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e

2020년 5월 31일 일요일

불기2564-05-31_분별선악보응경_001


『분별선악보응경』
K1098
T0081

상권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
● 한글대장경 해당부분 열람II
○ 통합대장경 사이트

○ 해제[있는경우]
● TTS 음성듣기 안내
※ 이하 부분은 위 대장경 부분에 대해
참조자료를 붙여 자유롭게 연구하는 내용을 적는 공간입니다.
대장경 열람은 위 부분을 참조해주십시오.





『분별선악보응경』 ♣1098-001♧
상권




○ [pt op tr]Fern-Coppedge-the-delaware-valley
[#M_▶더보기|◀접기|
Artist: Fern-Coppedge
FernIsabel(Kuns)Coppedge는 그녀의 삶의 대부분을 펜실베니아에서 보냈는데, 그곳에서 그녀는 미국 인상주의의 뉴 호프 학교, 펜실베니아 미술 아카데미의 원정대, 그리고 필라델피아 예술 동맹, 그리고 펜실베니아 인상주의 운동으로 알려지게 된 것과 관련이 있었다[2[...이하 줄임...]
from http://en.wikipedia.org/wiki/Fern_Coppedge
Title : the-delaware-valley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아래 부분은 현재 작성 및 정리 중인 미완성 상태의 글입니다♥


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원문번역문
분별선악보응경



해제보기


분별선악보응경(分別善惡報應經) 상권
서천(西天) 중인도(中印度) 야란타라국(惹爛駄囉國) 밀림사삼장(密林寺三藏) 명교대사(明敎大師)
사자(賜紫) 사문 신(臣) 천식재(天息災)가 어명을 받들어 한역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세존께서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때 세존께서는 공양 때가 되어 가사를 입고 발우를 가지고 사위성으로 들어가 차례로 걸식하다가,
도이야(兜儞野)의 아들 수가(輸迦) 장자 집에 이르러 문 앞에 서 계셨다.
그때 수가 장자 집에는 상가(商佉)라는 개가 항상 문 어귀에 앉아 있었는데,
장자는 늘 구리쇠 그릇에 맛난 음식을 담아 상가에게 주었다.
그때 그 개가 부처님을 보고 성을 내며 짖었다.
부처님께서는 상가를 보고 말씀하셨다.
“네가 아직 지각이 없어 나를 보고 짖는구나.”
이렇게 말씀하시자,
상가는 더욱 독한 마음으로 성을 내면서 제자리를 떠나 전단(栴檀) 나무로 만든 자리 밑으로 들어갔다.

이때 수가 장자는 집을 나서다가 문 밖에서 그 개가 전단 나무로 만든 자리 밑에 있는 것을 보고 개에게 물었다.
“누가 너를 화나게 하였는가?”
상가는 잠자코 있었다.
수가 장자는 다시 물었다.
“현자(賢子)야,
누가 너를 화나게 하더냐?”
상가는 대답하였다.
“사문 구담이 찾아와 문밖에 섰기에 내가 그를 보고 짖었더니,
사문 구담은 ‘너는 아직 지각이 없어 나를 보고 짖는구나’라고 하였습니다.
나는 그 말을 듣고 화가 나서,
본래 자리를 떠나 이 전단 나무 자리 밑으로 왔습니다.”
수가 장자는 이 말을 듣고 잔뜩 화를 내며 사위성을 나서 기수급고독원으로 갔다.

그때 세존께서는 한량없는 백천 비구들에게 앞뒤로 둘러싸여,
자리에 앉아 설법하고 계셨다.
세존께서는 수가 장자가 멀리서 오는 것을 보시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들은 저 수가 장자가 멀리서 오는 것을 보느냐?”
“예,
이미 보았습니다.”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저(도이야) 장자의 아들은 부처에게 성을 내었다.
그러므로 그는 목숨을 마친 뒤에 화살처럼 빨리 큰 지옥에 떨어질 것이다.
왜냐 하면 망령되이 남과 나를 헤아려 분별하고,
성내는 번뇌를 일으켜 부처를 비방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는 저 나쁜 세계에 떨어져 한량없는 고통을 받을 것이다.
또 일체 중생으로 나를 업신여기고 비방하는 모든 중생들도 또한 마찬가지다.”
그때 세존께서 다시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부처에게 나쁜 마음 일으켜
헐뜯고 비방하며 업신여기면
그는 마침내 큰 지옥에 떨어져
다함 없는 고통을 받게 되리라.

그 어떤 중생[數取趣]
스승이나 또 비구들에 대하여
잠깐이나마 나쁜 마음을 내면
목숨을 마치고는 지옥에 떨어지리.

누구나 만일 여래에 대하여
크게 성내고 원망하는 마음 내면
그들은 모두 나쁜 길에 떨어져
윤회하며 항상 고통받으리.

그때 도이야의 아들은 부처님께 나아와 땅에 엎드려 발에 머리를 대어 예배하고,
세존의 앞으로 나와 부드럽고 좋은 갖가지 말로 여래를 찬탄하고는 한쪽에 서서 여쭈었다.
“세존이시여,
무슨 일로 저의 집에 오셨었습니까?”

부처님께서 수가 장가에게 말씀하셨다.
“밥 때가 되어,
나는 가사를 입고 발우를 가지고 사위국에 들어가 차례로 걸식하다가,
그대의 집 문 앞에 이르러 서 있었다.
그때 상가는 문 어귀에서 구리쇠 그릇에 담긴 음식을 먹던 참이었다.
상가는 내가 문 앞에 서 있는 것을 보자마자 이내 짖었다.
나는 상가를 보고 ‘너는 아직 지각이 없구나.
왜 나를 보고 짖느냐’고 하였다.
그는 이 말을 듣고 성을 내더니 딴 자리로 갔느니라.”

그때 장자가 세존께 여쭈었다.
“저 개 상가의 전생 인연이 어떠했는지 모르겠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여 주소서.”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만두어라.
그 일은 묻지 말라.
네가 만일 그 일을 들으면 너는 더욱 괴로워 견디지 못하리라.”

수가 장자는 이렇게 세 번이나 부처님께 청하였다.
“원컨대 저를 위하여 그 일을 말씀하여 주소서.
저희들은 즐거이 듣겠습니다.”
그때 세존께서 장자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이제 자세히 듣고 잘 생각해 기억하라.
나는 이제 너를 위하여 분별하여 설명하리라.
저 개는 바로 너의 아버지 도이야니라.
그는 전생에 이 몸에 대하여 망령되이 헤아려,
나[我]가 없는데도 나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래서 인색하고 탐내며 질투하여 보시를 행하지 않고,
재물을 탐하면서 삼보(三寶)를 믿지 않다가 축생으로 떨어졌다.
지금의 저 개 상가는 바로 장자의 아버지니라.”

