엽이 시집간 누님은 아니다. 
그 부분에 시집간 누님이 들어 있는 것도 아니다. 
물론 이는 단순한 시적 표현이다. 
그리고 그런 표현을 하게 된 배경사정은 위와 같다. 
그가 그 부분을 대하면서 시집간 누님을 '떠올렸기' 때문이다. 

그런데 단순히 이런 상태를 넘어서 
낙엽이 시집간 누님이다라고 여기고 대하면 망상증상이다. 

그래서 너의 누님이 지금 어디 있는가라고 물을 때 
그 낙엽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면 망상증상이다. 

찾는 누님은 그 부분에서 얻을 수 없다 .
그런데 그런 부분을 붙잡고 그렇게 임한다면, 망상증상이라고 하게 된다. 

a 가 없는 것을 a 가 있다고 여기면서 대하면 망상이다. 
또는 a 가 아닌 것을 a 라고 여기면서 대하면 망상이다. 

그런데 현실에서 철수가 '낙엽'을 대하면서 '낙엽'이라고 여긴다고 하자. 
그 상황의 성격이 이와 마찬가지다. 
물론 언어상으로는 'A' 를 대하며 'A' 라고 여긴다고 표현되어 있다. 
그래서 이는 동일률에 의해 자체적으로 옳은 것처럼 여기기 쉽다. 
그러나 이는 일정 부분○을 낙엽■'이다'라고 잘못 여긴 것이다. 

그런데 대부분 사정이 이렇다. 
그래서 오히려 망상을 정상이라고 여기기 쉽다. 



그래서 이 사정을 이해하려면 선정 수행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또 반대로 선정수행을 원만히 잘 성취하려면 
이론적으로 위 문제들을 잘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 사정이 경전에 제시되고 있다. 

...
공(空)을 구하지 않고 
무상(無想)에 의하지 않는다’고 하면서 
뜻을 내어 
스스로 거만하지 않은 선정(禪定)의 업에 이르려고 하나 
그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만일 어떤 사람이 
공법(空法)을 본받기를 좋아하며 
뜻을 무상(無想)에 두고, 
지극한 도[至要]에 이르려는 뜻을 내어 
스스로 잘난 체하고 교만한 마음을 없애고 
선정의 업에 이르려 한다면 
이것은 가능한 일이다. 
...

『불설성법인경』 ♣0750-001♧




현실에서 앞과 같은 형태를 바탕으로 
다양한 망상분별을 행한다.
그리고 이것이 증폭된다. 

그런데 여하튼 한 주체가 
현실이나 세계로 이해하고 대하는 내용의 성격이 이와 같다. 

즉 감각현실과 관념분별이다. 
한 주체가 현실에서 얻는 내용이 이것들이다. 
눈으로 본 색, 
귀로 들은 소리, 
코로 맡은 냄새,
혀로 맛본 맛, 
몸으로 느낀 촉감. 
이런 것이 감각현실이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어떤 관념을 일으킨다. 

그리고 이런 내용을 그가 대하는 세계로 이해한다. 

다시 철수가 나무를 손가락으로 가리킨 상황으로 돌아가보자. 

그 철수가 손가락으로 가리킨 부분을 무엇이라고 이해하는가를 놓고 보자. 

철수는 그 부분이 나무라고 여긴다. 
그리고 그 부분에 나무가 있다고 여긴다. 

그리고 다시 그런 부분들이 그가 대하는 외부 세계라고 잘못 여긴다. 
그리고 그 부분은 자신의 눈이나 귀 등이 대하는 외부 대상이라고 잘못 여긴다. 
그리고 그 부분은 마음과는 별개로 떨어진 마음과는 성격이 다른 외부 물질이라고 잘못 여긴다. 

그리고 그 부분은 자신 뿐아니라 영희나 갑수를 비롯한 사람들이 다 함께 대하는 
외부의 객관적 실재라고 잘못 여긴다. 

처음은 단순한 형태의 망상분별이었다. 
그런 내용이 없는 부분을 붙들고 그것이 거기에 '있다'고 여긴 증상이었다. 
또 그런 내용이 아닌 부분을 붙들고 그것'이다'라고 여긴 증상이었다. 
그런데 점점 이 망상에 바탕해 그 망상증상이 증폭되어진다. 

그래서 이것을 근본부터 잘 시정해 제거해야 한다. 

그가 외부세계로 이해하는 내용은 
사실은 '그 주체의' 마음안 내용이다. 
즉, 그가 눈을 떠서 얻은 감각현실이다. 
그래서 이 사정부터 먼저 잘 확인해야 한다. 


선정 수행과 함께 병행해서 이 부분을 함께 잘 살펴야 한다. 


처음 선정은 마음을 하나의 내용에 집중함으로써 시작한다. 
호흡을 하면서 숨을 센다. 
그래서 마음과 육체부분을 잘 통일시켜 결합시킨다. 
그리고 일정한 내용에 마음을 집중한다. 
4 념처에서 신수심법이 그런 내용이 될 수 있다. 
또는 7각지에서 택법 내용이 될 수 있다. 
또는 4 무량심 등이 그런 내용이 된다. 

이 상태가 되면 그가 대하는 세계가 색계가 되었다고 한다. 
좀더 집중해가면 이제 무색계가 된다고 제시한다. 
선정에서 나오면 그가 대하는 세계는 욕계가 된다고 제시한다. 

그래서 첫 단계에서 이 의미를 먼저 잘 파악해야 한다. 

처음 집중할 때 그가 세계로 여기고 대하는 내용을 잘 살펴보자. 

눈을 떠서 눈 앞의 한 사물에 초점을 맞춘다고 가정해보자. 
4념처를 행한다면 처음 자신의 발을 대할 수도 있다. 
그런데 초점을 맞춰 집중한다는 성격은 마찬가지다. [심일경성]
그리고 이 상황을 잘 살펴보자. 

초점을 맞춘 부분에 꽃나무가 있다고 하자. 
그래서 그가 그 부분을 꽃나무라고 여긴다고 하자. 

그런데 현실에서 어떤 주체가 의미를 두고 행하는 생활 전반이 
통상 이런 형태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아침에 일어나서 회사를 가야 한다. 
그래서 버스를 타야 한다. 
그래서 거리에 서서 몇번 버스가 오는지 초점을 맟줘야 한다. 
그리고 오는 버스가 자신이 탈 버스면 정확히 올라타야 한다. 
그리고 창밖을 보다가 자신이 내릴 곳이면 정확히 내려야 한다. 
이런 형태로 계속 이어진다. 

현실 상황에서 매번 초점을 잘 맞추고 각 부분에 대해 판단을 잘 해야 하는 사정이다. 

그런데 처음 이 하나하나 단면에 대한 판단이 망상분별이라고 제시한 것이다. 
그래서 일상생활과 경전 내용의 차이가 극심하다. 
그것은 곧 생사현실에서 겪는 생사고통과 그런 상태를 벗어난 니르바나의 차이이기도 하다. 

