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0년 5월 3일 일요일

불교



불교
[한문]佛敎
[팔리]dhammī kathā
[범어]buddha-vacana
[티벳]sangs rgyas kyi gsung rab
[영어]buddhism

[관련키워드]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불교
불교
[한문]佛敎
[팔리]dhammī kathā
[범어]buddha-vacana
[티벳]sangs rgyas kyi gsung rab
[영어]buddhism
부처,
특히 석가모니불이 설한 가르침.
부처가 되기 위한 가르침.
부처님의 말씀.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불교
불교

[한문]佛敎
석가모니불께서 말씀하신 교법과,
그 발달하고 분파한 온갖 교리와 법문과 종지(宗旨)의 총칭.

석존께서 처음 인도에서 교법을 말씀하심으로부터
교세(敎勢)가 점점 퍼져 인도의 여러 나라는 물론,
석존께서 멸도하신 뒤에도 대대로 고승(高僧)들이 쏟아져 나오고,
임금과 대신들이 항상 외호하여
드디어 버마ㆍ태국ㆍ세일론ㆍ중앙아시아의 여러 나라로 퍼지고,
또 북으로 서장ㆍ중국ㆍ몽고ㆍ만주ㆍ한국ㆍ일본까지 퍼지고,
요사이는 유럽ㆍ아메리카까지 전파됨.
종교로서는 세계 인구의 4분의 1의 신도를 얻어,
인생 신앙의 기초가 되었을 뿐 아니라,
철학상으로도 연구하는 이가 동서고금에 허다함.

교리로는 대승ㆍ소승으로 구별되고,
전파된 지방으로는 남방불교ㆍ북방불교로 구별함.

우리나라에는 372년(고구려 소수림왕 2)에 중국 전진(前秦)으로부터 들어온 뒤로
3국시대에 고승들이 많이 나서 우리나라 불교의 특색을 이루었음.
또 고려 때에는 왕실에서 전적으로 보호하여 극성 시대를 이루었으나,
조선 시대부터는 정치적ㆍ사회적으로 갖은 압박이 심하여 점점 쇠퇴하게 됨.





불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둘러보기로 가기검색하러 가기

불교 만자. 한반도에서도 사용된다.


불교(佛敎, 영어: Buddhism, 산스크리트어: बौद्ध धर्म)는
기원전 6세기인도고타마 싯달타[1] 에 의해 시작된 종교이다.


불교는 그가 펼친 가르침이자 또한 진리를 깨달아 부처(붓다 · 깨우친 사람)가 될 것을 가르치는 종교이다.[2]



구체적으로는 고통에서 벗어나는 것
또는 고통이 없는 상태에 이르는 것이 가르침의 목적인데

이는 노자가 구체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 건
도가 아니라고 한 가르침과 다르다.

상좌부 불교대승불교로 나눌 수 있다.[3]

오늘날까지 2,500년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불교는 다양하고 복잡한 종교적 전통을 지니게 되었다.


그러나, 불교는 일반적으로
개조(開祖)로서의 부처,
가르침으로서의 ,
그리고 이를 따르는 공동체인 삼보로 이루어져 있다고 설명할 수 있다.[4]



불교의 가르침을 반야 또는 보리와 혼동하는 주장이 있다.
해탈 또는 열반은 위 설명과 같이 벗어나는 것을 뜻하고
반야 등은 지혜를 뜻하므로 이들은 다르다.

깨달음에 도달하는 것은 열반에 도달하는 것과 동일하다.[5][6]


불교경전인 《열반경》에는 이러한 견해가 뚜렷이 나타나 있다.


우리나라의 불교도들은 접근의 편이성 때문에
니카야가 한문으로 번역된 중국 경전들, 중국의 선사들이 창작한 경전들,
이들을 우리말로 번역한 경전들을 주로 공부해 오고 있지만


이들은 고타마 싯달타의 가르침에 많은 부분들이 첨삭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 의식으로부터 최근 니카야 번역 작업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으며,
이미 영국에서는 약 한 세기 전부터 괄목할 만한 수준의 니카야 번역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출처 필요]



간다라석가모니불 입상, 기원후 1세기


목차

1불교의 역사1.1역사적 관점의 기원

2불교의 전파
3불교의 사상
4불교의 주요개념
5국가별 불교의 특징5.1인도
5.2아메리카
5.3유럽
5.4러시아

6불교 문화6.1건축
6.2불교 관련 세계문화유산
6.3미술

7주요 사찰7.1한국

8주요 경전
9출처 및 주해
10같이 보기
11외부 링크

불교의 역사[■편집]



석가모니의 탄생지인 룸비니(Lumbini):
네팔의 가운데 아래쪽의

인도와 접경 지역 가까이에 위치한다



기원전 5세기 마가다(Magadha) 왕국의 대략적인 범위


역사적 관점의 기원[■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불교의 역사입니다.


