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0년 5월 22일 금요일

불성_buddha-nature

불성
[한문]佛性
[범어]buddhatā ; buddhatva ; buddha-dhātu
[티벳]sangs rgyas pa nyid
[영어]buddha-nature

부처로서의 본성.
부처인 본질.
부처의 성질.
부처가 될 수 있는 가능성.
잠재된 진실한 인간성.
본연의 마음.

[1]여래장의 별칭.
부처가 되는 결실을 맺게 하는 종자.
[동]각성(覺性) , 불종성(佛種性) , 여래성(如來性).

[2]대승의 법을 믿는 신심. 불성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불성
[한문]佛星
[범어]puṣya
28수(宿)의 하나.
귀수의 같은말.
불은 푸쉬야의 간략한 음역.

[원][k]귀수[c]鬼宿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관련키워드]
불성佛性,buddhatā;buddhatva;buddha-dhātu,sangsrgyaspanyid,buddha-nature,각성覺性,불종성佛種性,여래성如來性,

[링크용타이틀]
불성,각성,불종성,여래성,



참고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불성
[한문]佛性
【범】buddhatva 【팔】buddhatta 부처를 이룰 근본 성품.

미(迷)ㆍ오(悟)에 의하여 변하는 일이 없이,
본래 중생에게 갖추어진 부처될 성품.
곧 중생이 성불할 가능성.

일반으로 대승불교는 성불을 주로 하므로
소승불교 보다는 불성을 중요하게 본다.
그러나 어떤 종류의 사람이 성불할 수 있느냐 하는 것은
원시불교 때부터 문제가 되었음.

특히 대승에서는 불성이 온갖 중생에게 보편(普遍)하였는가,
아닌가의 두 가지 처지에서 중요한 의논을 일으킴.

유식종에서는 5성(性)이 각각 다르다고 말하여,
원칙적으로 본래 부처가 될 종성(種性)과,
되지 못할 것과의 구별이 있다고 주장한다.

이불성(理佛性)으로는
아무라도 법성(法性)의 이(理)를 본체로 한 것이므로 모두 불성을 갖추었으나,
행불성(行佛性)으로는 불성을 갖춘 것과 갖추지 못한 것이 있다고 함.

이에 대하여 일성개성설(一性皆成說)은
어떠한 기류(機類)라도 불성을 갖추지 않은 것이 없다고 하는
불성의 본구보변(本具普遍)을 주장하여 천제(闡提)도 성불한다고 함.

불성이 보편(변)한 것이라면
그 불성의 개발은 필연이냐, 우연이냐 하는 문제가 일어나게 되니,
그 설명으로서 3불성ㆍ3인불성ㆍ5불성 등을 세움.


● From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불성 

불성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불성(佛性, 산스크리트어: Buddha-dhātu)은
'부처[佛]의 본성[性]',
'깨달음[佛 · 보리] 그 자체의 성질[性]',
또는 '부처[佛]가 될 수 있는 가능성[性]'을 뜻하는 불교 용어이다.[1]


불성은 여래장(如來藏, 산스크리트어: Tathāgatagarbha)과 같은 뜻으로 쓰인다.[1]
불성은 산스크리트어 붓다 다투(Buddha-dhātu)를 번역한 것인데,[1]
붓다(Buddha)를 음에 따라 번역한 불(佛)과 다투(dhātu)를 뜻에 따라 번역한 성(性)이 합쳐져서 이루어진 낱말이다.

붓다 다투(Buddha-dhātu)는 각성(覺性: 깨달음의 성품)[2]이라고 번역되기도 한다.[1]
각성(覺性)은 붓다(Buddha)를 뜻에 따라 번역한 각(覺)과
다투(dhātu)를 뜻에 따라 번역한 성(性)이 합쳐져서 이루어진 낱말이다.

붓다 다투(Buddha-dhātu)는 영어로는
Buddha-nature (부처 성품),
Buddha Element (부처 요소)
또는 Buddha-Principle (부처 원리)로 번역된다.

