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십이근
[한문]二十二根
[팔리]dvāvīsatindriyāṇi
[범어]dvāviṃsātīndriyāṇi
[티벳]dbang po nyi shu rtsa gnyis
[영어]the twenty-two roots】
이십이근
안(眼),
이(耳),
비(鼻),
설(舌),
신(身),
의(意) 등의 6근,
남(男),
여(女),
명(命) 등의 3근,
우(憂),
희(喜),
고(苦),
낙(樂),
사(捨) 등의 5수근(受根),
신(信),
근(勤),
염(念),
정(定),
혜(慧) 등의 5선근(善根),
미지당지(未知當知),
이지(已知),
구지(具知) 등의 3무루근(無漏根),
이와 같은 것들을 총합하여 22종의 근이라 함.
● From 고려대장경연구소 불교사전
이십이근
[한문]二十二根
일체 법 중에서 작용(作用)이 가장 수승(殊勝)한 22법을 선택한 것.
근(根)은 최승(最勝)ㆍ자재(自在)ㆍ증상(增上)의 뜻으로 작용이 우수한 것.
6근(根)ㆍ남근(男根)ㆍ여근(女根)ㆍ명근(命根)ㆍ5수근(受根)ㆍ5선근(善根)ㆍ3무루근(無漏根).
● From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추가참조
◎[개별논의]
○ [pt op tr]
○ 2019_1104_161512_nik_AR35_s12 구례 쌍계사부근
○ 2019_1104_133221_nik_CT38_s12 구례 화엄사 연기암
○ 2019_1104_130918_can_BW21_s12 구례 화엄사 연기암
○ 2018_1022_180040_nik_bw0_s12 공주 태화산 마곡사
○ 2018_1022_142112_nik_CT27 공주 계룡산 갑사
○ 2018_1022_125546_nik_ct8_s12 공주 계룡면사무소 영규대사비
○ 2020_1017_151858_nik_BW25 삼각산 화계사
○ 2020_1017_151053_can_ar6_s12 삼각산 화계사
○ 2020_1002_122459_nik_ct7_s12 파주 고령산 보광사
○ 2020_0910_154725_can_ar47 속리산 법주사
○ 2020_0910_151748_can_ar47 속리산 법주사
○ 2020_0907_172457_nik_ar47 양산 통도사
○ 2020_0906_111249_can_BW27 천축산 불영사
○ 2020_0904_135347_can_CT27 원주 구룡사
○ 2020_0430_123225_can_exc 종로구 창의문로 성불사
○ 2019_1201_152923_can_Ar26_s12 원주 구룡사
○ 2019_1105_170759_can_AR35_s12 순천 조계산 송광사
○ 2019_1105_123248_can_ar20_s12 순천 조계산 선암사
○ 2019_1105_112813_can_ar7 순천 조계산 선암사
● [pt op tr] fr
○ 2020_0907_141039_can_ct9 양산 통도사
❋❋추가참조 ♥ ◎[개별논의]
○ [pt op tr]
불기2565-05-04 위키백과, 스크랩
● From 한국위키백과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이십이근
22근(二十二根, 산스크리트어: dvāvijśatīndriyāni, 영어: twenty-two faculties)은
제법(諸法) 즉 모든 법 중에서
특별한 증상력(增上力) 즉 특히 뛰어난 힘, 역량 또는 작용이 있다고 보아 선택된
22가지 법을 말한다.[1][2]
전통적인 표현으로는, 22근을
증상(增上: 뛰어남, 강력함)의 뜻[義]을 가진 22가지 법이라고 말한다.[3][4]
《유가사지론》 제57권과 제98권 등에 따르면,
22근은 크게 다음 목록과 같이
6근(六根) ·
남녀2근(男女二根) ·
명근(命根) ·
5수근(五受根) ·
5선근(五善根) ·
3무루근(三無漏根)의 6그룹으로 분류된다.[1][3][5][6][7]
아래 목록에서 22근의 나열 순서는 《아비달마구사론》 제2권에 따른 것이며
그룹별 구분은 《유가사지론》 제57권과 제98권에 따른 것이다.
《유가사지론》 제98권에서는 남근과 여근을 합하여 남녀2근(男女二根)이라 부르고 있는데,[7]
이 두 근의 《아비달마구사론》에서의 나열 순서는 여근이 먼저 나열되고 있다.[8][9]
6근(六根)(1) 안근(眼根)
(2) 이근(耳根)
(3) 비근(鼻根)
(4) 설근(舌根)
(5) 신근(身根)
(6) 의근(意根)
남녀2근(男女二根)(7) 여근(女根)
(8) 남근(男根)
(9) 명근(命根)
5수근(五受根)(10) 낙근(樂根)
(11) 고근(苦根)
(12) 희근(喜根)
(13) 우근(憂根)
(14) 사근(捨根)
5선근(五善根)(15) 신근(信根)
(16) 근근(勤根)
(17) 염근(念根)
(18) 정근(定根)
(19) 혜근(慧根)
3무루근(三無漏根)(20) 미지당지근(未知當知根)
(21) 이지근(已知根)
(22) 구지근(具知根)
참고 문헌[■편집]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0(15-465), T.1579(30-279).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영어) 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 Edited by A. Charles Muller.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대정신수대장경. T30, No. 1579.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각주[■편집]
↑ 이동:가 나 운허, "二十二根(이십이근)". 2013년 2월 5일에 확인
"二十二根(이십이근): 일체 법 중에서 작용(作用)이 가장 수승(殊勝)한 22법을 선택한 것. 근(根)은 최승(最勝)ㆍ자재(自在)ㆍ증상(增上)의 뜻으로 작용이 우수한 것. 6근(根)ㆍ남근(男根)ㆍ여근(女根)ㆍ명근(命根)ㆍ5수근(受根)ㆍ5선근(善根)ㆍ3무루근(無漏根)." 인용 오류: 잘못된 태그; "FOOTNOTE운허"[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DB4EC8BADEC9DB4EAB7BCrowno1 二十二根(이십이근)]". 2013년 2월 5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곽철환 2003, "이십이근(二十二根)". 2013년 2월 5일에 확인
"이십이근(二十二根): 뛰어난 힘이 있는 스물두 가지 기관·능력·작용.