그래서 우선 선정의 첫단계부분을 살펴보자. 
눈을 뜨고 한 부분에 초점을 맞춘다. 
이 상황에서 초점을 맞춘 부분이 무엇이냐고 묻는다고 하자 .
철수는 꽃나무라고 답한다. 

이 상황에서 보이는 내용들 가운데 
왼쪽 끝에는 무엇이 있는가를 물어보자. 
한참 그부분에 마음을 기울이면 무엇인지 알아내 답할 수도 있다. 

이 상황에서 그 질문을 던지기 전에 
그것이 무엇인지 알았는지를 다시 물어보자. 
사실은 잘 모르고 있었다. 

즉 한 주체가 감각현실을 전체 □로 얻을 때 
그가 의식을 기울여 초점을 맞추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에서 약간 차이가 있다. 

초점을 맞추는 부분에는 그에 상응한 분별을 일으킨다. 
그렇지 않은 부분은 그렇지 않다. 

눈으로 보는 색만 그런 것이 아니다. 
소리나 냄새 등등도 마찬가지다. 
시끄러운 곳에서 대화를 나눌 때 상황을 생각해보면 쉽게 알 수 있다. 
나중에 갑수가 다가와 자신을 손으로 친다. 
그렇게 너를 부르는데 왜 답을 안하고 영희와 대화만 나누는가. 
철수가 답한다. 
그랬는가. 몰랐다. 이렇게 답한다. 
그런데 그 상황에서 갑수가 부르는 소리 자체가 들리지 않은 것은 아니다. 
다만 그에 대해 분별을 일으키지 않은 것 뿐이다. 


다시 첫 부분으로 가보자 .
왼쪽끝이 무엇인가 알게 되었다고 하자. 
그러면 그 상황에 오른쪽 끝 부분에 무엇이 있는가는 아는가. 
또 윗 끝부분에 무엇이 있는가는 아는가. 
대부분 그렇지 못하다. 
그래서 눈으로 감각현실을 받아들일 때 
각 영역을 나눌 수 있다. 

분별을 일으켜 대응시켜 대하는 부분과 
그렇지 못한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물론 감각현실은 전체적으로 하나로 얻는다. 
눈으로 볼 때 각 부분의 색이 하나는 아니다. 
그러나 그 감각현실은 전체적으로 하나로 얻는다. 

그리고 초점을 맞춘다. 
이 과정에서 각 부분을 묶고 나누면서 분별을 일으킨다. 
그 때마다 그 전까지 없거나 숨어 있었던 내용이 나타나는 것처럼 잘못 여기게 된다. 

앞에 꽃나무가 있다. 
그런데 다시 더 집중하니 꽃잎이 보인다고 하자. 
꽃잎이 나무인가라고 물어보자. 그렇지는 않다. 
그러면 나무가 꽃잎인가라고 물어보자. 그렇지는 않다. 

그런데 어느 부분을 묶으면 나무라는 생각을 일으킨다. 
그러다가 어느 부분을 다시 나눠서 묶으면 잎이라는 생각을 일으킨다. 
이 두 순간을 놓고 잘 생각해봐야 한다. 

나무라는 생각을 할 때는 잎이라는 생각이 떠오르지 않았다. 
그런 상황에 잎은 숨어 있었는가. 
그러다가 잎 부분에 초점을 맞추면 그 때 잎이 나타나는 것인가. 
아니면 잎 부분에 초점을 맟출때 잎이라는 생각이 떠오는 것 뿐인가. 

처음 ○ 은 ■ 이 아니다라고 제시했다. 
이 내용을 놓고 잘 생각해보아야 한다. 


한편 매 순간 얻은 감각현실 일정 부분에 분별을 일으켜 대응시키며 생활한다. 
이 경우 현실 상황에서는 이 과정 자체가 산만하다. 

회사에 가는 상황을 생각해보자. 
버스가 여러대가 오면 이 버스도 보고 저 버스도 보게 된다. 
사람이 서 있으면 이 사람도 조금 보고 저 사람도 조금 본다. 
거리도 이 간판도 조금 보고 저 간판도 조금 보게 된다. 
이런 식이다. 
매 순간 분별을 대응시키는 부분이 산만한 상태다. 

정려 수행은 우선 이런 산만한 상태를 떠나야 한다. 

그런 가운데, 한 정지단면에서 초점을 맞추고 
그 상황을 잘 이해해 보아야 한다. 

감각한 현실은 색성향미촉으로서 
눈으로 보거나 만지고 대할 수 있는 내용이다. 

그런데 이를 바탕으로 일으킨 분별 내용은 
그런 내용이 아니다. 

그래서 그 주체가 세계로 여기고 대하는 내용은 
이 두 성격으로 나뉜다. 

그런 가운데 관상법에서 행하는 관상을 해보기로 하자. 
예를 들어 아미타불의 지혜 광명에 대해 관상을 행한다고 하자. 
이 경우 아미타불이 눈에 보이는 어떤 감각현실이 아니다. 
그런데 생각을 행하는 것이다. 
이 경우 눈에서 보는 감각현실에 이런 생각에 대응한 부분이 없다. 

안경을 찾는데 안경이 보이지 않는 상황과 성격이 같다. 
이 상황에 안경이라는 생각은 있다. 
이런 생각 내용은 눈에 보이지도 않고 만져지지도 않는다. 
그리고 한편 이에 대응시킬 만한 감각내용도 얻어지지 않는 상태다. 

이들 내용을 앞 내용을 놓고 잘 살펴야 한다. 
즉 초점을 맞추지 않아서 무엇인지 분별하지 못하는 감각현실 
초점을 맞추어서 그 부분이 나무나 발이라고 분별을 일으킨 가운데 이 분별을 바탕으로 대하는 감각현실 
대응시킬 만한 감각현실이 없는 상황에서 단순하게 일으킨 분별 내용이다. 

그리고 이것이 그 주체가 대하는 세계를 구성하는 재료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런 각 경우를 놓고 잘 구별해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이 상황에서 그런 내용을 얻는 자신과 관계하지 않고도 
그대로 실재한다고 할 본 바탕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즉 실재의 공함을 놓고 잘 헤아려야 한다. 

그런 가운데  현실에서 한 주체가 대하는 세계의 구성성분을 놓고 잘 살펴야 한다. 
처음 집중한 가운데 점점 그 집중을 높여가면서 
의식표면에서 얻는 내용들이 갖는 성격을 잘 헤아려야 한다. 

처음 선정에 들어가, 색계에 들어가려면 
초점을 맞추서 분별을 대응시키는 것을 떠나야 한다. 

