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2년 12월 23일 금요일

운문종_wenyan-cloud-gate-monastery-in-gu



【운문종雲門宗】



❋추가참조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5_172721_nik_exc


○ 2019_1106_103031_can_exc


○ 2019_1105_114125_can_exc_s12


○ 2019_1105_123419_can_fix


○ 2019_1201_153958_nik_exc


○ 2019_1201_154434_nik_fix


○ 2019_1201_154539_nik_exc_s12


○ 2020_0905_105630_can_ori_rs


○ 2020_0910_114802_nik_ori_rs


○ 2020_0910_132940_can_ori_rs


○ 2020_0910_135039_nik_ori_rs


○ 2020_1002_120341_nik_exc_s12


○ 2020_1017_154651_can_exc_s12


○ 2020_1017_160729_can_exc_s12


○ 2018_1024_140435_can_ori


○ 2018_1024_175818_nik_ori


○ 2020_1114_133519_can_ori


○ 2019_1104_171752_can_fix


○ 2019_1104_175519_nik_exc


● [pt op tr] fr
_M#]



○ 2018_1023_154729_can_ori


★2★




❋❋추가참조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운문종

[한문]雲門宗
운문산의 문언(文偃)을 종조(宗祖)로 한 선종의 1파.
문언은 광동성 소주 운문산에 있었음.
930년(후당 장흥1) 이후에 융성하더니 남송(南宋) 시대에 법맥이 끊어짐.


● 현대불교 기사 

from http://www.hyunbu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01728

정운 스님/ 조계종 불학연구소장  입력 2019.11.15 10:39 수정 2019.11.15 10:42 댓글 0



선·문학 결합된 禪風 보이다

설봉의존 법 이은 운문문언 開山

짧고 함축적 어구로 제자 가르쳐
禪·詩 조화… ‘일지관’ 종풍 지녀
단멸하나 근대 허운 선사가 복원


운문종 종조 운문문언 선사의 진신상. 중국 광동성 유원현 대각사 조사전에 봉안돼 있다.


운문 선사가 제자들에게 말했다.
“보름전의 일은 묻지 않겠다. 오늘부터 보름 이후의 일을 표현할 수 있는 시구를 하나씩 지어 오너라.”
제자들은 머리를 쥐어짜며 시구를 지으려고 했으나 머리에 떠오르지 않았다. 운문은 제자들에게 짧은 구절 하나를 써 보였다.
“날마다 좋은 날(日日是好日).”



무엇이 좋은 날이라는 뜻인가? 
선에 군더더기를 붙이는 것은 오류를 범하는 일이지만, 
삶과 관련해보자. 
바로 매일 매일이 최상·최고의 날이며, 
매일 매일이 둘도 없는 가장 소중한 하루이다. 
그 ‘날(日)’이라고 하지만, 
시시각각 그 순간의 자각이 중요하다고 본다. 
그러니 아름다운 꽃을 보는 그 순간도 단 한번이다.
‘내일 봐야지’하면 벌써 늦는다. 
‘날마다 좋은 날(그 순간이 좋기 위해서)’이 되기 위해서는 스스로의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순간순간마다 소중한 삶을 인식해야 매일 매일이 좋은 날(日)이요, 
매일 매일이 좋아야 달마다 달마다 좋은 달(月)이요, 
달마다 달마다 좋은 달(月)이 되어야 해마다 해마다 좋은 해(年)가 될 것이다.



운문종 개산 당시 시대 배경  
8세기 말부터 지방 절도사들의 권력이 강화되면서 중앙 정부의 권력이 약화되기 시작했다. 
지방 분권이 강해지면서 세력가들은 선을 선호하였다. 
10세기 무렵인 당말(960년)·오대를 전후해 혼란한 시기에 힘이 된 철학이 
선종의 5가 가운데 법안종과 운문종이다.(2종은 이 무렵에 개산됨) 

혼돈의 시대에 선은 정치인들과 문인들에게 마음의 안정을 주었다고 사료된다.

운문종이 개산되기 전 당시 유명한 선사가 있는데, 
남쪽(현 광동성)의 설봉의존(雪峰義存, 
822~908)과 북쪽(현 하북성)의 조주 종심이다. 
‘남설봉 북조주’라고 할 만큼 이들의 선이 천하를 풍미했다. 
조주는 앞선 회차에서 언급했고, 
설봉 문하에서 법안종과 운문종이 개산되었다.
   