(1) 안근(眼根). 모양이나 빛깔을 보는 시각 기관인 눈.
(2) 이근(耳根). 소리를 듣는 청각 기관인 귀.
(3) 비근(鼻根). 향기를 맡는 후각 기관인 코.
(4) 설근(舌根). 맛을 느끼는 미각 기관인 혀.
(5) 신근(身根). 추위나 아픔 등을 느끼는 촉각 기관인 몸.
(6) 의근(意根). 의식 기능. 인식 기능.
(7) 여근(女根). 여자의 음부.
(8) 남근(男根). 남자의 음부.
(9) 명근(命根). 개체를 유지시키는 생명력. 생명을 지속시키는 힘. 수명.
(10) 낙근(樂根). 즐거움을 느끼는 감수 작용.
(11) 고근(苦根). 괴로움을 느끼는 감수 작용.
(12) 희근(喜根). 기쁨을 느끼는 감수 작용.
(13) 우근(憂根). 근심하는 감수 작용.
(14) 사근(捨根).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감수 작용.
(15) 신근(信根). 부처의 가르침을 믿음.
(16) 정진근(精進根). 힘써 수행함.
(17) 염근(念根). 부처의 가르침을 명심하여 잊어버리지 않음.
(18) 정근(定根). 마음을 한곳에 모아 흐트러지지 않게 함.
(19) 혜근(慧根). 부처의 가르침을 꿰뚫어 봄.
(20) 미지당지근(未知當知根). 미지당지(未知當知)는 알지 못한 사제(四諦)를 알려고 한다는 뜻. 의(意)·낙(樂)·희(喜)·사(捨)·신(信)·근(勤)·염(念)·정(定)·혜(慧)가 견도(見道)에 있을 때를 말함.
(21) 이지근(已知根). 이지(已知)는 이미 사제를 알았지만 아직도 남아 있는 번뇌를 끊기 위해 사제를 되풀이하여 익힌다는 뜻. 의(意)·낙(樂)·희(喜)·사(捨)·신(信)·근(勤)·염(念)·정(定)·혜(慧)가 수도(修道)에 있을 때를 말함.
(22) 구지근(具知根). 구지(具知)는 이미 사제를 알았다는 것을 확인하고 그 앎을 갖추고 있다는 뜻. 의(意)·낙(樂)·희(喜)·사(捨)·신(信)·근(勤)·염(念)·정(定)·혜(慧)가 무학도(無學道)에 있을 때를 말함."
↑ 이동:가 나 星雲, "二十二根". 2013년 2월 5일에 확인
"二十二根: 梵語 dvāvijśatīndriyāni。指於事特有增上義之二十二種法。即:眼、耳、鼻、舌、身、意等六根,男根、女根、命根,苦、樂、喜、憂、捨等五受根,信、勤、念、定、慧之五善根,未知當知、已知、具知之三無漏根。根為增上之義。眼、耳、鼻、舌、身之五根各於莊嚴身、導養身、生識等,及不共之事等四事能增上,故立為根;男女二根,於諸有情分別男女,及別異形相、言音等有增上之義;命根於眾同分能續、能持,有增上之義;意根能續後有及自在隨行,於此二事有增上之義;五受隨增貪等之隨眠,於染有增上之義;五善根及三無漏根增長諸清淨法,即於淨有增上之義,故立為根。若就二十二根之體而言,男根、女根為身根之一部分,並無別體;三無漏根以意根、三受根(喜、樂、捨)、五善根等九根為體,而無別體,故其體之數實為十七。〔俱舍論卷三、大毘婆沙論卷一四二〕" 인용 오류: 잘못된 태그; "FOOTNOTE星雲"[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976DTITLEA4GA4QA4GAEDA 二十二根]". 2013년 2월 5일에 확인"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한국사전연구사 (1998).
《종교학대사전》
"근(根)", 네이버 지식백과. 2013년 2월 5일에 확인.
"근(根): 산스크리트어 indriya의 번역. ①힘이 있어 강한 작용을 가진다(이것을 증상(增上)이라고 한다)는 뜻.
