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신[한문]法身[팔리]dhamma-kāya[범어]dharma-kāya티벳]chos kyi sku[영어]the body of truth
부처의 3신(身)의 하나. 불법(佛法)을 신체에 비유하여 표현한 말로서, 부처가 설한 정법(正法)을 가리킴. 어떤 형체를 가진 몸이 아니라, 영원 불변의 진리 그 자체를 뜻함. [동]법신불(法身佛) , 법불(法佛) , 법성신(法性身) , 자성신(自性身).
법신
법신[한문]法身[범어]dharma-śarīra[영어]the body as the truth
법으로서의 부처의 몸을 가리킴. 부처의 색신(色身) 즉 물질적인 육신(肉身)과 대비되는 말.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법신
[한문]法身
【범】dharma-kāya (1) 3신의 하나. 법은 진여, 법계의 이(理)와 일치한 부처님의 진신(眞身). 빛깔도 형상도 없는 본체신(本體身). 현실로 인간에 출현한 부처님 이상(以上)으로 영원한 불(佛)의 본체. 부처님이 말씀하신 교법, 혹은 부처님이 얻은 계(戒)ㆍ정(定)ㆍ혜(慧)ㆍ해탈(解脫)ㆍ해탈지견(解脫知見)을 법신이라 하기도 하나, 일반으로 대승에서는 본체론적으로 우주의 본체인 진여 실상 등의 법(法). 또는 그와 일치한 불신을 법신이라 말한다.
(2) 해경(解境) 10불의 하나. 지혜로 인하여 증득한 법성의 이치. ⇒법성신(法性身)ㆍ자성신(自性身)
《법화경(法華經)》의
〈여래수량품(如來壽量品)〉에서는 부다가야의 보리수 밑에서 도를 깨닫고 부처가 된 고타마 붓다는 일시적으로 인간의 모습을 하고 이 세상에 출현한 것에 불과하며, 사실은 영원한
과거에 있어서 이미 성불을 완성하고 무한한 시간에 걸쳐 인간들을 교화해 온 구원실성(久遠實成)의 부처가 있었음을 말하고 있다.[1] 이 부처를 구원의 법신불(久遠의 法身佛)이라 부른다.[1]
이것은 불교가 본래 진리(법) 신앙이며, 진리(법)는 영원불멸이기 때문에 그 진리(법)를 깨달은 부처도 진리(법)와 일체(一體)이며,
진리(법)를 신체(身體)로 하고
있는 영원불멸의 존재, 즉 법신(法身)이라고 여긴 것이다.[1]
Pāli Canon 에서 Gautama
Buddha 는 Vasettha에게 Tathāgata ( 부처님)가
dhammakaya , "진리의 몸" 또는 "진리의 화신", 그리고 dharmabhuta , "진리가 된", 즉 "사람"이라고 말합니다.
진실이 되었다." 여래에 대한 믿음이 확고하고, 뿌리를 내리고, 굳건하고, 고행자나 브라만, 천인이나 마라, 범천이나 세상의 누구에
의해서도 흔들리지 않는 사람은 진실로 '나는 복되신 주(바가반)의 진실한 아들이다'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 그의 입에서 나고,
담마에서 나고, 담마의 상속자인 담마가 창조한 것입니다.' 왜 그런 겁니까? 바셋타여, 이것이 여래를 가리키기 때문이다 : '담마의
몸', 즉 '브라흐마의 몸' 또는 '담마가 되다', 즉 '브라마가 되다'." [2] 붓다의 생애 동안 그에게 큰 공경을 보였다. 보편적인 부처의 물리적 특성에 관한 신화가
발전했습니다.
붓다의 반열반 후에 붓다의
육체( rūpakaya )와 다르마카야( dharmakaya) 측면이 구별되었습니다. 부처님이 Vakkali에게 말씀하셨듯이 그는 법 의
"진실"의 살아있는 예였습니다 . 관련된 형태가 없다면 부처님의 추종자들은 부처님의 다르마카야 측면에만 공감할 수 있을
것입니다. SN 6.2
에서 – Garava sutta. 부처님은 담마 에 경의를 표하고 그것을 존중할 것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트리카야 교리 [
■편집 ] 상위 문서: 트리카야 트리 카야
교리 (산스크리트어, 문자 그대로 "세 몸" 또는 "세 인격")는 현실의 본질과 부처의 출현에 관한 불교의
가르침입니다.
마하상기카 [ ■편집 ] Guang Xing에 따르면 Mahāsāṃghika 의 가르침에서 부처님의 두 가지 주요 측면을 볼 수 있습니다. 전지전능한 진정한 부처님과 능숙한 수단을
통해 중생을 해방시키는 현현된 형태입니다. [6] Mahāsaṃghikas에게 역사적인 고타마 부처는 이러한 변형체(Skt. nirmāṇakāya ) 중 하나인
반면 본질적인 실제 부처는 dharmakāya 와 동일시됩니다 . [7]
Sarvāstivāda [ ■편집 ] Sarvāstivādins 는 부처님의 육신(Skt. rūpakāya )을 불순하고 귀의하기에 부적절하다고 보았고, 대신
그들은 부처님에게 귀의하는 것을 부처님의 다르마카야에 귀의하는 것으로 여겼습니다.
[8] Mahāvibhāṣā
에 명시된 바와 같이 : [8] 어떤 사람들은 부처님께 귀의하는 것은 머리, 목, 배, 등, 손, 발로 구성된 여래의
몸에 귀의하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아버지와 어머니에게서 태어난 몸은 더럽혀진 법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피난처가 아니라고 설명
됩니다 . 피난처는 bodhi 와 dharmakāya를 구성 하는 부처님의 완전히 성취된 자질( aśaikṣadharmāḥ )입니다
.
Theravāda [ ■편집 ] Theravada 불교
의 Pali Canon 에서 Dhammakāya ( dharmakāya )는 "몸"또는 부처님의 가르침의 합계를 의미하는 비유적인 용어로
설명됩니다. [9] [10] [11] 정경은 담마카야 라는 용어 에 형이상학적이거나 비현실적인 의미를 부여 하지 않습니다 . [9] [12]
그러나 Jantrasrisalai는 이 용어가 나중에 해석된 방식보다 원래 깨달음의
과정과 더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면서 동의하지 않습니다. 초기 불교 용법에서 담마카야에 대한 모든 언급에서 담마카야는 항상 어떤
식으로든 깨달음의 과정과 연결되어 있음이 분명합니다. 모든 유형의 불교 귀족과의 관계는 초기 불교 텍스트에서 분명합니다.
즉 담마카야는 부처님만의 전유물이 아닙니다. 또한 가르침의 의미에서 이 용어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초기 불교 통념이
아니라 후기 도식인 것으로 보입니다. [13]
Buddhaghoṣa는 항상 lokuttaradhamma 의 가르침 을 언급하는 정식 해석을 따르지만
Dhammapāla는 dhammakāya 를 부처님의 영적 성취 로 해석 합니다. [14] [15]
Dhammapāla의 해석은 여전히 본질적으로 Theravāda입니다. 부처는 깨달은 사람이지만 여전히
인간으로 간주되기 때문입니다. [9]
붓다의 몸은 여전히 업 의
지배를 받고 있으며 다른 사람들의 몸과 같은 방식으로 제한되어 있습니다. [14] 정식 이후의 스리랑카 텍스트인 Saddharmaratnākaraya에서는
rūpakāya , dharmakāya , nimittakāya 및 suñyakāya 의 네 가지 kāya 를 구분 합니다.
rūpakāya 는 여기에서 사 선정 을
말합니다 . dharmakāya 는 9개의 lokuttaradhamma 중 처음 8개의 달성을 의미 합니다 .
nimittakāya 는 마지막 lokuttaradhamma 를 나타냅니다 . 육체적 나머지가있는 Nibbāna (
sopadisesanibbāna );
그리고 suñyakāya 는 Nibbāna 를 가리킨다. 육체적인 나머지( anupādisesanibbāna ) 없이.
그러나 이 네 가지
kāya 의 가르침조차도 정통 Theravāda 전통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닙니다. [9] [16]
보다 비정통적인 접근 방식으로 Maryla Falk
는 초기 형태의 불교에서 manomayakāya 또는 dhammakāya 와 amatakāya 를 획득하는 요가 의 길이 존재 했다고 주장 했습니다.