수가 장자는 다시 세존께 여쭈었다.
“저의 아버지 도이야는 살아 계실 때 항상 보시를 행하고,
불과 하늘과 귀신들에게 제사지냈으니 그 몸은 결정코 범천에 태어나 큰 부와 즐거움을 누리고 있을 것입니다.
무엇 때문에 축생 가운데 떨어졌겠습니까?
그것은 믿기 어려운 일입니다.”

부처님께서 장자에게 말씀하셨다.
“너의 아버지 도이야는 그런 분별로 말미암아,
망령되이 헤아리고 집착하여 보시를 행하지 않고 삼보를 믿지 않았다.
그 인연으로 저 축생 가운데 떨어졌느니라.”
부처님께서 장자에게 말씀하셨다.
“내가 지금 한 말을 아마 너는 믿기 어려울 것이다.
그러니 너는 집으로 돌아가 상가에게 물어 보라.”

그때 장자는 부처님을 하직하고 집으로 돌아가 상가에게 말하였다.
“상가야,
네가 정말 나의 아버지 도이야냐?”
그러자 상가는 전단 자리에서 물러나 앉았다.
장자는 다시 말하였다.
“상가야,
네가 정말 나의 아버지 도이야거든,
저 구리쇠 그릇의 음식을 먹지 말고 이 고기 밥을 먹어라.”
상가는 곧 고기 밥을 먹었다.
다 먹고 나자 장자는 다시 말하였다.
“만일 네가 진실로 나의 아버지 도이야라면,
무슨 특별한 표시라도 나타내 보아라.”

상가는 이 말을 듣고 곧 자리에서 일어나 본래 있던 곳인 전단 나무로 만든 자리 밑으로 가더니,
코로 땅 냄새를 맡아 보고는 발로써 네 개의 쇠독을 파내었다.
그 안에는 금으로 만든 병과 접시 등 온갖 그릇이 가득 담겨 있었다.
수가 장자는 그 희귀한 금ㆍ은의 보배를 보고 뛰면서 기뻐하다가 다시 소중히 덮어 두었다.
그리고 그는 사위성을 나서 부처님께 나아가며 일심으로 귀의하였다.

그때 세존께서는 한량없는 백천 비구들을 데리고 자리에 앉아 설법하시다가 여러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들은 도이야의 아들 앵무(鸚鵡) 장자가 멀리서 오는 것을 보느냐?”
비구들은 아뢰었다.
“예,
이미 보았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이제 저 장자는 마치 무거운 짐을 내려놓은 듯이,
몸을 버리고 목숨을 마치고는 천상에 태어날 것이다.
그것은 내게 대하여 기뻐 뛰면서 지극한 마음을 내었기 때문에 그런 갚음을 받는 것이니라.”
그리고 부처님께서는 여러 비구들에게 게송으로 말씀하셨다.

저 한 중생
발심하여 나를 보곤 기뻐하였네.
목숨을 마치고는 천상에 나리니
마치 무거운 짐 내려놓듯이.

만일 법을 말하는 스승이나
여래나 또는 비구에 대하여
잠깐이나마 마음으로 기뻐하면
그도 또한 이와 같은 과보 얻으리.

부처님께서 이 게송을 말씀하시고 나자 수가 장자는 부처님께 나아가 땅에 엎드려 그 발에 예배하고 한량없이 기뻐하였다.
그리고 처음 보는 일이라고 갖가지로 찬탄하고는 한쪽에 서 있었다.

그때 부처님께서 장자에게 말씀하셨다.
“그 개 상가가 참으로 너의 아버지더냐?”
장자는 아뢰었다.
“예,
세존이시여,
부처님 말씀은 진실이요 거짓이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가졌던 의심이 다 풀렸습니다.”

그리고 수가 장자는 이어 부처님께 아뢰었다.
“모든 중생[有情]은 그 수명의 길고 짧음과 병이 있고 없음과 얼굴의 곱고 추함과 종족의 귀하고 천함과 머리의 총명하고 둔함과 살결의 부드럽고 거칠음이 각각 달라 한결같지 않습니다.
그 인과와 선악의 과보는 어떤 것입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착하고,
착하다.
너는 자세히 듣고 잘 생각해 기억하라.
나는 지금 너를 위하여 설명하리라.
일체 중생은 지은 업과 닦은 인의 선악이 같지 않기 때문에 그 받는 과보도 귀천과 상하와 종족의 높고 낮음이 또한 다르다.
나는 지금 간단히 그 일을 말했지만,
만일 자세히 분별하면 그 이치는 매우 깊으니라.”

그때 장자가 거듭 부처님께 아뢰었다.
“원컨대 부처님께서는 자세히 말씀하여 주소서.”
부처님께서 장자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잘 들어라.
일체 중생은 갖가지 업을 짓고 갖가지 미혹[惑]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중생들의 업에는 흑업(黑業)과 백업(白業)이 있고 그 과보도 선과 악으로 갈라지는데 흑업은 3악도(惡道)의 과보를 받고 백업은 인간이나 천상의 과보를 받느니라.

또 업에는 한정이 있어서 중생들의 수명을 짧거나 길게 하고 어떤 업은 중생[補特伽羅]들의 병을 많거나 적게 하며,
얼굴이 단정하거나 누추하게 한다.
어떤 업은 중생을 부귀하거나 빈궁하게 하고 총명하고 지혜롭게 하거나 미련하고 우둔하게 한다.
또 어떤 업은 중생을 3악도에 떨어지게 하고 어떤 업은 욕계의 인간과 하늘,
나아가서는 유정천(有頂天)에 태어나게 한다.

또 어떤 업은 중생을 먼 곳이나 가까운 곳에 노닐게 하고 어떤 업은 중생들의 소원을 이루지 못하게 하며 어떤 업은 중생들이 구하지 않아도 저절로 이르게 한다.
또 어떤 업은 중생들의 소원 성취를 어렵거나 쉽게 하고 또 성취하거나 성취하지 못하게 하느니라.

또 어떤 업은 중생들을 지옥에서 수명을 다 채우게 하거나 중간에서 죽게 하며 그 죄의 가볍고 중한 것이 같지 않게 하느니라.
또 어떤 업은 중생들의 부귀와 빈궁의 전ㆍ후가 일정하지 않게 하고,
어떤 업은 중생들의 부귀ㆍ빈궁과 보시하기를 좋아하는 것과 인색한 것이 일정하지 않게 하느니라.

또 어떤 업은 중생들의 수명을 길게도 짧게도 하여 일정하지 않게 하고,
어떤 업은 중생들의 신심의 쾌락과 고통을 일정하지 않게 하느니라.
또 어떤 업은 중생들의 얼굴이 단정하고 피부가 빛나 사람들이 사랑하고 즐겨하게 하며,
어떤 업은 중생들의 얼굴이 누추하고 피부가 거칠어 사람들이 꺼리고 싫어하게 하며,
또 어떤 업은 중생들이 감관을 구족하거나 구족하지 못하게 하느니라.”