가장 처음에 제시한 것은 
○ 은 ■ 이 아니다는 내용이었다. 
그래서 ○ 부분에 초점을 맞춘 가운데 
계속 ○이 ■이라고 여기는 망상상태에 있어서는 안 된다. 
그래서 처음 발가락에 시선을 맞추었다면 
관상법을 통해서 발 속의 뼈도 관하고 
때로는 아미타불의 광명도 관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그 주체가 대하는 세계의 성격이 어떻게 
그 이전과 달라졌는지를 스스로 잘 헤아려 나가야 한다. 






mus0fl--Francis Cabrel - Encore Et Encore.lrc


이제 정려 수행을 통해 생사현실의 정체를 살펴보자. 



생사현실은 꿈처럼 실답지 않다. 
각 영역에서 각 내용을 얻는다. 
그런데 그런 내용은 다른 내용에서 얻을 수 없다. 
그래서 마치 침대에 누어 꾸는 바다나 황금꿈과 성격이 같다. 

아무리 생생하게 그 내용을 얻어도 그런 조건과 상황에서 얻는 것 뿐이다. 
현실에서 얻는 감각현실과 관념분별도 성격이 마찬가지다. 
본 바탕에서는 그런 내용을  얻을 수 없다. [불가득, 실재의 공함]
그런 가운데 그런 조건에서 얻는 내용이다. 

눈에서 어떤 내용을 본다고 하자. 
이런 경우 눈을 감으면 그 내용을 보지 못한다. 
그런데 망집을 일으킨 경우 그렇더라도 본 바탕에 그 내용이 그대로 있으리라고 잘못 여긴다. 
그러나 눈으로 본 내용은 청각영역이나 후각, 미각, 촉각영역에서조차도 얻어지지 않는다. 
관념영역에서도 그 사정이 같다. 
그리고 나머지 각각도 또 다른 영역과의 관계가 이와 같다. 

본 바탕이 되는 실재 영역은 아무 것도 전혀 없다고 할 것은 아니다. 
그러나 진짜에 해당하는 참된 실체가 없다. [무아, 무소유]
그런 가운데 그 내용을 한 주체가 직접 얻을 수 없다. [불가득 ]
따라서 이분법상의 분별을 행할 수 없다. 
그래서 있다 없다 이다 아니다 같다 다르다 깨끗하다 더럽다 좋다 나쁘다 등을 
모두 떠난다. [불이법]
그리고 언설표현을 떠난다. [언어도단]
따라서 이런 상태를 어떤 의미를 갖지 않는 '공'이란 표현을 빌려 나타내게 된다. [실재의 공함]

현실은 이런 실재를 바탕으로 한다. 
그리고 각 주체가 그런 조건에서 얻는다. 
즉 본 바탕에서 얻을 수 없는 내용을 그처럼 얻는 것이다. 
그래서 꿈과 성격이 같다. 
그래서 실답지 않다. 
그래서 집착을 갖고 대할 내용이 아니다. [공해탈삼매]

그런데 이 생사현실은 정작 꿈은 아니다. 
그 하나하나는 앞과 같은 성격으로 실다운 내용이 아니다. 
그런데 다수 주체가 일정한 공간과 상황에서 
일정한 조건에서 엇비슷한 내용을 무량겁에 걸쳐 반복해 얻게 된다. 
그런 가운데 극심한 생사고통을 겪게 된다. 
그래서 꿈처럼 실답지 않지만, 꿈처럼 이를 그대로 방치할 도리가 없다. 
생사현실에서 겪는 생사고통을 해결해야 한다. 


앞에서 한 주체가 세계로 여기고 대하는 내용의 성격을 살폈다. 
이 일체의 성격은 그 주체가 마음으로 얻어낸 마음 내용물이다. 
그런데 특성이 각기 다르다. 

재료로서 감각현실과 관념내용만 따로 놓고 살펴보자. 
그 재료 자체에는 생사고통이나 생멸은 얻을 수 없다. 
단지 있다고 할 것은 관념내용일 뿐이다.
있고 없음은 관념영역에서만 일으켜 문제삼는 내용이다. 
그래서 있다고 할 것은 명자 뿐이라고 제시하게 된다. 


현실에서 생멸이라고 여기는 내용은 다음이다. 
예를 들어 한 주체가 눈을 뜨고 무언가를 본다고 하자. 
눈을 뜨면 보인다. 
눈을 감으면 사라진다. 
그리고 보이는 내용에 무언가 들고 남이 있다. 
이런 것을 놓고 있다 없다라는 관념분별을 일으킨다. 
그리고 일정 부분이 무엇 예를 들어 a라고 분별을 일으킨다. 
그리고 그 a 가 없다가 있게 되었다고 여긴다. [ 생]
또 있다가 없게 된다고 여긴다 [멸 ]
그리고 그렇게 생멸하게 만드는 요소를 그 안에서 찾는다. [인과]


그런데 처음에 다음을 제시했다. 
○ 은 ■ 이 아니다. 
또 ○ 에는 ■ 을 얻을 수 없다.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 은 ○ 이 아니다. 
또 ■ 에는 ○ 이 없다. 

그래서 위 내용 전체가 처음부터 성립되지 않는다. 
있고 없음을 따질 때 그 유무 자체가 관념분별 ■이다. 
그리고 그 관념분별■ 은 관념영역안 내용이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감각현실 ○ 과 관념내용 ■ 을 함께 얻는다. 
그리고 그 상황에서 이 두 재료를 대하는 가운데 '분별영역에서' 망상을 일으키게 된다. 

즉 ○ 을 대해서 ■ 을 일으키는 상황이 있다고 하자. 
이 상황에서 그 주체는 ○ 은 ■'이다'라고 잘못 여긴다. 
또 ○ 에는 ■ 이 '있다'라고 잘못 여긴다. 


예를 들어 영희가 누구인가라고 묻는다고 하자. 
이 때 철수가 손가락으로 일정 부분을 가리키는 현상이 이 경우다. 
그런데 그 상황의 사정이 그렇지 않다. 
심정적으로는 ○ 에는 ■ 이 있는 것처럼 여길 수 있다. 
때로는 ○ 과 ■ 이 서로 엇비슷하다고 여길 수도 있다. 
그런데 따로 따로 비교해보기로 하자. 
그러면 각 내용에서 다른 영역의 내용은 한 부분 조차도 찾을 수 없다. 
○ 의 한 부분에서도 ■의 한 부분도 얻을 수 없다 .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예를 들어 눈을 감고 떠올리는 영희가 있다고 하자. 
그 내용에 눈으로 보거나 귀로 듣거나 손으로 만져 얻는 감각현실 한 부분도 없다.
사정이 이렇다. 

앞에서 낙엽을 보고 누님을 떠올리는 사례를 들었다. 
그 경우에 사정이 그렇다고 낙엽이 누님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연필이란 생각을 떠올리고 난 후 기차란 생각을 떠올릴 수도 있다. 
그렇다고 해서 연필이 기차가 아니다. 
연필에 기차가 들어 있는 것도 아니다. 
이와 마찬가지다. 