역사적으로 불교는 기원전 6세기샤카족의 왕자로 태어난
싯다르타 고타마(Siddhārtha Gautama)에 의해 창시되었으며
현 네팔과 인도 북동부 지방에 있던 마가다(Magadha) 왕국을 중심으로 성립되었다.



싯다르타의 출생지는 룸비니(Lumbini)였고,

그의 성장지는 가비라 성(迦毘羅城, Kapilavastu)이었으나
그의 종교 활동인 수도(修道), 정각(正覺), 포교(布敎)는 마가다를 중심으로 전개되었기 때문에 그의 출생지나 성장지보다는
마가다 왕국이 불교 발생의 중심지로 생각된다.



싯다르타는 갠지스 강 주변의 나라였던 슈라바스티(Srāvastī) 왕국의 기원정사와 마가다 왕국의 죽림정사 같은 곳에서 많은 제자를 이끌었다.


석가모니 생전의 주요 제자로는
사리불, 목건련, 가섭, 아난과 같은 십대제자가 알려져 있다.[4]


싯다르타의 인생과 관련된 주요한 장소는 팔대성지라고 부른다.


불교의 팔대성지

룸비니


부다가야


사르나트


쿠시나가르


라지기르


슈라바스티


바이살리


산카샤



vdeh불교팔대성지 (빨간색 점은 사대성지)



이 중 룸비니, 부다가야, 사르나트, 쿠시나가르를 사대성지(四大聖地)라고 한다.




불교의 전파[■편집]

불교 인구 분포



불교의 전파



기원전 1세기서역





인도 마우리아 왕조(기원전 4세기 - 2세기)의 3대 왕이었던 아소카왕
정복 전쟁을 일으켜 승리하였으나
전쟁의 참상에 큰 충격을 받고 불교로 귀의하였다.
이에 의해 인도 전역에 불교가 전파되었으며
인도 이외의 지역으로 불교가 전해지는 계기가 되었다.





북방 경로
인도에서 발생한 불교는 간다라를 거쳐
티베트 · 페르시아 · 아프가니스탄 · 타클라마칸 지역으로 전파 되었다.

이들 지역은 중국에서 서역이라 불리던 곳으로 대월씨(大月氏) · 안식(安息) · 강거(康居) 등의 이 지역 승려들에 의해 불경불상이 전래되고 경전이 한역되었다.


중국에 전해진 불교는 중국 고유의 도교 사상과 많은 융합이 일어났다.
한국일본에 전래된 불교중국한역 불경이 근간을 이루었으나
산스크리트어로 된 불경 역시 지속적으로 전파되었다.


티베트에 전래된 불교는 독자적인 발전을 거쳐 라마교라 불리게 되었으며
몽골에 전파되었고 원나라 시기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원나라 멸망 후 중국한국 등에서는 쇠퇴하였으나
이후 청나라 시기에 황궁의 종교가 되기도 하였다.


서쪽으로 전파된 불교는 유럽에까지 전파되어
칼미크 공화국은 불교를 국교로 삼기도 한다.


북방 경로를 거쳐 전파된 불교는 북방불교 또는 대승불교라 불리기도 한다.




남방 경로
한편, 동남아시아 지역에도 불교가 전파되었으며
스리랑카 · 태국 · 캄보디아 · 미얀마 · 베트남 지역의 대다수 사람들이 불교를 믿는다.


동남아시아 지역에는 부처님 당대의 구어인 빠알리어 경전을 갖춘 상좌부 불교가 있는데,
상좌란 곧 장로라는 뜻이다.


또는, 남방불교라고 부르기도 하며, 원래 명칭 그대로
테라와다 또는 테라바다(Theravada) 불교라고도 부른다.

상좌부 불교 지역에서는 상좌부 불교를 '테라바다'로,
대승불교를 '마하야나'라고 부른다.




