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2년 12월 2일 금요일

사_intention



【사
[한문]思
[범어]cetanā
[티벳]sems pa
[영어]intention】


❋추가참조
◎[개별논의]

<동음이의어>
사[한문]使[팔리]anusaya[범어]anuśaya티벳]bag la nyal[영어]to cause
시키는 것. 내모는 것.
진실이 아닌 인식이나 활동으로 내몬다는 뜻에서 번뇌를 가리키는 말.


사[한문]事[범어]artha티벳]don[영어]phenomena
[1]다양한 현상(現象) 세계의 차별상(差別相).
[동]현상계(現象界).[opp]반}이(理).
[2]인식의 대상이 되는 외계의 모든 사물들.


사[한문]死[범어]mṛta ; maraṇa티벳]chi ba ; shi ba[영어]death
수명(壽命),
온기(溫氣),
심식(心識) 등이 몸을 떠난 것을 가리킴.
신체가 괴멸(壞滅)되어 생명을 잃는 것.
[동]모타(母陀) , 말랄남(末剌諵).[opp]반}생(生).


사[한문]捨[범어]upekṣā티벳]btang snyoms[영어]abandoning
대선지법(大善地法)의 하나.
안정되고 편안한 상태의 마음을 가리킴.
마음이 들떠 있는 도거(掉擧)의 상태나 무겁게 가라앉아 있는 혼침(惛沈)의 상태에도 빠져 있지 않은 심소(心所)를 말함.


사[한문]師[범어]upādhyāya티벳]mkhan po[영어]teacher
제자에게 가르침을 주는 이.
설법하고 전도하는 이.
[동]오파이야(烏波儞也).


사[한문]伺[범어]vicāra티벳]dpyod pa[영어]investigation
8부정법(不定法)의 하나.
인식 대상을 상세하고 세밀하게 분별하는 마음 작용,
즉 심소(心所).
[동]비차라(毘遮羅) , 관(觀).[opp]반}심(尋).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2019_1106_115801_nik_ar38 화순 영구산 운주사


○ 2019_1105_113015_nik_exc 순천 조계산 선암사


○ 2019_1105_165807_nik_exc_s12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19_1106_152905_can_exc_s12 화순 계당산 쌍봉사


○ 2019_1105_122614_can_fix 순천 조계산 선암사


○ 2019_1105_131045_can_fix 순천 조계산 선암사


○ 2019_1105_145502_can_exc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20_0905_165233_can_ori_rs 오대산 적멸보궁


○ 2020_0906_121343_can_ori_rs 천축산 불영사


○ 2020_0930_140415_can_ori_rs 화성 용주사


○ 2020_1017_153309_can_exc_s12 삼각산 화계사


○ 2020_1017_153510_can_exc_s12 삼각산 화계사


○ 2018_1024_150049_can_ori 공주 칠갑산 장곡사


○ 2018_1024_164831_nik_ori 부여 고란사


○ 2018_1024_172318_nik_exc 부여 고란사


○ 2020_1114_164303_can_ori 삼각산 도선사


○ 2019_1104_102855_nik_exc_s12 구례 화엄사


○ 2019_1104_122023_nik_fix 구례 화엄사


○ 2019_1104_122215_nik_exc_s12 구례 화엄사


○ 2019_1104_143758_nik_exc 구례 화엄사 연기암


● [pt op tr] fr
_M#]




★2★




❋❋추가참조 ◎[개별논의]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사[한문]思[범어]cetanā티벳]sems pa[영어]intention
의지의 발동.
의지 작용.
업의 주체로서 마음으로 하여금 여러 가지 업을 조작시키는 작용.
마음이 어떤 것에 대해 적극적으로 작용을 미치는 것.
구사론에서는 10대지법(大地法)의 하나,
유식학에서는 5변행(遍行)의 하나.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한문]思
【범】cetanā 심소(心所)의 이름.
구사(俱舍)의 75법(法)중에 10대지법(大地法)의 하나.
유식(唯識)의 100법 중에 5변행(遍行)의 하나.
조작(造作)의 뜻.
자석에 철을 움직이게 하는 힘이 있는 것처럼,
경계에 대하여 마음을 움직이게 하여 선ㆍ악ㆍ무기(無記)의 업(業)을 짓게 하는 정신 작용.

사 (마음작용)
언어 추가

문서
토론



읽기
■편집
역사 보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마음작용에 속하는 불교 용어로서의 사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思)는 의사(意思) · 의지(意志) · 추진(推進)의 마음작용[心所法]을 말한다. 
5온 가운데 행온(行蘊)을 대표한다.[1][2][3][4][5]

(捨)는 내려놓음 · 버림 · 고요 · 적정 · 평정 · 평정심 · 평온 · 균형 · 평형마음작용[心所法]을 말한다.[6][7]
(捨)는 4무량심(四無量心) 가운데 사무량심(捨無量心)에 해당한다.

(伺)는 제6의식대상세상(細相) 즉 자세한 모습을 분별할 때의 마음작용[心所法]을 말한다.[8][9]
이에 대해 제6의식대상추상(麤相) 즉 대강의 모습을 분별할 때의 마음작용[心所法]을 (尋)이라 한다.[10][11]