안근(眼根)ㆍ이근(耳根)ㆍ비근(鼻根)ㆍ설근(舌根)ㆍ신근(身根)ㆍ의근(意根)ㆍ여근(女根)ㆍ남근(男根)ㆍ명근(命根)ㆍ낙근(樂根)ㆍ고근 (苦根)ㆍ우근(憂根)ㆍ희근(喜根)ㆍ사근(捨根)ㆍ신근(信根)ㆍ근근(勤根)ㆍ염근(念根)ㆍ정근(定根)ㆍ혜근(慧根)ㆍ미지당지근(未知當知根)ㆍ기지근(己知根)ㆍ구지근(具知根)을 이십이근(二十二根)이라고 하는데
처음의 안(眼)ㆍ이(耳)ㆍ비(鼻)ㆍ설(舌)ㆍ신(身)ㆍ의(意)는 육근(六根)이라 일컫는다. 그 중에서 의근(意根, 심(心))을 제하기 전(前)의 오근(五根)은 감각기관(五官) 또는 감각기능으로 물질적(色) 요소에 의한 생리체(生理體)이므로 오색근(五色根)이라 하며 또 단순히 오근(五根)이라 약칭된다.
이는 지각(知覺)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뜻으로,
수론파(數論派)에서는 이것을 지근(知根)ㆍ오지근(五知根)이라고 한다.
더욱이, 수론파(數論派)에서는 오지근(五知根)은 오작업근(五作業根, 수(手)ㆍ족(足)ㆍ구(口)ㆍ대변처(大便處)ㆍ소변처(小便處))과 의근(意根)을 더하여 십일근(十一根)을 주장하고
베단타학파에서는 십사근(十四根)을 주장한다. 안(眼) 등의 오근(五根)은 바로 감각작용을 주관하는 승의근(勝義根, 신경(神經)에 해당하는 내부기관을 절개(切開)하여도 눈 등은 보이지 않는다)과 그것을 돕는 부진근(扶塵根, 안구(眼球)ㆍ고막(鼓膜) 등의 외부기관인데 혈육(血肉)으로 되어있다)으로 나누어질 수 있지만,
유부(有部)에서는 승의근(勝義根)만을 오근(五根)이라고 한다.
다음에 이십이근(二十二根) 중에, 낙(樂)ㆍ고(苦)ㆍ희(喜)ㆍ우(憂)ㆍ사(捨)의 오근(五根)은 외계(外界)를 감수(感受)한 인상감각(印象感覺)으로 안(眼) 등의 오근(五根)과 구별하여 오수근(五受根)이라고도 하며
신(信)ㆍ근(勤)ㆍ염(念)ㆍ정(定)ㆍ혜(慧)의 오근(五根)은 오력(五力)이라고 말한다.
번뇌를 떨어버리고 성도(聖道)를 가져오게 하는데 수승한 작용이 있으므로 근(根)이라 하는데
안(眼) 등의 오근(五根)과 구별하여 오무루근(五無漏根)이라고 말한다. 또 미지당지근(未知當知根) 이하의 삼근(三根)은 그 체(體)는 어느 것이나 의(意)ㆍ낙(樂)ㆍ희(喜)ㆍ사(捨)ㆍ오무루근(五無漏根)의 구근(九根)이지만,
미지당지근(未知當知根)은 견도(見道)에서 기지근(己知根)은 수도(修道)에서,
구지근(具知根)은 무학도(無學道)에서 각각 일으킨다고 하며,
이 셋을 삼무루근(三無漏根)이라고 한다.
여(女)ㆍ남(男)ㆍ명근(命根) 가운데, 명근(命根)이란 수명(壽命)을 말한다.
남(男)ㆍ여근(女根)이란 남(男)ㆍ여(女) 각각 그 성적(性的) 특징을 이루는 힘을 가진 것,
특히 성기(性器)를 가리킨다.
남(男)에서 여(女)로, 혹은 여(女)에서 남(男)으로 성(性)을 옮기는 것을 전근(轉根)이라 하며 또 승의근(勝義根)과 부진근(扶塵根), 여근(女根)과 남근(男根)을 각각 이근(二根)이라 한다.
②근기(根機), 근성(根性)의 뜻으로 가르침을 받는 자로서의 성질(性質)ㆍ자질(資質)을 나타내는데 여기에도 우열(優劣)이 있어서,
이근(利根)과 둔근(鈍根)의 이근(二根), 상근(上根),ㆍ중근(中根)ㆍ하근(下根), 혹은 이근(利根)ㆍ중근(中根)ㆍ둔근(鈍根)의 삼근(三根)으로 나누게 된다.
수도(修道)의 힘으로 근(根)을 수련(修練)함에 따라
둔근(鈍根)ㆍ하근(下根)에서 이근(利根)ㆍ상근(上根)으로 향하는 것을 연근(練根)ㆍ전근(轉根)이라고 하지만
특히 성문(聲聞, 하근(下根))에서 연각(緣覺, 중근(中根))으로,
혹은 다시 보살(菩薩, 상근(上根))로 변하는 경우를 대개 전근(轉根)이라고 한다."
↑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제57권. p. T30n1579_p0614a12 - T30n1579_p0614a22. 22근(二十二根)
"根善巧我今當說。總嗢拖南曰。
初義意建立 廣分別為後
問何等是根義。答增上義是根義。問為顯何義。答為顯於彼彼事彼彼法最勝義。云何建立二十二根。謂能取境增上義故建立六根。安立家族相續不斷增上義故建立二根。為活性命事業方便增上義故建立一根。受用業果增上義故建立五根。世間清淨增上義故建立五根。出世清淨增上義故建立三根。"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제57권. pp. 221-222 / 692. 22근(二十二根)
"근의 교묘함[根善巧]을 이제 설명하겠는데, 통틀어 올타남으로 말하리라.