연표: 불교 전통의 성립과 발전 (기원전 450년경부터 기원후 1300년경까지)vdeh
450 BCE250 BCE100 CE500 CE700 CE800 CE1200 CE

인도원시불교


부파불교대승불교밀교·금강승





스리랑카 ·
동남아시아
상좌부 불교



중앙아시아
그레코 불교
티베트 불교

비단길을 통한 불교 전파

동아시아 ·
··
천태종 · 정토종 · 일련종밀교 · 진언종


450 BCE250 BCE100 CE500 CE700 CE800 CE1200 CE
범례:= 상좌부 불교 전통= 대승불교 전통= 밀교·금강승 전통



 불교의 사상[■편집]
이 부분의 본문은 불교의 사상입니다.




불교는 교조인 싯다르타 고타마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이며,
깨달음을 얻어 궁극적으로 붓다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도에서 불교는 원시 불교, 부파 불교, 대승 불교, 밀교의 순으로 전개되었는데
불교의 사상도 이러한 전개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싯다르타는 당시 인도에서 광범위하게 논의되고 있던 형이상학적 문제가 열반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답하지 않았다.



싯다르타는 (다르마)을 인정하였으나,
그 안에서의 총합적인 (아트만)의 존재는 인정하지 않았으며, (무아)
오히려 영원한 나에게 집착하기 때문에 번뇌가 따른다고 하였다. (일체개고)


싯다르타는 수행에 의해 진리를 체득하고 망집을 단절한다면
일체의 속박으로부터 벗어나
열반(니르바나)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불교에는 여러 개의 천국이 있으며,
모두 자신이 지은 업장의 결과이다.
좋은 업장을 쌓은 사람들은 다시 태어날 수 있다.[7][8]




불교의 주요개념[■편집]

니르바나 Nirvana - 윤회에서 완전히 벗어나 해탈한 경지. 열반(涅槃)이라고 음사한다.


디아나 Dhyana - 명상. 갈수록 정신을 청정하게 해나가는 여덟 단계가 흔히 거론된다.
선나(禪那)라고 음사하고, 줄여서 선(禪)이라고도 한다.



보디사트바 Bodhisattva - 보리살타(菩提薩埵)라고 음사(音寫)하고,
그것을 줄여서 보통 ‘보살’(菩薩)이라고 한다.

수행을 쌓아 언제라도 부처가 될수 있는 경지이나 중생을 제도하기 위하여
마지막 해탈을 스스로 뒤로 미루고 있는 존재.

가장 널리 알려진 보살로 아발로키테슈바라 Avalokitesvara, 즉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을 꼽을수 있다.




붓다 Buddha -
진리를 깨달은 이. 불타(佛陀)라고 음사하였고, 줄여서 불(佛)이라고 한다.


삼사라 Samsara - 나고 죽음을 끝없이 거듭하는 끝없는 과정으로
존재의 실상이 그렇다고 한다.
윤회(輪廻)라고 번역한다.


상하 Sangha - 부처가 세운 출가 수행자들의 공동체. 승가(僧伽)라고 음사한다.



수냐타 Sunyata -
공(空).
 모든 사물과 현상은 자성(自性), 즉 고유하고 항구적인 실체가 없고
상대적이라는 의미에서 공이라 한다.


쉴라 Sila - 윤리적 미덕, 또는 그것을 장려하는 계율.
불교의 가장 기본적인 도덕율로 오계(五戒)가 있다.
계(戒), 계율(戒律)이라 번역한다.



스투파 Stupa - 유해를 보관하는 탑.


탄트라 Tantra - 밀교(密敎). 불교 중에서도 이른바 바즈라야나(Vajrayana)의 의례집이나
신통력을 얻기 위한 비의적(秘儀的)인 방법을 가리키는 말로,
대개는 구루(guru)의 가르침을 통해 전승된다.


바즈라야나는 지금의 주로 티베트에서 신봉하며,
금강승(金剛乘)이라고 번역한다.


프라즈냐 Prajna - 진리를 깨달은 지혜. 반야(般若)라고 음사한다.


프라티티아사뭇파다 Pratityasamutpada -
모든 현상과 사물은 서로 의존적으로 생겨난다는 법칙으로,
이로 인하여 윤회하는 세상 속의 모든 일이 서로 연관된다는 것.
연기(緣起)라고 번역한다.[9]








 국가별 불교의 특징[■편집]

세계불교도우의회에서 정한 불교기.


인도의 불교
한국의 불교
일본의 불교
중국의 불교
라마교 (티베트 불교)


20세기에 들어서부터 불교가
아메리카 대륙과 유럽 지역으로 활발하게 전파되고 있다.



인도[■편집]

 인도에는 현재 8,000명 정도의 승려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공식적인 승려 교육 기관은 없다고 한다.

제14대 달라이 라마티베트 망명 정부를 인도 북부 다람살라에 세워서,
티베트 승려가 많아짐에 따라 인도인들에게도 불교가 전파되고 있다고 한다.