그때 부처님께서 (도이야) 장자의 아들에게 말씀하셨다.
“열 가지 선업이 있다.
그것을 닦아 익혀야 한다.
또 열 가지 악업이 있다.
너는 그것을 끊어 없애야 하느니라.”
그때 장자는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중생의 수명이 짧은 것은 어떤 업의 과보입니까?”

부처님께서 말씀하셨다.
“그것은 살생으로 말미암아 받는 것이다.
그리고 살생하는 업에도 열 가지가 있다.
첫째는 제 손으로 죽이는 것이요,
둘째는 남을 시켜 죽이는 것이며,
셋째는 죽이는 것을 통쾌하게 여기는 것이요,
넷째는 죽이는 것을 보고 따라 기뻐하는 것이며,
다섯째는 제가 낙태하여 죽이는 것이요,
여섯째는 남에게 낙태시켜 죽이라고 권하는 것이며,
일곱째는 원수를 갚기 위해 죽이는 것이요,
여덟째는 남근(男根)을 베어 죽이는 것이며,
아홉째는 방편(方便)으로 죽이는 것이요,
열째는 남을 부려 (서로) 죽이게 하는 것이다.
이런 열 가지는 짧은 수명의 과보를 받게 하느니라.”

“그러면 어떤 업으로 수명이 긴 과보를 받습니까?”
“거기에도 열 가지 업이 있다.
열 가지란,
첫째는 제 손으로 죽이지 않는 것이요,
둘째는 남을 시켜서도 죽이지 않는 것이며,
셋째는 죽이는 것을 통쾌하게 생각지 않는 것이요,
넷째는 죽이는 것을 보고 따라 기뻐하지 않는 것이며,
다섯째는 형을 받아 죽을 사람을 구원해 주는 것이요,
여섯째는 목숨을 살려 주는 것이며,
일곱째는 남에게 두려움을 없애 주는 것이요,
여덟째는 병자를 돌보는 것이며,
아홉째는 음식을 보시하는 것이요,
열째는 번기나 등불을 공양하는 것이다.
이런 열 가지는 긴 수명의 과보를 받게 하느니라.”

“또 어떤 업으로 병이 많은 과보를 받습니까?”
“거기에도 열 가지 업이 있다.
열 가지란,
첫째는 스스로 중생[有情]을 해치는 것이요,
둘째는 남을 시켜 해치는 것이며,
셋째는 해치는 것을 보고 따라 기뻐하는 것이요,
넷째는 해치는 것을 칭찬하는 것이며,
다섯째는 부모에게 불효하는 것이요,
여섯째는 원수를 많이 맺는 것이며,
일곱째는 독한 마음으로 약을 주는 것이요,
여덟째는 음식을 베푸는 데에 인색한 것이며,
아홉째는 현성을 업신여기는 것이요,
열째는 스승의 법을 비방하는 것이다.
이런 열 가지는 병이 많은 과보를 받게 하느니라.”

“그러면 어떤 업으로 병이 적은 과보를 받습니까?”
“거기에도 열 가지 업이 있다.
열 가지란,
첫째는 스스로 중생을 해치지 않는 것이요,
둘째는 남을 시켜서도 해치지 않는 것이며,
셋째는 해치는 것을 보고 따라 기뻐하지 않는 것이요,
넷째는 해치는 것을 칭찬하지 않는 것이며,
다섯째는 해치는 것을 좋게 생각하지 않는 것이요,
여섯째는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이며,
일곱째는 스승과 어른을 존경하는 것이요,
여덟째는 원수를 맺지 않는 것이며,
아홉째는 스님을 편안케 하는 것이요,
열째는 약이나 음식을 보시하는 것이다.
이런 열 가지는 병이 적은 과보를 받게 하느니라.”

“또 어떤 업으로 누추한 얼굴의 과보를 받습니까?”
“거기에도 열 가지 업이 있다.
열 가지란,
첫째는 늘 성을 내는 것이요,
둘째는 교만한 마음으로 함부로 행동하는 것이며,
셋째는 부모에게 불효하는 것이요,
넷째는 항상 마음대로 탐내고 불평하는 것이며,
다섯째는 현성을 비방하는 것이요,
여섯째는 남을 핍박해 재물을 빼앗는 것이며,
일곱째는 부처님의 등불을 훔치는 것이요,
여덟째는 남의 추한 얼굴을 비웃는 것이며,
아홉째는 부처님의 등불을 부수는 것이요,
열째는 깨끗하지 않은 짓을 행하는 것이다.
이런 열 가지는 누추한 얼굴의 과보를 받게 하느니라.”

“그러면 어떤 업으로 단정한 얼굴의 과보를 받습니까?”
“거기에도 열 가지 업이 있다.
열 가지 업이란,
첫째는 사랑하고 참는 마음을 닦는 것이요,
둘째는 부처님 탑에 보시하는 것이며,
셋째는 탑과 절을 청소하는 것이요,
넷째는 절을 장엄하는 것이며,
다섯째는 불상을 장엄하는 것이요,
여섯째는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이며,
일곱째는 현성을 믿고 존중하는 것이요,
여덟째는 교만을 버리고 겸손한 것이며,
아홉째는 범행(梵行)에 이지러짐이 없는 것이요,
열째는 남에게 손해를 끼치지 않는 것이다.
이런 열 가지는 단정한 얼굴의 과보를 받게 하느니라.”

“또 어떤 업으로 비천한 종족에 태어나는 과보를 받습니까?”
“거기에도 열 가지 업이 있다.
열 가지란,
첫째는 명예와 이익을 탐내고 사랑하여 보시의 행을 닦지 않는 것이요,
둘째는 남의 번영을 질투하는 것이며,
셋째는 부모를 업신여기는 것이요,
넷째는 스승의 법을 따르지 않는 것이며,
다섯째는 어진 이를 비방하는 것이요,
여섯째는 나쁜 벗을 가까이하는 것이며,
여덟째는 남의 선행을 부수는 것이며,
아홉째는 경전이나 불상을 파는 것이요,
열째는 삼보를 믿지 않는 것이다.
이런 열 가지는 비천한 종족으로 태어나는 과보를 받게 하느니라.”

“그러면 어떤 업으로 부유하고 귀한 종족에 태어나는 과보를 얻습니까?”
“거기에도 열 가지 업이 있다.
열 가지란,
첫째는 질투를 버리고 남의 명예와 이익을 축하하는 것이요,
둘째는 부모를 존중하는 것이며,
셋째는 스승의 법을 믿고 숭상하는 것이요,
넷째는 보리심을 내는 것이며,
다섯째는 부처님께 일산을 보시하는 것이요,
여섯째는 탑과 절을 장엄하는 것이며,
일곱째는 나쁜 업을 참회하는 것이요,
여덟째는 보시의 행을 널리 닦는 것이며,
아홉째는 열 가지 선행을 닦기를 권하는 것이요,
열째는 삼보(三寶)를 숭상하고 믿는 것이다.
이런 열 가지는 부유하고 귀한 종족으로 태어나는 과보를 받게 하느니라.”

