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위백법
[한문]五位百法
[영어]one hundred elements belonging to the five categories】
❋추가참조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6_102441_nik_ar37
○ 2019_1106_112312_can_ar5_s12
○ 2019_1106_112749_can_ar44
○ 2019_1106_135548_can_ar45_s12
○ 2019_1106_152837_can_ct18
○ 2019_1105_111645_can_bw0_s12
○ 2019_1201_154631_can_ct8
○ 2020_0904_093842_nik_ct18
○ 2020_0904_132506_can_ct9
○ 2020_0905_140635_can_ct9
○ 2020_0907_173207_can_BW27
○ 2020_0909_151105_can_BW17
○ 2020_0910_111703_can_AB7
○ 2020_0910_133441_can_BW25
○ 2020_1002_124542_can_Ab35
○ 2020_1017_153533_can_ar3
○ 2018_1024_142715_nik_ct8_s12
○ 2018_1024_163824_can_ct36
○ 2020_1114_144430_can_CT27
○ 2019_1104_131827_nik_CT27
● [pt op tr] fr
_M#]
★2★
❋❋추가참조 ♥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오위백법
오위백법[한문]五位百法[영어]one hundred elements belonging to the five categories
유식파(唯識派)의 존재(存在)의 분류.
모든 존재를 심(心),
심소(心所),
색(色),
불상응행(不相應行),
무위(無爲) 등 5위(位)로 크게 구분한 뒤,
8종의 심,
51종의 심소,
11종의 색,
24종의 불상응,
6종의 무위 등으로 나누어 총 100종의 법으로 분석한 것.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오위백법
오위백법
[한문]五位百法
법상종에서 일체 만유를 분류하여 심(心)ㆍ심소(心所)ㆍ색(色)ㆍ불상응행(不相應行)ㆍ무위(無爲)의 5종으로 하고,
심에 8법,
심소에 51법,
색에 11법,
불상응행에 24법,
무위에 6법을 세워 백법으로 함.
⇒심소심소(心所)
● 오위백법 네이버백과 사전참조
● from 한국 위키백과https://ko.wikipedia.org/wiki/오위백법
한국 위키백과 사전참조 [불기 2566-12-04일자 내용 보관 편집 정리]
● 유식 5위 100 법 및 구사 5 위 75 법을 한번 함께 다 외어보기
[ 앞글자 1자를 떼어 한자로 5구씩 한시를 만들어 외우기]
● 유식 5위 100 법 및 구사 5 위 75 법을 한번 함께 다 외어보기
[ 앞글자 1자를 떼어 한자로 5구씩 한시를 만들어 외우기]
- 먼저 암기할 필요성을 자각한다.
5 위 100 법은 일단ㆍ 세상에서 그 존재에 대한 논의할 중요한 대표적 내용이다.
즉 이들을 놓고 그 정체나 기능을 잘 살펴야 한다.
그리고 생사고통을 제거하고 무량한 복덕과 지혜를 얻는 과정에서 이들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하나하나 살펴나가야 한다 .
따라서 이들 기본적 내용을 최소한 체계적으로 잘 정리해 기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래서 이를 즐거운 마음을 갖고 외우고 싶다는 마음을 일단 가져야 한다.
그리고 수행과정에서는 주로 선심소를 잘 성취해야 한다.
그리고 번뇌심소를 잘 제거하는 방안을 찾아 강구해야 한다.
[ 신체에 방을 5 위 100 법 체계로 나누어 방에 배치해 외우기 ]
전체 법수를 다음처럼 배치한다.