운문종 원류 설봉의존
선에서 제자들을 방망이로 때렸던 유명한 선사가 덕산 선감(德山宣鑑, 
782~865)이다. 
이 덕산에게서 배출된 제자가 설봉 의존이다. 
설봉은 복건성(福建省) 천주(泉州) 사람이다. 
17세에 출가하고 얼마 되지 않아 무종의 회창폐불(845년)이 있었다. 
이런 와중에도 설봉은 열심히 정진하며 세 차례나 투자대동(投子大同, 
819~914)선사를 참문하고 아홉 차례나 동산양개를 찾아가 법을 찾는 구도자였다. 

동산의 소개로 덕산 선감을 참례해 법을 받았다.
설봉은 열반할 때까지 설봉산에 주하면서 법을 펼쳤다. 
설봉산은 겨울에 눈이 제일 먼저 내리므로 ‘설봉(雪峰)’이라 하였다. 
이 무렵 희종(862~888 재위)이 설봉에게 진각국사(眞覺國師)라는 시호와 함께 자색 가사, 
그리고 ‘설봉사’ 편액을 하사하였다. 

설봉은 이곳에서 열반에 들어 설봉사에 ‘의존조사탑(義存祖師塔)’이 안치되어 있다. 
이 조사탑은 사리를 모신 것이 아니라, 
다비하지 않고 설봉의 전신을 탑 속에 모셨다. 


설봉의존의 전신이 모셔진 의존조사탑. 
중국 복건성 복주 설봉사에 있다.



운문종의 종조, 

운문문언(雲門文偃, 864~949)은 절강성(浙江省) 가흥(嘉興) 출신으로 
어려서부터 출가하기를 희망하였다. 

운문은 어려서부터 보통의 아이들보다는 유난히 똑똑했다고 한다. 
7~8세에 출가해 15세에 구족계를 받았다. 
운문은 처음에 황벽 문하의 목주 도명(睦州道明, 780~877)을 찾아 가르침을 구했다.

운문이 절에 도착해 대문을 두드리자, 
목주가 문을 열고 보더니 일언반구도 없이 ‘쾅’ 닫아버렸다. 
운문이 이틀 동안 문을 두드렸으나 거절당하고 사흘째에 다시 문을 두드렸다. 

이때 목주가 문을 열고, 
‘너는 쓸모없는 바보다’라고 말한 뒤 문을 다시 닫으려 할 때, 
운문의 발이 문틈에 끼었다. 
그 순간에 운문이 깨달았다.

운문이 얼마 간을 목주 문하에 머물렀을 때, 
목주는 운문에게 ‘설봉을 찾아가 공부하라’고 권했다. 
목주의 말대로 운문은 설봉 문하로 들어가 설봉에게서 깨달음을 얻고 법을 받았다. 


운문의 나이 60세에 광동성(廣東省) 유원현(乳源縣) 운문산에 
광태선원(光泰禪院)을 창건하고 가르침을 펴면서 운문종이 천하에 드러났다. 

현재도 운문의 사찰 대각사(대각사는 비구 도량, 운문사는 비구니 도량)에 
수백여 대중이 운집해 살고 있다. 


일반적으로 5가 가운데 
‘조동(종) 사민(士民), 
임제(종) 장군(將軍), 
운문(종) 천자(天子)’라고 한다. 

‘운문천자’라 칭하는 것은, 
황제의 소칙처럼 한 번에 결정되어 
다시 묻거나 응답하지 않는 간결하고 분명한 어조로 
제자들을 지도했기 때문이다. 


그러면 〈운문록〉에서 몇 개의 공안을 보자. 

ⓐ “부처란 무엇입니까?”/ “똥 막대기이니라(乾屎厥).”
ⓑ “모든 부처가 나온 곳이 어디입니까?”/ “동산이 물위로 간다(東山水上行).”
ⓒ “선(禪)이라는 것은 어떤 것입니까?”/ “시(是,‘예’라는 대답)”
ⓓ “도란 무엇입니까?”/ “득(得, 좋습니다)”
ⓔ “일대시교(一代時敎)란 어떤 것입니까?”/ “대일설(對一說)”
ⓕ “눈앞에 기(機)도 없고, 
눈앞에 일(事)이 없을 때는 어떻습니까?”/ “도일설(到一說)”
       
ⓔ‘일대시교’, 
즉 부처님이 재세시 설한 가르침이 무엇이냐는 질문이다. 
‘대일설’, 즉 부처님이 근기에 맞추어 법을 설했다는 뜻이다. 
다음, 
ⓕ“설법을 들을 사람도 없고, 시간과 장소도 없을 때는 어떻게 합니까?”에 대해 
운문은 “설하지 않으면 되지(到一說)!”라고 답한 것이다. 