보통, 인도에서 평등을 추구하는 불교를 믿으면,
불가촉천민으로 인식한다고 한다.


 아메리카[■편집]
미국에서 지식인들과 유명인사들 사이에 참선수행과 불교가 널리 확산되고 있다.
미국에서 불교를 널리 전한 인물로는
일본인 스즈키 다이세츠,
한국인 숭산 행원 선사 등이 손꼽힌다.





유럽[■편집]
쇼펜하우어 등 불교를 이해하고 수용한 철학자, 사상가들이 있었다.
티베트 망명 정부의 정치 지도자이자 세계적 불교 지도자인 제14대 달라이 라마의 영향으로
티베트 불교가 널리 알려져 있다.


평화를 위해 헌신해 온 베트남 출신의 불교지도자
틱낫한(釋一行, Thich Nhat Hanh) 스님이 이끄는 수행공동체인 Plum Village
프랑스 보르도에 소재하고 있으며,

유럽과 미국, 베트남 등지의 스님들과 재가불자들이 주로 모여 있다.


대도시에는 한국 사찰이 운영하는 포교당이 있는데
교민 중심의 포교 활동을 하고 있다.



러시아[■편집]

러시아 속에 있는 칼미키야 공화국이 유일하게 불교를 국교로 정하고 있다.
그 밖에 투바 공화국이나 부랴트 공화국도 불교를 믿는다.








 불교 문화[■편집]
건축[■편집]

김제 금산사 당간지주



영주 부석사 당간지주


한국 사찰 건축


 당간(幢竿): 절에서 불교 의식이 있을 때 불(佛), 보살(菩薩)의 공덕을 기리거나
마귀를 물리칠 목적으로 달았던 "당"이라는 깃발의 깃대를 말하며,
이 깃대를 고정시켜 주기 위해 세우는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일주문


금강문 : 절에서 일주문(一柱門)다음에 위치하는 문이된다.
이곳에는 불법의 수호신인 금강역사를 모신다.
대신 천왕문(天王門)이 건축되기도 한다


사천왕문 : 사찰 지키는 사천왕을 모시는 문이다.

즉 천왕문에 모셔져 있는 사천왕상은
동쪽을 지키는 지국천왕을 비롯해
서쪽을 지키는 광목천왕,
남쪽을 지키는 증장천왕,
북쪽을 지키는 다문천왕 이 모셔진 곳이다.



불이문/해탈문:
속된 마음을 돌려서 해탈의 세계에 이르게 한다는 의미를 갖는 문이다. 
즉 궁극적으로 인간이 욕심과 욕망으로 인해서 발생된
여러가지 모든 번뇌와 해탈이 둘이 아니기 때문에
불이문이라고 일컫는 것이다.


대웅전(大雄殿): 교조이신 석가모니불을 대웅(큰 영웅)으로 모신 법당을 말한다.



대적광전:
화엄경에 의한 법신불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 영원한 진리의 빛 그 자체)을 주불로 모신 전각을 말한다


지장전: 명부전이라고도 한다.
명부란 염마가 다스리는 유명계 이르는 말로
명부전은 지장보살을 모시고 죽은 이의 넋을 인도하여 곳이다.


요사채: 승려들의 일상생활을 위해 지어진 절집을 이른다.
여기에는 해당되는 공간은 참선을 하는 선방이나, 승방은 물론
곳간, 부엌, 화장실(측간)까지도 포함된다





불교 관련 세계문화유산[■편집]


포탈라궁(布達拉宮.Potala Palace):
중국 티베트 시짱에 소재한 달라이 라마의 궁전으로
붉은 건물인 홍궁과 흰 건물인 백궁으로 나눈다.
포탈라는 라마교(티베트불교)의 관세음보살이 사신다는 곳을 의미한다.


호류지(法隆寺):
쇼토쿠 태자 때 백제에서 지었다.
일본 성덕종(쇼토쿠 태자 관련 종) 총본산이 된다.


킨카쿠지(金閣寺): 일본 교토부 교토에 소재한 금으로 도금한 3층 사리전이다. 예전에 학승이 금각에 화재 내서 그 후 시민들의 참여로 복원되었다. 흔히 금각사로 알려진 것 그 화재를 배경으로 소설 금각사로 잘 알려져 로쿠온지가 금각사라고 불리게 된다.