감각현실의 일정부분 ○ 을 대해 일정한 분별 ■ 을 일으킬 수 있다. 
그래서 현실에 ○ 도 얻고 ■ 도 얻을 수 있다. 
그렇다고 ○ 은 ■ 은 아니다. 
또 ■ 이 ○ 도 아니다. 
그렇지만, ■을 ○ 을 떠나 얻은 것도 아니다. 
현실 상황이 이와 같다. 
그래서 현실 상황을 있는 그대로 먼저 잘 파악해야 한다. 

그래서 ○ 에는 ■ 을 얻을 수 없음을 잘 파악해야 한다. [무상해탈삼매] 
그래야 생사고통을 벗어날 해탈문을 찾아 들어갈 수 있다. 

그리고 그에 바탕해 일으키는 쓸데없는 소원을 제거해야 한다. 
그리고 그에 바탕해 행하는 업도 제거해야 한다. [무원무작해탈]


이것이 공해탈문과 무상해탈문 무원무작 해탈문이다. 
이들 해탈문들은 모두 이와 관련된다. 
현실 본 상태에는 현실에서 문제삼는 생사고통을 얻을 수 없다. 

정려 수행을 통해 이런 현실사정을 잘 파악해야 한다. 
그래서 생사해탈문을 찾아 들어서서 해탈을 얻어야 한다. 
그리고 이것이 수행의 가장 기본적인 목표점이다. 

현실에서 극심한 생사고통을 겪는 상황이 많다. 
그런데 그 상황에 생사고통을 본래 얻을 수 없다고 제시한다. 
이 사정을 정려 수행과 관련시켜 살펴보자. 

예를 들어 현실에서 수술을 한다고 하자. 
칼로 살을 잘라내야 한다. 
이 상황에서 보통 의사는 마취제를 사용하게 된다. 
그런다고 살을 잘라내는 수술을 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현실에서 문제되는 생사고통의 성격은 이와 같다. 
그런데 마취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정려의 사마타 수행으로 이런 상태가 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어 삼국지의 관운장이 화살을 뽑아내는 수술상황과 성격이 같다. 
그 상황에서 관운장이 바둑에 초점을 맞추어 집중한다고 하자. 
그러면 나머지 영역에는 분별이 따르지 않게 된다. 
그런 상태에서 수술을 하게 된다. 
본래 감각현실의 상태에는 그런 것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분별이 대응해 일어나지 않으면 고통을 겪지 않게 된다. 
그것이 제거되는 효과를 거둔다. 


한편 관념분별 영역도 마찬가지다. 
즉 ■ 만 떼어 놓고 보면 사정이 마찬가지다. 
■ 에는 ○ 이 없기 때문이다. [ 변계소집상의 상무자성 ]
그래서 이 두 재료 자체엔 생사고통을 본래 얻을 수 없다. 
단지 있는 것은 명자 뿐이다. 



그런데 감각현실 일정부분에 초점을 맞추고 
○ 은 ■ 이라고 여기는 상태에서는 사정이 달라진다. 

그리고 이 상태에 극심한 문제상태가 들어 있다. 

가장 간단한 사례는 다음이다. 
안경이 필요하다. 
그런데 방을 아무리 찾아도 안경이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불편함을 느낀다. 


그런데 안경을 찾은 상태도 문제다. 
그가 안경을 찾아서 저기 안경이 있다고 손가락으로 가리키는 상태가 되었다고 하자. 
이 상황이 망상분별 상태다. 
그 ○  부분에 그가 찾던 ■는 본래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그런 망상을 일으킨 상태에서는 사정이 다르다. 
사실 감각현실 영역 어디에도 그가 찾는 ■은 본래 얻을 수 없다. 
그런데 그는 그 가운데 ○ 부분을 대할 경우 
그 ○ 부분은 ■이라고 여기고 대한다. 
그리고 다른 부분들은 또 ■이 아니라고 여긴다. 
이것이 상을 취한 상태다. 
그리고 이것이 망상분별 현상이다. 


그리고 그는 이후 매 상황을 이런 망상에 바탕해서 대한다. 
그래서 그런 경우 그 안경을 그처럼 찾은 것과 찾지 못한 차이가 크다. 
이 사정을 앞에서 살폈다. 

예를 들어 그런 경우 밥을 찾아 손가락으로 가리킬 수 있게 된 상태와 
그렇지 못한 경우는 차이가 있다. 
그런 상태에서는 다시 그 이후도 이에 바탕해 다르다고 여긴다. 
밥을 찾아 먹으면 이후 배가 부른다고 여긴다.  
그러나 그렇지 못하면 배가 고프다고 여긴다. 
그리고 그 상태로 오래 있으면 죽는다고 여긴다. 
이런 차이가 있다.

그런데 어느 한 단면의 ○ 에도 그가 문제삼는 ■ 을 얻을 수 없다. 



그래서 망집을 일으킨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차이가 크다. 


망집을 일으킨 경우 그에 바탕해서 업을 행한다. 
그리고 생사고통을 겪어 나가게 된다. 

그 가운데 가장 극심한 상태는 다음이다. 

매순간 당장 고통으로 여겨지는 내용을 얻게 된다. 
그리고 한편 장래 얻을 고통을 생각하며 극심한 공포를 겪는 상태가 있다. 
이 상태가 제일 심한 상태다. [지옥]


한편, 당장 고통으로 여길 상태에 놓여 있다. 
자신이 추구하는 것이 얻어지지 않은 상태다. 
그런데 언젠가는 얻으리라 희망을 갖는다. 
그리고 그 상태에 갈증을 느낀다. 
그런 가운데 업을 행하는 상태가 있다. [아귀]

한편, 자신이 매 순간 대하는 것의 본 정체를 잘 파악하지 못한다. 
그런 가운데 좋음과 나쁨을 번갈아 얻어 나간다. [축생]
이런 3 악도의 상태가 망집상태를 바탕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이 상태를 시정해야 한다. 

그래서 그런 상태에 놓이게 되는 과정을 잘 살펴야 한다. 

본래 그 상황을 구성하는 재료 자체에는 그런 내용을 본래 얻을 수 없다. 
그렇지만 망집을 일으킨 상태에서는 
매 순간을 실답게 여기며 생생하게 겪어 나가게 된다. 
그래서 본래 그렇지 않은데도 그렇게 되는 과정을 먼저 살펴야 한다. 

한 주체가 한 정지단면에서 망상분별을 일으킨다. 
그래서 ○은 ■ 이라고 잘못 여긴다. 
그리고 그런 바탕에서 집착을 일으킨다. 

그런데 집착 가운데 자신과 자신의 것에 가장 극심하게 집착을 갖는다. 
즉 일정 부분 내용은 자신이라고 잘못 여긴다. 
그리고 또 어떤 부분은 그런 자신의 것이라고 잘못 여긴다. 
여기에는 그런 망상분별을 일으키는 배경 사정이 있다. 
○ 부분을 대하면 자신이라고 여길만한 성품이 거기에 들어 있다고 분별을 일으킨다. 
예를 들어 생명이 공통적으로 갖는 성품이다. 
또는 자신만 갖는다고 여기는 성품이다. 
그런데 이런 성품은 분별 영역에서 일으킨 관념내용■ 이다. 
그리고 그 각 부분에는 본래부터 그런 내용이 얻어지지 않는다. 
그런데 그가 그 부분을 대하면서 그런 분별을 일으킨다. 
그런 가운데 그 부분에 그런 성품이 '들어 있다'고 여기고 대하는 것뿐이다. 