“또 어떤 업으로 인간의 나쁜 과보를 받습니까?”
“거기에도 열 가지 업이 있다.
열 가지란,
첫째는 함부로 젠 체하는 것이요,
둘째는 부모를 업신여기는 것이며,
셋째는 사문을 업신여기는 것이요,
넷째는 바라문을 업신여기는 것이며,
다섯째는 어진 이를 비방하는 것이요,
여섯째는 친족을 업신여기는 것이며,
일곱째는 인과를 믿지 않는 것이요,
여덟째는 제 몸을 업신여기는 것이며,
아홉째는 남을 미워하는 것이요,
열째는 삼보를 믿지 않는 것이다.
이런 열 가지는 인간의 나쁜 갚음을 받게 하느니라.”

“그러면 어떤 업으로 인간의 훌륭한 과보를 받습니까?”
“거기에도 열 가지 업이 있다.
열 가지란,
첫째는 겸손하고 교만하지 않은 것이요,
둘째는 부모를 존중하는 것이며,
셋째는 사문을 존중하는 것이요,
넷째는 바라문을 믿고 숭상하는 것이며,
다섯째는 친족을 애호하는 것이요,
여섯째는 현성을 존중하는 것이며,
일곱째는 열 가지 선행을 수행하는 것이요,
여덟째는 중생을 업신여기지 않는 것이며,
아홉째는 스승의 법을 존중하는 것이요,
열째는 삼보를 확실히 믿는 것이다.
이런 열 가지는 인간의 훌륭한 과보를 받게 하느니라.”

“또 어떤 업으로 빈궁하고 고독한 과보를 받습니까?”
“거기에도 열 가지 업이 있다.
열 가지 업이란,
첫째는 항상 도둑질하는 것이요,
둘째는 남을 권해 도둑질하게 하는 것이며,
셋째는 도둑질을 칭찬하는 것이요,
넷째는 남을 따라 즐거이 도둑질하는 것이며,
다섯째는 부모를 비방하는 것이요,
여섯째는 현성을 비방하는 것이며,
일곱째는 남의 보시를 방해하는 것이요,
여덟째는 남의 명예와 이익을 질투하는 것이며,
아홉째는 재물을 아끼는 것이요,
열째는 삼보를 비방하며 항상 굶주리라고 원하는 것이다.
이런 열 가지는 고독과 빈궁의 과보를 받게 하느니라.”

“그러면 어떤 업으로 큰 복덕의 과보를 얻습니까?”
“거기에도 열 가지 업이 있다.
열 가지란,
첫째는 도둑질하지 않는 것이요,
둘째는 남에게 나쁜 짓을 권하지 않는 것이며,
셋째는 도둑질하는 것을 보고 따라 기뻐하지 않는 것이요,
넷째는 부모에게 효도하는 것이며,
다섯째는 현성을 믿고 숭상하는 것이요,
여섯째는 남의 명예와 이익을 기뻐하는 것이며,
일곱째는 널리 보시를 행하는 것이요,
여덟째는 남의 명예와 이익을 질투하지 않는 것이며,
아홉째는 재보를 아끼지 않고 외롭고 가난한 이들을 사랑하고 구제하는 것이요,
열째는 삼보를 공양하는 것이다.
이런 열 가지는 넓고 큰 복을 얻게 하느니라.”

“또 어떤 업으로 우둔한 과보를 받습니까?”
“거기에도 열 가지 업이 있다.
열 가지 업이란,
첫째는 중생[補特伽羅]으로서 사문을 믿지도 않고 가까이하지도 않는 것이요,
둘째는 바라문을 믿지 않는 것이며,
셋째는 스승의 법을 믿지도 않고 가까이하지도 않는 것이요,
넷째는 법을 숨겨 전하지 않는 것이며,
다섯째는 스승의 법에서 단점을 엿보는 것이요,
여섯째는 바른 법을 멀리 여의는 것이며,
일곱째는 선법을 끊는 것이요,
여덟째는 현성의 지혜를 비방하는 것이며,
아홉째는 잘못된 법을 배워 익히는 것이요,
열째는 바른 소견을 비방하고 삿된 소견을 찬양하는 것이다.
이런 열 가지 법은 우둔한 과보를 받게 하느니라.”

“그러면 어떤 업으로 큰 지혜를 얻습니까?”
“거기에도 열 가지 업이 있다.
열 가지 업이란,
첫째는 중생으로서 사문을 가까이하여 깊이 믿고 법을 구하는 것이요,
둘째는 바라문을 믿는 것이며,
셋째는 스승의 법을 가까이하여 그 깊은 이치를 알려고 하는 것이요,
넷째는 삼보를 존중하는 것이며,
다섯째는 어리석음을 멀리 여의는 것이요,
여섯째는 스승의 법을 비방하지 않는 것이며,
일곱째는 깊은 지혜를 구하는 것이요,
여덟째는 법을 전하여 중생을 이롭게 하되 법이 끊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며,
아홉째는 잘못된 법을 멀리 여의는 것이요,
열째는 바른 소견을 찬양하고 삿된 소견을 떠나는 것이다.
이런 열 가지 법은 큰 지혜를 얻게 하느니라.”

“또 어떤 업으로 지옥의 과보를 받습니까?”
“거기에도 열 가지 업이 있다.
열 가지란,
첫째는 선하지 않은 몸의 업이요,
둘째는 선하지 않은 입의 업이며 셋째는 선하지 않은 뜻의 업이요,
넷째는 항상 몸이 있다는 소견[身見]을 일으키는 것이며,
다섯째는 항상 치우친 소견[邊見]을 내는 것이요,
여섯째는 삿된 소견[邪見]을 끊지 않는 것이며,
일곱째는 악을 짓고도 참회하지 않는 것이요,
여덟째는 음욕의 삿된 행이며,
아홉째는 현성을 비방하는 것이요,
열째는 바른 법을 부숴 없애는 것이다.
이런 열 가지 업은 지옥의 과보를 받게 하느니라.”