각주[■편집]
星雲, "". 2013년 2월 23일에 확인
"思:  梵語 cetanā,或 cint。心所之名。為造作之義。為七十五法之一,百法之一。即對境審慮而引起心、心所造作之精神作用。近於現代語所謂之「思想」、「意志」等。思,在俱舍宗為十大地法之一,恆與一切之心相應。在唯識宗為五遍行之一,當心起時,必有思之作用。蓋思乃令心、心所造作之法,為身語意三業之原動力。
 依俱舍論卷十三載,思有思惟思、作事思二種:(一)豫先思惟所應作之事,稱為思惟思。(二)欲作其事之思,稱為作事思。此二者共稱為思業;若已發動身、語二業,則稱思已業。於此,思業同於意業,以心所之思為其體;思已業同於身、語二業,以色聲為其體。然經部與大乘唯識宗則皆以思為三業之體。
 據成唯識論卷一載,思有三種:(一)審慮思,先對境取正因、邪因、俱相違等之相,加以審察考慮。(二)決定思,審慮之後,決定其意。(三)動發勝思,決定其意後,發動身、語二業,令發生作用。三者同於瑜伽師地論卷五十四所說之加行思、決定思、等起思。前二者相當於俱舍論之思惟思,後一者相當於作事思。然俱舍等主張思惟、作事二思以心所之思為體,別於以色聲為體之身語二業,而大乘則主張三業皆以思為體,是為二者相異之處。又大乘依「思乃造作之義」,而以眼觸所生乃至意觸之六思身為行蘊;然於俱舍等則謂,行蘊並不限於思,而廣攝其他之心所及不相應法。〔中阿含卷三十三釋問經、大乘法苑義林章卷三末〕 p3807"
세친 조, 현장 한역 & T.1558, 제2권. p. T29n1558_p0004a06 - T29n1558_p0004a15. 사(思)와 행온(行蘊)
"除前及後色受想識。餘一切行名為行蘊。然薄伽梵於契經中說六思身為行蘊者。由最勝故。所以者何。行名造作。思是業性造作義強。故為最勝。是故佛說若能造作有漏有為名行取蘊。若不爾者。餘心所法及不相應。非蘊攝故。應非苦集。則不可為應知應斷。如世尊說。若於一法未達未知。我說不能作苦邊際。未斷未滅說亦如是。是故定應許除四蘊餘有為行皆行蘊攝。"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 K.955, T.1558, 제1권. p. 22 / 1397. 사(思)와 행온(行蘊)
"그리고 앞에서 설한 색·수·상 온과 다음에 설할 식온(識蘊)을 제외한 그 밖의 일체의 행(行)을 일컬어 '행온'이라고 한다.
그런데 박가범(薄伽梵)께서는 계경 중에서 '6사신(思身)을 행온이라고 한다'57)고 설한 것은
그것이 가장 수승(殊勝)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 까닭은 무엇인가?
' 행'이란 조작(造作)을 말하는데,
'사'는 바로 업의 성질로서 조작의 뜻이 강하기 때문에
가장 수승한 것이라고 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부처님께서 설하기를,
"만약 능히 유루의 유위를 조작하는 것이라면 그것을 일컬어 행취온(行取蘊)이라고 한다"고 하였던 것이다.58)

만약 그렇지 않다고 한다면 그밖의 심소법(心所法)과 아울러 불상응법(不相應法)은
온에 포섭되지 않기 때문에
마땅히 고(苦)·집(集)이 아니어야 할 것이며,
그럴 경우 그것은 마땅히 알아야 할 것[應知]과 마땅히 끊어야 할 것[應斷]이 될 수 없을 것이니,59)
이에 대해서는 세존께서 설하신 바와 같다.

즉 "만약 어떤 하나의 법에 아직 이르지 못하였고 아직 알지 못하였다면
능히 고(苦)의 변제(邊際 : 종극,즉 불생의 열반)를 지을 수 없다고 나는 설한다.
아직 끊지 못하였고 아직 멸하지 못한 법에 대해서도 역시 또한 이와 같이 설하리라."60)

그렇기 때문에 결정코 4온을 제외한
그 밖의 유위의 행(行)은
모두 행온에 포섭된다고 마땅히 인정해야만 하는 것이다.

57) 『잡아함경』 권제3 제63경(대정장2, p. 15하)
58) 같은 경.


59) 일체 유루의 유위법은 고제(苦諦)와 집제(集諦)에 포섭되는 것으로,
이는 '마땅히 알아야 하는 것'이고 '마땅히 끊어야 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본론 권제26, p.1178 참조.)

따라서 수·상·사를 제외한 그 밖의 심소법과 불상응행이 5취온 중에 포섭되지 않는다고 한다면
고제·집제에도 포섭되지 않을 것이고,
따라서 이것들은 마땅히 알아야 하고 마땅히 끊어야 하는 것이 아니어야 한다는 뜻.

60) 『잡아함경』 권제8 제223경; 225경(대정장2, p. 55중)."
권오민 2003, 49–56쪽.
권오민 2003, 69–81쪽.
무착 조, 현장 한역 & T.1602, 제1권. p. T31n1602_p0481c19 - T31n1602_p0481c23. 사(捨)
"捨者。謂總攝無貪無瞋無癡精進為體。依此捨故得心平等得心正直心無發動斷發動障為業。如前乃至增長捨為業。由不放逸除遣染法。由彼捨故於已除遣不染污住。如經說為除貪憂心依止捨。"
무착 지음, 현장 한역 & K.571, T.1602, 제1권. p. 19 / 293. 사(捨)

"사(捨)101) 심소는 무탐 · 무진 · 무치 · 정진을 모두 포섭함을 체성으로 삼는다.
이것에 의지해서 놓아버리기 때문에
마음의 평정을 얻고,
마음의 정직을 얻으며,
마음이 동요하지 않고,
동요의 장애를 끊음을 업으로 삼으며,
앞에서와 같이 나아가서 사(捨)를 증장함을 업으로 삼는다.

불방일로 말미암아 염오법(染汚法)을 없애고,
그 사(捨)로 인하여 이미 없애버린 불염오법에 머문다.
경전에서 “탐욕과 근심의 마음을 없애기 위해서
사(捨)에 의지한다”고 말한 바와 같다.


101) 사(捨, upekṣā) 심소는
‘평정’
즉 혼침이나 들뜸[掉擧]이 아닌
마음의 평정상태를 이루게 하는 심리작용이다.
행사(行捨)라고도 부른다."

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 & T.1613, p. T31n1613_p0854a22 - T31n1613_p0854a24. 사(伺)
"云何伺。謂思慧差別。意言伺察。令心細相分別為性。細相者。謂於瓶衣等。分別細相成不成等差別之義。"
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 & K.619, T.1613, p. 17 / 24. 사(伺)
"무엇을 사(伺)라고 하는가?
사유와 지혜의 차별로서 의언이 세밀하게 관찰하여
마음으로 하여금 자세한 모습[細相]을 분별하는 것을 성질로 한다.
자세한 모습이란 물병 · 옷 등에 대해서 분별하여
자세한 모습이 이루어지는가,
이루어지지 않는가 등을 차별하는 뜻을 말한다."

안혜 조, 지바하라 한역 & T.1613, p. T31n1613_p0854a18 - T31n1613_p0854a21. 심(尋)
"云何尋。謂思慧差別。意言尋求。令心麤相分別為性。意言者。謂是意識。是中或依思。或依慧而起。分別麤相者。謂尋求瓶衣車乘等之麤相。樂觸苦觸等所依為業。"
안혜 지음, 지바하라 한역, 조환기 번역 & K.619, T.1613, p. 17 / 24. 심(尋)
"무엇을 심(尋)이라고 하는가?
사유[思]와 지혜[慧]의 차별로서 의언(意言)이 거칠게 관찰하여
마음으로 하여금 거친 모습[麤相]을 분별하는 것을 성질로 한다.
의언이란 의식(意識)을 말한다.
이 가운데 혹은 사유에 의지하고 또는 지혜에 의지하여 일어난다.
거친 모습을 분별함이란 물병 · 옷 · 수레 등의 거친 모습을 찾아보게 함을 말한다.
즐거운 촉감, 괴로운 촉감 등이 나타나는 행동양식이다."