여기서 manomayakāya 또는
dhammakāya 는 jhānas 의 달성을 의미합니다 , 통찰의 성취와 도의 절정에 이르는 아마타까야 .
이 경우
kāyas 는 부처의 인격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길과 과를 가리킨다. [17] [18]
Reynolds가 Falk의 전체 이론에 동의를 표명하지는 않았지만, 그는 조사할
가치가 있는 이전의 요가 요소에 대한 아이디어를 고려합니다.
Paul Williams는 불교에 대한 이러한 관점이 Dolpopa Sherab Gyaltsen 에 의해 유명해진 티베트 Jonang 학교의 shentong 가르침 에서 발견된 아이디어와 유사하다고 논평했습니다 . [25] 명상 경험을 얻었다고 주장하는 진정한 자아에 대해 가르치는 태국 명상 스승들은 일반적으로 태국 불교도 들에게 거부당하지 않지만, 반대로 태국에서는 특히 아라한이나 심지어 보살 로 존경받고
숭배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정통 Theravada 승려와 학자보다 더 그렇습니다. [26]
법화경 _ _ _ 법화경 ( 제
16장: 여래의 수명, 여섯 번째 파시클)에서 부처님은 자신이 중생을 구원으로 인도하기 위해 항상 존재했고 앞으로도 존재할 것이라고
설명합니다. Tathāgatagarbha [ ■편집 ] tathagatagarbha sutric 전통에서 dharmakaya 는 부처님의 초월적이고 행복하며 영원하고 순수한 자아를
구성하도록 부처님에 의해 가르쳐졌습니다. "이러한 용어는 Lankavatara , Gandavyuha , Angulimaliya
, Srimala 및 Mahaparinirvana 와 같은 경전에서 발견되며 , 여기서 그들은 부처, 진리의 몸( dharmakaya )
및 불성(佛性)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28] 그것들은 "[영적 성취의] 초월적인 결과"입니다. [28]
티베트 불교 [ ■편집 ] 티베트어에서 용어 chos sku (ཆོས་སྐུ།, 소리나는대로 chö-ku 로 작성 )
[29] glosses dharmakāya ; 그것은 chos "종교, 달마 " 및 sku "몸,
형태, 이미지, 신체 형태, 형상"으로 구성됩니다. [30]
창조되지 않은( skye-med ), 개념적 정교화의 한계( spros-pa'i
mtha'-bral )로부터 자유롭고 내재 된 것이 없는 깨달은 마음[ byang-chub sems ]의 궁극적인 본성 또는 본질.
존재( rang-bzhin-gyis stong-pa ), 자연스럽게 빛나고, 이원성을 넘어 하늘처럼 넓습니다. 죽음의 중간 상태(
chi-kha'i bar-do )는 부처의 실체를 실현하기 위한 최적의 시간으로 간주됩니다. [32] [33]
달라이 라마는 다르마카야를 "순수하고 불순한 모든 현상이 용해되는 공허의 공간인 다르마카야의 영역으로
정의합니다. 이것이 경전과 탄트라에서 가르치는 설명입니다."
그러나 그는 또한 불교가 공성(sunyata)의 교리를
고수하기 때문에 힌두교의 브라만 개념과 구별된다고 말합니다 . [34]
수빙 운동 [ ■편집 ] 리메(Rimé)
운동 의 창시자 잠곤 콩트룰(Jamgon Kongtrul) 에 따르면 , 19세기 로종( Lojong ) 슬로건 에 대한 논평 에서 "4개의 카야로 혼란을 보기 위해 순야타 보호는 능가 할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
현상이 단순히 나타나나 집착이 없는 상태, 법신(法身)은 모든 현상이 본성상 공(空)하다는
것, 삼보가가야( sambhogakāya )는 선명하게 나타나는 것, 니르마나카야(nirmanakaya ) 는 이 비움과
명료함이 함께 일어나는 것을, 자연적 카야(natural kāya )입니다. 측면은 이것들이 분리될 수 없다는 것입니다.
Gyaltrul Rinpoche의 Dharmakaya 조직 [ ■편집 ] 최근 Dharmakaya 는 제4대 Trungram Gyaltrul Rinpoche 가 설립한 조직의 이름이 되었으며 그의 글로벌 조직인 UTBF(United
Trungram Buddhist Fellowship)와 제휴하고 있습니다. [ 인용 필요 ]
프리맨틀 상태: 공간은 위대한 요소의 첫 번째이자 마지막 요소입니다. 그것은 다른 네 가지의
기원이자 전제조건이며 또한 그들의 절정입니다... 공간에 대한 산스크리트어 단어는 하늘에 대한 것과 동일합니다:
akasha
는 "빛나고 맑음"을 의미합니다. 우리가 하늘이라고 부르는 것은 무엇입니까? 그것은 우리 시각의 경계, 우리 시각이 도달할 수
있는 한계를 표시합니다. 우리가 더 명확하게 볼 수 있다면 하늘은 우주 공간까지 무한히 확장될 것입니다. 하늘은 우리 감각의
한계와 정신의 한계에 의해 설정된 가상의 경계입니다. 완전히 무한한 우주를 상상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공 간은 모든
것이 존재하는 차원입니다. 그것은 모든 것을 포괄하고, 만연하고, 무한합니다. 그것은 공허함과 동의어입니다. 그 공허함은
동시에 충만함입니다.[37] 파란색은 공간의 "순수한 빛"(산스크리트어: आcaश ākāśa )의 마하부타 요소를
도상학적으로 다의어 로 표현한 것 입니다. [38]
다르마카야가 하늘과 공간에 연상적으로 비유 되는 모범으로서 개념적으로 연결하고 구축하는
유비의 시적 장치는 초기 족첸 과 닝마 문학 전반에 걸쳐
지속적이고 널리 퍼진 시각적 은유 이며 '개념적'과 '생각할 수 있는' 그리고 '말할 수 없는' 그리고 '생각할 수
없는'(산스크리트어: acintya ). 그것은 특히 Rigdzin
Gödem (1337–1408)과 Nyingma "Northern Treasures"( Wylie : byang gter ) 에 의해 밝혀진 terma 주기인 terma Gongpa Zangtel [b]에 의해 언급 됩니다 . [39]
거울 [ ■편집 ] Sawyer는 dharmakaya 에 거울 도상학 의 중요성을
전달합니다 . 거울/거울(T. me-long, Skt. adarsa)은 순결(거울은 오염이 없음)과 지혜(거울은 모든 현상을 구별
없이 반사함)의 측면을 갖는 다르마카야 또는 진리의 몸을 나타냅니다. [40]
참고 [ ■편집 ] ^
'Kāmamudrā'(영어: "love-seal")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mudra ,
mahamudra 및 Yab-Yum 을 참조하십시오 . ^
Wylie: kun tu bzang po'i dgongs pa zang thal du bstan pa ; 영어: Samantabhadra의
마음에 대한 직접적인 계시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Jump to navigationJump to search Part of a series on Buddhism Dharma Wheel.svg History DharmaConcepts Buddhist texts Practices Nirvāṇa Traditions Buddhism by country GlossaryIndexOutline icon Religion portal vte The dharmakāya (Sanskrit: धर्म काय, "truth body" or "reality body", Chinese: 法身; pinyin: fǎshēn, Tibetan: ཆོས་སྐུ་, Wylie: chos sku) is one of the three bodies (trikāya) of a buddha in Mahāyāna Buddhism. The dharmakāya constitutes the unmanifested, "inconceivable" (acintya) aspect of a buddha out of which buddhas arise and to which they return after their dissolution. Buddhas are manifestations of the dharmakāya called the nirmāṇakāya, "transformation body".
The Dhammakāya tradition of Thailand and the Tathāgatagarbha sūtras of the ancient Indian tradition view the dharmakāya as the ātman (true self) of the Buddha present within all beings.[1]
Contents 1 Origins and development 1.1 Pali Canon 1.2 Trikaya doctrine 1.3 Qualities 2 Interpretation in Buddhist traditions 2.1 Mahāsāṃghika 2.2 Sarvāstivāda 2.3 Theravāda 2.3.1 Dhammakaya Tradition of Thailand 2.4 Mahāyāna 2.4.1 Prajnaparamita 2.4.2 Lotus Sutra 2.4.3 Tathāgatagarbha 2.4.4 Tibetan Buddhism 2.4.4.1 Rime movement 2.4.4.2 Gyaltrul Rinpoche's Dharmakaya Organization 3 Iconography 3.1 Emptiness 3.2 Sky-blue 3.3 Mirror 4 Notes 5 Citations 6 References 7 Bibliography 8 External links Origins and development Pali Canon
This section uncritically uses texts from within a religion or faith system without referring to secondary sources that critically analyze them. Please help improve this article by adding references to reliable secondary sources, with multiple points of view. (November 2017) (Learn how and when to remove this template message) In the Pāli Canon, Gautama Buddha tells Vasettha that the Tathāgata (the Buddha) is dhammakaya, the "truth-body" or the "embodiment of truth", as well as dharmabhuta, "truth-become", that is, "one who has become truth."