곧 병이 없는 사람은 어떠하냐
[눈앞에 기도 없고 일도 없다]는 질문에 더 이상 병이 없는 사람에게는 약도 필요치 않다는 뜻이다. 

ⓐ·ⓑ는 대혜 종고가 그의 〈어록〉에서 중시하는 대표 공안 여섯 가지에 포함된다. 
또한 ⓐ는 〈무문관〉 21칙이다.


이렇게 운문은 제자들을 제접할 때 짧은 어구로 대답하고, 그들을 지도했다. 
그래서 운문종은 시적이고 철학적이며, 함축성이 담겨있어 ‘선과 문학의 결합’이라고도 한다. 

또한 1구나 2구, 3구 등 짧은 문구로 대답한다고 해서 
운문종의 종풍을 ‘일자관(一字關)’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운문의 선풍은 당대 이후에 발전해온 선사상과 선시의 조화로운 결합이라고 볼 수 있다.

운문의 문하에서 덕산연밀(德山緣密), 동산 수초(洞山守初, 
910~990) 등 명승이 배출되었다. 

동산과 관련된 공안(洞山三頓捧, 〈무문관〉 15칙)이 있다. 

동산이 스승인 운문을 찾아갔다. 
운문이 물었다.
“어디서 왔느냐?” “사도에서 왔습니다.”
“그래, 
여름철은 어디에서 지냈는고?” “호남의 보자사에서 지냈습니다.”
“어느 때에 그곳을 떠났는가?” “8월 25일에 출발해 왔습니다.”
동산의 답에 운문이 혀를 차며 말했다. 
“원래대로라면 막대기로 3돈(60대)을 때려야 하지만, 
오늘은 참는다.” 
다음날 동산이 운문을 찾아가 다시 물었다. 
“어제 스님께서 저를 막대기로 60대를 때리겠다고 말씀하셨는데, 
저는 도무지 제 잘못을 모르겠습니다.” 

“이 밥통아! 강서·호남, 
어디를 돌아다녔냐는 말이다!”
운문이 크게 일갈을 하자, 
이때 동산이 대오했다고 한다.
여기서 돈이란 20대를 뜻하므로 3돈은 60대를 말한다. 

선의 입장에서 보면 사도(지역명)가 원래의 사도가 아니고, 
보자사 역시 보자가 아니며, 
8월 25일이라는 숫자 역시 본래 있는 날짜가 아니다.

애석하게도 운문종은 몇 대를 지나 단멸하였다. 
그러나 근현대의 선사 허운(1840~1959)이 법맥을 살려 
운문종의 종풍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정운 스님/ 조계종 불학연구소장




● From 대만불광사전
운문종
【雲門宗】 p5339-中≫
禪宗五家七宗之一.
略稱 雲宗.
以雲門文偃(864~949)爲宗祖.

屬南宗靑原法系.
文偃住韶州(廣東)雲門山 光泰禪院,

後唐長興 元年(930)以後,
大振禪風,
因取其山名宗.
文偃初參睦州道明,

後謁 雪峰義存 得宗印.
道明之宗風峭峻,
不容擬議 ; 

雪峰之宗風溫密,
可探玄奧 ; 

文偃得此二風,
更自發揮獨妙之宗致,
故機辨險絶,
語句簡要,
如電光石火,
而每有千鈞之重.

彼時,
同爲雪峰門下另有
玄沙師備,

師備傳桂琛,
桂琛傳
法眼文益,

文益創法眼宗,
而與本宗對峙.
 

文偃門下頗盛,
法席常逾千人,
嗣法弟子有二十五人,
白雲子祥․
雙泉師寬․
德山緣密․
雙泉仁郁․
守初宗慧․
香林澄遠 等爲著.