● From 대만불광사전

【事】 p3039-中≫
z梵語 artha.
指因緣生之一切有爲法,
卽宇宙間千差萬別之現象.
與平等門之「理」相對.
僧肇之寶藏論(大四五․一四三下):
「理合萬德,
事出千巧;事雖無窮,
理終一道.」[俱舍論卷二十五․華嚴五敎止觀․摩訶止觀卷一上](參閱「事理」3043)

【伺】 p2604-中≫
梵語 vicāra,
巴利語同.
心所之名.
爲俱舍七十五法之一,
唯識百法之一.
舊譯爲觀.
卽細心伺察思惟諸法名義等之精神作用.
伺之心所起於欲界․初禪及中間定,
二禪以上無之,
以其不徧於一切心,
又不起於一切時,
故大小乘共攝於不定地法.
其性雖遲鈍,
然深入推度名身等,
與「尋」 皆有等起語言之用.
又小乘有部謂伺有別體,
卽主張伺爲使心深細伺察之法,
經部及大乘則以伺與尋皆爲假立之法,
唯以心之粗․細而名爲尋․伺.
又據大毘婆沙論卷五十二所載,
譬喩者說心之粗性稱爲尋,
心之細性稱爲伺,
而其粗細之性由欲界乃至色界有頂天皆可得,
故謂三界皆有尋․伺.
又因尋求伺察久之,
便身疲念失,
心亦勞損,
是故尋․伺皆爲隨煩惱.
[大毘婆沙論卷四十二․卷九十․瑜伽師地論卷五․卷五十五․卷五十八․成實論卷六․法蘊足論卷七․俱舍論卷四․順正理論卷四](參閱「尋」 4936)

【似】 p2771-下≫
<一>梵語 pratibhāsa.
顯現之義.
[中邊分別論卷上]
 <二>梵語 ābhāsa.
因明用語.
係誤謬之義,
卽指似是而非.
爲「眞」 之對稱.
如似比量․似能破․似宗․似因等之「似」,
皆爲似是而非之意,
指似是而非之比量․似是而非之難破․似是而非之命題․似是而非之理由.
[因明正理門論․因明入正理論]

【使】 p3061-上≫
煩惱之異名.
全稱正使.
因煩惱驅使吾人流轉於迷之世界(生死),
故稱煩惱爲使.
與隨眠同義.
於十隨眠中,
屬見性者爲有身見․邊執見․邪見․見取見․戒禁取見等五見,
其推求道理之性質較爲猛利,
故稱五利使;其餘之貪․瞋․癡․慢․疑之性質,
則較遲鈍而難以制伏,
故稱五鈍使.
(參閱「五利使」1096․「五鈍使」1164․「正使」1988․「隨眠」6351)

【娑】 p4076-上≫
悉曇字□(sa).
又作
薩․縒․颯․拶․三․參․散.
爲悉曇體文遍口聲之第七,
五十字門之一,
四十二字門之一.
密敎常稱「娑」字爲諦.
字相淺略釋作諦之義,
字義深祕釋作諦不可得之義.
金剛頂經釋字母品稱「娑」字門爲一切法一切諦不可得故 ; 文殊問經釋爲現證一切智聲(梵 sarvajñānābhisambodhana) ; 北本大般涅槃經卷八謂娑者爲衆生演說正法,
令心歡喜之義.
[大品般若經卷五․大日經卷二具緣品]

【師】 p4090-上≫
梵語 upādhyāya.
音譯作烏波儞.
或梵語 śāstṛ,
巴利語 satthar 或 satthu.
敎人以道者之通稱.
又作
師長․師僧․師父․師家.
律中分成得戒師․受業師二種.
釋氏要覽卷上則謂,
師有親敎師․依止師兩種 ; 前者指依之出家者,
後者則指依之稟受三藏者.
 據長阿含經卷十一載,
師長以五事敬視弟子,
卽 : (一)順法調御.
(二)誨其未聞.
(三)隨其所問,
令善解義.
(四)示其善友.
(五)盡以所知誨授不吝.
另據大比丘三千威儀卷上載,
和上(尙)當有十五德,
卽 : (一)當知戒.
(二)當持戒.
(三)當不犯戒.
(四)當知經.
(五)當自守.
(六)當敎經.
(七)當敎誡.
(八)當敎習意.
(九)當敎稍稍受.
(十)當敎法則.
(十一)當自有隱德.
(十二)能致檀越.
(十三)不得有獨匿心.
(十四)人持物來,
當言皆爲衆人物.
(十五)占視病瘦,
當令均等.
[目連問戒律中五百輕重事․大乘莊嚴經論卷十二․四分律行事鈔資持記卷上三之三]

【思】 p3807-上≫
梵語 cetanā,
或 cint.
心所之名.
爲造作之義.
爲七十五法之一,
百法之一.
卽對境審慮而引起心․心所造作之精神作用.
近於現代語所謂之「思想」․「意志」等.
思,
在俱舍宗爲十大地法之一,
恆與一切之心相應.
在唯識宗爲五遍行之一,
當心起時,
必有思之作用.
蓋思乃令心․心所造作之法,
爲身語意三業之原動力.
 依俱舍論卷十三載,
思有思惟思․作事思二種:
(一)豫先思惟所應作之事,
稱爲思惟思.
(二)欲作其事之思,
稱爲作事思.
此二者共稱爲思業;若已發動身․語二業,
則稱思已業.
於此,
思業同於意業,
以心所之思爲其體;思已業同於身․語二業,
以色聲爲其體.
然經部與大乘唯識宗則皆以思爲三業之體.
 據成唯識論卷一載,
思有三種:
(一)審慮思,
先對境取正因․邪因․俱相違等之相,
加以審察考慮.
(二)決定思,
審慮之後,
決定其意.
(三)動發勝思,
決定其意後,
發動身․語二業,
令發生作用.
三者同於瑜伽師地論卷五十四所說之加行思․決定思․等起思.
前二者相當於俱舍論之思惟思,
後一者相當於作事思.
然俱舍等主張思惟․作事二思以心所之思爲體,
別於以色聲爲體之身語二業,
而大乘則主張三業皆以思爲體,
是爲二者相異之處.
又大乘依「思乃造作之義」,
而以眼觸所生乃至意觸之六思身爲行蘊;然於俱舍等則謂,
行蘊竝不限於思,
而廣攝其他之心所及不相應法.
[中阿含卷三十三釋問經․大乘法苑義林章卷三末]