“또 어떤 업으로 축생의 과보를 받습니까?”
“거기에도 열 가지 업이 있다.
열 가지란,
첫째는 중품(中品)의 나쁜 몸의 업이요,
둘째는 중품의 나쁜 말의 업이며,
셋째는 중품의 나쁜 뜻의 업이요,
넷째는 갖가지 탐욕을 일으키는 것이며,
다섯째는 갖가지 화를 내는 것이요,
여섯째는 갖가지 어리석음을 내는 것이며,
일곱째는 그릇된 법으로 보시하는 것이요,
여덟째는 금하고 싫어하는 주술(呪術)을 익히는 것이며,
아홉째는 보살의 깨끗한 행을 비방하는 것이요,
열째는 ‘영원하다’는 치우친 소견으로 사람이 죽어 사람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이런 열 가지는 축생의 과보를 받게 하느니라.”

“또 어떤 업으로 아귀의 과보를 받습니까?”
“거기에도 열 가지 업이 있다.
열 가지 업이란,
첫째는 조금 나쁜 몸의 업이요,
둘째는 조금 나쁜 입의 업이며,
셋째는 조금 나쁜 뜻의 업이요,
넷째는 재물을 아끼고 탐하여 보시를 행하지 않는 것이며,
다섯째는 크게 삿된 소견으로 부처님의 인과법을 비방하는 것이요,
여섯째는 젠 체하고 스스로를 믿어 어진 이를 업신여기는 것이며,
일곱째는 남의 보시를 방해하는 것이요,
여덟째는 굶주리는 이를 구제하지 않는 것이며,
아홉째는 음식을 아껴 부처님이나 스님에게 보시하지 않는 것이요,
열째는 남이 명예와 이익을 얻으면 방편을 써 이간질하는 것이다.
이런 열 가지 업은 아귀의 과보를 받게 하느니라.”

“또 어떤 업으로 인간의 과보를 받습니까?”
“거기에도 열 가지 업이 있다.
열 가지 업이란,
첫째는 살생하지 않는 것이요,
둘째는 도둑질하지 않는 것이며,
셋째는 음행하지 않는 것이요,
넷째는 거짓말하지 않는 것이며,
다섯째는 더러운 말 하지 않는 것이요,
여섯째는 이간질하지 않는 것이며,
일곱째는 추악한 말을 하지 않는 것이요,
여덟째는 술을 마시거나 고기를 먹지 않는 것이며,
아홉째는 어리석음을 여의는 것이요,
열째는 삿된 소견을 버리고 삼보를 확실히 믿는 것이다.
이런 열 가지 가벼운 업을 닦으면 인간의 과보를 받게 되느니라.”

“또 어떤 업을 닦아야 욕계천(欲界天)에 태어날 수 있습니까?”
“열 가지 선업을 닦으면 그 하늘에 태어날 수 있느니라.”
“또 어떤 업을 닦아야 색계천(色界天)에 태어날 수 있습니까?”
“열 가지 선정의 선업을 닦으면 그 하늘에 태어날 수 있느니라.”
“또 어떤 업을 닦아야 4무색계천(無色界天)에 태어날 수 있습니까?”

“삼마발저(三摩鉢底)를 닦아 인(因)으로 삼으면 그 하늘에 태어날 수 있느니라.
넷이란 무엇인가?
일체의 색(色)을 떠나 끝없는 허공이라는 생각을 내고 다시 그 선정을 닦아 색의 장애를 없애면 목숨을 마친 뒤에는 저 공무변처천(空無邊處天)에 태어나느니라.
또 앞에 나타나는 거친 의식과 미세한 의식을 멀리 여의고 끝없는 생각을 내어 공(空)의 장애를 없애며 다시 그 선정을 닦으면 후생에는 그 하늘에 태어나게 되느니라.
또 무소유처(無所有處)의 장애를 멀리 여의고 다시 그 선정을 닦으면 후생에는 그 하늘에 태어나느니라.
또 무소유처의 장애를 멀리 여의고 다시 그 선정을 닦으면 목숨을 마친 뒤에는 비상비비상처천(非想非非想處天)에 태어나게 되느니라.”

“또 어떤 업을 닦아 익혀야 무간지옥에 태어나지 않습니까?”
“온갖 선업을 닦고 구하는 자들에게 그 공덕을 회향하면 결정코 여러 좋은 세계에 태어나고 무간지옥에는 들어가지 않느니라.”
“또 어떤 업을 닦으면 어떤 과보를 받습니까?”
“만일 선업을 닦으면 사랑할 만한 과보를 받고 악업을 지으면 사랑할 만하지 않은 과보를 받으며,
만일 선하거나 선하지 않은 업을 멀리 여의면 사랑할 만하거나 사랑할 만하지 않은 어떤 과보도 마침내 받지 않는다.
비유하면 아무리 인자한 어머니라도 아들이 상주(商主)가 되어 멀리 떠나 오래도록 돌아오지 않으면 그 아들을 만날 길이 없는 것과 같으니라.”

“또 어떤 업이 과보를 받지 않습니까?”
“비록 악업을 지었더라도 마음을 돌려 그것을 드러내고 지난 잘못을 반성하여 깨닫고는 깊이 생각하면서 꺼리고 싫어하여 마음으로 생각하고 입으로 말하면서 뜻을 오로지 모아 거듭거듭 참회하면 업을 비록 지었더라도 그 과보를 받지 않는다.
선업에 있어서도 그와 같으니라.”

“또 어떤 업으로 몸과 마음이 원만하게 됩니까?”
“인욕(忍辱)을 닦아 익히면 몸이 원만하게 되고,
듣고 생각하기를 닦아 익히면 마음이 원만하게 된다.
이런 업을 닦아 익히면 반드시 그런 과보를 받게 되느니라.”

“어떤 업을 닦아 익히면 뒤에도 그것이 흩어지거나 없어지지 않습니까?”
“만일 어떤 이가 선업을 지은 뒤에 후회하거나 싫어하지도 않고 번민하거나 없다고 여기지도 않으며 시비를 따지거나 멀리 여의지도 않고 또 흔들리지도 않으며 그런 행을 지어 자꾸 닦아 익히면 그것은 마침내 흩어지거나 없어지지 않고 반드시 그 과보를 받게 되느니라.”

“또 어떤 업이 과보를 받습니까?”
“무기업(無記業)을 닦으면 그 과보를 받지 않느니라.”

“또 어떤 업이 중생으로 하여금 그 지옥의 수명이 중간에서 끊어지지 않게 합니까?”
“어떤 중생은 그런 업을 짓고는 뉘우치거나 싫어하지도 않고 없다고 여기거나 번민하지도 않으며 시비를 따지거나 흔들리지 않으면서 그런 짓을 자꾸 저지른다.
천수(天受)야,
알아야 한다.
그러한 업을 지은 중생은 지옥에 태어나 그 수명을 끝까지 채우고 중간에 요절하지 않느니라.”

“그러면 또 어떤 업이 중생으로 하여금 지옥의 수명을 끝까지 채우지 않게 합니까?”
“어떤 중생은 그런 업을 짓고는 그것을 꺼려 뉘우치고 괴로워하면서 스스로 나무라며 지난 잘못을 반성하고 깨달아 그 업을 멀리 여의되 흔들리지 않는다.
그런 행을 자꾸 행하면 그 중생은 그런 업을 지어 지옥에 태어났더라도 그 수명을 끝까지 채우지 않느니라.”