그런 가운데 일정 부분을 자신으로 여긴다. 
그리고 그런 망집을 바탕으로 업을 행한다. 

즉 망집을 바탕으로 관념영역에서 소원을 일으킨다. 
그리고 이를 성취하기 위해 무언가를 행하게 된다. 
본래 자신이 일으킨 소원 ■ 에 해당한 내용은 그 영역에서 얻을 수 없다. 
그러나 그는 감각현실 □ 부분에 ■을 얻을 수 있다고 여긴다. 
그래서 ■에 해당한 내용을 감각현실 □ 부분에서 얻어 내기 위해 업을 행한다. 
그래서 □ 부분을 휘젖게 된다. 
그는 일정 부분 ○ 에는 자신이 찾는 ■ 이 있다고 여긴다. 
그래서 그런 ○ 가 얻어지면 이제 손가락으로 그 부분을 ■ 이라고 가리킬 수 있다고 여긴다. 
그래서 그런 상태를 찾아 업을 분주히 행하게 된다. 


그리고 이 과정이 전제척으로 망상분별으로 바탕으로 진행된다. 
하나하나 살펴보면 이 과정 처음부터가 잘못 되었다. 

그런데 한번 망집을 일으킨 후 매듭이 지어진 상태에서는 이 상태를 벗어나기 힘들다. 

한편 그런 바탕에서 인과를 대강 좁고 짧고 얕게 관찰한다. 
그런 가운데 방안을 찾아 행해 나간다. 
그 주체는 그것이 소원을 성취할 방안이라고 여긴다. 
그렇게 망집에 바탕해 업을 행한다. 
그러면 그것이 축적되어 결국 극심한 생사고통을 받는 상태에 묶이게 된다. 

이것이 생사현실 상황의 문제다. 



이 전반적인 과정을 살핀다고 하자. 
이런 경우 처음 일으킨 망상분별만 놓고 살피면 문제가 비교적 가볍다 .
예를 들어 허구적인 만화나 시나 소설을 대한 것과 성격이 비슷하다. 

그런데 생사현실의 사정은 이와 다르다. 
망집에 바탕해 그것을 대단히 실답게 여긴다. 

즉, 그가 생각하는 ■은 감각현실 ○ 에도 그처럼 있다고 잘못 여긴다. 
한편 본 바탕 실재에도 그런 내용이 그처럼 있다고 잘못 여긴다. 
그래서 침대에서 꾼 바다나 황금꿈과는 성격이 다르다고 잘못 여긴다. 
따라서 자신이 일으킨 분별■이 대단히 실답다고 잘못 여긴다. 
그런데 각 상황에 있다고 할 것은 명자뿐이다. 

본 바탕과 감각현실 □ 을 얻지만, 
이들 영역에 그가 찾는 ■ 은 본래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 음악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us0fl--Jean Lumiere - La Petite Eglise.lrc





생사현실에서 한 주체가 문제삼는 
자신이나 그 생사나 생멸을 본래 얻을 수 없다. 
그런 사정을 앞에서 계속 살폈다. 

그런 사정을 또 정려 수행을 통해 잘 이해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이런 여러 수행은 어떤 바탕에서 무엇이 행하는가를 
함께 잘 이해해야 한다. 

앞에서 문제삼는 자신이나 생사 생멸을 얻을 수 없다고 제시했다. 
이는 실재가 전혀 아무것도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또 여러 감각현실을 얻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도 않는다. 
단지 문제삼는 내용■을 실재나 기타 다른 영역에서 얻을 수 없음을 의미한다. 

그래서 이는 유무의 극단을 모두 떠난다. 

유의 극단은 무언가가 실답게 있음을 고집한다. 
무언가 얻으면 그것이 다른 영역에도 있다고 잘못 여긴다. 
또 그와 관련된 진짜에 해당한 참된 실체가 있다고 잘못 여긴다. 
그렇지 않다. 

무의 극단은 아무 것도 전혀 없다고 잘못 이해한다. 
그런데 그런 것은 아니다. 
아주 없는 것은 아니다. 
현실에서 각 영역에서 각기 내용을 얻는다. 
그러나 그것은 다른 영역에서 얻을 수 없는 내용이다. 
즉 다른 영역에서 얻을 수 없는 것을 그런 조건에서 화합해 얻는 것 뿐이다. 
마치 침대에 누어 꾼 바다나 황금꿈과 성격이 같다. 
그래서 실답지 않게 있는 것이다. 

이 사정을 있는 그대로 잘 파악해야 한다. 


그런 가운데 현실에서 스스로 자신이라고 분별하는 내용도 
성격이 이와 같다. 

자신이라고 여기고 대하는 내용을 ▽ 라고 표시해보자. 
▽ 은 그렇게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에 그가 생각하는 그런 내용은 얻을 수 없다. 

그런 가운데 그가 ▽이 곧 자신이라고 망집을 일으켜 임한다고 하자. 
그러면 이후 그 사정이 악화된다. 
그런 바탕에서 점차 생사고통을 극심하게 받는 상태가 된다. 

그런데 그 상태에서 있는 그대로 사정을 이해하면 달라진다. 
그러면 망집이 제거된다. 
그리고 망집에 바탕해 행하던 업을 중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미 쌓아 놓은 업의 장애를 제거할 수행을 대신 원만히 행하게 된다. 

그렇게 망집을 제거할 때 사라지는 것은 망집뿐이다. 
원래 망집을 일으킨 재료 자체는 늘고 줆이 없다. 

이 사정이 『불설성법인경』에 다음처럼 제시된다. 

그가 마음속으로 생각하기를, 


▸ ‘나의 아(吾我)★★가 생겼다가 사라지니 
어디에서 생겨난 것일까?’라고 하고, 
곧 사유하여 
‘나의 아(我)가 의미를 익히고 
모든 식(識)을 분별하는 소인(所因)이니 
모두 인연에서 이러한 업에 이르고, 
이러한 인연에서 신식(神識)이 있게 되었구나’라고 깨달아 안다. ◂
 


또 생각한다.
‘이들 모든 인연은 유상(有常)할까, 무상할까?’

또 생각한다.


▸ ‘인연이 합하여 이루어진 신식은 
모두 무상(無常)★★하고, 근본이 없다. 
이 신식이 무상(無常)★★에 의지하여 망상(妄想)을 만들어 낸다. 
그러므로 인연에 따라 12인연이 있다. ◂
 

『불설성법인경』 ♣0750-001♧




예를 들어 어떤 벽돌을 자신이라고 잘못 여긴다고 하자. 
그런데 그런 벽돌을 자신으로 여기게 된 과정을 12 연기를 통해서 이해하게 된다. 