처음은 뜻[義意]과 세움[建立]이며
자세하게 분별함[廣分別]은 나중이니라.
[문] 무엇이 근(根)의 뜻인가.
[답] 뛰어남[增上]이라는 뜻이 근의 뜻이다.
[문] 어떠한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인가.
[답]저 여러 가지 일[事]과 저 여러 가지 법(法)에서 가장 훌륭함[最勝]이라는 뜻을 나타내기 위해서이다.
어떻게 22근(二十二根)을 세우는가.
경계를 취함에서 뛰어남이라는 뜻 때문에 여섯 가지 근[六根]을 세우며,
가족을 벌려 세워 계속 끊어지지 않게 함에서 뛰어남이라는 뜻 때문에 두 가지 근[二根]을 세우며,
생명을 살리기 위하여 일을 하는 방편에서 뛰어남이라는 뜻 때문에 한 가지 근[一根]을 세우며,
업의 과보를 수용함에서 뛰어남이라는 뜻 때문에 다섯 가지 근[五根]을 세우며,
세간의 맑고 깨끗함에서 뛰어남이라는 뜻 때문에 다섯 가지 근[五根]을 세우며,
맑고 깨끗함에서 뛰어남이라는 뜻 때문에 세 가지 근[三根]을 세운다."
↑ 이동:가 나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제98권. p. T30n1579_p0863a13 - T30n1579_p0863b01. 22근(二十二根)
"略由六處增上義故。當知建立二十二根。何等為六。一能取境界增上義故。二繼嗣家族增上義故。三活命因緣各別事業加行士用增上義故。四受用先世諸業所作愛不愛果。及造新業增上義故。五趣向世間離欲增上義故。六趣向出世離欲增上義故。當知此中。眼根最初意根為後。如是六根。於取境界有增上義。男女二根於能繼嗣家族子孫。有增上義。命根一種於愛命者活命因緣各別事業加行士用。有增上義。樂最為初捨為其後。如是五根。於其受用先業所作愛不愛果及造新業。有增上義。信為最初慧為其後。如是五根。於能趣向世間離欲。有增上義。未知當知已知具知三無漏根。於能趣向出世離欲最極究竟。有增上義。一切世間所現見義。其唯此量。當知是義能究竟者。無出於此二十二根。故一切根二十二攝。" 인용 오류: 잘못된 태그; "FOOTNOTE미륵 조, 현장 한역T.1579제98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0n1579_p0863a13 T30n1579_p0863a13 - T30n1579_p0863b01]. 22근(二十二根)"이 다른 콘텐츠로 여러 번 정의되었습니다
↑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제2권. p. T29n1558_p0013a20 - T29n1558_p0013a23. 22근(二十二根)
"又經中說二十二根。謂眼根耳根鼻根舌根身根意根女根男根命根樂根苦根喜根憂根捨根信根勤根念根定根慧根未知當知根已知根具知根。"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제2권. p. 109 / 1397. 22근(二十二根)
"또한 경에서는 22근(根)을 설하고 있으니,
이를테면 안근·이근·비근·설근·신근·의근·여근(女根)·남근(男根)·명근(命根)·낙근(樂根)·고근(苦根)·희근(喜根)·우근(憂根)·사근(捨根)·신근(信根)·근근(勤根)·염근(念根)·정근(定根)·혜근(慧根)·미지당지근(未知當知根)·이지근(已知根)·구지근(具知根)이 바로 그것이다."
● From 대만불광사전
이십이근
【二十二根】 p171-上≫
梵語 dvāviṃśatīndriyāṇi.
指於事特有增上義之二十二種法.
卽:
眼․耳․鼻․舌․身․意等六根,
男根․女根․命根,
苦․樂․喜․憂․捨等五受根,
信․勤․念․定․慧之五善根,
未知當知․已知․具知之三無漏根.
根爲增上之義.
眼․耳․鼻․舌․身之五根各於莊嚴身․導養身․生識等,
及不共之事等四事能增上,
故立爲根;男女二根,
於諸有情分別男女,
及別異形相․言音等有增上之義;命根於衆同分能續․能持,
有增上之義;意根能續後有及自在隨行,
於此二事有增上之義;五受隨增貪等之隨眠,
於染有增上之義;五善根及三無漏根增長諸淸淨法,
卽於淨有增上之義,
故立爲根.
若就二十二根之體而言,
男根․女根爲身根之一部分,
並無別體;三無漏根以意根․三受根(喜․樂․捨)․五善根等九根爲體,
而無別體,
故其體之數實爲十七.
[俱舍論卷三․大毘婆沙論卷一四二]
● From 陳義孝佛學常見辭彙
이십이근
【二十二根】眼根․耳根․鼻根․舌根․身根․意根․女根․男根․命根․苦根․樂根․憂根․喜根․捨根․信根․精進根․念根․定根․慧根․未知當知根․已知根․具知根.