“또 어떤 업이 중생으로 하여금 지옥에 태어났다가 곧 목숨을 마치게 합니까?”
“어떤 중생은 그런 업을 짓고는 초조해하며 ‘인과가 없다’고 말한 것을 뉘우쳐 번뇌의 날카로운 칼날을 버려 멀리 여의고는 ‘이것은 사랑하고 즐길 것이 아니다.
나는 다시는 짓지 않으리라’라고 한다.

그것은 마치 저 아사세왕(阿闍世王)이 그 아버지를 죽인 죄를 짓고는 참회하고 드러내어 ‘나는 악업을 지었으니 마땅히 스스로 받아야 한다’ 하고 부처를 향하여 참회하고 지난 잘못을 자세히 말하였을 때,
부처가 그를 가엾이 여겨 죄의 성품을 관찰하게 한 것과 같다.
죄는 인연을 따라 허깨비처럼 있는 것이라 끝내 잡을 수 없는 것이므로 그 중생은 지옥에 태어났다가 곧 목숨을 마쳤느니라.”

“또 어떤 업이 중생으로 하여금 먼저는 즐거움을 받으나 뒤에는 괴로움을 받게 합니까?”
“어떤 중생은 처음에는 보시를 행하며 즐거워하고 기뻐하였으나 보시하고는 곧 후회한다.
그러므로 그 중생은 인간으로 태어나되 높은 종족으로 살면서 금ㆍ은의 보물과 코끼리ㆍ말ㆍ수레를 모두 두루 갖추고,
부모ㆍ처자ㆍ백성ㆍ친우들이 모두 갖추어져 이지러짐이 없으며,
나아가서는 창고의 보물도 또한 그와 같다.
그러므로 그 과보를 받을 때에도 먼저는 즐거움을 받으나 뒤에는 괴로움을 받는 것이니라.”

“그러면 또 어떤 업이 중생으로 하여금 먼저는 가난으로 고달프다가 뒤에는 즐거움을 받게 합니까?”
“어떤 중생은 과거 인(因)을 닦을 때 처음에는 하찮은 마음으로 조금 보시하였으나 보시한 뒤에는 후회하지 않고 도리어 기뻐하였다.
그러므로 그 중생은 인간으로 태어나 비천한 종족으로 살면서 음식이나 보물이 모두 모자라고 자유롭지 못하다가 뒤에는 차차 넉넉해져 재물이 많게 되고 나아가서는 갖가지 살림살이에 조금도 모자람이 없게 된다.
그러므로 그런 중생은 뒷날 그 과보를 받을 때 먼저는 가난으로 고달프지만 뒤에는 즐거움을 받는 것이니라.”

“또 어떤 업이 중생으로 하여금 먼저도 즐거움을 받고 뒤에도 즐거움을 받게 합니까?”
“어떤 중생은 보시하기 전에도 기뻐하고 보시할 때도 기뻐하며 보시한 뒤에도 기뻐한다.
그래서 과거ㆍ현재ㆍ미래에 후회가 없다.
그 중생은 인간으로 태어나되 부귀한 집이나 높은 종족으로 살면서 부모ㆍ처자ㆍ백성ㆍ친우들이 두루 갖추어져 이지러짐이 없고,
창고의 보물과 코끼리ㆍ말ㆍ소ㆍ양과 나아가서는 동산과 숲과 밭과 집들이 모두 풍족하여 자유로이 쓸 수 있다.
그러므로 그런 중생은 먼저도 즐겁고 뒤에도 즐거운 것이니라.”

“그러면 또 어떤 업이 중생으로 하여금 먼저도 즐거움이 없고 뒤에도 즐거움이 없이 항상 고뇌를 받게 합니까?”
“어떤 중생은 처음부터 보시할 마음이 없고 또 그에게 보시하라고 권하는 좋은 벗도 없으며 또 신심도 없어서 재물을 탐내고 아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털끝만큼도 보시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 중생은 혹 인간으로 태어나더라도 하천한 종족으로 살면서 빈한하고 곤궁하여 재물ㆍ음식ㆍ밭ㆍ집 등 살림과 나아가서는 권속까지도 모두 모자라 먼저도 즐거움이 없고 뒤에도 즐거움이 없다.
그러므로 그런 중생은 먼저도 괴로움을 받고 뒤에도 괴로움을 받는 것이니라.”

“또 어떤 업이 중생으로 하여금 크게 부유하고 귀하면서도 재물을 탐내고 아껴 털끝만큼도 보시하지 않게 합니까?”
“어떤 중생은 전생에 삼보에 대해 일찍이 보시를 행하였으나 미래 세상에서 보시하는 행을 닦겠다고 원을 세운 일이 한번도 없다.
그러므로 그 중생은 목숨을 마친 뒤에 혹 인간으로 태어나게 되면 크게 부하고 귀하며 높은 종족으로 살면서 보물이 많고 코끼리ㆍ말ㆍ종ㆍ소ㆍ양ㆍ밭ㆍ집 등도 또한 풍족하여 자유로이 쓰지만 그 재물을 아끼고 사랑하여 보시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런 중생은 부유하고 귀하며 재물이 많으나 그것을 사랑하고 아끼고 탐내며 또 믿는 마음도 없는 것이니라.”

“그러면 또 어떤 업이 중생으로 하여금 일생 동안 가난으로 고달프면서도 보시하기를 즐겨 하게 합니까?”
“어떤 중생은 전생에 삼보라는 훌륭한 곳에 일찍이 보시하는 행을 닦았고 또 미래 세상에서도 보시하는 마음이 끊어지지 않게 하겠다고 서원하였다.
그는 목숨을 마친 뒤에 인간과 천상을 왕래하며 복을 받다가 그 뒤에 복이 다하여 또 인간에 태어나게 되면 빈궁하면서도 보시하기를 즐겨 한다.
그러므로 그런 중생은 빈궁하면서도 보시하기를 즐겨 하고 또 믿는 마음이 끊어지지 않는 것이니라.”

“또 어떤 업이 중생으로 하여금 일생 동안 가난으로 고달프면서 또 아끼고 탐내어 조그만 보시도 행하지 않게 합니까?”
“어떤 중생은 전생에 착한 벗을 만나지 못하고 또 어리석고 어두워 인과를 믿지 않고 보시의 행을 털끝만큼도 닦지 않았다.
그러므로 그 중생은 목숨을 마친 뒤에는 인간에 태어나되 빈궁한 종족으로 살면서 재물ㆍ음식ㆍ농사 등 살림이 모두 모자란다.
그러므로 그런 중생은 빈한하고 곤궁하면서 보시하기를 즐겨 하지 않는 것이니라.”