【捨】 p4590-上≫
梵語 upekṣā,
巴利語 upekkhā 或 upekhā.
音譯憂畢叉.
意卽平靜․無關心.
<一>全稱行捨.
俱舍宗以捨爲遍一切善心共起的心所之一(十大善地法),
唯識宗則列爲善心所之一.
卽遠離惛沈之沈沒與掉擧之躁動,
爲不浮不沈,
保持平靜․平等之精神作用或狀態.
 關於捨之說法,
俱舍論卷四․品類足論卷四皆謂,
「捨」卽平等正直․無警覺之性,
而住於寂靜之心 ; 於唯識大乘則認爲依於精進․無貪․無瞋․無癡等四法,
令心遠離掉擧等障而住於寂靜․無有雜染之心境.
大毘婆沙論卷九十五․瑜伽師地論卷二十九以「捨」爲七覺支中之捨覺支,
爲「奢摩他品」所攝.
摩訶止觀卷三上,
轉用此義而以捨爲中道觀之異名.
[北本大般涅槃經卷三十․大毘婆沙論卷四十二․成唯識論卷六]
 <二>三受之一,
五受之一.
又稱捨受․不苦不樂受(梵 aduḥkhāsukha-vedanā)․不苦不樂覺.
卽非苦非樂的下意識之印象感覺.
伴有捨受之禪定,
稱捨俱定(巴 upekkhā-sahagata-samādhi),
指色界第四禪定․四無色定及依捨俱欲界善淨心之欲界定.
大毘婆沙論卷一一五以三受業配三界九地,
廣果繫之善業及無色界繫之善業爲順不苦不樂受業.
又於八識中,
前六識皆與三受相應,
第七․第八兩識僅與捨受相應.
成實論卷六辯三受品依雜阿含經卷十七之意,
謂樂受中有貪使,
苦受中有瞋使,
不苦不樂受中有無明使.
又不苦不樂受,
其相寂滅,
如無色定,
以寂滅之故,
煩惱細行,
凡夫以爲解脫,
故以之爲無明使.
又巴利佛敎中以捨爲十波羅蜜之一.
[大毘婆沙論卷一四三․俱舍論卷三․成唯識論卷五․淸淨道論卷三](參閱「三受」559)
 <三>捨失之義.
爲「得」之對稱.
卽已得而今捨失之.
與「不成就」同義.
[大毘婆沙論卷六十三․卷一一七․雜阿毘曇心論卷四․俱舍論卷二十一]
 <四>悉曇字□(śa).
爲悉曇五十字門之一․四十二字門之一.
又作
舍․賖․奢․口奢․赦․柘․設․爍․鑠.
捨字門,
一般多擧寂靜․寂靜不可得之義.
蓋由梵語 śānta(賖多)․śānti(扇底)轉釋而來,
意譯寂靜․寂滅 ; 乃取自二字之字頭 śa(捨).
大日經疏卷二謂(大三九․六五五中) : 「奢字門,
一切諸法本性寂故.」方廣大莊嚴經卷四․大方等大集經卷十․海意菩薩所問經卷十二․文殊師利問經卷上字母品等,
皆以唱捨字時,
出一切奢摩他毘鉢舍那之聲,
此卽由梵語 śamatha(止)-vipaśyana(觀)轉釋而來.
文殊問經字母品第十四載捨爲信進念定慧(梵 śraddha-virya-smṛti-samādhi-prajñā)之義.
北本大般涅槃經卷八解釋此字爲遠離三箭之義.
新華嚴經卷七十八載唱奢字時,
入般若波羅蜜門.
[瑜伽金剛頂經釋字母品․大品般若經卷六․大智度論卷四十八․大日經疏卷七]

【死】 p2466-中≫
梵語 maraṇa,
巴利語同.
音譯末剌諵.
卽壽命終盡之意.
亦卽喪失壽(命)․煖(體溫)․識(心)三者,
以致身體變壞之相.
與生․老․病三者合稱四相.
經典中所載之死亡種類有多種 : (一)北本大般涅槃經卷十二擧出二種死,
卽 : (1)命盡死,
謂性命終結而死.
(2)外緣死,
謂由外在之因緣而死.
(二)大毘婆沙論卷二十擧出四種死 : (1)有財(或福)而壽命盡之死.
(2)有壽命而財盡之死.
(3)財與壽命俱盡之死.
(4)雖有財與壽命,
然遇惡緣而死於非命之死.
(三)玄奘譯之藥師本願功德經擧出九種橫死(又稱九橫․橫死九法․九橫死),
卽 : (1)患病不得醫藥而死.
(2)觸犯國法處死刑而死.
(3)荒淫冶遊,
而爲非人(惡鬼等)奪取精氣而死.
(4)火焚而死.
(5)溺水而死.
(6)爲諸惡獸噉死.
(7)從絶壁․山崖墮死.
(8)毒死.
(9)饑渴而死.
又九橫經中另擧有其他九種死.
 此外,
勝鬘經擧出分段死․不思議變易死二種,
前者係指衆生之業報身,
有壽命長短․身形不一等之區別,
故其死爲分段死 ; 後者係指阿羅漢․菩薩等之意生身,
有生滅變易之死.
另瑜伽師地論卷一擧出壽盡․福盡․避不平等(卽非時死)三種死.
 關於命終時之心相,
據顯揚聖敎論卷十九載,
命終之際,
於分明心之位時,
有善心․不善心․無記心三種心 ; 若至不分明之位時,
則僅有不苦不樂之無記心,
未久,
隨卽由「死有」移至「中有」,
復由「中有」移至「生有」.
另據瑜伽師地論卷一之說,
則謂由善心而死者,
命終之時,
憶念先時所行之善法,
則信等之善法心起現行,
故安樂而死,
無有極苦逼迫於身 ; 由不善心而死者․由無記心而死者,
亦準此於命終時現起其不善心․無記心.
此外,
小乘說一切有部主張,
命終之後,
僅由業力卽決定他生所趣往之處 ; 大乘則多强調阿賴耶識之作用力,
謂阿賴耶識乃無有間斷,
不囿於生死而三世相續.
 另就命終時之苦惱․痛苦而論,
據俱舍論卷十之說,
死時之苦,
稱爲斷末摩苦.
末摩(梵 marman),
意譯作死穴․死節,
此部位若加以少許傷害,
卽會産生極大苦痛而喪命.
另據瑜伽師地論卷六十一所擧死苦之五種相,
卽人死時會離別所愛之財寶․眷屬․自身․朋友,
及備受諸種極重之憂苦等.
 有關死之譬喩,
於諸經論中廣有所擧,
如無常經中將死比喩爲刀,
能殺人致死,
故稱爲死刀.
又坐禪三昧經卷上,
以死能賊害人之性命,
故比喩爲賊,
稱爲死賊.
另如北本大般涅槃經卷十二,
將死比喩爲劫末之大火災及大風災,
能燒除․吹滅一切,
故稱爲死火․死風.
此外,
尙有死魔․死屍․死海等諸多譬喩.
 蓋宇宙中之一切萬物,
皆有生․住․異․滅四相,
此種生滅變化之現象,
若就有情(指有生命者)而言,
則稱爲生死.
準此可知,
有生卽有死,
然死竝非滅盡,
乃待另一因緣之和合,
而重新開始新生 ; 如人一期生命之終結爲死,
然死後又投胎轉世於六道中,
開始另一期之生命,
如此輪迴不息.
然自古以來,
人類因對死缺乏正確之認識與了解,
故産生恐懼․悲痛等心理,
佛敎諸經論中,
佛曾開示多種法門,
以引導衆生斷除煩惱根源,
而求解脫生死之輪迴.
[雜阿含經卷二十一․正法念處經卷六十七․出曜經卷十四․大毘婆沙論卷二十三․卷一五一․俱舍論卷五․成實論卷七․瑜伽師地論卷六十七․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五․成唯識論卷七․翻譯名義集卷十七]