 원래 부처고타마 붓다(석가모니불)만을 지칭한 것인데,
대승불교에서는 모든 것에는 본래 부처와 똑같은 본성(불성)이 갖추어져 있다고 주장하였다.[1]
특히 대승불교 경전인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에서는
일체중생실유불성(一切衆生悉有佛性: 일체의 중생은 모두 불성을 갖는다)이라고 언명하여
이러한 사상을 명백히 표현하고 있다.[1]


대승불교에서는 중생마음의 구조에 대하여,
"마음은 본래 청정하여 부처가 될 수 있는 종자를 갖추고 있으나
우발적 · 일시적으로 밖으로부터 마음을 더럽히게 하는 근심 · 걱정에 뒤덮여 더러워져 있을 뿐이다"라고 강조한다.[1]

따라서, 객진(客塵)인 번뇌의 진(塵)을 떨어내어 더러움(汚)이 없어졌을 때가,
부처가 될 종자가 전면적으로 나타나는 때가
깨달음(悟)이며 성불(成佛)이라고 주장한다.[1]

그리고 이러한 견해는 대승불교의 가장 대표적인 입장 중 하나를 이루고 있다.[1]



같이 보기[■편집]
반야
보리
진여
대승불교
여래장 사상
일심 사상
대승기신론
견성성불
즈나나
아트마 즈나나

각주[■편집]
이동:가 종교·철학 > 세계의 종교 > 불 교 > 불교의 사상 > 중기 이후의 대승사상 > 일체중생실유불성,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각성(覺性: 깨달음의 성품)은 깨어 정신을 차린다는 뜻의 각성(覺醒)과는 다른 낱말이다.

참고 문헌[■편집]
Heckert GNU white.svgCc.logo.circle.svg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불성_영문위키스크랩_영문원문]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5/buddha-nature-engwiki-ori-scrap.html
https://buddhism007.tistory.com/17178


[* 한글 번역 파파고 번역 참조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5/buddha-nature-engwiki-trans-in-kor.html
https://buddhism007.tistory.com/17179

원문출처 https://en.wikipedia.org/wiki/Buddha-nature


● From 대만불광사전
불성
【佛性】 p2633-中≫
梵語 buddha-dhātu 或 buddha-gotra.
又作
如來性․
覺性.
卽佛陀之本性,
或指
成佛之可能性․
因性․
種子․
佛之菩提之本來性質.
爲如來藏之異名.
據北本涅槃經卷七載,
一切衆生悉有佛性,
凡夫以煩惱覆而無顯,
若斷煩惱卽顯佛性.
 原始․
部派佛敎等,
不說佛․
菩薩以外者之成佛,
故亦不說一切衆生悉有佛性之旨.
但據世親之佛性論卷一,
有部等部派主張衆生無先天之「性得佛性」,
但有後天依修行而得之「修得佛性」,
依此,
分決定無佛性․
有無不定․
決定有佛性三類衆生.
對此,
分別說部以空爲佛性,
一切衆生悉以空爲本,
從空所生,
故主張本性皆具佛性.
同書卷二復將佛性分爲三位(稱三位佛性․
三佛性),
卽 :
(一)住自性佛性,
衆生先天具有之佛性.

(二)引出佛性,
通過佛敎修行所引發之佛性.

(三)至得果佛性,
至佛果始圓滿顯發者.
 中․
日諸宗派於此亦有諸說而互相論難.

(一)天台宗立正․
了․
緣之三因佛性之說,
卽 : (1)正因佛性,
一切衆生本具之三諦三千之理.

(2)了因佛性,
觀悟佛理所得之智慧.

(3)緣因佛性,
能起智慧之緣的所有善行.
其中,
前者屬性(先天),
後二者屬修(後天),
但本來性修不二․
圓融無礙,
三佛性是非縱非橫(非前後繼起,
亦非同時竝列).
又三因佛性加上果性(菩提之智德)․
果果性(涅槃之斷德),
卽稱爲五佛性.
以其因果不離,
故爲因位․
果位互具.

(二)據華嚴宗,
衆生之佛性圓滿具足一切因果性相,
有情具足成佛之可能性爲佛性․
覺性,
以此與非情具有之眞如之理稱爲法性加以區別,
故主張成佛唯限於有情.

(三)據密宗,
森羅萬象悉是大日如來之法身,
故立悉有佛性之說.

(四)三論宗廢有關佛性之種種議論,
以爲別說因果卽是迷執,
故稱非因非果之無所得中道爲佛性.

(五)法相宗說二種佛性,
卽 : (1)理佛性,
所有存在本體之眞如理.