→263
①-171■불광사전
hbfl--08_A__1259.TIF
● From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
● From 法相辭典
二十二根
★瑜伽九十八卷八頁雲:
略由六處增上義故;當知建立二十二根。
何等為六?一、
能取境界增上義故。
二、
繼嗣家族增上義故。
三、
活命因緣,
各別事業,
加行士用,
增上義故。
四、
受用先世諸業所作愛不愛果,
及造新業增上義故。
五、
趣向世間離欲增上義故。
六、
趣向出世離欲增上義故。
當知此中眼根最初,
意根為後,
如是六根,
于取境界,
有增上義。
男女二根,
于能繼嗣家族子孫,
有增上義。
命根一種,
于愛命者活命因緣,
各別事業加行士用,
有增上義。
樂最為初,
舍為其後,
如是五根,
于其受用先業所作愛不愛果,
及造新業,
有增上義。
信為最初,
慧為其後,
如是五根,
于能趣向世間離欲,
有增上義。
未知當知、
已知、
具知,
三無漏根,
于能趣向出世離欲,
最極究竟,
有增上義。
一切世間所現見義,
其唯此量,
當知是義能究竟者,
無出于此二十二根。
故一切根,
二十二攝。
★二解:
成唯識論七卷二十頁雲:
然增上用,
隨事雖多;而勝顯者,
唯二十二。
應知即是二十二根,
前五色根,
以本識等所變眼等淨色為性,
男女二根,
身根所攝;故即以彼少分為性。
命根,
但依本識親種分位假立;非別有性。
意根,
總以八識為性。
五受根,
如應各自受為性。
信等五根,
即以信等及善念等而為自性。
未知當知根,
體位有三種。
一、
根本位。
謂在見道。
除後剎那。
無所未知可當知故。
二、
加行位。
謂暖頂忍世第一法。
近能引發根本位故。
三、
資糧位。
謂從為得諦現觀故,
發起決定勝善法欲;乃至未得順抉擇分;所有善根,
名資糧位。
能遠資生根本位故。
于此三位,
信等五根、
意、
喜、
樂、
舍為此根性。
加行等位,
于後勝法,
求證愁戚,
亦有憂根。
非正善根,
故多不說。
前三無色,
有此根者,
有勝見道傍修得故。
或二乘位回趣大者,
為證法空,
地前亦起九地所攝生空無漏。
彼皆菩薩此根攝故。
菩薩見道,
亦有此根。
但說地前;以時促故。
始從見道最後剎那,
乃至金剛喻定,
所有信等無漏九根,
皆是已知根性。
未離欲者,
于上解脫,
求證愁戚,
亦有憂根。
非正善根,
故多不說。
諸無學位無漏九根,
一切皆是具知根性。
有頂雖有遊觀無漏;而不明利。
非後三根。
二十二根,
自性如是。
★三解:
如大毗婆沙論一百四十二卷至一百四十五卷廣說。
彼雲:
問:
此二十二根,
名有二十二;實體有幾?答:
對法者言:
名、
二十二;實體十七。
于中男、
女、
三無漏根。
無別體故。
問;何故男女根無別體耶:
答:
此二即是身根攝故。
如說:
女根雲何?謂身根少分。
男根雲何?謂身根少分。
問:
何故三無漏根。
亦無別體?答:
此三即是九根攝故。
九、
謂意根,
樂喜舍根,
信等五根。
此九根,
有位名未知當知根,
有位名已知根,
有位名具知根。
即是見道位,
修道位,
無學道位。
如次應知。
又在隨信隨法行相續中,
名未知當知根。
在信解見至身證相續中,
名已知根。
在慧解脫俱解脫相續中,
名具知根。
九根聚集,
隨位說三,
故無別體。
由此故說二十二根,
名二十二,
實體十七。
又雲:
問:
何故名根?根是何義?答:
增上義、
是根義。
明義、
是根義。
現義、
是根義。
喜觀義、
是根義。
端嚴義、
是根義。
最義、
是根義。
勝義、
是根義。
主義、
是根義。
問:
若增上義是根義者:
諸有為法,
展轉增上;諸無為法,
于有為增上。
則一切法,
皆應立根。
何故世尊立二十二?脅尊者言:
佛于諸法,
了達究竟;善知諸法體相勢用。
餘不能知。
若法,
有根相者,
立根。
無者,
不立。
不應責問。
有說:
增上緣,
有下有上,
有劣有勝。
上勝、
立根。
下劣、
不立。
有說:
雖一切法,
皆有增上緣義;而非皆有增上明、
現、
乃至主義。
如二十二根者。
如一切有情,
雖皆互有增上緣義;而有勝者。
如鬼界中,
琰摩王勝;傍生趣中,
師子王勝;村中,
主勝;國中,
王勝;四大洲中,
轉輪王勝;于欲界中,
自在天勝;千世界中,
梵王為勝;于三界中,
佛為最勝。
佛于一切有情類中,
獨稱法王。
無倫匹故。
如是諸法,
雖皆是增上緣;而非一切皆有增上,
乃至主義。
如二十二根者。
故佛唯說此二十二根。
★四解:
法蘊足論九卷一頁雲:
有二十二根。
何等二十二?謂眼根、
耳根、
鼻根、
舌根、
身根、
意根、
女根、
男根、
命根、
樂根、
苦根、
喜根、
憂根、
舍根、
信根、
精進根、
念根、
定根、
慧根、
未知當知根、
已知根、
具知根、
此二十二根,
攝一切根。
如彼卷一頁至六頁廣釋。
★五解:
品類足論八卷五頁雲:
眼根雲何?謂眼于色已正當見;及彼同分。
耳根雲何?謂耳于聲,
已正當聞。
;及彼同分。
鼻根雲何?謂鼻于香,
已正當嗅:
及彼同分。
舌根雲何。
謂舌于味已正當嘗。
及彼同分。
身根雲何。
謂身于觸已正當觸。
及彼同分。
女根雲何?謂身根少分。
男根雲何?謂身根少分。
命根雲何?謂三界壽。
意根雲何?謂六識身。
樂根雲何?謂順樂受觸所觸時。
所起身樂心樂。
平等受受所攝;是名樂根。
苦根雲何?謂順苦受觸所觸時所起,
身苦,
不平等受受所攝。
是名苦根。
喜根雲何?謂順喜受觸所觸時,
所起心喜,
平等受受所攝;是名喜根。
憂根雲何?謂順憂受觸所觸時,
所起心憂,
不平等受受所攝;是名憂根。
舍根雲何?謂順舍受觸所觸時,
所起身舍心舍,
非平等非不平等受受所攝;是名舍根。
信根雲何?謂依出離遠離所生善法,
諸信,
信性,
增上信性,
忍可,
欲作,
欲為,
欲造,
心澄淨性;是名信根。