【社】 p3466-中≫
<一>古代土地神之稱.
禮記祭法:
「共工氏之霸九州也,
其子曰后土,
能平九州,
故祀以爲社.」
 <二>指祭祀社神.
禮記月令載:
「命民社」.
後引申爲祭祀社神之節日.



● From 陳義孝佛學常見辭彙

【捨】1․捨施之義,
如財施法施是.
2․捨棄之義,
如捨棄三毒煩惱,
或捨棄怨親之心而一視同仁是.
→3763

【使】煩惱的別名,
因煩惱能使衆生流落於生死.
見十使條.
→2684

【事】凡是因緣所生之法都叫做事,
離因緣造作之法則叫做理.
→2671

【寺】僧伽所居住的地方.
→2029



● From 法相辭典

★瑜伽三卷七頁雲:
思雲何?謂心造作。
又雲:
思作何業?謂發起尋伺身語業等為業。

★二解 瑜伽五十五卷三頁雲:
思雲何:
謂三和合故;令心造作。
于所緣境,
隨與領納和合乖離。
思作何業?謂發起尋伺身語業等為業。

★三解 如八種斷行中說。

★四解 顯揚一卷四頁雲:
思者:
謂令心造作得失俱非意業為體。
或為和合,
或為別離,
或為隨與,
或為貪愛,
或為嗔恚,
或為棄舍,
或起尋伺,
或復為起身語二業,
或為染污,
或為清淨。
行善不善非二為業。
如經說:
有六思身。
又說:
當知我說今六觸處,
即前世思所造故業。

★五解 集論一卷五頁雲:
何等為思?謂于心造作意業為體。
于善不善無記品中,
役心為業。

★六解 成唯識論三卷二頁雲:
思、
謂令心造作為性。
于善品等,
役心為業。
謂能取境正因等相,
驅役自心,
令造善等。

★七解 五蘊論二頁雲:
雲何為思?謂于功德過失及俱相違,
令心造作,
意業為性。

★八解 廣五蘊論四頁雲:
雲何思?謂于功德過失及以俱非,
令心造作,
意業為性。
此性若有識攀緣用;即現在前。
猶如磁石,
引鐵令動。
能推善不善無記心為業。

★九解 俱舍論四卷三頁雲:
思、
謂能令心有造作。

★十解 入阿毗達磨論上六頁雲:
思謂能令心有造作;即是意業。
亦是令心運動為義。
此善不善無記異故;有三種別。

★十一解 界身足論上二頁雲:
思雲何?謂思、
等思、
現思、
已思、
當思、
思所攝造心意業,
是名思。

★十二解 品類足論一卷三頁雲:
思雲何?謂心造作性。
即是意業。
此有三種。
謂善思、
不善思、
無記思。

★十三解 品類足論二卷十五頁雲:
思雲何?謂思、
等思、
增上等思、
已思、
思類、
心作意業,
是名為思。




● From BUDDHDIC


to think,
contemplate,
consider,
imagine; volitional impulse



● From 丁福保 - 佛學大辭典 : Ding Fubao's Dictionary of Buddhist Studies


【術語】 心所法名,
俱舍七十五法中十大地法之一。
唯識百法中五徧行之一。
梵語指底Cint,
以使心造作之作用而名。
俱舍論四曰:
「思謂能令心有造作。
」唯識論三曰:
「思謂令心造作為性,
於善品等役心為業。
」大乘義章二曰:
「思願造作名思。
」梵語雜名曰:
「思,
指底。




● From Soothill-Hodous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DDBC version)

cint- (चिन्त्-) 指底.
Think,
thought; turn the attention to; intp.
by 心所法 mental action or contents,
mentality,
intellection.