“또 어떤 업이 전륜왕에 비길 만한 몸과 마음의 즐거움을 얻고도 복 짓기를 즐겨 하게 합니까?”
“어떤 중생은 전생에 살생하지 않는 계율을 닦고 남에게 두려움이 없게 하며 또 원을 세워 보시하는 마음이 어두워지지 않게 하였다.
그러므로 그런 중생은 목숨을 마친 뒤에는 인간에 태어나 몸과 마음의 즐거움을 얻고 항상 보시하기를 즐겨 하는 것이니라.”

“그러면 또 어떤 업이 중생으로 하여금 몸과 마음의 즐거움을 얻지만 마치 아주 늙은 노인이 오래도록 집안 살림을 버린 것같이 복 짓기를 즐겨 하지 않게 합니까?”
“어떤 중생은 전생에 남에게 두려움이 없게 하고 중생을 해치지 않았지만 훌륭한 원을 세우지 못하였다.
그러므로 그런 중생은 목숨을 마친 뒤에 인간에 태어나 몸과 마음이 모두 즐겁지만 복 닦기를 좋아하지 않는 것이니라.”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pt op tr] fr
_M#]





◆vqgw1296
◈Lab value 불기2564/05/31


Mireille Mathieu - Le Vendredi A La Nouvelle Orleans


○ 2018_0419_134155_canon.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Utagawa-Kuniyoshi-the-suicide-of-morozumi-masakiyo.jpg!HD
[#M_▶더보기|◀접기|
Artist: Utagawa-Kuniyoshi
Utagawa Kuniyoshi (歌川 國芳, January 1, 1798[1] – April 14, 1861) was one of the last great masters of the Japanese ukiyo-e style of woodblock prints and painting. 구니 요시의 주제에는 풍경, 아름다운 여성, 가부키 배우, 고양이, 신화 동물 등 다양한 장르가 포함 됩니다. 그는 전설적인 사무라이 영웅 들의 전투를 묘사 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하 줄임...]
from https://en.wikipedia.org/wiki/Utagawa_Kuniyoshi
Title : the-suicide-of-morozumi-masakiyo.jpg!HD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_M#]


○ 2018_0419_140349_cano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Peyto_Lake-Banff_NP-Canada
[#M_▶더보기|◀접기|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Peyto_Lake-Banff_NP-Canada.jpg
English: An attraction of Banff National Park in the Canadian province of Alberta Author Tobias Alt, Tobi 87
Camera location 51° 43′ 00″ N, 116° 30′ 25″ W Heading=292.5°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_M#]

♡Sankasia , Sankissa 및 Sankasya



○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 Wikipedia

○상세정보=> http://buddhism007.tistory.com/3858

● [pt op tr] fr
_M#]






♥잡담♥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5/k1098t0081.html#1296
sfed--분별선악보응경_K1098_T0081.txt ☞상권
sfd8--불교단상_2564_05.txt ☞◆vqgw1296
불기2564-05-31
θθ

■ 선물 퀴즈 
방문자선물 안내페이지 

다음에 해당하는 단어를 본 페이지 에 댓글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인도의 역법(曆法)에서 주야를 나누는 데 4종이 있음.
(1) 66시설(施說). 낮 3시ㆍ밤 3시로 나눔. 『아미타경(阿彌陀經)』에 있음.
(2) 8시설. 『서역기(西域記)』에 있음.
(3) 12시설. 『대집경(大集經)』에 말한 12신수(神獸:十二支)의 말에 의한 것. 예로부터 중국ㆍ우리나라ㆍ일본에서 쓰는 것.
(4) 30시설. 『구사론(俱舍論)』ㆍ『지도론(智度論)』ㆍ『대일경소(大日經疏)』 제4권에 있음.

답 후보
● 시분(時分)
식차마나(式叉摩那)
신녀(信女)

신발의(新發意)
신역(新譯)
실담(悉曇)
실상반야(實相般若)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M_▶더보기|◀접기|

■ 음악
Didier Barbelivien - So Far Away From L.A
JOHNNY HALLYDAY - J'en Parlerai Au Diable
PHILIPPE SWAN - Dans Ma Rue 6857 S (
Etienne Daho - Duel Au Soleil
Gregoire - Bonus Track
Marie Laforet - No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Soyu Matsuoka
[san-chn] kārpāsī 劫波婆
[san-eng] utkaṭāsana $ 범어 the the hunkering posture
[pali-chn] dasa kusala-kamma-pathā 十善道
[pal-eng] gantabba $ 팔리어 pt.p.should be gone.
[Eng-Ch-Eng] 大日經 The abbreviated title for Maha^vairocana^bhisam!bodhi-vikurvita^dhis!t!ha^na-vaipulyasu^tra, the Chinese translation of the Da piluzhena chengfo shenbian jiachi jing 大毗盧遮那成佛神變加持經 (T 848.18.1-55), which became the most important text for the East Asian Vajraya^na/Tantraya^na school. This scripture presents the world as a stage on which Vairocana reveals the three mysteries of the Esoteric school by which one may discover one's innate pure mind of enlightenment. See entry on the full name of the text for further details.
[Muller-jpn-Eng] 三藐三佛陀 サンミャクサンブッダ perfectly and fully enlightened buddha
[Glossary_of_Buddhism-Eng] THANGKA☞
[fra-eng] l'avarie $ 불어 the damage


■ 다라니퀴즈

자비주 74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44 번째는?




