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송율』
K0890
T1435
제41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안내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 자료출처 불교학술원 기금 후원안내페이지
『십송율』
♣0890-041♧
제41권
♥아래는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본문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20_0905_140413_nik_AB7 오대산 상원사
○ 2020_1002_122744_nik_bw21 파주 고령산 보광사
● [pt op tr] fr
_M#]
○ 2018_1024_140435_can_AB7_s12 공주 칠갑산 장곡사
❋❋본문 ♥ ◎[개별논의]
★%★
『십송율』
♣0890-041♧
◎◎[개별논의] ♥ ❋본문
★1★
◆vqqb4893
◈Lab value 불기2566/12/17 |
Kinkaku3402
♥단상♥ ![]()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2/12/2566-12-17-k0890-041.html#4893 sfed--십송율_K0890_T1435.txt ☞제41권 sfd8--불교단상_2566_12.txt ☞◆vqqb4893 불기2566-12-17 θθ |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범】devātideva
(1) 부처님의 존호(尊號). 천은 사람이 존숭하는 바며, 부처님은 다시 천들이 존숭하는 바이므로 천중천. 또 부처님은 제일의천(第一義天)으로 5천 중에 가장 높으므로 천중천. (2) 석존의 젊었을 때 이름. 『불본행경(佛本行經)』 제1, 『석씨요람(釋氏要覽)』 중권에 있다.
답 후보
● 천중천(天中天)
청신사(淸信士)
초발심(初發心)
촉루(囑累)
총상념주(總相念住)
축생취(畜生趣)
출세간(出世間)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Debout Sur Le Zinc - Rester Debout
Mireille Mathieu - Wenn Es Weh Tut, Ist Es Liebe
Marie-Paule Belle - Une Imbecile Heureuse
Zizi Jeanmaire - Paris-Taxi
Barbara - La Mort
Marie Laforet - Saint-Tropez Blues (Version Film)
Keren Ann - Sur Le Fil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皿 ■ (그릇 명 )
039▲ 末皿矛母目 ■ 말명모모목 39 ( 끝 말 )(그릇 명 )( 창 모 )(어머니 모 / 없을 무 )(눈 목 )
026▲ 氶手扌心忄 ■ 승수수심심 26 ( 이을 승 / 건질 증 )( 손 수 ) ( 재방변 수) (마음 심 )( 심방변 심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Mount Kailash
[san-chn] brāhmaṃ cakram 梵輪
[san-eng] anusmara $ 범어 go on remembering
[pali-chn] kilesa-māra 煩惱魔
[pal-eng] nayhati $ 팔리어 nah + yaties; binds; wraps; twists.
[Eng-Ch-Eng] sight 眼
[Muller-jpn-Eng] 十二部經 ジュウニブキョウ (term) twelve divisions of the Buddhist canon
[Glossary_of_Buddhism-Eng] CH’ANGAN☞
See also: Lo-yang.
“Major early Chinese Buddhist center in northern China, eventually becoming capital during the Sui and T’ang Dynasties. It was
the major center of Kumarajiva’s translation enterprises, and a Pure
Land stronghold in the seventh century.”
Preb: 89
“Ch’ang-an (modern city of Hsian in Shensi). Like the ancient capital
city of Lo-yang, Ch’ang-an witnessed the rise and fall of many empires.
It was the capital city of the Earlier Han, Later Ch’in and Northern
Chou Dynasties. Ch’ang-an, the capital of the largest Empire of the
world under the T’ang, was the greatest centre of Buddhism in China.
The city was teeming with people from all over Asia. The glory of
Lo-yang, the ancient stronghold of Buddhism in North China, was
overshadowed by Ch’ang-an when it entered into a period of unprece-
dented development. The population of the capital city during the
Dynastic rule of the T’ang rose to over 1.9 million. The city was
studded with Buddhist temples, monasteries, pagodas constructed
by the devout rulers of the T’ang Dynasty. The great Chinese monk
Hsuan-Tsang started on his journey to India from Ch’ang-an in 629
A.D. The great Tzu-en monastery was built there in 648 A.D. Here
Hsuan-Tsang translated Buddhist scriptures into Chinese after his
return from India. The Ta-yen Pagoda was constructed in 652 A.D.,
designed by the venerable monk Hsuan-Tsang himself to store the Buddhist scriptures in Ch’ang-an. From the last part of the fourth century,
illustrious monks like Kumarajiva and Yasa all lived at Ch’ang-an and
contributed a great deal to the propagation of Buddha’s teachings. In
the seventh century there were three Indian astronomical schools in
the capital city.”
Lahiri: 18-19 #1008
[fra-eng] additionna $ 불어 added
■ 암산퀴즈
369* 956
463995 / 945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26 번째는?
자비주 39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27 번째는?
26 모든 대지의 정기(精氣)와 자양분을 증장시키며,
첨 례, 廁<初凡反>隸<二十六>
ksine
(~!~) 윤회에 얽매이지 않고 법륜을 펼쳐,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39
나쁜 용과 전염병을 일으키는 귀신이
독기를 퍼뜨려
열병으로 목숨을 마치려 할 때
지성으로 대비주를 소리내 외우면
전염병은 없어지고
수명은 길어지리라.
● 벌사벌삼(바사바삼) 佛沙罰嘇<三十九> va ṣa va ṣaṃ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27
니야 오로 타바리만나라
你野<二合>虞嚕<二合引>馱波哩曼拏羅<二十七>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351일째]
제불자중불가설 $ 093▲摩攞羅摩攞羅為 一 ● 娑婆(上)羅, ○□□□□,清,稱,讚,世
□□□□□□□, 清淨勝行不可說,
稱歎諸佛不可說, 讚揚無盡不可說,
□□□□□□□, 청정승행불가설,
칭탄제불불가설, 찬양무진불가설,
불자의 여러 대중 말할 수 없고
청정하고 훌륭한 행 말할 수 없고
부처님 찬탄함도 말할 수 없고
끝없이 칭찬함을 말할 수 없고
[350째]
구족위의불가설 $ 092▲那婆羅那婆羅為 一 ● 摩攞羅, ○□□□□,清,成,調,諸
□□□□□□□, 清淨修行不可說,
成就無畏不可說, 調伏世間不可說,
□□□□□□□, 청정수행불가설,
성취무외불가설, 조복세간불가설,
위의를 갖추는 일 말할 수 없고
청정하게 수행함을 말할 수 없고
두렵잖음 성취함을 말할 수 없고
세간을 조복함을 말할 수 없고
●K0902_T1436.txt★ ∴≪A십송비구바라제목차계본≫_≪K0902≫_≪T1436≫
●K0890_T1435.txt★ ∴≪A십송율≫_≪K0890≫_≪T1435≫
●K0579_T1568.txt★ ∴≪A십이문론≫_≪K0579≫_≪T1568≫
법수_암기방안
93 엄지(~)발가락
92 족- 갑, 곶? [ 신조어 ] 전면? - 발바닥 앞면부 튀어나온 부분
26 손금 the line of the palm
39 아킬래스건 Achilles tendon
27 새끼마디 [little finger-넉클knuckle]
352764
491
● [pt op tr] fr
_M#]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십송율_K0890_T1435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제41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6-12-17_십송율-K0890-041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2/12/2566-12-17-k0890-041.html
sfed--십송율_K0890_T1435.txt ☞제41권
sfd8--불교단상_2566_12.txt ☞◆vqqb4893
불기2566-12-17
http://buddhism.egloos.com/archives/2022/12/17
htmback--불기2566-12-17_십송율_K0890_T1435-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