● From Mahāvyutpatti (bye brag rtog byed)
cetanā
[Mvyt: 1927]
梵文 (轉寫) / Sanskrit (IAST):
cetanā
梵文 (天成體) / Sanskrit (Devanāgarī):
चेतना
中文 / Chinese:

藏文 (Wylie) / Tibetan (Wylie):
sems pa
藏文 / Tibetan:
སེམས་པ་



● From Hanja(Korean Hanzi) Dic

【사】생각하다; 어조사 【새】수염이 많다.
田('정수리신'의 변형) + 心(마음심)
心부 5획 (총9획)
[1]
think; consider; ponder; contemplate [2]
memory; remembrance; [v]
remember; recall; think of [3]
[v]
mourn; grieve [4]
[v]
admire [5]
[v]
pine for [6]
a final particle to sound off an expression
見利思義(견리사의) 이익을 보면 의에 맞는가 안 맞는가의 여부를 잘 생각하여 취하고 안취함을 결정함.
九思(구사) 아홉 곱의 사물에 대한 생각.
시사명(視思明),
청사총(聽思聰),
색사온(色思溫),
모사공(貌思恭),
언사충(言思忠),
사사경(事思敬),
의사문(疑思問),
분사난(忿思難),
견득사의(見得思義) 또는 견리사의(見利思義)를 말함
奇思(기사) 기이한 생각





<동음이의어>

사[한문]師
【범】upādhyāya ↔ 제자.
모범이 되는 사람.
제자에게 법을 전해주는 이.
남을 가르쳐 이끌어 주는 자리에 있는 이를 말함.
율문 중에 득계사(得戒師)ㆍ수업사(受業師).
그 밖에 친교사(親敎師)ㆍ의지사(依止師)ㆍ사승사(嗣承師)ㆍ법당사(法幢師)ㆍ교수사(敎授師)ㆍ인청사(引請師)ㆍ선사(禪師)ㆍ강사(講師) 등의 명칭이 있다.
또 일반으로 출가한 이에 대한 존칭으로 씀.



[한문]捨
【범】upekṣā (1) 3수(受)의 하나.
고(苦)ㆍ낙(樂)ㆍ우(憂)ㆍ희(喜)와 같이 치우친 감각이 아니고,
그 중간인 괴롭지도 않고(不苦),
즐겁지도 않은(不樂) 감각.
(2) 선(善)의 심왕(心王)에 수반(隨伴)하여 일어나는 정신 작용의 이름.
구사(俱舍)에서는 대선지법(大善地法)의 하나.
유식(唯識)에서는 선(善)의 하나라 하여,
마음이 침울하지도 않고,
부동(浮動)하지도 않는 중용(中庸)을 얻은 정신 작용을 말함.
사수(捨受)와 구별하기 위하여 행사(行捨)라 함.



[한문]寺
【범】vihāra 가람(伽藍)ㆍ정사(精舍)ㆍ난야(蘭若)라고도 한다.
부처님께 예배하고,
교법을 듣는 도장(道場).
불상ㆍ경전을 모시고 스님들이 사는 곳.
사(寺)는 원래 중국에서 외빈(外賓)을 접대하는 관사의 뜻이었는데,
67년(후한 명제 영평 10)에 가섭마등ㆍ축법란 두 스님이 월지국으로부터 중국에 오니,
우선 홍려시(鴻臚寺)에 머물게 하고,
뒤에 백마사(白馬寺)를 지어 그 곳에 옮겨 역경 등 여러 가지 불사를 하게 하였다.
이로부터 드디어 사(寺)로써 절을 이름하게 됨.



[한문]死
(1) 【범】maraṇa 4상(相)의 하나.
↔ 생(生).
목숨이 마치는 것.
곧 죽음.
(2) 수행의 결과.
정ㆍ식(情ㆍ識)으로 분별하던 생각을 여의어 털끝만한 번뇌도 없는데 이르는 경계.
대사일번(大死一番)이라 하는 경우.
(3) 정지(靜止)ㆍ주착(住着)의 뜻.
한편에만 집착하여 자재(自在)한 활로(活路)가 없는 것을 꾸짖는 것.
↔ 활(活).
향상(向上)의 사한(死漢)이라 하는 경우.



[한문]事
(1) ↔ 이(理).
일체 차별의 모양,
곧 현상계.
(2) 밀교에서는 교상(敎相)에 대하여 위의행법(威儀行法),
곧 택지(擇地)ㆍ조단(造壇)ㆍ관정(灌頂)ㆍ수법(修法)ㆍ인계(印契)ㆍ진언 따위의 모든 모양을 사상(事相)이라 함.



[한문]使
결사(結使)라고도 함.
번뇌의 다른 이름.
마음을 제멋대로 부려 악업을 짓게 하므로 이렇게 일컬음.



[한문]嗄
비애(悲哀)가 심하여 목이 말라 소리가 나오지 않는 것.
“애”라고도 발음 함.



[한문]娑
【범】sa [사]
(또는 薩ㆍ縒).
실담 50자문의 하나.
범어의 Satya(諦)ㆍSarvajña(一切智)의 첫 자에 Sa의 음(音)이 있으므로,
이 자에 일체법 일체체불가득(一切法一切諦不可得)의 뜻이 있다 하며,
일체의 지혜를 현증(現證)하는 소리라 함.

▣동음한자▣
乍 事 些 仕 伺 似 使 俟 僿 史 司 唆 嗣 四 士 奢 娑 寫 寺 射 巳 師 徙 思 捨 斜 斯 柶 査 梭 死 沙 泗 渣 瀉 獅 砂 社 祀 祠 私 篩 紗 絲 肆 舍 莎 蓑 蛇 裟 詐 詞 謝 賜 赦 辭 邪 飼 駟 麝

▣한자의미▣
사 乍(잠깐) 事(일) 些(적을) 仕(벼슬할) 伺(엿볼) 似(같을) 使(하여금) 俟(기다릴) 僿(잘게 부술) 史(역사) 司(맡을) 唆(부추길) 嗣(이을) 四(넉) 士(선비) 奢(사치할) 娑(춤출) 寫(베낄) 寺(절) 射(궁술사) 巳(여섯째 지지) 師(스승) 徙(옮길) 思(생각할) 捨(버릴) 斜(비낄) 斯(이) 柶(수저) 査(사실할) 梭(북) 死(죽을) 沙(모래) 泗(물이름) 渣(찌끼) 瀉(쏱을) 獅(사자) 砂(모래) 社(토지의) 祀(제사) 祠(사당) 私(사사) 篩(체) 紗(깁) 絲(실) 肆(사) 舍(집) 莎(향부자) 蓑(도롱이) 蛇(뱀) 裟(가사) 詐(속일) 詞(말씀) 謝(사례할) 賜(줄) 赦(용서할) 辭(말) 邪(간사할사) 飼(먹일) 駟(사마) 麝(사향노루)



● From Naverjpdic

し[思]
1.생각하다.
思想しそう 사상
思案しあん 사안
思惟しい 사유
思考しこう 사고
思念しねん 사념
意思いし 의사
思慮しりょ 사려.
2.사모하다.
남을 생각하다.
思慕しぼ 사모
相思そうし 상사.


