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식
[한문]意識
[범어]mano-vijñāna
[티벳]yid kyi rnam par shes pa
[영어]the all-inclusive consciousness】
❋추가참조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4_122645_can_ct25 구례 화엄사
○ 2019_1104_105326_can_ct9_s12 구례 화엄사
○ 2020_1114_130951_nik_BW17 삼각산 도선사
○ 2018_1023_153537_can_BW17 예산 덕숭산 수덕사
○ 2018_1024_160411_can_ct9_s12 부여 고란사
○ 2018_1022_140744_can_ct18_s12 공주 계룡산 갑사
○ 2020_1002_123424_nik_AR35_s12 파주 고령산 보광사
○ 2020_0910_122653_can_ct9 속리산 법주사
○ 2020_0909_154444_can_BW28 무주 백련사
○ 2020_0909_134734_can_ori_rs 무주 백련사
○ 2020_0907_145437_can_ct9 양산 통도사
○ 2020_0906_124151_nik_ar46 천축산 불영사
○ 2020_0906_115850_can_BW27 천축산 불영사
○ 2020_0905_165438_nik_CT28 오대산 적멸보궁
○ 2019_1106_125329_can_Ar28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6_114946_can_ct16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6_114714_can_fix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6_152112_nik_BW21_s12 화순 계당산 쌍봉사
○ 2019_1106_110621_nik_Ar26_s12 화순 영구산 운주사
● [pt op tr] fr
_M#]
○ 2020_0909_133645_can_ar45 무주 백련사
❋❋추가참조 ♥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의식
의식[한문]意識[범어]mano-vijñāna티벳]yid kyi rnam par shes pa[영어]the all-inclusive consciousness
심식(心識)의 일종.
8식(識)의 여섯째로 열거되는 제6식.
[동]제육식(第六識) , 제육의식(第六意識).
⇒
[원][k]제육식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의식
의식
[한문]意識
6식(識)의 하나.
8식의 하나.
의근(意根)에 의한 식이란 뜻.
곧 제6식,
제7말나식에 의속(依屬)한 식,
물심(物心)의 모든 현상의 총상(總相)을 요별(了別)함이 그 성능(性能).
의식은 무상천(無想天)에 태어날 적,
무상정(無想定)을 얻을 적,
멸진정(滅盡定)에 들 적,
숙수시(熟睡時),
민절시(悶絶時)를 제하고는 다른 때에는 언제든지 기존(起存).
● From 홍법원 (구판) 불교사전 의식【意識】범어 mano-vijñāna.
6식六識 즉, 안식眼識ㆍ이식耳識ㆍ비식鼻識ㆍ설식舌識ㆍ신식身識ㆍ의식意識의 하나.
제 6 식이라고도 한다.
제6식이라고도 한다.
의근(意根)을 의지하는 곳으로 하여 법경(法境)을 인식(認識)ㆍ추리(推理)ㆍ추상(追想)하는 마음이다.
과거ㆍ미래ㆍ현재의 3세 일체법(一體法)에 대해서 작용하기 때문에 , 광연(廣緣)의 식(識)이라 한다.
유식파(唯識派)에서는 이 식(識)에 대해서 4 종으로 분류한다(4종의식四種意識).
곧
(1) 명료의식(明了意識).
전5식(前五識)을 동반하여 일어나서 대상물을 밝게 판단할 수 있는 것.
(2) 정중의식(定中意識).
모든 차별 동란(動亂)에서 떨어진 정심(定心)과 상응(相應)하는 것.
(3) 독산의식(獨散意識). 정(定) 중의 의식은 아니고 곧 산란한 의식이다.
특히 전5식(前五識)을 동반하지 않고 일어나는 것 곧 홀로인 것.
⑷ 몽중의식(夢中意識).
이것도 독산(獨散)이긴 하지만, 깨어 있올 때와 구별해서 따로 세운다.
이상 4 종중,
처음의 (1)은 전5식(前五識)을 동반해서 일어난다는 의미로 5구(五俱)의 의식(意識)이라 부르고,
뒤의 (2)(3)(4)는 전5식(前五識)을 동반하지 않고 일어난다는 의미로 독두(獨頭)의 의식이라 부른다.
따라서 뒤의 3 은 차례와 같이
정중독두(定中獨頭)의 의식・
산위독두(散位獨頭)의 의식ㆍ
몽중독두(夢中獨頭)의 의식이라고도 불리운다.