불국사(佛國寺):
대한민국 경상북도 경주에 소재한 절이다.
불국사 경내에 있는 흔히 김대성이 세운 줄 알지만
서기 528년(법흥왕 15년) 법흥왕의 어머니 영제부인의 발원으로 세워졌다고
불국사고금창기에 기재 되어 있고,
또는 이 보다 앞선 눌지왕(訥祗王) 때 아도화상(阿道和尙)이 창건되었다고 하고
김대성(金大城)이 크게 3창 했다고 불국사 사적에 기재되어 있다.



석굴암(石窟庵): 불국사 경내에 있는 석불이다.
통일신라 시대 김대성(金大城)이 석굴암을 중창하던 중
끝내 완공을 하지 못하고 사망하였지만
신라가 국가사업으로 완공하였다.
사서 기록으로는 '석불사(石佛寺)'라고 하였다.





 미술[■편집]
불화(佛畵):불교의 회화로, 불보살, 교리 같은 것을 그림으로 비유한 것으로 고려의 불화가 유명하다.
주요 사찰[■편집]




한국[■편집]
한국 불교의 5대 총림 (빨간색은 삼보종찰)

해인사


송광사


수덕사


통도사


백양사


vdeh한국 불교5대 총림 (빨간색은 삼보종찰)





강원, 찰을 총림이라고 하며,

해인사 해인총림,
송광사 조계총림,
수덕사 덕숭총림,
통도사 영축총림,
백양사 고불총림의 5대 총림이 있다.



 주요 경전[■편집]


반야심경 · 화엄경 · 묘법연화경 · 부모은중경 · 금강경 · 법구경 · 아함경 · 숫타니파타 · 공덕경 · 관음경 · 능엄경 · 목련경 · 무량수경 · 밀란다왕문경 · 미륵상생경 · 미륵하생경 · 백유경 · 불유교경 · 사십이장경 · 아미타경 · 약사경 · 열반경 · 원각경 · 천수경 · 잡아함경 · 유마경 등이 있다.




 출처 및 주해[■편집]

편집자 주:
깨달은 자 고타마를 뜻하는 "고타마 붓다"와
석가족의 성자라는 "석가모니"와 같은 호칭법은
예수를 칭할 때 "메시아"라는 뜻인 그리스도를 더하여
"예수 그리스도"라고 부르는 것과 동일하다.

또한 공자 · 맹자등을 원래의 이름인 공구 · 맹가로 부르지 않고
"선생"을 뜻하는 "자(子)"를붙이는 것과 동일하다.


동양사상 > 동양의 사상 > 인도의 사상 > 불교 > 불교,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손민규. 범일 스님 “석가모니 외 다른 가르침에는 관심 없어”. 채널예스. 2014년 8월 28일.
이동:가 송현주, 〈불교의 역사〉, 한국종교문화연구소,《세계 종교학 입문》, 청년사, 2008
"Enlightenment in Buddhism and Advaita Vedanta: Are Nirvana and Moksha the Same?", by David Loy. Consulted on January 9, 2010.
"Buddhist Enlightenment vs Nirvana" (3/2008), by Kusala Bhikshu. Consulted on January 9, 2010.
(그러나 영혼은 실제로 다시 태어나지 않음 영문 위키 백과 자료 근거 참조 anatta)
Raju, P. T. (1985). 《Structural Depths of Indian Though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47–151쪽. ISBN 978-0-88706-139-4.
[세계의 종교ㅣ니니안스마트 지음, 윤원철 지음ㅣ2004년ㅣ도서출판 예경ㅣp,82]

같이 보기[■편집]
국가별 불교(en:Buddhism by country)
서구권의 불교(en:Buddhism in the West)유럽의 불교(en:Buddhism in Europe)
미국의 불교