He whose faith in the Tathagata is settled, rooted, established, solid, unshakeable by any ascetic or Brahmin, any deva or mara or Brahma or anyone in the world, can truly say: 'I am a true son of Blessed Lord (Bhagavan), born of his mouth, born of Dhamma, created by Dhamma, an heir of Dhamma.' Why is that? Because, Vasettha, this designates the Tathagata: 'The Body of Dhamma,' that is, 'The Body of Brahma,' or 'Become Dhamma,' that is, 'Become Brahma.'" [2]
During the Buddha's life great veneration was shown to him. A mythology developed concern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universal Buddhas.
After the Buddha's Parinirvana a distinction was made between the Buddha’s physical body or rūpakaya and his dharmakaya aspect. As the Buddha told Vakkali, he was a living example of the "truth" of the dharma. Without that form to relate to, the Buddha's followers could only relate to the dharmakaya aspect of him.
In SN 6.2 – Garava sutta. Buddha paid homage to the dhamma and tell, that he will respect it.
Trikaya doctrine Main article: Trikaya The trikaya doctrine (Sanskrit, literally "three bodies" or "three personalities") is a Buddhist teaching both on the nature of reality, and the appearances of a Buddha.
The dharmakaya doctrine was possibly first expounded in the Aṣṭasāhasrikā Prajñāpāramitā, composed in the 1st century BCE.
Around 300 CE, the yogacara school systematized the prevalent ideas on the nature of the Buddha in the trikaya "three-body" doctrine. According to this doctrine, buddhahood has three aspects:[3]
The nirmāṇakāya, "transformation body" The sambhogakāya, "enjoyment-body" The dharmakāya, "dharma-body" Qualities Tulku Thondup states that dharmakaya must possess three great qualities:[4]
Great purity (Wylie: spang pa chen po, "the great abandonment"[5]), Great realization (Wylie: rtogs pa chen po), Great mind (Wylie: sems pa chen po). Interpretation in Buddhist traditions See also: Anatta Mahāsāṃghika According to Guang Xing, two main aspects of the Buddha can be seen in Mahāsāṃghika teachings: the true Buddha who is omniscient and omnipotent, and the manifested forms through which he liberates sentient beings through skillful means.[6] For the Mahāsaṃghikas, the historical Gautama Buddha was one of these transformation bodies (Skt. nirmāṇakāya), while the essential real Buddha is equated with the dharmakāya.[7]
Sarvāstivāda Sarvāstivādins viewed the Buddha's physical body (Skt. rūpakāya) as being impure and improper for taking refuge in, and they instead regarded taking refuge in the Buddha as taking refuge in the dharmakāya of the Buddha.[8] As stated in the Mahāvibhāṣā:[8]
Some people say that to take refuge in the Buddha is to take refuge in the body of the Tathāgata, which comprises head, neck, stomach, back, hands and feet. It is explained that the body, born of father and mother, is composed of defiled dharmas, and therefore is not a source of refuge. The refuge is the Buddha's fully accomplished qualities (aśaikṣadharmāḥ) which comprise bodhi and the dharmakāya.
Theravāda In the Pali Canon of Theravada Buddhism, the Dhammakāya (dharmakāya) is explained as a figurative term, meaning the "body" or the sum of the Buddha's teachings.[9][10][11] The Canon does not invest the term dhammakāya with a metaphysical or unrealistic connotation.[9][12] Jantrasrisalai disagrees though, arguing that the term originally was more connected with the process of enlightenment than the way it later came to be interpreted. In all references to dhammakāya in early Buddhist usage, it is apparent that dhammakāya is linked always with the process of enlightenment in one way or another. Its relation with the Buddhist noble ones of all types is evident in the early Buddhist texts. That is to say, dhammakāya is not exclusive to the Buddha. It appears also that the term’s usage in the sense of teaching is a later schema rather than being the early Buddhist common notions as generally understood.[13]
In the atthakathās (commentaries on the Buddhist texts),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d depends on the author. Though both Buddhaghoṣa and Dhammapāla describe dhammakāya as the nine supramundane states (navalokuttaradhamma), their interpretations differ in other aspects. Buddhaghoṣa always follows the canonical interpretation, referring to the teaching of the lokuttaradhammas, but Dhammapāla interprets dhammakāya as the spiritual attainments of the Buddha.[14][15] Dhammapāla's interpretation is still essentially Theravāda though, since the Buddha is still considered a human being, albeit an enlightened one.[9] The Buddha's body is still subject to kamma and limited in the same way as other people's bodies are.[14]
In a post-canonical Sri Lankan text called Saddharmaratnākaraya, a distinction is drawn between four different kāyas: the rūpakāya, dharmakāya, nimittakāya and suñyakāya. The rūpakāya refers to the four jhānas here; the dharmakāya refers to the attainment of the first eight of the nine lokuttaradhammas; the nimittakāya refers to the final lokuttaradhamma: Nibbāna with a physical remainder (sopadisesanibbāna); and the suñyakāya refers to Nibbāna without physical remainder (anupādisesanibbāna). However, even this teaching of four kāyas does not really stray outside of orthodox Theravāda tradition.[9][16]
In a more unorthodox approach, Maryla Falk has made the argument that in the earliest form of Buddhism, a yogic path existed which involved the acquisition of a manomayakāya or dhammakāya and an amatakāya, in which the manomayakāya or dhammakāya refers to the attainment of the jhānas, and the amatakāya to the attainment of insight and the culmination of the path. In this case, the kāyas refer to a general path and fruit, not only to the person of the Buddha.[17][18] Although Reynolds does not express agreement with Falk's entire theory, he does consider the idea of an earlier yogic strand worthy of investigation. Furthermore, he points out that there are remarkable resemblances with interpretations that can be found in Yogāvacara texts, often called Tantric Theravada.[19]
The usage of the word dhammakāya is common in Tantric Theravāda texts. It is also a common term in later texts concerning the consecration of Buddha images.[20][21] In these later texts, which are often descriptions of kammaṭṭhāna (meditation methods), different parts of the body of the Buddha are associated with certain spiritual attainments, and the practitioner determines to pursue these attainments himself. The idea that certain characteristics or attainments of the Buddha can be pursued is usually considered a Mahāyāna idea, but unlike Mahāyāna, Yogāvacara texts do not describe the Buddha in ontological terms, and commonly use only Theravāda terminology.[22][23]
Dhammakaya Tradition of Thailand See also: Dhammakaya Tradition § Dhammakaya meditation and True Self The Dhammakaya Tradition and some monastic members of Thai Theravada Buddhism, who specialise on meditation, have doctrinal elements which distinguish it from some Theravāda Buddhist scholars who have tried to claim themselves as the orthodox Buddhists. Basing itself on the Pali suttas and meditative experience, the tradition teaches that the dhammakaya is the eternal Buddha within all beings. The dhammakaya is nibbāna, and nibbāna is equated with the true self (as opposed to the non-self).[24] In some respects its teachings resemble the buddha-nature doctrines of Mahayana Buddhism. Paul Williams has commented that this view of Buddhism is similar to ideas found in the shentong teachings of the Jonang school of Tibet made famous by Dolpopa Sherab Gyaltsen.[25]
The Thai meditation masters who teach of a true self of which they claim to have gained meditative experience are not rejected by Thai Buddhists in general, but tend, on the contrary, to be particularly revered and worshipped in Thailand as arahats or even bodhisattvas, far more so than more orthodox Theravada monks and scholars.[26]
Mahāyāna Prajnaparamita According to Paul Williams, there are three ways of seeing the concept of the dharmakaya in the prajnaparamita sutras:
First, the dharmakaya is the collection of teachings, particularly the Prajñaparamita itself. Second, it is the collection of pure dharmas possessed by the Buddha, specifically pure mental dharmas cognizing emptiness. And third, it comes to refer to emptiness itself, the true nature of things. The dharmakaya in all these senses is contrasted with the Buddha’s physical body, that which lived and died and is preserved in stupas.[27]
Lotus Sutra In the Lotus Sutra (Chapter 16: The Life Span of Thus Come One, sixth fascicle) the Buddha explains that he has always and will always exist to lead beings to their salvation.