(2)行佛性,
含藏於各人阿賴耶識中成佛之因之無漏種子.
具理佛性,
而不具行佛性者,
亦不得成佛.
又立五種姓說,
卽菩薩․
聲聞․
緣覺證悟所得之三種定姓․
不定姓及永不能成佛之無姓 ; 主張唯菩薩定姓與不定姓者具有行佛性.

(六)禪宗雖言證悟衆生本來之面目,
但卻否定執迷佛性有無等問題,
故有「狗子佛性」 等公案.

(七)淨土宗承認理佛性之說,
然亦有加以否定者.
日本淨土眞宗主張成佛係依阿彌陀佛之本願力,
謂如來給豫衆生之信心爲佛性,
此卽信心佛性說.
 此外,
諸經典亦見佛種․
佛種性等語,
意謂成佛之因,
但其內容依經各異,
通常多指衆生本具之佛性,
或指煩惱․
菩提心․
菩薩之修行․
稱名等.
[大般泥洹經卷四分別邪正品․
北本涅槃經卷二十八․
菩薩善戒經卷一․
入楞伽經卷二․
卷七․
解深密經卷二․
瑜伽師地論卷六十七․
究竟一乘寶性論卷四․
梁譯攝大乘論釋卷七․
大乘玄論卷三․
大般涅槃經疏卷二十五․
華嚴經疏鈔卷三十․
華嚴經探玄記卷十六․
大乘義章卷一佛性義․
法華經玄贊卷一․
法華玄義卷五下․
金光明經玄義卷上․
中觀論疏卷一末](參閱「五姓」 1107․
「佛種」 2744)



● From 陳義孝佛學常見辭彙
불성
【佛性】佛者覺悟之義,
性者不改之義,
佛性卽是一切衆生永不變異的覺悟之性.
涅槃經說 : 「一切衆生悉有佛性,
如來常住無有變異.」→2249



● From 丁福保 - 佛學大辭典 : Ding Fubao's Dictionary of Buddhist Studies
佛性

【術語】 佛者覺悟也,
一切眾生皆有覺悟之性,
名為佛性。
性者不改之義也,
通因果而不改自體是云性,
如麥之因,
麥之果,
麥之性不改。
華嚴經三十九曰:
「佛性甚深真法性,
寂滅無相同虛空。
」涅槃經二十七曰:
「一切眾生悉有佛性,
如來常住無有變易。




● From 三藏法數
佛性
佛性者,
覺性也。
即諸佛所證真覺湛明之性,
無染無淨,
離過絕非,
以其無滅無生,
不遷不變,
是為常住果。





● From Soothill-Hodous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DDBC version)
佛性
buddhatā (बुद्धता).
The Buddha-nature,
i.e. gnosis, enlightenment; potential bodhi (बोधि) remains in every gati (गति),
i.e. all have the capacity for enlightenment; for the Buddha-nature remains in all as wheat-nature remains in all wheat.
This nature takes two forms: 理 noumenal,
in the absolute sense,
unproduced and immortal,
and 行 phenomenal,
in action.
While every one possesses the Buddha-nature,
it requires to be cultivated in order to produce its ripe fruit.


● From Eng-Ch-Eng dic of Buddhist terms
佛性
The buddha-nature.
The possession by sentient beings of the innate buddha-mind,
which is,
prior to the full attainment of buddhahood,
not fully actualized.
The belief in this concept was not universally accepted in Indian Buddhism,
but did become a cornerstone of East Asian Buddhist soteriological thought in terms of the essence-function 體用 paradigm,
as explained in texts such as the Buddha-nature Treatise 佛性論.
A synonym for tatha^gatagarbha 如來藏.



● From Hanja(Korean Hanzi) Dic
불성不成 佛聖 佛性 不誠

● From Naverjpdic
佛性
불성[佛性]
[명사]『불교』仏性ぶっしょう。
<1>[명사]仏ほとけの本性ほんしょう。
<2>[명사]あらゆる人ひとが本来ほんらい持もっている仏ほとけとなるべき性質せいしつ。


● From BUDDHDIC
佛性
ブッショウ
(term) buddha-nature




● From Korean Dic
불성(不誠)[―썽][명사][하다형 형용사]<불성실>의 준말.
불성(不成)[―썽][명사][하다형 자동사]이루어지지 못함.
불성(佛性)[―썽][명사]
1.부처의 본성.
2.모든 사람이 본디 지니고 있는,
부처가 될 수 있는 자비스러운 성질.
불성(佛聖)[―썽][명사]
‘부처’를 거룩하게 일컫는 말.