외부 링크[■편집]
www.buddhism.or.kr (대한불교 조계종)
www.cheontae.org (천태종)
www.jingak.or.kr (진각종)
www.chongji.or.kr (불교총지종)
Heckert GNU white.svgCc.logo.circle.svg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From 대만불광사전
불교
【佛敎】 p2658-中≫
梵名 Buddha-śāsana 或 Buddhānuśāsana,
巴利名 Buddha-sāsana.
創始於釋迦牟尼,
以合乎理智之敎說,
示導人類轉迷開悟 ; 其目的在於實現淨化社會之理想,
以超越階級․
種族爲特色.
普遍盛行於亞洲南․
中及東部.
 (一)名稱 : 近世以降,
凡敎義․
敎團․
實踐方面,
皆以佛敎通稱,
此語散見於漢譯佛典與中․
日典籍.
古時以敎法爲中心者,
自稱佛法․
大法․
聖敎․
釋敎․
大敎․
佛道 ; 以敎團爲中心者,
自稱或他稱爲釋氏,
他稱爲釋家․
浮屠氏.
其後以敎法爲中心者又有佛道(梵 Buddha-Mārga)․
佛法(梵 Buddha-dharma)․
正法(梵 Sad-dharma),
或如來之敎說(梵 Tathāgata-śāsana)․
世尊之敎說(梵 Bhagavatas-śāsana)․
勝者之敎說(梵 Jinasya-śāsana)等稱.
又以經典中常記載佛陀具有「十力」,
故又稱佛敎爲「十力敎」 .
此外,
以敎團爲中心,
則出現佛敎徒(梵 Bauddha)之語.
 (二)沿革 : 西元前五世紀左右,
古印度迦毘羅衛國(位於今尼泊爾南部提羅拉科特附近)王子悉達多喬答摩(梵 Siddhārtha Gautama)於印度恆河中游流域宣揚苦․
無常․
無我․
緣起․
解脫等敎法,
竝强調無論任何階級均可信奉其敎說.
釋尊入滅後,
其遺法由弟子加以結集而傳持,
然百年後,
傳持者之間興起若干意見之爭論.
西元前三世紀,
阿育王皈依佛敎,
不遺餘力地將佛敎傳播至全印與其鄰國,
而發展爲世界性宗敎,
形成各具民族特色之敎派.
其後三百年間,
印度․
錫蘭興起說一切有部․
大衆部․
犢子部․
錫蘭上座部等部派佛敎與大乘佛敎,
均一一傳來西域․
我國.
 此後六百年間(西元一世紀至七世紀),
大乘佛敎急遽發展,
敎化地區亦隨之擴張,
如部派佛敎在印度分出經量部等,
大乘則分中觀․
瑜伽二大學派,
且普及緬甸․
泰國․
柬埔寨(今高棉)․
蘇門答臘․
爪哇․
尼泊爾․
西藏地區․
越南․
韓國․
日本等地.
在我國方面,
部派系之毘曇宗․
俱舍宗,
其旁系之成實宗,
中觀系之三論宗,
瑜伽系之地論宗․
攝論宗與法相宗等「論宗」 ; 與涅槃․
華嚴․
天台․
淨土等「經宗」,
以及大乘別派禪宗之繁興.
日本所謂之「南都六宗」,
卽直接傳自我國之宗派.
 此後至十三世紀爲止約六百年間,
印度密敎由成立而興盛,
其間由寂護․
蓮華生․
阿提沙等相繼傳入西藏,
而分爲寧瑪派(藏 Rñin-ma-pa)․
甘丹派(藏 Bkaḥ-gdam-pa)․
迦爾居派(藏 Bkaḥ-brgyud-pa)․
薩迦派(藏 Sa-kya-pa)等,
竝及於蒙古.
在我國,
密敎亦曾興盛一時,
其勢壯大,
而能與禪宗․
淨土宗相媲美.
日本除天台․
眞言之平安二宗外,
淨土․
禪․
日蓮等鎌倉諸宗亦應運勃興.
至此,
佛敎發展爲亞洲地區之最大宗敎.
然十四世紀以後,
由於西方傳來伊斯蘭敎(回敎),
情勢丕變.
 自十一․
二世紀開始,
由於印度佛敎發展爲左道密敎․
印度敎之逐漸復興,
及回敎侵入印度,
而使佛敎消滅殆盡,
僅孟加拉一帶,
仍保有些許佛敎存在.
此係由於脫胎自佛敎之法格崇拜(梵 Dharma-thāhur-pūjā) 於十二世紀發祥該地之故.
 印度之回敎傳經馬來半島,
於十五世紀覆亡爪哇之佛敎,
竝北至婆羅洲,
消蝕南洋之佛敎圈.
另一方面,
由伊朗入西域之回敎別支則波及我國西部.
由於這兩支東西夾擊之回敎勢力,
致使亞洲中․
南部之佛敎被三分,
僅殘留錫蘭․
緬甸․
泰國․
柬埔寨等地尙能連結成一敎圈,
而由錫蘭上座部統一.
尼泊爾․
不丹․
西藏則在其前以金剛乘爲核心,
形成喇嘛敎圈.
十五世紀初,
因迦爾居派興起,
逐漸擴張勢力,
致使蒙古․
西伯利亞․
我國西北部亦形成一喇嘛敎圈.
唯獨亞洲東部未受回敎影響,
我國․