특히 이 의식은 현상계(現象界)의 가지가지 사물(事物)을 인식하는 작용이기 때문에 분별사식(分別事識)이라고 한다.
또는 전6식(前六識)을 분별사식(分別事識)이라고 하는 수도 있다.
● 의식 네이버백과 사전참조
● from 한국 위키백과https://ko.wikipedia.org/wiki/의식
한국 위키백과 사전참조 [불기 2566-12-10일자 내용 보관 편집 정리]
의식 (불교)
언어 추가
문서
토론
읽기
■편집
역사 보기
뜻의 알음알이 또는 마노의 알음알이는 정신적 대상에 대한 지각 또는 인식을 뜻한다.
즉, 사물의 정신적 측면(법경)에 대한 앎(알음), 요별, 분별, 또는 지식을 말한다.
엄밀히 말해, 의식 즉 제6의식은 정신적 대상만을 지각 또는 인식하는 것이 아니며,
감각적 대상과 정신적 대상 모두에 대해 그 대상의 전체적인 모습을 인식한다.[1]
즉, 색경 · 성경 · 향경 · 미경 · 촉경 · 법경의 6경을 모두 인식한다.[2]
다음의 분류 또는 체계에 속한다.
안식 · 이식 · 비식 · 설식 · 신식 · 의식의 6식(六識) 중 하나이다.
즉, 마음에 속한다. 또는 마음의 한 측면이다.
안처 · 이처 · 비처 · 설처 · 신처 · 의처(意處) ·
엄밀히 말하면, 의처에 속한다 즉 의처의 일부이다.
안계 · 이계 · 비계 · 설계 · 신계 · 의계 ·
즉, 의식계와 동의어이다.
의식 즉 제6의식이 정신적 대상을 인식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12처와 18계의 법체계의 관점에서 의식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2처의 법체계에 따르면, 의처를 이루는 것이
의근(意 = 뜻 = 意根)과 의식(意識, 의의 앎, 뜻의 앎, 의근의 앎)이다.
즉, 12처의 법체계의 관점에서는 의근과 의식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아주 밀접한 관계에 있다.
그런데 18계의 법체계에 따르면, 의근은 의계에 해당하고 의식은 의식계에 해당하여 서로 별개이다.
즉, 의근과 의식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가 아니라 서로 별개의 법(존재·현상)이다.
불교에 따르면, 18계의 법체계는 둔근자에게 가르친 세세한 가르침이고
12처의 가르침은 이미 18계의 가르침을 잘 알고 있는 이에 대한 가르침이다.
따라서, 정확한 해석은 18계에 의한다. 즉, 의계(의)와 법계(정신적 대상, 법경)와 의식계(정신적 앎, 정신적 인식)는 별개로서,
엄밀한 표현으로, '의근(의)과 법경(정신적 사물)을 연하여 의식이 생겨난다'고 표현하며,
이것은 다시 '별개의 존재(법)인 의근(의)과 별개의 존재인 정신적 대상을 조건으로 하여 별개의 존재인 의식(의의 앎, 의의 알음알이)이 생겨난다'는 뜻이다.
달리 말해, 의근이 의식을 가지고 있어서 의근에 의해 의식이 생겨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법경이 의식을 가지고 있어서 법경에 의해 의식이 생겨나는 것도 아니다.
또한 의근(의)과 의식(정신적 앎 또는 정신적 사물을 느끼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별도의 나가 있어서
의식이 생겨나는 것도 아니다.
다만, 항상 엄밀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지 않기 때문에,
세상의 일반적인 통용 표현으로 '의근에 의해 의식이 생겨난다'
또는 '정신적 대상에 의해 의식이 생겨난다'
또는 '나의 의식이 생겨난다'
또는 '내가 정신적 대상을 인식한다'라는 등의 표현을 허용할 뿐이다.
경론별 설명[■편집]
아비달마품류족론[■편집]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품류족론》 제3권에 따르면 의식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의근(의)과 법경(정신적 대상)을 연하여 생겨나는 '정신적 인식'[意識, 의근의 인식, 의의 앎, 의의 알음알이]을 말한다.
이와 같이 의근이 소의[增上, 발동근거]가 되고 법경이 소연(所緣, 인식대상)이 되어 의근에 의해 알게 되는 바인, 법경에 대한 모든 과거의 앎(요별) · 현재의 앎 · 미래의 앎을 통칭하여 의식이라 이름한다.