그리고 이를 계기로 종국적으로 그 벽돌이 자신이 아님을 이해했다고 하자. 
그런데 이처럼 올바른 이해를 한다고 해서 
그런 경우 처음 망상을 일으키게 한 재료 자체가 어디로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이렇게 이 경우 자신으로 여겼던 내용이 없어졌다고 허탈해할 수도 있다. 
그런데 처음 있다고 여긴 그런 자신이 본래 있는 것이 아니었다. 
그래서 어떤 것이 있다가 없어지게 된 것이 아니다. 
단지 본래부터 없던 것을 없다고 올바로 상응하게 이해하게 되는 것뿐이다. 

그리고 그런 벽돌을 대해 자신으로 여겼던 잘못된 분별만 제거된다. 
그리고 이후 그런 분별을 바탕으로 행하는 업이 제거될 수 있다. 
그러면 그런 바탕에서 받게 될 생사고통이 제거된다. 

이것이 1차 수행의 목표점이다. 



그리고 이후 그런 해탈을 얻게 된다고 하자. 
그래서 생사의 묶임에서 벗어나게 된다. 
그리고 이런 사정을 잘 이해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이후 이를 바탕으로 
다른 생사현실에 임해서 중생을 제도하는 수행을 해나가게 된다. 
그런 경우 생사현실에 임해 중생과 눈높이를 맞추어 임하게 된다. 
그리고 그런 가운데 생사현실에서 중생을 제도할 무량한 복덕과 지혜를 구족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이들 기본 수행이 필요하다. 


종합적으로 결론을 내려 보자. 

우선 생사현실에 집착을 갖고 대할 자신과 그 생사를 얻을 수 없다. 
그런데 생사현실에서 망집을 바탕으로 자신이라고 여기고 대하는 내용이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비유적으로 어떤 벽돌을 자신이라고 잘못 여긴다고 하자. 
그런데 잘 살피면 갓난아이때부터 소년 장년 노년을 거치는 가운데 
매순간 내용이 다르다. 
더 나아가 생사과정을 놓고 보면 더 차이가 크다. 
그런데 매 상황 매 순간 이런 것을 자신으로 여기고 대하게 만드는 기제가 있다. 
근본 정신과 제 7 식 그리고 이로부터 다시 분화되는 전 5식과 제 6 식 등이 그런 것이다. 
그래서 보특가라(윤회주체)로 그런 근본정신을 들게도 된다. 
그리고 이를 다시 실질적 자신으로 여기게도 된다. 

그런데 앞에서 죽 이들 내용은 그런 자신이 아님을 보았다. 
그리고 그것은 참된 진짜에 해당하는 실체도 아님을 보았다. 
즉 그런 성품은 그런 각 부분에서 얻을 수 없다 .
이를 간단히 ○ 에서 ■을 얻을 수 없다는 형태로 살폈다. 

다만 그렇다해도 그 상황에서 그런 망집을 일으킨 재료는 그렇게 얻는다. 
또 본 바탕에서는 그런 망집의 유무와 관계없이 늘고 줆이 없다. 
한편 비유로 벽돌을 자신으로 여기게 하는 a 성품을 갖는다고 여겼다고 하자. 
그런 내용도 별 차이가 없다. 

그런데 이런 상황에서 이들 내용을 놓고 망집을 갖고 대하는가 아닌가의 차이가 크다. 
따라서 현실 내용을 놓고 판단을 잘 해야 한다. 

망집을 일으킨다고 하자. 
그러면 이에 바탕해 업을 행하게 된다. 
그러면 망집에 바탕해 본래 얻을 수 없는 생사고통을 장구하게 생생하게 겪어나가게 된다. 


그래서 근본원인이 되는 망집을 제거해야 한다. 
망집을 제거해도 그 재료나 기제는 그대로다. 
그래서 그에 보리(깨달음)와 생사묶임에서 벗어난 니르바나(열반) 상태를 채워야 한다. 
그리고 복덕자량과 지헤자량을 구족해야 한다. 

생사현실에서 이 둘의 차이가 크다. 
한쪽은 열반 즉 생사의 입장이 되어 무량한 생사고통을 겪어 나간다. 
즉 본래 그런 생사를 얻을 수 없는 니르바나 상태다. [열반적정]
그런데도 망집으로 그런 니르바나를 생사고통으로 여기고 대한다. 

이것을 전환해야 한다. [전식득지]
일반 중생이 생사고통으로 여기고 현실을 대한다. 
그런데 그 현실에 그런 내용을 본래 얻을 수 없음을 잘 이해하고 관해야 한다. 
즉, 생사 즉 열반이다. 
그런 바탕에서 생사현실에 임해야 한다. 
그리고 그런 바탕에서 중생을 제도할 수행을 닦아 나가야 한다. 
그래서 무량한 복덕과 지혜를 구족해나가게 된다. 
그래서 그 차이가 크다. 

본 바탕에서는 이들 내용을 본래 얻을 수 없다. 
그런 가운데 
생사현실 측면에서는 그런 차이가 나타난다. 
따라서 동가홍상의 원칙에 의해서 양 측면에서 장점을 다 잘 취해야 한다. 

본래 얻을 수 없는 측면을 통해 생사고통과 번뇌를 제거한다. 
그렇지만 생사현실에서 얻고 중생들이 있다고 여기고 대하는 측면에서는 
무량한 복덕과 지혜를 구족해 중생을 잘 제도해야 한다. 
경전에서 제시하는 수행은 결국 이런 내용이다. 

 

◧◧◧ para-end-return ◧◧◧ 


















































 

























◆vufl4735
◈Lab value 불기2564/06/20

 
Guy Beart - C'est Apres Que Ca Se Passe (1973)


○ 2019_1004_174902_nik_ct18.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Theophile Steinlen-misere-et-splendeur-1908
[#M_▶더보기|◀접기|
Artist: Theophile Steinlen
https://en.wikipedia.org/wiki/Théophile_Steinlen
Title : misere-et-splendeur-1908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18_0419_140522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aes_Old_Woman_Dozing
[#M_▶더보기|◀접기|
Nicolaes Maes (1634–1693) 
English: Old Woman Dozing
https://en.wikipedia.org/wiki/Giovanni_Battista_Piranesi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Armenia - Yerevan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mus0fl--Lorie - Sur Un Air Latino.lrc






♥단상♥홍익생명화안열색사심사 

본인에게 평소 부족한 내용을 붙여서 
새로운 서원을 만들어 보았다. 

서원을 갖는다고 바로 성취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적어도 방향을 잡았다는 점에 의미는 있다. 

몸이 아프다보니 여러가지 우울하다. 
아픔을 공감해주는 이도 주변에 적다. 