Tathāgatagarbha In the tathagatagarbha sutric tradition, the dharmakaya is taught by the Buddha to constitute the transcendental, blissful, eternal, and pure Self of the Buddha. "These terms are found in sutras such as the Lankavatara, Gandavyuha, Angulimaliya, Srimala, and the Mahaparinirvana, where they are used to describe the Buddha, the Truth Body (dharmakaya) and the Buddha-nature." [28] They are the "transcendent results [of spiritual attainment]".[28]
Tibetan Buddhism In Tibetan, the term chos sku (ཆོས་སྐུ།, phonetically written as chö-ku) [29] glosses dharmakāya; it is composed of chos "religion, dharma" and sku "body, form, image, bodily form, figure".[30] Thondup & Talbott render it as the "ultimate body".[31] Padmasambhava, Karma Lingpa, Gyurme Dorje, Graham Coleman and Thupten Jinpa define "Buddha-body of Reality", which is a rendering of the Tibetan chos-sku and the Sanskrit dharmakāya, as:
[T]he ultimate nature or essence of the enlightened mind [byang-chub sems], which is uncreated (skye-med), free from the limits of conceptual elaboration (spros-pa'i mtha'-bral), empty of inherent existence (rang-bzhin-gyis stong-pa), naturally radiant, beyond duality and spacious like the sky. The intermediate state of the time of death (chi-kha'i bar-do) is considered to be an optimum time for the realisation of the Buddha-body of Reality.[32][33]
The Dalai Lama defines the dharmakaya as "the realm of the Dharmakaya-- the space of emptiness--where all phenomena, pure and impure, are dissolved. This is the explanation taught by the Sutras and Tantras." However he also states that it is distinct from the Hindu concept of Brahman because Buddhism adheres to the doctrine of emptiness (sunyata).[34]
Rime movement According to Jamgon Kongtrul, the founder of the Rimé movement, in his 19th century commentary to the Lojong slogan, "To see confusion as the four kayas, the sunyata protection is unsurpassable",[35] when one meditates on ultimate bodhicitta and rests in a state where appearances simply appear but there is no clinging to them, the dharmakaya aspect is that all appearances are empty in nature, the sambhogakāya is that they appear with clarity, the nirmanakaya is that this emptiness and clarity occur together, and the natural kāya aspect is that these are inseparable.
Gyaltrul Rinpoche's Dharmakaya Organization Recently, Dharmakaya has also become the name for an organization founded by the 4th Trungram Gyaltrul Rinpoche, and is affiliated with his global organization the United Trungram Buddhist Fellowship (UTBF).[citation needed]
Gyaltrul Rinpoche's Dharmakaya organization was founded for the specific purpose of bringing the teachings and meditation practices from the Trungram Tradition of the Karma Kagyu lineage to North America.[citation needed]
Iconography Emptiness In the early traditions of Buddhism, depictions of Gautama Buddha were neither iconic nor aniconic but depictions of empty space and absence: petrosomatoglyphs (images of a part of the body carved in rock), for example.[36]
Sky-blue Thondup and Talbott identify dharmakaya with the naked ("sky-clad"; Sanskrit: Digāmbara), unornamented, sky-blue Samantabhadra:
In Nyingma icons, dharmakāya is symbolized by a naked, sky-coloured (light blue) male and female Buddha in union [Kāmamudrā], called Samantabhadra [and Samantabhadrī].[31][a]
Fremantle states:
Space is simultaneously the first and the last of the great elements. It is the origin and precondition of the other four, and it is also their culmination... The Sanskrit word for space is the same as for the sky: akasha, which means "shining and clear." What is it that we call the sky? It marks the boundary of our vision, the limit our sight can reach. If we could see more clearly, the sky would extend infinitely into outer space. The sky is an imaginary boundary set by the limitations of our senses, and also by the limitations of our mind, since we find it almost impossible to imagine a totally limitless [U]niverse. Space is the dimension in which everything exists. It is all-encompassing, all-pervading, and boundless. It is synonymous with emptiness: that emptiness which is simultaneously fullness.[37]
The colour blue is an iconographic polysemic rendering of the mahābhūta element of the "pure light" of space (Sanskrit: आकाश ākāśa).[38]
The conceptually bridging and building poetic device of analogy, as an exemplar where dharmakaya is evocatively likened to sky and space, is a persistent and pervasive visual metaphor throughout the early Dzogchen and Nyingma literature and functions as a linkage and conduit between the 'conceptual' and 'conceivable' and the 'ineffable' and 'inconceivable' (Sanskrit: acintya). It is particularly referred to by the terma Gongpa Zangtel [b], a terma cycle revealed by Rigdzin Gödem (1337–1408) and part of the Nyingma "Northern Treasures" (Wylie: byang gter).[39]
Mirror Sawyer conveys the importance of mirror iconography to dharmakaya:
The looking glass/mirror (T. me-long, Skt. adarsa), which represents the dharmakaya or Truth Body, having the aspects of purity (a mirror is clear of pollution) and wisdom (a mirror reflects all phenomena without distinction).[40]
★★★
Notes
For further discussion of 'Kāmamudrā' (English: "love-seal") refer: mudra, mahamudra and Yab-Yum.
Wylie: kun tu bzang po'i dgongs pa zang thal du bstan pa; English: Direct Revelation of Samantabhadra's Mind
Citations
Thrangu Rinpoche (2003). Pointing Out the Dharmakaya: Teachings on the Ninth Karmapa's Text. Shambhala. ISBN 978-1-55939-857-2.
Digha Nikaya III.84, Maurice Walshe, The Long Discourses of the Buddha, (Boston, MA: Wisdom Publications, 1995) 409
Snelling 1987, p. 126.
Thondup, Tulku (1996). Masters of meditation and miracles : the Longchen Nyingthig lineage of Tibetan Buddhism (1. ed.). Boston [u.a.]: Shambhala. p. 50. ISBN 978-1-57062-113-0.
"dictionary". Nitarth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February 2015. Retrieved 25 October 2014.
Guang Xing. The Concept of the Buddha: Its Evolution from Early Buddhism to the Trikaya Theory. 2004. p. 53
Sree Padma. Barber, Anthony W. Buddhism in the Krishna River Valley of Andhra. 2008. pp. 59-60
Guang Xing. The Concept of the Buddha: Its Evolution from Early Buddhism to the Trikaya Theory. 2004. p. 49
Toschiichi, Endo (2002). Buddha in Theravada Buddhism: A Study of the Concept of Buddha In the Pali Commentaries (PDF) (2 ed.). Nedimala: Buddhist Cultural Centre. pp. 108–10. ISBN 978-955-96292-0-7.
Reynolds 1977, pp. 376–7.
Dutt 1929, p. 523.
Dutt 1929, p. 521-523.
Jantrasrisalai, Chanida (2008). Early Buddhist Dhammakaya: Its Philosophical and Soteriological Significance (PDF) (PhD thesis). Sydney: Department of Studies in Religion, University of Sydney. p. 288. In all references to dhammakāya in early Buddhist usage, it is apparent that dhammakāya is linked always with the process of enlightenment in one way or another. Its relation with the Buddhist noble ones of all types is evident in the early Buddhist texts. That is to say, dhammakāya is not exclusive to the Buddha. It appears also that the term’s usage in the sense of teaching is a later schema rather than being the early Buddhist common notions as generally understood.
Reynolds 1977, pp. 376–80.
Collins, Steven (15 July 2014). "Reflections on the Dichotomy Rūpakāya/Dhammakāya". Contemporary Buddhism. 15 (2): 261–2. doi:10.1080/14639947.2014.932481. S2CID 143200561.
Reynolds 1977, pp. 380–2.
Falk, Maryla (2006). Nāma-rūpa and dharma-rūpa : origin and aspects of an ancient Indian conception. Fremont, California: Jain Publishing. ISBN 978-0-89581-978-9. Retrieved 9 September 2016.