眼識云何。謂眼及色為緣生眼識。如是眼為增上。色為所緣。於眼所識色。諸已正當了別。是名眼識。耳鼻舌身意識亦爾。
안식(眼識)이란 무엇인가?
안근(눈)과 색경(색깔 · 모양)을 연하여 생겨나는 '시각적 인식'[眼識, 안근의 인식, 눈의 앎, 눈의 알음알이]을 말한다.
이와 같이 안근이 소의[增上, 발동근거]가 되고
색경이 소연(所緣, 인식대상)이 되어 안근에 의해 알게 되는 바인, 색경에 대한 모든 과거의 앎(요별) · 현재의 앎 · 미래의 앎을 통칭하여 안식이라 이름한다.
이식(耳識) · 비식(鼻識) · 설식(舌識) · 신식(身識) · 의식(意識)도 또한 그러하다.
정신적 대상을 아는 능력에 대한 이견[■편집]
의근(의)과 의식(정신적 앎)과 법경(정신적 앎의 대상)이 서로 별개의 법(존재 · 현상)이라는 것에 대해서는
불교의 제 부파가 의견이 일치한다.
하지만, '정신적 대상을 아는 능력[知]'이 이 셋 중 어디에 속해 있는가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린다.
물론, 법경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한 일이므로 법경에 속한다고 주장하는 이는 없다.
정신적 대상을 아는 능력에 대한 이견이란 근(인식도구)과 식(인식 그 자체) 중 무엇을 더 주체라고 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 의견이 갈린다는 것을 뜻한다.
나아가, 근이 더 주체라면 그릇된 인식 즉 비리작의 즉 전도(顚倒)를 극복하는 수행에 있어서 근(몸, 물질적인 것, 신체)에 변형을 일으키는 것에 무게를 두어 수행을 해야 할 것이고
식이 더 주체라면 수행에 있어서 마음(정신적인 것, 멘탈)에 변형을 일으키는 것에 무게를 두어 수행을 해야 할 것이라는 것을 뜻한다.
설일체유부에서는 정신적 대상을 느끼는 능력이 의근에 있다는
'의근이 정신적 대상을 안다[意根知]'는 근견설(根見說)을 정통설로 본다.
대중부의 법구(法救) 등의 논사는
정신적 대상을 느끼는 능력이 의식에 있다는
'의식이 정신적 대상을 안다[意識知]'는 식견설(識見說)을 정통설로 본다.
유식유가행파에서는 정신적 대상을 느끼는 능력이
의근과 의식의 화합에 있다는 '의근과 의식의 화합이
정신적 대상을 안다[根識和合知]'는
화합견설(和合見說)을 정통설로 본다.
같이 보기[■편집]
촉 (불교)
3사화합
십이연기설#(3) 식(識)
십이연기설#(6) 촉(觸)
해로운 과보의 마음
원인 없는 유익한 과보의 마음
각주[■편집]
↑ "意識(의식)" , 운허. 《불교사전》:
意識(의식)
6식(識)의 하나. 8식의 하나. 의근(意根)에 의한 식이란 뜻. 곧 제6식,
제7말나식에 의속(依屬)한 식,
물심(物心)의 모든 현상의 총상(總相)을 요별(了別)함이
그 성능(性能). 의식은 무상천(無想天)에 태어날 적,
무상정(無想定)을 얻을 적, 멸진정(滅盡定)에 들 적, 숙수시(熟睡時), 민절시(悶絶時)를 제하고는 다른 때에는 언제든지 기존(起存).
↑ "意識" ,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意識
의식은 먼저 크게 5구의식(五俱意識)과 불구의식(不俱意識)으로 나뉜다.
(1) 5구의식(五俱意識, 명료의식明了意識):
감각을 담당하는 전5식과 함께 일어나서 명료하게 내용을 인식하는 경우다.
여기에 5동연의식(五同緣意識)과 부동연의식(不同緣意識)이 있다.
① 5동연의식(五同緣意識) : 전5식과 함께 일어나서 같은 내용을 대상으로 인식하는 경우다.
② 부동연의식(不同緣意識): 전5식과 함께 일어났지만 전5식과는 다른 내용을 대상으로 인식하는 경우다.
(2) 불구의식(不俱意識): 전5식과 별개로 독단적으로 의식이 일어나는 경우다.
여기에 먼저 5후의식(五後意識)과 독두의식(獨頭意識)이 있다.