本宗勃興於五代,
宋代時鼎盛,
入南宋而宗風日衰,
法脈至不可考,
其間計傳二百餘年.
玆略示本宗法系,

如下表 :  

本宗宗風卽所謂

「函蓋截流」,
取截斷衆流,
師徒函蓋相合之意.

故雲門宗風
有奔流突止之槪.

本宗接化學人有其特異之處,
卽所謂雲門八要 : 

(一)玄,
接化玄妙.
(二)從,
從學人之根機以接化之.

(三)眞要,
拈出佛道宗旨.

(四)奪,
不容學人擬議,
截斷其煩惱性.

(五)或,
不拘言詞,
接化自在.

(六)過,
宗風嚴峻,
不許轉身迴避.

(七)喪,
不執己見.

(八)出,
接化自由,
豫學人出身之路.

[景德傳燈錄 卷十九․卷二十二․卷二十三․
續傳燈 錄卷二․卷六․卷八․卷十二․
五燈會元 卷十五․卷十六․
五家宗旨 纂要卷下]




⑥-5339■불광사전
hbfl--08_A__1154.TIF
● From Hanja(Korean Hanzi) Dic
■ '운문종' 관련 기타 참고 사전 통합 검색
다음백과 https://100.daum.net/search/entry?q=운문종
네이버백과 https://terms.naver.com/search.nhn?query=운문종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운문종
네이버한자 https://hanja.naver.com/search?query=운문종
네이버지식 https://kin.naver.com/search/list.nhn?query=운문종
네이버사전 https://endic.naver.com/search.nhn?sLn=kr&isOnlyViewEE=N&query=운문종

위키영문 https://en.wikipedia.org/wiki/
구글 https://www.google.co.kr/?gws_rd=ssl#newwindow=1&q=운문종
네이버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운문종
다음 https://search.daum.net/search?w=tot&q=운문종


--- 이하 단어 직접 입력 검색 ---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https://abc.dongguk.edu/ebti/c3/sub1.jsp
실용한-영 불교용어사전 http://dic.tvbuddha.org/
불광대사전(佛光大辭典) https://www.fgs.org.tw/fgs_book/fgs_drser.aspx
산스크리트어사전 https://www.sanskrit-lexicon.uni-koeln.de/monier/
 티벳어사전 https://nitartha.pythonanywhere.com/index


● [pt op tr] fr
_M#]
■ 불교사전 링크 및 불교 사전 출처 종합 안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4/blog-post_21.html


●● 관련정보 사용페이지



----[‡사용한 다른 페이지]---




부처란 무엇입니까?”/ “마른 똥 막대기이니라(간시걸乾屎厥).”

부처는 현실에서 생사의 묶임에서 벗어난 가장 최고의 상태다. 
똥막대기는 현실에서 흔하거나, 누구나 더러워 피하게 되는 내용을 나타낸다. 
부처와 똥막대기 사이에는 현실의 차별이 있다.
그러나 부처를 실상의 측면에서 관한다고 하자. 
그러면 그런 현실의 차별상을 떠나게 된다. 
그러나 이는 이들이 서로 같은 하나라고 분별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 같고 다름의 분별 자체를 모두 떠나야 함을 뜻한다. 

한편, 똥막대기 역시 그 실상의 측면을 관한다고 하자. 
이 경우 역시 현실의 차별상을 떠나게 된다. 
그래서 이 모든 경우 실상의 측면을 관할 경우 이런 차별상을 떠나야 한다는 공통성을 갖기는 한다. 

그렇다고 똥 막대기가 부처는 아니다. 
부처가 똥 막대기 인것도 아니다. 

부처의 실상은 공하다. 
똥막대기의 실상도 공하다. 
그러나 이 두 공의 경우도 역시 서로 같음을 얻을 수 없다. 
공함 역시 공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실상의 측면에서도 공함이 완전히 동일한 하나임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공함은 물론 다르다고도 할 수 없다. 일체 분별과 차별을 떠나기 때문이다. 
그리고 <차별을 떠남>은 같고 다름의 분별을 모두 떠나는 것을 말한다. 

한편 이 둘은 현실에서도 역시 같다고 할 수 없다. 
물론 일부의 측면이나 성품을 공유할 수는 있다. 
예를 들어 둘다 존재라고 하는 경우와 같다. 
그렇다고 <a 는 b 다> 이런 구문이 나타내는 의미에는 들어 맞지 않는다. 
그러나 이런 선사의 답은 현실에서의 차별상과 망집분별을 모두 떠나야 함을 제시한 내용으로 이해할 수 있다. 