精進根雲何?謂依出?二十二根差別分別 ★如瑜伽五十七卷十一頁至十四頁廣說。
● From 丁福保 - 佛學大辭典 : Ding Fubao's Dictionary of Buddhist Studies
二十二根
【名數】
一眼根Cakṣurindriya,
二耳根Śrotrendriya,
三鼻根Ghrāṇendriya,
四舌根Jihvendriya,
五身根Kāyendriya,
六意根Manendriya,
已上六根,
上所說眼等之六根也。
七女根Strindriya,
女子身中起色欲之處。
八男根Puruṣendriya,
男子身中起色欲之處。
九命根Jivitendriya,
有情一期之壽命也。
十苦根Duḥkhendriya,
十一樂根Sukhendriya,
十二憂根Daumanasyendriya,
十三喜根Saumanasyendriya,
十四捨根Upekṣendriya,
已上五者,
所謂五受也。
十五信根Śraddhendriya,
十六精進根Viryendriya,
十七念根Smṛtindriya,
十八定根Samādhindriya,
十九慧根Prajñedriya,
已上五根,
所謂信等之五根也。
二十未知當知根Anājñātamājñāsyāmindriya,
二十一已知根Ājñendriya,
二十二具知根Ājñātāvindriya,
已上三者所謂三無漏根也。
見俱舍論三、
大乘義章四。
【名數】 見根條。
【參見:根】
● From yusig
二十二根
此是促進增上作用的二十二種法。
即:
眼、
耳、
鼻、
舌、
身、
意等六根,
男根、
女根,
命根,
苦、
樂、
喜、
憂、
舍五受根,
信、
勤、
念、
定、
慧五善根,
未知當知、
已知、
具知三無漏根。
根為增上之義。
若就二十二根的體性而言,
男根、
女根為身根的一部分,
并無別體;三無漏根以意根、
三受根(喜、
樂、
舍)、
五善根等九根為體,
而無別體,
故其體之數實為十七。
見《俱舍論》卷三。
● From Soothill-Hodous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DDBC version)
二十二根
The twenty-two roots,
organs,
or powers,
v.
根.
They are: (1) 眼根 eye,
cakṣurindriya; (2) 耳 根 ear,
śrotrendriya; (3) 鼻根 nose,
ghrāṇendriya; (4) 舌根 tongue,
jihvendriya; (5) 身根 body,
kāyendriya; (6) 意根 mind,
manaīndriya (the above are the 六根); (7) 女根 female organ,
strīndriya; (8) 男根 male organ,
puruṣendriya; (9) 命根 life,
jīvitendriya; (10) 苦根 suffering (or pain),
duḥkhendriya; (11) 樂根 pleasure,
sukhendriya; (12) 憂根 sorrow,
daurmanasyendriya; (13) 喜根 joy,
saumanas-yendriya; (14) 捨根 abandoning,
upekṣendriya (from 10 to 14 they are the 五受); (15) 信根 faith,
śraddhendriya; (16) 精進根 zeal,
vīryendriya; (17) 念根 memory,
smṛtīndriya; (18) 定根 meditation,
or trance,
samādhīndriya; (19) 慧根 wisdom,
prajñendriya (these are the 信等之五根); (20) 未知當知根 the power for learning (the Four Noble Truths) anājñātamājñāsyāmīndriya; (21) 巳知根 the power of having learned (them),
ājñendriya; (22) 具知根 the power of perfect knowledge (of them),
ājñātādvīndriya (these three are called the 無漏根) .
● From Mahāvyutpatti (bye brag rtog byed)
dvāviṃśatīndriyāṇi
[Mvyt: 2059]
梵文 (轉寫) / Sanskrit (IAST):
dvāviṃśatīndriyāṇi
梵文 (天成體) / Sanskrit (Devanāgarī):
द्वाविंशतीन्द्रियाणि
中文 / Chinese:
二十二根
藏文 (Wylie) / Tibetan (Wylie):
dbang po nyi shu rtsa gnyis kyi ming la
藏文 / Tibetan:
དབང་པོ་ཉི་ཤུ་རྩ་གཉིས་ཀྱི་མིང་ལ་
From BUDDHDIC
二十二根
ニジュウニコン
(term) twenty-two faculties
● From Eng-Ch-Eng dic of Buddhist terms
二十二根
The twenty-two faculties:
the six organs of
eye 眼,
ear 耳,
nose 鼻,
tongue 舌,
body 身,
and mind 意; the three faculties of male 男,
female 女,
and life 命.