74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만약 부유해서 가지가지 보배 재물과 살림살이를 얻고자 하면
여의주수(如意珠手)가 마땅하고
만약 가지가지 불안으로 안온함을 구하는 자는
견색수(羂索手)가 마땅하고
만약 뱃속에 가지가지 병을 제거하려면
보발수(寶鉢手)가 마땅하고
만약 모든 도깨비와 귀신을 항복 받으려면
보검수(寶劍手)가 마땅하고
만약 일체 큰 마(魔)와 귀신을 항복 받으려거든
발절라수(拔折羅手)가 마땅하고
만약 일체 원수나 적을 꺾어 무너뜨리려면
금강저수(金剛杵手)가 마땅하고
만약 모든 때에 두려움과 불안에 처한 자는
시무외수(施無畏手)가 마땅하고
만약 눈이 어두워 광명을 구하는 자는
일정마니수(日精摩尼手)가 마땅하고
만약 열병이나 독한 병으로 청량함을 구하는 자는
월정마니수(月精摩尼手)가 마땅하고
만약 영화스러운 벼슬을 구하거든
보궁수(寶弓手)가 마땅하고
만약 착하고, 어진 벗을 일찍 만나기를 원하여 구하면
보전수(寶箭手)가 마땅하고
만약 몸 위에 가지가지 병을 없애려거든
양류지수(楊柳枝手)가 마땅하고
만약 몸 위에 아홉가지 뜻밖의 어려움[橫難]을 없애려거든
백불수(白拂手)가 마땅하고
만약 일체 권속이 착하고 화목하기를 구하면
호병수(胡甁手)가 마땅하고,
만약 일체 호랑이, 늑대, 승냥이, 표범 등 악한 짐승을 물리치려거든
방패수(防牌手)가 마땅하고,
만약 일체시에 항상 관청의 재난을 여의려거든
월부수(鉞斧手)가 마땅하고,
만약 남자 여자 심부름꾼 등을 구하려면
옥환수(玉環手)가 마땅하고,
만약 가지가지 공덕을 성취하려거든
백연화수(白蓮花手)가 마땅하고,
만약 10방 모든 부처님의 묘한 국토에 가 태어나려거든
청연화수(靑蓮花手)가 마땅하고,
만약 광대한 지혜를 성취하려거든
보경수(寶鏡手)가 마땅하고,
만약 10방에 계시는 모든 부처님을 친견하려면
자연화수(紫蓮花手)가 마땅하고,
만약 땅 가운데 가지가지 감춰져 있는 것을 구하거든
보협수(寶篋手)가 마땅하고,
만약 모든 선도(仙道)를 속히 성취하려거든
오색운수(五色雲手)가 마땅하고,
만약 범천(梵天)에 태어나기를 원하거든
군지병수(君遲甁手)가 마땅하고,
만약 도솔천궁에 올라가 태어나
미륵보살을 친견 하고자 하거든
홍연화수(紅蓮花手)가 마땅하고,
만약 타방의 역적이나 강한 적을 피해 물리치려거든
극삭수(戟槊手)가 마땅하고,
만약 모든 하늘의 착한 신들을 불러보려거든
보라수(寶螺手)가 마땅하고,
만약 일체 귀신을 부리되 어김이 없게 하려거든
촉루장수(髑髏杖手)가 마땅하고,
만약 10방에 계시는
모든 부처님이 속히 오셔서
손을 주셨으면 하거든
수주수(數珠手)가 마땅하고,
만약 뛰어나게 미묘하고 청정한 음성[梵音聲]을 성취하려거든
보탁수(寶鐸手)가 마땅하고,
만약 구업을 성취하여
말과 언사가 뛰어나고 교묘함을 성취하려거든
보인수(寶印手)가 마땅하고,
만약 천룡과 선신이 항상 와서
옹호함을 바라거든
구시철구수(俱尸鐵鉤手)가 마땅하고,
만약 자비로써 일체 중생을 덮어 보호해 주며
중생들이 자기에게 두려움을 일으키지 않게 하려거든
석장수(錫杖手)가 마땅하고,
만약 일체 귀신과 용과 뱀, 호랑이, 늑대, 사자, 사람과
사람아닌 것이 공경하고 두려워함을 구하거든
합장수(合掌手)가 마땅하고,
만약 태어나는 곳마다
항상 모든 부처님 곁을 여의지 않으려거든
화불수(化佛手)가 마땅하고,
만약 날 적마다 세세생생 늘
모든 부처님의 궁전을 떠나지 않고
태로 태어나는 몸을 받지 않으려거든
화궁전수(火宮殿手)가 마땅하고,
만약 총명하여
많이 듣고, 널리 배우되
뚜렷히 기억하여
잊어버리지 않으려거든
보경수(寶經手)가 마땅하고,
만약 지금부터 부처님 될 때까지
보리심에서 늘 물러나지 않으려거든
불퇴금륜수(不退金輪手)가 마땅하고,
만약 10방에 모든 부처님이 빨리 오셔서
이마를 만지고,
수기(授記)해 주시기를 원하거든
정상화불수(頂上化佛手)가 마땅하고,
만약 과일 열매와 모든 곡식과 양식을 구하거든,
포도수(葡萄手)가 마땅하니라.
이와 같이
여러가지 구하는 법(法)이 천 가지가 있으되
지금 간략하게 조금 설할 뿐이니라."
[주]------
[참고 이들에 대한 각 진언은 아래 관세음보살 42수 진언에 나옴.
참고 출전 ≪T20n1064≫ ∴천수천안관세음보살대비심다라니 [당 불공역] 千手千眼觀世音菩薩大悲心陀羅尼 ]
[주끝]------
● 나모갈라다나다라야야 南無曷囉怛那哆囉夜耶<七十四> na mo ra t na t ra yā ya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44
아캄니다시라
阿欠抳哆尸羅<四十四>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52일째]
어피일일광명내 $ 023▲毘攞伽毘攞伽為 一 ● 毘伽(上)婆, ○□□□□,現,一,一,光

□□□□□□□, 現不可說師子座,
一一嚴具不可說, 一一光明不可說。
□□□□□□□, 현불가설사자좌,
일일엄구불가설, 일일광명불가설。

저 하나하나 광명 속에서
말로 할 수 없는 사자좌를 나타내나니
하나하나 장엄거리 말할 수 없고
하나하나 광명도 말할 수 없어



[153째]
광중묘색불가설 $ 024▲毘伽婆毘伽婆為 一 ● 僧羯邏摩, ○□□□□,色,於,復,此

□□□□□□□, 色中淨光不可說,
於彼一一淨光內, 復現種種妙光明。
□□□□□□□, 색중정광불가설,
어피일일정광내, 부현종종묘광명。

광명 속에 묘한 빛깔 말할 수 없고
빛깔 속에 맑은 광명 말할 수 없어
하나하나 깨끗한 저 광명 속에
또 다시 여러 묘한 광명 나투며

025□



●K0973_T1507.txt★ ∴≪A분별공덕론≫_≪K0973≫_≪T1507≫
●K1098_T0081.txt★ ∴≪A분별선악보응경≫_≪K1098≫_≪T0081≫
●K1044_T0723.txt★ ∴≪A분별업보약경≫_≪K1044≫_≪T0723≫

법수_암기방안


23 엄지 (THUMB)
24 집게(INDEX finger~검지 식지)
74 무명지 (~약지 )
44 네째발가락 the fourth toe
● [pt op tr] fr
_M#]




○ [pt op tr]
● 분별선악보응경_K1098_T0081 [문서정보]- 일일단상키워드
[#M_▶더보기|◀접기|
『분별선악보응경』 ♣1098-001♧
[관련키워드]
상권

■ 본 페이지 ID 정보
불기2564-05-31_분별선악보응경_001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5/k1098t0081.html
sfed--분별선악보응경_K1098_T0081.txt ☞상권
sfd8--불교단상_2564_05.txt ☞◆vqgw1296
불기2564-05-31

https://buddhism007.tistory.com/17241
htmback--불기2564-05-31_분별선악보응경_K1098_T0081-tis.htm
● [pt op tr] fr _M#]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