Strong, J. (1979). "The Transforming Gift: An Analysis of Devotional Acts of Offering in Buddhist Avadāna Literature". History of Religions. 18 (3): 223. doi:10.1086/462817. S2CID 161186961.
Reynolds 1977, pp. 380–4.
Swearer, Donald K. (1995). "Hypostasizing the Buddha: Buddha Image Consecration in Northern Thailand". History of Religions. 34 (3 (Image and Ritual in Buddhism)): 270. doi:10.1086/463396. JSTOR 1062942. S2CID 161907366.
Kinnard, Jacob N. (2005). "Iconography: Buddhist iconography" (PDF). In Jones, Lindsay (ed.). Encyclopedia of religion. Vol. 7 (2nd ed.). Detroit: Thomson Gale. p. 4331. ISBN 978-0-02-865740-0.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7-03-02.
Crosby, Kate (2000). "Tantric Theravada: A Bibliographic Essay on the Writings of Francois Bizot and others on the Yogavacara-Tradition" (PDF). Contemporary Buddhism. 1 (2). doi:10.1080/14639940008573729. S2CID 145379175.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1-12-26.
Reynolds 1977, pp. 384–7.
Williams 2009, p. 126.
Williams 2009, p. 237.
Williams 2009, p. 329.
Williams 2009, p. 177.
Mipam on Buddha-Nature: The Ground of the Nyingma Tradition by Douglas S. Duckworth,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Albany, 2008, p. xiv
Source: [1] (accessed: January 15, 2008)
Source: [2] (accessed: January 15, 2008)
Thondup, Tulku & Harold Talbott (Editor)(1996, 2002). Masters of Meditation and Miracles: Lives of the Great Buddhist Masters of India and Tibet. Boston, Massachusetts, USA: Shambhala, South Asia Editions. ISBN 1-57062-113-6; ISBN 1-56957-134-1. p.48
Padmasambhava (composed), Karma Linga (revealed), Gyurme Dorje (translated), Graham Coleman (Editor) and Thupten Jinpa (Associate) (2006). The Tibetan Book of the Dead: The Great Liberation by Hearing in the Intermediate States. London, England: Penguin Books Ltd. ISBN 978-0-14-045529-8. p.452
For more discussion on this particular 'intermediate state of the time of death' refer "Chikkhai bardo" (Tibetan) in the Bardo article.
"Dalai Lama Answers Questions on Various Topics".
Kongtrul, Jamgon (2005). The great path of awakening : the classic guide to lojong, a Tibetan Buddhist practice for cultivating the heart of compassion. Boston, MA: Shambhala. ISBN 978-1-59030-214-9.
Huntington, Susan (1990). "Early Buddhist art and the theory of aniconism" in Art Journal, Winter 1990.
Fremantle, Francesca (2001). Luminous Emptiness: Understanding the Tibetan Book of the Dead. Boston: Shambala Publications. ISBN 1-57062-450-X. p.85
Fremantle, Francesca (2001). Luminous Emptiness: Understanding the Tibetan Book of the Dead. Boston: Shambala Publications. ISBN 1-57062-450-X. p.86
Kunsang, Eric Pema (compiler, translator); Tweed, Michael (editor); Schmidt, Marcia Binder (editor); Zanpo, Ngawang (artwork) (2006). Wellsprings of the Great Perfection: Lives and Insights of the Early Masters in the Dzogchen Lineage. Hong Kong: Rangjung Yeshe Publications. ISBN 962-7341-57-6; ISBN 978-962-7341-57-4. p. 209
Sawyer, Chad (1998, 2004), Offerings to Mahakala (accessed: Saturday March 14, 2009) Archived January 25, 2009, at the Wayback Machine
References
Dutt, Nalinaksha (1929), "The Doctrine of Kaya in Hinayana and Mahayana", The Indian Historical Quarterly, 5 (3)
Fremantle, Francesca (2001). Luminous Emptiness: Understanding the Tibetan Book of the Dead. Boston: Shambala Publications. ISBN 1-57062-450-X.
Jamgon Kongtrul translated by Ken McLeod (2000) The Great Path of Awakening – A commentary on the Mahayana teaching of the seven points of mind training Shambhala Publications, Inc. ISBN 1-57062-587-5
John J. Makransky (1997), Buddhahood Embodied: Sources of Controversy in India and Tibet, Publisher: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0-7914-3432-X
Padmasambhava (composed), Karma Linga (revealed), Gyurme Dorje (translated), Graham Coleman (Editor) and Thupten Jinpa (Associate) (2006). The Tibetan Book of the Dead: The Great Liberation by Hearing in the Intermediate States. London, England: Penguin Books Ltd. ISBN 978-0-14-045529-8
Reynolds, Frank E. (1977), "The Several Bodies of Buddha: Reflections on a Neglected Aspect of Theravada Tradition", History of Religions, 16 (4): 374–389, doi:10.1086/462774, JSTOR 1062637, S2CID 161166753
Snellgrove, David (1987). Indo-Tibetan Buddhism (Vol.1). Boston, Massachusetts: Shambhala Publications, Inc. ISBN 0-87773-311-2
Snellgrove, David (1987). Indo-Tibetan Buddhism (Vol.2). Boston, Massachusetts: Shambhala Publications, Inc. ISBN 0-87773-379-1
Snelling, John (1987), The Buddhist handbook. A Complete Guide to Buddhist Teaching and Practice, London: Century Paperbacks
Thondup, Tulku & Harold Talbott (Editor)(1996). Masters of Meditation and Miracles: Lives of the Great Buddhist Masters of India and Tibet. Boston, Massachusetts, USA: Shambhala, South Asia Editions. ISBN 1-57062-113-6 (alk. paper); ISBN 1-56957-134-1
Williams, Paul (2009),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ns (PDF) (2 ed.), Oxford: Routledge
Bibliography
Dubich, Victoria (2016). Space is information: Dharmakaya and quantum optics experiments.// Vajrayana Buddhism in Russia: Traditions and Innovations. p. 416-433. ISBN 978-5-94303-075-8
Harrison, Paul (1992). Is the Dharma-Kāya the Real "Phantom Body" of the Buddha?.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15 (1), 44-94
Nagao, Gadjin (1973). On the Theory of Buddha-Body, Eastern Buddhist, New Series, 6 (1), 25-53
External links
Khandro: The Three Kayas
Kagyu: The Three Kayas
Dhammakaya Foundation, Thailand
Trikaya – The Three Bodies of a Buddha or Learning to Love
● From Soothill-Hodous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DDBC version)
法身 dharmakāya (धर्मकाय), embodiment of Truth and Law, the "spiritual" or true body; essential Buddhahood; the essence of being; the absolute, the norm of the universe; the first of the trikāya (त्रिकाय), v.三身. The dharmakāya (धर्मकाय) is divided into 總 unity and 別 diversity; as in the noumenal absolute and phenomenal activities, or potential and dynamic; but there are differences of interpretation, e.g. as between the 法相 and 法性 schools. Cf. 法身體性. There are many categories of the dharmakāya (धर्मकाय). In the 2 group 二法身 are five kinds: (1) 理 "substance" and 智 wisdom or expression; (2) 法性法身 essential nature and 應化法身 manifestation; the other three couples are similar. In the 3 group 三法身 are (1) the manifested Buddha, i.e. Śākyamuni; (2) the power of his teaching, etc.; (3) the absolute or ultimate reality. There are other categories.
○ 음악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us0fl--C.Jerome - C'EST MOI.lrc
Lab value 불기2566/12/09/금/19:03
from 과거페이지(2020.01.12) https://buddhism007.tistory.com/entry/법신
법신(法身 dharma-kāya)은 법신불(法身佛), 법불(法佛), 법성신(法性身), 자성신(自性身)이라고도 한다.
법신(法身 dharma-kāya)은 부처의 3신(身)의 하나다.
부처의 3신으로 법신(法身), 보신(報身), 화신(化身) 또는 응신(應身)을 든다.
또는 자성신(自性身), 수용신(受用身-자수용신, 타수용신), 변화신(變化身)을 들기도 한다.
여기에서 법신(法身)은 부처가 되기 위해 증득해야 할 정법(正法) 등을 신체에 비유하여 표현한 말이다.
이 법신을 증득해 부처가 된다.
한편 보신(報身 sambhoga-kāya)은 수행의 인(因)에 따라 얻게 된 불신을 뜻한다.