원래부터 혼자 늙고 병들고 죽어간다.
그런데 주변에 친근한 이가 있으면 그래도 위안이 되고 도움될 수 있다. 
좀 더 안락하게 늙고 병들고 죽어갈 수 있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각자 자기 살아가기 바쁘다. 
다른 이의 고통까지 공감하면서 도움을 주는 이가 거의 없다. 
그래도 조금이라도 친근한 경우는 그런 기대를 갖기도 한다. 
그런데 사정이 별로 다르지 않다. 

혼자 외롭게 죽어가게 된다. 

그런 가운데 새로 서원을 한번 일으켜 본다. 

집착을 가졌던 것은 내려 놓는다.
그간 친근하게 지낸 경우들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자칫 기대를 가진 만큼 원망이나 미움으로 성격이 바뀔 수도 있다. 
집착을 내려 놓는다는 것과 미움을 갖는 것은 다른 문제다. 
집착을 내려 놓는 것으로 충분하다. 
미움을 갖지 않는다고 다시 집착을 가지면 그것도 또 문제다. 




상을 취하지 않으려 노력하는 가운데 5일째 통증을 겪게 된다. 
그러다보니 결국 통증이란 낯선 감각이었을 뿐이다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리고 본래 생사를 얻을 수 없고 본래 무아다. 
그런 사정상, 큰 관계는 없다. 
다만 다음 생도 또 수행을 해야한다. 
그래서 다음 생을 고려하며 서원을 구상하며 보내게 된다. 

그런 가운데 앞으로 수행을 하더라도 
수행시작시점부터 마칠 때까지 
존중받고 수행을 해야겠다고 생각하게 된다. 
그래야 중생제도의 효과가 크다. 
이번 생은 별로 그렇지 못했다. 
현재는 연구실 안에서도 잘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 음악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us0fl--Edith Piaf - Le Noel De La Rue.lrc



다리가 아프니, 화장실에서 일보는 것도 힘들다. 
이것저것 꺼내서 식탁에 놓고 먹는 것도 힘들다. 
그러다보니 냉장고에 있는 간편한 먹거리를 꺼내 먹게 된다. 
그러다보니 잔소리를 많이 듣는다. 

5 일째 되는 날 현재 본인 상황을 숙왕화님에게 호소했다. 
그랬더니 조금 달라졌다. 
그리고 그 여파로 다른 연구원들 태도도 조금 달라졌다. 

그리고 아침에는 prince 님이 나타났다. 
요즘 prince 님 사정이 대단히 복잡하다. 
몸이 아픈 본인보다 더 상태가 복잡하다. 
잘못되면 앞으로 prince 님을 보기 힘들게 될 지도 모른다. 
그런데 prince 님이 갑자기 나타나서 여러가지를 묻고 사라졌다. 

그리고 숙왕화님이 다시 풍성하게 과일을 들고 나타났다. 
그리고 병에 좋다는 여러가지를 제공해줬다. 

하나는 석류로 만든 것이라고 한다. 
또 하나는 매실로 만든 것이다. 

또 오래전에는 노니분말가루도 주었다. 

그래서 이들 여러가지를 함께 복합해서 열심히 먹고 있다. 
이것들을 먹으니 염증 증세도 덜한 것 같기도 하다. 

mun 님이 오래전에 비슷한 증상이 있었다. 
그리고 이 통증이 여성의 산고보다 더 심하다고 한다. 
그런데 mun 님은 여성이 아니다. 
출산 경험이 없는 이가 어떻게 
여성의 산고와 비교해서 덜하고 더한가를 알 수 있을 것인가. 

그런데 이런 고통들이 수행자에게는 수행에 어느 정도는 도움을 준다. 
그리고 이런 상황에서 어이가 없어지는 상황이 특히 더 도움되다. 
아픈데도 사정을 안 보아주고 더 잔소리하는 상황이 그런 경우다.

정신적인 고통과 육체적인 고통이 함께 주어질 때 
상을 취하지 않고 잘 극복해야 한다. 
그런데 대부분 실패한다. 
본인도 실패했다. 

결국 숙왕화님에게 sos 신호를 보내서 조금 숨을 돌리게 된다. 
숙왕화님이 본인이 새로 만든 모토에 대해서 질문을 한다. 
다른 내용은 대강 알겠는데 사심사가 무슨 의미인지 잘 모르겠다고 한다. 
일종의 다라니처럼 들리는 듯 하다. 

그래서 다라니처럼 설명해주었다. 

사심사는 본래 뜻없음이다. 
그런데 사와 심과 사로 나타낼 수 있는 무량한 뜻 가운데 
좋은 뜻을 다 담은 것이다. 
이렇게 설명해 주었다. 

그래서 
예를 들어 깊이 있게 죽음을 생각한다. 
이런 뜻도 가질 수 있다. 
또는 깊게 생각하게 만든다. 
이런 뜻도 가질 수 있다. 
또는 버리고 깊게 생각한다. 
이런 뜻도 가질 수 있다. 
기타 등등이다. 

올려진 노래에서도 무덤이란 단어가 들린다. 
무덤은 수행자에게 친숙한 공간이다. 
생사와 늘 관련되기 때문이다. 
원칙적으로는 무덤가에서 수행할 것이 제시되기도 한다. [12두타행-塚間住 śmāśānikaḥ] 

여러 노래를 듣다보면 엉뚱하게 
나중에 숙왕화님이 본인 무덤에 찾아 온다는 말을 듣기도 한다. 

여하튼 숙왕화님의 노력에 의해서 상황이 많이 좋아졌다. 
이에 영향을 받아서인지 다른 연구원들도 격려 메세지를 보내준다. 
옆구리를 찔러 밥얻어 먹는 식이다. 
그런데도 기분이 좋아진다.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0750-t0103-001.html#4735
sfed--불설성법인경_K0750_T0103.txt ☞법인
sfd8--불교경율논코너sp_2564_06.txt ☞◆vufl4735
불기2564-06-20
θθ
 





■ 퀴즈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

【범】mahā-bhūmikā 선(善)ㆍ악(惡)ㆍ무기(無記) 등 심식(心識)이 일어날 적에 반드시 따라 일어나는 심소(心所)의 총칭. 수(受)ㆍ상(想)ㆍ사(思)ㆍ촉(觸)ㆍ욕(欲)ㆍ혜(慧)ㆍ염(念)ㆍ작의(作意)ㆍ승해(勝解)ㆍ삼마지(三摩地)의 10법을 말함.

답 후보
● 대지법(大地法)
도(度)

도법지(道法智)
도종지(道種智)
돈교(頓敎)
돈단(頓斷)
동법상사과류(同法相似過類)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Brigitte Bardot - Sidonie
Jacques Brel - Les Biches
Edith Piaf - Le Chasseur De L'hotel
Vincent Liben - Bille En Tete
Edith Piaf - L'etranger (Juel-Monot-Malleron)
Julien Clerc - Ivanovich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List of bodhisattvas
[san-chn] śāstādevānāṃcamanuṣyāṇāṃca 天人師
[san-eng] imān.h $ 범어 these
[pali-chn] paṭipanna 向
[pal-eng]
[Eng-Ch-Eng] traceless nature 無覆無記
[Muller-jpn-Eng] 善說法 ゼンセッポウ good explanations of the dharma
[Glossary_of_Buddhism-Eng] THEOSOPHICAL SOCIETY☞
[fra-eng] agrippées $ 불어 gripped


■ 다라니퀴즈

자비주 16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64 번째는?