① 5후의식 : 전5식과 동시에 일어나는 것은 아니지만, 서로 떨어지지 않고 바로 이어서 일어나는 의식이다.
② 독두의식 : 여기에는 독산의식(獨散意識), 몽중의식, 정중의식(定中意識)이 있다.
1. 독산의식(산위 독두의식散位獨頭意識): 과거를 추억하거나, 미래를 예측하거나, 가지가지로 상상하거나, 계탁분별(計度分)을 행하는 경우다.
2. 몽중의식(몽중 독두의식夢中獨頭意識): 수면중 꿈을 꾸는 경우다.
3. 정중의식(정중 독두의식定中獨頭意識): 선정 수행 중 발생하는 의식활동이다.
● From 대만불광사전
의식
【意識】 p5449-下≫
<一>梵語 mano-vijñāna.
六識(或八識․九識)中之第六識.
在西洋哲學中視之爲「能把握客觀對象之心機能」.
廣義言之,
卽吾人所有諸種經驗,
從原始之感覺至高度之思考均包括在內.
凡能統攝多種經驗內容之作用,
皆稱爲意識.
至於意識與物質之關係,
乃哲學上之核心問題,
觀念論(唯心論)否定物質之獨立性,
視意識(思考․精神)爲一切之根源 ; 反之,
唯物論視意識爲物質(存在․自然)之産物.
佛敎則將精神分爲三 :
卽精神之主體.
(二)意(梵 manas,思量).
(三)識(梵 vijñāna,了別),
卽精神之作用.
意識所附帶微細之精神作用(心所),
雖有各種類別,
但與心․意․識能完全把握對象之綜合性精神作用(心王)仍有其區別.
狹義而言,
意識卽指六識或八識中之第六識.
意識與物質界․現象界之關係,
在大乘佛敎,
以唯識宗爲典型代表,
特別强調物質界爲意識所現,
此卽佛敎所謂之唯心論,
而非存在論立場所謂之唯心論,
乃係自實踐論立場來强調心之整體性,
不主張心和意識爲唯一之存在.
故知佛敎所謂之心,
竝無實體可得(無自性),
此爲佛敎敎義之根本原理.
蓋依唯識宗之說,
眼․耳․鼻․舌․身等前五識各緣色․聲․香․味․觸等五種對境,
然此五識僅由單純的感覺作用來攀緣外境,
而不具有認識․分別對境之作用 ; 第六意識始具有認識․分別現象界所有事物之作用,
故又稱分別事識 ; 乃前五識共同所依據者,
故又稱意地.
五識卽須與此第六識共同俱起,
方能了別對境.
又以五識僅能各緣自境,
故又稱各別境識 ; 意識則能遍緣一切境,
擧凡對內對外之境,
不論有形無形,
皆可廣緣,
或過去․現在․未來三世,
皆可亙及,
具有比知․推測之作用,
故又稱一切境識․廣緣識.
唯識宗又將意識分爲五俱意識與不俱意識兩種.
(一)五俱意識,
與前五識竝生,
明了所緣之境,
故又稱明了意識.
復可分爲 :
係與前五識俱起,
且緣同一對境之意識.
雖與前五識俱起,
然緣其他之異境.
不與前五識俱起,
而係單獨發生作用之意識.
亦分二種 :
雖不與前五識俱起竝生,
然亦不相離而續起.
有定中․獨散․夢中等三種之別.
又稱定中獨頭意識.
係與色界․無色界等一切定心俱起之意識,
乃禪定中發生之意識活動.
又稱散位獨頭意識.
係指脫離前五識而單獨現起,
追憶過去․預卜未來,
或加以種種想像․思慮等計度分別之意識.
又稱夢中獨頭意識.
乃於睡夢中朦朧現起之意識作用.
亦有將意識槪分爲明了意識․定中意識․獨散意識․夢中意識等四種,
竝稱爲四種意識.
要言之,
第六意識乃八識中最猛利․最敏捷者,
具有自由自在之能力,
三界九地,
一切迷悟昇沈之業,
無一不由此意識所作.
末那之梵語爲 manas,
意譯爲「意」,
思量之義,
若採取意譯,
則易與第六意識混同.
然此二識於梵語原文中皆有「意識」之意,
此因第六識乃以末那識爲所依,
故知第六識之所以稱爲「意」者,
卽由「依意之識」而來 ; 第七之末那識,
其原文 manas,
則表示「意卽是識」,
其識之本身卽名爲「意」.