곧 보살위(菩薩位)의 힘든 수행을 견디고, 정진 노력한 결과로 얻은 유형(有形)의 불신을 뜻한다. 아미타불과 같다.
화신(化身 nirmāṇa-kāya)은 중생제도를 위한 방편으로 인(人)ㆍ천(天)ㆍ귀(鬼)ㆍ축(畜) 등으로 모습을 변화해 나타나는 것을 말한다.
응신(應身 nirmāṇa-kāya)은 중생을 교화하려는 부처님이 중생과 같은 몸을 변화해 나타내는 몸을 뜻한다. 역사적 존재로서 석가모니를 나타낸다.
*화신과 응신의 범어는 같다.
○ 성불한 여러 부처님 예를 들어 약사유리광여래, 아미타부처님, 석가모니불, 아촉불 등은 서로 개별적인 특성이 다르다.
그러나 모든 부처님은 법신을 증득하였다는 점에서는 공통하다.
부처님을 아라한이나 독각등과 달리 부처님이 되게 하는 핵심은 법신의 증득이다.
결국 법신은 무정물, 범부 및 아라한이나 독각과 달리, 부처님이 되기 위해 갖춰야 할 고유한 특성이다.
수행자가 법신을 증득하면 성불하는 것이 된다.
법신을 증득해 부처가 된 이가 역사적으로 석가모니다.
싯달타도 제법에 대해 그 실상(諸法實相)을 깨닫고 법신을 증득했기에 부처라고 칭하게 된다.
따라서 이처럼 부처님이 되기위해 갖춰야 할 특성을 모두 아울러 법신이라고 할 수 있다.
수행자는 이런 법신을 증득해야 부처님이 되기 때문이다.
○ 진리의 깨달음은 부처가 되게 하는 핵심적 본질이 된다.
수행자가 해탈을 이룸에 있어 진여실상의 공함을 이해하고 깨닫는 것이 그 핵심이 된다.
그러나 부처가 갖는 특성은 단지 이것만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부처만 갖게 되는 고유한 특성으로는 18불공법을 들기도 하다.
한편 부처님이 얻은 계(戒)ㆍ정(定)ㆍ혜(慧)ㆍ해탈(解脫)ㆍ해탈지견(解脫知見)을 모두 아울러 법신이라 하기도 한다.
그러나 부처의 깨달음의 핵심은 역시 제법의 실상(諸法實相)에 있다.
대승에서는 본체론적으로 우주의 본 바탕인 진여 실상 등의 법(法)을 가리킨다.
그런데 여기에서, <깨닫고자 하는 대상 자체>와 <이에 대한 깨닫는 주체>
그리고 <한 주체가 이를 통해 깨달은 내용>과 <깨닫는 행위> 등의 상호관계가 문제된다.
예를 들어 어떤 이가 <의자>의 정체를 올바로 깨닫는다고 하자.
그렇다고 <그가 깨달은 내용>이 곧 사람이 앉아 쉴 수 있는 <의자> 자체가 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그것을 깨달은 이>가 그로 인해 의자가 되는 것도 아니다.
깨달음은 생사현실에서 한 주체가 얻고 증득하는 내용이기 때문이다.
<제법>의 실상에 대해 깨달아 부처가 된다는 경우도 사정이 마찬가지다.
수행자가 제법에 대해 깨닫는다고 할 때 <그 깨달음 내용>이 곧 제법 그 자체가 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그 깨달음을 얻은 이>가 제법 그 자체가 되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이들 각각의 관계에서 서로 혼동을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
여하튼 한 수행자는 생사현실안에서 이런 깨달음을 얻고 법신을 증득하기에 부처가 된다.
그래서 진리에 대한 깨달음이 부처가 되는 핵심적 특성이 된다.
결국 법신은 수행자가 부처가 되기 위해 증득해야 할 내용을 신체에 비유하여 표현한 말이다.
즉, 부처가 깨닫는 <정법>에 인격적 의의(意義)를 붙여 법신이라 한다.
따라서 이는 어떤 형체를 가진 내용이 아니다.
빛깔도 형상도 없는 이불(理佛)로서 본체신(本體身)을 뜻한다.
○ 한편, 법신을 증득해 부처님이 된다고 하자.
이런 경우 이 법신은 부처님이 갖추게 되는 핵심적 본질이 된다.
그래서 이 법신은 생사현실에 출현한 부처님의 진신(眞身)인 것으로 평가받는다.
그리고 현실로 인간세계에 출현해 성불한 부처님은 이런 법신을 증득해서 부처님이 된다.
그리고 이로 인해 범부나 아라한 독각 등과 차별된다.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생사현실 안에서의 차별이다.
이 경우 부처님의 참된 정체를 궁구한다고 하자.
그래서 부처님의 진여 실상을 찾는다고 하자.
그런데 그런 경우 그처럼 법신을 증득한 부처님도 <본 바탕 진여의 측면>은 역시 차별없이 공하다.
그런 사정으로 부처님의 본 정체를 파악함에 있어 이 두 측면에서 혼동을 다시 일으키기 쉽다.
즉 현실의 측면에서는 범부중생과 아라한, 독각 등과 차별되는 특성을 갖는다.
그럼에도 진여 실상의 측면에서는 이들과 차별을 세울 수 없다.
그래서 이 두 측면을 오가면서 혼동을 일으키기 쉽다.
부처님은 현실에서 실상이 공함을 <깨달았다>는 점에서 우선 범부와 차이가 있다.
그런데 이런 범부와 부처님의 차별은 생사현실 안의 차별이다.
그런 깨달음에도 불구하고, <본 바탕 진여의 측면>에서는 부처와 범부 중생은 모두 차별없이 공하다.
즉, 법신을 증득한 부처님의 경우에도 그 진여 실상은 일체법과 차별없이 <무자성이고 공>하다.
즉, 부처님이나 법신을 진여 실상 측면에서 관한다고 하자.
그런 경우 부처님 역시 범부 상태와 차별을 얻을 수 없다.
다만 이 경우 <차별을 얻을 수 없음>은 이들이 <완전히 동일한 하나임>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
진여 실재는 어느 경우에도 끝내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일체 분별과 언설을 떠나게 된다.
따라서 차별을 세울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공하다고 표현하는 것이다.
그러나 여하튼 부처와 범부 중생은 일체 무정물과 함께 이런 측면에서는 공통하다.
그러나 단지 그 실상이 차별없이 공하다고 하여 이들 일체를 부처님이라고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진여 실상이 공하다는 점만으로 범부나 무정물 일체를 다 부처님이라고는 하지 않는다.
부처님 또한 마찬가지다.
부처님도 그 실상이 공하다.
그러나 부처님도 단지 실상이 공하다는 사정만으로 부처님이라고 하는 것이 아니다.
범부 중생도 실상이 공하다.
부처님도 실상이 공하다.
그런데 범부 중생은 현실에서 망집을 일으키고, 실상이 공함을 깨닫지 못한다.
부처님은 현실에서 실상이 공함을 깨닫는다.
기본적으로 현실 안에서 범부중생과 부처는 이런 차별이 있다.
한편, 아라한과 독각이나 부처는 모두 해탈을 얻었다.
따라서 현실에서 <해탈신>을 얻었다는 점에서 아라한과 독각이나 부처는 모두 범부와 차별된다.
그러나 단지 해탈을 얻었다는 점만으로 아라한이나 독각 모두를 부처님이라고는 하지 않는다.
부처는 법신을 증득하였다는 점에서 다시 아라한과 독각 등과 차별이 있다.
한편 약사유리광여래, 아미타부처님, 석가모니불, 아촉불 등은 다시 서로 개별적인 특성이 다르다.
그러나 모든 부처님은 다시 법신을 증득하였다는 점에서는 공통하다.
따라서 부처님이 다른 범부나 무정물, 아라한 독각들과 달리 구별되는 본질적 특성이 무엇인가가 문제된다.
그것이 곧 법신의 본질과 관련된다.
부처님은 결국 이런 법신을 증득하여 부처님이 된다.
그리고 그런 법신의 내용이 곧 부처님의 참된 핵심적 진신의 정체가 된다.
『해심밀경』 8. 여래성소작사품(如來成所作事品)에서는 법신의 모습을 다음과 같이 소개한다.
"만일 모든 지위의 바라밀다에서 벗어남[出離]을 잘 닦고 전의(轉依)를 원만히 이루면 이를 여래 법신의 모습이라 한다."