越南․
韓國等地盛行禪宗與淨土宗,
日本則維持平安․
鎌倉時代之佛敎.
 十九世紀,
歐洲興起硏究亞洲(東方學及印度學)之風氣,
佛敎方漸復甦,
自硏究而入信者亦甚可觀.
至今,
佛敎與基督敎․
回敎竝稱爲世界三大宗敎.
 就佛敎整體發展之路線與範圍而言,
傳入我國大部地區與日本․
韓國․
越南者,
以大乘佛敎爲主,
稱爲北傳佛敎,
其經典屬漢文系統 ; 而傳入我國西藏․
蒙古與西伯利亞等地區者,
爲北傳佛敎中之西藏佛敎,
俗稱喇嘛敎,
其經典屬藏文系統 ; 傳入錫蘭(今斯里蘭卡)․
緬甸․
泰國․
寮國等地區者,
以上座部佛敎爲主,
稱爲南傳佛敎,
其經典屬巴利文系統.
 (三)敎義 : 佛敎經二千五百年之傳播與發展,
其間歧生許多學派與宗派,
故在敎義方面亦呈現多樣性與複雜分歧之傾向.
大體而言,
須彌山․
地獄․
天界․
劫末等有關世界構成․
起滅等說,
係繼承佛敎以前之印度思想.
業․
苦․
輪迴․
解脫等說,
則爲古來印度思想之擴充.
作爲佛敎與他敎區別標準之三法印「無常․
無我․
涅槃」,
或加「苦」 等四法印,
則是佛敎之根本敎義.
同時,
佛․
法․
僧三寶乃爲佛敎不可或缺之要素,
其中,
「佛」 爲歷史上開創佛敎之敎主釋尊,
由於釋尊之涅槃,
産生有關佛身之論議,
形成生身․
法身等二身,
及法身․
報身․
應身等三身之論說,
或毘婆尸等過去佛,
彌勒等未來佛,
阿閦․
阿彌陀等他方世界現在佛之說.
或在釋尊之前生,
以佛爲前提,
出現菩薩及弟子位之聲聞等說.
 就「法」 而言,
釋尊擧出四諦․
十二緣起․
八聖道爲敎法之根本,
由「緣起說」 再發展爲二世一重․
三世兩重․
六因四緣五果.
大乘有實相緣起․
賴耶緣起․
眞如緣起․
法界緣起․
六大緣起等 ; 反之,
四諦說無甚發展,
八聖道說則全無發展.
就認識而言,
一方面從空有二觀․
中道說,
進而檢討心理,
遂産生五根․
五位․
七十五法或百法之說 ; 另一方面,
論理形式之硏究促成因明之發達.
我國․
日本諸宗派各依其所依之經論,
造成大小乘․
權實二敎․
頓漸二敎․
聖道淨土二門․
顯密二敎等,
竝創立各種敎判,
各自宣揚自宗敎義 ; 或與帝王․
儒家․
道敎․
神道等接觸,
而發生論諍或融合之情形.
 至於記述敎法之文獻,
其形式自古卽有九分敎․
十二部經等分類,
然於最初係依憑記憶傳承敎法,
待一世紀頃始有典籍型態,
亦漸産生經․
律․
論三藏之分類.
大乘佛敎自始卽勸說抄經之功德,
故佛典漸次增加.
以漢文佛典而言,
除歷代各版大藏經之外,
竝包括多數藏外佛典之著作.
其他另有巴利三藏․
梵文佛典,
及西藏文․
蒙古語․
滿洲語․
日文等各種語系之大藏經.
 (四)敎團 : 僧伽卽敎團.
釋尊在世時,
出家敎團形成男女別團,
依居住地之別,
組織數人至數十人爲一團.
此等敎團除須布薩․
安居․
自恣等行事外,
竝有出家․
受戒等儀式.
會議方法採用羯磨․
投票等.
進而規定敎團之生活規範者,
卽爲戒律.
 釋尊入滅後,
漸形成以出家敎團爲中心之風氣,
大乘佛敎雖加排斥,
然亦無法扭轉趨勢,
遂成爲以寺院爲中心之佛敎 ; 另一方面則有居士佛敎運動之興起,
而成爲大乘佛敎勃興的原因之一.
我國方面,
宗派因人而異,
故寺院宗派較少,
日本則自平安朝以後,
寺院宗派色彩濃厚,
西藏等地之喇嘛敎以敎團爲代表,
同時竝掌有政權.
 (五)實踐 : 戒․
定․
慧三學爲佛敎實踐之要道,
八聖道․
六度等爲其進一步之闡論,
此爲佛敎徒所應具備者.
然在我國․
日本,
各宗派所側重者各自不同,
如律宗尊戒,
禪宗尊定,
華嚴․
法相等諸宗尊慧.
此外,
密敎之三密相應․
淨土宗之念佛․
日本日蓮宗之三祕等,
可視爲定(觀法)之另一型態.
 (六)文化 : 佛敎除豐富了其傳播地區之思想文化內容外,
竝將歷史․
歷史學賦豫向來缺乏歷史觀念之印度.
而印度之天文․
曆法․
音韻․
音樂․
醫術等均以佛敎爲媒介傳來我國.
美術方面,
佛敎獨特之雕刻․
繪畫․
建築等,
帶給世界各地深遠之影響自不待言.
 (七)現況 : 現今各國佛敎大多一改昔時山林自度之風,
轉而趨向人生佛敎之弘揚,
積極從事文化․
敎育․
慈善等事業,
使信衆易於親近佛敎.
此外又著重國際間之聯繫,
如設立國際佛敎學術會議․
世界佛敎徒友誼會․
世界佛敎靑年會等,
結合國際間僧俗․
專家學者等之力量,
或擧行聯誼活動,
或發表論文,
以促進世界各地佛敎之融合.
(參閱「佛敎敎理」 2688)