此乃兩者名義接近․所依與作用逈別,
而一用音譯․一用意譯之緣故.
亦統稱爲意識.
● From 陳義孝佛學常見辭彙
의식
【意識】六識之一.
見六識條.
→594
● From 法相辭典
意識
★顯揚一卷三頁雲:
意識者:
謂從阿賴耶識種子所生,
依于意根,
與彼俱轉,
緣一切共不共法為境,
了別為性。
★二解集論一卷十二頁雲:
何等意識?謂依意、
緣法、
了別為性。
★三解品類足論一卷三頁雲:
意識雲何?謂依意根、
了別諸法。
● From 丁福保 - 佛學大辭典 : Ding Fubao's Dictionary of Buddhist Studies
意識
【術語】 六識之一。
依意根而起,
了別法境之心王也。
有四種之別:
一獨頭意識,
不與他之五識俱起,
獨起而汎緣十八界之意識也。
此在散心,
於三量中必為比非之二量。
二五同緣意識,
與他五識同時而起,
與彼共緣其境明了依之意識也。
是心之現量。
三五俱意識,
與五識同時而起,
緣五境傍緣十八界之意識也,
是通於現比非三量。
四五後意識,
生於五俱意識之後念,
緣前念五境之境,
及緣他一切法之意識也,
是全與獨頭意識相同。
此獨頭意識之釋,
乃就六識建立之小乘而言,
若就大乘之八識家言之,
則尚與末那識阿賴耶識俱起,
非獨頭現行也。
見百法問答鈔二。
又第六意識,
六識中意識位於第六,
故名。
● From 三藏法數
意識
謂意根若對法塵,
即生意識。
意識生時,
即能於五塵之境,
分別善惡好醜也。
謂意以法為緣,
而生意識。
意識依根,
而生意根,
因識而能分別,
以能分別前五根所緣色等五塵境界,
是名意識。
(五根者,
眼根、
耳根、
鼻根、
舌根、
身根也。
五塵者,
色塵、
聲塵、
香塵、
味塵、
觸塵也。
)
謂意法為緣而生意識,
意識依根而生,
意根因識即能分別,
以能分別前五根所緣色等五塵境界,
是名意識。
若斷此識,
即成聲聞、
緣覺。
(五根者,
即眼根、
耳根、
鼻根、
舌根、
身根也。
五塵者,
即色塵、
聲塵、
香塵、
味塵、
觸塵也。
)
● From yusig
意識
唯識宗所立‘八識心王’的第六心王,
此為我人理活動的綜合中心。
在西洋哲學中視之為‘能把握客觀對象的心機能’。
廣義言之,
即吾人所有諸種經驗,
從原始之感覺至高度之思考均包括在內。
凡能統攝多種經驗內容的作用,
皆稱為意識。
至於意識與物質之關繫,
乃哲學上的核心問題,
觀念論(唯心論)否定物質之獨立性,
視意識(思考、
精神)為一切之根源;反之,
唯物論視意識為物質(存在、
自然)的產物。
唯識宗又將意識分為五俱意識與不俱意識兩種,
前者是與前五識共同發生作用,
后者是單獨發生作用。
單獨發生作用者又稱獨頭意識,
它緣慮的對眾是抽象的觀念,
即所謂法境,
在其認識作用中包括著推理、
判斷等在內,
且不受時間空間限製,
而通於過去、
未來、
現在。
● From Soothill-Hodous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DDBC version)
意識
manovijñāna; the faculty of mind,
one of the six vijñānas.
● From Mahāvyutpatti (bye brag rtog byed)
manovijñānam
[Mvyt: 2026]
梵文 (轉寫) / Sanskrit (IAST):
manovijñānam
梵文 (天成體) / Sanskrit (Devanāgarī):
मनोविज्ञानम्
中文 / Chinese:
意識
藏文 (Wylie) / Tibetan (Wylie):
yid gyi rnam par shes pa
藏文 / Tibetan:
ཡིད་གྱི་རྣམ་པར་ཤེས་པ་
● From Naverjpdic
意識
의식[意識]
[명사]意識いしき。
<1>[명사]自分じぶんのしていることや周囲しゅういのことなどに気きづいている心こころの状態じょうたい。
의식을 잃다.
意識いしきを失うしなう。
의식에 떠오르다.