또한 "무량한 법계를 반연하여 방편과 반야를 잘 닦고 갈고 빛내 여래의 법신을 증득한다.
이런 법신은 그로부터 큰 광명을 내고 갖가지 화신의 그림자를 나타낼 수 있다"고 제시한다.
그리고 "화신의 모습은 생겨나 일어남[生起]이 있지만, 법신의 모습은 생겨나 일어남이 있지 않다.”고 제시한다.
한편 『불설법신경』(佛說法身經)에서는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모든 부처님 여래에겐 두 가지 몸이 있고, 그 둘 모두 항하의 모래알처럼 많은 공덕을 갖추고 있다.
무엇이 두 가지인가? 이른바 화신(化身)과 법신(法身)이다." ( 『불설법신경』佛說法身經 K1249 법현法賢 한역)
그런 가운데 법신의 구체적 내용에 대해 자세하게 나열하고 있다.
----[‡사용한 다른 페이지]---
불설법신경(佛說法身經) K1249 T0766 불설법신경(佛說法身經)
법현(法賢) 한역 송성수 번역
그때 세존께서 미묘한 음성으로 이렇게 말씀하셨다. ■ “모든 부처님 여래에겐 두 가지 몸이 있고, 그 둘 모두 항하의 모래알처럼 많은 공덕을 갖추고 있다. 무엇이 두 가지인가? 이른바 화신(化身)과 법신(法身)이다.
■ 화신이란 부모에게서 태어나는 몸을 보이시되 32상과 80종호를 갖추어 그 몸을 장엄하고 지혜의 눈으로 널리 중생을 관찰하신 것이니, 지혜로운 사람이 우러러 뵈면 기꺼운 마음이 생긴다. 3업(業)이 청정하고 낱낱의 상호에 백 가지 복덕이 구족하니, 이렇게 백천 가지 복덕으로 장엄한 대장부상(大丈夫相)이 모두 색온(色蘊)에 갖춰져 있다. 또 10력(力)ㆍ4무소외(無所畏)ㆍ3불공법(不空法)ㆍ3념주법(念住法)ㆍ3불호법(不護法)ㆍ4무량법(無量法)을 갖추고, 대장부 낱낱의 가장 뛰어난 나라연(那羅延)의 힘을 갖추셨다. 이렇듯 대략 말하건대 여래ㆍ응공ㆍ정등정각(正等正覺)은 장엄과 공덕이 구족하고 원만하니, 이것이 화신이다.
■ 또 모든 부처님 여래ㆍ응공ㆍ정등정각께서 가진 법신은 불가사의하고 헤아릴 수 없어서 자세히 설명할 수 있는 자가 없다. 설사 연각(緣覺)이나 사리불(舍利弗)처럼 가장 뛰어난 근기로 깊은 법을 잘 알며 큰 지혜로 밝게 통달하여 가지가지 뜻을 깨친 성문(聲聞)들이라 해도 법신의 공덕은 자세히 설명할 수 없다. 모든 부처님은 삼계의 스승이고 크게 자비로운 분으로서 모든 중생에게 큰 이익을 주고 평등하게 염려해 주며 차별이 없으시다. 사마타(奢摩他:止)와 비발사나(毘鉢舍那:觀)에 머물러 3조복법(調伏法)을 잘 알며, 4난(難)을 잘 극복하고 4신족(神足)을 구족하고서 오랜 세월 4섭법(攝法)을 행하며, 5욕(慾)을 여의어 5취(趣)의 고통을 벗어나고, 6분법(分法)을 갖추어 6바라밀(波羅蜜)을 원만히 하며, 7각지(覺支)의 꽃을 피워 8정도(正道)를 연설하고, 9삼마발저(三摩鉢底)를 잘 알고 10지력(智力)을 갖추시니, 이런 지혜의 힘으로써 그 명성이 시방에 자자하다. 그러므로 으뜸가는 하늘[第一義天]이라 하니, 때와 방향과 처소를 밤의 세 때와 낮의 세 때에 항상 잘 관찰한다. 이렇듯 모든 부처님께서 속으로 갖추신 공덕(功德)은 자세히 설명할 수 있는 자가 아무도 없다.
그러므로 내가 지금 대략 이 법을 말한다.
■ 이 법신이란 순전하여 하나이고 두 가지가 없으니 번뇌가 없고[無漏] 함이 없다[無爲]. 온갖 유위법(有爲法)은 무위법(無爲法)에서 나왔음을 닦아서 증득해야만 하니, 이러한 진실에는 청정함[淨]도 없고, 물듦[染]도 없고, 염(念)도 없고, 의지함[依]도 없다.
■ 온갖 방편을 여의었으면서도 중생에게 큰 의지처가 되니, 온갖 중생이 짓는 법에는 어떤 허물도 없다.
■ 이 참되고 선한 법은 모든 기념(記念)을 여의었으면서도 가없는 삼마지(三摩地:等持)의 문에서 움직이지 않고 요동치 않으며 해탈을 얻고, 두 가지 사마타와 비발사나로써 욕망에서 욕망을 여의어 해탈을 얻으며, 무명(無明)과 애욕의 법을 지혜로써 해탈하고, 학법(學法)과 무학법(無學法)을 염(念)으로써 깨달으며, 명(明)과 해탈(解脫)로 자성(自性)을 잘 통달해 모든 법에 깊이 생각을 집중할 수 있고, 아발저(阿鉢底)로써 훌륭히 아발저법(阿鉢底法)을 내며, 삼마발저(三摩鉢底)로써 훌륭히 삼마발저법(三摩鉢底法)을 내지만 모든 법에 구하는 것도 없고 증득하는 것도 없다.
이와 같이 두 가지 법을 여의었기에 반연하는 것도 없고 닦을 것도 없지만 진지(盡智:漏盡智)와 무생지(無生智)로 필경에 3구경법(究意法)ㆍ3선근법(善根法)ㆍ3방편문(方便門)을 성취한다. 온갖 망상을 여의고 진실한 생명을 얻어 문혜(聞慧)ㆍ사혜(思慧)ㆍ수혜(修慧)의 세 가지 지혜를 깨치고, 번뇌(煩惱)ㆍ업(業)ㆍ고(苦)의 세 가지 물듦을 벗어나며, 공(空)ㆍ무상(無相)ㆍ무원(無願)의 세 가지 삼마지를 가지게 되는데 이는 공해탈문ㆍ무상해탈문ㆍ무원해탈문의 3해탈문(解脫門)이라고도 한다. 계온(戒蘊)ㆍ정온(定蘊)ㆍ혜온(慧蘊)의 세 가지 온법(蘊法)과 계학(戒學)ㆍ정학(定學)ㆍ혜학(慧學)의 세 가지 학법(學法)과 계수(戒修)ㆍ정수(定修)ㆍ혜수(慧修)의 세 가지 닦음이 있고, 학(學)ㆍ무학(無學)ㆍ비유학비무학(非有學非無學)이 있으며, 견도(見道)ㆍ수도(修道)ㆍ무학도(無學道)의 세 가지 도(道)가 있고, 미지근(未知根)ㆍ이지근(已知根)ㆍ구지근(具知根]의 세 가지 근(根)이 있으며, 성행(聖行)ㆍ천행(天行)ㆍ범행(梵行)의 세 가지 행이 있고, 온(蘊)ㆍ처(處)ㆍ계(界)의 세 가지 분별이 있다. 이런 세 가지 법들을 깨치고는 큰 복을 얻고, 해탈ㆍ적정ㆍ열반의 세 가지 불공념주(不空念住)를 증득하신다. 여래는 모든 중생을 평등이 보호하시니, 여기에 세 가지 온법(蘊法)과 상ㆍ중ㆍ하의 세 가지 보특가라(補特伽羅)가 있다.
모든 부처님 여래께서는 인연 없는 대비[無緣大悲]ㆍ 미묘한 대비[微妙大悲]ㆍ 온갖 중생을 위하는 대비[爲一切衆生大悲]의 세 가지 대비를 갖추고,
몸의 자재함[身自在]ㆍ 세상의 자재함[世自在]ㆍ 법의 자재함[法自在]의 세 가지 자재함이 있으시다.
세 가지 보호하지 않는 법이 있으니, 이른바 모든 여래는 몸의 업이 청정하여 더러운 업을 벗어났고, 말의 업이 청정하여 더러운 업을 벗어났으며, 뜻의 업이 청정하여 더러운 업을 벗어났다.
