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2년 12월 3일 토요일

불기2566-12-03_불설불모출생삼법장반야바라밀다경-k1423-007


『불설불모출생삼법장반야바라밀다경』
K1423
T0228

제7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불설불모출생삼법장반야바라밀다경』 ♣1423-007♧




제7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6_105751_nik_ct18


○ 2019_1105_161125_nik_BW21_s12


○ 2019_1106_092053_can_ar38


○ 2019_1106_152251_can_ar42


○ 2019_1105_170606_can_Ar26_s12


○ 2019_1201_163543_can_ct33_s12


○ 2020_0211_134524_can_fix


○ 2020_0905_112056_can_ar42


○ 2020_0905_113828_nik_CT28


○ 2020_0907_141508_can_BW27


○ 2020_0908_145948_nik_Ab27


○ 2020_0909_144505_can_Ab31


○ 2020_0910_132817_can_ori_rs


○ 2020_0910_133603_nik_BW25


○ 2020_0911_112814_can_ar9


○ 2020_1002_130824_nik_ct25


○ 2020_1017_161022_can_ct9_s12


○ 2020_1114_151812_can_bw4_s12


○ 2019_1104_101232_nik_ct9_s12
● [pt op tr] fr
_M#]




○ 2019_1104_132809_nik_ct8



❋❋본문 ◎[개별논의]

★%★
『불설불모출생삼법장반야바라밀다경』 ♣1423-007♧






◎◎[개별논의] ❋본문









★1★





◆vrci1408

◈Lab value 불기2566/12/03


○ 2020_0910_131536_nik_bw24.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pablo-picasso-the-swimmer-1929
[#M_▶더보기|◀접기|
Artist: pablo-picasso
from https://en.wikipedia.org/wiki/Pablo_Picasso
Title : the-swimmer-1929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20_0606_192604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The_Lee_Shau_Kee_Humanities_Buildings_1
[#M_▶더보기|◀접기|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union-grenada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상세정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2/union-grenada.html
https://buddhism007.tistory.com/18102
■htmback--B-♥union-grenada_불기2565-02-14-Tis.htm

Jean-Pierre François - “Je te survivrai“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2/12/2566-12-03-k1423-007.html#1408
sfed--불설불모출생삼법장반야바라밀다경_K1423_T0228.txt ☞제7권
sfd8--불교단상_2566_12.txt ☞◆vrci1408
불기2566-12-03
θθ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4연의 하나. 생멸 변화하는 사물을 내는 친한 인연.

답 후보
● 친인연(親因緣)
칠처팔회(七處八會)
타생(他生)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탁태(托胎)
탐진치(貪瞋癡)
태생(胎生)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MANU CHAO - La Vida Tombola
Rose Laurens - Africa
Mireille Mathieu - Abschiedslied (La Canzone Di Orlando)
Nicole !roisille - Parlez Moi De Lui
Benabar - Porcelaine
Dani - Qui Es Amo Governa
Keren Ann - Beautifull Day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氵 ■ (삼수변 수)
025▲ 少殳水氵氺 ■ 소수수수수 25 ( 적을 소/ 젊을 소 )( 몽둥이 수 )( 물 수 ) (삼수변 수) ( 물 수 )
012▲ 宀凡士巳三 ■ 면범사사삼 12ㅡ 집에서 평범한 선비가 머물면 뱀과 같은 지혜가 3개나 생겨난다. ( 집 면 [사방이 지붕으로 덮어 씌워져 있는 집] 갓머리( 부수( 部首)의 하나) )( 무릇 범 )( 선비 사 )( 뱀 사 )( 석 삼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Puggalapannatti
[san-chn] jinasya lena 佛室
[san-eng] vyaya-bhāva $ 범어 ḥouse of Expenditure/Loss or 12th
[pali-chn] ti-ratana 三寶
[pal-eng] micchaacaara $ 팔리어 nt.wrong behaviour.
[Eng-Ch-Eng] 四聖諦 Four Noble Truths 四聖諦 It is the primary and fundamental doctrines of Shakyamuni 1.Doctrine of Suffering - suffering is a necessary attribute of sentient existence (Effect of Suffering) 2.Doctrine of Accumulation - accumulation of suffering is caused by passions (Cause of Suffering) 3.Doctrine of Extinction - extinction of passion (Effect of Happiness) 4.Doctrine of Path - Path leading to the extinction of passion (Cause of Happiness); i.e. Eightfold Path. The first two are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is life, and the last two to the life outside and beyond this world. The Four Noble Truths were first preached to Shakyamuni's five former ascetic companions.\nThe "four noble truths" (a^rya-satya) which form the main content of the Buddha's first sermon given at Ba^ra^n!asi^. 【參照: 四諦】
[Muller-jpn-Eng] 止觀捨 シカンシャ indifference to calming and insight
[Glossary_of_Buddhism-Eng] YOGA☞
See also: Zen School.
“A form of meditation developed in ancient India aimed at liberating one from the physical limitations of the body, or more broadly,
from sufferings, by achieving concentration of mind and fusing with
the truth. There are several schools of yoga which employ a variety of
disciplines, including breath control, special postures, among others.
Today some of the physical yogic disciplines are widely practiced for
health and tranquillity of mind, without any particular religious
motivation.”
In contrast to yoga, Buddhist meditation (in Zen, Pure Land, etc.),
in its ideal form, centers on the full development of the Bodhi Mind,
the aspiration to achieve Enlightenment for the benefit of all sentient
beings. For details, see “Hinduism / Buddhism.”


[fra-eng] remontrant $ 불어 demonstrating


■ 암산퀴즈


855* 182
207000 / 300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12 번째는?
자비주 25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13 번째는?