<어미>‘시어’の縮約形。

● From 康熙字典文字版

【卯集上】【心字部】 思

〔古文〕恖𠂺𡴓𢍄【廣韻】息兹切【集韻】【韻會】新兹切【正韻】息移切,
𠀤音司。
【說文】睿也。
【書·洪範】思曰睿。
【六書總要】念也,
慮也,
繹理爲思。
 又願也。
【詩·大雅】思皇多士。
【箋】願也。
【正義曰】以意之所思,
必情之所願也。
 又語巳辭。
【詩·周南】不可泳思。
又【大雅】神之格思。
 又語起辭。
【詩·大雅】思齊太任。
又【魯頌】思樂泮水。
 又【諡法】謀慮不愆曰思。
 又州名。
楚黔中地,
唐置思州,
以思邛水得名。
 又姓。
以諡爲氏,
明有思志道。
 又【廣韻】【集韻】【類篇】【韻會】𠀤相吏切,
音四。
【揚雄·甘泉賦】儲精垂思。
 又悲也。
【詩·小雅】䑕思泣血。
【註】思,
去聲,
䑕思,
哀以思。
言悲也。
 又【書·堯典】欽明文思。
【註】道德純備謂之思。
【音義】思,
息嗣反。
又如字。
 又叶相居切,
音須。
【徐幹·室思詩】妾身雖在遠,
豈違君須臾。
旣厚不中薄,
想君時見思。
 又叶桑才切,
音腮。
多鬚貌。
【左傳·宣二年】宋城者謳曰:
于思于思,
棄甲復來。
 又念也。
【易·咸卦】憧憧往來,
朋從爾思。
【詩·邶風】莫往莫來,
悠悠我思。
 【說文】从心囟聲。
囟頂門骨空,
自囟至心,
如絲相貫不絕。






④-3807■불광사전
④-3039■불광사전
③-2604■불광사전
③-2771■불광사전
④-3061■불광사전
⑤-4076■불광사전
⑤-4090■불광사전
⑤-4590■불광사전
③-2466■불광사전
④-3466■불광사전
hbfl--07_Sa_0634.TIF
  
■ '사' 관련 기타 참고 사전 통합 검색
다음백과 https://100.daum.net/search/entry?q=사
네이버백과 https://terms.naver.com/search.nhn?query=사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사
네이버한자 https://hanja.naver.com/search?query=사
네이버지식 https://kin.naver.com/search/list.nhn?query=사
네이버사전 https://endic.naver.com/search.nhn?sLn=kr&isOnlyViewEE=N&query=사

위키영문 https://en.wikipedia.org/wiki/cetanā
구글 https://www.google.co.kr/?gws_rd=ssl#newwindow=1&q=사
네이버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사
다음 https://search.daum.net/search?w=tot&q=사


--- 이하 단어 직접 입력 검색 ---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https://abc.dongguk.edu/ebti/c3/sub1.jsp
실용한-영 불교용어사전 http://dic.tvbuddha.org/
불광대사전(佛光大辭典) https://www.fgs.org.tw/fgs_book/fgs_drser.aspx
산스크리트어사전 https://www.sanskrit-lexicon.uni-koeln.de/monier/
 티벳어사전 https://nitartha.pythonanywhere.com/index


● [pt op tr] fr
_M#]
■ 불교사전 링크 및 불교 사전 출처 종합 안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4/blog-post_21.html


●● 관련정보 사용페이지



----[‡사용한 다른 페이지]---









★%★






◎◎[개별논의] ❋추가참조









★1★










◆vgog1551

◈Lab value 불기2566/12/02/금/14:56


○ 2018_0722_150544_nik_Ar26.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Giovanni-Battista-Piranesi-another-view-in-perspective-of-the-same-tripod.jpg!HD
[#M_▶더보기|◀접기|
Artist: Giovanni-Battista-Piranesi
from https://en.wikipedia.org/wiki/Giovanni_Battista_Piranesi
Title : another-view-in-perspective-of-the-same-tripod.jpg!HD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16_1008_141557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Death_Valley_Mesquite_Flats_Sand_Dunes_2013
[#M_▶더보기|◀접기|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Death_Valley_Mesquite_Flats_Sand_Dunes_2013.jpg
English: Mesquite Flats Sand Dunes in Death Valley
Author Tuxyso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Solomon Islands ,Gizo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상세정보=> http://buddhism007.tistory.com/5171

Guy Beart - Couleurs; Vous Etes Des Larmes (1967)


♥단상♥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2/12/intention.html#1551
sfx--dict/사.txt
sfd8--불교용어dic_2566_12.txt ☞◆vgog1551
불기2566-12-02
θθ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용어퀴즈 다음 설명에 맞는 답을 찾으시오.


■ 용어 퀴즈

 또는 파현(破顯)ㆍ파신(破申). 사도(邪道)를 파척(破斥)하고, 정리(正理)를 나타냄. 불교의 모든 종파는 모두 파사현정으로 종취를 삼거니와, 그 가운데도 특히 삼론종은 다른 종파에서 사는 사라고 하여 파척하고, 따로 정리를 나타내는데 반하여, 파사밖에 따로 현정이 있는 것이 아니라 파사하는 것이 그대로 현정이라고 주장.

답 후보
● 파사현정(破邪顯正)
팔난(八難)
팔만사천(八萬四千)

팔배(八輩)
팔식(八識)
팔정도지(八正道支)
패엽(貝葉)