들음의 칼[聞劍]ㆍ 사유의 칼[思劍]ㆍ 닦음의 칼[修劍] 세 가지 칼이 있고,
선정의 가장 높음ㆍ 지혜의 가장 높음ㆍ 해탈의 가장 높음 세 가지 가장 높음이 있으며, 정단(正斷)ㆍ 이욕(離欲)ㆍ 적멸(寂滅)의 3계법(界法)이 있고,
또 욕계(欲界)ㆍ 색계(色界)ㆍ 무색계(無色界)의 3계(界)도 있다. 세 가지 무학(無學)의 명(明)이 있으니, 과거를 아는 숙명명(宿命明)과 미래를 아는 천안명(天眼明)과 현재의 누진명(漏盡明)이며,
세 가지 무위법이 있으니, 모든 현상은 덧없음[諸行無常]이며, 모든 법은 나가 없음[諸法無我]이며, 열반은 적정함[涅槃寂靜]이다.
성문의 보리[聲聞菩提]ㆍ 연각의 보리[緣覺菩提]ㆍ 위없는 보리[無上菩提]의 3보리가 있고,
진지(盡智)ㆍ 무생지(無生智)ㆍ 정견지(正見智)의 3무학지(無學智)가 있으며,
3보(寶)ㆍ3귀(歸)ㆍ3최상지(最上智)가 있다. 4염처(念處)ㆍ4정단(正斷)ㆍ4신족(神足)ㆍ4신심법(信心法)ㆍ4해탈구(解脫句)가 있고, 제일의선(第一義善)ㆍ자성선(自性善)ㆍ발기선(發起善)ㆍ상응선(相應善)의 네 가지 선법(善法)이 있다. 4수법(修法)ㆍ4지법(智法)ㆍ4성제법(聖諦法)ㆍ4선정(禪定)ㆍ4윤장(輪藏)이 있으며, 4의지법(依止法)이 있으니 좋은 벗을 가까이하고, 바른 법을 듣고, 생각을 집중해 사유하고, 이치에 맞게 수행하는 것이다. 또 인연(因緣)ㆍ등무간연(等無間緣)ㆍ증상연(增上緣)ㆍ소연연(所緣緣)의 4연(緣)이 있고, 난위(煖位)ㆍ인위(忍位)ㆍ정위(頂位)ㆍ세제일위(世第一位)의 4가행위(加行位)가 있으며, 방편도(方便道)ㆍ무간도(無間道)ㆍ해탈도(解脫道)ㆍ최승도(最勝道)의 네 가지 도가 있다. 네 가지 사문의 과보와 네 가지 성스러운 종족이 있으며, 자(慈)ㆍ비(悲)ㆍ희(喜)ㆍ사(捨)의 4무량심(無量心)이 있다.
또한 4생(生)ㆍ4성주(聖住)ㆍ4기념(記念)ㆍ4위의(威儀)가 있고, 벗어남[出]ㆍ들어감[入]ㆍ적정함[寂靜]ㆍ바른 깨달음[正覺]의 4출생문(出生門)이 있으며, 또 4증위(證位)가 있다.
유학의 5온(蘊)ㆍ5해탈처(解脫處)ㆍ5도출법(度出法)ㆍ5성지상(聖智想)이 있으며, 정단분(正斷分)ㆍ조복분(調伏分)ㆍ이과분(離過分)ㆍ이상분(離相分)ㆍ이성분(離性分)의 5삼마지분(三摩地分)이 있다. 또 다섯 가지 최상분(最上分)과 다섯 가지 현행삼마발저(現行三摩鉢底)와 5온(蘊)ㆍ5계(界)가 있고, 또 5취온(取蘊)이 있다.
6공덕법(功德法)ㆍ6통(通)ㆍ6염(念)이 있으며, 또 6법(法)과 다섯 가지 이욕(離慾)과 6수법(修法)ㆍ6견도위(見道位)ㆍ6상속행(相續行)ㆍ6증명상(證明想)이 있다.
7보특가라(補特伽羅)ㆍ7대장부행(大丈夫行)ㆍ7식주(識住)ㆍ7각지(覺支)ㆍ 7무과실법(無過失法)ㆍ7삼마지수용법(三摩地受用法)ㆍ7묘법(妙法)ㆍ7계분(界分)ㆍ7선해처(善解處)ㆍ7수도(修道)가 있다. 8정도분(正道分)ㆍ8보특가라(補特伽羅)ㆍ8별해탈계(別解脫戒)가 있으며, 또 8해탈(解脫)ㆍ8처(處)ㆍ8지(智)ㆍ8도(道)ㆍ8계(戒)ㆍ8회(會) 및 8세법(世法)이 있으니, 여래께서 이어가는 참되고 항상한 정진은 청정하여 물듦이 없다. 또 아홉 가지 과거삼마발저(過去三摩鉢底)가 있고,
9신심법(信心法)ㆍ 9증득법(證得法)ㆍ 9명색멸(名色滅)ㆍ 9중생주(衆生住)ㆍ 9의법(依法)ㆍ 9무루지(無漏地)ㆍ 9수도지(修道地)가 있다.
4향(向)과 4과(果)와 아홉째 연각(緣覺)과 열째 정등정각(正等正覺)의 10보특가라가 있으며, 10대지선법(大地善法)ㆍ10유학법(有學法)ㆍ10여래력(如來力)ㆍ10선업도(善業道)ㆍ10악업도(惡業道)ㆍ10성주(聖住)ㆍ10여리작법(如理作法)이 있다. 공덕과 상호를 생각하는 열한 가지 법과 올바른 이해를 일으켜 지혜를 온전히 갖추는 열한 가지 법과 열한 가지 구속계법(具足戒法)이 있다.
12출생언사(出生言辭)ㆍ12처(處)ㆍ12연(緣)이 있고, 성스러운 법을 증득하는 12찰나회(刹那會)가 있다. 13희법(喜法)ㆍ13출생법(出生法)ㆍ13작업지(作業地)가 있으며,
14화심(化心)ㆍ견도(見道)의 15심(心)ㆍ정념(心念)의 16심이 있으며, 유학의 17상(相)ㆍ17낙욕상(樂欲相)ㆍ18(界)ㆍ18불공법(不共法)ㆍ19분별지(分別地)ㆍ22근(根)이 있으며, 4염처(念處)ㆍ4정단(正斷)ㆍ4신족(神足)ㆍ5근(根)ㆍ5력(力)ㆍ7각지(覺支)ㆍ8정도(正道)의 37보리분법(菩提分法)이 있다. 44지법(智法)과 또 77지법(智法)이 있으며, ■ 162도(道)가 있으니, 이것을 수지(修地)라 한다. ■ 이와 같이 한량없고 가없이 계속되는 참되고 항상한 법은 모든 번뇌를 여의었으며 매우 깊고 광대하고 미묘하여 생각하기 어려우니, 이는 아주 슬기로운 이라야 여실히 깨달을 수 있다.
■ 이 불법이 바로 긍가(殑伽:항하) 모래알처럼 많은 정등정각의 수승한 법이니, 정득각지(正得覺智)를 증득하고자 하는 모든 비구[苾芻]ㆍ비구니[苾芻尼]ㆍ우바새ㆍ우바이 및 바른 지혜를 갖춘 모든 외도와 니건자(尼乾子)들은 이 평등한 법을 여실히 깨달으라. 그리고 다시 부처님께서 교화하신 것처럼 중생들에게 널리 연설하여, 한량없고 그지없는 아승기의 중생들이 모두 적정하고 두려움 없는 구경열반(究竟涅槃)을 증득하게 하라.”
★1★
◆vbep4254
◈Lab value 불기2566/12/09/금/10:40
○ 2020_0908_160907_can_ct9.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Salvador-Dali-enigma-unfinished-version-of-the-three-glorious-enigmas-of-gala
Artist: Salvador-Dali from https://en.wikipedia.org/wiki/Salvador_Dalí Title : enigma-unfinished-version-of-the-three-glorious-enigmas-of-gala Info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Buddhist_Temple_at_Summer_Palace
https://en.wikipedia.org/wiki/File:Buddhist_Temple_at_Summer_Palace.jpg English: This is a view from the ground up of the Tower of Buddhist Incense at Summer Palace. Author Vrw2016 10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Campo Grande - Mato Grosso do Sul ,Brazil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