●심[8= 정수리
------------- 심●소[전체 51](얼굴부분) ------------
○변행심소 [5 윗이마-머리카락]
○별경심소 [5 아래이마]
○부정심소[ 4 눈썹 ]
● 선심소 [ 11 눈]
○ 근본 [ 6 코]
○ [대수혹 8 =] 콧수염 부위
○ [중수혹2 - 입술 ]
○ [소수혹10 -턱] 턱수염
----------------------------------------------------------------------------------------
불●상응[24 =왼팔+왼손+왼쪽다리] / ●색법11[=배] / ●무위법[6오른팔]
-------------------------------------------------------------------------------------------------------
■ 5위 =심ㆍ소ㆍ색ㆍ상ㆍ무ㆍ
[= 유위법 ( ●심왕ㆍ 심●소법ㆍ ●색법ㆍ 색심불●상응행ㆍ)+ ●무위법]
■유식오위100= ●심8 ●소51 ●색11 ●상24 ●무6
구사오위75= ●심1 ●소46 ●색11 ●상14 ●무3
---------------------
■ 유식●심법(8) = 안ㆍ이ㆍ비ㆍ설ㆍ신ㆍ의식ㆍ + 말나ㆍ아뢰야(식)
心法(8) -----------ㆍ●眼ㆍ●耳ㆍ●鼻ㆍ●舌ㆍ●身ㆍ●意 ㆍ●末那ㆍ●阿賴耶 [識]
[유식과 구사의 관계]
유식심법 8 = 구사심법1[전5식+제6의식] + 말ㆍ 아
구사심법 1 = 육식심왕六識心王. =[안ㆍ이ㆍ비ㆍ설ㆍ신식[전5식]+제6의식)
■ 心所有法(51)
[유식과 구사의 관계]
●심소의 차이
유식(심)소51 = 변5+별5+ 부4+ 선11+ 근6+ 수혹20(소10 중2 대8)
구사(심)소46 = 대10 + 부8+ 선10+ 소10 불2 번6
■ 유식 변행5= ●觸ㆍ●作意ㆍ●受ㆍ●想ㆍ●思
●遍行(●5) ------촉ㆍ작ㆍ수ㆍ상ㆍ사ㆍ
■ 유식 별경5= ●欲ㆍ●勝解ㆍ●念ㆍ●定ㆍ●慧
●別境(●5) ------욕ㆍ승ㆍ념ㆍ정ㆍ혜ㆍ
[유식과 구사의 관계]
유식변행 5+ 별경5 => 구사대지법 10
구사대지법10 = 유식학 변행5 + 별경5
< 첫글자 한자어를 묶어 한시처럼 감상해 외운다 >
■ 유식 선심소11. = ●信ㆍ●慚ㆍ●愧ㆍ●無貪ㆍ無●瞋 / ㆍ●不害ㆍ 不●放逸ㆍ●勤(精進)ㆍ●輕安ㆍ行●捨ㆍ/ 無●癡
善(11) ----- 신ㆍ 참ㆍ 괴ㆍ무ㆍ진 ㆍ불ㆍ방ㆍ근ㆍ경ㆍ사ㆍ치
[유식과 구사의 관계]
유식선심소(11) = 구사대선지법(10) + *무치
구사대선지법(10) = 유식선심소(11) - 1*(무치)
< 한자 첫글자가 반복되면 다른 글자를 택한다. 한자어를 묶어 한시처럼 감상해 외운다 >
< 5개씩 묶어 시를 만들어 외운다. - 10진법체계로 하는 것이 편하다. >
< 순서는 되도록 원 내용을 존중한다. 그러나 순서가 관계없을 때는 의미가 같은 것을 함께 묶는다.
또는 논리적인 순서로 재배열한다.
또는 시가 잘 만들어지는 순서로 변경한다.>
■ *유식 번뇌심소(근본번뇌)6 = 탐만진의 + 치 악[견]
煩惱(6) ------ ●貪ㆍ●慢ㆍ●瞋ㆍ●疑 + ●癡ㆍ●惡[見]
* 惡[見] (5) = ●신견ㆍ ●변견ㆍ ●사견ㆍ ●견취견ㆍ ●계금취견
[유식과 구사의 관계]
유식 번뇌심소(6) = 구사 부정지법(8중 4)(탐만진의) + 구사 대번뇌지법(중1)(치) + 악견 <구사에는 대지법의 혜에 속하며 따로 분류되지 않음>