12 청정한 계(戒)를 증장시키며,
사뎨 닐아라참포, 薩帝<丁斯反>昵<泥吉反>訶羅讖蒱<十二>
satya nir-hara ksam bhu,
말법시대의 지장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25
이때 대범천왕이
자리에서 일어나
의복을 단정히 하고 합장공경하며
관세음보살께 사루어 말하되,
"잘하나이다. 대사(大士)이시여,
제가 옛적부처 무량한 부처님 회상에서
가지가지 법과 가지가지 다라니를 들었으나
일찍이 이와 같은
광대무애대비심다라니신묘장구(廣大無㝵大悲陁羅尼神妙章句)는
설함을 듣지 못하였습니다.
오직 원하옵건대 대사께서는
나를 위하여
널리 이 다라니의 모양을 설해주소서.
나와 모든 대중은 즐겨 듣기를 원하나이다."
관세음보살께서
대범천왕에게 말씀하시되
"너는 방편으로 일체 중생을 이익케 하기 위하여
이와같이 묻는구나.
너는 잘 들어라.
내가 너희들 대중을 위하여
간략하게 말하리라."
관세음보살께서
말씀하시되,
"크게 자비로운 마음[大慈悲心]이 다라니의 모양이며,
평등한 마음[平等心]이 이것이며,
생기고 멸함이 없는 마음[無爲心]이 이것이며,
번뇌에 물듦이 없는 마음[無染着心]이 이것이며,
공을 관하는 마음[空觀心]이 이것이며,
공경하는 마음[恭敬心]이 이것이며,
낮추는 마음[卑下心]이 이것이며,
잡되고 어지러움이 없는 마음[無雜亂心]이 이것이며,
번뇌로 괴롭힘과 해침이 없는 마음[無惱害心]이 이것이며,
잘못된 견해에 대한 집착이 없는 마음[無見取心]이 이것이며,
위없이 가장 훌륭한 깨달음의 마음[無上菩提心] 이 이것이다.
이와같은 마음이
곧 다라니의 모양임을 알아야 하리라.
너희들은 마땅히 이것을 의지하여
수행하여야 하리라."
대범천왕이 말씀하되,
"저와 대중은 지금에
비로소 이 다라니의 모양을 알았으니
지금부터 받아 지니되,
감히 잊어버리지 아니하겠습니다."
● 마라마라 摩囉摩囉<二十五> ma la ma la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13
바라혜다야다나
波囉呬哆野怛曩<十三二合>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337일째]
피제신력불가설 $ 079▲謎魯陀謎魯陀為 一 ● 契魯陀, ○□□□□,彼,入,念,無

□□□□□□□, 彼諸方便不可說,
入空寂智不可說, 念念相續不可說,
□□□□□□□, 피제방편불가설,
입공적지불가설, 념념상속불가설,

저 모든 신통의 힘 말할 수 없고
저 모든 방편들도 말할 수 없고
고요한 지혜에 듦 말할 수 없고
생각생각 계속함을 말할 수 없고


[338째]
무량행문불가설 $ 080■ ■無 諸種了知變 示一勇清成
080▲ 契魯陀契魯陀為 一 ● 摩覩羅, ○□□□□,念,諸,悉,諸

□□□□□□□, 念念恒住不可說,
諸佛剎海不可說, 悉能往詣不可說,
□□□□□□□, 념념항주불가설,
제불찰해불가설, 실능왕예불가설,

한량없는 수행의 문 말할 수 없고
생각생각 머무름을 말할 수 없고
부처님의 세계해도 말할 수 없고
거기마다 나아감을 말할 수 없고





●K1200_T0229.txt★ ∴≪A불설불모보덕장반야바라밀경≫_≪K1200≫_≪T0229≫
●K1423_T0228.txt★ ∴≪A불설불모출생삼법장반야바라밀다경≫_≪K1423≫_≪T0228≫
●K1473_T0781.txt★ ∴≪A불설불십력경≫_≪K1473≫_≪T0781≫

법수_암기방안


79 검지 식지 (~집게)
80 거골[=발목뼈중 가장 윗뼈]
12 팔꿉 [elbow]
25 손바닥( 팜 palm)


13 노뼈 [radius]

155610
690

○ 2019_1201_153728_can_exc_s12


○ 2019_1201_154539_nik_fix


○ 2020_0905_114034_can_ori_rs


○ 2020_0906_115057_can_ori_rs


○ 2020_0910_124904_nik_ori_rs


○ 2020_0930_144327_nik_ori_rs


○ 2020_1017_155702_can_exc_s12


○ 2020_1017_165340_can_exc_s12


○ 2020_1017_172114_nik_exc_s12


○ 2020_1017_145648_can_ori_rs


○ 2018_1023_133921_can_ori


○ 2018_1023_125955_nik_ori


○ 2020_1114_130823_can_exc


○ 2020_1114_135722_can_ori


○ 2020_1114_144430_can_exc


○ 2020_1114_161602_can_exc


○ 2019_1104_141957_nik_exc_s12

● [pt op tr] fr
_M#]



○ 2018_1022_170109_can_ori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불설불모출생삼법장반야바라밀다경_K1423_T0228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불설불모출생삼법장반야바라밀다경』 ♣1423-007♧
[관련키워드]
제7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6-12-03_불설불모출생삼법장반야바라밀다경-K1423-007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2/12/2566-12-03-k1423-007.html
sfed--불설불모출생삼법장반야바라밀다경_K1423_T0228.txt ☞제7권
sfd8--불교단상_2566_12.txt ☞◆vrci1408
불기2566-12-03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2945004773
http://buddhism.egloos.com/archives/2022/12/03
htmback--불기2566-12-03_불설불모출생삼법장반야바라밀다경_K1423_T0228-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