★%★






◎◎[개별논의] ❋추가참조









★1★










◆vaxs1392

◈Lab value 불기2566/12/23/금/15:01


○ 2019_1004_140510_nik_AB7.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louis-comfort-tiffany-angel-of-the-resurrection-1904
[#M_▶더보기|◀접기|
Artist: louis-comfort-tiffany
from https://en.wikipedia.org/wiki/Louis_Comfort_Tiffany
Title : angel-of-the-resurrection-1904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20_0606_193109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shore-scene-with-waves-and-breakwater-1835
[#M_▶더보기|◀접기|
Shore Scene with Waves and Breakwater
J.M.W. Turner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san-luis-potosi-mexico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상세정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3/san-luis-potosi-mexico.html
https://buddhism007.tistory.com/18171
■htmback--B-♥san-luis-potosi-mexico_불기2565-03-27-Tis.htm

Enzo Enzo - Papa N'a Pas Voulu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2/12/wenyan-cloud-gate-monastery-in-gu.html#1392
sfx--dict/운문종.txt
sfd8--불교용어dic_2566_12.txt ☞◆vaxs1392
불기2566-12-23
θθ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용어퀴즈 다음 설명에 맞는 답을 찾으시오.


■ 용어 퀴즈

 ↔단공(但空). 필경공(畢竟空)ㆍ무소득공(無所得空)이라고도 한다. 유(有)를 인정치 않는 공(空)을 단공이라함에 대하여, 그 공도 역시 공(空)하다는 절대 부정(否定)의 공을 부단공이라 함.

답 후보
● 부단공(不但空)
부정종성(不定種性)
북구로주(北俱盧洲)
분단생사(分段生死)
분별설삼(分別說三)

분위무기(分位無記)
불가사의존(不可思議尊)

■ 음악
Yves Duteil - La Mer Ressemble Ton Amour
Barbara - Delle A Lui
Jane Birkin - OI Est La Ville
Yves Jamait - Qui Sait
ALAIN SOUCHON - Jamais Content
Nicole Croisille - Une Femme Avec Toi
Serge Gainsbourg - Vieille Canaill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世 ■ ( 인간 세/ 대 세 )
045▲ 世示礻矢市 ■ 세시시시시 45 ( 인간 세/ 대 세 )( 보일 시 / 땅귀신 기, 둘 치 )( 보일시변 시 )( 화살 시 )( 저자 시/ 상품을 팔고 사는 시장, 장사 시 )
032▲ 爫㕚中之止 ■ 조조중지지 32 ( 손톱조 조 ) (손톱 조 ) cf 갈래 차叉 (가운데 중 )( 갈 지 )( 그칠 지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K
[san-chn] antara-bhava-stha 在中有
[san-eng] pāvanāni $ 범어 purifying
[pali-chn] salākā 籌
[pal-eng] saa.takayuga $ 팔리어 nt.a suit of clothes.
[Eng-Ch-Eng] FIVE MESSENGERS Five Messengers 五使者 They are five messengers of Manjusri: 1. Kesini 2. Upakesini 3. Citra 4. Vasumati 5. Akarsani
[Muller-jpn-Eng] 放棄 ホウキ Renunciation, esp
[Glossary_of_Buddhism-Eng] MYANMAR  BUDDHISM IN ☞
See also: Buddhist Councils.
“Kanishkha introduced Mahayana Buddhism c. A.D. 100, but
when Buddhaghosa visited Burma (Myanmar) c. A.D. 450 he established the Theravada as the national religion. Burmese scholars have
specialized in the Abhidhamma and the practice of meditation. In
1954-6, the Sixth Buddhist Council was held in a specially built cave
near Rangoon designed to reproduce the Saptaparna Cave in which
the First Council was held at the Buddha’s passing.”
Hump: 53
“Various forms of Buddhism were introduced into Burma (Myanmar)
and, between the eleventh and thirteenth centuries, a wonderful
Buddhist culture bloomed at Pagan. Because of various schisms and
dissensions, however, a ‘canonically valid monastic succession’ was
introduced from Sri Lanka in the fifteenth century. Since then Sri
Lankan Theravada has been the predominant tradition. During the
British occupation (1885-1948), Buddhism became closely associated
with Burmese nationalism.”
Snell / Buddhism: 27 #0465

[fra-eng] déplus $ 불어 displeased


■ 암산퀴즈


126* 12
503844 / 726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32 번째는?
자비주 45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33 번째는?