* 구사 부정지법(8) = (유식근본번뇌 중 4) 탐만진의 + (유식부정지법 4) 수면ㆍ 악작ㆍ심ㆍ사ㆍ [=면ㆍ회ㆍ심ㆍ사]
■ 수번뇌 (20)
隨煩惱(20)
■ 유식 소수혹(10)= ●慳ㆍ●憍ㆍ ●嫉ㆍ●恨ㆍ●忿ㆍ●害ㆍ ●惱ㆍ●覆ㆍ●誑ㆍ●諂
小隨惑(10)ㆍ = 간교(*탐욕계열) 질한분해(*분노계열) 뇌부첨광(*탐+어리석음계열)
[ 유식과 구사의 관계]
유식소수혹10 = 구사소번뇌지법10
■ 유식 중수혹(2)
中隨惑(2)ㆍ = ●無慚 ㆍ無●愧
무참ㆍ무괴
[ 유식과 구사의 관계]
유식 중수혹(2) = 구사대불선지법(2)
■ 유식 대수혹(8)=
大隨惑(8) = ●不信ㆍ●懈怠ㆍ●放逸ㆍ●惛沈ㆍ●掉擧ㆍ+ / ●散亂ㆍ●失念ㆍ●不正知
= ‘불’ㆍ + 해ㆍ방ㆍ혼ㆍ도 + *산ㆍ실ㆍ부
[ 유식과 구사의 관계]
유식 대수혹 (8) = 구사대번뇌지법6- 치+산ㆍ실ㆍ부
구사 대번뇌지법(6) = 유식대수혹8- (산ㆍ실ㆍ부)+ 유식근본번뇌중1 (치)
■ *유식 부정심소4= 면ㆍ회ㆍ심ㆍ사
不定(4) ------睡眠ㆍ惡作ㆍ尋ㆍ伺
[ 유식과 구사의 관계]
구사부정심소 (8) = 유식부정심소(4)(면회심사) + 유식근본번뇌중 (탐만진의)
유식부정심소 (4) = 구사부정심소(8) (수면ㆍ악작ㆍ심ㆍ사ㆍ 탐만진의ㆍ) - 유식근본번뇌중 (탐만진의)
■ 유식색법(11.)= ●眼ㆍ●耳ㆍ●鼻ㆍ●舌ㆍ●身 ㆍ●色ㆍ●聲ㆍ●香ㆍ●味ㆍ●觸 ㆍ●法處所攝色
色法(11) = 안ㆍ이ㆍ비ㆍ설ㆍ신ㆍ 색ㆍ성ㆍ향ㆍ미ㆍ촉ㆍ 법처소섭색
법처소섭색 = 정자재소생색(●定自在所生色)ㆍ수소인색(●受所引色)ㆍ극략색(●極略色)ㆍ변계소기색(●遍計所起色)ㆍ극형색(極●逈色)
= 5근+ 5경 + 법처소섭색
[ 유식과 구사의 관계]
유식색법(11) = 구사색법(11) - 무표색 + 법처소섭색
구사색법(11)= 5근+ 5경 + 무표색
■ 불상응행법(24)------
득(●得)ㆍ명근(●命根)ㆍ중동분(●衆同分)ㆍ무상정(●無想定)ㆍ무상이숙(無●想異熟=無想果)ㆍ멸진정(●滅盡定)ㆍ
명신(●名身)ㆍ구신(●句身)ㆍ문신(●文身)ㆍ생(●生)ㆍ주(●住)ㆍ
노(●老)ㆍ 무상(無●常)ㆍ세속(●勢速)ㆍ차제(●次第)ㆍ수(●數)ㆍ
시(●時)ㆍ방(●方)ㆍ불화합성(●不和合性)ㆍ화합성(●和合性)ㆍ이생성(●異生性)ㆍ
유전(●流轉)ㆍ정이(●定異)ㆍ상응(●相應)ㆍ
☞ 유식종 불상응행법(24) 와 『구사론』 불상응행 (14) 가운데 공통된 (11)가지 :
득(●得)ㆍ명근(●命根)ㆍ중동분(●衆同分)ㆍ무상정(●無想定)ㆍ무상이숙(無●想異熟=無想果)ㆍ멸진정(●滅盡定)ㆍ
명신(●名身)ㆍ구신(●句身)ㆍ문신(●文身)ㆍ생(●生)ㆍ주(●住)ㆍ
유식에만 특유한 13가지 (『유가사지론』ㆍ 『대승백법명문론』):
노(●老)ㆍ 무상(無●常)ㆍ세속(●勢速)ㆍ차제(●次第)ㆍ수(●數)ㆍ
시(●時)ㆍ방(●方)ㆍ불화합성(●不和合性)ㆍ화합성(●和合性)ㆍ이생성(●異生性)ㆍ
유전(●流轉)ㆍ정이(●定異)ㆍ상응(●相應)ㆍ
『구사론』에만 특유한 것 (3):
비득(●非得)ㆍ이(●異)ㆍ 멸●(滅) **
10 득ㆍ명ㆍ중ㆍ 정ㆍ 멸ㆍ 명ㆍ구ㆍ문ㆍ 생ㆍ주ㆍ
14 + (유식특유) 노ㆍ상ㆍ보ㆍ 세ㆍ차ㆍ 수ㆍ 시ㆍ방ㆍ 불ㆍ화ㆍ --- 이ㆍ유ㆍ 정ㆍ상ㆍ
[순서조정]
득ㆍ명ㆍ 중ㆍ무ㆍ상ㆍ/멸ㆍ명ㆍ구ㆍ문 ㆍ생ㆍ/주ㆍ
+