意識いしきにのぼる。
<2>[명사]観念かんねん思想しそうなど社会的しゃかいてき,
歴史的れきしてきな影響えいきょうを受うけて形成けいせいされる心の内容ないよう。
죄의 의식罪つみの意識いしき
사회의 일원으로서의 의식社会しゃかいの一員いちいんとしての意識いしき。
<3>[명사]特とくに気きを向むけること。
이성을 의식하다.
異性いせいを意識いしきする。
<4>[명사]対象たいしょうを総括そうかつして判断はんだん,
分別ふんべつする心的作用しんてきさよう。
의식하고 짠 점수를 매기다.
意識いしきしてからい点数てんすうをつける。
意識
いしき[意識]
[명사]의식.
いしきを失うしなう 의식을 잃다
いしきにのぼる 의식에 떠오르다
いしきして辛からい点てんをつける 의식적으로 짠 점수를 매기다
異性いせいをいしきする 이성을 의식하다
罪つみのいしき 죄의식
社会しゃかいの一員いちいんとしてのいしき 사회의 일원으로서의 의식.
● From BUDDHDIC
意識
シキ
thought consciousness
<동음이의어>4>3>2>1>
● From Korean Dic
의식
의식(儀式)[명사]의례(儀禮)를 갖추어 베푸는 행사.
식전(式典).
의전(儀典).
(준말)식.
의식
의식(衣食)[명사]의복과 음식.
옷밥.
의식
의ː식(意識)[명사]
1.깨어 있을 때의 마음의 작용이나 상태.
【예】의식을 잃다./3일째 의식을 차리지 못하고 있다.
2.사회적 또는 역사적인 영향을 받아서 형성되는 감정·견해·사상·이론 따위를 이르는 말.
【예】역사 의식.
3.[하다형 타동사][되다형 자동사](어떤 일을) 마음에 둠.
자각함.
【예】이성(異性)을 의식하다.
4.불교에서,
육식(六識) 또는 팔식(八識)의 하나.
대상을 총괄하며 판단·분별하는 심적 작용.
hbfl--08_A__1234.TIF
● From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
■ '의식' 관련 기타 참고 사전 통합 검색
다음백과 https://100.daum.net/search/entry?q=의식
네이버백과 https://terms.naver.com/search.nhn?query=의식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의식
네이버한자 https://hanja.naver.com/search?query=의식
네이버지식 https://kin.naver.com/search/list.nhn?query=의식
네이버사전 https://endic.naver.com/search.nhn?sLn=kr&isOnlyViewEE=N&query=의식
위키영문 https://en.wikipedia.org/wiki/mano-vijñāna
구글 https://www.google.co.kr/?gws_rd=ssl#newwindow=1&q=의식
네이버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의식
다음 https://search.daum.net/search?w=tot&q=의식
--- 이하 단어 직접 입력 검색 ---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https://abc.dongguk.edu/ebti/c3/sub1.jsp
실용한-영 불교용어사전 http://dic.tvbuddha.org/
불광대사전(佛光大辭典) https://www.fgs.org.tw/fgs_book/fgs_drser.aspx
산스크리트어사전 https://www.sanskrit-lexicon.uni-koeln.de/monier/
티벳어사전 https://nitartha.pythonanywhere.com/index
● [pt op tr] fr
_M#]
■ 불교사전 링크 및 불교 사전 출처 종합 안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4/blog-post_21.html
●● 관련정보 사용페이지
----[‡사용한 다른 페이지]---
★%★
◎◎[개별논의] ♥ ❋추가참조
★1★
◆vqfh1306
◈Lab value 불기2566/12/10/토/17:42 |
♥Blyth Australia
Mylène Farmer - C'est Une Belle Journée
♥단상♥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2/12/all-inclusive-consciousness.html#1306 sfx--dict/의식.txt sfd8--불교용어dic_2566_12.txt ☞◆vqfh1306 불기2566-12-10 θθ |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용어퀴즈 다음 설명에 맞는 답을 찾으시오.