The five sensations of joy 喜,
suffering 苦,
pleasure 樂,
anxiety 憂,
and detachment 舍.
The five roots of goodness of fiath 信,
effort 勤,
mindfulness 念,
concentration 定,
and wisdom 慧.
The three undefiled faculties of that which is to be known 未知當知,
that which is already known 已知,
and endowed wisdom 具知.
■ '이십이근' 관련 기타 참고 사전 통합 검색
다음백과 https://100.daum.net/search/entry?q=이십이근
네이버백과 https://terms.naver.com/search.nhn?query=이십이근
한국위키 https://ko.wikipedia.org/wiki/이십이근
네이버한자 https://hanja.naver.com/search?query=이십이근
네이버지식 https://kin.naver.com/search/list.nhn?query=이십이근
네이버사전 https://endic.naver.com/search.nhn?sLn=kr&isOnlyViewEE=N&query=이십이근
위키영문 https://en.wikipedia.org/wiki/dvāviṃsātīndriyāṇi
구글 https://www.google.co.kr/?gws_rd=ssl#newwindow=1&q=이십이근
네이버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이십이근
다음 https://search.daum.net/search?w=tot&q=이십이근
--- 이하 단어 직접 입력 검색 ---
운허 동국역경원 불교사전 https://abc.dongguk.edu/ebti/c3/sub1.jsp
실용한-영 불교용어사전 https://dic.tvbuddha.org/
불광대사전(佛光大辭典) https://www.fgs.org.tw/fgs_book/fgs_drser.aspx
산스크리트어사전 https://www.sanskrit-lexicon.uni-koeln.de/monier/
티벳어사전 https://nitartha.pythonanywhere.com/index
● [pt op tr] fr
■ 불교사전 링크 및 불교 사전 출처 종합 안내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4/blog-post_21.html
●● 관련정보 사용페이지
----[‡사용한 다른 페이지]---
불기2565-05-04_아비담팔건도론-K0943-008
sfed--아비담팔건도론_K0943_T1543.txt ☞제8권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5/2565-05-04-k0943-008.html
3 무루근을 다음 처럼 표현하고 있다.
미지근(未知根)ㆍ이지근(已知根)ㆍ【무지근(無知根)】
024_0743_a_04L
苦根,欲界通一切及思惟所斷。喜根,色界一切,欲界一切,除欲界疑無漏緣及彼相應無明。憂根,欲界一切。護根一切。信根、精進根、念根、定根、慧根,三界通一切及思惟所斷。未知根、已知根、無知根,無有。
...
--- 원문에도 무지근(無知根)으로 나옵니다. 다만 혹시
★%★
○ 음악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mus0fl--Michel Sardou - Monsieur Menard.lrc
Michel Sardou - Monsieur Menard
◎◎[개별논의] ♥ ❋추가참조
★1★
◆voxm1103
◈Lab value 불기2565/05/04/화/19:06 |
○ 2016_1008_150534_can_ar45.jpg ○ [pt op tr] 예술작품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Ernst-Ludwig-Kirchner-red-tree-on-the-beach.jpg!HD Artist: Ernst-Ludwig-Kirchner https://en.wikipedia.org/wiki/Ernst_Ludwig_Kirchner Title : red-tree-on-the-beach.jpg!HD Info Permission & Licensing : Wikiart ● [pt op tr] fr ○ 2020_0525_190431_can.jpg ○ [pt op tr] 꽃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 [pt op tr] 아름다운 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A_view_of_the_temple_of_the_Emerald_Buddha English: A view of the temple of the Emerald Buddha 2015 Author Hzh Permission & Licensing : Wikipedia ● [pt op tr] fr ♥Changhua County ,Taiwan ○ [pt op tr] 아름다운 풍경사진 공양, 나무불, 나무법, 나무승 With the image 'Google Earth & Map data: Google, DigitalGlobe' Marie-Paule Belle - A Damia ♥단상♥ |
문서정보 ori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5/twenty-two-roots.html#1103 sfx--dict/이십이근.txt sfd8--불교용어dic_2565_05.txt ☞◆voxm1103 불기2565-05-04 θθ |
ॐ मणि पद्मे हूँ
○ [pt op tr]
■ 용어퀴즈 다음 설명에 맞는 답을 찾으시오.
■ 용어 퀴즈
●K1026_T1557.txt★ ∴≪A아비담오법행경≫_≪K1026≫_≪T1557≫
●K0943_T1543.txt★ ∴≪A아비담팔건도론≫_≪K0943≫_≪T1543≫
●K0791_T0508.txt★ ∴≪A아사세왕문오역경≫_≪K0791≫_≪T0508≫
■ 음악
Daniel Guichard - Pardon Maman
Benjamin Biolay - Tant Le Ciel Etait Sombre
Alain Bashung - A Perte De Vue
Julien Doré - Sublime & Silence
Dalida - Histoire D'un Amour
Pierre Bachelet - Tout Commence Avec 2001
Michel Sardou - Monsieur Menard
■ 시사, 퀴즈, 유머
뉴스
퀴즈
퀴즈2
유머
■ 한자 파자 넌센스 퀴즈
【 】 ⇄✙➠
일본어글자-발음
중국어글자-발음
■ 영어단어 넌센스퀴즈- 예문 자신상황에 맞게 바꿔 짧은글짓기
■ 번역퀴즈
번역
■ 영-중-일-범-팔-불어 관련-퀴즈
[wiki-bud] 4th Dalai Lama
[san-chn] agamya-gamana 行不應行, 行非行
[san-eng] dhyāyati $ 범어 meditates
[pali-chn] rucaka 瓔珞
[pal-eng] yugandhara $ 팔리어 m.name of a mountain.