노ㆍ상ㆍ세ㆍ차ㆍ수ㆍ/ 시ㆍ방ㆍ 불ㆍ화ㆍ 이ㆍ/유ㆍ정ㆍ 상ㆍ
(구사 특유)
비ㆍ이ㆍ멸ㆍ
非得ㆍ異ㆍ滅ㆍ
[ 유식과 구사의 관계]
유식불상응24 =
구사불상응 14 가운데 11 (득ㆍ명ㆍ 중ㆍ무ㆍ상ㆍ/멸ㆍ명ㆍ구ㆍ문 ㆍ생ㆍ/주ㆍ )
+ 유식특유 13 [ 노ㆍ상ㆍ세ㆍ차ㆍ수ㆍ/시ㆍ방ㆍ불ㆍ화ㆍ이ㆍ/유ㆍ정ㆍ상 ]
구사불상응14 = 유식불상응24 에서 11 (득ㆍ명ㆍ 중ㆍ무ㆍ상ㆍ/멸ㆍ명ㆍ구ㆍ문 ㆍ생ㆍ/주ㆍ )
+구사특유3 [비ㆍ이ㆍ멸ㆍ]
<한시로 잘 외어지면 한글로 말을 만들어 연상기억한다. >
유식 (해서ㆍ 명령을) 불응 24(시) =>
득ㆍ명ㆍ중ㆍ(~) 무상ㆍ 멸ㆍ(~) 명ㆍ구ㆍ문ㆍ 생ㆍ주ㆍ(~)
노ㆍ상ㆍ 세ㆍ차ㆍ수ㆍ(~) 시ㆍ방ㆍ 불ㆍ화ㆍ(~) 이ㆍ유ㆍ정ㆍ상ㆍ(~)
■ 유식무위법6 = ●虛空無爲ㆍ●非擇滅無爲ㆍ●擇滅無爲ㆍ/ ●不動滅無爲ㆍ●想受滅無爲ㆍ●眞如無爲
허ㆍ비ㆍ택 + 부ㆍ상ㆍ진
[ 유식과 구사의 관계]
구사무위법 = 허ㆍ비ㆍ택
유식무위법 = 구사무위법3(허ㆍ비ㆍ 택)+ (부ㆍ상ㆍ진)
-------------
[표 10] 唯識三十論頌의 心所法 分類
遍行(5) ------觸ㆍ作意ㆍ受ㆍ想ㆍ思
別境(5) ------欲ㆍ勝解ㆍ念ㆍ定ㆍ慧
善(11) ----- 信ㆍ慚ㆍ愧ㆍ三善根(無貪ㆍ無瞋ㆍ無癡)ㆍ勤(精進)ㆍ輕安ㆍ不放逸ㆍ行捨ㆍ不害
煩惱(6) ------貪ㆍ瞋ㆍ癡ㆍ慢ㆍ疑ㆍ惡見
隨煩惱(20)---- 忿ㆍ恨ㆍ覆ㆍ惱ㆍ嫉ㆍ慳ㆍ誑ㆍ諂ㆍ害ㆍ憍(10小隨惑)ㆍ
無慚ㆍ無愧(2中隨惑)ㆍ
掉擧ㆍ惛沈ㆍ不信ㆍ懈怠ㆍ放逸ㆍ失念ㆍ散亂ㆍ不正知(8大隨惑)
不定(4) ------惡作ㆍ睡眠ㆍ尋ㆍ伺
心法(8) -----------眼識ㆍ耳識ㆍ鼻識ㆍ舌識ㆍ身識ㆍ意識ㆍ末那識ㆍ阿賴耶識
心所有法(51)
遍行心所(5) ---作意ㆍ觸ㆍ受ㆍ想ㆍ思
別境心所(5) ---欲ㆍ勝解ㆍ念ㆍ定ㆍ慧
善心所(11) ---信ㆍ精進ㆍ慚ㆍ愧ㆍ無貪ㆍ無瞋ㆍ無癡ㆍ輕安ㆍ不放逸ㆍ(行)捨ㆍ不害
煩惱心所(6) ---貪ㆍ瞋ㆍ慢ㆍ無明ㆍ疑ㆍ不正見
隨煩惱心所(20)--忿ㆍ恨ㆍ惱ㆍ覆ㆍ誑ㆍ諂ㆍ憍ㆍ害ㆍ嫉ㆍ慳ㆍ無慚ㆍ無愧ㆍ不信ㆍ懈怠ㆍ放逸ㆍ
惛沈ㆍ掉擧ㆍ失念ㆍ不正知ㆍ散亂
不定心所(4) ---惡作ㆍ睡眠ㆍ尋ㆍ伺
色法(11)-----------眼ㆍ耳ㆍ鼻ㆍ舌ㆍ身ㆍ色ㆍ聲ㆍ香ㆍ味ㆍ觸ㆍ法處所攝色
不相應行法(24)------得ㆍ命根ㆍ衆同分ㆍ異生性ㆍ無想定ㆍ滅盡定ㆍ無想果ㆍ名身ㆍ句身ㆍ文身ㆍ生ㆍ老ㆍ住ㆍ無常ㆍ流轉ㆍ定異ㆍ相應ㆍ勢速ㆍ次第ㆍ方ㆍ時ㆍ數ㆍ和合性ㆍ不和合性
無爲法(6) ---------虛空無爲ㆍ擇滅無爲ㆍ非擇滅無爲ㆍ不動滅無爲ㆍ想受滅無爲ㆍ眞如無爲
[표 6] 俱舍論의 心所法 分類
大地法--------受ㆍ想ㆍ思ㆍ觸ㆍ欲ㆍ慧ㆍ念ㆍ作意ㆍ勝解ㆍ三摩地
大善地法 ------信ㆍ不放逸ㆍ輕安ㆍ捨ㆍ慚ㆍ愧ㆍ無貪ㆍ無瞋ㆍ不害ㆍ勤
大煩惱地法 ----愚癡ㆍ放逸ㆍ懈怠ㆍ不信ㆍ惛沈ㆍ掉擧
大不善地法 ----無慚ㆍ無愧
小煩惱地法 ----忿ㆍ覆ㆍ慳ㆍ嫉ㆍ惱ㆍ害ㆍ恨ㆍ諂ㆍ誑ㆍ憍
不定地法-------惡作ㆍ睡眠ㆍ尋ㆍ伺 等法(貪ㆍ瞋ㆍ慢ㆍ疑)
오위백법五位百法 | |||||||||||||||||||||||||||||||||||||||||
---|---|---|---|---|---|---|---|---|---|---|---|---|---|---|---|---|---|---|---|---|---|---|---|---|---|---|---|---|---|---|---|---|---|---|---|---|---|---|---|---|---|