■ 용어 퀴즈
Julien Clerc - L' Ange Dechu
Veronique Sanson - Aquila
Michel Berger - Quand On Est Ensemble
Weepers Circus - Mes Ptits Indiens (Avec Isabelle Lux)
Pierre Bachelet - Quand On Est Un Canal
Enzo Enzo - Panne De Coeur
Josephine Baker - Dis-Moi Josephin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弔 ■ ( 조상할 조, / 이를 적 )
031▲ 壬爿井弔爪 ■ 임장정조조 31 (북방 임 / 아홉째 천간( 天干) 임 )(나뭇조각 장 / 나뭇조각 상, 양수사 판 )( 우물 정 )( 조상할 조, / 이를 적 )(손톱 조 )
018▲ 乇土下丸介 ■ 탁토하환개 18 ( 부탁할 탁/ 풀잎 탁 )( 흙 토 / 뿌리 두, 쓰레기 차 )( 아래 하 )( 둥글 환 )( 낄 개 / 낱 개, 갑자기 알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Amara Sinha
[san-chn] vajra-stuti-gīta 金剛歌
[san-eng] saṁgrahaḥ $ 범어 the accumulation
[pali-chn] gomaya 瞿摩夷
[pal-eng] abhisamaya $ 팔리어 m.realisation; penetration.
[Eng-Ch-Eng] defilement of activity 業染污
[Muller-jpn-Eng] 幻門 ゲンモン methods of illusion
[Glossary_of_Buddhism-Eng] SUTRA OF AMIDA☞
See: Amitabha Sutra.
[fra-eng] aiguiller $ 불어 commute
■ 암산퀴즈
530* 770
96778 / 913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18 번째는?
자비주 31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19 번째는?
18 깨달음에로 이끄는 거룩한 진리의 광명을 증장시키며,
비습라 리야참포, 毘濕婆<縛迦反>梨夜讖蒱<十八>
vis-variya ksam bhu,
물처럼 흐르는 지장,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31
길을 잃었을 때에
이 주문을 외우는 연고로
착한 신과 용왕이
사람으로 변화하여
올바른 길을 가르쳐주며
● 지리니 地唎尼<三十一> dhi ri ṇi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19
소아다 아감 마
蘇誐哆<引>惹敢<二合>摩<十九>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343일째]
변화자재불가설 $ 085▲摩伽婆摩伽婆為 一 ● 阿怛羅, ○□□□□,現,修,度,示
□□□□□□□, 現種種身不可說,
修行精進不可說, 度脫眾生不可說,
□□□□□□□, 현종종신불가설,
수행정진불가설, 도탈중생불가설,
변화가 자재함을 말할 수 없고
온갖 몸 나타냄도 말할 수 없고
수행하고 정진함도 말할 수 없고
중생을 제도함도 말할 수 없고
[344째]
시현신변불가설 $ 086▲阿怛羅阿怛羅為 一 ● 醯魯耶, ○□□□□,放,種,令,一
□□□□□□□, 放大光明不可說,
種種色相不可說, 令眾生淨不可說,
□□□□□□□, 방대광명불가설,
종종색상불가설, 령중생정불가설,
신통 변화 나타냄을 말할 수 없고
큰 광명 놓는 일을 말할 수 없고
가지가지 빛깔을 말할 수 없고
중생을 깨끗게 함 말할 수 없고
●K0009_T0225.txt★ ∴≪A대명도경≫_≪K0009≫_≪T0225≫
●K0001_T0220.txt★ ∴≪A대반야바라밀다경≫_≪K0001≫_≪T0220≫
●K0105_T0374.txt★ ∴≪A대반열반경≫_≪K0105≫_≪T0374≫
법수_암기방안
85 고관절(股關節) 각서(coxa 영어발음)= a hip joint
86 대퇴골 [ =넙다리뼈 ]
18 아래팔뚝 (forearm)
31 넓적다리 thigh
19 자뼈 (알너 - ULNA)
408100
106
○ 2018_0722_162139_nik_ar42
○ 2019_1004_134121_nik_BW17
○ 2019_1004_142525_nik_Ab35
○ 2019_1004_175453_nik_CT27
○ 2019_1004_141155_can_BW25
○ 2019_1004_145437_can_ar45
○ 2019_1004_150102_can_ar45
○ 2019_1004_171032_nik_AR35
● [pt op tr] fr
_M#]
○ 2019_1004_180636_nik_exc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의식 [문서정보]- 불교용어풀이 키워드
[#M_▶더보기|◀접기|
[링크용타이틀]
■ 본 페이지 ID 정보
DICT--의식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2/12/all-inclusive-consciousness.html
sfx--dict/의식.txt
sfd8--불교용어dic_2566_12.txt ☞◆vqfh1306
불기2566-12-10
https://buddhism007.tistory.com/entry/의식
http://buddhism.egloos.com/archives/2022/12/11
htmback--의식_불기2566-12-10-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