[Eng-Ch-Eng] 行 Samskara 行 【參照: Volition】or【參照: Five Skandhas】\nVolition 行 or mental formation, or action, or conduct, or deed, usually done through the body, mouth or mind. The Sanskrit word is Samskara.
[Muller-jpn-Eng] 憂悲 ウヒ sorrow and distress
[Glossary_of_Buddhism-Eng] HEKIGANSHU☞
See: Blue Cliff Record.
[fra-eng] bats $ 불어 beat
■ 암산퀴즈
199* 145
364560 / 465
■ 다라니퀴즈
자비주 46 번째는?
성관자재보살 명호 16 번째는?
46
만약 성문 구하는 사람이
이 다라니를 듣고
한 번 귀에
스쳐가거나,
이 다라니를 쓰고
순수하고 곧은 마음으로 여법하게 수행하면,
네가지 성문과를 구하지 아니하여도
자연히 얻게 되느니라.
● 모지야모지야 菩提夜菩提夜<四十六> bo dhi ya bo dhi ya
『불설천수천안관세음보살광대원만무애대비심다라니경』
♣0294-001♧
16
소카바라 나
蘇佉鉢囉<二合>那<十六>
『성관자재보살일백팔명경』
♣1122-001♧
■ 삼매_게송퀴즈
■ 오늘의 게송
[124일째]
통달일실불가설 $ 124▲不可思轉不可思轉為 一 ● 不可量, ○□□□□,善,諸,悉,國
□□□□□□□, 善入佛種不可說,
諸佛國土不可說, 悉能往詣成菩提。
□□□□□□□, 선입불종불가설,
제불국토불가설, 실능왕예성보리。
실상을 통달함도 말할 수 없고
부처 종성 들어감도 말할 수 없고
부처님의 국토들 말할 수 없어
모두 다 나아가서 보리 이루네.
125□
[125째]
국토중생급제불 $ 125▲不可量不可量為 一 ● 不可量轉, ○□□□□,體,如,菩,壽
□□□□□□□, 體性差別不可說,
如是三世無有邊, 菩薩一切皆明見。」
□□□□□□□, 체성차별불가설,
여시삼세무유변, 보살일체개명견。」
국토와 중생들과 여러 부처님
성품과 차별함을 말할 수 없어
이렇게 삼세가 그지없거늘
보살은 온갖 것을 분명히 보네.
●K1026_T1557.txt★ ∴≪A아비담오법행경≫_≪K1026≫_≪T1557≫
●K0943_T1543.txt★ ∴≪A아비담팔건도론≫_≪K0943≫_≪T1543≫
●K0791_T0508.txt★ ∴≪A아사세왕문오역경≫_≪K0791≫_≪T0508≫
법수_암기방안
124 (INDEX finger~검지 식지)집게
125 ( 팜 palm) 손바닥
46 발 곡면 [신조어] 곡면( Arch)
16 겨드랑이 [암핏 armpit]
28855
784
○ 2020_1126_160422_nik_BW17
○ 2020_1126_155241_nik_ar24
○ 2020_1126_153600_can_BW17
○ 2020_1126_153357_nik_CT27
○ 2020_0224_113729_nik_AB7_s12
○ 2020_0224_100349_nik_ct9_s12
○ 2018_1025_170844_can_ab41_s12
○ 2019_1004_175014_nik_ct5
○ 2019_1004_160731_nik_ab11
○ 2019_1004_170305_can_fix
○ 2019_1004_152236_can_ct18
○ 2019_1004_160712_nik_ar41
○ 2019_1004_151744_nik_ar42
○ 2019_1004_133143_can_ar37
○ 2019_1004_160641_can_Ab35
○ 2019_1004_151738_nik_BW21
○ 2019_1004_141852_can_Ar26
○ 2019_1004_144159_nik_Ab27
○ 2019_1004_133046_can_BW17
○ 2020_1126_160024_nik_ct32
○ 2019_1004_180821_nik_ct18_1
● [pt op tr] fr
○ 2019_1004_151049_can_AB7
[페이지 내용 업데이트 관련 안내]
™善現智福 키워드 연결 페이지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0/06/keyword.html
○ [pt op tr]
● 이십이근 [문서정보]- 불교용어풀이 키워드
[관련키워드]
6근根,남근男根,여근女根,명근命根,5수근受根,5선근善根,3무루근無漏根,이십이근,二十二根,dvāvīsatindriyāṇi,dvāviṃsātīndriyāṇi,dbangponyishurtsagnyis,영어thetwenty-two roots,
[링크용타이틀]
이십이근,5수근,5선근,3무루근
■ 본 페이지 ID 정보
DICT--이십이근
https://blog.daum.net/thebest007/645
sfx--dict/이십이근.txt
sfd8--불교용어dic_2565_05.txt ☞◆voxm1103
불기2565-05-04
https://blog.naver.com/thebest007/222337768555
https://buddhism0077.blogspot.com/2021/05/twenty-two-roots.html
htmback--이십이근_불기2565-05-04-Tis.htm
● [pt op tr] fr
댓글 없음:
댓글 쓰기
What do you think is the most important?
Do you know why this is the most important?