5위五位 | |||||||||||||||||||||||||||||||||||||||||
유위법有爲法 (94) |
| ||||||||||||||||||||||||||||||||||||||||
무위법無爲法 (6) |
| ||||||||||||||||||||||||||||||||||||||||
■ '오위백법' 관련 기타 참고 사전 통합 검색
다음백과 https://100.daum.net/search/entry?q=오위백법
네이버백과 https://terms.naver.com/search.nhn?query=오위백법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오위백법
네이버한자 https://hanja.naver.com/search?query=오위백법
네이버지식 https://kin.naver.com/search/list.nhn?query=오위백법
네이버사전 https://endic.naver.com/search.nhn?sLn=kr&isOnlyViewEE=N&query=오위백법
위키영문 https://en.wikipedia.org/wiki/
구글 https://www.google.co.kr/?gws_rd=ssl#newwindow=1&q=오위백법
네이버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오위백법
다음 https://search.daum.net/search?w=tot&q=오위백법
--- 이하 단어 직접 입력 검색 ---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https://abc.dongguk.edu/ebti/c3/sub1.jsp
실용한-영 불교용어사전 http://dic.tvbuddha.org/
불광대사전(佛光大辭典) https://www.fgs.org.tw/fgs_book/fgs_drser.aspx
산스크리트어사전 https://www.sanskrit-lexicon.uni-koeln.de/monier/
티벳어사전 https://nitartha.pythonanywhere.com/index
● [pt op tr] fr
_M#]
■ 불교사전 링크 및 불교 사전 출처 종합 안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4/blog-post_21.html
●● 관련정보 사용페이지
----[‡사용한 다른 페이지]---
★%★
◎◎[개별논의] ♥ ❋추가참조
★1★
◆vubk1473
◈Lab value 불기2566/12/04/일/19:39 |
Michel Delpech - Le Fleuve Qui Coule En Silence
♥단상♥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2/12/one-hundred-elements-belonging-to-five-categories-cf.html#1473 sfx--dict/오위백법.txt sfd8--불교용어dic_2566_12.txt ☞◆vubk1473 불기2566-12-04 θθ |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용어퀴즈 다음 설명에 맞는 답을 찾으시오.