16
○ 만일 비구·비구니·우바새·
우바이·동남·
동녀가
이 주문을 외우고 지니려면,
모든 중생에게 자비심을 일으키고
먼저 마땅히 저(관세음보살)를 향해
이러한 원을 발해야 하나이다.
○ 대비하신 관세음보살께 귀의합니다.
제가 빨리 모든 법을 알기를 원하옵니다.
南無大悲觀世音 願我速知一切法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속지일체법
○ 대비하신 관세음보살께 귀의합니다.
제가 일찍 지혜의 눈을 얻기를 원하옵니다.
南無大悲觀世音 願我早得智慧眼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조득지혜안
○ 대비하신 관세음보살께 귀의합니다.
제가 빨리 일체 중생을 제도하기를 원하옵니다.
南無大悲觀世音 願我速度一切衆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속도일체중
○ 대비하신 관세음보살께 귀의합니다.
제가 일찍 좋은 방편을 얻기를 원하옵니다.
南無大悲觀世音 願我早得善方便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조득선방편
○ 대비하신 관세음보살께 귀의합니다.
제가 빨리 지혜의 배에
올라타기를 원하옵니다.
南無大悲觀世音 願我速乘般若舩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속승반야선
○ 대비하신 관세음보살께 귀의합니다.
제가 일찍 고통의 바다[苦海]를 건너기를 원하옵니다.
南無大悲觀世音 願我早得越苦海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조득월고해
○ 대비하신 관세음보살께 귀의합니다.
제가 빨리 계(戒)가 충족된 도(道)를 얻기를 원하옵니다.1)
南無大悲觀世音 願我速得戒足道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속득계족도
○ 대비하신 관세음보살께 귀의합니다.
제가 일찍 열반산에
오르기를 원하옵니다.
南無大悲觀世音 願我早登涅槃山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조등열반산
○ 대비하신 관세음보살께 귀의합니다.
제가 빨리 무위의 집[無爲舍]에
들기를 원하옵니다.
南無大悲觀世音 願我速會無爲舍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속회무위사
○ 대비하신 관세음보살께 귀의합니다.
제가 일찍 법성신(法性身)과 같아지기를 원하옵니다.
南無大悲觀世音 願我早同法性身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조동법성신
○ 제가 만약 칼산[刀山]지옥을 향하게 되면
칼산[刀山]이 저절로 꺾어지이다.
我若向刀山 刀山自摧折
아약향도산 도산자최절
○ 제가 만약 화탕(火湯)지옥을 향하게 되면
화탕(火湯)이 저절로 사라지이다.
我若向火湯 火湯自消滅
아약향화탕 화탕자소멸
○ 제가 만약 지옥을 향하게 되면
지옥이 저절로 없어지이다.
我若向地獄 地獄自枯渴
아약향지옥 지옥자고갈
○ 제가 만약 아귀를 향하게 되면
아귀는 저절로 배가 불러 만족해지이다.
我若向餓鬼 餓鬼自飽滿
아약향아귀 아귀자포만
○ 제가 만약 수라를 향하게 되면
나쁜 마음은 저절로 길들여지이다.
我若向修羅 惡心自調伏
아약향수라 악심자조복
○ 제가 만약 축생을 향하게 되면
저절로 큰 지혜를 얻어지이다.
我若向蓄生 自得大智慧
아약향축생 자득대지혜
● 살바보다나마바가 薩婆菩多那摩婆伽<十六> sar va bhu ta na ma va ga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64
가마로 나바 바
迦摩路<引>訥婆<二合>嚩<六十四>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72일째]
불가언설이류법 $ 043▲最妙最妙為 一 ● 泥羅婆, ○□□□□,不,不,不,念

□□□□□□□, 不可言說異類心,
不可言說異類根, 不可言說異類語,
□□□□□□□, 불가언설이류심,
불가언설이류근, 불가언설이류어,

다른 종류 법들을 말할 수 없고
다른 종류 마음을 말할 수 없고
다른 종류 근기를 말할 수 없고
다른 종류 언어를 말할 수 없어



[173째]
념념어제소행처 $ 044▲泥羅婆泥羅婆為 一 ● 訶理婆, ○□□□□,調,所,所,於

□□□□□□□, 調伏眾生不可說。
所有神變不可說, 所有示現不可說,
□□□□□□□, 조복중생불가설。
소유신변불가설, 소유시현불가설,

찰나찰나 다니는 여러 곳에서
중생을 조복함도 말할 수 없고
갖고 있는 신통 변화 말할 수 없고
보이어 나타냄도 말할 수 없어

045□



●K1164_T1371.txt★ ∴≪A불설성대총지왕경≫_≪K1164≫_≪T1371≫
●K0750_T0103.txt★ ∴≪A불설성법인경≫_≪K0750≫_≪T0103≫
●K1154_T1284.txt★ ∴≪A불설성보장신의궤경≫_≪K1154≫_≪T1284≫

법수_암기방안


43 꼬마(새끼)발가락 the little toe
44 네째발가락 the fourth toe
16 겨드랑이 [암핏 armpit]
64 척골(尺骨)[자뼈]
● [pt op tr] fr
_M#]



○ 2020_0606_132603_can_bw8.jpg


○ 2018_0814_161427_can_exc.jpg


○ 2018_0722_170644_nik_ar37.jpg


○ 2020_0131_161306_can_CT28.jpg


○ 2018_0419_140810_can_exc.jpg


○ 2019_0405_163237_can_exc.jpg


○ 2016_1008_141121_can_ct27.jpg


○ 2018_0419_140659_can_ar45.jpg


○ 2020_0128_094331_can_Ab27.jpg


○ 2020_0515_194842_can_ct27.jpg


○ 2019_0405_171241_nik_ct33.jpg


○ 2020_0317_125417_nik_ct27.jpg


○ 2020_0606_174112_can.jpg


○ 2016_1008_130119_can_exc.jpg


○ 2018_0722_161454_can_ar34.jpg





○ [pt op tr]
● 불설성법인경_K0750_T0103 [문서정보]- 경전논의 키워드

[#M_▶더보기|◀접기|
『불설성법인경』 ♣0750-001♧
[관련키워드]
법인

■ 본 페이지 ID 정보
불설성법인경_K0750-T0103-001
https://buddhism007.tistory.com/17345
sfed--불설성법인경_K0750_T0103.txt ☞법인
sfd8--불교경율논코너sp_2564_06.txt ☞◆vufl4735
불기2564-06-20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0750-t0103-001.html
htmback--불설성법인경_K0750_T0103_불기2564-06-20-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