③-2633■불광사전
hbfl--06_Ba_0598.TIF


■ '불성' 관련 기타 참고 사전 통합 검색
다음백과 https://100.daum.net/search/entry?q=불성
네이버백과 https://terms.naver.com/search.nhn?query=불성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불성
네이버한자 https://hanja.naver.com/search?query=불성
네이버지식 https://kin.naver.com/search/list.nhn?query=불성
네이버사전 https://endic.naver.com/search.nhn?sLn=kr&isOnlyViewEE=N&query=불성

위키영문 https://en.wikipedia.org/wiki/buddhatā ; buddhatva ; buddha-dhātu
구글 https://www.google.co.kr/?gws_rd=ssl#newwindow=1&q=불성
네이버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불성
다음 https://search.daum.net/search?w=tot&q=불성


--- 이하 단어 직접 입력 검색 ---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https://abc.dongguk.edu/ebti/c3/sub1.jsp
실용한-영 불교용어사전 https://dic.tvbuddha.org
불광대사전(佛光大辭典) https://www.fgs.org.tw/fgs_book/fgs_drser.aspx
산스크리트어사전 https://www.sanskrit-lexicon.uni-koeln.de/monier/
티벳어사전 https://nitartha.pythonanywhere.com/index


● [pt op tr] fr

_M#]
■ 불교사전 링크 및 불교 사전 출처 종합 안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4/blog-post_21.html


■ 본 페이지 ID 정보
DICT--불성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5/buddha-nature.html
https://buddhism007.tistory.com/12836
sfx--dict/불성.txt



●● 관련정보 사용페이지

불성론_K0596_T1610_001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5/k0596t1610001.html
https://buddhism007.tistory.com/11512





----[‡사용한 다른 페이지]---






◆vpon1573
◈Lab value 불기2564/05/22/금/02:53


Nicoletta - La Solitude Ça N'existe Pas


○ 2019_1004_174312_canon_Ar28.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Claude-Monet-the-gorge-at-varengeville-late-afternoon
[#M_▶더보기|◀접기|
Artist: Claude-Monet
https://en.wikipedia.org/wiki/Claude_Monet
Title : the-gorge-at-varengeville-late-afternoon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Flowers_at_the_US_Botanic_Gardens_-_Stierch
[#M_▶더보기|◀접기|
Author Sarah Stierch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PekingUniversityPic6
[#M_▶더보기|◀접기|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_M#]






♥잡담♥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5/buddha-nature.html#1573
sfx--dict/불성.txt
sfd8--불교용어dic_2564_05.txt ☞◆vpon1573
불기2564-05-22
θθ

■ 용어 퀴즈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Gerard Lenorman - Lilas
Jacques Brel - Les Fenetres
SIMON, Yves - J'ai Peur - 000
Adamo - Salvatore Adamo - Oui, La Mer A Bercé Tant D'amour Dans Le Creux De Ses Vagues Le Temp D'un Été
Charles Dumont - Il Est 4h Du Matin
Jacques Brel - Les Bergers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W
[san-chn] gandha-saṃpanna 芬馥
[san-eng] rājīva $ 범어 lotus
[pali-chn] asura 阿素洛
[pal-eng] sankhaaraloka $ 팔리어 m.the whole creation.
[Eng-Ch-Eng] unobtainable 不可得
[Muller-jpn-Eng] 豆 コクズ beans
[Glossary_of_Buddhism-Eng] WAR☞
[fra-eng] de terre $ 불어 clink, tinge, tintinnabulation


■ 다라니퀴즈

자비주 27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45 번째는?