■ 용어 퀴즈
답 후보
● 아수라(阿修羅)
아자본불생(阿字本不生)
악(惡)
악차(惡叉)
안립제(安立諦)
암마락가(菴摩洛迦)
애별리고(愛別離苦)
■ 음악
Elodie Martelet - Tout Quitter
Chorus Meps & Jean-Louis Bergeron - Chacun Sa Route
Pierre Bachelet - Reviens Chez Nous
Francoise Hardy - Et Meme
Thibaut Derien - La Guerre Du Feu
Jacques Brel - Voir
Patrick Bruel - Au Cafe Des Delices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手 ■ ( 손 수 )
026▲ 氶手扌心忄 ■ 승수수심심 26 ( 이을 승 / 건질 증 )( 손 수 ) ( 재방변 수) (마음 심 )( 심방변 심 )
013▲ 彡上夕小尸 ■ 삼상석소시 13ㅡ 털 위의 세계에도 밤이 작게 있고 주검도 있다. ( 터럭 삼 / 성씨 섬 )( 윗 상 )( 저녁 석 / 사람 이름 역, 한 움큼 샤 )( 작을 소 )( 주검 시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Persecution of Buddhists
[san-chn] unnati-sthāna 高處
[san-eng] mārutatulyavegam.h $ 범어 with the speed equal to that of wind-god(his father
[pali-chn] dāruyanta 隸
[pal-eng]
[Eng-Ch-Eng] 來世 The coming world, the next life. The next rebirth that one wil undergo after passing from this life (aga^gata^dhvan). A future life; a subsequent life. Also 來生.
[Muller-jpn-Eng] 如是如是 ニョゼニョゼ just as it is
[Glossary_of_Buddhism-Eng] WUT’AI MOUNT ☞
Syn: Wu-Tai Shan.
“A mountain located in the Wu-t’ai mountain range in Shan-hsi
(Shansi) Province in China. From old, this five-peaked mountain
has been identified with Mount Ch’ing-liang where Bodhisattva
Manjusri [symbolizing the Buddhas’ transcendental wisdom] dwells.
It has therefore been revered as sacred. About 100 temples are said to
have been built on the flat summit of this mountain.
Today, many Zen temples and lamaseries are located there.”
Sokk: 507 #0307
[fra-eng] culot $ 불어 lower part
■ 암산퀴즈
136* 892
298764 / 516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13 번째는?
자비주 26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14 번째는?
13 부처님의 설법을 많이 듣는 일을 증장시키며,
비바 로가스바참포, 毘婆<縛迦反>路迦插婆讖蒱<十三>
vyavaloka ksapa ksam bhu,
일일관찰 지장,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26
관세음보살께서
말씀하시되,
"만약 선남자나
선여인이 이 신주를 지니는 자는
넓고 큰 깨달음의 마음[菩提心]을 내고
일체 중생을 제도하기를 맹세하며
몸으로 청정히 재계(齋戒)를 지니고
모든 중생에게 평등한 마음을 내며
항상 이 주문을 외우되
끊어지지 않게 하고
깨끗한 방에
거처하면서
청정하게 목욕을 하며
깨끗한 의복을 입고
깃발[幡]을 달고
등(燈)을 켜고
가지가지 향과 꽃과 여러가지 음식으로 공양을 올리며
마음을 이 다라니 외우는 곳으로 거두어
달리 의존[緣]할 바를 두지 말고,
법답게 외워 지녀라.