32 관정(灌頂)을 증장시키며,
가라다니, 曷剌怛泥<三十二去聲>
ratna-
(이하~) 어떠한 파괴로부터도 보호해주는 이시여!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45
또 삼천대천 세계에
암흑처의 삼악도 중생이
나의 이 주문을 들으면
다 괴로움을 여의게 되고,
모든 보살 가운데 초지에
오르지 못한 자는
속히 오르게 되고
내지 십주지(十住地)도 이르게 되고,
또 불지(佛地)에도 이르러
자연히 삼십이상(三十二相)과
팔십(八十)가지 좋은 형상을 성취하게 되며,
● 소로소로 蘇嚧蘇嚧<四十五> su ru su ru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33
아닥가라 보 바오차마리디니 아미다 바
惹咤迦囉<引>布<引>波虞嗏沒哩地你<三合>阿彌哆<引>婆<三十三 >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357일째]
제불보리불가설 $ 099▲毘伽摩毘伽摩為 一 ● 烏波跋多, ○□□□□,發,分,知,오

□□□□□□□, 發生智慧不可說,
分別義理不可說, 知一切法不可說,
□□□□□□□, 발생지혜불가설,
분별의리불가설, 지일체법불가설,

부처님의 보리를 말할 수 없고
지혜를 내는 일도 말할 수 없고
이치를 분별함도 말할 수 없고
모든 법 아는 일을 말할 수 없고


[358째]
엄정불찰불가설 $ 100■ ■嚴 諸清不不十 此此如如一
100▲ 烏波跋多烏波跋多為 一 ● 演說, ○□□□□,修,長,一,諸

□□□□□□□, 修行諸力不可說,
長時修習不可說, 一念悟解不可說,
□□□□□□□, 수행제력불가설,
장시수습불가설, 일념오해불가설,

부처 세계 장엄함을 말할 수 없고
모든 힘 수행함을 말할 수 없고
오랜 세월 수행함을 말할 수 없고
한 생각에 깨달음을 말할 수 없고




법수_암기방안


99 무명 (~네째) 발가락 [ 신조어 ]
100 네이블navel, 옴파로스Ompharos 臍 【배꼽 제】 / 벨리버튼belly button,
32 무릎 knee
45 발등 instep / top (side) of the foot


33 종아리 [캪]calf

1512
694

○ 2019_1105_162950_can_ar11_s12


○ 2019_1004_141255_can_ar38


○ 2019_1004_132520_nik_ab34


○ 2019_1004_170846_can_ct37


○ 2019_1201_151639_can_AR35_s12


○ 2020_0905_141357_nik_BW17


○ 2020_0906_112834_can_ori_rs


○ 2020_0908_171912_can_bw5


○ 2020_0910_132616_can_AB7


○ 2020_1002_115210_nik_ct9_s12


○ 2020_1017_153429_can_AR35_s12


○ 2020_1017_165451_nik_CT28


○ 2018_1022_180454_nik_CT28


○ 2020_0224_105559_nik_CT33_s12


○ 2020_1126_160538_nik_BW25_s12


○ 2021_1112_171908_can_exc_s12setec_서울국제불교박람회


○ 2021_1006_113415_can_ar10_pc해남_봉화산_대흥사


○ 2021_0717_165915_can_AB7서울 동대문디자인센터


○ 2012_0522_161317_exc남양주_운길산_수종사

● [pt op tr] fr
_M#]


○ 2021_1002_141816_can_bw0_s12_pc영천_팔공산_거조사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운문종 [문서정보]- 불교용어풀이 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링크용타이틀]

■ 본 페이지 ID 정보
DICT--운문종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2/12/wenyan-cloud-gate-monastery-in-gu.html
sfx--dict/운문종.txt
sfd8--불교용어dic_2566_12.txt ☞◆vaxs1392
불기2566-12-23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2963581899
http://buddhism.egloos.com/archives/2022/12/23
htmback--운문종_불기2566-12-23-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