27
만약 법대로 외우고 지니며,
모든 중생에게 자비심을 일으키는 자는
내가 이때 일체 착한 신과
용왕과 금강밀적(金剛密迹)을 보내서
그를 항상 따라
옹호하게 하고,
그 곁을 떠나지 않고,
마치 자기 눈동자나
자기 목숨을 보호하고 아끼듯이
하게 하리라.
그리고 곧 분부하며 말씀하시길,
나는
밀적금강사(密迹金剛士)
오추군다앙구시(烏芻君茶鴦俱尸)
팔부역사상가라(八部力士賞迦羅)를 보내
..
마혜나라연(摩醯那羅延)과
금비라타가비라(金毘羅陁迦毘羅)를 보내
..
바삽바루나(婆馺婆樓那)와
만선차발진다라(滿善車鉢眞陁羅)를 보내
..
살차마화라(薩遮摩和羅)와
구란단탁반지라(鳩蘭單咤半祇羅)를 보내
..
필바가라왕(畢婆伽羅王)과
응덕비다살화라(應德毘多薩和羅)를 보내
..
범마삼발라(梵摩三鉢羅)와
오정거등염마라(五淨居等炎摩羅)를 보내
..
제석천과 삼십삼천과
대변공덕바달라(大辯功德婆怛那)를 보내
..
제두뢰타왕(提頭賴咤王)과
신묘녀(神母女) 등 힘센 무리들을 보내
..
비루륵차왕(毘樓勒叉王)과
비루박차(毘樓博叉)와 비사문(毘沙門)을 보내
..
금색공작왕(金色孔雀王)과
이십팔부대선중(二十八部大仙衆)을 보내
..
마니발타라(摩尼跋陁羅)와
산지대장불라바(散脂大將弗羅婆)를 보내
..
난타(難陁) 발난타(跋難陁)
사가라용(娑伽羅龍) 이발라(伊鉢羅)를 보내
..
수라(脩羅), 건달바(乾闥婆)와
가루라[迦樓], 긴라라[緊那], 마후라(摩睺羅)를 보내
..
수화뇌전신(水火雷電神)과
구반다왕(鳩槃茶王) 비사차(毘舍闍)를 보내
이 주문을 받아 지니는 자를
항상 옹호하게 하리라.
● 구로구로갈망 俱盧俱盧羯懞<二十七> ku ru ku ru kar maṃ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45
아체엄라 시라
阿砌掩囉<二合>尸羅<四十五>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261일째]
불고심왕보살언 $ 003▲● 천 욕령제세간입 불소지수량지의 ○□□□□,善,汝,佛,善

□□□□□□□,:「善哉善哉!善男子!
汝今 為 欲令 諸世間 入 佛所知數量之義,而問 如來、應、正等覺。
□□□□□□□,:「선재선재!선남자!
여금 위 욕령 제세간 입 불소지수량지의,이문 여래、응、정등각。

부처님께서 심왕보살에게 말씀하시었다.
“훌륭하고 훌륭하다. 선남자여,
그대가 지금 여러 세간 사람들로 하여금
부처님이 아는 수량의 뜻을 알게 하기 위하여 여래·응공·정변지에게 묻는구나.



[143째]
불가언설모단처 $ 014▲最勝最勝為 一 ● 摩婆(上聲呼)羅, ○□□□□,皆,種,種,於

□□□□□□□, 皆有淨剎不可說,
種種莊嚴不可說, 種種奇妙不可說。
□□□□□□□, 개유정찰불가설,
종종장엄불가설, 종종기묘불가설。

말할 수 없이 많은 터럭 끝마다
깨끗한 세계들을 말할 수 없고
가지가지 장엄도 말할 수 없고
가지가지 기묘함도 말할 수 없어

015□



●K0249_T0690.txt★ ∴≪A불설희유교량공덕경≫_≪K0249≫_≪T0690≫
●K0596_T1610.txt★ ∴≪A불성론≫_≪K0596≫_≪T1610≫
●K0980_T0192.txt★ ∴≪A불소행찬≫_≪K0980≫_≪T0192≫

법수_암기방안


■ 용어퀴즈 다음 설명에 맞는 답을 찾으시오.
 【화두】 남전보원(南泉普願)이 하루는 동ㆍ서 승당(僧堂)에서 고양이를 가지고 시비하는 것을 보고서, 선뜩 고양이를 쳐들고 “일러 맞추면 버리지 아니하리라!” 대중에서 대답이 없었다. 남전은 고양이를 버혀 두 동강을 내었다. 뒤에 남전이 이 사실을 말하며 조주(趙州)에게 물었다. 조주는 집세기를 벗어서 머리에 이고 나가버렸다. 이에 남전이 말하였다. “그대가 그때 있었던들 고양이를 살렸을 것을!”

답 후보
● 남전참묘(南泉斬猫)
녹원시(鹿苑時)

누진지력(漏盡智力)
능립(能立)
능소(能所)
능인(能人)
니련선하(尼連禪河)

● [pt op tr] fr
_M#]


♥블라디미르, 블라디미르스카야 오블래스트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