이 때 마땅히
일광보살(日光菩薩)과
월광보살(月光菩薩)과
무량한 별과 야차(夜叉)와
신선이 와서
증명하여
그 효험을 더할 것이며,
나는 이 때 천개의 눈으로 비추어 보고
천개의 손으로 보호해 줄 것이니,
이로부터 세간의 경서(經書)들을
모두 능히 받아 지닐 수 있고,
모든 외도의 법술이나
베다[圍陁] 전적 등도
또한 통달할 것이며
이 신주 외우는 자는
세상의 팔만사천가지의 귀신 병을
다 치료하여 낫게 할 수 있으며
일체 귀신을 부리며,
모든 천마와 모든 외도를 항복 받을 수 있나니라.
만약 산이나 들에서
경전을 외우고 좌선하고 있을 때
산에 있는 잡스러운 도깨비나
귀신들이 어지럽게 와서
마음을 번뇌롭게 하고
어지럽혀 안정하지 못할 때
이 주문을
한 편 내지 칠 편을 외우면,
모든 귀신들은 다 묶임을 당하리라.
● 마마혜리타야 (마마혜리다염) 摩摩醯唎馱孕<二十六> ma ma h ṛe da yaṃ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14
가로나 만타하리 나야
迦嚕拏<引>滿馱賀哩<二合>那野<十四>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338일째]
무량행문불가설 $ 080■ ■無 諸種了知變 示一勇清成
080▲ 契魯陀契魯陀為 一 ● 摩覩羅, ○□□□□,念,諸,悉,諸
□□□□□□□, 念念恒住不可說,
諸佛剎海不可說, 悉能往詣不可說,
□□□□□□□, 념념항주불가설,
제불찰해불가설, 실능왕예불가설,
한량없는 수행의 문 말할 수 없고
생각생각 머무름을 말할 수 없고
부처님의 세계해도 말할 수 없고
거기마다 나아감을 말할 수 없고
[339째]
제찰차별불가설 $ 081▲摩覩羅摩覩羅為 一 ● 娑母羅, ○□□□□,種,差,無,種
□□□□□□□, 種種清淨不可說,
差別莊嚴不可說, 無邊色相不可說,
□□□□□□□, 종종청정불가설,
차별장엄불가설, 무변색상불가설,
세계의 차별함을 말할 수 없고
가지가지 청정함도 말할 수 없고
차별한 장엄들도 말할 수 없고
그지없는 빛깔도 말할 수 없고
●K0407_T0635.txt★ ∴≪A불설홍도광현삼매경≫_≪K0407≫_≪T0635≫
●K0396_T0657.txt★ ∴≪A불설화수경≫_≪K0396≫_≪T0657≫
●K1159_T1359.txt★ ∴≪A불설화적누각다라니경≫_≪K1159≫_≪T1359≫
법수_암기방안
80 거골[=발목뼈중 가장 윗뼈]
81 서혜부( 사타구니~ thigh 넓적다리주변)
13 노뼈 [radius]
26 손금 the line of the palm
14 맥박~점(맥박뛰는곳) pulse
121312
579
○ 2016_1008_133628_nik_exc
○ 2016_1008_140830_can_ct27
○ 2016_1008_140925_nik_ab23
○ 2016_1008_141236_can_ar15
○ 2018_0418_121800_can_ar47
○ 2018_0418_181727_can_ct27
○ 2018_0419_124041_can_ct27
○ 2018_0419_125824_can_ar5
○ 2018_0419_130954_can_ar45
○ 2018_0419_135106_can_ar46
○ 2018_0419_140506_can_ar45
○ 2018_0419_143333_can_ab52
○ 2020_0525_163850_nik_exc
○ 2020_0525_174358_can_ct27
○ 2020_0525_174802_can_exc
○ 2020_0525_181638_nik_exc
○ 2020_0525_182624_can_ab26
○ 2020_0606_132149_can_bw17
○ 2020_0606_193109_can_bw17
● [pt op tr] fr
_M#]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오위백법 [문서정보]- 불교용어풀이 키워드
[#M_▶더보기|◀접기|
[링크용타이틀]
■ 본 페이지 ID 정보
DICT--오위백법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2/12/one-hundred-elements-belonging-to-five-categories-cf.html
sfx--dict/오위백법.txt
sfd8--불교용어dic_2566_12.txt ☞◆vubk1473
불기2566-12-04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2945904311
http://buddhism.egloos.com/archives/2022/12/04
htmback--오위백법_불기2566-12-04-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