● From 陳義孝佛學常見辭彙
불교
【佛敎】1․
佛對世人的訓示.
敎卽訓示之義.
2․
世界三大宗敎之一,
以釋迦牟尼佛爲敎主,
主張慈悲平等,
在後漢明帝時,
由西域傳入中國,
今盛行於世界各地.
→2229



③-2658■불광사전
hbfl--06_Ba_0587.TIF


● From Hanja(Korean Hanzi) Dic
불교
佛敎



● From Korean Dic
불교
불교(佛敎)[명사]세계 3대 종교의 하나.
기원전 5세기 초엽에 인도의 석가모니가 설법한 가르침.
[이 세상에서의 온갖 번뇌를 버리고,
수행을 통하여 깨달음으로써 부처가 됨을 목적으로 함.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로 크게 나뉨.]
불법(佛法).



● From Kor-Eng Dictionary
불교
불교 [佛敎]
Buddhism.ㆍ ~의 Buddhist / Buddhistic.ㆍ ~ 승려 a Buddhist priest.ㆍ ~를 믿다 believe in Buddhism.ㆍ 장례식은 ~식으로 행해졌다 The funeral was held according to Buddhist rites.▷ 불교도[신자]
a Buddhist; a believer in Buddhism.▷ 불교 문화 Buddhist culture[civilization].▷ 불교 미술[문학 / 음악 / 건축]
Buddhist art[literature / music / architecture].▷ 불교 청년회 the Young Men's Buddhist Association.▷ 불교 회화 Buddhist paintings.



● From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
■ '불교' 관련 기타 참고 사전 통합 검색
다음백과 http://100.daum.net/search/entry?q=불교 
네이버백과 http://terms.naver.com/search.nhn?query=불교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불교 
네이버한자 http://hanja.naver.com/search?query=불교 
네이버지식 https://kin.naver.com/search/list.nhn?query=불교 
네이버사전 https://endic.naver.com/search.nhn?sLn=kr&isOnlyViewEE=N&query=불교 

위키영문 https://en.wikipedia.org/wiki/buddha-vacana
구글 https://www.google.co.kr/?gws_rd=ssl#newwindow=1&q=불교 
네이버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불교 
다음 http://search.daum.net/search?w=tot&q=불교 


--- 이하 단어 직접 입력 검색 ---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http://abc.dongguk.edu/ebti/c3/sub1.jsp
불광대사전(佛光大辭典) https://www.fgs.org.tw/fgs_book/fgs_drser.aspx
산스크리트어사전 http://www.sanskrit-lexicon.uni-koeln.de/monier/
 티벳어사전 http://nitartha.pythonanywhere.com/index


● [pt op tr] fr
_M#]
■ 불교사전 링크 및 불교 사전 출처 종합 안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4/blog-post_21.html


■ 본 페이지 ID 정보
DICT--불교
https://buddhism0077.blogspot.com/
sfx--dict/불교.txt



●● 관련정보 사용페이지



----[‡사용한 다른 페이지]---





◆vivw8718
◈Lab value 불기2564/05/02/토/23:40

댓글내용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5/blog-post_18.html#8718
sfx--dict/불교.txt
sfd8--불교용어dic_2564_05.txt ☞◆vivw8718
불기2564-05-02
θθ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