■ 음악
Gilles Marchal - Comme Un Etranger Dans La Vill
Leo Basel - Groove Baby Groove
L'affaire Louis Trio - Chic Planèt
Jane Birkin - Enfants D'hiver
Serge Gainsbourg And Jane Birkin - Je T'aime... Moi Non Plus
Guy Marchand - Ich Liebe Dich Marlene
Veronique Sanson - Marie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攵 ■ ( 칠 복 / 등 글월문 )
024▲ 攵丰夫父不 ■ 복봉부부부 24 ( 칠 복 / 등 글월문 )( 예쁠 봉 / 풍채 풍 )( 지아비 부 )( 아버지 부/ 아비 부, 자 보 )( 아닐 부 / 아닐 불 )
011▲ 己女大万亡 ■ 기녀대만망 11 ( 몸 기 )( 여자 녀 / 너 여 )( 클 대 / 클 태 )( 일 만 만 )( 망할 망 / 없을 무 ) 재춘법한자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번역연습(기계적 번역내용 오류수정 연습)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Ushnisha
[san-chn] vāpayati 下
[san-eng] raghunaṁdana $ 범어 the delighter of the ṛaghus
[pali-chn] uposatha 布薩, 布薩日, 烏逋沙他, 齋戒
[pal-eng] sa.mvibhajja $ 팔리어 abs. of sa.mvibhajatihaving divided; having shared.
[Eng-Ch-Eng] 善慧地 The stage of excellent wisdom (Skt. sa^dhu-mati^; Tib. legs pah!i blo gros), which is the ninth of the ten stages of the bodhisattva path 十地. In this stage the bodhisattva's wisdom becomes complete in the attainment of the four kinds of unobstructed understanding 四無礙解, and is therefore able to articulate the dharma in all places and all languages without error.
[Muller-jpn-Eng] 優波難陀 ウパナンダ (person) Upananda
[Glossary_of_Buddhism-Eng] ALAYA CONSCIOUSNESS☞
Syn: Alaya Vijnana; Eighth Consciousness; Karma Repository; Store
Consciousness.
See also: Consciousnesses; Scriptural Recital.
“All karma created in the present and previous lifetimes is stored
in the Alaya Consciousness. This is regarded as that which undergoes
the cycle of birth and death … All the actions and experiences of life
that take place through the first seven consciousness are accumulated
as karma in this Alaya Consciousness, which at the same time exerts
an influence on the workings of the seven consciousnesses.”
Sokk: 9
“The concept of Alaya-Vijnana constitutes the basis of the ‘mind-only’
doctrine of the Yogachara and stands at the center of this school’s
theory of individualization, according to which past karmic seeds
… enter into the Alaya-Vijnana, whence they arise again to occasion
thought activity. This individuated thinking is ridden with ignorance
and egotism, which instigate the notion that it constitutes a real person in the real world.”
【book-page-16 17】
Sham: 4 #0011

[fra-eng] hypocrisie $ 불어 hypocrisy


■ 암산퀴즈


113* 886
718740 / 990


■ 다라니퀴즈

구족수화길상광명대기명주총지 11 번째는?
자비주 24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12 번째는?




11 제자(弟子)를 증장시키며,
사뎨 마참포, 薩帝<丁斯反>摩讖蒱<十一>
satyama ksam bhu.
정법(正法)지장,
『대승대집지장십륜경』
♣0057-001♧


24
이 때에
관세음보살께서
이 주문을 설하시고 나니
대지(大地)는
여섯가지로 진동하고
하늘에서 보배의 꽃이 흩뿌려져 내려,
10방(十方)의 모든 부처님께서는
다 환희하시고
하늘의 마군이와 외도들은
놀라고 두려워 하여
털이 곤두섰으며
이 법회에
모인 일체 대중은 도과(道果)를 각기 증득하였으니
혹 수다원과(湏陁洹果)를 얻었으며,
혹 사다함과(斯陁含果)를 얻었으며,
혹 아나함과(阿那含果)를 얻었으며,
혹 아라한과(阿羅漢果)를 얻었으며,
혹은 환희지(歡喜地)를 얻었으며,
혹은 이지(二地)· 삼지(三地)
내지 제 십지(第十地)인 법운지(法雲地)를 얻었으며,
헤아릴 수 없이 많은 귀신과
여러 종류 중생이
다 보리심을 일으켰다.
● 사바사바(살바살바) 薩婆薩婆<二十四> sar va sar va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12
오뎨라나 바바건 다 라
塢諦囉拏<二合>婆嚩建<引>哆<引>囉<十二>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336일째]
피제법지불가설 $ 078▲娑攞荼娑攞荼為 一 ● 謎魯陀, ○□□□□,彼,彼,彼,彼

□□□□□□□, 彼淨法輪不可說,
彼大法雲不可說, 彼大法雨不可說,
□□□□□□□, 피정법륜불가설,
피대법운불가설, 피대법우불가설,

저 여러 법의 지혜 말할 수 없고
깨끗한 법 바퀴도 말할 수 없고
저렇게 큰 법 구름을 말할 수 없고
저렇게 큰 법 비도 말할 수 없고



[337째]
피제신력불가설 $ 079▲謎魯陀謎魯陀為 一 ● 契魯陀, ○□□□□,彼,入,念,無

□□□□□□□, 彼諸方便不可說,
入空寂智不可說, 念念相續不可說,
□□□□□□□, 피제방편불가설,
입공적지불가설, 념념상속불가설,

저 모든 신통의 힘 말할 수 없고
저 모든 방편들도 말할 수 없고
고요한 지혜에 듦 말할 수 없고
생각생각 계속함을 말할 수 없고




●K0248_T1495.txt★ ∴≪A선공경경≫_≪K0248≫_≪T1495≫
●K1505_Txxxx.txt★ ∴≪A선문염송집≫_≪K1505≫_≪Txxxx≫
●K1004_T0616.txt★ ∴≪A선법요해≫_≪K1004≫_≪T0616≫

법수_암기방안


78 *무지 (~ 엄지)
79 검지 식지 (~집게)
11 위팔 upper arm
24 집게(INDEX finger~검지 식지)


12 팔꿉 [elbow]

100118
726

○ 2018_0722_174834_can_ab32


○ 2019_0405_152116_nik_ct9


○ 2019_0405_162504_nik_Ab7


○ 2019_1004_180715_nik_Ab27


○ 2019_1004_155716_nik_Ab27


○ 2019_1004_152328_can_Ar28


○ 2019_1004_161543_nik_Ab35


○ 2019_1004_140544_nik_ab41


○ 2019_1004_175956_nik_ab41


○ 2019_1004_160802_nik_ar45


○ 2019_1004_175048_nik_ar44


○ 2019_1004_164304_nik_ct18


○ 2019_1004_143948_nik_ct15


○ 2019_1004_164658_nik_ab13


○ 2019_1004_170728_nik_ab16


○ 2020_0224_104040_nik_ar15


○ 2020_0224_110931_nik_bw0_s12


○ 2020_1126_160419_nik_BW22

● [pt op tr] fr
_M#]


○ 2020_0224_101421_nik_CT28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사 [문서정보]- 불교용어풀이 키워드
[#M_▶더보기|◀접기|


[관련키워드]

[링크용타이틀]

■ 본 페이지 ID 정보
DICT--사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2/12/intention.html
sfx--dict/사.txt
sfd8--불교용어dic_2566_12.txt ☞◆vgog1551
불기2566-12-02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2944122379
http://buddhism.egloos.com/archives/2022/12/02
htmback--사_불기2566-12-02-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